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821B1 -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e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e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821B1
KR102535821B1 KR1020150092241A KR20150092241A KR102535821B1 KR 102535821 B1 KR102535821 B1 KR 102535821B1 KR 1020150092241 A KR1020150092241 A KR 1020150092241A KR 20150092241 A KR20150092241 A KR 20150092241A KR 102535821 B1 KR102535821 B1 KR 102535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amount
current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5674A (en
Inventor
타케시 오쿠노
카즈노리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5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6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8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공급된 전류량에 따라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상기 전류량을 미리 설정된 일정 간격마다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일정 간격 마다 상기 전류량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전류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발광 소자의 휘도 열화량을 산출하는 휘도 열화량 산출부, 상기 발광 소자마다 산출된 상기 휘도 열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상기 전류량을 보정하는 보정 값을 산출하는 보정 값 산출부, 상기 발광 소자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제공되는 상기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each including a light emitting element that outputs light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pplied current and a driving transistor tha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se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calculating unit that calculate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current at each regular interval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current, and the amount of luminance deterioration calculated for each light emitting device a correction valu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correction value for correct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ed for each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e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것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EATION THEREOF}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EATION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 및 그 것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miting diode, OLED)와 같은 자발광 소자(이하: 발광 소자)는 그 발광 휘도와 발광 시간에 비례하여 열화하는 특성이 있다.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내용이 일률적이지 않음에 따라, 발광 소자의 열화에도 변화가 있다. 예를 들어, 흰색 등의 휘도가 높은 색을 표시하는 발광 소자는 흑색 등의 휘도가 낮은 색을 표시하는 발광 소자에 비해, 열화가 진행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A self-luminous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has a characteristic of deteriorating in proportion to its emission luminance and emission time. As the content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not uniform, there is a change in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laying a color with high luminance, such as white, tends to deteriorate more easily than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laying a color with low luminance, such as black.

발광 소자의 열화가 진행하면, 당해 발광 소자의 휘도는 열화의 진행이 늦은 다른 발광 소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일반적으로 이미지-스틱킹(burn-in)으로 알려져 있다. When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progresses,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tends to decrease relatively compared to other light emitting elements in which the progress of deterioration is slow. This phenomenon is commonly known as image-sticking (burn-in).

JPJP 2005-2751822005-275182 AA JPJP 2007-1877612007-187761 AA

유기 발광 소자와 같은 자발광 소자(이하, 발광 소자)는 발광 휘도와 발광 시간에 비례하여 열화하는 특성이 있다. 특히,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이 일률적이지 않음에 따라,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에도 열화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흰색 등의 휘도가 높은 색을 표시하고 있는 발광 소자는 흑색 등의 휘도가 낮은 색을 표시하고 있는 발광 소자에 비해, 열화가 진행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발광 소자의 열화가 진행되면, 발광 소자의 휘도는 열화의 진행이 늦은 다른 발광 소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일반적으로 이미지-스틱킹(burn-in)으로 알려져 있다. A self-light emitt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s a characteristic of deteriorating in proportion to emission luminance and emission time. In particular, sinc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not unifor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at emits light is also deteriorated.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laying a color with high luminance, such as white, tends to deteriorate more easily than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laying a color with low luminance, such as black. As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progresses,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ends to decrease relatively compared to other light emitting devices in which the progress of deterioration is slow. This phenomenon is commonly known as image-sticking (burn-in).

이와 같은 발광 소자의 열화에 따른 화소 사이의 휘도의 변화를 저감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특허 문헌 1에는,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입력 데이터의 누적 가산 값에 따라서 열화량을 추정하고,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보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방법은 발광 소자의 열화를, 입력 데이터의 누적 가산 값에 기초하여 간접적으로 추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발광 소자의 열화 특성에 의해서는 열화량이 정확히 추측될 수 없다.As an example of a method of reducing the change in luminance between pixels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 Patent Document 1, the amount of deterioration is estimated according to the cumulative addition value of input data f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estimated result A method of correct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the above is disclosed. However, since the metho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directly estimates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the cumulative addition value of the input data, the amount of deterioration cannot be accurately estimated based on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for example.

또한, 다른 방법의 일 예로서, 특허 문헌 2에는, 휘도의 열화를 측정하기 위한 더미 화소를 마련하고, 당해 더미 화소의 휘도 값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각 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보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 화소의 발광 소자는 반드시 모두가 같은 계조로 발광될 수 없으며, 각 발광 소자의 열화 량에는 변화가 있다. 그러므로, 각 발광 소자의 휘도 열화를 정확히 보상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Further, as an example of another method,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method of providing a dummy pixel for measuring luminance deterioration and correcting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each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luminance value of the dummy pixel. has been initiated. However, the light emitting elements of each pixel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cannot necessarily all emit light with the same gray level, and the amount of deterioration of each light emitting element varies. Therefore, it cannot be said that the luminance deterioration of each light emitting element can be accurately compensated for.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화소마다의 발광 소자의 열화량에 따라, 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emit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for each pixel,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공급된 전류량에 따라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화소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상기 전류량을 미리 설정된 일정 간격마다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일정 간격 마다 상기 전류량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전류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발광 소자의 휘도 열화량을 산출하는 휘도 열화량 산출부, 상기 발광 소자마다 산출된 상기 휘도 열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열화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산출하는 보정 값 산출부, 상기 발광 소자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제공되는 상기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pixels each including a light emitting element outputting light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and a driving transistor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each of the pixels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ed in at predetermined intervals, calculating a change in the amount of current at each predetermined interval, and calculating a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the change in current A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a correction valu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correction value for correcting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based o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calculated for each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ed for each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provid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화소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열화량에 기반하여, 해당 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보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장치의 전반적인 구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deterioration amoun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each pixel,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corrected. As a result, overall driving reliability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소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유기 발광 소자의 열화에 따른 당해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 변화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유기 발광 소자의 열화에 따른 당해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 변화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유기 발광 소자의 열화에 따른 당해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 변화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동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스틱킹 보상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동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스틱킹 보상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동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스틱킹 보상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유기 발광 소자의 전류-휘도의 특성에 따른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유기 발광 소자의 전류-휘도의 특성에 따른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소 구성을 사용한 경우의 감마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동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화소, 데이터 드라이버, 및 센싱 드라이버의 구성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동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타이밍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동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 예에 대하여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량의 보상에 따른 동작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의 다른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1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pixels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hange in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hange in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hange in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image-sticking compensation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image-sticking compensation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image-sticking compensation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urrent-luminanc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urrent-luminanc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gamma characteristics when the pixel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is used.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pixel, a data driver, and a sensing driver.
1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rive timing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flow of a series of processes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hematic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17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an operation according to compensation of an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18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schematic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below.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nd configuration, and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각 화소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열화량이 산출될 수 있다. 이 후, 각 화소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열화량을 기반으로, 해당 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보상한다. 여기서, 발광 소자의 발광량은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량일 수 있다.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erioration amount of a light emitting element corresponding to each pixel may be calculated. Thereafter, based on the amount of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corresponding to each pixel,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element is compensated. Her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may be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유기 발광 소자를 발광 소자로서 이용한 화소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소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예는 화소 중의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만을 제시하고 있고, 반드시 화소 중의 모든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ixel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s a light emitting element will be described. 1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pixels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ddition, the example shown in FIG. 1 presents only the configuration necessary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for mak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 the pixel emit light, and not necessarily all the configurations in the pixel.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소는 유기 발광 소자(D1) 및 구동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D1)는 전류 구동 소자이므로, 전류(Ioled)에 비례하여 발광 휘도가 변화한다. 또한, 예시적으로, 구동 트랜지스터(M2)는 P 채널 형의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pixel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nd a driving transistor M2. Since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D1 is a current-driven element, light emission luminance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current Ioled. Also, illustratively, the driving transistor M2 may be a P-channel type transistor.

도 1에 따르면, 트랜지스터(M2)의 소스 단자(st)에는, 전원 전압(ELVDD) 단자가 연결되며, 당해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단자(dt)에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D1)의 캐소드 측에는 전원 전압(ELVSS) 단자가 연결된다. 1, the source terminal st of the transistor M2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voltage ELVDD terminal, and the drain terminal dt of the transistor M2 is connected to the anode 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a power supply voltage ELVS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athode 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상술된 바에 따르면,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단자(gt)에 데이터 전압(Vdata)이 인가되면, 인가된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라 트랜지스터(M2)의 소스 단자(st)로부터 드레인 단자(dt)에 전류가 흐른다. 즉, 게이트 단자(gt)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Vdata)에 응답하여, 유기 발광 소자(D1)로 공급되는 전류(Ioled)의 전류량이 변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유기 발광 소자(D1)에 공급되는 전류(Ioled)을 기반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휘도가 제어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ata voltage Vdata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t of the transistor M2, the source terminal st to the drain terminal dt of the transistor M2 is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applied data voltage Vdata. current flows in That is, in response to the data voltage Vdata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t, the amount of current Ioled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may change. As a result,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current Ioled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화소유기 발광 소자(D1)유기 발광 소자(D1)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르면, 구동 트랜지스터(M2)가 P 채널 형의 트랜지스터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N 채널 형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N 채널 형의 트랜지스터를 적용하는 경우, 유기 발광 소자(D1)의 회로 관계는 변경될 수 있다. Pixel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D1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transistor M2 is described as a P-channel type transis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N-channel type transistor. there is. When an N-channel type transistor is applied, a circuit relationship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may be changed.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구동 트랜지스터(M2)의 전류-전압(Id-Vd)특성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D1)의 동작의 일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2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ccording to the current-voltage (Id-Vd)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 M2. is shown about.

도 2에 있어서, 참조 부호(Voled1)는 트랜지스터(M2)를 제1 게이트-소스 전압(Vgs1)으로 구동한 경우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전압은 구동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전압일 수 있다. In FIG. 2 , reference numeral Voled1 represents the anode voltag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when the transistor M2 is driven with the first gate-source voltage Vgs1. Here, the anode voltag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may be the drain voltage of the driving transistor M2.

또한, 참조 부호(Ioled1)는 트랜지스터(M2)를 전압제1 게이트-소스 전압(Vgs1)으로 구동한 경우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캐소드 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Vds1)는 트랜지스터(M2)를 제1 게이트-소스 전압(Vgs1)으로 구동한 경우에 있어서,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소스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Also, reference numeral Ioled1 represents an anode-cathode curre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when the transistor M2 is driven with the first gate-source voltage Vgs1. Also, reference numeral Vds1 represents the drain-source voltage of the transistor M2 when the transistor M2 is driven with the first gate-source voltage Vgs1.

마찬가지로, 참조 부호(Voled2)는 트랜지스터(M2)를 제2 게이트-소스 전압(Vgs2)으로 구동한 경우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Ioled2)는 트랜지스터(M2)를 제2 게이트-소스 전압(Vgs2)으로 구동한 경우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캐소드 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Vds2)는 트랜지스터(M2)를 제2 게이트-소스 전압(Vgs2)으로 구동한 경우에 있어서, 해당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소스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Similarly, reference numeral Voled2 represents the anode voltag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when the transistor M2 is driven with the second gate-source voltage Vgs2. Also, reference numeral Ioled2 represents an anode-cathode curre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when the transistor M2 is driven with the second gate-source voltage Vgs2. Also, reference numeral Vds2 represents the drain-source voltage of the transistor M2 when the transistor M2 is driven with the second gate-source voltage Vgs2.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내는 화소에 있어서, 트랜지스터(M2)는 유기 발광 소자(D1)를 전류 구동하기 위해, 전압-전류 변환 소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2 , in the pixel shown in FIG. 1 , the transistor M2 serves as a voltage-to-current conversion element to dri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with current.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유기 발광 소자(D1)를 시간 구동함으로써, 열화한 경우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특성 변화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에 따른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특성 변화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Referring to FIGS. 3 to 5 , an example of a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eteriorated by time driving will be described. 3 to 5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due to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예를 들어, 도 3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 열화의 상태를 모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t)를 나타내고, 종축은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를 상대값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참조 부호(t0)는 유기 발광 소자(D1)가 열화하기 전의 시점(예를 들어, 출하 직후의 초기의 시점)을 나타내고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그래프에서는, 이 시점(t0)에 있어서 휘도(L)를 100%로서 나타내고 있다. For example,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 state of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over time. In the graph shown in FIG. 3 ,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t),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luminance (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s a relative value. Further, for example, reference numeral t0 indicates a point in time b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deteriorates (for example, an initial point immediately after shipment), and in the graph shown in FIG. 3 , this point in time (t0 ), the luminance (L) is expressed as 100%.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D1)를 다른 휘도 값으로 구동한 경우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휘도(L)가 100%인 경우와, 휘도(L)가 50%인 경우에 대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휘도 열화의 상태를 모식화한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Furth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 graphs in the case w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riven at different luminance values are shown. Specificall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 the state of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over time for the case where the luminance L is 100% and the case where the luminance L is 50%. It shows a graph that modeled .

