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917B1 -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917B1
KR102547917B1 KR1020200184269A KR20200184269A KR102547917B1 KR 102547917 B1 KR102547917 B1 KR 102547917B1 KR 1020200184269 A KR1020200184269 A KR 1020200184269A KR 20200184269 A KR20200184269 A KR 20200184269A KR 102547917 B1 KR102547917 B1 KR 102547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secondary battery
degassing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504A (ko
Inventor
박영민
최성원
김용운
유용수
배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0018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9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는, 이차전지 셀 내에 축적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 공정이 내부에서 수행되며 이차전지 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출입구와 제1 출입구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과,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1 출입구를 통해 이차전지 셀을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이차전지 셀을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인입인출유닛과,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출입구를 통해 이차전지 셀을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이차전지 셀을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2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 각각은,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포켓부를 구비하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거진모듈과,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과,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이동 매거진모듈을 이동시키는 매거진용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Degassing device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게싱용 챔버가 디게싱 작업을 수행할 수 않고 대기하는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차 전지(secondary cell)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외부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도 하고, 방전되었을 때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전지를 가리킨다. 이러한 2차 전지를 통상적으로 축전기라 부르기도 한다.
최근 전기자동차의 효용성이 부각되고 전기자동차의 상용화가 근접됨에 따라 기존의 소형 전자제품에만 적용되었던 이차전지의 규격이 상당히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2차 전지는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2차 전지는 각형 구조, 원통형 구조, 파우치형 구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원통형 구조의 이차전지는 캔(can)으로 덮여져 있으며 이 캔은 철에 니켈 도금한 재질로 이뤄져 있다.
파우치형 구조의 이차전지는 전극 적층체를 감싸는 외장재로서 파우치(pouch)를 사용하는 방식으로써, 이러한 파우치형 구조의 이차전지는 단위중량 및 체적당 에너지밀도가 보다 높일 수 있고, 박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음극, 분리막, 양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파우치형 포장재 안에 넣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가장자리를 실링하는 단계를 거쳐 충방전단계와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단계 등을 통해 패키징된다.
이러한 패키징단계를 수행하는 데에 있어, 전극탭을 용접하는 장치와 전해액 주입장치, 실링장치, 디게싱 장치 등의 작업속도에 차이가 생겨 전반적인 패키지공정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디게싱장치의 경우에는 이차전지 셀의 디게싱용 챔버로의 인입 및 인출을 준비하는 작업이 한 곳에서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디게싱용 챔버로 이차전지 셀이 전달된 후 해당 챔버의 디게싱 공정이 마무리되어 디게싱용 챔버 내의 이차전지 셀이 배출된 후에만 새로운 이차전지 셀을 디게싱용 챔버로 다시 전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디게싱 작업이 완료된 이차전지 셀이 디게싱용 챔버에서 수거되고 새로운 이차전지 셀이 디게싱용 챔버로 전달되고 전달된 이차전지 셀이 정렬되는 시간동안 디게싱용 챔버는 디게싱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디게싱용 챔버의 대기시간이 길어 시간 로스(loss)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9012호, (2011.04.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게싱용 챔버가 디게싱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이차전지 셀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대기하는 대기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차전지 셀 내에 축적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 공정 이 내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출입구와 상기 제1 출입구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인입인출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2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 각각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포켓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거진모듈;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 및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을 이동시키는 매거진용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매거진용 가이드모듈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 배치된 챔버 가이드레일부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 및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의 말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챔버 가이드레일부에 형성된 정위치용 삽입홈에 삽입되는 정위치용 삽입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위치용 삽입돌기는,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는,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에 결합되는 인입인출용 가압 실린더 로드; 및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압 실린더 로드를 이동시키는 인입인출용 가압 실린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거진용 가이드모듈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구속하는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는,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형성된 스토핑용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스토핑용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핑용 돌출부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속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를 이동을 안내하는 구속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를 이동시키는 구속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스토핑용 삽입홈이 형성되는 구속 플레이트; 상기 구속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구속용 이동 가이드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용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구속용 가이드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구속용 이동 구동부에 결합되는 구속용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거진용 구동모듈은,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 상기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모듈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용 액츄에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은, 상기 매거진용 가이드모듈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포켓부가 장착된 매거진부; 상기 매거진용 구동모듈에 결합되는 매거진용 셔틀부; 및 상기 매거진용 셔틀부에 지지되며, 상기 매거진부를 파지하는 매거진용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거진용 파지부는, 상기 매거진용 셔틀부에 결합되는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 및 상기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에 연결되며, 상기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매거진부에 형성된 파지용 돌출봉을 파지하는 한 쌍의 매거진용 그리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은, 내부에 상기 이차전지 셀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는 챔버 본체부; 상기 챔버 본체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1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셔터모듈; 및 상기 챔버 본체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2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2 셔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셔터모듈 및 상기 제2 셔터모듈은, 상기 제1 출입구와 상기 제2 출입구 각각을 개별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도어부; 상기 챔버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차폐도어부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 및 상기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에 지지되며, 상기 차폐도어부를 상기 챔버 본체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폐도어용 가로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으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전달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에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는 제1 핸들링유닛; 및 상기 제2 인입인출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인입인출유닛으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전달하며 상기 제2 인입인출유닛에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는 제2 핸들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핸들링유닛과 상기 제2 핸들링유닛 각각은, 핸들링유닛용 지지프레임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복수의 핸들러부; 및 상기 핸들링유닛용 지지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러부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러부를 이동시키는 핸들러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차전지 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과,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 각각을 통해 이차전지 셀을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이차전지 셀을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인입인출유닛과 제2 인입인출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디게싱용 챔버가 디게싱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이차전지 셀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대기하는 대기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를 통해 이차전지 셀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게싱용 챔버유닛과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버퍼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디게싱용 챔버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셔터모듈과 제2 셔터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제1 인입인출유닛과 제2 인입인출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분이 확대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의 이동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의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매거진용 가이드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의 핸들러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핸들러용 액츄에이터부의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디게싱용 챔버유닛과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버퍼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디게싱용 챔버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제1 셔터모듈과 제2 셔터모듈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제1 인입인출유닛과 제2 인입인출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분이 확대된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의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의 이동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은 도 11의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1의 매거진용 가이드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4는 도 2의 핸들러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핸들러용 액츄에이터부의 동작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핸들링유닛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셀(S)이 사용되며,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셀(S)은, 전극조립체(미도시) 및 파우치형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한다.
