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218B1 - Solid oxide fuel cells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Solid oxide fuel cells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218B1
KR102548218B1 KR1020200179555A KR20200179555A KR102548218B1 KR 102548218 B1 KR102548218 B1 KR 102548218B1 KR 1020200179555 A KR1020200179555 A KR 1020200179555A KR 20200179555 A KR20200179555 A KR 20200179555A KR 102548218 B1 KR102548218 B1 KR 10254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layer
layer
fuel cell
region
solid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9170A (en
Inventor
김영진
김종욱
윤홍노
강민주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218B1/en
Publication of KR2022008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2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97Arrangements for joining electrodes, reservoir layers, heat exchange units or bipolar separators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6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M8/0278O-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M8/028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2Grouping of unit cells of plana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 및 타면을 갖는 전해질층과, 상기 전해질층 일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은 노출되도록 상기 전해질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캐소드 전극과, 상기 전해질층 타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은 노출되도록 상기 전해질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과, 상기 전해질층 일면의 노출된 영역에 접합되며, 상기 캐소드 전극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캐소드 전극을 덮는 제1 분리층, 및 상기 전해질층 타면의 노출된 영역에 접합되며, 상기 애노드 전극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애노드 전극을 덮는 제2 분리층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lyte layer hav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 cathode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such that the outer edge area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is exposed, and the outer edge area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An anode electrod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to be exposed, a first separation layer bonded to the exposed area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spaced apart from the cathode electro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cover the cathode electrode, and exposur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The solid oxide fuel cell may include a second separation layer bonded to the area where the anode is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the anod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cover the anode electrode.

Description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SOLID OXIDE FUEL CELLS AND METHOD OF THE SAME}Solid oxide fuel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SOLID OXIDE FUEL CELL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택한 후에도 교체가 가능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oxide fuel cell and a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id oxide fuel cell that can be replaced even after being stacked, and a manufacturing method.

연료전지는 연료(수소, 천연가스, 메탄올, 가솔린)와 산화제(공기, 산소)의 화학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되어 직류 전류를 생산하는 전지(cell)를 말한다. 연료전지는 수소, 또는 액체 연료(천연 가스, 나프타, 메탄올)를 직접 전기로 전환시키는 에너지 변환 장치로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그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직류 발전 장치로 기존 전지와는 다르게 외부에서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연료전지는 일반적으로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형(AFC, Alkaline Fuel Cell), 인산형(PAFC, Phosporic Acid Fuel Cell), 용융탄산염(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체산화물형(SOFC, Solid Oxide Fuel Cell), 고체고분자형의 연료전지(PEMF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그리고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으로 나뉜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이온전도성 세라믹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이다.A fuel cell refers to a cell that produces direct current by directly converting chemical energy of a fuel (hydrogen, natural gas, methanol, gasoline) and an oxidizer (air, oxygen) into electrical energy. A fuel cell is an energy conversion device that directly converts hydrogen or liquid fuel (natural gas, naphtha, methanol) into electricity. Unlike batteries, they can continuously generate electricity by supplying fuel and air from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lyte, fuel cells are generally alkaline (AFC, Alkaline Fuel Cell), PAFC (Phosporic Acid Fuel Cell), 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SOFC (Solid Oxide) Fuel Cell), PEMF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nd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A solid oxide fuel cell is a fuel cell that uses an ion conductive ceramic as an electrolyte.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SOFC)는 산소 또는 수소 이온전도성을 띄는 고체산화물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이다. 고체 세라믹을 전해질로 700℃ ~ 1000℃의 높은 온도에서 운전되는 연료 전지는 발전 효율이 높고, 전해질 손실이 생기거나 전해질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 문제, 전지가 부식하는 문제가 없다. 또한 고온 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폐열을 이용한 열 복합 발전도 할 수 있다.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는 산소 이온 전도성 전해질과 그 양면에 자리한 공기극과 연료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하학적인 모양에 따라 원통형, 평판형, 일체형 들로 구분될 수 있다. A solid oxide fuel cell (SOFC) is a fuel cell that uses a solid oxide with oxygen or hydrogen ion conductivity as an electrolyte. A fuel cell operating at a high temperature of 700 ° C to 1000 ° C using solid ceramic as an electrolyte has high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there is no problem of electrolyte loss, need to replenish the electrolyte, or battery corrosion. In addition, because it emits high-temperature gas,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using waste heat can be performed. A solid oxide fuel cell consists of an oxygen ion conductive electrolyte and a cathode and an anod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Depending on the geometric shape, it can be divided into cylindrical, flat, and integral types.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단위 전지와 분리판으로 이루어진 전기생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단위 전지는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캐소드(공기극)와 전해질층의 다른 일면에 위치하는 애노드(연료극)을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에 산소를 공급하고 애노드에 수소를 공급하면, 캐소드에서 산소의 환원반응으로 생성된 산소 이온이 전해질층을 지나 애노드로 이동한 후, 애노드에 공급된 수소와 반응하여 물이 생성된다. 이 때, 애노드에서 생성된 전자가 캐소드로 전달되어 소모되는 과정에서 외부 회로로 전자가 흐르며, 단위전지는 이러한 전자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The solid oxide fuel cell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ity generating units including a unit cell and a separator are stacked. The unit cell may include an electrolyte layer, a cathode (air electrod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an anode (fuel electrod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lyte layer. When oxygen is supplied to the cathode and hydrogen is supplied to the anode, oxygen ions generated by a reduction reaction of oxygen at the cathode pass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to the anode and then react with the hydrogen supplied to the anode to produce water. At this time, electrons generated at the anode are transferred to the cathode and in the process of being consumed, the electrons flow to an external circuit, and the unit cell can produce electrical energy by using this flow of electrons.

