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502B1 - 압력센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502B1
KR102543502B1 KR1020160152954A KR20160152954A KR102543502B1 KR 102543502 B1 KR102543502 B1 KR 102543502B1 KR 1020160152954 A KR1020160152954 A KR 1020160152954A KR 20160152954 A KR20160152954 A KR 20160152954A KR 102543502 B1 KR102543502 B1 KR 102543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astening
pressure sensor
lever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290A (ko
Inventor
장철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5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38Fluidic connecting means being part of the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내외부 사이의 신호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부(12)가 구비되고 내부에 터미널(T)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10)과, 상기 제1하우징(10)과 결합하여 내부에 차폐된 내부공간(14')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14')과 측정공간을 연통하여 상기 측정공간의 압력변화를 전하는 유체유로(39')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30)과, 상기 내부공간(14')에 설치되어 측정공간의 압력변화를 상기 유체유로(39')를 통해 전달받아 검출하는 검지소자와, 체결수단(35)을 포함한다. 체결수단(35)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10)의 체결홀(S)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다수개의 체결레버(35A~35C)가 서로 이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센서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에 다수개의 체결레버(35A~35C)가 구비되어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체결레버(35A~35C)의 탄성변형을 통해 두 하우징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정장소에 고정되어 측정장소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압력변화를 검출하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동차에서 자동차 주변의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압력의 변화로 검출하여 필요한 동작을 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압력센서가 있다. 이는 운전자 및 동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자동차에 발생된 충격을 압력변화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감지소자까지 연결되는 유체유로가 있다. 이 유체유로에서 유체의 압력이 누설됨이 없이 감지소자까지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탄성재질의 가스켓이나 시일 등을 사용하게 된다.
즉, 압력센서는 유체의 압력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하우징을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고,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커버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단순한 구조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구조는 압력누설 방지에는 유리하지만, 사출성형을 통해 세밀한 구조를 만들기 어렵다.
반대로, 하우징을 두 개의 부품으로 만들면 세밀한 내부구조의 설계가 가능하지만 두 하우징 사이의 밀폐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두 하우징 사이의 체결력을 높이는 방식을 택할 수 있으나, 이는 고장이나 부품교체를 위해 압력센서를 분해하기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하우징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체결부위가 부러지거나, 매우 큰 분리력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하우징을 분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소한 부분에서 제조상 오류가 발생해도 압력센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품 외면에 제품번호나 생산자 등을 표시하는 작업과 같이 사소한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해도 압력센서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981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483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센서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두 부품 사이의 체결력을 높임과 동시에, 두 부품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외부 사이의 신호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차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과 측정공간을 연통하여 상기 측정공간의 압력변화를 전하는 유체유로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측정공간의 압력변화를 상기 유체유로를 통해 전달받아 검출하는 검지소자와, 상기 제2하우징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측정공간에서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과,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다수개의 체결레버가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서로 이격된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에 걸리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커넥터부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제2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레버 및 제2체결레버와, 상기 커넥터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제2하우징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3체결레버로 구성된다.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 가장자리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걸림이 해제된다.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됨으로써 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 주변에는 상기 파지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간섭회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에서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밀착편이 돌출되고, 상기 밀착편은 상기 체결홀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체결력을 높인다.
상기 밀착편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홀 내면을 향해 밀착리브가 돌출된다.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는 서로 대응하는 조립채널 및 조립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조립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가스켓은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측정공간과 제2하우징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외부가스켓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유체유로 주변을 감싸 유체유로와 감지소자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내부가스켓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소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유체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부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체결되면 상기 감지소자에 상기 터미널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센서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다수개의 체결레버가 구비되어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통해 두 하우징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압력센서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쉬운 분리를 통해 일부 부품의 이상 발생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대커넥터와의 결합과정에서 외력이 쉽게 가해지는 커넥터부의 반대편에도 체결레버가 배치되어 체결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체결레버를 작업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여 쉽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배치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회로기판이 생략되고, 감지소자와 터미널이 직접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줄어든다.
특히, 감지소자 및 터미널은 두 하우징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탄성접촉되므로, 조립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반대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각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I-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II-II' 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는 차량의 내부 등과 같은 측정공간에 설치되어, 그 부분의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된 압력이 전기적 신호로 전달되면 차량에서 적절한 대응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발생된 충격을 압력변화로 감지하여 에어백이 터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크게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에 의해 그 골격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결합하여 하나의 압력센서를 구성한다.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라는 명칭은 임의로 정한 것이고,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순서가 바뀌거나 커버, 몸체 등 다양한 명칭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결합되면 그 내부에 내부공간(14',30')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검지소자와 터미널(T) 등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14',30')은 외부로부터 차폐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체결수단(35)을 통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체결력을 높인다.