여기서, 도 3에 있어서, 참조 부호(ΔL50)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가 50%로 유기 발광 소자(D1)발광된 경우이다. 이 경우, 초기의 시점(t0)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 한 후의 특정 시점(t1)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의 열화량일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ΔL100)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가 100% 로유기 발광 소자(D1), 특정 시점(t1)에유기 발광 소자(D1)서의 휘도(L)의 열화량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특정 시점(t1)을 초기의 시점(t0)부터 특정 시점(t1) 경과 후의 시점으로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Here, in FIG. 3 , reference numeral ΔL50 indicates a case w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emits light at a luminance L of 50%. In this case, at a specific time point t1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initial time point t0, it may be the amount of deterioration of the luminance 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ΔL100 indicates that the luminance 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is 10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degrades at a specific time point t1. can be quantity.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the specific time point t1 may be described as a time point after the passage of the specific time point t1 from the initial time point t0.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D1)는 발광 시의 휘도 값이 클수록, 시간 구동에 따른 휘도(L)의 열화량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3 , as the luminance valu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ncreases during emission, the deterioration of the luminance L over time tends to increase.

또한, 도 4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전압(V)과 애노드-캐소드 전류(I)와의 관계의 일 예를 모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초기 시점(t0)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압-전류(V-I) 특성 및 특정 시점(t1) 경과 후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압-전류(V-I)특성을 그래프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 유기 발광 소자(D1)에 대해 애노드 전압(Va)을 인가한 경우에 있어서, 애노드-캐소드 전류를 제1 전류(Ia)라 한다.4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ode voltage (V) and the anode-cathode current (I)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the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1 at the initial time point t0 and the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1 after a specific time point t1 have elapsed. It is shown as a graph. In the following, when the anode voltage Va is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anode-cathode current is referred to as the first current Ia.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압-전류(V-I) 특성은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에 따라 고전압 측으로 쉬프트하고 있다. 이 경우,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압-전류(V-I) 특성을 기반으로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압-전류(V-I) 특성은 ΔV만큼 고전압 측으로 쉬프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애노드 전압을 정전압(Va)으로 구현할 경우,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압-전류(V-I) 특성은 ΔI만큼 저전류 측으로 쉬프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shifts to the high voltage side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n this case, based on the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the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is shifted to the high voltage side by ΔV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you can see what you're doing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anode voltage is implemented as a constant voltage (Va), the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shifted to the low current side by ΔI.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캐소드 전류(I)와 휘도(L)와의 관계(즉, I-L 특성)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I-L)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초기 시점(t0)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I-L) 특성과, 특정 시점(t1) 경과 후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I-L) 특성의 모두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5 ,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ode-cathode current (I)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nd the luminance (L) (ie, IL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5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 the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D1 at the initial time point t0 and the current-luminance (IL-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D1 after a specific time point t1 have elapsed. ) All of the characteristics are shown graphically.

도 5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I-L) 특성을 기반으로,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가 ΔL만큼 저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FIG. 5 , based on the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luminance 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decreases by ΔL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can know that

도 4 및 도 5 에 따르면, 소정의 정전류(Ia) 또는 소정의 정전압(Va)으로 유기 발광 소자(D1)를 연속적으로 구동한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휘도(L)가 저하된다. 또한, 소정의 기간만 유기 발광 소자(D1)를 구동하는 경우, 유기 발광 소자(D1)를 구동하는 구동 전류가 클수록, 휘도의 열화량(ΔL)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4 and 5 ,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continuously driven with a predetermined constant current Ia or a predetermined constant voltage Va, the luminance L decreases over tim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rive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greater the driving current for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greater the luminance deterioration ΔL.

이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D1)를 사용한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마다 축적되는 열화 량의 차이에 따라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의 정도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D1)에 축적되는 열화 량은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휘도와 시간과의 곱에 비례하여 축적된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화소마다 유기 발광 소자(D1)에 축적되는 열화 량도 다르다. 또한, 화소 사이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량에 차이가 발생한다. 각 화소마다 동일한 데이터 전압을 인가한 경우, 화소마다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휘도가 다른 현상이 발생하고, 화질이나 신뢰성의 저하의 요인으로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deterioration accumulated for each pixel. In general, the amount of deterioration accumul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accumulated in proportion to the product of the emission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nd time. Therefore, the amount of deterioration accumul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ifferent for each pixel according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a difference occurs in the deterioration amou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between pixels. When the same data voltage is applied to each pixel, a phenomenon in which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ifferent for each pixel occurs, which causes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and reliability.

또한, 상술된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에 따른 특성의 변화는 유기 발광 소자(D1)에 사용되는 유기 발광 재료나 소자 구조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RGB의 각 유기 발광 재료를 증착 등의 프로세스에 적용한 경우, RGB마다 열화 특성이 다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초기 상태에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에 따라 변색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바광 휘도가 다른 현상으로 변하는 이미지-스틱킹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hange in characteristics due to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1 tends to change depending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used fo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1 or the structure of the device. As a specific example, when each RGB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is applied to a process such as deposition,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may be different for each RGB. In this case, discoloration may occur due to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n an initial state. As a result, an image-sticking phenomenon in which the bar light luminance changes to another phenomenon may occur.

이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스틱킹 보상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스틱킹 보상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Next, referring to FIGS. 6 to 8 , the principle of image-sticking compensation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6 to 8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image-sticking compensation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예를 들어,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전압(V)과, 애노드-캐소드 전류(I)와, 휘도(L)와의 사이의 관계(즉, V-I-L 특성)의 일 예를 모식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전압-전류(V-I) 특성과, 도 5에 나타낸 전류-휘도(I-L) 특성을, 애노드-캐소드 전류(I)를 공통 축으로 하여 한 도면에 정리한 것이다. For example, FIG. 6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ode voltage (V), anode-cathode current (I), and luminance (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e, V-I-L characteristics) An example is modeled and shown. 6 shows the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4 and the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5 in one figure with the anode-cathode current (I) as a common axis.

도 6에 있어서, 종축은 애노드-캐소드 전류(I)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횡축 중에서 애노드-캐소드 전류(I)를 나타내는 종축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은 애노드 전압(V)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횡축 중에서 애노드-캐소드 전류(I)를 나타내는 종축을 기준으로서 왼쪽은 휘도(L)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초기 상태와, 특정 시점(t1) 경과 후와의 쌍방에 대해서, 전압-전류(V-I)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와, 전류-휘도(I-L)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Ia 및 Va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Ia 및 Va와 동일하다. In Fig. 6,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anode-cathode current (I). In addition, the right side of the horizontal axi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representing the anode-cathode current (I) represents the anode voltage (V). In addition, the left side of the abscissa axis represents luminance (L) with respect to the ordinate axis representing anode-cathode current (I).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a graph showing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s and a graph showing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s both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the lapse of a specific point in time t1 are presented. has been 6, Ia and Va are the same as Ia and Va shown in FIGS. 4 and 5.

도 6에 있어서, 애노드 전압을 Va로 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압-전류(전압-전류(V-I)) 특성에 착안한 경우, 특정 시점(t1) 경과 후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압-전류(V-I) 특성은 초기 상태의 전압-전류(V-I) 특성으로부터 ΔI만큼 저전류 측으로 저하한다. 이 때, 특정 시점(t1) 경과 후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는 초기 상태의 휘도(L0)로부터, ΔL1만큼 변화하여 휘도(L1)로 된다. 즉, 특정 시점(t1) 경과 후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I-L) 특성은 초기 상태의 전류-휘도(I-L) 특성에 비해 저 휘도 측으로 쉬프트된다. 또한, 초기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전류량의 변화(ΔI)와, 휘도의 열화량(ΔL1)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커지는 경향이 있다. 6, when the anode voltage is Va and attention is paid to the voltage-current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fter a specific point in time t1 The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 is lowered to the low current side by ΔI from the voltage-current (V-I) characteristic in the initial state. At this time, the luminance 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fter the lapse of a specific point in time t1 changes from the luminance L0 in the initial state by ΔL1 and becomes the luminance L1. That is, the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after the lapse of a specific point in time t1 are shifted to a lower luminance side than the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state. Further, in the case of using the initial state as a reference, the change in current amount (ΔI) and the amount of deterioration in luminance (ΔL1) tend to increase over time.

여기서, 특정 시점(t1) 경과 후에, 유기 발광 소자(D1)를 초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휘도(L0)에서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특정 시점(t1) 경과 후의 전류-휘도(I-L) 특성에 기초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에 대해 보상 구동 전류(Ic)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특정 시점(t1) 경과 후에, 유기 발광 소자(D1)에 보상 구동 전류(Ic)를 공급한 경우, 애노드 전압은 Vc로 된다. 즉, 초기 상태의 제1 전류(Ia)와, 특정 시점(t1) 경과 후의 구동 보상 전류(Ic)와의 사이의 차인 보상 전류(ΔIc)가, 이미지-스틱킹 보상을 위해 필요한 전류량으로 된다. Here, in order to mak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1 emit light at the luminance L0 after the elapse of the specific time point t1,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based on the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 after the elapse of the specific time point t1.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y a compensating drive current Ic to element D1. In addition, when the compensation driving current Ic is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fter a specific time point t1 has elapsed, the anode voltage becomes Vc. That is, the compensation current ΔIc,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Ia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drive compensation current Ic after the lapse of a specific time point t1, becomes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for image-sticking compensation.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구동 전류의 변화량 (ΔI)과, 휘도 열화량(ΔL)과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전류 변화량(ΔI)과 휘도 열화량(ΔL)과의 관계의 일 예를 모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7에 있어서, 종축에서 나타낸 전류 변화량(ΔI)은 유기 발광 소자(D1)를 정전압(예를 들어, Va)으로 구동한 경우에 따른 젼류랑일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초기 상태의 휘도(L0)를 얻기 위해 필요한 초기 전류(Ia)에 따른전류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횡축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를 100%로 한 경우에 있어서, 열화 후의 휘도의 상대 값을 휘도 열화량(ΔL)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change in driving current (ΔI) and the amount of luminance degradation (ΔL) will be described. 7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lationship between a current change amount (ΔI) and a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In FIG. 7 , the current variation ΔI shown on the vertical axis may be the current value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riven with a constant voltage (eg, Va). That is, the amount of current according to the initial current Ia required to obtain the luminance L0 in the initial state shown in FIG. 6 is shown. Further,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relative value of the luminance after deterioration as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when the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100% in the initial state.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D1)를 정전압으로 구동한 경우에 있어서 구동 전류의 전류 변화량(ΔI)에 따라, 휘도 열화의 비율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류 변화량(ΔI)은 소정의 정전압으로 유기 발광 소자(D1)를 구동한 경우, 초기 상태의 휘도를 얻기 위해 전류가 얼만큼 저하하는지를 의미하고 있다. 이를 통해, 휘도 열화량(ΔL) 및 전류 변화량(ΔI)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1을 표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riven at a constant voltage,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luminance deterioration increases according to the current variation (ΔI) of the driving current. In addition, the current variation ΔI means how much the current decreases to obtain the luminance in an initial state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riven with a predetermined constant voltage. Through this, Equation 1 below can be expressed based o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and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1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1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소정의 유기 EL 재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유기 발광 소자(D1)의 ΔI-ΔL 특성의 측정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종축 및 횡축은 도 7에 있어서 종축 및 횡축과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 8 , FIG. 8 shows an example of measurement results of ΔI-Δ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made using a predetermined organic EL material. In addition, the vertic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in FIG. 8 are the same as the vertic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in FIG. 7 .

