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058B1 -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for improving resilience of urban renewal region using linking adaption of commo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for improving resilience of urban renewal region using linking adaption of commo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058B1
KR102552058B1 KR1020210089417A KR20210089417A KR102552058B1 KR 102552058 B1 KR102552058 B1 KR 102552058B1 KR 1020210089417 A KR1020210089417 A KR 1020210089417A KR 20210089417 A KR20210089417 A KR 20210089417A KR 102552058 B1 KR102552058 B1 KR 10255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lution
detailed
unit
dis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08972A (en
Inventor
김신종
홍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맵인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맵인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맵인어스
Priority to KR102021008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058B1/en
Publication of KR2023000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0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은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 상기 세부기술이 속한 계층적 분류정보 및 상기 세부기술이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가 다중적으로 연계되는 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부; 상기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생성된 상기 데이터객체가 집합된 인벤토리DB가 저장되는 인벤토리DB부;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가 커먼-파라미터(common-parameter)로 포함되며, 상기 세부기술을 실제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솔루션DB를 생성하는 솔루션DB생성부; 및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벤토리DB 또는 상기 솔루션DB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세부기술에 대한 정보 또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for providing a solution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an urban regeneration area using the linkage application of comm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each of a plurality of detailed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an urban regeneration area,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y, the detailed technology an object creation unit that creates a data object in which hierarchic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to which it belongs and one or more disaster information to whic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pplicable are multi-linked; an inventory DB unit storing an inventory DB in which the data objects generated bas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etailed technologies are collected; a solution DB creation unit for generating a solution DB compris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technical products that includ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y as a common-parameter;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detailed technologies or technical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information by using the inventory DB or the solution DB when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a user client. .

Description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FOR IMPROVING RESILIENCE OF URBAN RENEWAL REGION USING LINKING ADAPTION OF COMMON INFORMATION}A solution providing system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rban regeneration areas using linked application of comm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시재생지역의 기반시설, 지리적 특성, 자연환경정보, 재난이력정보 등의 분석 등을 통하여 해당 도시재생지역에 취약한 재난재해정보를 분석하는 프로세싱 및 해당 재난재해를 기준으로 도시재생지역에 대한 회복력 향상의 효용성이 높은 솔루션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프로세싱을 복합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특성에 가장 부합하는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provides a solution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an urban regeneration area, and more specifically, through analysis of infrastructur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natur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disaster history inform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 By combining processing that analyzes vulnerable disaster information and processing that selects and provides solutions that are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rban regeneration areas based on the disaster, the optimal It is about a solution providing system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rban regeneration areas using the linked application of common information that can provide solutions.

도시재생사업은 산업구조변화, 신도시 위주의 확장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쇠퇴하고 낙후된 도시재생지역(도시쇠퇴지역)을 대상으로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업으로서 물리적인 시설 보충, 확장, 개선 등은 물론, 사회, 문화, 경제 여건 등을 재활성화시키는 사업을 의미한다.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a project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improving urban competitivenes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urban declining areas) that have declined and deteriorated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industrial structure change and expansion centered on new towns. It refers to projects that revitaliz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conditions as well as physical facility supplementation, expansion, and improvement.

한편, 지구 환경적 변화에 따른 다양한 자연재해가 대형화 및 빈번화되어 가고, 인간의 정주 공간이 도시로 집중화되는 경향 및 도시공간시설 등의 노후화가 상당 기간 지속되면서 도시 공간 내 재해 또는 재난 발생가능성이 높아짐은 물론, 그에 따른 피해 규모가 더욱 커지고 있음에 반해,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도시의 기반 시설 등의 취약성은 상대적으로 더 커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natural disasters due to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frequent, and as human settlement spaces tend to be concentrated in cities and aging of urban space facilities continues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he possibility of disasters or disasters occurring in urban spaces is increasing. It can be said that the vulnerability of the city's infrastructure that can respond to it is relatively growing, while the scale of damage is increasing.

이러한 자연 환경 및 도시 환경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는 재난 재해는 대규모 인적 및 물적 피해와 직결되므로 도시재생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사업에는 특히 재난재해에 대한 대응력 내지 회복력 향상을 위한 계획, 설계 및 집행에 대한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Disasters that can be caused by these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are directly related to large-scale human and material damage, so the project for revitalizing the urban regeneration area i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planning, design, and execution to improve response or resilience to disasters. It can be said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contents are necessarily included.

종래에도 도시재생지역의 활성화 등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방법론은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재난 또는 재해에 대한 분석 및 그에 따른 대응력 내지 회복력 향상 등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대부분 도시재생지역의 경제적 활성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In the past, various methodologies for revit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areas have been made, but these conventional methodologies are not based on analysis of disasters or disasters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 and improvement of response or resilience accordingly, but most of them are economically Activation is the main focus.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82361호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30519호 등과 같이 도시재생사업을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방법론도 개시되고 있다.In addition, a methodology for implementing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s a system is also disclosed,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2361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0519.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관련 법적 규정, 계획, 집행, 감리 및 점검 과정 등과 같은 사업의 시작과 종료에 이르는 다양한 절차적 프로세스의 내용을 정의하고 확인하는 과정 등을 여러 가지 알고리즘과 데이터 체계로 구현하는 것들이므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관련 프로세스를 시스템적으로 구현한다는 점에서는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으나, 재난재해의 복구 또는 피해 방지 등의 측면에서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자연적 그리고 인위적 환경 요소에 최적화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implement various algorithms and data systems, such as the process of defining and confirming the contents of various procedural processes ranging from the start and end of a project, such as related legal regulations, planning, execution, supervision and inspection process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process related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implemented systematically.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limitations.

또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도시재생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 방법은 특정 사업에만 적용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범용적 적용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본질적인 문제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oviding urban regeneration-related services using a system architecture has an inherent problem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apply universally because most of the cases are designed to be applied only to specific businesses.

