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599B1 -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599B1
KR102539599B1 KR1020220127715A KR20220127715A KR102539599B1 KR 102539599 B1 KR102539599 B1 KR 102539599B1 KR 1020220127715 A KR1020220127715 A KR 1020220127715A KR 20220127715 A KR20220127715 A KR 20220127715A KR 102539599 B1 KR102539599 B1 KR 102539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ace
lighting
rotational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호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설(주) filed Critical 대한전설(주)
Priority to KR102022012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6Multi-objective optimisation, e.g. Pareto optimisation using simulated annealing [SA], ant colony algorithms or genetic algorithms [G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건축 설계 단계에 있어서 대상 공간에 최적화된 조명 배치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간의 영상 정합을 이용하여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내 공간 촬영 장치; 및 상기 실내 공간 촬영 장치에서 생성한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공간에 최적화된 조명 배치 방안을 생성하는 조명 배치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Lighting arrangement plan generation system for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본 발명은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건축 설계 단계에 있어서 대상 공간에 최적화된 조명 배치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문헌들의 조명 배치 방법에 있어서, 조명 배치 효용성이라는 개념과 조명 배치 예술성이라는 개념을 수량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선행문헌들은 실내 건축 설계 또는 인테리어 단계에서, 조명 효용성과 조명 예술성이라는 개념을 동시에 고려하여, 조명 배치 방안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지 않는다. 나아가, 선행문헌들은 조명 배치의 대상이 되는 공간이, 어떤 조명 효용성 할당도와 조명 예술성 할당도를 가지면 적절할지를 모색하는 방법을 개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조명 배치 효용성이라는 개념과 조명 배치 예술성이라는 개념을 수량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의 구현이 요청된다. 또한, 실내 건축 설계 또는 인테리어 단계에서, 조명 효용성과 조명 예술성이라는 개념을 동시에 고려하여, 조명 배치 방안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의 구현이 요청된다. 나아가, 조명 배치의 대상이 되는 공간이, 어떤 조명 효용성 할당도와 조명 예술성 할당도를 가지면 적절할지를 모색하는 기술의 구현이 요청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00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실내 건축 설계 단계에 있어서 대상 공간에 최적화된 조명 배치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은, 실내 공간의 영상 정합을 이용하여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내 공간 촬영 장치; 및 상기 실내 공간 촬영 장치에서 생성한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공간에 최적화된 조명 배치 방안을 생성하는 조명 배치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 배치 서버는, 상기 실내 공간 촬영 장치에서 생성한 3D 실내 공간 데이터로부터 조명을 배치하고자 하는 대상 공간(subject room)의 규격 정보 및 구조물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대상 공간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 및 조명 효용성 할당도를 생성하는 할당도 생성부; 데이터베이스화된 공간 객체들 중에서, 규격 정보 및 구조물 정보가 상기 대상 공간의 규격 정보 및 구조물 정보와 미리 정의된 제 1 유의성 정도를 만족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공간 객체들을 참조하는 객체 참조부; 상기 객체 참조부에서 참조된 공간 객체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조명 예술성 및 미리 정의된 조명 효용성이 상기 대상 공간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 및 조명 효용성 할당도와 미리 정의된 제 2 유의성 정도를 만족하는 상기 참조된 공간 객체들을 현 재 시점 선별 공간 객체로 선별하는 객체 선별부; 및 상기 대상 공간의 각각의 조명 배치 방안을 출력하는 배치 방안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 공간 촬영 장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실내 공간의 천장 모서리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 및 실내 공간에 설치되되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촬영각 안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기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장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행거; 상기 제1행거에서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 상기 제1행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행거; 상기 제2행거에서 상기 제1행거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행거의 회전각을 각각 센싱하는 회전각센서; 및 상기 제2구동모터를 실내 공간 상측 벽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시켜 주는 카메라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 브라켓은, 실내 공간 상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
Figure 112022105218612-pat00001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 하부가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를 향하도록 "
Figure 112022105218612-pat00002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타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2 거치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구동모터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거치 프레임과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각 하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1 플레이트 밀착부; 및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타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타측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2 플레이트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밀착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밀착 프레임; 상부가 반구 형태로 상기 밀착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하부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 및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홈으로 안착되는 상기 체결 돌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설치홈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에 배치되는 곡선형 하부 블록;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하강되는 상기 안착 블록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는 곡선형 실린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지지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 상기 지지 유체가 전달됨에 따라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밀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을 회전시켜 주는 곡선형 피스톤; 및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과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을 지지하는 진동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지지부는, 상기 지지 원통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조명 배치 효용성이라는 개념과 조명 배치 예술성이라는 개념을 수량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배치 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 플레이트 밀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돌기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6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6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1)은, 실내 공간 촬영 장치(10) 및 조명 배치 서버(20)를 포함한다.
