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523B1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523B1
KR102546523B1 KR1020210164442A KR20210164442A KR102546523B1 KR 102546523 B1 KR102546523 B1 KR 102546523B1 KR 1020210164442 A KR1020210164442 A KR 1020210164442A KR 20210164442 A KR20210164442 A KR 20210164442A KR 102546523 B1 KR102546523 B1 KR 102546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rtar
floor structure
mortar layer
s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7792A (ko
Inventor
나옥빈
서태석
임창근
김삼수
안계현
김태희
김재호
신동민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52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14Cements containing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24Cements from oil shales, residues or waste other than slag
    • C04B7/26Cements from oil shales, residues or waste other than slag from raw materials containing flue dust, i.e. fly as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건축용 바닥 구조체는 기초 슬래브층, 상기 기초 슬래브층 상에 배치되고 약 15 Hz 이하의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를 갖는 완충재층, 상기 완충재층 상에 배치된 제1 모르타르층 및 상기 제1 모르타르층 상에 배치된 제2 모르타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 중 적어도 하나는 약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약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 각각은 약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약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Floor structure for construction to reduce inter-floor noise}
본 발명은 건축물에 적용되는 부재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구조물에서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들 중 가장 큰 문제는 상층의 바닥판에 대한 충격이 하층의 천정을 통해 전달되는 바닥 충격음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충격음은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경량 충격음과, 반대로 비교적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조그마한 물건의 낙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주파수 대역의 음으로 이루어진 경량 충격음과, 무거운 물건의 낙하나 성인의 보행, 어린이의 달리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주파수 대역의 음으로 이루어진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 최근 건물 또는 아파트는 시공 과정에서 충격음을 감쇄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슬래브층 위에 흡음재 또는 완충재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흡음재는 주로 경량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중량 충격음의 발생이 많은 우리나라(한국)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완충재는 중량 충격음의 차단 성능을 결정하는 63 Hz 대역에서 증폭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중량 충격음 저감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약 30 Hz 이하의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를 확보함으로써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floor structure for construction)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낮은 고유진동수를 갖는 완충재층을 사용하면서도 바닥층의 강도 및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초 슬래브층; 상기 기초 슬래브층 상에 배치되는 완충재층; 상기 완충재층 상에 배치된 제1 모르타르층; 및 상기 제1 모르타르층 상에 배치된 제2 모르타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 중 적어도 하나는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갖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 각각은 약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약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은 약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약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모르타르층은 상기 제2 모르타르층 보다 낮은 단위 중량 및 낮은 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모르타르층은 약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약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은 상기 제1 모르타르층 보다 낮은 단위 중량 및 낮은 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위 중량은 약 2300∼2800 kg/m3 범위일 수 있고, 상기 면밀도는 약 