나아가 이러한 종래 방법에 이용되는 관련 데이터 내지 DB는 방대한 용량을 가지는 단일 체계로 구축되므로 시계열적으로 변동되는 다양한 요소를 유기적으로 반영하기가 어려움은 물론, 다양한 변수와 환경을 고려한 확장 가능성 또한, 극히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related data or DB used in these conventional methods is built as a single system with enormous capacity, it is difficult to organically reflect various factors that fluctuate in time series, an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and environments is also extremely limite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82361호(2018.07.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2361 (2018.07.18)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30519호(2013.11.12)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30519 (2013.1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시재생지역에 최적화된 솔루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독립되고 이원화된 체계로 구성하되, 이들 사이의 커먼 파라미터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간 유기적 연계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변수, 환경조건, 지표, 조건 등의 변화에 대한 적응성과 확장성 및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도시재생지역의 위험도분석 및 도시재생지역의 특성에 따른 상대적 적응가능성 내지 효용성에 대한 회복력분석 등을 입체적으로 적용하여 도시재생지역마다 특화되는 정확하고 효율성 높은 맞춤형 솔루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configures a database system as an independent and dualized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information optimized for urban regeneration areas, but utilizes common parameters between them. By enabling organic linkage between databases to continue, adaptability and scalability to changes in various variables, environmental conditions, indicators, conditions, etc., and efficiency of data management are further improved, as well as risk analysis and urban regeneration in urban regeneration areas A solution providing system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rban regeneration areas that can provide accurate and highly efficient customized solution information specialized for each urban regeneration area by applying resilience analysis on the relative adaptability or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 three dimensions.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claims and the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은,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 상기 세부기술이 속한 계층적 분류정보 및 상기 세부기술이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가 다중적으로 연계되는 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부; 상기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생성된 상기 데이터객체가 집합된 인벤토리DB가 저장되는 인벤토리DB부;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가 커먼-파라미터(common-parameter)로 포함되며, 상기 세부기술을 실제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솔루션DB를 생성하는 솔루션DB생성부; 및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벤토리DB 또는 상기 솔루션DB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세부기술에 대한 정보 또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ystem for providing a solution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an urban regeneration area using the application of common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each of a plurality of detailed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an urban regeneration area, an object creation unit that creates a data object i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hierarchic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detailed technology belongs, and one or more disaster information to which the detailed technology is applicable are multi-linked; an inventory DB unit storing an inventory DB in which the data objects generated bas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etailed technologies are collected; a solution DB creation unit for generating a solution DB compris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technical products that includ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y as a common-parameter; And when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a user cli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detailed technologies or technical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information by using the inventory DB or the solution DB. .

또한,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대상지역정보가 포함된 리퀘스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포함된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재해이력정보 또는 자연환경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분석하여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재난재해 중 상기 대상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위험도분석모듈; 상기 인벤토리DB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정보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에 적용 가능한 복수 개 세부기술인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제1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솔루션DB 중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인 제1솔루션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area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client, amo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arget area, disaster history information or natur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target area included in the request information A risk analysis module for generating risk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disaster information relatively vulnerable in the target area among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disasters by analyzing one or more information; a sorting unit that selects a first detailed technology that is a plurality of detailed technologies applicable to the disas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isk information by using the disas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ventory DB as a common parameter;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first solu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technology produc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detailed technologies in the solution DB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etailed technology as a common parameter. can be configured.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은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지역의 회복력 기여에 대한 정량적 분석지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량적 분석지표가 상대적으로 높은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는 회복력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quantitative analysis index for the contribution to the resilience of the target area for each of the first detailed technologies, and m (m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targets with a relatively high generated quantitative analysis index It is more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esilience analysis module for selecting detailed technologies.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 target detailed descriptions as a common parameter.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회복력분석모듈은 상기 대상지역에 설치된 기반시설의 특성정보, 설치가능비율, 가동률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세부기술의 실제 적용을 위한 스펙정보 또는 상기 세부기술의 경제성 정보를 포함하는 레퍼런스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resilience analysi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infrastructure installed in the target area, installable ratio, operation rate informati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arget area,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actual applic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y, or detailed technology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select the m target detailed technologies using one or more of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economic feasibility information.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정부제공부는 상기 레퍼런스정보 및 상기 레퍼런스정보에 포함되는 개별정보마다 각각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환경을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회복력분석모듈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우선순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overnment provis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n interface environment capable of setting a priority for each of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individu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to the user client, in which case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lience analysis module of may be configured to select the m target detailed technologies using priori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clien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솔루션DB생성부는 제1주기를 기준으로 조달청DB에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조달청DB에 등재된 정보 중 텍스트 기반의 제품 정보 및 제품의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품목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상기 품목정보를 로데이터(raw data)로 텍스트 마이닝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방재관련 세부기술 및 이에 해당하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인 기초정보를 생성하는 기초정보생성부; 및 상기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여 생성하는 DB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ution DB gen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based on the first cycle;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item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including text-based product information and product description information, among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A ba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performs text mining processing on the item information as raw data to generate basic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detailed disaster prevention related technologies and technical products corresponding thereto;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B generation unit for updating and generating the solution DB based on the first cycle using the basic information.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정보제공부가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제공한 후 상기 솔루션DB가 갱신되는 경우, 상기 갱신된 솔루션DB를 기준으로 후속솔루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후속솔루션정보와 상기 제1솔루션정보 사이의 변동정보인 트래킹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제1솔루션정보가 제공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상기 트래킹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subsequent solu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pdated solution DB when the solution DB is updated after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es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to the user client.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racking information, which is change information between subsequent solu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tracking information to the user client provided with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기초정보생성부는 상기 품목정보 중 재난재해정보, 세부기술정보, 기술제품정보 중 둘 이상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제1품목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제1품목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정보를 페어정보로 그룹핑하여 상기 기초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ba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first item information in which two or more of disaster information, detailed technical information, and technical product information are included together among the item information, and the first item information is included.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basic information by grouping two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one item information into pair information.

본 발명의 상기 기초정보생성부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상기 DB생성부는 기존에 생성된 솔루션DB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여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ba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DB gen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updates the solution DB based on the first cycle us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viously created solution DB and the basic information. can be configured to creat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선별부는 상기 위험도분석모듈에서 생성된 위험도정보에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 모두에 적용 가능한 세부기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disast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isk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isk analysis module, the sel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first detailed technology based on the detailed technology applicable to all of the plurality of disaster information. can be configured t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해당 도시재생지역에 취약한 재난재해정보 및 이 재난재해정보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되,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특성과 환경 등에 기초한 효용 가능성이 높은 선별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어 도시재생사업의 실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지역에 재난재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더욱 조속한 복구와 피해 최소화를 더욱 실질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aster information vulnerable to the urban regeneration area and a solution applicable to the disaster information are provided, but selected with high possibility of utilit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 By providing solutions, the effectiven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an be further improved, and in the event of damage due to disasters in the area, it can lead to more rapid recovery and minimization of damages more practical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솔루션정보 제공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독립되고 이원화된 체계로 구성하고 커먼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들 사이의 상호 연계성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변화되는 다양한 정보, 수치, 변수 등에 대한 적응성과 확장 가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system, which is the basis for providing solution information, is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and dualized system, and the mutual linkage between them is maintained using a common paramet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ata maintena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adaptability and scalability to various information, values, variables, etc. that chang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정보에 조달청DB 등에 등재된 실제 제품 정보를 연계시킬 수 있어 특정 제품, 공법, 기술, 프로그램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질적인 기술제품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lution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rban regeneration areas can be linked to actual product information listed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etc., so that accurate information on specific products, construction methods, technologies, programs, etc. In addition, it can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practical technology products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솔루션정보가 제공된 이후 관련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의 변화/변동이 발생하더라도 그에 대한 트래킹정보를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어 정보의 최신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더욱 높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changes / fluctuations in related information, databases, etc. occur after solu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racking information for it can be provided to users, etc., so that information can be kept up to date continuously. Higher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솔루션DB생성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솔루션정보가 제공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외부DB를 이용하여 솔루션DB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벤토리DB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솔루션DB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s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diagram showing a solution providing system and overall configuration related theret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olu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olution DB gen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4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in which solu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reating a solution DB using an external DB;
7 and 8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n inventory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olution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이하 '솔루션 제공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shows a solution provid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an urban regeneration area using the linked application of comm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verall configuration related thereto. It is an illustrated drawing.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도시재생지역(도시쇠퇴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재난재해를 분석하고 분석된 재난재해의 방지 또는 피해 복구 등의 관점에서 효용성 높게 적용될 수 있는 세부기술 또는/및 해당 세부기술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해당한다.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disasters that are relatively vulnerable in urban regeneration areas (urban decline areas), and detailed technologies that can be applied with high efficiency in terms of preventing or recovering damage from the analyzed disasters or disasters, or / and It corresponds to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echnology products that actually implement the specific technology.

