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618B1 -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 - Google Patents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618B1
KR102554618B1 KR1020180020374A KR20180020374A KR102554618B1 KR 102554618 B1 KR102554618 B1 KR 102554618B1 KR 1020180020374 A KR1020180020374 A KR 1020180020374A KR 20180020374 A KR20180020374 A KR 20180020374A KR 102554618 B1 KR102554618 B1 KR 102554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undercut
molding
sliding piec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488A (ko
Inventor
마사노리 소리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크라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크라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크라쯔
Publication of KR2018009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84Manipulating or transferring devices for evacuating cast pieces

Abstract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언더컷부(P1)가 있는 성형품(P)을 성형하는 성형용 금형(1)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성형품(P)의 탈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하게 한다.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성형품(P)의 탈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성형용 금형(1)에 장착된 홀더(20)와, 홀더(2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고 언더컷부(P1)를 성형하는 슬라이딩 피스(21)와, 슬라이딩 피스(2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성형용 금형(1)에 고정 또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유지 피스(22)를 포함하고 있다. 성형품(P)의 탈형 시에 홀더(20)를 성형품(P)의 탈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피스(21)가 이동한다.

Description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MOLDING DIE AND MOLDED PRODUCT}
본 발명은, 언더컷부를 가지는 성형품을 성형하는 성형용 금형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언더컷 처리 기구(機構),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언더컷부를 가지는 성형품을 성형하는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언더컷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많은 언더컷 처리 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언더컷 처리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루즈 코어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루즈 코어를 이용하는 언더컷 처리 기구에서는 성형이 곤란한 성형품, 예를 들면, 성형품 전체의 탈형(demolding)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중공부(中空部)를 가지는 보스가 돌출되어 있는 성형품을 성형하는 경우에, 언더컷부가 되는 보스를 용이하게 탈형 가능하게 하는 언더컷 처리 기구가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10-155381호 공보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10-155381호 공보에 기재된 언더컷 처리 기구는, 성형용 금형의 고정형 또는 가동형에 내측 설치되는 홀더와, 언더컷부를 성형하는 성형 코어를 포함하고, 성형 코어가 제1 코어와 제2 코어로 이루어지고, 제1 코어 및 제2 코어가 서로 인접하여 경사진 측면을 가지고, 측면을 따라 홀더 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언더컷부를 탈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0-155381호 공보에 기재된 언더컷 처리 기구에 의하면, 종래의 루즈 코어를 이용하는 언더컷 처리 기구에서는 성형이 곤란했던 형상의 성형품의 성형이 용이해지고 또한 지지 로드나 가이드 로드 등이 불필요해져, 종래의 루즈 코어를 이용하는 언더컷 처리 기구와 비교하여 컴팩트하게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본공개특허 제2010-155381호 공보에 기재된 언더컷 처리 기구와는 상이한 구성으로, 일본공개특허 제2010-155381호 공보에 기재된 언더컷 처리 기구와 같이 언더컷부를 가지는 성형품의 성형 용이화 및 컴팩트화를 실현 가능한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게 구성 가능하면서 언더컷부를 용이하게 탈형 가능한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는, 언더컷부가 있는 성형품을 성형하는 성형용 금형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언더컷 처리 기구로서, 상기 성형품의 탈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성형용 금형에 장착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언더컷부를 성형하는 슬라이딩 피스(sliding piece)와, 상기 슬라이딩 피스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성형용 금형에 고정 또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유지 피스(retaining piece)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품의 탈형 시에 상기 홀더를 상기 성형품의 탈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언더컷부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피스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피스 및 상기 유지 피스는, 상기 홀더의 이동 방향으로 나란히 서로 인접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성형품의 돌출 동작 시에 상기 성형품을 돌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및 상기 유지 피스는 각각, 상기 슬라이딩 피스의 이동 방향을 상기 언더컷부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홀더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피스가 상기 언더컷부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피스와 걸어맞추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지 피스의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유지 피스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피스가 상기 언더컷부를 탈형 가능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피스와 걸어맞추어지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피스는, 상기 언더컷부에 중공부 또는 공간부를 가지는 성형품을 성형 가능하도록 상기 언더컷부의 중공부 또는 공간부를 성형하는 성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피스는, 분할된 복수의 슬라이딩 피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슬라이딩 피스 중 적어도 2개는, 각각 상기 홀더의 이동 시에, 상기 홀더의 이동 방향과는 다른 방향, 또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는, 상기 성형용 금형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용 금형에 고정되어 상기 홀더를 슬라이딩시키는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슬라이딩면으로 되는 외주면 및/또는 상기 성형용 금형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성형용 금형은, 상기 언더컷 처리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상기 언더컷 처리 기구, 또는 상기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 의하면, 홀더가 성형품의 탈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피스가 홀더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고 언더컷부의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컴팩트하게 구성 가능하면서 언더컷부를 용이하게 탈형 가능하다.
청구 범위 및/또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개시된 적어도 2가지 구성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의 2개 이상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이용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클레임(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서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의 형체(型締) 시의 단면도다.