161∼196 kg/m2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르타르층은 약 25∼35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은 약 35∼45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은 상기 제1 모르타르층 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완충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재층 내에 분산되어 배치된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재층은 약 30∼50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바닥 구조체는 약 30 Hz 이하의 고유진동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 중 상기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상기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르타르층은, 시멘트, 고로슬래그(blast furnace slag), 플라이애시(fly ash) 및 석고가 혼합된 결합재; 및 제강슬래그가 포함된 잔골재;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강슬래그의 비중은 약 3.5 이상일 수 있고, 조립률은 약 2.0∼2.5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결합재는 상기 시멘트 400∼600 중량부; 상기 고로슬래그 60∼160 중량부; 상기 플라이애시 60∼160 중량부 및 상기 석고 10∼100 중량부로 조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약 30 Hz 이하 또는 약 20 Hz 이하의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를 확보함으로써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낮은 고유진동수를 갖는 완충재층을 사용하면서도 바닥층의 강도 및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는 바닥 충격음 관련 평가 등급에서 1등급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floor structure for construction)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바닥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완충재층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바닥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완충재층 내에 구비된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에 대한 바닥 충격음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에 대한 바닥 충격음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된 사상 및 그 효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된 사상 및 그 효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1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제1 비교예(도 12), 상기 제2 비교예(도 13), 상기 제3 비교예(도 14) 및 상기 실시예(도 15)에 따른 바닥 구조체의 시공시 층간소음(중량충격음) 차단 성능과 면밀도(온돌층의 면밀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시공하고 이를 평가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floor structure for construction)(1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이하, 바닥 구조체)(100)는 기초 슬래브층(10), 기초 슬래브층(10) 상에 배치된 완충재층(20), 완충재층(20) 상에 배치된 제1 모르타르층(30) 및 제1 모르타르층(30) 상에 배치된 제2 모르타르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르타르층(30) 및 제2 모르타르층(40)은 하나의 온돌층(50)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온돌층(50) 내에 복수의 난방 배관(온수 난방 배관)이 임베드(embeded) 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난방 배관(온수 난방 배관)은 제2 모르타르층(4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모르타르층(30)은 온돌층(50)의 하부 베이스층이라 할 수 있고, 제2 모르타르층(40)은 온돌층(50)의 상부 플레이트층이라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30, 40)은 이중타설로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재층(20)은 상당히 낮은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를 가질 수 있다. 완충재층(20)은 약 15 Hz 이하의 고유진동수를 가질 수 있다. 완충재층(20)의 고유진동수는 약 10∼15 Hz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완충재층(20)의 층간소음 저감 효과는 우수할 수 있다. 특히, 중량 충격음에 대한 우수한 소음 저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완충재층(20)은 낮은 동탄성계수(resilient modulus)를 가질 수 있다. 