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161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161B1
KR102550161B1 KR1020210019391A KR20210019391A KR102550161B1 KR 102550161 B1 KR102550161 B1 KR 102550161B1 KR 1020210019391 A KR1020210019391 A KR 1020210019391A KR 20210019391 A KR20210019391 A KR 20210019391A KR 102550161 B1 KR102550161 B1 KR 10255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upport wall
reflective
housing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399A (ko
Inventor
임아현
이타경
김정우
황도섭
김경준
김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7/382,57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846762B2/en
Priority to CN202122169171.5U priority patent/CN215813696U/zh
Priority to CN202111048911.8A priority patent/CN114167667A/zh
Publication of KR2022003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에 구비된 폴디드 모듈, 렌즈모듈, 반사모듈,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폴디드 모듈로 입사한 광은 렌즈모듈로 광을 반사하고,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은 다시 미러 렌즈를 통해 이미지 센서로 반사될 수 있다. 폴디드 모듈과 반사모듈에 의해 광 경로가 적어도 2차례 전환됨으로써 제한된 크기의 카메라 모듈에서 비교적 긴 길이의 트랙길이가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기술로서, 카메라가 수집하는 광의 경로를 적어도 한차례 전환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모바일 장치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은 종래의 전통적인 카메라에 비견되는 성능을 가지도록 제조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은 줌 배율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줌 배율이 커지기 위해서는 카메라에 입사된 광이 이미지센서까지 이동하는 거리, 즉, 전장길이 또는 총 트랙길이(TTL, Total Track Length)가 길어져야 하고, 비교적 긴 길이의 총 트랙길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길이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카메라 모듈은 프리즘과 같은 반사체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후면에서 들어온 광을 90도 가량 전환하여 비교적 긴 거리의 총 트랙길이를 구현하였다. 그런데 반사체를 채용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줌 배율을 더 높이려면 카메라의 총 트랙길이가 더욱 길어져 카메라 모듈의 길이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길이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높은 줌 배율을 가진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길이를 많이 늘리지 않고, 긴 길이의 총 트랙길이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에 구비된 폴디드 모듈, 렌즈모듈, 반사모듈,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폴디드 모듈로 입사한 광은 렌즈모듈로 광을 반사하고,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은 다시 미러 렌즈를 통해 이미지 센서로 반사될 수 있다. 폴디드 모듈과 반사모듈에 의해 광 경로가 적어도 2차례 전환됨으로써 제한된 크기의 카메라 모듈에서 비교적 긴 길이의 총 트랙길이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하우징 내에 구비된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을 다른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반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모듈은, 광의 방향을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반사면을 제공하는 제1 반사부재; 상기 제1 반사부재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홀더; 상기 홀더에 장착된 제1 자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서 상기 제1 반사부재에 대향하는 지지벽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자성부재와 이격대향하는 제2 자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제1 자성부재와 상기 제2 자성부재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지지벽을 향해 당겨지고(pulled toward),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지지벽 사이의 접촉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렌즈모듈; 전면으로 입사한 광을 상기 렌즈모듈의 광축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평판형으로 제공되는 반사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서 제공되고, 상기 반사부재가 안착되는 표면을 제공하는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의 배면의 일부는 상기 지지벽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는 비교적 긴 총 트랙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카메라는 높은 줌 배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 내부 구조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이 지지벽에 결합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과 지지벽의 결합 방식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이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이 지지벽에 수용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3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Y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0)에 구비된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X축 방향 또는 Z축 방향).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0)이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ing, 이하 AF), 줌(Zoom) 및 폴디드(Optical Image StabiliZing, 이하 OIS) 등의 기능을 구비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1)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AF, Zoom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자동 초점 조절 기능, 줌 배율 조정 기능 및 손떨림 방지(OIS) 기능 등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0)은 다양한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비하여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증가한다.
카메라 모듈(100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1)의 소형화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줌 기능을 위하여 적층 렌즈의 수가 많아지게 되고, 다수의 적층 렌즈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적층되는 렌즈의 수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적층 렌즈의 수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어 줌 성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AF 및 O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렌즈 군을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렌즈 군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도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되므로, 자동 초점 조절 기능, 줌 배율 조정 기능 및 손떨림 방지(OIS)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1000)이 장착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2, 3)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용 전자기기는 도 1에서 설명된 제1카메라 모듈(1000)과 함께 제2카메라 모듈(50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의 전자기기(2, 3)은 모두 2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며, 도 2는 제1카메라 모듈(1000)과 제2카메라 모듈(500)이 휴대용 전자기기(2)의 폭 방향(상대적으로 짧은 변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이고, 도 3는 제1카메라 모듈(1000)과 제2카메라 모듈(500)이 휴대용 전자기기(3)의 길이 방향(상대적으로 긴 변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이다.
