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519B1 -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 Google Patents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519B1
KR102536519B1 KR1020190157389A KR20190157389A KR102536519B1 KR 102536519 B1 KR102536519 B1 KR 102536519B1 KR 1020190157389 A KR1020190157389 A KR 1020190157389A KR 20190157389 A KR20190157389 A KR 20190157389A KR 102536519 B1 KR102536519 B1 KR 102536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jugated diene
formula
weight
carbon atom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596A (ko
Inventor
서경창
이로미
김노마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5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19B1/ko
Priority to JP2021565938A priority patent/JP7195457B2/ja
Priority to PCT/KR2020/015276 priority patent/WO2021107434A1/ko
Priority to EP20891702.1A priority patent/EP3971238B1/en
Priority to US17/620,985 priority patent/US20220372191A1/en
Priority to BR112022000327A priority patent/BR112022000327A2/pt
Priority to CN202080045653.5A priority patent/CN114008087B/zh
Priority to TW109139295A priority patent/TW202128723A/zh
Publication of KR2021006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22Incorporating nitrogen atoms into the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25Incorporating silicon atoms into the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30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 C08C19/42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reacting with metals or metal-containing groups
    • C08C19/44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reacting with metals or metal-containing groups of polymers containing metal atoms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36/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136/02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136/04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vinyl-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2Introducing metal atoms or metal-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08K5/5419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Si—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10/0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비특성 및 가공성을 균형 있게 개선할 수 있는 변성제, 상기 변성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MODIFYING AGENT AND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에 대한 저연비화의 요구에 따라, 타이어용 고무 재료로서 구름 저항이 적고, 내마모성, 인장 특성이 우수하며, 웨트 스키드 저항으로 대표되는 조정 안정성도 겸비한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요구되고 있다.
타이어의 구름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가황 고무의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작게하는 방안이 있으며, 이러한 가황 고무의 평가 지표로서는 50℃ 내지 80℃의 반발탄성, tan δ, 굿리치 발열 등이 이용된다. 즉, 상기 온도에서의 반발탄성이 크거나 tan δ 또는 굿리치 발열이 작은 고무 재료가 바람직하다.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작은 고무 재료로 천연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또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은 웨트 스키드 저항성이 작은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이하, SBR이라 함) 또는 부타디엔 고무(이하, BR이라 함)와 같은 공액디엔계 (공)중합체를 유화중합이나 용액중합으로 제조하여 타이어용 고무로 이용하고 있다. 이 중, 유화중합에 비해 용액중합이 갖는 최대의 장점은 고무 물성을 규정하는 비닐 구조 함량 및 스티렌 함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커플링(coupling)이나, 변성(modification) 등에 의해 분자량 및 물성 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용액중합으로 최종 제조된 SBR이나 BR은 고무의 구조 변화가 용이하며, 사슬 말단의 결합이나 변성으로 사슬 말단의 움직임을 줄여 실리카 또는 카본블랙 등의 충진제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타이어용 고무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용액중합 SBR이 타이어용 고무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SBR 내의 비닐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고무의 유리전이온도를 상승시켜 주행저항 및 제동력과 같은 타이어 요구 물성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전이온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서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용액중합 SBR은 음이온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며, 형성된 중합체의 사슬 말단을 여러 가지 변성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거나, 변성시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397,994호에는 일관능성 개시제인 알킬리튬을 이용하여 비극성 용매하에서 스티렌-부타디엔을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의 사슬 말단의 활성 음이온을 주석화합물과 같은 결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킨 기술을 제시하였다.
