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864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864B1
KR102536864B1 KR1020160077847A KR20160077847A KR102536864B1 KR 102536864 B1 KR102536864 B1 KR 102536864B1 KR 1020160077847 A KR1020160077847 A KR 1020160077847A KR 20160077847 A KR20160077847 A KR 20160077847A KR 102536864 B1 KR102536864 B1 KR 102536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lighting
content
specif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109A (ko
Inventor
이윤경
박윤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864B1/ko
Priority to PCT/KR2017/006504 priority patent/WO2017222293A1/en
Priority to US15/628,849 priority patent/US10496348B2/en
Priority to EP17815706.1A priority patent/EP3475792A4/en
Publication of KR2018000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4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camer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상기 센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플링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여, 특정 시점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특정 시점에 특정 조명에 컨트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명이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으로서 IoT (Internet of Things) 환경에도 적용 가능하다.
IoT (사물인터넷)는 생활 속 사물(디바이스)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고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예상되는 가전제품,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가 있다.
다만, 종래 기술에 의하면, IoT 등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바이스들간 단순히 정보를 공유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서, 디바이스들간 인터랙션(상호) 작용 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6/0073482호(2016.03.10.)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9430호(2015.08.31.)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호 통신 가능한 조명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간 컨트롤 기술을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복수개의 조명을 개별 또는 통합 관리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특정 오브젝트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명을 다양한 관점에서 컨트롤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그리고 상기 메모리, 상기 센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커플링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여, 특정 시점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특정 시점에 특정 조명에 컨트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호 통신 가능한 조명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간 컨트롤 기술을 정의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조명을 개별 또는 통합 관리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특정 오브젝트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명을 다양한 관점에서 컨트롤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조명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구성 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벽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툴(tool)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명간 상호 작용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복수개의 조명 컨트롤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특정 조명 컨트롤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전체 조명 컨트롤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컨트롤 하는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컨트롤 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컨트롤 하는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알람 설정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조명이 동시에 컨트롤 되는 프로세스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조명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조명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110, 120)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도 1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의 일예인 와이파이(WiFi)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통신 수단이 채택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일반 방이나 호텔 방의 천장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 도 3a 및 도 3b에서 상세히 후술하겠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또는 영상)에 따라 조명(110, 120)의 빛(밝기)을 제어하고, 반대로 조명(110, 120)의 빛에 적합하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컨텐트를 제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사용자가 컨트롤 하는 방식으로, 터치 센서 기반 제어, 제스쳐 인식 기반 제어, 휴대폰 또는 버튼을 이용한 제어, 그리고 스마트 TV의 어플리케이션 기반 제어가 가능하며, 관련하여 이하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OLED, LED, LCD, PDP 등으로 설계 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된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ex : 영상 이미지)를 재생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 영역에 IR/울트라 소닉(Ultra sonic) 모듈을 부착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설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통해 출력된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출력되는 밝기 등에 따라, 연결된 조명(110, 120)에 다른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설계한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위해 필요한 상세 구성 모듈들에 대해서는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구성 모듈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메모리(201), 센서(2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3), 디스플레이 모듈(204) 그리고 컨트롤러(205) 등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2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2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에 대해서는 이하 도 4a 및 도 4b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과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3)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임의의 컨텐트를 수신하는 것도 본 발명의 일특징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상기 메모리(20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205)는 상기 메모리(201), 상기 센서(202),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3)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4)과 커플링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205)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4)을 제어하여, 특정 시점에 상기 메모리(201)에 저장된 특정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3)을 제어하여, 상기 특정 시점에 특정 조명에 컨트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출력되는 컨텐트와 조명의 밝기 등이 서로 연동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컨트롤 신호는, 예를 들어 각각의 조명을 식별하는 ID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조명이 출력하는 빛의 레벨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상기 메모리(201)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관련하여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컨트롤러(205)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3)을 통해 수신된 조명의 상태 정보에 반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4)을 통해 출력되는 특정 컨텐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조명의 상태 정보가 제1 빛의 레벨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205)는 상기 메모리(201)에 저장된 제1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4)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의 상태 정보가 제2 빛의 레벨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205)는 상기 메모리(201)에 저장된 제2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4)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04)은, 상기 특정 컨텐트와 함께 특정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특정 오브젝트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203)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이하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메모리(201)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인자(element)와 컨트롤 대상이 되는 조명 및 밝기가 서로 맵핑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실시예는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202)에 의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메모리(201)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러(205)는 컨트롤 대상이 되는 조명을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센서(202)에 의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사이즈가 변경된 경우, 상기 메모리(201)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러(205)는 특정 조명의 밝기를 결정한다.
