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291B1 -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291B1
KR102551291B1 KR1020220175027A KR20220175027A KR102551291B1 KR 102551291 B1 KR102551291 B1 KR 102551291B1 KR 1020220175027 A KR1020220175027 A KR 1020220175027A KR 20220175027 A KR20220175027 A KR 20220175027A KR 102551291 B1 KR102551291 B1 KR 102551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power
charging
magnetic field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문
조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지마이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지마이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지마이닝
Priority to KR102022017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291B1/ko
Priority to KR1020230084347A priority patent/KR20240093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291B1/ko
Priority to US18/484,999 priority patent/US11931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51Spinal or peripheral nerve electrodes
    • A61N1/0558Anchoring or fixation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51Spinal or peripheral nerv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05Microstimulators, e.g. implantable through a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5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5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61N1/3752Details of casing-lead connections
    • A61N1/3754Feedthroug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5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61N1/3756Casings with electrodes thereon, e.g. leadless stim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8Electrical supply
    • A61N1/3787Electrical supply from an external energy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5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ult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의 투과가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자극면과 충전면을 포함하는 바디부;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헤더부; 자극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자극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극전극과 상기 자극면 사이에 신경이 개재되도록 하는 덮개;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자극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팁스(TIPS) - 민관공동창업자발굴육성- 창업사업화(사업명)" 및 "체내삽입형 의료기기의 충전을 위한 발전소자 및 플랫폼 기술(과제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다.

Description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IMPLANTABLE NERVE STIMULATION DEVICE IN THE BODY}
본 발명은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경병증은 신경계의 손상이나 기능적 이상으로 발생하는 병증으로 난치성이며 만성적으로 오래 지속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통증으로 고통받는 환자는 삶의 질의 현저한 저하 및 수면장애, 우울증과 같은 합병증 등을 겪을 수 있다.
신경병증 치료를 위해 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치료하는 신경자극 치료가 적용되고 있으며 고령화의 심화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여 상시적 치료가 가능한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채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체내에 이식되어, 체내의 다양한 기관의 신경을 자극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채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척수 내의 신경 전달 영역에 이식되어, 외부의 자극 또는 채네 질환에 의해 생기는 자극이 대뇌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티타늄 재질의 하우징에 내장된 배터리에 무선으로 전력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충전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충전기술은 RFID 방식, NFC 방식, MICS-RF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충전기술은 전력 신호가 하우징의 티타늄 재질을 투과하기 어렵고, 전력 신호의 체내 침투 깊이가 매우 짧은 문제와 신체의 충전영역이, 대퇴부, 척주부, 흉골, 왼쪽쇄골 등 수술영역 혹은 착용영역에 제약을 이 있었다. 여기서, 전력 신호의 체내 침투 깊이는 피부아래의 1cm 내외일 수 있다.
최근에는 전력 신호의 전송 매체로 초음파를 이용하는 무선충전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하는 무선충전기술은 전력 신호의 하우징의 티타늄 재질 투과 문제와, 전력 신호의 체내 침투 깊이가 짧은 문제는 개선되었으나, 전력 신호의 전송 효율과 배터리 충전 효율이 좋지 않고, 하우징에 내장된 소자의 발열과 소자의 진동으로 인한 자기장이 발생하며, 복잡한 회로가 필요하여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공보 제10-1465001호(2014.11.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내 삽입 깊이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음파에 따른 마찰을 기반으로 발전하는 발전소자를 이용하여 자극전극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초음파의 전력 전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발열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발전소자의 자기장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초음파의 투과가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자극면과 충전면을 포함하는 바디부;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헤더부; 자극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자극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극전극과 상기 자극면 사이에 신경이 개재되도록 하는 덮개;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자극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전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극면은 비금속 코팅층으로 덮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금속 코팅층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면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하여 굴곡진 형상을 갖고, 상기 충전면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자극면 상부에 배치 시 상기 자극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자극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덮개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자극면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된 제1연결부; 상기 자극면과 상기 충전면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결속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의 일 영역이 상기 연결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일 영역과 상기 연결 부위 사이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삽입공간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결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소자는 상기 충전면을 투과한 상기 초음파에 따른 마찰을 기반으로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극전극은 둘 이상의 굴곡부를 갖는 패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체내 삽입 깊이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초음파에 따른 마찰을 기반으로 발전하는 발전소자를 이용하여 자극전극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초음파의 전력 전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발열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발전 소자의 자기장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발전소자의 마찰과 진동으로 인한 전자파 방사를 감소시킴으로 전자파에 대한 별도에 장치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가 체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에 초음파가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c`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의 발전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의 전력관리부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의 전력관리부의 콜드 스타드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가 체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에 초음파가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의 덮개(3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c`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바디부(10), 헤더부(20), 덮개(30) 및 발전소자(80)를 포함한다.