한편, 지면과 접하는 타이어 트레드의 재료로 구름 저항이 작고 웨트 그립이 우수하며 실용상 충분한 내마모성을 갖는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트레드의 보강성 충진제로서 카본블랙 및 실리카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보강성 충진제로서 실리카를 이용하는 경우 히스테리시스 손실(hysteresis loss)이 작고, 웨트 스키드 저항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소수성 표면의 카본블랙 대비 친수성 표면의 실리카는 공액 디엔계 고무와의 친화성이 낮아 분산성이 나쁘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어, 분산성을 개선시키거나 실리카-고무 간의 결합 부여를 행하기 위해 별도의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고무 분자 말단부에 실리카와의 친화성이나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고무 조성물 내에서의 실리카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또 실리카 입자와의 결합으로 고무 분자 말단의 운동성을 감소시켜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실리카를 비롯한 충진제와의 친화성이 높은 고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US 4,397,994 A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액디엔계 중합체에 대해 충진제 친화성 작용기인 올리고실록산과 3차 아미노기를 용이하게 도입하여 변성시킬 수 있는 변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변성제에 의해 변성되어 중합체 내 상기 화합물 유래 작용기를 포함함으로써 고무 조성물 내 충진제에 대해 우수한 친화성을 나타내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변성제를 이용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23744814-pat00001
식 중에서,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며;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성제는 올리고실록산과 3차 아미노기를 포함하여,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변성에 사용되어 고무 조성물에 적용 시 연비특성 및 가공성을 균형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조성물"이란 용어는, 해당 조성물의 재료로부터 형성된 반응 생성물 및 분해 생성물뿐만 아니라 해당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료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중합체"란 용어는, 동일 혹은 상이한 종류이든지 간에, 단량체들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중합체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일반 용어 중합체는, 단지 1종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는데 통상 이용되는 단독중합체란 용어, 및 이하에 규정된 바와 같은 공중합체(copolymer)란 용어를 망라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공중합체"란 용어는, 적어도 2종의 상이한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한다. 일반 용어 공중합체는, 2종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며, 사용된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3원 공중합체, 또는 4원 공중합체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2종 이상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지니는"(having)이란 용어 및 이들의 파생어는, 이들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든지 그렇치 않든지 간에, 임의의 추가의 성분, 단계 혹은 절차의 존재를 배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어떠한 불확실함도 피하기 위하여, "포함하는"이란 용어의 사용을 통해 청구된 모든 조성물은, 반대로 기술되지 않는 한, 중합체든지 혹은 그 밖의 다른 것이든지 간에, 임의의 추가의 첨가제, 보조제, 혹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이란 용어는, 조작성에 필수적이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임의의 기타 성분, 단계 혹은 절차를 임의의 연속하는 설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한다. "로 구성되는"이란 용어는 구체적으로 기술되거나 열거되지 않은 임의의 성분, 단계 혹은 절차를 배제한다.
본 발명은 고무, 특히 공액디엔계 중합체에 대해 충진제 친화성 작용기인 3차 아미노기를 용이하게 도입하여 변성시킬 수 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23744814-pat00002
식 중에서,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며;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일 수 있으며, 상기 R1 내지 R4가 치환되는 경우,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4 내지 10의 시클로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2 내지 12의 알카노일옥시기(alkanoyl, RaCOO-, 이때 Ra는 탄소수 1 내지 9의 알킬기임),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르알킬옥시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릴알킬기, 및 탄소수 7 내지 13의 알킬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R1 내지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일 수 있다.
또, 상기 화학식 1에서 R5 내지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며, 구체적으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더욱 구체적으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일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앞서 R1 내지 R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치환기들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R5 내지 R8이 알킬기가 아닌, 가수분해 가능한 기인 경우, N-R5R6 및 N-R7R8의 결합이 수분 존재 하에 N-H로 가수분해되어 중합체의 가공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5 내지 R8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 포함되는 아미노기, 즉 -NR5R6 및 -NR7R8은 3차 아미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 아미노기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변성제로 사용되었을 때 더욱 우수한 가공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R5 내지 R8에 아미노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가 결합되거나 수소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는데, 수소가 결합되는 경우, 변성 과정에서 음이온이 수소와 반응하여 반응성을 잃게 되어 변성 반응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고, 보호기가 결합되는 경우, 변성 반응이 수행되기는 하나, 중합체 말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가공시 가수분해로 인해 탈보호되어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가 될 수 있으며, 탈보호된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는 이후 배합시 배합물이 부스러지는 현상을 야기하여, 가공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와 같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일 수 있다.
분자내 Si 원자와 N 원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Si가 N과 직접 결합할 경우 결합이 끊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후처리 공정 중 Si와 N 사이의 결합이 끊어지게 되고, 이때 발생한 2차 아미노기는 후처리중 물에 의해 유실될 가능성이 높으며, 또 최종 제조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에서는 실리카 충진제와의 결합을 촉진하는 아미노기의 부재로 인해 실리카 충진제와의 결합이 어렵고, 그 결과 분산제의 분산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Si와 N 사이의 결합 길이에 따른 개선효과의 우수함을 고려할 때, 상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렌기,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와 같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기가 더욱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기일 수 있다. 또한 L1 및 L2는 앞서 R1 내지 R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치환기들로 치환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 내지 1e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19123744814-pat00003
[화학식 1b]
Figure 112019123744814-pat00004
[화학식 1c]
Figure 112019123744814-pat00005
[화학식 1d]
Figure 112019123744814-pat00006
[화학식 1e]
Figure 112019123744814-pat00007
.