제1하우징(10)에 대해 설명하면,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하우징(10)은 대략 링형태의 외곽몸체(11)를 가지고 있고, 외곽몸체(11)의 일측에는 커넥터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부(12)는 상대커넥터(미도시)와 결합되어 검지소자에 검지된 압력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부(12)의 연결공간(12')에는 터미널(T)의 일부가 돌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메인몸체부(14)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몸체는 외곽몸체(11)에 의해 둘러진 제1하우징(1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이고, 내부공간(14')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부(14)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터미널(T)의 일부가 위치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터미널(T)은 제1하우징(10)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데, 후술할 터미널(T)의 탄성접촉부(T')가 내부공간(14')에 위치하여 감지소자(60)와 탄성접촉된다.
제1하우징(10)의 저면 구성을 보인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메인몸체부(14)와 외곽몸체(11) 사이에는 다수개의 체결홀(S)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S)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30)의 체결수단(35)과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체결수단(35)의 적어도 일부가 체결홀(S)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된다.
상기 체결홀(S)은 제1체결홀(S1)과 제2체결홀(S2)로 나눌 수 있는데, 제1체결홀(S1)은 체결수단(35)이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2체결홀(S2)은 제2하우징(30)의 밀착편(33)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들 제1체결홀(S1)과 제2체결홀(S2)은 메인몸체부(14)와 외곽몸체(11) 사이에 서로 번갈아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체결홀(S1)은 총 3개이고, 제2체결홀(S2)은 총 4개이다. 3개의 제1체결홀(S1)은 메인몸체부(14)를 중심으로 서로 9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1체결홀(S1)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는 상기 커넥터부(12)가 있다.
상기 체결홀(S)에는 걸림단(16)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단(16)에는 체결수단(35)이 걸린다. 보다 정확하게는 체결수단(35)을 구성하는 체결레버(35A~35C)가 제1체결홀(S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되면 체결레버(35A~35C)의 체결돌부(36)가 상기 걸림단(16)에 걸린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인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림단(16)에는 경사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16')가 하향 경사진 형태이기 때문에 체결레버(35A~35C)가 제1체결홀(S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체결돌부(36)가 경사부(16')를 타고 넘으면서 체결레버(35A~35C)가 쉽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체결돌부(36) 역시 경사부(16')와 대응하도록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홀(S1)에는 간섭회피부(17A~17C)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17A~17C)는 제1체결홀(S1) 주변이 요입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간섭회피부(17A~17C)는 제1체결홀(S1)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된 체결레버(35A~35C)의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체결레버(35A~35C)를 파지하여 이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간섭회피부(17A~17C)는 각 제1체결홀(S1) 마다 형성되므로, 제1회피부 내지 제3회피부(17A~17C)로 구성된다. 참고로 도 1에는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가 간섭회피부(17A~17C)를 통해 외부로 드러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조립채널(19)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채널(19)은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조립방향을 따라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메인몸체부(14)의 외면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립채널(19)은 제2하우징(30)의 조립바(34)에 대응하여,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제2하우징(30)에 대해 설명하면, 도 3에서 보듯이 제2하우징(30)은 하우징몸체가 그 골격을 형성하고, 양쪽에는 장착편(31)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편(31)은 압력센서를 자동차의 고정부, 예를 들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편(31)을 관통하여서는 장착공(31')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31')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통과하여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2하우징(30)의 저면구조가 나와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제2하우징(30)의 하우징몸체 중심은 안쪽으로 요입되어 내부공간(30', 도 6참조)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바닥에는 체결가이드(3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가이드(32)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결합되면 제1하우징(10)의 내부공간(14')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내부공간(30')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가이드(32)의 중심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몸체(39)가 위치한다.