본 발명에서 전제하는 재난재해는 관련 법규 등에서 정의되어나 인용되는 폭우, 폭염, 폭설, 강풍, 지진, 화재, 폭발, 붕괴와 같은 8대 재난재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반드시 이러한 특정 종류의 재난재해로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Disasters and disasters premi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eight major disasters such as heavy rain, heat wave, heavy snow, strong wind, earthquake, fire, explosion, and collapse defined or cited in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ust be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disaster.

상기 세부기술은 재난재해의 방지 또는 피해 복구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 공법, 장치, 구조물 등의 범주 또는 구분기준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투수 포장, 융설 포장, 도로 세척, 염수살포, 대피유도시설, 저류시설, 피난거처시설, 자가 발전, 누전차단, 소화장치, 제연장치, 가스누설감지, 진동감지, 화재감지, 배수시설, 펌프, 차열, 내화, 내진구조, 보강 공법, 단열, 제설 등이 그 구체적인 예들이 될 수 있다.The above detailed technology defines categories or classification criteria of technology, construction method, device, structure, etc. that can be applied to disaster prevention or damage recovery, etc. Facility, shelter facility, self-generation, earth leakage blocking, fire extinguishing system, smoke control system, gas leak detection, vibration detection, fire detection, drainage facility, pump, heat shield, fire resistance, earthquake resistance structure, reinforcement method, insulation, snow removal, etc. Examples can be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기술제품은 상술된 세부기술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구체적인 대상으로서 공법(기법, 기술, 서비스), 제품(재료),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장비(시공용, 포설용 등)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실제 시중에서 구매될 수 있는 제품/장비/장치/설비 또는 업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용역 서비스 등이 이에 해당하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해당 기술제품의 판매 내지 제공하는 업체에 관련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ical product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cific object that actually implements the detailed technology described above, and is a construction method (technique, technology, service), product (material), software (program), equipment (for construction, installation, etc.) As a concept encompassing, etc., products/equipment/devices/facilities that can be actually purchased on the market or services provided by companies correspond to this, and information related to companies that sell or provide the technology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may also be included.

도시 등 재개발사업은 계획된 구역이나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모든 것을 새롭게 설계하고 그에 따른 시설, 설비 등을 새롭게 구축하고 건설하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으나 도시재생사업의 경우 이러한 도시 등 재개발사업과는 달리 필요한 시설이나 설비 등을 선택적으로 도시재생지역에 적용하여야 한다.An urban redevelopment project can be said to be a project that newly designs everything for a planned area or the entire region, and newly builds and constructs facilities and equipment accordingly. or facilities should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urban regeneration area.

그러므로 이미 설치된 시설이나 장비, 설비 등의 설치율, 가동율, 추가 내지 증설 가능여부, 기반시설의 물리적 특성,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지리적 내지 환경적 특성(투수율, 지반강도, 강우량, 강설량, 교통량, 인구 밀도, 인구 노령화 지표), 해당 도시재생지역에 투여될 수 있는 예산 범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효율성 내지 가성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최적의 기술제품 등이 해당 도시재생지역에 적용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stallation rate of already installed facilities, equipment, facilities, etc., operation rat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tensi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infrastructure, geographical 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 (permeability, ground strength, rainfall, snowfall, traffic, population dens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induce optimal technology products with relatively high efficiency or cost-effectiveness to be applied to the relevant urban regeneration area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range of budgets that can be invested in the relevant urban regeneration area. there is.

후술되어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해당 도시재생지역의 취약한 재난재해에 대한 위험도를 정확히 분석하고, 취약한 재난재해의 위험 등을 극복 내지 회피할 수 있는 세부기술 범주를 선정하도록 구성된다.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analyzes the risk of vulnerable disasters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 and provides detailed technical categories capable of overcoming or avoiding the risk of vulnerable disasters. configured to select.

나아가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이러한 세부기술 범주 중 도시재생지역의 다양한 변수, 요소,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구축되는 입체적 데이터 구조를 활용하여 해당 도시재생지역에 적용 효율성이 높은 특정 세부기술과 이 특정 세부기술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제품에 대한 솔루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Furthermore,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three-dimensional data structure built by comprehensively reflecting various variables, factors, conditions, etc. It is structured to provide solution information for a detailed technology and a technology product that actually implements this specific detailed technology.

한편,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온라인 접속 가능한 웹(web) 기반의 서버 내지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유저 클라이언트(200)와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요청신호나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면 후술되는 본 발명만의 고유한 프로세싱을 통하여 생성되는 솔루션정보를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server or platform based on a web that can be accessed online,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user client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50 so that the user client When a request signal or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200, solu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unique proces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is provided to the user client 200.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신속한 정보 공유 내지 알람 정보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 또는 사용자(유저)의 모바일 단말(250)로 해당하는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50 of a manager or user (user) when rapid information sharing or transmission of alarm information is requir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조달청DB(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달청DB(400)에 등재된 제품 정보, 제품의 설명정보, 해당 제품이 적용되는 세부기술 또는 재난재해 관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품목정보'라 지칭한다)를 추출하고 이를 로데이터(raw data)로 하는 텍스트 마이닝(mining)과 같은 파싱(parsing)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여 솔루션DB 등의 생성 과정에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400, and product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400, description information of the product, detailed technology or disaster disaster to which the product is applied Extracting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related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tem information') and applying parsing processing such as text mining to extract raw data to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 it may be configured to be processed and reflected in the creation process of the solution DB.

