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046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046B1
KR102548046B1 KR1020180133286A KR20180133286A KR102548046B1 KR 102548046 B1 KR102548046 B1 KR 102548046B1 KR 1020180133286 A KR1020180133286 A KR 1020180133286A KR 20180133286 A KR20180133286 A KR 20180133286A KR 102548046 B1 KR102548046 B1 KR 102548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device
spring
roll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561A (ko
Inventor
강승규
조현철
최우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046B1/ko
Priority to PCT/KR2019/005343 priority patent/WO2020091167A1/ko
Priority to US16/964,173 priority patent/US11334111B2/en
Publication of KR2020005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부; 바닥에 안착되며 내부에 배터리가 실장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스탠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결합하고 상기 스탠드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슬라이드 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디스플레이의 출력 영역을 극대화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는 최소 화 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과거의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 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 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사이즈도 다양해지고 종래의 평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벗어나 곡면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거나 거치대 위에 올려놓는 타입에서 벗어나 벽에 거치하는 벽걸이 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정형으로 설치하고 있어 시청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형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이동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부; 바닥에 안착되며 내부에 배터리가 실장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스탠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결합하고 상기 스탠드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슬라이드 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탠드는, 롤 형태로 감긴 금속 테이프를 포함하고,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결합된 롤스프링; 및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롤스프링 거치되는 스프링 안착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풀리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감기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롤스프링은 소정 길이 이상 늘어나면 동일한 탄성력을 가지는 정하중 스프링이고, 상기 롤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무게의 합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롤스프링의 탄성력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무게의 합의 차이는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상기 스탠드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롤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안착부 사이의 마찰력의 합에 상응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 하나당 상하 방향으로 한 쌍씩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드 바가 안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바의 형상에 상응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스프링은 복수개가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안착부는 상기 복수개의 롤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이동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방향이 더 넓고, 배면 방향이 더 좁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상응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하부와 전면이 개방되고 상부와 좌우측면 및 배면을 둘러 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제 1 단자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은 지지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 내부의 탄성부에 연결된 고정볼; 및 상기 스테이션의 상기 고정볼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할 수 다.
상기 고정볼과 상기 고정홈은 복수 개가 좌우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은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어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감상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거실에서 쇼파에 앉아서 감상하거나, 침실의 침대에 누워서 감상하는 경우나 주방에서 요리를 하는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조정 가능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이동 보조 바퀴가 있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라이드 브라켓과 높이 조정부의 결합 상태를 일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슬라이드 브라켓과 높이 조정부의 결합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롤스프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롤스프링이 인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롤스프링의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테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테이션과 지지부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은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 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 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 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 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 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 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 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 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헤드부 (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 (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 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하는 스탠드(150)와 바닥에 거치하기 위한 지지부(170)를 포함하는 이동부(100)와, 고정형인 스테이션(1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부(100)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고자 하는 곳으로 이동 가능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부(110)로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가 거실에서 영상을 감상하고 싶을 때는 거실로 이동 시키고 부엌에서 이용하고자 할 때는 부엌으로 침실에서 감상하고자 할 때는 침실로 이동 할 수 있다.