상기 컨트롤러(205)는, 상기 메모리(201)에 기저장된 커맨드, 상기 조명의 스위치 조작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상기 특정 컨텐트의 출력 및 상기 컨트롤 신호의 전송을 제어한다. 관련하여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한편, 당해 명세에서 서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부,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인터페이스부, 메모리,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벽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벽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이고, 반면 도 3b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벽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01) 및 LED 라이팅(302)으로 구현될 수가 있다. 다만, 컨텐트를 출력 가능한 다른 매개체를 이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우선, 디스플레이(301)는 예를 들어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구현하여 모노 색재현을 통해 그림자와 같은 효과를 표현할 수도 있다. 나아가, TOLED(투명 OLED)에서 2가지 모드를 부여하여 흑백 재현만 가능하거나 또는 컬러 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후면에서 조명을 투영할 때에는 흑백 구현용으로 사용되고, 일반 컨텐트 재생 중에는 컬러 구현용으로 사용된다.
한편, LED 라이팅(302)은 디스플레이(301)(또는 스크린)의 상단과 하단을 투영하는 LED 어레이(Array)를 부착하고 있다. 나아가, 상기 LED 라이팅(302)의 엣지 영역에 임의의 센서(ex : IR/Ultra Sonic 모듈)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고, 특정 오브젝트를 컨트롤 하는데 사용한다. 관련하여, 이하 도 4a 및 도 4b에서 상세히 후술하겠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311)는 도 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301)에 대응하고, 도 3b에 도시된 LED 라이팅(312)는 도 3a에 도시된 LED 라이팅(302)에 대응하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툴(tool)들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조명의 on/off 및 밝기를 컨트롤 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여,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on/off 및 밝기를 컨트롤 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베젤 및 프레임에 복수의 터치 센서들(401, 402, 403)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의 단순 터치, 스와이핑(swiping), 프레스(pressing) 및 드래그(dragging) 등을 구별하여 인식하고, 이는 추후 후술할 특정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기술로 사용된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텐트를 전술한 유저의 터치 등으로 제어하는 순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명의 on/off 및 밝기도 함께 변화 한다.
다른 방안으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쳐 인식을 통해 추후 후술할 특정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스쳐 인식 방법으로는 2가지가 있다.
첫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 영역(411, 412)에 IR/Ultra Sonic 모듈을 부착하여 원거리(예를 들어 3 내지 4미터)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위치(411, 412)에 센서를 부착하여, (x, y)로 구성된 2차원 좌표화가 가능하다.
둘째, 키네틱(kinetic) 카메라를 통해 제스쳐 인식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으며, 다른 제스쳐 인식 툴을 채택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텐트를 전술한 제스쳐 등으로 제어하는 순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명의 on/off 및 밝기도 함께 변화 한다.
또 다른 방안으로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421)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거나, 방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버튼(422) 또는 방에 설치된 조명용 버튼(423)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421)에 설치된 특정 어플 실행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지거나 특정 컨텐트가 실행된다. 다른 예를 들어, 방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버튼(422)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지거나 특정 컨텐트가 실행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방에 설치된 조명용 버튼(424)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지거나 특정 컨텐트가 실행되도록 설계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스위치 등을 통해 조명을 컨트롤 하는 순간, 상기 조명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on/off, 밝기, 출력되는 컨텐트 등이 달라진다.
