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550B1 - Hand-held type sample coll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Hand-held type sample coll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550B1
KR102554550B1 KR1020200116660A KR20200116660A KR102554550B1 KR 102554550 B1 KR102554550 B1 KR 102554550B1 KR 1020200116660 A KR1020200116660 A KR 1020200116660A KR 20200116660 A KR20200116660 A KR 20200116660A KR 102554550 B1 KR102554550 B1 KR 102554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ap
sensor
driving
sampl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6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4374A (en
Inventor
서준호
이동규
김창원
안보현
주수빈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1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550B1/en
Publication of KR2022003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5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는 피검자의 상기도로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스왑부, 및 상기 스왑부가 탈부착되는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스왑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를 관통한 상기 스왑부의 끝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힘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hand-held sample collection device includes a swap unit that is inserted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of a subject to collect a sample, and a detection unit to which the swap unit is detachable. The sensing unit includes an insertion part into which the swap part is inserted, a sensor part fixed to a rear end of the insertion part, and sensing a force applied from an end of the swap part penetrating the insertion part, and a force sensed from the sensor part.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nd provides information to the outside.

Figure R1020200116660
Figure R1020200116660

Description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HAND-HELD TYPE SAMPLE COLLECTING APPARATUS}Hand-held sampling device {HAND-HELD TYPE SAMPLE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검체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스왑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하며, 상기도로 스왑을 인입시켜 감염질환의 확인을 위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mple coll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held sample collection device that is carried by a user while a disposable swab is fixed and can collect a sample for confirming an infectious disease by inserting the swab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It is about.

최근 감염질환이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감염질환을 검사하기 위해 의심환자의 상기도를 통해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Recently, as infectious diseases are prevalent worldwide, a method of collecting a sample from the upper respiratory tract of a suspected patient to examine an infectious disease has been widely used.

이러한 검체의 채취시 일회용 스왑을 사용하여 의료진이 의심환자와 일대일로 마주한 상태에서 스왑을 의심환자의 상기도의 내부로 인입시켜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When such a specimen is collected, a method of collecting a specimen by using a disposable swab is used and the medical staff faces the suspected patient one-on-one while introducing the swab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of the suspected patient.

그러나, 검체 채취시 의료진과 의심환자 사이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방호복을 착용하거나 두꺼운 보호 장갑을 착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보호 장갑과 방호복으로 인해 의료진의 검체 채취시 스왑이 상기도에 정확하게 인입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in order to prevent infec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suspected patients during sample collection, it is necessary to wear protective clothing or thick protective gloves.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judge.

즉, 스왑을 통한 검체의 채취시, 스왑의 말단부가 상기도로 끝까지 인입되면, 상기 스왑을 통해 저항이 전달되며, 의료진은 이를 바탕으로 스왑이 타깃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두꺼운 보호장갑이나 방호복으로 인해, 이러한 정확한 위치의 판단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That is, when a sample is collected through the swab, when the distal end of the swab is pulled all the way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resistan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wab, and based on this, the medical staff determines whether the swab is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target part. Due to protective gloves or protective clothing,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such an accurate position.

또한, 의료진을 통해 검체를 채취하기 어려운 경우, 의심환자가 스스로 검체가 정확하게 채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검체 채취의 비전문가인 의심환자가 스스로 검체가 정확하게 채취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In addition, when it is difficult to collect a sample through medical staff, it is necessary for the suspected pati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ample was accurately collected on their own. Almost impossible.

나아가, 의료진 중에서도 숙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이러한 검체 채취의 종료 여부를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sample collection is terminated when the skill level is relatively low among medical staff.