전극 적층체는, 도면의 편의상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하나 이상의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며, 파우치형 케이스에 수납된다.
파우치형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전극 적층체가 수납되며 파우치형 이차전지 셀(S)의 종류에 따라 액체, 고체 또는 겔형 등의 전해질(미도시)이 충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케이스는 상부 시트(미도시)와 하부 시트(미도시)를 구성되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가 열융착 등에 의해 접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서 디게싱(degassing) 공정이 수행되는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 제1 핸들링유닛(200a), 제2 핸들링유닛(200b), 제1 인입인출유닛(300a), 제2 인입인출유닛(300b), 셀 공급유닛(400) 및 셀 배출유닛(500) 및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과 제1 인입인출유닛(300a)과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M)을 포함한다.
셀 공급유닛(400)은 제1 핸들링유닛(200a)과 제2 핸들링유닛(200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셀 공급유닛(400)은 디게싱 공정이 수행될 이차전지 셀(S)을 제1 핸들링유닛(200a)과 제2 핸들링유닛(200b)으로 공급한다. 셀 공급유닛(400)에는 이차전지 셀(S)이 적재된 트레이(미도시)를 이송하는 이송용 컨베이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셀 배출유닛(500)은 제1 핸들링유닛(200a)과 제2 핸들링유닛(200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셀 배출유닛(500)은 디게싱 공정이 수행된 이차전지 셀(S)을 제1 핸들링유닛(200a)과 제2 핸들링유닛(200b)으로부터 전달받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 셀 배출유닛(500)에는 이차전지 셀(S)이 적재된 트레이(미도시)를 이송하는 이송용 컨베이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의 내부에서는 이차전지 셀(S) 내에 축적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 공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은 다수 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은 제1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및 제2 디게싱용 챔버유닛(100b)의 2개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이 권리범위가 한정되지는 않으며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은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및 제2 디게싱용 챔버유닛(100b)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이차전지 셀(S)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는 챔버 본체부(110)와, 챔버 본체부(110)에 지지되며 제1 출입구(111)를 개폐하는 제1 셔터모듈(120a)과, 챔버 본체부(110)에 지지되며 제2 출입구(112)를 개폐하는 제2 셔터모듈(120b)을 포함한다.
챔버 본체부(110)는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챔버 본체부(110)에는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형성할 수 있는 진공 펌프(미도시)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챔버 본체부(110)에는 제1 출입구(111)와 제1 출입구(111)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출입구(112)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입구(111)는 챔버 본체부(110)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제2 출입구(112)는 일측벽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벽에 형성된다.
또한,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제1 인입인출유닛(300a)과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의 후술할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에 연결 및 연결 해제되는 챔버 가이드레일부(130)가 배치된다. 이러한 챔버 가이드레일부(130)는 제1 인입인출유닛(300a)과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의 후술한 매거진부(321)의 이동을 안내한다.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의 양측 단부에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의 정위치용 삽입돌기(332b)가 삽입되는 정위치용 삽입홈(13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정위치용 삽입홈(131)은 정위치용 삽입돌기(332b)에 형상맞춤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셔터모듈(120a)은 챔버 본체부(110)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1 셔터모듈(120a)은 제1 출입구(111)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셔터모듈(120a)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입구(111)를 차폐하는 차폐도어부(121)와, 챔버 본체부(110)에 연결되며 차폐도어부(121)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122)와,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122)에 지지되며 차폐도어부(121)를 챔버 본체부(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폐도어용 가로이동부(126)를 포함한다.