도 2는, 도 1의 성형용 금형의 형개(型開) 후의 단면도다.
도 3은, 도 1의 성형용 금형의 성형품의 돌출 동작 후의 단면도다.
도 4는, 도 1의 성형용 금형의 언더컷 처리 기구의 사시도다.
도 5는, 도 1의 성형용 금형의 언더컷 처리 기구의 분해 사시도다.
도 6a는,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6b는,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의 형체 시의 단면도다.
도 8은, 도 7의 성형용 금형의 형개 후의 단면도다.
도 9는, 도 7의 성형용 금형의 성형품의 돌출 동작 후의 단면도다.
도 10은, 도 7의 성형용 금형의 언더컷 처리 기구의 사시도다.
도 11은, 도 7의 성형용 금형의 언더컷 처리 기구의 분해 사시도다.
도 12a∼12d는, 동일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의 제1 예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바닥면도 및 사시도다.
도 13a∼13d는, 동일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의 제2 예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바닥면도 및 사시도다.
도 14a∼14d는, 동일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의 제3 예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바닥면도 및 사시도다.
도 15a∼15d는, 동일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의 제4 예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바닥면도 및 사시도다.
도 16a∼16d는, 동일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의 제5 예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바닥면도 및 사시도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의 형체 시의 단면도다.
도 18은, 도 17의 성형용 금형의 형개 후의 단면도다.
도 19는, 도 17의 성형용 금형의 성형품의 돌출 동작 후의 단면도다.
도 20은, 도 17의 성형용 금형의 언더컷 처리 기구의 부분 분해 사시도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의 형체 시의 단면도다.
도 22는, 도 21의 성형용 금형의 형개 후의 단면도다.
도 23은, 도 21의 성형용 금형의 성형품의 돌출 동작 후의 단면도다.
도 24는, 도 21의 성형용 금형의 언더컷 처리 기구의 부분 분해 사시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성형용 금형(1)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성형용 금형(1)의 형개 후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성형용 금형(1)의 성형품(P)의 돌출 동작 후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성형용 금형(1)의 언더컷 처리 기구(10)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성형용 금형(1)의 언더컷 처리 기구(10)의 분해 사시도다. 그리고, 도 4에서는, 홀더(20)만 단면(斷面)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성형용 금형(1)은, 성형 재료를 사출하고 성형품(P)(도 1 참조)의 외면 측을 성형하는 고정형(100)과, 성형품(P)의 언더컷부(P1)를 포함하는 내면 측을 성형하는 가동형(101)을 포함하는 공지의 사출 성형용 금형과 동일한 구성이지만, 언더컷 처리 기구(10)를 포함하는 점에서 공지의 사출 성형용 금형과는 상이하다. 그리고, 편의상, 도 1의 고정형(100) 측을 위, 가동형(101) 측을 아래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은, 공지의 사출 성형용 금형과 마찬가지로, 고정형(100)이 고정측 장착판(103), 고정측 형판(104), 로케이팅 링(105), 스프루 부시(sprue bush)(106)를 구비하고, 가동형(101)이 가동측 장착판(107), 가동측 형판(108), 스페이서 블록(109), 2장의 이젝터 받침판(110), 이젝터 핀(111), 리턴 핀(112), 스프링(113), 이젝터 로드(114)를 구비하고, 성형, 형개 종료 후, 이젝터 받침판(110)이 가동측 형판(108)에 대하여 성형품(P)의 탈형 방향(도 1의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젝터 핀(111)에 의해 성형품(P)의 돌출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의 구성 부품은, 공지의 사출 성형용 금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에는, 언더컷부(P1)의 탈형를 가능하게 하는 언더컷 처리 기구(10)가 가동형(101)에 포함되어 있고, 이젝터 핀(111)에 더하여, 후술하는 언더컷 처리 기구(10)의 홀더(20)의 돌출 동작을 행하는 홀더용 이젝터 핀(12)이 이젝터 받침판(110)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성형품(P)의 탈형(돌출) 시에 언더컷부(P1)를 성형용 금형(1)으로부터 탈형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언더컷부(P1)는, 성형품(P)의 내면 측으로부터 성형품(P)의 탈형 방향(도 1의 상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원통 보스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에 있어서 성형 및 탈형 가능한 언더컷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통 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성형품(P)의 재료로서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철이나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라도 된다.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성형품(P)의 탈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원통 형상의 홀더(20)와, 홀더(2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딩 피스(21)와, 슬라이딩 피스(2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피스(22)를 구비하고 있다.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성형품(P)의 탈형 시에 홀더(20)가 성형품(P)의 탈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피스(21)가 성형품(P)의 탈형 방향과는 다른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이란, 언더컷부(P1)를 변형 및 손상시키지 않고 슬라이딩 피스(21)가 언더컷부(P1)로부터 빠지는 슬라이딩 피스(21)의 이동 방향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 보스[언더컷부(P1)]의 중심축선(O)에 일치하는, 슬라이딩 피스(21)가 언더컷부(P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홀더(20)는, 홀더용 이젝터 핀(12)을 통하여 이젝터 받침판(110)에 연동하여 성형품(P)의 탈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바닥면이 홀더용 이젝터 핀(12)의 선단에 고정되고, 가동형(101)의 가동측 형판(108) 내에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20)는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면의 외형이 다각형인 통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홀더(20)는, 성형용 금형(1)의 형체 시에 상면이 가동측 형판(108)의 상면과 면일하게 되고, 성형 시에 성형품(P)의 내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홀더(20)는, 성형 시에는 성형품(P)을 성형하고, 성형품(P)의 탈형 시에는 성형품(P)의 돌출 동작을 행한다. 또한, 홀더(20)는, 성형품(P)의 성형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체 시에 홀더(20)의 상면과 가동측 형판(108)의 상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고 배치되어 있다.