완충재층(20)에 동탄성계수가 낮은 자재를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진동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완충재층(20)을 이용함으로써, 약 5 dB 이상의 소음/진동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완충재층(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terephthalate, PBT),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PVC),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vinylacetatecopolymer, EV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및 폴리이미드(polyimide, PI)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완충재층(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거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재층(20)은 낮은 고유진동수 확보를 위해 다공질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30, 40) 중 적어도 하나는 약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약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위 중량은 단위 부피당 중량(즉, 밀도)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면밀도는 단위 면적당 중량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30, 40) 각각은 약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약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모르타르층(30)의 단위 중량은 약 2300∼2800 kg/m3 범위일 수 있고, 면밀도는 약 161∼196 kg/m2 범위(비중은 약 2.3∼2.8 범위)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모르타르층(40)의 단위 중량은 약 2300∼2800 kg/m3 범위일 수 있고, 면밀도는 약 161∼196 kg/m2 범위(비중은 약 2.3∼2.8 범위)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30, 40)은 모두 '고밀도 모르타르층'이라 할 수 있다. 제1 모르타르층(30)은 '제1 고밀도 모르타르층'이라 할 수 있고, 제2 모르타르층(40)은 '제2 고밀도 모르타르층'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돌층(50)의 단위 중량(평균 단위 중량)은 약 2300 kg/m3 이상일 수 있고, 면밀도(평균 면밀도)는 약 161 kg/m2 이상일 수 있다. 온돌층(50)의 단위 중량(평균 단위 중량)은 약 2300∼2800 kg/m3 범위일 수 있고, 면밀도(평균 면밀도)는 약 161∼196 kg/m2 범위(비중은 약 2.3∼2.8 범위)일 수 있다. 상기한 온돌층(50)을 이용함으로써, 약 10 dB 이상의 소음/진동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단위 중량은 600 kg/m3 정도일 수 있고, 일반적인 모르타르층의 단위 중량은 2000∼2100 kg/m3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일반적인 모르타르층으로 구성된 온돌층의 평균 면밀도(단위 면적당 중량)는 98∼102 kg/m2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경량기포 콘크리트 및 일반적인 모르타르층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30, 40) 각각은 상당히 큰 단위 중량 및 면밀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30, 40)을 모두 상기한 '고밀도 모르타르층'으로 구성할 경우, 온돌층(50)의 밀도/중량(질량) 증가로 바닥 구조체(100) 전체의 고유진동수가 저하되고, 특히, 63 Hz 대역에서 중량 충격음의 저감/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약 30 Hz 이하의 고유진동수를 갖는 바닥 구조체(100) 또는 약 20 Hz 이하의 고유진동수를 갖는 바닥 구조체(100)를 구현할 수 있다. 온돌층(50)의 면밀도 증가로 인해, 완충재층(20) 및 모르타르층(30, 40)의 시공 오차가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20 Hz 이하의 고유진동수를 갖는 바닥 구조체(100)를 구현할 수 있다. 온돌층(50)의 면밀도 증가와 관련해서, 충분히 큰 완충 효과 및 충격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약 15 Hz 이하의 고유진동수를 갖는 완충재층(20)을 사용하면서 아울러 상기한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30, 40)을 사용함으로써, 고밀도/고중량 특성을 갖는 바닥 구조체(100)를 구현할 수 있고 중량 충격음에 대한 우수한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밀도 모르타르층'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밀도 모르타르층은 시멘트, 고로슬래그(blast furnace slag), 플라이애시(fly ash) 및 석고가 혼합된 결합재, 및 제강슬래그가 포함된 잔골재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강슬래그는 상기 잔골재에 약 50 vol%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강슬래그는 제강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로슬래그, 전로슬래그 및 제강 풍쇄슬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강슬래그의 비중은 약 3.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강슬래그의 조립률은 약 2.0∼2.5 범위일 수 있다. 제강 풍쇄슬래그는 줄여서 풍쇄슬래그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제강 풍쇄슬래그는 고로슬래그 또는 전로슬래그를 풍쇄 공정으로 처리함으로써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풍쇄 공정은 일반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송 → 기울임 → 풍쇄 구형화 → 살수 냉각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강 풍쇄슬래그는 Ti-Fe를 약 18∼23 wt% 만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강 풍쇄슬래그의 비중은 약 3.5 이상일 수 있고, 조립률은 약 2.0∼2.5 범위 또는 약 2.0∼3.2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강 풍쇄슬래그가 이중 급냉 처리를 통해 형성된 경우, 그 조립율은 약 2.0∼3.2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강 풍쇄슬래그는 