마지막 방안으로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TV(431)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텐트 및 조명의 밝기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유저가 별도로 다운로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스마트 TV의 어플리케이션 조작 등을 통해 조명을 컨트롤 하는 순간, 상기 조명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on/off, 밝기, 출력되는 컨텐트 등이 달라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명간 상호 작용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반복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에 따라 조명이 자동으로 컨트롤 되고, 반대로 조명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컨트롤 된다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500, 501, 5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 가능하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대신 텔레비전이나 PC 모니터 등을 채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가 제1컨텐트(예를 들어, 많이 울창한 숲의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1컨텐트에 맵핑된 커맨드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명(510)에 전송한다. 이 때, 조명(510)은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제1레벨의 밝기(dimmed out 된 약한 빛)로 조절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1)가 제2컨텐트(예를 들어, 약간 울창한 숲의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2컨텐트에 맵핑된 커맨드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명(511)에 전송한다. 이 때, 조명(511)은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제2레벨의 밝기(전술한 제1레벨 보다는 밝고, 후술할 제3레벨 보다는 어두운)로 조절된다.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2)가 제3컨텐트(예를 들어, 잎이 많이 보이지 않는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3컨텐트에 맵핑된 커맨드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명(512)에 전송한다. 이 때, 조명(512)은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제3레벨의 밝기(ex : 밝은 강한 빛)로 조절된다.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로그램된 컨텐트를 출력하고, 컨텐트 변화에 따른 커맨드를 조명에 전송한다. 조명 연동형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재생시, 재생파일에 포함된 조명 제어 정보를 실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에 전송한다.
한편, 도 5에서는 단계별, 순차적 조명 빛이 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연속적으로 리니어(linear)하게 조절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시간 변화에 따라 컨텐트가 자연스럽게 변화하고 이에 맞추어 조명 밝기도 변하는 바, 기상이나 수면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침 기상 시간에 가까워질수록 자연스럽게 일출과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재생되고, 동시에 조명의 색상과 밝기도 점차 밝아진다.
한편, 아침 기상 시간은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나, 도 4c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421) 또는 도 4d에 도시된 스마트 TV(431)를 이용하여 기상 시간에 대한 알람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알람 시간에 대한 정보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조명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되고, 각각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물론,다른 실시예로서 알람 시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전송하지 않고, 해당 알람 시간에 특정 커맨드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조명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알람 설정 시간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조명이 컨트롤 되는 시간은 정확히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기설정된 차이(예를 들어, -5초 내지 +5초)가 발생하도록 의도적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아래 표 1은 각각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알람설정시각(휴대폰 또는 TV 이용) 조명 컨트롤 시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컨트롤 시각
오전 7:00 오전 7:00 오전 7:00
오전 7:00 오전 6:55 오전 6:55
오전 7:00 오전 7:05 오전 7:05
반대로 조명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컨텐트가 자동으로 변화하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조명 버튼이나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ex : 밝기/색상 변화)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컨텐트도 변경된 조명의 밝기/색상에 맞추어 변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조명을 어둡게 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숲이 점점 울창해 져서 천장을 덮는 컨텐트를 출력하는 반면, 조명을 밝게 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잎들이 걷히면서 푸른 하늘이 나타나는 컨텐트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스마트 디지털 액자에 대응하고, 고정적인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6은 복수개의 조명 컨트롤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특정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컨트롤 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당해 명세서 및 도면에서 설명하는 특정 오브젝트(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출력된)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명을 컨트롤 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유저가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조명을 컨트롤할 수 있다는 정보를 유저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컨텐트 내에서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유저가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오브젝트(예를 들어, 달, 별, 구름 등)가 컨텐트내 다른 이미지들과 다른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오브젝트 주변의 밝기를 다르게 하거나 또는 테두리에 음영을 표시하거나 또는 다른 이미지들과 달리 3D 효과를 주는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유저가 컨트롤 가능한 특정 오브젝트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특정 오브젝트에 동일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큰 특정 오브젝트는 전체 조명의 온/오프를 컨트롤 하는데 사용되고,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은 특정 오브젝트는 미리 맵핑된 특정 조명의 밝기만 컨트롤 하는데 사용된다. 나아가, 컨트롤 가능한 오브젝트를 유저가 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복수개의 조명에 대한 ID가 사전에 정의되어야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조명별 ID 및 위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ID의 조명은 방안내 앞쪽 오른쪽에 위치하고, 제2ID의 조명은 방안내 앞쪽 왼쪽에 위치하고, 제3ID의 조명은 방안내 뒤쪽 오른쪽에 위치하고, 제4ID의 조명은 방안내 뒤쪽 왼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특정 오브젝트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조명을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핑 하여 컨트롤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도 9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겠다.
