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856B1 - 케크캡 및 상기 케그캡을 구비한 케그 - Google Patents

케크캡 및 상기 케그캡을 구비한 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856B1
KR102534856B1 KR1020200077456A KR20200077456A KR102534856B1 KR 102534856 B1 KR102534856 B1 KR 102534856B1 KR 1020200077456 A KR1020200077456 A KR 1020200077456A KR 20200077456 A KR20200077456 A KR 20200077456A KR 102534856 B1 KR102534856 B1 KR 102534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keg
moving member
coupler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032A (ko
Inventor
강태일
이원석
정창훈
강병규
이승철
김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더케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더케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더케그
Priority to KR102020007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856B1/ko
Priority to PCT/KR2020/014682 priority patent/WO2021261670A1/ko
Priority to CN202080103526.6A priority patent/CN116137869A/zh
Publication of KR2022000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8Closing means, e.g. bungholes, barrel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2Pitching ye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2Pressurised rigid containers, e.g. kegs, fig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그의 케크캡 및 케그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크(keg)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그 내부의 맥즙 또는 가스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케그 내부로 효모를 공급할 수 있는 케그의 케크캡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크캡 및 상기 케그캡을 구비한 케그 {Keg cap and keg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그의 케크캡 및 케그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크(keg)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그 내부의 맥즙 또는 가스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케그 내부로 효모를 공급할 수 있는 케그의 케크캡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는 보리를 싹 틔워 만든 맥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에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이러한 맥주의 제조방법은 맥아를 끓여서 맥즙(wort)를 제조하는 단계와, 맥즙에 효모(yeast)를 공급하여 발효시키는 단계와, 발효된 맥주를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슈퍼나 마트 등에서 판매되는 맥주는 위와 같이 제조된 맥주를 유통 및 보관을 위해 살균처리를 한 후 병이나 캔에 담겨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숙성된 맥주를 살균 처리하게 되면 효모가 죽게 되기 때문에, 현재 유통되고 있는 맥주는 살균처리 과정에서 효모가 죽은 상태의 맥주들이다.
반면, 수제 맥주는 효모가 살아있는 상태의 맥주로서, 맥주의 맛과 향을 높이기 위해 직접 생산하는 특색 있는 맥주를 말하는데, 이러한 수제 맥주는 양조 생산 설비가 있는 특별한 곳에서만 맛볼 수 있으며, 어떠한 효모와 홉(hop)을 첨가하는지에 따라 10만 종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수제 맥주 제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수제 맥주는 복잡하고 다양한 제조과정을 거쳐야만 가능하며, 특히 발효와 숙성 과정에서 막대한 설비투자와 긴 제조시간, 많은 노동인력 등이 필요하며, 제조 전 과정을 전문인력이 직접 관리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제조시스템이다.
또한, 맥즙 제조 후 발효를 위해서는 맥즙통에 담겨진 맥즙을 발효를 위한 발효통으로 옮겨 담는 공정이 필요하며, 이때 외부 접촉으로 인한 오염 및 산소 접촉으로 인한 맥주 품질 저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발효 시 효모 외에 다른 균이 없도록 모든 접촉면과 유로를 세척살균해야 하며, 그에 따라 많은 시간과 노동 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 수제 맥주 제조를 위해서는 막대한 설비투자와 장비 및 인력을 필요로 하며, 수제 맥주 제조를 소규모로 하고자 할 때에도 수억의 설비투자 및 많은 인력을 고용하여야 하며, 특히 수제 맥주 제조에 관한 전문지식 또는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맥주 제조장치는 한 번에 많은 양의 맥즙을 만들어 대용량의 맥주를 하나의 탱크에서 발효하여 생산하였으나, 이러한 공정은 맥주에 약간의 오염이라도 생기면 전체 맥주가 오염되어 쓸 수 없거나 팔리지 않을 때 장기간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맥주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7-0119868호 (이하 "선행특허"라 한다)에서는 적정한 양의 수제 맥주를 제조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수제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맥주 제조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특허는 맥주 제조장치의 커플러를 케그의 케그캡에 체결하는 경우에 가스배출유로를 실링부재에 의해 실링하고 개폐하게 된다. 선행문헌의 실링부재는 스프링 등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는데, 이러한 실링부재는 비교적 단면적이 작아서 상기 스프링 등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정확하게 상하로 수직하게 이동하는 것이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에 따른 맥주 제조장치에서는 커플러를 체결하기 전에 케그캡의 가스배출유로가 정확하게 실링 또는 폐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상기 커플러를 상기 케그캡에 체결한 후에도 상기 실링부재가 정확하게 상하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상기 가스배출유로를 완전히 개방하지 못해서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그캡을 발효주 제조장치의 커플러에 연결하는 경우에 가스배출유로를 정확하게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케그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케그에 연결되는 캡 몸체부 및 상기 캡 몸체부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그 내부의 가스가 이동하는 가스배출유로를 개폐하며, 원액이 이동하는 원액배출유로를 제공하는 캡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배출유로는 상기 캡 몸체부의 내벽과 상기 캡 이동부재의 외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이동부재에는 상기 가스배출유로를 실링하는 제1 실링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캡 이동부재의 외벽에 상기 제1 실링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캡 이동부재의 외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캡 몸체부의 내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몸체부에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캡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 몸체부는 상기 케그의 개구부에 연결되는 캡 상부 몸체부와, 상기 캡 상부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캡 하부 몸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 이동부재의 내측에 캡슐이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캡 이동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캡슐의 하부실링부를 파단하는 캡 블레이드부와,
상기 캡 이동부재의 내측에서 캡슐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캡 이동부재의 원액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제2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캡슐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슐 지지부는 상기 캡 이동부재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제2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캡슐이 하부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캡슐 지지부가 하강하여 상기 캡 블레이드부에 의해 상기 캡슐의 하부실링부가 파단되고 상기 원액배출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몸체부에는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커플러가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커플러의 후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경사부와, 상기 후크부가 체결되는 단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액을 통해 발효주를 제조하기 위한 유로모듈의 커플러와 결합되며, 상기 원액을 수용하는 케그에 구비되는 케그캡에 있어서, 상기 케그에 연결되는 캡 몸체부; 및 상기 캡 몸체부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그 내부의 가스가 이동하는 가스배출유로를 개폐하며, 원액이 이동하는 원액배출유로를 제공하는 캡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케그캡과 결합 시, 상기 가스배출유로는 상기 유로모듈의 가스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원액배출유로는 상기 유로모듈의 원액유로와 연통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그캡은 효모가 수용된 캡슐이 내장되는 일체형 케그캡일 수 있다. 즉, 상기 캡 이동부재의 내부에 상기 캡슐이 내장될 수 있다.