바디부(10)는 본 발명의 기본 몸체로서, 발전소자(80)를 수납하는 하우징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는 초음파의 투과가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자극면(12)과 충전면(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의 투과가 가능한 금속은 인체 친화적인 재질인 티타늄 일 수 있다. 단, 초음파의 투과가 가능한 금속은 티타늄 외에도, 초음파의 투과가 가능하고 인체 친화적인 다른 재질로도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디부(10)에 있어서, 자극면(12)은 후술할 덮개(30)와 함께 체내의 신경(1)을 개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참조) 다시 말해, 체내의 신경(1)은 바디부(10)의 자극면(12)과 덮개(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예로, 자극면(12)은 바디부(1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는데, 바디부(10)의 일면은 바디부(10)의 앞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자극면(12)은 비금속 코팅층으로 덮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극면(12)이 비금속 코팅층으로 덮임으로써, 자극면(12)과 덮개(30) 사이에 개제되는 체내의 신경(1)에 가해지는 불편감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자극면(12)에 덮이는 비금속 코팅층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자극면(12)에 덮이는 비금속 코팅층은 실리콘 외에도, 인체 친화적인 다른 재질로도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다른 예로, 자극면(12)은 바디부(10)의 내측을 향하여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자극면(12)과 덮개(30) 사이에 체내의 신경(1)이 쉽게 개제될 수 있다.
한편, 자극면(12)과 덮개(30)는 후술할 제1연결부(40), 제2연결부(50) 및 연결부재(60)에 의해 체결되며, 자극면(12)과 덮개(30) 사이에 개재된 체내의 신경(1)을 고정시켜줄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충전면(14)은 트랜스듀서(2)로부터 발진된 초음파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면(14)에 전송된 초음파는 바디부(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발전소자(80)의 발전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활용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참조)
일 예로, 충전면(14)은 바디부(10)의 일면을 마주보는 바디부(10)의 타면에 마련될 수 있는데, 바디부(10)의 타면은 바디부(10)의 후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충전면(14)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더부(20)는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바디부(10)의 일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더부(20)는 비금속으로 형성됨에 따라, 후술할 전력관리부(140)에 송수신되는 각종 신호가 쉽게 투과될 수 있다. 또한, 헤더부(20)는 바디부(10)의 일단부에 위치한 후, 바디부(10)의 일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헤더부(20)가 위치하는 바디부(10)의 일단부는 바디부(10)의 상단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헤더부(20)는 체내의 신경(1)에 대향하는 일면이 바디부(10)의 내측을 향하여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헤더부(20)가 체내의 신경(1)에 인접하게 배치될때, 헤더부(20)가 체내의 신경(1)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덮개(30)는 바디부(10)의 자극면(12)과의 사이에 체내의 신경(1)을 개제하는 역할을 한다.
덮개(30)는 자극전극(70)을 포함하고, 바디부(10)의 자극면(12) 상부에 배치되어 자극전극(70)과 바디부(10)의 자극면(12) 사이에 신경(1)이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덮개(30)는 자극면(12) 상부에 배치 시 자극면(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0)의 자극면(12)과 덮개(30) 사이에 체내의 신경(1)이 개재된 상태에서, 덮개(30)가 체내의 신경(1)에 손상을 가하거나 체내의 신경(1)에 가하는 불편감을 저감할 수 있다.