실내 공간 촬영 장치(10)는, 실내 공간의 영상 정합을 이용하여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내 공간 촬영 장치(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100) 및 기준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10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실내 공간의 천장 모서리에 고정 설치되어 기준대(200)를 촬영한 뒤 이용하여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조명 배치 서버(20)로 전송한다.
기준대(200)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되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촬영각 안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실내 공간 촬영 장치(10)는, 3D실내공간영상제작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3D실내공간영상제작장치는, 송수신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저장DB(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카메라위치측정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3D실내공간영 상제작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는 각각의 카메라장치(100)로부터 2D 실내공간 촬영영상을 수신하고, 각각의 카메라장치(100)로부터 카메라장치(100)의 촬영각을 수신하는 한편, 저장DB에 저장된 3D 실내공간 영상을 송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서 송수신기에서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저장DB는 기준대(200)와 카메라장치(100) 간의 수평거리(d)와, 송수신기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 영상 및, 송수신기로부터의 카메라장치(100) 촬영각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거리(d)는 미리 측정되어 저장DB에 저장된다.
상기 카메라설치위치측정모듈은 저장DB로부터 상기 수평거리(d), 상기 카메라장치(100) 촬영각을 수신하여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 좌표를 연산하여 저장DB에 저장한다.
상기 3D실내공간영상제작모듈은, 저장DB로부터 2D 실내공간 촬영영상을 수신하고, 저장DB로부터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설치위치 좌표를 수신하여, 각각의 카메라장치(100)로부터의 2D 실내공간 촬영영상과, 카메라설치위치측정모듈에 의해 연산된 각각의 카메라장치(100)의 설치 위치 좌표를 매개로, 카메라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실내공간(S) 내의 객체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3D 실내공간 영상을 제작하며, 제작된 3D 실내공간 영상을 저장DB에 저장한다.
조명 배치 서버(20)는, 실내 공간 촬영 장치(10)에서 생성한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공간에 최적화된 조명 배치 방안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1)은, 조명 배치 효용성이라는 개념과 조명 배치 예술성이라는 개념을 수량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조명 배치 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 배치 서버(20)는, 정보 획득부(21), 할당도 생성부(22), 객체 참조부(23), 객체 선별부(24) 및 배치 방안 출력부(25)를 포함한다.
정보 획득부(21)는, 실내 공간 촬영 장치(10)에서 생성한 3D 실내 공간 데이터로부터 조명을 배치하고자 하는 대상 공간(subject room)의 규격 정보 및 구조물 정보를 획득한다.
할당도 생성부(22)는, 대상 공간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 및 조명 효용성 할당도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대상 공간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는, 상기 대상 공간에 조명들을 배치함에 있어서, 조명 배치를 통해 대상 공간의 미감(美感)을 추구하고자 하는 비중을 수치화한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상 공간의 조명 효용성 할당도는 상기 대상 공간에 조명들을 배치함에 있어서, 조명 배치를 통해 에너지 절약을 추구하고자 하는 비중을 수치화한 값일 수 있다.
