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052B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052B1
KR102541052B1 KR1020170163913A KR20170163913A KR102541052B1 KR 102541052 B1 KR102541052 B1 KR 102541052B1 KR 1020170163913 A KR1020170163913 A KR 1020170163913A KR 20170163913 A KR20170163913 A KR 20170163913A KR 102541052 B1 KR102541052 B1 KR 10254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lining
nose
sha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754A (ko
Inventor
허환
김금옥
원정희
이상민
이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16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0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으며 안감의 표면에 엠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엠보 형상 또는 엠보 형상과 홀을 포함하고, 저밀도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안감을 포함함으로써, 착용자가 안면 화장 후 마스크를 착용 시 화장이 묻어나는 것을 개선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함께 중국의 산업화에 따른 화석연료의 연소 증가로 국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늘어나고 있어 미세먼지로의 노출이 가중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다량의 유독성 화합물과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람이 흡입하면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의 질병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수도권에서만 미세먼지로 인하여 연간 2만 여명의 조기사망과 폐 관련 질환이 발생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인체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이나 최근 국내에 유행하였던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감기 등을 유발하는 전염성 병균으로부터 감염 또는 전염을 막기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 등의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와, 착용자에게 마스크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하는 귀걸이부로 구성된다. 일부 마스크에서는 착용시 편안함이나 마스크와 안면의 밀착을 높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코를 덮는 코부와 턱을 감싸는 턱부가 구분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평면형태로 접혀 보관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제작되고, 착용 시 형상이 입체적으로 변형되면서 호흡기관 주변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코나 입과 마스크 사이에 충분한 호흡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여러 구조가 사용되었다.
종래의 마스크는, 안면 화장을 한 사용자가 착용 시 피부와 마스크와의 접촉 또는 마찰에 의하여 안면에 있던 파운데이션 등 화장이 마스크의 내측에 묻어나, 화장이 쉽게 지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크의 내부 표면을 방습 및 방유 처리제로 처리하거나, 마스크 중앙 부위에 고정 지지체를 삽입하여 화장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한 마스크들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방습 및 방유제를 사용한 마스크는 화학물질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에 의해 그 사용에 한계가 있었으며, 상기 고정 지지체를 삽입한 마스크는 화장이 가장 많이 묻어나는 코 및 볼 부위의 화장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어, 안면의 화장이 지워지는 단점을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제10-2016-009606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면의 화장이 마스크에 쉽게 묻어나지 않아 마스크 착용에 불구하고 안면 화장을 유지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 마스크로서, 안감의 표면에 엠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감은 저밀도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밀도 부직포는 0.001g/cm3 내지 0.095g/cm3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밀도 부직포는 10gsm 내지 15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밀도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나일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감의 표면에 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의 안감의 표면에 엠보 형상, 또는 엠보 형상과 홀을 포함하고, 저밀도의 부직포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자가 착용 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마스크 안감의 면적을 감소시켜, 착용자의 안면에 존재하는 화장물이 마스크에 묻어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본체부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안감의 표면 패턴(엠보 형상 포함)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4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안감의 표면 패턴(엠보 형상 및 홀 포함)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본체부(10), 고정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다. 본체부(10)는 접히지 않는 상태로 사용되거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접힐 수 있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부(10)가 접히는 경우 마스크(1)는 평평한 상태가 되어 보관이 편리해질 수 있다.
본체부(10)는, 코부(11), 입부(12), 턱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코부(11)는 본체부(10)의 상변을 이루며 사용자의 코를 덮는 부분으로, 좌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마스크(1)가 접힌 상태로 보관되었다가 양측이 펴지면, 코부(11)가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펼쳐지면서 사용자의 콧날과 좌우 부분을 덮으면서 얼굴에 밀착되어,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코부(11)는 콧날을 덮으면서 코 주변의 얼굴에 밀착되기 위해, 단순한 산 모양이 아닌, 곡선인 언덕 모양을 가짐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코부(11)가 이러한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코부(11)에는 강선(111)이 마련될 수 있다.