전해질, 캐소드, 및 애노드로 이루어진 연료전지를 단위전지(cell)라고 하며, 1개의 단위 전지가 생산하는 전기에너지의 양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연료전지를 발전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위전지를 직렬로 연결해 놓은 형태인 적층 구조물(stack)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단위 전지의 캐소드와 애노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을 막기 위해 분리판을 이용할 수 있다. A fuel cell composed of an electrolyte, a cathode, and an anode is called a unit cell. Since th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produced by one unit cell is very limited, in order to use a fuel cell for power generation, the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 phosphorus stack may be manufactured and used. A separator may be used to prevent mixing of fuel and air whi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athode and anode of each unit cell to form a stack.

일반적으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을 제작할 때 분리판을 세라믹 가스켓으로 밀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 방식으로 단위전지를 스택하면 운전중 발견되는 불량 셀에 대해 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단위셀에 문제 발생시 스택 전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시간적 금전적 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In general, when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a method of sealing a separator with a ceramic gasket is common. If unit cells are stacked in this way, it is impossible to replace defective cells found during operation. Therefore, when a problem occurs in one unit cell, a problem in which the entire stack must be discarded occurs, and thus, time and financial damage may be greatly caused.

선행문헌 : 한국 등록특허 10-1289112Prior literatur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89112

도 1은 선행문헌에 기재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구성도이다. 선행문헌에서는, 공기극, 전해질 및 연료극을 포함하는 단위셀이 위치하는 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연료전지용 분리판(100)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단위셀(200)을 포함하는 셀프레임(300)을 수용하는 실사용 영역 및 이 실사용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확장되는 전류자를 수용하는 전류자 수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류자 수용영역에는 전류자를 부착하기 위한 전류자 부착수단(102)이 구비되어 있다. 선행문헌에서는 불량셀이 발생되었을 때 분리판(100) 사이에 전류자(101)를 구비함으로써 불량셀 다음의 단위셀에 직류전류가 지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불량셀의 발생으로 전류가 차단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기존의 모듈을 교체해야하는 등의 추가작업 없이 효율적으로 연료전지를 운전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parator for a solid oxide fuel cell described in prior literature. In the prior literature, in a fuel cell separator 100 provided between cell frames in which unit cells including an air electrode, an electrolyte, and a fuel electrode are located, the separator includes a cell frame 300 including unit cells 200 It includes a practical use area accommodating and an electric current accommodating area accommodating an electric current extending outward from the real usage area, and an ampere attachment means 102 for attaching an electric current element is provided in the electric current accommodating area. . In the prior literature, when a defective cell is generated, the current is provided between the separators 100 so that DC current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unit cell next to the defective cell by providing the current element 101, so that the current is blocked due to the occurrence of a defective cell. It is described that the problem can be solved and the fuel cell can be efficiently operated without additional work such as replacing the existing module.

선행문헌에서는 단위전지 불량시 불량셀의 교체에 대한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하나의 단위전지에 불량이 발생시 스택 전체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Prior literature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replacing a defective cell when a unit cell is defectiv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stack is reduced when a single unit cell is defectiv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교체가능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placeable solid oxide fuel cel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 및 타면을 갖는 전해질층과, 상기 전해질층 일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은 노출되도록 상기 전해질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캐소드 전극과, 상기 전해질층 타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은 노출되도록 상기 전해질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과, 상기 전해질층 일면의 노출된 영역에 접합되며, 상기 캐소드 전극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캐소드 전극을 덮는 제1 분리층, 및 상기 전해질층 타면의 노출된 영역에 접합되며, 상기 애노드 전극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애노드 전극을 덮는 제2 분리층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lyte layer hav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 cathode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such that the outer edge area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is exposed, and the outer edge area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An anode electrod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to be exposed, a first separation layer bonded to the exposed area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spaced apart from the cathode electro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cover the cathode electrode, and exposur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The solid oxide fuel cell may include a second separation layer bonded to the area where the anode is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the anod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cover the anode electrode.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상기 전해질층과 제 1분리층이 접합되는 영역, 및 상기 전해질층과 제2 분리층이 접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금속화(metalizing)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화 영역은, 상기 전해질층에 금속분말이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The solid oxide fuel cell may further include a metalizing region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first separation layer are bonded and a region where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are bonded. The oxidized region may have a form in which metal powder is dispersed in the electrolyte layer.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상기 제1 분리층 및 제2 분리층의 표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구현된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지는 오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olid oxide fuel cell may further include first grooves and second grooves implemented to form a closed loop at a predetermined depth on surfaces of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In addition, the solid oxide fuel cell may further include an O-ring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해질층의 양면에 각각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전해질층 양면의 노출된 영역에 금속화 영역을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을 각각 덮도록 상기 금속화 영역에 제1 분리층 및 제2 분리층을 접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ep of forming a cathode electrode and an anode electrode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layer, a second step of forming a metallization region in the exposed region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cathode electrode and a third step of bonding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to the metallization region so as to cover the anode electrode, respectively.

