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493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493B1
KR102540493B1 KR1020180086208A KR20180086208A KR102540493B1 KR 102540493 B1 KR102540493 B1 KR 102540493B1 KR 1020180086208 A KR1020180086208 A KR 1020180086208A KR 20180086208 A KR20180086208 A KR 20180086208A KR 102540493 B1 KR102540493 B1 KR 10254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amping
damping line
display module
cushion memb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630A (ko
Inventor
박태진
박순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493B1/ko
Priority to US16/406,909 priority patent/US10971552B2/en
Priority to CN201910666245.0A priority patent/CN110783374A/zh
Publication of KR2020001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2Stacked devices having two or more layers, each emit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및 쿠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은 회로층,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층, 및 상기 발광소자층을 밀봉하는 봉지층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패턴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쿠션부재의 일 측에서 제1 길이만큼 이격 될 수 있고,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표시모듈에서의 음속을 상기 표시모듈의 고유진동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가 낙하 등에 의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가 쿠션부재를 포함하더라도, 정상파 발생에 의한 공명현상에 의해 특정 부분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의 충돌 시 표시모듈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하여 표시모듈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최소화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가 표시모듈의 정상파 파장이 고려된 패턴이 정의된 쿠션부재를 포함하므로, 충돌 시 표시모듈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여 표시모듈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및 쿠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은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회로층,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소자층, 및 상기 발광소자층을 밀봉하는 봉지층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입력감지회로, 및 상기 입력감지회로 상에 배치된 윈도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패턴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쿠션부재의 일 측에서 제1 길이만큼 이격 되고,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표시모듈에서의 음속을 상기 표시모듈의 고유진동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쿠션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쿠션부재에 정의되는 개구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쿠션부재 사이에 차단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차단부재는 검정색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차단 베이스부 및 상기 차단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차단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쿠션부재는 베이스 쿠션부 및 상기 베이스 쿠션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돌출부이고, 상기 베이스 쿠션부와 상기 돌출부는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패턴은 상기 진동감쇄라인과 나란하고, 상기 쿠션부재의 상기 일 측에서 상기 제1 길이의 절반인 제2 길이만큼 이격된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일측은 상기 쿠션부재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일측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패턴은,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은 상기 진동감쇄라인과 나란하고, 상기 쿠션부재의 상기 일 측에서 상기 제1 길이의 절반인 제2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진동감쇄라인과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과 상기 일 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 각각은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에서 상기 제2 길이의 절반인 제3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패턴은,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제5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제5 보조 진동감쇄라인상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상기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교차할 수 있다.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제5 보조 진동감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쿠션부재의 다른 측에서 제4 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4 길이는 상기 제1 길이, 상기 제2 길이, 및 상기 제3 길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쿠션부재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층, 및 상기 제2 층 상에 배치된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상기 제2 층에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제1 쿠션부재, 및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입력감지회로, 및 윈도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쿠션부재는 상기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제1 패턴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제1 쿠션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검정색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 중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표시모듈의 일 측에서 제5 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5 길이는 상기 표시모듈에서의 음속을 상기 표시모듈의 고유진동수로 나눈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제1 쿠션부재에 정의되는 개구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접착부재는, 차단 베이스부 및 차단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제1 쿠션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 돌출부는 상기 차단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제1 쿠션부재는 베이스 쿠션부 및 상기 베이스 쿠션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돌출부인 표시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제1 패턴은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과 나란한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 중 상기 보조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표시모듈의 일 측에서 제1 길이의 절반인 제2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제1 패턴은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과 나란할 수 있고, 상기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과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과 