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808B1 - Biodegradable suture and surgical sutur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iodegradable suture and surgical sutur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808B1
KR102534808B1 KR1020200005465A KR20200005465A KR102534808B1 KR 102534808 B1 KR102534808 B1 KR 102534808B1 KR 1020200005465 A KR1020200005465 A KR 1020200005465A KR 20200005465 A KR20200005465 A KR 20200005465A KR 102534808 B1 KR102534808 B1 KR 10253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biodegradable
component
region
sur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4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2015A (en
Inventor
이상식
신운섭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808B1/en
Publication of KR2021009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0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8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서로 상이한 이종의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봉합사 및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를 복수 개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사가 개시된다.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는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진 이종의 상이한 생분해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이종의 생분해성 재료가 교차로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재료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고, 강점은 부각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Disclosed are a biodegradable suture comprising different types of polymer materials and a surgical su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biodegradable sutures. The biodegradable suture includes heterogeneous and different biodegradable materials having different strengths, and by forming the heterogeneous biodegradable materials to be alternately disposed, the disadvantages of each material are complemented and the strengths are highlighted. can

Description

생분해성 봉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사{BIODEGRADABLE SUTURE AND SURGICAL SUTURE INCLUDING THE SAME}Biodegradable suture and surgical suture containing the same {BIODEGRADABLE SUTURE AND SURGICAL SU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이종의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봉합사 및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를 복수 개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degradable suture comprising different types of polymer materials and a surgical su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biodegradable sutures.

수술용 봉합재료로 사용되는 봉합사는, 수술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부를 봉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실로서, 생체내 분해여부에 따라 생분해성 봉합사와 비생분해성 봉합사로 분류할 수 있다.A suture used as a surgical suture material is a thread used to suture damaged tissue due to surgical trauma,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biodegradable suture and a non-biodegradable suture depending on whether it is degraded in vivo.

생분해성 봉합사는 조직의 손상부가 봉합된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 분해되어 없어지는 실로, 주로 피부를 고정하거나 연한 조직의 봉합에 사용된다. 반면, 비생분해성 봉합사는 조직의 손상부가 봉합된 후에도 분해되지 않는 실로, 주로 혈관, 정형외과 수술시 사용된다.A biodegradable suture is a thread that naturally decomposes and disappear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a damaged tissue is sutured, and is mainly used for fixing skin or suturing soft tissue. On the other hand, the non-biodegradable suture is a thread that does not decompose even after the damaged part of the tissue is sutured, and is mainly used in blood vessel and orthopedic surgery.

이러한 봉합사는 인체조직과의 긴밀성이 좋기 때문에 인체조직 삽입에 의해 조직을 당겨 지지하는 리프팅용이나, 볼륨을 회복시키는 필러용 등의 보형물로서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Since these sutures have good closeness with human tissues, their use as implants for lifting by pulling and supporting tissues by inserting human tissues or fillers for restoring volume is increasing.

예컨대, 인체조직에는 피부 내부로 이물질이 침범하면 이물질로부터 피부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이물질을 감싸는 자정치유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정치유물질은 피하조직을 보호함은 물론 결과적으로 피하층 내부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봉합사를 인체에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당분간 인체조직간 긴장감을 제공해 피부의 처짐이나 함몰 등을 예방 또는 복원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human tissue includes a self-healing material that surrounds foreign substances in order to protect skin tissue from foreign substances when foreign substances invade the inside of the skin. These self-healing substances not only protect the subcutaneous tissue, but also provide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muscles inside the subcutaneous layer as a result. Therefore, by inserting and fixing the suture into the human body, it can be used to prevent or restore sagging or sunken skin by providing a sense of tension between human tissues for a while.