상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단계 및 제2 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In the solid oxide fuel cell manufacturing method,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본 발명에 따르면, 교체가능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placeable solid oxide fuel cell can be obtained. Accordingly,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solid oxide fuel cell stack may be facilitated.

도 1은, 선행문헌에 기재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분리판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단위셀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eparator for a solid oxide fuel cell described in prior literat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olid oxide fuel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olid oxide fuel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olid oxide fuel cell formed by stacking solid oxide fuel cell unit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id oxide fuel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조도이다.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olid oxide fuel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200)는 전해질층(210), 캐소드 전극(220), 애노드 전극(230), 제1 분리층(240), 및 제2 분리층(25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solid oxide fuel cel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olyte layer 210, a cathode electrode 220, an anode electrode 230, a first separation layer 240, and a second separation layer. (250).

전해질층(210)은 수소 양이온(Proton)을 이동시켜 줄 수 있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10)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의 특성상 전자는 통과하지 못하고 이온 전달은 가능하다.The electrolyte layer 210 may be made of a solid polymer electrolyte capable of transporting protons. The electrolyte layer 210 may include ceramic. Due to the nature of the electrolyte, electrons cannot pass through and ions can pass through.

캐소드 전극(220)은 전해질층(2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220)은 산소와 반응할 수 있는 촉매층이다. 캐소드 전극은 양극으로 공기극이라고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캐소드 전극(220)은 전해질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전해질층의 일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thode electrode 22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10 . The cathode electrode 220 is a catalyst layer capable of reacting with oxygen. The cathode electrode is an anode and is also referred to as an air electrode. In this embodiment, the cathode electrode 2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an outer edge region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formed to be exposed.

애노드 전극(230)은 전해질층(21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230)은 수소와 반응할 수 있는 촉매층이다. 애노드 전극은 음극으로 연료극이라고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애노드 전극(230)은 전해질층의 타면에 형성되며, 전해질층의 타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anode electrode 23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10 . The anode electrode 230 is a catalyst layer capable of reacting with hydrogen. The anode electrode is a cathode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fuel electrode. In this embodiment, the anode electrode 23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an outer edge reg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formed to be exposed.

제1 분리층(240)은 상기 전해질층(210)의 일면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층(240)은 스테인리스 등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분리층(240)은 상기 전해질층(210)의 일면 중 캐소드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외곽 테두리 영역에서 전해질층과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층(240)은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전해질층 일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에서는 전해질층과 접하지만 상기 캐소드 전극(220)과는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분리층(240)과 캐소드 전극(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캐소드 전극(220)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The first separation layer 240 may be formed to cover a cathode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10 . The first separation layer 24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n this case, the first separation layer 240 may be bonded to the electrolyte layer in an outer edge region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10 where the cathode electrode is not formed. The first separation layer 240 may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thode electrode 220 while contacting the electrolyte layer at an outer edge region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In this way, oxygen may be su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220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separation layer 240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

