KR102556713B1 -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713B1
KR102556713B1 KR1020180074153A KR20180074153A KR102556713B1 KR 102556713 B1 KR102556713 B1 KR 102556713B1 KR 1020180074153 A KR1020180074153 A KR 1020180074153A KR 20180074153 A KR20180074153 A KR 20180074153A KR 102556713 B1 KR102556713 B1 KR 102556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ad
extension
spring
contact
rad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330A (ko
Inventor
조성래
추동균
권순규
이경구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7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되는 상부파트부(10)와, 상기 상부파트부(10)의 하부로 구비되어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는 하부파트부(30)와, 상기 상부파트부(10)와 하부파트부(30)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부(30)는 제2 궤도륜(25)을 지지하는 하부파트(31)와, 상기 하부파트(31)의 하부로 구비되며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스프링패드(33)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파트(31)는 환형의 하부파트본체(31-1)와, 상기 하부파트본체(31-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된 원통형의 하부파트연장부(3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패드(33)는 하부파트본체(31-1)의 하면에 접하여 구비되는 환형의 스프링패드본체(33-1)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33-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내면이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연장부(3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패드(33)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하부파트(31)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A Strut Bearing For Suspension}
본 발명은 서스펜션의 스트러트 조향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는 스트러트의 마운팅 구조를 이루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서스펜션은 주행중 발생하는 노면으로부터 충격이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완충시켜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구성품으로서, 차체에 결합되는 방식이나 완충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며, 일반적인 차량에는 스트러트 형태가 많이 적용된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따라 쇽업소버(Shock Absorber)가 회전 운동될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되어야 하는바, 쇽업소버에는 원활한 조향 조작을 위해 베어링이 구비된다.
스트러트 마운팅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스트러트는 일측이 차체에 고정되고 타측이 너클을 통해 차륜과 연결되며 조향 조작에 따라 너클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쇽업소버를 포함하며 차체와의 고정을 위해 스트러트 마운트가 장착된다. 스트럿 마운트는 쇽업소버 피스톤 로드의 상측이 인슐레이터를 통해 차체에 고정되고, 인슐레이터의 하측으로 베어링 모듈이 구비되며, 이는 스프링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차량주행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쇽업소버 및 스프링이 축방향으로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서스펜션용 베어링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서스펜션 베어링 어셈블리(M)는 쇽업소버(A)의 피스톤 로드(10) 상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하단부가 쇽업소버(A)의 실린더(20)로부터 완충력을 전달받고,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플랜지(120)가 형성되어 설치플랜지(120)의 하측으로 서스펜션 스프링(S)에 의한 완충력을 전달받는 상부파트(100)와, 상기 상부파트(100)의 설치플랜지(120) 하단에 결합된 베어링(200)과, 상기 설치플랜지(120)의 하단에 마련되어 설치플랜지(120)와 함께 베어링(200)을 감싸고 하단부에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여 지지되며, 서스펜션 스프링(S)에 의한 완충력을 상부파트(100)와 베어링(200)에 전달하는 하부파트(300)를 포함한다.
하부파트(300)와 서스펜션 스프링(S) 사이에는 원활한 접촉을 위해 고무재질의 스프링패드(320)가 구비되며, 스프링패드(320)는 하부파트(300)와 서스펜션 스프링(S)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쇽업소버(A)의 중심과 서스펜션 스프링(S)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다. 또한, 서스펜션 스프링(S)과 하부파트(300) 사이에 마찰력을 확보하여 조향에 따른 서스펜션 스프링(S)의 회전시 하부파트(300)도 동시에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베어링(200)의 회전이 원활히 동작하도록 한다.
종래의 베어링 어셈블리(M)는 쇽업소버(A)의 피스톤 로드(10) 상측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부파트(100)와 하부파트(300) 사이에 베어링(200)이 구비된다.