여기서, 도 8에 나타낸 전류-휘도 간의 특성의 실측 값의 근사 값을 함수화하면, 상기 수학식 1은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2로 표현할 수 있다. Here, when the approximate value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current-luminance characteristic shown in FIG. 8 is converted into a function, Equation 1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2 below.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2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2

또한, 상기 수학식 2에 있어서, 계수들(A, b)은 유기 EL 재료나 소자 구조에 따라서 결정되는 정수일 수 있다. 또한, 계수(C)는 초기 상태의 휘도(L)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정수이고, 초기 상태에 있어서 휘도(L)를 100%로 한 경우에는, C 값은 100일 수 있다. Also, in Equation 2, the coefficients A and b may be integer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ganic EL material or device structure. Also, the coefficient C is an integer determined based on the luminance L in the initial state, and when the luminance L is 100% in the initial state, the C value may be 100.

또한, 유기 EL 재료나 소자 구조에 따라서 계수(A, b)의 값이 변화되지만, 수학식 2에서 나타낸 관계 식은 유기 EL 재료나 소자 구조가 변화할 경우에도 변화하지 않는다. Further, the values of the coefficients A and b change depending on the organic EL material or element structure, but the relational expression shown in Equation 2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organic EL material or element structure changes.

도 6 및 도 9를 참조한다. 도 9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휘도(L)가 100%, 50%, 및 20%의 각각에서 발광시킨 경우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의 전류-휘도 간의 특성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종축은 전류 변화량(ΔI)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횡축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를 100%로 한 경우, 열화 후의 휘도의 상대 값을, 휘도 열화량(ΔL)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See Figures 6 and 9. 9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characteristics between current and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when the light emitting luminance 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emits light at 100%, 50%, and 20%, respectively. indicates In Fig. 9,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ΔI). Further,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relative value of the luminance after deterioration as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when the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100% in the initial state.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휘도가 다르면, 발광 휘도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D1)의 로의 열화 량이 변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열화 량의 변화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의 전류-휘도 간의 특성도 변화한다. 즉, 화소마다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휘도의 차이에 따른 열화 량의 변화에 따라서, 측정되는 전류 변화량(ΔI)도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 정전압으로 유기 발광 소자(D1)를 구동시킨 경우,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에 따른, 전류-휘도 간의 특성의 변화에 더하여, 전압-전류 특성의 쉬프트에 따른 구동 전류 자체의 저하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 9 , when the emission luminance is different, the amount of furnace degrad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may vary according to the emission luminance. As a result, the current-luminanc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lso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mount of deterioration. That is, the measured current change amount ΔI also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mount of deterior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Referring to FIG. 6 ,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riven with a constant voltage, driving according to a shift in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a change in characteristics between current and luminance according to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is is because the drop in current itself has an effect.

이와 같은 유기 발광 소자(D1)를 적용한 화소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경우,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 각 화소의 유기 발광 소자(D1)에 공급되는 전류(Ioled)가 변화한다. 즉, 유기 발광 소자(D1)에 공급되는 전류(Ioled)의 변화량만을측정하는 경우, 유기 발광 소자(D1)에 어느 정도의 열화가 축적됐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pixels to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applied are arranged in a matrix, the current Ioled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of each pixel changes according to a displayed image. That is, in the case of measuring only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urrent Ioled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how much degradation has accumul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실시 예에 따르면, 유기 발광 소자의 열화 량 변화에 상관없이, 유기 발광 소자의 전류 변화량(ΔI)과 휘도 열화량(ΔL)이 일 예에 따른 함수로 표현된다. 이러한 함수에 기초하여 전류 변화량(ΔI)에 기반하여 휘도 열화량(ΔL)이 도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and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e expressed as a fun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amount of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ased on this function, the luminance degradation amount ΔL may be derived based on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이하에서,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소자의 전류 변화량(ΔI)으로부터 휘도 열화량(ΔL)을 도출하는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inciple of deriving the amount of luminance deterioration (ΔL) from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ΔI)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바이어스 전압(Va)을 기반으로 유기 EL 발광 소자(D1)를 구동한 경우, 초기 상태의 애노드 단자에 흐르는 제1 전류(Ia), 초기 휘도(L0), 특정 시간(t1) 후의 제2 전류(Ib), 열화 휘도(L1)가 정의된다. 여기서, 열화 후의 제2 전류(Ib)에 기초하여 유기 EL 발광 소자(D1)를 구동한 경우의 열화 휘도(L1)가 정의된다. 유기 발광 소자(D1)이 때, 열화 후 휘도(L2)에 따라 휘도 열화량(ΔL2)이 정의될 수 있다. 1 and 6, when the organic EL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riven based on the bias voltage Va, the first current Ia flowing through the anode terminal in the initial state, the initial luminance L0, the specific The second current Ib after the time t1 and the deteriorated luminance L1 are defined. Here, the degraded luminance L1 when the organic EL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riven based on the second current Ib after deterioration is defined.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2 may be defined according to the luminance L2 after deterioration.

도 10은 유기 발광 소자(D1)를 발광 휘도(L)가 100%, 50%, 20%의 각각에서 발광시킨 경우의 전류-휘도 특성의 다른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ΔI-ΔL) 특성은 도 9에 나타낸 전류-휘도(ΔI-ΔL) 특성의 횡축을, 휘도 변화량(ΔL)이 L1/L0로부터 L2/L0로 치환한 것이다.10 schematically shows another example of current-luminance characteristics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emits light at luminance L of 100%, 50%, and 20%, respectively. The current-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shown in FIG. 10 is the horizontal axis of the current-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It is replaced with /L0.

도 10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D1)를 발광 휘도(L)가 각각 100%, 50%, 20%에서 발광시킨 경우 각 발광 휘도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ΔI-ΔL) 특성은 유사하다. 즉,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효율의 열화에 따른 전류-휘도(ΔI-ΔL)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전류 변화량(ΔI)으로부터 휘도 열화량(ΔL)이 도출될 수 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10 ,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emits light at luminance L of 100%, 50%, and 20%, respectively, the curre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ccording to each light luminance. - 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hat is,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may be derived from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by using the current-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of luminous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또한, 도 6,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된 전류-휘도(ΔI-ΔL) 특성은 전술한 수학식 2로 나타낸 함수에 근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의 재료나 구조에 따라서, 수학식 2에 따른 계수(A, b)는 변동하지만, 디스플레이의 화소로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수학식 2에 나타낸 관계가 성립한다. Also, referring to FIGS. 6, 9, and 10, the above-described current-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s are approximate to the function represented by Equation 2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coefficients (A, b) according to Equation 2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or struc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but in most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s used as pixels of a display, the relationship shown in Equation 2 is achieved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ΔI-ΔL) 특성이 일차 함수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ΔI-ΔL)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 발광 소자의 재료 또는 구조에 따라 2차 곡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계수(A, b)의 조합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ΔI-ΔL) 특성 값을 더욱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the current-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re shown as a linear function. However, as shown in FIG. 7 , the graph representing the current-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quadratic curve depending on the material or struc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coefficients A and b, the current-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 valu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can be more accurately obtained.

일 예로, 수학식 2에 있어서, 정수(b)가 1인 경우, 전류-휘도(ΔI-ΔL)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직선 형상으로 될 수 있다.For example, in Equation 2, when the integer (b) is 1, a graph representing current-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s may be linear.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 량은 유기 발광 소자(D1)로 흐르는 전류량과 시간과의 곱에 비례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휘도가 변화한 경우에도, 전류 변화량(ΔI)과 휘도 열화량(ΔL) 과의 관계가 유지된다. 여기서, 휘도 열화량((ΔL)은 L2/LO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degrad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proportional to the product of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nd time. Meanwhile, even when the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1 changes according to the graph shown in FIG. 10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ΔI and the amount of luminance deterioration ΔL is maintained. Here, the luminance degradation amount (ΔL) may be L2/LO.

즉,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에 따라, 전류 변화량(ΔI) 및 휘도 열화량(ΔL)을 이용하여, 화소마다의 열화량을 산출할 수 있는다. 이 경우, 화소마다 인가되는 계조 데이터의 차이 및 계조 데이터가 인가된 시간 등이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amount of deterioration for each pixel may be calculated using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ΔI) and the amount of luminance deterioration (ΔL). In this case, a difference in grayscale data applied for each pixel and a time when the grayscale data is applied may not be considered.

여기서, 도 6에 나타낸 제1 전류(Ia)는 초기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낸 화소에 애노드 전압(Voled)을 인가한 경우, 유기 발광 소자(D1)에 공급되는 애노드 전류(Ioled)는 발광 휘도(L)를 얻기 위한 구동 전류와 등가일 수 있다. 즉, 도 10에 기초하여 전술한 발광 휘도(L)가 변화된 경우에도,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ΔI-ΔL) 특성이 유지됨에 따라, 제1 전류(Ia)의 측정 결과에 기반으로 전류 변화량(ΔI)을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화소마다의 열화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알고리즘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보상 알고리즘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 규모를 크게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Here, when the anode voltage Voled is applied to the pixel shown in FIG. 1 in the initial state of the first current Ia shown in FIG. 6 , the anode current Ioled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It may be equivalent to the driving current to obtain (L). That is, even when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L described above is changed based on FIG. 10, as the current-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maintaine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current Ia Based on this, the current variation (ΔI) can be calcula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terioration state of each pixel.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implify the compensation algorithm for compensating for the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nd greatly reduce the circuit scale for realizing the compensation algorithm. It becomes possible.

도 6을 참조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전류(ΔIc)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초기 상태의 바이어스 전압(Va)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 화소마다의 유기 발광 소자(D1)에 인가된다. 유기 발광 소자(D1) 각 화소마다의 유기 발광 소자(D1)에 흐르는 애노드 전류(Ia)가 측정된 후,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0)가 측정된다.Referring to FIG. 6 , a method of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current ΔIc for compensating for the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will be described. First, the bias voltage Va in an initial state is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After the anode current Ia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measured, the luminance L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measure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이러한 표시장치의 휘도 열화 측정 방식은 제품의 공장 출하 시에 실시될 수 있으며,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표시 장치 내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기억될 수 있다. The luminance deterioration measurement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performed when the product is shipped from the factory, and the measurement result may be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area in the display device.

그리고, 표시 장치를 구성 하는 각 화소마다, 바이어스 전압(Va)이 유기 발광 소자(D1)에 인가되고,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에 흐르는제2 전류(Ib)가 측정된다. 그리고, 상술된 바에 따라 측정된 제2 전류(Ib)와, 미리 측정된 초기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전류(Ia)에 기초하여, 전류 변화량(ΔI)이 산출될 수 있다. Then, for each pixel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the bias voltage Va is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nd the second current Ib flowing through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measured. Also,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second current Ib meas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current Ia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state measured in advance.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위에서 상술된 수학식 2와, 산출한 전류 변화량(ΔI)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량(ΔL)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2의 계수들(A, b)은, 유기 발광 소자(D1)유기 EL 재료 및 소자 구조에 따라, 미리 측정된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ΔI-ΔL) 특성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산출된 계수들(A ,b)은 표시 장치 내의 기억 영역에 미리 기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계수(C)에 대해서도, 초기 휘도(L0)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표시 장치 내의 기억 영역에 기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당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 각각에 대해서, 제2 전류(Ib)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류 변화량(ΔI)에 따라서, 휘도 열화량(ΔL)이 산출될 수 있다. Next,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may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2 described above and the calculated current change amount ΔI. In addition, the coefficients (A, b) of Equation 2 are dependent on the current-luminance (ΔI-Δ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1 measu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organic EL material and device struc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1.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calculated coefficients A and b may be previously stored in a storage area in the display device. Similarly, for the coefficient C,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initial luminance L0 and stored in a storage area in th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each pixel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the amount of luminance deterioration ( ΔL) can be calculated.