커플러에 케그캡이 장착되면, 상기 캡슐 내부가 상기 원액배출유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액을 통해 발효주를 제조하기 위한 유로모듈의 커플러와 결합되며, 상기 원액을 수용하는 케그에 구비되는 케그캡에 있어서, 상기 케그에 연결되는 캡 몸체부; 원액배출유로를 이루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캡 몸체부가 상기 커플러와 결합 시 가압되어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캡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캡 이동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 이동부재와 함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캡 몸체부의 내측과 상기 캡 이동부재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배출유로를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제1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러와 결합 시 상기 캡 이동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커플러의 실링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캡 이동부재의 상단부를 통한 상기 원액배출유로와 상기 가스배출유로 사이의 연통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캡 이동부재의 반경 방향 외측은 가스배출유로를 형성하고 반경 방향 내측은 원액배출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캡 이동부재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중앙에 상기 몸체부의 중공보다 작은 중공을 갖고, 상기 몸체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체결부; 그리고 상기 커플러와 결합 시 가압되어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액배출유로를 개방하는 가압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이동부재가 캡 몸체부에 대해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가압밸브는 캡 이동부재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되 캡 이동부재에 대해서 하방으로 더욱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와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플러와 결합 시 상기 몸체부와 체결부의 하방 변위보다 상기 가압밸브의 하방 변위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캡 이동부재에 대해서 상기 가압밸브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상기 캡 이동부재의 몸체부의 중공에는 내부에 효모를 수용하는 캡슐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와 결합 시, 상기 캡슐의 상단이 상기 커플러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며, 상기 캡슐의 하단이 상기 가압밸브의 몸체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가압밸브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커플러는 캡 이동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별도로 캡슐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 이동부재는, 상기 체결부의 상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상기 몸체부의 중공 내부로 상방 돌출되는 복수 개의 캡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밸브는, 상기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 블레이드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연통홀; 상기 몸체부의 중심에서 하방 연장된 연장지지부; 그리고 상기 연장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와 밀착 해제 시 상기 체결부의 중공을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밸브는 캡 이동부재에 대해서 탄성 지지되며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밸브는 캡슐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플러를 통해 캡슐을 하방으로 가압할 때, 가압밸브는 캡슐의 하부에서 캡슐을 지지하여 캡 블레이드가 캡슐 하부의 하부실링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밸브는 원액배출유로를 개방하기 위한 구성일뿐 아니라 캡슐을 지지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압밸브를 캡슐 지지부라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케그캡을 구비한 케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케그캡을 발효주 제조장치의 커플러에 연결하는 경우에 가스배출유로를 정확하게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주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기계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챔버를 형성하는 셀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의 기계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냉기공급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의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케그에 케그캡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캡 커버 및 고정가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케그캡과 원액호스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케그캡의 단면도,
도 11은 케그캡의 분해측면도,
도 12는 캡 상부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캡 하부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캡 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캡 이동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캡슐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캡슐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커플러의 사시도,
도 18은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커플러의 측단면도,
도 20은 커플러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커플러 이동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커플러를 케그캡에 연결하기 전의 상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3은 커플러가 케그캡에 연결된 상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4는 도 23에서 'A' 영역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 25는 도 23에서 'C' 영역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3에서 'B' 영역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효주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발효주는 맥주 또는 막걸리와 같이 맥즙과 같은 원액을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 상 맥주를 발효주의 일예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맥주를 전제로 한 용어들이 설명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발효주의 일례인 맥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주 제조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2)와 복수 개의 도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2)는 기계실 하우징(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하우징(5)은 발효주 제조장치(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기계실을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기계실 내부 구성들을 보호하도록 기계실 하우징(5)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는 복수 개의 셀(ce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셀은 챔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챔버의 기능에 따라 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그(keg)셀, 취출셀 그리고 공용셀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셀은 케이스(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셀이 서로 맞물려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발효주의 원액을 수용하는 용기를 케그(keg)(80)라 할 수 있다. 발효주의 원액이 제조 과정을 거쳐서 발효주가 되며, 발효주 또한 동일한 상기 케그(80)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그(80)가 구비되는 챔버를 케그챔버(10)라 할 수 있다. 상기 케그챔버(10) 내부에 구비되는 케그(80)에 의해 원액으로부터 발효주가 제조되고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케그챔버(10)는 상기 케이스(2)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그챔버(10)마다 각각 상기 케그(80)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형태의 발효주가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그챔버(10)를 통한 발효주의 제조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동시에 서로 다른 발효주가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제조가 완료된 발효주를 외부로 취출하는 챔버를 취출챔버(20) 내지는 디스펜서챔버(dispenser chamber)라 할 수 있다(이하, '취출챔버'라고 함). 상기 취출챔버(20) 내부에는 발효주를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어셈블리(1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케그챔버(10)의 상기 케그(80)에서 제조된 발효주를 단일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를 통해서 취출할 수 있다. 즉, 단일 취출챔버(2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단일 취출챔버(20)에 단일 디스펜서 어셈블리(1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단일 디스펜서 어셈블리(100)에는 단일 코크가 구비될 수 있다. 단일 코크를 통해서 복수 개의 발효주 중 선택된 발효주가 취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챔버는 전술한 케그챔버(10)와 취출챔버(20)뿐만 아니라 공용 챔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용챔버(30)는 발효주 제조 후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청소를 위한 구성이나 발효주의 취출에 필요한 이산화탄소 탱크와 같은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한 챔버라 할 수 있다. 즉,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케그챔버(10)나 취출챔버(20)와 연결되는 구성들이 수용되는 챔버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계실(40)에는 냉각 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사이클 구성들은 내구성이 충분히 보장된다. 아울러 사용자의 빈번한 접근이 요구되지 않는 구성들이다. 따라서, 기계실(40)을 발효주 제조장치(1)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주 제조장치(1)는 육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육각형의 단면중에 하나의 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총 6 면을 가지므로 발효주 제조장치의 둘레를 따라서 총 12개의 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가 형성되는 셀 케이스의 사이즈는 서로 대칭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육각형은 정육각형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0 개의 챔버는 상기 케그챔버(10)로 구성되고 1개는 상기 취출챔버(20) 그리고 나머지 1개는 상기 공용챔버(30)로 구성될 수 있다. 한정된 발효주 제조장치(1)의 사이즈에서 최대한 큰 용량의 발효주를 제조하기 위하여, 단일 취출챔버(20)와 단일 공용챔버(30)를 형성하고, 나머지 챔버들을 케그챔버(10)로 구성할 수 있다. 만약, 복수 개의 취출챔버나 공용챔버가 구비되면, 그만큼 케그챔버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발효주 제조 용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상기 케그챔버(10)는 발효주를 제조하기 위한 공간이므로 가열이나 냉각이 필요한 공간이다. 따라서, 외부와 단열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도어(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챔버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는 단열 도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케그챔버(10)마다 도어(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독립 냉각 및 독립 가열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용챔버(30)는 이산화탄소탱크나 드레인탱크 등을 수용하는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공용챔버(30)를 개폐하는 도어(3)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용챔버(30)의 도어(30)도 마찬가지로 단열 도어일 수 있으나, 챔버 내부의 온도 제어가 불필요할 수 있으므로 단열 도어가 아닐 수 있다.