규사 보다 경도가 높고, 흡수율이 낮아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강 풍쇄슬래그는 전로슬래그나 전기로슬래그에 비해 조립률이 약 2.0∼2.5 정도 또는 약 2.0∼3.2 정도로 낮게 나타나고(전로슬래그의 조립률은 3.5∼4.0, 전기로슬래그의 조립률은 3.0∼3.6), 입도 분포가 비교적 균일하며, 각지지 않은 구형의 입형으로 인해 모르타르의 유동성이나 작업성을 우수하게 하고, 비중 3.5 이상의 고밀도임에도 불구하고 낮은 분체량에서도 재료 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제강슬래그를 모르타르의 잔골재로 적용하여 모르타르를 고중량화함으로써 바닥 충격음 감쇄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아울러, 강도 향상, 수축 저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강 풍쇄슬래그는 잔골재의 약 50∼100 vol% 만큼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강 풍쇄슬래그가 잔골재의 100 vo1% 미만으로 적용될 경우, 상기 잔골재에 고로슬래그, 전로슬래그 및 전기로슬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잔골재로 적용된 제강 풍쇄슬래그, 고로슬래그, 전로슬래그 및 전기로슬래그는 '슬래그 잔골재'라 통칭될 수 있다. 상기 잔골재를 전부 제강 풍쇄슬래그로 적용할 때, 소음 감소 효과와 재령별 압축강도가 가장 우수할 수 있으나, 상기 고로슬래그, 전로슬래그 및 전기로슬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일부 혼합하더라도 소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로슬래그와 전기로슬래그를 과량으로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재료 분리, 결합재 증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로슬래그와 전기로슬래그 각각은 잔골재의 약 10 vol% 이하의 범위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로슬래그는 비중이 약 3.6 이상이고, 조립률이 약 3.5∼4.0 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기로슬래그는 비중이 약 3.5 이상이고, 조립률이 약 3.0∼3.6 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결합재는 상기 시멘트 400∼600 중량부, 상기 고로슬래그(미분말) 60∼160 중량부, 상기 플라이애시 60∼160 중량부 및 상기 석고 10∼100 중량부로 조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에서 상기 결합재는 단위 체적(1 m3) 당 550∼750 kg 정도 혼합될 수 있고, 상기 잔골재는 단위 체적(1 m3) 당 1500∼1850 kg 정도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시공시 물(배합수)과 상기 결합재 간 배합 비율(즉, 물/결합재)은 약 40∼65 wt%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은 소정의 유동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화제는, 예를 들어, 폴리카르본산계 화합물, 폴리나프탈렌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리그닌술포네이트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은 상기 유동화제를 단위 체적(1 m3) 당 2∼3 kg 정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해서 모르타르층을 형성할 경우, 약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약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갖는 모르타르층(즉, 상기 고밀도 모르타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밀도 모르타르층을 도 1의 제1 모르타르층(30) 및 제2 모르타르층(40)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모르타르층(40)을 구성하는 조성물에 대한 시험예를 설명한다.
아래 [표 1]은 결합재 720 kg/㎥(시멘트 500 kg/㎥, 고로슬래그 미분말 80 kg/㎥, 플라이애시 80 kg/㎥, 석고 60 kg/㎥), 잔골재(세척사 100%) 1,276kg/㎥ 및 물 320 kg/㎥(물-결합재비 44.4 wt%)을 혼합한 모르타르 조성물의 배합예이다
[표 1]
Figure 112021136400999-pat00001
위 배합의 모르타르 조성물은 곧 시험예1이다.
시험예2 내지 시험예7은 상기 시험예1에서 결합재 배합량과 조성 성
분, 물-결합재비 및 유동화제 첨가량은 고정시키고, 잔골재인 세척사를 슬래그 잔골재(풍쇄 슬래그, 전로 슬래그, 전기로 슬래그)로 치환하는 비율을 다르게 적용한 것이다.
각 시험예별 골재 구성은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세척사를 상기 슬래그 잔골재로 치환하는 비율에 따라 잔골재의 단위중량은 약 1,300~1,700 kg/㎥ 범위에서 변동할 수 있다.
[표 2]
Figure 112021136400999-pat00002
아래, [표 3]은 시험예1 내지 시험예7에 대한 모르타르 플로우, 단위용적중량, 블리딩율 및 재령별 압축강도를 시험한 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모든 시험예에서 블리딩율은 2% 이하로 나타났으며, 시험예5부터 시험예7까지 블리딩율이 1.5%로 감소하였다.
[표 3]
Figure 112021136400999-pat00003
모르타르 플로우는 시험예에 따른 뚜렷한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고, 모든 시험예의 모르타르 플로우는 200~220mm 범위 내에서 측정되었다. 단위용적중량은 슬래그 잔골재 치환율과 선형 비례 관계를 나타낸다. 세척사에서 치환 적용되는 풍쇄 슬래그, 전로 슬래그 및 전기로 슬래그의 비중이 모두 세척사보다 1.3배 이상 크기 때문에 상기 잔골재 치환율이 모르타르 조성물의 단위용적중량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블리딩율은 잔골재 중 풍쇄 슬래그를 70 vol% 이상 적용한 시험예5 내지 시험예7에서 시험예1 내지 시험예4 보다 0.5% 낮게 나타났다. 재령별 압축강도도 역시 슬래그 잔골재 치환율과 선형 비례 관계로 나타났다. 세척사에 비해 치환 적용되는 슬래그 잔골재들의 경도가 높고 흡수율이 낮아 시멘트 페이스트와의 결합력이 증대됨에 따른 현상일 수 있다.
