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559B1 -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559B1
KR102536559B1 KR1020210093406A KR20210093406A KR102536559B1 KR 102536559 B1 KR102536559 B1 KR 102536559B1 KR 1020210093406 A KR1020210093406 A KR 1020210093406A KR 20210093406 A KR20210093406 A KR 20210093406A KR 102536559 B1 KR102536559 B1 KR 10253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operating member
container body
storage space
dr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684A (ko
Inventor
심윤석
강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Priority to KR102021009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59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2 내용물(이종 내용물)을 분리 저장하여 필요시 혼합 사용하는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제1 저장 공간부(15)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10) 하부에 결합 몸체(30)를 내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결합 몸체 하부 중앙에 상부 외측으로 연결공(32a)이 관통된 돌출부(32)를 돌출 형성하여 내외측으로 스포이트의 흡입관이 삽입되는 함몰부(33)와 삽입 공간부(34)를 구획하고, 상기 삽입 공간부에 상부 내측으로 제2 저장 공간부(45)를 형성하는 작동 부재(40)를 결합하여 결합 몸체 하부로 결합되는 회전 부재(50)의 회전에 의해 작동 부재의 제2 저장 공간부를 연결공 위치까지 승강시켜 상기 제1,2 저장 공간부(15)(45)의 제1,2 내용물을 제1,2 공간부의 체적 변화가 거의 없이 혼합시키도록 하므로 제1,2 내용물(이종 내용물)의 분리 저장 및 혼합 사용성 향상은 물론 내용물 잔류 량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 상기 제1,2 저장 공간부의 체적 변화가 거의 없이 내용물을 혼합 사용하기 때문에 내용물 흡입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함은 물론 내용물과 함께 에어가 혼입되는 우려를 방지하므로 정량 토출 사용 성능이 우수하게 제공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The spoid type dual mixing container}
본 발명은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 상하로 구획되는 공간에 충진된 제1,2 내용물을 사용시 간단하게 서로 혼합한 후 스포이트에 의해 흡입 사용하는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담긴 액상 내용물은 스포이트 또는 에어리스 펌프 등을 이용하여 토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상기 스포이트(spuit)는 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토출 수단 중의 하나로서, 길이가 긴 유리관의 끝 부분에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제작된 주머니(펌프)가 형성되어 상기 주머니를 눌러 발생하는 흡입 압력에 의해 유리관 내부로 내용물을 흡입한 후 한 방울씩 토출해서 사용하므로 정량 토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용기는 보통 한 종류의 액상 내용물을 저장하여 사용하는데, 최근 액상 내용물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액상 내용물(제1 내용물)에 파우더 분말 또는 이종의 다른 액상(제2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제1,2 내용물을 별도 저장하도록 복수의 용기를 구비하여 사용시 혼합하도록 하였는데, 이 경우 복수의 용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함은 물론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용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나의 용기에 제1,2 내용물을 분리 저장하고 사용시 혼합 사용하는 듀얼 믹싱 용기가 다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다.