한편, 상기 취출챔버(20)는 제조된 발효주를 취출하기 위한 챔버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장 많이 접근하는 챔버이다. 그리고, 발효주 취출을 위해서 사용자는 술잔과 같은 용기를 들고 용기를 챔버 내부로 투입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사용 용이를 위하여 취출챔버(20)에는 도어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그챔버(10)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빈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을 수 있다. 즉, 상기 케그(80)의 교체 시 사용자가 케그챔버(10)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고, 장착된 케그(80)에서 발효주의 제조 및 소비까지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반면에, 상기 공용챔버(30)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빈도는 상기 케그챔버(10)보다는 많고 상기 취출챔버(20)보다는 낮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이산화탄소탱크의 교체나 드레인탱크의 청소 등 상대적으로 공용 구성들에 대한 관리 빈도가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취출챔버(20)의 하부에 상기 공용챔버(30)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라 최적화된 챔버 배치를 구현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취출챔버(20)와 공용챔버(30)를 상기 케이스(2)의 전면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동선 정면에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챔버들에 대한 접근 빈도 그리고 사용자의 접근 자세 등을 고려하면, 상기 취출챔버(20)는 공용챔버(30)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를 사용자의 평균적인 신장에 맞춰 위치시킴으로써, 발효주의 취출이 매우 용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기계실을 챔버들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디스펜서 어셈블리(10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밖에 없어서 취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계실은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냉각 사이클 구성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기계실 자체가 수직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물론, 공용챔버와 유사하게 기계실 챔버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케크챔버(10)의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어서 발효주 제조 용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 압축기, 응축기, 응축기 팬 등의 구성들을 수용시켜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기계실은 챔버들의 상부 즉 발효주 제조장치(1)의 최상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취출챔버(20)와 공용챔버(30)의 위치가 상기 케이스(2)의 전면에 고정되면 상기 케그챔버(10)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취출챔버(20)의 배면에 위치하는 케그챔버(10)로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발효주 제조장치(1)의 후면으로 이동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둘레 전체를 통해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즉, 지나치게 큰 설치 공간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발효주 제조장치(1)가 지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전방에만 사용자의 접근 공간이 확보되더라도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를 설치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왜냐하면, 특정 케그챔버로 사용자가 접근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를 회전시켜 특정 케그챔버가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설치 공간이 요구된다. 다시 말하면 마치 냉장고와 같이 전면으로만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공간만 요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는 상대적으로 무거울 수 있으므로 수평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캐스터(caster)(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스터(8)는 바닥 프레임(7)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닥 프레임(7)의 상부에는 하부 셀 프레임(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셀 프레임(6)은 바닥 프레임(7)과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 프레임(7)과 하부 셀 프레임(6) 사이에는 원 형태의 트러스트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셀 프레임(6)을 통해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셀 프레임(6)과 바닥 프레임(7)은 베어링으로 인해 상하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 프레임(7)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셀 프레임(6)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상기 바닥 프레임(7) 및 캐스터(8)를 제외한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가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그러므로, 여분의 설치 공간 확보가 불필요 하므로 사용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전체 챔버들로 한 방향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복수 개의 챔버뿐만 아니라 기계실 전체가 함께 회전하므로, 기계실과 챔버들 사이에 회전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들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수직 하중을 지지하면서 기계실과 챔버들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구성들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바닥 프레임(7)을 제외한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가 전체로 그리고 일체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우 효과적이고 컴팩트한 냉기공급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구조를 이루는 케이스(2)의 세부 구성을 매우 단순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2)는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데코레이션 패널(4)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한 쌍의 데코레이션 패널(4)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코레이션 패널(4)은 수직 하중과 측면 외력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레이션 패널(4)은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 모서리 부분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발효주 제조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독립된 셀 구조를 적용하여 셀과 셀 사이의 맞물림으로 인해 그 자체로 수직 하중과 측면 외력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셀과 셀 사이에는 상하 맞물림뿐만 아니라 원주 방향 맞물림이 수행되어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직 하중과 측면 외력을 지지하는 데코레이션 패널(4)이 불필요하고 디자인 측면에서의 데코레이션 패널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데코레이션 패널(4)이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금속 재질로 데코레이션 패널(4)이 제작될 수 있다. 물론, 그 두께도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두꺼울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데코레이션 패널(4)이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장식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그 두께도 충분히 얇게 제작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이 아닌 합성수지나 우드 등의 재질로도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비용 절감, 제조 용이 그리고 무게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0)의 케이스(2)와 냉각 사이클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기계실(4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는 하부 셀 프레임(6)과 상부 셀 프레임(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단면이 육각형이므로 상기 하부 셀 프레임(6)과 상부 셀 프레임(9)도 이에 대응되어 육각형일 수 있다.
육각형의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는 전술한 데코레이션 패널(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코레이션 패널(4)은 상하로 구분되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상부의 데코레이션 패널(4)의 상단은 상부 셀 프레임(9)과 결합되고, 하부의 데코레이션 패널(4)의 하단은 하부 셀 프레임(6)과 결합될 수 있다. 상부의 데코레이션 패널(4)의 하단과 하부의 데코레이션 패널(4)의 상단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전술한 챔버를 형성하는 셀 케이스(60)를 도시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케그챔버(10)를 형성하는 셀 케이스(60)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디스펜서챔버(20) 또는 공용챔버(30)를 형성하는 셀 케이스도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셀 케이스(60)는 아우터(outer) 셀 케이스(61)와 이너(inner) 셀 케이스(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셀 케이스(61)와 이너 셀 케이스(62)는 모두 전방이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셀 케이스(61)의 전방 개구부로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가 삽입되어 양자가 일체로 셀 케이스(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는 사출 또는 진공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는 챔버를 형성하므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질감 및 청소 용이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아우터 셀 케이스(61)는 강판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셀 케이스(61)는 전방 개구부를 제외하고 상면과 하면 그리고 측면들이 모두 연결된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아우터 셀 케이스(61) 자체가 하나의 블럭으로 수직 및 수평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는 상기 아우터 셀 케이스(61) 내부에 삽입되어 발포 폼 공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셀 케이스(60)가 단일 구성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와 아우터 셀 케이스(61) 사이의 발포 폼은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셀 케이스(60)는 전술한 단열 도어(3)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인 챔버를 단열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셀 케이스(60)가 전술한 케그챔버(10)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의 내부에는 케그 서포터(70)와 유로모듈(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그 서포터(70)는 상기 케그(80)가 안착되는 케그 안착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 내부의 상부에는 유로모듈(200)이 장착되며, 중간탱크(260) 또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중간탱크(260)는 유로모듈(200)의 일부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모듈(200)은 케그(80)의 캡(520)과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커플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200)은 펌프, 복수 개의 피팅, 복수 개의 튜브 그리고 복수 개의 밸브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로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제작 및 장착될 수 있으며, 컴팩트한 모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이너 셀 케이스(62)의 후벽을 통해서 냉기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의 유입/배출구 등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의 상부에 구비되는 유로모듈(200)의 일부 구성들도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조작할 필요가 있는 유로모듈(200)의 커플러(600)나 중간탱크(260)와 같은 일부 구성만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나머지 유로모듈(200)의 세부 구성들은 차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의 상부에는 유로모듈(200)을 구성하는 유로모듈 케이스(201)가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유로모듈 케이스(201) 내부에는 펌프(219)와 튜브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모듈 케이스(201) 등을 통해서 상기 유로모듈(200)의 많은 구성들이 차폐되고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케그(80)와 결합되기 위한 상기 커플러(600)와, 상기 중간탱크(260)과 결합되기 위한 탱크 커플러(250) 등과 같은 구성들이 노출되고, 다른 구성들은 차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주 제조장치(1)의 케이스(2)는 복수 개의 셀 케이스(60)를 포함한다. 