제2 분리층(250)은 상기 전해질층(210)의 타면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리층(250)은 스테인리스 등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분리층(250)은 상기 전해질층(210)의 타면 중 애노드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외곽 테두리 영역에서 전해질층과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리층(250)은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전해질층 타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에서는 전해질층과 접하지만 상기 애노드 전극(230)과는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분리층(250)과 애노드 전극(2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애노드 전극(230)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The second separation layer 250 may be formed to cover the anode electrod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10 . The second separation layer 2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t this time, the second separation layer 250 may be bonded to the electrolyte layer in an outer edge reg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10 where the anode electrode is not forme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250 may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node electrode 230 while contacting the electrolyte layer in an outer edge reg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Oxygen may be su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230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separation layer 250 and the anode electrode 230 in this way.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분리층 및 제2 분리층을 밀폐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 분리층 및 제2 분리층에는 상기 캐소드 및 애노드로 공기나 수소를 공급하고 반응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분리층 및 제2 분리층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캐소드 전극이나 애노드 전극을 덮는 가스확산층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are shown in a closed form, air or hydrogen is supplied to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through the cathode and anode, and water generated by the reaction is removed. A flow path capable of discharging may be form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are shown, but a gas diffusion layer covering the cathode electrode or the anode electrod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200)의 산소 이온 전도성을 갖는 전해질층(210)과 그 양면에 위치한 캐소드전극(220) 및 애노드 전극(230)으로 이루어져있는 단위전지의 각 전극에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면, 공기극(220)에서는 산소의 환원 반응이 일어나 산소이온이 생성되며, 전해질층(210)을 통해 연료극(230)으로 이동한 산소 이온은 다시 연료극에 공급된 수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연료극에서는 전자가 생성되고 공기극에서는 전자가 소모되므로 두 전극을 서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게 된다. In the solid oxide fuel cel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electrode of the unit cell composed of the electrolyte layer 210 having oxygen ion conductivity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the anode electrode 23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layer 210 has air and When fuel is supplied, an oxygen reduction reaction occurs in the cathode 220 to generate oxygen ions, and the oxygen ions that have moved to the anode 230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10 react with hydrogen supplied to the anode again to produce water. will create At this time, since electrons are generated at the fuel electrode and consumed at the air electrode, electricity flows when the two electro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질층(210), 공기극(220) 및 연료극(230)으로 이루어진 연료전지를 단위 전지(cell)라고 하며, 1개의 단위 전지가 생산하는 전기에너지의 양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연료전지를 발전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위 전지를 직렬로 연결해 놓은 형태인 적층 구조물(stack)을 제작하게 된다.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서 각각의 단위 전지의 공기극과 연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을 막기 위해 분리층(240, 250)이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uel cell composed of an electrolyte layer 210, an air electrode 220, and an anode 230 is referred to as a unit cell, and th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produced by one unit cell is very limited. Therefore, in order to use fuel cells for power generation, a stack, which is a form in which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is manufactured. Separation layers 240 and 250 may be used to prevent mixing of fuel and air whi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ir electrode and the fuel electrode of each unit cell to form a stack.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서는, 상기 제1 분리층(240) 및 제2 분리층(250)의 표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구현된 제1 홈부(280) 및 제2 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280) 및 제2 홈부에는 오링(201)이 끼워질 수 있다. In the solid oxide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groove part 280 and the second groove part 280 implemented to form a closed loop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separation layer 240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250. A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An O-ring 201 may be fitted into the first groove portion 280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본 실시형태에 도시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200)는 단위셀로서, 실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이루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단위셀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시 개스킷을 분리판에 부착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각 유닛셀을 분리하는 동시에 분리판의 수소, 냉각수, 공기 유로를 밀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기존의 금속 분리판의 경우 높은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으므로 금형에 분리판을 넣고 그 모서리를 따라 개스킷을 사출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바, 이 경우 제작시간 단축 및 재료절감의 측면에서 장점은 있지만, 개스킷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분리판에 일체로 사출하는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공수 증가 및 제작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위셀을 스택시 각 단위셀의 분리층 사이에 오링(201)을 끼움으로서 분리층에서의 수소, 냉각수, 공기 유로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오링을 사용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The solid oxide fuel cell 200 shown in this embodiment is a unit cell, and several unit cells may be stacked and used to form an actual solid oxide fuel cell. During such a fuel cell stack, a gasket may be attached to the separator to separate unit cells of the fuel cell stack and at the same time to seal hydrogen, cooling water, and air passages of the separato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metal separator plate, since it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s, a method of inserting the separator plate into a mold and injecting a gasket along the edge thereof is used. In this case, there are advantages in terms of reducing manufacturing time and material saving, but using a gasket As a process of integrally injecting into the separator without separate use is add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man-hours and manufacturing costs increase. In this embodiment, when unit cells are stacked, O-rings 201 are inserted between the separation layers of each unit cell, thereby sealing hydrogen, cooling water, and air passages in the separation layer.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by using a separate O-rin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조도이다.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olid oxide fuel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300)는 전해질층(310), 캐소드 전극(320), 애노드 전극(330), 제1 분리층(340), 및 제2 분리층(35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solid oxide fuel cel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olyte layer 310, a cathode electrode 320, an anode electrode 330, a first separation layer 340, and a second separation layer. (350).

전해질층(310)은 수소 양이온(Proton)을 이동시켜 줄 수 있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310)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의 특성상 전자는 통과하지 못하고 이온 전달은 가능하다.The electrolyte layer 310 may be formed of a solid polymer electrolyte capable of transporting protons. The electrolyte layer 310 may include ceramic. Due to the nature of the electrolyte, electrons cannot pass through and ions can pass through.

캐소드 전극(320)은 전해질층(3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320)은 산소와 반응할 수 있는 촉매층이다. 캐소드 전극은 양극으로 공기극이라고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캐소드 전극(320)은 전해질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전해질층의 일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thode electrode 32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310 . The cathode electrode 320 is a catalyst layer capable of reacting with oxygen. The cathode electrode is an anode and is also referred to as an air electrode. In this embodiment, the cathode electrode 32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an outer edge region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exposed.

애노드 전극(330)은 전해질층(31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30)은 수소와 반응할 수 있는 촉매층이다. 애노드 전극은 음극으로 연료극이라고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애노드 전극(330)은 각각 전해질층의 타면에 형성되며, 전해질층의 타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anode electrode 33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310 . The anode electrode 330 is a catalyst layer capable of reacting with hydrogen. The anode electrode is a cathode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fuel electrode.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anode electrodes 33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an outer edge reg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formed to be exposed.

제1 분리층(340)은 상기 전해질층(310)의 일면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층(340)은 스테인리스 등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분리층(340)은 상기 전해질층(310)의 일면 중 캐소드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외곽 테두리 영역에서 전해질층과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층(340)은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전해질층 일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에서는 전해질층과 접하지만 상기 캐소드 전극(320)과는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분리층(340)과 캐소드 전극(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캐소드 전극(320)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The first separation layer 340 may be formed to cover a cathode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310 . The first separation layer 34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n this case, the first separation layer 340 may be bonded to the electrolyte layer in an outer edge region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310 where the cathode electrode is not formed. The first separation layer 340 may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thode electrode 320 while contacting the electrolyte layer at an outer edge region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In this way, oxygen may be su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320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separation layer 340 and the cathode electrode 320 .

