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579B1 -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579B1
KR102553579B1 KR1020220182093A KR20220182093A KR102553579B1 KR 102553579 B1 KR102553579 B1 KR 102553579B1 KR 1020220182093 A KR1020220182093 A KR 1020220182093A KR 20220182093 A KR20220182093 A KR 20220182093A KR 102553579 B1 KR102553579 B1 KR 10255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ation cup
precipitation
cup
amoun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기석
Original Assignee
(주)지비엠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비엠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지비엠 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18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01F3/24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3/28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n carriers rotated by the weight of the liquid in the measuring cha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에서 실행되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방법은 비가 오는 상태에서 서로 다른 용량의 강수량을 측정하는 기준 관측컵 및 서브 관측컵 중 어느 하나의 관측컵이 움직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및 상기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DOUBLE CONDUCTION TYPE RAINFALL MEASURING INSTRUM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측정 용량을 가지는 관측컵을 이용하여 강수계로 통합하여 운용함으로써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고 정확한 강수량 측정이 가능한 분리 운영에 따른 운영상 설치 시 비용 및 운영상의 예산 절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0.1mm로 세분된 강수량계, 0.5mm로 세분된 강수량계를 따로 구분하여 설치시 비용 및 운영상의 문제로 두 대의 강수량계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1mm로 세분된 강수량계는 많은 강수가 왔을 때, 관측오차가 발생하고, 0.5mm로 세분된 강수량계는 0.5mm 이하의 강수가 왔을 때, 관측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이 선등록된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는 제 1 관측컵에서 0.4mm 이내까지 관측하여 제 2 관측컵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각각 0.5mm이내와 0.5mm이상의 강수량을 별도로 측정하여 데이터를 취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측정 용량을 가지는 관측컵을 이용하여 강수계로 통합하여 운용함으로써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고 정확한 강수량 측정이 가능하고 분리 운영에 따른 운영상 설치 시 비용 및 운영상의 예산 절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기준으로 서브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상 설치 시 비용 및 운영상의 예산 절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에서 실행되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방법은 비가 오는 상태에서 서로 다른 용량의 강수량을 측정하는 기준 관측컵 및 서브 관측컵 중 어느 하나의 관측컵이 움직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및 상기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강수량을 측정 강수량으로 결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하이면 서브 관측컵이 움직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움직인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강수량을 측정 강수량으로 결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관측컵이 움직임과 동시에 기준 관측컵의 움직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는 초기화하며 상기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는 특정 용량의 강수량을 측정하는 기준 관측컵, 상기 기준 관측컵의 용량보다 작은 용량의 강수량을 측정하는 서브 관측컵, 상기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제1 움직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움직임 센서, 상기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제2 움직임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움직임 센서 및 비가 오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수신되면 기준 관측컵 및 서브 관측컵 중 어느 하나의 관측컵이 움직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및 상기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최종 강수량 결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최종 강수량 결정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하이면 서브 관측컵이 움직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움직인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최종 강수량 결정부는 상기 서브 관측컵이 움직임과 동시에 기준 관측컵의 움직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는 초기화하며 상기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측정 용량을 가지는 관측컵을 이용하여 강수계로 통합하여 운용함으로써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고 정확한 강수량 측정이 가능하고 분리 운영에 따른 운영상 설치 시 비용 및 운영상의 예산 절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기준으로 서브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상 설치 시 비용 및 운영상의 예산 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100)는 제1 움직임 센서(110), 제2 움직임 센서(120), 제1 깔대기(130), 제2 깔대기(140), 기준 관측컵(150), 서브 관측컵(160) 및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를 포함한다.
제1 움직임 센서(110)는 제1 깔대기(130)를 통해 낙하한 물이 기준 관측컵(150)에 떨어졌을 때 기준 관측컵(15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에 전송한다. 기준 관측컵(150)은 제1 움직임 센서(110)와 연결되어 제1 깔대기(130)에서 일정한 속도로 낙하한 물이 모아진다.
제2 움직임 센서(120)는 제2 깔대기(140)를 통해 낙하한 물이 서브 관측컵(160)에 떨어졌을 때 서브 관측컵(16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에 전송한다. 서브 관측컵(160)은 제2 움직임 센서(120)와 연결되어 제2 깔대기(140)에서 일정한 속도로 낙하한 물이 모아진다.
제1 깔대기(130)는 수수구 면을 따라 낙하한 빗물을 기준 관측컵(150)으로 일정한 속도로 낙하되도록 하고, 제2 깔대기(140)는 수수구 면을 따라 낙하한 빗물을 서브 관측컵(160)으로 일정한 속도로 낙하되도록 한다.