아래 [표 4]는 시험예 적용에 따른 소음 저감효과(dB저감율)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 [참고도 4]는 소음 저감효과 시험을 위한 시험 조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1 내지 시험예7은 아래 [참고도]에 나타낸 40mm 두께의 모르타르 층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시험예1을 적용했을 때의 소음 발생량(상층에서 충격을 가하여 발생하는 진동에 따른 하층의 소음)을 기준으로 시험예3에서도 어느 정도 의미 있는 소음 저감 효과(소음 저감효과 1% 이상)가 나타났으나, 시험예4에서 소음 저감 효과가 큰 폭으로 향상된 임계적인 효과(소음 저감효과 4% 이상)가 나타났으며, 잔골재중 풍쇄슬래그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소음 저감효과가 점차 높게 타나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4]
Figure 112021136400999-pat00004
[참고도]
Figure 112021136400999-pat00005
완충재층(20)은, 예컨대, 약 30∼50 mm 정도의 두께 또는 약 35∼45 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모르타르층(30)은 약 25∼35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2 모르타르층(40)은 약 35∼45 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모르타르층(40)은 제1 모르타르층(30) 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온돌층(50)의 총 두께는, 예컨대, 약 60∼80 mm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두께 조건들을 만족할 때, 층간소음/진동의 저감 효과 및 균열 등의 방지를 위한 강도 확보에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두께 조건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사용하는 자재나 건축 환경에 따라서, 적절한 두께 조건은 소정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100a)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이하, 바닥 구조체)(100a)는 기초 슬래브층(10), 기초 슬래브층(10) 상에 배치된 완충재층(20), 완충재층(20) 상에 배치된 제1 모르타르층(30a) 및 제1 모르타르층(30a) 상에 배치된 제2 모르타르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르타르층(30a) 및 제2 모르타르층(40)은 하나의 온돌층(50a)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기초 슬래브층(10), 완충재층(20) 및 제2 모르타르층(40)은 각각 도 1에서 설명한 기초 슬래브층(10), 완충재층(20) 및 제2 모르타르층(40)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재층(20)은 약 15 Hz 이하의 고유진동수를 가질 수 있고, 제2 모르타르층(40)은 약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약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갖는 고밀도 모르타르층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모르타르층(30a)은 제2 모르타르층(4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단위 중량 및 낮은 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르타르층(30a)의 단위 중량은 약 2000∼2100 kg/m3 정도일 수 있고, 면밀도는 약 60∼84 kg/m2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모르타르층(30a)은 일반적인 모르타르층이거나 그와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모르타르층(30a) 및 제2 모르타르층(40) 중에서 제2 모르타르층(40)만 상기 고밀도 모르타르층으로 구성하더라도, 그에 따른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100b)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이하, 바닥 구조체)(100b)는 기초 슬래브층(10), 기초 슬래브층(10) 상에 배치된 완충재층(20), 완충재층(20) 상에 배치된 제1 모르타르층(30) 및 제1 모르타르층(30) 상에 배치된 제2 모르타르층(4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르타르층(30) 및 제2 모르타르층(40b)은 하나의 온돌층(50b)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기초 슬래브층(10), 완충재층(20) 및 제1 모르타르층(30)은 각각 도 1에서 설명한 기초 슬래브층(10), 완충재층(20) 및 제1 모르타르층(30)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재층(20)은 약 15 Hz 이하의 고유진동수를 가질 수 있고, 제1 모르타르층(30)은 약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약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갖는 고밀도 모르타르층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 모르타르층(40b)은 제1 모르타르층(3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단위 중량 및 낮은 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르타르층(40b)의 단위 중량은 약 2000∼2100 kg/m3 정도일 수 있고, 면밀도는 약 80∼84 kg/m2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모르타르층(40b)은 일반적인 모르타르층이거나 그와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모르타르층(30) 및 제2 모르타르층(40b) 중에서 제1 모르타르층(30)만 상기 고밀도 모르타르층으로 구성하더라도, 그에 따른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닥 구조체(100, 100a, 100b)는 '차음재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의 구조에서 바닥 구조체(100)가 차음재층을 