상기 제2하우징(30)의 하우징몸체에는 다수개의 밀착편(33)이 구비된다. 상기 밀착편(33)은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2체결홀(S2)에 삽입되어 제2체결홀(S2)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것으로, 도 5에 보는 바와 같이 제2하우징(30)의 하우징몸체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돌출된다. 상기 밀착편(33)에는 밀착리브(33')가 돌출되는데, 상기 밀착리브(33')는 제2체결홀(S2)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실질적으로 제2체결홀(S2)에 접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밀착편(33)으로 인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 사이의 체결이 보다 견고해지고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체결수단(35)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35)은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 사이의 조리을 위한 것으로, 제1체결홀(S1)에 삽입되어 걸린다. 상기 체결수단(35)은 다수개의 체결레버(35A~35C)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로 구성된다.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는 외팔보 형태로 구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체결수단(35)은 서로 이격된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로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10)의 체결홀(S)에 걸리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수단(35)은 서로 이격된 3개의 체결레버(35A~35C)를 통해 체결력을 높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수단(35)에 의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은 제1체결부(A), 제2체결부(B) 및 제3체결부(C)를 갖는다. 제1체결부 내지 제3체결부(A~C)에서 각각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체결이 이루어져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체결수단(35)은 상기 커넥터부(12)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제2하우징(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레버(35A) 및 제2체결레버(35B)와, 상기 커넥터부(12)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제2하우징(30)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3체결레버(35C)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부(12)가 구비된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90도 간격으로 총 세 개의 체결레버(35A~35C)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커넥터부(12)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커넥터부(12)가 외력에 의해 들리거나 눌리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결합부위에 강한 분리력이 가해진다. 하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커넥터부(12)가 연장된 위치를 제외하고 3개의 체결레버(35A~35C)가 제2하우징(30)을 둘러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분리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고, 압력센서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부(12)가 외력이 작용하면 가장 큰 토크가 가해지는 반대위치, 즉 제3체결부(C)에도 제3체결레버(35C)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외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다.
도 6에서 체결수단(35)이 걸린 상태를 보면, 상기 체결레버(35A~35C)에는 체결돌부(36)가 구비되어 제1체결홀(S1)의 걸림단(16)에 걸린다. 따라서 제2하우징(30)은 제1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도 6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체결돌부(36)의 외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걸림단(16)의 경사부(16')를 타고 넘으면서 체결레버(35A~35C)의 탄성변형을 유도한다.
한편, 도 1과 같이,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체결홀(S1)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됨으로써 파지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홀(S1) 주변에는 앞서 설명한 간섭회피부(17A~17C)가 있으므로, 작업자는 쉽게 파지부를 파지하여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가 탄성변형되면 체결돌부(36)가 걸림단(16)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조립바(34)가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10)의 조립채널(19)에 끼워진다. 상기 조립바(34)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조립과정에서 조립채널(19)에 삽입됨으로써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입구후드(37)가 있다. 상기 입구후드(37)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입구후드(37) 안쪽에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공간(30')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유체유로(39')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후드(37)는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유체유로(39')의 입구(38)가 있다. 상기 입구(38)를 통해 유체가 상기 유체유로(39')로 전달되어 압력변화를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소자(60)가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체유로(39')는 제2하우징(30)의 유로몸체(39)를 따라 형성된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유로몸체(39)는 제2하우징(30)의 내부공간(30') 쪽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중심에 유체유로(39')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몸체(39)는 후술할 가스켓(40)의 내부가스켓부(45)에 의해 감싸지고, 이를 통해 유체유로(39')와 감지소자(60) 사이의 압력누설이 방지된다. 참고로 도 6 및 도 7은 단면각도상 유로몸체(39)에 유체유로(39')가 드러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가스켓(40)이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40)은 밀폐를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스켓(40)은 제2하우징(30)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가스켓(40)은 제2하우징(30)과 다른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상대적으로 탄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가스켓(40)은 외부가스켓부(41) 및 내부가스켓부(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가스켓부(41)과 내부가스켓부(45)은 연결부(43)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데, 외부가스켓부(41)은 제2하우징(30)의 바깥쪽으로 일부 노출되지만 내부가스켓부(45)은 내부공간(30')에 위치하여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외부가스켓부(41)은 상기 입구후드(37)의 주변을 둘러 위치되어 상기 유체유로(39')에서 유체의 압력이 누설되지 않고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외부가스켓부(41)은 고정부인 패널의 표면에 밀착되어 유체의 압력이 누설되지 않고 상기 입구(38)를 통해 유체유로(39')로 유체의 압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도면부호 47은 제2하우징(30)과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한 걸림돌부이다.