기준 관측컵(150)은 수수구 면을 따라 제1 깔대기(130)를 통해 낙하한 빗물이 집결하게 된다. 이러한 기준 관측컵(150)은 미리 결정된 측정 용량 만큼의 빗물이 집결하게 되면 움직이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이 0.5mm인 경우 수수구 면을 따라 제1 깔대기(130)를 통해 낙하하여 집결된 빗물이 0.5mm가 될 때마다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준 관측컵(150)에 집결된 빗물이 0.5mm가 되어 움직이면 제1 움직임 센서(110)가 기준 관측컵(15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에 제공하게 된다.
서브 관측컵(160)은 수수구 면을 따라 제2 깔대기(140)를 통해 낙하한 빗물이 집결하게 된다. 이러한 서브 관측컵(160)은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보다 작은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 관측컵(160)의 측정 용량이 0.1mm인 경우 수수구 면을 따라 제2 깔대기(140)를 통해 낙하하여 집결된 빗물이 0.1mm가 될 때마다 움직이게 된다.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제1 움직임 센서(110) 및 제2 움직임 센서(120) 각각으로부터 기준 관측컵(150) 및 서브 관측컵(160) 각각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면, 움직임 정보에 따라 기준 관측컵(150) 및 서브 관측컵(160) 각각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한다.
먼저,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제1 움직임 센서(110)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면 기준 관측컵(150)이 움직였다고 판단하고, 제2 움직임 센서(120)로부터 제2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면 서브 관측컵(160)이 움직였다고 판단한다.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제1 움직임 센서(110)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지만 제2 움직임 센서(120)로부터 제2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서브 관측컵(160)이 움직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제2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는 횟수만큼 서브 관측컵(160)이 움직였다고 판단하며, 서브 관측컵(160)이 움직임 횟수에 따른 서브 관측컵(160)의 측정 용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강수량이 0.3mm 인 경우 서브 관측컵(160)이 3번 움직임에 따라 서브 관측컵(160)의 측정 용량 0.1mm * 3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누적 강수량이 서브 관측컵(160)의 측정 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서브 관측컵(160)의 최대 측정 용량을 측정 강수량으로 산출한다. 예를 들어,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강수량이 0.6mm 인 경우 서브 관측컵(160)의 측정 용량을 0.4mm를 초과하게 되어 서브 관측컵(160)의 최대 측정 용량 0.4mm 또는 0.5mm를 측정 강수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제1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게 되면, 상기 서브 관측컵(160)의 움직임 횟수는 초기화하며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관측컵의 최대 측정 용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한다.
이하에서는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가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제2 움직임 센서(120)로부터 제2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면 서브 관측컵(160)이 움직였다고 판단한다.
그 후,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보다 작으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을 서브 관측컵(160)의 측정 용량 만큼 증가시키고, 누적 강수량을 서브 관측컵(160)의 측정 용량 만큼 증가시킨다.
한편,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제1 움직임 센서(110)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면 기준 관측컵(150)이 움직였다고 판단하며, 누적 강수량에서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 값을 차감한 후,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을 초기화한 후 누적 강수량을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만큼 증가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기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0.5mm이고, 서브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0.1mm인 경우에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를 통해 강수량을 측정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움직임 센서(110), 제2 움직임 센서(120), 제1 깔대기(130), 제2 깔대기(140), 0.5mm 기준 관측컵(150), 0.1mm 서브 관측컵(160) 및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를 포함한다.
제1 움직임 센서(110)는 제1 깔대기(130)를 통해 낙하한 물이 0.5mm 기준 관측컵(150)에 떨어졌을 때 0.5mm 기준 관측컵(15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에 전송한다. 0.5mm 기준 관측컵(150)은 제1 움직임 센서(110)와 연결되어 제1 깔대기(130)에서 일정한 속도로 낙하한 물이 모아진다.
제2 움직임 센서(120)는 제2 깔대기(140)를 통해 낙하한 물이 0.1mm 서브 관측컵(160)에 떨어졌을 때 0.1mm 서브 관측컵(16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에 전송한다. 0.1mm 서브 관측컵(160)은 제2 움직임 센서(120)와 연결되어 제2 깔대기(140)에서 일정한 속도로 낙하한 물이 모아진다.
제1 깔대기(130)는 수수구 면을 따라 낙하한 빗물을 0.5mm 기준 관측컵(150)으로 일정한 속도로 낙하되도록 하고, 제2 깔대기(140)는 수수구 면을 따라 낙하한 빗물을 0.1mm 서브 관측컵(160)으로 일정한 속도로 낙하되도록 한다.