차폐도어부(1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차폐도어부(121)는 챔버 본체부(110)에 연결되어 제1 출입구(111)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도어부(121)에는 제1 출입구(111)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미도시)가 마련된다.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122)는 챔버 본체부(1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122)는 차폐도어부(121)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122)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도어용 가로이동부(126)를 지지하며 세로방향으로 이동되는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와, 챔버 본체부(110)에 결합되며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연결되어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의 이동을 안내하는 세로이동 가이드부(124)와, 챔버 본체부(110)에 결합되며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연결되어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를 이동시키는 세로이동 구동부(125)를 포함한다.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는 차폐도어용 가로이동부(126)가 지지된다. 이러한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는 세로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세로이동 가이드부(124)는 챔버 본체부(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세로이동 가이드부(124)는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연결되어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로이동 가이드부(124)는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다.
세로이동 구동부(125)는 챔버 본체부(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연결되어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를 세로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세로이동 구동부(125)는,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결합되는 세로이동용 가압 실린더 로드(125a)와, 챔버 본체부(110)에 결합되고 세로이동용 가압 실린더 로드(125a)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세로이동용 가압 실린더 로드(125a)를 이동시키는 세로이동용 가압 실린더 본체(125b)를 포함한다.
차폐도어용 가로이동부(126)에는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122)에 지지된다. 이러한 차폐도어용 가로이동부(126)는 차폐도어부(121)를 챔버 본체부(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도어용 가로이동부(126)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결합되며 차폐도어부(121)에 연결되어 차폐도어부(121)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이동 가이드부(127)와,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결합되며 차폐도어부(121)에 연결되어 차폐도어부(121)를 이동시키는 도어이동 구동부(128)를 포함한다.
도어이동 가이드부(127)는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결합된다. 이러한 차폐도어부(121)에 연결되어 차폐도어부(121)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이동 가이드부(127)는, 차폐도어부(121)에 결합된 가로이동용 가이드 샤프트(127a)와,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결합되며 가로이동용 가이드 샤프트(127a)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로이동용 볼 부쉬(127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가로이동용 볼 부쉬(127b)에는 가로이동용 가이드 샤프트(127a)가 관통되는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되며, 관통구의 내벽에는 복수의 볼(ball) 회전체(미도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이동 구동부(128)는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이동 구동부(128)는 차폐도어부(121)에 연결되어 차폐도어부(121)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이동 구동부(128)는, 차폐도어부(121)에 결합되는 가로이동용 가압 실린더 로드(128a)와, 세로이동 플레이트부(123)에 결합되고 가로이동용 가압 실린더 로드(128a)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로이동용 가압 실린더 로드(128a)를 이동시키는 가로이동용 가압 실린더 본체(128b)를 포함한다.
한편, 제2 셔터모듈(120b)은 챔버 본체부(110)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2 셔터모듈(120b)은 제2 출입구(112)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셔터모듈(120b)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셔터모듈(120a)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셔터모듈(120b)의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셔터모듈(120a)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1 인입인출유닛(300a)은 챔버 본체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인입인출유닛(300a)은 제1 출입구(111)를 통해 이차전지 셀(S)을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로 인입하고 이차전지 셀(S)을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인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인입인출유닛(300a)은, 도 3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셀(S)을 파지하는 포켓부(310)를 구비하며 챔버 본체부(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거진모듈(320)과, 이동 매거진모듈(320)에 연결되며 이동 매거진모듈(320)의 이동을 안내하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330)과, 이동 매거진모듈(320)에 연결되며 이동 매거진모듈(320)을 이동시키는 매거진용 구동모듈(340)을 포함한다.
이동 매거진모듈(320)은 챔버 본체부(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 매거진모듈(320)은, 도 3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셀(S)을 파지하는 포켓부(310)와, 매거진용 가이드모듈(33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포켓부(310)가 장착된 매거진부(321)와, 매거진용 구동모듈(340)에 결합되는 매거진용 셔틀부(322)와, 매거진용 셔틀부(322)에 지지되며 매거진부(321)를 파지하는 매거진용 파지부(323)를 포함한다.
포켓부(310)는 매거진부(321)에 장착되어 매거진부(321)의 이동에 따라 챔버 본체부(110)의 외부 및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포켓부(310)는 이차전지 셀(S)을 파지한다.
포켓부(31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거진부(321)에 결합되는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와, 매거진부(32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차전지 셀(S)을 파지하는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와,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와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에 결합되며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를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파지용 탄성체(미도시)를 포함한다.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는 매거진부(321)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는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를 향해 이동되어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와 함께 이차전지 셀(S)을 파지한다.
또한,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에는 돌출 바아(미도시)가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 바아(미도시)는 제1 인입인출유닛(300a) 및 제2 인입인출유닛(300b) 각각에 이웃하게 배치된 별도의 파지해제용 가압장치(미도시)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파지해제용 가압장치(미도시)는, 포켓부(310)가 챔버 본체부(110)의 외부에 배치된 위치에서 돌출 바아(미도시)를 밀어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를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에서 이격시킴으로써, 포켓부(310)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S)을 파지 해제할 수 있다.
파지용 탄성체(미도시)의 일단부는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에 결합된다. 이러한 파지용 탄성체(미도시)는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를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한다. 따라서, 파지해제용 가압장치(미도시)의 가압이 해제되면 파지용 탄성체(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포켓용 이동 그리퍼부(312)가 포켓용 고정 그리퍼부(311)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차전지 셀(S)이 파지된다.
