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929B1 -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 - Google Patents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929B1
KR102548929B1 KR1020220118246A KR20220118246A KR102548929B1 KR 102548929 B1 KR102548929 B1 KR 102548929B1 KR 1020220118246 A KR1020220118246 A KR 1020220118246A KR 20220118246 A KR20220118246 A KR 20220118246A KR 102548929 B1 KR102548929 B1 KR 10254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s
guide
connection part
reinforcing bar
vertical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기
Priority to KR102022011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을 제공한다.
상기 옹벽은 가이드가 형성된 제1빔; 상기 제1빔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가이드가 형성된 제2빔; 일측이 상기 제1빔의 가이드에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제2빔의 가이드에 끼워져 상호 적층되어 조립되는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일부는 상기 제1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을 관통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2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복크리트블록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볼트; 상기 복수의 체결 볼트 중 일부와 연결되어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RETAINING WALL THAT CAN REDUC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WITH MODULAR CONSTRUCTION METHOD OF PC CONCRETE BLOCK AND SECURE STABILITY EVEN IN HIGH-RISE DESIGN BY REINFORCED WIRE TENSION AND INTEGRATED BEHAVIOR OF MODULE}
본 발명은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말한다. 옹벽은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수적이다.
한편, OSC(Off-Site Construction; 탈현장화)는 건물의 자재와 구조체 등을 사전 제작한 뒤 건설 현장에서 조립하는 기술로 "모듈러(Modular)"와 "PC(Precast Concrete)" 공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모듈러 공법은 문, 벽, 창틀 등으로 구성된 단위 모듈을 외부 공장에서 사전 제작해, 건설 현장으로 ?グ餠? 레고 블록처럼 조립하는 스마트 건축 기술이며, PC공법은 기둥, 보, 벽체, 슬라브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공장에서 사전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모듈러와 PC공법은 현장에서 조립만 하면 되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공장에서 제작되는 만큼 인건비가 절감돼 공사비용도 기존 방식보다 줄어든다. 뿐만 아니라 소음이나 분진 등 민원 문제도 해결할 수 있고, 건물을 해체할 때에도 구조체를 재사용할 수 있어 폐기물이 덜 나오며 친환경적이다.
탈현장화(OSC) 기술은 건설기능인력 부족과 청년층의 현장시공 기피 현상으로 인해 미래 건설시장에서 주된 생산방식으로 자리잡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옹벽 시공에는 아직 탈현장화 기술이 적용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캔틸레버 형태로 토압을 부담하는 옹벽에서 적정 전단강도와 휨강도 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벽체가 일체로 거동해야 하지만, 모듈러 공법을 이용하면 각각의 PC콘크리트블록이 일체로 거동하지 못하여 토압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옹벽을 10m 이상 고층으로 설계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기 때문에, 많은 시공현장에서 애로사항이 존재한다.
따라서 PC콘크리트블록 모듈 자체의 전단강도와 휨강도 등을 개선하고 복수의 모듈을 일체형으로 거동시켜 모듈러 공법 시공과/고층 설계가 가능한 옹벽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옹벽은 가이드가 형성된 제1빔; 상기 제1빔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가이드가 형성된 제2빔; 일측이 상기 제1빔의 가이드에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제2빔의 가이드에 끼워져 상호 적층되어 조립되는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일부는 상기 제1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을 관통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2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볼트; 상기 복수의 체결 볼트 중 일부와 연결되어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 볼트 중 일부는 상기 제1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의 연결부분을 관통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2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의 연결부분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각각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후방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연결부; 상기 본체의 하면 전방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연결부; 상기 본체와 상기 제1연결부의 내부에 배근되는 제1수직철근; 상기 본체와 상기 제2연결부의 내부에 배근되는 제2수직철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수직 철근과 상기 제2수직철근을 감도록 배근되는 스트랩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은 하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제1연결부의 전방면과 상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제2연결부의 후방면이 상호 접촉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각각의 제1연결부에는 상기 제1수직철근과 용착되어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각각의 제2연결부에는 상기 제2수직철근과 용착되어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 볼트의 일부는 상기 제1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파이프 하우징을 