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100B1 -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 Google Patents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100B1
KR102536100B1 KR1020220140914A KR20220140914A KR102536100B1 KR 102536100 B1 KR102536100 B1 KR 102536100B1 KR 1020220140914 A KR1020220140914 A KR 1020220140914A KR 20220140914 A KR20220140914 A KR 20220140914A KR 102536100 B1 KR102536100 B1 KR 10253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body frame
prefabricated
housing structure
prefabricat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석
Original Assignee
이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석 filed Critical 이승석
Priority to KR102022014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07Pretreatment of wood before impregnation
    • B27K3/021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53Resistance heating, e.g. us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as an electrical re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6Wood, e.g. lumber, ti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해체 시 하우징 패키지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 시공과 이전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항상 균일한 품질로 조립될 수 있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가 개재된 상하로 적층된 목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건조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구조체로서, 상기 하우징구조체는 상기 발열체가 개재된 상태로 상하로 적층된 건조될 목재가 올려놓아지는 단열 바닥판과, 상기 목재와 발열체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단열 바닥판 상부면 코너부에 결합되는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립식 루프 프레임 및,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에 결합되어 건조 챔버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HOUSING STRUCTURE FOR WOOD DRYING DEVICE}
본 발명은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제품이 건조되면서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벌목한 목재를 제품을 만드는데 이용하기 전에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킬 수 있는 목재 건조장치에 사용되는 하우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는 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목재를 충분히 건조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게 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재가 건조되면서 제품의 변형이 발생되기 때문에 목재는 제품을 만드는데 이용하기 전에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키는 건조 과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목재의 건조방법으로는 자연건조와 가열건조방법이 있으며, 자연건조방법은 건조장에 목재를 쌓아두고 대기의 온도, 습도 바람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시설비가 적게 들고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건조 소요시간이 길고 넓은 건조장이 필요하며 기건 함수율 이하로는 건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열건조방법은 건조 챔버의 온도, 습도와 풍속 등의 건조 조건을 인공적으로 조절하여 건조하는 방법으로 건조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기건 함수율 이하로 건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가열건조방법에 이용되는 장치는 전기히터를 직접 건조 챔버 내에 설치하여 내부공기를 가열하는 장치, 연소장치로부터 열을 얻는 열풍기를 통하여 가열한 공기를 건조 챔버 내로 주입하는 장치, 연소장치에서 열매체를 가열한 후에 이를 건조 챔버 내로 주입하여 건조 챔버 내의 공기를 간접 가열하는 장치, 과열증기를 건조 챔버 내로 주입하는 장치, 진공 챔버 내의 목재를 고주파로 열을 내어 건조하는 고주파 진공 건조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열건조방법은 장치의 구입 및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건조 챔버가 진공으로 유지되면서 대전력 고주파가 발생되어야 함으로써 고주파 진공 건조장치의 운영비용이 부담됨은 물론 누전 및 화재 등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고, 고주파 발생기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효율이 낮아 과도한 운영비용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하기 위한 목재 건조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22351호(등록일자 2019년 12월 27일)에서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이동 가능한 목재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을 개시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면상발열체를 발열수단으로 이용하는 목재 건조장치는 목재가 내부에서부터 건조되므로 표면이 갈라지는 표면할열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저렴한 장비 구입 및 설치비용과 더불어 높은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고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면상발열체를 발열수단으로 이용하는 목재 건조장치는 면상발열체에 온도가 균일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면상발열체 일부에 국부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화재 발생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며, 면상발열체와 목재가 연속적으로 접촉되는 구조이므로 목재로부터 배출되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목재 건조장치의 경우에는 분해 및 조립이 불가능한 단순한 사각박스 형태로 건조 챔버가 제작되어 부피가 매우 큼으로써 목재 건조장치를 필요한 공간에 설치하거나 이전 설치할 경우 건조 챔버를 들어서 운반할 수 있는 지게차와 지게차에 의해 옮겨진 건조 챔버를 설치 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대형 차량이 반드시 필요하게 됨으로써 과도한 설치 및 운반비용이 소요되며 이전설치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97995호(2022.05.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2351호(2019.12.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0031호(2014.08.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4472호(2014.08.20.)