원통 형상인 홀더(20)의 중공부(31)는, 슬라이딩 피스(21) 및 유지 피스(22)를 수납 가능하게 형성되고,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피스(21)의 슬라이딩 방향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인 경사진 경사홈(30)을 가지고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부(31)는, 평면에서 볼 때 튀어나온 형상이고, 또한 상단(上端)으로부터 하단(下端)에 걸쳐 단면적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경사홈(30)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피스(21)의 돌출부(33)에 걸어맞추어지고 슬라이딩 피스(21)의 슬라이딩 방향을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규제하기 위하여, 언더컷부(P1)의 중심축선(O)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피스(21)는, 홀더(20) 내를 경사홈(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부분이고, 경사홈(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피스(21)의 슬라이딩 방향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인 돌출부(33)와, 언더컷부(P1)를 성형하는 중공부(34)와, 언더컷부(P1)의 중공부를 성형하는 성형 부재인 핀(35)과, 유지 피스(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피스(21)의 슬라이딩 방향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인 도브테일 홈(dovetail groove)(36)을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피스(21)는, 형체 시에 홀더(20)의 중공부(31)에 정확하게 끼도록 평면에서 볼 때 튀어나온 형상이고, 또한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 단면적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피스(21)는 성형품(P)의 성형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체 시, 즉 슬라이딩 피스(21)가 홀더(20)의 상단에 있을 때에 슬라이딩 피스(21)의 상면과 홀더(20)의 상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3)는, 홀더(20)의 경사홈(30)에 걸어맞추어져 슬라이딩 피스(21)의 슬라이딩 방향을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규제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피스(21)의 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중공부(34)는 슬라이딩 피스(21)의 상면에 형성된 둥근 구멍이고, 핀(35)은 중공부(34) 내의 중앙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피스(21)에 고정되어 있다. 중공부(34) 및 핀(35)은, 언더컷부(P1)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형상 및 배치를 정하면 된다. 또한, 핀(35)은 중공부(3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브테일 홈(36)은, 후술하는 유지 피스(22)의 돌출부(38)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도록 슬라이딩 피스(21)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브테일 홈(36)[슬라이딩 피스(21)의 바닥면]은, 홀더(20)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피스(21)가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언더컷부(P1)의 중심축선(O)]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유지 피스(22)는, 슬라이딩 피스(21)가 홀더(20)에 연동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슬라이딩 피스(21)를 유지하는 부분이고, 바닥면이 가동측 형판(108)에 고정되어 있다. 유지 피스(22)는,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피스(21)의 슬라이딩 방향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인 돌출부(38)를 상면에 가지고, 돌출부(38)에 의해 슬라이딩 피스(21)의 도브테일 홈(36)과 걸어맞추어져 있다.
유지 피스(22)는, 홀더(20)의 이동 방향으로 나란히 슬라이딩 피스(21)에 인접하고, 형체 시에는 슬라이딩 피스(21)와 함께 홀더(20) 내에 수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피스(21) 및 유지 피스(22)는, 형체 시 및/또는 형개 시에 홀더(20)에 완전히 수납될 필요는 없고, 일부가 홀더(20)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유지 피스(22)는 가동측 형판(108)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돌출부(38)[유지 피스(22)의 상면]는, 도브테일 홈(36)[슬라이딩 피스(21)의 바닥면]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피스(21)가 홀더(20)에 연동하여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언더컷부(P1)를 탈형 가능한 방향[언더컷부(P1)의 중심축선(O)]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성형품(P)의 성형 시에는 성형용 금형(1)을 형체한 상태에서 고정형(100) 스프루 부시(106)로부터 성형 재료를 사출하고, 성형 재료를 경화시켜 성형품(P)을 성형한다(도 1 참조). 성형 시에는 언더컷 처리 기구(10)의 홀더(20)의 상면 및 슬라이딩 피스(21)의 상면이 가동측 형판(108)의 상면과 면일하게 되어 성형품(P)(성형 재료)에 접하여 성형을 행하고, 슬라이딩 피스(21)의 중공부(34) 및 핀(35)이 성형품(P)의 언더컷부(P1)를 성형한다.