이에 따라, 반복적인 스왑을 이용한 검체 채취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의심환자 스스로 또는 숙련되지 않은 의료진에 의해 수행되는 검체 채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왑이 정확하게 타깃부에 위치하였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minimize inconvenience caused by sample collection using repetitive swabs 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ample collection performed by suspected patients themselves or unskilled medical staff,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swab is accurately located in the target area.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devices for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문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이 미흡하며, 전반적인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휴대용 측정 시스템 정도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95356호 등과 같이 개발되고 있을 뿐이다.However, technology capable of directly solving this problem has not been developed so far, and only a portable measurement system for obtaining overall biometric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such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9535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5356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95356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왑이 타깃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였는가의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검체 채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복적인 검체 채취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자가 검진도 수행할 수 있는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cused on this poin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swab is accurately located in the target part,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sample collection, and repea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held sample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user discomfort due to sample collection and performing self-examina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는 피검자의 상기도로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스왑부, 및 상기 스왑부가 탈부착되는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스왑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를 관통한 상기 스왑부의 끝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힘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hand-held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swap unit that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of a subject to collect a sample, and a sensing unit to which the swap unit is detachable. The sensing unit includes an insertion part into which the swap part is inserted, a sensor part fixed to a rear end of the insertion part, and sensing a force applied from an end of the swap part penetrating the insertion part, and a force sensed from the sensor part.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nd provides information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거나, 상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외부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externally display the amount of force sensed by the sensor unit or provide an alarm to the outside when the sensed fo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operating unit located on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스왑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수납하는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1 수납공간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수납하는 제2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센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includes a drive unit for rotating the swap unit, a first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rive unit, and a second storage sp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sertion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ixture that do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고정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circular plate-shaped body portion fixed to a rea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fixing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삽입부의 외부, 및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부를 커버하는 외부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커버부에는, 상기 센서 고정부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외측으로 노출된 돌출부가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n outer cover part covering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part and the outside of the sensor fixing part, and in the outer cover part, when the sensor fixing part is slid and inserted to the outside. A guide groove through which the exposed protrusion is moved may be form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센서 고정부, 상기 삽입부, 상기 외부 커버부 및 상기 스왑부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shaft protruding from an end, and as the driving shaft rotates, the sensor fixing unit, the insertion unit, the outer cover unit, and the swap unit may rotate integrally.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상기 삽입부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감지유닛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감지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by hand, and an external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nsing unit by wire or wirelessly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왑부는, 채취부를 통해 상기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한 후, 상기 삽입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wap unit may be removed from the insertion unit after collecting a sample of the subject through the collec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왑부가 상기도의 타깃부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스왑부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센서부를 통해 측정하고 이러한 센싱 정보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스왑부가 타깃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스왑부의 반복 삽입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검체 채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wap unit is located in the target portion of the upper airway, the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swap unit can be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this sensing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wap unit to the target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swab unit is correctly positioned, thereby minimizing user's inconvenience caused by repeated insertion of the swap unit,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sample collection.

또한, 구동부를 통해 스왑부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을 통해 실제 수동으로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의 스왑부를 움직이는 동작을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어, 검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채취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wap unit can be rotated through the driving unit, and through this rotation, the motion of moving the swap unit in the actual manual sample collection process can be similarly simulated, so that more effective sample collection is possible.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부를 통해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by driving the driving unit through an operation unit protruding outward, the user can selectively drive the driving unit as needed, thereby improving usability and convenience.

한편,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며 상기 센서부를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측에서 삽입부와 센서 고정부를 커버하는 외부 커버부,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스왑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상기 스왑부로의 구동력 전달을 용이하게 수행하며, 상대적으로 구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하면서 검체 채취장치의 사용 시간 및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ensor fixing part covering the driving part and fixing the sensor part, an outer cover part covering the insertion part and the sensor fixing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sensor fixing part, the insertion part and the swap part, the rotation driving of the driving part Since it is designed to rotate integrally according to the shape,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er the driving force to the swap unit and relatively minimize driving loss, thereby increasing the usage time and number of times of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while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

또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스왑부가 삽입되며 센서부가 고정되는 삽입부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센서 고정부의 내부로 각각 위치하므로,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스왑부의 회전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검체 채취장치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검체 채취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ive unit and the swap unit are inserted and the insertion unit to which the sensor unit is fixed is located inside the sensor fixing uni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rotation of the swap unit.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ampling device can be improved, and durability of the sampling devi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감지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스왑부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결합된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held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ide view of the sensing unit of FIG. 1 , and FIG. 2B is a side view of an example of a swap unit of FIG. 1 .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ure 2a is enlarged, Figure 3b is a side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ure 2a is enlarged.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mbined configuration of Figures 3a and 3b separat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held sampl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10)는 감지유닛(100) 및 외부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스왑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handheld sample col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etection unit 100 and an external control unit 300, and may further include a swap unit 200.

이 경우, 상기 스왑부(200)는 피검자의 비강(20) 등을 통해 상기도로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것으로, 종래 사용되는 일회용 스왑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wap unit 200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through the nasal cavity 20 of the subject to collect a sample, and may be a conventionally used disposable swab.

즉,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10)에서는, 상기 스왑부(200)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종래 검체 채취현장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스왑이 상기 스왑부(200)로서, 상기 검체 채취장치(10)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That is, in the hand-held sample collection device 10 in this embodiment, the swap unit 200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and a disposable swap used in a conventional sample collection site is the swap unit 200, It can be inserted into and used in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10.

상기 감지유닛(100)은 상기 스왑부(200)가 상기 상기도로 인입되어 타깃부에 위치하는 경우 타깃부로부터 받는 저항으로 인한 힘을 센싱하여, 상기 스왑부(200)가 정확한 타깃부에 위치하는 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며, 나아가, 상기 스왑부(200)의 검체 채취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스왑부(200)의 회전 구동을 유도한다. The sensing unit 100 senses the force due to the resistance received from the target unit when the swap unit 200 is drawn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nd is located in the target unit, so that the swap unit 200 is accurately located in the target uni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it is valid is provided to the outside, and furthermore, rotational driving of the swap unit 200 is induced to improve the effect of sample collection by the swap unit 200 .

한편, 상기 외부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유닛(100)과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라인(310)을 통한 유선,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감지유닛(100)의 구동을 외부에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감지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되는 정보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100 by wire through a connection line 310 as shown or, although not shown, using a wireless network, and the sensing unit 100 Driving may be externally controlled, or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nsing unit 100 may be externally displayed.

