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628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628B1
KR102552628B1 KR1020210183061A KR20210183061A KR102552628B1 KR 102552628 B1 KR102552628 B1 KR 102552628B1 KR 1020210183061 A KR1020210183061 A KR 1020210183061A KR 20210183061 A KR20210183061 A KR 20210183061A KR 102552628 B1 KR102552628 B1 KR 102552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membership
server
project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3972A (ko
Inventor
김주원
Original Assignee
김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원 filed Critical 김주원
Priority to KR1020210183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628B1/ko
Publication of KR2023009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제작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반으로 하고, 합의 수행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멤버쉽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관리 엔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 {MEMBERSHIP MANAGEMENT APPARATUS USING BLOCKCHAIN}
본원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media)란 인간 사회에서 자신의 의사나 감정 또는 객관적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수단을 가리키는 말이다. 더 나아가 신문, 방송 등의 기존의 정보 전달 수단을 대신해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발달한 여러 가지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 전달의 수단을 뉴미디어라고 한다. 현재 '미디어'의 개념은 기본적인 의미에 뉴미디어 개념을 더하여 통괄적인 의미로 활용된다고 볼 수 있다.
OECD에서는 콘텐츠 및 미디어산업을 '콘텐츠 상품의 생산, 발간 또는 전자적 유통에 관련된 산업'으로 정의했다. 이후 2009년에는 콘텐츠산업에 대해 '주로 매스미디어를 통해 알리고 교육하며 즐거움을 주는 산업으로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으로 개념화하면서 인간에게 조직화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정보적, 문화적, 오락적 상품인 콘텐츠를 생산하고, 출판 또는 유통시키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미국에서의 콘텐츠 및 미디어 산업은 엔터테인먼트산업으로 통용되는데, 이는 엔터테인먼트와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산업으로 엔터테인먼트의 창조, 생산, 유통, 소비 등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종래 미디어 제작환경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중앙 집중형의 불공정한 관행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방송 미디어의 제작은 50% 전후 외주제작사를 통해 진행되고 있으나, 방송사-제작사-근로자 간 불공정 관행으로 인하여 제작환경/저작권/표준계약서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미디어 제작 관련 관계자(일예로, 대중예술인, 현장스텝, 기술직 등)의 95% 이상이 프리랜서이고,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기간만 계약을 체결하는 형식이며, 저작권(Intellectual Property, IP)의 대부분이 방송국에 귀속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종래의 미디어 제작 환경에서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과 창작자 간에 불합리한 수익 분배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튜브는 [유튜버 : 구글 = 55 : 45]의 수익 배분 구조이며, 아프리카tv는 후원금의 30%의 수익을 플랫폼이 가져가는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익 분배 구조는 중개 플랫폼이 창작자에 대해 과도한 수익 분배를 가져가는 구조라 볼 수 있다.
또한, 기존 엔터테인먼트와 대중예술인 사이의 수익금 배분은 계약형태에 따라 8:2에서 5:5 비율까지 일어난다. 연예계 활동과 대중예술인 사이의 중앙 역할을 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의 힘이 커지면서 불공정 계약 수준까지 이르렀다.
한편, 미디어콘텐츠의 IP(저작권) 관련 투자 흐름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디어콘텐츠 분야는 장르간·산업간 융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인 콘텐츠 관련의 투자는 주로 기업, 펀드, 방송국이 90% 이상 차지해왔다. 현재는 대형 제작사의 사전제작이나 OTT 플랫폼 자체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콘텐츠 IP 펀딩회사 및 관련 플랫폼 출현 등의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글로벌 서비스의 한국 시장 진입 또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가 재테크 시장의 신주류로 부상하고 있다. 핀테크(금융 기술) 등 새로운 트렌드에 빠르게 적응하고 적극적인 학습을 통해 체계적인 투자를 하는게 기성세대와는 다른 점이다. 특히 유튜브로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고 공부하며 신종 투자에 대한 두려움이 적다. 주식/빌딩지분/P2P금융/미술품 등 조각 투자에 대한 범위가 확장되고, MZ세대를 주도로 재태크에 대한 트렌드가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미디어콘텐츠의 IP 관련 투자 흐름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389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개 플랫폼이 창작자에 대해 과도한 수익 분배를 가져가는 종래의 수익 분배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디어콘텐츠의 IP 관련 투자 흐름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제작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반으로 하고, 합의 수행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멤버쉽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관리 엔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활동 이력에 따라 부여되는 플랫폼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레벨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쉽 레벨링부는, 기 정의된 멤버쉽 정책에 따라 각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상기 플랫폼의 상태 변화에 따라 디지털자산 발급량을 계산하고 디지털자산을 발행하는 디지털자산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쉽 레벨링부는,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자산 공급부에서 발행된 디지털자산을 리워드로서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상기 플랫폼에서 트랜잭션이 발생된 경우, 상기 트랜잭션의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노드를 선출하고 선출된 검증 노드를 대상으로 트랜젝션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합의를 수행하는 합의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쉽 관리 엔진부는, 상기 합의의 수행에 의한 합의 결과를 기반으로 검증 노드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트랜잭션을 블록화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랜잭션은, 멤버쉽 정보 관련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의 수행부는, 복수의 그룹에 속한 노드들 중 미리 설정된 수의 노드를 랜덤하게 검증 노드로서 선출하고, 상기 선출된 검증 노드에 바인딩되어 있는 사용자들의 권한 증명을 기반으로 상기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잭션은 복수 유형의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유형의 안건은, 프로젝트 관련 안건, 멤버쉽 관련 안건, 코인 발행 관련 안건 및 정책 관련 안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며,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1 유형의 사용자로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단말인 참여자 단말; 및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2 유형의 사용자로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하는 투자자의 단말인 투자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블록체인으로서 상기 플랫폼의 이용량 및 프로젝트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디지털자산 발급량이 결정되도록 기 정의된 PoM(Proof of Merge) 멤버쉽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및 개인형 프로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드라마, 예능 및 교양을 포함하는 방송 관련 프로젝트이고, 상기 개인형 프로젝트는 개인 채널을 운영하는 인플루언서 관련 프로젝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에 필요한 금액을 블록체인의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여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 지분율을 확보한 후 실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기획선정과 투표를 수행하는 기획선정/투표 관련 제1 처리부;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하는 투자/자금조달 관련 제2 처리부;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 제작 관련 제3 처리부;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공급하고 판매하는 공급/판매 관련 제4 처리부; 및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와 관련하여 광고/PPL/OTT/해외판권 판매금액을 NFT 지분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참여자의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획서에 대한 투표 진행 결과 상기 수신된 기획서가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되면,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의 프로젝트인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제작비를 산정하고, 산정된 제작비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하여 투자 기반 모금을 진행하고, 투자 기반 모금 진행에 의하여 상기 산정된 제작비의 모금이 완료된 경우, 모금된 금액을 기반으로 상기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을 수행하고, 이후 사전제작이 완료되면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판매하고, 상기 판매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대하여 디지털자산인 NFT를 미리 설정된 수량만큼 발행하고, 상기 산정된 제작비의 모금의 완료가 복수의 투자자에 의한 투자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발행된 NFT를 상기 복수의 투자자 각각이 투자한 투자금액에 따라 투자금액에 대응하는 비율로 상기 복수의 투자자 각각에게 지분형 디지털자산으로서 차등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지급받은 상기 복수의 투자자는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지분소유자로서 상기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저작권의 지분을 가지게 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판매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을 판매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계된 사용자들에게 미리 설정된 비율로 배분하고, 상기 판매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계된 사용자들에는 상기 미디어콘텐츠를 창작한 상기 참여자인 창작자,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지급받아 상기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 지분을 소유한 지분소유자, 및 상기 플랫폼을 제공하는 관리자가 포함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은, 상기 창작자가 상기 지분소유자 및 관리자 대비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를 제공함으로써, 중개 플랫폼이 창작자에 대해 과도한 수익 분배를 가져가는 종래의 수익 분배 구조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패시프인컴 수익이 가능하도록 하며,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미디어콘텐츠의 IP 관련 투자 흐름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즉, 본원은 기존 중앙화된 제작 시스템에서 이루어졌던 불공정 관행에서 벗어난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블록체인의 기능과 특징을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 전반에 적용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중앙집중형 문제를 개선시키고, IP(저작권) 관련 투자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기존 미디어콘텐츠 주 투자자(기업, VC 등)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개인이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참여할 수 있고 투자 또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사용자들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편하게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하고 수익을 창출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일예로 투자 부문에 있어 재테크 시장의 신주류인 MZ세대를 주 타겟으로 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산ID(DID) 기반 신원인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개인형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보상 지급시 이용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 내 PoM 멤버쉽 메커니즘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다단계 형식의 고용 시스템 구조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제공하는 워커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제공하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에 의한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플랫폼 아키텍처의 전체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플랫폼 내 구성 요소 중 AD 매칭 서비스 엔진의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이용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 내 PoM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이루어지는 합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시스템 레이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DID 서비스 아키텍처의 구조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플랫폼의 이코노미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플랫폼의 운영 및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개인형 프로젝트의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프리랜서인 경우, 사용자가 서버를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경쟁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플랫폼의 NFT 전체 아키텍처 구조 예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 체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이라 함)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먼저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이 갖는 문제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이 갖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1. [방송 미디어 제작 시스템의 불공정 관행] 문제
1-1) 방송국-외주제작사 시스템의 개요
외주제작사란 방송사업자가 프로그램을 외부로 주문하게 되면,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즉, 외주제작사는 지상파나 종합편성채널, 케이블 PP 등으로부터 수주를 받아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납품하는 업체를 의미하며, 독립 제작사, 프로덕션 등의 이름으로도 불리운다. 외주제작사의 육성은 방송시장의 경쟁을 촉진시켜 지상파 방송사의 시장지배력을 완화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결과로 이어졌는데, 이는 방송 콘텐츠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1-2) 미디어 제작 환경 문제 인식
현재 미디어 시장의 제작 환경에서는 부족한 제작비로 인해 근로자가 위험한 일을 하면서 기본적 보험에도 가입되지 않고, 사고 시 보상 문제까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작 과정 중 방송사 PD 등 관계자들이 외주 제작진에게 폭언, 멸시 등 비인격적 대우를 하는 경우가 다수 있다. 장시간 촬영 일정, 초과근로시간 예외업종 인정 등 제작 과정 전반에 걸쳐 제작인력들이 과도한 근무시간에 시달리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 다수의 사건, 사고들이 빈번히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프리랜서나 하청 업체로만 제작현장이 돌아가고 있으며, 실제 정규직도 아직 3% 내외이다. 방송 콘텐츠 제작 인력들의 4대 보험 가입 현황의 경우, 고용보험, 산재보험 심지어 국민연금까지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고용되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1-3) 제작비 및 저작권 등 수익 배분 문제
방송사와 외주제작사 간에는 제작비와 저작권 등의 수익 배분의 문제가 굉장히 크다. 우선 제작단가를 차별적으로 책정하고 있다. 방송사 자체 제작일 경우와 외주제작사에게 수주를 주게 될 경우 제작비가 차별 책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방송사가 프로그램의 주도권을 잡고 있기 때문에, 외주제작사에게 불리한 저작권을 배분하게 된다. 무릇 저작권(Intellectual Property, IP)이란 창작을 한 주체가 그 권리를 가져가게 되어 있지만,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방송사가 계약 시 저작권 관련된 항목에서 우위를 선점하고 있는 것이다. 구두계약이나 계약서를 사후에 작성하는 등의 불합리한 계약 관행 또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협찬 및 정부 지원금을 자의적으로 배분하고 있다.
사실 방송사와 제작사 간 '선 송출, 후 정산'을 하는 일은 오래된 관행이다. 시청자 반응에 따라 계약조건이 바뀔 수 있다는 이유로 대개 종영 전후 계약서를 쓴다. 종래에 외주제작사와 방송사 간에 발생된 저작권 갈등 문제의 일예로는, 방송사의 경우 '관행'대로 제작비 일부를 지급한다는 주장인 반면 제작사는 수익을 공개해 기여도에 따라 '투명하게' 배분해달라는 주장이 있었던 바 있다.
한편, '외주제작'이라는 방송법 상의 표기에도 문제가 있다. 방송영상물에는 지식재산권이 있다. 무엇보다 동영상 플랫폼에서 유통 수익은 계속 발생한다. 방송영상물은 일반 제품과 가치가 달라 '외주'가 아니라 '창작자'인 '독립제작자'의 지식재산임을 분명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관행’이란 이름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불공정한 문제들은 외주제작사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에게까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개선되어야 할 관행이지만, 관행이기에 개선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 할 수 있다.
1-4) 표준계약서 활용문화 미정착
외주제작사와 방송근로자간에는 표준계약서를 활용하는 경우가 다른 직종에 비해 저조하다. 표준계약서의 수정 사용과 허용 범위에 대한 기준 또한 부재하다. 방송근로자의 대부분이 프리랜서라는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종래에 '2019년 방송 프로그램 외주제작 거래실태조사'의 표준계약서 비율을 살펴본 결과, 방송사에서는 거의 100%로 활용하고 있다고 하지만 제작사 계약수준으로 봤을 때는 비교적 낮게 책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것 또한 실제 계약 시 모두 이행되고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하청업체를 이용하는 경우 그 하청업체에서 근로 계약 시 표준계약서의 체결이 안되는 경우도 다수 있기 때문이다.
2019년 말부터 계약서에 따른 거래이행과 표준제작비 등을 점검하는 '방송프로그램 외주제작 거래 가이드 라인'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가이드 라인일 뿐 방송사나 제작사는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지키지 않아도 되며, 갈등이 생길 때 중재할 기구나 제도는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다.
2. [동영상 공유플랫폼 불합리한 수익 배분] 문제
2-1) 동영상 공유플랫폼 개요
동영상 공유 플랫폼 서비스는 [첫째, 상당한 양의 프로그램 또는 이용자제작 동영상을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로 구성되며, 서비스 사업자는 이에 대한 편집권을 갖지 않음. 둘째, 콘텐츠 구성은 전자적 방식에 따라 서비스 사업자가 결정. 셋째, 프로그램 도는 UGV 제공 서비스에 주된 목적은 일반 공중에게 정보, 오락, 교육을 제공하는 것. 넷째, 서비스는 전자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야 함]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1980년-1994년)와 Z세대(1995년-2019년)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며 모바일을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MZ세대라고도 한다. 동영상 공유플랫폼의 대표적인 예로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이 있다. MZ세대는 이러한 동영상 공유플랫폼의 주 이용자이며,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변화의 중심에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후술하는 본 플랫폼)은 일예로 MZ세대를 주 사용자 타겟으로 하여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세대를 타겟으로 하여 제공될 수 있다.
2-2) 동영상 공유플랫폼 수익구조 문제
동영상 공유플랫폼의 수익 구조는 사용자, 광고주, 창작자가 플랫폼을 중심으로 광고, 후원금, 플랫폼 운영비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인 플랫폼과 사용자의 광고수익 비율을 따져보자면, 유튜버 : 구글(유튜브) = 55:45이다. 아프리카 tv의 경우는 60:40 이며, 후원금 전달방식인 별풍선에 대하여 30%의 중간 수수료를 플랫폼이 가져가고 있다.
동영상을 촬영하고, 제작하는 주체는 창작자들이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역할은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는 플랫폼과 서버를 운영하고, 광고주들로부터 받은 광고비를 창작자들에게 45%를 제공하고 있다. 플랫폼을 운 영하는 비용이 들지만, 창작자들의 광고 수익의 45%를 플랫폼에게 배분되는 것은 과도한 비율이라 여겨진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동영상을 보기 위해 원치 않는 광고를 유료회원이 아닌 이상, 반강제적으로 경험해야 한다. 광고를 본다고 해서 사용자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구조 또한 아니다. 어린이·청소년에게 노출되는 폭력적·선정적 광고는 사회문제점으로 야기되고 있다.
광고주 입장에서는 특정 타겟 창작자만을 위한 광고를 제공하고자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기존 플랫폼 구조에서는 전체를 타겟으로 하는 광고를 위해 광고비를 과도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3. [엔터테인먼트 불공정 계약] 문제
3-1) 엔터테인먼트 개요
엔터테인먼트란 대중예술인이 연예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회사이다. 스케줄, 이동, 홍보, 계 약 등 매니지먼트 역할과 에이전시 역할이 주 업무이다. 대중예술인은 방송사 등으로부터 출연료를 받게 되면 일정한 비율을 엔터테인먼트에 지급하게 된다. 다른 방식으로는 엔터테인먼트가 출연료 및 수익금을 받고 정산하여 대중예술인에게 지급하고 있다.
3-2) 엔터테인먼트 불공정 계약 구조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발생하는 법률 분쟁은 전속계약 문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전속계약의 내용(일예로, 연예인이 기획사를 통해서만 연예 활동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은 연예인의 모든 활동이 기획사에 구속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연예인이 불성실·무성의한 기획사와 전속계약을 체결하거나 이른바 '노예계약'이라 불리는 불공정 계약을 체결하면 두고두고 고생하게 된다.
전속계약의 대표적인 불공정 조항으로는 '장기간의 계약 기간', '일방적인 손해배상액 예정 조항', '일방적인 스케줄 설정 조항' 등이 있다. 엔터테인먼트와 소속 연예인 사이의 수익금 배분은 계약형태에 따라 8:2에서 5:5 비율까지 일어나고 있다. 이는 연예계 활동과 대중예술인 사이의 중앙 역할을 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의 힘이 커지면서 불공정 계약 수준까지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원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본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블록체인(블록체인 기술)의 기본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블록체인 개념
블록체인은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peer to peer)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 산 컴퓨팅 방식의 데이터 변조 방지 기술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블록체인은 여러 건의 거래 내역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 기존에 생성된 블록에 체인처럼 계속적으로 연결하는 데이터 구조를 의미한다.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거대한 분산 장부라고도 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분산되고, 독립적이며, 공통 장부 관리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블록체인 내 블록은 전체 기간 중 일정기간의 거래 정보를 기록한 덩어리를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이러한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을 의미한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체인처럼 연결하여,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누구나 열람할 수 있게 공개함으로써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서로서로 감시하는 P2P(peer to peer :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결됨) 구조를 가지며, 해당 시스템의 프로토콜(일정한 규칙)을 따를 수 있다. 쉽게 말해, 은행과 같은 제3자를 거치지 않고 블록체인을 이용하게 되면, 노드(node : 해당 시스템의 네트워크 참가자들-> 개개인의 네트워크 서버, 즉, 참가자)간, 직접 가치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록체인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
2.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
블록체인은 분산성, 확장성, 투명성, 보안성 및 안정성 등의 특징을 갖는다.
분산성에 의하면, 신뢰할 수 있는 제 3자를 별도로 두지 않고 분산형 네트워크(P2P) 환경에서 거래 가능하며, 중앙집중형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유지보수 등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확장성에 의하면, 모든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누구나 구축, 연결, 확장이 가능하다.
투명성에 의하면, 모든 거래 기록은 공개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며, 거래 양성화 및 규제 비용 절감 가능하다.
보안성에 의하면, 거래내역 장부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공동으로 소유하여 거래 데이터 조작 방지 및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안정성에 의하면,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로 단일 실패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일부 참가 시스템에 오류 또는 성 능 저하가 발생하여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이 미미한 특성이 있다.
3. 블록체인의 종류 및 합의 알고리즘
첫 블록체인인 비트코인에서는 기술적 특성에서 생긴 처리속도의 제한적 문제가 발생한다. 모든 참여자가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방식의 한계이기도 하며,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합의(Consensus)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합의 알고리즘이 나타났고, 최초의 블록체인이 추구하던 개념과는 거리가 먼 알고리즘도 생겨났다.