성형품(P)의 성형 후, 성형용 금형(1)의 형개를 행한다. 성형용 금형(1)의 형개 시에는, 가동형(101) 전체가 도 1의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성형품(P)이 가동형(101) 측에 남는다(도 2 참조). 성형용 금형(1)의 형개 후, 성형품(P)의 돌출 동작을 행한다. 성형품(P)의 돌출 동작 시에는, 이젝터 받침판(110)이 도 1의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이젝터 받침판(110)의 이동에 따라서, 홀더(20)가 홀더용 이젝터 핀(12)에 의해 가동측 형판(108)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젝터 핀(111)과 함께 성형품(P)을 도 1의 상방향으로 돌출시킨다. 이와 동시에, 홀더(20)의 경사홈(30), 슬라이딩 피스(21)의 돌출부(33) 및 도브테일 홈(36), 유지 피스(22)의 돌출부(38)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피스(21)가 언더컷부(P1)에 대하여 중심축선(O)을 따라 도 1의 좌측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언더컷부(P1)로부터 빠진다.
이에 의해, 성형품(P)의 돌출 동작이 완료되면 슬라이딩 피스(21)가 언더컷부(P1)로부터 빠지고, 이젝터 핀(111) 및 홀더(20)에 의해 성형품(P)이 가동측 형판(108)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된다(도 3 참조). 성형품(P)의 취출 후, 다음의 성형품(P)을 성형하기 위해, 다시 성형용 금형(1)의 형체가 행해진다.
형체 시에는, 가동형(101) 전체가 도 1의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이젝터 받침판(110)이 도 1의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이젝터 받침판(110)의 이동에 따라서, 홀더(20)가 홀더용 이젝터 핀(12)에 의해 가동측 형판(108)으로 들어가고, 이와 동시에, 홀더(20)의 경사홈(30), 슬라이딩 피스(21)의 돌출부(33) 및 도브테일 홈(36), 유지 피스(22)의 돌출부(38)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 피스(21)가 홀더(20)의 경사홈(30)을 따라 이동하여, 홀더(20)의 상면 및 슬라이딩 피스(21)의 상면이 가동측 형판(108)의 상면과 면일하게 된다. 형체가 완료되면, 성형 재료가 사출되고 다음의 성형품(P)이 성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 언더컷 처리 기구(10)에 의하면, 슬라이딩 피스(21) 및 유지 피스(22)가 홀더(20) 내에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 홀더(20)가 성형품(P)의 탈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성형품(P)의 돌출 및 언더컷부(P1)의 탈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컴팩트하게 구성 가능하면서 언더컷부(P1)를 용이하게 탈형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슬라이딩 피스(21) 및 유지 피스(22)가 홀더(20)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인접하고 홀더(20) 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매우 작아진다. 그러므로, 언더컷 처리 기구(10)는, 본 실시형태 성형용 금형(1)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성형용 금형으로의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에서는, 성형품(P)의 돌출용으로 이젝터 핀(111)을 이용하고 있으나, 성형품(P)에서의 언더컷부(P1)의 형성 위치나 중량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홀더(20)만으로 성형품(P)의 돌출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성형용 금형(1)의 새로운 컴팩트화,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은, 언더컷부가 원통 보스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다. 본 발명의 성형용 금형의 언더컷 처리 기구는, 특히 제1 실시형태 및 도 6a, 도 6b에 나타낸 언더컷부(P1, P2, P3)와 같이, 핀(35) 등의 성형 부재에 의해 성형되는 중공부 또는 공간부를 가지고 종단면으로 볼 때 언더컷부가 돌출되어 있는 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가지는 언더컷부의 성형 및 탈형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성형품(P)의 탈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종래의 루즈 코어에서는, 이와 같은 탈형은 불가능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의 형체 시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성형용 금형(2)의 형개 후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성형용 금형(2)의 성형품(P10)의 돌출 동작 후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성형용 금형(2)의 언더컷 처리 기구(10)의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성형용 금형(2)의 언더컷 처리 기구(10)의 분해 사시도다.
도 1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은, 제1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과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지만, 성형하는 성형품(P10)의 형상에 따라, 언더컷 처리 기구(14)의 구성 및 형상이 상이하다.
성형품(P10)은, 탈형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원통 보스인 언더컷부(P11)를 가지고, 언더컷부(P11)의 근원에 2군데, 언더컷부(P11)와는 탈형 가능한 방향이 상이한, 또 다른 언더컷부인 단면 직사각형의 구멍(P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의 언더컷 처리 기구(14)는, 이와 같은 구멍(P12)을 가지는 언더컷부(P11)를 성형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피스가 분할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의 언더컷 처리 기구(14)는, 제1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의 언더컷 처리 기구(10)와 동일하게, 가동측 형판(108)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홀더(40)와, 가동측 형판(108)에 대하여 고정된 유지 피스(50)와, 홀더(4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분할식 슬라이딩 피스인, 제1 슬라이딩 피스(61), 제2 슬라이딩 피스(62) 및 제3 슬라이딩 피스(63)를 구비한다.