즉, 복수 개의 셀 케이스가 상하 적층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맞물리면서 수직 하중과 수평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셀 케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캐비닛과 같은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2에는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하부에 총 6 개의 셀 케이스(60)가 장착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에 상기 취출챔버(20)를 구성하는 셀 케이스가 장착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취출챔버(20)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5 개의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모두 5 개의 셀 케이스(6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상기 하부 셀 프레임(6)에 6 개의 셀 케이스(60)를 장착하고, 상부에 다시 6 개의 셀 케이스를 장착한 후 상부에 위치하는 셀 케이스를 하부 셀 프레임(9)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전술한 기계실(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코레이션 패널(4)는 하부 셀 프레임(6)과 상부 셀 프레임(9) 사이에 먼저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셀 케이스(60)들을 장착한 후 데코레이션 패널(4)을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는 상기 하부 셀 프레임(6), 서로 맞물리는 복수 개의 셀 케이스(60) 그리고 상기 상부 셀 프레임(9)을 통해서 발효주 제조장치(1)의 기본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매우 단순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발효주 제조장치(1)를 제작할 수 있다. 특히, 단열 공간을 가져야 하는 챔버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단열벽을 갖는 셀 케이스(60)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단열 성능 확보 및 단열벽 형성이 매우 용이하고 단순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전술한 기계실(40)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냉각 사이클을 이루는 대부분의 구성들은 전술한 기계실(40)에 수용된다. 상기 기계실(40)의 측면은 전술한 기계실 하우징(5)을 통해서 차폐되며, 상기 기계실 하우징(5)은 상기 기계실(40)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응축기를 통한 원활한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계실(40)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주 제조장치(1)는 전술한 복수개의 챔버 중에 적어도 일부의 챔버에 냉기를 각각 공급하는 증발기모듈(410)을 포함하는 냉기공급유닛(40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기공급유닛(400)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증발기모듈(410), 압축기(450), 응축기(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450) 및 응축기(460)는 상기 케이스(2)의 상부의 기계실(4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460)에 인접하여 응축기 팬(4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전원공급장치(SMPS, 480)도 상기 기계실(4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케그챔버(10)에 냉기를 직접 공급하는 증발기모듈(410)은 상기 기계실(40)에 위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기계실(40)과 각 챔버 사이에는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냉기 손실이 발행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증발모듈(410)은 실질적으로 발효주 제조장치(1)의 중앙의 빈 공간(50)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기계실(4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압축기(450), 응축기(460) 및 응축기 팬(470)과, 증발기모듈(41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증발기모듈(410)은 상기 복수개의 챔버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연통홀(412, 413, 414, 415)이 형성된 덕트(411)와, 상기 연통홀(412, 413, 414, 415)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411) 내측의 냉기를 상기 챔버로 공급하는 팬(416)과, 상기 덕트(411) 내측에 구비되어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제공하는 증발기유닛(미도시) 및 상기 덕트(4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유닛에서 발생되는 제상수를 수집하는 제상수 탱크(49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기모듈(410)은 전술한 덕트(411)에 구성요소가 모두 배치되어 단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411)를 상기 상부 셀 프레임(9)에 연결하여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추후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덕트(411)는 상하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411)의 상하에는 각각 상부 마감플레이트(419)와 하부 마감플레이트(418)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마감플레이트(419)와 하부 마감플레이트(418)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발효주 제조장치(1)의 중앙의 빈 공간(50)에 형합될 수 있다.
상기 덕트(411)의 내측에는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제공하는 증발기유닛이 배치된다.
상기 증발기유닛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덕트(411)의 연통홀(412, 413, 414, 415)을 통해서 전술한 챔버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통홀(412, 413, 414, 415)은 상기 챔버로 냉기를 공급하는 공급홀(413, 415)과, 상기 챔버에서 상기 덕트(411)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412, 414)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411)에서 상기 챔버로 냉기를 원할하게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챔버에서 데워진 공기를 상기 덕트(411)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급홀(413, 415)과 배기홀(412, 414)을 구비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는 상하로 적층되어 2층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홀(413, 415)과 배기홀(412, 414)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411)에 상하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홀(413, 415)의 직경이 상기 배기홀(412, 4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덕트(411) 내부의 냉기를 보다 빠르고 원할하게 상기 챔버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팬(416)은 상기 공급홀(413, 415)에 구비되어 상기 팬(416)의 구동에 의해 상기 덕트(411) 내부의 냉기를 상기 챔버로 빠르고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기홀(412, 414)에는 팬이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공기의 빠른 순환을 위해서 상기 배기홀(412, 414)에도 팬이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덕트(411)는 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발효주 제조장치(1)의 중앙의 빈 공간(50)의 육각형 단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공급홀(413, 415) 및 배기홀(412, 414)은 상기 덕트(411)의 육각면의 각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411)의 육각면의 각 면의 상하부에 공급홀(413, 415) 및 배기홀(412, 41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411)의 하부에는 제상수 탱크(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덕트(411)의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유닛을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증발기유닛에 성에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에를 제상모드를 통해 제거하는 경우에 제상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상수가 상기 증발기유닛에서 낙하하여 상기 덕트(411)의 내측 하부에 고이는 경우에는 오염 및 악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411)의 하부에 상기 제상수 탱크(490)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411)의 내측 하부와 상기 제상수 탱크(490)를 연결홀 또는 연결유로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유닛에서 낙하하는 제상수를 효과적으로 상기 제상수 탱크(490)에 모을 수 있다.
한편, 도 6은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둘레를 따라서 전술한 셀 케이스(60)가 밀착되어 구비된다. 도시된 셀 케이스(60)는 챔버를 형성하는 이너 셀 케이스(62)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그러나, 아우터 셀 케이스(61)를 통해서 셀 케이스(60)의 측면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셀 케이스(60)는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근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일정 깊이까지는 좌우폭이 일정하지만, 더욱 후방으로 갈 수록 좌우폭이 좁아질 수 있다. 즉, 대략적으로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셀 케이스(60)의 형상으로 인해 셀 케이스(60)의 측벽은 이웃하는 셀 케이스(60)의 측벽과 맞물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셀 케이스(60)는 하나의 블럭 형태로 수직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셀 케이스(60)들이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둘레를 따라(원주 방향을 따라) 측벽들이 서로 맞물리는 경우, 상기 셀 케이스(60)들의 후방에는 빈 공간(50)이 형성된다.
상기 셀 케이스(60)들의 전방면들이 육각형상을 이루고 상기 셀 케이스(60)들의 후방면이 전방면과 평행한 경우,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중심에도 마찬가지로 육각형상의 공간(5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50)은 육각 기둥 형상을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 중간의 빈 공간(50)을 이용하여 증발기모듈(410)를 배치할 수 있다.