퍼블릭(public) 블록체인은 말 그대로 누구나 할 수 있는 개방형이고,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은 제한된 사람들만 참여할 수 있는 폐쇄형이다. 이 두 가지를 연결하거나 섞은 혼합형은 하이브리드(Hybrid)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종래의 블록체인의 종류별 특성 정보는 아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
Figure 112021147530423-pat00001
본 시스템(100)은 본원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합의 알고리즘인 참여형 합의 알고리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시스템(100)에서는 참여형 합의 알고리즘을 새롭게 구축하여 제공하며, 이는 퍼블릭 블록체인 특성에 가까운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의 특성을 지닐 수 있다.
4. DID(Decentralized Identity) 개요 및 필요
4-1) DID 개요
분산 신원증명(DID, Decentralized Identity)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신원을 증명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기존 신원 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분산ID(DID) 기반 신원인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DID 기반 신원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신원 정보 인증 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2. 사용자가 신원정보발행자(인증기관 등)에게 신원 정보 발행 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3. 신원정보발행자가 분산 ID저장소에 사용자의 신원 정보를 검증할 수 있는 서명된 ID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4. 신원정보발행자가 사용자에게 신원정보 발행 및 사용자는 신원정보발행자가 서명한 내용에 대해 Counter-sign을 하여 DIDs(Key) ― DID Document(Value)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5.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신원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이때 신원정보발행자에게 받은 신원 정보 전체 중 인증에 필요한 일부만을 선택한 신원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6. 서비스 제공자는 DIDs를 통해 분산 ID저장소에 저장된 DID Document를 검증하여 신원 확인을 완료할 수 있다.
4-2) DID의 필요
신원 증명 중앙화 체제에서는 해킹이 발생할 경우 개인 정보가 대규모로 유출될 위험이 있고, 기업들이 개 인 정보를 몰래 이용해 이익을 얻는 사례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일각에서는 농담으로 우리 국민의 주민등록 번호가 중국에서는 공공재라는 말이 있기도 했는데, 안타깝게도 과거 중국의 유명 검색엔진에서는 국내 유명 사이트 계정 ID와 이름, 나이, 생년월일은 물론 주민등록번호까지 민감한 개인 정보가 거래되고 있었다. 이처럼 개인 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 이슈가 커지는 가운데 DID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DID는 중앙 기관이나 기업과 같은 제 3자가 아닌 개인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는 구조이다. 중앙 기관이나 기업에게 있던 데이터 주권을 개인이 가져온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글로벌 IT 기업은 물론 정부 기관들은 개인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통해 막대한 이익과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정작 각각의 개인들에게는 본인이 만든 데이터에 대한 주권이 없는 상황이었다. 블록체인 DID 기술을 통해 만들어지는 보안성과 신뢰성 높은 디지털 환경속에서 데이터의 주권을 회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개인이 생성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행위에 대한 합리적 보상도 요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점을 고려해, 본원은 미디어콘텐츠 제작환경에 블록체인 및 DID 기술을 적용한(접목시킨) 본 시스템(100)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크게 6가지의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1. 탈중앙성 : 본 시스템(100)은 기획 단계부터 제작, 광고 등 누구나 참여 및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탈중앙성을 가질 수 있다.
2. 보안성 : 본 시스템(100)은 암호화된 분산 장부 구조로 중앙 기관 없이 자금의 보안 확보가 가능하다.
3. P2P 더블(Double) 시스템 : 본 시스템(100)은 누구나 프로젝트 기획/제작/투자와 플랫폼 디지털자산 스왑에 참여할 수 있는 P2P Double 시스템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100)은 Peer to Project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와 관련하여 프로젝트형 지분형 디지털 자산으로 개인, 기관, 광고주 등 누구나 원하는 프로젝트에 원하는 금액을 P2P로 투자 가능하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Peer to Platform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이와 관련하여 마이닝을 통한 플랫폼 디지털자산 및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스왑 방식으로 플랫폼 내에서 P2P로 거래할 수 있다.
4. 투명성 : 본 시스템(100)은 지분형 디지털 자산 소유시 프로젝트 관련된 자금 내역, 판권 판매, OTT 스트리밍 수익 등을 열람할 수 있게 함으로써 블록체인의 투명성을 적용시킬 수 있다.
5. 불변성 : 본 시스템(100)은 사용자들의 이력 관리(DID 활용), 프로젝트 기획서 등 블록체인 블록에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이 되며, 이는 불변성을 가지므로 신뢰를 가질 수 있다.
6. 스마트컨트렉트 : 본 시스템(100)은 현재 대면으로만 진행되던 계약과정을 DID와 스마트컨트렉트의 활용으로 비대면으로 전자계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 의하면, 본 플랫폼 내 프로젝트 진행시 관련 사용자들은 자동 계약체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시스템(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내 서버가 개인형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보상 지급시 이용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 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의 동작 흐름(플로우차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5a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5b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서 고려되는 노드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c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의한 밈비 코인 이코노미(economy, 경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달리 표현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의해 이루어지는 코인(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코인) 분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d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서 고려되는 포인트(멤버쉽, 멤버쉽 포인트) 생산성(productivity)을 나타낸 것으로서, 달리 표현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이 사용자의 활동 점수(포인트, 멤버쉽, 멤버쉽 포인트) 산출시 고려하는 항목(즉, 활동 점수가 부여되는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사용자에게 활동 점수로서 프로젝트 활동 점수, 프로젝트 투자 점수, 플랫폼 활동 점수, 노드 활동 점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을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100)라 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은 서버(10), 참여자 단말(1) 및 투자자 단말(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시스템(100)은 일반 사용자 단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 내 각 구성들은 네트워크(3)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참여자 단말(1), 투자자 단말(2) 및 일반 사용자 단말(미도시) 각각과 네트워크(3)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의 일예에서는 서버(10)가 1개의 참여자 단말(1)과 1개의 투자자 단말(2)과 연동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는 복수개의 참여자 단말과 연동될 수 있고, 또한, 복수개의 투자자 단말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참여자 단말(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복수개의 참여자 단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투자자 단말(2)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복수개의 투자자 단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3)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며,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이하 본 플랫폼이라 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서버(10)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참여자(1') 및 투자자(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는 참여자(1') 및 투자자(2') 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역할에 따라 크게 참여자(1'), 투자자(2'), 일반 사용자(미도시)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다른 일예에 따르면, 참여자는 투자자(혹은 일반 사용자)가 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참여자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투자자(혹은 일반 사용자)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적용될 수 있다.
서버(10)는 블록체인을 이용해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1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원에서 본 장치, 본 서버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플랫폼이라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본 플랫폼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 시스템(100) 혹은 서버(10)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의 각종 기능들은 본 시스템(100) 혹은 서버(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 제작 플랫폼)은 밈비(Make Your Media in Blockchain, MYMB) 플랫폼 등이라 지칭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밈비라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원에서 제안하는 기술(즉,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로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과 관련된 시스템(100), 장치(10), 플랫폼, 앱, 솔루션 등)은 밈비 기술, MYMB 기술, 블록체인을 활용한 원스탑 미디어 제작 기술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참여자 단말(1)은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1 유형의 사용자로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참여자(1')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투자자 단말(2)은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2 유형의 사용자로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하는 투자자(2')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 단말(미도시)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제3 유형의 사용자로서, 서버(10)에 의해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시청하는 일반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참여자 단말(1), 투자자 단말(2) 및 일반 사용자 단말(미도시)은 단말(혹은 사용자 단말)이라는 용어로 통칭되어 표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단말(즉, 참여자 단말, 투자자 단말, 일반 사용자 단말)은,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이 소지한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서버(10, 본 장치)는 단말(일예로 참여자 단말, 투자자 단말, 일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장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10)는 단말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한 장치(서버)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은 일예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단말을 통해 사용자들(일예로 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서버(10, 본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형태(서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10)는,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사용자들(일예로, 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의 단말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10, 본 장치)가 단말에 포함된 장치 형태가 아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버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에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어플, 앱)은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앱이라 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서버(10)는 본 앱을 설치한 사용자들(일예로, 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의 단말의 동작(일예로 화면 표시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는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며,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서버(10)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참여자(1'), 투자자(2'), 일반 사용자(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사용자는 유저, 시스템유저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본원에서 유저, 시스템유저, 노드, 노드 사용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에는 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가 포함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후술하여 설명하는 일예로 도 5b에 도시된 복수의 그룹(노드 그룹) 내 사용자들(즉, 스태프, 출연진, 일반 사용자, 투자자, 광고, 기업, 밈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그룹은 노드 그룹, 집합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원에서 노드라 함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미디어콘텐츠 제작의 참여 및 투자가 가능할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할 수도 있다.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으로서, 중앙 집중형 제작 시스템이 아닌 탈중앙형 미디어 제작 시스템을 갖춘 플랫폼일 수 있다. 본 플랫폼에 의하면,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누구나가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련해 참여, 제작, 투자를 할 수 있다.
본원에서 미디어콘텐츠는 미디어, 콘텐츠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고려되는 미디어콘텐츠(미디어)는 앞서 말한바와 같이 뉴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미디어 제작(미디어콘텐츠 제작)이라 함은 미디어콘텐츠의 창조, 생산, 유통, 소비 등 모든 과정을 포함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은 미디어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춘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프로젝트란 미디어(미디어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과정부터 이와 관련된 수익 창출의 전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는 프로젝트 단위로 미디어(미디어콘텐츠)가 제작, 유통, 판매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를 프로젝트 단위로 제작/유통/판매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원에서 미디어콘텐츠는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컨텐츠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프로젝트(Project)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Program Type Project) 및 개인형 프로젝트(Personal Type Project)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젝트의 종류는 크게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와 개인형 프로젝트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드라마, 예능 및 교양을 포함하는 방송 관련 프로젝트(방송 범위의 프로젝트)일 수 있다. 개인형 프로젝트는 개인 채널을 운영하는 인플루언서 관련 프로젝트(인플루언서 범위의 프로젝트)일 수 있다. 즉,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기존 드라마, 웹드라마, 예능, 교양 등 방송용 콘텐츠를 위주로 진행될 수 있다. 개인형 프로젝트는 1인 미디어, 소셜 미디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주인공인 인플루언서 자체가 프로젝트 단위가 될 수 있다. 개인형 프로젝트는 본원에서 개인미디어 프로젝트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제작, 유통 및 보급까지 모두 자체 제작으로 이루어진 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서버(10) 및 본 시스템(100)에 의하면, 본원은 방송사의 방영권 구매와 타 OTT(Over The Top) 플랫폼에 판권 판매, 동영상 공유플랫폼에서의 저작권 관련 등 다양한 부문에서 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 여기서, OTT는 인터넷으로 영화, 드라마 등 각종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대표적인 OTT 업체로는 넷플릭스, 유튜브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시스템(100) 내에서 투자자(2')들은, 프로젝트를 분석하고 판단하여, 프로젝 트의 지분형 디지털 자산을 구매할 수 있으며, 락킹 기간이 풀리면, 본 플랫폼 내에서 스왑 형식으로 사고 팔 수 있다.
본 플랫폼의 사용자들은 크게 3가지 종류의 부류로 구분될 수 있다. 본 플랫폼의 사용자들은 프로젝트 관련 참여자(1')와 투자자(2'), 그리고 일반 사용자들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젝트의 참여자(1')들은 스텝과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본 플랫폼 내에서 구인구직, 캐스팅 등을 할 수 있다.
투자자(2')들은 본 플랫폼 내에서 참여형 합의 알고리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서버운영 등을 통해 보상을 얻을 있으며, 프로젝트를 스스로 판단하고 직접 그 지분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들 중 일예로 인플루언서들은 본 플랫폼을 엔터테인먼트(연 예기획사)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들은 본 플랫폼을 통하여, 엔터테인먼트 스텝진(일예로, 매니저, 스타일리스트, 메이크업아티스트, 동영상편집자, 디자이너, 기획자, 작곡가, 안무가 등)과 AI 매칭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컨트렉트로 법적으로 효력이 있는 전자계약서의 작성을 수행(진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블록체인으로서 기 정의된 PoM(Proof of Merge)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하여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본원에서 제안하는 메커니즘(PoM 멤버쉽 메커니즘)을 의미할 수 있다. 기 정의된 PoM 멤버쉽 메커니즘은 본 플랫폼의 이용량 및 프로젝트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디지털자산 발급량이 결정되도록 정의된 참여형 멤버쉽 알고리즘일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즉, 후술하여 설명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과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본 플랫폼은 PoM(Proof of Merge) 합의 알고리즘(21)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참여형 알고리즘으로서, 참여자, 플랫폼 이용량, 프로젝트량, 블록량, 서버의 확장에 영향을 받아 플랫폼 디지털 자산의 발행량이 결정되도록 설정(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본원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합의 알고리즘으로서, 사용자들의 활동으로 완성되는 새로운 PoM 합의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PoM 알고리즘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합의 참여자와 단순히 플랫폼을 이용만 하는 일반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다. 합의 참여자는 얼마나 본 플랫폼에 많이 접속하고 활동로그를 많이 남기는가에 따라 멤버쉽 등급이 결정될 수 있으며, 등급별로 발행된 코인을 본 시스템(혹은 서버(10))에 의해 보상을 배분받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본원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멤버쉽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생성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이 적용된 본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플랫폼 참여를 독려하고, 본 플랫폼에 대한 활동에 따라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이용해 블록체인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을 의미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밈비의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으로서, 활동에 기준점을 둔 PoM(Proof of Merge)일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PoM 합의 알고리즘은 참여형 멤버쉽 알고리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으로서, 플랫폼 이용량, 프로젝트량, 블록량, 서버의 확장에 영향을 받아 플랫폼 디지털 자산의 발행량이 결정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의하면, 서버(10)는 본 플랫폼(본 시스템, 본 서버)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패시브인컴(Passive income) 수익을 주고, 참여형 멤버쉽으로서 밈비 플랫폼(본 플랫폼)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여기서, 패시브인컴은 내가 일을 하지 않아도 잠자는 시간에도 돈이 쌓이는 신종 불로소득을 의미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PoM Membership Mechanism)은 일예로 도 5a에 도시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멤버쉽 서비스의 제공시 일예로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멤버쉽 기준을 토대로 디지털자산을 분배하여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일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흐름과 같이 동작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즉, 도 4a 내지 도 4c)를 함께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서버(10)는 이러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의 동작 흐름을 기반으로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상(리워드)을 지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원(본 시스템, 본 서버, 본 플랫폼)은 사용자들의 활동으로 완성되는 새로운 PoM 합의 알고리즘으로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PoM Membership Mechanism)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PoM은 Proof of Merge를 의미할 수 있다.
기존 블록체인 동영상, 미디어 제작 관련 플랫폼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대부분 보상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은 미디어콘텐츠와 제작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제공함으로써 보상 획득만을 위한 플랫폼 참여율을 낮추고자 한다.
본원은 본 플랫폼을 이용하고 참여하는 실제 사용자들에게 보다 적합한 보상을 제공하고자,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인 PoM(Proof of Merge)로서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고안하였다.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플랫폼 사용도, 프로젝트 활동에 따라 보상을 지급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서버(10)는 이러한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활동에 따라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일예로, 서버(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통해 멤버쉽을 제공할 때,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예로 본 플랫폼의 이용 시간, 워커시스템의 이용 내역, 후술하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의 이용 내역, 미디어 업로드 및 시청, 서버 기여도(풀노드/라이트노드), 프로젝트 투자내역 및 투표 활동 등을 멤버쉽 제공 기준으로 하여, 멤버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일예로 사용자가 본 서버(10)를 통해 수행한 프로젝트 활동, 프로젝트 투자, 플랫폼에 대한 활동(참여 활동), 노드 활동 등에 따라 플랫폼 점수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멤버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멤버쉽 기준(멤버쉽 지급 기준)에 대하여,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비율(일예로 1등급 5%, 2등급 10%, 3등급 20%, 4등급 40%)에 따라 해당 사용자들에게 디지털자산을 분배(일예로 18.75%)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들에 대한 디지털자산의 분배율(디지털자산 분배율)은 미리 설정된 사용자 비율의 기준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버(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혹은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상 지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원에서 디지털자산 분배, NFT 지급(분배), 수익 분배, 보상 지급, 멤버쉽 지급 등의 수행은 서버(10) 내 보상 지급부(미도시), 제2 처리부(12) 및 제5 처리부(15)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상 지급부(미도시)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함으로써, 일예로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플랫폼 이용 시간을 분석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상위 5%에 해당하는 사용자들(A 등급 사용자들)에게 25%의 디지털자산 분배율에 해당하는 디지털자산을 보상으로서 지급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하여 보상 지급부(미도시)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플랫폼 이용 시간을 분석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상위 5% 초과 15% 이하에 해당하는 사용자들(B 등급 사용자들)에게 25%의 디지털자산 분배율에 해당하는 디지털자산을 보상으로서 지급할 수 있다. 이때,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는, 멤버쉽 등급별로 분배되는 디지털 자산은 같도록 설정되어 있는 반면, 등급에 따라 분배되는 수익률은 달라지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멤버쉽 제도라 할 수 있다.
기존의 타 플랫폼에서는 대부분 PoW(Proof of Work)나 PoS(Proof of Stake)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팅 파워와 지분증명, 그래픽 등 환경 문제나 자산 소유 시 디지털자산 급락에 따른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암호화폐 채굴방식 중 하나인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은, 모든 참여자가 블록을 나눠 가진 후 블록 내에 들어 있는 암호를 풀면(채굴하면) 암호화폐로 일정한 보상을 주는 방식으로, 암호를 많이 해독할수록 많은 암호화폐를 얻을 수 있다. 즉, 이 과정은 참여자들이 블록에 담긴 암호를 해독하고 검증해 새로운 블록을 인정받게 하는 절차이다. 암호를 너무 빨리 풀 경우 과도한 보상이 이뤄지기 때문에 참여자가 많아지면 암호의 연산 난이도가 높아진다. 비트코인을 비롯해 라이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이 방식을 채택해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이 단순 거래가 아닌 투기의 대상으로 변질되면서 고성능의 장비를 통해 채굴하는 사례가 증가했다. 이로 인해 대형 채굴자들이 운영 권한을 독점할 수 있고 많은 전기가 소모된다는 비판이 나왔고, 더 안정적인 증명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엇다. 이에 따라 POS 등이 등장하였다.