2개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의 카메라 모듈에 광이 입사되는 입사구가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1000)과 제2카메라 모듈(500)은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 모듈(1000)은 상대적으로 화각이 좁게 구성(예를 들어, 망원 카메라)되고, 제2카메라 모듈(500)은 상대적으로 화각이 넓게 구성(예를 들어, 광각 카메라)된다. 여기서, 제1카메라 모듈(1000)은 이하 도 4 내지 도 12을 참고하여 설명하는 카메라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 내부 구조의 상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또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폴디드 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 모듈(1300)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디드 모듈(1100)은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0)을 상부에서 덮어주는 덮개(1030)의 개구부(1031, 도 4 참조)를 통해 입사된 광은 폴디드 모듈(1100)을 통해 렌즈모듈(1200)(또는 센서모듈(1300)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1310))로 향하도록 진행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이를 위해 폴디드 모듈(1100)은 광을 반사하는 제2 반사부재(1110)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된 광은, 폴디드 모듈(1100)에 의해 렌즈모듈(1200)을 향하도록 경로가 바뀌게 된다. 가령, 카메라 모듈(1000)의 두께 방향(Y축 방향)으로 입사된 광은 폴디드 모듈(1100)에 의해 광축(Z축) 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경로가 변경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모듈(1200)은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디드 모듈(1100)에서 반사된 광이 복수의 렌즈들을 통과하면서 굴절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렌즈모듈(1200)에 구비된 복수의 렌즈들은 광축(1201)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모듈(1200)은 복수의 렌즈들을 구비한 렌즈배럴(1210), 및 렌즈배럴(1210)을 수용하는 렌즈홀더(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210)과 렌즈홀더(122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른 실시 예에서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광을 이미지 센서(1310)를 향해 반사시키는 제1 반사부재(1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느 것이든 제1 반사부재(1410)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mirror), 프리즘(prism), 스플리터(splitter) 등이 제1 반사부재(1410)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는 하우징(1010)에 구비된 지지벽(102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부재(1410)의 일부가 지지벽(1020)의 표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를 지지하는 지지벽(1020)은, 제1 반사부재(1410)가 하우징(1010)(또는 지지벽(1020))에 조립되었을 때 제1 반사부재(1410)는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광을 이미지 센서(1310)로 반사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은 하우징(1010)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벽(1020)은 하우징(1010)의 바닥면(1011)에서 제1 반사부재(1410)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은 제1 반사부재(1410)가 지지벽(1020)에 안착되었을 때 반사면이 향하는 방향이 렌즈모듈(1200)의 광축(1201)과 45도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벽(1020)은 광축(1201)과 45도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는 안착면(1021a)을 포함하고, 안착면(1021a)에 평판형의 제1 반사부재(1410)가 안착될 수 있다. 이경우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광은 제1 반사부재(1410)의 반사면(1411)에 45도 각도로 입사하고, 광의 진행 방향이 90도 또는 90도에 가까운 각도로 꺾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예를 들어, 지지벽(1020)은 Y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X축 및 Z축(또는 광축)과 45도 각도를 이루는 안착면(1021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평판 형태의 제1 반사부재(1410)가 안착면(1021a)에 안착되면, 제1 반사부재(1410)의 반사면(1411) 역시 안착면(1021a)과 마찬가지로 Y축에 나란하고 X축과 Z축에 모두 45도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센서 모듈(1300)은 이미지센서(1310) 및 이미지센서(1310)가 실장되는 기판(1320)을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는 센서의 광 수집면이 반사부재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반사부재에서 반사된 광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센서모듈(1300)은 렌즈모듈(1200)에서 입사되는 광을 필터링하는 광학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터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010)은 반사모듈(1400)에서 반사된 광이 이미지 센서(1310)에 도달하는 동안 하우징(1010)에 간섭되지 않게, 측면에 이미지 센서(1310)를 향해 개방된 관통부(10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010)은 폴디드 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센서모듈(13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센서모듈(1300)의 일부는 하우징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센서모듈(1300)이 구비하는 기판(1320)은 하우징(1010)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기판(1320)에 실장된 전자부품(예: 코일 또는 위치감지 센서)은 하우징(1010)에 구비된 관통부를 통해 하우징(1010) 내부 공간에 구비된 폴디드 모듈(1100)이나 렌즈모듈(1200)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010)은 내부공간에 폴디드 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 모듈(1300)이 모두 수용되도록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하우징(1010)은 폴디드 모듈(1100),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 모듈(1300) 중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들이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 모듈(1300)은 하우징(1010)에 구비되나, 다른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 모듈(13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별도의 하우징이 폴디드 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을 수용하는 하우징(10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010)은 덮개(1030)에 의해 내부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덮여진다. 