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954B1 -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이용되는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이용되는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954B1
KR102550954B1 KR1020200148184A KR20200148184A KR102550954B1 KR 102550954 B1 KR102550954 B1 KR 102550954B1 KR 1020200148184 A KR1020200148184 A KR 1020200148184A KR 20200148184 A KR20200148184 A KR 20200148184A KR 102550954 B1 KR102550954 B1 KR 10255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device
synthetic resin
plant cultivation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442A (ko
Inventor
양명주
한은석
Original Assignee
양명주
한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명주, 한은석 filed Critical 양명주
Priority to KR102020014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9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최적화를 이루기 위한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에 관련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난방장치가 10 ㎜ 내지 30 ㎜ 범위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판재의 중앙부에 3~8 ㎜ 범위의 구멍(hole)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탄소섬유 발열선이 내장되어 복사열 가온구조를 이루며 동물의 사육이나 또는 식물의 재배에 가온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난방장치 관련 기술이다.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난방장치는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의 환경을 개선하여 질병의 오염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하는바, 예를 들어 본원 난방장치가 계사의 바닥재로 사용되고 바닥재에 물이 분사되며 자동로봇청소기를 활용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하며 사육이 가능하도록 적용되는 육계도 2.5㎏ 정도로 사융시켜 최상의 쫄깃한 맛을 제공하며 탄소 발열 부재에서 발생되는 원 적외선에 의해 축사 내의 향균 증진효과로 건강한 육계로 출하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난방장치가식물재배 포트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경우 탄소 발열 부재에서 발생되는 더욱 기운으로 식물이 빨리 성장하고 원적외선에 의해 재배공간 내의 향균 증진 효과를 제공하여 건강하고 예쁜 꽃을 동절기에도 수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이용되는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NIMAL OR PLANT PRODUCTION}
본 발명은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최적화를 이루기 위한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난방장치가 10 ㎜ 내지 30 ㎜ 범위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판재의 중앙부에 3~8 ㎜ 범위의 구멍(hole)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탄소섬유 발열선이 내장되어 복사열 가온구조를 이루며 동물의 사육이나 또는 식물의 재배에 가온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난방장치 관련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에서 육계를 양육할 때는 닭을 케이지(cage)에 넣지 않고 소정의 공간에 수천마리의 닭을 풀어놓고 사육하는 경우 계사의 바닥면에 닭의 배설물 관리를 위생적으로 하기 위해 왕겨를 소정의 두께로 깔아주게 된다.
종래의 육계 사육시설은 계사의 바닥에 깔아 놓은 왕겨의 상부에 닭들이 끊임없이 계분을 배출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쌓인 계분을 청소해주지 않으면 계분으로부터 악취가 발생됨은 물론 딱딱하게 굳은 계분의 부패에 따른 세균의 번식으로 닭들의 발육이 저하되므로 육계의 경우 30~35일 범위를 벗어나면 더 이상 발육하지 않고 쌓인 계분에 의해 질병이 발생하여 폐사율이 급격히 높아지므로 30~35일 정도를 넘기지 않도록 사육시켜 1.5~1.7 ㎏ 정도 이르게 되면 더 이상 사료를 공급한다 해도 체중이 더 이상 늘지 않고 사료만 낭비하는 결과가 되므로 사육동에서 육계를 빼서 소위 삼계탕용으로 일괄 출하를 한 후 일시적으로 바닥면의 왕겨와 함께 쌓인 계분을 일시에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한 후 다시 바닥면에 왕겨(2)을 깔고 다음단계 2차 사육될 병아리를 입식받아 계사에 넣고 양육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어 왔다.