또한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외부 기관 서버(300)와도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시재생지역 등의 맵데이터, GIS 정보 등을 수신받아 GUI 환경 등을 통한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정보 내지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one or more external agency servers 300 to receive map data, GIS information, etc. of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provide more user-oriented information through a GUI environment. Data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도 1에 도시된 유저 클라이언트(200)는 도시재생지역의 계획입안자, 정책집행자, 지자체 담당자, 사업수행자, 도시재생지역 내 거주자, 관리자 등(이하 '유저(user)' 또는 '사용자'로 지칭한다)이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이 구현된 서버에 온라인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말 구성을 의미한다.The user client 200 shown in FIG. 1 is a planner of an urban regeneration area, a policy executor, a person in charge of a local government, a project performer, a resident in an urban regeneration area, a manager,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 or 'user'). ) means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that receives necessary information and data by accessing online to a server where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클라이언트(200-1, 200-2, 200-k)는 피씨, 노트북, 태블릿,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단말의 형태나 지칭되는 용어 등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200)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shown in FIG. 1, the user clients 200-1, 200-2, and 200-k may be implemented as PCs, notebooks, tablets, PDAs, etc., and communicate with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user client 200 may correspond to the user client 200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type of terminal or the term referred to, if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unction such as processing data received after being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온라인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사용자 측의 단말을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지칭한다.In addition, since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online server accessibl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 a terminal on the user side is referred to as a user client 200 from a corresponding point of view.

상기 통신 네트워크(50)는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과 유저 클라이언트(200), 조달청DB(400) 또는 외부 기관 서버(3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으로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면 유선, 무선 등을 구분하지 않으며, TCP/IP, CDMA, WCDMA, LTE, WiFi 등 다양한 프로토콜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mmunication network 50 is a communication network enabl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client 200,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400 or the external agency server 300, if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Of course,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wired and wireless,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protocols and methods such as TCP/IP, CDMA, WCDMA, LTE, and WiFi.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processing process of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싱 과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ocessing procedure implemented in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객체생성부(110), 인벤토리DB부(120), 솔DB생성부(137), 정보제공부(140), 위험도분석모듈(150), 선별부(160), 정보처리부(170) 및 회복력분석모듈(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generator 110, an inventory DB unit 120, a Sol DB generator 137, an information provider 140, and a risk analysis module ( 150), a selection unit 160,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70, and a resilience analysis module 180.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 및 후술되는 도 3에 도시된 솔루션DB생성부(13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and the solution DB generator 130 shown in FIG. 3 to be described later are logical rather than physically distinct components.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divided into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at is, since each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a logical component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each component is integrated or separated, if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within the scope, and any component perform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should be construed 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name is identical.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의 일 구성인 본 발명의 객체생성부(110)는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생성되는 데이터객체로서, 세부기술의 명칭 또는 아이디정보와 같은 식별정보, 세부기술이 속한 계층적 분류정보 및 세부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가 다중적 내지 입체적으로 상호 연계된 데이터객체를 생성한다(S400, 도 4 참조).The object generation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 object created based on each of a plurality of detailed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an urban regeneration area, and the name of the detailed technology Alternatively,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ID information, hierarchic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detailed technology belongs, and one or more disaster information to which the detailed technology can be applied create a multi-dimensionally or three-dimensionally interconnected data object (S400, see FIG. 4).

이와 같이 각 세부기술을 기준으로 각각 생성되는 데이터객체는 본 발명의 인벤토리DB부(120)에 집합되어 저장된다(S410). 이하 각 세부기술마다 생성되는 데이터객체의 집합체를 '인벤토리DB'라 지칭한다.In this way, the data objects created on the basis of each detailed technology are collected and stored in the inventory DB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S410). Hereinafter, an aggregate of data objects created for each detailed technology is referred to as an 'inventory DB'.

계획 수립, 정보 검색, DB 구축 등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데이터객체에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과 같이 규모, 특성, 종류 등을 기준으로 해당 세부기술이 속하는 계층적 분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계층적 분류체계는 후속적으로 추가/수정/보완이 가능한 유연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lanning, information search, DB construction, etc., the data object may includ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corresponding detailed technology belongs based on scale, characteristics, type, etc., such as major classification, intermediate classification, and small classification. Of course, this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can be made into a flexible structure that can be subsequently added/modified/supplemented.

도 7과 도 8은 특정 세부기술에 대한 데이터객체 즉, 인벤토리DB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세부기술에 대한 데이터객체는 세부기술이 속하는 계층적 분류정보, 정량적 성능, 정성적 성능, 기술 유형, 이미지, 조달청 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7 and 8 illustrate an example of a data object for a specific detailed technology, that is, an inventory DB.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data object for a specific detailed technology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hierarchic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detailed technology belongs, quantitative performance, qualitative performance, technology type, image, and procurement service code.

또한,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데이터 객체(인벤토리DB)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을 위하여 표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해당 세부기술을 정의하거나 설명하는 각 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내용은 디지털 정보가 다차원적으로 연계된 객체 지향적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data object (inventory DB) illustrated in FIGS. 7 and 8 is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table for convenience or efficiency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but each item defining or explaining the specific technology and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ite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digital information can be composed of a multi-dimensionally linked object-oriented data structure.

본 발명의 솔루션DB생성부(130)는 세부기술의 명칭 또는 식별정보가 커먼-파라미터(common parameter)로 포함하며 해당 세부기술을 실제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솔루션DB를 생성 및 저장한다(S420).The solution DB generation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name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y as a common parameter and creates a solution DB consisting of information on one or more technical products that actually implement the corresponding detailed technology. Save (S420).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솔루션DB에 포함되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는 공법(기법, 기술, 서비스), 제품(재료), 소프트웨어(프로그램), 장비(시공용, 포설용 등)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실제 시중에서 구매될 수 있는 제품/장비/장치/설비 또는 업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용역, 서비스 등이 이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on technology products included in the solution DB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construction methods (techniques, technologies, services), products (materials), software (programs), equipment (for construction, installation, etc.) , Products/equipment/devices/facilities that can be purchased on the market, or services and services provided by companies fall into this category.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생성 및 관리되는 솔루션DB는 자료구분, 세부기술(분류체계), 기술제품명, 세부품명번호, 품명 등 복수 개 정보가 상호 연계되어 생성되는 DB로서, 앞서 기술된 인벤토리DB(각 세부기술별 데이터객체의 집합체)와 이원화(二元化)된 형태로 독립적으로 생성 및 관리되는 DB에 해당한다.As illustrated in FIG. 9, the solution DB created and manag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B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such as data classification, detailed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 technical product name, detailed product name number, and item name are interconnected and created, It corresponds to a DB that is created and managed independently in a dualized form with the previously described inventory DB (a collection of data objects for each detailed technolog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솔루션DB에 수록된 정보로서, 세부기술을 표상하는 명칭 또는 식별정보가 인벤토리DB와의 관계에서 공통 파라미터(common parameter)로 기능하므로 인벤토리DB와 솔루션DB는 각각 개별적으로 생성, 유지, 관리(추가, 삭제, 변경 등)될 수 있으면서도 상호 간의 연계성이 항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As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olution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ame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detailed technology functions as a common parameter in relation to the inventory DB, the inventory DB and the solution DB are individually created, While it can be maintained and managed (added, deleted, changed, etc.), the mutual connection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인벤토리DB 및 솔루션DB가 생성되는 이러한 전처리 프로세싱은 각 DB를 이루는 개별 요소 또는 데이터/정보의 수정, 변경, 추가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소정 주기 등을 기준으로 개별적 그리고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such pre-processing in which the inventory DB and the solution DB are created can be performed individually and independently based on a predetermined cycle when individual elements or data/information constituting each DB are modified, changed, added, etc.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40)는 본 발명의 I/O부(190)를 통하여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면(S430) 상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세부기술에 대한 정보 또는/및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벤토리DB 또는/및 상기 솔루션DB를 이용하여 추출하고(S440) 추출된 정보를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S450).When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client 200 through the I/O unit 190 of the present invention (S430),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detailed technology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information or/and Information on technology products is extracted using the inventory DB or/and the solution DB (S440), and the extracte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client 200 that has transmitted the request signal (S45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솔루션정보가 제공되는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ss in which solu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rocessing procedure fo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like.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인벤토리DB 및 솔루션DB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전처리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500).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re-processing of generating and storing an inventory DB and a solution DB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S500).