매거진부(321)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33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매거진부(321)의 상부면에는 포켓부(31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부(321)에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330)의 후술할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335)에 연결되는 스토핑용 돌출부재(321a)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핑용 돌출부재(321a)는 매거진부(321)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롤러로 이루어진다.
또한 매거진부(321)의 상면에는, 매거진용 파지부(323)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용 돌출봉(321b)이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용 돌출봉(321b)은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매거진용 셔틀부(322)는 매거진용 구동모듈(340)의 후술할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에 결합되어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의 이동을 따라 이동된다.
매거진용 파지부(323)는 매거진용 셔틀부(322)에 장착된다. 이러한 매거진용 파지부(323)는 매거진부(321)를 파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따른 매거진용 파지부(323)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거진용 셔틀부(322)에 결합되는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324)와,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324)에 연결되며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324)에 의해 회동되어 매거진부(321)에 형성된 파지용 돌출봉(321b)을 파지하는 한 쌍의 매거진용 그리퍼부(325)를 포함한다.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324)는 매거진용 셔틀부(322)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324)는 매거진용 그리퍼부(325)를 회동시키는 로터리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매거진용 그리퍼부(325)는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3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용 그리퍼부(325)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매거진용 그리퍼부(325)는 회동 각도에 따라 파지용 돌출봉(321b)을 파지 및 파지해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용 파지부(323)는, 디게싱 작업이 필요한 이차전지 셀(S)을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로 인입시킬 때에는 파지용 돌출봉(321b)을 파지한다. 디게싱 작업이 필요한 이차전지 셀(S)의 챔버 본체부(110) 내부로의 진입이 완료된 후에는 매거진용 파지부(323)는 파지용 돌출봉(321b)을 파지해제하여 셔틀부만이 챔버 본체부(110)의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디게싱 작업이 완료된 이차전지 셀(S)을 챔버 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시킬 때에는 매거진용 파지부(323)가 파지용 돌출봉(321b)을 파지하여 셔틀부와 함께 매거진부(321)가 챔버 본체부(110)의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매거진용 가이드모듈(330)은 베이스 프레임(M)에 지지된다. 이러한 매거진용 가이드모듈(330)은 이동 매거진모듈(320)에 연결되어 이동 매거진모듈(32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용 가이드모듈(330)은,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M)에 결합되는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지지되고 이동 매거진모듈(320)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결합되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333)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결합되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334)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지지되며 이동 매거진모듈(320)에 연결되어 이동 매거진모듈(320)의 이동을 구속하는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335)를 포함한다.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는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지지된다. 이러한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에는 이동 매거진모듈(320)의 매거진부(321)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는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는,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를 구비함으로써, 차폐도어부(121)가 제1 출입구(111) 및 제2 출입구(112)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가 차폐도어부(121)를 회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333)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332a)와,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332a)의 말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형성된 정위치용 삽입홈(131)에 삽입되는 정위치용 삽입돌기(332b)가 형성된다.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332a)는 길이가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332a)는 이러한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333)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정위치용 삽입돌기(332b)의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332a)의 말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정위치용 삽입돌기(332b)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가 이동되어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연결될 때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형성된 정위치용 삽입홈(131)에 삽입됨으로써,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가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정위치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정위치용 삽입돌기(332b)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332a)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정위치용 삽입홈(131)은 정위치용 삽입돌기(332b)의 형상에 형상맞춤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정위치용 삽입돌기(332b)가 정위치용 삽입홈(131)에 삽입되는 과정에 의해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가 자연스럽게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정위치로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333)는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333)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333)는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결합되며 다수 개로 마련되어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333)에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의 하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334)는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334)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에 연결되어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334)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에 결합되는 인입인출용 가압 실린더 로드(334a)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결합되고 인입인출용 가압 실린더 로드(334a)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입인출용 가압 실린더 로드(334a)를 이동시키는 인입인출용 가압 실린더 본체(334b)를 포함한다.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335)는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지지된다. 이러한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335)는 이동 매거진모듈(320)의 매거진부(321)에 연결되어 매거진부(321)의 이동을 구속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는, 매거진부(321)의 이동을 구속하는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335)를 구비함으로써,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의 이동과정에서 매거진부(321)가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335)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매거진모듈(320)에 형성된 스토핑용 돌출부재(321a)가 삽입되는 스토핑용 삽입홈(SH)이 형성되며 스토핑용 돌출부재(321a)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속부(336)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결합되며 구속부(336)에 연결되어 구속부(336)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속용 이동 가이드부(337)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결합되며 구속부(336)에 연결되어 구속부(336)를 이동시키는 구속용 이동 구동부(338)를 포함한다.
구속부(336)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매거진부(321)의 스토핑용 돌출부재(321a)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된다. 이러한 구속부(336)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핑용 돌출부재(321a)가 삽입되는 스토핑용 삽입홈(SH)이 형성되는 구속 플레이트(336a)와, 구속 플레이트(336a)에 결합되며 구속용 이동 가이드부(337)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용 가이드 샤프트(336b)와, 구속용 가이드 샤프트(336b)에 결합되며 구속용 이동 구동부(338)에 결합되는 구속용 연결 플레이트(336c)를 포함한다.
