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025B1 - A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A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025B1
KR102538025B1 KR1020180069062A KR20180069062A KR102538025B1 KR 102538025 B1 KR102538025 B1 KR 102538025B1 KR 1020180069062 A KR1020180069062 A KR 1020180069062A KR 20180069062 A KR20180069062 A KR 20180069062A KR 102538025 B1 KR102538025 B1 KR 102538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4928A (en
Inventor
이해철
김성호
박성원
신욱현
오상언
이승엽
이종민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811526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951198B/en
Priority to US16/222,217 priority patent/US10630394B2/en
Priority to DE102018133111.8A priority patent/DE102018133111A1/en
Priority to TW107146125A priority patent/TWI826409B/en
Publication of KR2019007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9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26Measuring noise figure; Measuring signal-to-noise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서 따른 복수의 내부 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내부 장치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조성된 복수의 상태 조건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들에 관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 정보들 중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로부터 상기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RF 신호의 크기 및 상기 획득한 노이즈 크기를 기반으로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peration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nal devic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noises generated in a plurality of state conditions created b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Genera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noise information, receiving an RF signal from the outside, obtaining the magnitude of noise interfering with the RF signal from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condition among the noise information, and and performing noise filtering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RF signal and the acquired noise magnitude.

Figure R1020180069062
Figure R1020180069062

Description

선택적인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A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뢰성 높은 통신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n particular,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a highly reliable communication operation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최근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내부 장치들(internal components)(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이미지 센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컨트롤러, 메모리 장치 등)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유저의 니즈에 부합하는 빠른 동작을 수행하였다. 다만, 내부 장치들은 고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를 기초로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내부 장치들은 고주파수를 갖는 노이즈들을 발생시키게 되었고, 이러한 노이즈들은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 성능(특히, 수신 성능)을 열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As the performance of internal components included in recen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g, displays, image sensors, application processors, memory controllers, memory devices, etc.) has improved, it performs fast operations that meet user needs. did However, since the internal devices perform operations based on a clock signal having a high frequency, the internal devices generate noise having a high frequency, and these noises are factors that degrad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particular,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rked.

종래에는 별도의 외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노이즈 분석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노이즈가 무선 통신 장치 내부의 모뎀에 주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의 내부 장치들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들에 의한 통신 성능 열화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since the overall noise analysi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as performed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through a separate external antenna, it was not possible to directly determine the effect of the noise on the modem insi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mmunication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noise generated from internal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not be effectively improved.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무선 통신 장치의 내부 장치들에 대한 노이즈들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여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mmunication performance by selectively filtering noises of internal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서 따른 복수의 내부 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내부 장치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조성된 복수의 상태 조건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들에 관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 정보들 중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로부터 상기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RF 신호의 크기 및 상기 획득한 노이즈 크기를 기반으로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perating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nal device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lurality of states created b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Genera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noise information about noises generated in conditions, receiving an RF signal from the outside, disturbing the RF signal from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state condition among the noise information Acquiring the size of noise and performing noise filtering based on the size of the RF signal and the acquired noise size.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유저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작하는 내부 장치들, 상기 내부 장치들 각각의 동작 모드에 따른 복수의 상태 조건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들에 관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는 RF 집적회로 및 상기 노이즈 정보들 중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로부터 상기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RF 신호의 크기 및 상기 획득한 노이즈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RF 신호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는 모뎀을 포함한다.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internal devices operating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users, and a plurality of noise information about noises generated in a plurality of state conditions according to operation modes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The magnitude of noise disturbing the RF signal is obtained from a memory for storing, an RF integrated circuit for processing an RF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state condition among the noise informa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RF signal and a modem performing noise filtering on the RF signal based on the acquired noise level.

또한, 다른 측면에 따른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무선 통신 장치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내부 장치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조성된 복수의 상태 조건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들에 관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노이즈 정보들 중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로부터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RF 신호의 크기 및 상기 획득한 노이즈 크기를 기반으로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non-transitory processo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when the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a process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processor performs operations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y controlling the mode, a plurality of noise information about noises generated in a plurality of state conditions are generated and stored, and among the noise information,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condi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noise that interferes with the RF signal. A size is obtained, and noise filte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size of the RF signal and the acquired noise size.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할 때에, 노이즈 정보들을 참조하여 RF 신호에 방해되는 노이즈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노이즈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noise that interferes with an RF signal by referring to noise information, and improves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y selectively filtering the noi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도 1은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무선 통신 장치의 내부 장치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파워 측정기가 노이즈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정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이즈를 주파수 서브 대역별로 분리하여 노이즈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퓨리에 변환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3은 주파수 해상도를 설명하기 위한 고속 퓨리에 변환 결과 그래프이며,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정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의 선택적인 노이즈 필터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선택적인 노이즈 필터링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노이즈 필터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의 노이즈 필터에 의해 톤 노이즈가 제거 또는 감쇄되는 예를 보여주기 위한 RF 신호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ternal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FIG. 2 .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generating noise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S. 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state condi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noise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a and 7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S. 9A and 9B are graphs for explaining how the power meter of FIG. 8 measures the magnitude of noise.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noi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noise information by separating noise for each frequency sub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a fast Fourier transform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3 is a fast Fourier transform result graph for explaining frequency resolution, and FIG. 14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noi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an automatic gain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ective noise filtering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noise filter of FIG. 17 .
19A and 19B are diagrams showing spectrums of RF signals to show examples in which tonal noise is removed or attenuated by the noise filter of FIG. 18 .
2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5G(5th generation) 시스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시스템, GSM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CDMA 시스템은 광대역 CDMA(WCDMA), 시간 분할 동기화 CDMA(TD-SCDMA), cdma2000 등의 다양한 CDMA 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 includes a 5th generation (5G) system, a Long Term Evolution (LTE) system, a Code Division Multiple (CDMA) system,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system, and a Wireless WLAN (WLAN) system.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the like. In addition, a CDMA system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DMA versions such as Wideband CDMA (WCDMA), Time Division Synchronized CDMA (TD-SCDMA), and cdma2000.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적어도 두개의 기지국(11, 12; Base Station) 및 시스템 컨트롤러(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 실시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다수의 기지국들 및 다수의 네트워크 엔티티들(Network entities)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는 유저 장치(User Equipment),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 유저 단말(User Terminal), 섭스크라이브 스테이션(Subscribe Station), 휴대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1, 12)은 무선 통신 장치(10) 및/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지칭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10) 및/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여 데이터 신호 및/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11, 12)은 Node B, eNB(evolved-Node 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및 AP(Access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 may include at least two base stations 11 and 12; and a system controller 15. Meanwhile,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a plurality of network entiti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may be referred to as a user equipment, a mobile station, a mobile terminal, a user terminal, a subscribe station, a portable device, and the like. there is. Base stations 11 and 12 may refer to fixed stations that communicat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nd/or other base stations, and communicat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nd/or other base stations to transmit data signals. And / or a radio frequency (RF) signal including contro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base stations 11 and 12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Node B, an evolved-Node 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d an access point (AP).

무선 통신 장치(10)는 무선 통신 시스템(1)과 통신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14)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무선 통신 장치(10)는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의 위성(1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는 무선 통신(예를 들면, 5G, LTE, CDMA, cdma2000, WCDMA, TD-SCDMA, GSM, 802.11 등)을 위한 라디오(radio)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 and receiving signals from the broadcast station 14 . Furthermo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may receive a signal from a satellite 13 of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may support a radio technology for wireless communication (eg, 5G, LTE, CDMA, cdma2000, WCDMA, TD-SCDMA, GSM, 802.11, etc.).