0.5mm 기준 관측컵(150)은 수수구 면을 따라 제1 깔대기(130)를 통해 낙하한 빗물이 집결하게 된다. 이러한 0.5mm 기준 관측컵(150)은 미리 결정된 측정 용량 만큼의 빗물이 집결하게 되면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0.5mm 기준 관측컵(150)에 집결된 빗물이 0.5mm가 되어 움직이면 제1 움직임 센서(110)가 0.5mm 기준 관측컵(15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에 제공하게 된다.
0.1mm 서브 관측컵(160)은 수수구 면을 따라 제2 깔대기(140)를 통해 낙하한 빗물이 집결하게 된다. 이러한 0.1mm 서브 관측컵(160)은 0.5mm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보다 작은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제1 움직임 센서(110) 및 제2 움직임 센서(120) 각각으로부터 0.5mm 기준 관측컵(150) 및 0.1mm 서브 관측컵(160) 각각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면, 움직임 정보에 따라 0.5mm 기준 관측컵(150) 및 0.1mm 서브 관측컵(160) 각각의 관측컵에 대한 카운트 변수 및 누적 강수량을 갱신한 후 최종 강수량을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표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제2 움직임 센서(120)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면 0.1mm 서브 관측컵(160)이 움직였다고 판단한다.
그 후,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0.1mm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5mm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보다 작으면, 0.1mm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을 0.1mm 서브 관측컵(160)의 측정 용량 만큼 증가시키고, 누적 강수량을 0.1mm 서브 관측컵(160)의 측정 용량 만큼 증가시킨다.
한편,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는 제1 움직임 센서(110)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면 0.5mm 기준 관측컵(150)이 움직였다고 판단하며, 누적 강수량에서 0.1mm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 값을 차감한 후, 0.1mm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을 초기화한 후 누적 강수량을 0.5mm 기준 관측컵(150)이 측정 용량만큼 증가시킨다.
[표 1]
Figure 112022138688451-pat00001
예를 들어, 0.1mm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이고 강수량이 0.4mm인 상태에서 0.1mm 서브 관측컵(160)이 1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1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1mm으로 갱신하고, 0.1mm 서브 관측컵(160)이 2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2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2mm으로 갱신하고, 0.1mm 서브 관측컵(160)이 3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3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3mm으로 갱신하고, 0.1mm 서브 관측컵(160)이 4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4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4mm으로 갱신한다.
상기와 같이, 강수량이 0.4mm인 상태에서 0.1mm 서브 관측컵(160)이 움직이게 되지만 서브 관측컵(160)의 최대 측정 용량이 0.4mm이기 때문에 강수량은 계속 0.4mm일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0.5mm 기준 관측컵(150)이 1회 움직이면 누적 강수량 0.4을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4mm만큼 차감한 후 누적 강수량에 0.5mm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 0.5mm만큼 증가시켜 누적 강수량을 0.5mm라고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0.1mm 서브 관측컵(160)이 11회 움직이고 0.5mm 기준 관측컵(150)이 2번 움직인 경우, 0.1mm 서브 관측컵(160)이 1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1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1mm으로 갱신하고, 0.1mm 서브 관측컵(160)이 2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2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2mm으로 갱신하고, 0.1mm 서브 관측컵(160)이 3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3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3mm으로 갱신하고, 0.1mm 서브 관측컵(160)이 4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4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4mm으로 갱신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0.5mm 기준 관측컵(150)이 1회 움직이면 누적 강수량 0.4을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4mm만큼 차감한 후 누적 강수량에 0.5mm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 0.5mm만큼 증가시켜 누적 강수량을 0.5mm일 수 있다.
그 후, 0.1mm 서브 관측컵(160)이 6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1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6mm으로 갱신하고, 0.1mm 서브 관측컵(160)이 7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2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7mm으로 갱신하고, 0.1mm 서브 관측컵(160)이 8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3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0.8mm으로 갱신하고, 0.1mm 서브 관측컵(160)이 9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4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누적 강수량을 0.9mm으로 갱신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0.5mm 기준 관측컵(150)이 2회 움직이면 누적 강수량 0.9을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4mm만큼 차감하여 0.5mm으로 갱신한 후 누적 강수량에 0.5mm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 0.5mm만큼 증가시켜 누적 강수량을 1.0mm일 수 있다.