관통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2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파이프 하우징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옹벽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에 수직철근이 각각 배근되고 각각 배근된 수직철근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마련하고, 한 쌍의 수직철근은 스트랩철근에 의해 감싸지고, 상호 이웃하여 적층 배치된 콘크리트블록끼리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형합되도록 결합되어, 독립적으로 전단/휨강도를 확보한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이 일체로 거동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받는 동시에 모듈러 공법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옹벽은 콘크리트블록의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수직철근과 용착되고 콘크리트블록을 관통하는 파이프 하우징이 배치되고,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연결하는 체결 볼트가 파이프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콘크리트블록 모듈간의 일체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옹벽은 와이어의 장력으로 토압을 일정 부분 상쇄시킴으로써, 시공현장의 설계적 요청(필요성)에 따라 고층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옹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옹벽을 시공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옹벽을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빔 지지대와 와이어 고정대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옹벽의 콘크리트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옹벽의 휀스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옹벽(1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옹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옹벽을 시공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옹벽을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빔 지지대와 와이어 고정대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옹벽의 콘크리트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옹벽의 휀스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옹벽(100)을 설명함에 있어서, 최소 단위의 모듈(한 쌍의 빔으로 구성)만을 설명하나 구성요소의 단순 결합으로 모듈의 사이즈가 확장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며, 본 발명의 옹벽(100)의 권리범위에 모두 포함되는 것 또한 자명하다.
본 발명의 옹벽(100)은 제1빔(10), 제2빔(20),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복수의 체결 볼트(40), 복수의 와이어(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빔(10)과 제2빔(20)은 상호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이 끼워지는 가이드(G)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빔(10)과 제2빔(20)은 "H형빔"으로서, 양측 블레이드의 사이의 한 쌍의 공간 각각에 가이드(G)가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빔(10)과 제2빔(20)은 제1단계에서 시공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제1빔(10)과 제2빔(20)의 사이에는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이 삽입되어 적층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은 제2단계에서 시공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일측이 제1빔(10)의 가이드(G)에 끼워지고 타측이 제2빔(20)의 가이드(G)에 끼워져 상호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조립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은 PC콘크리트블록으로서, 모듈러 공법에 의해 공장에서 제조된 다음, 시공현장에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각각은 본체(31)와, 본체(31)의 상면 후방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연결부(32)와, 본체(31)의 하면 전방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연결부(33)와, 본체(31)와 제1연결부(32)의 내부에 배근되는 제1수직철근(34)과, 본체(31)와 제2연결부(33)의 내부에 배근되는 제2수직철근(35)과, 본체(31)의 내부에 제1수직철근(34)과 제2수직철근(35)을 감도록 배근되는 스트랩철근(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은 하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제1연결부(32)의 전방면과 상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제2연결부(33)의 후방면이 상호 접촉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블록의 제1연결부(32)와 제2연결부(33)는 본체(31)의 무게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인 형태와 배치를 가지며, 이에 따라, 하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제1연결부(32)와 상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제2연결부(33)는 형합(형태적 합치)하며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각각의 제1연결부(32)에는 제1수직철근(34)과 융착되어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하우징(H)이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각각의 제2연결부(33)에는 제2수직철근(35)과 융착되어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하우징(H)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수직철근(34)의 상단부는 파이프 하우징(H)에 감긴 상태로 용착될 수 있고, 제2수직철근(35)의 하단부는 파이프 하우징(H)에 감긴 상태로 융착될 수 있어, 수직철근과 파이프 하우징(H)의 일체성이 증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수직철근(34)과 제2수직철근(35)은 복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수직철근(34)은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열되고, 복수의 제2수직철근(35)은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수직철근(34)에 