더 포함하는 경우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100c)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닥 구조체(100c)는 완충재층(20)과 제1 모르타르층(30) 사이에 배치된 차음재층(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음재층(25)은 제1 모르타르층(30)의 아래에서 완충재층(20)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음재층(25)은 완충재층(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완충재층(20)을 보호하면서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수지 또는 점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음재층(25)은 고무(rubber), 규사(silica sand)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차음재층(250)은 고무와 규사의 혼합물로 형성되거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차음재층(25)은 약 0.5∼5 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두께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차음재층(25)은 일종의 완충재와 같은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차음재층(25)은 도 2 및 도 3의 바닥 구조체(100a, 100b)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바닥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완충재층(22)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체는 완충재층(22) 내에 분산되어 배치된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재층(22)에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관통홀(H10)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관통홀(H10) 내에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는 상부 구조체들(즉, 온돌층)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하중을 분산하는 서포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실리콘(silicone) 및 고무(rubber)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는 폴리우레탄(PU)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는 볼(ball) 또는 짧은 바(bar) 형상을 갖거나, 이들이 혼합된 형상을 갖거나 이들로부터 변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는 소정의 할로우(hollow)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를 사용하면, 바닥 구조체의 강도를 개선하면서 바닥 구조체의 고유진동수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진동 저감 효과를 향상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고유진동수가 낮은 완충재층(22)에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를 적용함으로써, 완충재층(22) 전체의 지지 성능 및 강도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바닥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완충재층(22) 내에 구비된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완충재층(22)은 그 전체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완충재층(22) 내에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는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5)의 분포 밀도는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에 대한 바닥 충격음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에서 '실시예 구조'는 도 1의 구조를 갖되, 완충재층에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가 구비된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도 7에는 비교를 위해 맨슬래브층에 대한 바닥 충격음 테스트 결과도 포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 구조의 경우, 맨슬래브층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바닥 충격음 저감 효과가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63 Hz 대역에서 중량 충격음의 저감 효과도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맨슬래브층 대비 약 10 dB 이상 또는 약 15 dB 이상 충격음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낮은 고유진동수를 갖는 완충재층을 사용하면서 아울러 고밀도/고중량을 갖는 모르타르층(온돌층)을 적용함으로써, 바닥층의 강도 및 견고성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층간소음 저감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11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110)는 기초 슬래브층(1), 기초 슬래브층(1) 상에 배치된 완충재층(2), 완충재층(2) 상에 배치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3) 및 경량기포 콘크리트층(3) 상에 배치된 마감 모르타르층(4)을 포함할 수 있다.
경량기포 콘크리트층(3)의 단위 중량은 600 kg/m3 정도일 수 있고, 마감 모르타르층(4)의 단위 중량은 2000∼2100 kg/m3 정도일 수 있다. 또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3)과 마감 모르타르층(4)으로 구성된 온돌층의 평균 면밀도(단위 면적당 중량)는 98∼102 kg/m2 정도일 수 있다.