덮개(30)는 힌지부(32) 및 결합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32)는 덮개(3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자극면(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32)가 마련되는 덮개(30)의 일측은 덮개(30)의 좌측일 수 있고, 힌지부(3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극면(12)의 일측은 자극면(12)의 좌측일 수 있다.
일 예로, 힌지부(32)는 자극면(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4)는 덮개(30)의 타측에 마련되어, 자극면(12)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34)가 마련되는 덮개(30)의 타측은 덮개(30)의 우측일 수 있고, 결합부(34)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극면(12)의 타측은 자극면(12)의 우측일 수 있다.
결합부(34)는 후술할 제1연결부(40), 제2연결부(50) 및 연결부재(60)에 의해 자극면(12)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40)는 결합부(34)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부(40)는 덮개(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연결부(40)는 스트렙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연결부(50)는 바디부(10)의 자극면(12)과 충전면(14)의 연결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연결부(50)는 스트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60)는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를 결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연결부재(60)는 의료용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연결부(40)는 복수의 관통홀(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50)의 일 영역이 바디부(10)의 자극면(12)과 충전면(14)의 연결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제2연결부(50)의 일 영역과 연결 부위 사이에 삽입공간(5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60)는 복수의 관통홀(42) 중 어느 하나와 삽입공간(52)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를 조여주며 결속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60)가 덮개(30)에 마련된 제1연결부(40)를 바디부(10)에 마련된 제2연결부(50)를 결속하며 조여줌으로써, 체내의 신경(1)이 바디부(10)의 자극면(12)과 덮개(3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복수의 관통홀(42)은 제1연결부(4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50)의 양단부가 바디부(10)의 자극면(12)과 충전면(14)의 연결 부위에 결합됨에 따라, 제2연결부(50)의 일 영역과 연결 부위 사이에 삽입공간(52)이 형성될 수 있다.
자극전극(70)은 체내의 신경(1)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자극전극(70)이 인가하는 전기적 자극의 폭이나 위상은 후술할 전력관리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자극전극(70)은 둘 이상의 굴곡부(72)를 갖는 패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자극전극(70)은 지그재그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자극전극(70)은 후술할 발전소자(8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체내의 신경(1)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자극전극(70)은 후술할 전력관리부(14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체내의 신경(1)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발전소자(80)는 바디부(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자극전극(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발전소자(80)는 충전면(14)을 투과한 초음파에 따른 마찰을 기반으로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한 마찰전기는 후술할 전력관리부(140)와 자극전극(7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발전소자(80)가 충전면(14)을 투과한 초음파에 따른 마찰을 기반으로 발전을 수행함에 따라, 체내 삽입 깊이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초음파에 따른 마찰을 기반으로 발전하는 발전소자(80)를 이용하여 자극전극(7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초음파의 전력 전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발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가적으로, 발전소자(80)의 마찰과 진동으로 발생되는 전자파 방사에 따른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일 예로, 발전소자(8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발전소자(80)는 바디부(10)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전소자(80)는 장방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발전소자(80)는 원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의 발전소자(8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소자(80)는 유도체(82), 대전체(84) 및 스페이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소자(80)는 유도체(82)와 대전체(84)의 마찰에 의해 마찰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유도체(82)는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며 대전체(84)와 접촉 및 분리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대전체(84)와 마찰에 의해 마찰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유도체(82)는 초음파에 의해 쉽게 진동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에 의해 쉽게 진동할 수 있는 재질은 불소수지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불소수지 계열의 재질은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 PFA(Perfluoroalkoxy),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PCTF (Polychlorotrifluoroethylene),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lfluoride), PVC(Poly vinyl chloride), PE(Polyethyle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초음파에 의해 쉽게 진동할 수 있는 재질은 불소수지 계열의 재질 외에도 초음파에 의해 쉽게 진동할 수 다른 재질로도 적용이 가능한다.