본 발명의 위험도분석모듈(150)은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대상지역정보가 포함된 리퀘스트정보가 수신되면(S505)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재난재해 중 상기 대상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 또는/및 해당 재난재해의 위험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정보를 생성한다(S510).Whe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area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client 200 (S505), the risk analysis module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one of n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disasters that are relatively vulnerable in the target area. Risk information including the above disaster information and/or information obtained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risk level of the corresponding disaster is generated (S510).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위험도분석모듈(150)은 입력된 대상지역이 도시재생지역이 아닌 경우, 적절한 안내 정보를 회신하는 방식으로 후속 프로세싱이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course, the risk analysis module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so that subsequent processing does not proceed by returning appropriate guide information when the input target area is not an urban regeneration area.

상기 위험도정보는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포함된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대상지역의 재해이력정보, 자연환경정보, 대상지역에 설치 또는 건축된 건물이나 구조물, 설비 등의 물리적 특성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The risk information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arget area included in the request information, disaster history information of the target area, natur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ch as buildings, structures, and facilities installed or built in the target area. can be created by

본 발명의 위험도분석모듈(150)은 분석 프로세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 도시재생지역별로 상술된 정보 등을 미리 DB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필요한 경우 외부 기관 서버(300) 또는 해당 지역의 지자체 서버 등으로부터 관련 데이터 등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isk analysis module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a database of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for each urban regeneration area in adv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nalysis processing, and furthermore, if necessary, from the external agency server 300 or the local government server in the corresponding area.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data or the like.

위험도분석모듈(150)은 개별 DB와 자체 구비된 하드웨어 리소스 등을 이용하여 다른 주체 등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구성과는 달리 모듈이라는 명칭이 부가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다른 구성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의 일 구성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Unlike other configurations, in that the risk analysis module 150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by other entities using individual DBs and self-provided hardware resources, etc., the name of the module is added, but this is an example.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one component of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ke other components.

상기 위험도분석모듈(150)에서 생성되는 위험도정보에는 고립, 붕괴, 유실, 방재취약, 침수 등과 같은 위험 유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대표 기반시설(공간시설, 방재시설, 공공문화체역시설, 유통공급시설, 환경기초시설, 교통시설, 보건위생시설 등)별 재난재해에 대한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의 정보가 함께 수록될 수 있다.The risk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isk analysis module 150 may include information on risk types such as isolation, collapse, loss, disaster prevention vulnerability, flooding, etc.,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representative infrastructure (space facilities,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public culture) Information such as the priority or importance of disasters by physical area facilities, distribution supply facilities,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facilities, transportation facilities, health and sanitation facilities, etc.) can be inclu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험도분석모듈(150)에서 위험도정보(해당 대상지역에 취약한 재난재해정보 포함)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선별부(160)는 상기 인벤토리DB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정보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에 적용 가능한 복수 개 세부기술인 제1세부기술을 선별한다(S515). In this way, when risk information (including disaster information vulnerable to the target area) is generated in the risk analysis module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on unit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disas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ventory DB to common parameters. A first detailed technology, which is a plurality of detailed technologies applicable to the disas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isk information, is selected (S515).

대상지역 입력 및 위험도정보 생성을 거쳐 제1세부기술이 생성되는 프로세싱에는 위험도정보에 포함된 정보로서 인벤토리DB에 필수로 포함되는 재난재해정보가 커먼-파라미터로 활용된다.In the processing in which the first detailed technology is generated through input of the target area and generation of risk information, disas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isk information, which is necessarily included in the inventory DB, is used as a common parameter.

제1세부기술이 선별되면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70)는 상기 제1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솔루션DB에 수록된 정보 중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이하 '제1솔루션정보'라 지칭한다)를 생성한다(S540).When the first detailed technology is selec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etailed technology as a common parameter, and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lution DB, one or more technologi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detailed technologies. Information on the produ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solu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S540).

이와 같이 제1솔루션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40)는 상기 리퀘스트정보의 회신으로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한다(S545).When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to the user client 200 as a response to the request information (S545).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은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지역의 회복력 기여에 대한 정량적 분석지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량적 분석지표가 상대적으로 높은 m(m은 1이상의 자연수)개 세부기술(이하 '대상세부기술'이라 지칭한다)을 선별하는(S535) 회복력분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quantitative analysis index for the contribution to the resilience of the target area for each of the first detailed technologies, and the generated quantitative analysis index is relatively A resilience analysis module may be further included to select (S535) high m (m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detailed technolog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rget detailed technologies').

회복력분석모듈(180)은 대상지역(리퀘스트정보에 포함된 지역정보)에 설치된 기반시설의 특성정보, 설치가능비율, 가동률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세부기술의 실제 적용을 위한 스펙정보 또는 상기 세부기술의 경제성 정보를 포함하는 레퍼런스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할 수 있다.The resilience analysis module 180 provid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infrastructure installed in the target area (loc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information), installable rate, operation rate informati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arget area, and specifications for actual applic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y. The m target detailed technologies may be selected using one or more of information or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economic feasibility inform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ies.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대상지역의 경우, 폭우가 위험도가 높은 재난재해(위험도정보)인 경우, 대상지역 내 배수로 시설은 설치비율, 설치 공간 등을 고려할 때, 더 이상 확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폭우를 회피 내지 극복할 수 있는 다른 세부기술인 투수포장 또는/및 배수펌프를 대상세부기술로 선별한다.As a specific example, in the case of the above target area, if heavy rain is a disaster with a high risk (risk level information), if it is judged that the drainage facility in the target area is no longer expandable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ratio, installation space, etc. Select permeable pavement or/and drainage pump, which are other detailed technologies that can avoid or overcome, as target specific technologi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복력분석모듈(180)은 실질적으로 해당 대상지역(도시재생지역)에서 적용효율성 또는 가동 가성비 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간주되는 세부기술을 특정하게 되므로 해당 대상지역에 최적화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resilience analysis module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actually specifies detailed technologies that are considered to have relatively high application efficiency or operation cost-effectiveness in the target area (urban regeneration area), so customized information optimized for the target area. can provide.