본 발명의 목적은 해체 시 하우징 패키지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 시공과 이전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항상 균일한 품질로 조립될 수 있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목재 전체에 고르게 열을 전달하여 목재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발열케이블로부터 요철금속판으로의 열전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가 개재된 상하로 적층된 목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건조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구조체로서, 상기 하우징구조체는 상기 발열체가 개재된 상태로 상하로 적층된 건조될 목재가 올려놓아지는 단열 바닥판과, 상기 목재와 발열체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단열 바닥판 상부면 코너부에 결합되는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립식 루프 프레임 및,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에 결합되어 건조 챔버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 바닥판은 내열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를 들면,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은 상기 단열 바닥판 상부면 코너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세로 지지대와, 상기 제1 세로 지지대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소켓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연결소켓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가로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은 전후방에 위치한 제1 가로 지지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경우 복수개로 분할된 제1 가로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1 가로 지지대를 원하는 길이만큼 연결하여 연장시키는 제2 연결소켓과, 상기 제1 세로 지지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경우 복수개로 분할된 제1 세로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1 세로 지지대를 원하는 길이만큼 연결하여 연장시키는 제3 연결소켓과,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 양측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3 연결소켓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보조 가로 지지대 및, 상기 보조 가로 지지대에 설치되어 컨트롤 박스와 발열체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가 설치되는 고정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은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상단부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제1 가로 지지대에 연결되는 제4 연결소켓과, 상기 제4 연결소켓에 연결되는 제2 세로 지지대와, 상기 제2 세로 지지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5 연결소켓과, 상기 제5 연결소켓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제2 가로 지지대 및, 상기 제5 연결소켓과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제1 연결소켓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사선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은 상기 제2 가로 지지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경우 복수개로 분할된 제2 가로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2 가로 지지대를 원하는 길이만큼 연결하여 연장시킬 수 있는 제6 연결소켓 및, 상기 제6 연결소켓과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제1 가로 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 연결소켓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어 조립식 루프 프레임을 보강하는 보조사선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은 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이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에 전달되거나 외부의 차가운 공기에 의해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이 냉각됨으로써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부 표면이 단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를 들면,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에 결합되는 루프 밀폐부와, 상기 루프 밀폐부의 양측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조립식 본체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양측을 밀폐시키는 한 쌍의 측면 밀폐부와, 상기 루프 밀폐부의 후방부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본체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후방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밀폐부와는 분리 결합 가능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후면 밀폐부 및, 상기 루프 밀폐부의 전방부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조립식 본체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전방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밀폐부와는 분리 결합 가능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전면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전면 밀폐부에 형성되어 건조 챔버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발열체에 의해 목재가 가열됨에 따라 배출되는 습기가 밀폐부재 내측면에 응결되어 밀폐부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건조 챔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밀폐부재의 내측면 하단부에 마련되는 물 배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는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를 들면, 상기 발열체는 상하로 적층된 목재 사이에 개재되며 산부와 골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금속판과,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열을 하는 발열케이블 및, 상기 요철금속판의 산부와 골부 사이에서 요철금속판에 밀착 결합되어 요철금속판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상기 발열케이블이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발열케이블로부터 발생한 열을 상기 요철금속판으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열전달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는 복수개의 연결소켓을 이용한 슬라이딩 체결작업으로 하우징의 뼈대를 형성하는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방수포 등과 같은 방수재질로 형성된 밀폐부재를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에 