덮개(1030)는 광이 입사하도록 개구부(1031)를 구비하며, 개구부(1031)를 통해 입사된 광은 폴디드 모듈(11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렌즈모듈(1200)로 입사한다. 덮개(1030)는 하우징(1010)의 전체를 덮도록 일체로 구비되거나, 폴디드 모듈(1100)과 렌즈모듈(1200)을 각각 덮는 별개의 부재로 나누어져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010)의 일부를 통해 폴디드 모듈(1100)로 입사한 광은 렌즈모듈(1200)로 광을 반사하고,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광은 다시 제1 반사부재(1410)를 통해 이미지 센서(1310)로 반사될 수 있다. 높은 줌 배율을 위해선 긴 길이의 트랙길이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폴디드 모듈(1100)만 구비된 카메라 모듈에서는 폴디드 모듈(1100)과 이미지 센서(1310)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서,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내부 공간이 여유롭지 않은 모바일 장치에 채용되기에 무리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폴디드 모듈(1100)과 반사모듈(1400)에 의해 광 경로가 적어도 2차례 전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 모듈(1300)에 입사하기 전에 반사모듈(1400)에 의해 90도 가량 전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폴디드 모듈(1100)에 Y축 방향으로 입사한 광(L)은 제2 반사부재(1110)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전환되고, 이 광(L)은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후 제1 반사부재(1410)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00)의 Z축 방향 길이가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고도 비교적 긴 길이의 트랙길이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1000)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반사모듈(1400)은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다양한 장치에 채용될 수 있으며, 그 적용이 도시된 형태의 카메라 모듈(10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일부 표면을 통해 전치 내부로 들어오는 광은 적어도 한차례 반사된 후에 이미지 센서에 도달할 수 있고, 이때 광을 반사시키는 구조로서 본 개시의 반사모듈(1400)이 전자 장치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을 통과한 광이 꺾이는 방향은 +X 방향을 향하나,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이 광을 꺾는 방향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모듈(1400)을 통과한 광이 꺾이는 방향은 -X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이 경우 이미지 센서 모듈(1300)은 반사모듈(1400) 기준 -X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중간 부분에 두께가 저감되는 단차부(S)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에서 카메라 모듈(1000)이 위치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돌출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외관이나 사용성을 위해 후면은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나, 카메라 모듈(1000)로 인해 후면에 불가피하게 돌출된 부분이 구비되는 경우 돌출된 부분의 면적을 최소화 하는 것이 사용성이나 외관을 개선하는데 유리하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에 단차부가 구비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0) 일부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이나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X축과 대략 나란한 경계를 기준으로 일측은 타측과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광축(1201)과 나란한 방향(도면에서 Z축 방향)으로 단차진 부분(S)을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S)는 카메라 모듈(1000)의 대략 중간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부(S)는 카메라 모듈(1000)의 광축(1201) 방향 길이의 1/3 내지 2/3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단차부(S)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10), 덮개(1030), 렌즈모듈(1200) - 렌즈홀더(1220) 및/또는 렌즈배럴(1210) - 에 모두 단차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1030)는 단차부(S)에 대응하는 제1 단차(S1)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차부(S)는 렌즈모듈(1200)이 구비되는 위치와 겹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을 위에서 바라볼 때 렌즈모듈(1200)이 차지하는 영역 내에 단차부(S)가 위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렌즈모듈(1200)은 단차부(S)에 상응하는 제2 단차(S2)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1200)이 렌즈 배럴(1210)과 별도로 마련된 렌즈홀더(1220)를 포함하는 경우, 렌즈홀더(1220)는 단차부(S)에 상응하는 제2 단차(S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홀더(1220)의 상면(1221)은 제2 단차(S2)를 기준으로 제1 면(1221a)과 제1 면(1221a)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2 면(122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010)은 단차부(S)에 상응하는 제3 단차(S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10)을 구성하는 측벽은 제3 단차(S3)를 기점으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210) 역시 단차부(S)에 상응하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배럴(1210)의 상면(1211)은 높이가 다른 부분들(1211a, 1211b, 1211c)를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제4 단차(S4)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렌즈배럴(1210)에 삽입되는 렌즈들은 적어도 일부가 디컷렌즈 - 둥근 형상에서 테두리가 잘려 나간 모양의 렌즈 - 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이 지지벽에 결합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과 지지벽의 