이동부(100)는 별도의 전원 선이 없이 자체 배터리(175, 도 8참고)를 구비하고 있어 전원 연결 없이 일정 시간 이상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대신에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이동부(100)에 위치하는 배터리(175)를 충전하기 위해 스테이션(18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쇼파에 앉아서 보는 상황, 설거지를 하면서 서서 보는 상황 그리고 침대에 누워서 보는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높이가 달라져야 편한 상태로 시청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10)는 스탠드(15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이나 둘레를 커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보호하기 위한 지지구조(105)과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 제공되어 영상이 출력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영상이 출력되는 활성화 영역과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비활성 영역은 활성영역의 둘레에 위치하여 케이스 등을 이용하여 커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패널의 경우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없이 얇게 구현이 가능하고 베젤을 거의 0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어, 전면 둘레를 커버하는 구조를 생략하고 배면 지지구조만을 가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지지구조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에서 발생하는 열 이외에 지지구조의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02)에서 발생하는 열이 쉽게 방출될 수 있도록 방열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강성을 위해 지지구조는 금속소재를 포함하거나 비드를 형성하고 보강 브라켓(102)을 덧대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강성을 제고한다. 비드는 보강부재의 추가 없이 금속소재의 지지구조(105)에 프레스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요철을 의미한다. 구동부(102)가 실장되는 위치는 구동부(102)의 열이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전달되지 않도록 설치 프레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탠드(150)와 지지부(17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바닥에 세우기 위한 구조로 스탠드(150)는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바닥면이 넓고, 스탠드(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감상하기 적당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스탠드(150)의 하부는 지지부(170)와 결합하고 상부는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지지부(170)에 고정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슬라이드 브라켓(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스크류(146)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고정하고, 상기 스탠드(15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배면의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영역 및 상기 스탠드(150)와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결합부를 커버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백커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이동형이기 때문에 배면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바, 통상의 고정형 디스플레이부(110)와 달리 배면에 지저분한 단자나 부품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어 스탠드(150)를 통해 지지부(170)와 연결할 수 있다.
스탠드(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면에서 보이는 하부 스탠드(151)는 백커버(160)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외관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위치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있고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양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바(152)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152)를 따라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바(152)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좌우 양측에서 슬라이드 브라켓(14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제품 전체 무게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이해 모터와 같은 전자동 구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전자동 구동장치는 부품이 차지하는 부피와 무게 및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상하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이동 시키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위해 큰 부피의 부품을 넣는 것은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어 수동을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를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무게에 상응하는 힘으로 밀어 올려야 하고 반대로 하측으로 내릴 때 디스플레이부(110)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무게를 지지하는 탄성부로서 롤스프링(155)을 구비할 수 있다.
스탠드(150)의 상단에는 롤스프링(155)이 위치한다. 롤스프링(155)은 테이프 형상의 금속판을 일정한 곡률로 휘어서 롤형태로 말아놓은 판 스프링의 일종으로 롤 형태로 다시 말리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일측을 당기면 감김수가 줄어들며 풀리고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 모양으로 돌아온다. 롤스프링(155)의 단부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에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상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스탠드(150)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결합 상태를 일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높이 조정부의 결합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고정되는 부분과 상기 스탠드(150)의 롤스프링(155)과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롤스프링(155)과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배면에 결합하는 수평빔(142a) 하나만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흔들림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하로 나란해 배치된 한 쌍으로 수평빔(142a, 142b)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빔(142)과 상기 수평빔(142)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빔(1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수평빔(142)과 각 슬라이드 바(152)가 교차하는 위치에 부드럽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롤러(14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2개의 가이드 롤러(145)가 좌우로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빔(142)에 결합하면, 한 쌍의 수평빔(142)에 결합한 4개의 가이드 롤러(145)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5)는 슬라이드 바(15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56)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롤러(145)가 동일한 가이드 레일(15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바깥쪽을 향하도록 슬라이드 바(152)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145)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는 슬라이드 바(152)의 이격 거리보다 더 넓다. 