결합시키게 되면 건조 챔버를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은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밀폐부재의 경우에는 접거나 말아서 보관 및 운송할 수 있으며,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가로 지지대와 세로 지지대 및 연결소켓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 패키지의 부피를 대폭 줄여 배송 및 이전설치 작업도 매우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는 공장에서 완제품 상태로 제작하여 판매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현장 시공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항상 균일한 품질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의 절단 작업이나 용접 작업 등을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볼팅 작업까지도 최소화하여 하우징의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최소한의 작업인원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작업 및 시공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켜 안전사고의 발생비율까지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 설치까지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는 열손실을 최소화시켜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목재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함으로써 목재 전체를 균일한 열 환경 조건에서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 시 목재가 갈라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자연 건조과정 없이 목재를 바로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목재 건조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발열체의 사용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목재 건조를 위한 목재 적층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열체의 사시도
도 3은 상하로 적층된 서로 이웃하는 목재 사이에 발열체가 개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발열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루프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하우징 내부에 목재와 발열체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물 배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열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하로 적층된 서로 이웃하는 목재 사이에 발열체가 개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발열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5는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루프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하우징 내부에 목재와 발열체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물 배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100)는 발열체(110) 및,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110)는 상하로 적층된 서로 이웃하는 목재(W)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웃하는 목재(W)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면서 발열을 하여 서로 이웃하는 목재(W)에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통한 열전달과 전도를 통한 직접적인 열전달을 통해 균등한 열을 전달하여 목재(W)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하로 적층된 서로 이웃하는 목재(W)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열체(110)는 요철금속판(111), 발열케이블(112) 및, 열전달 파이프(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금속판(111)은 다수의 산부와 골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철금속판(111)은 강성이 높으면서 열전도효율도 양호한 철강, 구리,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요철금속판(111)은 상하로 적층된 목재(W)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상하로 적층된 목재(W)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철금속판(111)이 상하로 적층된 목재(W)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상하로 적층된 목재(W) 사이에는 상기 요철금속판(111)의 산부와 골부에 의해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케이블(112)에 전원이 인가되어 열이 발생되어 목재(W)로부터 습기가 발생되면 상기 목재(W)로부터 발생되는 습기가 산부 또는 골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발열케이블(11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목재(W)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하로 적층된 서로 이웃하는 목재(W)와 접촉되는 상기 요철금속판(111)의 산부의 상부와 골부의 하부는 상기 목재(W)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목재(W)와 밀착 접촉되어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요철금속판(111)의 산부와 골부는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케이블(112)은 상기 요철금속판(111)의 산부와 골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간부(S)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목재(W)에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통한 열전달과 상기 요철금속판(111)으로의 전도를 통한 직접적인 열전달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목재(W) 전체에 균등한 열을 전달하여 목재(W)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발열케이블(112)로는 크롬도금 선 외부를 스테인리스 선으로 감싼 형태의 발열케이블(112)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케이블(112)의 양측 끝단부는 전원과 연결된다.