또한, 동절기에 동 식물을 생육 내지 사육하게 되는 경우 축사나 비닐하우스 등에 사육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내부 공간의 난방이 필요한바, 이러한 내부 공간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적용하는 난방수단은 공급 에너지원에 따라 전기, 가스, 연탄 등을 이용한 보일러, 기름 등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열풍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보일러의 대부분은 연료를 연소시켜 가열하는 방식으로 대기 오염과 더불어 유해가스가 발생되므로 동식물의 성장이나 발육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경제적인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열풍기는 단시간에 온도를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연료를 연소시키고 열풍을 발생시킴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며 발생된 소음에 의해 동식물이 특히, 갓 태어난 병아리 등의 동물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우려가 있는바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해 생육 장애 등이 발생하고, 장애로 인해 육계 등의 품질 저하의 우려가 있으며, 열풍은 강하게 하여도 10m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축사 내 열풍의 순환되지 못하는 문제로 축사 전체를 고르게 난방 시키기 곤란하여 닭들이 따뜻한 곳에만 모이게 되거나 난방이 미치지 못하는 축사의 구석진 부분에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갖는다.
또한, 양계를 위한 축사는 바닥에 왕겨, 톱밥 등이 깔려 있고 사육되는 닭의 숫자 또한 많아 다량의 먼지가 발생되며, 이런 먼지로 인해 기계의 고장이 잦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 병아리의 생육에 산소가 적절하게 공급되어야 하는데 연료의 연소 등에 다량의 산소가 소요되어 적절한 산소가 공급되기 곤란하며, 연료의 연소 등으로 인해 기름 냄새가 심하며 소모되는 연료량도 많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양계를 위한 축사에서 육계는 30~35일 정도에서 1.5~1.7 ㎏에 이르면 사육을 끝내고 삼계탕용으로 판매한다고 하더라도 산란계는 왕겨 상부에 쌓인 계분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청소를 실시해 주지 않으면 계분의 악취가 심하고 계분의 부패에 따른 세균의 번식으로 인해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는데 축사에서의 청소가 용이치 않은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양계축사의 청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등록특허 10-0985980호 "계사용 자동청소기" 기술로 계분이 쌓인 계사의 바닥을 지나가기만 하면 계분만이 걸러져 자동으로 수집통 내에 수거되도록 한 계사용 자동청소기가 제시된바 있으나 자동청소기가 정기적으로 이동하며 청소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이 평탄하고 균일해야 하는데 대부분 왕겨를 깔아 놓은 사육장에서는 자동청소기의 사용도 불가능한 현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해 합성수지 판재의 중앙부에 구멍(hole)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탄소섬유 발열선이 내장되어 복사열 가온구조를 이루는 난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은 축사의 바닥면을 탄소섬유 발열선이 내장된 합성수지 판재가 수평상태나 낮은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제공되어 자동청소기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더욱, 사육공간 내부에 원적외선이 조사되는 난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 기술사상은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난방장치사 10 ㎜ 내지 30 ㎜ 범위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판재의 중앙부에 3~8 ㎜ 범위의 구멍(hole)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탄소섬유 발열선이 내장되어 복사열 가온구조를 이루며 동물의 사육이나 또는 식물의 재배에 가온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난방장치를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바, 상기 탄소섬유는 전자파의 방출이 억제되고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제공하는 탄소섬유 발열선이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적외선은 침투력이 높은 특성을 갖고 침투된 곳에서 자기발열을 일으키는 특성을 가짐으로 이를 본원 난방장치에 적용시키는 경우 난방영역이 미치는 요소 요소에 원적외선이 균일하게 침투하여 자가발열을 일으킴으로 난방영역이 미치는 구석구석에서 미세기공을 확장시키며 구석구석에 붙어있는 냄새유발균 및 기타 유해균의 분해를 촉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해효과로 인해 살균 및 정화수단도 함께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최근 식품분야에서 어묵, 야채, 생선 등의 건조공정 중에 종래에는 기계적 가열가공으로 살균처리하는 공법이 널리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살균을 목적으로 한 원적외선 가열수단이 적용되고 있는바, 이는 고형물 피 조사체에 원적외선이 조사되면 표면부분에 발생하는 원적외선 자가열을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처리하는 살균방법으로 고형식품을 얇고 내열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등의 플라스틱필름으로 포장한 후, 그 위에 원적외선을 조사하면 포장 내용물의 식품 표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식품을 쉽게 