즉,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가로방향의 너비는 슬라이드 바(152)의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바깥쪽을 향하지 않고, 내측을 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가이드 롤러(145)는 한 쌍의 슬라이드 바(1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152)의 간격보다 더 큰 슬라이드 브라켓(140)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디스플레이부(110) 사이에 슬라이드 바(152)를 위치시켜 슬라이드 브라켓(140)가 슬라이드 바(152)로부터 이탈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바(152)와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뒤틀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슬라이드 바(152)에 상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드 홈(14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스프링(155)의 단부는 한 쌍의 수평빔(142)과 결합한 베이스 플레이트(141)에 결합할 수 있다. 양측의 수직빔(143)만으로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모서리 부분의 각도가 직각이 유지되지 않고 수평빔(142)이 비스듬하게 변형될 수 있어 베이스 플레이트(141)가 한 쌍의 수평빔(142)이 뒤틀리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롤스프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롤스프링(155)과 선스프링의 하중과 스트로크(늘어나는 길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통상적인 용수철 형상의 선스프링은 한계까지는 당기는 힘에 비례하여 길이가 늘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롤스프링(155)은 정하중 스프링(constant spring)으로 직선으로 잡아 늘릴 때 생기는 복귀력(하중)은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즉 최대하중에 도달한 후에는 아무리 늘려도 탄성력은 일정하고, 테이프가 다 풀릴 때까지 즉 최대 스트로크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한 탄성력으로 당기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10)와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무게의 합(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부 자중이라한다.) 보다 약간 큰 수준의 탄성력을 가지는 롤스프링(155)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상하로 이동시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슬라이드 바(152)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고, 롤스프링(155)이 안착된 스프링 안착부(153)에서 롤스프링(155)과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도 6의 (b)와 같이 롤스프링(155)의 탄성을 디스플레이부의 자중 보다 마찰력 크기만큼 크도록 롤스프링(155)을 디자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자중+마찰력=스프링 탄성력)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하부로 내리려고 하측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민 거리만큼 이동하고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롤스프링(155)이 상부로 당기려는 힘과 마찰력과 디스플레이부(110)의 자중이 균형을 이루며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롤스프링(155)의 탄성은 롤스프링(155)의 늘어난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하므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어느 위치에나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상부로 올리려고 상측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균형을 이루던 힘이 상측 방향으로 더해져 롤 스프링이 원상복귀하는 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스프링(15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무게에 따라 롤스프링(155)의 개수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무게와 롤스프링(155)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할 수 있다. 롤스프링(155)의 테이프의 너비 또는 감김 횟수에 따라 탄성이 다르며, 감김수가 많을수록 탄성이 크고 감김수가 같으면 너비가 클수록 탄성이 크다. 감김수가 많으면 적은 개수의 롤스프링(155)을 이용할 수 있으나, 대신에 롤스프링(155)의 두께가 커지는 문제가 있어, 감김수가 적은 롤스프링(155)을 여러 개 이용하여 적정한 두께와 적정한 힘의 탄성을 가진 롤스프링(155)을 디자인할 수 있다.
스탠드(15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안착부(153)에 롤스프링(155)이 위치하고 접착제나 체결구로 고정되지 않고 롤스프링(155)의 형상에 상응하는 안착홈을 형성하여 롤스프링(155)이 안착홈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전하면서 풀리거나 감길 수 있다. 롤스프링(155)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스프링 안착부(153)는 롤스프링(155)의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격벽(153a)을 구비할 수 있다. 격벽(153a)은 롤스프링(155)이 회전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롤스프링(155)이 인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롤스프링(155)의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밀면 롤스프링(155)이 풀리면서 도 8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하부로 내려온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의 자중에 의해 사용자가 최초에만 힘을 가하면 자동으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롤스프링(155)은 풀릴수록 탄성이 더 커지므로 점점 속도가 늦어지면서 상기 스토퍼(154)에 도달하면 이동을 멈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50)는 스프링 안착부(153)와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스토퍼(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54)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하측방향에서 더 이상 내려오지 않도록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가이드 롤러(145)는 가이드 레일(15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에 위치하고 롤스프링(155)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이동 거리만큼 풀린다.
