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152B1 -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152B1
KR102533152B1 KR1020200186497A KR20200186497A KR102533152B1 KR 102533152 B1 KR102533152 B1 KR 102533152B1 KR 1020200186497 A KR1020200186497 A KR 1020200186497A KR 20200186497 A KR20200186497 A KR 20200186497A KR 102533152 B1 KR102533152 B1 KR 102533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atchet
change handle
contact
powe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369A (ko
Inventor
이상홍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1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1Gearings, speed selectors, clutch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기어부가 수용되는 기어하우징 및 상기 기어하우징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업을 수행하는 스핀들이 구비된 전동공구로서, 상기 기어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동공구의 설정 토크값을 설정하는 토크변경 핸들 및 상기 전동공구의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변경 핸들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조작부; 및 상기 기어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드 및 상기 출력 토크값을 변경시키는 전자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작부를 토크변경 핸들과 모드변경 핸들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드라이버 모드의 단수를 재설정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으로써 동작을 간결하게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공구 {Electric Tool}
본 발명은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클러치가 적용된 전동공구로서, 조작부가 용도에 따라 분리되어 있는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전동공구는 유선 또는 배터리를 통해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내장된 모터를 구동하여 해머, 드라이버 및 드릴 등의 작업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된 비트를 회전시켜 나사를 체결하거나 구멍을 뚫는 등 다중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구이다.
이와 같은 전동공구는 해머, 드라이버 및 드릴 등 작업자가 작업 모드를 선택하면 작업 모드에 따라 내부 구조에 소정의 변화가 발생되어 동작된다. 또한, 드라이버 모드에서는 출력 토크가 상이한 복수의 단으로 구동이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공구는 해머 모드에서는 축 방향으로 진동을 가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동축(10)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며, 진동 발생을 위해 임팩트 발생 장치를 구현한다. 통상적으로 임팩트 발생 장치는, 라쳇스프링(51), 제1 라쳇(52) 및 제2 라쳇(53)으로 구성되며, 제1 라쳇(52)과 제2 라쳇(53)은 라쳇스프링(51)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해머모드에서는 제2 라쳇(53)이 제1 라쳇(52)과 인접하도록 이동되면서 임팩트를 발생시킨다.
또한, 드라이버 또는 드릴 모드에서는 비트에 과도한 토크가 가해짐으로 인해 볼트나 스크류에 손상이나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막기위해 일정 토크 이상이 되면 구동력을 차단하는 토크 리밋 장치를 적용한다. 통상적으로 토크 리밋 장치는 기계적 구조로 이루어진 클러치 또는, 전자클러치(40)를 활용한다. 최근에는, 전동공구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 전자클러치(40)가 다수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공구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모드 및 토크 단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조작부(30)가 형성된다. 종래의 기계식 클러치가 적용된 전동공구는 사용 편의성을 위해 조작부가 분리되어 모드 변경과 토크 변경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자클러치(40)를 적용할 경우, 토크 변경 뿐 아니라, 모드 변경에 따라서도 전류를 차단해야하기 때문에 조작부(30)를 하나로 형성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부(30)를 하나로 형성할 경우, 드라이버 모드의 1단부터 최대 단수, 드릴 모드, 해머 모드 순서로 토크 및 모드가 변경된다. 즉, 작업자는 드라이버 모드의 임의 토크 단수에서 작업하다가 드릴 모드 또는 해머 모드 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드라이버 모드로 변경할 때 토크 단수를 재설정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모드 변경 및 토크 단수 변경이 번거롭고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작부를 분리하여 모드 변경과 토크 단수 변경을 별개의 조작부로 조작할 수 있는 전동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기어부가 수용되는 기어하우징 및 상기 기어하우징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업을 수행하는 스핀들이 구비된 전동공구로서, 상기 기어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동공구의 설정 토크값을 설정하는 토크변경 핸들 및 상기 전동공구의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변경 핸들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조작부; 및 상기 기어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드 및 상기 출력 토크값을 변경시키는 전자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력의 일부를 전환하여 상기 스핀들의 축 방향 왕복 동작을 구현하며, 상기 모드변경 핸들에 의해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어 단속됨으로써 상기 모드를 변경시키는 임팩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토크변경 핸들은, 상기 전자클러치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접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변경 핸들은, 상기 전자클러치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접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클러치는, 상기 제1 접점스프링이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토크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스프링이 접촉되도록, 상기 토크접점부와 상기 전자클러치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모드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자클러치는, 상기 모드변경 핸들의 내주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기어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임팩트 발생부가 활성 상태일 때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비활성 상태일 때는 축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팩트 발생부는, 상기 기어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제2 라쳇; 상기 스핀들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라쳇과 맞물려 상기 스핀들의 축 방향 왕복 운동을 발생시키는 제1 라쳇; 및 상기 모드변경 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모드변경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라쳇을 상기 제2 라쳇과 결합되도록 이동시키는 라쳇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조작부를 토크변경 핸들과 모드변경 핸들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드라이버 모드의 단수를 재설정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으로써 동작을 간결하게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수 설정 및 모드 설정을 위한 조작부를 분리하여 구성하면서, 전자클러치는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을 간소화하여, 전동공구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임팩트 발생부가 비활성 상태일 때, 스핀들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공구의 부분 측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토크변경 핸들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모드변경 핸들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전자클러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임팩트 발생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임팩트 발생부의 활성 상태 사시도.