암호화폐 채굴방식 중 또 다른 하나인 지분증명(POS: Proof-of-Stake)은, 시중의 암호화폐의 거래 빈도, 양 등을 고려해 암호를 풀지 않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이다. 먼저 POS는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 지분이 많을수록 많은 보상을 받는 방식이다. 즉, 채굴량에 보유 지분을 곱해 암호화폐를 지급받는다. 이는 피어코인(PeerCoin)에 처음 적용됐으며, 네오(NEO), 스트라티스(Stratis) 등도 이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PoW(Proof of Work)나 PoS(Proof of Stake)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되면, 컴퓨팅 파워와 지분증명, 그래픽 등 환경 문제나 자산 소유 시 디지털자산 급락에 따른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본원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사용(특히,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수, 프로젝트 개수, 서버 증가 등의 기준에 의해 디지털자산 발급량이 결정되므로, 본원은 디지털자산의 급락에 대한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컴퓨팅 파워 사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환경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제안하는 PoM 합의 알고리즘(21)(내지 이를 포함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은, 본원만의(밈비만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블록체인 멤버쉽 합의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의 구체적인 동작 흐름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사항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도 6 및 도 7에서 각 표시 아이콘/단어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에서, 노드 사용자는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로서, 특히 복수의 그룹(노드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엔진은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을 의미하고, U는 유저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 입력을 의미하고, M은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의미한다. 1은 PoM 합의 알고리즘(21) 내 1차 합의 모듈을 의미하고, 2는 PoM 합의 알고리즘(21) 내 2차 합의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L은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멤버쉽 레벨링(leveling) 모듈을 의미하고, c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밈비 코인 공급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Ex 는 외부 블록체인(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을 의미할 수 있다. Es 는 엔진 스타트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Es는 입력값이 주어졌을 때 엔진(PoM 멤버쉽 관리 엔진)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는 멤버쉽 관리 엔진부, 멤버쉽 레벨링부, 디지털자산 공급부, 및 합의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각 구성들을 도 5a의 구성과 대비해 보면 다음과 같이 대응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a에서,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은 멤버쉽 관리 엔진부와 대응되고, 멤버쉽 LEVELING 모듈은 멤버쉽 레벨링부와 대응되고, 멤버 코인 공급 모듈은 디지털자산 공급부와 대응되고,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합의 수행부와 대응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합의 수행부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할 수 있다.
멤버쉽 관리 엔진부(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는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제작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반으로 하고, 합의 수행을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멤버쉽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제작 플랫폼은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하며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제작 플랫폼(즉, 본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플랫폼, 본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멤버쉽 레벨링부(즉, 멤버쉽 LEVELING 모듈)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활동 이력에 따라 부여되는 플랫폼 점수(플랫폼 점수 = 프로젝트 활동 점수, 프로젝트 투자 점수, 플랫폼 활동 점수, 노드 활동 점수)를 기반으로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노드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원에서 플랫폼 점수는 활동 점수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활동 이력은 플랫폼 이용량, 프로젝트량, 사용자 수, 서버의 확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활동 이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 이력에 따라 부여되는 플랫폼 점수(활동 점수)는 일예로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로젝트 활동 점수, 프로젝트 투자 점수, 플랫폼 활동 점수, 노드 활동 점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멤버쉽 레벨링부(즉, 멤버쉽 LEVELING 모듈)는 기 정의된 멤버쉽 정책(멤버쉽 관리 정책)에 따라 각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멤버쉽 정책(Memvership Policy)은 거버넌스 투표에 의해 변경 가능한 정책일 수 있다.
멤버쉽 관리 엔진부(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는 멤버쉽 라벨링부에서 산정된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 정보와 멤버쉽 등급 산정 시점의 멤버쉽 정책 정보를 멤버쉽 정보로서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한 사용자에 대한 멤버쉽 등급의 산정 근거는 해당 시점의 멤버쉽 정책 정보와 함께 멤버쉽 정보로서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디지털자산 공급부(즉, 멤버 코인 공급 모듈)는 플랫폼의 상태 변화에 따라 디지털자산 발급량(발행량)을 계산하고 디지털자산을 발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의 상태 변화는 사용자 증가(사용자 수 증가량), 프로젝트 증가(프로젝트 증가량)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디지털자산은 코인을 의미할 수 있다.
플랫폼의 상태 변화량에 비례하도록 디지털자산 발급량이 결정될 수 있다. 일예로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수가 증가할수록 디지털자산의 발급량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수가 제1 범위(일예로, 100명 이상 500명 미만) 만큼 증가한 경우, 디지털자산의 발급량은 제1 값(300 코인)으로 발행되고,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수가 제1 범위보다 큰 제2 범위(일예로, 500명 이상 1000명 미만)만큼 증가한 경우 디지털자산의 발행량은 제1 값보다 큰 제2 값(일예로, 600 코인)으로 발행될 수 있다.
멤버쉽 레벨링부(즉, 멤버쉽 LEVELING 모듈)는 사용자에 대하여 산정된 멤버쉽 등급을 기반으로 디지털자산 공급부에서 발행된 디지털자산을 리워드로서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합의 수행부(즉, PoM 합의 알고리즘(21))는 플랫폼에서 트랜잭션이 발생된 경우, 트랜잭션의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노드(검증자 단말)를 선출하고 선출된 검증 노드를 대상으로 트랜젝션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트랜잭션은 처리되는 특정한 업무, 특정한 거래. 또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 기록을 의미할 수 있다. 플랫폼에서의 트랜잭션의 발생은 일예로 합의 수행부가 감지할 수도 있고, 다른 일예로 멤버쉽 관리 엔진부 내에 별도로 마련된 감지부가 감지할 수도 있다.
합의 수행부(즉, PoM 합의 알고리즘(21))는 복수의 그룹(노드 그룹)에 속한 노드들 중 미리 설정된 수의 노드를 랜덤하게 검증 노드로서 선출하고, 선출된 검증 노드에 바인딩되어 있는 사용자들의 권한 증명(투표 권한 증명)을 기반으로 투표를 수행함으로써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합의 과정에서 투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그룹(노드 그룹)은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예로 제1 그룹인 개미(플랫폼 활용 목적), 제2 그룹인 고래(프로젝트 투자 목적), 제3 그룹인 밈비&밈버(중립 Zone)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그룹은 소속된 프로젝트별로 생성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 타입(목적)에 따라 그룹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복수의 그룹은 소속 그룹(참여 그룹)마다 생성될 수 있으며, 이때 소속 그룹(참여 그룹)은 프로젝트나 사용자 타입에 따라 형성(구분)되는 그룹일 수 있다.
합의 수행부에서, 검증 노드를 선출함에 있어서, 본 플랫폼에 대한 활동이가 높은 노드일수록(즉, 활동이 높아 멤버쉽 등급이 상위 등급으로 산정된 노드일수록) 검증 노드로의 선출 가능성이 높게 부여될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노드들)은 플랫폼 활동이 높을수록 더 많은 비중을 갖게 되어 이와 비례적으로 검증 노드(검증자)로서 선출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본 서버(10)는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들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며, 사용자의 플랫폼에서의 활동 및 기여도에 따라 차등된 멤버쉽을 운영할 수 있다. 멤버쉽에서 등급은 각 참여 그룹을 대표하여 트랜잭션을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인(Validators)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합의 수행부(PoM 합의 알고리즘(21))는 검증 노드의 선출을 통해 검증인 집합(validator set)(즉, 검증 노드 집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검증인 집합에 포함된 노드들(검증 노드들)을 대상으로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검증인 집합은 가중 round-robin 방식으로 번갈아 가면서 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합의 수행부(즉, PoM 합의 알고리즘(21))는 합의로서, 1차 합의 모듈을 통한 1차 합의 및 2차 합의 모듈을 통한 2차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합의 수행부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활동에 따른 합의 및 거버넌스 투표 기반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멤버쉽 관리 엔진부(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는 합의 수행부를 통해 이루어진 합의의 수행에 의한 합의 결과를 기반으로, 검증 노드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트랜잭션들만을 블록화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트랜잭션은 멤버쉽 정보 관련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은 복수 유형의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유형의 안건에는 프로젝트 관련 안건, 멤버쉽 관련 안건, 코인 발행 관련 안건 및 정책 관련 안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젝트 관련 안건은 기획서 제출(기획 응모)이 이루어지면 해당 기획서에 대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지를 결정하는 안건 등일 수 있다. 멤버쉽 관련 안건은 멤버쉽 레벨링 합의 요청에 대한 안건 등일 수 있다. 코인 발행 관련 안건은 코인 발행 합의 요청, 코인 발행 요청 등에 대한 안건 등일 수 있다. 정책 관련 안건은 멤버쉽 정책(멤버쉽 관리 정책)의 변경과 관련된 안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멤버쉽 코인 공급 정책, 멤버쉽 레벨 분배 정책, 프로젝트/플랫폼 합의 정책 등의 변경과 관련된 안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합의 수행부는 복수 유형의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에 대하여, 선출된 검증 노드를 통해 합의를 수행하여 합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도출된 합의 결과를 멤버쉽 관리 엔진부로 제공할 수 있다. 멤버쉽 관리 엔진부(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는 복수 유형의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에 대하여, 합의 수행부로부터 전달받은 합의 결과(즉, 합의 관련 정보, PoM 합의 정보)를 기반으로 검증 노드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트랜잭션들만을 블록화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멤버쉽 관리 엔진부(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는 합의 수행부(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통해 도출된 합의 결과를 본 서버(10)의 내부 블록체인의 블록에 Hash값으로 기록(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된 Hash값을 한번 더 외부 블록체인(특히,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에 기록(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합의 참여자와 단순히 플랫폼을 이용만 하는 일반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을 이용만 하는 일반 사용자는 예시적으로 도 5b에서 밈버를 의미할 수 있다. 합의 참여자는 일예로 밈버를 제외한 사용자로서 스태프, 출연진, 투자자, 광고, 기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합의 참여자는 얼마나 플랫폼에 많이 접속하고 활동 로그(활동 이력, 플랫폼 활동 이력)을 많이 남기는가에 따라서 그들의 멤버쉽 등급이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등급(멤버쉽 등급)별로 발행된 코인(디지털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의해 보상(리워드)을 배분받을 수 있다.
즉,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는 사용자의 활동(활동 이력)를 기준으로 멤버쉽 제도를 운영하며, 디지털자산 공급부(멤버 코인 공급 모듈)에 의해 발행된 디지털자산(코인)을 사용자들이 자신의 멤버쉽 등급별로 주기적으로 배분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밈비의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PoM Membership Mechanism)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플랫폼 활동 이력을 기준으로 PoM 합의 알고리즘(21)를 통해 Proof of Merge(PoM) 합의 과정을 거쳐 블록체인 멤버쉽을 통합 및 관리하는 메커니즘으로 정의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사용자들에 의한 플랫폼 활성도에 따라 리워드(보상, 포인트, 점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원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특히,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은 플랫폼 이용량, 프로젝트량, 사용자 수, 서버의 확장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 이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수집하여 4 단계의 등급(Grade)(즉, 1등급, 2등급, 3등급 및 4등급)으로 멤버쉽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은 밈비(본 플랫폼, 본 서버)의 사용자 수 혹은 프로젝트 증가량에 따라 밈비 코인 발행량을 계산하고 추가 코인을 발행하는 중심을 담당할 수 있다. 이때, 발행된 코인은 밈비 멤버쉽 정책(MYMB Membership Policy)에 의해 사용자 활동에 따라 리워드로서 분배될 수 있다. 즉,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은 코인을 발행하며, 밈비 멤버쉽 정책을 기반으로 발행된 코인을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리워드로서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Proof of Merge(PoM)은 사용자(직접) 합의와 시스템(간접) 합의를 노드를 통해 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Proof of Merge(PoM)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의미할 수 있다.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의해 밈비 시스템 기능과 멤버쉽 관리, 프로젝트 관련 건 등에 대한 합의 과정이 완료되면, PoM 합의 알고리즘(21)에서 합의 과정 완료에 의해 생성된 합의 관련 정보가 밈비 멤버쉽 정책(Membership Policy)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때, 합의를 위한 그룹은 개미(플랫폼 활용 목적), 고래(프로젝트 투자 목적), 및 밈비&밈버(중립 Zone)를 포함한 복수의 그룹(노드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에서 합의 과정의 수행을 위해, 합의를 위한 그룹(노드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합의를 위한 그룹(노드 그룹)에는 복수의 그룹으로서, 제1 그룹인 개미(플랫폼 활용 목적), 제2 그룹인 고래(프로젝트 투자 목적), 제3 그룹인 밈비&밈버(중립 Zone)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 그룹들에 의해 합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개인기기를 노드 활동에 융합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목적에 일치하는 노드 기능을 활성화 시켜 사용자(직접) 투표 혹은 시스텝(간접) 투표를 진행하면 된다. 이는, 민주적인 투표 방법으로써 플랫폼이 자체적으로 관리 및 운영되는 효과를 가져 온다. 달리 표현하면,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본 앱에 접속한 사용자, 일예로 신규 사용자)는 합의를 위한 그룹에 참여하고자 할 경우, 복수의 그룹(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 중 어느 한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어느 한 그룹을 선택한 해당 사용자(일예로 신규 사용자)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의 참여에 관해 사용자(직접) 투표 혹은 시스텝(간접)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복수의 그룹(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할 수 있다. 각 그룹 내에는 사용자들이 다수의 유형의 노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그룹에는 개인노드, 스태프, 출연진, 일반 사용자 등을 포함한 다수 유형의 사용자들(노드)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그룹에는 서버노드, 투자자, 광고, 기업 등을 포함한 다수 유형의 사용자들(노드)이 포함될 수 있다. 제3 그룹에는 밈비 플랫폼, 중앙서버, 밈버 등을 포함한 다수 유형의 사용자들(노드)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밈버는 밈비 플랫폼(본 플랫폼) 활동을 하는 중립적인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복수의 그룹 내 다수의 유형의 노드 중 어느 한 유형의 노드에 속할 수 있다.
기존의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는 대부분 PoW(Proof of Work)나 PoS(Proof of Stake)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팅 파워와 지분증명, 그래픽 등 환경 문제나 자산 소유 시 디지털자산 급락에 따른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블록체인(즉, 본 서버(10)가 이용하는 블록체인인 밈비 블록체인)은 속도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하이퍼렛저 블록체인(기업형)으로 설계된 것일 수 있다.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통해 도출된 PoM 합의 정보(합의 관련 정보)는 신뢰성과 투명성, 불변성을 위해 내부 블록체인의 해당 블록 Hash값을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에 한번 더 기록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통해 도출된 PoM 합의 정보를 본 서버(10)의 내부 블록체인의 블록에 Hash값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된 Hash값을 한번 더 외부 블록체인(특히, 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블록체인은 본 서버(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블록체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예로 도 5a에 도시된 'MYMB Blockchain' 및 도 4a에 도시된 PoM(20)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블록체인은 본 서버(1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마련된 블록체인(외부 퍼블릭 블록체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예로 도 5a에 도시된 'External Blockchain' 및 도 4a에 도시된 Pub.와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서버(10)가 고려하는 블록체인(밈비 블록체인,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하이퍼렛저 블록체인(기업형)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서버(10)에서 고려되는 블록체인(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의해 발생된 합의 정보(합의 관련 정보)의 신뢰성과 투명성, 불변성을 위해, 합의 관련 정보의 기록을 내부 블록체인 뿐만 아니라 이를 퍼블릭 블록체인에 한번 더 기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PoM 합의 과정(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의한 합의 과정)을 거친 건은 밈비 블록체인의 해당 블록 Hash값을 외부 블록체인에 한번 더 기록하는 형식일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활동 점수로서 프로젝트 활동 점수, 프로젝트 투자 점수, 플랫폼 활동 점수, 노드 활동 점수 등을 제공(부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 활동 점수는 프로젝트 기획, 프로젝트 공모 투표, 워커시스템 이용 등을 수행한 경우일 때 제공되는 점수일 수 있다. 프로젝트 투자 점수는 프로젝트 NFT 투자, NFT 거래 등이 수행되었을 때 제공되거나 NFT 소유 기간에 따라 제공되는 점수일 수 있다. 플랫폼 활동 점수는 사용자가 본 플랫폼에서 활동한 점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DID 사용자 인증, 동영상 업로드, 동영상 시청, 플랫폼 커뮤니티 활동 등의 수행시 제공되는 점수일 수 있다. 노드 활동 점수는 사용자가 노드로서 활동을 할 때 제공되는 점수로서, 개인 기기 노드 참여, 서버 노드 운영, 시스템(간접)<사용자(직접) 등에 따라 제공되는 점수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밈비(특히, PoM 멤버쉽 메커니즘(20))는 사용자수, 프로젝트 개수, 서버 증가 등의 기준에 의해 디지털 자산 발급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격 급락에 대한 리스크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컴퓨팅 파워 사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기존의 환경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제안하는 PoM(Proof of Merge) 블록체인 메커니즘인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사용자들을 위한 밈비만의 새로운 성장형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에 필요한 금액을 블록체인의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을 이용하여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Intellectual Property, IP) 지분율을 유동적으로 확보한 후 실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사전제작 등)에 필요한 금액의 투자가 NFT를 이용하여(NFT 투자 프로세스, NFT 조각 투자 프로세스를 이용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IP(저작권)에 NFT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조각 투자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NFT를 이용하여 투자 프로세스가 진행(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MYMB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MYMB 프로젝트라 함은, IP(저작권)에 NFT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는 전체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10)는 프로젝트(프로그램형 프로젝트, 개인형 프로젝트)의 제작과 관련하여, 프로젝트 제작에 관한 저작권(IP)에 대하여 NFT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하고, 이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NFT는 고유하면서 상호 교환할 수 없는 토큰을 뜻하며, 사진, 비디오, 오디오 및 기타 유형의 디지털 파일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NFT는 하나의 디지털 단위(미디어콘텐츠)를 작은 단위로 분할이 가능하며, 발행된 NFT에 투자 및 수익 배분을 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다. NFT를 활용한 조각 투자 방식은 미국 주식의 미니스톡, 소수점 단위 투자 서비스처럼, 제작 금액이 큰 미디어콘텐츠를 작은 단위로 투자/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기존에는 중개자 수수료, 추가 투자, 저작권 계약 비율 등 복잡한 투자 프로세스를 통한 수익 배분이 이루어졌다. 이에 반해, 서버(10)는 본 플랫폼(밈비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 기존의 투자 프로세스를 간소화시키면서도, 사용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NFT 조각 투자 프로세스를 새롭게 고안하여 제공한다. 즉, 서버(10)의 후술하는 제5 처리부(15)는 본원에 의해 새롭게 고안된 NFT 기반 투자 프로세스(NFT 투자 프로세스, NFT 조각 투자 프로세스)를 통해 투자(미디어콘텐츠 제작 관련 투자) 및 수익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기획선정/투표를 진행 후 펀딩(funding)을 통해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게 되면,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프로젝트 전문관리팀이 제작에 필요한 요건을 처리하도록 하고, 본 시스템(100)의 스마트계약을 활용하여 출연진, 스텝 등이 고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에 대한 미디어콘텐츠가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완료되면, 광고/PPL/OTT/해외판권 판매금액이 NFT 지분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처리부(11), 제2 처리부(12), 제3 처리부(13), 제4 처리부(14), 제5 처리부(15) 및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1)는 기획선정과 투표를 수행하는 기획선정/투표 관련 처리부일 수 있다. 제2 처리부(12)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하는 투자/자금조달 관련 처리부일 수 있다. 제3 처리부(13)는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미디어콘텐츠) 제작 관련 처리부일 수 있다. 제4 처리부(14)는 제3 처리부(13)에서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공급하고 판매하는 공급/판매 관련 처리부일 수 있다. 제5 처리부(15)는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와 관련하여 광고/PPL/OTT/해외판권 판매금액을 NFT 지분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 배분 관련 처리부일 수 있다. 즉, 제5 처리부(15)는 NFT 기반 투자 프로세스(후술하는 투자 시스템)를 통해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서버(10)의 전체 동작 흐름(즉, 전체 프로세스)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서버(10)는 일예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흐름(프로세스)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밈비 내부시스템은 서버(10)를 의미할 수 있고, 시스템유저는 서버(10)와 연동되는 사용자들(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기획단계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프로젝트 기획에 참여를 희망하는 사용자)인 참여자(1')는, 자신의 기획서(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를 참여자 단말(1)을 통해 서버(10)에 제출(업로드)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1)는 복수의 참여자가 제출한 기획서(복수의 기획서)를 서버(10) 내 기획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1)는 기획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복수의 기획서 중 실제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기획서를 제작 대상 기획서로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처리부(11)는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을 위해 투표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1)에서 투표에 의해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즉,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선정)이 이루어지면, 이후 투자/자금조달 관련 제2 처리부(12)는 투자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할 수 있다.