본 발명의 변성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알콕시실란 구조가 공액디엔계 중합체 활성화 말단과 결합하는 한편, Si-O-Si 구조 및 말단에 결합된 3개 이상의 아미노기가 실리카 등의 충진제에 대해 친화력을 나타냄으로써, 종래 분자내 1개의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변성제와 비교하여 충진제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와의 결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활성화 말단의 결합 정도가 균일하여 커플링 전 후에 분자량 분포의 변화 관찰시, 커플링 후에도 전에 비해 분자량 분포가 커지지 않고 일정하다. 그 결과,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자체의 물성 저하가 없고, 고무 조성물 내 충진제의 응집을 막아 충진제의 분산성을 높여 고무 조성물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타이어에서의 연비특성, 마모특성 및 제동특성을 균형 있게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성제는 고무의 구조, 성질 및 물성 등을 변성시키기 위한 변성제일 수 있으며, 특히 부타디엔계 중합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과 같은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변성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변성제는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축합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9123744814-pat00008
.
상기 반응식 1에서, R1 내지 R8, L1 내지 L2,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것과 같고, R' 및 R''은 상기 축합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임의의 치환기이다. 예컨대, 상기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R1 내지 R4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산 조건하에서 진행되며, 산은 일반적으로 축합 반응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반응이 진행되는 반응기의 종류, 출발 물질, 반응 온도 등의 다양한 공정 변수에 맞추어 최적의 산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에 의해 변성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액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공중합체인 경우,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구조단위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구조단위를 비롯하여 공중합체를 이루는 구조단위들이 무질서하게 배열, 결합된 랜덤 공중합체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1.1 내지 3.0의 좁은 분자량 분포(Mw/Mn)(또는 다분산지수(PDI)라고도 함)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3.0을 초과하거나, 1.1 미만일 경우 고무 조성물에 적용시 인장 특성 및 점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분자량 분포 제어에 따른 중합체의 인장특성 및 점탄성 개선 효과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구체적으로는 1.3 내지 2.0일 수 있다. 또,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상기한 변성제를 사용함으로써, 변성 전 공액디엔계 중합체일 때의 분자량 분포와 유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성 공앤디엔계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대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균 분자량(Mn)은 n개의 중합체 분자의 분자량을 측정하고 이들 분자량의 총합을 구하여 n으로 나누어 계산한 개별 중합체 분자량의 공통 평균(common average)이며,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고분자 조성물의 분자량 분포를 나타낸다. 모든 분자량 평균은 몰당 그램(g/㏖)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각각 겔 투과형 크로마토그래피(GPC)로 분석되는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이다.
또,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상기한 분자량 분포 조건을 충족하는 동시에 수평균분자량(Mn)이 50,000g/mol 내지 2,000,000g/mol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00,000g/mol 내지 800,000g/mol인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0g/mol 내지 4,000,000g/mol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300,000g/mol 내지 1,500,000g/mol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0g/molg/mol 미만이거나 또는 수평균분자량(Mn)이 50,000g/mol 미만일 경우 고무 조성물에 적용시 인장특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또 중량평균분자량(Mw)이 4,000,000g/mol을 초과하거나, 수평균분자량(Mn)이 2,000,000g/mol을 초과할 경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가공성 저하로 고무 조성물의 작업성이 악화되고, 혼반죽이 곤란해져, 고무 조성물의 물성을 충분히 향상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상기한 분자량 분포와 함께 중량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경우, 고무 조성물에 적용시 고무 조성물에 대한 점탄성 및 가공성을 균형 있게 개선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비닐기의 함량이 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이상, 구체적으로는 10중량%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10중량% 내지 60중량%일 수 있고, 비닐 함량이 상기 범위일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적절한 범위로 조절될 수 있어 타이어에 적용 시 주행저항 및 제동력과 같은 타이어에 요구되는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닐 함량은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공액디엔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공액디엔계 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1,4-첨가가 아닌 1,2-첨가된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구조의 반복단위 함량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100℃에서의 무니점도(mooney viscosity, MV)가 40 내지 140,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1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의 무니 점도를 가질 때 보다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니점도는 무니점도계, 예를 들어, Monsanto사 MV2000E로 100℃에서 Rotor Speed 2±0.02rpm, Large Rotor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된 시료는 실온(23±3℃)에서 30분 이상 방치한 후 27±3g을 채취하여 다이 캐비티 내부에 채워 놓고 플래턴(Platen)을 작동시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를 이용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1)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유기 