무선 통신 장치(10)는 유저의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내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장치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0)가 수신하는 RF 신호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노이즈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내부 장치들로부터 생성되는 노이즈들은 내부 장치들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동작 모드는 내부 장치의 온/오프 상태, 내부 장치의 동작의 기초가 되는 클록 신호의 주파수의 크기를 기준으로 정의된 동작 상태, 내부 장치가 온 상태인 경우에 정의된 다양한 동작 상태(예를 들면, 액티브(active) 상태 또는 아이들(idle) 상태)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동작 모드의 종류는 내부 장치 별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ternal devices f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that meet the user's needs. 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devices may generate noise that may interfere with the RF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nd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internal device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internal devices. there is. The operating mode includes the on/off state of the internal device, the operating state defin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frequency of the clock signal that is the basis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device, and various operating states defined when the internal device is in the on state (e.g. , an active state or an idle state), and the like. The type of operation mod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or each internal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는 내부 장치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여 복수의 상태 조건들을 조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태 조건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들에 관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태 조건은 내부 장치들의 동작 모드에 따라 구분되는 파라미터로서 상태 조건 별로 내부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는 다른 내부 장치들의 동작 모드와 상이할 수 있다. 상태 조건은 무선 통신 장치(10)의 모든 내부 장치들의 동작 모드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무선 통신 장치(10)의 내부 장치들 중 일부만의 동작 모드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태 조건이 조성되기 위해 동작 모드 제어가 필요한 내부 장치들은 기준 값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는 생성한 노이즈 정보들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노이즈 정보는 각각의 상태 조건들에서 내부 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의 주파수 정보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정보에 관한 내용은 도 10 및 도 13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reate a plurality of state conditions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s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and may generate a plurality of noises related to noises generated in each state condition. information can be created. The state condition is a parameter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es of internal devices, and for each state condition, at least one operating mode of internal devices may be different from the operating modes of other internal devices. The state condition may be set based on the operating modes of all internal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based on the operating modes of only some of the internal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there is. Furthermore, internal devices requiring operation mode control to create state conditions may be configured as devices that operate based on a clock signal having a frequency high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may store generated noise information in an internal memory. The noise information may include frequency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noise generated from internal devices in respective state conditions. Noise information is described in detail in FIGS. 10 and 13 .

무선 통신 장치(10)는 상태 조건 별로 정리된 노이즈 정보들을 이용하여 RF 신호에 대한 선택적인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1)으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10)는 무선 통신을 위한 RF 신호를 수신할 때에, 무선 통신 장치(10)는 내부 장치들의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현재의 상태 조건을 검출하고, 노이즈 정보들 중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로부터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는 RF 신호의 크기 및 획득한 노이즈 크기를 기반으로 선택적인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may perform selective noise filtering on the RF signal using noise information organized according to state conditions. Specifically,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receives an RF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11,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detects a current state condi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of internal devices, Among the noise information, the size of the noise interfering with the RF signal may be obtained from the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con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may perform selective noise filtering based on the size of the RF signal and the acquired noise.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는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할 때에, 노이즈 정보들을 참조하여 RF 신호에 방해되는 노이즈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노이즈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0)의 통신 성능(특히,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noise interfering with an RF signal by referring to noise information, and selectively filtering the noise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 )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particular, reception performance)

도 2는 본 개시의 일 2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in the examples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represent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블록도이고is a block diagram , 도 3은 도 2의 무선 통신 장치의 내부 장치들을 나타내는 , Figure 3 shows internal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FIG. 블록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는 안테나(120), RF 집적회로(140), 모뎀(160) 및 메모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20)는 외부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F 집적회로(140)는 RF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RF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데이터 신호만이 증폭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모뎀(160)은 무선 통신 장치(100)의 해당 통신 방식에 따라 베이스밴드 신호를 정보 신호로 복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뎀(160)은 CDMA, WCDMA, HSDPA, LTE, 5G 등의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베이스밴드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n antenna 120, an RF integrated circuit 140, a modem 160, and a memory 180. The antenna 120 may receive an RF signal from the outside. The RF integrated circuit 140 may convert the RF signal into a baseband signal, and may process so that only the data signal may be amplified while maximally suppressing noise included in the RF signal. The modem 160 may demodulate a baseband signal into an information signal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 For example, the modem 160 may demodulate a baseband signal based on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CDMA, WCDMA, HSDPA, LTE, or 5G.

모뎀(160)은 노이즈 필터(162) 및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무선 통신 장치(100)의 내부 장치들(170, 도 3)의 동작 모드에 따른 복수의 상태 조건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들에 관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182)를 생성하고, 메모리(180)에 저장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노이즈 정보들(182)을 생성할 때에, 무선 통신 장치(100)가 안테나(120)를 통해 외부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지 않도록 RF 집적회로(140)를 제어할 수 있다.Modem 160 may include a noise filter 162 and a baseband processor 164 . The baseband processor 16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generate a plurality of noises related to noises generated in a plurality of state condition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internal devices 170 (FIG. 3)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Noise information 182 may b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180 . When generating the noise information 182, the baseband processor 164 may control the RF integrated circuit 140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does not receive or transmit an external signal through the antenna 120. .

도 3을 더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는 내부 장치들(17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장치들(17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71), 디스플레이(172), 메모리 컨트롤러(173), 메모리 장치(174), 이미지 센서(175, 또는,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장치들(170)은 도 3에 도시된 장치들(171-175) 이외에 유저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장치들(170)은 각각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 다양한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가 무선 통신을 수행할 때에 내부 장치들(170)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본인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으로 인하여 무선 통신을 방해하는 노이즈들(N1-Nn)이 발생할 수 있다. RF 집적회로(140)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적합한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이에 따라, 내부 장치들(170) 각각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생성되는 다양한 노이즈들(N1-Nn)은 RF 집적회로(140)에 유입될 수 있다. 노이즈(N1-Nn) 별로 주파수 특성 및 노이즈 크기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 3 ,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include internal devices 170 . The internal devices 170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cessor 171 , a display 172 , a memory controller 173 , a memory device 174 , an image sensor 175 (or a camera), and the like. The internal devices 17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devices f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users in addition to the devices 171 to 175 shown in FIG. 3 . The internal devices 170 may each operate in various operation modes based on a clock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at least one of the internal devices 170 may perform its own operation, and due to this operation, noises (N1-Nn) that interfer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are can happen The RF integrated circuit 140 is designed with a structure suitable for receiving signals, and accordingly, various noises (N1-Nn)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170 are generated by the RF integrated circuit 140 can flow into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noise size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or each noise (N1-Nn).