상기 열전달 파이프(113)는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요철금속판(111)에 간극발생 없이 밀착된 후 복수개의 고정수단(113a)을 통해 상기 요철금속판(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전달 파이프(113)는 상기 요철금속판(111)의 공간부(S)에 배치된 발열케이블(112)이 차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케이블(113)은 상기 요철금속판(111)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간극발생 없이 밀착 고정된 복수개의 열전달 파이프(112)에 차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전달 파이프(113)는 상기 요철금속판(111)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배치되고 고정됨으로써 상기 요철금속판(111)의 강도를 대폭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열케이블(112)의 경우에는 상기 열전달 파이프(113)에 차례로 삽입됨으로써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목재(W)와 목재(W)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S)에 발열케이블(112)이 노출되지 않도록 발열케이블(112)을 보호하게 됨으로써 목재 건조(W)를 위한 목재(W) 적층 시나 건조가 완료된 적층된 목재(W)의 해체 시 발열케이블(112)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발열케이블(112)의 사용수명을 대폭 연장시킴은 물론, 목재(W) 적층이나 적층된 목재(W)의 해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재 건조작업 시 작업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열전달 파이프(113)는 요철금속판(111)에 간극발생 없이 밀착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삽입된 발열케이블(112)로부터 요철금속판(111)으로의 열전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요철금속판(111)에 열전달 파이프(113)를 설치하지 않고 발열케이블(112) 자체만을 복수개의 고정부재(113a)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자유롭게 휘어지는 발열케이블(112)의 특성 상, 발열케이블(112)의 자중에 의해서도 발열케이블(112)이 처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발열케이블(112)과 요철금속판(111)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발열케이블(112)로부터 요철금속판(111)으로의 열전도 효율이 대폭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목재(W)의 건조를 위해 상하 방향으로 발열체(110)와 목재(W)를 교호적으로 적층할 시 목재(W)와 발열케이블(112)과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여 발열케이블(112)이 잡아당겨져지게 되면 요철금속판(111)과 발열케이블(112)과의 사이에 간극이 더 크게 발생하게 됨으로써 열전도 효율이 더욱 저하되며, 이에 따라 목재(W) 적층 시 작업성 또한 대폭 저하되어 목재 적층에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요철금속판(111)에 간극발생 없이 밀착 결합된 복수개의 열전달 파이프(113)에 발열케이블(112)이 차례로 삽입됨으로써 발열케이블(112)로부터 요철금속판(111)으로의 열전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재(W) 건조를 위해 상하 방향으로 발열체(110)와 목재(W)를 교호적으로 적층할 시에도 목재(W)와 발열케이블(112)과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목재(W) 적층 시 발생되는 목재(W)와 발열케이블(112) 사이의 간섭발생으로 인한 애로사항을 해소함으로써 목재(W) 건조를 위한 목재 적층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발열케이블(112)이 복수개의 열전달 파이프(113)에 차례로 삽입됨으로써 목재(W) 건조 시 발열케이블(112)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열전달 파이프(113)는 상기 발열케이블(112)에 의해 건조되어 목재(W)로부터 배출되는 습기와, 상기 습기가 응결된 물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체(110)는 온도 감지센서(114) 및 제어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센서(114)는 상기 발열케이블(112)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요철금속판(111)의 발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온도 감지센서(114)에 의해 감지된 요철금속판(111)의 발열 온도를 기 세팅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발열케이블(112)에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온도 감지센서(114)에 의해 감지된 요철금속판(111)의 발열 온도가 기 세팅된 기준 온도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요철금속판(111)의 발열 온도가 낮아지도록 상기 발열케이블(112)에 전원을 차단하여 발열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온도 감지센서(114)에 의해 감지된 요철금속판(111)의 발열 온도가 기 세팅된 기준 온도 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상기 발열케이블(112)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 온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발열케이블(112)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발열체(110)는 상기 온도 감지센서(114)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로 전달된 요철금속판(111)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는 상기 제어부(115)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상하로 적층된 목재(W)와 상기 서로 이웃하는 목재(W)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110)를 내부에 수용하는 건조 챔버(C)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하우징(120)은 상기 발열체(110)의 발열케이블(112)이 작동되어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건조 챔버(C) 내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목재(W)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물로 응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0)은 용접작업이나 절단작업 없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며 해체되었을 시 부피를 최소화시켜 보관과 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전설치가 용이하도록 조립식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20)은 단열 바닥판(121),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 및, 밀폐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바닥판(121)은 베이스 프레임(F)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 바닥판(121)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발열체(110)가 개재된 상하로 적층된 건조될 목재(W)가 올려놓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 바닥판(121)은 내열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은 상기 목재(W)와 발열체(11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단열 바닥판(121) 상부면 코너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은 상기 목재(W)와 발열체(11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단열 바닥판(121) 상부면 코너부에 복수개의 제1 세로 지지대(1221)가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세로 지지대(1221)의 상단부에는 제1 연결소켓(1222)을 통해 제1 가로 지지대(1223)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고 하더라도, 제1 연결소켓(1222)에 제1 세로 지지대(1221)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연결소켓(1222)과 제1 세로 지지대(1221)의 상호 유동을 방지하도록 제1 연결소켓(1222)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제1 세로 지지대(1221)를 가압하는 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연결소켓과 지지대의 결합에도 동일한 고정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은 