도 7은 특정 조명 컨트롤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특정 오브젝트 위치에 따라, 특정 조명만 컨트롤 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 오브젝트 위치에 따라 맵핑된 특정 조명에 대한 정보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정의되어야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특정 오브젝트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컨트롤 되는 특정 조명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도 8은 전체 조명 컨트롤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특정 오브젝트 사이즈 변화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컨트롤 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 오브젝트 사이즈 변화에 따라 맵핑된 조명 밝기에 대한 정보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정의되어야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특정 오브젝트의 상대적 사이즈 변화에 따라 컨트롤 되는 조명 밝기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컨트롤 하는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에 설명한 도 6 내지 도 8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구현 가능하다. 물론,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0)는 사용자의 제스쳐 인식이 가능하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0)는 특정 오브젝트(901)(ex : 달 모양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 제스쳐가 왼쪽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특정 오브젝트(901) 역시 왼쪽으로 이동하고, 그에 맞추어 방에 설치된 복수개의 조명들 중 왼쪽에 위치한 조명(910)이 켜지고 나머지 조명(920)은 꺼진다.
반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특정 오브젝트(1001)를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 제스쳐가 오른쪽 방향으로 향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특정 오브젝트(1001) 역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그에 맞추어 방에 설치된 복수개의 조명들 중 오른쪽에 위치한 조명(1020)이 켜지고 나머지 조명(1010)은 꺼진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서는 특정 오브젝트인 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조명의 온/오프가 결정된다고 전술하였다. 나아가, 달의 위치를 이동시킬지 유저의 의도를 판단하는 일실시예로서, 유저가 특정 오브젝트인 달에 손을 가져다 대고 주먹을 쥐어 달을 선택하면, 그 때마다 손의 위치에 따라 달의 위치도 변경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천장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달의 이동과 함께 관련 조명을 제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는 특정 오브젝트(1101)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약간 잡아 당기는 제스쳐가 인식되면, 전체 조명들(1110, 1120)의 밝기가 밝아진다. 한편, 특정 오브젝트를 약간 잡아 당기는 제스쳐는, 잡아 당기는 제스쳐가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3초)동안 인식된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0)는 특정 오브젝트(1201)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보다 많이 잡아 당기는 제스쳐가 인식되면, 전체 조명들(1210, 1220)의 밝기가 밝아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깔로 변경된다. 한편, 특정 오브젝트를 보다 많이 잡아 당기는 제스쳐는, 잡아 당기는 제스쳐가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4초 이상)동안 인식된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11 및 도 12에서는 특정 오브젝트인 달의 위치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잡아당기는 것)과 관련하여 조명의 밝기/칼라가 결정된다고 전술하였다. 