표시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들 각각의 휘도 열화량(ΔL)이 산출될 경우, 휘도 열화량(ΔL)에 기초하여, 각 화소에 보상될 보상 전류(ΔIc)가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보상 전류(ΔIc)는 초기 상태의 제1 전류(Ia)에서 초기 휘도(L0)를 얻기 위해 필요한 보상 구동 전류(Ic)를 뺀 값일 수 있다. Whe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is calculated, a compensation current ΔIc to be compensated for each pixel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Here, the compensation current ΔIc may be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ompensation driving current Ic required to obtain the initial luminance L0 from the first current Ia in the initial state.

즉, 외부의 다양한 요소로 인해 열화된 유기 발광 소자(D1)에 보상 구동 전류(Ic)가 제공됨으로써, 정상 유기 발광 소자(D1)가 구현될 수 있다. 제1 전류(Ia)또한, 유기 발광 소자(D1)를 보상 구동 전류(Ic)로 구동한 경우, 구동 전압(즉, 애노드 전압)은 보상 구동 전압(Vc)이 될 수 있다. That is, a normal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may be realized by providing the compensating driving current Ic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deteriorated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Also,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is driven with the compensation driving current Ic, the driving voltage (ie, the anode voltage) may be the compensation driving voltage Vc.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휘도(전류-휘도(I-L)) 특성은 일차 함수로서 표현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있어서, 특정 시간(t1) 후의 전류-휘도(전류-휘도(I-L)) 특성은 제1 전류(Ia)유기 발광 소자(D1)아래의 수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Here, referring to FIG. 6 , the current-luminance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expressed as a linear function. For example, in FIG. 6 , the current-luminance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 after a specific time period (t1)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3 below the first current (I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3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3

그러므로, 특정 시간(t1) 시간 경과 후의 전류-휘도(전류-휘도(I-L)) 특성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가 초기 휘도(L0)로 되기 위한 조건은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4로 표현된다. Therefore, in the current-luminance (current-luminance (I-L)) characteristics after a specific time t1, the condition for the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o be the initial luminance L0 is expressed by Equation 4 below: is expressed as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4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4

상기에 나타내는 수학식 4로부터, 초기 상태와 동일한 초기 휘도(L0)를 얻기 위해 필요한 보상 구동 전류(Ic)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5로 표현된다. From Equation 4 shown above, the compensation drive current Ic required to obtain the same initial luminance L0 as the initial state is expressed by Equation 5 shown below.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5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5

그러므로, 보상 전류(ΔIc)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6으로 표현된다. Therefore, the compensating current ΔIc is expressed by Equation 6 shown below.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6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6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의 제1 전류(Ia)는 미리 측정되어 표시 장치 내의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그러므로, 보상 구동 전류(Ic)는 상기 수학식들에 근거하여 산출된 보상 전류(ΔIc)와, 미리 기억된 초기 상태의 제1 전류(Ia)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7로 표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urrent Ia in the initial state is measured in advance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in the display device. Therefore, the compensating drive current Ic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7 below based on the compensating current ΔIc calculated based on the above equations and the first current Ia in the initial state stored in advance. there is.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7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7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보상 구동 전류(Ic)가 유기 발광 소자(D1)로 공급되도록 구동 트랜지스터(M2)가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설명된 구동 트랜지스터(M2)의 전류-전압(Id-Vd) 특성에 따라, 보상 구동 전류(Ic)로부터 구동 트랜지스터(M2)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전압(Vdata)의 수치가 구해질 수 있다. Using this characteristic, the driving transistor M2 may be operated so that the compensating driving current Ic is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current-voltage (Id-Vd)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 M2 described in FIG. 2, the value of the data voltage Vdata for driving the driving transistor M2 from the compensating driving current Ic is can be saved

예를 들어,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소 구성을 사용한 경우의 감마 특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축은 트랜지스터(M2)의 소스 단자(st)와 드레인 단자(dt) 사이에 흐르는 유기 발광 소자(D1)로 공급되는 전류(Ioled)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횡축은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단자(gt)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감마 특성에 기초하여, 산출한 보상 후의 보상 구동 전류(Ic)에 따라, 데이터 전압(Vdata)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전압(Δdata)이 산출될 수 있다. 그 결과, 보상 전압(Δdata)에 의해 데이터 전압(Vdata)이 조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amma characteristics when the pixel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is use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current Ioled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lowing between the source terminal st and the drain terminal dt of the transistor M2. Also,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data voltage Vdata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t of the transistor M2. That is, the compensation voltage Δdata for compensating the data voltage Vdata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driving current Ic calculated based on the gamma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11 . As a result, the data voltage Vdata may be adjusted by the compensation voltage Δdata.

이상, 도 1~도 11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가 각 화소마다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열화량에 기초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량을 보상하는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1 to 11,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lculates the amount of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and based on the calculated amount of deteriora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principle of compensating for the amount of light emitted has been explained.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 예로서, 유기 발광 소자(D1)를 포함하는 화소가 매트릭스(Matrix) 형상으로 배치된 표시 장치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Next,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in which pixels inclu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re arranged in a matrix shape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FIG.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102), 제 1 스캔 드라이버(121), 제 2 스캔 드라이버(123), 데이터 드라이버(130), 센싱 드라이버(140), 기억부(150),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 및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2 ,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102, a first scan driver 121, a second scan driver 123, a data driver 130, and a sensing driver 140. , a storage unit 150, a compensation data operation unit 160, and a compensation data addition unit 170.

표시부(102)는 복수의 화소(110)를 갖고,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화소(110)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제1 주사 라인(112), 제2 주사 라인(113), 및 제어 신호 라인(114)과, 데이터 라인(115)과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다. 제1 주사 라인(112), 제2 주사 라인(113), 및 제어 신호 라인(114)이 복수 배치된 방향은 행 방향(Y)으로 정의된다. 데이터 라인(115)이 복수 배치된 방향은 열 방향(X)으로 정의된다. 복수의 화소(110)가 매트릭스(Matrix)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설명에서는, 표시부(102)는 화소(110)가, X 방향으로 M 열, Y 방향으로 N 행의 매트릭스(Matrix) 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The display unit 102 has a plurality of pixels 110 and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on the display screen. The pixel 110 is disposed in an intersection area between a first scan line 112, a second scan line 113, a control signal line 114, and a data line 115 that are dispos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 A dir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scan lines 112, second scan lines 113, and control signal lines 114 are disposed is defined as a row direction (Y).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data lines 115 are disposed is defined as a column direction (X). A plurality of pixels 110 are arranged in a matrix shape. In this description, the display unit 102 is described as having pixels 110 arranged in a matrix with M columns in the X direction and N rows in the Y direction.

또한, 표시부(102)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위의 제어 회로로부터, 전원 전압(ELVDD)과 전원 전압(ELVSS)이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전압(ELVDD)과 전원 전압(ELVSS)은 화소(110)가 갖는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신호이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voltage ELVDD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ELVSS may be respectively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102 from an upper control circuit (not shown).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voltage ELVDD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ELVSS are signals for supplying a current for emitting light from a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ed in the pixel 110 .

제 1 스캔 드라이버(121)에는, X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제1 주사 라인(112)이 접속되어 있다. 제 1 스캔 드라이버(121)는 행마다 배치된 제1 주사 라인(112)에 해당 화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캔 신호(Scan1~ScanN)를 공급한다. 또한, 제 2 스캔 드라이버(123)에는, X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제2 주사 라인(113) 및 제어 신호 라인(114)이 접속되어 있다. 제 2 스캔 드라이버(123)는 행마다 배치된 제2 주사 라인(113) 복수의 센싱 신호(Sense1~SenseN)를 공급한다. 또한, 제 2 스캔 드라이버(123)는 행마다 배치된 제어 신호 라인(114)에 복수의 제어 신호(En1~EnN)를 제공한다. A plurality of first scan lines 112 arranged in the X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first scan driver 121 . The first scan driver 121 supplies a plurality of scan signals (Scan1 to ScanN) corresponding to corresponding pixels to the first scan lines 112 arranged for each row. Further, a plurality of second scan lines 113 and control signal lines 114 arranged in the X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second scan driver 123 . The second scan driver 123 supplies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s Sense1 to SenseN to the second scan lines 113 arranged for each row. In addition, the second scan driver 123 provides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En1 to EnN to the control signal lines 114 arranged for each row.

데이터 드라이버(130) 및 센싱 드라이버(140)에는, Y 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데이터 라인(115)이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30) 및 센싱 드라이버(140)의 각각은 열마다 배치된 데이터 라인(115) 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Data1~DataM)를 공급한다. A plurality of data lines 115 disposed in the Y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data driver 130 and the sensing driver 140 . Each of the data driver 130 and the sensing driver 140 supplies a plurality of data signals Data1 to DataM to the data lines 115 disposed in each column.

여기서, 도 13을 참조하여, 화소(110), 데이터 드라이버(130), 및 센싱 드라이버(140)의 구성의 일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화소(110), 데이터 드라이버(130), 및 센싱 드라이버(140)의 구성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에 나타낸 화소를 주변의 회로도 포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Here, with reference to FIG. 13 ,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110 , the data driver 130 , and the sensing driver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110, the data driver 130, and the sensing driver 140, and shows the pixel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including circuits around it. .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소(110)는 유기 발광 소자(D1), 구동 트랜지스터(M2), 제1, 제3 및 제4 스위칭 트랜지스터(M1, M3, 및 M4), 및 유지 용량(Cst)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D1) 및 구동 트랜지스터(M2)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하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13, the pixel 110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 driving transistor M2, first, third, and fourth switching transistors M1, M3, and M4, and a storage capacitor Cst. includes In addition,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nd the driving transistor M2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M1)는 소스 단자가 데이터 라인(115)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구동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단자(gt)에 접속된다.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M1)는 제1 주사 라인(112)을 통해 게이트 단자로 전달되는 해당 스캔 신호(Scan)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한다.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M1 has a source terminal connected to the data line 115 and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gt of the driving transistor M2.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M1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can signal Scan transmitted to the gate terminal through the first scan line 112 .

유지 용량(Cst)의 일단은 구동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단자(gt)에 접속되고, 타단은 전원 전압(ELVDD) 단자에 접속된다. 유지 용량(Cst)은 구동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단자(gt)의 전위를 유지한다. One end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gt of the driving transistor M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ELVDD terminal. The storage capacitance Cst holds the potential of the gate terminal gt of the driving transistor M2.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제1 제어 스위치(sw1)를 통하여, 데이터 라인(115)으로 공급한다. The data driver 130 converts the input image data (digital data) into an analog voltage signal, and supplies the converted analog voltage signal to the data line 115 through the first control switch sw1.

즉, 제1 제어 스위치(sw1) 및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M1)가 턴-온 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단자(gt)에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가 전달된다. 이어서,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M1)가 턴-오프 됨으로써, 데이터 라인(115)을 통하여 전달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가 유지 용량(Cst)에 유지된다. That is, when the first control switch sw1 and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M1 are turned on, the analog voltage signal based on the image data is transferred to the gate terminal gt of the driving transistor M2. Subsequently, as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M1 is turned off, the analog voltag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line 115 is maintaine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제4 스위칭 트랜지스터(M4)는 소스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단자(dt)에 접속된다. 제4 스위칭 트랜지스터(M4)의 드레인 단자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된다. 제4 스위칭 트랜지스터(M4)는 게이트 단자에 연결된 제어 신호 라인(114)을 통해 제공된 제어 신호(En)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한다. The source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M4 is connected to the drain terminal dt of the driving transistor M2. The drain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M4 is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M4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En provided through the control signal line 114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즉, 제4 스위칭 트랜지스터(M4)가 턴-온 됨으로써, 유지 용량(Cst)에 유지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M2)가 선택적으로 턴-온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유지 용량(Cst)에 유지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Ioled)가 유기 발광 소자(D1)로 공급된다. 여기서, 구동 전류(Ioled)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M4 is turned on, the driving transistor M2 is selectively turned on according to the analog voltage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As a result, the driving current Ioled according to the analog voltage signal hel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Here, the emission stat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riving current Ioled.