제2 연결소켓(1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소켓(1224)은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전후방에 위치한 제1 가로 지지대(1223)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분할된 상기 제1 가로 지지대(1223)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1 가로 지지대(1223)를 원하는 길이만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여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은 제3 연결소켓(1225)과 보조 가로 지지대(1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소켓(1225)은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제1 세로 지지대(1221)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분할된 상기 제1 세로 지지대(1221)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1 세로 지지대(1221)를 원하는 길이만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여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가로 지지대(1226)는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 양측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3 연결소켓(1225)에 양측 끝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가로 지지대(1226)에는 제어부(115)가 마련되어 있는 컨트롤 박스(B)와 발열체(110)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P)가 설치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고정패널(122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은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은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상단부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제1 가로 지지대(1223)에 제2 세로 지지대(1231)가 제4 연결소켓(1232)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세로 지지대(1231)의 상단부에는 제5 연결소켓(1233)을 통해 제2 가로 지지대(1234)의 양측 끝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5 연결소켓(1233)과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제1 연결소켓(1222)에는 사선 지지대(1235)의 양측 끝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은 제6 연결소켓(1236)과 보조사선 지지대(1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연결소켓(1236)은 상기 제2 가로 지지대(1234)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분할된 상기 제2 가로 지지대(1234)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2 가로 지지대(1234)를 원하는 길이만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여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사선 지지대(1237)는 복수개로 분할된 제1 가로 지지대(1223)를 연결하는 제2 연결소켓(1224)과 복수개로 분할된 제2 가로 지지대(1234)를 연결하는 제6 연결소켓(1236)에 양측 끝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을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열체(110)로부터 발생된 열이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에 전달되거나 외부의 차가운 공기에 의해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이 냉각됨으로써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재를 이용하여 이 외부 표면을 단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부재(124)는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을 둘러싸도록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에 결합되어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 챔버(C)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밀폐부재(124)는 방수포 등과 같은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밀폐부재(124)는 루프 밀폐부(1241), 측면 밀폐부(1242), 후면 밀폐부(1243) 및, 전면 밀폐부(12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 밀폐부(1241)는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을 둘러싸도록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밀폐부(1242)는 상기 루프 밀폐부(1241)의 양측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양측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면 밀폐부(1243)는 상기 루프 밀폐부(1241)의 후방부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후방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밀폐부(1242)와는 분리 결합 가능한 결합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후면 밀폐부(1243)는 상기 한 쌍의 측면 밀폐부(1242)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밸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밀폐부(1244)는 상기 루프 밀폐부(1241)의 전방부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전방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밀폐부(1242)와는 분리 결합 가능한 결합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면 밀폐부(1244) 또한 상기 후면 밀폐부(1243)와 마찬가지로 상기 한 쌍의 측면 밀폐부(1242)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밀폐부(1244)에는 건조 챔버(C) 내부에 배치되어 건조되는 목재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투명창(1244a)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124)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루프 밀폐부(124)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목재(W)를 건조 챔버(C) 내에 투입하거나 건조 완료된 목재(W)를 건조 챔버(C)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해 루프 밀폐부(1241) 측으로 말아 올려진 전면 밀폐부(1244)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재로는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밀폐부재(124)는 물 배출수단(12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수단(1245)은 상기 밀폐부재(124)의 내측면 하단부에 마련되어 발열체(110)에 의해 목재(W)가 가열됨에 따라 배출되는 습기가 밀폐부재(124) 내측면에 응결되어 밀폐부재(124)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건조 챔버(C)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물 배출수단(1245)은 포켓 형성부재(1245a) 및, 배출 