본 발명의 회복력분석모듈(180)이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하면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70)는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솔루션DB 중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 각각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생성한다(S540).When the resilience analysis module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m target detailed technologi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 target detailed technologies as a common parameter and selects the m target specific technologies in the solution DB. Information on one or more technology products corresponding to each detailed technology is selected to generate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S540).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술제품의 크기, 중량, 가격, 구입 경로, 판매처 등과 같은 기술제품에 대한 특성정보, 우선순위가 높다고 간주되는 세부기술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중점을 두는 주관적 요소가 제2솔루션정보에 반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ubjective element that the user focuses on, such a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the technology product, such as size, weight, price, purchase route, sales place, etc. It can be configured to be reflected in the solution information.

이 경우 제1솔루션정보가 생성된 후, 사용자의 주관적 요소(우선순위 등)를 고려하여 추가적인 솔루션정보가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사용자의 주관적 요소를 미리 반영한 제1솔루션정보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 등이 더욱 높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is case, after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dditional solution information can be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subjective factors (priority, etc.), and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reflecting the user's subjective factors in advance is generated. It may be desirable to configure the efficiency of data processing and the like to be further increased.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40)는 레퍼런스정보(대상지역에 설치된 기반시설의 특성정보, 설치가능비율, 가동률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세부기술의 실제 적용을 위한 스펙정보 또는 상기 세부기술의 경제성 정보 등) 및 상기 레퍼런스정보에 포함되는 개별정보다 각각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520).In this regar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ference inform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infrastructure installed in the target area, installable ratio, operation rate informati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arget area, specifications for actual applic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y)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user client 200 with an interface environment capable of setting the priority of each information or economic inform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y) and individu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S520).

유저 클라이언트(200)에서 표출되는 인터페이스환경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S525) 우선순위정보가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시스템(100)으로 전송되면(S530) 본 발명의 회복력분석모듈(180)은 상기 입력된 우선순위정보를 가중치 변수 등으로 설정하여 회복력 기여에 대한 정량적 분석지표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이나 함수(function)를 구동시켜 상기 m개 대상세부기술을 선별한다(S535). When the priority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S525) through the interface environment expressed in the user client 200 is transmitted to the solution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530), the resilience analysis module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input The m target detailed technologies are selected by setting the prioritization information as a weight variable, etc., and driving an algorithm or function that calculates a quantitative analysis index for contribution to resilience (S535).

이와 같이 우선순위정보 등이 반영되어 제1솔루션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제1솔루션정보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되고(S545) 이 제1솔루션정보는 소정의 GUI 환경 등으로 유저 클라이언트(200)에 표출된다(S550).When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reflecting the priority information in this way,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client 200 as described above (S545), and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GUI environment. It is displayed on the user client 200 (S550).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부(160)는 위험도분석모듈(150)에서 생성된 위험도정보에 적용 가능한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 위험도분석모듈(150)에서 생성된 위험도정보에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 모두에 적용 가능한 세부기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도록 구성하여 더욱 실질적으로 필요한 세부기술과 이 세부기술에 해당하는 기술제품을 중심으로 솔루션정보(제1솔루션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creening unit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the first detailed technology applicable to the risk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isk analysis module 150, in this case, the risk analysis module 150 generates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disast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isk information, the first detailed technology is selected based on the detailed technology applicable to all of the plurality of disaster information, so that the detailed technology more practically required and the detailed technology Solution information (first solu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centering on the corresponding technical product.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솔루션DB생성부(13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은 조달청DB(400)와 같은 외부DB를 이용하여 솔루션DB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olution DB generator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and FIG. 6 is the present invention for creating a solution DB using an external DB such as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400 It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DB 중 하나인 솔루션DB가 생성되거나 솔루션DB에 추가 정보 등이 반영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olution DB, which is one of the core DB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reated or additional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solution D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솔루션DB생성부(130)는 구체적으로 접속부(131), 정보추출부(133), 기초정보생성부(135), DB생성부(137) 및 갱신처리부(1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솔루션DB생성부(130)의 각 구성요소 또한, 논리적으로 구분된 구성요소임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3, the solution DB generation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a connection unit 131,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3, a ba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5, a DB generation unit 137, and an update processing unit ( 139).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each component of the solution DB generator 130 shown in FIG. 3 is also a logically separated component.

솔루션DB생성부(130)의 일 구성인 접속부(131)는 정해진 주기(제1주기)가 되거나 또는 관리자 등의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조달청DB(400)에 접속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한다(S600). 오픈 소스(open source) 이외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조달청DB(400)에 접근(access)할 수 있는 권한이 미리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unit 131,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solution DB creation unit 130, performs processing to access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400 when a predetermined period (first period) or a request signal from a manager is input (S600). In addition to open source, if necessary,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access to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400 is secured in advance.

본 발명의 정보추출부(133)는 조달청DB(400)에 등재된 다양한 정보 중 텍스트 기반의 제품 정보 및 해당 제품의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하 '품목정보'라 지칭한다)를 추출한다(S610).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3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ext-based produc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cluding descrip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item information') among various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400 ( S610).

이와 같이 텍스트 기반의 품목정보가 추출되면 본 발명의 기초정보생성부(135)는 상기 품목정보를 로데이터(raw data)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같은 파싱(parsing) 프로세싱을 수행하여(S620) 방재 즉, 재난 또는 재해 방지에 관련된 세부기술과 이 세부기술에 해당하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인 기초정보를 생성한다(S630).When the text-based item information is extracted in this way, the basic information generator 135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arsing processing such as text mining on the item information as raw data (S620 ) Basic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disaster prevention, that is, detailed technology related to disaster or disaster prevention and technology products corresponding to this detailed technology, is generated (S630).

상기 기초정보에는 해당 기술제품의 가격, 크기 등과 같은 스펙정보는 물론, 기술제품의 판매업체 등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basic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spec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price and size of the corresponding technical product, but also information about a vendor of the technical product.

이 경우 본 발명의 기초정보생성부(135)는 상기 품목정보 중 재난재해정보, 세부기술정보, 기술제품정보 중 둘 이상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제1품목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제1품목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정보를 페어정보(pair information)로 그룹핑(grouping)하여 상기 기초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ba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5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first item information in which two or more of disaster information, detailed technical information, and technical product information are included together among the item information, and the first item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basic information by grouping two or more included pieces of information into pair information.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벤토리DB와 솔루션DB와 같이 원화되고 독립된 DB체계를 기반으로 하며 특정 정보 내지 데이터를 커먼 파라미터로 상호 간의 연계성이 항시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그룹핑된 페어정보를 기초정보로 생성하는 경우, 데이터 내지 정보의 연계성을 더욱 명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각 DB 생성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n original and independent DB system such as an inventory DB and a solution DB, and is configured so that specific information or data is constantly maintained with each other as a common parameter. Therefore, when the grouped pair information is generated as basic information, the linkage between data and information can be maintained more clearly, so that the efficiency of creating each DB can be further improved.