즉, 제2 처리부(12)는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이 이루어지면 투자 프로세스를 수행(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자 프로세스는 시리즈 A(기획 단계, Sales Benefit) - 시리즈B(출연진/감독, 인플루언서_투표 확정 단계) - 시리즈 C(제작 최종 확정)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서버(10)에서 제작(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투자하는 사용자는 일예로 기존 투자자인 기업, 광고, 펀드 등의 거대 자본 그룹과 신종 투자 주류인 MZ세대를 타겟으로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서버(10)에서는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대한 투자를 기존 투자자(기업, 광고, 펀드 등의 거대 자본 그룹) 뿐만 아니라 MZ 세대를 포함한 개인 사용자(개인 투자자)가 투자에 참여할 수 있다.
본원(즉, 본 시스템(100) 및 서버(10))은 지분 조각 투자(크라우드 펀딩 형식)와 본 앱의 활용으로 편리성과 실용성을 토대로 MZ세대를 유입시켜, 기존 투자자들의 고자본 투자 위험 부담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Cap(투자 시 수익금 제한 설정)을 없앰으로써 모든 투자자들의 수익 창출을 배가시키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서버(10)에서 고려되는 참여 프로세스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기획단계(일예로, 기획공모 단계)에 참여하길 희망하는 사용자(즉, 참여자(1')는 본인의 기획서를 서버(10)에 제출(업로드)함으로써 제출한 기획서에 대하여 사람들(미리 선정된 전문가 집단)에게 평가/투표를 받을 수 있다. 참여자(1')는 자신의 기획서가 선정되면(즉, 자신의 기획서가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의 기획서로서 선정되면) 투자자들에게 투자를 받아 실제 콘텐츠를 실현(즉, 실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15)는 일예로 미디어콘텐츠 제작 관련 기획자에게 총 제작비의 1%의 IP(저작권) 지분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제작에 참여하는 인력은 투자 프로세스 내 시리즈 A의 가격에 상응하는 가격으로, 제작되는 미디어콘텐츠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서버(10)는 선정된 기획서(제작 대상 기획서)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실제 참여하는 사용자들에게 본 플랫폼의 부가 서비스(밈비 부가 서비스)인 워커시스템(Woker-System, MYMB Woker-System)을 사용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표준계약서에 의거한 스마트컨트렉트, DID를 통한 급여 관리 및 경력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즉,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일예로 미디어 관련 종사자 및 인플루언서, 대중예술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워커시스템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서버(10)는 프로젝트가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인 경우에 대하여 도 3b에 도시된 흐름에 따라 프로젝트를 진행(처리)할 수 있다. 반면, 서버(10)는 프로젝트가 개인형 프로젝트인 경우에 대하여 도 3c에 도시된 흐름에 따라 프로젝트를 진행(처리)할 수 있다.
도 3(즉,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즉,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참여자(1')는 기획 공모 단계에서 참여자 단말(1)을 통해 서버(10)에 기획서를 제출(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자(1')가 제출하는 기획서는 일예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에 관한 기획서일 수 있다.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드라마, 예능, 교양 등을 포함하는 방송 범위의 프로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기획선정/투표 관련 제1 처리부(11)는 다양한 전문가 집단을 미리 선정해 둔 후,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통해 참여자(1')가 제출한 기획서에 대한 투표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기획서가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인지를 선정(결정)할 수 있다. 이때, 투표를 통해 기획서가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의 기획서인 것으로 선정된 경우, 선정된 기획서는 본원에서 제작 대상 기획서(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의 기획서)라 지칭될 수 있다. 즉, 제1 처리부(11)는 복수의 참여자가 업로드한 복수의 기획서에 대하여, 복수의 기획서 중 어느 기획서가 제작 진행이 가능한 프로젝트인지를 선정하기 위한 투표를 미리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복수의 기획서 중 제작 대상 기획서가 선정될 수 있다.
참여자(1')는 기획 공모에 기획서를 제출할 수 있으며, 이를 다양한 전문가 집단을 선정 후 투표를 통해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가 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처리부(11)는 프로젝트가 선정되기 전(즉, 복수의 기획서 중 제작 대상 기획서가 선정되기 전)까지 투표를 익명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1 처리부(11)가 복수의 참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기획서들은 블록체인(일예로, 퍼블릭 블록체인)의 블록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익명성과 불변성을 통한 저작권 확보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제1 처리부(11)에서 제작 대상 기획서가 선정되면, 투자/자금조달 관련 제2 처리부(12)는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에 대응하는 프로젝트(즉,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가능한 프로젝트)의 제작예산을 책정하고, 여기에 맞추어 실제 제작비를 투자받을 수 있다. 즉, 진행 가능 프로젝트는 제작예산을 책정하게 되고, 여기에 맞추어 실제 제작비를 투자받게 된다.
이때, 기존에는 프로젝트의 제작비 투자와 관련하여, 주로 기업이나 문화예술 관련 펀드회사, 광고주가 투자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시스템(100)(본 플랫폼, 본 서버)에서는, 개인이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으며, 투자금액의 지분만큼 디지털자산을 받을 수 있다. 즉, 본 시스템(100)에서는 기업, 문화예술 관련 펀드회사, 광고주 등 뿐만 아니라,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 누구나가(개개인이)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다.
투자/자금조달 관련 제2 처리부(12)를 통해 제작 대상 기획서에 대응하는 프로젝트(즉,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 제작비 모금이 완료되면, 콘텐츠 제작 관련 제3 처리부(13)는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에 대한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전제작이 끝날 때까지 디지털자산은 락킹(lock-up)이 될 수 있다.
제3 처리부(13)에서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에 대한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이 끝나면(완료되면), 공급/판매 관련 제4 처리부(14)는 사전제작이 완료된 미디어콘텐츠(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공급하고 판매할 수 있다. 이때, 제4 처리부(14)는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의 공급/판매의 수행시 방영권, 판권 관련된 부분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의 자산(해당 자산)은 본 플랫폼 내에서 스왑 형태로 거래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전제작이 끝나고, 방영권, 판권 관련된 부분이 진행되게 되면, 해당 자산(락킹되었던 디지털자산인 NFT)은 락킹이 해제되어(lock-off) 플랫폼 내에서 스왑 형태로 거래가 가능할 수 있다.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15)는, 제4 처리부(14)에서 미디어콘텐츠를 공급/판매할 때 발생되는 금액(판매금액)을 NFT 지분에 따라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여기서, 방영권은 방영을 할 수 있는 정당한 권리를 의미하고, 판권은 저작권을 가진 사람과 계약하여 그 저작물의 이용, 복제, 판매 등에 따른 이익을 독점할 권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왑(Swap, 스와핑) 형태라 함은 교환한다는 의미를 가진 거래 형태(스왑거래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두 당사자가 각기 지니고 있는 미래의 서로 다른 자금흐름을 일정기간 동안 서로 교환하기로 계약하는 거래를 의미(즉, 계약조건 등에 따라 일정시점에 자금흐름의 교환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금융기법을 의미)할 수 있다.
서버(10)가 개인형 프로젝트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참여자(1')는 기획 공모 단계에서 참여자 단말(1)을 통해 서버(10)에 기획서를 제출(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자(1')가 제출하는 기획서는 일예로 개인형 프로젝트에 관한 기획서일 수 있다.
여기서, 개인형 프로젝트는, 개인으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의 척도에 따라 적용되는 개인형 프로젝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1인 미디어와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해, 개인형 프로젝트는 인플루언서 자신의 1인 기업화라고 할 수 있으며, 서버(10)는 개인미디어(개인형 프로젝트)를 지분화하고 이를 지분형 디지털 자산의 형태로 마련하여 구독자나 플랫폼 사용자들(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구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개인형 프로젝트로서 활동하고자 하는 사용자(일예로, 참여자 혹은 일반 사용자)는 구독자 수, 기존 광고 수입, 개인미디어의 경쟁력, 공익성 등의 판단기준으로 전문가 집단의 투표로 프로젝트권을 획득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 이들은 프로젝터라 지칭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참여자(1')가 기획서(특히, 개인형 프로젝트에 관한 기획서, 혹은 인플루언서_기획서)를 서버(10)에 제출하면, 기획선정/투표 관련 제1 처리부(11)는 다양한 전문가 집단을 미리 선정해 둔 후,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통해 참여자(1')가 제출한 기획서에 대한 투표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기획서가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인지를 선정(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문가 집단은 제출된 기획서에 대하여 구독자 수, 기존 광고 수입, 개인미디어의 경쟁력, 공익성 등의 판단기준으로, 해당 기획서가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 프로젝터와 일반 인플루언서들은 편집자, 촬영기사, 기획자 등을 AI 서비스를 통해 본 플랫폼 내 활동하는 사용자들과 계약을 수행할 수 있다. 쉽게 설명하자면, 유튜브의 mcn의 역할을 본 플랫폼이 한다고 비유해볼 수 있다.
한편, 워커시스템(Woker-System, MYMB Woker-System)은 인력 중개 시스템, 인력 관리 시스템, 밈비 인력 관리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들에게 본 플랫폼의 부가 서비스(밈비 부가 서비스)로서 워커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워커시스템은 Woker-System, MYMB Woker-System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8은 종래의 다단계 형식의 고용 시스템 구조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제공하는 워커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모든 미디어 프로젝트(미디어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젝트)에서는 수많은 스텝이 필요하다.
도 8에는 종래의 다단계 형식의 고용 시스템의 구조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사 내에는 내부 조연출, 편집자 등이 있으며, 제작사 혹은 방송사가 개인&팀 단위로 프리랜서 혹은 하청업체 단위로 계약하여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다단계 형태의 고용 시스템 구조와는 달리, 본 플랫폼의 워커시스템은 수평형 구조를 갖는 P2P(Project to People) 형태의 구인구직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워커시스템(즉, 본원에서 제안하는 워커시스템)은 DID를 통한 이력 자동 관리, 표준계약서에 기반한 스마트컨트렉트 계약서비스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인 워커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구인구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워커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개인 인증을 통해 DID를 획득하게 되면, 자신만의 이력 관리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개인 이력을 등록/인증받게 되면, 이 기록은 암호화되어 블록에 동기화될 수 있다. 구인을 원하는 사용자가 AI 매칭 서비스에서 검색하게 되면 자신의 이력 정보를 베이스로 일을 제안받을 수 있다. 여러 프로젝트를 거치면서 사용자들은 평가시스템에 점수와 후기를 남길 수 있는데, 이는 해당 인력의 신뢰점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신뢰점수가 높은 인력일수록 시장경제원리에 따라 고용금액이 상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에게 워커시스템을 이용해 구직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일예로 미디어 관련 종사자 및 인플루언서, 대중예술인을 타겟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워커시스템(즉 P2P(Project to People) 형태의 구인구직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워커시스템은 기존의 수직적인 계약 구조가 아닌 P2P의 수평적인 계약 구조의 시스템일 수 있다. 서버(10)는 워커시스템에서 모든 계약이 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디어 종사자와 대중예술인의 이력 관리, 공정한 수익 관리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워커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실제 경력과 실력에 대한 정당한 권리를 부여받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제공하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10)는 사용자들에게 본 플랫폼의 인플루언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 시스템은 상술한 워커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작동)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 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서버(10)는 소속 연예인 관리 및 필요 인력을 배치시켜 주며, 캐스팅의 기회를 마련해 주고, 팬덤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안하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은 방송인 연예기획사과 인플루언서 매니지먼트 범위를 포함하며, 전술한 3가지 역할을 본 플랫폼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서버(10)는 본 플랫폼의 워커시스템(WORKER-SYSTEM)을 통해 필요한 매니저, 스타일리스트, 작곡가, 안무가 등을 구하고(모집, 선정하고), 본 플랫폼을 통해 계약을 맺도록 할 수 있다.
현재 대형 기획사 '엑소더스(Exodus·대탈출)' 현상이 불거지고 있으며, 대형 기획사에서 나온 연예인들은 1인 기획사, 혹은 군소 기획사로 흘러들고 있다. 이에 본 플랫폼에서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제약 없이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능력과 개성에 맞추어 활동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
기존 연예인이 대형기획사를 나왔을 때 가장 부담스러운 부분은 본인이 필요한 인력을 찾고, 계약을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의 복잡성과 신뢰의 문제 때문에 1인 기획사를 직접 차리거나 자신의 개성을 존중해 주는 군소 기획사를 찾게 된다.
본 플랫폼에서는 사용자(일예로, 참여자, 투자자, 혹은 일반 사용자들 등)가 자신이 원하는 인력을 검색을 통해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본 플랫폼은 사용자와 같이 일하던 사람이 있는 경우에도 본 플랫폼을 통해 표준계약서를 기반으로 한 P2P 전자계약서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어,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버(10)는 신인 연예인이나 지망생, 인플루언서들 등의 사용자들도 본 플랫폼의 인플루언서 시스템 및 워커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하여, 손쉽게 필요한 인력을 얻을 수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서버(10)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이력 프로필과 영상 프로필을 업로드 할 수 있는 DID기반 프로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 연출들은 원하는 사람을 캐스팅하기 위해 조연출을 통하거나, 대부분 캐스팅디렉터를 통해 오디션을 진행하곤 한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인증된 연출에 한하여 인플루언서 시스템(혹은 워커시스템)의 AI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프로그램 캐릭터에 맞는 배우들을 모아볼 수 있고, 오디션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바로 캐스팅의 기회를 이 시스템(인플루언서 시스템, 워커시스템)을 통해 서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인플루언서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본 플랫폼 내 프로젝트에서 나오는 캐스팅의 우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본 플랫폼 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연출의 경우 가입된 인플루언서를 검색하게 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업로드 된 영상 프로필 또한 바로 제공받을 수 있다.
신인이나 지망생의 경우 대형기획사 없이 자신의 프로필을 연출에게 노출시키고, 기회를 잡기란 확률적으로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플랫폼의 인플루언서 시스템은 이러한 기회를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서버(10)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으로 하여금 개인형 프로젝트를 통해 팬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존 엔터테인먼트에서는 활동으로 일한 수익을 평균 7:3 비율로 배분하게 되어있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사용자(일예로 참여자)가 개인형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승인받을 경우 프로젝터가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프로젝터)의 수익금은 본 플랫폼에 의해 디지털자산화되어 관리될 수 있고, 이때 본 플랫폼에서는 광고수익금의 60%를 사용자(인플루언서)에게 배분할 수 있고, 일예로 사용자의 수익금의 20%는 NFT 소유자인 팬 혹은 구독자에게 제공(배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서버(10) 내 제5 처리부(15)는 사용자의 수익금의 20%가 팬 혹은 구독자에게 제공(배분)되도록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안하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이 전술한 수익 배분 구조(수익금 배분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됨에 따라, 서버(10)는 사용자(프로젝터)에게 있어서 자신의 활동 범위에 따라 팬들의 충성심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팬들에 대하여 고마움을 표시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팬들은 본 플랫폼을 통해 자신이 응원하는 인플루언서를 지원하면서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통해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후술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에는 DID 적용 프로필 및 경력관리 서비스,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 프로젝트 ERP 시스템 서비스, 프로젝트 전문 관리 서비스, AI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DID 적용 프로필 및 경력관리 서비스
서버(10)는 부가서비스로서 일예로 DID 적용 프로필 및 경력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즉,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일예로 일반 이용자와 플랫폼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 이용자는 본 앱을 통해 본 플랫폼에 회원 가입한 후 단순히 본 플랫폼에 라온 영상 시청 및 사이트 둘러보기 등 기본 제공 기능만 이용할 수 있다. 플랫폼 사용자는 본 플랫폼에 회원 가입한 후 DID를 기반으로 신원 증명을 통해 워커시스템(Worker-System) / 인플루언서 시스템(INFLUENCE_SYSTEM) / 투자 및 거래 등 본 플랫폼 주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워커시스템에 대한 DID 적용에 의하면, 서버(10)는 사용자에게 구인구직 서비스, 이력관리 서비스(기존 이력 - 서류제출 / 플랫폼 사용 후 - 자동적용),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표준계약서 제공, 급여 서비스, 신뢰 점수 획득 등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 시스템에 대한 DID 적용에 의하면, 서버(10)는 사용자에게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표준계약서 제공 서비스, 프로필 업로드 기본용량 제공 (이력 및 영상프로필 업로드 가능), 캐스팅 기회 제공, 워커시스템을 통한 필요 인력 구인 서비스, 개인형 프로젝트 신청시 새로운 수익구조 발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의 주요 기능 중 사용자가 DID 기반으로 이용 가능한 투자 및 거래 기능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DID로 신원증명을 마친 플랫폼 사용자들은 프로젝트를 스스로 판단하고 가치 투자를 할 수 있다. 기존에는 기업이나 기관만 투자 가능했던 반면, 본 플랫폼에서는 NFT형 디지털자산을 통해 개인/소액투자가 방송프로그램 등의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플랫폼을 통해 개인형 프로젝트를 구매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인플루언서의 수입을 일부 공유하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를 제공하는 사용자들 또한 본 플랫폼의 디지털자산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PoM 알고리즘(즉, PoM 합의 알고리즘(21) 내지 그를 포함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본 플랫폼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기여도에 따라 보상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본 플랫폼 내 기여도는 워커시스템이나 인플루언서 시스템, 투자 등에 기반하여 자동산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PoM 알고리즘을 통해 서버(10)로부터 멤버쉽 등급을 부여받을 수 있다.
서버(10)는 DID로 신원 증명을 한 사용자에 한하여 회원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회원의 사용기기가 노드로서 역할도 할 수 있으므로 건강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일예로 아이콘루프, LG CNS 등 DID에 특화되어 있고, 국제표준에 발맞춰 걷고 있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DID의 적용이 가능하다.
2.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
서버(10)는 부가서비스로서 일예로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ID를 적용한 본 플랫폼 내 서비스는 상술한 스마트컨트렉트 기반의 전자계약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ID 로 증명된 신원은 디지털 상 신원으로서 효력을 가질 수 있다. 서버(10)는 일예로 중요 계약의 경우 따로 공증을 해놓는 방식으로 운영 가능하며, 국제표준의 수립에 따라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는 법적인 효력을 가질 수 있다.
전자계약서는 개인정보, 기업정보가 표기되는 민감한 문서이기 때문에, 서버(10)는 전자계약서와 관련하여 계약서를 암호화한 코드만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계약서의 경우 메인 서버(일예로 본 서버(10))에 기록되도록 하고 계약서의 코드(계약서의 암호화된 코드)는 블록체인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는바, 보안성과 불변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어 사용자들이 신뢰를 가지고 본 플랫폼을 통해 전자계약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3. 프로젝트 ERP 시스템 서비스
서버(10)는 부가서비스로서 일예로 프로젝트 ERP 시스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는 생산/판매/인사/회계 등의 데이터를 통합관리 함으로써 조직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경영혁신 기법의 하나로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을 말한다.