도 8과 같은 비교예에 따른 구조의 경우, 63 Hz 대역에서의 소음 발생/증폭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에 대한 바닥 충격음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에서 '비교예 구조'는 도 8의 구조를 갖되, 완충재층에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가 구비된 경우에 해당한다. 즉, 완충재층의 구성은 도 7의 실시예 구조와 동일하였고, 온돌층의 구성에서 도 7의 실시예 구조와 차이를 갖는다. 도 9에는 비교를 위해 맨슬래브층에 대한 바닥 충격음 테스트 결과도 포함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 구조의 경우, 맨슬래브층과 비교하여, 바닥 충격음 저감 효과가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63 Hz 대역에서 중량 충격음의 저감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도 7의 실시예 구조에 대한 결과와 비교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된 사상 및 그 효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온돌층의 면밀도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 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두 가지 타입의 바닥 구조체에 대해서 온돌층의 면밀도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 성능을 평가한 결과, 온돌층의 면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돌층의 면밀도는 약 161 kg/m2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량충격음 1등급을 만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된 사상 및 그 효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1-자유도 감쇠계의 강제진동에 의한 진동 전달률을 평가한 결과로서,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된 결과는 ISO 12354-2에 따른 이론적 평가 결과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진동 주파수비가 약 2.5 이상 확보될 때, 약 10 dB 정도의 소음 저감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의 결과로부터, 낮은 고유진동수를 갖는 바닥 구조체에서 온돌층의 면밀도(중량/질량)가 약 161 kg/m2 이상으로 증가함으로써 층간소음 저감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1 비교예에서는 기초 슬래브층 상에 완충재층과 기포 콘크리트층 및 모르타르층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제2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2 비교예에서는 기초 슬래브층 상에 완충재층과 기포 콘크리트층 및 모르타르층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된 완충재층은 PET와 PU가 복합된 구조일 수 있고, 기포 콘크리트층은 고강도 콘크리트층일 수 있다. 상기 PU는 탄성체(탄성 방진부재)로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제3 비교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3 비교예에서는 기초 슬래브층 상에 완충재층과 제1 일반밀도 모르타르층 및 제2 일반밀도 모르타르층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된 완충재층은 PET와 PU가 복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PU는 탄성체(탄성 방진부재)로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초 슬래브층 상에 완충재층과 제1 고밀도 모르타르층 및 제2 고밀도 모르타르층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된 완충재층은 PET와 PU가 복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PU는 탄성체(탄성 방진부재)로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제1 비교예(도 12), 상기 제2 비교예(도 13), 상기 제3 비교예(도 14) 및 상기 실시예(도 15)에 따른 바닥 구조체의 시공시 층간소음(중량충격음) 차단 성능과 면밀도(온돌층의 면밀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온돌층의 무게가 가장 무거운 경우가 상기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비교예들에 따른 바닥 구조체를 적용할 경우, 중량충격음 테스트에서 1등급 확보가 어렵지만,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바닥 구조체의 경우 중량충격음 테스트에서 1등급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시공하고 이를 평가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초 슬래브층 상에 완충재층을 설치하고, 그 위에 1차 고밀도 모르타르층을 타설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밀도 모르타르층 상에 클립바 및 난방배관을 시공할 수 있고, 그 위에 2차 고밀도 모르타르층을 타설할 수 있다. 이렇게 시공된 바닥 구조체에 대하여 층간소음 차단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의 시공 과정은 예시적인 것이고,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약 30 Hz 이하 또는 약 20 Hz 이하의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를 확보함으로써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낮은 고유진동수를 갖는 완충재층을 사용하면서도 바닥층의 강도 및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는 바닥 충격음 관련 평가 등급에서 1등급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건축용 바닥 구조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5 : 탄성 방진부재 10 : 기초 슬래브층
20, 22 : 완충재층 25 : 차음재층
30, 30a : 제1 모르타르층 40, 40b : 제2 모르타르층
50∼50b : 온돌층 100∼100c : 건축용 바닥 구조체

Claims (14)

  1. 기초 슬래브층;
    상기 기초 슬래브층 상에 배치되는 완충재층;
    상기 완충재층 상에 배치된 제1 모르타르층; 및
    상기 제1 모르타르층 상에 배치된 제2 모르타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 중 적어도 하나는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 중 상기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상기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모르타르층은 시멘트, 고로슬래그(blast furnace slag), 플라이애시(fly ash) 및 석고가 혼합된 결합재; 및 제강슬래그를 포함하는 잔골재;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제강슬래그는 제강 풍쇄슬래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강 풍쇄슬래그는 Ti-Fe를 18∼23 wt% 만큼 함유하는 것이며, 상기 제강 풍쇄슬래그는 상기 잔골재의 50∼100 vol% 만큼 적용되고,