이와 같이 기초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DB생성부(137)는 상기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제1주기 등을 기준으로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여 생성한다(S640). When the basic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DB generating unit 137 of the present invention updates and generates the solution DB based on the first cycle using the basic information (S640).

본 발명의 솔루션DB생성부(130)의 일 구성인 갱신처리부(139)는 이와 같이 솔루션DB가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솔루션DB를 기초로 후속 프로세싱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솔루션DB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정보처리부(17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solution DB is updated in this way, the update processing unit 139,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solution DB generation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onsible for updating the solution DB in order to induce subsequent processing to be performed based on the updated solution DB.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70.

기초정보 생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외부 DB는 조달청DB(400)가 대표적일 수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술적으로 진보된 기술제품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특허공보DB가 보충적으로 또는 병행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The external DB used to create basic information may be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400),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atent Gazette DB may be used supplementally or in parallel to collect data on technologically advanced technology products. may be

특허공보DB 특히, 특허등록공보DB는 기술적으로 진보된 발명을 대상으로 발행되는 공보가 집합된 DB이며, 특허명세서의 특성 상, 기술분야, 특장점, 효과, 구체적 기술 내용 등이 모두 포함되므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재난재해정보 및/또는 세부기술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는 유의미한 정보가 될 수 있다.Patent Gazette DB In particular, Patent Registration Gazette DB is a DB in which gazettes issued for technologically advanced inventions are collected, and due to the nature of patent specifications, it includes all technical fields, features, effects, and specific technical details, so it i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meaningful information that can collect disaster information and/or detailed technical information.

본 발명의 DB생성부(137)는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초정보에 필요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존에 생성된 솔루션DB에 포함된 정보 또는/및 인벤토리DB에 포함된 정보를 보충적으로 함께 활용하여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B generator 137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ementarily utilizes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viously created solution DB or / and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ventory DB when the necessary information does not exist in the basic information. Solution DB can be updated or created.

나아가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품목정보에 재난재해정보 및 세부기술정보만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재난재해정보, 세부기술정보 및 기술제품정보 모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들 정보에 대한 페어정보를 활용하여 인벤토리DB 즉, 각 세부기술별 데이터객체를 갱신(추가, 수정, 변경 등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more, if the item information includes only disaster information and detailed technical information, or both disaster information, detailed technical information, and technical product information are included in the ite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ventory DB is utilized by pair information on these information. That is,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to update (including addition, modification, change, etc.) the data object for each detailed technology.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7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주기, 관리자의 요청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등에 의하여 솔루션DB가 갱신되어 생성되면(S555) 상기 갱신된 솔루션DB를 기준으로 앞서 기술된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후속솔루션정보를 생성하도록(S560)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olution DB is updated and generated (S555) by a specific period, a manager's request, or a specific event, the above-described based on the updated solution DB.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to generate subsequent solution information (S560).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70)는 먼저 생성된 제1솔루션정보와 후속적으로 생성된 후속솔루션정보 사이의 차이 내지 변동 사항 등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트래킹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65).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tracking information consisting of information about differences or changes between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generated first and the subsequent solution information generated subsequently ( S565).

이와 같이 트래킹정보 등이 생성되면 유저 클라이언트(200)에서 GUI 환경 등으로 트래킹 정보 등이 표출되도록(S575)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40)는 제1솔루션정보가 제공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상기 트래킹정보 또는 후속솔루션정보를 제공한다(S570).When the tracking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tracking information to the GUI environment from the user client 200 (S575) to the user client 200 provided with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The tracking information or subsequent solution information is provided (S570).

실시형태에 따라서 솔루션DB가 갱신되어 트래킹정보 등이 생성되는 경우 해당 내용에 대한 안내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5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트래킹정보 또는 후속솔루션정보가 유저 클라이언트(200) 등을 통하여 더욱 신속하게 확인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solution DB is updated and tracking information is generated, guid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250 so that the tracking information or subsequent solu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client 200, etc. It is desirable to induce them to be identified more quickly.

이와 같이 새로운 기술제품이 시장에 출시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거나 또는 위험도정보 생성의 근거가 되는 데이터(정보) 그리고 회복력 기여에 대한 정량적 분석지표의 생성에 기초하는 데이터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최신의 업데이트된 솔루션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even if an event such as the release of a new technology product on the market occurs, or a change in data (information) that is the basis for generating risk information and data based on the creation of quantitative analysis indicators for contribution to resilience occurs, the latest update occurs. solu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along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only terms of instrumental concepts used to relatively distinguish components from each other, so they are used to indicate a specific order, priority, etc.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not a term that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etc.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llustration of its embodiments may be shown in a somewhat exaggerated form in order to emphasize or highlight the technical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Taking into account,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obvious that various types of modified application examples may be possibl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솔루션 제공시스템 200 : 유저 클라이언트
300 : 외부 기관 서버 400 : 조달청DB
110 : 객체생성부 120 : 인벤토리DB부
130 : 솔루션DB생성부
131 : 접속부 133 : 정보추출부
135 : 기초정보생성부 137 : DB생성부
139 : 갱신처리부
140 : 정보제공부 150 : 위험도분석모듈
160 : 선별부 170 : 정보처리부
180 : 회복력분석모듈 190 : I/O부
100: solution providing system 200: user client
300: External agency server 400: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110: object creation unit 120: inventory DB unit
130: solution DB creation unit
131: connection unit 133: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5: ba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7: DB generation unit
139: update processing unit
140: information provision unit 150: risk analysis module
160: screening unit 170: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80: resilience analysis module 190: I / O unit