베어링 어셈블리(M)의 상부파트(100)는 쇽업소버(A)의 피스톤 로드(10)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하단부가 쇽업소버(A)를 통해 전달되는 완충력을 전달받으며,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플랜지(120)가 형성되어 설치플랜지(120)의 하측으로 서스펜션 스프링(S)에 의한 완충력을 전달받는다. 상부파트(100)는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쇽업소버(A)와 서스펜션 스프링(S)을 통해 모두 전달받는다.
베어링 어셈블리(M)의 하부파트(300)는 상부파트(100)의 설치플랜지(120) 하측에 마련되어 설치플랜지(120)와 함께 베어링(200)을 감싸고, 하단부에는 서스펜션 스프링(S)과 연결되어 차량의 조향 조작에 따라 원활히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의 하부파트(300)는 서스펜션 스프링(S)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만을 전달받는다. 하부파트(300)의 하단부와 서스펜션 스프링(S) 사이에 스프링패드(320)를 마련하여 서스펜션 스프링(S)이 하부파트(300)에 안착되도록 하며,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상부파트(100)와 하부파트(300)를 포함한 베어링 어셈블리(M)는 플라스틱계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스펜션 스프링(S)은 스틸 계열의 고강성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베어링 어셈블리(M)와 서스펜션 스프링(S)이 직접 접촉하게 되면 조향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서스펜션 스프링(S)이 베어링 어셈블리(M)의 하부파트(300)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계열로 이루어진 베어링 어셈블리(M)의 경우 서스펜션 스프링(S)과의 접촉상태가 고정되지 않아 서스펜션 스프링(S)의 축 방향 중심과 쇽업소버(A)의 축 방향 중심이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 어셈블리(M)의 하부파트(300)와 서스펜션 스프링(S) 사이에 고무재질의 스프링패드(320)를 설치함으로써 하부파트(300)가 서스펜션 스프링(S)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고, 마찰력을 확보하여 하부파트(300)와 서스펜션 스프링(S)이 조향 회전에 의해 서스펜션 스프링(S)과 쇽업소버(A)의 축 중심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파트(300)와 스프링패드(320)의 접촉면에는 접착제가 게재되어 스프링패드(320)가 하부파트(300)에 접착되어 구비된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베어링 어셈블리(M)는 쇽업소버(A) 및 서스펜션 스프링(S)을 통해 전달되는 완충력 중 서스펜션 스프링(S)을 통해 전달되는 완충력만 베어링(20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쇽업소버(A)와 서스펜션 스프링(S)을 통해 베어링(200)에 모두 전달되는 것을 해소하여 내구성 및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부파트(100)의 하방에 위치하여 쇽업소버(A)의 피스톤 로드(10)에 설치되고, 쇽업소버(A)에 의한 완충력을 상부파트(100)에 전달하는 범프스토퍼(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파트(100)는 하단부의 내측으로 상기 범프스토퍼(400)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베어링 어셈블리(M)는 반복 작동 하중에 의하여 하부파트(300)와 스프링패드(320)가 분리되어 상대 운동이 발생하고, 분리에 의항 스프링패드(320)가 조기에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4-0120452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6-0059092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부파트와 스프링패드의 분리를 방지하고, 분리에 의하여 스프링패드의 손상이 방지되고, 조립이 용이한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되는 상부파트부와, 상기 상부파트부의 하부로 구비되어 스프링의 상단이 접하는 하부파트부와, 상기 상부파트부와 하부파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어링은 상부와 반경 방향 일측이 상부파트부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1 궤도륜과, 하부와 반경 방향 일측이 하부파트부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2 궤도륜과, 상기 제1 궤도륜과 제2 궤도륜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전동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부는 제2 궤도륜의 하부와 반경 방향 일측에 접하여 제2 궤도륜을 지지하는 하부파트와, 상기 하부파트의 하부로 구비되며 스프링의 상단이 접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스프링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파트는 환형의 하부파트본체와, 상기 하부파트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된 원통형의 하부파트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패드는 하부파트본체의 하면에 접하여 구비되는 환형의 스프링패드본체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여 내면이 하부파트연장부의 외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패드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하부파트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결합수단은 하부파트본체의 반경 방향 외측에 외향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파트본체홈과, 상기 하부파트본체홈의 하부로 구비되며 단부가 반경 방향 외향하는 