대전체(84)는 유도체(82)와의 마찰에 의해 마찰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대전체(84)는 유도체(82)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 마찰전기를 후술할 전력관리부(140)로 전달하는 도전체 역할을 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전력관리부(140)는 대전체(84)로부터 전송된 마찰전기를 배터리(110)로 전달하여 배터리(110)를 충전시키거나, 대전체(84)로부터 전송된 마찰전기를 자극전극(70)으로 전달하여 자극전극(7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대전체(84)는 유도체(82)의 마찰에 의해 마찰전기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전기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재질은 니켈, 금, 은 등일 수 있다.
스페이서(100)는 유도체(82)와 대전체(84) 사이에 개재되어, 유도체(82)와 대전체(84)를 이격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스페이서(100)가 유도체(82)와 대전체(84)를 이격하는 이유는 유도체(82)와 대전체(84)의 마찰로 인하여 유도체(82)와 대전체(84)가 부착된 후 분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가 체내의 신경에 자극을 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과정은 로봇팔이나 시술자가 진행할 수 있다.
우선, 피시술자의 신경에 인접하는 피부를 절개하여 절개창을 형성하고, 절개창을 통해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를 삽입하고, 체내의 신경(10)을 바디부(10)의 자극면(12)과 덮개(30) 사이에 개재한다. 이 때, 연결부재(60)가 덮개(30)에 마련된 제1연결부(40)의 복수의 관통홀(42) 중 어느 하나와 바디부(10)의 자극면(120)과 충전면(140)의 연결 부위에 마련된 제2연결부(50)의 삽입공간(52)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를 조여주며 결속할 수 있다. 이어서, 피시술자에게 형성한 절개창을 봉합한다.
다음으로, 트랜스듀서(2)가 바디부(10)의 충전면(14)을 향하여 초음파를 발진한다.
이후, 발전소자(80)가 충전면을 투과한 초음파에 따른 마찰을 기반으로 발전을 수행한다. 이때,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한 전력은 자극전극(70)으로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자극전극(70)이 발전소자(80)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기초하여, 체내의 신경(1)에 전기적 자극을 인가한다. 이러한 자극전극(70)은 전력관리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발전소자(80)에서는 유도체(82)와 대전체(84)의 마찰에 의해 마찰전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기장도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발전소자(80)에 전송되는 초음파의 진동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자기장은 후술할 통신 모듈의 통신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흡수하는 자기장 흡수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기장 흡수부(90)는 발전소자(80)의 둘레에 마련되어,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 흡수부(90)는 자기장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자기장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은, 산화아연, 산화주석, 알루미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자기장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은, 산화아연, 산화주석, 알루미늄 외에도 자기장의 투과가 가능한 다른 재질로도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예로, 자기장 흡수부(90)는 발전소자(80)의 둘레를 감싸는 패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패턴형상은 지그지그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 흡수부(90)는 자기장뿐만 아니라 발전소자(80)의 둘레로 방출되는 전자기파도 차단할 수 있다.
자기장 흡수부(90)는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나 전기자동차 주변과 같이 자기장이 발생하는 영역에 배치될때, 자기장이 발생하는 영역의 자기장을 흡수함으로써, 자기장이 발생하는 영역의 자기장이 사용자에게 가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오작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자기장 흡수부(90)에 흡수될 경우,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확보 차원에서 에너지 확보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하여 자기장 흡수부(90)에 흡수된 자기장을 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에너지 확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전력관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커패시터(100), 배터리(110), 통신부(120), 안테나(130) 및 전력관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발전소자(80), 커패시터(100), 배터리(110), 통신부(120), 안테나(130) 및 전력관리부(140)는 바디부(10)에 내장되는 회로기판(150)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100)는 발전소자(80)로부터 전달된 마찰전기와 자기장 흡수부(90)로부터 전달된 자기장을 전력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자기장 흡수부(90)로부터 커패시터(100)로 전달된 자기장은 자기장 흡수부(90)와 커패시터(100) 사이에 마련된 전력관리부(140)에 의해 전력으로 변환된 후 커패시터(10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커패시터(100)에 저장되는 전력의 종류는 직류전류(DC)일 수 있다.