즉, 단열재로 둘러싸인 상기 덕트(411)와 상기 덕트(411) 내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증발기유닛을 통해서 각각의 챔버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금속의 덕트를 사용하지 않고 속이 빈 육각단면의 단열재 기둥을 통해서 덕트 기능 및 단열벽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411)는 내부에 증발기가 수용되는 단열벽 기둥일 수 있다.
각각의 셀 케이스(60)의 측벽들은 서로 맞물리고, 셀 케이스(60)의 후벽들은 상기 덕트(411)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411)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없이 셀 케이스들의 형상과 맞물림을 통해서 빈 공간(50)이 자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빈 공간(50)은 상기 발효주 제조장치(1)의 중앙(또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챔버의 중앙)에 형성되므로, 반경 방향으로 원활하고 효율적인 냉기 공급 및 냉기 회수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별도로 빈 공간(50) 외부로 공기의 유동이 배제될 수 있으므로, 냉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덕트(411) 자체가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시에 단열벽을 갖는 셀 케이스(60)들로 덕트를 둘러싸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케그챔버(10)는 셀 케이스(60)에 형성되고 케그챔버(10)의 내벽은 이너 셀 케이스(62)에 의해 형성된다.
이너 셀 케이스(62)에는 전방 개구부(62a)가 형성되며, 전방 개구부(62a)의 후방으로 양측에 측벽들(62b, 62c)이 형성된다. 전방 측벽(62b)은 전방 개구부(62b)를 통한 넓은 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해 양쪽이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후방 측벽(62c)은 후방으로 갈수록 양쪽 사이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방 측벽(62c)에 의해서 이너 셀 케이스(62) 내부에는 후방으로 갈 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측벽(62c)으로 인해 이웃하는 셀 케이스(60)는 서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너 셀 케이스(62)의 후벽(62d)은 평면 형상의 수직벽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팬(416)이 장착되어 전술한 증발기유닛로부터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가 이너 셀 케이스(6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이너 셀 케이스(62) 후벽(62d)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401)는 전술한 덕트(411)의 공급홀(413, 415)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셀 케이스(62)의 후벽(62d)에는 이너 셀 케이스(62) 내부를 냉각시킨 공기가 이너 셀 케이스(62)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전술한 덕트(411)의 배기홀(412, 41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및 배기홀(412, 414)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증발기유닛과 열교환된 후 냉각되어 하강하고, 다시 상기 공급홀(413, 415) 및 유입구(401)를 통해 상기 이너 셀 케이스(6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전술한 팬(416)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원활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위해 상기 유입구(401)의 직경이 배출구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와 배출구의 형상은 원형임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효주 제조장치(1)의 케그챔버(10)에 장착되는 케그(80) 및 케그캡(52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케그(80)에 케그캡 어셈블리(5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상기 케그(80)가 상기 케그챔버(1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의 (A)는 상기 케그캡 어셈블리(500)가 보호필름(501)에 의해 감싸져서 상기 케그(8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의 (B)는 상기 보호필름(501)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의 (C)는 상기 케그(80)에 본 발명에 따른 케그캡(5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캡 커버(502), 고정가스켓(504) 및 캡슐(506)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케그(80)에는 상기 케그캡(520)이 장착되어 상기 케그챔버(10)에 안착되어 커플러(6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케그챔버(10)에 상기 케그(80)가 안착되기 전에 상기 케그(80)의 이동 중에 상기 케그캡(520)이 노출된 상태로 이동된다면 이동 중에 상기 케그캡(520)의 손상 또는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그캡(520)의 내측에 발효주의 발효를 돕는 효모 등이 담긴 캡슐(506)이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케그(80)의 이동 중에 상기 캡슐(506)의 분실 또는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그(80)에 케그캡(520)이 연결되고, 상기 케그캡(520)의 내측에 상기 캡슐(506)이 장착된 경우 상기 케그캡(520)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술한 캡 커버(502), 고정가스켓(504) 및 보호필름(501)을 장착하게 된다.
도 8은 상기 캡 커버(502) 및 고정가스켓(504)을 도시한다. 도 8의 (A)는 상기 캡 커버(502)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상기 캡 커버(502)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8의 (C)는 상기 고정가스켓(504)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케그캡(520)의 내측에 상기 캡슐(506)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먼저 상기 고정가스켓(504)을 상기 케그캡(520)의 상단부에 장착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가스켓(504)의 상부에 캡 커버(502)를 덮어 씌우게 된다. 상기 캡 커버(502)는 상기 고정가스켓(504)의 상부에 억지 끼움 형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 커버(502)의 내측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 리브(503)의 하단부가 상기 캡슐(506)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캡슐(506)이 상기 케그캡(52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커버(502)의 둘레를 따라 전술한 보호필름(501)을 끼워서 상기 캡 커버(502)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501)은 수축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어서, 상기 캡 커버(502)에 씌워지는 경우에 수축에 의해 상기 캡 커버(502)를 고정하고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상기 케그캡(52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원액호스(510)를 도시한다. 도 9의 (A)는 상기 케그캡(520)에 상기 원액호스(51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9의 (B)는 상기 원액호스(51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원액호스(510)는 상기 케그캡(52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케그(8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원액호스(510)의 길이는 상기 원액호스(510)의 하단부가 대략 상기 케그(80)의 내측 바닥에 매우 인접한 상태가 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액호스(510)에 의해 상기 케그(80) 내부의 원액 또는 맥주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케그캡(520)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케그캡(520)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11에서는 전술한 캡 커버(502)와 고정가스켓(504)을 함께 도시하였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케그캡(520)은 상기 케그(80)에 연결되는 캡 몸체부(565) 및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그(80) 내부의 가스가 이동하는 가스배출유로(700)를 개폐하며, 원액이 이동하는 원액배출유로(546)를 제공하는 캡 이동부재(54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케그캡(520)의 경우 선행문헌과 같이 단순히 실링부만 상하로 이동하여 가스배출유로를 개폐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로 연장된 몸체를 가지는 캡 이동부재(540)에 의해 가스배출유로(700)를 개폐하여 상기 가스배출유로(700)의 개폐를 보다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캡 이동부재(540)가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캡 몸체부(565)에 의해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가스배출유로(700)의 개폐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 몸체부(565)는 상기 케그(80)에 연결되는 캡 상부 몸체부(530)와, 상기 캡 상부 몸체부(530)의 하부에 연결되는 캡 하부 몸체부(56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캡 상부 몸체부(53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상기 캡 하부 몸체부(5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는 상기 캡 상부 몸체부(530)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2의 (B)는 상기 캡 상부 몸체부(530)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의 (A)는 상기 캡 하부 몸체부(560)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3의 (B)는 상기 캡 하부 몸체부(560)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캡 상부 몸체부(530)는 상기 케그(80)의 개구부(미도시)에 대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원형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캡 상부 몸체부(530)는 상부가 개방된 제1 몸체부(532)와, 상기 제1 몸체부(53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몸체부(535)와, 상기 제2 몸체부(535)의 내측에서 상기 제1 몸체부(53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3 몸체부(5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532)의 내측에는 제1 개구부(5300)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몸체부(533)의 내측에는 제2 개구부(5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5300)에는 후술하는 