홀더(40)는, 슬라이딩 피스를 조립 가능하게 대칭인 단면이 ㄷ자형인 2개의 반할 부재에 의해 각통(角筒)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내면에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를 가이드하는 수평홈(41), 제3 슬라이딩 피스(63)를 가이드하는 경사홈(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40)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지만, 이젝터 받침판(110)의 이동 시에는, 2개의 부재가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홀더(40)는 3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수평홈(41)은, 언더컷부(P11) 및 구멍(P12)을 탈형 가능하게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가 이동하도록, 구멍(P12)의 천공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구멍(P12)의 천공 방향이 수평이 아닌 경우에는, 수평홈(41)은 수평이 아니라, 구멍(P12)의 천공 방향(탈형 가능한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경사홈(42)은, 이젝터 받침판(110)[홀더(40)]의 상승 시에 제3 슬라이딩 피스(63)의 핀(35)이 언더컷부(P11)의 중공부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제3 슬라이딩 피스(63)가 이동하도록, 언더컷부(P11)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홈(42)은, 제1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에 있어서의 홀더(20)의 경사홈(30)에 대응한다.
유지 피스(5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절결(切缺)이 형성된 블록 부재이고, 절결 부분의 단면(端面)에는, 제1 슬라이딩 피스(61), 제2 슬라이딩 피스(62) 및 제3 슬라이딩 피스(63)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 유지하는 제1 돌출부(51), 제2 돌출부(52) 및 제3 돌출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51), 제2 돌출부(52) 및 제3 돌출부(53)는, 수평 방향(도 7의 좌우 방향) 및 연직 방향(도 7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 돌출부(51) 및 제2 돌출부(52)의 경사 각도는, 이젝터 받침판(110)의 스트로크량에 따라서, 이젝터 받침판(110)[홀더(40)]의 상승 시에 언더컷부(P11)가 탈형 가능해지는 위치까지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가 이동하도록 정해진다. 제3 돌출부(53)의 경사 각도는, 이젝터 받침판(110)[홀더(40)]의 상승 시에 제3 슬라이딩 피스(63)의 핀(35)이 언더컷부(P11)의 중공부로부터 빠질 때까지 제3 슬라이딩 피스(63)가 이동하도록 정해져 있다. 그리고, 제3 돌출부(53)는, 제1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에 있어서의 유지 피스(22)의 돌출부(38)에 대응한다.
슬라이딩 피스는, 언더컷부(P11)의 외면을 성형하는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 및 언더컷부(P11)의 중공부를 성형하는 제3 슬라이딩 피스(63)로 이루어진다.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는 각각, 성형 시에 언더컷부(P11)에 접하는 성형면(64)에 있어서, 언더컷부(P11)의 구멍(P12)을 성형하기 위한 돌기(65)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의 언더컷 처리 기구(14)는, 이젝터 받침판(110)[홀더(40)]의 상승 시에 상기 돌기(65)가 구멍(P12)으로부터 빠지도록, 슬라이딩 피스가 분할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딩 피스(61)는, 유지 피스(50)의 제1 돌출부(51)와 걸어맞추어지는 도브테일 홈(66), 홀더(40)의 수평홈(41)에 끼워지는 돌출부(67)를 가지고 있다. 제2 슬라이딩 피스(62)는, 유지 피스(50)의 제2 돌출부(52)와 걸어맞추어지는 도브테일 홈(66), 홀더(40)의 수평홈(41)에 끼워지는 돌출부(67)를 갖는다.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는, 성형면(64)이 대향하도록, 각각 유지 피스(50)의 제1 돌출부(51), 제2 돌출부(52)와 걸어맞추어진다.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는 각각, 이젝터 받침판(110)의 이동 시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제1 돌출부(51) 또는 제2 돌출부(52)와, 홀더(40)의 수평홈(41)을 따라 홀더(40)에 연동하여 슬라이딩한다.
제3 슬라이딩 피스(63)는, 언더컷부(P11)의 중공부를 성형하기 위한 핀(35)과, 핀(35)을 협지하고 유지 피스(50)의 제3 돌출부(53)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68)로 이루어진다. 제3 슬라이딩 피스(63)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68)에 의해 핀(35)을 협지하고 또한 유지 피스(50)의 제3 돌출부(53)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도록, 슬라이딩 부재(68)에 도브테일 홈(6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68)는 홀더(40)의 경사홈(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의 작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성형품(P10)의 성형 시에는 언더컷 처리 기구(14)의 홀더(40)의 상면과,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의 상면이 가동측 형판(108)의 상면과 면일하게 되어 성형품(P10)(성형 재료)에 접하여 성형을 행하고,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의 성형면(64) 및 제3 슬라이딩 피스(63)의 핀(35)이 성형품(P10)의 언더컷부(P11)를 성형한다(도 7 참조). 성형품(P10)의 성형 후, 성형용 금형(1)의 형개가 행해진다(도 8 참조).