방송사나 외주제작사는 방송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ERP 시스템이 존재하고 이를 활용한다. 본 플랫폼에서는 개인형 프로젝트도 추가한 형태의 통합 관리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는 방송제작사에서 쓰는 일반적인 ERP시스템에 DID와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스마트계약이 적용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서버(10)는 개인형 프로젝트와 구분되기는 하지만, 미디어라는 큰 틀 안에서 프로젝트 ERP 시스템을 구축하여 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들로 하여금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도 보다 편의성은 향상된, 그들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4. 프로젝트 전문 관리 서비스
서버(10)는 부가서비스로서 일예로 프로젝트 전문 관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분야는 저작권 및 불법 음란물 등의 뿌리 깊은 문제점을 항상 품고 있다. 이에 본 서버(10)는 DID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들의 신원 관리가 가능함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1차적인 근절 솔루션의 제공은 가능하나, 보다 확실한 근절을 위해서는 프로젝트 단위로 이를 관리할 전문 관리팀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서버(10)는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에 의한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미리 선정된 전문가 집단)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버(10) 내 기획선정/투표 관련 제1 처리부(11)는 일예로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을 일예로 2개의 그룹(프로그램형 전문관리팀 및 개인미디어 전문관리팀)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성된 프로젝트전문 관리팀은 도 11에 도시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처리부(11)에 의해 구성되는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은 일예로 상술한 미리 선정된 전문가 집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프로젝트 전문 관리팀은 전문가 집단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5. AI 서비스
서버(10)는 부가서비스로서 일예로 AI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서버(10)는 [프로젝트 분야별 광고 매칭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예시적으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 건설 관련 드라마 = 광고주 : 건설업 관련 광고 (기타 관련 소품관련 PPL)", "개인형 프로젝트 : 먹방 = 광고주 : 음식 관련 광고 및 PP" 등과 같은 매칭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서버(10)는 [영상 시청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서버(10)는 '일반 알고리즘형 영상 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튜브, 넷플릭스와 같은 자주 시청하는 알고리즘에 따른 영상 시청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선택형 영상 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먹방 #산뜻한 #홈메이드 등의 해시태그 키워드를 통해 자신의 성향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성향에 맞추어 서버(10)로부터 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서버(10)는 [PEOPLE in MYMB 플랫폼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서버(10)는 '프로젝트-프로필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인플루언서(방송인)별 프로필에 제시된 성향, 캐릭터로 연출진이 캐스팅 명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출진이 "#코미디#개성있는#목소리가탁한#30대"로 검색을 수행하면, 서버(10)는 검색을 수행한 해당 연출진에게 그와 관련된 인플루언서의 프로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구인구직 AI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직을 원하는 사람이 자신의 성향과 경력을 등록하면 구인을 원하는 사람은 경력 검색을 통해 자신의 성향과 비슷한 사람이 매칭되어 프로필을 제공받을 수 있다.
구인구직 AI 매칭 서비스에 대해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중 구직을 희망하는 제1 사용자(제1 구직자)가 자신의 프로필 정보(일예로, '#코미디#개성있는#목소리가탁한#30#인플루언서')를 포함한 이력 정보를 서버(10)에 등록해 두었다고 하자. 이때, 이력 정보에는 프로필 정보, 직업(직종) 경력 정보, 주소, 연락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가 본 서버(10)에 이력 정보를 등록해둔 복수의 구직자 중 자신이 희망하는 성향을 가진 구직자를 찾고자 한다고 하자.
이때,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는 본 서버(10)의 구인구직 AI 매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는 자신이 소지한 단말로 본 앱에 접속하여 구인구직 AI 매칭 서비스 제공 메뉴를 클릭하고, 자신이 찾고자 하는 구직자의 성향 관련 키워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성향 관련 키워드 정보로서 '30대, 여자, 인플루언서'가 입력된 경우, 서버(10)는 복수의 구직자 중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성향 관련 키워드 정보와 매칭되는 구직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구직자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구직자가 일예로 제1 사용자라고 하자.
서버(10)는 검색된 제1 사용자(구직자) 관련 정보를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제1 사용자 관련 정보의 제공시, 제1 사용자의 이력 정보(즉, 프로필 정보, 직업 경력 정보,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한 이력 정보 전체) 내 프로필 정보만 1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1차적으로 서버(10)를 통해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만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보고 해당 사용자를 캐스팅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 일영역에 제공되는 캐스팅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서버(10)는 캐스팅 버튼에 대한 제2 사용자의 클릭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캐스팅 알림 메시지는 '제2 사용자 님이 캐스팅을 요청했습니다. 수락 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일 수 있고, 해당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는 일예로 제2 사용자의 기본 소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기본 소개 정보는 캐스팅 목적, 직업, 업종 분야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수락 응답을 한 경우, 2차적으로 서버(10)는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제1 사용자의 이력 정보(이력 정보 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제1 사용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락 응답으로 한 경우에 한하여, 제1 사용자가 등록해 둔 모든 이력 정보(프로필 정보, 직업 경력 정보, 주소, 연락처 등 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1 사용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거절 응답을 한 경우, 서버(10)는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거절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제2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구직자를 보다 빠르게 찾아 캐스팅을 완료(즉, 캐스팅 성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사용자에게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분)의 경과시마다 제1 사용자(구직자)의 단말로 재촉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10분)의 경과시마다 재촉 알림의 제공시, 제공되는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을 달리할 수 있으며, 재촉 알림의 반복 제공시 보다 강도가 높은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
재촉 알림의 알림 유형에는 일예로 메시지 유형인 제1 알림 유형, 메시지와 진동이 결합된 제2 알림 유형, 메시지와 벨소리가 결합된 제3 알림 유형 및 전화 연결 유형인 제4 알림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버(10)가 오늘 오전 10시에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전송했다고 하자. 이때, 서버(10)는 오전 10시 10분 내에 제1 사용자로부터 확인 응답(확인 응답에는 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포함될 수 있음)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오전 10시 10분에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제1 알림 유형(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재촉 알림을 제1 알림 유형으로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분)이 경과한 오전 10시 20분 내에, 역시나 제1 사용자로부터 확인 응답(즉, 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서버(10)는 오전 10시 20분에 재차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재촉하는 재촉 알림을 제2 알림 유형(메시지 제공과 더불어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유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2 알림 유형으로 재촉 알림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1 사용자가 확인 응답을 하지 않으면, 서버(10)는 또 다시 재촉 알림을 제3 알림 유형으로 제공하고, 이 역시도 확인 응답을 하지 않으면 또 다시 재촉 알림을 제4 알림 유형으로 바꾸어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서버(10)는 캐스팅 알림 메시지의 전송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 한하여, 제1 사용자의 확인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설정된 응답 기한(일예로 10분) 마다 재촉 알림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되, 반복적으로 재촉 알림의 제공시 알림 유형을 달리하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재촉 알림을 반복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1시간) 내에 제1 사용자의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1 사용자가 미응답인 것으로 인지하여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의 단말로 구직자의 재선택을 요청(즉, 다른 구직자로의 선택을 요청)하는 재선택 요청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구직자 단말로 알림 유형을 변경하면서 재촉 알림을 반복 제공함에 따라, 서버(10)는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구직자)가 캐스팅 알림 메시지에 대하여 보다 빠르게 응답(수락 응답 또는 거절 응답)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캐스팅 알림 메시지를 수신했음에 대한 인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서버(10)는 제2 사용자(구인 희망자)에게 있어서, 자신이 원하는 구직자에 대한 캐스팅을 보다 빠르게 수행(완료)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즉, 본원에서 제안하는 플랫폼, 본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플랫폼)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본 플랫폼의 아키텍처 개요
본 서버(10)에서 콘텐츠(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게 두 가지 프로젝트(프로그램형 프로젝트, 개인형 프로젝트)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플랫폼의 참여자(일예로, 합의 참여자)는 프로젝트 참여자, 투자자, 일반 사용자 등 소속된 프로젝트 또는 사용자 타입에 따라 소속 그룹을 대표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서 요청되는 트랜잭션을 검증하여 어느 특정 집단에 편향되지 않도록 형평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각 참여 그룹에 속한 참여자(최종 사용자)의 일부는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에 대해 유효성을 검증하여 플랫폼의 무결성을 유지하며, 플랫폼의 사용자들에게 일관되고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은 사용자들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며, 사용자의 플랫폼에서의 활동 및 기여도에 따라 차등된 멤버쉽을 운영할 수 있다. 멤버쉽에서 등급은 각 참여 그룹을 대표하여 트랜잭션을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인(Validators)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플랫폼에서는 검증인에 의해 유효성을 검증된 트랜잭션들만 블록화되어 최종 원장으로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검증인 집합(validator set)은 가중 round-robin 방식으로 번갈아 가면서 선출할 수 있다. 검증인은 플랫폼 활동이 높을수록 더 많은 비중을 갖게 되고 이와 비례적으로 지도자로 선출될 가능성이 늘어날 수 있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플랫폼 아키텍처의 전체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서버(10)가 제공하는 본 플랫폼(본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플랫폼)은 콘텐츠 제작 플랫폼(미디어콘텐츠 제작 플랫폼)으로서, 일예로 BFT+PoS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본 플랫폼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BFT는 비에프토큰(BnkToTheFuture)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핀테크, 블록체인, 비트코인 등 주식 및 토큰에 투자할 수 있는 BNK 플랫폼에서 발행한 토큰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oS 알고리즘은 본원에서 제안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의미한다.
콘텐츠 제작을 위한 본 플랫폼의 전체 구성은 크게 "MYMB Core Platform",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 및 "MYMB 확장 시스템들" 간의 통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은 "MYMB Core Platform",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 및 "MYMB 확장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별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2. 본 플랫폼 아키텍처의 구성요소
2-1) MYMB Core Platform
본 플랫폼 내 코어 플랫폼(Core Platform)은 탈중앙화된 분산 밈비 서비스를 위한 블록체인 인프라로서, 사용자의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참여형 미디어 제작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어 플랫폼은 미디어 제작 또는 사용자 환경에서 토큰 이코노미 환경, 미디어 제작 과정에서의 공정한 계약을 위한 계약 관계 관리 환경, 투명한 광고 계약 관리 환경, 제작된 미디어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미디어 스토리지 기능 등 미디어 제작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어 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2-1-1) 모듈 방식의 미디어 제작 엔진 아키텍처
미디어 제작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본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 기반의 블록체인 엔진에 모듈화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아키텍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를 채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미디어 제작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본 플랫폼은 민첩하고 확장적으로 대응 가능할 수 있다.
개별 모듈은 미디어 제작 환경에서 제공하는 단일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며, 코어 엔진(Core Engine)에 해당하는 "Membership mgmt. Engine"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대한 활동 정보를 교환하여 본 플랫폼 내의 모든 사용자의 활동에 대하여 활동 점수가 결정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코어 엔진(Core Engine)이라 함은 도 5a에서의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멤버쉽 관리 엔진'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2-1-2) 멤버쉽 관리 엔진 (코어 엔진)
멤버쉽 관리 엔진(코어 엔진)은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멤버쉽 관리 엔진을 의미한다.
멤버쉽 관리 엔진은 본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용자들의 활동 정보를 취합 관리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멤버쉽 관리 엔진은 최종적인 사용자의 플랫폼 점수(활동 점수)를 정책 기반으로 계산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멤버쉽 등급 관리를 위한 정책은 플랫폼 운영 그룹의 거버넌스 투표에 의해 변경 가능하고, 변경의 적용 즉시 모든 플랫폼의 동작에 반영될 수 있다. 여기서, 일예로 플랫폼 운영 그룹이라 함은 상술한 미리 선정된 전문가 집단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멤버쉽 관리 엔진은 멤버쉽 정책 거버넌스 정도를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으로 저장하여 투명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멤버쉽 관리 엔진은 한 사용자에 대한 멤버쉽 등급의 산정 근거를 해당 시점의 멤버쉽 정책 정보와 함께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2-1-3) 모듈화된 엔진 리스트 (필요에 따른 모듈 추가 가능)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 기반의 블록체인 엔진에 모듈화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채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화된 다양한 기능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모듈화된 엔진들(Token Economy, Contract mgmt., Personal Career mgmt., Media file mgmt., AD 매칭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토큰 이코노미(Token Economy)' 엔진은, 본 플랫폼 내에서 통용되게 되는 다양한 토큰의 발행/관리 기능을 구현한 엔진으로서, 멤버쉽 엔진과 함께 토큰 이코노미를 동작하게 하는 핵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토큰 이코노미 엔진은 토큰의 상호 교환을 위한 스와핑(Swapping, 스왑) 기능도 함께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토큰 이코노미는 행동심리학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로서 토큰 >>> 보상 >>> 강화로 발전되어가며, 참여자는 토큰 이코노미에서 생태계를 발전시키는 가치상승 행위를 하고 그 보상으로 토큰을 받을 수 있다.
'컨트랙트 관리(Contract mgmt.) 엔진은, 본 플랫폼을 통해 미디어 제작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발생되는 다양한 계약 활동에 대한 표준 계약 프로세스를 관리하여 공정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엔진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목적에 맞는 표준 계약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다.
'개인 이력 관리(Personal Career mgmt.) 엔진은, 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미디어 제작 환경에서 고려되는 다양한 참여자들(일예로, 스태프, 배우, 제작자, 투자자 등)에 대한 이력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개인 이력 관리 엔진은 본 플랫폼의 활동에 따른 멤버쉽 관리를 위한 핵심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동작할 수 있다.
'미디어 파일 관리(Media file mgmt.) 엔진은, 본 플랫폼에 의하여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지는 최종 미디어 영상 파일의 저장/관리와 라이센스 관리를 위한 엔진을 의미할 수 있다. 미디어 파일 관리 엔진은 미디어에 대한 접근 관리, 라이센스 관리, 외부 OTT 및 스트리밍 환경과의 연동을 위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D 매칭 서비스' 엔진은,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워커시스템에 의한 스태프 추천 및 프로젝트 제안이나, 광고 계약 관리를 위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AD 매칭 서비스 엔진의 아키텍처는 일예로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플랫폼 내 구성 요소 중 AD 매칭 서비스 엔진의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AD 매칭 서비스 엔진은 AI 매칭 엔진(인공지능 매칭 엔진)을 이용하여 광고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AD 매칭 서비스 엔진은 AI의 개인화된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요구(니즈, Need)에 따른 매칭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토큰 이코노미에 의해 광고주와 광고 소비자들 간에 광고비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AI 매칭 엔진은 본 시스템(혹은 본 플랫폼)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개인 이력, 광고 이력 데이터를 기준으로 매칭 모델을 학습하여 만들어내고, 학습된 매칭 모델은 다시 저장소에 저장되어 매칭 서비스(AD 매칭 서비스)의 실행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매칭 모델로는 일예로 딥러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딥러닝 모델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모델,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 신경망 모델(인공 신경망 모델), 뉴로 퍼지 모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로는 예시적으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합성곱 신경망),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딥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등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2-1-4) 미디어 스토리지 관리 기능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통해 제작 완료된 미디어콘텐츠들을 파일 단위로 관리할 수 있으며, 본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스토리지에 분산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미디어 스토리지 관리 기능은 일예로 도 12에 도시된 본 플랫폼 내 코어 플랫폼(Core Platform)의 "파일 공유 통합 계층(File sharing integration layer)"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플랫폼이 지원하는 스토리지]는 일예로 클라우드 기반 오브젝트 스토리지, IPFS, 플랫폼 참여자에 의해 기부(Contribution)된 스토리지, 이중 사용자가 제공하는 스토리지의 경우 플랫폼 기여도에 따른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스토리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 스토리치 관리 기능에 의하면, 본 플랫폼은 분산화된 미디어 파일 관리 기능(DHT 기반 파일 관리), 파일 입/출 및 ACL관리 기능, 미디어콘텐츠 라이센스 관리 기능, 외부 OTT 연동 기능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2-1-5) 레거시 미디어 제작 시스템 및 개인 이력 연동 기능
본 플랫폼은 레거시 미디어 제작 시스템 및 개인 이력 연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미디어 제작환경을 지원하던 다양한 시스템의 데이터를 본 플랫폼으로 편입하기 위한 목적의 연동 기능으로서, 본 플랫폼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마이그레이션하며, MYMB 확장 시스템(Extended System) 중 하나인 "미디어 생산 시스템(Media production system)"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통해, 본 플랫폼은 전산화 되어 있지 않은 개인 경력 데이터를 수기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바, 기존 오프라인 방식으로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던 개인 경력 관리를 본 플랫폼 상에서 통합 관리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레거시 미디어 제작 시스템 및 개인 이력 연동 기능에 의하면, 본 플랫폼은 기존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변환 기능, 개인 이력 전산화 입력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2-2)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
본 플랫폼 내 외부 플록체인 플랫폼은, 본 플랫폼의 기능을 지원하거나 외부 암호화폐 연동을 위한 외부 블록체인과 본 플랫폼 내에서 기본적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DID 플랫폼을 연동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외부 플랫폼들은 "외부 블록체인 통합 서비스(External Blockchain Integration Services)"를 통해 통합/연동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는 외부 DID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자지갑은 이 서비스(외부 블록체인 통합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블록체인 플랫폼은 국가 차원의 CBDC 등의 생성이 이루어지면, 본 플랫폼 내의 토큰 스와핑(Swapping) 기능을 통해 다양한 외부 화폐와의 교환이 가능하게 중간 연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2-3) MYMB 확장 시스템
본 플랫폼에 포함된 MYMB 확장 시스템은 미디어 제작 업무 프로세스 관리 및 미디어 라이센스/광고 관리를 위한 업무 시스템들을 의미할 수 있다. MYMB 확장 시스템은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개인 경력 데이터 및 표준 계약관리 기능에 따른 계약 정보를 본 플랫폼과 공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가 이용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 내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의해 이루어지는 합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14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이 활동에 따른 합의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이 거버넌스 투표 기반 합의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하는 기 정의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하여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의 제1 처리부(11)는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을 위한 투표를 수행할 때,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oM(Proof of Merge) 합의 알고리즘(21)은 활동에 의해 합의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 합의는 통상적인 업무 시 활동에 따른 블록체인 노드에서의 합의(즉, 활동에 따른 합의)와 미디어 제작 환경의 의사결정 과정을 위한 거버넌스 투표 기반의 합의(즉, 거버넌스 투표 기반 합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활동에 따른 합의]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통해 활동에 따른 합의 수행시, 일예로 도 14에 도시된 구조를 기반으로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분산되어 있는 노드들 중에는 프로젝트별로 논리적으로 구분되어 지는 노드들의 집합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노드들은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의미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트랜잭션들을 처리하는 합의 시점에서 다음과 같은 절차로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활동에 따른 합의를 위해, 서버(10)는 노드 그룹 중 무작위로 검증 노드를 선출(step 1)할 수 있다. 이때, 검증 노드의 선출은 본 플랫폼의 선출 정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정책의 변경은 거버넌스 투표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선출된 노드에 바인딩되어 있는 사용자들의 멤버쉽 등급에 따라 권한 증명을 수행함으로써 합의를 수행(step 2)할 수 있다. 이때, 선출된 노드들은 합의를 완료하여 블록을 생성하고 나머지 노드들에게 전파할 수 있다.