알칼리금속 화합물 존재 하 공액디엔계 단량체, 또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적어도 일 말단에 알칼리금속이 결합된 활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활성 중합체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 단계는 적어도 일 말단에 알칼리금속이 결합된 활성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계로,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유기 알칼리금속 화합물 존재 하 공액디엔계 단량체 또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의 중합은 단량체로서 공액디엔계 단량체 단독 또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중합체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단독 중합체 또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릴렌, 3-부틸-1,3-옥타디엔, 이소프렌 및 2-페닐-1,3-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로 공액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내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래 단위가 60 중량% 이상, 구체적으로는 60 중량% 내지 9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60 중량% 내지 85 중량%로 포함되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 4-(p-메틸페닐)스티렌 및 1-비닐-5-헥실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로 공액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내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가 40 중량% 이하, 구체적으로는 10 중량% 내지 4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15 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n-펜탄, n-헥산, n-헵탄, 이소옥탄, 사이클로 헥산, 톨루엔, 벤젠 및 크실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알칼리금속 화합물은 단량체 총 100 g을 기준으로 0.1mmol 내지 1.0mmol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알칼리금속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메틸리튬, 에틸리튬, 프로필리튬, n-부틸리튬, s-부틸리튬, t-부틸리튬, 헥실리튬, n-데실리튬, t-옥틸리튬, 페닐리튬, 1-나프틸리튬, n-에이코실리튬, 4-부틸페닐리튬, 4-톨릴리튬, 사이클로헥실리튬, 3,5-디-n-헵틸사이클로헥실리튬, 4-사이클로펜틸리튬, 나프틸나트륨, 나프틸칼륨, 리튬 알콕사이드, 나트륨 알콕사이드, 칼륨 알콕사이드, 리튬 술포네이트, 나트륨 술포네이트, 칼륨 술포네이트, 리튬 아미드, 나트륨 아미드, 칼륨아미드 및 리튬 이소프로필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1) 단계의 중합은 필요에 따라 극성 첨가제를 더 첨가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극성 첨가제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0.01 중량부 내지 0.3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극성 첨가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테트라하이드로퓨릴프로판, 디에틸에테르, 시클로아말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에틸렌디메틸에테르, 에틸렌디메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 디메틸에테르, 3차 부톡시에톡시에탄, 비스(3-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디메틸아미노에틸)에틸에테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의 극성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공액디엔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경우 이들의 반응속도 차이를 보완해줌으로써 랜덤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의 중합은 단열중합을 통해 수행하거나, 등온중합을 통해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단열중합은 유기 알칼리금속 화합물을 투입한 이후 임의로 열을 가하지 않고 자체 반응열로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합방법을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등온중합은 상기 유기 알칼리금속 화합물을 투입한 이후 임의로 열을 가하거나 열을 뺏어 중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중합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중합은 -20℃ 내지 20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 내지 150℃, 더욱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2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2) 단계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활성 중합체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를 반응시키는 변성반응 단계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는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유기 알칼리금속 화합물 1 몰 대비 0.1 내지 2.0 몰이 되는 비율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2) 단계의 반응은 중합체에 관능기를 도입시키기 위한 변성 반응으로, 상기 각 반응은 0℃ 내지 90℃의 온도범위에서 1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2) 단계 이후 필요에 따라 용매 및 미반응 단량체 회수 및 건조 중 1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상기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성형품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타이어에서의 연비특성, 마모특성 및 제동특성을 균형 있게 개선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 조성물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0.1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 구체적으로는 10 중량% 내지 10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20 중량% 내지 9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결과적으로 상기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예컨대 타이어에서의 연비특성, 마모특성 및 제동특성에 대한 개선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고무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무 성분은 고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90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9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무 성분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일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고무 성분은 시스-1,4-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하는 천연고무(NR); 상기 일반적인 천연고무를 변성 또는 정제한, 에폭시화 천연고무(ENR), 탈단백 천연고무(DPNR), 수소화 천연고무 등의 변성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R), 