성형용 금형(2)의 형개 후, 성형품(P10)의 돌출 동작을 행한다. 언더컷 처리 기구(14)는 이젝터 받침판(110)의 이동에 따라서, 홀더(40)가 홀더용 이젝터 핀(12)에 의해 가동측 형판(108)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젝터 핀(111)과 함께 성형품(P)을 도 8의 상방향으로 돌출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 슬라이딩 피스(61)가 홀더(40)의 수평홈(41) 및 유지 피스(50)의 제1 돌출부(51)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제2 슬라이딩 피스(62)가 홀더(40)의 수평홈(41) 및 유지 피스(50)의 제2 돌출부(52)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제3 슬라이딩 피스(63)가 홀더(40)의 경사홈(42) 및 유지 피스(50)의 제3 돌출부(53)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성형품(P10)의 돌출 동작이 완료되면 제1 슬라이딩 피스(61), 제2 슬라이딩 피스(62) 및 제3 슬라이딩 피스(63)가 언더컷부(P11) 및 구멍(P12)으로부터 빠지고, 이젝터 핀(111) 및 홀더(40)에 의해 성형품(P10)이 취출 가능한 상태에서 가동측 형판(108)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된다(도 9 참조). 성형품(P10)의 취출 후, 다음의 성형품(P10)를 성형하기 위해, 다시 성형용 금형(2)의 형체가 행해진다.
형체 시에는, 이젝터 받침판(110)의 하강에 따라 홀더(40)가 홀더용 이젝터 핀(12)에 의해 가동측 형판(108)에 넣어진다. 이와 동시에, 홀더(40)의 수평홈(41) 및 경사홈(42), 유지 피스(50)의 제1 돌출부(51), 제2 돌출부(52) 및 제3 돌출부(53), 및 제1 슬라이딩 피스(61), 제2 슬라이딩 피스(62) 및 제3 슬라이딩 피스(63)의 도브테일 홈(66, 69) 및 돌출부(67)의 작용에 의해, 제1 슬라이딩 피스(61), 제2 슬라이딩 피스(62) 및 제3 슬라이딩 피스(63)가 넣어지고, 홀더(40)의 상면과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의 상면이 가동측 형판(108)의 상면과 면일하게 된다. 형체가 완료되면, 성형 재료가 사출되고 다음의 성형품(P10)이 성형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의 언더컷 처리 기구(14)와 같이 슬라이딩 피스를 분할식으로 하고, 또한 각각의 슬라이딩 피스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언더컷부(P11)의 구멍(P12)과 같이, 언더컷부에 있어서, 언더컷부와는 탈형 가능한 방향이 상이한, 또 다른 언더컷부를 가지는 성형품의 탈형도 홀더의 돌출 동작만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은,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언더컷부(P11)에 직선형으로 배열된 2개의 구멍(P12)을 가지는 형상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성형품(P10)의 언더컷부(P11)의 구멍(P12)이 제1 슬라이딩 피스(61) 측의 하나뿐인 경우에는, 제2 슬라이딩 피스(62)가 유지 피스(50)에 고정 또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이한 천공 방향의 구멍(P12)이 3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언더컷부(P11)의 중공부를 성형하는 핀(35)을 가지는 슬라이딩 피스[제3 슬라이딩 피스(63)]와는 별도로, 상이한 천공 방향의 구멍(P12) 각각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피스를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동일한 천공 방향의 복수의 구멍(P12)에 대해서는, 하나의 슬라이딩 피스로 복수의 구멍(P12)에 대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언더컷부(P11)가 중공부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핀(35)을 가지는 슬라이딩 피스[제3 슬라이딩 피스(63)]는, 유지 피스(50)에 고정 또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2a∼도 12d로부터 도 16a∼도 16d는 각각,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 가능한 성형품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도 13a, 도 14a, 도 15a, 도 16a가 정면도, 도 12b, 도 13b, 도 14b, 도 15b, 도 16b가 측면도, 도 12c, 도 13c, 도 14c, 도 15c, 도 16c가 바닥면도, 도 12d, 도 13d, 도 14d, 도 15d, 도 16d가 사시도다. 본 발명의 성형용 금형의 언더컷 처리 기구는, 도 12a∼도 12d, 도 14a∼도 14d로부터 도 16a∼도 16d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언더컷부(P21, P41, P51, P61)에 있어서, 또 다른 언더컷부(P22, P42, P52, P53, P62)를 가지는 성형품(P20, P40, P50, P60)도 홀더의 돌출 동작만으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a∼도 13d에 나타내는 언더컷부(P31)를 가지는 성형품(P30)은, 제1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의 언더컷 처리 기구(10)와 같은, 슬라이딩 피스가 하나인 언더컷 처리 기구에서도 성형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3)의 형체 시의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성형용 금형(3)의 형개 후의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성형용 금형(3)의 성형품(P10)의 돌출 동작 후의 단면도, 도 20은, 도 17의 성형용 금형(3)의 언더컷 처리 기구(16)의 부분 분해 사시도다.
도 7로부터 도 11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3)은, 제2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과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지만, 홀더(40)의 외측에 고정 홀더(70)를 포함한다.