상기 일 측 사이에 배치된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 중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표시모듈의 일 측에서 제1 길이의 절반인 제2 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표시모듈 중 상기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 및 상기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 각각은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에서 상기 제2 길이의 절반인 제3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표시장치는 상기 제1 쿠션부재에 접촉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과 예각을 이루는 제2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이 정의된 제2 쿠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표시장치가 특정부분에 패턴이 형성된 쿠션부재를 포함하므로 낙하 등에 의한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강건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II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10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12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 및 차단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 및 표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에서 "B의 구성이 A의 구성 상에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A의 구성과 B의 구성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접착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면(IS)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면(IS)은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부재들 또는 유닛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은 예시에 불과하고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들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 각각 이 지시하는 방향으로써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면형 표시면을 구비한 표시장치(DD)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장치(DD)는 곡면형 표시면 또는 입체형 표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체형 표시면은 서로 다른 방향을 지시하는 복수 개의 표시영역들을 포함하고, 예컨대, 다각 기둥형 표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리지드 표시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보드에 실장된 전자모듈들, 카메라 모듈, 전원모듈 등이 하우징(HS) 내에 수용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면(IS)은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아이콘 이미지들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표시장치(DD)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적층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쿠션부재(CS), 및 표시모듈(DM)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 입력감지회로(ISC), 및 윈도우부재(W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지지부재(S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T), 쿠션부재(CS), 표시패널(DP), 입력감지회로(ISC), 및 윈도우부재(WM)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접착부재(미도시)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광학 투명 접착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재(CS)는 지지부재(ST)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패널(DP)은 쿠션부재(CS)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입력감지회로(ISC)는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윈도우부재(WM)는 입력감지회로(ISC)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감지회로(ISC)는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감지회로(ISC)는 접착부재에 의해 표시패널(DP)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ST)는 표시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ST)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부재(HS)의 일부분일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이미지(IM)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
입력감지회로(ISC)는 외부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회로(ISC)는 외부의 물체에 의한 정전용량을 변화를 감지하여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정전용량 방식 입력감지회로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회로(ISC)은 외부의 물체에 의한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감압 방식 입력감지회로이라 지칭할 수 있다.
윈도우부재(WM)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모듈(DM)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입력면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부재(WM)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부재(WM)는 표시패널(DP)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성질을 갖는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장치(DD, 도 1 참조)의 표시영역(DD-DA, 도 1 참조) 및 비표시영역(DD-NDA, 도 1 참조)에 각각 대응한다.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D-DA) 및 비표시영역(DD-NDA)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표시패널(DP)의 구조/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화소들(PX)이 배치된 영역이 표시영역(DA)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은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 라인(CSL)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들(G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전원 라인(P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연결된다. 비표시영역(NDA)의 일 측에는 게이트 라인들(GL)이 연결된 게이트 구동회로(DCV)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신호 라인(CSL)은 게이트 구동회로(DCV)에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 라인(CSL) 중 일부는 동일한 층에 배치되고, 일부는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 라인(CSL) 각각은 신호 배선부와 신호 배선부의 말단에 연결된 표시패널 패드들(PD-DP)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배선부는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 라인(CSL) 각각의 표시패널 패드들(PD-DP)을 제외한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널 패드들(PD-DP)은 화소들(PX)을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 패드들(PD-DP)은 화소들(PX)을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들과 같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패널 패드들(PD-DP)은 제어 패드(CSL-P), 데이터 패드(DL-P), 및 전원 패드(PL-P)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패드부는 미 도시되었으나, 게이트 구동회로(DCV)와 중첩하며 게이트 구동회로(DCV)에 연결될 수 있다. 별도로 표기하지 않았으나, 제어 패드(CSL-P), 데이터 패드(DL-P), 및 전원 패드(PL-P)가 얼라인되어 있는 비표시영역(NDA)의 일부분은 패드영역으로 정의된다.