이하에서는, 상기 감지유닛(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ection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a는 도 1의 감지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스왑부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2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결합된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 2A is a side view of the sensing unit of FIG. 1 , and FIG. 2B is a side view of an example of a swap unit of FIG. 1 .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ure 2a is enlarged, Figure 3b is a side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ure 2a is enlarged.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mbined configuration of Figures 3a and 3b separated.

도 2a,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유닛(100)은 손잡이부(110), 구동 커버부(120), 구동부(130), 제어부(140), 센서 고정부(150), 외부 커버부(160), 센서부(170) 및 삽입부(1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2A, 3A, 3B, and 4 , the sensing unit 100 includes a handle part 110, a driving cover part 120, a driving part 130, a controller 140, and a sensor fixing part 150. ), an outer cover part 160, a sensor part 170 and an insertion part 180.

상기 손잡이부(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검체 채취장치(10)는 피검자가 스스로 손으로 쥔 상태에서 스스로의 검체를 직접 채취할 수 있으며, 의료진이 손으로 쥔 상태에서 피검자를 대상으로 검체를 채취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 나아가 자가 검진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handle part 110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is a part that the user grips by hand.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directly collect a sample from the subject while holding it in his/her hand, and the medical staff can collect a sample from the subject while holding it in his/her hand, thereby improving usability. And convenience,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self-examination.

이에, 상기 손잡이부(110)는 피검자 스스로도 쥘 수 있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 끝단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11)에는 도 1에서 설명한 상기 외부 제어부(300)와 상기 감지유닛(100)을 연결하는 연결라인(310)이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andle portion 110 needs to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examinee himself can grasp it. Meanwhile, as shown in FIG. 2A, a connection part 1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part 110, and the connection part 111 includes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described in FIG. 1 and the sensing unit 100 A connection line 310 connecting the ) may be connected.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 끝단에는 상기 구동 커버부(120)가 연결되며, 상기 구동 커버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130)가 위치한다. The driving cover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andle part 110, and the driving part 130 is located inside the driving cover part 120.

상기 구동부(13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30)의 끝단에는 구동축(131)이 돌출되어 위치한다. The driving unit 130 may be a driving motor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driving shaft 131 protrudes from an end of the driving unit 130 .

즉, 상기 구동부(13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축(131)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축(131)의 회전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왑부(200)가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스왑부(200)의 회전은, 상기 스왑부(200)의 연장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That is, the drive unit 130 rotates the drive shaft 131 by generating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the swap unit 20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31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rotation of the swap unit 200 rotate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wap unit 200 around the rotational center axis.

상기 구동 커버부(120)는, 상기 구동부(130)를 커버하는데,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부(130)가 상기 구동 커버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고정된다.The driving cover part 120 covers the driving part 130 , and the driving part 130 is substantially received and fixed in a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driving cover part 120 .

이 경우, 상기 구동 커버부(120)는 상기 구동부(130)를 내부에 수납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구동축(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커버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In this case, the driving cover part 120 is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driving part 130 therein, and the driving shaft 131 protrudes outward from the driving cover part 120 as shown.

한편, 상기 구동 커버부(120)는 상기 손잡이(110)와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커버(121), 및 상기 외측커버(121)로부터 연장되며, 후술되는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내측커버(122)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cover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handle 110 and extends from the outer cover 121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outer cover 121, and the inner side of the sensor fixing part 150 to be described later. It includes an inner cover 122 positioned as.

이 경우, 상기 내측커버(122)는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후술하겠으나, 상기 센서 고정부(150)가 전체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내측커버(122)도 동시에 전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ner cover 122 is located inside the sensor fixing part 150,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ensor fixing part 150 rotates as a whole, the inner cover 122 can also rotate as a whole at the same time. there is.

즉, 상기 내측커버(122)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외측커버(121)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구동부(130)와 달리, 상기 구동축(13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That is, the driving unit 130 located inside the inner cover 122, unlike the driving unit 130 located inside the outer cover 121,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ing shaft 131. formed into a structure

이를 위해, 상기 내측커버(122)는 상기 외측커버(1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측커버(122)가 상기 외측커버(1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기 위해, 상기 내측커버(122)와 상기 외측커버(121)의 사이에는 상대적인 회전을 구동시키는 베어링 등의 기계요소(미도시)가 개재되거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윤활유가 개재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ner cover 122 ha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outer cover 121, and in order for the inner cover 122 to rotate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outer cover 121, the A mechanical element (not shown) such as a bearing driving relative rotatio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cover 122 and the outer cover 121, or lubricating oil may be interposed to minimize friction.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외측커버(121) 상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거나, 후술되는 상기 센서부(170)로부터 센싱되는 힘의 양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힘의 양을 숫자화하여 외부로 제공함으로써, 외부에서 센싱되는 힘의 양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is located on the outer cover 121 and provides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130, or the amount of force sensed by the sensor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exceeds a preset value. Recognition of the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nd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outside. That is, by digitizing the amount of force and providing it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grasp the amount of force sensed from the outside.