그 후, 0.1mm 서브 관측컵(160)이 10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0.1mm으로 갱신되고 누적 강수량을 1.1mm으로 갱신하고, 0.1mm 서브 관측컵(160)이 11회 움직이면 서브 관측컵(160)의 카운트 변수의 값이 1.2mm으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기준으로 서브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레볼루션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상 설치 시 비용 및 운영상의 예산 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100)는 비가 오는 상태에서 서로 다른 용량의 강수량을 측정하는 기준 관측컵 및 서브 관측컵 중 어느 하나의 관측컵이 움직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310).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100)는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및 상기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비교한다(단계 S320).
단계 S3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100)는 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하이면 서브 관측컵이 움직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움직인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32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100)는 서브 관측컵이 움직임과 동시에 기준 관측컵의 움직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는 초기화하며 상기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관측컵의 최대 측정 용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100)는 비교 결과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한다(단계 S33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움직임 센서(110), 제2 움직임 센서(120), 제1 깔대기(130), 제2 깔대기(140), 기준 관측컵(150), 서브 관측컵(160),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 및 모니터링부(180)를 포함한다.
제1 움직임 센서(110)는 제1 깔대기(130)를 통해 낙하한 물이 기준 관측컵(150)에 떨어졌을 때 기준 관측컵(15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모니터링부(180)에 제공한다.
제2 움직임 센서(120)는 제2 깔대기(140)를 통해 낙하한 물이 서브 관측컵(160)에 떨어졌을 때 서브 관측컵(16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모니터링부(180)에 제공한다.
기준 관측컵(150)은 수수구 면을 따라 제1 깔대기(130)를 통해 낙하한 빗물이 집결하게 된다. 이러한 기준 관측컵(150)은 미리 결정된 측정 용량 만큼의 빗물이 집결하게 되면 움직이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이 0.5mm인 경우 수수구 면을 따라 제1 깔대기(130)를 통해 낙하하여 집결된 빗물이 0.5mm가 될 때마다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준 관측컵(150)에 집결된 빗물이 0.5mm가 되어 움직이면 제1 움직임 센서(110)가 기준 관측컵(15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최종 강수량 결정부(170)에 제공하게 된다.
서브 관측컵(160)은 수수구 면을 따라 제2 깔대기(140)를 통해 낙하한 빗물이 집결하게 된다. 이러한 서브 관측컵(160)은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보다 작은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 관측컵(160)의 측정 용량이 0.1mm인 경우 수수구 면을 따라 제2 깔대기(140)를 통해 낙하하여 집결된 빗물이 0.1mm가 될 때마다 움직이게 된다.
모니터링부(180)는 제1 움직임 센서(110) 및 제2 움직임 센서(120) 각각으로부터 제1 움직임 정보 및 제2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관측컵(150) 및 서브 관측컵(16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먼저, 모니터링부(180)는 제1 움직임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제1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관측컵(150)의 움직임 횟수를 산출하고, 제2 움직임 센서(120)로부터 수신된 서브 관측컵(160)의 움직임 횟수를 산출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부(180)는 기준 관측컵(150)의 움직임 횟수 및 서브 관측컵(160)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하여 기준 관측컵(150) 및 서브 관측컵(160) 각각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180)는 서브 관측컵(160)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모아진 강수량이 임계 강수량일때까지 기준 관측컵(150)의 움직임 횟수가 없으면 상기 기준 관측컵(150)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180)는 서브 관측컵(160)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모아진 강수량이 0.8mm인데 기준 관측컵(150)이 움직이지 않은 경우 상기 기준 관측컵(150)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임계 강수량은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의 배수에 해당하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이 0.5mm 인 경우 임계 강수량은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이 0.5mm의 2배에 해당하는 1.0mm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180)는 기준 관측컵(150)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모아진 강수량이 임계 강수량일 때 서브 관측컵(160)의 움직임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이면 서브 관측컵(160)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횟수는 기준 관측컵(150)의 측정 용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관측컵(150)이 2번 움직여 모아진 강수량이 1.0mm일 때 서브 관측컵(160)의 움직임 횟수가 5번 이하이면 서브 관측컵(160)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장치,
110: 제1 움직임 센서,
120: 제2 움직임 센서,
130: 제1 깔대기,
140: 제2 깔대기,
150: 기준 관측컵,
160: 서브 관측컵,
170: 최종 강수량 결정부,
180: 모니터링부

Claims (6)

  1.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에서 실행되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방법에 있어서,
    비가 오는 상태에서 서로 다른 용량의 강수량을 측정하는 기준 관측컵 및 서브 관측컵 중 어느 하나의 관측컵이 움직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및 상기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또는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제1 움직임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를 산출하고,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제2 움직임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모아진 강수량이 임계 강수량일때까지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가 없으면 상기 기준 관측컵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모아진 강수량이 임계 강수량일 때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이면 서브 관측컵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또는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하이면 서브 관측컵이 움직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움직인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또는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관측컵이 움직임과 동시에 기준 관측컵이 움직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는 초기화하며 상기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관측컵의 최대 측정 용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실행 방법.