먼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883730호서는 액상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본체 하부에 파우더 분말이 저장되는 믹싱 용기를 결합하여 상기 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 믹싱 용기를 결합 부재의 회전으로 승강시켜 배출공을 개방하므로 내용물을 혼합한 후 다시 결합 부재의 역 회전으로 하강시켜 배출공을 차단하므로 사용하기 때문에 용기를 뒤집어 배출공을 개방하므로 혼합 작동하도록 하고, 내용물 혼합 후 다시 배출공을 차단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2188198호에서는 제1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상부 중앙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와, 제2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가 내 삽입되는 이동부캡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의 하강에 의해 이동부캡의 배출홀이 개방되어 제1,2 공간의 내용물을 혼합 사용하므로 혼합 사용의 번거로운 작동 구조를 개선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이동부캡 내부에서 이동부가 하강하여 배출홀을 개방하도록 하면서 제1,2 공간의 내용물을 혼합하기 때문에 내용물 혼합 후 이동부가 하강한 만큼 용기 내부 공간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면서 내부 압력이 약화되어 내용물 흡입 성능이 떨어지고 에어가 많이 형성되면서 내용물과 함께 에어가 혼입되어 정량 토출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 10-2226973에서는 제1 본체와 제2 본체 내부의 제1,2 공간에 내용물을 혼합한 후 상기 제2 본체의 제2 공간 하부에 피스톤을 결합하되, 상기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 제1,2 공간을 서로 연통시켜 내용물을 혼합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 또한 등록특허 제10-2188198호에서 같이 내용물 혼합 후 용기 내부 공간의 체적 이 증가하게 되면서 내부 압력이 약화되어 내용물 흡입 성능이 떨어지고 에어가 많이 형성되면서 내용물과 함께 에어가 혼입되어 정량 토출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 밖에 전술한 종래 듀얼 믹싱 용기는 제1,2 공간에 이종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 작업성과 혼합 사용성이 불편한 문제점, 제1,2 공간을 기밀하는 기밀성이 떨어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883730호(2018년07월25일) 등록특허 제10-2188198호(2020년12월02일) 등록특허 제10-2226973호(2021년03월08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용기 본체 상하로 구획되는 공간에 충진된 제1,2 내용물을 사용시 간단하게 서로 혼합한 후 스포이트에 의해 흡입 사용하되, 상기 제1,2 내용물(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성은 물론 내용물 잔류 량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 상기 제1,2 저장 공간부의 체적 변화가 거의 없이 내용물을 혼합 사용하기 때문에 내용물 흡입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함은 물론 내용물과 함께 에어가 혼입되는 우려를 방지하므로 정량 토출 사용 성능이 우수하도록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1,2 내용물의 분리 저장 및 혼합 사용성이 우수함은 물론 기밀성도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 관통되는 몸체 내부에 제1 내용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공간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결합하는 스포이트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 내 삽입하여 상부 플랜지부에 의해 상하 공간을 구획하되 하부 중앙에 상부 외측으로 연결공이 관통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내,외측으로 스포이트의 흡입관이 삽입되는 함몰부와 삽입 공간부를 구획하는 결합 몸체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서 삽입 공간부로 삽입하되 상부 내측에 제2 내용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공간부를 형성하는 작동 부재 및,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작동 부재 하부 외측에 안내 