강선(111)은 코부(11)의 상변에 마련되거나 또는 상변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고, 철,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된 금속심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제작될 수 있지만, 강선(111)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강선(111)은 좌우 대칭되도록 마련되며, 외부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경되면 변경된 형상을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부(10)를 펼쳐 코부(11)를 콧날에 댄 후, 콧날 좌우에 인접한 강선(111)을 눌러 변형시켜서, 강선(111)이 콧날 주변의 얼굴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변형된 강선(111)에 의해 코부(11)가 얼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코부(11)의 내면에는 코스펀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강선(11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코스펀지는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선(111)과 안면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부(12)는, 코부(11)의 아래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입을 덮는다. 입부(12)는 사용자의 입과 볼 등을 덮기 위해 코부(11)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며, 입부(12)의 양측에는 고정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고정부(20)는 입부(12)와 코부(11)에 걸쳐서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입부(12)는 코부(11)와 별도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각 조각의 경계에서 융착부(121)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코부(11)와 경계선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융착부(121)가 마련되는 경우, 융착부(121)는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레이어들을 선 등의 형태로 융착하여 그 형태가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중앙에서 양측을 향하면서 아래로 경사진 선 형태로 융착된 부분일 수 있으며, 융착부(121)는 본체부(10)가 펼쳐질 때, 절곡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체부(10)가 펼쳐지면 융착부(121)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둔각을 이루도록 펼쳐지며, 이 경우 본체부(10)가 볼 윗부분과 충분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즉 융착부(121)는, 본체부(10)가 펼쳐지면 호흡기의 전방에 호흡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융착부(121)는, 좌우 중심에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융착부(121)는 좌우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이는 본체부(10)가 평평하게 접힐 때 융착부(121)에 의해 접힘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융착부(121)는 입부(12)에 마련될 수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입부(12)와 코부(11)의 경계선에 마련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으며, 입부(12)와 코부(11)의 경계 좌우에 각각 마련되어 한 쌍으로 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융착부(121)는, 본체부(10)가 펼쳐져 호흡기에 고정될 때 호흡기와 본체부(10) 사이의 호흡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나 배치도 가능하다.
턱부(13)는, 입부(12)의 아래에 마련되어 본체부(10)의 하변을 이루며 사용자의 턱을 감싼다. 턱부(13)와 입부(12) 및 코부(11)는 모두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입부(12)와 턱부(13)는 경계선에 의해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턱부(13)와 입부(12) 사이에는 융착부(121)가 마련되거나 마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융착부(121)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 턱부(13)와 입부(12)는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도록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다.
코부(11)와 입부(12) 및 턱부(13)를 포함하는 본체부(10)는 코부(11)나 턱부(13) 등을 생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는 코부(11)와 입부(12) 및 턱부(13)가 개별적으로 마련된 후 조립되거나, 또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상기에서 언급한 구조 외에도, 입체적인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든 채용이 가능하다. 일례로 본체부(10)는 가로 방향의 주름이 접힌 평면 형태를 갖고 있다가, 주름이 위아래로 펴지면서 입체적인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는 본체부(10)는 그 자체로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도 1과 상기 내용을 통해 설명한 본체부(10)의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본체부(10)는 적어도 셋 이상의 레이어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본체부(10)는 안감(101), 필터(102), 강성부(103), 겉감(104)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도 2 참조), 여기서 강성부(103) 등은 생략될 수 있다.
안감(101)은 본체부의 최내측에 마련되어 호흡기와 마주한다. 안감(101)은 부직포, 구체적으로 섬유 및 필라멘트로 제조된 부직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합성섬유,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나일론 또는 이들의 혼합, 또는 천연섬유, 예컨대 면, 레이온, 텐셀, 모달 또는 이들의 혼합, 또는 상기 합성섬유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천연섬유 중 하나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된 부직포일 수 있다.
안감(101)은 에어쓰루(air through)법, 스펀본드법, 서멀본드법, 스펀레이스법, 니들펀치법, 스티치본드법 등으로 제조된 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감(101)의 밀도는 0.001g/cm3 내지 0.095g/cm3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05g/cm3 내지 0.080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g/cm3 내지 0.070g/cm3,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g/cm3 내지 0.05g/cm3일 수 있으나, 소재 및 제조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감을 비롯해 마스크를 구성하는 소재의 밀도는, 소재의 평량을 측정하고, 소재를 위치시킨 기준판과 소재에 0.5kPa의 압력을 가한 평행한 압력판 사이의 거리로서 부직포 두께를 측정하여 두께의 5회 측정값의 평균치를 계산한 후, 중량을 부피로 나눈 겉보기밀도를 구하여 이용한다.
안감(101)의 평량은 10gsm 내지 150gsm, 예컨대 30gsm 내지 40gs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저밀도의 부직포는 단위면적당 섬유의 수가 적고 섬유의 두께가 얇아, 부직포를 이루는 섬유와 사용자의 안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킨다.
안감의 표면에는 엠보 형상(101a)을 포함할 수 있다.