홀(124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켓 형성부재(1245a)는 상기 밀폐부재(124)의 내부면 하단부에 포켓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밀폐부재(124)의 내부면 하단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밀폐부재(124)의 내부면에 응결되어 흘러내리는 물이 포켓에 쌓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 홀(1245b)은 포켓 형성부재(1245a) 하부 측에 배치되도록 밀폐부재(124)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밀폐부재(124)의 내부면을 따라 물이 포켓 형성부재(1245a) 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면 상기 배출 홀(1245b)을 통해 물이 밀폐부재(124) 외부, 즉 건조 챔버(C)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하우징을 설치하는 과정과 목재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목재를 건조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100)의 하우징(12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프레임(F) 상부에 단열 바닥판(121)을 설치한 후, 상기 단열 바닥판의(121) 상부에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을 설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F) 상부에 설치된 단열 바닥판(121)의 상부면 각각의 코너부에 제1 세로 지지대(1221)를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 세로 지지대(1221)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필요한 길이만큼 제3 연결소켓(1225)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세로 지지대(1221)의 상단부에는 제1 연결소켓(1222)을 통해 제1 가로 지지대(1223)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전후방에 위치한 제1 가로 지지대(1223)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제1 가로 지지대(1223)는 제2 연결소켓(1224)에 의해 원하는 길이만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 양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이웃하는 제3 연결소켓(1225)에는 보조 가로 지지대(1226)의 양측 끝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가로 지지대(1226)에는 제어부(115)가 포함된 컨트롤박스(B)와 전원연결부(P)가 설치되는 고정패널(1227)이 설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상부에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을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시켜 설치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상단부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제1 가로 지지대(1223)에 제2 세로 지지대(1231)를 제4 연결소켓(1232)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세로 지지대(1231)의 상단부에는 제5 연결소켓(1233)을 통해 제2 가로 지지대(1234)의 양측 끝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가로 지지대(1234)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필요한 길이만큼 제6 연결소켓(1236)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연결소켓(1233)과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의 제1 연결소켓(1222)에는 사선 지지대(1235)의 양측 끝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복수개로 분할된 제1 가로 지지대(1223)를 연결하는 제2 연결소켓(1224)과 복수개로 분할된 상기 제2 가로 지지대(1234)를 연결시키는 제6 연결소켓(1236)에 보조사선 지지대(1237)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을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을 둘러싸도록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에 밀폐부재(124)를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12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100)의 하우징(120)은 용접작업이 전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제1 세로 지지대(1221)의 설치 시를 제외하고는 복수개의 연결소켓을 이용한 슬라이딩 체결작업으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하우징(120)을 설치하여 건조 챔버(C)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하우징(120)을 설치하여 건조 챔버(C)를 형성한 목재 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목재를(W) 건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밀폐부재(124)의 전면 밀폐부(1244)를 말아 올려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 밀폐부(1244)를 루프 밀폐부(1241)의 하단부에 고정시킴으로써 건조 챔버(C)의 전면부를 개방시켜 출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20)에 의해 형성된 건조 챔버(C)의 전면부를 개방시켜 출입구를 형성한 다음에는, 상기 출입구를 통해 하우징(120)에 의해 형성된 건조 챔버(C) 내부로 목재(W)와 발열체(110)를 이동시켜 단열 바닥판(121) 상부에 적층시킨다.
여기서, 건조 챔버(C) 내부의 단열 바닥판(121)에는 상하로 적층된 서로 이웃하는 목재(W)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발열체(110)를 개재시키면서 다수개의 목재(W)를 상하로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단열 바닥판(121)에 다수개의 목재(W)와 발열체(110)를 적층시킨 다음에는, 루프 밀폐부(1241) 측으로 말아 올려져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전면 밀폐부(1244)의 고정을 해제시켜 전면 밀폐부(1244)를 펼친 후, 전면 밀폐부(1244)의 양측을 한 쌍의 측면 밀폐부(1242)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건조 챔버(C)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후, 발열체(110)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케이블(112)을 발열시키게 되면, 상기 발열케이블(112)로부터 발생된 열이 열전달 파이프(113)로 전달되며, 열전달 파이프(113)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상하로 적층된 서로 이웃하는 목재(W) 사이에 개재된 요철금속판(111)의 다수의 산부와 골부에 의해 형성된 목재(W) 사이의 공간부(S)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목재(W)의 상, 하부면에 골고루 전달된다.
또한, 발열케이블(112)과 열전달 파이프(113) 및, 요철금속판(111)에 의해서 발생되는 복사열에 의해서도 목재(W)의 건조가 촉진됨으로써 목재(W)의 건조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열케이블(112)에 전원이 인가되어 목재(W)에 열이 가해지면서 상기 목재(W)로부터 습기가 배출되면 건조 챔버(C) 내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밀폐부재(124) 내부면에 응결된다.
상기 밀폐부재(124) 내부면에 응결된 습기는 밀폐부재(124)를 따라 흘러 내려 밀폐부재(124) 내측면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물 배출수단(1245)의 포켓 형성부재(1245a)에 모아지며, 배출 홀(1245b)을 통해 밀폐부재(124) 외부로 물이 배출된다.