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안내 돌기를 결합 몸체 하부의 수직 안내홈과 회전 부재의 나선 홈부에 삽입 설치하여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작동 부재가 연결공 위치로 승강하면서 제1,2 저장공간부가 서로 연통되어 제1,2 내용물을 혼합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동 부재는 원통형의 내,외부 작동 부재를 내,외부로 삽입 구성하되, 상기 외부 작동부재는 하부 외측에 안내 돌기와 상단 내측에 수평으로 상부 격벽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작동부재는 외부 작동 부재에 내 삽입 결합되고 상단 내측에 상부 격벽에서 이격되는 하부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 격벽 사이에 제2 저장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외부 작동 부재의 상부 격벽과 하부 격벽은 외측과 내측에 용기 본체 내벽과 외부 작동 부재 내벽에 탄발 밀착되는 외측 밀착 돌기와 결합 몸체의 돌출부 외벽에 탄발 밀착되는 내측 밀착 돌기를 각각 돌출 형성하여 제2 저장공간부를 밀폐 형성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 몸체의 수직 안내홈 입구에는 측방에 외부 작동 부재의 안내 돌기가 안착되는 삽입 단턱을 연결 형성하여 사용 전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 저장 공간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하부에 결합 몸체를 내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결합 몸체 하부 중앙에 상부 외측으로 연결공이 관통된 돌출부를 돌출 형성하여 내외측으로 스포이트의 흡입관이 삽입되는 함몰부와 삽입 공간부를 구획하고, 상기 삽입 공간부에 상부 내측으로 제2 저장 공간부를 형성하는 작동 부재를 결합하여 결합 몸체 하부로 결합되는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작동 부재의 제2 저장 공간부를 연결공 위치까지 승강시켜 상기 제1,2 저장 공간부의 제1,2 내용물을 제1,2 공간부의 체적 변화가 거의 없이 혼합시키도록 하므로 제1,2 내용물(이종 내용물)의 분리 저장 및 혼합 사용성 향상은 물론 내용물 잔류 량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 상기 제1,2 저장 공간부의 체적 변화가 거의 없이 내용물을 혼합 사용하기 때문에 내용물 흡입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함은 물론 내용물과 함께 에어가 혼입되는 우려를 방지하므로 정량 토출 사용 성능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 몸체 및 작동 부재의 기밀성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우수하게 제공하면서 내용물의 누출 방지 및 외부 공기 유입에 의한 내용물 변질 우려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용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 절단 상태를 보여주는 반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 절단 상태를 보여주는 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정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내용물을 백 충진하기 위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2 내용물을 혼합하기 위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포이트에 의해 혼합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첨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내용물을 분리 저장하여 필요시 혼합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용기 본체(10), 스포이트(20), 결합 몸체(30), 작동 부재(40) 및 회전 부재(50)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용기 본체(10)는 상하로 관통되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하고, 내부에 제1 내용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공간부(15), 상부에 스포이트(2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1), 하부 외주연에 단차 결합부(14)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포이트(20)는 용기 본체의 결합부(11)에 나사 결합하는 결합 캡(22)과, 펌핑 작동을 위한 펌프(23) 및, 용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내용물을 흡입하는 흡입관(21)으로 구성한다.