일 예로, 커패시터(100)는 마찰전기와 자기장에 의해 변환된 전력의 전압을 낮추면서 전류를 부스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패시터(100)가 전력의 전류를 부스팅하는 이유는 마찰전기와 자기장에 의해 변환된 전력의 전류가 수십nA~수백uA로 매우 낮고 전압이 수십V에까지 발생함에 따라 배터리(110)의 충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전압은 배터리 특성에 맞게 2.8V ~ 4.2V로 낮추고, 전류는 충전이 가능한 가능한 mA 혹은 수십mA로 부스팅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예로, 커패시터(10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커패시터(10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커패시터(100)는 다단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배터리(110)는 커패시터(100)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이렇게 배터리(110)에 충전된 전력은 전력관리부(14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120) 및 자극전극(7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110)는 슈퍼 커패시터(100)로 대체될 수 있다.
전력관리부(140)는 발전소자(80)로부터 전달된 마찰전기를 커패시터(100)에 전력으로 전달하고 자기장 흡수부(90)로부터 전달된 자기장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커패시터(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관리부(140)는 자기장 흡수부(90)로부터 전달된 자기장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자기장 변환 소자(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예를들어, 자기장변환소자는 자왜소자, 압전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력관리부(140)는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량에 따라,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 자극전극(70) 및 통신부(120)로 전달되는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력관리부(140)는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 기준값 초과이면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 자극전극(70) 및 통신부(120)로 전달되도록 커패시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력관리부(140)는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 기준값 이하이면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 자극전극(70) 및 통신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커패시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력관리부(140)는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 기준값 이하이면,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량에 따라,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자극전극(70) 및 통신부(120)로 전달되는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력관리부(140)는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 기준값 초과이면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자극전극(70) 및 통신부(120)로 전달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력관리부(140)는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 기준값 이하이면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자극전극(70) 및 통신부(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커패시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력관리부(140)는 자극전극(70)에 인가된 전력량,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량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량이 포함된 전력 데이터를 통신부(120)로 전달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전력관리부(140)와 모니터링부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 통신망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력관리부(140)로부터 통신부(120)로 전달된 전력 데이터는 통신부(120)를 통해 모니터링부로 전달될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는 통신부(120)를 통해 전력 데이터에 포함된 자극전극(70)에 인가된 전력량,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량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량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는 전력관리부(140), 자극전극(70), 커패시터(100), 배터리(110) 및 펄스기반의 신경 자극을 원격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모니터링부는 마이컴, 사용자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20)는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MedRadio(Medical Device Radiocommunications Service),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30)는 통신부(120)와 외부서버로부터 송수신되는 각종 신호를 전파기파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회로기판(150)에는 전력관리부(140)와 커패시터(10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관리부(140)로부터 전달된 전력 중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컨버터(16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50)에는 자극전극(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패시터(100) 또는 배터리(110)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자극전극(70)으로 인가하는 전극단자(74)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력관리부(140)의 전기 회로에 대해 구제척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의 전력관리부(140)의 전기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력관리부(140)의 정류기는 자기장으로부터 변환된 전력 중 교류전류(AC)를 직류전류(DC)로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류기는 바디부(10)에 내장되거나, 바디부(10)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정류기가 바디부(10)의 외측에 마련되는 경우, 정류기의 양극 단자만 부스트 컨트롤러(Boost Controller)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정류기의 양극 단자의 전력 정보는 콜드 스타트부(Cold Start)와 부스트 컨트롤러(Boost Controller)로 전달되며, 콜드 스타트부(Cold Start)는 두 개의 입력 데이터(발전소자(80)로부터 전력관리부(140)로 전달된 마찰전기값과 자기장 흡수부(90)로부터 전력관리부(140)로 전달된 자기장값)를 비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력관리부(140)의 EN은 자극전극(70)과 MCU에 연결되어, 동작의 높음(High) 혹은 낮음(Low) 메시지를 통해 연결된 로드(Load) 기기에 동작의 기능을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력관리부(140)의 AC는 자기장 흡수부(90)와 연결되는 포트이며, 전력관리부(140)의 내부 정류기와 연결될 수 있다.