융착되어 결합되는 파이프 하우징(H)은 2개로 존재하여 하나는 복수의 제1수직철근(34) 중 좌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수직철근에 융착되어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복수의 제1수직철근(34) 중 우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수직철근에 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수직철근(35)에 융착되어 결합되는 파이프 하우징(H)은 2개로 존재하여 하나는 복수의 제2수직철근(35) 중 좌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2수직철근에 융착되어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복수의 제2수직철근(35) 중 우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2수직철근에 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볼트(40)는 일부는 제1빔(10)의 가이드(G)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을 각각 관통할 수 있으며, 나머지 각각은 제2빔(20)의 가이드(G)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을 각각 관통하여, 제1빔(10)과 제2빔(20)과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을 체결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을 체결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체결 볼트(40) 중 일부는 제1빔(10)의 가이드(G)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의 연결부분을 관통하고, 나머지는 제2빔(20)의 가이드(G)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의 연결부분을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체결 볼트(40)의 일부는 제1빔(10)의 가이드(G)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의 제1연결부(32)와 제2연결부(33)의 파이프 하우징(H)을 관통하고, 나머지는 제2빔(20)의 가이드(G)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의 제1연결부(32)와 제2연결부(33)의 파이프 하우징(H)을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각각은 단위 모듈 자체의 전단/휨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제1수직철근(34)과 제2수직철근(35)과 스트랩철근(36)이 배근된 상태에서 양생되어 제작된다. 또한,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은 일방의 제1연결부(32)와 타방의 제2연결부(33)가 형합된 상태로 적층되며, 제1수직철근(34)과 제2수직철근(35)과 용착되어 일체화된 파이프 하우징(H)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은 마치 하나의 블록과 같이 휨강성 캔틸레버로서 거동하여 토압 하중에 대응할 수 있다(구조적 안정성 향상).
복수의 와이어(50)는 제3단계에서 시공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복수의 체결 볼트(40) 중 일부와 연결되어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와이어(50)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와이어는 복수의 체결 볼트(40) 중 제1빔(10)의 가이드(G)를 관통하는 체결 볼트에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와이어는 복수의 체결 볼트(40) 중 제2빔(20)의 가이드(G)를 관통하는 체결 볼트에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연결되는 체결 볼트의 수직 방향 위상(레벨)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장력에 의한 보강이 더 필요한 경우, 복수의 와이어(50)의 개수는 늘어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복수의 와이어(50)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와 제3와이어와 제4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와이어와 제3와이어는 복수의 체결 볼트(40) 중 제1빔(10)의 가이드(G)를 관통하는 상호 다른 체결 볼트에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와이어와 제4와이어는 복수의 체결 볼트(40) 중 제2빔(20)의 가이드(G)를 관통하는 상호 다른 체결 볼트에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연결되는 체결 볼트의 수직 방향 위상(레벨)은 동일하고, 제3와이어와 제4와이어가 연결되는 체결 볼트의 수직 방향 위상(레벨)은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복수의 와이어(50)는 본 발명의 옹벽(100)에 토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여 토압을 일정 부분 상쇄시킴으로써, 고층 설계가 가능토록 한다(일 예로, 높이 15m의 고층 옹벽).
이하, 본 발명의 옹벽(100)에서 추가적인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옹벽(100)은 하단 콘크리트블록(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단 콘크리트블록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블록으로서,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과 마찬가지로 PC 방식으로 제작되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에서 제2연결부(33)가 제거된 형태와 배치(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를 가져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옹벽(100)은 휀스블록(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휀스블록(60)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과 마찬가지로 PC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 중 최상단 콘크리트블록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휀스블록(60)은 상부에 휀스 형태로 개구가 형성된 휀스본체(61)와, 휀스본체(61)의 하면의 전방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3연결부(62)와, 휀스본체(61)의 내부의 후방에 배근되는 제3수직철근(미도시)과, 휀스본체(61)의 내부와 제3연결부(62)에 배근되는 제4수직철근(미도시)과, 휀스본체(61)의 내부에 제3수직철근과 제4수직철근을 감도록 배근되는 스트랩철근(6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휀스블록(60)은 제3연결부(62)의 후방면이 복수?quot; 콘크리트블록(30) 중 최상단 콘크리트블록의 제1연결부(32)의 전방면과 상호 접촉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나아가 휀스블록(60)의 제3연결부(62)에는 제4수직철근과 융착되어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하우징(H)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수직철근의 