한편,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는 인체 내에 삽입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분해되어 강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는 그 종류에 따라 초기 강도, 강도 유지율 및 생분해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시술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종류가 상이하다. 즉, 많이 사용되는 생분해성 봉합사는 대개 봉합시술 후 2주 후에 강도 유지율이 초기 강도의 50 내지 80%로 감소되며 4주 후 에는 10 내지 30% 정도까지 감소된다. 예를 들어, 리프팅에 사용되는 폴리디옥사논 봉합사의 경우 4주후 60 내지 80%까지 강도가 유지되며 6주 후에도 약 50% 정도의 강도가 유지된다. 따라서 리프팅 효과가 최대한 발현될 때 까지 봉합사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여 일정 강도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biodegradable suture is biodegraded over tim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its strength decreases. However, since the initial strength, strength retention rate, and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iodegradable sutur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the type required for the treatment site is different. That is, the strength retention rate of the widely used biodegradable suture is usually reduced to 50 to 80% of the initial strength after 2 weeks after the suture procedure, and to about 10 to 30% after 4 week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olydioxanone suture used for lifting, strength is maintained at 60 to 80% after 4 weeks and strength at about 50% is maintained even after 6 week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a certain strength or higher by adjusting the biodegradation rate of the suture until the lifting effect is maximized.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서로 상이한 생분해성 재료를 조합시켜 하나의 봉합사로서 제조할 경우, 재료의 배합 비율에 따라 각각의 재료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고, 강점은 부각시키며 요구되는 봉합사의 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Accordingly, whil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ying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manufacturing a suture by combining different biodegradable materials, the disadvantages of each material are complemented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the materials, and the strengths of each material are combine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iscovering that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suture can be easily adjusted while highlighting.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7219호는 관형 멀티 봉합사 결합 키트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17219 discloses a tubular multi-suture coupling ki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종의 서로 상이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봉합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degradable suture comprising heterogeneous and different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2 내지 24가닥이 합사 또는 블레이딩된 수술용 봉합사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gical suture in which 2 to 24 strands of the biodegradable suture are plied or bladed.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could b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생분해성 봉합사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서 이종의 서로 상이한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이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봉합사를 제공한다.In the biodegradable suture, the biodegradable suture is a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and includes a heterogeneous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odegradable suture. It provides a biodegradable suture, characterized in that being.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각각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또는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polycaprolactone (PCL), poly-L-lactic acid (PLLA), polydioxanone (PDO) or polyglycolic acid, respectively. (glycolic acid), PGA)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각각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 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인 것일 수 있다.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be poly-L-lactic acid (PLLA) or polycaprolactone (PCL), respectively.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의 굵기는 1 내지 500 데니어인 것일 수 있다.The biodegradable suture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500 denier.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의 길이는 20 mm 내지 1,000 mm인 것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biodegradable suture may be 20 mm to 1,000 mm.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는 제1 성분이 배치되어 있는 제1 영역 및 제2 성분이 배치되어 있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biodegradable suture may include a first region in which a first component is disposed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a second component is disposed.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길이 비율은 1: 0.1 내지 1인 것일 수 있다.A length ratio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1:0.1 to 1.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In additio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 2 내지 24가닥이 합사 또는 블레이딩된 수술용 봉합사 를 제공한다.A surgical suture in which 2 to 24 strands of the biodegradable suture are plied or braided is provided.

상기 수술용 봉합사의 굵기는 0.03 mm 내지 2.0 mm인 것일 수 있다.The surgical suture may have a thickness of 0.03 mm to 2.0 mm.

상기 블레이딩된 수술용 봉합사에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의 꼬임 간격은 40 내지 100 PPI(peak per inch)인 것일 수 있다.In the bladed surgical suture, the twist interval of the biodegradable suture may be 40 to 100 PPI (peak per inc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는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진 이종의 상이한 생분해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이종의 생분해성 재료가 교차로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재료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고, 강점은 부각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극연성의 생분해성 재료의 경우 부드러우나 쉽게 휘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강성의 생분해성 재료의 경우 단단한 표면으로 삽입되기는 용이하나 쉽게 부러질 수 있는 단점을 가지는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는 상기 이종의 생분해성 재료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단점이 보완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degradable suture includes different types of biodegradable materials having different strengths, and the heterogeneous biodegradable materials are formed to be alternately disposed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each material and However, strengths can have a highlighting effect. Specifically, in the case of ultra-soft biodegradable material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y are soft but easily bent, and in the case of rigid biodegradable materials, they are easily inserted into a hard surface but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easily broken. Since the suture includes all of the above heterogeneous biodegradable materials, the above disadvantages may be compensated for.