또한, 제3 스위칭 트랜지스터(M3)는 소스 단자가 데이터 라인(115)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가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된다. 제3 스위칭 트랜지스터(M3)는 제2 주사 라인(113)을 통하여 게이트 단자에 전달되는 센싱 신호(Sense)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한다. In addition,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M3 has a source terminal connected to the data line 115 and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M3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Sense transmitted to the gat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scan line 113 .

센싱 드라이버(140)는 검사 전압(Vs)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원, 제2 제어 스위치(sw2), 측정부(141),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3)를 포함한다. 센싱 드라이버(140)는 검사 전압(Vs)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신호를 제1 제어 스위치(sw1)를 통하여, 데이터 라인(115)으로 공급한다. 또한, 센싱 드라이버(140)에 의해 인가되는 검사 전압(Vs)은 초기 상태에서 유기 발광 소자(D1)로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Va)에 상당한다. The sensing driver 140 includes a voltage source for applying the test voltage Vs, a second control switch sw2, a measurement unit 141,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143. The sensing driver 140 supplies a voltage signal for applying the test voltage Vs to the data line 115 through the first control switch sw1. In addition, the check voltage Vs applied by the sensing driver 140 corresponds to the bias voltage Va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1 in an initial state.

즉, 제2 제어 스위치(sw2) 및 제3 스위칭 트랜지스터(M3)가 턴-온 됨으로써, 센싱 드라이버(140)로부터, 데이터 라인(115)을 통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로, 검사 전압(Vs)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신호가 공급된다. 또한, 이 때, 센싱 드라이버(140)의 측정부(141)는 검사 전압(Vs)의 인가에 따르고, 데이터 라인(115)을 통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에 공급되는 전류(Is)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3)로 출력한다. 또한, 이때 측정되는 전류(Is)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D1)를 흐르는 전류(Ia)에 상당하고, 특정 시점(t1) 경과 후에 있어서는, 유기 발광 소자(D1)를 흐르는 전류(Ib)에 상당한다. That is, when the second control switch sw2 and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M3 are turned on, the inspection voltage is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driver 140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rough the data line 115. A voltage signal for applying (Vs) is supplied.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unit 141 of the sensing driver 140 responds to the application of the test voltage Vs and measures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rough the data line 115. is measured, and the measurement result is output to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43.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 for example, the current Is measured at this time corresponds to the current Ia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a specific point in time t1, It corresponds to the current Ib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3)는 측정부(141)로부터 취득한 전류(Is)의 측정 결과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전류(Is)의 측정 결과를, 센싱 아웃(Sense out) 단자를 통하여 출력한다.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43 analog-to-digital convert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urrent Is obtained from the measuring unit 141, and convert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digitally converted current Is through a sense out terminal. print out

또한, 센싱 드라이버(140)는 1 회의 주사 마다 M 열 분의 데이터 라인(115) 각각에 대해서, 화소(110)의 애노드 전류 측정 데이터(Dva)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센싱 드라이버(140)는 1 회의 주사로 제 1 열부터 제 M 열까지의 M 개의 화소(110)에 대해서의 애노드 전류 측정 데이터(Dva)를 취득하고, 센싱 아웃(Sense out) 단자로부터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후에는, 제 1 열부터 제 M 열까지 M 개의 화소(110)에 대해서 취득된 애노드 전류 측정 데이터(Dva)를, 「애노드 전류 측정 데이터(Dva[1:M])」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driver 140 can acquire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 of the pixel 110 for each of the M columns of data lines 115 per scan. That is, the sensing driver 140 acquires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 for M pixels 110 from the first column to the Mth column in one scan, and outputs the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 from a sense out terminal. It is possible. In the following case, the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 obtained for the M pixels 110 from the first column to the Mth column are described as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1:M])”. there is

여기서, 도 12를 다시 참조한다. 센싱 드라이버(140)는 화소(110)마다, 유기 발광 소자(D1)에 대해 검사 전압(Vs)을 인가하고,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에 공급되는 전류(Is)를 측정하여, 당해 측정 결과를 기억부(150)에 기억시킨다. 기억부(150)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에 공급되는 전류(Is)의 측정 결과를 화소(110)마다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이다. 또한, 전술한 초기 상태에 있어서, 화소(110)마다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에 공급되는 전류(Is)에 대해서도, 당해 기억부(150)에 기억시킬 수 있다. Here, reference is made to FIG. 12 again. The sensing driver 140 applies the inspection voltage V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110 and measures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measurement resul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The storage unit 150 i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110 .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initial state,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110 can als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는 기억부(150)에 화소(110)마다 기억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전류(Is)의 측정 결과와, 소정의 타이밍마다 측정된 전류(Is)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전류 변화량(ΔI)을 산출한다. 그리고,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는 산출한 전류 변화량(ΔI)과, 수학식 2로서 전술한 함수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량(ΔL)을 산출하고, 당해 휘도 열화량(ΔL)에 기초하여 보상 데이터(즉, 보상 전압(Δdata))를 산출한다. 또한, 보상 전압(Δdata)의 산출 방법에 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Compensation data calculation unit 160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urrent Is in the initial sta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for each pixel 110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urrent Is measured at each predetermined timing , Calculate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ΔI). Then, the compensation data calculation unit 160 calculates the luminance degradation amount ΔL based on the calculated current change amount ΔI and the function described above as Equation 2, and calculates the compensation data based on the luminance degradation amount ΔL. (That is, the compensation voltage (Δdata)) is calculated. In addition, since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voltage Δdata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는 화소(110)마다 산출한 보상 데이터를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로 출력한다. The compensation data calculator 160 outputs the compensation data calculated for each pixel 110 to the compensation data adder 170 .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는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로부터, 화소(110)마다 보상 데이터 취득하고, 취득한 화소(110)마다의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여 보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는 생성한 보상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출력한다. 즉,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로부터 출력되는 보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화소(110)를 구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화소(110)마다의 휘도 열화가 보상되고, 이미지-스틱킹(번인)현상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으로 된다. The compensation data adder 170 acquires input image data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mpensation data adder 170 obtains compensation data for each pixel 110 from the compensation data calculator 160, compensates the input image data based on the obtained compensation data for each pixel 110, and obtains compensation image data. generate Then, the compensation data adder 170 outputs the generated compensation image data to the data driver 130 . That is, the data driver 130 drives each pixel 110 based on the compensation image data output from the compensation data adder 170 . By this, the luminance deterioration of each pixel 110 is compensated, and the occurrence of the image-sticking (burn-in) phenomenon is suppressed.

이상,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구성의 일 예로서, 유기 발광 소자(D1)를 포함하는 화소가 매트릭스(Matrix) 형상으로 배치된 표시 장치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스캔 드라이버(121)와 제 2 스캔 드라이버(123)를 별도로 마련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제 1 스캔 드라이버(121)와 제 2 스캔 드라이버(123)를 일체적으로 마련하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x 방향의 어느 한 쪽 측에, 제 1 스캔 드라이버(121)와 제 2 스캔 드라이버(123)를 마련하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스캔 드라이버(121) 및 제 2 스캔 드라이버(123)를 복수 계통 마련하고, 계통마다, 각 화소(110)로의 스캔 신호(Scan1~ScanN), 센싱 신호, 및 제어 신호(En)의 공급을 예를 들어, 행 단위로 분담하여 처리하는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12 and 13,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in which pixels inclu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re arranged in a matrix shape. An example has been described.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scan driver 121 and the second scan driver 123 are provided separately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scan driver 121 and the second scan driver 123 may be integrally provided.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scan driver 121 and the second scan driver 123 are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x direction may be employed. In addition, multiple systems of the first scan driver 121 and the second scan driver 123 are provided, and each system transmits scan signals (Scan1 to ScanN) to each pixel 110, a sensing signal, and a control signal (En).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ly is divided and processed in units of rows, for example.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구동 타이밍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구동 타이밍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Next, an example of driving tim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 1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riving tim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각 프레임을 표시 기간과 검출 기간으로 시분할로 나눠서 관리하고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화소(110)가 P 채널 형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게이트 신호가 제1 레벨(L)인 때에 온 상태로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어 스위치(sw1 및 sw2)에 대하여는, 공급되는 제어 신호가 제2 레벨(H)인 때에 온 상태로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에 나타낸 제어는 어디까지나 일 예이고, 반드시 상기에 나타낸 제어 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각 화소(110)가 N 채널 형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게이트 신호가제2 레벨(H)인 때에 온 상태로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스위치(sw1 및 sw2)로서, 공급되는 제어 신호가 제1 레벨(L)인 때에 온 상태로 제어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vides each frame into a display period and a detection period in time division and manages them.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it is explained that each pixel 110 is constituted by a P-channel transistor and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when the gate signal is at the first level (L). In addition, the control switches sw1 and sw2 will be described as being controlled to be turned on when the supplied control signal is at the second level (H). Incidentally, the control shown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ntrol example shown above. As a specific example, each pixel 110 may be configured by an N-channel type transistor, and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when the gate signal is at the second level (H). Also, as the control switches sw1 and sw2, those controlled to be in an ON state when the supplied control signal is at the first level (L) can also be used.

먼저, 표시 기간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표시 기간에서는,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제어 스위치(sw1)가 온 상태에 제어되고, 센싱 드라이버(140)의 제어 스위치(sw2)가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즉, 표시 기간에서는, 데이터 라인(115)에는 데이터 드라이버(130)로부터 영상 데이터(즉, 데이터 전압(Vdata))이 공급되는 것으로 된다. 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display period. In the display period, the control switch sw1 of the data driver 130 is controlled to an on state, and the control switch sw2 of the sensing driver 140 is controlled to an off state. That is, in the display period, video data (ie, data voltage Vdata) is supplied to the data line 115 from the data driver 130 .

또한, 표시 기간에서는, 제 1 스캔 드라이버(121)는 행마다 각 제1 주사 라인(112)을 순차 선택하고(즉, 순차 주사하고), 선택한 제1 주사 라인(112)을 통하여, 당해 제1 주사 라인(112)에 접속된 각 화소(110)로 스캔 신호(Scan1~ScanN)를 공급한다. 또한, 스캔 신호(Scan1~ScanN)는 제 1 행의 제1 주사 라인(112)으로 공급되는 스캔 신호(Scan1~ScanN)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스캔 신호(Scan1~ScanN)는 제 N 행의 제1 주사 라인(112)으로 공급되는 스캔 신호(Scan1~ScanN)를 나타내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display period, the first scan driver 121 sequentially selects each first scan line 112 for each row (ie, sequentially scans), and through the selected first scan line 112, the first scan line 112 Scan signals Scan1 to ScanN are supplied to each pixel 110 connected to the scan line 112 . Also, the scan signals Scan1 to ScanN represent the scan signals Scan1 to ScanN supplied to the first scan line 112 of the first row. Similarly, the scan signals Scan1 to ScanN represent the scan signals Scan1 to ScanN supplied to the first scan line 112 of the Nth row.

또한, 표시 기간에서는, 제 2 스캔 드라이버(123)는 행마다의 각 제어 신호 라인(114)으로 공급되는 제어 신호(En)를 제1 레벨(L)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 신호(En1)는 제 1 행의 제어 신호 라인(114)으로 공급되는 제어 신호(En)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어 신호(EnN)는 제 N 행의 제어 신호 라인(114)으로 공급되는 제어 신호(En)를 나타내고 있다. Also, in the display period, the second scan driver 123 controls the control signal En supplied to each control signal line 114 for each row to a first level (L). Also, the control signal En1 represents the control signal En supplied to the control signal line 114 of the first row. Similarly, the control signal EnN represents the control signal En supplied to the control signal line 114 of the Nth row.