폴리부타디엔(BR), 폴리이소프렌(IR), 부틸고무(IIR),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코-이소프렌, 네오프렌, 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 폴리(스티렌-코-부타디엔), 폴리(스티렌-코-이소프렌), 폴리(스티렌-코-이소프렌-코-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코-부타디엔), 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코-디엔), 폴리설파이드 고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부틸 고무, 할로겐화 부틸 고무 등과 같은 합성고무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조성물은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의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구체적으로 실리카계 충진제 또는 카본블랙계 충진제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진제는 실리카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습식 실리카(함수규산), 건식 실리카(무수규산),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 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충진제는 파괴 특성의 개량 효과 및 웨트 그립성(wet grip)의 양립 효과가 가장 현저한 습식 실리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제로서 실리카계 충진제가 사용될 경우 보강성 및 저발열성 개선을 위해 실란 커플링제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는 구체적으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트리술피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디술피드, 비스(2-트리에톡시실릴에틸)테트라술피드, 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비스(2-트리메톡시실릴에틸)테트라술피드,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머캅토에틸트리메톡시실란, 2-머캅토에틸트리에톡시실란,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2-트리에톡시실릴에틸-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벤조티아졸릴테트라술피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벤졸릴테트라술피드,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모노술피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모노술피드, 비스(3-디에톡시메틸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3-머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N,N-디메틸티오카르바모일테트라술피드 또는 디메톡시메틸실릴프로필벤조티아졸릴테트라술피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성 개선 효과를 고려할 때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폴리술피드 또는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벤조티아질테트라술피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는, 고무 성분으로서 활성 부위에 실리카계 충전제와의 친화성이 높은 관능기가 도입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량은 통상의 경우보다 저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실리카계 충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범위로 사용될 때, 커플링제로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면서도 고무 성분의 겔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실리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황 가교성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황제는 구체적으로 황 분말일 수 있으며,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될 때, 가황 고무 조성물의 필요한 탄성률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저연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외에, 통상 고무 공업계에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 구체적으로는 가황 촉진제, 공정유, 가소제, 노화 방지제, 스코치 방지제, 아연화(zinc white), 스테아르산,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황 촉진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는 M(2-머캅토벤조티아졸), DM(디벤조티아질디술피드), CZ(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질술펜아미드) 등의 티아졸계 화합물, 혹은 DPG(디페닐구아니딘) 등의 구아니딘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황촉진제는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유는 고무 조성물내 연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파라핀계, 나프텐계, 또는 방향족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장 강도 및 내마모성을 고려할 때 방향족계 공정유가, 히스테리시스 손실 및 저온 특성을 고려할 때 나프텐계 또는 파라핀계 공정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정유는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으로 포함될 때, 가황 고무의 인장 강도, 저발열성(저연비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화방지제로는 구체적으로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6-에톡시-2,2,4-트리메틸-1,2-디히드로퀴놀린, 또는 디페닐아민과 아세톤의 고온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노화방지제는 고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6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상기 배합 처방에 의해 밴버리 믹서, 롤, 인터널 믹서 등의 혼련기를 사용하여 혼련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으며, 또 성형 가공 후 가황 공정에 의해 저발열성이며 내마모성이 우수한 고무 조성물이 수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무 조성물은 타이어 트레드, 언더 트레드, 사이드 월, 카카스 코팅 고무, 벨트 코팅 고무, 비드 필러, 또는 비드 코팅 고무 등의 타이어의 각 부재나, 방진고무, 벨트 컨베이어, 호스 등의 각종 공업용 고무 제품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및 타이어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기의 반응기가 직렬로 연결된 연속 반응기 중 제1기 반응기에, n-헥산에 스티렌이 60 중량%로 용해된 스티렌 용액을 1.80 kg/h, n-헥산에 1,3-부타디엔이 60 중량%로 용해된 1,3-부타디엔 용액을 14.2 kg/h, n-헥산 49.11 kg/h, n-헥산에 1,2-부타디엔이 2.0 중량%로 용해된 1,2-부타디엔 용액을 40 g/h, 극성첨가제로 n-헥산에 2,2-(디-2(테트라하이드로퓨릴)프로판이 10 중량%로 용해된 용액을 51.0 g/h, n-헥산에 n-부틸리튬이 10 중량%로 용해된 n-부틸리튬 용액을 59.0 g/h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이 때, 제1기 반응기의 온도는 50℃가 되도록 유지하였다.
이어서, 제2 반응기에 n-헥산에 1,3-부타디엔이 60 중량%로 용해된 1,3-부타디엔 용액을 0.74 kg/h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이때, 제2기 반응기의 온도는 65℃가 되도록 유지하였다.