객체 참조부(23)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공간 객체들 중에서, 규격 정보 및 구조물 정보가 대상 공간의 규격 정보 및 구조물 정보와 미리 정의된 제 1 유의성 정도를 만족하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공간 객체들을 참조한다.
객체 선별부(24)는, 객체 참조부에서 참조된 공간 객체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조명 예술성 및 미리 정의된 조명 효용성이 대상 공간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 및 조명 효용성 할당도와 미리 정의된 제 2 유의성 정도를 만족하는 참조된 공간 객체들을 현재 시점 선별 공간 객체로 선별한다.
배치 방안 출력부(25)는, 대상 공간의 각각의 조명 배치 방안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치 방안 출력부(25)에 의한 대상 공간을 위한 각각의 조명 배치 방안을 출력하는 동작은, 1) 제 1 미래 시점에서 신재생 에너지에 의해 생성될 상기 대상 공간에 공급되는 예상 전력 및 상기 제 1 미래 시점에서 화석 에너지에 의해 생성될 상기 대상 공간에 공급되는 예상 전력의 비율을 획득하고, 2) 상기 제 1 미래 시점에서 신재생 에너지에 의해 생성될 상기 대상 공간에 공급되는 예상 전력의 비율을 기초로, 제 1 미래 시점에서 상기 대상 공간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를 생성하고, 3) 상기 제 1 미래 시점에서 화석 에너지에 의해 생성될 상기 대상 공간에 공급되는 예상 전력의 비율을 기초로, 제 1 미래 시점에서 상기 대상 공간의 조명 효용성 할당도를 생성하고, 4) 상기 참조된 공간 객체들 중에서, 상기 조명 예술성 및 상기 조명 효용성이, 상기 제 1 미래 시점에서 상기 대상 공간의 조명 효용성 할당도 및 상기 제 1 미래 시점에서 상기 대상 공간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와 상기 제 2 유의성 정도를 만족하는 제 1 미래 시점의 공간 객체들을 미래 시점 선별 공간 객체로 선별하고, 5) 상기 현재 시점 선별 공간 객체들과, 상기 미래 시점 선별 공간 객체들을 기초로, 대상 공간을 위한 조명 방안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명 배치 서버(20)에 의한 현재 시점 선별 공간 객체들과, 상기 미래 시점 선별 공간 객체들을 기초로 대상 공간을 위한 조명 방안을 출력하는 동작은, 1) 상기 현재 시점 선별 공간 객체들 중 하나의 현재 시점 선별 공간 객체와, 상기 미래 시점 선별 공간 객체 중 하나의 미래 시점 선별 공간 객체를 선정하고, 2) 선정된 하나의 현재 시점 선별 공간 객체와, 선정된 하나의 미래 시점 선별 공간 객체에서 조명 배치가 공통된다고 판별된 조명 배치 공통점들을 추출하고, 3) 상기 선정된 하나의 현재 시점 선별 공간 객체와, 상기 선정된 하나의 미래 시점 선별 공간 객체에서 조명 배치 가 차이 난다고 판별된 조명 배치 차이점들을 추출하고, 4) 각각의 조명 배치 차이점에 대하여, 상기 대상 공간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에 비례하는 확률로 상기 선정된 하나의 현재 시점 선별 공간 객체에 대응하는 공간의 조명 배치를 선택하고, 5) 상기 각각의 조명 배치 차이점에 대하여, 상기 대상 공간의 상기 제 1 미래 시점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에 비례하는 확률로 상기 선정된 하나의 미래 시점 선별 공간 객체에 대응하는 공간의 조명 배치를 선택하고, 6) 선택된 조명 배치들 및 상기 조명 배치 공통점들을 기초로, 상기 대상 공간을 위한 조명 배치 방안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장치(100)는, 카메라(110), 제1행거(120), 제1구동모터(130), 제2행거(140), 제2구동모터(150), 회전각센서(160-1, 160-2) 및 카메라 브라켓(170)을 포함한다.
카메라(110)는, 제1행거(120)에 의해 지지되어 기준대(200)의 영상을 촬영한다.