화소(110)에 스캔 신호(Scan1~ScanN)가 공급되면, 도 13에 나타내는 화소(110) 중의 스위칭 트랜지스터(M1)가 온 상태로 되고, 당해 화소(110)의 구동 트랜지스터(M2)가 데이터 라인(115)을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ata)으로 바이어스된다. 이 때, 제 2 스캔 드라이버(123)로부터 공급되는 제1 레벨(L)의 제어 신호(En)에 기초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M4)가 온 상태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구동 트랜지스터(M2)를 바이어스하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른 구동 전류(Ioled)가 구동 트랜지스터(M2)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M4)를 통하여, 유기 발광 소자(D1)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D1)는 공급된 당해 구동 전류(Ioled)에 따른 발광 휘도로 발광한다. When the scan signals Scan1 to ScanN are supplied to the pixels 110, the switching transistor M1 in the pixel 110 shown in FIG. 13 is turned on, and the driving transistor M2 of the pixel 110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It is biased with the data voltage Vdata supplied through (115). At this time, based on the first level (L) control signal En supplied from the second scan driver 123, the switching transistor M4 is controlled to be in an on state. Therefore, the driving current Ioled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Vdata for biasing the driving transistor M2 is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rough the driving transistor M2 and the switching transistor M4. As a result,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emits light with a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supplied drive current Ioled.

이어서, 검출 기간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검출 기간에서는,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제어 스위치(sw1)가 오프 상태에 제어되고, 센싱 드라이버(140)의 제어 스위치(sw2)가 온 상태에 제어된다. 즉, 검출 기간에서는, 데이터 라인(115)에는, 센싱 드라이버(140)로부터 검사 전압(Vs)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 신호가 공급되는 것으로 된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detection period. In the detection period, the control switch sw1 of the data driver 130 is controlled to an off state, and the control switch sw2 of the sensing driver 140 is controlled to an on state. That is, in the detection period, a voltage signal for applying the test voltage Vs from the sensing driver 140 is supplied to the data line 115 .

또한, 검출 기간에서는, 제 2 스캔 드라이버(123)는 행마다 각 제2 주사 라인(113)을 순차 선택하고(즉, 순차 주사하고), 선택한 제2 주사 라인(113)을 통하여, 당해 제2 주사 라인(113)에 접속된 각 화소(110)로 센싱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센싱 신호(Sense1)는 제 1 행의 제2 주사 라인(113)으로 공급되는 센싱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센싱 신호(SenseN)는 제 N 행의 제2 주사 라인(113)으로 공급되는 센싱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Also, in the detection period, the second scan driver 123 sequentially selects each second scan line 113 for each row (ie, sequentially scans), and through the selected second scan line 113, the second scan line 113 is sequentially selected. A sensing signal is supplied to each pixel 110 connected to the scan line 113 . In addition, the sensing signal Sense1 represents a sensing signal supplied to the second scan line 113 of the first row. Similarly, the sensing signal SenseN represents a sensing signal supplied to the second scan line 113 of the Nth row.

또한, 검출 기간에서는, 제 2 스캔 드라이버(123)는 행마다의 각 제어 신호 라인(114)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En)를 제2 레벨(H)로 제어한다. Also, in the detection period, the second scan driver 123 controls the control signal En supplied to each control signal line 114 for each row to a second level (H).

화소(110)에 센싱 신호가 공급되면, 도 13에 나타내는 화소(110) 중의 스위칭 트랜지스터(M3)가 온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에, 검사 전압(Vs)이 제어 스위치(sw2), 스위칭 트랜지스터(M3)를 통하여 인가되고,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에, 검사 전압(Vs)에 따른 애노드 전류(Is)가 공급된다.When a sensing signal is supplied to the pixel 110, the switching transistor M3 in the pixel 110 shown in FIG. 13 is turned on. As a result, the inspection voltage Vs is appli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via the control switch sw2 and the switching transistor M3, and the inspection voltage Vs is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 the anode current (Is) according to is supplied.

또한, 이때, 센싱 드라이버(140)의 측정부(141)는 검사 전압(Vs)의 인가에 따르고, 데이터 라인(115)을 통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로 공급되는 애노드 전류(Is)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3)로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3)는 측정부(141)로부터 취득한 전류(Is)의 측정 결과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애노드 전류 측정 데이터(Dva[1:M])를, 센싱 아웃(Sense out) 단자를 통하여 출력한다.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unit 141 of the sensing driver 140 responds to the application of the test voltage Vs and measures the anode current Is suppli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rough the data line 115. is measured, and the measurement result is output to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43.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43 analog-to-digital convert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urrent Is obtained from the measuring unit 141, and converts the digitally converted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1:M] into sensing out (Sense out) is output through the terminal.

또한, 검출 기간에서는, 행마다의 각 제어 신호 라인(114)으로 공급되는 제어 신호(En)가 제2 레벨(H)로 제어되기 때문에, 스위칭 트랜지스터(M4)는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유지 용량(Cst)에 유지된 영상 데이터(즉, 데이터 전압(Vdata))가 검사 전압(Vs)에 기초하는 애노드 전류(Is)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Also, in the detection period, since the control signal En supplied to each control signal line 114 for each row is controlled to the second level H, the switching transistor M4 is controlled to be off. Therefore, the image data (that is, the data voltage Vdata) held in the storage capacitor Cst does not affect the anode current Is based on the test voltage Vs.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프레임 내에서 모든 행에 배치된 화소의 애노드 전류 측정 데이터(Dva[1:M])를 취득하는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제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프레임마다 다른 행의 화소(110)에 대해서 애노드 전류 측정 데이터(Dva[1:M])를 취득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에 걸쳐서, 전 화소(110)의 애노드 전류 측정 데이터(Dva)를 취득하도록, 표시 장치(10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an example of acquiring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1:M]) of pixels arranged in all rows in the first frame is shown,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control. . As a specific example, by acquiring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1:M]) for pixels 110 in different rows for each frame,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 of all pixels 110 over a plurality of frames. ),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operated.

일반적으로는, 애노드 전류(Is)의 측정 시간은 설정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보다 높은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소의 열화는 소정 시간인 수 프레임 단위로 진행되는 것이 아님에 따라, 일정 간격 이상인 복수의 프레임들에 해당하는 시간에 기반하여 화소의 애노드 전류 측정 데이터(Dva)가 취득된다. 그 한편으로, 애노드 전류 측정 데이터(Dva)를 취득함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 검사 전압(Vs)을 인가하고, 당해 유기 발광 소자를 발광시키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측정 시간을 길게 하면, 그 만큼 유기 발광 소자의 열화를 앞당기는 것으로 되고, 콘트라스트의 저하 등과 같이 화질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것으로부터, 화소(110)마다의 애노드 전류(Is)의 측정 시간은 당해 측정의 정밀도와, 당해 측정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열화와의 쌍방의 관점으로부터 결정하면 좋다. In general, as the set time for measuring the anode current Is increases, higher measurement results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deterioration of the pixel does not proceed in units of several frames of a predetermined time, the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 of the pixel is acquired based on a tim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rame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ther hand, in acquiring the anode current measurement data Dva,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made to emit light by applying the test voltage V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the longer the measurement time, the long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accelerat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mage quality is affected, such as a decrease in contrast. From this, the measurement time of the anode current Is for each pixel 110 may be determined from both the viewpoints of accuracy of the measurement and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ue to the measurement.

이상,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구동 타이밍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An example of driving tim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4 .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 예에 대하여, 특히, 당해 표시 장치(100)가 보상 데이터를 산출하고, 당해 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동작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 예에 대하여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Next, referring to FIG. 15 , in an example of a flow of a series of processes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particular, the display device 100 calculates compensation data, and based on the compensation data Therefore, the operation of compensating for the image data will be described. 15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flow of a series of processes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제 1 단계(S101)에서, 표시 장치(100)는 미리 기억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로 흐르는 애노드 전류(Is)의 측정 결과(즉, 도 6에 있어서 전류(Ia))와, 초기 상태에 있어서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의 측정 결과(초기 휘도값(LO))를, 화소(110)마다 취득한다. In the first step S101, the display device 100 measures the anode current Is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n a pre-stored initial state (ie, the current Ia in FIG. 6) and , The measurement result (initial luminance value LO) of the luminance 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n the initial state is acquired for each pixel 110 .

제 2 단계(S103)에서, 또한, 표시 장치(100)의 센싱 드라이버(140)는 소정의 타이밍마다의 검사 기간에 있어서, 화소(110)마다, 유기 발광 소자(D1)에 대해 검사 전압(Vs)을 인가하고,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단자로 공급되는 전류(Is)를 측정한다. 그리고, 센싱 드라이버(140)는 애노드 전류(Is)의 측정 결과를 기억부(150)에 기억시킨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특정 시점(t1) 경과 후의 제2 전류(Ib)는 이 때 측정되는 애노드 전류(Is)의 일 예에 상당한다. In the second step S103, the sensing driver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applies an inspection voltage (V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110 in an inspection period at each predetermined timing. ) is applied, and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measured. Also, the sensing driver 140 store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anode current Is in the storage unit 150 . In addition, the second current Ib after a specific time point t1 shown in FIG. 6 corresponds to an example of the anode current Is measured at this time.

제 3 단계(S105)에서, 이어서, 표시 장치(100)의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는 기억부(150)에 화소(110)마다 기억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전류(Is)의 측정 결과와, 소정의 타이밍마다의 검사 기간에 있어서 측정된 전류(Is)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전류 변화량(ΔI)을 산출한다. In the third step S105, the compensation data calculation unit 160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n store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urrent Is in the initial sta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for each pixel 110,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urrent Is measured in the inspection period at every predetermined timing, the current change amount ?I is calculated.

제 4 단계(S107)에서, 전류 변화량(ΔI)을 산출하면,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는 미리 도출된 전류 변화량(ΔI)과 휘도 열화량(ΔL)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식 2와, 산출한 전류 변화량(ΔI)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량(ΔL)을 화소(110)마다 산출한다. In the fourth step (S107), when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is calculated, the compensation data calculator 160 calculates Equation 2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iously derived current change amount (ΔI) and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A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is calculated for each pixel 110 based on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제 5 단계(S109)에서, 이어서,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는 화소(110)마다 산출한 휘도 열화량(ΔL)과, 당해 화소(110)에 대응하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애노드 전류(Is)의 측정 결과(전류(Ia))에 기초하여, 당해 화소(110)에 대응하는 보상 전류(ΔIc)를 산출한다. In the fifth step (S109), the compensation data calculator 160 calculates the amount of luminance deterioration ΔL calculated for each pixel 110 and the anode current Is corresponding to the pixel 110 in the initial state.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current Ia) of , a compensation current ΔIc corresponding to the pixel 110 is calculated.

제 6 단계(S111)에서,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는 화소(110)마다 산출한 보상 전류(ΔIc)와, 화소(110) 중의 구동 트랜지스터(M2)의 감마 특성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Vdata)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데이터(보상 전압(Δdata))을 화소(110)마다 산출한다. 그리고,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는 화소(110)마다 산출한 보상 데이터(보상 전압(Δdata))을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로 출력한다. In a sixth step S111, the compensation data calculator 160 calculates the data voltage Vdata based on the compensation current ΔIc calculated for each pixel 110 and the gamma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 M2 in the pixel 110. Compensation data (compensation voltage Δdata) for compensating for ) is calculated for each pixel 110 . Then, the compensation data calculator 160 outputs the compensation data (compensation voltage Δdata) calculated for each pixel 110 to the compensation data adder 170 .

제 7 단계(S113)에서,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는 보상 데이터 연산부(160)로부터 화소(110)마다 보상 데이터 취득한다. In the seventh step (S113), the compensation data adder 170 acquires input image data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mpensation data adding unit 170 obtains compensation data for each pixel 110 from the compensation data calculating unit 160 .

제 8 단계(S115)에서,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는 보상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는 생성한 보상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출력한다. 즉,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보상 데이터 가산부(170)로부터 출력되는 보상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화소(110)를 구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화소(110)마다의 휘도 열화가 보상되고, 이미지-스틱킹(번인)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으로 된다. In an eighth step (S115), the compensation data adder 170 generates compensation image data. Then, the compensation data adder 170 outputs the generated compensation image data to the data driver 130 . That is, the data driver 130 drives each pixel 110 based on the compensation image data output from the compensation data adder 170 . By this, the luminance deterioration of each pixel 110 is compensated, and the occurrence of the image-sticking (burn-in) phenomenon is suppressed.