우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구동부(13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하며, 후술되는 작동부(141)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부(130)에 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부(131)를 동작시킨다. First,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hat provides power to the driving unit 130, and selectively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41 to be described later. The driving unit 131 is operated.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부(170)로부터 센싱되는 상기 스왑부(200)에 인가되는 힘에 대한 센싱 결과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for example, a result of sensing the force applied to the swap unit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170 to the outside, including a display.

이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연결라인(310)을 통해,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제어부(300)로 상기 센싱 결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제어부(300)에도 상기 센싱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may simultaneously provide the sensing result to the external controller 300 through the connection line 310 o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ccordingly, to the external controller 300 as well. The sensing result may be displayed.

특히, 상기 제어부(140)에는, 상기 센서부(170)로부터 센싱되는 센싱 결과에 대한 기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센싱 결과가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알리거나, 상기 외부 제어부(300)를 통해 외부로 알릴 수 있다. In particular, a preset value for a sensing result sensed by the sensor unit 170 may be stored in the control unit 140, and when the sensing resul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notified to the outside through a display. Alternatively, it may be notif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ternal control unit 300.

이 경우, 상기 외부 제어부(300)에 소리로 외부에 알림을 수행할 수 있는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결국, 사용자는 상기 외부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소리 알람을 통해 상기 센싱 결과가 기 설정값에 해당됨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xternal controll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speaker capable of notifying the outside by sound, and eventually, the user can set the sensing result through a sound alarm provided from the external controller 300. It can be intuitively confirmed that the value corresponds to

한편, 상기 스왑부(200)가 피검자의 상기도로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 상기도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스왑부(200)에 인가되는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저항력은 결국 상기 센서부(170)에서 힘으로 센싱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상기 스왑부(200)가 피검자의 상기도로 충분이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할 정도의 수준인 경우, 상기 센서부(170)에서 센싱된 힘이, 상기 기 설정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ap unit 200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of the subject to collect a sample, a resistive force applied to the swap unit 200 is generated as it contacts the upper respiratory tract. ) is sensed as a force at Therefore, normally, when the swap unit 200 is sufficient enough to enter the subject's upper respiratory tract and collect a sample, the force sensed by the sensor unit 170 may be stored as the preset value. .

그리하여, 상기 센싱된 힘이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라면, 충분히 검체 채취가 수행되는 상황이라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왑부(200)의 추가적인 인입은 불필요하게 된다.Thus, if the sensed for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it can be said that the sample collection is sufficiently performed, and thus additional retraction of the swap unit 200 is unnecessary.

결국, 사용자는 상기 소리나 디스플레이를 통한 알람을 통해, 상기 스왑부(200)가 상기도로 충분이 인입되어 검체 채취가 충분히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whether or not the swap unit 200 is sufficiently drawn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nd the sample collection is sufficiently performed through the sound or the alarm through the display.

나아가, 상기 제어부(140) 상에는 작동부(141)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작동부(141)를 푸쉬(push)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상기 구동부(130)의 제어의 용이성이 향상된다.Furthermore, an operating unit 141 is provided on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30 by pushing the operating unit 141. Ease of control of the drive unit 130 is improved.

상기 센서 고정부(150)는 일 측에는 상기 내측커버(122)와 상기 구동부(130)가 인입되는 제1 수납공간(151)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센서부(170) 및 상기 삽입부(180)가 인입되는 제2 수납공간(152)이 형성된다. The sensor fixing part 150 has a first storage space 151 into which the inner cover 122 and the driving part 130 are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sensor part 170 and the insertion part to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A second storage space 152 into which the 180 is drawn is formed.

이 경우, 상기 제1 수납공간(151)과 상기 제2 수납공간(152)은 서로 마주하도록 대향하여 배치되며, 소정 거리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납공간(151)에 위치하는 상기 구동부(130) 및 상기 내측커버(122)는 상기 제2 수납공간(152)에 위치하는 상기 압력센서(170) 및 상기 삽입부(180)와 서로 대향되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storage space 151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15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130 and the inner cover 122 locat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51 ar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170 and the insertion unit 180 locat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152. ) and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상기 제1 수납공간(151)으로부터, 제3 수납공간(153)이 연장되며 형성되고, 상기 제3 수납공간(153) 상에는 상기 구동축(131)이 삽입되어 위치한다. Meanwhile, a third storage space 153 extends from the first storage space 151 and is formed, and the driving shaft 131 is inserted and positioned on the third storage space 153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축(131)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축(131)은 상기 제3 수납공간(153)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구동축(1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센서 고정부(150)는 전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shaft 131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30, and since the driving shaft 13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accommodation space 153, the driving shaft ( 131 rotates, the sensor fixing part 150 rotates as a whole.

이 경우,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상기 제1 수납공간(151)에 수납되는 상기 구동부(130)의 일부 및 상기 내측커버(122) 역시, 상기 구동축(13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 고정부(15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In this case, a part of the driving unit 130 and the inner cover 122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51 of the sensor fixing unit 150 also rotate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131, , Accordingly, it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ensor fixing part 150.