내부가스켓부(45)은 상기 유로몸체(39)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유로(39')의 출구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가스켓부(45)은 상기 외부가스켓부(41)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내부가스켓부(45)은 상기 유체유로(39')와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소자(60)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30')에는 감지소자(60)가 설치된다. 상기 감지소자(60)는 제2하우징(30)의 유로몸체(39)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데, 감지소자(60) 가장자리가 제2하우징(30)의 내부공간(30') 내측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가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감지소자(60)는 상기 감지소자(60)는 압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감지소자(60)는 일측 표면이 상기 내측가스켓(40)의 선단에 밀착되어 감지소자(60)의 감지부분이 상기 유체유로(39')와 연통되고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다. 상기 감지소자(60)의 감지부분이 상기 유체유로(39')와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소자(60)는 압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별도의 회로기판이 생략되고 감지소자(60)가 직접 터미널(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터미널(T)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T)은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소자(60)와 커넥터부(12)를 통해 결합되는 외부커넥터 사이를 연결한다. 이를 통해 감지소자(60)의 전기신호를 외부커넥터를 통해 자동차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T)은 제1하우징(10)에 인서트사출되는데, 일부는 커넥터부(12)에 위치되고, 나머지는 내부공간(14')에 위치하여 상기 감지소자(60)와 접한다. 상기 터미널(T)에는 탄성접촉부(T')가 구비되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감지소자(60)와 탄성접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상기 제1하우징(10) 및 제2하우징(30)을 사출성형하는데, 이때 제1하우징(10)에는 터미널(T)이, 제2하우징(30)에는 가스켓(40)이 인서트사출되어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가스켓(40)을 구성하는 내부가스켓부(45)은 내부공간(14')에 위치하지만 외부가스켓부(41)은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드러난다.
이 상태에서 제2하우징(30)에는 감지소자(60)가가 가조립된다. 상기 감지소자(60)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유로몸체(39)의 유체유로(39')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조립되는데, 예를 들어 압입을 통해 제2하우징(30)의 내부공간(30') 안쪽에 가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서로 조립된다. 조립과정에서 제2하우징(30)의 조립바(34)가 제1하우징(10)의 조립채널(19)에 삽입되므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 조립방향이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조립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하우징(10)의 제1체결홀(S1)에는 제2하우징(30)의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가 삽입되도록 방향을 맞추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가까워지면 3개의 제1체결홀(S1)에는 각각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가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에 각각 구비된 체결돌부(36)는 제1체결홀(S1)의 걸림단(16), 보다 정확하게는 걸림단(16)의 경사부(16')를 타고 넘게 되고, 이때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는 자연스럽게 걸림단(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완전히 결합되면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는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체결돌부(36)가 걸림단(16)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하우징(30)의 밀착편(33)은 제2체결홀(S2)에 삽입되어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밀착편(33)에 돌출된 밀착리브(33')는 제2체결홀(S2)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실질적으로 제2체결홀(S2)에 내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밀착편(33)으로 인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 사이의 체결이 보다 견고해지고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이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감지소자(60)는 터미널(T)의 탄성접촉부(T')에 밀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회로기판이 불필요 할 뿐 아니라, 터미널(T)과 감지소자(60)를 접촉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조립이 완성된 압력센서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상기 장착편(31)이 체결구에 의해 자동차의 고정부인 패널에 고정됨에 의해 고정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하우징(30)의 입구후드(37)가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공간 내에 위치된다.