상기 제2 반응기에서 제3 반응기로 중합물 이송하여, 변성제로 화합물 1a가 10 중량%로 용해된 용액을 61.4 g/h의 속도로 제 3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제3 반응기의 온도는 65℃가 되도록 유지하였다.
이 후, 제3 반응기에서 배출된 중합 용액에 산화방지제로 30 중량%로 용해된 IR1520(BASF社) 용액을 167 g/h의 속도로 주입하여 교반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중합물을 스팀으로 가열된 온수에 넣고 교반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양말단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a]
Figure 112019123744814-pat00009
.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변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1b의 화합물을 10.0중량%의 노말헥산 용액으로 하여 78.1 g/h의 속도로 주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b]
Figure 112019123744814-pat00010
.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변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1c의 화합물을 10.0중량%의 노말헥산 용액으로 하여 80.3 g/h의 속도로 주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c]
Figure 112019123744814-pat00011
.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변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1d의 화합물을 10.0중량%의 노말헥산 용액으로 하여 99.3 g/h의 속도로 주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d]
Figure 112019123744814-pat00012
.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변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1e의 화합물을 10.0중량%의 노말헥산 용액으로 하여 68.4 g/h의 속도로 주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e]
Figure 112019123744814-pat00013
.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변성제를 이용한 변성 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미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변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2a의 화합물을 10.0중량%의 노말헥산 용액으로 하여 23.5 g/h의 속도로 주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2a]
Figure 112019123744814-pat00014
.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변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2b의 화합물을 10.0중량%의 노말헥산 용액으로 하여 42.5 g/h의 속도로 주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2b]
Figure 112019123744814-pat00015
.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변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2c의 화합물을 10.0중량%의 노말헥산 용액으로 하여 74.6 g/h의 속도로 주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2c]
Figure 112019123744814-pat00016
.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변성제로서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학식 2d의 화합물을 10.0중량%의 노말헥산 용액으로 하여 88.0 g/h의 속도로 주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2d]
Figure 112019123744814-pat00017
.
실험예 1
상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대하여 각각 중량평균분자량(Mw), 수평균분자량(Mn), 분자량 분포(또는 다분산 지수(PDI)), 성분 분석 및 무늬 점도(MV)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성분분석
각 공중합체 내 스티렌 유래단위(SM) 및 비닐 함량은 NM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분자량 분석
각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 수평균분자량(Mn)은 40℃의 조건 하에서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컬럼(column)은 Polymer Laboratories 社의 PLgel Olexis 두 자루와 PLgel mixed-C 컬럼 한 자루를 조합하여 사용하였고, 새로 교체한 컬럼은 모두 mixed bed 타입의 컬럼을 사용하였다. 또한, 분자량 계산시 GPC 기준물질(sTandard material)로서 PS(polystyrene)을 사용하였다. 다분산지수(PDI)는 상기 방법으로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과 수평균분자량의 비(Mw/Mn)으로 계산하였다.
3) 무니점도 분석
각 공중합체의 무니점도는 MV-2000(Alpha Technologies 社)를 이용하여 각 시료 무게 15 g 이상 2개를 1분동안 예열한 후 100℃에서 4분 동안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변성제 1a 1b - 2a 2b 2c 2d
무니점도 (MV) 54 55 50 57 54 55 57
NMR 스티렌 함량
(중합체 총 중량 기준 중량%)
10 10 10 10 10 10 10
비닐 함량
(중합체 총 중량 기준 중량%)
38 38 38 38 38 38 38
GPC Mn (X 104g/mol) 312 308 310 310 317 290 320
Mw (X 104g/mol) 484 484 459 490 482 447 493
PDI (Mw/Mn) 1.55 1.57 1.48 1.58 1.52 1.60 1.54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각각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물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인장특성 및 점탄성 특성을 측정하였다.
1) 고무 조성물의 제조
각 고무 조성물은 제1단 혼련, 제2단 혼련 및 제3단 혼련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이때,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제외한 물질의 사용량은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제1단 혼련에서는 온도제어장치를 부속한 반바리믹서를 사용하여 80 rpm 조건으로 상기 각 공중합체 100 중량부, 실리카 70 중량부, 실란 커플링제로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11.02 중량부, 공정오일(process oil, TDAE) 33.75 중량부, 노화방지제(TMDQ) 2.0 중량부, 산화방지제 2.0 중량부, 산화아연(ZnO) 3.0 중량부, 스테아린산(stearic acid) 2.0 중량부 및 왁스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혼련하였다. 이때, 혼련기의 온도를 제어하고 140℃~150℃의 배출온도에서 1차 배합물을 얻었다. 제2단 혼련에서는 상기 1차 배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혼련기에 고무 촉진제(CZ) 1.75 중량부, 황분말 1.5 중량부, 가황촉진제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이하의 온도에서 믹싱하여 2차 배합물을 얻었다. 이 후 제3단 혼련에서 2차 배합물을 성형하고, 180℃에서 t90+10분 동안 가황프레스로 가황하여 각 가황고무를 제조하였다.