엠보 형상(101a)은 안감 표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 필터(102) 방향으로 오목하게 꺼진 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의 (a) 내지 (e)에 나타난 예와 같이 상기 구성이 반복됨으로써 일정하거나 불규칙한 패턴을 이룰 수 있다. 엠보 형상(101a)은 반구 형상일 수 있으나,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라면 그 형상 및 크기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안감 표면의 평면 상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 직선 무늬, 물결 무늬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엠보 형상(101a)은 안감을 이루는 소재에 따라 열압착, 니들펀칭법, 에어스루법, 스펀본드법, 서멀본드법, 스펀레이스법, 멜트블로우법, 스티치본드법, 케미컬본드법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감의 표면에는 홀(101b), 또는 엠보 형상(101a)과 홀(101b)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안감의 표면에 존재하는 홀(101b)은 점형, 별형, 선분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태에 제한이 없고, 안감의 표면에 존재하는 엠보 형상(101a)의 오목한 부분에 연속하여 존재할 수 있다(도 4의 (a) 내지 (e)). 홀(101b)은 0.1mm 내지 10mm, 예컨대 0.5mm 내지 3mm의 직경 또는 대각선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홀(101b)은 복수 개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규칙적으로 형성된 홀(101b)의 집합은 안감의 표면에 일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엠보 형상(101a) 및 홀(101b)은 모두 안감과 사용자의 안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접촉 또는 마찰에 의하여 안면 상에 부착된 화장료가 묻어나는 것을 개선한다.
안감(101)은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 맞닿을 수 있는 부분으로, 필터(102)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된다.
필터(102)는 안감(101)의 외측에 마련되고,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소재와 평량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성부(103)는 본체부(10)가 펼쳐질 때 호흡기와 본체부(10) 사이에서 호흡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본체부(10)가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강성부(103)는 필터(102)와 겉감(104) 사이에 마련되지만 적층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강성부(103)는 필터(102)와 겉감(104) 사이 및/또는 안감(101)과 필터(102)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강성부(103)는 겉감(104) 등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거나, 또는 겉감(104)보다 다소 작은 크기를 가져서 겉감(104)의 일부에만 적층되어 강성부(103)에 의해 마스크(1)가 접힐 때 입체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례로 강성부(103)는, 호흡기를 덮지만 코부(11)의 상변이나 입부(12)의 좌우변 및/또는 턱부(13)의 하변과는 이격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강성부(103)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 등과 같은 합성섬유 부직포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0gsm 내지 150gsm, 예를 들어 30gsm 내지 70gsm, 예컨대 55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강성부(103)는 접힘이나 휘어짐이 가능하지만 본체부(10)보다 밀도가 높거나 강도가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강성부(103)는 안감(101), 필터(102) 및 겉감(104) 보다 상대적으로 섬유 두께가 굵거나, 및/또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0)가 펼쳐질 때, 강성부(103)의 둘레가 본체부(10)의 입체적인 형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강성부(103)는 융착부(121)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게 배치될 수 있고, 융착부(121)와 함께 마스크(1)를 입체적인 형상이 되도록 하여 호흡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겉감(104)은 외부로 노출되며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 등과 같은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겉감(104)은 평량 10gsm 내지 80gsm, 예컨대 평량 60gsm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겉감(104)의 소재와 평량을 위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겉감(104)은 외부의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겉감(104)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안쪽에 마련되는 겉감(104)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 등과 같은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평량이 10gsm 내지 150gsm, 예컨대 20gsm 내지 60gsm, 예컨대 50gsm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겉감(104)의 소재와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깥쪽에 마련되는 겉감(104)은 부직포 또는 직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합성섬유,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나일론 또는 이들의 혼합, 또는 천연섬유, 예컨대 면, 레이온, 텐셀, 모달 또는 이들의 혼합, 또는 상기 합성섬유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천연섬유 중 하나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된 부직포 또는 직물일 수 있다. 겉감(104)은 에어쓰루법, 스펀본드법, 서멀본드법, 스펀레이스법, 니들펀치법, 스티치본드법 등으로 제조된 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겉감(104)의 평량은 10gsm 내지 150gs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세먼지와 황사 등의 오염물질은, 필터(102) 및 겉감(104)을 통해 걸러내지면서,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물론 안감(101), 필터(102), 겉감(104) 등의 재질이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량 역시 상기의 수치로 한정되지 않음을 알려둔다. 마스크(1)가 사용되는 목적이나 지역, 걸러내야 하는 이물질의 크기나 종류 등에 따라, 안감(101), 필터(102), 겉감(104)의 재질이나 평량, 구조 등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고정부(20)가 본체부(10)의 양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본체부(10)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20)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 형태이거나, 사용자의 머리를 두르는 밴드 형태 등일 수 있고, 구성에 따라 고정부(20)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고정부(20)가 귀걸이 형태임을 한정해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20)는 나일론, 스판덱스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끈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비탄성 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체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때 끈의 양단은 코부(11)와 입부(12) 사이에서 본체부(10)의 양측 변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끈의 양단을 융착이나 압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할 수 있고, 이때 끈의 양단이 고정된 부분을 연결부(21)라 지칭할 수 있다. 즉 고정부(20)는 연결부(21)를 기준으로 하는 폐루프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20)는 입부(12)의 양측변에 마련되는 걸이부(22)에 의하여 끈의 중간 부분이 걸리게 될 수 있다. 걸이부(22)는 입부(12)의 양측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끈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20)는 입부(12)의 양측변 상단과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끈은 고정부(20)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걸이부(22)에서 이동 가능하게 걸려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20)를 잡아당겨서 귀에 걸어 본체부(10)를 호흡기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귀에서 고정부(20)의 걸림을 해제하여 본체부(10)를 호흡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응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서 표시되었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상기된 내용과 함께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마스크에 있어서, 도 1에 기재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본체부(10)의 턱부(13)에 있어서, 상하로 절개되었다가 접합되는 절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31)는 턱부(13)의 하변에서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며, 절개부(131)는 접합되기 이전에 삼각형의 모양을 이루었다가, 접합되면서 선의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0)가 펼쳐지면 턱부(13)는 절개부(131)를 기준으로 좌우로 둔각을 이루도록 벌어지면서, 턱을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다.