즉, 활동에 따른 합의는 다수의 검증 노드들을 프로젝트별 논리적 묶음으로써 관리될 수 있고, 실제 합의 시에는 검증 노드들 중 정책에 따라 무작위로 선출하여 대표 검증 노드를 추출해내는 로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거버넌스 투표 기반 합의]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통해 거버넌스 투표 기반 합의 수행시, 일예로 도 15에 도시된 구조를 기반으로 합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 멤버쉽의 등급이나 합의 시 검증 노드 선출 로직 등은 정책 기반으로 플랫폼이 확장되고 발전됨에 따라 사용자들에 의해서 변경되어 반영되어야 한다. 이는 본 플랫폼의 근본 동작 메커니즘에 영향을 주므로 다수의 사용자나 운영자를 대표하여 결정된 로직으로 본 플랫폼이 동작하도록 하여야 하며, 이는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 플랫폼에서 멤버쉽의 등급이나 합의시 이루어지는 검증 노드 선출 로직 등은 일예로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거버넌스 투표 절차는 프로포절 제출 - 투표 - 투표 상속 - 담보금 클레임 절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포절 제출 (Proposal Submission) 절차의 경우, 위임 여부와 관계없이 검증자는 트랜잭션 검증을 위한 제안을 제출할 수 있다. 특정 조건<조건 설계 필요>이 충족되면 검증자들은 트랜잭션 검증을 위한 투표를 시작할 수 있다.
투표 (Vote) 절차의 경우, 투표 기간이 시작되면, 검증인과 위임자가 해당 프로포절 네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투표할 수 있다. 투표 옵션은 YES (찬성), NO (부정), NoWithVeto (강한 부정), Abstain (기권)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투표 상속 절차의 경우, 위임자는 직접 투표하지 않아도, 본인이 위임한 검증인이 선택한 투표를 그대로 물려받게 될 수 있다. 만약에 검증인이 YES 투표를 하면, 투표하지 않은 위임인도 YES로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담보금 클레임 (Claiming Deposit) 절차의 경우, 거버넌스 제안이 통과되거나, 한 번도 투표 기간에 진입한 적이 없으면, 프로포절에 제출했던 담보금을 모두 돌려받게 될 수 있다. 이때 토큰 이코노미 설계 시 투표 담보금 관련 설계 제공이 필요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대한 설명은 도 5a 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PoM 알고리즘 멤버쉽 메커니즘,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참여자의 멤버쉽 등급에 따른 합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의 합의는 상술한 PoM 합의 알고리즘(21)과 멤버쉽 관리 엔진(Membership mgmt. Engine) 컴포넌트가 함께 동작함으로써 합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플러그인 방식의 모듈화된 엔진들에 의해 발생된 멤버쉽 산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거버넌스 투표에 의해 변경되거나 결정될 수 있는 멤버쉽 정책에 따라 각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산정된 멤버쉽 등급을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트랜잭션 발행 시 멤버쉽 관리 엔진으로부터 검증 노드 대상 정보를 조회하여 검증 노드를 선출하고 합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시스템 레이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6은 본 플랫폼의 시스템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 미디어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글로벌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시스템(즉 본 플랫폼)의 시스템 레이어는 크게 Media file storage layer, Blockchain Platform layer, MYMB Service layer, MYMB Extended 서비스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디어 파일 스토리지 레이어(Media file storage layer)는 클라우드 기반 오브젝트 스토리지, IPFS 등 분산된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레이어일 수 있다. 이는 플랫폼 활동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또는 사용 그룹이 제공하는 스토리지도 포함하여 서비스가 가능하다.
블록체인 플랫폼 레이어(Blockchain Platform layer)는 본원에서 제안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이 운영되는 레이어를 의미할 수 있다.
DID 레이어(DID layer)는 사용자 개인 인증 및 개인 데이터 등을 관리하기 위한 레이어로서, 글로벌 서비스가 가능한 다양한 DID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
MYMB 서비스 레이어(MYMB Service layer)는 대시보드 서비스 및 MYMB 확장(Extended) 서비스 등이 운영되는 최상단 레이어로서,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시스템(100)은 DID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이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DID 관련 서비스 아키텍처는 도 17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DID 서비스 아키텍처의 구조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에서는 전자지갑에서 사용하는 개인키가 DID 기반으로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상대방의 개인 정보를 유추하지 못하게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에서는 관리되는 사용자의 이력 데이터만으로는 연관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찾을 수 없게 하고, 오직 사용자의 전자지갑의 키를 통해서만 연관성을 가지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버(10)는 DID 네트워크에서 발행하는 유일한 아이디를 기준으로, 본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개인의 이력 정보(일예로, 사용자가 본 플랫폼을 통해 참여한 프로젝트 이력 등의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이력 정보에는 개인을 지칭할 수 있는 정보를 제외한 프로젝트 활동 정보와 대응되는 DID만 저장될 수 있다. 서버(10)는 향후 사용자가 자신의 이력을 증명해야 할 때 전자지갑에 있는 DID를 포함하는 키를 이용하여 증명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프로젝트의 경우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를 DID 키 값으로 검색하여 저작권 증명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DID 환경에서 사용자는 신원의 소유자, 발급자, 검증자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플랫폼에서는 DID 환경이 개인 이력 데이터를 검증하거나 발급하는 서로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하나의 환경일 수 있다.
소유자가 검증을 받고자 하는 데이터를 본 플랫폼(즉, 본 서버(10))에 요청하면, 이에 응답하여 서버(10)는 "외부 블록체인 통합 서비스(External Blockchain Integration Services)"의 "DID 백엔드 서비스(DID Backend Service)"를 통해 외부 DID에 요청을 보낼 수 있으며, DID 표준에 따라 요청문(Request Payload)에 명시되어 있는 서비스 엔드포인트(Service endpoint)의 경로에 따라 다시 본 플랫폼의 "DID Backend Service"로 외부 DID 가 검증 또는 발급을 위한 요청을 보낼 수 있다. DID가 보내는 요청의 대상은 발급자 또는 검증자일 수 있다.
본 플랫폼(본 서버(10))은 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담당자에게 노티를 통해 알려줄 수 있으며, 검증이나 발급의 동작이 일어났을 때 요청의 역순으로 최초 검증을 요청한 소유자에게 결과를 알려줄 수 있고, 처리 결과 내용은 블록체인이나 필요에 따라 외부 제작 시스템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플랫폼(본 플랫폼)의 이코노미 시스템 구조(이코노미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디지털자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달리 표현해, 서버(10)가 취급하는 디지털자산의 종류로는 크게 플랫 자산(Flat Asset) 및 퍼블릭 디지털자산이 포함될 수 있다.
[플랫 자산]
플랫 자산에는 법정화폐 및 스테이블 코인(aka. CBDC)이 포함될 수 있다. 플랫은 법정 통화를 기반으로 적립금(Reserve) 형태의 실제 자산에 의해 뒷받침되어 발행하는 가상자산을 의미한다.
플랫 자산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본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이다. 하지만 프로젝트 진행단계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블록체인에 대해 이해도가 부족하거나, 디지털자산에 대한 신뢰도가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퍼블릭 디지털자산의 경우 가격의 등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본 서버(10)는 자산의 변동성을 원치 않는 사용자들이 플랫 자산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법정화폐와 관련해, 본 플랫폼은 법정화폐를 통장으로 바로 인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서버(10)는 사용자가 법정화폐를 통장으로 바로 인출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서버(10)는 사용자가 본 앱에서 통장 인증을 해 놓은 경우, 필요한 금액만큼 바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고, 출금 또한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가 본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법정화폐로 인출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스테이블 코인은 CBDC로 지칭되기도 하며, 이는 '기존의 화폐 또는 실물자산과 연동시켜 가격 안정성을 보장'하는 디지털자산을 의미한다. 서버(10)는 일예로 디지털자산의 변동성을 낮추고, 가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플랫폼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10)는 일예로 기존의 신뢰도 있는 스테이블 코인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향후 국가에서 발행하는 DBDC 등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퍼블릭 디지털자산]
서버(10)는 퍼블릭 디지털자산과 관련하여, 플랫폼 디지털자산 및 프로젝트 디지털자산을 고려할 수 있다.
플랫폼 디지털자산의 경우, 퍼블릭 블록체인은 많은 사람들의 네트워크 참여에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특정 암호화폐를 인센티브 또는 보상으로 지급하여 네트워크를 유지하게 된다.
본 플랫폼의 합의 알고리즘은 PoM (Proof of Merge), 즉 참여형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이러한 PoM 합의 알고리즘(21)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본 플랫폼에 얼마나 많이 참여하고 기여했는지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플랫폼에서의 플랫폼 디지털자산의 발행량은 사용자 증가와 프로젝트 활성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버(10)는 "사용자 100명 -> 1000명 : 발행량 10개 -> 50개", "프로젝트 활성 2개 -> 10개 : 발행량 10개 -> 50개"와 같이 플랫폼 디지털자산의 발행량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는 상술한 예시와 같이 사용자와 프로젝트가 많아질수록 알고리즘(PoM 합의 알고리즘(21))에 의해 주기적으로 플랫폼디지털자산의 발행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이라 함은 예시적으로 10일, 30일 등으로 설정되는 주기일 수 있으나, 이러한 수치 값은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에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서버(10)는 본 플랫폼에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해, 본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을 기준으로 멤버쉽 제도를 운영할 수 있다. 서버(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해, 사용자들이 등급별로 발행된 플랫폼 디지털 자산을 주기적으로 배분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멤버쉽(MYMB 멤버쉽)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투자 시스템(Investment System)의 내용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서버(10)는 프로젝트 디지털자산으로서 NFT를 고려할 수 있다. NFT는 대체불가토큰으로서, 각 한 개의 토큰이 다른 토큰을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한다. 가상화폐 게임인 이더리움의 크립토키티가 NFT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서버(10)는 프로젝트 디지털자산인 NFT를 프로젝트 지분형 코인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프로젝트별로 NFT형 디지털자산 코드를 발행할 수 있다. 이때, 발행되는 코드와 함께 구매 순서에 따라 시리얼 넘버 또한 부여될 수 있다. 프로젝트 디지털자산을 사용자가 구매하게 되면, 사용자는 개인 지갑에 해당 자산을 소유할 수 있다.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서버(10)는 프로그램 선정 후 최종 제작비를 산정하고, 투자 모금이 완료되면 사전제작에 들어가는 순서로 진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초기의 디지털자산의 가격을 최종 제작비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인기도에 따라 가치변동이 있을 수 있으며, 서버(10)는 광고 및 판권 판매 등의 수익에 따라 해당 NFT 코인을 소유한 사람에게 수익금이 자동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개인형 프로젝트의 진행과 관련하여, 서버(10)는 인플루언서의 신청을 받고, 투표를 통해 프로젝터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참여자(1')가 서버(10)로 개인형 프로젝트의 기획서를 제출하고, 제출한 기획서가 투표를 통해 진행 가능한 프로젝터의 기획서로서 선정됨에 따라 참여자(1')가 프로젝트권을 획득하면, 프로젝트권을 획득한 참여자(1')가 프로젝터라 지칭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선정된 프로젝터에게 제공될 NFT형 디지털자산 수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때 프로젝터에게 지급 가능한 NFT형 디지털자산의 최소/최대 수량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서버(10)로부터 지급받은 NFT형 디지털자산을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경매 형식으로 타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한은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인기도와 자유경제의 원칙에 따라 해당 디지털자산(NFT형 디지털자산)의 가격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투표로 선정된 기획서에 해당하는 미디어콘텐츠(서버에 의해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에 대한 광고나 활동으로 발생한 수익이 자동으로 자산소유자에게 배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의 이코노미 시스템은 스테이블(Stable) 코인과 플랫폼(Platform) 코인, 프로젝트(Project) 코인을 서로 스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일예로 본 플랫폼을 통해 프로젝트 코인을 사고팔 수 있는 거래창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 코인은 프로젝트의 형태에 따라 락업 기간이 있을 수 있으며, 락업 기간에는 스왑이 불가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서버(10)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자산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일예로 인플루언서나 본 플랫폼을 통해 일을 하는 사람들은 본 서버(10)를 통해 프로젝트 계약 시 자신이 받고자 하는 디지털 자산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자산의 유형에는 법정화폐 / 스테이블코인(나중에 CBDC로 대체 가능) / 플랫폼 코인을 포함하여 3가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본 서버(10)는 본 서버(10)를 통해 프로젝트 계약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디지털 자산 관련 3가지 유형의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 코인의 경우 사용자의 기여도에 따라 계약사항 추가로 프로젝트 코인으로 일부 지급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경우, 본 플랫폼을 통해 일하는 사람들에는 기획자, 작가, 연출, 메인 출연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개인형 프로젝트의 경우, 사용자는 본인(일예로 인플루언서) 수익의 퍼센트를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디지털 자산을 선택(3가지 유형의 디지털 자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의 투자 시스템(Investment System)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투자 시스템이란 본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익의 발생 구조 및 수익 운용 구조, 멤버쉽 제도 구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플랫폼의 운영 및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b에서 밈비(MYMB)는 본 서버(10)를 의미하고, PoM 블록체인 멤버쉽은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본 플랫폼의 수익/운영 구조의 경우, 본 플랫폼의 디지털자산 이코노미 시스템(경제 시스템)에는 플랫폼 운영비와 이용 수수료 등이 고려될 수 있다. 플랫폼형 디지털자산 발행량-10%, 프로젝트 예산_5% + IP_투자수익, 디지털자산 스왑 수수료-0.05%, 플랫폼 광고 수익_20% + @ 등일 수 있다. 서버(10)는 부가서비스 관련된 서비스 비용도 수익금으로 추가할 수 있다. 서버(10)는 플랫폼 수익금을 플랫폼 개발비, 운영비, 프로젝트 지원, 프로젝트 전문 관리 시스템, 커뮤니티 운영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프로젝트를 제작 총괄하고 IP 발행을 할 수 있다.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운영비 5% +@(IP 수익금), 개인형 프로젝트 : 광고 20%(관련 서버 및 운영 비용)일 수 있다. 밈비 시리즈B 자체투자 15-40%-> IP 수익금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장치(10)에 프로젝트 기획을 제공하고, 본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워커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와 프로젝트 간에는 투자 수수료 0.5%, Asset 교환 수수료 0.05% 일 수 있다.
본 장치(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에 사용자 참여율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으로부터 본 플랫폼 코인 발행량 15%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장치(10)는 NFT 마켓에 대하여 IP 목록 등록, IP 블록체인 관리를 할 수 있고, NFT 마켓은 본 장치(10)에 마켓수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의 멤버쉽 제도(MYMB 플랫폼 멤버쉽 제도)는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서버(10)는 멤버쉽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결정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등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주기는 1일, 1주일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본 시스템(100)에는 일예로 멤버쉽 등급의 업데이트를 위한 안전장치로서 검증자 혹은 제도 감시자 등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멤버쉽 제도를 기반으로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플랫폼 운영비를 제외한 플랫폼 디지털자산을 서버(10)로부터 분배받을 수 있으며, 이때 일예로 기 정의된 멤버쉽 디지털자산 분배율에 따라 디지털자산을 분배받을 수 있다.
서버(10)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해 기 정의된 멤버쉽 디지털자산 분배율에 따라 디지털자산을 분배할 수 있다. 이때, 멤버쉽 등급별로(1등급 내지 4등급 별로) 분배되는 디지털 자산은 같을 수 있으나, 등급에 따라 분배되는 수익률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의 멤버쉽 제도(MYMB 플랫폼 멤버쉽 제도)는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멤버쉽 제도라 할 수 있다.
본 플랫폼에서 프로젝트별(즉,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혹은 개인형 프로젝트) 세부 수익 구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2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개인형 프로젝트의 수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21a 및 도 21b는 개인형 프로젝트 관련 창작자의 수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서버(10)는 참여자 단말(1)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로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가 수신되고, 수신된 기획서(프로그램형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에 대한 투표를 수행한 결과 해당 기획서가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된 경우,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의 프로젝트(프로그램형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 내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15)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와 관련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금을 다음과 같이 분배할 수 있다. 일예로, 제5 처리부(15)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수익금을 "프로그램형 NFT 투자자 : 밈비 자체투자 : 프로젝트 운영비 = 80% : 15% : 5%"의 비율로 분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5 처리부(15)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제작 과정에서부터 들어오는 광고 및 추가 투자금액, 판권, 방영권, 해외 판권 판매, OTT 플랫폼 판매 등으로 인한 수익금을 해당 프로젝트의 가치로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처리부(15)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제작 과정에서부터 들어오는 광고 및 추가 투자금액, 판권, 방영권, 해외 판권 판매, OTT 플랫폼 판매 등으로 인한 수익금을 해당 프로젝트의 가치와 연동시켜 수익금을 관리하고 배분할 수 있다. 즉, 제5 처리부(15)는 수익 분배시, "프로젝트의 가치 상승 = 프로젝트 지분 자산 소유자의 수익"으로 고려할 수 있다.
도 21a를 참조하면, 서버(10)는 참여자 단말(1)로부터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로서 개인형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가 수신되고, 해당 기획서가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된 경우,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의 프로젝트(개인형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 내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15)는 개인형 프로젝트와 관련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개인형 프로젝트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금을 다음과 같이 분배할 수 있다. 일예로, 제5 처리부(15)는 개인형 프로젝트의 수익금을 "인플루언서 : 지분소유자(NFT 활용비) : 플랫폼운영비 = 60 : 20 : 20"의 비율로 분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에서 고려되는 개인형 프로젝트에 대한 수익금(수익) 분배 구조는, 인플루언서 자신의 수익률이 올라가면 해당 디지털 자산을 소유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늘어날 것이고, 이에 시장 경제의 원리에 따라 자신의 채널 가치가 상승하게 되는 구조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1a에서는 일예로 개인형 프로젝트의 수익금이 "인플루언서 : 지분소유자 : 플랫폼운영비 = 60 : 20 : 20"의 비율로 분배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형 프로젝트의 수익금은 도 2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플루언서(창작자) : 지분소유자(프로젝트 활용비, NFT 소유자) : 플랫폼운영비(밈비) = 60 : 20 : 20"의 비율로 분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치는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변경될 수 있다.