제1행거(120)는, 카메라(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구동모터(130)는, 제1행거(120)에서 카메라(110)가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제2행거(140)는, 제1행거(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구동모터(150)는, 제2행거(140)에서 제1행거(120)가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회전각센서(160-1, 160-2)는, 카메라(110)와 제1행거(120)의 회전각을 각각 센싱한다.
카메라 브라켓(170)은, 제2구동모터(150)를 실내 공간 상측 벽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브라켓(170)은, 고정 플레이트(171), 제1 거치 프레임(172), 제2 거치 프레임(173), 거치 플레이트(174), 제1 플레이트 밀착부(300) 및 제2 플레이트 밀착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71)는, 실내 공간 상측 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1 거치 프레임(172)은, "
Figure 112022105218612-pat00003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고정 플레이트(171)의 일측 하단에 설치된다.
제2 거치 프레임(173)은, 하부가 제1 거치 프레임(172)의 하부를 향하도록 "
Figure 112022105218612-pat00004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고정 플레이트(171)의 타측 하단에 설치된다.
거치 플레이트(174)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구동모터(150)의 상측에 설치되며, 제1 거치 프레임(172)과 제2 거치 프레임(173)의 각 하부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 플레이트(171)의 하측에 거치된다.
제1 플레이트 밀착부(30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172)의 하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1 거치 프레임(172)의 하부에 안착되는 거치 플레이트(174)의 일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거치 플레이트(174)의 일측을 고정 플레이트(171)의 저면으로 밀착시켜 준다.
제2 플레이트 밀착부는, 제2 거치 프레임(173)의 하부에 안착되는 거치 플레이트(174)의 타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거치 플레이트(174)의 타측을 고정 플레이트(171)의 저면으로 밀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카메라장치(100)는, 정밀한 영상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1 플레이트 밀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 밀착부(300)는, 밀착 프레임(3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3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지지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플레이트 밀착부는, 후술하는 제1 플레이트 밀착부(3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플레이트 밀착부(300)의 밀착 프레임(3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3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지지부(33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밀착 프레임(310)은,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172)의 하부의 상측에 안착되어 거치 플레이트(174)의 일측의 하측을 지지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320)는, 상부가 반구 형태로 밀착 프레임(310)의 상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거치 플레이트(174)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72a)에 안착되어 거치 플레이트(174)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제1 거치 프레임(172)의 하부에 형성되는 설치홈(L)에 하부가 안착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지지부(330)는, 설치홈(L)에 설치되어 설치홈(L)으로 안착되는 체결 돌기(320)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플레이트 밀착부(300)는, 제1 거치 프레임(172)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제1 거치 프레임(17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보다 선명한 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돌기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 지지부(500)는, 상단 지지부(510), 하단 지지부(520), 회전 지지부(530) 및 중단 지지부(540)를 포함한다.
상단 지지부(510)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지지부(5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에 의해 지지되어 체결 돌기(320)의 하부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지지부(5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51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하단 지지부(520)는, 상측에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에 의해 상단 지지부(510)와 이격 설치되며, 설치홈(L)에 안착되어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530)는,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단 지지부(5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한다.
중단 지지부(540)는, 상부가 회전 지지부(530)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하단 지지부(5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돌기 지지부(500)는, 고정 설치되는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530)와 상하 방향으로 노출과 삽입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의 회전 또는 수직 이동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회전 지지부(530)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 회전 체결 돌기(532), 제1 나사산(533), 제1 회전형 완충부(534) 및 제2 회전형 완충부(535)를 포함한다.
회전형 지지 원통(531)은,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533)을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하며, 상측을 따라 회전 체결 돌기(532)가 형성된다.
회전 체결 돌기(532)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상단 지지부(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51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나사산(533)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나사산(5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안착되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즉,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하방 압력을 받음에 따라 제1 나사산(533)과 제2 나사산(542) 간의 결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것이다.
이때,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을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2 회전형 완충부(535)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배치되며, 전단 하측에 곡선형 실린더(5342)가 설치된다.