도 8의 (b)와 같이 하부로 내려온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상측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밀어 올리면 롤스프링(155)의 탄성에 의해 도 8의 (a) 상태로 복귀한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지지부(170)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지부(170)는 하우징(171, 172) 내부에 위치하는 배터리(175)를 포함하고, 스탠드(150)와 연결하기 위해 체결브라켓(173)이 구비된다. 배터리(175)를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하는 경우 무게 중심이 기울어지므로 배터리(175)를 가운데다 배치하고 스탠드(150)가 좌우방향으로 넓게 형성하여 배터리(175)의 양 옆에서 체결할 수 있다. 체결브라켓(173)은 안정적으로 스탠드(150)를 지지하면서 배터리(175)를 보호하기 위해 배터리(175)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가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닥에 이동바퀴(174)를 구비하여 이동성을 높일 수 있다. 배터리(175)를 충전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제1 단자(177)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배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스테이션(18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스테이션(180)과 지지부(170)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테이션(180)은 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전선(181)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180)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00)의 지지부(170)가 체결되면서 제1 단자(177)와 스테이션(180)의 제2 단자(183)가 접촉하여 지지부(170)에 실장된 배터리(175)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70)가 삽입되는 안착부(182)는 이동부(100)의 지지부(170)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스테이션(18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부(100)가 무겁기 때문에 단턱이 있는 경우 결합이 어려운바, 바닥면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테이션(180)의 하부가 개방된 대신에 안착부(182)에 지지부(170)가 제 위치에 결합할 수 있도록 안착부(182)의 좌우 측벽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70)가 안착부(182)에 삽입 시 제1 단자(177)과 제2 단자(183)이 정확한 위치에서 맞닿도록 안착부(182)의 측벽은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고, 지지부(170)는 그에 상응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지지부(170)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션(18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단자(177)과 제2 단자(183)이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70)에서 돌출된 고정볼(176)과 안착부(182)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볼(176)에 상응하는 형상의 고정홈(18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부(100)를 스테이션(180)의 안착부(182)에 밀어 넣을 때 고정홈(184)에 고정볼(176)이 삽입되고 이동부(100)를 당겨 안착부(182)에서 이탈 시킬 때 고정볼(176)이 고정홈(184)에서 이탈되도록 고정볼(176)은 탄성부(176a)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탄성부가 수축 이완되면서 고정볼(176)은 고정홈(184)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84)은 안착부(182)의 내측 모서리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170)의 모서리를 오목하게 인입(171a) 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오목한 부분에 고정볼(176)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180)은 배면에 고정하기 위한 벽부착 고정구(18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위치는 벽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구를 바닥에 형성한 경우 스테이션(180)을 바닥에 고정할 수도 있다. 스테이션(180)이 고정되어 있어야 무게가 있는 이동부(100)가 결합 시 스테이션(180)이 흔들리지 않고 이동부(1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70)의 배터리를 충전 시 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벤트홀(18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충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태표시부(185)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배터리(175)가 탑재되어 있어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감상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의 높이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거실에서 쇼파에 앉아서 감상하거나, 침실의 침대에 누워서 감상하는 경우나 주방에서 요리를 하는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조정 가능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부에 이동 보조 바퀴가 있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100: 이동부
110: 디스플레이부 101: 디스플레이 패널
102: 보강 브라켓 103: 설치 프레임
104: 구동부 140: 슬라이드 브라켓
141: 베이스 플레이트 142: 수평빔
143: 수직빔 144: 슬라이드 홈
145: 가이드 롤러 146: 체결
150: 스탠드 151: 하부 스탠드
152: 슬라이드 바 153: 스프링 안착부
154: 스토퍼 155: 롤스프링
156: 가이드 레일 160: 백커버
170: 지지부 171, 172: 하우징
173: 체결브라켓 174: 이동바퀴
175: 배터리 176: 고정볼
177: 제1 단자 180: 스테이션
182: 안착부 183: 제2 단자
184: 고정홈 185: 상태표시부
186: 벤트홀 187: 고정구

Claims (16)

  1. 디스플레이부;
    바닥에 안착되며 내부에 배터리가 실장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스탠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결합하고 상기 스탠드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슬라이드 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롤 형태로 감긴 금속 테이프를 포함하고,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결합된 롤스프링; 및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롤스프링이 거치되는 스프링 안착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풀리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감기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롤스프링은 소정 길이 이상 늘어나면 동일한 탄성력을 가지는 정하중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롤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무게의 합 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프링의 탄성력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무게의 합의 차이는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상기 스탠드 사이의 마찰력 및 상기 롤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안착부 