하부파트본체돌기부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의 상부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반경 방향 내향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스프링패드본체오목부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오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단부가 반경 방향 내향하는 스프링패드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본체돌기부는 스프링패드본체오목부로 삽입되고, 스프링패드돌기는 하부파트본체홈에 삽입되어 스프링패드가 하부파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결합수단은 하부파트연장부의 외경면에 형성된 하부파트결합부와,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의 내경면에 형성된 스프링패드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결합부에 스프링패드결합부가 결합되어 스프링패드가 하부파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부파트결합부는 하부파트연장부의 외경면에 형성된 수나사이고, 스프링패드결합부는 스프링패드연장부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이며; 스프링패드연장부와 하부파트연장부는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에서, 하부파트결합부는 하부파트연장부의 외경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홈이고, 스프링패드결합부는 스프링패드연장부의 내경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이며; 돌기가 홈에 삽입되어 스프링패드가 하부파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결합수단은 하부파트연장부의 외경면에 형성된 하부파트결합부와,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의 내경면에 형성된 스프링패드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파트결합부는 하부파트연장부의 외경면에 형성된 수나사이고, 스프링패드결합부는 스프링패드연장부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이며; 스프링패드연장부와 하부파트연장부는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베어링 어셈블리(100)는 하부파트부(30)의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후 하부파트(31)와 스프링패드(33)의 결합이 견고하여 분리가 방지되고, 상대 운동에 의한 손상이나 소음 발생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반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변형 예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를 이루는 하부파트부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를 이루는 하부파트부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반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변형 예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를 이루는 하부파트부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를 이루는 하부파트부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종래 기술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대한 반복 설명은 가능한 한 생략하며,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2의 가로 방향을 반경 방향으로, 세로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 C.L.은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중심선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1)는 차체에 장착되는 상부파트부(10)와, 상기 상부파트부(10)의 하부로 구비되는 하부파트부(30)와, 상기 상부파트부(10)와 하부파트부(30)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20)은 제1 궤도륜(23)과, 제2 궤도륜(25)과, 전동체(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궤도륜(23)은 환형으로 구비되며, 상면과 반경 방향 일측면이 상부파트부(10)에 접하여 지지된다.
상기 제2 궤도륜(25)은 환형으로 구비되며, 하면과 반경 방향 일측면이 하부파트부(30)에 접하여 지지된다. 상기 제2 궤도륜(25)의 내경은 상기 제1 궤도륜(2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전동체(21)는 상기 제1 궤도륜(23)과 제2 궤도륜(25)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전동체(21)는 상기 제1 궤도륜(23)과 제2 궤도륜(25)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부(10)는 차체에 장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부(10)는 상부파트(11)와 상부패드(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파트(11)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파트(11)는 환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11)는 상기 제1 궤도륜(23)의 내경면과 상면을 지지한다.
상기 상부파트(11)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상부파트내측제1연장부(11-2)와 상부파트내측제2연장부(11-4)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내측제1연장부(11-2)는 상기 상부파트(1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내측제1연장부(11-2)는 상기 제1 궤도륜(21)의 내경면을 지지한다.