구속용 이동 가이드부(337)는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결합되는 볼 부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속용 이동 가이드부(337)는 구속용 가이드 샤프트(336b)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구속용 이동 가이드부(337)에는 구속용 가이드 샤프트(336b)가가 관통되는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되며, 관통구의 내벽에는 복수의 볼(ball) 회전체(미도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속용 이동 구동부(338)는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331)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속용 이동 구동부(338)는 구속부(336)에 연결되어 구속부(336)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속용 이동 구동부(338)는 가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매거진용 구동모듈(340)은 베이스 프레임(M)에 지지된다. 이러한 매거진용 구동모듈(340)은 이동 매거진모듈(320)에 연결되어 이동 매거진모듈(320)을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용 구동모듈(340)은,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매거진모듈(320)이 결합되며 챔버 본체부(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와,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에 연결되며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모듈용 이동 가이드부(미도시)와,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에 연결되며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용 액츄에이터부(343)를 포함한다.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의 상면에는 이동 매거진모듈(320)의 셔틀부가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는 챔버 본체부(11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모듈용 이동 가이드부(미도시)는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모듈용 이동 가이드부(미도시)는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모듈용 액츄에이터부(343)는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미도시)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모듈용 액츄에이터부(343)는 볼 스크류 방식의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은 챔버 본체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은 제2 출입구(112)를 통해 이차전지 셀(S)을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로 인입하고 이차전지 셀(S)을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인출한다.
본 실시예의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1 인입인출유닛(300a)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의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2 인입인출유닛(300b)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제1 핸들링유닛(200a)은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 핸들링유닛(200a)은 셀 공급유닛(400)이 공급한 이차전지 셀(S)을 제1 인입인출유닛(300a)으로 전달하고 제1 인입인출유닛(300a)에서 이차전지 셀(S)을 수거하여 셀 배출유닛(500)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에에 따른 제1 핸들링유닛(200a)은, 핸들링유닛용 지지프레임부(210)와, 이차전지 셀(S)을 파지하는 복수의 핸들러부(220a, 220b)와, 핸들링유닛용 지지프레임부(210)에 결합되며 핸들러부(220a, 220b)에 연결되어 핸들러부(220a, 220b)를 이동시키는 핸들러 이동부(230)를 포함한다.
핸들러부(220a, 220b)는 이차전지 셀(S)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차전지 셀(S)을 파지한다. 본 실시예서 핸들러부(220a, 220b)는 제1 핸들러부(220a)와 제2 핸들러부(220b)로 마련된다. 제1 핸들러부(220a)와 제2 핸들러부(220b)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제1 핸들러부(220a)는 'A' 구역 내에서 이동되고 우측의 제2 핸들러부(220b)는 'B' 구역 내에서 이동된다. 따라서, 셀 공급유닛(400)에서 공급된 이차전지 셀(S) 중 제2 디게싱용 챔버유닛(100b)에 투입될 이차전지 셀(S)은 제1 핸들러부(220a)에 의해 버퍼유닛(BF)에 전달되어 임시로 보관된 후 제2 핸들러부(220b)에 의해 제2 디게싱용 챔버유닛(100b)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디게싱 공정이 완료되어 셀 배출유닛(500)으로 전달될 이차전지 셀(S) 중 제1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에서 인출된 이차전지 셀(S)은 제1 핸들러부(220a)에 의해 버퍼유닛(BF)에 전달되어 임시로 보관된 후 제2 핸들러부(220b)에 의해 셀 배출유닛(500)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는, 이동구역이 나구분되어 이동되는 복수의 핸들러부(220a, 220b)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핸들러부(220a, 220b)들이 동일한 구역 내에서 이동되어 이동과정에서 정체 및 병목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부(220a, 220b)는,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셀(S)을 파지하는 핸들러용 파지부(221)와, 핸들러 이동부(230)에 결합되며, 핸들러용 파지부(221)에 연결되어 핸들러용 파지부(221)를 업/다운(up/down) 이동시키는 핸들러 업/다운 이동부(228)를 포함한다.
핸들러용 파지부(221)는, 핸들러 업/다운 이동부(228)에 결합되는 핸들러용 파지 프레임부(222)와, 핸들러용 파지 프레임부(222)에 결합되는 핸들러용 액츄에이터부(223)와, 핸들러용 액츄에이터부(223)에 연결되며 핸들러용 액츄에이터부(223)에 의해 회동되어 이차전지 셀(S)을 파지하는 한 쌍의 핸들러용 그리퍼부(224)와, 핸들러용 그리퍼부(224)에 지지되며 한 쌍의 핸들러용 그리퍼부(224)의 사이에 이차전지 셀(S)이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핸들러용 셀 유무 감지부(225)와, 핸들러용 파지 프레임부(222)에 지지되며 이차전지 셀(S)의 정위치 여부를 감지하는 핸들러용 정위치 감지부(226)를 포함한다.