표시패널 패드들(PD-DP)은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들을 제공받아, 이를 화소들(PX) 또는 게이트 구동회로(DCV)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DP)에는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하측은 제1 방향(DR1) 상에서 표시패널 패드들(PD-DP)이 배치되는 곳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상측은 제1 방향(DR1) 상에서 표시패널(DP)의 하측과 반대쪽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좌측은 도 3을 기준으로 게이트 구동회로(DCV)가 도시된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우측은 표시패널(DP)의 우측과 반대쪽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상측 방향, 하측 방향,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은 각각 표시패널(DP)의 상측이 존재하는 방향, 표시패널(DP)의 하측이 존재하는 방향, 표시패널(DP)의 좌측이 존재하는 방향, 표시패널(DP)의 우측이 존재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 표시패널(DP)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패널(DP)의 다른 일 측(ED)을 지칭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는 어느 하나의 게이트 라인(GL)과 어느 하나의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 라인(PL)에 연결된 화소(PX)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화소(PX)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화소(PX)는 표시소자로써 발광소자(EL)를 포함한다. 발광소자(EL)는 전면 발광형 다이오드이거나, 배면 발광형 다이오드일 수 있다. 또는, 발광소자(EL)는 양면 발광형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소자(EL)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소자(EL)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로써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 구동 트랜지스터(TFT-D), 및 커패시터(CP)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EL)는 트랜지스터들(TFT-S, TFT-D)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의 의해 광을 생성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는 게이트 라인(GL)에 인가된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커패시터(CP)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FT-D)는 발광소자(EL)에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FT-D)는 커패시터(CP)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발광소자(EL)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발광소자(EL)는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턴-온 구간 동안 발광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발광소자(EL)에 제1 전원전압(VDD1)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구동 트랜지스터(TFT-D) 및 발광소자(EL)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BL) 상에 회로층(CL)이 배치된다. 베이스층(BL) 상에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반도체 패턴(ALD)이 배치된다. 반도체 패턴(ALD)은 아몰포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금속 산화물 반도체에서 서로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회로층(CL)은 유기/무기층들(BR, BF, ENC1, ENC2, ENC3),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 도 4 참조), 및 구동 트랜지스터(TFT-D)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무기층들(BR, BF, ENC1, ENC2, ENC3)은 기능층(BR, BF), 제1 절연층(ENC1), 제2 절연층(ENC2), 및 제3 절연층(ENC3)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BR, BF)은 베이스층(BL)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BR, BF)은 배리어층(BR) 또는 버퍼층(BF)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반도체 패턴(ALD)은 배리어층(BR) 또는 버퍼층(BF)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BL) 상에 반도체 패턴(ALD)을 커버하는 제1 절연층(ENC1)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ENC1)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1 절연층(ENC1)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ENC1) 상에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제어전극(GED)이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 도 4 참조)의 제어전극 역시 제1 절연층(ENC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전극(GED)은 게이트 라인(GL, 도 4 참조)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전극(GED)은 게이트 라인들(GL)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고,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고,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ENC1) 상에 제어전극(GED)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ENC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ENC2)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2 절연층(ENC2)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ENC2) 상에 데이터 라인(DL, 도 4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ENC2) 상에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입력전극(SED) 및 출력전극(DED)이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 도 3 참조)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 역시 제2 절연층(ENC2) 상에 배치된다. 입력전극(SED)은 데이터 라인들(DL)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 도 4 참조)은 데이터 라인들(DL)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전극(SED)은 전원 라인(PL)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제2 절연층(ENC2) 상에 커패시터(CP)의 전극중 일부가 배치된다. 상기 커패시터(CP)의 전극중 일부는 데이터 라인들(DL) 및 전원 라인(PL)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고,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고,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전극(SED)과 출력전극(DED)은 제1 절연층(ENC1) 및 제2 절연층(ENC2)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반도체 패턴(ALD)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TFT-S)와 구동 트랜지스터(TFT-D)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절연층(ENC2) 상에 입력전극(SED), 출력전극(DED)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ENC3)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ENC3)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3 절연층(ENC3)은 평탄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ENC1), 제2 절연층(ENC2), 및 제3 절연층(ENC3) 중 어느 하나는 화소의 회로 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2 절연층(ENC2) 및 제3 절연층(ENC3) 각각은 층간 절연층(interlayer)으로 정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은 층간 절연층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 도전패턴과 상부에 배치된 도전패턴의 사이에 배치되어 도전패턴들을 절연시킨다.