상단부는 파이프 하우징(H)에 감긴 상태로 융찰될 수 있어, 수직철근과 파이프 하우징(H)의 일체성이 증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3수직철근과 제4수직철근은 복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3수직철근과 복수의 제4수직철근은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4수직철근에 융착되어 결합되는 파이프 하우징(H)은 2개로 존재하여 하나는 복수의 제4수직철근 중 좌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4수직철근에 융착되어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복수의 제4수직철근 중 우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4수직철근에 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단 콘크리트블록과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과 휀스블록(60)에는 각변을 따라 워터드레인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하단 콘크리트블록과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은 휀스블록(60)의 개구와 정렬된 추가적인 워터드레인홀이 중심선 부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빗물이 고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복수의 체결 볼트(40)는 일부 각각은 제1빔(10)의 가이드(G)와 하단 콘크리트블록을 관통하거나 제1빔(10)의 가이드(G)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을 관통하거나 제1빔(10)의 가이드(G)와 휀스블록(60)을 관통할 수 있으며, 나머지 각각은 제2빔(20)의 가이드(G)와 하단 콘크리트블록을 관통하거나 제2빔(20)의 가이드와 복수의 콘크리트블록(30)을 관통하거나 제2빔(20)의 가이드와 휀스블록(60)을 관통함으로써, 각각의 부재간의 연결부위를 좌우 양측에서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제1빔(10)과 제2빔(20)은 각각 빔지주대(11)에 의해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빔지주대(11)는 후방으로 연장된 빔콘크리트블록(12)과 제1빔(10) 또는 제2빔(20)의 하부 플레이트에서 빔콘크리트블록(12)의 내부로 연장되어 삽입된 4개의 앵커볼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4개의 앵커볼트(13)의 하부는 앵커모양으로서 갈고리 모양으로 휘어 빔이 지주재로부터 인발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체결 볼트(40)에는 복수의 와이어(50)와 연결되는 와이어 브라켓(41)이 마련되어 있고, 와이어 브라켓(41)은 "L 형태"로서 일측은 볼트와 너트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고 타측에는 와이어가 앵커링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와이어(50)의 턴버클 브라켓(B)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력이 인가되어 본 발명의 옹벽(100)이 인가되는 토압의 일부를 상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옹벽(1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파이프 하우징(H)의 내면에 코팅마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마찰층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소 사슬이 불소 원자들로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가지며 점성마찰을 위한 점성을 가지며 화학적으로는 안정적인 물질로서 이에 따라, 복수의 체결 볼트(40)는 점성마찰이 인가된 상태로 파이프 하우징(H)에 밀착되기 때문에, 일체적인 거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가이드가 형성된 제1빔;
    상기 제1빔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가이드가 형성된 제2빔;
    일측이 상기 제1빔의 가이드에 끼워지고 타측이 상기 제2빔의 가이드에 끼워져 상호 적층되어 조립되는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일부는 상기 제1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을 관통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2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볼트; 및
    상기 복수의 체결 볼트 중 일부와 연결되어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각각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후방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연결부;
    상기 본체의 하면 전방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연결부;
    상기 본체와 상기 제1연결부의 내부에 배근되는 제1수직철근;
    상기 본체와 상기 제2연결부의 내부에 배근되는 제2수직철근;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수직 철근과 상기 제2수직철근을 감도록 배근되는 스트랩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은 하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제1연결부의 전방면과 상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블록의 제2연결부의 후방면이 상호 접촉하도록 조립되고,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각각의 상기 제1연결부에는 상기 제1수직철근과 용착되어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각각의 상기 제2연결부에는 상기 제2수직철근과 용착되어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 볼트 중 일부는 상기 제1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의 연결부분을 관통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2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중 이웃하는 콘크리트블록의 연결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 볼트의 일부는 상기 제1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의 상기 제1연결부의 파이프 하우징과 상기 제2연결부의 파이프 하우징을 관통하고, 나머지는 상기 제2빔의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의 상기 제1연결부의 파이프 하우징과 상기 제2연결부의 파이프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각각의 상기 제1수직철근의 상단부는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의 상기 제1연결부의 파이프하우징에 감긴 상태로 융착되고,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 각각의 상기 제2수직철근의 하단부는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블록의 상기 제2연결부의 파이프하우징에 감긴 상태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18246A 2022-09-20 2022-09-20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 KR10254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46A KR102548929B1 (ko) 2022-09-20 2022-09-20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46A KR102548929B1 (ko) 2022-09-20 2022-09-20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929B1 true KR102548929B1 (ko) 2023-06-28