제2 분리층(350)은 상기 전해질층(310)의 타면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리층(350)은 스테인리스 등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분리층(350)은 상기 전해질층(310)의 타면 중 애노드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외곽 테두리 영역에서 전해질층과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리층(350)은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전해질층 타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에서는 전해질층과 접하지만 상기 애노드 전극(330)과는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분리층(350)과 애노드 전극(3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애노드 전극(330)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The second separation layer 350 may be formed to cover the anode electrod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310 . The second separation layer 3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n this case, the second separation layer 350 may be bonded to the electrolyte layer in an outer edge reg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310 where the anode electrode is not forme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350 may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node electrode 330 while contacting the electrolyte layer in an outer edge reg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Oxygen may be su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330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separation layer 350 and the anode electrode 330 in this way.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분리층 및 제2 분리층을 밀폐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 분리층 및 제2 분리층에는 상기 캐소드 및 애노드로 공기나 수소를 공급하고 반응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분리층 및 제2 분리층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캐소드 전극이나 애노드 전극을 덮는 가스확산층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are shown in a closed form, air or hydrogen is supplied to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through the cathode and anode, and water generated by the reaction is removed. A flow path capable of discharging may be form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are shown, but a gas diffusion layer covering the cathode electrode or the anode electrod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300)는, 상기 제1 분리층(340)과 전해질층(310)이 접합되는 영역 및 제2 분리층(350)과 전해질층(310)이 접합되는 영역에 금속화 영역(360, 3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310)은 세라믹 재료로 형성되고, 제1 분리층 및 제2 분리층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물성 및 결정구조를 갖는 재질을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전해질층(310)의 접합되는 영역을 금속화(metalizing)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세라믹과 비금속 재료 표면을 금속화하는 것을 메탈라이징(metalizing)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화 영역(360, 370)에 금속 분말이 분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세라믹 재질의 전해질층의 일부 영역에 금속 분말이 분산되도록 하는 공정은 세라믹 메탈 블레이징 기법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라믹의 표면에 티타늄 기반의 금속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고온 진공하에서 처리하여 티타늄이 세라믹에 확산 또는 세라믹과 반응하여 세라믹의 표면에 금속층을 형성시켜 메탈라이징 할 수 있다. 이렇게 메탈라이징 후에 도금 처리를 실시, 브레이징 에 의해 금속과 접합 시킬 수 있다.In the solid oxide fuel cel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ea where the first separation layer 340 and the electrolyte layer 310 are bonded and the area where the second separation layer 350 and the electrolyte layer 310 are bonded Metallization regions 360 and 370 may be formed in the metallization region. The electrolyte layer 310 may be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and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may be formed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In order to bond material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and crystal structures, it is preferable to metalize the bonding area of the electrolyte layer 310 . In general, metallizing the surfaces of ceramic and non-metallic materials is called metalizing. In this embodiment, the metal powder may be dispersed in the metallization regions 360 and 370 . As such, the process of dispersing the metal powder in a partial region of the ceramic electrolyte layer may be performed by a ceramic metal brazing technique. For example, a titanium-based metal past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eramic and processed under a high-temperature vacuum so that titanium diffuses into or reacts with the ceramic to form a metal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to perform metallization. In this way, plating treatment is performed after metallization, and bonding with metal can be performed by brazing.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300)의 산소 이온 전도성을 갖는 전해질층(310)과 그 양면에 위치한 캐소드전극(320) 및 애노드 전극(330)으로 이루어져있는 단위전지의 각 전극에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면, 공기극(320)에서는 산소의 환원 반응이 일어나 산소이온이 생성되며, 전해질층(310)을 통해 연료극(330)으로 이동한 산소 이온은 다시 연료극에 공급된 수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연료극에서는 전자가 생성되고 공기극에서는 전자가 소모되므로 두 전극을 서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게 된다. In the solid oxide fuel cel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electrode of the unit cell composed of the electrolyte layer 310 having oxygen ion conductivity and the cathode electrode 320 and the anode electrode 33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layer has air and When fuel is supplied, an oxygen reduction reaction occurs in the cathode 320 to generate oxygen ions, and the oxygen ions that have moved to the anode 330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310 react with hydrogen supplied to the anode again to produce water. will create At this time, since electrons are generated at the fuel electrode and consumed at the air electrode, electricity flows when the two electro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질층(310), 공기극(320) 및 연료극(330)으로 이루어진 연료전지를 단위 전지(cell)라고 하며, 1개의 단위 전지가 생산하는 전기에너지의 양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연료전지를 발전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위 전지를 직렬로 연결해 놓은 형태인 적층 구조물(stack)을 제작하게 된다.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서 각각의 단위 전지의 공기극과 연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을 막기 위해 분리층(340, 350)이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uel cell composed of an electrolyte layer 310, an air electrode 320, and an anode 330 is referred to as a unit cell, and th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produced by one unit cell is very limited. Therefore, in order to use fuel cells for power generation, a stack, which is a form in which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is manufactured. Separation layers 340 and 350 may be used to prevent mixing of fuel and air whi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ir electrode and fuel electrode of each unit cell to form a stack.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서는, 상기 제1 분리층(340) 및 제2 분리층(350)의 표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구현된 제1 홈부(380) 및 제2 홈부(39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380) 및 제2 홈부(390)에는 오링이 끼워질 수 있다. In the solid oxide fuel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groove part 380 and the second groove part 380 implemented to form a closed loop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separation layer 340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350. A groove 390 may be formed. O-rings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part 380 and the second groove part 390 .