    상기 결합재는 상기 시멘트 400∼600 중량부; 상기 고로슬래그 60∼160 중량부; 상기 플라이애시 60∼160 중량부 및 상기 석고 10∼100 중량부로 조성된, 건축용 바닥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모르타르층 각각은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갖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은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갖고,
    상기 제1 모르타르층은 상기 제2 모르타르층 보다 낮은 단위 중량 및 낮은 면밀도를 갖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르타르층은 2300 kg/m3 이상의 단위 중량 및 161 kg/m2 이상의 면밀도를 갖고,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은 상기 제1 모르타르층 보다 낮은 단위 중량 및 낮은 면밀도를 갖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중량은 2300∼2800 kg/m3 범위이고, 상기 면밀도는 161∼196 kg/m2 범위인 건축용 바닥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르타르층은 25∼35 mm 범위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은 35∼45 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모르타르층은 상기 제1 모르타르층 보다 큰 두께를 갖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포함하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층 내에 분산되어 배치된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방진부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포함하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층은 30∼50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바닥 구조체는 30 Hz 이하의 고유진동수를 갖는 건축용 바닥 구조체.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강슬래그의 비중은 3.5 이상이고, 조립률은 2.0∼2.5 범위인 건축용 바닥 구조체.
  14. 삭제
KR1020210164442A 2021-11-25 2021-11-25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KR102546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442A KR102546523B1 (ko) 2021-11-25 2021-11-25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442A KR102546523B1 (ko) 2021-11-25 2021-11-25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792A KR20230077792A (ko) 2023-06-02
KR102546523B1 true KR102546523B1 (ko) 2023-06-22

Family

ID=8675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442A KR102546523B1 (ko) 2021-11-25 2021-11-25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5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08Y1 (ko) * 2004-11-03 2005-02-03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JP2006045048A (ja) * 2004-06-30 2006-02-16 Jfe Mineral Co Ltd 製鋼スラグ固化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48256B1 (ko) * 2021-01-12 2021-05-06 현대건설주식회사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032B1 (ko) * 2014-08-11 2021-10-08 (주)유진에코씨엘 고강도 중량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5048A (ja) * 2004-06-30 2006-02-16 Jfe Mineral Co Ltd 製鋼スラグ固化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74808Y1 (ko) * 2004-11-03 2005-02-03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KR102248256B1 (ko) * 2021-01-12 2021-05-06 현대건설주식회사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792A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352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US9157242B2 (en) Building materials,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0788746B1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CN105060815A (zh) 一种整体隔声楼板用水泥基隔声找平胶粘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87212B1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충격음 흡수 패널
KR102447340B1 (ko) 바닥용 고중량 모르타르 조성물
CN108249833A (zh) 一种高阻尼混凝土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546523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체
KR100272858B1 (ko) 바닥충격음 저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93404B1 (ko) 실란 화합물의 가수 축합반응으로 제조되는 poss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구조물
TWM624574U (zh) 地板結構
WO2020208401A1 (en) Dry powder composition, composite and method for attenuating impact noise in a building
KR102449966B1 (ko) 페로니켈 슬래그를 활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무경화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건물 바닥구조 및 그 시공 공법
KR102522392B1 (ko) 합성수지 경량자재를 포함하는 경화되지 않는 충진층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온돌바닥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10407534B (zh) 一种核壳结构的隔音砂浆及其制备方法
KR101786165B1 (ko) 층간 소음 차단 성능이 우수한 다공성 폴리우레탄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물의 바닥 구조
KR10249582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
KR20090076747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CN104671718A (zh) 一种减振隔声砂浆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716665B1 (ko)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20090088209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KR101985571B1 (ko) 소음 및 진동 저감형 철근 시스템
KR102436683B1 (ko) 건물 기계실의 방진구조
KR102302993B1 (ko) 층간소음 방지층 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층간소음 방지층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