  4.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에 있어서,
    특정 용량의 강수량을 측정하는 기준 관측컵;
    상기 기준 관측컵의 용량보다 작은 용량의 강수량을 측정하는 서브 관측컵;
    상기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제1 움직임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움직임 센서;
    상기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제2 움직임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움직임 센서; 및
    비가 오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수신되면 기준 관측컵 및 서브 관측컵 중 어느 하나의 관측컵이 움직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및 상기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또는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최종 강수량 결정부; 및
    상기 제1 움직임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1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를 산출하고, 제2 움직임 센서로부터 수신된 제2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모아진 강수량이 임계 강수량일때까지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가 없으면 상기 기준 관측컵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고,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모아진 강수량이 임계 강수량일 때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가 특정 횟수 이하이면 서브 관측컵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강수량 결정부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움직인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이 움직이지 않은 관측컵으로 모아진 강수량 이하이면 서브 관측컵이 움직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움직인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움직인 관측컵의 최대 측정 용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강수량 결정부는
    상기 서브 관측컵이 움직임과 동시에 기준 관측컵이 움직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서브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는 초기화하며 상기 기준 관측컵의 움직임 횟수에 따른 상기 관측컵의 최대 측정 용량을 이용하여 측정 강수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KR1020220182093A 2022-12-22 2022-12-22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553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093A KR102553579B1 (ko) 2022-12-22 2022-12-22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093A KR102553579B1 (ko) 2022-12-22 2022-12-22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579B1 true KR102553579B1 (ko) 2023-07-10

Family

ID=8715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093A KR102553579B1 (ko) 2022-12-22 2022-12-22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5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02B1 (ko) * 2007-02-06 2008-12-10 대한민국 무게 및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KR20170038481A (ko) * 2015-09-30 2017-04-07 양장은 센서를 이용한 강수량 측정장치
KR20170080936A (ko) * 2015-12-31 2017-07-11 (주)지비엠 아이엔씨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US10228455B2 (en) * 2016-12-06 2019-03-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sensing rainfa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02B1 (ko) * 2007-02-06 2008-12-10 대한민국 무게 및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KR20170038481A (ko) * 2015-09-30 2017-04-07 양장은 센서를 이용한 강수량 측정장치
KR20170080936A (ko) * 2015-12-31 2017-07-11 (주)지비엠 아이엔씨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KR101779581B1 (ko) * 2015-12-31 2017-09-19 (주)지비엠 아이엔씨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US10228455B2 (en) * 2016-12-06 2019-03-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sensing rainf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39630B2 (en) Weighing scale diagnostics method
CN210863662U (zh) 一种甲醛浓度检测装置及空气净化器
CN116227752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园区设施管理***
CN109668607B (zh) 一种燃气表监控微小泄漏的方法
CN101685002B (zh) 一种长度检测的方法
CN112596128B (zh) 一种雨量检测器件、雨量计及雨量确定方法
KR102553579B1 (ko)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및 이의 실행 방법
CN111076790B (zh) 一种液位监测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0410057B (zh) 抽油机井光杆悬点死点的检测方法及***
CN109341814A (zh) 一种全时段水位采集***与方法
JP2019002684A (ja) 雨量等変化率計測システム、雨量等変化率計測方法、及び雨量等変化率計測用装置
CN111206376A (zh) 液位检测装置及方法、洗衣机
CN111206393A (zh) 液位检测装置及方法、洗衣机
CN112781556A (zh) 一种基于多数据融合滤波的井盖异动监测方法和装置
CN116879121B (zh) 一种基于光纤传感技术的空气颗粒物浓度实时监测***
JP6885461B2 (ja) 分析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1983253A (zh) 一种机器人速度测试方法及装置
CN111912378A (zh) 基于倾角传感器测量索塔变形的方法及倾角测量***
CN111006745A (zh) 一种城市内涝水位采集方法
CN116549902B (zh) 一种基于加速度仪的智能消火栓出水检测方法
KR102672990B1 (ko) 강수량 측정 장치
CN205404851U (zh) 具有自检功能的雨量装置
WO2024122581A1 (ja) 濃度監視システム
CN114994806A (zh) 压电式雨量计的定标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7309091A (zh) 吸液量准确性压力检测方法、***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