2) 인장특성
인장특성은 ASTM 412의 인장시험법에 준하여 각 시험편(두께 25 mm, 길이 80 mm)을 제조하고 상기 시험편의 절단시의 인장강도 및 300% 신장시의 인장응력(300%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장특성은 Universal Test Machin 4204(Instron 社)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50 cm/min의 속도로 측정하여 인장강도 및 300% 신장시의 인장응력 값(300% 모듈러스)을 얻었다. 각각의 물성값은 비교예 3의 수치를 100으로 기준하여 표 2에 기재하였으며, 그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함을 나타낸다.
3) 점탄성 특성
점탄성 특성은 동적 기계 분석기(TA 社)를 이용하여 비틀림 모드로 주파수 10 Hz, 각 측정온도(0℃~60℃)에서 변형을 변화시켜 tan δ를 측정하였다. 또한, 고온 60℃ tan δ가 낮을수록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적고, 저구름 저항성(연비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각각의 물성값은 비교예 3의 수치를 100으로 기준하여 표 2에 기재하였으며, 그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함을 나타낸다.
4) 가공성 특성
상기 1) 고무 시편 제조 시 얻어진 2차 배합물의 무니 점도(MV, (ML1+4, @100℃) MU)를 측정하여 각 중합체의 가공성 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때 무니점도 측정값이 낮은 것일수록 가공성 특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MV-2000(ALPHA Technologies 社)를 이용하여 100℃에서 Rotor Speed 2±0.02 rpm, Large Rotor를 사용하여, 각 2차 배합물은 실온(23±3℃)에서 30분 이상 방치한 후 27±3 g을 채취하여 다이 캐비티 내부에 채워 놓고 Platen을 작동시켜 4분 동안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인장강도 (Index) 103 101 95 99 100 100 97
300% 모듈러스 (Index) 105 101 94 96 100 99 98
tanδ @0℃ (Index) 101 102 90 101 100 102 99
tanδ @60℃ (Index) 111 115 81 91 100 112 109
가공성 특성
(무니 점도, MV)
56 53 67 53 55 75 81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변성제를 이용하여 변성된 실시예 1 내지 2의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점탄성이 우수하였다. 이는 실시예 1 내지 2에 적용된 변성제가 올리고머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효과로 해석된다. 또한,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가 도입된 비교예 4 및 5에 비해 점탄성은 유사하면서, 가공성은 개선되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
    [화학식 1]
    Figure 112019123744814-pat00018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며;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인 것인 변성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인 것인 변성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4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5 내지 R8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인 것인 변성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 내지 1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인 변성제:
    [화학식 1a]
    Figure 112019123744814-pat00019

    [화학식 1b]
    Figure 112019123744814-pat00020

    [화학식 1c]
    Figure 112019123744814-pat00021

    [화학식 1d]
    Figure 112019123744814-pat00022

    [화학식 1e]
    Figure 112019123744814-pat00023
    .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유래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19123744814-pat0002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며;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는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액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8. 제6항에 있어서,
    수평균분자량이 50,000g/mol 내지 2,000,000g/mol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g/mol 내지 4,000,000g/mol이며, 분자량 분포가 1.1 내지 3.0인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9. 제6항에 있어서,
    100℃에서의 무니점도가 40 내지 140인 것인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10. 1) 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유기 알칼리금속 화합물 존재 하 공액디엔계 단량체, 또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적어도 일 말단에 알칼리금속이 결합된 활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활성 중합체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변성제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9123744814-pat0002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며;
    n은 2 내지 4의 정수이다.