결합 방식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이 지지벽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은 제1 반사부재(1410) 및 제1 반사부재(1410)에 결합된 홀더(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는 반사면(1411)이 향하는 방향(즉, 반사면(1411)의 법선(1401) 방향)이 렌즈모듈(1200)의 광축(1201)과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광은 제1 반사부재(1410)의 반사면(1411)에 0이 아닌 입사각(반사면(1411)의 법선(1401)과 입사광이 이루는 각도)으로 입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 모듈은 제1 반사부재(1410)에 의해 반사된 광이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1310)는 광을 수집하는 면(1311, 이하, '센서면(1311)')이 제1 반사부재(1410)를 통해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광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은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광을 이미지 센서(1310)를 향해 꺾어주도록 구성되나,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반사모듈(1400)은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구비되어 광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요소로 기능할 수 있고, 그 위치가 본 개시의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사모듈(1400)은 렌즈모듈(1200)의 물체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는 반사면(1411)의 법선(1401)이 렌즈모듈(1200)의 광축(1201)과 대략 45도를 이루도록 하우징(10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렌즈모듈(1200)을 통과한 광은 제1 반사부재(1410)에 의해 반사되고, 진행 방향이 대략 90도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1310)는 센서면(1311)이 광축(1201)에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축(1201)에 수직인 면, 제1 반사부재(1410)의 반사면(1411), 및 센서면(1311)은 모두 Y축에 나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더(1420)는 제1 반사부재(1410)가 부착된 베이스(1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1421)의 일면에 제1 반사부재(1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1421)는 베이스(1421) 전방을 향하는 안착면(1421a)을 구비하고,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이 안착면(1421a)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반사부재(1410)의 전방 또는 베이스(1421)의 전방은 반사면(1411)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되고, 제1 반사부재(1410)의 후방 또는 베이스(1421)의 후방은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1421)는 관통부(1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1410)가 베이스(1421)의 안착면(1421a)에 부착되었을 때,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은 관통부(1423)를 통해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통부(1423)를 통해 베이스(1421) 후방으로 일부 노출된 배면(1412)은 지지벽(1020)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더(1420)는 반사모듈(1400)을 지지벽(1020)에 장착시키도록 구성된 결합부(1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1421)와 결합부(14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베이스(1421)와 결합부(1422)는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된 후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은 지지벽(102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은 하우징(10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하우징(1010)과 구분되는 구성으로서 형성된 후 하우징(10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은 자기력에 의해 지지벽(102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과 지지벽(1020)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자성부재들(1430)을 구비할 수 있다. 자성부재는 마그넷 또는 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1410)는 제1 자성부재(1431)와 제2 자성부재(1432)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지지벽(1020)을 향해 당겨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더(1420)의 결합부(1422)에 제1 자성부재(1431)가 구비되고, 지지벽(1020)에 제1 자성부재(1431)에 대향하는 제2 자성 부재(143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성부재(1431)는 마그넷, 제2 자성 부재(1432)는 요크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자성부재(1431)는 요크, 제2 자성 부재(1432)는 마그넷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자성부재(1431)와 제2 자성 부재(1432)가 모두 마그넷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더(1420)는 제1 자성부재(1431)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4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자성부재(1432)는 하우징(1010)에 매립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자성부재(1432)의 일부가 제1 자성부재(1431)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0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하우징(1010)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판은 하우징(1010) 내부에 일부 매립되며, 보강판의 일부가 제2 자성부재(1432)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자성부재(1432)는 하우징(1010)과 별개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요크가 이중사출 방식으로 하우징(101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성부재(1431)와 제2 자성부재(1432)는 서로 이격 대향한다. 