또한, 상기 서로 다른 강도를 가진 이종의 상이한 생분해성 재료의 배합 비율에 따라 요구되는 봉합사의 강도를 손쉽게 조절 가능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suture may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blending ratio of the heterogeneous biodegradable materials having different strengths.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봉합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iodegradable su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ertain elemen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원의 제 1 측면은,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생분해성 봉합사(10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서 이종의 서로 상이한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이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봉합사(101)를 제공한다.In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is a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and includes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the biodegradable suture It provides a biodegradable suture (10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crosswi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01).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생분해성 봉합사(101)를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서 이종의 서로 상이한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강도가 서로 상이한 물질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는 단일 봉합사 내에 강도가 서로 상이한 이종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종의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이 교차로 배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는 제1 성분이 배치되어 있는 제1 영역(110) 및 제2 성분이 배치되어 있는 제2 영역(130)을 교차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may include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In this case,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be materials having different strengths, and thus,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may include heterogeneous materials having different strengths within a single suture. Meanwhile, in the heterogeneous biodegradable polymeric material, as shown in FIG. 1 ,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may b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 That is,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may include a first region 110 where the first component is disposed and a second region 130 where the second component is disposed at intersection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각각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또는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각각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 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인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polycaprolactone (PCL), poly-L-lactic acid (PLLA), polydioxanone, respectively. PDO) or poly(glycolic acid) (PGA). Preferably,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poly-L-lactic acid, respectively. acid, PLLA) or polycaprolactone (PCL).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며, 리프팅용 생분해성 봉합사로 제조하여 시술 시 몸 속에서 1년 내지 2년에 걸쳐 서서히 분해가 진행되는 특성이 있고, 강성으로서 단단한 표면으로 삽입되기에 용이한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높은 강성으로 인하여 쉽게 부러질 수 있으며, 시술 후 이물감이 느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ly-L-lactic acid (PLLA)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is manufactured as a biodegradable suture for lifting and is stored in the body for 1 to 2 years during the procedure. It has a characteristic of slowly decomposing, and may have a characteristic that is easy to be inserted into a hard surface as a rigidity. However, it may be easily broken due to its high rigidity, and there may be a disadvantage in that a foreign body sensation is felt after the procedure.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20004717308-pat00001
Figure 112020004717308-pat00001

또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며, 리프팅용 생분해성 봉합사로 제조하여 시술 시 몸 속에서 분해되는데 2년 정도가 소요되어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에 비해 지속기간이 길며, 또한 합성시 중합도에 따라 분해 속도의 조절이 용이하고, 극연성으로 부드러운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시술 후 이물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고, 높은 인장강도로 인하여 시술 시 끊어질 염려가 거의 없으나, 쉽게 휘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caprolactone (polycaprolactone, PCL)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and is manufactured as a biodegradable suture for lifting, and it takes about 2 years to be decomposed in the body during the procedure, compared to other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s. It may have a long duration, easy control of the decomposition rat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during synthesis, and soft characteristics due to extremely softness. In addition, almost no foreign body sensation is felt after the procedure, and there is little fear of breakage during the procedure due to high tensile strength, but there may be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easily bent.

[화학식 2][Formula 2]

Figure 112020004717308-pat00002
Figure 112020004717308-pat00002

한편, 상기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며, 리프팅용 생분해성 봉합사로 제조하여 시술 시 안전하고, 시술 시 이물감이 적으며, 통상적으로 시술 후 몸 속에서 6개월에 걸쳐 분해가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ydioxanone (polydioxanone, PDO)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manufactured as a biodegradable suture for lifting, safe during the procedure, less foreign body sensation during the procedure, and usually in the body after the procedure It may be that decomposition occurs over 6 months.

[화학식 3][Formula 3]

Figure 112020004717308-pat00003
Figure 112020004717308-pat00003

마지막으로, 상기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며, 리프팅용 생분해성 봉합사로 제조하여 시술 시 몸 속에서 분해되는데 60일 내지 90일 소요되고, 콜라겐 단백질이나 항원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염증 반응이 경미하고 감염 속도가 낮은 장점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Finally, the poly(glycolic acid) (PGA) may be represented by Formula 4 below, and is manufactured as a biodegradable suture for lifting and decomposes in the body during the procedure, which takes 60 to 90 days, It may have the advantage of mild inflammatory response and low infection rate because it does not contain collagen protein or antigenic material.

[화학식 4][Formula 4]