커플러(6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개구부(5310)에는 후술하는 캡 이동부재(5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5300)와 제2 개구부(5310)는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개구부(5300)가 상기 제2 개구부(5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개구부(5300)와 제2 개구부(5310)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내측으로 돌출부(5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36)는 상기 제2 개구부(5310)의 내측에 캡 이동부재(540)가 배치되는 경우에 가스배출유로(7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상기 제1 몸체부(532)의 내측에는 가이드부(53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3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플러(600)가 연결되는 경우에 커플러의 후크부(693)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체결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부(538)는 상기 커플러(600)가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커플러(600)의 후크부(69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경사부(539A))와, 상기 후크부(693)가 체결되는 단턱부(539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38)는 상기 제1 몸체부(532)의 내벽에서 내측을 향해 미리 정해진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538)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부(69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경사부(539A)가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600)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커플러(6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상기 커플러(600)의 후크부(693)가 상기 경사부(539A)를 따라 하부로 경사져서 이동하며, 이웃하는 가이드부(538)의 단턱부(539B)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600)를 상기 케그캡(520)에 연결하는 경우에 나사산 등의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몸체부(533)에는 체결홀(534)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하부 몸체부(560)가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캡 하부 몸체부(560)의 후크(562)가 상기 체결홀(534)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535)와 상기 제3 몸체부(533)의 사이 공간(537)에는 오링 가이드(580) 및 오링(58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링(582)은 상기 캡 이동부재(540)가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측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3 몸체부(533)를 외부에서 내측으로 가압하여 가스배출유로(700)를 보다 효과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캡 하부 몸체부(560)는 몸통부(561)와 상기 몸통부(561)의 상단부에 형성된 후크(56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크(562)는 전술한 상기 캡 상부 몸체부(530)의 체결홀(534)에 체결되어 상기 캡 하부 몸체부(560)를 상기 캡 상부 몸체부(530)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561)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지지부(563)가 형성되어, 상기 캡 상부 몸체부(530)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4는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측에 배치되는 캡 이동부재(540)를 도시한다. 도 14의 (A)는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사시도이고, 도 14의 (B)는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캡 이동부재(540)는 상하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원액배출유로(546)를 제공하는 몸통부(5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액배출유로(546)는 상기 케그(80) 내부의 원액이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며, 나아가 효모 등이 수용된 캡슐(506)을 상기 케그캡(520)에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원액배출유로(546)의 공간에 상기 캡슐(506)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도 15는 상기 캡슐(506)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A)는 상기 캡슐(506)의 사시도이고, 도 15의 (B)는 상기 캡슐(506)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캡슐(506)은 내측에 효모 등을 수용하는 수용공간(505)을 제공한다. 상기 수용공간(505)에는 주로 효모가 수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도에 따라 효모 이외의 재료가 수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캡슐(506)의 몸체부(507)는 상부가 하부에 비해 단면적이 더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캡슐(506)을 측면에서 보게 되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캡슐(506)을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내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캡슐(506)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서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캡슐(506)의 상부에는 개구된 상부를 막는 상부실링부(508)가 제공되며, 하부에는 개구된 하부를 막는 하부실링부(507)가 제공된다. 상기 캡슐(506)은 세척 및 소독과정을 거친 후에 상부 또는 하부의 어느 한 쪽을 실링부에 의해 막은 후 내측에 효모 등을 투입하고 다른 한쪽을 실링부에 의해 막아서 제작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몸통부(541)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통부(541)의 내측 공간이 원액이 이동하는 원액배출유로(546)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캡 이동부재(540)가 전술한 캡 몸체부(565)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가스배출유로(700)는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벽과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외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스배출유로(700)를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상기 캡 이동부재(540)를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벽과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외벽 사이의 공간이 가스배출유로(700)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캡 이동부재(540)에는 상기 가스배출유로를 실링하는 제1 실링부재(5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재(590)가 전술한 캡 몸체부(565)의 돌출부(536)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가스배출유로(700)가 폐쇄되며, 상기 제1 실링부재(590)가 상기 돌출부(536)에서 이격되는 경우 상기 가스배출유로(700)가 개방된다.
한편,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외벽에는 상기 제1 실링부재(590)가 연결되는 연결부(5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42)는 상기 몸통부(541)의 외벽에서 외측을 향해 'ㄱ'자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542)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실링부재(590)가 안착되어 연결되는 안착부(5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42)는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몸통부(541)의 외벽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 이동부재(540)가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부(542)가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 이동부재(54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부(542)가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벽에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캡 이동부재(540)가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스배출유로(700)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내측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슐(506)이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내측에는 상기 캡슐(506)의 하부실링부(507)를 파단하는 캡 블레이드부(5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캡 블레이드부(545)는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몸통부(541)의 내측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 블레이드부(545)의 상단부는 상기 캡슐(506)의 하부실링부(507)를 파단하기에 적합하도록 두께 또는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몸통부(541)의 하부에는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5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44)에는 전술한 원액호스(51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44)의 하단부의 내측에는 개구부의 폭이 좁아지는 돌출부(54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48)는 후술하는 캡슐 지지부(550)의 제2 실링부(554)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 이동부재(540)가 상기 캡 몸체부(565)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캡 이동부재(540)를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5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570)는 전술한 상기 연결부(542)의 하부와 상기 캡 하부 몸체부(5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캡 이동부재(540)를 상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570)에 의해 상기 캡 이동부재(540)가 상방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실링부재(590)가 상기 캡 몸체부(565)의 돌출부(536)를 가압하여 상기 가스배출유로(700)가 폐쇄된다.