젼력관리부의 콜드 스타트부(Cold Start)는 배터리(110) 충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관리부(140)의 콜드 스타트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로, 전력관리부(140)의 콜드 스타트부는 두 개의 입력 데이터(발전소자(80)로부터 전력관리부(140)로 전달된 마찰전기값과 자기장 흡수부(90)로부터 전력관리부(140)로 전달된 자기장값)를 모니터링하고 비교하며, 둘째로, 두 개의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부스트 컨트롤러(Boost Controller)에 영향을 주고, 셋째로, EN(Enable)의 PIN을 통해 신경(1)자극 IC 또는 MCU로 정보를 전달하며. 넷째로, 전력관리부(140)의 콜드 스타트부는 두 개의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는 과정이 포함되며, 두 개의 입력 데이터의 비교된 값에 따라, 부스트 컨트롤러(Boost Controller)의 스위치 제어까지 연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의 전력관리부(140)의 콜드 스타드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관리부(140)의 콜드 스타트부는 다음과 같은 제어 과정을 가질 수 있다.
우선, 두 개의 입력 데이터(발전소자(80)로부터 전력관리부(140)로 전달된 마찰전기값과 자기장 흡수부(90)로부터 전력관리부(140)로 전달된 자기장값)에서 각각 전압(Voltage)를 측정한다. (S10)
다음으로, 두 개의 입력 데이터(발전소자(80)로부터 전력관리부(140)로 전달된 마찰전기값과 자기장 흡수부(90)로부터 전력관리부(140)로 전달된 자기장값)에서 각각 전압(Voltage)이 측정되지 않은 경우(S20), 타이머[Timer(wait MAX)]를 통해 수초 간의 추가 모니터링을 한다. (S30) 이와 같이, 타이머에서 추가 모니터링을 하는 이유는 트랜스듀서(2)로부터 발전소자(80)로 전달된 초음파에너지가 발전소자(80)의 발전이 불가능할 정도로 적으면, 전력관리부(140)에서 측정할 수 있는 두 개의 입력 데이터의 생성될 때까지 수 초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두 개의 입력 데이터의 측정(Dual Sensing)이 이루어진다. (S40)
만약, 두 개의 입력데이터가 모두 측정되면,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로 전달되는 배터리(110) 충전(Battery Charge)이 이루어진다(S90).
또한, 두 개의 입력데이터가 측정되지 않으면(Dual Sensing, No)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하는 전력의 전압을 측정한다. (S50)
만약,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한 전력의 전압의 측정값이 설정된 최소값(min) 이하이면(S60), 전력관리부(140)가 system sleep message를 자극전극(70)에게 전송한다(S70). 이때, 자극전극(70)은 해당 메시지를 통신부(120)로 전송한다.
또한, 발전소자(80)에서 발생한 전력의 전압의 측정값이 설정된 최소값 초과이면(S80), 배터리(110)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커패시터(10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로 전달되는 배터리(110) 충전(Battery Charge)이 이루어진다(S90). 이때, 자극전극(70)의 동작은 정지된다,
한편, 배터리(110) 충전 중에 전력관리부(140)의 전원 관리부(Power Management)에 측정된 배터리(110)의 전압이 설정된 최대값 이상이면, 전력관리부(140)의 부스트 컨트롤러(Boost Controller)와 전력관리부(140)의 전원 관리부(Power Management)를 통해 배터리(110)를 충전하지 않는다. (S100)
다음으로, 전력관리부(140)의 배터리(110) 전압 증가 관리부(Battery voltage status increase Management)가 전력관리부(140)의 전원 관리부(Power Management)를 통해 배터리(110)의 전압의 증가 여부를 확인 한다. 만약, 배터리(110) voltage가 증가하지 않는다면, 입력된 에너지가 배터리(110) 충전에너지보다 낮아서 더는 충전되지 않음으로, Power Management를 통해 배터리(110) 충전을 멈추고(Battery Charge Stop)고, EN을 통해 신경(1)자극 IC에 동작 요청 메시지(Wake-up nerve-simulation)를 보낸다. (S110)
한편, 자기장 흡수부(90)에 자기장만 흡수되는 경우, S40, S50, S60, S70 과정을 거쳐서,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나 전기자동차 주변과 같이, 자기장이 발생하는 영역에 배치될때, 해당 영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흡수함으로써, 해당 영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사용자에게 가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전력관리부(140)와 자극전극(7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20, S30, S40 과정에서 자기장 흡수부(90)로부터 전력관리부(140)로 전달된 자기장값에 관한 입력데이터만 측정되면, 자기장 흡수부(90)에 자기장만 지속적으로 흡수되는 상태이며, 자기장의 세기가 매우 강하거나 자기장의 크기가 매우 커서, 자기장이 체내에 삽입된 바디부(10)를 투과하여, 자극전극(70)과 전력관리부(140)의 고장까지도 유도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므로, 전력관리부(140)와 자극전극(70)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자기장 흡수부(90)를 전력관리부(140)와 자극전극(70)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오작동 방지 센서 역할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체내 삽입 깊이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초음파에 따른 마찰을 기반으로 발전하는 발전소자를 이용하여 자극전극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초음파의 전력 전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발열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발전 소자의 자기장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는 발전소자의 마찰과 진동으로 인한 전자파 방사를 감소시킴으로 전자파에 대한 별도에 장치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신경