고정 홀더(70)는 홀더(40)를 둘러싸도록 가동측 형판(108)에 고정된다. 고정 홀더(70)는, 홀더(40)와 마찬가지로 조립성을 고려하여 2개로 분할되어 있지만,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도 되고, 3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홀더(40)는, 외주면에서 고정 홀더(70)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고, 성형용 금형(3)의 가동측 형판(108)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지 않으므로, 슬라이딩에 의한 가동측 형판(108)의 마모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4)의 형체 시의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성형용 금형(4)의 형개 후의 단면도, 도 23은, 도 21의 성형용 금형(4)의 성형품(P10)의 돌출 동작 후의 단면도, 도 24는, 도 21의 성형용 금형(4)의 언더컷 처리 기구(18)의 부분 분해 사시도다.
도 7로부터 도 11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4)은, 제2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과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지만, 홀더(80)의 측면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에 따라서 성형용 금형(4)의 가동측 형판(108)의 홀더(80)가 장착되어 있는 부분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는, 형체 시에 홀더(80)가 가동측 형판(108)에 넣어질 때의 유도하는 기능을 행하고, 이로써, 홀더(80) 및 가동측 형판(108)의 마모나 손상이 저감된다.
이상, 제1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 2, 3, 4)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 2, 3, 4)의 특징은, 구성상 가능한 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유지 피스 및 슬라이딩 피스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복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볼트나 노크 핀 등을 통하여 결합되어도 되고, 볼트나 노크 핀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접합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것은 유지 피스 및 슬라이딩 피스에 한정되지 않고, 성형용 금형의 각 구성 요소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에 있어서, 홀더(20) 및 슬라이딩 피스(21)의 규제 수단은 도브테일 홈 및 돌출부여도 된다. 이 경우, 홀더(20)에 도브테일 홈, 슬라이딩 피스(21)에 돌출부가 형성되어도 되고, 홀더(20)에 돌출부, 슬라이딩 피스(21)에 도브테일 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피스(21) 및 유지 피스(22)의 규제 수단은, 슬라이딩 피스(21)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유지 피스(22)에 도브테일 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 3, 4)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1)에 있어서, 서로 걸어맞추어지는 경사홈(30)과 돌출부(33) 및 도브테일 홈(36)과 돌출부(38)는, 걸어맞춤부의 단면 형상이 도시한 직사각형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걸어맞춤부의 단면이 원형, 삼각형 등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홀더(20), 슬라이딩 피스(21) 및 유지 피스(22)의 규제 수단은 경사홈(30), 돌출부(33, 38), 도브테일 홈(36)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리니어 가이드를 이용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 3, 4)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복수의 언더컷 처리 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 의하면, 복수의 원통 보스와 같은 언더컷부를 가지는 성형품의 성형 및 탈형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언더컷부의 돌출 방향, 즉 탈형 가능한 방향이 상이한 경우에는, 각 언더컷 처리 기구에 있어서, 대응하는 언더컷부를 탈형 가능하게 홀더, 슬라이딩 피스, 유지 피스의 경사홈, 도브테일 홈, 돌출부 등의 규제 수단의 경사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의 성형용 금형(2, 3, 4)에 있어서, 제1 슬라이딩 피스(61) 및 제2 슬라이딩 피스(62)가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면의 전후(안쪽)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 부재의 각 및 옆모서리에 R면취나 C면취 등이 행해져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 사용되는 각각의 구성 부재의 재질은,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에 사용되는 부재의 재질과 동일한 것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된다. 다만, 각각의 구성 부재에서의 슬라이딩면은, 슬라이딩성이 양호한 재질 또는 슬라이딩성이 양호한 표면 처리가 행해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슬라이딩면은 면접촉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선접촉이나 점접촉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는 수평, 수직 또는 그 외의 방향으로 개폐되는 성형용 금형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언더컷 처리 기구 및 성형용 금형은, 사출 성형 금형 이외에 다이캐스트(diecast) 금형과 같은 몰드 금형, 몰드 프레스 성형 금형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를 보고,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할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청구의 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1, 2, 3, 4 : 성형용 금형
10, 14, 16, 18 : 언더컷 처리 기구
20, 40, 70, 80 : 홀더
21 : 슬라이딩 피스
22, 50 : 유지 피스
30, 42 : 경사홈
33, 38, 67 : 돌출부
35 : 핀
36, 66, 69 : 도브테일 홈
41 : 수평홈
51 : 제1 돌출부
52 : 제2 돌출부
53 : 제3 돌출부
61 : 제1 슬라이딩 피스
62 : 제2 슬라이딩 피스
63 : 제3 슬라이딩 피스
70 : 고정 홀더
P, P10, P20, P30, P40, P50, P60 : 성형품
P1, P2, P3, P11, P21 : 언더컷부
P31, P41, P51, P61 : 언더컷부

Claims (11)

  1. 언더컷부가 있는 성형품을 성형하는 성형용 금형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상기 성형품의 탈형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돌출하여 형성된 상기 언더컷부를 처리하는 언더컷 처리 기구로서,
    상기 성형품의 탈형(demolding)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성형용 금형에 장착된, 슬라이딩 피스(sliding piece) 및 유지 피스(retaining piece)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형의 홀더;
    상기 홀더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언더컷부를 성형하는 상기 슬라이딩 피스; 및