상기 결합 몸체(30)는 용기 본체 하부에서 내 삽입하여 상부 플랜지부(31)에 의해 결합 몸체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상기 상부 플랜지부(31)가 용기 본체 내주연의 단턱(14)에 걸려 지지되도록 삽입하여 결합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31)의 하부 중앙에는 상부 외측으로 연결공(32a)이 관통된 돌출부(32)를 형성하여 내,외측으로 내용물을 잔량없이 흡입하기 위해 스포이트의 흡입관(21)이 삽입되는 함몰부(33)와 작동 부재의 결합을 위한 삽입 공간부(34)를 구획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연결공(32a)은 상부 플랜지부(31)의 내측 일부까지 연장되어 제1 저장공간부의 제1 내용물과 후술되는 제2 저장공간부의 제2 내용물이 연결공(32a)을 통해 원활히 유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 부재(40)는 용기 본체 하부에서 용기 본체와 결합 몸체의 돌출부(32) 사이로 형성되는 삽입 공간부(34)로 삽입하되 상부 내측에 제2 내용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공간부(4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 부재(50)는 용기 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 부재 하부 외측에 안내 돌기(4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안내 돌기를 결합 몸체 하부의 수직 안내홈(16)과 회전 부재의 나선 홈부(51)에 삽입 설치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작동 부재(40)의 제2 저장공간부(45)가 연결공(32a) 위치로 승강하면서 제1,2 저장공간부(15)(45)이 서로 연통되어 제1,2 저장 공간부의 체적 변화가 거의 없이 제1,2 내용물을 혼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 부재의 제2 저장 공간부(45)는 결합 몸체의 돌출부(32)에서 연결공(32a) 하부에 기밀되게 위치하고 있다가 작동 부재의 승강 작동에 의해 제2 저장 공간부(45)가 연결공(32a)에 위치하면서 제1,2 저장 공간부(15)(45)가 서로 연결되어 제1,2 내용물을 혼합하되, 상기 작동 부재의 제2 저장 공간부(45)와 작동 부재 상부에 연결공에 연결되어 있는 공간(C)이 거의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 부재가 승강하여 제1,2 저장 공간부(15)(45)가 연결공(32a)에 의해 연결된 후에 제1,2 저장 공간부의 전체적인 체적 변환가 거의 없이 제1,2 내용물을 혼합하도록 하므로 종래와 같은 내용물 흡입 문제 에어 혼합 문제가 없고 내용물의 정량 토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작동 부재(40)는 원통형의 내,외부 작동 부재(41)(42)를 내,외부로 삽입 구성하되, 상기 외부 작동부재(42)는 하부 외측에 안내 돌기(43)와 상단 내측에 수평으로 상부 격벽(42a)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작동부재(41)는 외부 작동 부재에 내 삽입 결합되고 상단 내측에 상부 격벽(42a)에서 이격되는 하부 격벽(41a)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 격벽 사이에 제2 저장 공간부(4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내부 작동부재(41)를 외부 작동부재(42) 내부로 삽입 결합하되, 상기 내부 작동부재의 외부 원주상에 형성된 걸림 돌기(47)가 상기 외부 작동부재(42)의 원주상에 형성된 걸림 홈(48)에 삽입되어 내,외부 작동부재(41)(42)가 함께 승강 작동하도록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외부 작동 부재(41)(42)의 상부 격벽(42a)과 하부 격벽(41a)은 외측과 내측에 용기 본체 내벽과 외부 작동 부재 내벽에 탄발 밀착되는 외측 밀착 돌기(41a')(42a')와 결합 몸체의 돌출부(32) 외벽에 탄발 밀착되는 내측 밀착 돌기(41a")(42a")를 각각 돌출 형성하여 제2 저장공간부(45)를 밀폐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외측 밀착 돌기(41a')(42a')는 내,외부 작동 부재(41)(42)의 외측 단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내,외측으로 텐션 작동하면서 탄발 밀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측 밀착 돌기(41a")(42a")는 내,외부 작동 부재(41)(42)의 내측 단이 내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내,외측으로 텐션 작동하면서 탄발 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결합 몸체의 수직 안내홈(16) 입구에는 측방에 외부 작동 부재의 안내 돌기(43)가 안착되는 삽입 단턱(17)을 연결 형성하여 사용 전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즉 외부 작동 부재 조립 후 제2 내용물을 충진하고 내부 작동 부재 및 회전 부재를 결합하거나 제1,2 내용물 혼합 사용 전에 작동 부재가 오작동으로 승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회전 부재의 나선 홈부(51)의 하강 위치와 승강 위치에는 작동 부재의 안내 돌기(43)를 로크 하는 로크 홈이 형성되어 회전 부재를 외력에 의해 회전시키지 않으면 회전 부재의 회전 및 작동 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몸체의 돌출부(32)는 하부에 돌출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가이더(32b)를 형성하여 내,외부 작동 부재(41)(42)를 원활히 삽입시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14a, 50a는 회전 부재(50)와 용기 본체의 단차 결합부(14)에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어 회전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 돌기, 80은 외캡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 용기의 조립 및 내용물 충진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용기 본체(10) 하부에 결합 몸체(30)를 내 삽입하되, 상기 결합 몸체의 상부 플랜지부(31)가 용기 본체 내주연에 형성된 단턱(14)에 걸려 지지되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 몸체(30) 내부로 작동 부재의 외부 작동부재(42)를 내 삽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외부 작동부재 외측의 안내돌기(43)가 용기 본체의 수직 안내홈(16) 입구에서 측방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삽입 단턱(17)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결합하므로 상기 외부 작동부재(42) 상부가 결합 몸체의 연결공(32a)에서 벗어난 정 위치까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 작동부재(42)는 상부 격벽(42a) 내측과 외측에 형성된 내측 밀착 돌기(42a')와 외측 밀착 돌기(42a")가 결합 몸체 내주연과 결합 몸체의 돌출부(32) 외측에 탄발 밀착되어 기밀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작동부재(42)에 의해 형성된 제2 저장 공간부로 제2 내용물을 백 충진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0) 하부로 작동 부재의 내부 작동부재(41) 및 회전 부재(50)를 결합한다.