나아가, 달의 위치를 앞쪽으로 이동시킬지 유저의 의도를 판단하는 일실시예로서,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특정 오브젝트 쪽으로 줄을 던지는 제스쳐가 인식되면, 그 때부터 잡아당기는 동작의 시간을 카운팅 하도록 설계함으로써 기술적 정확도를 제고할 수가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컨트롤 하는 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 도 9 내지 12에서는 특정의 하나의 특정 오브젝트(달)만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이하 도 13 내지 도 16에서는 다양한 복수개의 특정 오브젝트들(예를 들어, 태양, 달, 구름, 별 등의 비디오 이미지)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우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0) 상에 표시된 특정 오브젝트인 달(1301) 주변의 구름을 지우는 제스쳐가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설치된 방내 핀조명(1310)만 켜지고 나머지 일반 조명들은 꺼진다. 예를 들어, 손을 젓는 제스쳐가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별을 조금 더 또렷하게 표현하고, 그에 맞추어 조명이 컨트롤 되는 개념이다. 도 13에서는 핀조명을 예시하였으나, 실내에 설치된 다른 조명들(펜던트 조명, 포커스 조명 등)로 대체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에 표시된 다른 특정 오브젝트인 달(1401)의 모양을 변경하는 제스쳐가 인식되면, 그에 맞추어 조명(1410)의 밝기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인 달(1401)이 보름달인 경우, 100% 밝기의 조명이 유지되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인 달(1401)을 반으로 나누는 제스쳐가 인식되면 특정 오브젝트(1401)는 반달로 변경되고, 50% 밝기의 조명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상기 변경된 반달을 다시 반으로 나누는 제스쳐가 인식되면, 특정의 오브젝트(1401)는 초승달이나 그믐달로 변경되고, 25% 밝기의 조명으로 변경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는 제1 특정 오브젝트(1501)를 출력하다가, 손가락 하나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가리키는 제스쳐가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는 제2 특정 오브젝트(1502)인 별을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그에 맞추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설치된 방내 조명들 중에서 핀조명(1510) 하나만 강하게 켜지고 나머지 조명들은 꺼진다.
마지막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0)는 제1 특정 오브젝트(1601)만 디스플레이 하다가, 하나의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0)의 여러 지점을 가리키는 제스쳐가 연속적으로 인식되면, 인식된 지점의 개수에 맞추어 복수개의 특정 오브젝트들(1602, 1603, 1604)이 추가적으로 표시되고, 또한 표시된 복수개의 특정 오브젝트들 개수 만큼 핀조명들(1610, 1620, 1630)이 켜진다. 상기 특정 오브젝트들의 위치와 핀조명들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또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컨트롤 하는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 도면들에서는 조명과 연동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특정의 오브젝트를 유저의 손동작(제스쳐)으로 컨트롤 하는 경우를 예시한 반면, 이하 도 17에서는 유저의 손동작 없이 움직임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텐츠 및 조명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특별한 컨텐트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1710)가 인식되면(예를 들어, IR 적외선 센서 등 이용, 물론 다른 센서로도 대체 설계 가능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인식된 유저의 위치만큼 특정 컨텐트(1720)를 표시한다.
나아가,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1711)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특정 컨텐트(1721)가 상기 유저(1711)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계한다.
즉, 사람의 걸음걸이 속도와 보폭에 맞추어, 걸어오는 방향을 예측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텐트를 변경한다(예를 들어, 나무가 자라는 모습의 비디오 이미지).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유저가 직접 터치하거나 가까이 다가온 것으로 인식되면, 흑백 컨텐트 또는 칼라 컨텐트가 재생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8은 알람 설정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조명이 동시에 컨트롤 되는 프로세스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이전 도면들에서는 특정 오브젝트를 제어하거나 사용자의 움직임 디텍트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컨텐트 및 조명의 밝기/칼라 등을 변경하는 실시예를 전술한 반면, 도 18은 기설정된 알람 설정 시간에 맞추어 컨텐트 및 조명을 제어하는 실시예이다. 즉, 유저의 특정 액션을 요구하지 않는다.