본 실시형태에 도시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300)는 단위셀로서, 실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 이루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단위셀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시 개스킷을 분리판에 부착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각 유닛셀을 분리하는 동시에 분리판의 수소, 냉각수, 공기 유로를 밀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기존의 금속 분리판의 경우 높은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으므로 금형에 분리판을 넣고 그 모서리를 따라 개스킷을 사출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바, 이 경우 제작시간 단축 및 재료절감의 측면에서 장점은 있지만, 개스킷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분리판에 일체로 사출하는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공수 증가 및 제작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위셀을 스택시 각 단위셀의 분리층 사이에 오링을 끼움으로서 분리층에서의 수소, 냉각수, 공기 유로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오링을 사용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The solid oxide fuel cell 300 shown in this embodiment is a unit cell, and several unit cells may be stacked and used to form an actual solid oxide fuel cell. During such a fuel cell stack, a gasket may be attached to the separator to separate unit cells of the fuel cell stack and at the same time to seal hydrogen, cooling water, and air passages of the separato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metal separator plate, since it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s, a method of inserting the separator plate into a mold and injecting a gasket along the edge thereof is used. In this case, there are advantages in terms of reducing manufacturing time and material saving, but using a gasket As a process of integrally injecting into the separator without separate use is add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man-hours and manufacturing costs increas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unit cells are stacked, O-rings are inserted between the separation layers of each unit cell, thereby sealing hydrogen, cooling water, and air passages in the separation layer.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by using a separate O-r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단위셀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조도이다.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olid oxide fuel cell formed by stacking solid oxide fuel cell unit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400)는, 전해질층, 공기극, 및 연료극을 포함하는 단위 전지(cell)(10, 20, 30, 40, 50, 60)를 복수개 적층하고, 단위 전지를 직렬로 연결해 놓은 형태인 적층 구조물(stack)로 제작될 수 있다.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서 각각의 단위 전지의 공기극과 연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을 막기 위해 분리층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solid oxide fuel cel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unit cells 10, 20, 30, 40, 50, and 60 including an electrolyte layer, an air electrode, and a fuel electrode are stacked, and the unit cells are It may be manufactured as a stacked structure connected in series. A separation layer may be used to prevent mixing of fuel and air whi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ir electrode and the fuel electrode of each unit cell to form a stack.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400)에서 단위 전지((10, 20, 30, 40, 50, 60)는 각각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분리층의 표면에 소정의 깊이로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홈부가 구현되고, 상기 홈부에 오링(11)이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위셀을 스택시 각 단위셀의 분리층 사이에 오링을 끼움으로서 분리층에서의 수소, 냉각수, 및 공기 유로를 밀폐할 수 있다. In the solid oxide fuel cel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cells (10, 20, 30, 40, 50, 60) form a closed loop with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eparation layers, respectively. Grooves are implemented, and O-rings 11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s.In this embodiment, when unit cells are stacked, O-rings are inserted between the separation layers of each unit cell, so that hydrogen, cooling water, and air passages in the separation layers can be seal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olid oxide fuel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는 전해질층(510)의 양면에 각각 캐소드 전극(520) 및 애노드 전극(530)을 형성하여 단위전지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해질층(510)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해질로서 이트리아 안정화된 지르코니아(Yttria Stabilized Zirconia, YSZ)가 사용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520)인 공기극으로는 스트론튬이 도핑된 란탄 망가나이트(Lanthanum Strontium Manganite, LSM)(La0.8Sr0.2MnO3)가 사용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530)인 연료극으로는 니켈 옥사이드(Nickel Oxide,NiO)와 YSZ가 혼합된 서메트(cermet)(NiO/YSZ)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YSZ 전해질은 약 1.0㎛ 이상의 입경을 갖고, 약 4~8㎠/g의 표면적을 갖는 상용화된 CeScSZ 파우더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나 플라즈마 스프레이 등과 같은 고가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5(a) is a step of forming a unit cell by forming a cathode electrode 520 and an anode electrode 530 on both sides of an electrolyte layer 510, respectively. The electrolyte layer 510 may include a ceramic, and Yttria Stabilized Zirconia (YSZ) may be used as an electrolyte. Lanthanum strontium manganite (LSM) (La0.8Sr0.2MnO3) doped with strontium may be used as the air electrode that is the cathode electrode 520 . A cermet (NiO/YSZ) in which nickel oxide (NiO) and YSZ are mixed may be used as the anode electrode 530, the fuel electrode. Here, the YSZ electrolyte is prepar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CeScSZ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about 1.0 μm or more and a surface area of about 4 to 8 cm 2 /g, and expensive manufacturing equipment such as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or plasma spray is used. can be manufactured using

상기 단위전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애노드 전극(530)과 전해질층(510), 및 캐소드 전극(520)을 각각 소성하거나, 지지체가 되는 전해질층(510)을 미리 소성한 후 전해질층의 일면에는 음극재료를 코팅하고, 다른쪽 면에는 양극재료를 코팅하여 열처리 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unit cell, after firing the anode electrode 530, the electrolyte layer 510, and the cathode electrode 520, or firing the electrolyte layer 510 serving as a support in advance, one side of the electrolyte layer is It can be manufactured by coating the cathode material and coating the other side with the cathode material and heat-treating it.