한편, 상기 제2 수납공간(152)에 수납되는 상기 센서부(170) 및 상기 삽입부(180)도 상기 센서 고정부(15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Meanwhile, the sensor unit 170 and the insertion unit 180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152 also rotate integrally together with the sensor fixing unit 150 .

나아가, 후술되는 상기 외부 커버부(160)도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회전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Furthermore, the outer cover part 160 to be described later also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of the sensor fixing part 150.

이상과 같이,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상기 제1 수납공간(151)에 수납되는 상기 내측커버(122) 및 상기 구동부(130) 일부, 상기 제2 수납공간(152)에 수납되는 상기 센서부(170) 및 상기 삽입부(180), 상기 제3 수납공간(153)에 수납되는 상기 구동축(131), 및 후술되는 상기 삽입부(180) 및 상기 센서 고정부(150)를 커버하는 상기 외부 커버부(160)는, 상기 구동축(131)의 회전에 따라 전체적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cover 122 and part of the driving part 130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51 of the sensor fixing part 150, and the sensor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152 part 170 and the insertion part 180, the drive shaft 131 accommodated in the third storage space 153, and the insertion part 180 and the sensor fixing part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outer cover part 160 rotates at the same time as a w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31 .

또한, 이러한 전체적인 회전에 따라, 상기 삽입부(180)에 삽입되는 상기 스왑부(200)도 회전하게 된다. Also, according to this overall rotation, the swap part 2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80 also rotates.

상기 삽입부(180)는 상기 스왑부(200)의 고정부(230)가 내부로 인입되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230)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전단(184)을 포함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삽입부(181), 상기 외부 삽입부(181)로부터 연장되며, 후술되는 상기 외부 커버부(160)에 의해 커버되는 내부 삽입부(182), 및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상기 제2 수납공간(152)으로 수납되는 내측 고정부(183)를 포함한다. The insertion part 18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230 of the swap part 200, and includes a front end 184 in which a hole is formed to insert the fixing part 230 into the outside. The exposed external insertion portion 181, the internal insertion portion 182 extending from the external insertion portion 181 and covered by the external cover portion 160 described later, and the sensor fixing portion 150 It includes an inner fixing part 183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152 .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삽입부(180) 내부를 모두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230)의 끝단은 상기 내측 고정부(183)까지 연장되어, 상기 센서부(170)에 접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part 230 is located through all of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art 180, and accordingly, the end of the fixing part 230 extends to the inner fixing part 183, ,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170.

즉, 상기 내측 고정부(183)의 후단(185) 상에는 상기 센서부(170)가 고정된다. That is, the sensor unit 170 is fixed on the rear end 185 of the inner fixing unit 183 .

상기 센서부(17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측 고정부(183)의 후단(185) 상에 부착되며, 나아가 상기 제2 수납공간(152)에 수납되는 바디부(172), 및 상기 바디부(17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돌출부(171)를 포함한다. The sensor unit 170 has a circular plate shape and is attached to the rear end 185 of the inner fixing unit 183, further comprising a body unit 172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152, and the A protruding portion 171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72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fixing portion 150 .

한편,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상기 제2 수납공간(152)은, 상기 돌출부(171)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2 수납공간(152)에 수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52 of the sensor fixing part 150 may be designed so that the protruding part 171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52 .

또한, 상기 센서부(170)의 바디부(172)는, 상기 고정부(230)의 끝단과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230)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센싱하는 힘 센서일 수 있으며, 이렇게 센싱되는 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로 제공되어 센싱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스왑부(200)의 정확한 진입 여부가 판단된다. In addition, the body part 172 of the sensor part 1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ixing part 230 and may be a force sensor that senses the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fixing part 230. The sensed force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40 as described above, and based on the sensing result, whether or not the swap unit 200 accurately enters is determined.

또한,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삽입부(18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삽입부(180) 상에 고정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삽입부(180)를 상기 고정부(23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가 상기 삽입부(18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art 230 is fixed on the inserting part 180 so as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inserting part 180. Although not shown, the inserting part 180 is placed on the fixing part 230. A separate fixing member for fixing may be provided on the insertion part 180 .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230)가 상기 삽입부(180)의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삽입부(1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230)도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way, since the fixing part 2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art 180, the fixing part 230 can rotate integral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sertion part 180.

상기 외부 커버부(160)는 상기 내측 고정부(183), 및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외부를 커버하며,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한다. The outer cover part 160 covers the outside of the inner fixing part 183 and the sensor fixing part 150, and as described above,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of the sensor fixing part 150.

특히, 상기 외부 커버부(160)는 상기 내측 고정부(183)와 상기 센서 고정부(150)를 동시에 커버함으로써,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제2 수납공간(152)에 위치하는 상기 삽입부(180) 및 상기 센서부(17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outer cover part 160 covers the inner fixing part 183 and the sensor fixing part 150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insert loc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52 of the sensor fixing part 150 The unit 180 and the sensor unit 170 are more stably fixed.