우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오전 7시30분으로 알람 시간이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설정된 시간으로부터 30분 전인 오전 7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텐트 및 조명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오전 7시경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컨텐트(1801)를 출력하고, 조명은 제1레벨의 밝기(1811)로 출력된다. 나아가, 오전 7시 10분경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컨텐트(1802)를 출력하고, 조명은 제2레벨의 밝기(1812)로 출력된다. 또한, 오전 7시 20분경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3컨텐트(1803)를 출력하고, 조명은 제3레벨의 밝기(1813)로 출력된다. 그리고, 오전 7시30분, 즉 알람 설정된 시각이 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4컨텐트(1804)를 출력하고, 조명은 제4레벨의 밝기(1814)로 출력된다. 상대적으로 제1레벨의 밝기가 가장 어둡고 제4레벨의 밝기가 가장 밝다. 한편, 제1컨텐트는 비교적 가장 어두운 느낌이 나고, 제4컨텐트는 비교적 가장 밝은 느낌이 나도록 설계한다.
즉, 조명의 밝기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텐트는 서로 동기화 되어 있다. 도 18에서는 기상 알람이 설정된 것을 가정하였으나, 수면 시간을 기준으로 본 발명이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면 시간 또는 기상 시간에 맞추어 컨텐트와 조명이 동기화되어 함께 변화하므로 자연스럽게 수면 및 기상을 유도할 수가 있다.
수면 시간 기준으로 알람이 설정되어 있다면, 세로토닌이 분비되는 붉은 조명을 컨트롤 하고, 노을이나 밤하늘의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기상 시간 기준으로 알람이 설정되어 있다면, 조명의 빛이 점점 강해지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트도 점차 맑은 하늘로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조명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의 물리적 스위치(191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920)를 이용하여 조명을 컨트롤 하고, 컨트롤된 조명은 맵핑된 커맨드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컨텐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191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920)를 통해 가장 낮은 밝기(1951)로 조명을 컨트롤 하면, 해당 커맨드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울창한 숲을 표현하는 컨텐트(1961)를 출력한다.
나아가, 스위치(191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920)를 통해 중간 레벨의 밝기(1952)로 조명을 컨트롤 하면, 해당 커맨드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약간 걷힌 숲을 표현하는 컨텐트(1962)를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치(191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920)를 통해 가장 높은 밝기(1953)로 조명을 컨트롤 하면, 해당 커맨드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맑은 하늘을 표현하는 컨텐트(1963)를 출력한다.
즉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제어장치(예를 들어, 스위치(1910), 모바일 디바이스(1920))를 통해 조명을 제어(ex : 밝기/색상 변화)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출력되는 컨텐트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조명을 어둡게 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숲이 점점 울창해 져서 전체 화면을 덮도록 설계하고, 반대로 조명을 밝게 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잎들이 걷히면서 푸른 하늘이 표시되는 컨텐트를 출력한다.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다만, 이전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른 방법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조명은, 스위치 또는 휴대폰을 통해 상기 조명의 밝기 조절 신호를 수신하고(S2010), 상기 조명은 대응하는 밝기로 조절된다(S2020). 나아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조명, 상기 스위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조명 밝기값 관련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컨텐트의 타입을 결정한다(S2030).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20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1 : 메모리
202 : 센서
203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204 : 디스플레이 모듈
205 : 컨트롤러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여, 특정 시점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컨텐트를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특정 시점에 특정 조명에 컨트롤 신호를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특정 컨텐트와 함께 특정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특정 오브젝트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을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인자(element)와 컨트롤 대상이 되는 조명 및 밝기가 서로 맵핑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여 화면에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상기 오브젝트의 인자,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따라 컨트롤 대상이 되는 조명을 결정하고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신호는,