예를 들어, 제1 자성부재(1431)와 제2 자성부재(1432) 사이에는 에어갭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자성부재(1431)와 제2 자성부재(1432)는 반사모듈(1400)과 지지벽(1020) 사이의 자기적 인력을 제공할 뿐, 서로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제1 자성 부재(1431)와 제2 자성부재(1432) 사이에 에어갭(1452)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이 지지벽(1020)에 조립되었을 때, 제1 반사부재(1410)가 직접 지지벽(1020)에 지지 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1410)와 하우징(1010)(또는 지지벽(1020)) 사이에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채 하우징(1010)이 직접 제1 반사부재(141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을 반사면(1411)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점(또는 지지면)은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과 지지벽(10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는 평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1410)의 반사면(1411)으로 입사한 광은 렌즈모듈(1200)의 광축(1201)과 교차하는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은 반사면(1411)과 나란하고,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의 일부(1412a)는 지지벽(1020)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과 지지벽(1020)의 안착면(1021a)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는 지지벽(1020)에 접촉하며, 제1 반사부재(1410)와 지지벽(1020) 사이에 접촉부가 생긴다. 접촉부는 접촉점 및/또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고하면,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의 일부분(1412a)이 지지벽(1020)의 안착면(1021a)과 접촉함으로써 제1 반사부재(1410)와 지지벽(1020) 사이에 접촉부가 생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촉부는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위치되는 접촉접 및/또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성부재(1431) 또는 제2 자성부재(1432)의 좌측과 우측에 접촉부가 생길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접촉부는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에 제1 자성부재(1431)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된 서로 나란한 두개의 띠(strip)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자성부재들(1431, 1432)로 인해 제1 반사부재(1410)가 지지벽(10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고, 제1 반사부재(1410)는 접촉부에서 지지된다. 예를 들어, 자기적 인력이 제1 반사부재(1410)를 제1 방향으로 당길 때, 지지벽(1020)은 접촉부에서 제1 반사부재(1410)에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은 제1 반사부재(1410)를 수용하는 홀더(1420)를 직접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반사모듈(1400)이 자기적 인력으로 지지벽(1020)으로 당겨질 때 지지벽(1020)이 반사모듈(1400)에 가하는 반력은 오직 제1 반사부재(1410)를 통해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더(1420)는, 제1 반사부재(1410)가 지지벽(1020)에 안착되었을 때 지지벽(1020)과 홀더(1420) 사이에 에어갭이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421)와 안착면(1021a) 사이에는 에어갭이 존재할 수 있다. 또 홀더(1420)의 결합부(1422)와 수용홈(1022)의 바닥면(1023) 사이에 에어갭(1452)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1410)는 렌즈모듈(1200)에 대해 정확한 각도를 가지도록 하우징(1010)에 설치되어야 한다. 제1 반사부재(1410)의 각도가 설계된 각도와 어긋나면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이 이미지 센서(1310)에 정상적으로 도달하지 못할 수 있고, 이는 이미지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반사모듈(1400) 및 하우징(1010) 각각의 제조 공차 및 양자 사이의 조립 공차로 인해, 제1 반사부재(1410)가 렌즈모듈(1200)이나 이미지 센서(1310)에 대해 정확한 각도를 가지도록 하우징(1010)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반사부재(1410)가 하우징(101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다른 부재와의 조립공차를 최소화 하고자, 제1 반사부재(1410)는 하우징(1010)(또는 지지벽(1020))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가 직접 하우징(1010)에 지지되므로, 제1 반사부재(1410)의 하우징(1010)에 대한 조립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제1 반사부재(1410)는 비교적 높은 평면도를 가지고, 제1 반사부재(1410)의 일부가 안착면(1021a)에 부착되므로 반사면(1411)이 광축(1201)과 지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제1 반사부재(1410)를 하우징(1010)에 조립하는 공정이 수월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1421)의 관통부(1423)를 통해 베이스(1421) 후방으로 드러난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벽(1020)의 안착면(1021a)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은 반사모듈(1400)에 대향하는 벽면(1021)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1021a)은 벽면(102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벽면(1021)의 일부로서의 안착면(1021a)이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제1 반사부재(1410)가 지지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이 지지벽(1020)의 안착면(1021a)에 직접 접촉하는 것'은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과 지지벽(1020)의 안착면(1021a) 사이에는 별도의 다른 구성이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벽면(1021)에서 안착면(1021a)을 제외한 부분(1020b)은 안착면(1021a)보다 낮고, 따라서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벽면(1021)에서 안착면(1021a)을 제외한 부분(1021b)과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 사이에 에어갭(1451)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벽면(1021) 전체가 아닌 일부(예: 안착면(1021a))가 제1 반사부재(1410)를 지지함으로써, 제1 반사부재(1410)와 지지벽(1020) 사이에 조립공차가 생길 수 있는 부분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즉, 반사부재(1420)가 지지벽(1020)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조립공차가 생길 수 있는 부분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은 2개 이상의 구분되는 지지면들(102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벽(1020)은 수용홈(1022)을 기준으로 양측에 