2: 트랜스듀서
10: 바디부
12: 자극면
14: 충전면
20: 헤더부
30: 덮개
32: 힌지부
34: 결합부
40: 제1연결부
42: 관통홀
50: 제2연결부
52: 삽입공간
60: 연결부재
70: 자극전극
72: 굴곡부
74: 전극단자
80: 발전소자
82: 유도체
84: 대전체
86: 스페이서
90: 자기장 흡수부
100: 커패시터
110: 배터리
120: 통신부
130: 안테나
140: 전력관리부
150: 회로기판
160: 컨버터

Claims (10)

  1. 초음파의 투과가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자극면과 충전면을 포함하는 바디부;
    비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헤더부;
    자극전극, 상기 자극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자극면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극전극과 상기 자극면 사이에 신경이 개재되도록 하는 덮개;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자극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전소자;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된 제1연결부;
    상기 자극면과 상기 충전면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결속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의 일 영역이 상기 연결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일 영역과 상기 연결 부위 사이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상기 관통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삽입공간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조여주며 결속하는 의료용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소자는 상기 충전면을 투과한 상기 초음파에 따른 마찰을 기반으로 발전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유도체와, 상기 유도체와의 마찰에 의해 마찰 전기를 발생시키는 대전체와, 상기 유도체와 상기 대전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도체와 상기 대전체를 상호 이격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면은 비금속 코팅층으로 덮인,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코팅층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면은 상기 바디부의 내측을 향하여 굴곡진 형상을 갖고,
    상기 충전면은 평평한 형상을 갖는,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자극면 상부에 배치 시 상기 자극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전극은 둘 이상의 굴곡부를 갖는 패턴형상을 갖는,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KR1020220175027A 2022-12-14 2022-12-14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KR102551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027A KR102551291B1 (ko) 2022-12-14 2022-12-14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KR1020230084347A KR20240093303A (ko) 2022-12-14 2023-06-29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US18/484,999 US11931566B1 (en) 2022-12-14 2023-10-11 Implantable nerve stimul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027A KR102551291B1 (ko) 2022-12-14 2022-12-14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347A Division KR20240093303A (ko) 2022-12-14 2023-06-29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291B1 true KR102551291B1 (ko) 2023-07-04

Family

ID=871567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027A KR102551291B1 (ko) 2022-12-14 2022-12-14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KR1020230084347A KR20240093303A (ko) 2022-12-14 2023-06-29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347A KR20240093303A (ko) 2022-12-14 2023-06-29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31566B1 (ko)
KR (2) KR10255129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01B1 (ko) 2014-01-10 2014-11-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식형 기기 및 무선 전송 장치
KR20160051016A (ko) * 2014-10-31 2016-05-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 자극을 위한 전극 어레이
KR20210015791A (ko) * 2018-04-19 2021-02-10 아이오타 바이오사이언시즈 인코퍼레이티드 신경 감지 및 자극을 위해 초음파 통신을 사용하는 이식물
KR20210046358A (ko) * 2019-10-18 2021-04-2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발전 기능을 가지는 전자스텐트