Claims (9)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 상기 세부기술이 속한 계층적 분류정보 및 상기 세부기술이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가 다중적으로 연계되는 데이터객체를 생성하는 객체생성부;
상기 복수 개 세부기술 각각을 기준으로 생성된 상기 데이터객체가 집합된 인벤토리DB가 저장되는 인벤토리DB부;
상기 세부기술의 식별정보가 커먼-파라미터(common-parameter)로 포함되며, 상기 세부기술을 실제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솔루션DB를 생성하는 솔루션DB생성부;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벤토리DB 또는 상기 솔루션DB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세부기술에 대한 정보 또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대상지역정보가 포함된 리퀘스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포함된 대상지역의 지리적 특성정보, 상기 대상지역의 재해이력정보 또는 자연환경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분석하여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 재난재해 중 상기 대상지역에서 취약한 하나 이상의 재난재해정보를 포함하는 위험도정보를 생성하는 위험도분석모듈;
상기 인벤토리DB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위험도정보에 포함된 재난재해정보에 적용 가능한 복수 개 세부기술인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제1세부기술의 식별정보를 커먼-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솔루션DB 중 상기 제1세부기술 각각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인 제1솔루션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리퀘스트정보의 회신으로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
상기 솔루션DB생성부는,
제1주기를 기준으로 조달청DB에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조달청DB에 등재된 정보 중 텍스트 기반의 제품 정보 및 제품의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품목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상기 품목정보를 로데이터(raw data)로 텍스트 마이닝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방재관련 세부기술 및 이에 해당하는 기술제품에 대한 정보인 기초정보를 생성하는 기초정보생성부; 및
상기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여 생성하는 DB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Bas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etailed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y,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detailed technology belongs, and one or more disaster information to which the detailed technology is applicable are linked in multiple ways. an object creation unit that creates a data object to be used;
an inventory DB unit storing an inventory DB in which the data objects generated bas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etailed technologies are collected;
a solution DB creation unit for generating a solution DB compris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technical products that includ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tailed technology as a common-parameter;
When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a user client,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detailed technology or technology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information using the inventory DB or the solution DB;
Whe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arget area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client, at least one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disaster history information, or natur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target area included in the request information is analyzed to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risk analysis module for generating risk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disaster information that is vulnerable in the target area among disasters;
a sorting unit that selects a first detailed technology that is a plurality of detailed technologies applicable to the disas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isk information by using the disast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ventory DB as a common parameter;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first solu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technology produc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detailed technologies in the solution DB, by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etailed technology as a common parameter;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es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to the user client as a response to the request information;
The solution DB creation unit,
Connection unit for accessing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on the basis of the first cycle;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item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including text-based product information and product description information, among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DB;
A bas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performs text mining processing on the item information as raw data to generate basic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detailed disaster prevention related technologies and technical products corresponding thereto; and
A solution providing system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rban regeneration areas using the linked application of common information, comprising a DB generator for updating and generating the solution DB based on the first cycle using the basic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정보제공부가 상기 제1솔루션정보를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제공한 후 상기 솔루션DB가 갱신되는 경우, 상기 갱신된 솔루션DB를 기준으로 후속솔루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후속솔루션정보와 상기 제1솔루션정보 사이의 변동정보인 트래킹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제1솔루션정보가 제공된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로 상기 트래킹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solution DB is updated after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es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to the user client, subsequent solu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updated solution DB, and a gap between the subsequent solu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Generating tracking information, which is chang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es the tracking information to the user client provided with the first solu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정보생성부는,
상기 품목정보 중 재난재해정보, 세부기술정보, 기술제품정보 중 둘 이상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제1품목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제1품목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정보를 페어정보로 그룹핑하여 상기 기초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DB생성부는 기존에 생성된 솔루션DB에 포함된 정보 및 상기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솔루션DB를 갱신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ic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mong the item information, first item information that includes two or more of disaster information, detailed technical information, and technical product information is selected, and two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item information are grouped into pair information. generate basic information;
The DB generator unit renews and generates the solution DB based on the first cycle us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viously created solution DB and the basic information. Urban regeneration area using linkage application of common information. A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s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peop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위험도분석모듈에서 생성된 위험도정보에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 재난재해정보 모두에 적용 가능한 세부기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세부기술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정보의 연계 적용을 이용한 도시재생지역의 회복력 향상을 위한 솔루션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ection unit,
When a plurality of disast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isk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isk analysis module, the first detailed technology is selected based on the detailed technology applicable to all of the plurality of disaster information. A solution providing system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urban regeneration areas using linked application.
KR1020210089417A 2021-07-08 2021-07-08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for improving resilience of urban renewal region using linking adaption of common information KR1025520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417A KR102552058B1 (en) 2021-07-08 2021-07-08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for improving resilience of urban renewal region using linking adaption of comm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417A KR102552058B1 (en) 2021-07-08 2021-07-08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for improving resilience of urban renewal region using linking adaption of common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972A KR20230008972A (en) 2023-01-17
KR102552058B1 true KR102552058B1 (en) 2023-07-06

Family

ID=8511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417A KR102552058B1 (en) 2021-07-08 2021-07-08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for improving resilience of urban renewal region using linking adaption of common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05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519B1 (en) * 2013-05-02 2013-11-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gent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434A (en) * 2011-09-19 2013-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In online web text based commercial analysis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5431848B (en) * 2014-07-14 2017-05-17 三菱电机株式会社 Common parameter interface-generating method and parameter readout method
KR20180082361A (en) 2017-01-10 2018-07-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he apparatus which supports a advanced assessment process about a urban regeneration proje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519B1 (en) * 2013-05-02 2013-11-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gent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신용현 외 4명, '쇠퇴지역 도시공간 종합진단 모델 개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2021.02.27.
정승현, ‘재난재해대응 도시 리질리언스 강화방향’,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0.08.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972A (en)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307757B (en) Intelligent data interaction method, interaction system, computer equipment and application
CN105843942B (en) A kind of Urban Flood control decision support method based on big data technology
Xu et al. Improving repair sequence scheduling methods for postdisaster critical infrastructure systems
CN110858334A (en) Road safety assessment method and device and road safety early warning system
Morreale et al. A gree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risk identification
CN111949834A (en) Site selection method and site selection platform
KR102191763B1 (en) Scenario based Disaster Prediction System and the Method
Thornton et al. Skilful seasonal prediction of winter gas demand
Lowry et al. GIS tools to estimate average annual daily traffic
Bøhler et al. Providing multi-modal access to environmental data—customizable information services for disseminating urban air quality information in APNEE
Badidi et al. Towards a Platform for Urban Data Management, Integration and Processing.
KR102552058B1 (en) System for providing solution for improving resilience of urban renewal region using linking adaption of common information
Wang et al. Urban ecological risk assessment management platform
Royer et al. Rapid evaluation and response to impacts on critical end-use loads following natural hazard-driven power outages: A modular and responsive geospatial technology
Gomes et al. Molines-towards a responsive web platform for flood forecasting and risk mitigation
Fischer et al. From earthquake detection to traffic surveillance–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for smart cities
Larsson et al. Data use and data needs in critical infrastructure risk analysis
KR102219233B1 (en) Weather risk information system supporting collection, analysis, and disaster forecasting of snow risk information data
Meyer et al. Adapted future landscapes-from aspiration to implementation
Loraamm et al. Identifying road avoidance behavior using time‐geography for red deer in Banff National Park, Alberta, Canada
Kumar et al. Spatial data mining: recent trends and techniques
Elhadary et al.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Discriminant Analysis in Modelling Urban Spatial Growth: An Example from Seberang Perai Region, Penang State, Malaysia
Brovelli et al. Improving the Monitoring of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 Through Web Geo‐services: The Example of Large Structures Supervision
Kar et al. RePOWERD: Restoration of Power Outage from Wide-area Severe Weather Disruptions
Marasco et al. A New Finite Element–Based Methodology for Earthquake Simulation of Large-Scale Urban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