핸들러용 액츄에이터부(223)는 핸들러용 파지 프레임부(222)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러용 액츄에이터부(223)는 핸들러용 그리퍼부(224)를 회동시키는 로터리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핸들러용 그리퍼부(224)는 핸들러용 액츄에이터부(2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러용 그리퍼부(224)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핸들러용 그리퍼부(224)는 회동각도에 따라 이차전지 셀(S)을 파지 및 파지 해제한다.
핸들러용 셀 유무 감지부(225)는 핸들러용 파지 프레임부(222)에 결합된다. 이러한 핸들러용 셀 유무 감지부(225)는, 감지용 빔(레이저 등)을 방출시킨 후 반사된 감지용 빔을 수신하여 한 쌍의 핸들러용 그리퍼부(224)의 사이에 이차전지 셀(S)이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핸들러용 셀 유무 감지센서(미도시)와, 핸들러용 파지 프레임부(222)에 체결되며 핸들러용 셀 유무 감지센서(미도시)가 장착된 핸들러용 셀 유무감지용 브라켓(225b)을 포함한다.
핸들러용 정위치 감지부(226)는 핸들러용 파지 프레임부(222)에 결합된다. 이러한 핸들러용 정위치 감지부(226)는 핸들러용 그리퍼부(224)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S)의 정위치 여부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러용 정위치 감지부(226)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이차전지 셀(S)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핸들러용 정위치 감지부(226)는 이차전지 셀(S)의 모서리 영역들로 감지용 빔(레이저 등)을 방출시킨 후 반사된 감지용 빔을 수신한다. 모서리 영역들에 위치된 핸들러용 정위치 감지부(226) 각각이 수신한 정보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어 핸들러용 그리퍼부(224)에 파지된 이차전지 셀(S)이 틀어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에 있는지 판단된다.
상술한 핸들러용 정위치 감지부(226)는, 감지용 빔(레이저 등)을 방출시킨 후 반사된 감지용 빔을 수신하는 정위치 감지센서(미도시)와, 정위치 감지센서가 장착된 정위치 감지용 브라켓(226b)을 포함한다.
핸들러 업/다운 이동부(228)는 핸들러 이동부(230)에 결합된다. 이러한 핸들러 업/다운 이동부(228)는 핸들러용 파지부(221)에 연결되어 핸들러용 파지부(221)를 업/다운(up/down)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러 업/다운 이동부(228)는, 핸들러용 파지 프레임부(222)에 결합되는 업/다운 이동블록부(228a)와, 업다운 블록부에 연결되어 업/다운 이동블록부(228a)를 안내하는 업/다운 이동가이드부(미도시)와, 업/다운 이동블록부(228a)에 연결되어 업/다운 이동블록부(228a)를 이동시키는 업/다운 이동 구동부(228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업/다운 이동 구동부(228c)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진다.
핸들러 이동부(230)는 핸들링유닛용 지지프레임부(21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핸들러 이동부(230)는 핸들러부(220a, 220b)에 연결되어 핸들러부(220a, 220b)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러 이동부(230)는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핸들링유닛(200b)은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2 핸들링유닛(200b)은 셀 공급유닛(400)이 공급한 이차전지 셀(S)을 제2 인입인출유닛(300b)으로 전달하고 제2 인입인출유닛(300b)에서 이차전지 셀(S)을 수거하여 셀 배출유닛(500)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제2 핸들링유닛(200b)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제1 핸들링유닛(200a)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핸들링유닛(200b)의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핸들링유닛(200a)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버퍼유닛(BF)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버퍼유닛(BF)은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에 인입될 이차전지 셀(S)과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에서 인출된 이차전지 셀(S)을 임시적으로 보관한다.
셀 공급유닛(400)에서 공급된 이차전지 셀(S) 중 제2 디게싱용 챔버유닛(100b)에 투입될 이차전지 셀(S)은 제1 핸들러부(220a)에 의해 버퍼유닛(BF)에 전달되어 임시로 보관된 후 제2 핸들러부(220b)에 의해 제2 디게싱용 챔버유닛(100b)으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디게싱 공정이 완료되어 셀 배출유닛(500)으로 전달될 이차전지 셀(S) 중 제1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및 제2 디게싱용 챔버유닛(100b)에서 인출된 이차전지 셀(S)은 제1 핸들러부(220a)에 의해 버퍼유닛(BF)에 전달되어 임시로 보관된 후 제2 핸들러부(220b)에 의해 셀 배출유닛(500)으로 전달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제1 인입인출유닛(300a)과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a)는 제2 인입인출유닛(300b)에 의해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의 매거진부(321)가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에 인입되고, 제1 인입인출유닛(300a)에 의해 제1 인입인출유닛(300a)의 매거진부(321)가 챔버 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이다.
이후, 차폐도어부(121)의 이동에 의해 제1 출입구(111) 및 제2 출입구(112)가 밀봉된 상태에서 디게싱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디게싱이 완료되어 제1 인입인출유닛(300a)에 의해 챔버 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된 이차전지 셀(S)이 제1 핸들링유닛(200a)에 의해 제1 인입인출유닛(300a)에서 수거되고 디게싱 작업이 필요한 새로운 이차전지 셀(S)이 제1 인입인출유닛(300a)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는, 종래기술과 달리 챔버 본체부(110)에서 디게싱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이차전지 셀(S)의 인입을 준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차전지 셀(S)의 인입작업의 준비를 위해 챔버 본체부(110)가 디게싱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음, 챔버 본체부(110) 내부에서의 디게싱 작업이 완료되면, 차폐도어부(121)가 이동되어 제1 출입구(111) 및 제2 출입구(112)가 개방된다.