곡선형 실린더(5342)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전단에 설치되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하강되는 안착 블록(52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전달받아 내측에 설치되는 곡선형 피스톤(5343)을 내측으로부터 노출시켜 준다.
곡선형 피스톤(5343)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곡선형 실린더(5342)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지지하며, 곡선형 실린더(5342)로 지지 유체(523)가 전달됨에 따라 곡선형 실린더(5342)로부터 노출되면서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밀어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을 회전시켜 준다.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은,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과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을 지지한다.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함께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여기서,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상술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의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 지지부(530)는, 상단 지지부(510)와 중단 지지부(540) 사이에서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회전 운동으로 변형시켜 주는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중단 지지부(540)는, 중단 지지 기둥(541),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를 포함한다.
중단 지지 기둥(541)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안착되어 지지 유체(523)에 의해 지지되며,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2 나사산(5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산(53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 지지부(510)로부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은, 제1 회전형 완충부(534)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일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완충부 배치홈(544)은, 제2 회전형 완충부(535)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타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는,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단 지지 기둥(541)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단 지지부(540)는, 회전 지지부(53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에서 지지 유체(523)를 가압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6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하단 지지부(520)는, 안착 블록(521),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를 포함한다.
안착 블록(52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기둥 안착홈(522)은, 중단 지지 기둥(54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안착 블록(5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하측 공간에 지지 유체(523)가 수용된다.
이때, 지지 유체(523)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밀폐되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단에 수용되는 것이며, 중단 지지 기둥(541)의 기둥 안착홈(522)에서의 상하 이동에 상관 없이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유출되지 아니하여야 할 것이다.
지지 유체(523)는, 물 또는 오일 등과 같이 그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고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물체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삽입되어 있는 중단 지지 기둥(541)을 지지한다.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은,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기둥 안착홈(52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보조 완충부(52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 유체(523)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완충부(525)는, 이너 하우징(5251), 지지 파티션(5252) 및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5251)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한다.
여기서, 기둥 안착홈(522)과 이너 하우징(5251) 사이에는, 지지 유체(523)의 이동을 중계하기 위한 유체 이동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파티션(5252)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을 지지 유체(523)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이 설치되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이너 하우징(5251)의 중단에 설치된다.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 파티션(5252)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단 지지부(52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단 지지부(540)를 지지하는 동시에, 중단 지지부(54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중단 지지부(54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 시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의 배출 또는 유입 과정에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10: 실내 공간 촬영 장치
20: 조명 배치 서버
100: 카메라장
200: 기준대

Claims (11)

  1. 실내 공간의 영상 정합을 이용하여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내 공간 촬영 장치; 및
    상기 실내 공간 촬영 장치에서 생성한 3D 실내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명 배치 방안을 생성하는 조명 배치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 공간 촬영 장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실내 공간의 천장 모서리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장치; 및
    실내 공간에 설치되되 각각의 카메라장치의 촬영각 안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기준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장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행거;
    상기 제1행거에서 상기 카메라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
    상기 제1행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행거;
    상기 제2행거에서 상기 제1행거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행거의 회전각을 각각 센싱하는 회전각센서; 및