도 5의 (b)는 생성된 단위전지에 분리층을 접합하기 위한 금속화 영역(560, 570)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해질층(510)의 양면에서 캐소드 전극이나 애노드 전극이 형성되지 않고 전해질층이 노출된 외곽 테두리 영역에 금속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금속화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은, 전해질층인 세라믹의 표면에 금속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고온 진공하에서 처리하여 금속분말이 세라믹에 확산 또는 세라믹과 반응하여 세라믹의 표면에 금속분말이 분산된 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b) of FIG. 5 is a step of creating metallization regions 560 and 570 for bonding the separation layer to the unit cel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thode electrode or the anode electrode is no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layer 510, and a metallization region may be formed in an outer edge region where the electrolyte layer is exposed. The method of forming the metallization region is to apply a metal paste to the surface of a ceramic, which is an electrolyte layer, and process it under a high-temperature vacuum so that the metal powder diffuses into or reacts with the ceramic to form a layer in which the metal powder is dispers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can make it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금속화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은 활성금속 브레이징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세라믹 부재인 전해질층(510)에 대해서 활성원소를 브레이징재 중에 첨가시켜 그 브레이징재를 진공 중에서 가열함으로써 세라믹부재 표면에 반응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징재의 젖음성과 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라믹스로서의 질화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응층의 세라믹부재측 제 1층에 TiN가 생성되고, 탄화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TiC, 산화물로는 TiO가 형성될 수 있다. 활성금속 브레이징에 사용되고 있는 브레이징합금은 Ag-Cu-Ti계, Cu-Ti계, Co-Ti계, Al-Ti계, Cu-Zr계, Zr-Ni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온용 브레이징 합금으로 연구되고 있는 Ni-Cr, Pt, Pd, Au 및 Cu계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n active metal brazing technique may be used as a method of forming the metallization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the electrolyte layer 510, which is a ceramic member, an active element may be added to a brazing material and the brazing material may be heated in a vacuum to form a reaction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member. Thereby, improvement of the wettability and adhesiveness of a brazing material can be aimed at. For example, when nitride is used as ceramics, TiN is generated in the first layer on the ceramic member side of the reaction layer, and when carbide is used, TiC and TiO can be formed as oxides. Ag-Cu-Ti-based, Cu-Ti-based, Co-Ti-based, Al-Ti-based, Cu-Zr-based, and Zr-Ni-based brazing alloys used for active metal brazing may be used. In addition, Ni-Cr, Pt, Pd, Au, and Cu-based alloys, which are being studied as high-temperature brazing alloys, may be used.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의 (a)단계 이후에 도 5의 (b) 단계를 진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도 5의 (a) 단계 및 도 5의 (b) 단계는 같은 소성공정에 의해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a) 단계 중에 도 5의 (b)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전해질층(510)에 캐소드 전극(520) 및 애노드 전극(530)을 도포하기 전에 미리 금속화 영역(560, 570)을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step (b) of FIG. 5 is performed after step (a) of FIG. 5, but steps (a) and (b) of FIG. 5 are performed by the same firing process. may proceed. Also, step (b) of FIG. 5 may be performed during step (a) of FIG. 5 . That is, the metallization regions 560 and 570 may be formed in advance before coating the cathode electrode 520 and the anode electrode 530 on the electrolyte layer 510 .

도 5의 (c)는 분리층(540, 5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리층(540, 550)은 상기 전해질층(51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층(540, 550)은 스테인리스 등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리층(540, 550)은 상기 전해질층(510)의 외곽 테두리 영역에 형성된 금속화 영역(560, 570)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분리층(540, 550)은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구성하여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과는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층(540, 550)과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산소 및 수소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리층을 밀폐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분리층에는 상기 캐소드 및 애노드로 공기나 수소를 공급하고 반응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리층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캐소드 전극이나 애노드 전극을 덮는 가스확산층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5(c) is a step of forming separation layers 540 and 550. The separation layers 540 and 550 may be formed to cover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anode electrod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layer 510 . The separation layers 540 and 5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n this case, the separation layers 540 and 550 may be bonded to the metallization regions 560 and 570 formed in the outer edge region of the electrolyte layer 510 . The separation layers 540 and 55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anode electrode. Oxygen and hydrogen may be supplied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eparation layers 540 and 550 and the cathode and anode electrodes.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on layer is shown in a closed form, but a flow path capable of supplying air or hydrogen to the cathode and anode and discharging water generated by the reaction may be formed in the separation layer. 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separation layer i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gas diffusion layer covering the cathode electrode or the anode electrod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해질층(510)과 분리층(540, 550)이 서로 다른 결정구조에 의해 접합이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금속화 영역(560, 570)을 추가함으로서 분리층을 직접 전해질층에 접합할수 있도록 하였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improve the difficulty in bonding between the electrolyte layer 510 and the separation layers 540 and 550 due to different crystal structures, metallization regions 560 and 570 are added to form the separation layer directly into the electrolyte layer. made it possible to connect to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해질층이나 캐소드전극, 애노드 전극의 재질, 분리층의 원료, 제조공정등의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changed.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layer, the cathode electrode, the anode electrode, the material of the separation layer, the modified implementation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etc.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 전해질층 220 : 캐소드 전극
230 : 애노드 전극 240 : 제1 분리층
250 : 제2 분리층
210: electrolyte layer 220: cathode electrode
230: anode electrode 240: first separation layer
250: second separation layer