상기 상부파트내측제2연장부(11-4)는 상기 상부파트내측제1연장부(11-2)의 하단부에서 반경 방향 내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내측제2연장부(11-4)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된 상부패드제2공(11-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패드제2공(11-3)은 상부파트내측제2연장부(11-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파트(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복수의 상부패드제1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패드제1공(11-1)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패드제1공(11-1)은 상기 상부파트내측제1연장부(11-2)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파트(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상부파트외측연장부(11-6)와, 상부파트연장1부(11-5)와, 상부파트연장2부(11-7)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외측연장부(11-6)와 상부파트연장1부(11-5) 및 상부파트연장2부(11-7)는 상기 상부패드제1공(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외측연장부(11-6)는 상기 상부파트(11)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서 축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외측연장부(11-6)의 반경 방향 내측면은 축 방향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파트연장1부(11-5)는 상기 상부파트외측연장부(11-6)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연장2부(11-7)는 상기 상부파트연장1부(11-5)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축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연장2부(11-7)의 하단은 하부파트부(30)의 하부파트외측연장부(31-12)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상부패드(13)는 상기 상부파트(11)를 인서트로 하여 사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패드(13)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패드(13)는 상기 상부패드제1공(11-1)과 상부패드제2공(11-3)에 의하여 상부파트(1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패드(13)는 상기 상부파트(11)의 축 방향 상부 및 반경 방향 내측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부패드(13)에는 내측씰부(13-5)와 외측씰립(13-1, 13-3)이 구비된다.
상기 내측씰부(13-5)는 상기 상부패드(13)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상부패드제2공(11-3)을 지나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측씰부(13-5)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내측씰부(13-5)는 외경면에 반경 방향 외향 돌출되어 하부파트오목부(31-3a)의 외경면에 접하는 내측씰립(13-5a)이 구비된다.
상기 외측씰립(13-1, 13-3)은 상기 상부패드(13)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부패드제1공(11-1)을 지나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측씰립(13-1, 13-3)은 분지되어 상기 하부파트본체(31-1)에 접촉하여 구비된다. 상기 외측씰립(13-1, 13-3))은 분지되어 각각 하부파트지지연장부(31-11)와 하부파트외측연장부(31-12)에 접촉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1)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씰립(13-5a)과 외측씰립(13-1, 13-3) 구비됨으로써 내측씨립(13-5a)과 외측씰립(13-1, 13-3) 사이에 위치한 베어링(20)은 외부와 차단된다.
상기 하부파트부(30)는 상기 상부파트부(10)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부(30)에는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부(30)는 하부파트(31)와 스프링패드(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파트(31)는 제2 궤도륜(25)의 하면과 반경 방향 일측면에 접하여 제2 궤도륜(25)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31)는 하부파트본체(31-1)와 하부파트연장부(3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파트본체(31-1)는 환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본체(31-1)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파트본체(31-1)는 상기 제2 궤도륜(25)의 외경면과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파트본체(3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하부파트지지연장부(31-11)와 하부파트외측연장부(31-12)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지지연장부(31-11)는 상기 하부파트본체(31-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지지연장부(31-11)의 반경 방향 내측면은 상기 제2 궤도륜(25)의 반경 방향 외면에 접하여 제2 궤도륜(25)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파트지지연장부(31-11)의 반경 방향 외면은 상기 상부패드(13)의 외측씰립(13-1)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외측연장부(31-12)는 상기 하부파트지지연장부(31-11)에서 분지되어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파트외측연장부(31-12)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외측연장부(31-12)의 상면은 상기 상부패드(13)의 외측씰립(13-3)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연장부(31-3)는 하부파트본체(31-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축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연장부(31-3)에는 하부파트오목부(31-3a)가 형성되고, 하부파트내측돌출부(31-3b)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오목부(31-3a)는 상기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상부로 하부파트본체(13-1)의 반경 방향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파트오목부(31-3a)는 오목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하부파트오목부(31-3a)에는 상기 상부패드(13)의 내측씰부(13-5)의 내측씰립(13-5a)이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내측돌출부(31-3b)는 상기 하부파트오목부(31-3b)의 상부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내측돌출부(31-3b)는 상향 돌출되고 반경 방향 내향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내측돌출부(31-3b)는 상기 