제3 절연층(ENC3) 상에 발광소자층(ELL)이 배치된다. 발광소자층(ELL)은 화소정의막(PXL) 및 발광소자(EL)를 포함한다. 제3 절연층(ENC3) 상에 애노드(AE)가 배치된다. 애노드(AE)는 제3 절연층(ENC3)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을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TFT-D)의 출력전극(DED)에 연결된다. 화소정의막(PX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정의막(PXL)의 개구부(OP)는 애노드(AE)의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발광소자층(ELL)은 발광영역(PXA)과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한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에워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애노드(AE)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그러나, 발광영역(PXA)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광영역(PXA)은 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면 충분하다. 발광영역(PXA)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애노드(AE)의 일부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공 제어층(HCL)과 같은 공통층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도 3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된다. 전자 제어층(ECL) 상에 캐소드(CE)가 배치된다. 캐소드(CE)는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터닝된 발광층(EM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층(EML)은 백색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EML)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박막봉지층(TFE)은 캐소드(CE)를 직접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소드(CE)를 커버하는 캡핑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박막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한다. 박막봉지층(TFE)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층 및 무기물을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 중 베이스층(BL)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CS)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할 때, 쿠션부재(CS)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패턴(PT-O)이 정의될 수 있다. 일 방향은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또는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과 예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직선 방향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패턴(PT-O)은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감쇄라인이 한 개인 경우 패턴(PT-O)은 진동감쇄라인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진동감쇄라인이 복수 개인 경우 패턴(PT-O)은 복수 개의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쿠션부재(CS)에 정의된 패턴들(PT-P, PT-O1, PT-P1, PT-O2, PT-P2, PT-O3, PT-O4, PT)에 대하여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쿠션부재(CS)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쿠션부재(CS)는 우레탄, 고무, 합성 수지, 및 탄화수소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충격 완화가 가능한 재료를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쿠션부재(CS)의 두께는 30㎛ 이상 500㎛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장치(DD)의 크기 및 표시모듈(DM)의 물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할 때, 패턴(PT-O)은 개구부(OP-CS)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쿠션부재(CS)는 패턴(PT-O)에 의해 두 개의 서브 쿠션부재들(SCS)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턴(PT-O)이 포함하는 진동 감쇄라인의 개수에 따라 세 개 이상의 서브 쿠션부재들(SCS)로 분리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쿠션부재들(SCS)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OP-CS)는 쿠션부재(CS)를 물리적으로 연마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각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구부(OP-CS)에 의해서 정의되는 패턴(PT-O)을 본 명세서 내에서 개구형 패턴으로 지칭할 수 있다.
패턴(PT-O)은 쿠션부재(CS)의 일 측(ED)에서 제1 길이만큼(L1)만큼 이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일 측(ED)은 쿠션부재(CS)의 모서리들 또는 쿠션부재(CS)의 꼭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6a에서는 일 측(ED)이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쿠션부재(CS)의 아래 부분 모서리로 표시되었다.
[식 1]
Figure 112018073263510-pat00001
상기 식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길이(L1)는 표시모듈(DM)에서의 음속(v)을 표시모듈(DM)의 고유진동수(f)로 나눈 값일 수 있다. 표시모듈(DM)의 음속(v)은 진공에서의 음속(v')을 표시모듈의 굴절률(n)로 나눈 값으로 정의 된다.
본 명세서 내에서, 특정 물체에서의 음속을 특정 물체의 고유진동수로 나눈 값은 특정 물체의 '고유진동수를 갖는 정상파'(이하부터는 정상파로 표시) 파장(λ)으로 정의된다. 즉, 표시모듈(DP)에서의 음속(v)을 표시모듈의 고유진동수(f)로 나눈 값은 표시모듈의 정상파 파장(λ)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길이(L1)는 정상파 파장(λ)과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물체는 각각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고유한 진동수를 가지고 진동하며, 이 때 물체의 진동수를 고유 진동수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모듈(DM)에 충격을 가한 후 표시모듈(DM)에 발생된 파동의 주파수를 측정하였으며, 20 헤르츠(Hz) 내지 20000 헤르츠(Hz)의 가청 주파수 범위에서 가장 높은 피크를 갖는 주파수를 표시패널(DP)의 고유진동수로 설정하였다. 다만 고유진동수의 측정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유진동수 측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정상파는 진동의 마디(node)나 배(antinode)의 위치가 공간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파장으로 정의한다.