안착면(1021a)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착면(1021a)은 소정의 폭을 가지고 제1 반사부재(1410)의 높이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착면(1021a)은 베이스(1421)의 상단 프레임(1421U) 또는 하단 프레임(1421L)과도 마주볼 수 있으나, 안착면(1021a)은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에만 접촉하고, 베이스(1421)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은 베이스(1421)의 상단 프레임(1421U) 또는 하단 프레임(1421L)보다 베이스(1421) 후방으로 더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안착면(1021a)이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에 접촉되더라도, 안착면(1021a)과 베이스(1421)의 상하단 프레임(1421U, 1421L) 사이에 에어갭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과 반사모듈(1400)에 각각 구비된 자성부재들(1430)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반사모듈(1400)은 지지벽(1020)에 붙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성부재들(1430)은 반사모듈(1400)과 지지벽(1020) 사이의 자기적 인력을 제공할 뿐,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결국 자성부재들(1430) 사이의 자기적 인력이 반사모듈(1400)을 지지벽(1020)을 향해 당길 때, 지지벽(1020)의 안착면(1021a)이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에 접촉함으로써 반사모듈(14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안착면(1021a)의 형태는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안착면(1021a)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면(1021a)이 도시된 안착면(1021a)보다 얇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에서 안착면(1021a)과 다른 부분(예: 벽면(1021) 중 일부(1021b))은 단일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안착면(1021a) 부분은 다른 부분과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벽(1020)은 이중사출 방식으로 형성된 금속 부분을 포함하고, 금속 부분의 일부가 안착면(1021a)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가 하우징(1010)에 직접 면접촉한다. 다만, 본 개시는 제1 반사부재(1410)와 하우징(1010)이 면접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는 하우징(1010)에 점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벽(1020)은 벽면(1021)에서 제1 반사부재(1410)배면(1412)을 향해 돌출된 돌기들을 포함하고, 돌기들이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에 접촉할 수 있다. 지지벽(1020)이 3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반사부재(1410)는 돌기들에 의해 3점 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반사부재(1410)는 하우징(1010)에 면접촉 및 점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부재(1410)의 일측은 지지벽(1020)의 안착면(1021a)에 면접촉하고 타측은 지지벽(1020)의 돌기에 점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은 상부면(1025)과 벽면(1021) 사이에 경사면(1026)(또는 모따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지지벽(1020)과 반사모듈(1400) 사이의 갭의 적어도 일부에 채워지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에 반사모듈(1400)이 조립되었을 때, 지지벽(1020)과 반사모듈(1400) 사이에 접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반사모듈(1400)을 지지벽(102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과 안착면(1021a)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과 반사모듈(1400) 사이의 공간(1440)에 접착 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벽(1020)의 경사면(1026)과 제1 반사부재(1410) 또는 홀더(1420) 사이의 공간(1440)에 접착 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이 지지벽에 수용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5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홀더(1420)는 결합부(1422)를 통해 하우징(10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1422)는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지지벽(1020)은 결합부(1422)를 적어도 일부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0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422)는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보다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수용홈(1022)은 결합부(1422)를 수용하도록 제1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422)의 돌출 방향 또는 수용홈(1022)의 함몰 방향은 제1 자성부재(1431)와 제2 자성부재(1432) 사이의 자기적 인력의 방향과 일치하거나 대체로 일치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성부재(1431)는 결합부(1422)에 장착되고, 제2 자성부재(1432)는 결합부(1422)를 마주보는 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자성부재(1432)는 수용홈(1022)을 일부 정의하는 바닥면(1023)에 노출되어 제1 자성부재(1431)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홈(1022) 및 결합부(1422)는, 결합부(1422)가 수용홈(1022)에 수용되었을 때 결합부(1422)가 수용홈(102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홈(1022)은 바닥면(10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고, 결합부(1422)는 수용홈(1022)에 수용홈(1022)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사모듈(1400)은 결합부(1422)를 통해 수용홈(1022)에 끼워졌을 때 수용홈(1022)으로부터 적어도 지지벽(1020)과 제1 반사부재(1410)가 대향하는 제1 방향(1433)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고하면, 예를 들어, 수용홈(1022)은 수용홈(1022)의 길이 방향(Z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한부(1024c)를 포함하고, 결합부(1422)는 제한부(1024c)와 제1 방향(1433)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걸림부(1422c)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422)가 수용홈(1022)에 수용된 상태에서, 결합부(1422)의 제1 방향(1433)으로의 움직임은 걸림부(1422c)와 제한부(1024c)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제한된다.