한편, 상기 감지유닛(100)의 조립과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구동 커버부(120)의 내측으로 상기 구동부(130) 및 상기 구동축(131)을 위치시켜 결합시킨다.Meanwhile, in relation to the assembly of the sensing unit 100, referring to FIGS. 3A and 3B, first, the driving part 130 and the driving shaft 131 are positioned inside the driving cover part 120. combine it with

이 후,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제1 수납공간(151)으로 상기 구동 커버부(120)의 내측커버(122)를 위치시키며, 상기 제3 수납공간(153)으로는 상기 구동축(131)을 위치시킨다. Thereafter, the inner cover 122 of the driving cover part 120 is plac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151 of the sensor fixing part 150, and the drive shaft 131 is placed in the third storage space 153. ) is placed.

이 후,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제2 수납공간(152)으로 상기 센서부(170)와 상기 삽입부(180)의 내측 고정부(183)를 위치시킨다. After that, the sensor part 170 and the inner fixing part 183 of the insertion part 180 are position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52 of the sensor fixing part 150 .

이 후, 상기 외부 커버부(160)를, 상기 삽입부(180)의 전단(184)으로부터 상기 센서 고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시키며, 이러한 상기 외부 커버부(160)의 삽입에 따라, 상기 외부 커버부(160)의 내부공간(162) 상에 상기 내부 삽입부(182) 및 상기 센서 고정부(150)가 위치하게 된다. After that, the outer cover part 160 is inserted from the front end 184 of the insertion part 180 toward the sensor fixing part 150, and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outer cover part 160 , The inner insertion part 182 and the sensor fixing part 150 are positioned on the inner space 162 of the outer cover part 160 .

한편, 상기 센서부(170)는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71)를 포함하는데, 상기 돌출부(171)는 상기 외부 커버부(160)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커버부(160)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171)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외부 커버부(160)의 상측에는 가이드홈(161)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71)는 상기 가이드홈(161)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외부 커버부(160)와 결합 및 고정된다. Meanwhile, the sensor unit 170 includes a protruding part 171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protruding part 171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cover part 160 and is positioned. 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interference by the protrusion 171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outer cover 160, a guide groove 16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over 160, and accordingly the protrusion ( 171) moves relatively along the guide groove 161 and is coupled and fixed with the outer cover part 160.

나아가, 이상과 같이, 상기 외부 커버부(160)가 상기 삽입부(180) 및 상기 센서 고정부(150)의 외부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하고, 이러한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버튼부(132)가 형성된다. 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cover part 16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part 180 and the sensor fixing part 150 in an accurate position, and in order to fix this coupled state, the button part 132 is formed

즉, 상기 버튼부(132)는 상기 구동부(130) 중 상기 내측커버(122)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동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내측커버(122)에 형성되는 홈부(125), 상기 센서 고정부(150)에 형성되는 홈부(155) 및 상기 외부 커버부(160)에 형성되는 홈부(165)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That is, the button part 132 protrudes outward from the driving part inserted into the inner cover 122 among the driving parts 130, and the groove part 125 formed in the inner cover 122, the sensor go It may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groove part 155 formed in the top part 150 and the groove part 165 formed in the outer cover part 160 .

이와 같이, 상기 버튼부(132)가 상기 홈부들(125, 155, 16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내측커버(122), 상기 센서 고정부(150) 및 상기 외부 커버부(160)가 정확한 위치에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홈부들(125, 155, 165)이 일렬로 형성되어야 한다. In this way, in order for the button part 132 to pass through the grooves 125, 155 and 165 and protrude to the outside, the inner cover 122, the sensor fixing part 150 and the outer cover part 160 )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correct position, the grooves 125, 155, and 165 should be formed in a line.

또한, 상기 결합이 정확한 위치에 수행되어 상기 홈부들(125, 155, 165)을 관통하여 상기 버튼부(132)가 돌출되면, 상기 버튼부(132)는 상기 내측커버(122), 상기 센서 고정부(150) 및 상기 외부 커버부(160)를 상호간에 서로 고정시키게 되며, 결국,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내측커버(122), 상기 센서 고정부(150) 및 상기 외부 커버부(160)가 일체로 회전 구동되는 것을 강제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is performed at an accurate position and the button portion 132 protrudes through the grooves 125, 155, and 165, the button portion 132 is connected to the inner cover 122 and the sensor goggles. The top part 150 and the outer cover part 160 are fixed to each other, and eventually,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part 130, the inner cover 122, the sensor fixing part 150 and the outer cover The unit 160 is forced to be integrally driven to rotate.

한편, 상기 버튼부(132)는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상기 홈부들(125, 155, 165)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결합된 감지유닛(100)의 해제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the button part 132 can be removed from the groove parts 125 , 155 , and 165 by being pressed by the user, and through this, the coupled sensing unit 100 can be released and separated.