한편,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내측에는 상기 캡슐(506)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원액배출유로(546)를 개폐하는 제2 실링부재(554)를 구비하는 캡슐 지지부(5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캡슐 지지부(5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는 상기 캡슐 지지부(550)의 사시도이고, 도 16의 (B)는 상기 캡슐 지지부(550)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캡슐 지지부(55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적으로 'T'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액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통홀(556)이 형성된 상부 몸체부(551)와, 상기 상부 몸체부(551)의 하부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된 연장지지부(552)와 상기 연장지지부(55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실링부재(554)가 연결되는 하부 몸체부(5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 지지부(550)는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몸체부(551)의 연통홀(556)에 전술한 캡 블레이드부(545)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지지부(552)는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하부의 체결부(544)를 통해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몸체부(553)는 상기 체결부(544)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캡슐 지지부(550)가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캡슐 지지부(550)는 상기 캡 이동부재(54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제2 탄성부재(557)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557)가 상기 캡슐 지지부(550)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실링부재(554)가 상기 체결부(544)의 하단부 내측의 상기 돌출부(548)에 가압되어 실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지지부(550)가 하방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실링부재(554)가 상기 체결부(544)의 하단부 내측의 상기 돌출부(548)에서 이격되어 원액배출유로(546)를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캡슐 지지부는 커플러와 체결되어 하방 가압 시 원액배출유로를 개방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캡슐 지지부를 가압밸브라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밸브는 실링부재를 통해 캡 이동부재의 체결부와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밀착은 가압밸브에 가압이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밀착 해제 즉 원액배출유로 개방은 가압밸브가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은 전술한 캐그챔버(10)에 배치되어 상기 케그(80)의 케그캡(520)에 연결되는 커플러(600)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기 커플러(6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상기 커플러(600)의 측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커플러(600)는 원액이 이동하는 원액유로(6400)와 가스가 이동하는 가스유로(645)를 제공하는 커플러 몸체부(640)와,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에 연결되어 상기 케그캡(520)에 연결되는 커플러 외벽부(690) 및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원액유로(6400)를 개폐하는 커플러 이동부재(67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A)는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사시도이고, 도 20의 (B)는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측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는 몸통부(6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641)에는 원액유로(6400)를 형성하는 개구부(643, 648)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643, 648)는 제1 개구부(643)와 제2 개구부(648)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개구부(643)와 제2 개구부(648)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원액유로(6400)는 전술한 케그캡(520)의 원액배출유로(546)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643)는 상부의 돌출 연결부(64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연결부(642)의 상부에는 추가 연결부재(620)가 연결되어 원액유로를 상부를 향해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원액유로는 전술한 유로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연결부(642)와 추가 연결부재(620) 사이에는 가스켓(63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부(643)와 제2 개구부(648) 사이에는 돌출부(649)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커플러 이동부재(670)의 제3 실링부재(672)가 상기 돌출부(649)를 가압하여 실링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상기 제2 개구부(648)에는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3 실링부재(672)에 의해 원액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몸통부(641)의 일측에는 가스유로(645)를 제공하는 연장부(6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644)의 내측에 가스유로(645)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유로(645)는 전술한 케그캡(520)의 가스배출유로(7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통부(641)의 하면에는 상기 가스유로(645)를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646A, 646B)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삽입공간(646A)에는 제4실링부재(650)가 삽입되어 배치되며, 제2 삽입공간(646b)에는 제5 실링부재(66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플러(600)가 상기 케그캡(520)에 연결되어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제4 실링부재(650)는 상기 케그캡(520)의 가스배출유로(700)를 실링하는 상기 제1 실링부재(590)를 가압하여 상기 가스배출유로(700)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하부에는 상기 캡슐(506)을 가압하는 캡슐 가압부(64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600)가 상기 케그캡(520)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캡슐 가압부(647)는 상기 캡슐(506)의 상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캡슐(506) 및 캡슐 지지부(550)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캡 블레이드부(545)가 상기 캡슐(506)의 하부실링부(507)를 파단하게 된다.
도 21은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의 (A)는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의 사시도이고, 도 21의 (B)는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의 측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는 몸통부(67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671)의 상부에는 상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673)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673)의 상단부에 제3 실링부재(672)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실링부재(672)는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돌출부(649)를 가압하여 원액유로(6400)를 실링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는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내측에서 제3 탄성부재(68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탄성부재(680)가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를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제3 실링부재(672)가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돌출부(649)를 가압하여 원액유로(6400)를 실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플러(600)를 상기 케그캡(520)에 연결하여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실링부재(672)가 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돌출부(649)에서 이격되어 상기 원액유로(6400)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통부(671)의 내측에는 원액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개구부(6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674)를 통해 원액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671)의 하부에는 상기 캡슐(506)의 상부실링부(508)를 파단하는 커플러 블레이드부(67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플러(600)를 상기 케그캡(520)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커플러 블레이드부(675)가 상기 캡슐(506)의 상부실링부(508)를 파단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커플러 블레이드부(675)의 하단부가 상기 커플러(600)에서 하방을 향해 제일 돌출하여 제공된다.
즉, 전술한 커플러 블레이드부(675), 캡슐 가압부(647) 및 제4 실링부재(650)의 하단부의 돌출 정도를 비교해보면 상기 커플러 블레이드부(675), 캡슐 가압부(647) 및 제4 실링부재(650)의 순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돌출정도는 상기 커플러(600)를 상기 케그캡(520)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캡슐(506)의 상부실링부(508)와 하부실링부(507)를 효과적으로 파단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한편,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의 하단부(376)는 상기 캡슐(506)의 상단부에 접하게 된다.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의 하단부(376)가 상기 캡슐(506)의 상단부에 접하는 경우에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가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가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실링부재(672)가 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돌출부(649)에서 이격되어 상기 원액유로(6400)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커플러 외벽부(690)에는 상기 케그캡(520)에 결합되는 후크부(693)와, 상기 커플러(60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69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693)는 상기 커플러 외벽부(690)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전술한 캡 몸체부(565)의 가이드부(538)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692)를 이용하여 상기 커플러(600)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커플러(6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상기 커플러(600)의 후크부(693)가 상기 경사부(539A)를 따라 하부로 경사져서 이동하며, 이웃하는 가이드부(538)의 단턱부(539B)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커플러(600)는 상기 커플러 외벽부(690)에 연결되는 커버부(6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610)는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커플러(600)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플러(600)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2는 상기 커플러(600)를 상기 케그캡(520)에 연결하기 전의 상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23은 상기 커플러(600)가 상기 케그캡(520)에 연결된 상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692)를 이용하여 상기 커플러(6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상기 커플러(600)의 후크부(693)가 상기 경사부(539A)를 따라 하부로 경사져서 이동하며, 이웃하는 가이드부(538)의 단턱부(539B)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커플러 블레이드부(675)의 하단부가 상기 커플러(600)에서 하방을 향해 제일 돌출하여 제공되므로, 상기 커플러(600)를 상기 케그캡(520)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커플러 블레이드부(675)가 상기 캡슐(506)의 상부실링부(508)를 파단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의 하단부(376)가 상기 캡슐(506)의 상단부에 접하게 된다.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의 하단부(376)가 상기 캡슐(506)의 상단부에 접하는 경우에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가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가 상승하게 된다.
도 24는 도 23에서 'A' 영역을 확대해서 도시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실링부재(672)가 상기 커플러 몸체부(640)의 돌출부(649)에서 이격되어 상기 원액유로(6400)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플러 이동부재(670)의 하단부(376)가 상기 캡슐(506)의 상단부에 접하는 것과 동시에 또는 후속하여 상기 캡슐 가압부(647)가 상기 캡슐(506)의 상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캡슐(506) 및 캡슐 지지부(550)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캡 블레이드부(545)가 상기 캡슐(506)의 하부실링부(507)를 파단하게 된다.
도 25는 도 23에서 'C' 영역을 확대해서 도시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 지지부(550)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실링부재(554)가 상기 체결부(544)의 하단부 내측의 상기 돌출부(548)에서 이격되어 원액배출유로(546)를 개방하게 된다.