표시모듈(DM)에 표시모듈(DM)의 고유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갖는 외력이 주기적으로 전달되면 가해진 진동의 진폭이 크게 증가하는 공명현상이 발생하고, 따라서 표시모듈(DM)에 크랙 등의 손상이 가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패턴(PT-O)이 쿠션부재(CS)의 일 측(ED)에서 표시모듈(DM)의 정상파 파장만큼 이격 되어 정의된다. 따라서 표시장치(DD) 측면이 외부와 충돌하더라도 표시모듈(DM)의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진동수를 갖는 정상파가 쿠션부재(CS)에 정의된 패턴(PT-O)에 의해 감쇄되므로 표시모듈(DM)에 정상파가 형성되기 어렵다. 따라서, 표시모듈(DM)의 고유진동수와 동일한 고유진동수를 갖는 외력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표시모듈(DM)에 공명현상의 발생이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외부 충돌에 의하더라도 큰 진폭을 갖는 진동이 표시모듈(DM)에 형성되기 어려우므로 표시모듈(DM)에 발생하는 손상이 감소된다.
이하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쿠션부재(CS)에 정의된 패턴들(PT-O, PT-P, PT-O1, PT-P1, PT-O2, PT-P2, PT-O3, PT-O4, PT)에 대하여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CS)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III-III`을 따라 절단한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에서 패턴(PT-P)은 쿠션부재(CS-1)의 일 측(ED)에서 제1 길이(L1)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1 길이(L1)는 표시모듈(DM)에서의 음속을 표시모듈(DM)의 고유진동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할 때, 쿠션부재(CS-1)는 베이스 쿠션부재(CSB) 및 베이스 쿠션부재(CSB)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정의되는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패턴(PT-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 진동감쇄라인, 및 패턴(PT-P)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 쿠션부재(CSB)와 돌출부는 일체형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부에 의해서 정의되는 패턴(PT-P)을 본 명세서 내에서 돌출형 패턴으로 지칭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CS-2, CS-3)의 평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는 개구형 패턴을 포함하고,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는 돌출형 패턴을 포함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쿠션부재(CS-2)에 정의된 패턴(PT-O1)은 진동감쇄라인(LN-MO) 및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재(CS-2)는 패턴(PT-O1)에 의해 세 개의 서브 쿠션부재들(SCS)로 분리될 수 있다.
진동감쇄라인(LN-MO)은 일 측(ED)에서 제1 길이(L1)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은 진동감쇄라인(LN-MO)과 나란하고 일 측(ED)에서 제1 길이(L1)의 절반인 제2 길이(L2)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쿠션부재(CS-3)에 정의된 패턴(PT-P1)은 진동감쇄라인(LN-MP) 및 보조 진동감쇄라인(LN-SP)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감쇄라인(LN-MP)은 일 측(ED)에서 제1 길이(L1)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보조 진동감쇄라인(LN-SP)은 진동감쇄라인(LN-MP)과 나란하고 일 측(ED)에서 제1 길이(L1)의 절반인 제2 길이(L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쿠션부재(CS-2, CS-3)의 일 측(ED)에서 정상파 파장 길이의 1/2만큼 이격된 위치에 진동감쇄라인(LN-SO, LN-SP)이 하나 더 정의됨으로써 외부 충돌에 의한 정상파 발생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표시모듈(DM)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CS-4, CS-5)의 평면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는 개구형 패턴을 포함하고,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는 돌출형 패턴을 포함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쿠션부재(CS-4)에 정의된 패턴(PT-O2)은 진동감쇄라인(LN-MO),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1), 배치된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2),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3),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4), 및 제5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5)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재(CS-4)는 패턴(PT-O2)에 의해 열 다섯 개의 서브 쿠션부재들(SCS)로 분리될 수 있다.