    각각의 조명을 식별하는 ID 정보 및 상기 각각의 조명이 출력하는 빛의 레벨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조명의 상태 정보에 반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특정 컨텐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의 상태 정보가 제1 빛의 레벨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메모리에 저장된 제1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의 상태 정보가 제2 빛의 레벨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메모리에 저장된 제2컨텐트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사이즈가 변경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특정 조명의 밝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터치 센서 또는 제스쳐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커맨드, 상기 조명의 스위치 조작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커맨드에 따라, 상기 특정 컨텐트의 출력 및 상기 컨트롤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60077847A 2016-06-22 2016-06-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6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847A KR102536864B1 (ko) 2016-06-22 2016-06-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7/006504 WO2017222293A1 (en) 2016-06-22 2017-06-21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5/628,849 US10496348B2 (en) 2016-06-22 2017-06-21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EP17815706.1A EP3475792A4 (en) 2016-06-22 2017-06-21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847A KR102536864B1 (ko) 2016-06-22 2016-06-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09A KR20180000109A (ko) 2018-01-02
KR102536864B1 true KR102536864B1 (ko) 2023-05-25

Family

ID=6067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847A KR102536864B1 (ko) 2016-06-22 2016-06-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96348B2 (ko)
EP (1) EP3475792A4 (ko)
KR (1) KR102536864B1 (ko)
WO (1) WO2017222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8717B (zh) * 2016-09-02 2017-06-21 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觸控系統及其光學感測裝置
CN110572917A (zh) * 2019-09-17 2019-12-13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微环境光线亮度调节方法及***
CN114429760B (zh) * 2022-01-20 2023-05-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效果的调节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3482A1 (en) * 2014-09-05 2016-03-10 Qualcomm Incorporated Implementing a target lighting scene in a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a mobile light out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4768B2 (en) * 2003-04-30 2011-09-06 Disney Enterprises, Inc. Mobile phone multimedia controller
JP4752584B2 (ja) * 2006-04-11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灯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灯制御方法
TWI397234B (zh) 2009-09-30 2013-05-21 Yun Chang Liao Remote monitoring system of lighting device and its monitoring method
US9445480B2 (en) * 2012-04-12 2016-09-13 Lg Electronics Inc. Lighting system,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method
KR101534901B1 (ko) * 2012-09-04 2015-07-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TWI508627B (zh) 2013-03-22 2015-11-11 Internat Mobile Iot Corp 照明控制系統
JP2015002083A (ja) * 2013-06-14 2015-01-05 株式会社東芝 同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02439B1 (ko) 2014-02-21 202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S9756706B2 (en) * 2014-03-25 2017-09-05 Osram Sylvania Inc. Controlling a system that includes light-based communication (LCom)-enabled luminai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3482A1 (en) * 2014-09-05 2016-03-10 Qualcomm Incorporated Implementing a target lighting scene in a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a mobile light out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5792A4 (en) 2020-03-04
KR20180000109A (ko) 2018-01-02
EP3475792A1 (en) 2019-05-01
US20170371609A1 (en) 2017-12-28
WO2017222293A1 (en) 2017-12-28
US10496348B2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28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displays based on paired keyboard
US107954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brightness control in response to one user input
CN105849622B (zh) 头戴式显示设备以及改变该头戴式显示设备的光透射率的方法
CN103729055B (zh) 多显示设备、输入笔、多显示控制方法和多显示***
US20100315333A1 (en) Integrated Wired/Wireless Virtual Unit Control Apparatus
CN107005611B (zh) 附接装置及其控制电子装置的方法
KR10253686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8886863A (zh) 用于创建动态光效并且根据动态光效控制照明设备的计算机实现的方法
US20150178955A1 (en) Digital art systems and methods
WO2022170221A1 (en) Extended reality for productivity
US20150177960A1 (en) Digital art systems and methods
CN104503267A (zh) 电器设备及其开待机控制方法
US20150178315A1 (en) Digital art systems and methods
KR102104350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2584597U (zh) 一种多功能智能数码相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