US20210268290A1 (en) * 2013-05-03 2021-09-02 Nevro Corp. Molded headers for implantable signal generato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348997B1 (ko) * 2020-11-03 2022-01-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선택적 반응 시한성 나노복합소재 기반 마찰전기 발전소자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자극 치료 장치
KR20220082064A (ko) * 2019-10-17 2022-06-16 아이오타 바이오사이언시즈 인코퍼레이티드 나선형 신경 커프 및 관련된 이식가능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2362B4 (de) * 2017-12-11 2021-03-04 Neuroloop GmbH Vorrichtung zur extravasalen oder extraneuronalen Befestigung eines Implantats
KR102150725B1 (ko) * 2020-03-18 2020-09-02 주식회사 에너지마이닝 초음파 의료 기기를 이용한 체내 삽입 기기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629627B1 (ko) * 2021-10-29 2024-01-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에칭을 이용하여 셀프갭이 형성되어 있는 초음파 마찰전기 발전소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8290A1 (en) * 2013-05-03 2021-09-02 Nevro Corp. Molded headers for implantable signal generato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465001B1 (ko) 2014-01-10 2014-11-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식형 기기 및 무선 전송 장치
KR20160051016A (ko) * 2014-10-31 2016-05-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 자극을 위한 전극 어레이
KR20210015791A (ko) * 2018-04-19 2021-02-10 아이오타 바이오사이언시즈 인코퍼레이티드 신경 감지 및 자극을 위해 초음파 통신을 사용하는 이식물
KR20220082064A (ko) * 2019-10-17 2022-06-16 아이오타 바이오사이언시즈 인코퍼레이티드 나선형 신경 커프 및 관련된 이식가능한 장치
KR20210046358A (ko) * 2019-10-18 2021-04-2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발전 기능을 가지는 전자스텐트
KR102348997B1 (ko) * 2020-11-03 2022-01-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선택적 반응 시한성 나노복합소재 기반 마찰전기 발전소자 및 이를 이용한 신경 자극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3303A (ko) 2024-06-24
US11931566B1 (en)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garwal et al. Wireless power transfer strategies for implantable bioelectronics
US10220217B2 (en) Powering of an implantable medical therapy delivery device using far field radiative powering at multiple frequencies
US9782599B2 (en) Power architecture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having a non-rechargeable battery
JP6161754B2 (ja) 磁場及び電場を使用する埋め込み可能医療デバイスのための充電システム
CN106464029B (zh) 经皮能量传输***的改进
US9492678B2 (en) Far field radiative powering of implantable medical therapy delivery devices
JP6181305B2 (ja) 埋込可能医療デバイスの通信コイルへのノイズ結合を最小にする誘導構成部品の配向及び配置
EP35117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in implantable medical devices
US9399131B2 (en) Moldable charger with support members for charging an implantable pulse generator
US20130253612A1 (en)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far-field radiative powering of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JP2017511205A (ja) 経皮エネルギー伝送システムの改良
JP2001511409A (ja) 改良された電池の再充電および給電構成を備えた移植可能な装置
US20170151440A1 (en) Implantable Pulse Generator Usable During a Trial Stimulation Phase and Externally Powered by Magnetic Inductive Coupling
KR102551291B1 (ko) 체내 삽입형 신경자극 장치
US20190070421A1 (en) Supercapacitor-Powered Charger and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1198006B1 (en) Efficiency in wireless energy control for an implantable device
Ben Fadhel et al. Resonant inductive coupling for wirelessly powering active implants: Current issues, proposed solutions and future technological attempts
Abiri et al. Wirelessly Powered Medical Implants via Radio Frequency
Parker et al. Power use in neurostimulators
US202202095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t mitigation of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during wireless charging
CN118022175A (zh) 神经刺激植入装置及神经刺激设备
JP2023542282A (ja) 負荷調整された埋め込み型光マイクロデバイス
EP2866889A1 (en)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far-field radiative powering of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