상기 압력센서의 커넥터부(12)는 자동차의 제어부와 연결된 상대 커넥터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부(12)에 상대커넥터가 장착되어 압력센서가 제어부와 연결된 상태가 되면, 상기 압력센서는 압력변화의 감지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압력센서가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 자동차에 해당되는 부분에 작용하면 상기 유체유로(39')와 연통된 공간의 압력이 변하면서, 상기 압력변화가 상기 유체유로(39')를 통해 상기 감지소자(60)로 전달되어 감지된다. 상기 감지소자(60)를 통해 감지된 압력변화는 상기 상대 커넥터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되어 이후의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부(12)가 구비된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90도 간격으로 총 세 개의 체결부가 구비된다. 커넥터부(12)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커넥터부(12)가 외력에 의해 들리거나 눌리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의 결합부위에 강한 분리력이 가해지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커넥터부(12)가 연장된 위치를 제외하고 3개의 체결부가 제2하우징(30)을 둘러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분리력에 충분히 대항할 수 있고, 압력센서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압력센서를 분리하는 작업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가 탄성변형되면서 체결돌부(36)가 걸림단(16)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을 분리할 수 있다. 작업자는 한 손으로 충분히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35A~35C)를 동시에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쉽게 분리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하우징 11: 외곽몸체
12: 커넥터부 14: 메인몸체부
16: 걸림단 17A~17C: 간섭회피부
19: 조립채널 30: 제2하우징
31: 장착편 32: 체결가이드
33: 밀착편 35: 체결수단
35A: 제1체결레버 35B: 제2체결레버
35C: 제3체결레버 36: 체결돌부
37: 입구후드 39: 유로몸체
39': 유체유로 40: 가스켓
41: 외부가스켓부 45: 내부가스켓부
60: 감지소자 S: 체결홀
S1: 제1체결홀 S2: 제2체결홀
T: 터미널 T': 탄성접촉부

Claims (11)

  1. 내외부 사이의 신호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차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과 측정공간을 연통하여 상기 측정공간의 압력변화를 전하는 유체유로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측정공간의 압력변화를 상기 유체유로를 통해 전달받아 검출하는 검지소자와,
    상기 제2하우징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측정공간에서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가스켓과,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다수개의 체결레버가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는 서로 대응하는 조립채널 및 조립바가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압력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서로 이격된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에 걸리거나 분리될 수 있는 압력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커넥터부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제2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체결레버 및 제2체결레버와,
    상기 커넥터부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제2하우징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3체결레버로 구성되는 압력센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는 상기 제1하우징의 체결홀 가장자리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걸림이 해제되는 압력센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됨으로써 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 주변에는 상기 파지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간섭회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는 압력센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서 상기 제1체결레버 내지 제3체결레버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밀착편이 돌출되고, 상기 밀착편은 상기 체결홀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체결력을 높이는 압력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편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홀 내면을 향해 밀착리브가 돌출되는 압력센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측정공간과 제2하우징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외부가스켓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유체유로 주변을 감싸 유체유로와 검지소자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내부가스켓부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소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유체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부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체결되면 상기 검지소자에 상기 터미널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압력센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탄성접촉부가 구비되어 상기 검지소자에 탄성접촉되는 압력센서.










KR1020160152954A 2016-11-16 2016-11-16 압력센서 KR102543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54A KR102543502B1 (ko) 2016-11-16 2016-11-16 압력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54A KR102543502B1 (ko) 2016-11-16 2016-11-16 압력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90A KR20180055290A (ko) 2018-05-25
KR102543502B1 true KR102543502B1 (ko) 2023-06-14

Family

ID=6229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954A KR102543502B1 (ko) 2016-11-16 2016-11-16 압력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6657B1 (ko) 2019-08-13 2024-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5460B2 (ja) * 2007-08-08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圧力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811A (ko) 2014-08-12 2016-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압력식 측면 충돌 센서
KR102277840B1 (ko) 2015-03-25 2021-07-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5460B2 (ja) * 2007-08-08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圧力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90A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004B2 (en) Vehicle sensor
US8210037B2 (en) Sensor module with a housing which may be mounted on a wall
TWI674398B (zh) 物理量測定裝置及其製造方法
KR102543502B1 (ko) 압력센서
US20130128032A1 (en) System and method to verify complete connection of two connectors
KR102277840B1 (ko) 압력센서
US8074523B2 (en) Air pressure sensor with means for hook fastening
US8915130B1 (en) Battery-replaceable tire pressure sensor
US20130210256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6127009B2 (ja) 物理量測定装置
JP2014108648A (ja) 車両用電子制御ユニット
US20140335713A1 (en) Connector
JP5661087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インサート成形装置
CN112005084A (zh) 用于一传感器的罩盖设置以及一车辆用行人保护传感器
KR102590859B1 (ko) 압력센서
KR102002286B1 (ko) 센서장치
KR101969460B1 (ko) 센서장치
KR20190001306U (ko) 온도 센서 고정구조를 갖는 충전용 커넥터
US9935397B2 (en) Electrical device and connection arrangement including an electrical device
EP2857229A1 (en) Battery-replacable tire pressure sensor
CN213422510U (zh) 传感器单元
US20240151602A1 (en) Hook and snap pressure sensor assembly
CN213422509U (zh) 传感器单元
JP5784389B2 (ja) 異物検知センサの取付構造
JP6701851B2 (ja) 油圧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