이후, 제1 인입인출유닛(300a) 및 제2 인입인출유닛(300b) 각각의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가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연결된다.
다음,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의 매거진용 셔틀부(322)가,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로 배치된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의 매거진부(3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의 매거진를 파지한 후 후퇴하여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의 매거진부(321)를 챔버 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한다.
이때, 제1 인입인출유닛(300a)의 매거진용 셔틀부(322)가 제1 인입인출유닛(300a)의 메거진부를 이동시켜 이차전지 셀(S)을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다음, 제1 인입인출유닛(300a)의 매거진용 셔틀부(322)가 제1 인입인출유닛(300a)의 메거진부를 파지 해제한 후 후퇴하여 제1 인입인출유닛(300a)의 메거진부만을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에 남겨 놓은 챔버 본체부(110)의 외부로 빠져나온다.
이후, 제1 인입인출유닛(300a) 및 제2 인입인출유닛(300b) 각각의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332)가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챔버 가이드레일부(130)에서 분리된다.
다음, 차폐도어부(121)가 이동되어 제1 출입구(111) 및 제2 출입구(112)를 밀봉하며, 챔버 본체부(110)의 내부가 밀봉된 상태에서 디게싱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제2 핸들링유닛(200b)에 의해 디게싱이 완료된 이차전지 셀(S)이 제2 인입인출유닛(300b)에서 수거되고 디게싱 작업이 필요한 새로운 이차전지 셀(S)이 제2 인입인출유닛(300b)에 전달된다.
디게싱 작업이 필요한 새로운 이차전지 셀(S)을 전달받은 제2 인입인출유닛(300b)은 전달받은 이차전지 셀(S)을 정렬하여 다음의 챔버 본체부(110)의 인입을 준비한다. 이러한 이차전지 셀(S)의 수거와 새로운 이차전지 셀(S)의 전달 및 인입 준비가 챔버 본체부(110)의 디게싱 공정 중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는, 이차전지 셀(S)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및 제2 출입구(111, 112)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과, 제1 및 제2 출입구(111, 112) 각각을 통해 이차전지 셀(S)을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의 내부로 인입하고 이차전지 셀(S)을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및 제2 인입인출유닛(300a, 300b)을 구비함으로써, 디게싱용 챔버유닛(100a, 100b)가 디게싱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이차전지 셀(S)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대기하는 대기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a, 100b: 디게싱용 챔버유닛 110: 챔버 본체부
120a: 제1 셔터모듈 120b: 제2 셔터모듈
121: 차폐도어부 122: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
126: 차폐도어용 가로이동부 130: 챔버 가이드레일부
200a: 제1 핸들링유닛 200b: 제2 핸들링유닛
300a: 제1 인입인출유닛 300b: 제2 인입인출유닛
310: 포켓부 320: 이동 매거진모듈
330: 매거진용 가이드모듈 331: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
332: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
332a: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
332b: 정위치용 삽입돌기
333: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
334: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 340: 매거진용 구동모듈

Claims (15)

  1. 이차전지 셀 내에 축적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 공정이 내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출입구와 상기 제1 출입구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인입인출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2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 각각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포켓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거진모듈;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 및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을 이동시키는 매거진용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매거진용 가이드모듈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 배치된 챔버 가이드레일부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 및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의 말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챔버 가이드레일부에 형성된 정위치용 삽입홈에 삽입되는 정위치용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용 삽입돌기는,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 몸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5. 이차전지 셀 내에 축적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 공정이 내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출입구와 상기 제1 출입구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인입인출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2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 각각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포켓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거진모듈;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 및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을 이동시키는 매거진용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매거진용 가이드모듈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 배치된 챔버 가이드레일부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는,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에 결합되는 인입인출용 가압 실린더 로드; 및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압 실린더 로드를 이동시키는 인입인출용 가압 실린더 본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6. 이차전지 셀 내에 축적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 공정이 내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출입구와 상기 제1 출입구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인입인출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2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 각각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포켓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거진모듈;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 및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을 이동시키는 매거진용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매거진용 가이드모듈은,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 배치된 챔버 가이드레일부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입인출용 가이드 레일부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거진용 가이드모듈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지지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구속하는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모듈용 스토퍼부는,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형성된 스토핑용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스토핑용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핑용 돌출부재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속부;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를 이동을 안내하는 구속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모듈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속부를 이동시키는 구속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스토핑용 삽입홈이 형성되는 구속 플레이트;
    상기 구속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구속용 이동 가이드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용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구속용 가이드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구속용 이동 구동부에 결합되는 구속용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9. 이차전지 셀 내에 축적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 공정이 내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출입구와 상기 제1 출입구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인입인출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2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 각각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포켓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거진모듈;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 및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을 이동시키는 매거진용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매거진용 구동모듈은,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