도 9는 도 3의 임팩트 발생부가 활성 상태일 때, 전동공구의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임팩트 발생부의 비활성 상태 사시도.
도 11은 도 3의 임팩트 발생부가 비활성 상태일 때, 전동공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토크변경 핸들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모드변경 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전자클러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임팩트 발생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3의 임팩트 발생부의 활성 상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의 임팩트 발생부가 활성 상태일 때, 전동공구의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10은 도 3의 임팩트 발생부의 비활성 상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3의 임팩트 발생부가 비활성 상태일 때, 전동공구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공구는, 모터를 구비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시키는 기어부가 구비된다. 기어부는 기어하우징(200)에 수용되며, 감속된 회전력이 스핀들(100)로 전달되어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전동공구는, 드라이버 모드, 드릴 모드, 해머 모드로 작동이 가능하며, 드라이버 모드에서는 복수의 단수로 변경하여 동작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스핀들(100)이 결합된 측을 전방, 모터가 결합되는 측을 후방으로 한다. 도 2, 도 3, 도 9 및 도 11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이 전방 우측이 후방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이 적용된 구성요소만 설명하며, 그 외 전동공구의 일반적인 사항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전동공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00), 전자클러치(400) 및 임팩트 발생부(500)를 포함한다.
조작부(300)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하여 전동공구의 모드 및 출력 토크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조작부(300)는 토크변경 핸들(310)과 모드변경 핸들(320)로 구성된다.
토크변경 핸들(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출력 토크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전동공구는 출력 토크값을 변경하는 것으로 드라이버 모드에서 단수를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다. 토크변경 핸들(310)에는 제1 접점스프링(311)이 형성되어 전자클러치(40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토크변경 핸들(310)의 회전에 따라 제1 접점스프링(311)이 함께 회전되면서, 전자클러치(400)에 접촉되는 위치가 변경된다. 즉, 전자클러치(400)에 제1 접점스프링(311)이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출력 토크값이 변경되어 단수가 변경되는 것이다.
모드변경 핸들(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전동공구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모드변경 핸들(320)에는 제2 접점스프링(321)과 가이드돌기(322)가 형성된다. 제2 접점스프링(321)은, 제1 접점스프링(321)과 같이 전자클러치(40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접점스프링(321)이 전자클러치(400)에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전동공구의 모드가 변경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제1 접점스프링(311)과 함께 전자클러치(400)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돌기(322)는, 후술할 임팩트 발생부(500)의 라쳇서포터(51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모드변경 핸들(3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가이드돌기(322)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돌기로 형성되어, 사이에 라쳇서포터(510)의 레버(511)가 결합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작부(300)는 토크변경 핸들(310)과 모드변경 핸들(320)이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각각 전자클러치(400)와 접촉된다. 이‹š, 토크변경 핸들(310)과 모드변경 핸들(320)에 형성된 각각 제1 접점스프링(311)과 제2 접점스프링(321)은 모두 전자클러치(400)의 일면에 접촉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토크변경 핸들(310)이 모드변경 핸들(320) 보다 전방에 결합되며, 전자클러치(400)는 모드변경 핸들(320)의 내주면에 인접한 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접점스프링(311)은 토크변경 핸들(310)의 내주면에 형성되되, 축 방향으로 모드변경 핸들(320) 측으로 돌출되어, 전자클러치(400)에 접촉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접점스프링(321)은 모드변경 핸들(320)의 최상단 내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전자클러치(400)에 접촉된다.