Figure 112020004717308-pat00004
Figure 112020004717308-pat00004

즉,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는 제1 성분 및 제2 성분으로서 각각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 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이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의 말단부에 위치하여 높은 강성으로 단단한 표면으로 삽입되기에 용이한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이 상기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와 교차로 배치됨으로써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의 단독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끊어짐을 방지하고, 생분해성 봉합사(101) 전체에 연성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That is,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includes poly-L-lactic acid (PLLA) or polycaprolactone (PCL) as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poly-L-lactic acid (PLLA) is loc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to have high stiffness and easy insertion into a hard surface. may have In addition, single use of poly-L-lactic acid (PLLA) is achieved by crossing the polycaprolactone (PCL) with the poly-L-lactic acid (PLLA). It may be to prevent breakage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and to impart ductility to the entire biodegradable suture 101.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영역(110)에 포함된 제1 성분이 상기 제2 영역(130)에 포함된 제2 성분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30)의 길이 비율은 1: 0.1 내지 1인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영역(110)의 길이가 상기 제2 영역(130)의 길이보다 길어나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영역(110)의 길이가 상기 제2 영역(130)의 길이 대비 10 배 초과일 경우 높은 강성을 가진 제1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가 쉽게 끊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 배 미만일 경우 제1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가 단단한 표면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지 않거나 쉽게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eferably, the first component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110 may have a higher stiffness than the second component included in the second region 130, and the first region The length ratio of (110) and the second region 130 may be 1:0.1 to 1. That is,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11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130 and may be the same, and the length of the first region 110 is 10 time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region 130. When the content of the first component having high stiffness is relatively high, a problem in that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can be easily broken may occur when the content is greater than 1 time, and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1 time, the content of the first component is relatively low. A problem in that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is not easily inserted into a hard surface or is easily bent may occur.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용융한 후, 용융물을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시키고, 이어 냉각 수조에서 고화시킨 후, 연신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가 공급되는 호퍼와, 공급된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를 용융하여 실과 같은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가공기와, 압출되어 뽑아져 나온 원사를 냉각시켜 주는 냉각부와, 냉각된 원사가 가열되어 연신(延伸) 되어지는 연신부와, 연신 되어진 원사가 이탈되지 않게 하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켜 단사없이 무사히 와인딩부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해주는 안내롤러로 구성되어지는 원사 생산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생분해성 봉합사(101)가 제조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제조되는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101)의 굵기는 1 내지 500 데니어인 것일 수 있으며, 길이는 20 mm 내지 1,000 mm인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may be prepared by melting a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spinning the molten material through a spinneret, solidifying it in a cooling water bath, and then stretching it. That is, a hopper for supply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an extruder for melting the supplied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and extruding it into a yarn-like shape,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yarn extruded and pulled out, and the cooled yarn is heated. By using a yarn production device composed of a drawing unit to be stretched and a guide roller that prevents the drawn yarn from escaping and maintains a constant tension so that it can be safely wound on the winding unit without single yarn.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may be manufacturable. At this time,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manufactured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500 denier and a length of 20 mm to 1,000 mm.

본원의 제 2 측면은,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상기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생분해성 봉합사(101) 2 내지 24가닥이 합사 또는 블레이딩된 수술용 봉합사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surgical suture in which 2 to 24 strands of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plied or braided.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원의 제 1 측면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제 2 측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detailed descriptions of por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been omitted,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qually applied even if the description is omitted from the second aspect.