이때, 온도 감지센서(114)는 상하로 적층된 서로 이웃하는 목재(W) 사이에 개재된 각각의 발열체(110)의 요철금속판(111)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5)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115)는 요철금속판(111)의 발열 온도를 기 세팅된 기준 온도와 비교를 하여 상기 요철금속판(111)의 발열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발열케이블(11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요철금속판(111)의 발열 온도가 기준 온도 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상기 발열케이블(112)로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건조 챔버(C)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는 복수개의 연결소켓을 이용한 슬라이딩 체결작업으로 하우징의 뼈대를 형성하는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을 둘러싸도록 방수포 등과 같은 방수재질로 형성된 밀폐부재(124)를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에 결합시키게 되면 건조 챔버(C)를 매우 손쉽고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우징(120)은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밀폐부재(124)의 경우에는 접거나 말아서 보관 및 운송할 수 있으며, 조립식 본체 프레임(122)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123)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가로 지지대와 세로 지지대 및 연결소켓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 패키지의 부피를 대폭 줄여 배송 및 이전설치 작업도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100)는 공장에서 완제품 상태로 제작하여 판매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현장 시공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항상 균일한 품질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현장에서의 절단 작업이나 용접 작업 등을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볼팅 작업까지도 최소화하여 하우징의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최소한의 작업인원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작업 및 시공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켜 안전사고의 발생비율까지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 설치까지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발열수단 (111) : 요철금속판
(112) : 발열케이블 (113) : 열전달 파이프
(114) : 온도 감지센서 (115) : 제어부
(120) : 하우징 (121) : 단열 바닥판
(122) : 조립식 본체 프레임 (123) : 조립식 루프 프레임
(124) : 밀폐부재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가 개재된 상하로 적층된 목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건조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구조체로서,
    상기 하우징구조체는,
    상기 발열체가 개재된 상태로 상하로 적층된 건조될 목재가 올려놓아지는 단열 바닥판;
    상기 목재와 발열체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단열 바닥판 상부면 코너부에 결합되는 조립식 본체 프레임;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립식 루프 프레임; 및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에 결합되어 건조 챔버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체는, 상하로 적층된 목재 사이에 개재되며 산부와 골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요철금속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열을 하는 발열케이블; 및 상기 요철금속판의 산부와 골부 사이에서 요철금속판에 밀착 결합되어 요철금속판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상기 발열케이블이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발열케이블로부터 발생한 열을 상기 요철금속판으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열전달 파이프를 포함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바닥판은 내열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은,
    상기 단열 바닥판 상부면 코너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 세로 지지대;
    상기 제1 세로 지지대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소켓;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연결소켓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가로 지지대를 포함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은,
    전후방에 위치한 제1 가로 지지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경우 복수개로 분할된 제1 가로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1 가로 지지대를 원하는 길이만큼 연결하여 연장시키는 제2 연결소켓;
    상기 제1 세로 지지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경우 복수개로 분할된 제1 세로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1 세로 지지대를 원하는 길이만큼 연결하여 연장시키는 제3 연결소켓;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 양측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3 연결소켓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보조 가로 지지대; 및
    상기 보조 가로 지지대에 설치되어 컨트롤 박스와 발열체와 연결되는 전원연결부가 설치되는 고정패널을 더 포함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은,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상단부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제1 가로 지지대에 연결되는 제4 연결소켓;
    상기 제4 연결소켓에 연결되는 제2 세로 지지대;
    상기 제2 세로 지지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5 연결소켓;
    상기 제5 연결소켓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제2 가로 지지대; 및
    상기 제5 연결소켓과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제1 연결소켓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사선 지지대를 포함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은,
    상기 제2 가로 지지대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경우 복수개로 분할된 제2 가로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2 가로 지지대를 원하는 길이만큼 연결하여 연장시킬 수 있는 제6 연결소켓; 및