살균하는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는바, 이 때 원적외선 살균은 플라스틱필름에는 흡수되지 않는 파장영역의 원적외선으로 식품의 내부에 침투하여 가열할 수 있는 원적외선 특유의 자가발열을 이용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한 난방방법으로서, 10 ㎜ 내지 30 ㎜ 범위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판재의 중앙부에 3~8 ㎜ 범위의 구멍(hole)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탄소섬유 발열선이가 내장되어 복사열 가온구조를 이루며 동물의 사육이나 또는 식물의 재배에 가온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는 난방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의 가온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난방장치의 이용방법으로, 10 ㎜ 내지 30 ㎜ 범위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판재의 중앙부에 3~8 ㎜ 범위의 구멍(hole)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탄소섬유 발열선이 내장되어 복사열 가온구조를 이루며 동물의 사육이나 또는 식물의 재배에 가온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는 난방장치의 이용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상기 난방장치가 계사의 바닥재로 사용되고 주기적으로 바닥재에 물이 분사되어 청소되거나 또는 자동로봇 청소기로 청소를 실시해줌으로 청결한 사육환경을 조성해주는 경우 현재 육계 무게가 1.7㎏ 정도에 이르면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육계 무게가 2.5㎏ 정도에 이르기까지 사육하여 최상의 육질맛을 제공하도록 사육시킨 후 출하할 수 있는 난방장치의 이용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난방장치가 식물재배 포트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경우 겨울철에도 예쁜 꽃을 피우게 재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난방장치는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의 환경을 개선하여 질병의 오염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바닥판을 이루는 합성수지 판재가 수평상태나 또는 낮은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제공되어 자동청소기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걔분이나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원 난방장치가 계사의 바닥재로 사용되고 바닥재에 물이 분사되며 청소가 가능하도록 적용되는 사육이 가능하게되는 경우 육계도 2.5㎏ 정도로 사융시켜 최상의 쫄깃한 맛을 제공하며 탄소 발열 부재에서 발생되는 원 적외선에 의해 축사 내의 향균 증진효과로 건강한 육계로 출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난방장치가식물재배 포트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경우 탄소 발열 부재에서 발생되는 원 적외선에 의해 재배공간 내의 향균 증진효과로 건강하고 예쁜 꽃을 동절기에도 수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판재의 내부 구멍(hole)에 탄소섬유 발열체 내장되어 발열구조를 제공하는 단위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 예시도.
도 2 : 도 1 형태의 단위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 다수개가 계사의 바닥재로 사용되어 계사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실시양태의 적용예시도.
도 3 : 도 1 형태의 단위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가 식물재배 포트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실시양태의 적용예시도.
본원 출원기술에서 사용되는 10 ㎜ 내지 30 ㎜ 범위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판재의 중앙부에 3~8 ㎜ 범위의 구멍(hole)이 형성된 합성수지 단위판재를 얻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 10-1379284호 "다층 압출구조의 다이스를 갖는 압출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 판재의 압출성형방법", 등록특허 10-1166899호 " 다층 압출구조의 다이스를 갖는 압출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 판재의 압출성형방법", 등록특허 10-1822104호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판재를 얻기 위한 압출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얻은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판재의 제조공정 등이 특허공보에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되어 있으므로 합성수지 단위판재를 얻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원에서 새롭게 개시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원 기술에 사용되는 단위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에서는 합성수지판재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제1알출기에서 재활용수지에 발포제가 혼합되어 성형기를 거치면서 내부에 구멍(hole : 20))이 형성되도록 압출된 중심재(30c)를 얻고 제2알출기에서 신제수지가 압출되어 중심재(30c)의 양 측면을 신제수지가 감싸는 구성으로 외피재(30a, 30b)가 합치되어 중심부에 구멍(hole : 20))이 형성된 구조의 단위 합성수지판재(30)를 얻고 단위 합성수지판재(30) 구멍(20)에 탄소섬유 발열선(10)이 인컨넥터(12)와 연결되어 합성수지판재(30)의 입구쪽으로 끼움/내장되어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를 이루며 타쪽으로 