진동감쇄라인(LN-MO)은 일 측(ED)에서 제1 길이(L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1)은 진동감쇄라인(LN-MO)과 나란하고 일 측(ED1)에서 제1 길이(L1)의 절반인 제2 길이(L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2) 및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3)은 진동감쇄라인(LN-MO)과 나란하고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1)에서 제2 길이(L2)의 절반인 제3 길이(L3)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2) 및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3)중 하나는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1)과 진동감쇄하인(LN-MO) 사이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1)과 일 측(ED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4) 및 제5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쿠션부재(CS-4)의 다른 측(ED2)에서 제4 길이(L4)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4)은 쿠션부재(CS-4)의 다른 측(ED2)에서 제4 길이(L4)만큼 이격될 수 있고, 제5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5)은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LN-SO4)에서 제4 길이(L4)만큼 이격될 수 있고 다른 측(ED2)과 중첩되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4 길이(L4)는 상기 제1 길이(L1), 제2 길이(L2), 및 제3 길이(L3)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쿠션부재(CS-5)에 정의된 패턴(PT-P2)은 진동감쇄라인(LN-MP),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LN-SP1), 배치된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LN-SP2),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LN-SP3),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LN-SP4), 및 제5 보조 진동감쇄라인(LN-SP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b는 패턴(PT-P2)이 돌출형 패턴인 것을 제외하고 도 9a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쿠션부재(CS-4, CS-5)의 일 측(ED)과 다른 측에 정상파 파장이 고려된 패턴(PT-O2, PT-P2)이 정의되므로 외부 충돌에 의한 정상파 발생이 효과적으로 감쇄될 수 있고, 표시모듈(DM)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CS-6)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패턴(PT-3)은 쿠션부재(CS-6)의 일 측(ED)과 예각(
Figure 112018073263510-pat00002
)을 이루는 것일 수 있고, 패턴(PT-3)의 일부분은 쿠션부재(CS-6)의 꼭지점 중 하나에서 제1 길이(L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쿠션부재(CS-6)는 패턴(PT-3)이 쿠션부재(CS-6)의 일 측(ED)과 예각(
Figure 112018073263510-pat00003
)을 이루는 경우 표시장치(DD)의 꼭지점 부분의 충돌로 발생하는 정상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으므로, 표시모듈(DM)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패턴(PT-3)이 개구형 패턴인 경우 쿠션부재(CS-6)는 패턴(PT-3)에 의해 두 개의 서브 쿠션부재들(SCS)로 분리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9b에 도시된 패턴들(PT-O, PT-P, PT-O1, PT-P1, PT-O2, PT-P2)도 도 10에 도시된 패턴(PT-O3)과 마찬가지로 쿠션부재(CS 및 CS1 내지 CS5)의 일 측(ED)과 예각(
Figure 112018073263510-pat00004
)을 이룰 수 있고, 따라서, 꼭지점 부분의 충돌로 발생하는 정상파를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으므로, 표시모듈(DM)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CS-7)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의할 때, 쿠션부재(CS-7)는 제1 쿠션부재(CS1) 및 제1 쿠션부재(CS1)에 접촉하는 제2 쿠션부재(CS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쿠션부재(CS1) 및 제2 쿠션부재(CS2) 사이에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쿠션부재(CS1) 및 제1 쿠션부재(CS1) 중 어느 하나는 쿠션부재(CS-7)의 일 측과 나란한 진동감쇄라인들을 포함하는 패턴이 정의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쿠션부재(CS-7)의 일 측과 예각을 이루는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패턴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쿠션부재(CS1)는 도 6a에 도시된 쿠션부재(CS)이고, 제2 쿠션부재(CS2)는 도 10에 도시된 쿠션부재(CS-6)일 수 있다.
표시장치(DD)가 쿠션부재(CS-7)을 포함할 때, 측면에서 발생하는 정상파 및 꼭지점 부분에서 발생하는 정상파가 모두 효과적으로 감쇄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DD)의 측면 및 꼭지점 부분의 충돌에 의한 표시모듈(DM)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쿠션부재(CS)가 제1 쿠션부재(CS1) 및 제2 쿠션부재(CS2)를 포함하는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쿠션부재(CS)는 세 개 이상의 쿠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CS-8, CS-9) 및 차단부재(LCM, LCM-1)의 단면도이다. 차단부재(LCM, LCM-1)는 표시모듈(DM)과 쿠션부재(CS-8, CS-9)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일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할 때, 차단부재(LCM)는 쿠션부재(CS-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LCM)는 검정색 컬러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할 때, 차단부재(LCM-1)는 차단 베이스부(LCM-B) 및 차단 베이스부(LCM-B)로부터 돌출된 차단 돌출부(LCM-P)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베이스부(LCM-B)는 쿠션부재(CS-9)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차단 돌출부(LCM-P)는 쿠션부재(CS-9)에 정의된 개구부(OP-CS)에 삽입될 수 있다. 