내측씰부(13-5)의 내측씰립(13-5a)으로부터 축 방향 상부로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내측돌출부(31-3b)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내측씰부(13-5)의 반경 방향 외측면과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33)는 상기 하부파트(31)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3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패드(33)에는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33)는 스프링패드본체(33-1)와 스프링패드연장부(3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패드본체(33-1)는 환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본체(33-1)는 상기 하부파트본체(31-1)의 하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33-3)는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33-3)는 상기 스프링패드본체(33-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면은 상기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면은 하향할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면은 하향할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면과 하부파트연장부(31-3) 외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프링패드연장부(33-3)와 하부파트연장부(31-3) 사이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패드(33)에는 스프링패드지지부재(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패드지지부재(35)는 상기 스프링패드(33)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패드(3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패드지지부재(35)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패드지지부재(35)는 지지부재본체(35-1)와 지지부재연장부(3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본체(35-1)는 환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본체(35-1)는 상기 스프링패드본체(33-1)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연장부(35-3)는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연장부(35-3)는 상기 지지부재본체(35-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본체(35-1)는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33)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하부파트(31)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파트(31)와 스프링패드(33)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되어 하부파트(31)와 스프링패드(33)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파트본체(3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외향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파트본체홈(31-1a)과, 상기 하부파트본체홈(31-1a)의 하부로 구비되며 단부가 반경 방향 외향하는 하부파트본체돌기부(31-c)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33-1)의 상부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반경 방향 내향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스프링패드본체오목부(33-1a)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오목부(33-1a)의 상부에 구비되어 단부가 반경 방향 내향하는 스프링패드돌기(33-1b)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파트(31)와 스프링패드(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본체돌기부(31-1c)는 스프링패드본체오목부(33-1a)로 삽입되고, 스프링패드돌기(33-1b)는 하부파트본체홈(31-1a)에 삽입되어 스프링패드(33)가 하부파트(31)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패드(33)와 하부파트(31)가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파트(31)의 하부파트연장부(31-3)와 스프링패드(33)의 스프링패드연장부(33-3)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경면에 형성된 하부파트결합부(31-3a)와,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경면에 형성된 스프링패드결합부(33-3a)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파트결합부(31-3a)는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경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하부파트결합부(31-3a)는 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파트결합부(31-3a)는 반경 방향 외향 및 축 방향 하향하는 결합경사부(31-3a1)와 상기 결합경사부(31-3a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 연장되어 축 방향 상향하는 결합턱부(31-3a2)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턱부(31-3a2)는 반경 방향 내향 및 축 방향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33-3a)는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경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33-3a)는 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33-3a)는 반경 방향 내향 및 축 방향 상향하는 경사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 연장되어 축 방향 하향하는 턱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상기 턱부는 반경 방향 외향 및 축 방향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33-3a)의 경사부는 상기 하부파트결합부(31-3a)의 결합경사부(31-3a1)와 마주하며 접하여 구비되고, 스프링패드결합부(33-3a)의 턱부는 하부파트결합부(31-3a)의 결합턱부(31-3a2)와 마주하며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33)는 상기 하부파트(31)의 하부로부터 상향 이동하며(도 5에서 A방향) 상기 하부파트결합부(31-3a)에 스프링패드결합부(33-3a)가 결합되며 하부파트(31)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33-3a)의 턱부가 하부파트결합부(31-3a)의 결합턱부(31-3a2)에 걸리도록 구비됨으로써 하부파트(31)로부터 스프링패드(33)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 하부파트결합부(31-3a)는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경면에 형성된 수나사이고, 스프링패드결합부(33-3a)는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33-3)는 하부파트연장부(31-3)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파트연장부(31-3)와 스프링패드연장부(33-3)에 형성되는 결합수단과 하부파트본체(31-1)와 스프링패드본체(33-1)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수단이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10 : 상부파트부 11 : 상부파트