    상기 제6 연결소켓과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제1 가로 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 연결소켓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어 조립식 루프 프레임을 보강하는 보조사선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은 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이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에 전달되거나 외부의 차가운 공기에 의해 조립식 본체 프레임과 조립식 루프 프레임이 냉각됨으로써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부 표면을 단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을 둘러싸도록 상기 조립식 루프 프레임에 결합되는 루프 밀폐부;
    상기 루프 밀폐부의 양측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조립식 본체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양측을 밀폐시키는 한 쌍의 측면 밀폐부;
    상기 루프 밀폐부의 후방부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본체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후방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밀폐부와는 분리 결합 가능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후면 밀폐부; 및
    상기 루프 밀폐부의 전방부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조립식 본체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조립식 본체 프레임의 전방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밀폐부와는 분리 결합 가능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전면 밀폐부를 포함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전면 밀폐부에 형성되어 건조 챔버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발열체에 의해 목재가 가열됨에 따라 배출되는 습기가 밀폐부재 내측면에 응결되어 밀폐부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건조 챔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밀폐부재의 내측면 하단부에 마련되는 물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11. 삭제
KR1020220140914A 2022-10-28 2022-10-28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KR10253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914A KR102536100B1 (ko) 2022-10-28 2022-10-28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914A KR102536100B1 (ko) 2022-10-28 2022-10-28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100B1 true KR102536100B1 (ko) 2023-05-30

Family

ID=8652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914A KR102536100B1 (ko) 2022-10-28 2022-10-28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10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614A (en) * 1994-10-12 1996-06-18 Huang; Chun-Chi Connector structure of assembled house truss
KR101430031B1 (ko) 2012-11-12 2014-08-18 문중묵 목재 진공 건조 방법 및 장치
KR101434472B1 (ko) 2012-05-10 2014-08-27 문중묵 과열증기를 이용한 침엽수 목재 건조 방법 및 장치와 이에 의해 건조된 한옥용 목재
KR20150010363A (ko) * 2013-07-19 2015-01-28 김용만 자연건조식 감덕장 장치
KR102062351B1 (ko) 2018-03-12 2020-02-11 이승석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이동가능한 목재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210077605A (ko) * 2019-12-17 2021-06-25 이호영 요철 금속판 및 이를 이용한 바닥난방 시스템
KR102397995B1 (ko) 2021-08-11 2022-05-16 이승석 목재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614A (en) * 1994-10-12 1996-06-18 Huang; Chun-Chi Connector structure of assembled house truss
KR101434472B1 (ko) 2012-05-10 2014-08-27 문중묵 과열증기를 이용한 침엽수 목재 건조 방법 및 장치와 이에 의해 건조된 한옥용 목재
KR101430031B1 (ko) 2012-11-12 2014-08-18 문중묵 목재 진공 건조 방법 및 장치
KR20150010363A (ko) * 2013-07-19 2015-01-28 김용만 자연건조식 감덕장 장치
KR102062351B1 (ko) 2018-03-12 2020-02-11 이승석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이동가능한 목재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210077605A (ko) * 2019-12-17 2021-06-25 이호영 요철 금속판 및 이를 이용한 바닥난방 시스템
KR102397995B1 (ko) 2021-08-11 2022-05-16 이승석 목재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418B1 (ko) 단열성이 보강된 컨테이너 하우스
US8991111B1 (en) Multi-vent for building roofs or walls
KR102536098B1 (ko) 목재 건조장치용 발열체 및 이를 이용한 목재 건조장치
US20090001185A1 (en) Structural wall panel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interior climates
KR102397995B1 (ko) 목재 건조장치
US20130034821A1 (en) Conveyor Oven
CN108252486A (zh) 模块式地板加热组件
JPS599815B2 (ja) 太陽熱受熱屋根
KR102536100B1 (ko) 목재 건조장치용 하우징 구조체
NL2025795B1 (en) Cooling System for High-Temperature Transportation Pipeline in Frozen Soil Region
CN206430462U (zh) 一种节能环保木材烘干窑
CZ9903593A3 (cs) Otopné těleso
JPH10227495A (ja) 天井輻射冷暖房パネル
CA2375641C (en) Assembly and method of radiant/structural floor system
US4280656A (en) Chimney heat economizer
CN206094285U (zh) 电暖器
CN216550546U (zh) 一种适用于不锈钢表面硬化处理的热处理设备
CN111043765B (zh) 装配式外保温箱
KR20230155070A (ko) 목재 건조장치
CN215936271U (zh) 一种易拆装移动空气能烟草烘烤设备
CN213741551U (zh) 一种带电热膜地暖的装配式模块化集成箱式房屋
RU2119025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бетонных 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JPH0312933Y2 (ko)
KR20240060584A (ko) 갈라짐 방지 핀과 요철 금속판에 발열체를 구비한 이동 가능한 갈라짐 방지 목재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RU2135713C1 (ru) Термоактивный опалубочный щи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