이하,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봉합사는 합사 또는 블레이딩된 복수 개의 생분해성 봉합사(10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 내지 24 가닥의 생분해성 봉합사(10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사는 합사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합사기는 두 가닥 이상의 원사를 합사시키는 장치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사 시에 꼬임(twist)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딩은 상기 복수 개의 생분해성 봉합사(101)를 서로 교차하여 제조되는 수술용 봉합사의 긴 쪽 방향으로 섬유가 경사져 배향하고, 끝부분에서 되접어 꺾어 절단됨이 없이 연속된 상태로 제조하는 공정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블레이딩은 편조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합사 또는 블레이딩된 복수 개의 생분해성 봉합사(101)를 포함하는 수술용 봉합사는 높은 인장력을 가지기 때문에 시술 후 외력에 의해 시술 부위가 잘 벌어지지 않는 장점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urgical suture may include a plurality of biodegradable sutures 101 that are braided or bladed, and specifically include 2 to 24 biodegradable sutures 101. can Meanwhile, the plying may be performed using a plying machine, and the plying machine may refer to a device for plying two or more strands of yarn. At this time, it may be to give a twist (twist) during the plying. In addition, in the blading, the fibers are oriented obliqu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gical suture prepared by crossing the plurality of biodegradable sutures 101, and are folded back at the end to produce a continuous state without being cut. It may mean the process of doing. The blading may be performed using a braiding machine. That is, since a surgical su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biodegradable sutures 101 that are plied or bladed has high tensile strength, it may have an advantage in that the surgical suture is not easily opened due to external force after the procedur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봉합사는 2 내지 24 가닥의 생분해성 봉합사(101)를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굵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2 가닥 미만의 생분해성 봉합사(101)가 합사 또는 블레이딩 되는 경우 수술용 봉합사의 인장 강도가 약하고, 시술 후 강도 유지율이 저하되어 시술 부위가 벌어지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24 가닥 초과의 생분해성 봉합사(101)를 합사 또는 블레이딩 시키는 경우 수술용 봉합사의 굵기가 상대적으로 두꺼워 시술 시 출혈과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술용 봉합사는 시술 부위의 조직 두께 또는 피부의 상태에 따라 굵기를 변화시키며 시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눈 아래 부분 및 이마 등의 얇은 피부에 시술할 경우 얇은 실을 사용하여야 하며, 안면 및 볼 등 두꺼운 피부에 시술할 경우 굵은 실을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수술용 봉합사의 굵기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합사 또는 블레이딩 되는 생분해성 봉합사(101)의 수를 증감시켜 적절한 두께를 가진 수술용 봉합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urgical suture is preferably varied in thickness by plying or blading 2 to 24 biodegradable sutures 101, and less than 2 strands of biodegradable suture 101 When is braided or braide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urgical suture is weak, and the strength retention rate after the procedure is lowered, which may cause side effects such as widening of the surgical suture. In addition, when the biodegradable suture 101 having more than 24 strands is plied or braided, the thickness of the surgical suture is relatively thick, which may cause bleeding and pain during the procedur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thickness of the surgical suture according to the tissue thickness or skin condition of the treatment site. That is, when applying thin skin such as under the eyes and forehead, a thin thread should be used, and when applying thick skin such as the face and cheeks, a thick thread should be used. For the above reasons, it is preferable to use a surgical suture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by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surgical suture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the biodegradable sutures 101 that are sutured or bladed accordingly.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봉합사의 굵기는 시술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시술 부위의 진피층까지의 깊이 및 시술 범위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수술용 봉합사의 굵기는 0.03 mm 내지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술용 봉합사의 길이는 시술의 범위에 따라 충분한 길이가 되면 무방하다. 즉, 얼굴(face) 주름의 리프팅용인 경우에는 20 mm 내지 200 mm 정도가 바람직하고, 바디(body) 주름의 리프팅용인 경우에는 50 mm 내지 600 mm가 바람직하며, 복부 리프팅(abdomen lifting)용인 경우에는 100 mm 내지 900 mm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블레이딩된 수술용 봉합사에서, 상기 복수 개의 생분해성 봉합사의 꼬임 간격은 40 내지 100 PPI(peak per inch)인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hickness of the surgical suture varies depending on the treatment site, but considering the depth to the dermal layer of the treatment site and the treatment range, the thickness of the surgical suture is preferably 0.03 mm to 2.0 mm. do.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urgical suture may be sufficient as long as it is long enough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procedure. That is, it is preferably about 20 mm to 200 mm for lifting facial wrinkles, preferably 50 mm to 600 mm for lifting body wrinkles, and for abdominal lifting. 100 mm to 900 mm is preferred. Meanwhile, in the bladed surgical suture, the twist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biodegradable sutures may be 40 to 100 PPI (peak per inch).

101: 생분해성 봉합사
110: 제1 영역
130: 제2 영역
101: biodegradable suture
110: first area
130: second area

Claims (10)

생분해성 봉합사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로서 이종의 서로 상이한 제1 성분이 배치되어 있는 제 1 영역 및 제2 성분이 배치되어 있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성분이 상기 제 2 성분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고,
상기 제 1 성분이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 비율은 1 : 0.1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봉합사.
In the biodegradable suture,
The biodegradable suture is a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and includes a first region in which heterogeneous and different first components are disposed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a second component is disposed,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odegradable suture,
The first component has a higher stiffness than the second component,
the first component is located at at least one distal end of the biodegradable suture;
The biodegradable su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ratio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1: 0.1 to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각각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PDO) 또는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생분해성 봉합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respectively polycaprolactone (PCL), poly-L-lactic acid (PLLA), polydioxanone (PDO) or polyglycolic acid (poly A biodegradable suture comprising any one selected from (glycolic acid) and PG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각각 폴리-L-락트산(poly-L-lactic acid, PLLA) 또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인 것인 생분해성 봉합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poly-L-lactic acid (PLLA) or polycaprolactone (PCL),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의 굵기는 1 내지 500 데니어인 것인 생분해성 봉합사.
According to claim 1,
The biodegradable suture having a thickness of 1 to 500 den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의 길이는 20 mm 내지 1,000 mm인 것인 생분해성 봉합사.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biodegradable suture is a biodegradable suture of 20 mm to 1,000 m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의 생분해성 봉합사 2 내지 24가닥이 합사 또는 블레이딩된 수술용 봉합사.
A surgical suture in which 2 to 24 strands of the biodegradable suture of claim 1 are plied or blad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봉합사의 굵기는 0.03 mm 내지 2.0 mm인 것인 수술용 봉합사.
According to claim 8,
The surgical suture having a thickness of 0.03 mm to 2.0 m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딩된 수술용 봉합사에서, 상기 생분해성 봉합사의 꼬임 간격은 40 내지 100 PPI(peak per inch)인 것인 수술용 봉합사.
According to claim 8,
In the bladed surgical suture, the twist interval of the biodegradable suture is 40 to 100 PPI (peak per inch) of the surgical suture.
KR1020200005465A 2020-01-15 2020-01-15 Biodegradable suture and surgical suture including the same KR1025348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465A KR102534808B1 (en) 2020-01-15 2020-01-15 Biodegradable suture and surgical sutur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465A KR102534808B1 (en) 2020-01-15 2020-01-15 Biodegradable suture and surgical sutur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15A KR20210092015A (en) 2021-07-23
KR102534808B1 true KR102534808B1 (en) 2023-05-19