아웃되는 탄소섬유 발열선(10)과 전원케이블(11) 사이에 아웃컨넥터(13)가 연결되고 전원케이블(11)이 온도조절기(40)와 연결되고 온도조절기에서 전원가 연결되는 접속콘센트(41)를 갖는 구성으로 하나의 단위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를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b에서는 도 1a에 제시되는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 2개가 병렬로 연결되어 적용될 수 있는 실시양태를 나타내 것으로, 예를 들어 세로 120㎝ * 가로 240㎝ 두께 2.0㎝ 규격의 합성수지판재 중심부에 0.8㎝ 크기로 형성된 구멍(20)에 탄소섬유 발열선(10)이 끼움/내장된 2개의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를 이루고 탄소섬유 발열선(10)과 전원케이블(11) 사이에 인컨넥터(12a, 12b)를 통하여 판재로 탄소섬유 발열선이 연결되고 판재를 회전하고 나온 탄소섬유 발열선은 아웃컨넥터(13a, 13b)를 통하여 전원케이블(11) 및 온도조절버튼(43)을 갖는 온도조절갖는(40)와 연결되고 온도조절기에서 전원가 연결되는 접속콘센트(41)를 갖는 구성으로 2개의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가 병렬로 연결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 형태로 제공되는 단위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 다수개가 계사(100)의 바닥재로 사용되어 계사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실시양태의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계사의 외형을 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계사의 바닥면을 상부평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며, 도 2c는 계사의 바닥면이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서 제시되는 양계를 위한 계사(100)는 바닥면(60)과 측벽부(70)와 지붕(80)을 갖는 구조를 제공되는바, 종래기술에서는 바닥면에 왕겨를 일정두께로 적층시키고 그 상부에 병아리를 사육하여 30~35일 정도에 중병아리로 판매하고 난 후 바닥면에 쌓인 왕겨+계분을 일시에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하여 사육과정에 폐사문제가 많이 발생하여 왔는바, 본원 기술은 계사(100)의 바닥면(60)에 도 1에서 제시되는 형태로 10 ㎜ 내지 30 ㎜ 범위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판재(30)의 중앙부에 3~8 ㎜ 범위의 구멍(20)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탄소섬유 발열선(10)이 내장되어 복사열 가온구조를 갖는 양계사육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로, 도 2a는 계사(100)의 바닥면(60)에 도 1에 제시되는 단위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 다수개가 병렬구조로 연결되어 가열구조로 적용될 수 있도록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에서는 계사의 바닥면을 다수개의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를 병렬로 연결될 때 인컨넥터(12a, 12b)를 통하여 판재로 탄소섬유 발열선이 연결되고 판재를 회전하고 나온 탄소섬유 발열선은 하나의 아웃컨넥터(13)를 통하여 전원케이블(11) 및 온도조절버튼(43)을 갖는 온도조절갖는(40)와 연결되고 온도조절기에서 전원이 연결되는 접속콘센트(41)를 갖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에서는 계사의 바닥면(60)에서 양쪽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는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가 설치되고 계사의 측벽(70)에는 물분사노즐(71)이 설치되어 계사의 바닥면에 설치된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의 상부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을 이루고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는 측벽쪽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약 5 내지 10도 범위의 하향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분뇨배출로(61)가 형성되는 구성을 이루며 분뇨배출로(61)의 상부에는 메쉬망(62)이 덮여 병아리가 분뇨배출로(61)로 빠지지 않도록 적용되고 또한 분뇨배출로(61)의 높은 쪽 중간 중간에는는 고압수 분사구(63)가 설치되어 분뇨배출로(61)에 계분이 적측되지 않도록 고압수가 분사되는 구조를 이루고 분뇨배출로(61)의 저부 위치에는 폐기물 배출부(64)가 형성되어 외부의 정화조로 계사배출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계사의 바닥면을 탄소섬유 발열선이 내장된 합성수지 판재가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적용하고 자동청소로봇을 활용하여 자동청소로봇이 수평 바닥면을 이동하며 청소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서는 도 1 형태의 단위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가 식물재배 포트(90)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실시양태의 적용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동절기에 비닐하우스(110) 내부에서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50)의 상부에 흙(1)을 올리고 흙 속에 식물(2)을 재배를 이루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 기술에 적용되는 탄소섬유 발열선(10)은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선 내부에 있는 탄소섬유발열체에 전류가 흐르면서 저항이 발생되어 열이 발생하고 이 때 탄소 화합물에서 원적외선도 동시에 방출되도록 적용되는 탄소섬유 발열선(10)이 사용되는바, 예를 들면 비코탄소섬유 발열체 등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 