도 2로 돌아오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복수의 상태 조건들 각각에서 RF 집적회로(140)로부터 출력된 노이즈 신호를 이용하여 노이즈 정보들(182)을 생성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때에, 내부 장치들(170, 도 3)의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현재의 상태 조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노이즈 정보들(182)로부터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무선 통신을 위해 수신된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찾을 수 있으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획득한 노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RF 신호의 크기 및 획득한 노이즈 크기를 기반으로 노이즈 필터(162)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택적인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RF 신호의 크기와 획득한 노이즈 크기간의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때에, 노이즈 필터(162)를 온(또는 활성화)시켜, 노이즈 필터(162)에 RF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비율이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때에, 노이즈 필터(162)를 오프(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Returning to FIG. 2 , the baseband processor 164 may generate noise information 182 using a noise signal output from the RF integrated circuit 140 in each of a plurality of state conditions. When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 baseband processor 164 may obtain information on current state conditions according to current operation modes of the internal devices 170 (FIG. 3), and from the noise information 182.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condition may be acquired. The baseband processor 164 may find the frequency band of the RF signal receiv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obtain the magnitude of noise that interferes with the RF signal us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RF signal and acquired noise information. The baseband processor 164 may control the noise filter 162 based on the size of the RF signal and the acquired noise, and through this, selective noise filtering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baseband processor 164 turns on (or activates) the noise filter 162 when the ratio between the size of the RF signal and the obtained noise level exceeds a threshold value, and the noise filter 162 transmits the RF signal. Noise filtering may be performed by passing , and when the ratio does not exceed a threshold value, the noise filter 162 may be turned off (or deactivated).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할 때에, 내부 장치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generating noise inform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S. 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state condi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Hereinafter, when generating noise inform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71) 및 내부 장치들(17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소정의 주기로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00)의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내부 장치들(170')의 상태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 장치들(170')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00)의 소정의 사용 기간이 달성될 때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00)의 전원이 온되거나, 재부팅되었을 때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00)의 사용 기간에 따라 상기 주기는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baseband processor 164, an application processor 171, and internal devices 170'. The baseband processor 164 may generate or update noise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cycle. Specifically, as the usage peri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increases, the state of the internal devices 170' may change, and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noise generated from the internal devices 170' may change. . Accordingly, whenever a predetermined usage peri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is achieved, the baseband processor 164 may generate or update noise information. Also, nois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or updated when the pow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is turned on or rebooted. In addition, the period may be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age peri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71)에 내부 장치들(17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모드 제어 요청(CSReq)을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71)는 동작 모드 제어 요청(CSReq)에 응답하여, 자신(171)의 동작 모드와 함께 내부 장치들(170') 각각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71)는 자신(171)의 동작 모드 및 내부 장치들(170') 각각의 동작 모드에 따른 상태 조건을 나타내는 상태 조건 정보(SC)를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에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상기 상태 조건에서 발생된 노이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71)는 모든 상태 조건들에 대한 상태 조건 정보들(SC)을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에 제공할 때까지, 자신(171)의 동작 모드와 함께 내부 장치들(170') 각각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는 모든 상태 조건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서 서술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71) 및 내부 장치들(170')에 대한 동작 모드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The baseband processor 164 may provide an operation mode control request (CSReq)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internal devices 170' to the application processor 171 to generate nois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mode control request CSReq, the application processor 171 may control the operation mode of the application processor 171 and the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170'. The application processor 171 may provide the baseband processor 164 with state condition information SC indicating a state condi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application processor 171 and each operation mode of the internal devices 170'. The baseband processor 164 may generate nois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tate condition. Until the application processor 171 provides state condition information (SC) for all state conditions to the baseband processor 164,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170' along with its 171 operation mode. An operation mode may be controlled, and the baseband processor 164 may generate a plurality of pieces of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ll state conditions. However,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4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eband processor 164 directly controls the operation modes of the application processor 171 and the internal devices 170'. can do.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100)의 내부 장치들 중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가 선택되어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하는 것을 가정하여 서술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분명하다.In FIGS. 5A to 5C , it is assumed that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are selected from among internal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to generate noise information. However, it is clear that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상태 조건(SC_1)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1 내부 장치만 온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것을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 조건(SC_2)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2 내부 장치만 온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제3 상태 조건(SC_3)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3 내부 장치만 온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제4 상태 조건(SC_4)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4 내부 장치만 온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 도 4)는 이러한 상태 조건(SC_1-SC_4)별로 RF 집적회로(140, 도 3)로부터 수신되는 노이즈를 분석하여 노이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태 조건(SC_1-SC_4)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각각의 독립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분석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the first state condition SC_1 may be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internal device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is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are turned off. In the second state condition SC_2, only the second internal device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may be in an off state. The third state condition SC_3 may be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Among the devices, only the third internal device may be turned on, and the other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ff. In the fourth state condition SC_4, only the fourth internal device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ff. The baseband processor 164 (FIG. 4) may generate noise information by analyzing noise received from the RF IC 140 (FIG. 3) for each state condition (SC_1-SC_4). In this way, the state conditions (SC_1-SC_4) may be defined to analyze noise generated by independent factors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상태 조건(SC_1)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1 및 제2 내부 장치가 온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 조건(SC_2)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1 및 제3 내부 장치가 온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제3 상태 조건(SC_3)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1 및 제4 내부 장치가 온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제4 상태 조건(SC_4)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2 및 제3 내부 장치가 온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제5 상태 조건(SC_5)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2 및 제4 내부 장치가 온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제6 상태 조건(SC_6)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3 및 제4 내부 장치가 온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 도 4)는 이러한 상태 조건(SC_1-SC_6)별로 RF 집적회로(140, 도 3)로부터 수신되는 노이즈를 분석하여 노이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태 조건(SC_1-SC_6)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두 개의 내부 장치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분석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 the first state condition SC_1 may be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devices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are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are turned off. The second state condition SC_2 may be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internal devices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are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are turned off. The third state condition SC_3 may be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fourth internal devices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are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are turned off. In the fourth state condition SC_4, the second and third internal devices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ff. The fifth state condition SC_5 may be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nd fourth internal devices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are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are turned off. In the sixth state condition SC_6, the third and fourth internal devices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n,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ff. The baseband processor 164 (FIG. 4) may generate noise information by analyzing noise received from the RF IC 140 (FIG. 3) for each state condition (SC_1-SC_6). As such, the state conditions (SC_1-SC_6) may be defined to analyze noise generated by complex factors of two internal devices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도 5c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는 온 상태에서 각각 두 종류의 동작 모드(제1 내부 장치는 'A1', 'A2' 동작 모드를 갖고, 제2 내부 장치는 'B1', 'B2' 동작 모드를 갖고, 제3 내부 장치는 'C1', 'C2' 동작 모드를 가지며, 제4 내부 장치는 'F1', 'F2' 동작 모드를 가짐)를 갖는 것을 가정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제1 상태 조건(SC_1)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1 내부 장치만 온되어 'A1'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 조건(SC_2)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중 제1 내부 장치만 온되어 'A2'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나머지 내부 장치들은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제3 내지 제8 상태 조건(SC_3-SC_8)은 제1 및 제2 상태 조건(SC_1, SC_2)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64, 도 4)는 이러한 상태 조건(SC_1-SC_8)별로 RF 집적회로(140, 도 3)로부터 수신되는 노이즈를 분석하여 노이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태 조건(SC_1-SC_8)은 제1 내지 제4 내부 장치 각각의 독립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분석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have two types of operation modes (the first internal device has 'A1' and 'A2' operation modes, and the second internal device has 'B1', 'B1' and 'A2' operation modes). It is assumed that it has an operating mode of 'B2', a third internal device has an operating mode of 'C1' and 'C2', and a fourth internal device has an operating mode of 'F1' and 'F2'.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may have different types of operation modes. In the first state condition SC_1, only the first internal device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n and operated in the 'A1' operation mode,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ff. In the second state condition SC_2, only the first internal device among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n and operated in the 'A2' operation mode, and the remaining internal devices may be turned off. Since the third to eighth state conditions (SC_3-SC_8) are similar to the first and second state conditions (SC_1 and SC_2),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The baseband processor 164 (FIG. 4) may generate noise information by analyzing noise received from the RF IC 140 (FIG. 3) for each state condition (SC_1-SC_8). In this way, the state conditions (SC_1 to SC_8) may be defined to analyze noise generated by independent factors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internal devices.

도 5a 내지 도 5c에서 서술된 실시예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태 조건은 무선 통신 동작을 위한 RF 신호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내부 노이즈들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내부 장치들의 동작에 기초가 되는 클록 신호의 주파수, 소모하는 전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5A to 5C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ate condition is an internal device to effectively analyze internal noises that may interfere with RF signa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It can be set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the clock signal, power consumption, etc., which are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