Family

ID=7715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465A KR102534808B1 (en) 2020-01-15 2020-01-15 Biodegradable suture and surgical sutur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80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282A (en) * 1998-10-30 2000-05-16 Gunze Ltd Suture for operation
JP2002105760A (en) 2000-09-29 2002-04-10 Nippon Felt Co Ltd Conjugate fiber and woven fabric using the conjugate fiber and used for making paper
US20040010286A1 (en) 2000-03-16 2004-01-15 Gieringer Robert E. Arthroscopic suture thread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19A (en) * 1997-07-16 1999-02-18 김윤 Two-component surgical suture with strong retention and biodegradability
KR102057894B1 (en) * 2017-11-10 2019-12-20 주식회사 파인비엠 A corn type tube-thread and a needle kit incorporating the same
KR20190108816A (en) * 2018-03-15 2019-09-25 정영춘 Sutures for facial and body lifting, comprising new types of protrusions
JP7218720B2 (en) * 2018-03-30 2023-02-07 東レ株式会社 Biodegradable block copolym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282A (en) * 1998-10-30 2000-05-16 Gunze Ltd Suture for operation
US20040010286A1 (en) 2000-03-16 2004-01-15 Gieringer Robert E. Arthroscopic suture thread and method of use
JP2002105760A (en) 2000-09-29 2002-04-10 Nippon Felt Co Ltd Conjugate fiber and woven fabric using the conjugate fiber and used for making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15A (en)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0610B2 (en) Monofilament su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U2484779C2 (en) Surgical suture material, consisting of woven threads
US8118834B1 (en) Composite self-retaining sutures and method
JP4827838B2 (en) Monofilament, mesh for deentering surgery with improved flexibility and biocompatibilit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850413B2 (en) High-strength suture with absorbent core
JP4667853B2 (en) High strength suture and suture anchor combination with an absorbent core
JP5518737B2 (en) Indwelling suture with thermal contact mediator retainer
RU2528077C2 (en) Suture having attachment elements with coating for attaching to biological tissues, and method for preparing it
US20070134292A1 (en) Synthetic, bioabsorbable polymer materials and implants
BRPI0907787B1 (en) method for forming a self-retaining suture and apparatus for elevating the retainers in a suture to a desired angle
JP6932708B2 (en) Time-dependent biological tissue scaffolding
Chellamani et al. Surgical sutures: an overview
US7290410B2 (en) Disassemble covering
US20120109195A1 (en) Elastomeric thread having anchoring structures for anchoring in biological tissues
EP1833380B1 (en) Monofilament su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5797962A (en) Surgical suture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102534808B1 (en) Biodegradable suture and surgical suture including the same
KR101925209B1 (en) Biodegradable multi-component filament, surgical thread and operation tool for the lifting using the same
KR102393316B1 (en) Absorbable suture containing polydeoxyribonucleotide
KR20210017110A (en) multifunctional biocompatibility thread
JP2520678B2 (en) Surgical monofilament suture
US20040098049A1 (en) Monofilament su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rloff Application of Polymers for Surgical Sutures
Nambi Gowri et al. Mechanical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bioresorbable barbed sutures with different barb geometries
KR20160130905A (en) the elastic suture for removing wrink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