    상기 제2구동모터를 실내 공간 상측 벽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시켜 주는 카메라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브라켓은,
    실내 공간 상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
    Figure 112023020493816-pat00019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
    하부가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를 향하도록 "
    Figure 112023020493816-pat00020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타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2 거치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구동모터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거치 프레임과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각 하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거치되는 거치 플레이트;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1 플레이트 밀착부; 및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안착되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타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타측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2 플레이트 밀착부;를 포함하는,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배치 서버는,
    상기 실내 공간 촬영 장치에서 생성한 3D 실내 공간 데이터로부터 조명을 배치하고자 하는 대상 공간(subject room)의 규격 정보 및 구조물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대상 공간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 및 조명 효용성 할당도를 생성하는 할당도 생성부;
    데이터베이스화된 공간 객체들 중에서, 규격 정보 및 구조물 정보가 상기 대상 공간의 규격 정보 및 구조물 정보와 미리 정의된 제 1 유의성 정도를 만족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공간 객체들을 참조하는 객체 참조부;
    상기 객체 참조부에서 참조된 공간 객체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조명 예술성 및 미리 정의된 조명 효용성이 상기 대상 공간의 조명 예술성 할당도 및 조명 효용성 할당도와 미리 정의된 제 2 유의성 정도를 만족하는 상기 참조된 공간 객체들을 현 재 시점 선별 공간 객체로 선별하는 객체 선별부; 및
    상기 대상 공간의 각각의 조명 배치 방안을 출력하는 배치 방안 출력부;를 포함하는,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밀착부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밀착 프레임;
    상부가 반구 형태로 상기 밀착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하부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 및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홈으로 안착되는 상기 체결 돌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설치홈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하는,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KR1020220127715A 2022-10-06 2022-10-06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KR102539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715A KR102539599B1 (ko) 2022-10-06 2022-10-06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715A KR102539599B1 (ko) 2022-10-06 2022-10-06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599B1 true KR102539599B1 (ko) 2023-06-01

Family

ID=8677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715A KR102539599B1 (ko) 2022-10-06 2022-10-06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5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001B1 (ko) 1995-04-22 1998-09-15 구경회 조립식 콘테이너 하우스의 지붕구조
KR20130016672A (ko) * 2011-08-08 2013-02-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20200079736A (ko) * 2018-12-26 2020-07-06 (주)신한항업 영상 정합을 이용한 3d 실내공간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141774B1 (ko) * 2020-01-02 2020-08-05 김승욱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272650B1 (ko) * 2020-12-08 2021-07-05 유찬영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001B1 (ko) 1995-04-22 1998-09-15 구경회 조립식 콘테이너 하우스의 지붕구조
KR20130016672A (ko) * 2011-08-08 2013-02-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20200079736A (ko) * 2018-12-26 2020-07-06 (주)신한항업 영상 정합을 이용한 3d 실내공간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141774B1 (ko) * 2020-01-02 2020-08-05 김승욱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272650B1 (ko) * 2020-12-08 2021-07-05 유찬영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816B2 (en) Camera terminal and imaged area adjusting device
CN110264905B (zh) 一种光场显示***
CN108592951B (zh) 一种基于光流法的采煤机捷联惯导初始对准***及方法
CN111265004A (zh) 监视器支架和桌子高度的同步调节***
KR101472278B1 (ko) 프로젝터와 카메라 및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안내화면을 제공하는 전시장용 도슨트 이동로봇
CN103636190A (zh) 用于获取图像的摄像***及相关方法
KR101222104B1 (ko) 라인 스캔 카메라를 이용한 전방위 입체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0729155B1 (ko) 동일시각에 동일피사체를 여러 대의 카메라로 촬영하는입체촬영 시스템
KR102539599B1 (ko)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시스템
KR102244501B1 (ko) 가이드 장비 및 이를 구비하는 맨홀 내부 상태 조사 장치
IL174511A0 (en) Transportable photographic booth
CN107167302A (zh) 基于离轴准直光学***的真空低温环境成像抖动检测装置
CN103366169A (zh) 一种工程机械臂架多点状态识别方法、设备及***
CN103277649A (zh) 棘轮调节电视机架
CN218785562U (zh) 一种基于柔性铰链的调平工作台及位移台
KR102305284B1 (ko)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193789B1 (ko) 3차원 공간인식센서
GB2451093A (en) Oscillation damper for a suspended or mounted device
CN208206060U (zh) 一种矿山尾矿内部形貌声呐检测装置
KR102279487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
CN105021612B (zh) 电路板双面检测设备
CN110431438A (zh) 用于检测对象的方法及其电子设备
CN108132253A (zh) 多角度岩心照相仪
CN202036232U (zh) 一种车载数字x射线成像***配重装置
KR101692397B1 (ko) 광량 조절장치,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