차단 돌출부(LCM-P)는 쿠션부재에 정의된 패턴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쿠션부재(CS)에 정의된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패턴(PT-O)이 개구부(OP-CS)로 정의되는 경우 개구부(OP-CS)에 의해서 시인성이 나빠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차단부재(LCM, LCM-1)는 쿠션부재(CS-8, CS-9) 상에 배치되어 시인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CS-10)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할 때, 쿠션부재(CS-10)는 제1 층(CSD), 제1 층(CSD) 상에 배치된 제 3층(CSH), 및 제 1층(CSD) 및 제 3층(CSH) 사이에 배치되는 제 2층(CSM)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층(CSD) 및 제 3층(CSH)은 패턴(PT-O4)을 포함하지 않고, 제 2층(CSM)은 개구부(OP-CSM)에 의해 정의되는 패턴(PT-O4)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쿠션부재(CS-10) 제2 층(CSM)에만 패턴(PT-O4)이 형성되므로 외부에서 패턴(PT-O4)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시인성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CS-11) 및 표시모듈(DM)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할 때, 쿠션부재(CS-11) 상에는 표시모듈(DM)이 배치될 수 있다. 쿠션부재(CS-11)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패턴(PT)이 정의될 수 있다. 진동감쇄라인은 표시모듈(DM)의 일 부분(PRT)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표시모듈(DM)의 일 부분(PRT)은 표시모듈(DM)의 일 측(ED-M)에서 제5 길이(L5)만큼 이격 될 수 있다. 제5 길이(L5)는 앞에서 설명한 제1 길이(L1), 제2 길이(L2), 및 제3 길이(L3)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패턴(PT)은 개구형 패턴(도 6b 참조) 또는 돌출형(도 7b 참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패턴(PT)이 개구형 패턴인 경우 쿠션부재(CS-11)는 패턴(PT)에 의해 두 개의 서브 쿠션부재들(SCS)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4에는 쿠션부재(CS-11)가 표시모듈(DM)과 완전히 중첩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쿠션부재(CS-11)는 표시모듈(DM)의 일부에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소정의 거리(L5)는 표시모듈(DM)의 일 측(ED-M) 에서부터 측정되므로 쿠션부재(CS)가 표시모듈(DM)과 완전히 중첩되지 않더라도, 표시장치(DD)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정상파에 의해 표시모듈(DM)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상술한 제1 길이(L1), 제2 길이(L2), 및 제3 길이(L3)에 대해서도 도 14의 L5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특정부분에 패턴(PT)이 형성된 쿠션부재(CS)를 포함하므로 낙하 등에 의한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강건한 표시장치(DD)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S: 쿠션부재 DM: 표시모듈
LN: 진동감쇄라인 LCM: 차단부재
PT: 패턴 ED: 일 측

Claims (20)

  1.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회로층,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소자층, 및 상기 발광소자층을 밀봉하는 봉지층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부재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및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진동감쇄라인과 교차하는 서브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패턴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쿠션부재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쿠션부재의 일 측에서 제1 길이만큼 이격 되고,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표시모듈에서의 음속을 상기 표시모듈의 고유진동수로 나눈 값인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쿠션부재에 정의되는 개구부인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쿠션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검정색 컬러를 갖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차단 베이스부; 및
    상기 차단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차단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베이스 쿠션부 및 상기 베이스 쿠션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돌출부이고, 상기 베이스 쿠션부와 상기 돌출부는 일체형인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진동감쇄라인과 나란하고, 상기 쿠션부재의 상기 일 측에서 상기 제1 길이의 절반인 제2 길이만큼 이격된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측은 상기 쿠션부재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일 측과 예각을 이루는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진동감쇄라인과 나란하고, 상기 쿠션부재의 상기 일 측에서 상기 제1 길이의 절반인 제2 길이만큼 이격된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상기 진동감쇄라인과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사이에 배치된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과 상기 일 측 사이에 배치된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 각각은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에서 상기 제2 길이의 절반인 제3 길이만큼 이격되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상기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교차하는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5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제5 보조 진동감쇄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쿠션부재의 다른 측에서 제4 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4 길이는 상기 제1 길이, 상기 제2 길이, 및 상기 제3 길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표시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제1 층,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층, 및 상기 제2 층 상에 배치된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상기 제2 층에 정의되는 표시장치.