KR1020190157389A 2019-11-29 2019-11-29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536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89A KR102536519B1 (ko) 2019-11-29 2019-11-29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JP2021565938A JP7195457B2 (ja) 2019-11-29 2020-11-04 変性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
PCT/KR2020/015276 WO2021107434A1 (ko) 2019-11-29 2020-11-04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EP20891702.1A EP3971238B1 (en) 2019-11-29 2020-11-04 Modifying agent and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 prepared by using the same
US17/620,985 US20220372191A1 (en) 2019-11-29 2020-11-04 Modifying Agent and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 Prepared by Using the Same
BR112022000327A BR112022000327A2 (pt) 2019-11-29 2020-11-04 Agente modificador e polímero de dieno conjugado modificado preparado usando o mesmo
CN202080045653.5A CN114008087B (zh) 2019-11-29 2020-11-04 改性剂和使用该改性剂制备的改性共轭二烯聚合物
TW109139295A TW202128723A (zh) 2019-11-29 2020-11-11 改質劑及使用彼製得之改質的共軛二烯聚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89A KR102536519B1 (ko) 2019-11-29 2019-11-29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96A KR20210067596A (ko) 2021-06-08
KR102536519B1 true KR102536519B1 (ko) 2023-05-26

Family

ID=7613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389A KR102536519B1 (ko) 2019-11-29 2019-11-29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72191A1 (ko)
EP (1) EP3971238B1 (ko)
JP (1) JP7195457B2 (ko)
KR (1) KR102536519B1 (ko)
CN (1) CN114008087B (ko)
BR (1) BR112022000327A2 (ko)
TW (1) TW202128723A (ko)
WO (1) WO2021107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4034B2 (ja) * 2019-11-29 2023-07-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JP2023174392A (ja) * 2022-05-27 2023-12-0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8376A (ja) * 2002-04-12 2008-09-11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6588C (ko) 1980-09-20
US9623705B2 (en) * 2008-03-10 2017-04-18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copolymer, modified conjugated diene polymer/copolymer, and rubber composition and tire using the same
JP5595699B2 (ja) * 2009-09-09 2014-09-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変性剤、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RU2543874C2 (ru) * 2009-09-09 2015-03-10 Бриджстоун Корпорейшн Модификатор,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го полимера сопряженного диена при использовании модификатора и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й полимер сопряженного диена
JP5961382B2 (ja) * 2012-01-10 2016-08-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用ゴム組成物、タイヤ用加硫ゴム組成物及びそれらを用いたタイヤ
US10414841B2 (en) * 2015-10-08 2019-09-17 Lg Chem, Ltd.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rubber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102010458B1 (ko) * 2015-12-28 2019-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제,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037842B1 (ko) * 2016-03-14 2019-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3급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알콕시실란계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4521B1 (ko) * 2016-04-25 2019-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88641A2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9923B1 (ko) * 2016-08-12 2020-04-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617158B1 (ko) * 2017-12-05 2023-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167122B1 (ko) * 2017-12-05 2020-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TWI778261B (zh) * 2018-05-08 2022-09-2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改質之共軛二烯系聚合物及含彼之橡膠組成物
JP7314034B2 (ja) * 2019-11-29 2023-07-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JP2021085025A (ja) * 2019-11-29 2021-06-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JP7364442B2 (ja) * 2019-11-29 2023-10-1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8376A (ja) * 2002-04-12 2008-09-11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434A1 (ko) 2021-06-03
JP7195457B2 (ja) 2022-12-23
KR20210067596A (ko) 2021-06-08
JP2022532086A (ja) 2022-07-13
EP3971238A4 (en) 2022-12-21
BR112022000327A2 (pt) 2022-06-21
EP3971238A1 (en) 2022-03-23
EP3971238B1 (en) 2023-09-20
US20220372191A1 (en) 2022-11-24
CN114008087A (zh) 2022-02-01
TW202128723A (zh) 2021-08-01
CN114008087B (zh)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521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3473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변성제
KR101923160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변성제
KR101943408B1 (ko) 유기 리튬 화합물,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제조 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046930B1 (ko)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072088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4811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5353B1 (ko) 고분자 화합물,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CN108026187B (zh) 氮杂硅烷类改性剂和使用该改性剂的改性共轭二烯类聚合物的制备方法
KR102117620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6519B1 (ko)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010458B1 (ko) 변성제,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070382B1 (ko) 아민 화합물, 이로부터 유래된 작용기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37842B1 (ko) 3급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알콕시실란계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24139B1 (ko) 변성제,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059670B1 (ko) 변성제,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008415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6026B1 (ko) 변성 단량체, 이를 포함하는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9105A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8570B1 (ko) 변성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102384180B1 (ko) 공액디엔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5117B1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9840B1 (ko) 변성제, 이를 이용한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KR20220057875A (ko) 술포닐플루오라이드기 함유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2580A (ko)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