도 6은 본 개시의 일 6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in the examples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 to 노이즈noise 정보들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to explain how to generate information 순서도이다is a flowchart ..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노이즈 스캔 주파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S100). 무선 통신 장치가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RF 신호의 주파수 범위는 미리 정해진 상태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 가능한 RF 신호의 주파수 범위를 기반으로 노이즈 스캔 주파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S100). 일 예로, 무선 통신 인프라(infra)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은 각각 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파수를 할당받았으며, 무선 통신 장치에는 상기 사업자들 중 자신이 가입된 사업자가 할당받은 주파수의 범위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는 저장된 RF 신호의 주파수의 범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노이즈 스캔 주파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노이즈 스캔 주파수 범위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은 CDMA, WCDMA, HSDPA, LTE, 5G 등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른 너비,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장치는 해당 통신 방식에 부합하는 주파수 대역 별로 노이즈 스캔 주파수 범위 내의 노이즈를 분리할 수 있다(S110). 무선 통신 장치는 제n(단, n은 1 이상의 자연수) 주파수 대역에서의 노이즈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노이즈 크기와 이에 대응하는 제n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제n 노이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20). 무선 통신 장치는 제n 주파수 대역이 노이즈 스캔 주파수 범위내의 마지막 주파수 대역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30). 제n 주파수 대역이 마지막 주파수 대역이 아닌 때에(S130, NO), n을 카운트 업하여 단계 S12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제n 주파수 대역이 마지막 주파수 대역인 때에(S130, YES), 무선 통신 장치는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150).Referring to FIG. 6 ,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set a noise scan frequency range (S100). The frequency range of the RF signal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 receive from the outside may be in a predetermined stat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set the noise scan frequency range based on the frequency range of the RF signal that can be received (S100). For example, operators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re each assigned a frequency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and information about the range of frequencies allocated to the operator among the operators to which they subscribe is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dvance. can be stored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set the noise scan frequency range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about the frequency range of the RF signal. The noise scan frequency ran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The frequency band may have a different width and a different center frequenc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CDMA, WCDMA, HSDPA, LTE, 5G, etc.,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parates noise within the noise scan frequency range for each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It can be done (S1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measure the size of noise in an n-th (where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frequency band, and generate n-th noise information based on the measured noise level and the n-th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hereto. (S120).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n-th frequency band is the last frequency band within the noise scan frequency range (S130). When the n-th frequency band is not the last frequency band (S130, NO), step S120 may be performed again by counting up n. When the n-th frequency band is the last frequency band (S130, Y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store a plurality of pieces of noise information in an internal memory (S150).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일 7a and 7b are p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in the examples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안테나(220), RF 집적회로(240) 및 모뎀(260)을 포함할 수 있다. RF 집적회로(240)는 듀플렉서(241), 저잡음 증폭기(242), 필터(243, 245), 믹서(244), 로컬 오실레이터(246), PLL 회로(247) 및 RF 컨트롤러(248)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260)은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4) 및 파워 측정기(266)를 포함할 수 있다. 듀플렉서(241)는 안테나(220)를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RF 집적회로(240)가 수신 모드인 것을 전제하여 서술한다. 저잡음 증폭기(242)는 노이즈를 증폭하여 증폭된 노이즈를 밴드 패스 필터(243)에 제공할 수 있다. 증폭된 노이즈는 밴드 패스 필터(243)를 통과하고, 필터링된 노이즈는 믹서(244)를 통해 로컬 오실레이터(246)로부터 생성된 신호와 주파수 하향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노이즈는 로우 패스 필터(245)를 통과하여 노이즈 신호(N_B)로서 모뎀(260)에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include an antenna 220, an RF integrated circuit 240, and a modem 260. The RF integrated circuit 240 may include a duplexer 241, a low noise amplifier 242, filters 243 and 245, a mixer 244, a local oscillator 246, a PLL circuit 247 and an RF controller 248. can Modem 260 may include a baseband processor 264 and a power meter 266 . The duplexer 241 may be controlled to use the antenna 220 for transmission or rece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RF integrated circuit 240 is in the reception mode. The low noise amplifier 242 may amplify noise and provide the amplified noise to the band pass filter 243 . The amplified noise may pass through the band pass filter 243, and the filtered noise may be frequency downconverted to a signal generated from the local oscillator 246 through a mixer 244. The converted noise may pass through the low pass filter 245 and be provided to the modem 260 as a noise signal N_B.

일 실시예로, 무선 통신 장치(100)는 현재 쉴딩되어 안테나(220)를 통해 외부 신호(EXT_S)를 수신할 수 없으며, RF 집적회로(240)에는 내부 장치들에 의한 노이즈가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노이즈는 제n 상태 조건에서 내부 장치들로부터 발생된 것일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4)는 RF 컨트롤러(248)에 노이즈 정보 생성 제어신호(NIG_CS)를 제공할 수 있으며, RF 컨트롤러(248)는 노이즈 정보 생성 제어신호(NIG_CS)에 응답하여 PLL 회로(247)에 주파수 제어신호(F_CS)를 제공할 수 있다. PLL 회로(247)는 주파수 제어신호(F_CS)를 기반으로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로컬 오실레이터(246)를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is currently shielded and cannot receive an external signal EXT_S through the antenna 220, and noise caused by internal devic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RF integrated circuit 240. . In this case, the noise may be generated from internal devices in the n-th state condition. The baseband processor 264 may provide the noise information generation control signal NIG_CS to the RF controller 248, and the RF controller 248 may respond to the noise information generation control signal NIG_CS to the PLL circuit 247. A frequency control signal F_CS may be provided. The PLL circuit 247 may control the local oscillator 246 to generate a signal having a desired frequency based on the frequency control signal F_CS.

일 실시예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4)는 RF 컨트롤러(246)를 통해 로컬 오실레이터(246)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밴드 패스 필터(243), 믹서(244), 로우 패스 필터(245)를 이용하여 노이즈를 주파수 대역 별로 분리할 수 있다. 파워 측정기(266)는 주파수 대역 별 노이즈 신호(N_B)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호의 크기는 신호의 파워를 의미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4)는 파워 측정기(266)가 제n 상태 조건에서의 주파수 대역 별 노이즈 신호(N_B)의 크기를 모두 측정한 때에는, 다음 상태 조건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에 관한 노이즈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eband processor 264 may change the frequency of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local oscillator 246 through the RF controller 246, and the band pass filter 243, the mixer 244, and the low pass filter Noise can be separated by frequency band using (245). The power measurer 266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noise signal N_B for each frequency band. Hereinafter, the magnitude of a signal may mean the power of a signal. The baseband processor 264 generates noise information about noise generated in the next state condition when the power measurer 266 measures all the amplitudes of the noise signal N_B for each frequency band in the nth state condition. can control.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와 다르게 무선 통신 장치(200)가 쉴딩되지 않는 대신에 RF 컨트롤러(248)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4)로부터 수신한 노이즈 정보 생성 제어신호(NIG_CS)에 응답하여 제어신호(DU_CS)를 듀플렉서(241)에 제공함으로써 안테나(220)와 RF 집적회로(240)간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200)는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하는 동안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unlike FIG. 7A, instead of shiel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the RF controller 248 receives a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noise information generating control signal NIG_CS received from the baseband processor 264. By providing (DU_CS) to the duplexer 241, the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220 and the RF integrated circuit 240 may be disconnected. Through th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not receive a signal from the outside or transmit a signal to the outside while generating noise information.

다만,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RF 집적회로(240)의 구성은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노이즈를 주파수 대역별로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다양한 구현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모뎀(260)의 파워 측정기(266)와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4)는 분리된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통합되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4)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RF integrated circuit 240 shown in FIGS. 7A and 7B is mere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implementations for effectively separating noise by frequency band may be applied. In addition, although the power meter 266 and the baseband processor 264 of the modem 260 are shown as separate components, they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of the baseband processor 264 .

도 8은 본 개시의 일 8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in the examples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represent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블록도이고is a block diagram ,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파워 측정기가 9a and 9b show that the power meter of FIG. 8 노이즈의of noise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It is a graph to explain how to measure the size.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안테나(220), RF 집적회로(240), 모뎀(260) 및 메모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260)은 ADC(261), 파워 측정기(265) 및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뎀(260)은 RF 집적회로(240)로부터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된 노이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노이즈 신호는 제n 상태 조건에서 무선 통신 장치(200)의 내부 장치들로부터 발생된 노이즈가 RF 집적회로(240)에 의해 필터링되고, 주파수 하향 변환되어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include an antenna 220, an RF integrated circuit 240, a modem 260, and a memory 280. The modem 260 may include an ADC 261 , a power meter 265 and a baseband processor 266 .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 the modem 260 may receive noise signals separated by frequency bands from the RF integrated circuit 240 . The noise signal may be an analog signal generated by filtering noise generated from internal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by the RF integrated circuit 240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under the nth state condition.

도 9a를 더 참조하면, 제n 상태 조건에서 내부 장치들로부터 발생된 노이즈(N)는 RF 집적회로(240)에 의해 제1 내지 제4 주파수 대역(BAND_1-BAND_4)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주파수 대역(BAND_1-BAND_4)의 너비와 중심 주파수는 무선 통신 장치(200)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ADC(261)는 제1 내지 제4 주파수 대역(BAND_1-BAND_4)에 각각 대응하는 노이즈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여 파워 측정기(265)에 제공할 수 있다. 파워 측정기(265)는 수신한 노이즈 신호들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9A , noise N generated from internal devices in the n-th state condition may be separated into first to fourth frequency bands BAND_1-BAND_4 by the RF integrated circuit 240 . Widths and center frequencies of the first to fourth frequency bands (BAND_1-BAND_4)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The ADC 261 may convert nois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fourth frequency bands BAND_1 to BAND_4 into digital signals and provide the converted digital signals to the power meter 265 . The power measurer 265 may measure the magnitudes of the received noise signals.