이상과 같이, 상기 구동부(13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내측커버(122), 상기 센서 고정부(150) 및 상기 외부 커버부(160)는 물론, 상기 삽입부(180) 및 상기 삽입부(180)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스왑부(200)도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상기 스왑부(200)의 회전 동작은 상기 채취부(210)의 회전 구동을 유도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drive unit 130, the inner cover 122, the sensor fixing unit 150 and the outer cover unit 160 as well as the insertion unit 180 and the insertion unit The swap part 200 inserted and fixed into the 180 also rotates integrally,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wap part 200 induces rotational driving of the collecting part 210.

결국, 상기 채취부(210)의 회전 구동을 통해, 수동으로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스왑부(200)를 회전시키는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모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도 내에서 검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Eventually, when a sample is manually collected through rotational driving of the collection unit 210, an operation similar to that of a user rotating the swap unit 200 by hand can be simulated. A more effective collection of is possible.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스왑부(200)는 채취부(210), 연장부(220) 및 고정부(230)를 포함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B , the swap part 200 includes a collecting part 210 , an extension part 220 and a fixing part 230 .

상기 채취부(210)는 피검자의 비강 등을 상기도로 인입되며, 피검자의 검체를 효과적으로 채취하기 위한 소재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The sample part 210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of the subject's nasal cavity, and a material for effectively collecting the subject's sample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채취부(210)의 후단을 따라 소정 길이 유연성 소재로 연장되며, 상기 채취부(210)의 검체 채취시 발생되는 힘이 전달되게 된다. The extension part 220 extends along the rear end of the collection part 210 with a flexible material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orce generated when the sample is collected by the collection part 210 is transmitted.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연장부(220)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8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230)의 끝단이 상기 삽입부(180)의 내측을 관통하여 상기 센서부(170)에 접촉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230)의 끝단이 상기 센서부(170)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채취부(210)가 타깃부에 위치하여 저항으로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채취부(210)를 통해 상기 고정부(230)로 제공되는 힘이 상기 센서부(170)에 의해 센싱된다.The fixing part 23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22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80 . In this case, the end of the fixing part 230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art 180 and contacts the sensor part 170 as described above, and as such, the end of the fixing part 230 As the sensor unit 170 is in contact with the target unit, the extraction unit 210 is located in the target unit and cannot enter any more due to resistance, so that the force provided to the fixing unit 230 through the extraction unit 210 is reduced. It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170.

한편, 상기 스왑부(200)는 일회용으로 교체 사용되는 것으로, 피검자에 대한 검체 채취가 완료되면, 상기 고정부(230)는 상기 삽입부(180)로부터 탈착되어 별도로 이송 또는 운반되어, 상기 검체에 대한 검사 절차가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wap unit 200 is disposable and is used interchangeably. When the sample collection for the subject is completed, the fixing unit 230 is detached from the insertion unit 180 and transferred or transported separately to the specimen. inspection procedures are perform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왑부가 상기도의 타깃부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스왑부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센서부를 통해 측정하고 이러한 센싱 정보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스왑부가 타깃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스왑부의 반복 삽입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검체 채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the swap unit is located in the target portion of the upper airway, the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swap unit can be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this sensing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wap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target unit is accurately positioned, thereby minimizing user's inconvenience due to repeated insertion of the swap unit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sample collection.

또한, 구동부를 통해 스왑부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을 통해 실제 수동으로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의 스왑부를 움직이는 동작을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어, 검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채취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wap unit can be rotated through the driving unit, and through this rotation, the motion of moving the swap unit in the actual manual sample collection process can be similarly simulated, so that more effective sample collection is possible.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부를 통해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by driving the driving unit through an operation unit protruding outward, the user can selectively drive the driving unit as needed, thereby improving usability and convenience.

한편,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며 상기 센서부를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측에서 삽입부와 센서 고정부를 커버하는 외부 커버부,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스왑부가,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상기 스왑부로의 구동력 전달을 용이하게 수행하며, 상대적으로 구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하면서 검체 채취장치의 사용 시간 및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ensor fixing part covering the driving part and fixing the sensor part, an outer cover part covering the insertion part and the sensor fixing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sensor fixing part, the insertion part and the swap part, the rotation driving of the driving part Since it is designed to rotate integrally according to the shape,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er the driving force to the swap unit and relatively minimize driving loss, thereby increasing the usage time and number of times of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while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

또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스왑부가 삽입되며 센서부가 고정되는 삽입부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센서 고정부의 내부로 각각 위치하므로,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스왑부의 회전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검체 채취장치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검체 채취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ive unit and the swap unit are inserted and the insertion unit to which the sensor unit is fixed is located inside the sensor fixing uni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rotation of the swap unit.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ampling device can be improved, and durability of the sampling device can be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 핸드 헬드형 검체 채취장치
100 : 감지유닛 110 : 손잡이부
120 : 구동 커버부 130 : 구동부
140 : 제어부 150 : 센서 고정부
160 : 외부 커버부 170 : 센서부
180 : 삽입부 200 : 스왑부
300 : 외부 제어부
10: hand-held sample collection device
100: detection unit 110: handle part
120: driving cover part 130: driving part
140: control unit 150: sensor fixing unit
160: outer cover part 170: sensor part
180: insertion part 200: swap part
300: external control unit