방사기능이 없는 탄소섬유발열체가 사용되는 경우 본원의 단위 합성수지판재 자체에 황토와 맥반석, 전자석 등의 혼합물로 원적외선 발생물질을 코팅하여 사용하므로 원적외건 발생효과를 얻도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외선은 가시광선의 적색 영역보다 파장이 길어 열작용이 큰 전자파의 일종으로, 그 파장이 25㎛ 이상이며,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서 눈에 보이지 않고 열작용이 크며 침투력이 강하여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 작용이 강하며, 파장이 긴 것을 원외선이라 하는데 눈에 보이지 않고 물질에 잘 흡수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共振) 및 공명(共鳴) 작용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빛은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으면 반사가 잘 되고, 파장이 길면 물체에 도달했을 때 잘 흡수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침투력이 강해서 사람이나 병아리와 같은 동물의 몸도 이 적외선을 쐬면 따뜻해지는데 예를 들어, 30℃의 물속에서는 따뜻한 기운을 거의 느끼지 못하지만, 같은 온도의 햇볕을 쐬고 앉아 있으면 따스함을 느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햇볕 속에 포함되어 있는 원적외선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열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열 작용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며 또한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닿으면 세포를 1분에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줌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그밖에도 발한작용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 제거, 숙면, 탈취, 방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있어 주택 및 건축자재, 주방기구, 섬유, 의류, 침구류, 의료기구, 찜질방 등의 여러 분야에 원적외선이 이용되고 있는바, 본원에서는 10 ㎜ 내지 30 ㎜ 범위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판재(30)의 중앙부에 3~8 ㎜ 범위의 구멍(hole: 20)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원적외선 발생 탄소섬유 발열선(10)을 내장시켜 복사열 가온구조를 이루며 동물의 사육이나 또는 식물의 재배에 가온구조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원적외선 발생효과를 사육동물이나 식물에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또한 본원의 가온구조 내부 또는 돔루의 사육공간, 식물의 재배공간 내부의 특정위치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원거리 위치에서도 사육공간 또는 재배공간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에서 콘트롤 하도록 적용될 수 있은 이미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의 기재를 통하여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을 추가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나 본원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균등론 원칙에서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1 : 흙 2 : 식물
10 : 탄소섬유 발열선 11 : 전원케이블
12 : 인컨넥터 13 : 아웃컨넥터
20 : 구멍(hole) 30 : 합성수지판재
40 : 온도조절기 41 : 접속콘센트
42 : 접속부 43 : 온도조절버튼
50 : 합성수지판재형 발열체 60 : 바닥면
61 : 분뇨배출로 62 : 덮개망
63 : 고압수 분사구 64 : 폐기물 배출부
70 : 벽체 71 : 물분사노즐
80 : 지붕 90 : 식물재배포트
91 : 칸박이 100 : 계사
110 : 비닐하우스

Claims (5)

  1.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가온구조를 이루기 위해 합성수지 판재 및 탄소섬유 발열선이 사용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10 ㎜ 내지 30 ㎜ 범위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판재(30)의 중앙부에 3~8 ㎜ 범위의 구멍(hole: 20)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제공하는 탄소섬유 발열선(10)이 내장되어 복사열 가온구조를 이루며 동물의 사육이나 또는 식물의 재배에 가온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2. 삭제
  3.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의 가온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합성수지 판재 및 탄소섬유 발열선이 사용되는 난방장치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10 ㎜ 내지 30 ㎜ 범위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판재의 중앙부에 3~8 ㎜ 범위의 구멍(hole)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제공하는 탄소섬유 발열선이 내장되어 복사열 가온구조를 이루며 동물의 사육이나 또는 식물의 재배에 가온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의 이용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장치가 계사의 바닥재로 사용되고 바닥재 상부에 자동청소기나 청소로봇에 의한 청소가 가능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의 이용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장치가 식물재배 포트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의 이용방법.