도 9b를 더 참조하면, 파워 측정기(265)는 기설정된 축적 시간(tacc)동안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노이즈 신호(N_BD)의 크기를 누적하여 노이즈 신호(N_BD)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축적 시간(tacc)는 노이즈 신호(N_BD)의 크기 측정 환경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9B , the power measurer 265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noise signal N_BD by accumulating the magnitude of the noise signal N_BD converted to a digital signal for a predetermined accumulation time tacc. The accumulation time tacc may vary according to an environment for measuring the size of the noise signal N_BD.

파워 측정기(265)는 측정한 노이즈 신호들의 크기를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에 제공할 수 있으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는 노이즈 신호들의 크기 및 노이즈 신호들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노이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는 생성한 노이즈 정보를 메모리(28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는 제n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를 생성 완료한 후에는, 다음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ower measurer 265 may provide the measured magnitudes of the noise signals to the baseband processor 266, and the baseband processor 266 may use the magnitudes of the noise signals and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oise signals to generate noise signals.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e baseband processor 266 may store generated noise information in the memory 280 . In addition, the baseband processor 266 may perform an operation to generate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xt state condition after generating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th state condition.

도 10은 본 개시의 일 10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in the examples 따른 followed 노이즈noise 정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formation.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 도 8)는 생성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NI_1, NI_2,??)을 메모리(280, 도 8)에 저장할 수 있다. 노이즈 정보는 상태 조건 필드, 주파수 대역 필드, 노이즈 크기 필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노이즈 정보(NI_1)는 제1 상태 조건(SC_1)에서 제1 주파수 대역(BAND_1)에 대응하는 노이즈는 제1 크기(Amp_1)를 갖고, 제2 상태 조건(SC_2)에서 제2 주파수 대역(BAND_2)에 대응하는 노이즈는 제2 크기(Amp_2)를 갖고, 제3 상태 조건(SC_3)에서 제3 주파수 대역(BAND_3)에 대응하는 노이즈는 제3 크기(Amp_3)를 가지며, 제4 상태 조건(SC_4)에서 제4 주파수 대역(BAND_4)에 대응하는 노이즈는 제4 크기(Amp_4)를 갖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노이즈 정보는 상태 조건에서 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별 노이즈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baseband processor 266 (FIG. 8) may store a plurality of generated noise information (NI_1, NI_2, ??) in the memory 280 (FIG. 8). Noise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a state condition field, a frequency band field, and a noise magnitude field. For example, in the first noise information (NI_1), the nois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band (BAND_1) has a first magnitude (Amp_1) under the first state condition (SC_1), and the second state condition (SC_2) The noise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 BAND_2 has a second magnitude Amp_2, the noise corresponding to the third frequency band BAND_3 in the third state condition SC_3 has a third magnitude Amp_3, and the fourth It may indicate that nois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frequency band (BAND_4) has a fourth magnitude (Amp_4) in the state condition (SC_4). In this way, the noise information may indicate the magnitude of noise for each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state condition.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노이즈를 주파수 서브 대역별로 분리하여 노이즈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가 고속 퓨리에 변환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가정한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noise information by separating noise for each frequency sub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pports the fast Fourier transform function.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0(도 6)를 수행한 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제n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노이즈에 대하여 고속 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22). 고속 퓨리에 변환 동작 수행 결과 노이즈는 서브-캐리어 주파수 별로 분리될 수 있다. 서브-캐리어의 주파수간 간격은 서브 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서브-캐리어별 노이즈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S124). 무선 통신 장치는 설정된 주파수 해상도를 기반으로 서브-캐리어별 노이즈의 크기를 합산할 수 있다(S126). 무선 통신 장치는 합산된 노이즈 크기와 이에 대응하는 주파수 서브 대역을 이용하여 제n 노이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28).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는 노이즈를 주파수 서브 대역으로 분리하여 노이즈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노이즈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이즈 정보를 기반으로 좀 더 정교한 노이즈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fter performing step S110 (FIG. 6),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perform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operation on noise corresponding to the n-th frequency band (S122). .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 operation, noise may be separated for each sub-carrier frequency. The inter-frequency spacing of sub-carriers may correspond to subcarrier spac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measure the size of noise for each sub-carrier (S124).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sum up noise levels for each sub-carrier based on the set frequency resolution (S126).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generate n-th noise information using the summed noise levels and frequency subbands corresponding thereto (S128). Through th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 generate noise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size of the noise by separating the noise into frequency subbands, and can perform a more sophisticated noise filtering operation based on the noise information.

도 12는 본 개시의 일 12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in the examples 따른 고속 high speed according to 퓨리에Fourier 변환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Indicates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that supports translation capabilities 블록도이고is a block diagram , 도 13은 주파수 해상도를 설명하기 위한 고속 , Figure 13 is a high-speed for explaining the frequency resolution 퓨리에Fourier 변환 결과 그래프이며, 도 14는 본 개시의 일 It is a conversion result graph, and FIG. 14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in the examples 따른 followed 노이즈noise 정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formation.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안테나(220), RF 집적회로(240), 모뎀(260) 및 메모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260)은 도 8과 비교하여 FFT 회로(2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FFT 회로(267)의 동작을 중심으로 서술한다.Referring to FIG. 12 ,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include an antenna 220, an RF integrated circuit 240, a modem 260, and a memory 280. Modem 260 may further include an FFT circuit 267 compared to FIG. 8 . Below, the operation of the FFT circuit 267 will be mainly described.

FFT 회로(267)는 ADC(261)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주파수 대역별 노이즈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3을 더 참조하면, FFT 회로(267)는 수신한 제1 주파수 대역(BAND_1)에 대응하는 노이즈 신호에 대하여 고속 퓨리에 변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노이즈 신호를 'A1' 내지 'An' 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서브-캐리어 주파수들로 분리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 주파수 간격(P1)은 무선 통신 장치(200)의 통신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서브 캐리어 스페이싱에 대응될 수 있다. The FFT circuit 267 may receive the noise signals for each frequency band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from the ADC 261 . 13, the FFT circuit 267 may perform fast Fourier transform on the received noi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band (BAND_1), and convert the noise signal to the centers of 'A1' to 'An'. frequency can be separated into sub-carrier frequencies. The sub-carrier frequency interval P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may correspond to sub-carrier spacing.

파워 측정기(265)는 설정된 주파수 해상도를 기반으로 서브-캐리어 주파수별 노이즈 크기를 합산할 수 있다. 주파수 해상도는 크기가 합산되는 서브-캐리어 개수(P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가 합산되는 서브-캐리어 개수(P2)가 많을수록 주파수 해상도는 낮아질 수 있으며, 크기가 합산되는 서브-캐리어 개수(P2)가 적을수록 주파수 해상도는 높아질 수 있다. 주파수 해상도는 크기가 합산되는 서브-캐리어 개수(P2)에 의존적일 수 있으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크기가 합산된 서브 캐리어들에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은 주파수 서브 대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power measurer 265 may sum up noise levels for each sub-carrier frequency based on the set frequency resolution. The frequency resolution may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sub-carriers (P2) whose magnitudes are summed. For example, as the number of sub-carriers (P2) to which the magnitudes are added increases, the frequency resolution may be lowered, and as the number of sub-carriers (P2) to which the magnitudes are added is reduced, the frequency resolution may be increased. The frequency resolution may depend on the number of sub-carriers P2 whose magnitudes are summed, and may be changed by the baseband processor 266. A frequency domain corresponding to subcarriers whose magnitudes are summed may be defined as a frequency subband.