13 : 상부패드 20 : 베어링
21 : 전동체 23 : 제1 궤도륜
25 : 제2 궤도륜 30 : 하부파트부
31 : 하부파트 33 : 스프링패드

Claims (6)

  1. 차체에 장착되는 상부파트부(10)와, 상기 상부파트부(10)의 하부로 구비되어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는 하부파트부(30)와, 상기 상부파트부(10)와 하부파트부(30)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어링(20)은 상면와 반경 방향 일측면이 상부파트부(10)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1 궤도륜(23)과, 하면와 반경 방향 일측면이 하부파트부(30)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2 궤도륜(25)과, 상기 제1 궤도륜(23)과 제2 궤도륜(25)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전동체(21)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부(30)는 제2 궤도륜(25)의 하면과 반경 방향 일측면에 접하여 제2 궤도륜(25)을 지지하는 하부파트(31)와, 상기 하부파트(31)의 하부로 구비되며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스프링패드(33)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파트(31)는 환형의 하부파트본체(31-1)와, 상기 하부파트본체(31-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된 원통형의 하부파트연장부(3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패드(33)는 하부파트본체(31-1)의 하면에 접하여 구비되는 환형의 스프링패드본체(33-1)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33-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내면이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연장부(3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패드(33)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하부파트(31)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파트본체(3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외향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파트본체홈(31-1a)과, 상기 하부파트본체홈(31-1a)의 하부로 구비되며 단부가 반경 방향 외향하는 하부파트본체돌기부(31-c)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33-1)의 상부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에 반경 방향 내향 개구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스프링패드본체오목부(33-1a)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오목부(33-1a)의 상부에 구비되어 단부가 반경 방향 내향하는 스프링패드돌기(33-1b)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본체돌기부(31-1c)는 스프링패드본체오목부(33-1a)로 삽입되고, 스프링패드돌기(33-1b)는 하부파트본체홈(31-1a)에 삽입되어 스프링패드(33)가 하부파트(3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1).
  2. 삭제
  3. 차체에 장착되는 상부파트부(10)와, 상기 상부파트부(10)의 하부로 구비되어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는 하부파트부(30)와, 상기 상부파트부(10)와 하부파트부(30)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어링(20)은 상면와 반경 방향 일측면이 상부파트부(10)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1 궤도륜(23)과, 하면와 반경 방향 일측면이 하부파트부(30)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2 궤도륜(25)과, 상기 제1 궤도륜(23)과 제2 궤도륜(25)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전동체(21)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부(30)는 제2 궤도륜(25)의 하면과 반경 방향 일측면에 접하여 제2 궤도륜(25)을 지지하는 하부파트(31)와, 상기 하부파트(31)의 하부로 구비되며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스프링패드(33)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파트(31)는 환형의 하부파트본체(31-1)와, 상기 하부파트본체(31-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된 원통형의 하부파트연장부(3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패드(33)는 하부파트본체(31-1)의 하면에 접하여 구비되는 환형의 스프링패드본체(33-1)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33-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내면이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연장부(3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패드(33)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하부파트(31)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경면에 형성된 하부파트결합부(31-3a)와,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경면에 형성된 스프링패드결합부(33-3a)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결합부(31-3a)에 스프링패드결합부(33-3a)가 결합되어 스프링패드(33)가 하부파트(3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1).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파트결합부(31-3a)는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경면에 형성된 수나사이고, 스프링패드결합부(33-3a)는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이며; 스프링패드연장부(33-3)는 하부파트연장부(31-3)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1).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파트결합부(31-3a)는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경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홈이고, 스프링패드결합부(33-3a)는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경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이며; 돌기가 홈에 삽입되어 스프링패드(33)가 하부파트(3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1).