이처럼, 조작부(300)를 토크변경 핸들(310)과 모드변경 핸들(320)로 분리하여 구성할 경우, 작업자가 드라이버 모드로 작업을 수행하다가 드릴 모드 또는 해머 모드로 모드 변경하여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드라이버 모드로 복귀했을 때, 단수를 재설정할 필요가 없다. 즉,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모드변경 핸들(320)만 조작되고, 토크변경 핸들(310)은 조작되지 않음으로써 모드를 변경시 동작이 간결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시 드라이버 모드로 복귀했을 때, 단수를 재설정하지 않고 이전 설정으로 작업을 이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조작부(300)를 토크변경 핸들(310)과 모드변경 핸들(320)로 분리하면서 전자클러치(400)는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 수 감소에 따라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고 생산 비용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전동공구의 축 방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동공구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전자클러치(400)는 전자회로가 형성되어 있어, 제1 접점스프링(311) 및 제2 접점스프링(321)이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부하와 연결되어 전류값을 조절함으로써 출력 토크값을 변경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클러치(4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입력단이 형성되며, 입력단과 지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저항단이 형성된다. 저항단은 전자클러치(40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개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입력단과 저항단은 제1 접점스프링(311) 또는 제2 접점스프링(321)이 접촉되는 위치에서 서로 통전된다. 이와 같은 입력단 및 저항단으로 형성된 전자클러치(400)는 토크접점부(410)와 모드접점부(420)가 형성된다.
토크접점부(410)는, 제1 접점스프링(311)이 접촉되는 것으로서, 제1 접점스프링(311)이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출력 토크값이 변경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토크접점부(410)의 저항단은,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는데, 이때 각각은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저항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접점스프링(311)이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입력단에 연결되는 저항이 달라지도록 하여 출력 토크값을 변경시키는 것이다.
모드접점부(420)는, 제2 접점스프링(321)이 접촉되는 것으로서, 제2 접점스프링(321)이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전동공구의 모드가 변경되도록 한다. 이때, 제2 접점스프링(321)이 드릴 모드 또는 해머 모드 위치에 접촉된 경우, 전자클러치(400)는 출력 토크값이 부품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 토크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접점스프링(321)이 드라이버 모드 위치에 접촉된 경우, 전자클러치(400)는 토크접점부(410)에 접촉된 제1 접점스프링(311)의 위치에 따라 출력 토크값을 변경시킨다.
이처럼, 하나의 전자클러치(400)를 적용하여 토크 리밋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전동공구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전자클러치(400)에 토크접점부(410) 및 모드접점부(420)를 구성하여 토크변경 핸들(310)과 모드변경 핸들(320)이 독립적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간소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300)의 조작에 따라 전자클러치(400)와의 접촉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동공구의 모드 및 출력 토크값을 변경시키는 본 발명의 전동공구는, 모드변경 핸들(320)의 회전에 따라 임팩트 발생부(500)가 활성 상태 및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보다 상세하게, 임팩트 발생부(500)는 라쳇서포터(510), 제1 라쳇(520) 및 제2 라쳇(530)으로 구성된다.
라쳇서포터(510)는, 모드변경 핸들(320)에 결합되어 모드변경 핸들의 회전에 의해 제1 라쳇(520)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라쳇(530)과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레버(511)와 걸림돌기(512)가 형성된다. 레버(511)는, 기어하우징(200)의 레버결합홀(220)을 관통하여 모드변경 핸들(320)의 가이드돌기(322)에 결합된다. 즉, 레버(511)가 가이드돌기(322)의 두 개의 돌기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모드변경 핸들(320)과 결합된다. 그리고, 모드변경 핸들(3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 걸림돌기(512)는 라쳇서포터(510)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라쳇서포터(51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개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돌기(512)는 드라이버 모드 및 드릴 모드에서는 후술할 제2 라쳇(530)의 걸림턱(531) 상측으로 안착되어 스핀들(100)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라쳇(520)은, 스핀들(10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결합됨으로써 스핀들(100)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스핀들(100)의 축 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이와 같은 제1 라쳇(520)은 제2 라쳇(530)을 바라보는 일면에 톱니 형상이 형성되어 제2 라쳇(530)과 맞물린다.