파워 측정기(265)는 주파수 해상도에 따라 측정한 노이즈 신호들의 크기를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에 제공할 수 있으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는 노이즈 신호들의 크기, 노이즈 신호들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각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서브 대역들을 이용하여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The power measurer 265 may provide the magnitudes of the noise signals measur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resolution to the baseband processor 266, and the baseband processor 266 may provide the magnitudes of the noise signals and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oise signals. , nois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frequency subbands within each frequency band.

도 14를 더 참조하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 도 12)는 생성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NI_1, NI_2,??)을 메모리(280, 도 12)에 저장할 수 있다. 노이즈 정보는 상태 조건 필드, 주파수 대역 필드, 주파수 서브 대역 필드, 노이즈 크기 필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노이즈 정보(NI_1)는 제1 상태 조건(SC_1)에서 제1 주파수 대역(BAND_1) 내의 각 주파수 서브 대역들(Sub_BAND_1a-Sub_BAND_3a)별 노이즈 크기(Amp_1, Amp_2, Amp_3)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노이즈 정보는 각각의 상태 조건에서 이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서브 대역별 노이즈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정보에서 주파수 해상도가 높을수록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서브 대역들의 개수가 많을 수 있으며, 주파수 해상도가 낮을수록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서브 대역들의 개수는 적을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14 , the baseband processor 266 ( FIG. 12 ) may store the generated noise information (NI_1, NI_2, ??) in the memory 280 (FIG. 12). Noise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a state condition field, a frequency band field, a frequency sub-band field, and a noise magnitude field. For example, the first noise information NI_1 may indicate noise levels Amp_1, Amp_2, and Amp_3 for each frequency subband Sub_BAND_1a-Sub_BAND_3a in the first frequency band BAND_1 under the first state condition SC_1. there is. In this way, the noise information may indicate the magnitude of noise for each frequency sub-band within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each state condition. Also, in the noise information, the higher the frequency resolution, the larger the number of frequency subbands in the frequency band, and the lower the frequency resolution, the smaller the number of frequency subbands in the frequency band.

도 15는 본 개시의 일 15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in the examples 따른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Represen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an automatic gain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블록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

도 1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안테나(220), RF 집적회로(240, 모뎀(260) 및 메모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260)에서 파워 측정기(265, 도 8)는 자동 이득 제어 회로(265')로 구현될 수 있다. RF 집적회로(240)는 노이즈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2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이득 제어 회로(265')는 가변 이득 증폭기(248)의 이득을 제어하여 가변 이득 증폭기(248)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증폭된 노이즈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자동 이득 제어 회로(265')는 가변 이득 증폭기(248)의 이득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노이즈 신호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노이즈 신호의 크기 측정을 위해 자동 이득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노이즈 신호의 크기를 구별할 수 있는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다.15,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include an antenna 220, an RF integrated circuit 240, a modem 260, and a memory 280. In the modem 260, a power meter 265, FIG. 8) may be implemented as a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265'. The RF integrated circuit 240 may further include a variable gain amplifier 248 for amplifying a noise signal.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265' may control the gain of the variable gain amplifier 248 so that the variable gain amplifier 248 outputs an amplified noise signal having a constant amplitude. The size of an actual noise signal can be measured using gain-related information By applying automatic gain control to measure the size of a noise signal, the dynamic range that can distinguish the size of a noise signal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

도 16은 본 개시의 일 16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in the examples 따라 무선 통신 장치의 선택적인 Depending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optional 노이즈noise 필터링filtering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to explain the action 순서도이다is a flowchart ..

도 1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로부터 무선 통신을 위한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00). 무선 통신 장치는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RF 신호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S210). 일 예로, 무선 통신 장치는 셀 서치 동작을 수행하여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찾고, PBCH로부터 RF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RF 신호의 크기를 통신 표준 방식에 부합하도록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한 RF 신호의 크기는 통신 방식에 따라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중 어느 하나에 부합할 수 있다. RSSI는 무선 통신 장치에 수신되는 모든 신호의 총 크기를 나타내며, 신호에 인접한 채널의 간섭, 열 잡음을 포함할 수 있다. RSRP는 무선 통신 장치에 수신되는 기준 신호의 크기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RSRQ는 무선 통신 장치에 수신되는 모든 신호의 크기 대비 기준 신호의 크기의 비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receive an RF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outside (S2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acquire the frequency band of the RF signal and the magnitude of the RF signal (S210).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perform a cell search operation to find a 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and obtain information about a frequency band in which an RF signal exists from the PBC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measure the size of an RF signal to conform to a communication standard method.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RF signal may conform to one of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and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RSSI represents the total size of all signals receiv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ay include interference and thermal noise of a channel adjacent to the signal. RSRP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SRQ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ratio of the magnitudes of all signals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magnitudes of the reference signals.

무선 통신 장치는 내부 장치들에 관한 현재의 상태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S220). 무선 통신 장치는 내부 장치들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통하여 내부 장치들의 현재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 및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S230). 도 10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현재의 상태 조건은 제1 상태 조건(SC_1)에 해당되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BAND_2)에 대응되는 것을 가정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현재의 상태 조건(SC_1)에 대응하는 제1 노이즈 정보(NI_1)로부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BAND_2)과 매칭되는 노이즈의 크기로서 제2 크기(Amp_2)를 획득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acquire current state conditions for internal devices (S220).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cessor that controls internal devices, and may obtain state conditions corresponding to current operation modes of internal devices through the application process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acquire the size of noise that disturbs the RF signal using the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condition and the frequency band of the RF signal (S230). For example, using FIG. 10, assuming that the current state condi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state condition SC_1 and the frequency band of the RF signal corresponds to the second frequency band BAND_2,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urrently A second amplitude (Amp_2) may be obtained as the size of noise matching the frequency band (BAND_2) of the RF signal from the first noise information (NI_1) corresponding to the state condition (SC_1) of .

무선 통신 장치는 RF 신호의 크기와 획득한 노이즈 크기간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240). 임계값은 무선 통신 장치에 기설정된 값으로 무선 통신 장치의 통신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때에(S240, YES),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S250). 또한,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때에(S240, NO),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S260).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ratio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RF signal and the acquired noise exceeds a threshold value (S240). The threshold is a value preset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ratio exceeds the threshold (S240, Y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perform noise filtering (S250). Also, when the ratio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S240, N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not perform noise filtering (S260).

즉, 무선 통신 장치는 RF 신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노이즈가 RF 신호를 심각하게 방해하는 때에,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여 노이즈로 인한 통신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노이즈가 RF 신호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 때에, 노이즈 필터링을 스킵하여 노이즈 필터에 의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That is, when noise present in the same or similar frequency band as the RF signal seriously interferes with the RF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perform noise filtering to prevent communication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the noise, and the noise may interfere with the RF signal. When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noise filtering may be skipp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the noise filter.

도 17은 본 개시의 일 17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in the examples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선택적인 Optiona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노이즈noise 필터링을filtering 설명하기 위한 to explain 블록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

도 1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00)는 안테나(220), RF 집적회로(240), 모뎀(260) 및 메모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260)은 ADC(261), 노이즈 필터(262) 및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는 무선 통신 동작을 수행할 때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노이즈 정보(28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71, 도 4)로부터 내부 장치들의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현재의 상태 조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는 메모리(280)에 액세스하여 노이즈 정보들(282) 중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노이즈 정보로부터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include an antenna 220, an RF integrated circuit 240, a modem 260, and a memory 280. The modem 260 may include an ADC 261 , a noise filter 262 and a baseband processor 266 . When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on, the baseband processor 266 may obtain the magnitude of noise interfering with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from the noise information 282 . Specifically, the baseband processor 266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current state conditions according to current operation modes of internal devices from the application processor 171 (FIG. 4). The baseband processor 266 accesses the memory 280, detects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condition among the noise information 282, and obtains the magnitude of noise interfering with the RF signal from the detected noise information. can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는 RF 신호의 크기와 획득한 노이즈 크기간의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필터 제어신호(F_CS)를 노이즈 필터(262)에 제공함으로써 노이즈 필터(262)의 온(또는, 활성화)시키거나, 오프(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baseband processor 266 turns on the noise filter 262 by providing a filter control signal F_CS to the noise filter 262 based on whether the ratio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RF signal and the obtained noise magnitude exceeds a threshold value. (or activated) or turned off (or deactivated).