  6. 차체에 장착되는 상부파트부(10)와, 상기 상부파트부(10)의 하부로 구비되어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는 하부파트부(30)와, 상기 상부파트부(10)와 하부파트부(30)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어링(20)은 상면와 반경 방향 일측면이 상부파트부(10)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1 궤도륜(23)과, 하면와 반경 방향 일측면이 하부파트부(30)에 접하여 지지되는 제2 궤도륜(25)과, 상기 제1 궤도륜(23)과 제2 궤도륜(25)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전동체(21)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부(30)는 제2 궤도륜(25)의 하면과 반경 방향 일측면에 접하여 제2 궤도륜(25)을 지지하는 하부파트(31)와, 상기 하부파트(31)의 하부로 구비되며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스프링패드(33)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파트(31)는 환형의 하부파트본체(31-1)와, 상기 하부파트본체(31-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된 원통형의 하부파트연장부(3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패드(33)는 하부파트본체(31-1)의 하면에 접하여 구비되는 환형의 스프링패드본체(33-1)와, 상기 스프링패드본체(33-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내면이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연장부(3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패드(33)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하부파트(31)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경면에 형성된 하부파트결합부(31-3a)와,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경면에 형성된 스프링패드결합부(33-3a)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파트결합부(31-3a)는 하부파트연장부(31-3)의 외경면에 형성된 수나사이고, 스프링패드결합부(33-3a)는 스프링패드연장부(33-3)의 내경면에 형성된 암나사이며; 스프링패드연장부(33-3)가 하부파트연장부(31-3)는 나사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1).
KR1020180074153A 2018-06-27 2018-06-27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KR10255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53A KR102556713B1 (ko) 2018-06-27 2018-06-27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53A KR102556713B1 (ko) 2018-06-27 2018-06-27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30A KR20200001330A (ko) 2020-01-06
KR102556713B1 true KR102556713B1 (ko) 2023-07-18

Family

ID=6915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153A KR102556713B1 (ko) 2018-06-27 2018-06-27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7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972A (ja) 2004-03-01 2005-09-15 Kayaba Ind Co Ltd 懸架装置
US20100014792A1 (en) * 2008-07-17 2010-01-21 Schaeffler Kg Automotive strut ring bearing assembly with spring seat and integral dampen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452A (ko) 2013-04-03 2014-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스펜션 베어링 모듈
KR101632655B1 (ko) 2014-11-17 2016-06-23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20160089223A (ko) * 2015-01-19 2016-07-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KR102440003B1 (ko) * 2015-12-29 2022-09-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972A (ja) 2004-03-01 2005-09-15 Kayaba Ind Co Ltd 懸架装置
US20100014792A1 (en) * 2008-07-17 2010-01-21 Schaeffler Kg Automotive strut ring bearing assembly with spring seat and integral dampen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30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846B2 (en) Thrust bearing and suspension for vehicle
US9010741B2 (en) Suspension bump stop and strut device
US8496383B2 (en) Bump stop and associated MacPherson strut
JP4434768B2 (ja) サスペンションスラスト軸受装置
EP3002137B1 (en) Suspension bearing device,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uspension bea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RU2542839C1 (ru) Упорный подшипник скольжения и монта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подвески стоечного тип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порного подшипника скольжения
US11167613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uspension strut equiped with such a device
US10358009B2 (en) Suspension device
US10336147B2 (en) Spring guide and suspension device
US6814496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with retaining means
KR102621573B1 (ko) 서스펜션 스러스트 베어링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서스펜션 스트럿
US8876399B2 (en) Suspension strut bearing
US20160089947A1 (en) Suspension bearing device,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uspension bea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03343634A (ja) 緩衝器のダストカバー受け構造
CN103003600B (zh) 具有密封环的轴向推力轴承装置
JP4329363B2 (ja) スラスト滑り軸受を用いた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の取付構造及びそのスラスト滑り軸受
US10532622B2 (en) Suspension device
KR20140120452A (ko) 서스펜션 베어링 모듈
JP4325198B2 (ja)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及びこの滑り軸受を用いた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の取付構造
CN100423961C (zh) 车辆的悬架结构
KR102556713B1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KR102556714B1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KR102063533B1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US11833872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with dust boot retainer
JPH04493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