수용홈(1022)은 벽면(1021)으로부터 함몰된 바닥면(1023), 및 바닥면(1023)과 벽면(1021)을 잇는 측벽(102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벽(1024)들 사이의 거리는 벽면(1021)에 가까울수록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1024) 중 벽면(1021)과 인접한 부분(또는 상부측벽(1024a))은 바닥면(1023)에 인접한 부분(또는 하부측벽(1024b))보다 반대편 측벽(1024)을 향해 더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측벽들(1024)의 사이의 거리는 하부측벽들(1024b)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수용홈(1022)의 상부측벽(1024a)은 경사면을 포함하고, 경사면에 의해 수용홈(1022)의 폭은 벽면(1021)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1422)는 베이스(1421)의 상부 프레임(1421U)과 하부 프레임(1421L)에서 각각 베이스(1421)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들(1422a), 및 연장부들(1422a) 사이를 잇는 브릿지(14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1422)의 브릿지(1422b)가 수용홈(1022)에 조립되었을 때, 수용홈(1022)의 상부측벽(1024a) 일부가 브릿지(1422b)와 제1 반사부재(1410)의 배면(1412) 사이의 공간(1453)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릿지(1422b)의 폭(W1)은 상부측벽들(1024a) 사이의 거리(W2)보다 크고, 이는 결합부(1422)가 수용홈(102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릿지(1422b)는 수용홈(1022)에 대응하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홈(1022)이 벽면(1021)에 가까울수록 좁아지는 폭을 가지고 브릿지(1422b)는 베이스(1421)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1422b)는 상부측벽(1024a)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홀더(1420)는 하우징(1010)의 바닥면(1023)에 하나의 포인트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의 하부면(1424)은 하우징(1010)에 하나의 포인트에서 점 접촉 또는 좁은 면적으로 면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010)의 바닥면(1011)은 반사모듈(1400)을 향해 연장하는 단일 돌기(10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돌기(1012)의 단부가 홀더(1420)의 하부면(1424)에 접촉할 수 있다. 돌기(1012)는 홀더(1420)에 Y축 방향의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의 하부면(1424) 중 돌기(1012)에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과 하우징(1010)의 바닥면(1011) 사이에 에어갭(1454)이 존재할 수 있다.
반사모듈(1400)의 하부면(1424)과 하우징(1010)의 바닥면(1011)이 완벽한 평면을 가지도록 가공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반사모듈(1400)이 하우징(1010)의 바닥면(1011)에 안착되는 경우 공차에 의해 제1 반사부재(1410)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은 돌기(1012)에 의해 하나의 포인트에서 지지되고, 이는 공차 인한 제1 반사부재(141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의 하부면(1424)은 돌기(1012)에 의해 1점 지지되기 때문에, 조립 과정에서 반사모듈(1400)은 돌기(101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물론 제1 반사부재(1410)가 지지벽(102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반사모듈(1400)이 돌기(1012)를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반사면(1411)과 광축(1201)이 이루는 각도는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 예에서 돌기(1012)의 높이(h1)는, 반사모듈(1400)이 하우징(1010)에 정상적으로 조립되었을 때 반사모듈(1400)의 상부면(1425)이 지지벽(1020)의 상부면(1025)과 대략 나란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반사모듈(1400)이 하우징(1010)에 정상적으로 조립되었을 때 반사모듈(1400)의 상부면(1425)이 지지벽(1020)의 상부면(1025)과 대략 동일한 평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모듈(1400)이 돌기(1012)와 지지벽(1020)에 의해 지지되었을 때, 반사모듈(1400)의 상부면(1425)과 하우징(1010)의 바닥면(1011) 사이의 거리(h1)는, 지지벽(1020)의 상부면(1025)과 하우징(1010)의 바닥면(1011) 사이의 거리(h2)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반사모듈(1400)의 상부면(1425)이 지지벽(1020)의 상부면(1025)과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 구비된다면, 조립과정에서 툴(2)에 구비된 평면(2a)이 지지벽(1020)과 반사모듈(1400)을 함께 누를 수 있다. 툴(2)이 지지벽(1020)의 상부면(1025)에 닿으면, 반사모듈(1400)은 상부면(1425)이 툴(2)의 평면(2a)에 대략 나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결국 반사모듈(1400)의 상부면(1425)이 지지벽(1020)의 상부면(1025)에 대략 일치하도록 위치되고, 반사모듈(1400)이 정확한 자세로 지지벽(1020)에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툴(2)에 의해 반사모듈(1400)의 자세가 조정된 이후에 반사모듈(1400)을 지지벽(102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반사모듈(1400)과 지지벽(1020) 사이의 에어갭(예: 도 8의 에어갭(1451, 1452), 도 10의 공간(1440), 도 11의 에어갭(1453), 도 12의 에어갭(1454))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1: 휴대용 전자기기
1000: 카메라 모듈
1100: 폴디드 모듈
1200: 렌즈모듈
1300: 이미지 센서 모듈
1400: 반사모듈

Claims (1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 입사된 광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폴디드 모듈; 및 상기 폴디드 모듈에서 방향이 전환된 상기 광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반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모듈은,
    반사면을 제공하는 제1 반사부재;
    상기 제1 반사부재에 고정적으로 결합된 홀더;
    상기 홀더에 장착된 제1 자성부재;
    상기 제1 반사부재에 대향하게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자성부재와 이격대향하는 제2 자성부재;
    상기 제1 자성부재와 상기 제2 자성부재 사이의 자력에 의해 당겨지는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벽; 및
    상기 홀더와 상기 지지벽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부재와 상기 제2 자성부재 사이 작용하는 자력은, 상기 반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제1 자성부재와 상기 제2 자성부재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지지벽을 향해 당겨지고(pulled toward),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지지벽 사이의 접촉부에서 지지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재와 상기 지지벽은 제1 방향으로 마주보고,