도 21b를 참조하면, 제5 처리부(15)는 일예로 광고/PPL 수익의 60%는 창작자, 20%는 플랫폼 수수료, 나머지 20%는 프로젝트 활용비로 수익금이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은 기존 플랫폼과 대비하여 플랫폼 수수료를 최소화하면서, 인플루언서-구독자가 서로 베네핏을 가져갈 수 있는 업그레이드된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때, 20%에 해당하는 프로젝트 활용비와 관련하여, 사용자(일예로 참여자)가 본 플랫폼에 채널을 생성하고 새 콘텐츠를 업로드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는 본 서버(10)를 통해 프로젝트 활용비로 콘텐츠 제작을 지원받게 될 수 있다(step1). 다음으로, 해당 사용자(참여자)가 본 서버(혹은 본 플랫폼)를 통해 프로젝트에 지원하고 선정되게 되면, 서버(10)는 해당 사용자의 개인채널을 NFT화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활용비를 제작 지원이 아닌 NFT 소유자에게 배분되도록 할 수 있다(step2). 이때, NFT를 구매하는 대부분의 사용자(NFT 소유자)는 구독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서버(10)는 참여자(1')의 참여자 단말(1)로부터 프로젝트(즉, 프로그램형 프로젝트 또는 개인형 프로젝트) 관련 기획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획서에 대한 투표 진행 결과 수신된 기획서가 제작 대상 기획서로 선정되면, 선정된 제작 대상 기획서의 프로젝트인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제작비(제작예산,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에 필요한 금액)를 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산정된 제작비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하여 투자 기반 모금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투자 기반 모금 진행에 의하여 산정된 제작비의 모금이 완료된 경우, 모금된 금액을 기반으로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을 수행하고, 이후 사전제작이 완료되면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판매하고, 판매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자 기반 모금은 기업, 문화예술 관련 펀드회사, 광고주 및 개인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사용자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누구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개개인의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플랫폼에서는 프로젝트(미디어콘텐츠 제작)에 대한 투자를 기존 미디어콘텐츠 주 투자자들(기업, 펀드회사, 광고주, VC 등)뿐만 아니라,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개개인이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참여 및 투자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작 대상 기획서의 선정이 이루어지면 제1 처리부(11)를 통해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대하여 디지털자산인 NFT를 미리 설정된 수량만큼 발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트에 발급되는 NFT의 수량은 일예로 프로젝트의 종류(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인지 개인형 프로젝트인지), 속성(프로그램형 프로젝트 중에서도 드라마, 예능 등의 인기도, 인플루언서의 수입 등)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에 발급되는 NFT의 수량은 일예로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혹은 시장 경제의 원리 등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산정된 제작비의 모금의 완료가 복수의 투자자에 의한 투자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경우, 제2 처리부(12)를 통해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발행된 NFT를 복수의 투자자 각각이 투자한 투자금액에 따라 투자금액에 대응하는 비율로 복수의 투자자 각각에게 지분형 디지털자산으로서 차등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지급받은(지급받아 소유하게 된) 복수의 투자자는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지분소유자로서 진행 가능 프로젝트의 저작권(IP)의 지분을 가지게 될 수 있다(즉, 저작권의 지분을 배분받게 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의 판매에 의해 발생되는 수익을 판매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계된 사용자들에게 미리 설정된 비율로 배분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계된 사용자들에는 미디어콘텐츠를 창작한 참여자인 창작자, 지분형 디지털자산을 지급받아 미디어콘텐츠의 저작권 지분을 소유한 지분소유자(즉, 진행 가능 프로젝트에 발행된 NFT를 지분형 디지털자산으로서 지급받아 소유하게 된 복수의 투자자들), 및 본 플랫폼을 제공하는 관리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비율은, 창작자가 지분소유자 및 관리자 대비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비율은 창작자:지분소유자:관리자에 대하여 a:b:c의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a, b 및 c를 합한 값의 절반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되고, b 및 c 각각은 a, b 및 c를 합한 값에 a를 뺀 값을 절반으로 나눈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비율은 "창작자:지분소유자:관리자 = 6:2:2"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된 비율의 수치값은 본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설정 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이 완료되기 이전까지 사전제작의 수행 이전에 참여자에게 지급된 디지털자산인 NFT를 락킹시키고, 사전제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락킹을 해제하여 본 플랫폼 내에서 NFT를 스왑 형태로 거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들에게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마케팅 포인트로서 다양한 베네핏(혜택, 이득), 포인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마케팅 타겟
서버(10)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들에게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일예로 미디어계 종사자, 인플루언서, 본 플랫폼의 사용자와 시청자 등을 마케팅 타겟으로 할 수 있다.
[미디어계 종사자]
방송 미디어의 경우 정규직은 프로그램 당 전체 인력의 2~3프로(%) 내외이다. 거의 모두가 프리랜서로 종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부가 표준계약서에 의거해 일하고 있지 않다. 방송사와 외주제작사의 광고 및 판권 수익분배 등도 관행이라는 이유만으로 계약마다 달라지고는 한다. 이는 미디어계 종사자들에게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 있다.
예를 들어 할리우드의 경우 엑스트라는 150달러~200달러의 수입을 가져간다. 한국의 경우 5만원~10만원이 평균이다. 평균적으로 3배 이상이 차이가 난다. 제작비의 차이가 아니냐는 물음표가 있겠지만, 외주제작사가 운용할 수 있는 제작비에서도 운영하여 수익을 남겨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관행으로 인한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완벽하게 중앙화된 미디어 제작 시스템에서 벗어나야만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플랫폼에서는 사전제작의 방식을 택한다. 즉, 서버(10)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 방식을 갖는 본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작비의 모금이 완료된 후 미디어콘텐츠를 사전제작하고 방송권을 구매하여 송출함으로써, 제작비로 인한 저작권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제작비의 모금이 완료된 후 사전제작하여, 방송권을 구매하여 송출하여 제작비로 인한 저작권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본 서버(10)는 미디어계 종사자들로 하여금 합당한 급여를 받을 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서버(10)는 부당한 계약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마트컨트렉트 기반으로 표준계약서에 의거한 디지털 계약서를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서버(10)는 미디어계 종사자들에게 있어서 부당한 계약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본 서버(10)를 통해 표준계약서에 기반한 스마트컨트렉트 계약(디지털 계약, P2P 전자계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한국에 한정되어 제공되지 않으며, 다양한 국가, 나라 등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인플루언서]
본 플랫폼에서는 인풀로언서와 관련하여 크게 방송인 및 개인미디어가 고려될 수 있다.
방송인과 관련하여, 방송인은 1차적으로 캐스팅을 목적으로 본 플랫폼을 활용(이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캐스팅 디렉터, 기획사를 통해서 거의 모든 캐스팅이 관리된다. 개인적으로 활동하기에는, 특히 신인에게는 벽이 너무나도 높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개인 프로필 관리를 위한 기본 미디어 용량이 제공되기 때문에,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성향 및 캐릭터 등 자신의 키워드를 내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프로필도 본 서버(1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연출은 자신이 원하는 캐스팅을 위해 본 서버(10)에 업로드된 영상 프로필을 토대로 1차적인 판단을 할 수 있어, 방송인(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중 하나인 방송인) 입장에서는 본 서버(10)를 통하여 캐스팅의 기회를 더 획득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개인미디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일예로 유튜브의 경우 개인 창작자가 광고 수익으로 가져가게 되는 금액은 55%에 불과하다. 즉, 개인미디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체 광고 수익 중 약 45%는 플랫폼이 가져가는 비용으로 측정(즉, 플랫폼 비용으로 측정)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에는 개인 창작자에 의한 창작물로 인해 발생되는 광고 수익이 플랫폼에 과도하게 부여됨에 따라, 창작자에게 있어서는 불합리한 수익 분배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창작물에 들어오는(발생되는) 광고/PPL 등으로 인한 수익의 60%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창작물에 들어오는 수익의 20%는 인플루언서 스스로를 개인 기업화하여, 개인형 프로젝트형 디지털 자산으로 오픈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버(10)는 사용자의 창작물에서 발생되는 총 수익금 중 약 20%에 해당하는 수익금의 경우, 개인 디지털자산을 소유한 사용자들에게 돌아가게(분배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창작자로 하여금 팬덤을 유지하면서 광고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창작물의 성향에 맞추어 광고를 매칭해 주는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바, 광고를 보는 시청자들도 광고 부담감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들은 해당 자산을 소유한 사람에게 더 효율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의 사용자-시청자]
미디어 매체를 시청함으로써 보상을 받는 기술들은 새로 속속들이 생겨나고 있다. 본 플랫폼에서는 그 보상 방식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미디어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고, 스스로 가치판단을 통해 소액 투자가 가능하도록 하며, 팬덤활동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본 플랫폼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참여 활동에 대하여 멤버쉽 제도를 자동 적용함으로써, 손쉬운 패시브인컴 수익(자는 동안에도 생기는 수익)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서버(10)는 일반 사용자들을 위해 타 블록체인 서비스에 필요한 가입 절차 없이 무료로 본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2. 투자 베네핏(혜택, 이득)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들(특히, 본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미디어콘텐츠에 대하여 투자를 수행하는 사용자들)에게 베네핏(혜택,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일예로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을 거래소에서 구매하거나,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별 보상(마이닝)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바람직하게 본원에서 제안하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하는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해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을 얻을 수 있다.
본 플랫폼(즉, 본 서버)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중에는 일예로 프로젝트별 지분형 디지털자산 가치에 투자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프로젝트별 지분형 디지털자산 투자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베네핏(참여 베네핏)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베네핏은 일예로 본원에서 제안하는 합의 알고리즘(즉,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이용해 제공될 수 있다.
2-1) 프로젝트 투자 베네핏
2-1-1) 프로젝트 디지털 자산 투자
서버(10)는 일예로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프로젝트(프로그램형 프로젝트와 개인형 프로젝트)를 모두 NFT 코인의 방식으로 지분화하여 발행할 수 있다.
프로젝트 고유코드와 넘버링이 되어져 있는 디지털 코인(즉 본 플랫폼에서 고려되는 디지털 코인으로서, 이는 디지털 자산, NFT 코인 등을 의미할 수 있음)은 일예로 본 플랫폼 내 거래소(미도시)에서 P2P 거래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산 소유자는 프로젝트의 판권이나 저작권, OTT 판매 등을 할 때 투표 권한이 본 서버(10)에 의해 부여될 수 있으며, 프로젝트 내 자산 흐름이나 내역을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본 서버(10)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본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불변성으로 하여금, 미디어콘텐츠의 사전제작 중 거래 락업 기간 동안 사용자들에게 신뢰와 안정성을 줄 수 있다
2-1-2) 광고 및 PPL 투자
프로젝트의 가치 상향을 위해 광고투자 및 PPL 투자자들은 상술한 프로젝트 단위의 투자를 할 가능성이 크다.
광고주들은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의 경우, 관련 진행 사항을 본 시스템(100)을 통하여 기존 시스템보다 투명하게 알 수 있으며, 향후 해당 프로젝트 지분만큼의 투표 권한으로 방향성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투자금을 본 플랫폼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들은 본 플랫폼을 통하여, 추후 프로젝트의 행보에 따라 디지털 자산 지분율을 높이거나 추가 광고 배정을 위한 방향성을 투명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1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수입 및 효율을 가질 수 있다.
개인형 프로젝트의 경우, 본 시스템(100)에서 광고의 노출 빈도가 아닌 광고 마케팅 타겟층에 초점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본 시스템(100)을 통하여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효율적이고 선순환적 광고 전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관련 개인미디어 인플루언서(개인형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인플루언서)에게 화장품 광고주가 투자 혹은 광고 물품 제공을 하게 되면, 인플루언서는 본 서버(10) 혹은 온라인을 통하여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는 광고 노출에 의해 발생되는 수입의 20%가 해당 개인미디어 디지털 자산 소유자(일예로, 인플루언서)에게 배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은, 시청자(유저)들의 관심 분야 관련 광고이자 수입을 가져다주는 매개체이기 때문에 광고 거부감을 효율적으로 줄이면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고주 선순환 구조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2.2) 플랫폼 유저 베네핏
2-2-1) 멤버쉽 베네핏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은, PoM 알고리즘으로 활동에 따라 자동으로 등급이 배분되고, 등급별로 플랫폼 디지털 자산을 보상받는 PoM (Proof of Merge)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버(10)는 PoM 합의 알고리즘(21)을 포함한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으로 하여금,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본 플랫폼에 대한 활동에 따라 자동으로 등급을 배분받고, 배분 받은 등급별로 플랫폼 디지털 자산을 보상받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는 도 5e에 도시된 MYMB 플랫폼 멤버쉽 제공 기준의 참여 기여도에 기반한 알고리즘(즉,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을 통해 사용자들에 대한 멤버쉽 등급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등급에 따라 보상을 주기적으로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PoM 멤버쉽 메커니즘(20)은 이러한 전체 활동과 사용자 가입량에 따라 플랫폼형 디지털 자산의 발행량이 자동 조정되며, 발행 즉시 사용자에게 지급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2-2-2) 플랫폼 이용 목적에 따른 베네핏
서버(10)는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플랫폼 이용 목적에 따라 베네핏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이용 목적에는 인플루언서 시스템 이용, 워커시스템 이용, AI 서비스 이용 등이 있을 수 있다.
서버(10)는 인플루언서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프로필 / 영상프로필 무료 업로드 서비스, 워커시스템을 통한 구인 가능, 개인형 프로젝트 이용 가능, 표준계약서에 의거한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계약서비스 이용 가능 등의 베네핏(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워커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프로젝트별 필요 인력 선택적으로 지원 가능, DID 기반 경력 관리 및 신뢰 점수에 의거한 급여 인상 가능, 급여 관련하여 디지털자산/법적화폐 비율 선택 가능(디지털자산관리로 인한 추가 수익 기회), 표준계약서 의거 스마트컨트렉트 기반 계약서비스 이용 가능 등의 베네핏(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AI 매칭서비스(일예로, 광고주-인플루언서/프로젝트 매칭, 인플루언서 시스템-워커시스템 매칭 등), AI 편집툴(일예로, 개인미디어 제작 시 AI 편집툴 기본형 제공), AI 선택형 알고리즘(자동추천 알고리즘 / 사용자 선택형 알고리즘 제공) 등의 베네핏(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3 커뮤니티 운영 포인트
3-1) 미디어 블라인드 앱
'블라인드 앱'은 인증된 직장인들의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모바일 익명 커뮤니티를 의미한다. 재직 중인 회사 이메일 계정을 통해 재직 사실을 인증받고 가입할 수 있다. 공유되는 정보의 신뢰도가 높아 직장인들이 몰린다. 회사 별로 게시판이 존재해 업종과 직군에서 익명으로 소통할 수 있다. 그런데, 블라인드 앱은 뒷담화 같은 소소한 소통을 넘어 사회 변화의 진앙이 되었으며. 현대판 '신문고'라고도 불린다.
본 플랫폼은 미디어계의 블라인드 앱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직장인들의 환경은 블라인드 앱의 활성화에 의해 개선되어가고 있다. 그런데, 미디어계는 95% 이상이 프리랜서로 일을 하고 있고, 흔히들 인맥을 중심으로 소개받고, 진행된다. 실력 검증과 신뢰에 기반하여 제작 인력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하지만, 이는 개인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장으로 만들어 버린다. 예를 들어 연출팀의 한 구성원이 성희롱을 당했을 경우, 방송계에서 다시는 일할 수 없다는 각오로 신고해야 하며, 자신이 속한 팀 자체가 방송계에서 미운털이 박히게 된다. 개인 뿐만 아니라 소속된 팀에도 악역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프리랜서 위주의 미디어 환경은 불합 리한 일을 경험하고도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환경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원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미디어 제작환경을 제공하는 기술(본 시스템(100), 본 서버(10) 및 본 플랫폼)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의 미디어 제작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제작환경의 악순환 고리를 끊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21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 내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프리랜서인 경우, 사용자가 서버(10)를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c를 참조하면,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프리랜서인 경우, 해당 사용자는 본 서버(10)에 의해 제공되는 워커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워커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스마트컨트렉트 계약, 경력증명서 발급/관리, 구인/구직 스케줄 관리, 인력 매칭 AI 서비스 등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 프리랜서는 이력증명이 번거롭고 계약서를 수기로 작성해야 했으며, 스케줄 활용 효율이 적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서버(혹은 본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워커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프리랜서)는, 워커시스템으로 하여금 프리랜서 이력 증명이 편리하고 효율적이며, 계약서 자동화를 통해 편리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워커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프리랜서)는 계약 내용을 P2P 로 조율 가능하고, 사용자 일정을 등록하여 일정 조율이 가능한 AI 매칭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들이 본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익명 게시판을 통해 미디어계의 '신문고'를 만들어 여러 문제점들을 서로 이야기하고 고발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플랫폼 기능 및 문제점 보안을 제안받고 투표를 통해 적용 여부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스스로 일하는 환경을 개선해갈 수 있는 장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에 대한 시너지 뿐 아니라 함께 일하는 동료 사용자가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은 미디어계의 '신문고'이자, 스스로 만들어 나가는 '제작환경 개선의 장'으로 작용할 수 있다.
3-2) 프로젝트 오디션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서바이벌 경쟁을 통해 최후의 우승자를 가리며, 한 공동체에 소속된 구성원들에게 공정경쟁심리, 공동체 소속감, 집단과의 조화 등을 강조하는 일종의 '사회의 약속'으로 진화되기도 한다. 예시로 대통령 선거보다 더 많은 대중들이 전화 투표에 참가했던 것으로 유명세를 떨친 미국의 [아메리칸 아이돌(AmericanIdol)], 최초로 중국인들의 민주주의적 투표의식을 실행하게 했다는 [슈퍼걸(SuperGirls)] 등 글로벌 오디션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매우 분명하게도 한 공동체에 동일한 경험과 의미를 제공하는 '사회의 약속'으로서 큰 의미를 두게 된다.
본 플랫폼(본 서버)에서 고려되는 프로그램형 프로젝트는 일종의 '프로그램-오디션 플랫폼'으로 볼 수 있다.
프로젝트 진행방식을 살펴보면, 서버(10)는 사용자들이 프로젝트 기획서를 제출하여 지원하면, 전문가 투표를 통해 프로젝트 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는 최종 선정된 프로젝트의 제작비용을 산출하고, 사전제작을 위해 모금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기획자, 연출진, 스텝진, 방송 인 등은 프로젝트에 지원 의사를 밝힐 수 있다. 본 플랫폼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진행 과정을 스스로 판단하여 프로젝트형 디지털 자산의 구매 의사를 밝히고 실제 자산을 본 서버(10)를 통해 모금 주소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스텝 구성 및 캐스팅에 대한 투표 권한을 서버(10)로부터 부여받을 수 있다.
서버(10)는 모금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프로젝트형 디지털 자산 구매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모금 완료된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 후 디지털 자산의 판매, 판권 관련 투표 등 권리의 행사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버(10)는 본 서버(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과정을 지켜보며 스스로 투표하고 가치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방송이 송출되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컨트롤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특정 사람에 대한 오디션이 아닌, 특정 프로그램(프로그램형 프로젝트)에 대한 오디션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 안에서 투표를 통한 캐스팅 또한 가능하게 함에 따라, 일종의 '프로젝트 오디션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오디션 프로그램은 자신이 응원하는 지원자가 어려운 미션들을 뚫고 한 단계 한 단계 올라갈 때마다 짜릿한 쾌감과 카타르시스를 느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사용자들이 프로젝트를 응원하고 지원하고, 제작 과정에서부터 방송 후의 과정에 참여하며, 자발적인 가치 투자를 통해 수익을 실현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오디션 프로그램이 연예인을 만들기 위한 대형기획사의 전유물을 일반 시청자에게 선물했다면, 본 플랫폼은 기업이나 방송국, 제작사의 전유물이었던 프로그램을 본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 개개인에게 선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원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서버(장치)/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은 사용자에게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미디어 제작환경의 악순환을 블록체인 특징을 살린 선순환 구조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기존 수직적인 미디어 제작환경에 분산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수평적이고 탈중앙화된 미디어 제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은, '프로젝트'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프로젝트로서 프로그램형 프로젝트와 개인형 프로젝트를 함께 도입함으로써, 기존 방송과 MZ세대의 미디어 콘텐츠를 함께 아우르는 미디어제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블록체인의 스마트컨트렉트 기술과 DID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은 프로젝트 내 개인 및 기업의 투자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워커시스템(즉, 구인구직 시스템)'과 '인플루언서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본 플랫폼은, 기존 미디어 제작환경에 대한 '신문고'이자 '제작환경 개선의 장'으로서 역할을 하는 커뮤니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프로젝트를 개개인이 판단, 투표를 통해 선정하며 투자 수익까지 가능케 하는 '프로그램 오디션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PoM 합의 알고리즘(21)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패시프인컴 수익이 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되고 있는 비대면 사회에서 디지털계약, AI, 구인구직 등 시대 흐름에 적응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은 전체 미디어 시장에서 새로운 블록체인 적용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본원은 종래의 미디어콘텐츠 제작 환경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에 대하여 제안한다.