KR1020200148184A 2020-11-08 2020-11-08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이용되는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10255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84A KR102550954B1 (ko) 2020-11-08 2020-11-08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이용되는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84A KR102550954B1 (ko) 2020-11-08 2020-11-08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이용되는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442A KR20220062442A (ko) 2022-05-17
KR102550954B1 true KR102550954B1 (ko) 2023-07-04

Family

ID=8180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184A KR102550954B1 (ko) 2020-11-08 2020-11-08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이용되는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9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957B1 (ko) 2010-08-18 2010-12-03 박재흔 플랜지 타입의 구조를 갖는 탄소발열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74A (ja) * 1986-06-20 1988-01-07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法
KR100498620B1 (ko) * 2003-01-09 2005-07-01 서영석 탄소섬유사 발열선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 면상발열체
KR100723734B1 (ko) * 2005-11-03 2007-05-30 문영수 발열 시트
KR20090130488A (ko) * 2008-06-16 2009-12-24 (주)오리엔탈드림 농업용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
KR20100131791A (ko) * 2009-06-08 2010-12-16 신구철 축사용 난방 시스템
KR20110032404A (ko) * 2009-09-23 2011-03-30 조미희 비닐하우스용 담요식 난방장치 및 그의 사용방법
KR20140133371A (ko) * 2013-05-11 2014-11-19 김태형 비닐하우스의 지중난방방법
KR101515291B1 (ko) * 2013-07-02 2015-04-24 주식회사 유니웜 식물의 근권 난방시스템
KR101918388B1 (ko) * 2017-02-03 2018-11-13 김석성 농작물 보호용 발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957B1 (ko) 2010-08-18 2010-12-03 박재흔 플랜지 타입의 구조를 갖는 탄소발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442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3029C1 (ru) Система получения органического удобрения и корма из экскрементов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JP5653915B2 (ja) コウカアブの生産方法
KR100646132B1 (ko)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CN102812923A (zh) 一种林下围网放养优质肉鸡的方法
CN103098756A (zh) 一种绿壳蛋鸡的生态规模养殖方法
US8794188B2 (en) Livestock house system and methods of quasi-continuously raising livestock in multiple phases
KR101155289B1 (ko) 곤충알 부화 및 육추를 위한 장치
CN104798737B (zh) 一种桑蚕养殖方法
CN105875522A (zh) 一种蚕养殖技术
CN105746441A (zh) 半水生萤火虫的室内规模化人工养殖方法
Kamal et al. Effect of shade materials on microclimate of crossbred calves during summer.
KR102550954B1 (ko)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이용되는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
de Vosjoli Designing environments for captive amphibians and reptiles
CN109303028A (zh) 一种规模化土鸡养殖方法
KR102206189B1 (ko) 동애등에의 산란장치
CN111202183A (zh) 中药养鸡配方及其养殖方法
CN106719370A (zh) 一种生产安全优质鸡蛋的蛋鸡养殖方法
KR102517634B1 (ko) 북방산개구리 사육장치 및 사육시스템
CN212065273U (zh) 一种畜禽养殖用饲养箱
CN111887177B (zh) 一种鹅舍
CN114159482A (zh) 一种家蚕幼虫眠起处理用干燥消毒粉剂
TWM580075U (zh) Circulating device for treating kitchen waste with black water bottle
KR20100131791A (ko) 축사용 난방 시스템
CN217407378U (zh) 一种用于绵羊繁殖用的防护装置
KR101702045B1 (ko) 파리천적 생산용 기주 생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기주를 이용한 파리천적 생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