제2 라쳇(530)은, 라쳇결합홈(210)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축 방향으로 걸림턱(531)이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531)은 걸림돌기(512)가 측면에 접하거나, 상측으로 올라타 안착되는 것으로서, 걸림돌기(512)가 걸림턱(531)의 측면에 위치하거나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임팩트 발생부(500가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동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2 라쳇(530)은 제1 라쳇(520)을 바라보는 일면에 톱니 형상이 형성되어 제1 라쳇(520)과 맞물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임팩트 발생부(500)는 기어하우징(200)의 라쳇결합홈(210)에 삽입되어 기어하우징(200)과 결함되며, 활성 상태 및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어 동작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8 및 도 9는 임팩트 발생부(500)의 활성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 및 도 11은 임팩트 발생부(500)의 비활성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해머 모드에서는 모드변경 핸들(320)의 회전에 의해 라쳇서포터(510)가 함께 회전하면서 걸림돌기(512)가 걸림턱(531)의 측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임팩트 발생부(500)가 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라쳇서포터(510) 및 제1 라쳇(520)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보다 상세하게, 라쳇서포터(510)가 후방으로 이동이 되면서 라쳇서포터(510)와 볼베어링(110) 사이에 공간이 발생된다. 그리고, 스핀들(100)이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즉, 라쳇서포터(510)가 모드변경 핸들(320)과 함께 회전하여 걸림돌기(512)가 걸림턱(531)의 측면에 배치되는 위치로 놓이면,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라쳇서포터(51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1 라쳇(520)과 제2 라쳇(530)이 맞물리게 되고, 스핀들(100)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스핀들(100)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제1 라쳇(520)과 제2 라쳇(530)이 서로 바라보는 면에 형성된 톱니가 맞물리면 제1 라쳇(520)이 전방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스핀들(100)이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이 발생된다. 그리고 다시 회전되면서 제1 라쳇(52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스핀들(100)이 함께 이동되면서 왕복 운동이 발생되는 것이다.
반면에, 드라이버 모드 및 드릴 모드에서는 모드변경 핸들(320)의 회전에 의해 라쳇서포터(510)가 함께 회전하면서 걸림돌기(512)가 걸림턱(531)의 상측에 안착되면서 임팩트 발생부(500)가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즉, 걸림돌기(512)가 걸림턱(531)의 상측에 안착되면 도 11과 같이 라쳇서포터(510)가 볼베어링(110)과 접하게 되어 스핀들(100)의 축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스핀들(10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결합된 제1 라쳇(520)이 제2 라쳇(530)과 이격됨으로써 임팩트 발생부(500)도 비활성 상태도 전환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라쳇서포터(510)가 모드변경 핸들(320)과 함께 회전되면서 임팩트 발생부(500)를 활성 상태 및 비활성 상태로 동작이 전환되도록 한다. 또한, 임팩트 발생부(500)가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면, 스핀들(100)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드라이버 모드 또는 드릴 모드에서는 스핀들(100)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불필요한 상황에서 스핀들(100)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공구는 구성요소를 추가하지 않고, 임팩트 발생부(500)를 활성 상태 및 비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 모드변경 핸들(320)과 결합되는 라쳇서포터(510)를 통해 스핀들(100)의 축 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따라서, 부품의 간소화가 가능하여, 전동공구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스핀들 110 : 볼베어링
200 : 기어하우징 210 : 라쳇결합홈
220 : 레버결합홀 300 : 조작부
310 : 토크변경 핸들 311 : 제1 접점스프링
320 : 모드변경 핸들 321 : 제2 접점스프링
322 : 가이드돌기 400 : 전자클러치
410 : 토크접점부 420 : 모드접점부
500 : 임팩트 발생부 510 : 라쳇서포터
511 : 레버 512 : 걸림돌기
520 : 제1 라쳇 530 : 제2 라쳇
531 : 걸림턱

Claims (7)

  1.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기어부가 수용되는 기어하우징(200) 및 상기 기어하우징(200)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업을 수행하는 스핀들(100)이 구비된 전동공구로서,
    상기 전동공구의 출력 토크값을 설정하는 토크변경 핸들(310) 및 상기 전동공구의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변경 핸들(320)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조작부(300); 및
    상기 기어하우징(20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드변경 핸들(3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3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드 및 상기 출력 토크값을 변경시키는 전자클러치(400);
    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변경 핸들(310)은, 축 방향으로 상기 모드변경 핸들(320) 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전자클러치(4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접점스프링(311);