    상기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모듈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모듈용 이동블록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용 액츄에이터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10. 이차전지 셀 내에 축적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 공정이 내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출입구와 상기 제1 출입구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인입인출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2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 각각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포켓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거진모듈;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 및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을 이동시키는 매거진용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은,
    상기 매거진용 가이드모듈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포켓부가 장착된 매거진부;
    상기 매거진용 구동모듈에 결합되는 매거진용 셔틀부; 및
    상기 매거진용 셔틀부에 지지되며, 상기 매거진부를 파지하는 매거진용 파지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용 파지부는,
    상기 매거진용 셔틀부에 결합되는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 및
    상기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에 연결되며, 상기 매거진용 액츄에이터부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매거진부에 형성된 파지용 돌출봉을 파지하는 한 쌍의 매거진용 그리퍼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12. 이차전지 셀 내에 축적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 공정이 내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출입구와 상기 제1 출입구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인입인출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2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 각각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포켓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거진모듈;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 및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을 이동시키는 매거진용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은,
    내부에 상기 이차전지 셀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되는 챔버 본체부;
    상기 챔버 본체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1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셔터모듈; 및
    상기 챔버 본체부에 지지되며, 상기 제2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2 셔터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모듈 및 상기 제2 셔터모듈은,
    상기 제1 출입구와 상기 제2 출입구 각각을 개별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도어부;
    상기 챔버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차폐도어부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 및
    상기 차폐도어용 세로이동부에 지지되며, 상기 차폐도어부를 상기 챔버 본체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폐도어용 가로이동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14. 이차전지 셀 내에 축적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디게싱(degassing) 공정이 내부에서 수행되며, 상기 이차전지 셀의 출입을 위해 개폐되는 제1 출입구와 상기 제1 출입구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출입구가 형성된 디게싱용 챔버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1 인입인출유닛;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해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로 인입하고 상기 이차전지 셀을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의 내부에서 인출하는 제2 인입인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 및 제2 인입인출유닛 각각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포켓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게싱용 챔버유닛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매거진모듈;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의 이동을 안내하는 매거진용 가이드모듈; 및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매거진모듈을 이동시키는 매거진용 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으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전달하며 상기 제1 인입인출유닛에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는 제1 핸들링유닛; 및
    상기 제2 인입인출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인입인출유닛으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전달하며 상기 제2 인입인출유닛에서 상기 이차전지 셀을 수거하는 제2 핸들링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링유닛과 상기 제2 핸들링유닛 각각은,
    핸들링유닛용 지지프레임부;
    상기 이차전지 셀을 파지하는 복수의 핸들러부; 및
    상기 핸들링유닛용 지지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핸들러부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러부를 이동시키는 핸들러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KR1020200184269A 2020-12-28 2020-12-28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KR102547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69A KR102547917B1 (ko) 2020-12-28 2020-12-28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69A KR102547917B1 (ko) 2020-12-28 2020-12-28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04A KR20220093504A (ko) 2022-07-05
KR102547917B1 true KR102547917B1 (ko) 2023-06-26

Family

ID=8240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269A KR102547917B1 (ko) 2020-12-28 2020-12-28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9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775B1 (ko) * 2019-07-02 2019-11-08 (주)하나기술 배터리 셀 디가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001B1 (ko) 2009-10-09 2014-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067715B1 (ko) * 2016-12-01 2020-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디가싱 장치
KR102602205B1 (ko) * 2018-11-21 2023-11-14 (주)이티에스 이차전지셀 디가스시스템
KR20200118992A (ko) * 2019-04-09 2020-10-19 (주)이티에스 이차전지셀의 디가스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가스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775B1 (ko) * 2019-07-02 2019-11-08 (주)하나기술 배터리 셀 디가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04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83690A1 (en) Battery pack manufactur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battery pack
JP2012025557A (ja) バッテリ処理設備
KR102547917B1 (ko)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CN110434081A (zh) 一种x-ray检测设备
KR102547916B1 (ko)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KR102547918B1 (ko)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US11990580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KR20190081815A (ko) 자재 공급 장치
KR102536549B1 (ko)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CN212967968U (zh) 一种tws锂电池自动化生产线
CN111157545B (zh) 一种x-ray检测设备
CN111463465B (zh) 电芯堆叠设备
CN109703807A (zh) 一种用于金属料带裁切检测包装的设备
CN220018855U (zh) 高速氦检机
CN210376436U (zh) 夹具及具有该夹具的电芯容量测试***
CN219162016U (zh) 一种刀片电池ct自动检测***
KR102536551B1 (ko)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CN219301900U (zh) 双氦检移载装置
KR102304212B1 (ko) 이차전지 패키징 시스템의 파우치 벤딩 가이드 장치 및 파우치 벤딩 방법
CN115213260A (zh) 一种90°电芯连接片供料成型一体化设备
KR102536550B1 (ko) 이차전지 제조용 디게싱장치
KR101381772B1 (ko) 이차 전지용 포메이션 장치
KR20220099465A (ko) 피어싱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피어싱 장치와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장치
CN108248911B (zh) 一种装箱装置
KR102513232B1 (ko) 인라인 타입 실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실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