이는 상기 내부 작동부재(41)를 회전 부재(50) 내부로 조립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10) 하부로 결합하되, 상기 회전 부재(50)는 용기 본체 하부의 단차 결합부(14)에 이탈 방지되면서 회전 작동하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내부 작동 부재(41)는 외부 작동 부재(42) 내측으로 삽입하되, 상기 외부 작동 부재의 하부 격벽(41a) 내측과 외측에 형성된 내측 밀착 돌기(41a')와 외측 밀착 돌기(41a")가 외부 작동부재의 내주연과 결합 몸체의 돌출부(32) 외측에 탄발 밀착되어 기밀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내부 작동부재(41)와 외부 작동부재(42)의 상,하부 격벽(41a)(42a) 사이로 형성된 제2 저장공간부(45)로 제2 내용물이 기밀 상태로 충진되도록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외부 작동 부재의 안내 돌기(43)가 결합 몸체의 수직 안내홈(16) 입구 측방에 형성된 삽입 단턱(17)에 안착 지지된 상태로 내부 작동 부재(41) 및 회전 부재(50)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작동 부재의 제2저장 공간부와 결합 몸체의 연결공(32a)이 서로 벗어난 위치로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 작동부재(40), 회전 부재(50)의 조립 및 제1 내용물을 충진한 후 용기 본체(10) 상부에서 제1 저장공간부(15)로 제1 내용물을 충진하고 스포이트(20)를 결합하여 조립 완료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2 저장공간부(15)(45)의 제1,2 내용물을 충진하는 순서를 서로 바꾸어 충진하도록 작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용기의 조립 및 제1,2 내용물을 충진하여 제조 및 유통하되,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제1,2 저장공간부(15)(45)에 저장되어 있는 제1,2 내용물(동종 또는 액상과 파우더 형태의 이종 내용물)을 서로 혼합시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0)를 붙잡은 상태에서 용기 본체 하부의 회전 부재(5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50)가 회전하면서 회전 부재의 나선 홈부(51)에 작동 부재(40)의 안내 돌기(42)가 안내되고, 상기 안내 돌기가 용기 본체 하부의 삽입 단턱(17)에서 벗어나 수직 안내홈(16)을 따라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 부재(40)는 내,외부 작동부재(41)(42)가 걸림 돌기(47)와 걸림 홈(48)에 의해 조립되어 함께 승강 작동하되, 상기 내,외부 작동부재의 상,하부 격벽(41a)(42a)에서 내,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측 밀착 돌기(41a')(42a')와 내측 밀착 돌기(41a")(42a")가 용기 본체 내벽과 외부 작동 부재 내벽 및 결합 몸체의 돌출부(32) 외벽에 탄발 밀착되어 기밀 상태로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 부재(40)가 승강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제2 저장공간부(45)가 결합 몸체의 돌출부(32) 상부 외 측방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공(32a)에 위치하면서 작동 부재의 제2 저장공간부(45)와 용기 본체의 제1 저장 공간부(15)가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저장 공간부(15)의 제1 내용물과 제2 저장 공간부(45)의 제2 내용물이 연결공(32a)을 통해 서로 혼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작동 부재의 제2 저장 공간부(45)와 작동 부재 상부에 연결공에 연결되어 있는 공간(C)이 거의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 부재 승강으로 제1,2 저장 공간부(15)(45)가 연결공(32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제1,2 내용물이 서로 혼합되는 경우에도 용기 본체의 저장 공간부 체적 변환가 거의 없이 제1,2 내용물을 혼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 저장 공간부(15)(45)의 제1,2 내용물을 혼합한 후 도 10에서와 같이 스포이트(20)를 이용하여 혼합 내용물을 흡입하여 토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포이트(20)의 펌프(23)에 의해 흡입관(21)으로 혼합 내용물을 흡입한 후 스포이트를 용기 본체(10)에서 분리하여 토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 저장 공간부(15)(45)에서 혼합된 내용물을 제1,2 저장 공간부의 체적 변화 거의 없이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스포이트에 의한 내용물 흡입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함은 물론 내용물과 함께 에어가 혼입되는 우려를 방지하므로 정량 토출 사용 성능이 우수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포이트(20)의 흡입관(21)이 결합 몸체 하부 중앙의 함몰부(33)에 삽입되게 위치하면서 혼합 내용물을 잔량없이 모두 소진하도록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용기 본체 15: 제1 저장공간부
16: 수직 안내홈 17: 삽입 단턱
20: 스포이트 30: 결합 몸체
31: 상부 플랜지부 32: 돌출부
32a: 연결공 33: 함몰부
34: 삽입 공간부 40: 작동 부재
41,42: 내,외부 작동부재 41a, 42a: 상,하부 격벽
41a',42a': 외측 밀착 돌기 41a",42a": 내측 밀착 돌기
43: 안내 돌기 45: 제2 저장공간부
50: 회전 부재 51: 나선 홈부

Claims (4)

  1. 상하 관통되는 몸체 내부에 제1 내용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공간부(15)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에 결합하는 스포이트(20)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 내 삽입하여 상부 플랜지부(31)에 의해 상하 공간을 구획하되 하부 중앙에 상부 외측으로 연결공(32a)이 관통된 돌출부(32)를 형성하여 내,외측으로 스포이트의 흡입관(21)이 삽입되는 함몰부(33)와 삽입 공간부(34)를 구획하는 결합 몸체(30)와,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서 삽입 공간부(34)로 삽입하되 상부 내측에 제2 내용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공간부(45)를 형성하는 작동 부재(40) 및,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50)로 구성하되,