Claims (10)

피검자의 상기도로 인입되어 검체를 채취하는 스왑부가 탈부착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스왑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스왑부를 회전시키며, 끝단으로 구동축이 돌출되는 구동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를 관통한 상기 스왑부의 끝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힘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외부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를 수납하는 제1 수납공간, 상기 제1 수납공간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수납하는 제2 수납공간, 및 상기 제1 수납공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제3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센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센서 고정부,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스왑부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It includes a sensing unit that is detachable to a swap unit that is drawn in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of the subject and collects a sample,
The sensing unit,
an insertion part into which the swap part is inserted;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swap unit and has a drive shaft protruding from an end thereof;
a sensor unit fixed to a rear end of the insertion unit and sensing a force applied from an end of the swap unit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unit;
a controll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force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and provides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A first storage space accommodating the drive unit, a second storage sp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orage space and accommodating the insertion unit, and a third storage space extending from the first storage space and into which the drive shaft is inserted. Including a sensor fixing part to do,
As the drive shaft rotates,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fixing part, the insertion part, and the swap part rotate integr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거나, 상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외부로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force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displayed externally or an alarm is provided to the outside when the sensed force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상에 위치하여,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sample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n operating unit located on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고정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a circular plate-shaped body portion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fix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삽입부의 외부, 및 상기 센서 고정부의 외부를 커버하는 외부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커버부에는, 상기 센서 고정부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외측으로 노출된 돌출부가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n outer cove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part and the outside of the sensor fixing part,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over portion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moves when the sensor fixing portion is slid and inser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힘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왑부를 회전시켜, 상기 스왑부를 통해 검체를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orce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sample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swap unit to collect a sample through the swap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왑부는,
채취부를 통해 상기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한 후, 상기 삽입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wap unit,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collecting the sample of the subject through the collection unit, it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도록 상기 삽입부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감지유닛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감지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검체 채취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handle part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part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by hand; and
The sample coll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control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nsing unit by wire or wirelessly and controls an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KR1020200116660A 2020-09-11 2020-09-11 Hand-held type sample collecting apparatus KR102554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60A KR102554550B1 (en) 2020-09-11 2020-09-11 Hand-held type sample coll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60A KR102554550B1 (en) 2020-09-11 2020-09-11 Hand-held type sample coll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74A KR20220034374A (en) 2022-03-18
KR102554550B1 true KR102554550B1 (en) 2023-07-13

Family

ID=8093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660A KR102554550B1 (en) 2020-09-11 2020-09-11 Hand-held type sample coll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55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3564A (en) 2011-02-10 2014-06-05 アクチュエイテッド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dical tools with electromechanical control and feedback
CN208114606U (en) * 2017-05-31 2018-11-20 广州加略医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 uterine neck mouth arrangement for cell sampling
KR101928840B1 (en) 2011-01-24 2018-12-14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Treatment di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409B1 (en) * 2008-06-26 2011-03-02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of three dimensional diagnosing property of matter
KR102095356B1 (en) 2018-01-22 2020-03-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measuring bio signal usingmulti channel piezoelectric sensor of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840B1 (en) 2011-01-24 2018-12-14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Treatment divice
JP2014513564A (en) 2011-02-10 2014-06-05 アクチュエイテッド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dical tools with electromechanical control and feedback
CN208114606U (en) * 2017-05-31 2018-11-20 广州加略医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 uterine neck mouth arrangement for cell sam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74A (en)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6621B1 (en) Endoscope system
US81237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ncet launching device integrated onto a blood-sampling cartridge
EP1349497B2 (en) In-situ adapter for an analyte testing device
JP5351419B2 (en) Blood test apparatus and blood test method
US8372015B2 (en) Body fluid sampling device with pivotable catalyst member
JP3569228B2 (en) Analytical measuring instrument with incision instrument
JP5070211B2 (en) Body fluid collection promotion means
US8647575B2 (en) Device for measuring blood component
US20050004494A1 (en) Lancet device having capillary action
US20050159768A1 (en) Lancing device
EP1872709A1 (en) Endoscope system, treatment instrument cartridge, and storage case
GB2331935A (en) Cartridge for sampling blood
WO2006046570A1 (en) Lancet and lancet device with the same
JP5097716B2 (en) Lancet sensor assembly and meter
KR0177489B1 (en) Clinical appliance and handle
KR102554550B1 (en) Hand-held type sample collecting apparatus
JP2009518062A (en) Reusable puncture aid and method of performing puncture exercise with a reusable puncture aid
JP5320111B2 (en) Blood component measuring device
CN108698239A (en) Effector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WO2004112613A1 (en) Body fluid sampling implement and body fluid samping method
GB2375053A (en) A cartridge for sampling blood
KR200362102Y1 (en) Digital acupuncture pointer
JP4454302B2 (en) Puncture needle cartridge
TWM603338U (en) A hand-held device for determining exhaled breath content
JP2005237497A (en) Component measuring instrument with blood dotted sampling assist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