제 9 단계(S117)에서, 표시 장치(100)는 동작이 종료되지 않는 동안(NO), 제2 내지 제8 단계들(S103~S105)의 동작을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실행한다. 이와 반대로, 표시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종료 지시가 올 경우,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YES).In the ninth step S117, the display device 100 continuously executes the operations of the second to eighth steps S103 to S105 at regular intervals while the operation is not ended (NO). Conversely, when an end instruction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display device 100 ends all operations (YES).

또한, 상술한 일련의 동작은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는 장치의 CPU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그 장치에 인스톨된 OS(Operating System)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상술한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장치가 읽기 가능하면, 기억되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치의 외부로부터 접속되는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이 기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록 매체를 장치에 접속함으로써, 그 장치의 CPU에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구성하면 된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operations can be configured by a program for making the CPU of the device that operates each component of the display device 100 function. This program can be configured to be executed through an OS (Oper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device. In addition, this program is not limited to the location where it is stored, as long as it is readable by a device that includes the configuration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For example, a program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ccessed from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to configure the CPU of the device to execute the program by connecting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stored to the device.

이상,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An example of a flow of a series of processes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5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 변화량(ΔI)과 휘도 열화량(ΔL)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식 2)로서 전술한 함수)를 미리 도출한다. 그리고, 표시 장치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화소마다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전류를 측정하고, 당해 측정 결과에 기초하는 전류 변화량(ΔI)과 미리 도출한 당해 함수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량(ΔL)을 산출하고, 산출한 휘도 열화량(ΔL)에 기초하여 화소마다 휘도 열화를 보상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unction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ΔI) and the amount of luminance degradation (Δ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function described above as (Equation 2)) is calculated in advance. derive Then, the display device measures the anode curre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at a predetermined timing, and based on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based on the function derived in advance. ) is calculated, and luminance degradation is compensated for each pixel based on the calculated luminance degradation amount (ΔL).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마다 측정된 유기 발광 소자(D1)의 애노드 전류의 전류 변화량(ΔI)에 기초하여,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즉, 발광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상 값(보정 량)을 직접 산출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입력 데이터의 누적 가산 값에 기초하여 간접적으로 발광 소자의 열화량을 추측하는 수법에 비해, 보다 정확히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량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ensates for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based on the current variation ΔI of the anode curre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measured for each pixel (that is, , Calculate the compensation value (correction amount) directly.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ore accurately compensates for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compared to a method of indirectly estimating the amount of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the cumulative addition value of the input data, for example. it becomes possibl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마다, 유기 발광 소자(D1)의 전류 변화량(ΔI)의 측정 결과로부터 휘도 열화량(ΔL)을 산출하고, 당해 휘도 열화량(ΔL)에 기초하여,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값(보정 량)을 산출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휘도의 열화를 측정하기 위한 더미 화소를 마련하는 방식과는 다르고, 화소마다 유기 발광 소자(D1)에 이러한 열화 량이 다른 상황 하에 있어서도, 당해 화소마다,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량에 따라서 휘도 열화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lculates the luminance degradation amount ΔL from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and based on the luminance degradation amount ΔL, A compensation value (correction amount) for compensating for the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calculated.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a method of providing a dummy pixel for measuring deterioration of luminance, and even under a situation i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has a different amount of deterioration for each pixel,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generates organic light emission for each pixel. It become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deterioration of the element D1.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전술한 수학식 2에 기초하여, 전류 변화량(ΔI)의 측정 결과에 따라서 휘도 열화량(ΔL)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학식 2에는,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파라메타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휘도 열화량(ΔL)을 산출함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휘도 열화량의 변화의 영향을 무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알고리즘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당해 보상 알고리즘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 규모를 크게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based on Equation 2 described above. Here, Equation 2 does not include a parameter representing the elapsed time. Therefore,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calculating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it is possible to ignore the influence of the change i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over time. That is,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mpensation algorithm for compensating for the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nd furthermore, greatly reduce the circuit scale for realizing the compensation algorithm. It is also possible to do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마다의 유기 발광 소자(D1)로 흐르는 애노드 전류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량(ΔL)을 산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화소마다 수광 센서 등과 같은 소자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기존의 화소의 구성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프로세스를 복잡화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새로이 소자를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보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코스트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Also,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is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anod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add an element such as a light-receiving sensor for each pixel, and since it can be realized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structure of an existing pixel, there is no need to complic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add a new elem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st for realizing such a compensation function can be kept low.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마다의 실제의 열화량에 따른 보상을 간단한 알고리즘에 의해 실현하면서, 이미지-스틱킹(번인)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화질이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image-sticking (burn-in) phenomenon and improves image quality and reliability while realizing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actual amount of deterioration of each pixel by a simple algorithm. it becomes possible to do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휘도(즉, 유기 발광 소자(D1)로 공급되는 전류(Ioled)의 전류량)에 의해 발광량(바꾸어 말하면, 계조)을 제어하고 있다. 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mount of light emission (in other words, the gradation) is determined by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at is, the amount of current Ioled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controlling

한편으로,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휘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발광량(즉, 계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지털 구동의 표시 장치에서는, 화소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는「0」 또는 「1」의 이진수 값으로 표현되고,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에 의해 계조를 표현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변형예로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발광량이 제어되는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emission (ie, gradation) by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without changing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xample, in a digitally driven display device, image data supplied to a pixel is expressed as a binary value of “0” or “1”, and a gray level is expressed by a light emission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Here,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3을 참조하여,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화소(110)의 구동에 따른 제어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같은, 발광 시간에 따라서 발광량을 제어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데이터 드라이버(130)로부터 데이터 라인(115)을 통하여 화소(110)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즉, 데이터 전압(Vdata))는 H 또는 L의 이진수 값으로 된다. 그러므로, 구동 트랜지스터(M2)는 턴-온 또는 턴-오프 중의 어느 하나로 제어되고, 스위치 동작과 등가로 된다. 또한, 이 때 구동 트랜지스터(M2)는 정전압 구동(예를 들어, 전원 전압(ELVDD)에서의 정전압 구동)되는 것으로 된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 13 , an overview of control according to driving of the pixels 110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emitted according to the light emission time, such as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image data input from the data driver 130 to the pixel 110 through the data line 115 (ie, The data voltage (Vdata) is a binary value of H or L. Therefore, the driving transistor M2 is controlled to either turn-on or turn-off, equivalent to a switch operation. Also, at this time, the driving transistor M2 is driven with a constant voltage (eg, driven with a constant voltage at the power source voltage ELVDD).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화소(110)에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을 산출된 휘도 열화량(ΔL)에 따른 보상 전압(Δdata)에 의해 조정(보정)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량을 보상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 열화량(ΔL)에 따라서,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을 조정(보정)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량을 보상한다. 또한,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량의 보상에 따른 동작의 상세하게 대하여 후술한다. Further,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ata voltage Vdata input to the pixel 110 is adjusted (corrected) by the compensation voltage Δdata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mount of luminance degradation ΔL. ,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compensated. In contrast,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adjusts (corrects) the emission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ccording to the amount of luminance deterioration Δ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Compensate for the amount of light emitted in (D1). In addition, an operation according to compensation of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by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디지털 구동의 표시 장치로서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당해 표시 장치(100)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량의 제어에 따른 개략적인 동작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개략적인 동작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구동 타이밍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6 ,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is configured as a digital drive display device, a schematic diagram of control of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provided. An example of the i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1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chematic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and schematically shows driving tim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각 프레임을 표시 기간과 검출 기간으로 시분할로 나눠서 관리하고 있다. 이 점에 대하여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마찬가지이다(도 14 참조). 또한, 각 화소(110)로의 검사 전압(Vs)의 인가에 따른 애노드 전류(Is)의 측정에 대하여는, 검출 기간에 있어서 실시되는 점에 대해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16,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divides each frame into a display period and a detection period in time division and manages them. This poi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ee Fig. 14).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the anode current I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inspection voltage Vs to each pixel 1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it is performed in the detection period. do.

또한,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즉, 디지털 구동의 표시 장치)는 1 프레임 중의 표시 기간을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서브프레임의 각각에 있어서, 화소(110) 중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상태(즉, 발광 또는 비발광)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점등 기간 중에 있어서 발광 상태로 제어되는 서브프레임 수에 따라서, 다른 계조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Further,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that is, a digital drive display device), the display period in one fram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frames, and in each of the divided subframes, the organic pixels 110 are displayed. The light emit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D1 (that is, light emitting or non-emitting) is controll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can express different grada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bframes controlled to the light emitting state during the lighting period.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 기간 중에, 서브프레임(SF0~SF3)이 마련되어 있다. 서브프레임(SF0~SF3)은 표시 기간 중에 점등되는 서브프레임의 조합에 따라서, 서로 다른 계조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서브프레임(SF0~SF3) 각각의 기간을 T0~T3으로 한 경우에,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T0:T1:T2:T3=4:3:2:1으로 되도록, 서브프레임(SF0~SF3)의 각각의 기간(T0~T3)을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시 기간 중에 있어서 발광 상태에 제어되는 서브프레임의 조합에 따라서, 4 비트(16 계조)에 상당하는 계조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D1)는 정전압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된다. 본 설명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구동 전압(즉, 정전압)을 Va로서 설명한다.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6, subframes SF0 to SF3 are provided during the display period. The subframes SF0 to SF3 can express different gradations according to combinations of subframes lit during the display period.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period of each of the subframes SF0 to SF3 is T0 to T3,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6, T0:T1:T2:T3 = 4:3:2:1, The respective periods T0 to T3 of the frames SF0 to SF3 are set. With this configuration, gradation expression equivalent to 4 bits (16 gradations) i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of subframes controlled for the light emission state during the display period. Also,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riven with a constant voltage. In this description, the driving voltage (ie, constant voltag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escribed as Va.

여기서, 도 17을 참조하여,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량의 보상에 따른 동작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량의 보상에 따른 동작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보상의 원리를 쉽게 하기 위해, 서브프레임(SF0)에만 착안하여 나타내고 있다. Here, with reference to FIG. 17 , the principle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of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by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FIG. 17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operation according to compensation of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by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7, attention is paid to only the subframe SF0 in order to simplify the principle of compensation.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상태 즉, 유기 발광 소자(D1)가 열화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서브프레임(SF0)을 발광시킨 경우의 발광량은 유기 발광 소자(D1)의 구동 전압(Va)과, 서브프레임(SF0)의 기간(즉, 시계열에 따른 길이)으로 결정된다. 또한, 본 설명에서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발광 시간(즉, 서브프레임(SF0)의 기간)을 초기 발광 시간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17, in the initial state,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not deteriorated, the amount of light emitted when the subframe SF0 emits light is the driving voltage V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t is determined by the period (ie, the length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of the subframe SF0. In this description, the light emission time in the initial state (i.e., the period of the subframe SF0) is taken as the initial light emission time.

이것에 대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가 진행하면, 정전압(Va)에서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를 구동할지라도, 휘도 열화가 발생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 후에 있어서는,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를 초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구동 전압(Va)에서 정전압 구동하여 초기 상태와 동일한 발광량을 얻기 위해서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을 초기 발광 시간보다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있어서 참조 부호(CF(프라임))는 열화 후의 유기 발광 소자(D1)를 구동 전압(Va)으로 정전압 구동하여 초기 상태와 동일한 발광량을 얻는 경우의,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의 연장 분을 나타내고 있다. In contras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deteriorates, even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riven at the constant voltage Va, luminance deterioration occurs. That is, after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n order to obtain the same amount of light emission as the initial state by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t a constant voltage at the driving voltage Va as in the initial stat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t is necessary to make the light emission time longer than the initial light emission time. For example, in FIG. 17 , reference numeral CF (prime) denot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 The extension of the emission time of D1) is shown.