절개부(131)의 길이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절개부(131)가 절개 후 접합되는 방식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절개부(131)가 융착 등에 의해 접합될 경우, 턱부(13)에서 절개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변은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후 내면이 서로 겹치게 배치되어 융착될 수 있다.
절개부(131)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는 턱부(13)에 절개부(131)를 형성할 때 얼굴에 이물감을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20)는 도면이나 상기 내용으로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0)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도록 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20)는 본체부(10)의 둘레변에 마련되는 접착부(도시하지 않음)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표면에 엠보 형상 및 홀을 포함하고 저밀도의 부직포를 포함하는 안감을 사용함에 따라, 엠보 형상 및 홀을 포함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평량의 필터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와 대비할 때, 사용자의 안면 상의 화장료가 마스크 안감에 잘 묻어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마스크 10: 본체부
101: 안감 101a: 엠보
101b: 홀 102: 필터
103: 강성부 104: 겉감
11: 코부 111: 강선
12: 입부 121: 융착부
13: 턱부 131: 절개부
20: 고정부 21: 연결부
22: 걸이부

Claims (6)

  1.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 마스크로서,
    안감의 표면에 엠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안감의 표면에 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은 저밀도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저밀도 부직포는 0.001g/cm3 내지 0.095g/cm3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부직포는 10gsm 내지 150gsm의 평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나일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삭제
KR1020170163913A 2017-12-01 2017-12-01 마스크 KR10254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13A KR102541052B1 (ko) 2017-12-01 2017-12-01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13A KR102541052B1 (ko) 2017-12-01 2017-12-01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754A KR20190064754A (ko) 2019-06-11
KR102541052B1 true KR102541052B1 (ko) 2023-06-08

Family

ID=6684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913A KR102541052B1 (ko) 2017-12-01 2017-12-01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0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8960A (ja) 2007-11-13 2009-06-04 Kowa Co 女性用マスク
KR20110043238A (ko) * 2009-10-21 2011-04-27 심재헌 부직포가 엠보싱되고 천공되어 제조된 생리대 및 기저귀 안감
JP6068135B2 (ja) * 2012-08-10 2017-01-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JP6659688B2 (ja) * 2014-11-21 2020-03-04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呼吸装置およびフェイスマスク用の溶融紡糸濾過媒体
KR101698053B1 (ko) * 2014-12-02 2017-01-19 (주)뷰티화장품 엠보싱 형상 표면을 가지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160105025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금황제지 복합 기능 한지 필터가 구비된 호흡기용 다용도 위생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754A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2632B2 (ja) マスク
KR102186937B1 (ko) 마스크
US8091550B2 (en) Face mask having baffle layer for improved fluid resistance
KR102145265B1 (ko) 기능성 패션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522B1 (ko) 입체 마스크
JP6622697B2 (ja) 改良されたフードを有する防護服
JP7251473B2 (ja) 防護用フード
JP2014198165A (ja) マスク
KR20230155403A (ko) 마스크
KR20240070493A (ko) 마스크
JP2008093285A (ja) マスク
JP2011072479A (ja) マスク
JP2021195651A (ja) マスク
KR20170093560A (ko) 마스크
JP2007229222A (ja) 多層式マスク
TWM540661U (zh) 立體口罩
KR102541052B1 (ko) 마스크
KR102433341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CN203646542U (zh) 多层式口罩
CN113208207B (zh) 口罩
JP7498962B2 (ja) 口腔・口周り保湿具
KR20180054008A (ko) 마스크
JP3179917U (ja) 衛生マスク
JP2007021026A (ja) マスク
KR20170142808A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