  13. 표시패널, 입력감지회로, 및 윈도우부재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제1 패턴이 정의되는 제1 쿠션부재; 및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제1 쿠션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검정색 컬러를 갖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제1 쿠션부재에 정의되는 개구부이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제1 쿠션부재를 결합시키는 차단 베이스부; 및
    상기 차단 베이스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차단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모듈 중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표시모듈의 일 측에서 제5 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5 길이는 상기 표시모듈에서의 음속을 상기 표시모듈의 고유진동수로 나눈 값과 동일한 표시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재는 베이스 쿠션부 및 상기 베이스 쿠션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은 상기 돌출부인 표시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은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과 나란한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 중 상기 보조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표시모듈의 일 측에서 제1 길이의 절반인 제2 길이만큼 이격된 표시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은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과 나란한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과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 사이에 배치된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 및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과 상기 일 측 사이에 배치된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 중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표시모듈의 일 측에서 제1 길이의 절반인 제2 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표시모듈 중 상기 제2 보조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 및 상기 제3 보조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 각각은 상기 제1 보조 진동감쇄라인에서 상기 제2 길이의 절반인 제3 길이만큼 이격되는 표시장치.
  20. 표시패널, 입력감지회로, 및 윈도우부재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하부에 배치되고, 제1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제1 패턴이 정의되는 제1 쿠션부재;
    상기 제1 쿠션부재에 접촉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과 예각을 이루는 제2 진동감쇄라인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이 정의된 제2 쿠션부재; 및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제1 쿠션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검정색 컬러를 갖는 접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모듈 중 상기 제1 진동감쇄라인에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표시모듈의 일 측에서 제5 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5 길이는 상기 표시모듈에서의 음속을 상기 표시모듈의 고유진동수로 나눈 값과 동일한 표시장치.
KR1020180086208A 2018-07-24 2018-07-24 표시장치 KR10254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08A KR102540493B1 (ko) 2018-07-24 2018-07-24 표시장치
US16/406,909 US10971552B2 (en) 2018-07-24 2019-05-08 Display device
CN201910666245.0A CN110783374A (zh) 2018-07-24 2019-07-23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08A KR102540493B1 (ko) 2018-07-24 2018-07-24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630A KR20200011630A (ko) 2020-02-04
KR102540493B1 true KR102540493B1 (ko) 2023-06-08

Family

ID=6917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208A KR102540493B1 (ko) 2018-07-24 2018-07-2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71552B2 (ko)
KR (1) KR102540493B1 (ko)
CN (1) CN1107833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879A (ko) 2019-10-18 2021-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586A (ja) * 2002-10-31 2004-05-27 Daikin Ind Ltd 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343A (ja) * 1998-09-25 2000-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受像管
JP2001324942A (ja) * 2000-05-16 2001-11-22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組付構造
KR101182228B1 (ko) 2006-06-19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130101717A (ko) 2012-03-06 2013-09-16 김시환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KR101940186B1 (ko) * 2012-10-29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61748B1 (ko) 2013-05-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183200A (zh) * 2014-07-31 2014-12-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五研究所 提高液晶屏抗振和耐冲击性能的方法及产品
KR102376411B1 (ko) 2015-04-03 2022-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1754B1 (ko) 2016-09-09 2023-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34781A (ko)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2256B1 (ko) 2016-10-04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586A (ja) * 2002-10-31 2004-05-27 Daikin Ind Ltd 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35759A1 (en) 2020-01-30
CN110783374A (zh) 2020-02-11
US10971552B2 (en) 2021-04-06
KR20200011630A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4333B1 (ko) 표시장치
US11605691B2 (en) Display device
JP7333841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343734B1 (ko) 표시장치
KR102601818B1 (ko)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20160101315A (ko) 표시장치
KR102553530B1 (ko)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16126B1 (ko) 표시장치
US11581375B2 (en) Display device
US20200203641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2100692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1569B1 (ko) 표시장치
CN111128969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289178A (zh) 显示装置
US10817117B2 (en) Input-sensing device and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575506B1 (ko)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540493B1 (ko) 표시장치
CN112328122A (zh)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102605378B1 (ko)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US11251256B2 (en) Display apparatus
KR102618250B1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230017392A (ko) 표시 장치
US11010007B2 (en) Input sensing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20893740U (zh) 用于制造显示装置的设备
EP437657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