    상기 제1 자성부재와 상기 제2 자성부재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지지벽을 향해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반사부재가 상기 지지벽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지지벽과 상기 홀더 사이에 에어갭이 존재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광축을 따라 배열된 렌즈계를 포함하는 렌즈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벽은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반사부재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연장하고, 상기 제1 반사부재가 상기 지지벽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반사면이 향하는 방향이 상기 렌즈모듈의 광축과 45도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위치되는 접촉점 또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은 상기 홀더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부분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결합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함몰되고,
    상기 제1 자성부재는 상기 홀더의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홈에 상기 제2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한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제한부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제한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반사부재의 일부 표면을 상기 지지벽을 향해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제1 반사부재의 일부 표면이 상기 지지벽에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에서 상기 반사모듈의 일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모듈은 상기 돌기의 말단부와의 접촉부에서 일부 지지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지지벽의 수용홈 내부에 수용된 홀더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반사모듈을 지지하는, 카메라 모듈.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광축을 따라 배열된 렌즈계를 포함하는 렌즈모듈을 더 포함하고,
    외부에서 입사된 광을 상기 렌즈모듈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구성된 제2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재는 제1 방향으로 입사한 광을 제2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반사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입사한 광을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모두 수직인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16.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렌즈모듈;
    외부에서 입사된 광을 상기 렌즈모듈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구성된 제2 반사부재;
    상기 제2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을 상기 렌즈모듈의 광축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평판형으로 제공되는 제1 반사부재;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서 제공되고, 상기 제1 반사부재가 안착되는 표면을 제공하는 지지벽; 및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지지벽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지지벽을 향해 자력에 의해 당겨지고,
    상기 반사부재의 배면의 일부는 상기 지지벽에 면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019391A 2020-09-09 2021-02-10 카메라 모듈 KR10255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82,576 US11846762B2 (en) 2020-09-09 2021-07-22 Camera module and structure to switch light path
CN202122169171.5U CN215813696U (zh) 2020-09-09 2021-09-08 相机模块和便携式电子设备
CN202111048911.8A CN114167667A (zh) 2020-09-09 2021-09-08 相机模块和便携式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5690 2020-09-09
KR1020200115690 2020-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99A KR20220033399A (ko) 2022-03-16
KR102550161B1 true KR102550161B1 (ko) 2023-07-03

Family

ID=8093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391A KR102550161B1 (ko) 2020-09-09 2021-02-1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435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05B1 (ko) * 2016-10-13 2018-09-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391155B1 (ko) * 2018-01-26 2022-04-29 애플 인크. 광학기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갖는 접이식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399A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79454A (zh)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KR20120033279A (ko) 촬상 유닛
US8836856B2 (en) Imaging unit with prisms and image sensor
CN110737149A (zh) 相机模块及便携式电子设备
CN110737077A (zh) 光学镜头和电子装置
CN111405154B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102338257B1 (ko) 카메라 모듈
TWI828107B (zh) 成像鏡頭模組與電子裝置
KR102381619B1 (ko) 카메라 모듈
WO2021052157A1 (zh) 潜望式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102550161B1 (ko) 카메라 모듈
WO2021213216A1 (zh) 潜望式摄像模组、多摄摄像模组和摄像模组的组装方法
KR20220043879A (ko) 카메라 모듈
US11846762B2 (en) Camera module and structure to switch light path
JP5619561B2 (ja) 撮像ユニット
CN213718058U (zh) 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KR20200092580A (ko) 연속 줌 렌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디드 카메라 모듈
US11982924B2 (en) Camera module
CN114449158B (zh) 光学防抖摄像模组
KR102488750B1 (ko) 카메라 모듈
CN112698462A (zh)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CN219329799U (zh)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设备
KR102574418B1 (ko) 카메라 모듈
CN113556444B (zh) 潜望式摄像模组、多摄摄像模组和摄像模组的驱动方法
KR102312300B1 (ko)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