노이즈 필터(262)는 온된 때에,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동일, 유사한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내부 장치들로부터 발생된 노이즈를 RF 신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noise filter 262 is turned on, noise generated from internal devices existing in the same or similar frequency band to that of the RF signal may be removed from the RF signal.

도 18은 도 17의 18 is the same as that of FIG. 17 노이즈noise 필터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Representing an example implementation of a filter 블록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

도 18을 참조하면, 노이즈 필터(262)는 스위치(SW) 및 톤 리젝션 필터(tone rejection filter, 262a)를 포함할 수 있다. 톤 리젝션 필터(262a)는 디지털 믹서들(262a_1, 262a_3) 및 고역 통과 필터(262a_2)를 포함할 수 있다. 톤 리젝션 필터(262a)는 제거하고자 하는 노이즈의 주파수를 디지털 믹서(262a_1)를 통해 DC(Direct Current) 신호로 변환(또는, 저주파 대역으로 변환)하고, 고역 통과 필터(262a_2)를 통과시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고역 통과 필터(262a_2)는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고역 통과 필터(262a_2)는 DC 제거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후, 디지털 믹서(262a_3)를 통해 원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the noise filter 262 may include a switch SW and a tone rejection filter 262a. The tone rejection filter 262a may include digital mixers 262a_1 and 262a_3 and a high pass filter 262a_2. The tone rejection filter 262a converts the frequency of the noise to be removed into a direct current (DC) signal (or converts it into a low frequency band) through the digital mixer 262a_1, and passes it through the high pass filter 262a_2 to generate noise. can be removed. As an embodiment, the high pass filter 262a_2 may be implemented as an infinite impulse response (IIR) filter, a finite impulse response (FIR) filter, or the like, and the high pass filter 262a_2 may operate as a DC remover. Thereafter, it may be converted into a signal of an original frequency band through a digital mixer 262a_3.

또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66, 도 17)는 스위치(SW)를 제어하여 노이즈 필터(262)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18의 노이즈 필터(262) 구현 예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노이즈 필터(262)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구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band processor 266 (FIG. 17) may control on/off of the noise filter 262 by controlling the switch SW. However, the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noise filter 262 of FIG. 18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oise filter 262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a configuration capable of removing noise and controlling on/off. there is.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의 19a and 19b are shown in FIG. 18 노이즈noise 필터에 의해 톤 toned by filter 노이즈가noise 제거 또는 감쇄되는 예를 보여주기 위한 RF 신호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pectrum of an RF signal to show examples of being removed or attenuated.

도 19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에 수신된 RF 신호는 내부 장치들로부터 발생된 톤 노이즈(tone noise)가 유입되어 통신 성능(특히, 수신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노이즈 정보들로부터 RF 신호를 방해하는 톤 노이즈(tone nois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톤 노이즈(tone 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A, the RF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be subject to degradation of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particular, reception performance) due to inflow of tone noise generated from internal devices. Therefor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btains information on tone noise that interferes with an RF signal from noise information and performs noise filtering to remove the tone noise. can

도 19b를 더 참조하면, RF 신호의 크기와 톤 노이즈(tone noise)의 크기간의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때에, 무선 통신 장치는 노이즈 필터를 통해 톤 노이즈(tone noise)에 대한 톤 리젝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RF 신호를 심각하게 방해하는 톤 노이즈(tone noise)를 제거함으로써 통신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Referring further to FIG. 19B, when the ratio between the size of the RF signal and the size of the tone noise exceeds a threshold valu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erforms tone rejection filtering on the tone noise through a noise filter. can be performed. As a result, communic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removing tone noise that seriously interferes with RF signals.

도 20은 본 개시의 일 20 is one of the present disclosure 실시예에to the examples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represent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블록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

도 20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의 예시로서 무선 통신 장치(100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1010), ASIP(Application Specific Instruction set Processor)(1030), 메모리(1050), 메인 프로세서(1070) 및 메인 메모리(1090)를 포함할 수 있다. ASIC(1010), ASIP(1030) 및 메인 프로세서(1070) 중 2개 이상은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SIC(1010), ASIP(1030), 메모리(1050), 메인 프로세서(1070) 및 메인 메모리(1090) 중 적어도 2개 이상은 하나의 칩에 내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a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0 includes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1010, an application specific instruction set processor (ASIP) 1030, a memory 1050, and a main processor 1070. ) and a main memory 1090. Two or more of ASIC 1010, ASIP 1030 and main processor 107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lso, at least two or more of the ASIC 1010, the ASIP 1030, the memory 1050, the main processor 1070, and the main memory 1090 may be embedded in one chip.

ASIP(1030)은 특정한 용도를 위하여 커스텀화된 집적 회로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전용의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를 지원할 수 있고,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050)는 ASIP(103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ASIP(103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1050)는, 일 예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ASIP(1030)에 의해서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ASIP(1030) 또는 메인 프로세서(1070)는 메모리(1050)에 저장된 일련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등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내부 장치들로부터 발생된 노이즈들에 관한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하고, 노이즈 정보들을 이용하여 선택적인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The ASIP 1030 is an integrated circuit customized for a specific purpose, and may support a dedicated instruction set for a specific application and execute instructions included in the instruction set. The memory 1050 may communicate with the ASIP 1030 and may store a plurality of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ASIP 1030 as a non-temporary storage device, and the memory 1050 may, for example, RAM (Random Access Memory) ), read only memory (ROM), tape, magnetic disk, optical disk,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may include any type of memory accessible by the ASIP 1030. The ASIP 1030 or the main processor 1070 generates noise information about noises generated from internal devices as described in FIG. 1 by executing a series of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050, and the noise information Selective noise filtering can be performed using