이어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실링부재(650)가 상기 케그캡(520)의 가스배출유로(700)를 실링하는 상기 제1 실링부재(590)를 가압하여 상기 가스배출유로(700)를 개방하게 된다. 도 26은 도 23에서 'B' 영역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에서는 발효주 제조장치에서 발효주를 취출하는 발효주 취출장치가 구현된 실시예를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발효주 제조장치와 발효주 취출장치가 각각 별개의 케이스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효주 제조장치에서는 발효주만 제조하고, 제조된 발효주의 취출을 위해서 별도의 발효주 취출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발효주 제조장치와 발효주 취출장치 사이에 발효주와 이산화탄소 등이 유입될 수 있는 유로들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주 제조장치는 발효주를 제조하는 장치와 발효주를 취출하는 장치로 분리 제작 및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양자를 연결하는 유로들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하나의 장치에 전체가 구비되지 않고 두 개의 장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발효주 제조장치
10..케그챔버
20..취출챔버
30..공용챔버
40..기계실
60..셀 케이스
80..케그
100..디스펜서 어셈블리
400..냉기공급유닛
520..캡
600..커플러

Claims (20)

  1. 원액을 통해 발효주를 제조하기 위한 유로모듈의 커플러와 결합되며, 상기 원액을 수용하는 케그에 구비되는 케그캡에 있어서,
    상기 케그에 연결되는 캡 몸체부;
    원액배출유로를 이루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캡 몸체부가 상기 커플러와 결합 시 가압되어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캡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캡 이동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 이동부재와 함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캡 몸체부의 내측과 상기 캡 이동부재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배출유로를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제1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러와 결합 시 상기 캡 이동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커플러의 실링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캡 이동부재의 상단부를 통한 상기 원액배출유로와 상기 가스배출유로 사이의 연통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이동부재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 중앙에 상기 몸체부의 중공보다 작은 중공을 갖고, 상기 몸체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체결부; 그리고
    상기 커플러와 결합 시 가압되어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원액배출유로를 개방하는 가압밸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커플러와 결합 시 상기 몸체부와 체결부의 하방 변위보다 상기 가압밸브의 하방 변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공에는 내부에 효모를 수용하는 캡슐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와 결합 시, 상기 캡슐의 상단이 상기 커플러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며, 상기 캡슐의 하단이 상기 가압밸브의 몸체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가압밸브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 이동부재는, 상기 체결부의 상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상기 몸체부의 중공 내부로 상방 돌출되는 복수 개의 캡 블레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밸브는,
    상기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캡 블레이드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연통홀;
    상기 몸체부의 중심에서 하방 연장된 연장지지부; 그리고
    상기 연장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와 밀착 해제 시 상기 체결부의 중공을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유로는 상기 캡 몸체부의 내벽과 상기 캡 이동부재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 이동부재의 외벽에 상기 제1 실링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캡 이동부재의 외벽에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캡 몸체부의 내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부에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캡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부는
    상기 케그의 개구부에 연결되는 캡 상부 몸체부와, 상기 캡 상부 몸체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캡 하부 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이동부재의 내측에 캡슐이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캡 이동부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캡슐의 하부실링부를 파단하는 캡 블레이드부와,
    상기 캡 이동부재의 내측에서 캡슐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캡 이동부재의 원액배출유로를 개폐하는 제2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캡슐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지지부는 상기 캡 이동부재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제2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캡슐이 하부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캡슐 지지부가 하강하여 상기 캡 블레이드부에 의해 상기 캡슐의 하부실링부가 파단되고 상기 원액배출유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부에는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커플러가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커플러의 후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경사부와, 상기 후크부가 체결되는 단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그캡은 효모가 수용된 캡슐이 내장되는 일체형 케그캡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그캡.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에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케그캡을 구비한 케그.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077456A 2020-06-24 2020-06-24 케크캡 및 상기 케그캡을 구비한 케그 KR10253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56A KR102534856B1 (ko) 2020-06-24 2020-06-24 케크캡 및 상기 케그캡을 구비한 케그
PCT/KR2020/014682 WO2021261670A1 (ko) 2020-06-24 2020-10-26 케그 캡 및 상기 케그 캡을 구비한 케그
CN202080103526.6A CN116137869A (zh) 2020-06-24 2020-10-26 小桶盖及具有所述小桶盖的小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56A KR102534856B1 (ko) 2020-06-24 2020-06-24 케크캡 및 상기 케그캡을 구비한 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32A KR20220000032A (ko) 2022-01-03
KR102534856B1 true KR102534856B1 (ko) 2023-05-22

Family

ID=7928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456A KR102534856B1 (ko) 2020-06-24 2020-06-24 케크캡 및 상기 케그캡을 구비한 케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34856B1 (ko)
CN (1) CN116137869A (ko)
WO (1) WO2021261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5767S1 (en) * 2020-04-01 2023-11-28 Inthekeg, Inc. Beer making apparatus
CN216876086U (zh) * 2022-01-20 2022-07-0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24B1 (ko) * 2017-09-18 2019-03-26 주식회사 인더케그 효모캡슐 일체형 케그캡, 효모캡슐 일체형 케그캡 결합용 커플러, 이를 구비하는 맥주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4077B1 (fr) * 1998-01-23 2000-04-07 Oreal Valve a regulation de debit de sortie, et recipient equipe d'une telle valve
US20140238372A1 (en) * 2013-02-28 2014-08-28 Anthony Chirico Hybrid Compound Bow Slingshot with Ammo Receiver and Hinged Handle
ES2531015B1 (es) * 2013-08-09 2015-11-06 Juan Angel TORRAS HERNANDEZ Sistema dispensador de bebidas y proceso de limpieza integrado
US20150203800A1 (en) * 2014-01-22 2015-07-23 Northern Brewer Llc Modular keg for home brewing
KR102605652B1 (ko) * 2016-01-19 2023-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장치
KR102128016B1 (ko) * 2016-08-29 2020-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 제조 및 취출 장치
KR101962413B1 (ko) * 2017-09-18 2019-03-26 주식회사 인더케그 맥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맥주 제조방법
KR101962410B1 (ko) * 2017-09-18 2019-03-26 주식회사 인더케그 맥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24B1 (ko) * 2017-09-18 2019-03-26 주식회사 인더케그 효모캡슐 일체형 케그캡, 효모캡슐 일체형 케그캡 결합용 커플러, 이를 구비하는 맥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32A (ko) 2022-01-03
WO2021261670A1 (ko) 2021-12-30
CN116137869A (zh)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4856B1 (ko) 케크캡 및 상기 케그캡을 구비한 케그
US10883072B2 (en) Beverage maker
KR100887575B1 (ko) 이중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90013666A (ko) 냉장고
KR102534854B1 (ko) 발효주 제조장치
CN115885029A (zh) 发酵饮料制造装置
KR102534863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2534862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2534858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2534855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2534860B1 (ko) 발효주 제조장치
CN113357879B (zh) 一种冻干设备
KR102534867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0943566B1 (ko) 냉장고
WO2012076451A2 (en) Refrigeration appliance
KR101346963B1 (ko) 와인 냉각장치
KR102534866B1 (ko) 발효주 제조장치
KR102534864B1 (ko) 발효주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76547A (ko) 발효음료 제조장치
US20200362284A1 (en) Ingredient supplier and beverage maker having ingredient supplier
KR20210155088A (ko) 음료 제조기
KR20220073903A (ko) 발효음료 제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발효음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73904A (ko) 발효음료 제조장치, 이를 포함하는 발효음료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75052A (ko) 발효음료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효음료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30070668A (ko) 발효음료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