    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변경 핸들(320)은, 최상단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클러치(4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접점스프링(321)과, 상기 제2 접점스프링(321)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이웃한 돌기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돌기(322);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점스프링(311)과 상기 제2 접점스프링(321)은 상기 전자클러치(40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자클러치(400)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기어하우징(200)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력의 일부를 전환하여 상기 스핀들(100)의 축 방향 왕복 동작을 구현하며, 상기 모드변경 핸들(320)에 의해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어 단속됨으로써 상기 모드를 변경시키는 임팩트 발생부(5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팩트 발생부(500)는,
    상기 기어하우징(20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제2 라쳇(530);
    상기 스핀들(10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라쳇(530)과 맞물려 상기 스핀들(100)의 축 방향 왕복 운동을 발생시키는 제1 라쳇(520); 및
    상기 가이드 돌기(322)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레버(511)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변경 핸들(3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라쳇(520)을 상기 제2 라쳇(530)과 결합되도록 이동시키는 라쳇서포터(510);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클러치(400)는, 상기 제2 접점스프링(321)과 상기 가이드 돌기(3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점스프링(311)이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토크접점부(410); 및
    상기 제2 접점스프링(321)이 접촉되도록, 상기 토크접점부(410)와 상기 전자클러치(40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모드접점부(420);
    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클러치(400)는, 상기 임팩트 발생부(500)의 비활성 상태에서 상기 토크변경 핸들(310)에 의해 설정된 출력 토크값이, 상기 임팩트 발생부(500)가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그대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00)은,
    상기 임팩트 발생부(500)가 활성 상태일 때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비활성 상태일 때는 축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

  7. 삭제
KR1020200186497A 2020-12-29 2020-12-29 전동공구 KR102533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497A KR102533152B1 (ko) 2020-12-29 2020-12-29 전동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497A KR102533152B1 (ko) 2020-12-29 2020-12-29 전동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369A KR20220095369A (ko) 2022-07-07
KR102533152B1 true KR102533152B1 (ko) 2023-05-18

Family

ID=8239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497A KR102533152B1 (ko) 2020-12-29 2020-12-29 전동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1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4347A1 (en) * 2012-08-01 2014-02-06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Power tool
KR101515883B1 (ko) * 2013-12-19 2015-05-04 계양전기 주식회사 임팩트 전동공구의 조작장치
KR102074052B1 (ko) * 2015-06-02 2020-02-05 밀워키 일렉트릭 툴 코포레이션 전자 클러치를 갖는 다중-속도 전동 공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4347A1 (en) * 2012-08-01 2014-02-06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Power tool
KR101515883B1 (ko) * 2013-12-19 2015-05-04 계양전기 주식회사 임팩트 전동공구의 조작장치
KR102074052B1 (ko) * 2015-06-02 2020-02-05 밀워키 일렉트릭 툴 코포레이션 전자 클러치를 갖는 다중-속도 전동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369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7873B2 (ja) インパクト工具及び電動工具
CN109909956B (zh) 冲击工具以及旋转工具
US11780061B2 (en) Impact tool
US10864619B2 (en) Illuminated power tool
CN104646724B (zh) 多速摆线传动
JP5974616B2 (ja) 電動工具
US20130264087A1 (en) Driving Tool
GB2457127A (en) Power tool with two adjusting rings for mode selection
JP2016153153A (ja) 震動機構付き電動工具
US20230017720A1 (en) Rotary power tool including transmission housing bushing
JP7086624B2 (ja) 電動工具
US9308630B2 (en) Impact screwdriver
US9346154B2 (en) Electric handheld machine tool
CN112296946B (zh) 电锤
US20100326685A1 (en) Hand-held power tool
JP2007021620A (ja) 電動工具
KR102533152B1 (ko) 전동공구
JP2007301703A (ja) 電動工具
US10518399B2 (en) Clutch device and power tool with clutch device
KR20220108673A (ko) 정/역 스위치를 장착한 스마트 전동드릴
CN113492384A (zh) 多功能电动工具
KR102342862B1 (ko) 전동공구의 스핀들 고정구조
CN212497593U (zh) 多功能电动工具
KR102219738B1 (ko) 전동공구
WO2018021433A1 (ja) 電動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