    상기 작동 부재 하부 외측에 안내 돌기(4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안내 돌기를 결합 몸체 하부의 수직 안내홈(16)과 회전 부재의 나선 홈부(51)에 삽입 설치하여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작동 부재(40)가 연결공(32a) 위치로 승강하면서 제1,2 저장공간부(15)(45)가 서로 연통되어 제1,2 내용물을 혼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40)는 원통형의 내,외부 작동 부재(41)(42)를 내,외부로 삽입 구성하되, 상기 외부 작동부재(42)는 하부 외측에 안내 돌기(43)와 상단 내측에 수평으로 상부 격벽(42a)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작동부재(41)는 외부 작동 부재에 내 삽입 결합되고 상단 내측에 상부 격벽(42a)에서 이격되는 하부 격벽(41a)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 격벽 사이에 제2 저장 공간부(4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작동 부재(41)(42)의 상부 격벽(42a)과 하부 격벽(41a)은 외측과 내측에 용기 본체 내벽과 외부 작동 부재 내벽에 탄발 밀착되는 외측 밀착 돌기(41a')(42a')와 결합 몸체의 돌출부(32) 외벽에 탄발 밀착되는 내측 밀착 돌기(41a")(42a")를 각각 돌출 형성하여 제2 저장공간부(45)를 밀폐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몸체의 수직 안내홈(16) 입구에는 측방에 외부 작동 부재의 안내 돌기(43)가 안착되는 삽입 단턱(17)을 연결 형성하여 사용 전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KR1020210093406A 2021-07-16 2021-07-16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KR10253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406A KR102536559B1 (ko) 2021-07-16 2021-07-16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406A KR102536559B1 (ko) 2021-07-16 2021-07-16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684A KR20230013684A (ko) 2023-01-27
KR102536559B1 true KR102536559B1 (ko) 2023-05-31

Family

ID=8510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406A KR102536559B1 (ko) 2021-07-16 2021-07-16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5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865B1 (ko) 2012-11-20 2013-11-05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 용기
JP2015030477A (ja)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2剤混合容器
KR101660033B1 (ko) 2015-03-30 2016-09-2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730B1 (ko) 2018-05-24 2018-07-3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듀얼 믹싱용기
KR102188198B1 (ko) 2019-04-15 2020-12-11 주식회사 삼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226973B1 (ko) 2019-05-07 2021-03-15 주식회사 삼화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865B1 (ko) 2012-11-20 2013-11-05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 용기
JP2015030477A (ja)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2剤混合容器
KR101660033B1 (ko) 2015-03-30 2016-09-2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684A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625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ability
JP6217975B2 (ja) 二種内容物混合容器
ES2356313T3 (es) Medio y método para rellenar envases de barrera de aerosol de válvula embolsada.
CN101070136A (zh) 便携式液体分配器
KR20080015392A (ko)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도우징 헤드
CN114786530A (zh) 双重容器
US20040256413A1 (en) Leak preventing closure in a dispenser pump
KR102536559B1 (ko) 스포이트 타입 듀얼 믹싱용기
JP2004000625A (ja) 混合式化粧料容器
JP6244190B2 (ja) 泡吐出容器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KR20120054715A (ko) 회전식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00136183A (ko)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용기
KR100494658B1 (ko) 내용물 배출구조를 개선시킨 자동혼합 화장품 용기
KR102573274B1 (ko) 튜브리스 토출 용기
JP5126838B2 (ja) 液体吐出容器
KR200311494Y1 (ko) 디스펜서 용기
KR102035519B1 (ko) 듀얼 믹싱용기
KR102024121B1 (ko) 포밍 펌프 디스펜서
KR200336105Y1 (ko) 이종액체용기
KR101883730B1 (ko) 듀얼 믹싱용기
KR20210064893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20190023668A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205461B1 (ko) 디스펜서 용기
CN219428739U (zh) 一种水粉两剂真空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