메인 프로세서(1070)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070)는 ASIC(1010) 및 ASIP(1030)를 제어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무선 통신 기기(10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메인 메모리(1090)는 메인 프로세서(107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메인 프로세서(107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The main processor 107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0 by executing a plurality of instructions. For example, the main processor 1070 may control the ASIC 1010 and the ASIP 1030, process data receiv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process a user's in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0. may be The main memory 1090 may communicate with the main processor 1070 and may store a plurality of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main processor 1070 as a non-temporary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복수의 내부 장치들(internal components)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장치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조성된 복수의 상태 조건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들에 관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노이즈 정보들 중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로부터 상기 내부 장치들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RF 신호의 크기 및 상기 획득한 노이즈 크기 간의 비율을 기반으로 노이즈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nal components,
genera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noise information about noises generated in a plurality of state conditions created b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Receiving an RF signal from the outside;
obtaining the magnitude of noise generated by the internal devices and interfering with the RF signal from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state condition among the noise information; and
and selectively performing noise filtering based on a ratio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RF signal and the obtained noise magnit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generating and storing the noise information,
The method of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oes not receive or transmit a signal through an antenn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정보들은,
상기 상태 조건들 각각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주파수 정보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information,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frequency information and magnitude information of noise generated in each of the state condi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조건들 각각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RF 집적회로로부터 출력된 노이즈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Generating and storing the noise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noise information using a noise signal output from an RF integrated circui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each of the state condi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루프들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들 중 제n(단, n은 1 이상의 자연수) 루프는,
제n 상태 조건에서 발생한 노이즈를 다양한 주파수 대역별로 필터링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별 노이즈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주파수 대역별 노이즈의 크기를 이용하여 제n 노이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generating and storing the noise information, a plurality of loops are included, and an nth loop among the loop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filtering noise generated in the n-th state condition for each of various frequency bands, and measuring the size of the noise for each frequency band; and
and generating n-th noise information using the measured noise level for each frequency ba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별 노이즈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는,
고속 퓨리에 변환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별 노이즈를 서브-캐리어 주파수 별로 분리하고, 상기 서브-캐리어별 노이즈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step of measuring the magnitude of noise for each frequency band,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fast Fourier transform, the noise for each frequency band is separated for each sub-carrier frequency, and the magnitude of the noise for each sub-carrier is measur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n 노이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정된 주파수 해상도를 기반으로 측정된 상기 서브-캐리어 주파수별 노이즈의 크기를 합산하는 단계; 및
합산된 상기 노이즈의 크기와 이에 대응하는 주파수 서브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n 노이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6,
Generating the n-th noise information,
summing up the magnitudes of noise for each sub-carrier frequency measured based on the set frequency resolution; and
and generating the n-th noise information using the summed magnitude of the noise and a frequency subband corresponding there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상기 노이즈 정보와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매칭하여, 상기 매칭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obtaining the magnitude of the noise,
The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matching the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condition with a frequency band of the RF signal, and acquiring the magnitude of the noise based on the matching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의 크기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중 어느 하나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agnitude of the RF signal is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forms to any one of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and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RF 신호의 크기와 상기 획득한 노이즈 크기간 비율과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noise filtering,
Comparing a ratio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RF signal and the obtained noise magnitude and a threshold value; and
The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noise filtering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톤 리젝션 필터(tone rejection filter)를 이용하여 상기 RF 신호를 방해하는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noise filter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moving the noise that interferes with the RF signal using a tone rejection filter.
유저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작하는 내부 장치들;
상기 내부 장치들 각각의 동작 모드에 따른 복수의 상태 조건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들에 관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는 RF 집적회로; 및
상기 노이즈 정보들 중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로부터 상기 내부 장치들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RF 신호의 크기 및 상기 획득한 노이즈 크기 간의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RF 신호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Internal devices that operat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users;
a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noise information about noises generated in a plurality of state conditions according to operation modes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an RF integrated circuit that processes an RF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mong the noise information, the size of the noise generated by the internal devices and interfering with the RF signal is obtained from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condition, and the ratio between the size of the RF signal and the obtained noise is determine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modem selectively performing noise filtering on the RF signal based on th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할 때에,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상기 RF 집적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modem is
When generating the noise inform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RF integrated circuit not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outsi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상태 조건들 각각에서 상기 RF 집적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신호에 대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주파수 대역별 신호의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modem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noise information based on the frequency band of the noise signal output from the RF integrated circuit and the magnitude of the signal for each frequency band in each of the state condition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RF 집적회로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노이즈 신호가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고,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 값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별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RF integrated circuit further includes a variable gain amplifier,
The modem is
and controlling the gain of the variable gain amplifier so that the noise signal has a constant level, and measuring the level of the signal for each frequency band using a gain value of the variable gain amplifi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RF 집적회로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노이즈 신호에 대한 주파수 하향 변환 정도가 변경되도록 상기 RF 집적회로를 제어하고, 주파수 하향 변환된 상기 노이즈 신호를 상기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노이즈 신호를 상기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RF integrated circuit further includes a filter,
The modem is
Controlling the RF integrated circuit to change the degree of frequency down-conversion of the noise signal, and separating the noise signal for each frequency band by passing the frequency down-converted noise signal through the filter. .
제12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내부 장치들의 동작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뎀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내부 장치들 각각의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른 상기 현재의 상태 조건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n application processor that manages operations of the internal devices,
The modem is
and obtain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state condi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from the application process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노이즈 정보들 중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매칭되는 노이즈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매칭된 노이즈 정보로부터 상기 RF 신호를 방해하는 상기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modem is
Detecting noise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frequency band of the RF signal among the noise information, and acquiring the magnitude of the noise interfering with the RF signal from the matched noise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노이즈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RF 신호의 크기와 상기 획득한 노이즈 크기간의 비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노이즈 필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modem further includes a noise filter,
and controlling on/off of the noise filter based on whether a ratio between the RF signal level and the obtained noise level exceeds a threshold value.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무선 통신 장치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내부 장치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조성된 복수의 상태 조건들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들에 관한 복수의 노이즈 정보들을 생성 및 저장하고,
상기 노이즈 정보들 중 현재의 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노이즈 정보로부터 상기 내부 장치들에 의해 발생되어 RF 신호를 방해하는 노이즈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RF 신호의 크기 및 상기 획득한 노이즈 크기 간의 비율을 기반으로 노이즈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 판독 가능 저장 매체.
A non-transitory processo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comprising:
When the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a processor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processor:
Genera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noise information about noises generated in a plurality of state conditions creat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internal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btaining the magnitude of noise generated by the internal devices and disturbing the RF signal from no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urrent state condition among the noise information;
and selectively performing noise filtering based on a ratio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RF signal and the obtained noise magnitude.
KR1020180069062A 2017-12-20 2018-06-15 A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538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26213.2A CN109951198B (en) 2017-12-20 2018-12-13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6/222,217 US10630394B2 (en) 2017-12-20 2018-12-17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es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DE102018133111.8A DE102018133111A1 (en) 2017-12-20 2018-12-20 Selective noise filtering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TW107146125A TWI826409B (en) 2017-12-20 2018-12-20 Method of ope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on-transitory processor-readable storage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6247 2017-12-20
KR1020170176247 2017-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928A KR20190074928A (en) 2019-06-28
KR102538025B1 true KR102538025B1 (en) 2023-05-31

Family

ID=6706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062A KR102538025B1 (en) 2017-12-20 2018-06-15 A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8025B1 (en)
TW (1) TWI82640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230A (en) * 2019-09-20 2021-03-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ircuit for driving variable len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variable lens
KR102234539B1 (en) 2020-09-02 2021-03-31 이돈신 High performanc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171A (en) * 2003-01-31 2004-08-19 Ntt Docomo Inc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JP5387773B2 (en) * 2010-07-14 2014-01-15 富士通株式会社 Noise canceling control device, noise canceling control program, and noise canceling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9096B2 (en) * 2005-03-01 2010-10-05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algorithm using speech mode dependent thresholds
JP2007027879A (en) * 2005-07-12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eiver and reception method
GB2451682B (en) * 2007-08-09 2010-12-01 Toshiba Res Europ Lt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8385869B2 (en) * 2007-11-07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Embedded module receiver noise profiling
US8055235B1 (en) * 2008-05-02 2011-11-08 Hypr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037155B2 (en) * 2008-10-28 2015-05-19 Sven Fischer Time of arrival (TOA) estimation for positio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737924B2 (en) * 2010-08-12 2014-05-27 Mediatek Inc. Method to trigge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mitigation in mobile cellular systems
US9692468B2 (en) * 2015-11-11 2017-06-27 Smartsky Networks, Llc Spectrum scrub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171A (en) * 2003-01-31 2004-08-19 Ntt Docomo Inc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JP5387773B2 (en) * 2010-07-14 2014-01-15 富士通株式会社 Noise canceling control device, noise canceling control program, and noise canceling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928A (en) 2019-06-28
TW201931783A (en) 2019-08-01
TWI826409B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267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nsing spectrum in a cognitive radio environment
US9379748B2 (en) Interference adaptive wideband receiver
US9877330B2 (en) WLAN device with auxiliary receiver chain
US1181157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CN104081706A (en) Non-contiguous carrier aggregation
KR102538025B1 (en) A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0462757B2 (en) Automatic gain control based on signal spectrum sensing
KR20160138072A (en) Spectrum sensing radio receiver
TW2013345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requency scan for wireless systems with variable channel bandwidth
US20150035701A1 (en) Gnss receiver dynamic spur mitigation techniques
CN105706362A (en) Apparatus and method of wideband automatic gain control algorithm supporting multiple carriers with possibly different air interface technologies
CA2775217C (en) Method and system for frequency scan using a differential power metric
US1063039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es performing selective noise filtering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0154448B2 (en)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arc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13014337B (en) Communication terminal test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control terminal and test system
JP635410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tec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11405813B2 (en) Radio link monitoring (RLM) procedures in new radio unlicensed bands (NR-U)
US201202369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Channel with an Incident Signal
US20230052023A1 (en) Blind scan for multi-carriers and multi-technologies and seamless signal analysis
KR20190125443A (en) Neighbor Cell Detection Method
AU2013301581B2 (en) Improved selectivity test
JP5970425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EA027066B1 (en) 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 with dynamic selec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used
US20100003938A1 (en) Noise measurement for radio squelch function
WO2020005224A1 (en) Dynamic low if mechanism for blocker avoid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