즉,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 열화에 따른 발광 시간의 연장 분(CF(프라임))을 도 16에 나타낸 보상 프레임(CF) 중으로부터 분리하여 보상하고,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을 보정(연장)함으로써,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량을 보상한다. That is,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an extension of the emission time (CF (prime)) due to the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separated from the compensation frame CF shown in FIG. 16 and compensated for. And, by correcting (extending)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compensated.

구체적으로는,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구동 전압(Va)(바꾸어 말하면, 검사 전압(Vs))으로 구동한 경우의 전류 변화량(ΔI)을 측정하고, 전술한 (식 2)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량(ΔL)를 산출한다. 또한, 이 때 산출되는 휘도 열화량(ΔL)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0)를 100% 로 한 경우에 있어서, 열화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Specifically, the change in current whe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is driven with the driving voltage Va (in other words, the inspection voltage Vs), similarly to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ΔI) is measured, and the luminance degradation amount (ΔL) is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2) described above.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calculated at this time represents the rate of deterioration when the luminance L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100% in the initial state.

구체적인 일 예로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0)에 대해, 열화 후의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L)가 절반으로 된 것으로 가정한 경우에는, 휘도 열화량(ΔL)은 50%로 된다. 이 경우에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구동 전압(Va)에서 일정하기 때문에, 휘도 열화량(ΔL)을 보상하여 초기 상태와 동일한 발광량을 얻기 위해서는,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을 2 배로 연장하면 되는 것으로 된다. As a specific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luminance 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after deterioration becomes half of the luminance L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n the initial state, the amount of luminance degradation ( ΔL) becomes 50%. In this case, since the driving voltage V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constant, in order to obtain the same amount of light emission as the initial state by compensating for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set. It becomes possible to extend it by 2 times.

여기서, 휘도 열화량(ΔL)을 보상하여 초기 상태와 동일한 발광량을 얻기 위해 발광 시간을 연장하는 비율을 Tc라 한 경우에는, 발광 시간을 연장하는 시간 비율(Tc)과, 산출된 휘도 열화량(ΔL)과의 관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식 8)로 표현된다. Here, when Tc is the rate at which the light emission time is extended to obtain the same light emission amount as the initial state by compensating for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the time ratio (Tc) for extending the light emission time and the calculated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 The relationship with ΔL) is expressed by (Equation 8) shown below.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8
Figure 112015062842035-pat00008

즉, 상기 수학식 8에 있어서, 휘도 열화량(ΔL)이 50%인 경우에는, 발광 시간을 연장하는 시간 비율(Tc)은 2로 되고,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을 2 배로 연장함으로써, 당해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in Equation 8, whe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is 50%, the time ratio Tc for extending the light emission time is 2, and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doubled. By doing so, it can be seen that it become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또한, 도 16에 나타낸,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구동 타이밍은 어디까지나 일 예이고, 표시 기간 중에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으면, 당해 보상 프레임이 마련되는 표시 기간 중의 위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drive tim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16 is only an example, and if a compensation frame for compensating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during the display period is provided, the compensation is provided. The position during the display period in which the frame is provid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를 들어, 도 18는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의 다른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6에 나타낸 보상 프레임(CF)이 복수의 보상 프레임(CF0~CF3)으로 나누어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때, 복수의 보상 프레임(CF0~CF3)의 각각은 서브프레임(SF0~SF3)과 마찬가지로, 점등되는 보상 프레임의 조합에 따라서, 보상을 위한 발광 기간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FIG. 18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schematic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As shown in Fig. 18, the compensation frame CF shown in Fig. 16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ensation frames CF0 to CF3. In addition,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frames CF0 to CF3, like the subframes SF0 to SF3,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length of the light emission period for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compensation frames to be turned on. may be

이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변형예로서, 도 16 ~도 18을 참조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발광량(즉, 계조)을 제어하는 표시 장치에 대해,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보상 기능을 적용하는 방법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As described above,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16 to 18 , the display device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emission (ie, gradation) by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 an example of a method of applying the compensation func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화소(110)마다 측정된 전류 변화량(ΔI)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량(ΔL)을 산출한다. 그리고,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당해 휘도 열화량(ΔL)에 기초하여 발광 시간을 연장하는 시간 비율(Tc)을 화소(110)마다 산출하고, 산출한 시간 비율(Tc)에 기초하여 유기 발광 소자(D1)의 발광 시간을 화소(110)마다 연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열화량에 따라 휘도 열화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like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a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based on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measured for each pixel 110. yields Further,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calculates the time rate Tc for extending the light emission time for each pixel 110 based o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and based on the calculated time rate Tc. Thus, the emission 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is extended for each pixel 110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can compensate for luminance deterior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또한,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전류 변화량(ΔI)에 기초하여 휘도 열화량(ΔL)을 산출한다. 그러므로,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휘도 열화량(ΔL)을 산출함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휘도 열화량의 변화의 영향을 무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D1)의 휘도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알고리즘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보상 알고리즘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 규모를 크게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Also,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calculates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based on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Therefore,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when calculating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it is possible to ignore the influence of the change i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over time. That is,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a compensation algorithm for compensating for luminanc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can be simplified. Further,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can greatly reduce the circuit scale for realizing the compensation algorithm.

또한,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마다의 유기 발광 소자(D1)에 흐르는 애노드 전류의 측정 결과를 기초하여 휘도 열화량(ΔL)를 산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존의 화소의 구성을 크게 변경 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그 결과, 변형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마다 수광 센서 등과 같은 소자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제조 프로세스의 복잡화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새로이 소자를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동 보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코스트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Further,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the amount of luminance deterioration ΔL is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anod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1 for each pixel.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can be implemented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existing pixel structure. As a result,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does not need to add an element such as a light receiving sensor for each pixel and does not need to complicate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add a new elem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st for realizing the compensation function can be kept low.

이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화소마다의 실제의 열화량에 따른 보상을, 간단한 알고리즘에 의해 실현하면서, 이미지-스틱킹(번인)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화질이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way, even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while realizing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actual amount of deterioration for each pixel by a simple algorithm, occurrence of the image-sticking (burn-in) phenomenon is suppressed, and image quality and reliability are improved. It becomes possible to promote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이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 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착안하여 얻는 것은 명확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of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clear tha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obtained by paying attention to various examples of changes or modifications, and also for these, Naturally, it is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영상 표시 장치 100 : 표시 제어부
112 : 투과 광 검출부 114 : 영상 변환부
120 : 광 계측 디바이스 200 : 투명 표시 패널
10: video display device 100: display control unit
112: transmitted light detection unit 114: image conversion unit
120: optical measurement device 200: transparent display panel

Claims (10)

공급된 전류량에 따라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화소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상기 전류량을 미리 설정된 일정 간격마다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일정 간격 마다 상기 전류량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전류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발광 소자의 휘도 열화량을 산출하는 휘도 열화량 산출부;
상기 발광 소자마다 산출된 상기 휘도 열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열화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산출하는 보정 값 산출부; 및
상기 발광 소자마다 산출된 상기 보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 제공되는 상기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상기 전류량을 제어하고,
상기 화소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된 제1 프레임의 표시 기간을 기반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프레임들 각각마다 상기 화소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서브프레임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발광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표시 기간과는 다른 제2 프레임에 따른 검출 기간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로 공급되는 상기 전류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은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일 프레임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보상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 프레임은 복수의 보상 프레임들로 나누어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보상 프레임들은 상기 서브 프레임들과 인접하게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발광 시간을 연장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보상하는 표시 장치.
a plurality of pixels each including a light emitting element that outputs light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pplied current and a driving transistor tha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element;
a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ed in each of the pixel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change amount of the amount of current at each predetermined interval and calculate a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based on the current change amount;
a correction value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correction value for correcting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based o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calculated for each light emitting device; and
Based on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ed for each light emitting elemen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provid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b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tim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the correction value,
The pixel is controlled based on a display period of a first fram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frames,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ixel to be in an on state or an off state for each of the subframes, and controls the pixel in a combination of the subframes. Control the light e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measuring unit measures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according to a detection period according to a second frame different from the display period,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implemented as a single frame displaying one image,
The first frame further includes a compensation frame,
The compensation frame is provided by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compensation frames,
The plurality of compensation frames are respectively arranged adjacent to the sub-frames to extend the light-emitting tim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to compensate for the light-emitting amount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값은, 상기 발광 소자마다 공급되는 상기 전류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전류이고,
상기 보정 값 산출부는, 상기 휘도 열화량 및 기준 전류량을 기반으로 상기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상기 보정 전류를 산출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rrection value is a correction current for correct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each light emitting element,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or calculates the correction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and the reference current amou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전류(ΔIc)는 상기 기준 전류량(Ia) 및 상기 휘도 열화량(ΔL)에 기반한 아래의 수학식
Figure 112021128672025-pat00009

에 의해 산출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rrection current ΔIc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based on the reference current amount Ia and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Figure 112021128672025-pat00009

Display device calculated by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열화량(ΔL)은 상기 전류 변화량(ΔI), 상기 발광 소자의 특성에 기반한 제1 및 제2 계수들(A, b),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의 초기 상태의 휘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3 계수(C)에 기반한 아래의 수학식
Figure 112015062842035-pat00010

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uminance degradation amount ΔL is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change amount ΔI, first and second coefficients A and b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luminance in an initial stat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Equation below based on the coefficient (C)
Figure 112015062842035-pat00010

A display device determined b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값 산출부는, 상기 휘도 열화량(ΔL)에 기반한 아래의 수학식
Figure 112022056288748-pat00031

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상기 발광 시간을 제어하는 상기 보정 값(ΔTc)을 산출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correction value calculator calculates the following equation based on the luminance deterioration amount ΔL.
Figure 112022056288748-pat00031

The display device calculating the correction value (ΔTc)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tim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based 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92241A 2014-11-10 2015-06-29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eation thereof KR1025358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8288A JP2016090939A (en) 2014-11-10 2014-11-10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JP-P-2014-228288 2014-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74A KR20160055674A (en) 2016-05-18
KR102535821B1 true KR102535821B1 (en) 2023-05-24

Family

ID=5601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241A KR102535821B1 (en) 2014-11-10 2015-06-29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eation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6090939A (en)
KR (1) KR1025358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8975A (en) 2016-06-08 2017-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Degradation diagnosis device
JP6482603B2 (en) * 2017-06-20 2019-03-13 三菱電機株式会社 Deterioration diagnosis device
CN112760356B (en) * 2020-12-23 2022-06-24 浙江农林大学 Vibrio parahaemolyticus detection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9530A (en) * 2005-03-18 2006-09-28 Seiko Epson Corp Organic el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6229B2 (en) 2004-03-2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Burn-in correction devic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946062B2 (en) 2006-01-11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Self-luminous display device, estimated deterioration information correction device, input display data correction device, and program
JP2011095720A (en) * 2009-09-30 2011-05-12 Casio Computer Co Ltd Light-emitting apparatus, drive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JP5560077B2 (en) * 2010-03-25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9530A (en) * 2005-03-18 2006-09-28 Seiko Epson Corp Organic el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674A (en) 2016-05-18
JP2016090939A (en) 201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4696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alculating compensation data thereof,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665626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I598866B (en) A data process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 data processing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KR10090221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1972017B1 (en) Display device, apparatus for compensating degradation and method teherof
KR101697890B1 (en) Video image signal processing circuit, method for processing video image signal, and display device
US8830148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1029719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2351012B1 (en) Compensated drive signal for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8947471B2 (en) Active matrix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920169B1 (en)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for same
KR102028504B1 (en) Organic light-em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uding compensation circuit
KR20170030153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mpensating degradation of the same
KR102369835B1 (en) Display apparaus and display method
KR102260443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369759B1 (en) Display appara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228300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535821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eation thereof
JP2016090940A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2015106096A (en) Display device, calculation method for compensation data of the sam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2579141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mpensating degradation of the same
KR10218382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9336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JP2015106082A (en) Display device, calculation method for compensation data of the sam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20090062639A (en) Apparatus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