사이의 마찰력의 합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 하나당 상하 방향으로 한 쌍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드 바가 안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바의 형상에 상응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프링은 복수개가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안착부는 상기 복수개의 롤스프링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에 이동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방향이 더 넓고, 배면 방향이 더 좁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상응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하부와 전면이 개방되고 상부와 좌우측면 및 배면을 둘러 싸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제 1 단자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제2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지지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 내부의 탄성부에 연결된 고정볼; 및
    상기 스테이션의 상기 고정볼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과 상기 고정홈은 복수 개가 좌우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33286A 2018-11-02 2018-11-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8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86A KR102548046B1 (ko) 2018-11-02 2018-11-02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9/005343 WO2020091167A1 (ko) 2018-11-02 2019-05-03 디스플레이 장치
US16/964,173 US11334111B2 (en) 2018-11-02 2019-05-0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86A KR102548046B1 (ko) 2018-11-02 2018-11-0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561A KR20200050561A (ko) 2020-05-12
KR102548046B1 true KR102548046B1 (ko) 2023-06-27

Family

ID=7067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286A KR102548046B1 (ko) 2018-11-02 2018-11-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772A1 (ko) * 2020-05-26 2021-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E112020007769T5 (de) * 2020-11-10 2023-09-21 Lg Electronics Inc. Displayvorrichtung
CN115046082B (zh) * 2022-05-20 2024-05-24 浙江同信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造价现场测绘装置
WO2024071666A1 (ko)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3744A (en) * 1994-09-06 1996-12-10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battery pack
US5668570A (en) * 1993-06-29 1997-09-16 Ditzik; Richard J. Desktop computer with adjustable flat panel screen
JP2005134523A (ja) 2003-10-29 2005-05-26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
US20060168865A1 (en) 2003-01-09 2006-08-03 Takao Watanabe Thi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ulling out display part
KR100770984B1 (ko) * 2003-05-23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99209B1 (ko) * 2013-10-04 2014-06-27 천동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4991B1 (ko) 2016-07-18 2017-10-16 주식회사 펜터다임 착탈식 전원어댑터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716A (ko) *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로보테크 이동로봇 충전스테이션의 착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570A (en) * 1993-06-29 1997-09-16 Ditzik; Richard J. Desktop computer with adjustable flat panel screen
US5583744A (en) * 1994-09-06 1996-12-10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battery pack
US20060168865A1 (en) 2003-01-09 2006-08-03 Takao Watanabe Thi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ulling out display part
KR100770984B1 (ko) * 2003-05-23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134523A (ja) 2003-10-29 2005-05-26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
KR101399209B1 (ko) * 2013-10-04 2014-06-27 천동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84991B1 (ko) 2016-07-18 2017-10-16 주식회사 펜터다임 착탈식 전원어댑터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561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0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783809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5913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839148B2 (en) Display device wall mounting apparatus
KR1024402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241002A1 (en) Flexible display
CN101282638A (zh) 能够倾斜的弹性安装***
CN102456292A (zh) 显示装置
US11341872B2 (en) Backplate and roll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134844A (ko)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US11334111B2 (en) Display device
KR20090117163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25081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AU2013204014A1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404872A1 (en) Display device
KR102541184B1 (ko) 높이조절 장치
US20120236267A1 (en) Screen Device and Rear Projection Apparatus
KR20150125141A (ko)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JP7386932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KR100595201B1 (ko) 박형 영상표시장치의 높낮이 조절 스탠드
KR100860030B1 (ko)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KR102562961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72486B1 (ko) 슬라이드 레일 및 영상기기
CN205354540U (zh) 2d/眼镜3d/裸眼3d高清超高清可切换显示模组及其边框结构
KR101633126B1 (ko)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