Family

ID=8699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246A KR102548929B1 (ko) 2022-09-20 2022-09-20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2030A1 (en) * 2020-03-10 2022-12-29 Yujoo Co., Lt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66Y1 (ko) * 2002-03-23 2002-06-28 구창보강토기술(주) 보강토 옹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KR20040038440A (ko) * 2002-11-01 2004-05-08 이정수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KR20040097801A (ko) * 2003-05-13 2004-11-18 김정민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JP2006241896A (ja) * 2005-03-04 2006-09-14 Sekisui Plastics Co Ltd 軽量盛土構造体
KR20060131194A (ko) * 2005-06-15 2006-12-20 안승한 옹벽의 축조방법
KR20100099430A (ko) * 2009-03-03 2010-09-13 주식회사 세진이엔시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 및 절토지반에서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공법
KR101019265B1 (ko) * 2010-08-19 2011-03-07 (주)부광엔지니어링 도로용 콘크리트 옹벽 블록
KR101213589B1 (ko) * 2012-07-20 2012-12-18 청원엔지니어링(주) 조립식 옹벽 및 그 조립 방법
JP2017218751A (ja) * 2016-06-05 2017-12-14 六郎 海野 コンクリート組立擁壁
KR102116111B1 (ko) * 2019-12-04 2020-05-27 나재술 토류벽의 흙막이용 패널조립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66Y1 (ko) * 2002-03-23 2002-06-28 구창보강토기술(주) 보강토 옹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KR20040038440A (ko) * 2002-11-01 2004-05-08 이정수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KR20040097801A (ko) * 2003-05-13 2004-11-18 김정민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JP2006241896A (ja) * 2005-03-04 2006-09-14 Sekisui Plastics Co Ltd 軽量盛土構造体
KR20060131194A (ko) * 2005-06-15 2006-12-20 안승한 옹벽의 축조방법
KR20100099430A (ko) * 2009-03-03 2010-09-13 주식회사 세진이엔시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 및 절토지반에서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공법
KR101019265B1 (ko) * 2010-08-19 2011-03-07 (주)부광엔지니어링 도로용 콘크리트 옹벽 블록
KR101213589B1 (ko) * 2012-07-20 2012-12-18 청원엔지니어링(주) 조립식 옹벽 및 그 조립 방법
JP2017218751A (ja) * 2016-06-05 2017-12-14 六郎 海野 コンクリート組立擁壁
KR102116111B1 (ko) * 2019-12-04 2020-05-27 나재술 토류벽의 흙막이용 패널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2030A1 (en) * 2020-03-10 2022-12-29 Yujoo Co., Lt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US11933011B2 (en) * 2020-03-10 2024-03-19 Yujoo Co., Lt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40855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KR101346814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UA82533C2 (uk) Будівництво великопролітних будинків із саморозкріпленням зі складених несучих стінових панелей і перекриттів
WO2012096639A1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US20060236627A1 (en) Combination lift and anchor connector for fabricated wall and floor panels
JP5023219B2 (ja) プレキャスト仮設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5367377U (zh) 全装配式风力发电机组基础及风力发电机组
KR102548929B1 (ko)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
CN112443041A (zh) 装配式螺栓连接梁柱节点
CN111424850A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剪力墙及施工方法
CN108999288B (zh) 一种预制装配式梁柱节点
JP6625988B2 (ja) メタログ構造物用の補強材
JP3690437B2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20040079917A (ko) 큰 스판을 위한 그리드형 평편 하면을 갖는 이중 압축응력형 지붕-천장 구조물
CN103967129A (zh) 内置管高强混凝土芯柱的组合柱组合梁框架及其施工方法
WO2007131115A1 (en) Composite structural framing system and method of erection
KR100628537B1 (ko) 내진성능확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벽체시스템
JP2005155137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外フレーム構造及び構築工法
KR101466683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KR102255454B1 (ko)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
WO2004051021A1 (en) Building with wall panels
AU2017377663B2 (en) Support module for a structure
KR0170821B1 (ko) 건축용 구조물
KR20170139873A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CN112746668A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剪力墙结构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