도 2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경쟁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22에는 본원에서 제안하는 기술(즉,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인 밈비)과 타 경쟁사의 기술 간의 비교 분석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원에서 제안하는 기술(본 시스템, 밈비)은 개요, 분야, 저작권, 투자방식, 수익배분 구조, 제작 유무, 블록체인 활용 여부 등에 있어서, 종래의 타 경쟁사(펀더풀, 모굴프로덕션, 유튜브)의 기술과 대비해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차별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2를 참조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시스템(100)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WIN-WIN 투자 방안(개미와 고래의 상부상조, WIN-WIN 투자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부분 미디어콘텐츠 관련 투자는 기존 방송국, 기업이나 펀드 회사 등 기업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에 반해, 본 플랫폼에서는 미디어 제작 프로젝트에 개개인의 판단하여 지분 참여를 할 수 있다. 즉, 본 플랫폼은 개인과 기업이 모두 투자가 가능한 플랫폼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의 경우, 개인에게는 미디어콘텐츠 제작 직접 투자의 기회를, 기업에게는 투자금액을 하향시킬 수 있어, 개인과 기업에게 모두 WIN-WIN 전략이 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사전제작을 통한 수익 극대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시스템(100)은 투자자의 수익 극대화를 위한 미디어콘텐츠 사전제작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종래의 경우 IP(저작권)는 방송사의 지분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투자한 벤처캐피탈이나 기업들의 수익이 현저히 낮았다. 현재 트랜드는 IP를 제작사 귀속으로 하기 위해 사전제작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투자금액이 자체적으로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형 제작사만이 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본 시스템(본 플랫폼)의 제공을 통해, 사전제작에 필요한 금액을 블록체인의 NFT를 활용하여 IP 지분율을 유동적으로 확보하고, 실제 제작에 들어가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에 의하면, 투자자들은 위험을 분산시키고, 수익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안하는 본 시스템(100)은 일예로 OTT 서비스(over-the-top media service) 시장, 국내외 미디어콘텐츠 투자자, 동영상 공유 서비스 시장 등을 목표시장으로 하여 제공될 수 있다.
1. OTT 서비스(over-the-top media service) 시장
매년 디지털 매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 제작사와 OTT 플랫폼과의 협업 또한 증가 추세이며, 사전제작 관련 콘텐츠 제작 규모는 매년 증가 추세이다. 특히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비대면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비대면 플랫폼 서비스인 OTT 업계가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OTT 플랫폼인 ‘넷플릭스’는 2020년 한 해에만, 콘텐츠 부분에 20조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금액을 오리지널 콘텐츠의 확대와 판권 구입 등에 투자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이미 만들어진 콘텐츠를 독점 확보 및 공급할 뿐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소리 없는 콘텐츠 확보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원에서 제안하는 밈비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 솔루션으로써, 콘텐츠를 확보하려는 OTT 서비스 플랫폼의 수요 전쟁 시장에 경쟁력 있는 결과물을 공급/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대형 OTT 플랫폼 및 해외 판권 시장을 목표시장으로 하여 제공될 수 있다. OTT 플랫폼 사이에서는 소리 없는 콘텐츠 확보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기존 미디어 기업은 물론 글로벌 OTT 업체들은 타 OTT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품질 자체 콘텐츠를 제작하여 자사 OTT에 독점 공급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증가를 위해 질 좋은 콘텐츠를 확보하려고 하고 있고, 이러한 OTT 시장 또한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 이용 증가로 매우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원은 미디어 콘텐츠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고 이를 타겟으로 할 수 있다.
2. 국내외 미디어콘텐츠 투자자
본 플랫폼은 기존 벤처케피탈, 기업, PPL, 광고 등 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기업 및 개인이 모두 투자가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IP/DID와 접목됨으로써,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불변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은 국내외 상관없이 신뢰 환경에서 투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바, 남다른 시장성을 가지고 공략할 수 있다.
현재 부동산/음원/미술품 등 조각투자가 관심 조명되고 있다. 이에, 본원은 본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미디어 콘텐츠 시장에서 조각투자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IP 수익을 안정적이면서 최대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국내외 미디어 콘텐츠 투자자들의 관심과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다.
3. 동영상 공유 서비스 시장
유튜브, 틱톡, 아프리카TV 등 전 세계적으로 동영상 공유 서비스의 범위와 활용도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플랫폼 또한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다. 동영상 공유 서비스의 사용자는 창작자이다. 본 플랫폼은 기획력과 대중성을 갖춘 셀럽들에게 각각의 채널을 NFT 지분 형태로 제공하고 광고에 대한 수입을 NFT 소유자에게 수익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은 걸어다니는 기업을 컨셉 목표로 국내외 동영상 공유 서비스 시장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표적으로 유튜브는 현재 전 세계 20억 명 넘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일 평균 1억 개의 영상이 올라오며 하루 평균 10억 시간 이상의 사용량을 보인다. 분당 400 시간의 새로운 영상이 업로드되고 있다. 이러한 유튜브, 틱톡, 아프리카TV 등의 동영상 공유 서비스의 범위와 활용도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플랫폼 또한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다.
동영상 공유 서비스의 사용자는 창작자이다. 본 시스템(100)은 기획력과 대중성을 갖춘 셀럽들에게 각각의 채널을 NFT 지분 형태로 제공하고, 광고에 대한 수입을 인플루언서 NFT의 소유자(구독자, 팬)에게 수익 배분을 시킬 수 있다. 즉, 본 시스템(100)은 걸어다니는 기업을 현실화시키는 컨셉으로 국내외 동영상 공유 서비스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 일예로 광고/PPL 수익의 60%는 창작자, 20%는 플랫폼 수수료, 나머지 20%는 프로젝트 활용비로 수익금이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플랫폼은 기존 플랫폼과 대비하여 플랫폼 수수료를 최소화하면서, 인플루언서-구독자가 서로 베네핏을 가져갈 수 있는 업그레이드된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최근 OTT 시장(동영상 스트리밍) 및 동영상 공유서비스 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OTT 플랫폼 콘텐츠 판매 경쟁으로 인해 미디어 콘텐츠 제작사는 사전제작 방식으로 IP(저작권) 확보를 하여 수익을 극대화시키는 흐름으로 변화하고 있다. 사전제작은 중형/소형 제작사에서는 초기 자금 확보에 대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섣불리 택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이에, 본원은 본 플랫폼(밈비 솔루션)의 제공을 통해, 미디어콘텐츠의 제작과 관련해 기획 단계에서부터 제작, 유통 및 보급까지 모두 자체 사전제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은 방송사의 방영권 구매 외에 타 OTT 플랫폼, 해외 판권 판매, 동영상 공유플랫폼에서의 저작권 관련 등 다양한 부문에서 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글로벌 OTT 서비스, Youtube같은 동영상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일반 타겟으로 할 수 있으며, 미디어 관련 종사자 및 인플루언서, 대중예술인을 플렛폼 이용자 타겟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비대면 시대에 DID를 활용하여 표준계약서 체결을 하는 스마트컨트렉트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보다 나은 근로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본 플랫폼의 이용 사용자 수를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다.
본 플랫폼은 미디어콘텐츠 투자 또한 국내외 / 기업 및 개인 모두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연성을 갖추고 있으며, K-Media에 관심있는 국내외 미디어계 종사자에게 있어서 프로젝트에 직접 지원하고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바, 해외 시장 확보도 가능할 수 있다.
본원은 본 시스템(100)인 밈비(MYMB, Make Your Media in Blockchain)의 제공을 통해, 전통적인 콘텐츠미디어 제작 및 투자 시스템을 블록체인의 장점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재설계하여 고객가치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시스템(100)은 기존 미디어 제작환경에 대한 ‘신문고’이자 ‘제작환경 개선의 장’으로, 프로젝트를 개개인이 판단, 투표를 통해 선정하는 ‘프로그램 오디션’으로, PoM 합의 알고리즘에 기반한 활동에 따른 ‘인컴 패시프 플랫폼’으로, 디지털 계약, AI 등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대 흐름의 적응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서 새로운 블록체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원은 본 시스템(100)의 제공을 위해 린스타트업 계획을 수행할 수 있다. 린스타트업(Lean Startup)은 아이디어를 빠르게 최소요건제품(시제품)으로 제조한 뒤 시장의 반응을 통해 다음 제품 개선에 반영하는 전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조-측정-학습’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꾸준히 혁신해 나가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본원이 스타트업 계획에는 최소요건제품(제조, APP 등) 제작 계획, 고객검증(고객반응조사) 계획, 비즈니스모델 고도화 및 피보팅 계획이 포함될 수 있다.
[최소요건제품(제조, APP 등) 제작 계획]
도 2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본 플랫폼의 NFT 전체 아키텍처(PoC) 구조 예를 나타낸다.
도 23을 참조하면, 해당 계획에서는 본 플랫폼 및 본 앱의 PoC(개념 증명)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세부적으로 '제작목표'는 본 플랫폼의 의 핵심 기능을 구현하는 PoC(Proof of Concept) 프로젝트로서, 일부 유즈케이스를 통해 검증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업제안시 이해도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제작내용 및 제작범위'는 본 플랫폼의 핵심 기능인 NFT와 PoM 알고리즘의 목업(Mock-up) 개발 / 미디어 제작 프로젝트의 제작 과정을 반영한 시연 시나리오 개발 / 미디어 제작 프로젝트 및 PoM합의 알고리즘에 근거한 멤버쉽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PoC(개념 증명) 범위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목업 제작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객검증(고객반응조사) 계획]
도 2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 체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 내지 본 서버(10)는 사용자에게 본 앱(내지 본 플랫폼)을 통하여 가상 체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체험은 본 플랫폼의 기능 중 하나로서, 투자 부문에 대한 튜토리얼을 통해 모의 투자를 통한 가상 체험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는 투자 부문에 있어서 튜토리얼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모의 투자를 통한 가상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듀토리얼이라 함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사용 지침 따위의 정보를 알려 주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참여 대상" : 가상 체험의 참여 대상은 종투자에 대해 관심 있는 얼리어댑터, 미디어콘텐츠 관련 종사자, MZ세대 불특정다수, 블록체인에 관심 있는 사람 등일 수 있다.
"참여 경로" : 가상 체험의 참여 경로는, 일예로 미디어콘텐츠 관련 카페 및 커뮤니티 글 게시, 신종 투자관련 카페나 커뮤니티 이벤트 글 게시, 인스타/페이스북 MZ세대가 이용하는 플랫폼에 글 게시, 튜토리얼 설문에 참여하는 200명 대상으로 커피 쿠폰 지급 등일 수 있다.
"설문내용" : 가상 체험을 통한 설문 내용은, 일예로 1. 튜토리얼을 통한 모의 투자 관련 의견, 2. 프로젝트 관련 IP(저작권)/광고에 대한 10% 회사 운영비 배당에 대한 의견, 3. 본 시스템(100)의 이해도 체크_튜토리얼 기대효과 산출, 4. 본 플랫폼의 활동에 의거한 PoM 알고리즘에 의해 발행되는 MYMB 코인 지급에 대한 의견(프로젝트 참여, 투자, 이용시간 등의 활동 비율 관련), 5. 향후 정식 버전 출시 후 이용 계획 유무, 6. 개선점 / 바라는 점 의견 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검증결과 활용 계획" : 가상 체험에 의한 검증결과를 토대로, 본 서버(10)는 설문 조사에서 얻은 MYMB 시스템 만족도와 투자 관련 사용자 니즈 파악, PoM 알고리즘 활동 항목에 대한 발급 비율 및 발행량 수정 및 개선, MYMB 앱 디자인/메뉴얼에 대해 이해도 파악 후 시스템 관련 정보 전달 방향성 개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비즈니스모델 고도화 및 피보팅 계획]
해당 계획에서는 BM 고도화 및 사업 전환 관련 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구체적인 일예로 "PoC을 위한 MVP 활용방안" 계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MVP를 통해 프로젝트 관련 예산 플랫폼 비용 10%에 대한 사용자 의견을 통해 총 프로젝트 예산 배정에 대한 적정 비율을 확인하고 BM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베타 PoC(컨셉 검증) 버전 출시 및 고객 검증 후 MYMB 플랫폼 전체 운영비용 및 개발 비용을 책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 검증을 통해 [MYMB Platform Economy-System]의 활동에 의한 멤버쉽 기준에 대해 일예로 도 20,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수익구조 비율 배분/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계획에서는 다른 일예로 "밈비 베타버전 출시를 통해 에코시스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에코시스템의 구조는 일예로 도 18에 도시된 이코노미 시스템 구조와 같을 수 있다. 해당 계획에서는 투자 튜토리얼 진행 내용을 토대로 프로젝트 제작 참여 관련 고객 검증을 수행할 수 있고, 고객 검증을 통해 얻은 데이터와 의견을 토대로 정식 버전 개발 진행 및 마케팅 타겟/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원(즉, 본 시스템(100), 서버(10), 본 플랫폼)은 기존 중앙화된 제작 시스템에서 이루어졌던 불공정 관행에서 벗어난 미디어콘텐츠 제작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MYMB 플랫폼의 모든 이코노미 시스템은 블록(블록체인의 블록)에 동기화될 수 있고,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DID(Decentralized Identit)를 활용한 개인 이력 관리, 인플루언서의 프로필, 개인미디어의 헤쉬 값도 블록에 기록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모든 기록은 투명성과 불변성을 지니게 되어, 본원은 사용자들에게 블록체인 방식의 새로운 미디어 제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기존 프로그램이나 동영상 공유플랫폼에 투자하는 것은 기업이나 펀드 회사 등 거대 자본만 가능했으며, 블록체인은 디지털 자산이 존재한다. 이에, 본원은 MYMB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활동에 따라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프로젝트 제작에 있어서 누구나 스스로 판단하여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디지털 자산은 본 플랫폼 내에서 거래 가능하게 마련(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중앙화에서 탈중앙화된 인플루언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수직적인 구조에서 P2P의 수평적인 인력시스템을 갖추고, 스마트컨트렉트를 기반으로 표준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본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사용자들이 정당한 임금과 권리를 누릴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은 앞서 설명된 서버(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버(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간단히 살펴보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은, 참여자 단말로부터 기획서가 수신된 경우(즉, 참가자가 기획서를 제출한 경우) 기획선정/투표 관련 제1 처리부에서 기획선정과 투표를 수행하는 단계, 투자/자금조달 관련 제2 처리부에서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NFT를 투자금액에 따라 지급하는 단계, 콘텐츠 제작 관련 제3 처리부에서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공급/판매 관련 제4 처리부에서 제작된 미디어콘텐츠를 공급하고 판매하는 단계, 수익 배분 관련 제5 처리부에서 제작된 미디어콘텐츠와 관련하여 광고/PPL/OTT/해외판권 판매금액을 NFT 지분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 내 각 단계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100: 서버
11: 제1 처리부 12: 제2 처리부
13: 제3 처리부 14: 제2 처리부
15: 제5 처리부
20: PoM 멤버쉽 메커니즘(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1: 참여자 단말 1': 참여자
2: 투자자 단말 2': 투자자

Claims (5)

  1.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로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미디어 제작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반으로 하고, 합의 수행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멤버쉽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관리 엔진부; 및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활동 이력에 따라 부여되는 플랫폼 참여 점수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하고 관리하는 멤버쉽 레벨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참여 점수는, 프로젝트 활동 점수, 프로젝트 투자 점수, 플랫폼 활동 점수, 및 노드 활동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합의는, 검증 노드들 중 무작위로 선출된 검증 노드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에 따른 합의, 및 거버넌스 투표 기반의 합의를 포함하며,
    상기 멤버쉽 레벨링부는, 산정된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기반으로 디지털자산 공급부에서 발행된 디지털자산을 리워드로서 사용자에게 분배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쉽 레벨링부는, 기 정의된 멤버쉽 정책에 따라 각 사용자의 멤버쉽 등급을 산정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상태 변화에 따라 디지털자산 발급량을 계산하고 디지털자산을 발행하는 디지털자산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서 트랜잭션이 발생된 경우, 상기 트랜잭션의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노드를 선출하고 선출된 검증 노드를 대상으로 합의를 수행하는 합의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멤버쉽 관리 엔진부는, 상기 합의의 수행에 의한 합의 결과를 기반으로 검증된 트랜잭션을 블록화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관리하며,
    상기 트랜잭션은, 멤버쉽 정보 관련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은 복수 유형의 안건에 대한 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유형의 안건은, 프로젝트 관련 안건, 멤버쉽 관련 안건, 코인 발행 관련 안건 및 정책 관련 안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블록체인 기반 멤버쉽 관리 장치.
KR1020210183061A 2021-12-20 2021-12-20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 KR102552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061A KR102552628B1 (ko) 2021-12-20 2021-12-20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061A KR102552628B1 (ko) 2021-12-20 2021-12-20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972A KR20230093972A (ko) 2023-06-27
KR102552628B1 true KR102552628B1 (ko) 2023-07-05

Family

ID=8694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061A KR102552628B1 (ko) 2021-12-20 2021-12-20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5959B1 (ko) * 2023-07-18 2024-07-17 주식회사 어라운즈 Nft 기반의 예술품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7116A1 (ja) * 2018-02-27 2019-09-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ブロックチェーン管理システム、ブロックチェーン管理装置、情報提供装置及びブロックチェーン管理方法
KR102094161B1 (ko) * 2019-07-16 2020-03-27 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지식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과 지식거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63779B1 (ko) * 2020-04-24 2020-10-08 주식회사 미소트리 블록체인을 이용한 보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253B1 (ko) * 2018-07-27 2020-10-26 설융석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및 유통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94584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하나은행 블록체인 기반의 영화투자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7116A1 (ja) * 2018-02-27 2019-09-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ブロックチェーン管理システム、ブロックチェーン管理装置、情報提供装置及びブロックチェーン管理方法
KR102094161B1 (ko) * 2019-07-16 2020-03-27 더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지식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과 지식거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63779B1 (ko) * 2020-04-24 2020-10-08 주식회사 미소트리 블록체인을 이용한 보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5959B1 (ko) * 2023-07-18 2024-07-17 주식회사 어라운즈 Nft 기반의 예술품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972A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5622B2 (ja) ドル預託証券、電子的会員取引、及びレポ取引
Codagnone et al. Platform economics: rhetoric and reality in the" sharing economy"
KR102170253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및 유통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uri et al. A co-utility approach to the mesh economy: The crowd-based business model
KR102488075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디어콘텐츠 제작 시스템
Ducrée et al. Unchaining Collective Intelligence for Science,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by Blockchain-Boosted Community Participation
Ante et al. Enhancing trust, efficiency, and empowerment in sports: Developing a blockchain-based fan token framework
Jirásek Klima DAO: a crypto answer to carbon markets
KR10255262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멤버쉽 관리 장치
Benbya Exploring the design and effects of internal knowledge markets
Bag et al. Quantinar: a blockchain p2p ecosystem for honest scientific research
Martos Carrion Historico-Sociological Analysis of the Sharing Economy from its Early Digital Foundations to the Present
KR102531437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 미디어콘텐츠 관련 활동 증명 시스템
Gardner et al. The Digital Economy
Suvivuo et al. Building and sustaining communities in online labour platforms
US202302525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information sharing
Thomas DAOs, cooperatives and the educational principle
Kuppuswamy et al. A Blockchain for Nigeria-Exploring Blockchain Policy and Adoption in Nigeria
Mutlu Digitalization and its impact on the economy in wake of blockchain technology
Daglio Sharing Economy-Trust, legislation and the new technological change
Binetti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s (DAOs): Evolution, Taxonomy and Legal Challenges
Sitta Potential of Blockchain Technology in Advancing Entrepreneurship in Qatar
Mannan The Promise and Perils of Corporate Governance-by-Design in Blockchain-Based Collectives: The Case of dOrg
Bag et al. Quantinar: A Blockchain p2p Ecosystem for Scientific Research
WANG Social new retailing business model and its applicable regulatory patt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