Claims (7)

일면 및 타면을 갖는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일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은 노출되도록 상기 전해질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캐소드 전극;
상기 전해질층 타면의 외곽 테두리 영역은 노출되도록 상기 전해질층의 타면에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
외곽 테두리 영역은 상기 전해질층 일면의 노출된 영역에 접합되며, 가운데 영역은 상기 캐소드 전극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캐소드 전극을 덮도록 외곽 테두리 영역과 가운데 영역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제1 분리층;
외곽 테두리 영역은 상기 전해질층 타면의 노출된 영역에 접합되며, 가운데 영역은 상기 애노드 전극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애노드 전극을 덮도록 외곽 테두리 영역과 가운데 영역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제2 분리층; 및
상기 전해질층과 제 1분리층이 접합되는 영역, 및 상기 전해질층과 제2 분리층이 접합되는 영역에서 상기 전해질층에 금속분말이 분산된 형태로 형성되는 금속화(metalizing)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An electrolyte layer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 cathode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such that an outer edge region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is exposed;
an anode electrod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so that an outer edge reg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is exposed;
An outer rim region is bonded to an exposed region of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a middle region is spaced apart from the cathod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outer rim region and the central region have different heights to cover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 outer rim region is bonded to an exposed reg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and a middle region is spaced apart from the anode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outer rim region and the middle region have different heights so as to cover the second separation layer; and
A metalizing region in which metal powder is dispersed in the electrolyte layer in a region where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first separation layer are joined, and a region where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are joined
A solid oxide fuel cell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층 및 제2 분리층의 표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구현된 제1 홈부 및 제2 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According to claim 1,
First grooves and second grooves implemented to form a closed loop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separation layer and the second separation layer
A solid oxide fuel cell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지는 오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According to claim 4,
O-ring fit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A solid oxide fuel cell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79555A 2020-12-21 2020-12-21 Solid oxide fuel cells and method of the same KR102548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55A KR102548218B1 (en) 2020-12-21 2020-12-21 Solid oxide fuel cells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55A KR102548218B1 (en) 2020-12-21 2020-12-21 Solid oxide fuel cells and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170A KR20220089170A (en) 2022-06-28
KR102548218B1 true KR102548218B1 (en) 2023-06-28

Family

ID=8226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555A KR102548218B1 (en) 2020-12-21 2020-12-21 Solid oxide fuel cells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21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727A (en) * 2004-12-24 2006-08-03 Ngk Spark Plug Co Ltd Solid electrolyte fuel cell
JP2008010191A (en) * 2006-06-27 2008-01-17 Japan Fine Ceramics Center Sealing material and solid oxide fuel cell using sealing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5009B (en) * 2016-08-11 2022-10-25 新兴电力公司 Planar solid oxide fuel cell and st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727A (en) * 2004-12-24 2006-08-03 Ngk Spark Plug Co Ltd Solid electrolyte fuel cell
JP2008010191A (en) * 2006-06-27 2008-01-17 Japan Fine Ceramics Center Sealing material and solid oxide fuel cell using sealing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170A (en)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434B1 (en) Gas distribution element for a fuel cell
CN108352542B (en) Interconnector-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complex,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and method for producing interconnector-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complex
US20040247980A1 (en) Structurally yieldable fuel cell seal
KR20130137795A (en) Current collector for fuel cell and stack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JP6667279B2 (en)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and electrochemical reaction module
US7160642B2 (en) Fuel cell stack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on
RU2417488C1 (en) Planar element of electrochemical devices, battery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2548218B1 (en) Solid oxide fuel cells and method of the same
JP7194242B1 (en)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KR102055950B1 (en) Stack structure for fuel cell
JP2017010682A (en) Interconnector fuel battery single cell composite body and fuel battery stack
JP7194155B2 (en)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US11233250B2 (en) Electrochemical reaction unit including cathode-side frame configured to improve spreading of oxidant gas and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JP7317082B2 (en) Electrochemical reaction single cell with separator and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JP2018185957A (en) Electrochemical reaction unit and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JP7149221B2 (en)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KR101220740B1 (en) Solid oxide fuel cell separator comprising collector formed chan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579319B1 (en) Electrochemical reaction unit and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JP2023074566A (en) Electrochemical reaction unit and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JP2024056240A (en)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JP2023119145A (en) Collector-electrochemical reaction single cell composite and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JP4228895B2 (en) Solid oxide fuel cell
JP2023119076A (en) Composite body
JP2023080457A (en) Electrochemical reaction unit and electrochemical reaction cell stack
JP202400710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rea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