    상기 슬라이딩 피스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성형용 금형에 고정 또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유지 피스;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품의 탈형 시에 상기 홀더를 상기 성형품의 탈형 방향으로 상기 성형용 금형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돌출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언더컷부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피스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언더컷 처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피스 및 상기 유지 피스는, 상기 홀더의 이동 방향으로 나란히 서로 인접하고 있는, 언더컷 처리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성형품의 돌출 동작 시에 상기 성형품을 돌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언더컷 처리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및 상기 유지 피스는 각각, 상기 슬라이딩 피스의 이동 방향을 상기 언더컷부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는, 언더컷 처리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홀더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피스가 상기 언더컷부를 탈형 가능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피스와 걸어맞추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지 피스의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유지 피스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딩 피스가 상기 언더컷부를 탈형 가능한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딩 피스와 걸어맞추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언더컷 처리 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피스는, 상기 언더컷부에 중공부(中空部) 또는 공간부를 가지는 상기 성형품을 성형 가능하도록 상기 언더컷부의 중공부 또는 공간부를 성형하는 성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언더컷 처리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피스는, 분할된 복수의 슬라이딩 피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슬라이딩 피스 중 적어도 2개는 각각 상기 홀더의 이동 시에, 상기 홀더의 이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이고, 또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언더컷 처리 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 금형에 고정되어 상기 홀더를 슬라이딩시키는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성형용 금형의 마모를 방지하는, 언더컷 처리 기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면으로 되는 외주면 및/또는 상기 성형용 금형의 마모를 방지하고 있는, 언더컷 처리 기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언더컷 처리 기구를 포함하는 성형용 금형.
  11. 삭제
KR1020180020374A 2017-02-28 2018-02-21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 KR102554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6181 2017-02-28
JPJP-P-2017-036181 2017-02-28
JPJP-P-2017-232813 2017-12-04
JP2017232813A JP6999928B2 (ja) 2017-02-28 2017-12-04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488A KR20180099488A (ko) 2018-09-05
KR102554618B1 true KR102554618B1 (ko) 2023-07-11

Family

ID=6352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374A KR102554618B1 (ko) 2017-02-28 2018-02-21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99928B2 (ko)
KR (1) KR102554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9984A (zh) * 2019-12-27 2020-03-27 昆山嘉华汽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微倒扣扣位脱模结构及其成型注塑件的方法
CN112501534B (zh) * 2020-11-30 2022-12-20 西安泰力松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光伏异形焊带的镀锡模具
WO2023042281A1 (ja) * 2021-09-15 2023-03-23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ツ スライド機構、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FR3135410A1 (fr) * 2022-05-13 2023-11-17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Moule à dispositif d’éjection avec débattement et procédé associé
CN115042385B (zh) * 2022-06-10 2022-12-09 浙江金马泰科技有限公司 一种玩具轮胎套气顶结构注塑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6047A (ja) * 2005-12-28 2007-07-12 Technocrats Corp 樹脂成形用金型装置
JP2011068040A (ja) * 2009-09-25 2011-04-07 Technocrats Corp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443B2 (ja) * 1993-07-22 1999-08-30 富士通株式会社 モールド金型
JP2010155381A (ja) * 2008-12-26 2010-07-15 Technocrats Corp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6047A (ja) * 2005-12-28 2007-07-12 Technocrats Corp 樹脂成形用金型装置
JP2011068040A (ja) * 2009-09-25 2011-04-07 Technocrats Corp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sumiⓒ. MISUMI Plastic Mold Catalog. Tokyo: Misumiⓒ., [online], 2015.12.31., [2022년 6월 14일 검색], First Edition (제122면), 인터넷:<URL:https://mx.misumi-ec.com/en/us/CatalogRequest.html >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99928B2 (ja) 2022-01-19
KR20180099488A (ko) 2018-09-05
JP2018140623A (ja)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618B1 (ko)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
EP3366447B1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molding die, and molded product
US8926316B2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JP6892090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CN112536992B (zh) 底切处理机构、成型用模具及成型品
US11213984B2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and molding die assembly
KR101079434B1 (ko) 금형용 일체형 슬라이드
CN113021783A (zh) 倒装前模二次行位机构
CN107443686B (zh) 四面同时抽芯模具
JP6999959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CN211807585U (zh) 一种锁芯连接件模具
JP5462600B2 (ja) 射出成形金型
CN209832482U (zh) 一种模具
CN107775903B (zh) 一种双滑块斜顶脱模机构
JP2003053794A (ja) 射出成形金型のロック機構
KR100823340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2494506B1 (ko) 사출 금형용 금형 블록 구조체
JP2000102953A (ja) 射出成形用金型
CN214395266U (zh) 一种带倒扣注塑件注塑模具
CN211807595U (zh) 一种定模侧抽芯机构
KR20090073795A (ko) 금형조립체
JPH0811078Y2 (ja) 成形用金型
CN115674593A (zh) 一种内长通孔塑件的注塑模具
JP2520288Y2 (ja) 射出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