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105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105B1
KR102532105B1 KR1020160109770A KR20160109770A KR102532105B1 KR 102532105 B1 KR102532105 B1 KR 102532105B1 KR 1020160109770 A KR1020160109770 A KR 1020160109770A KR 20160109770 A KR20160109770 A KR 20160109770A KR 102532105 B1 KR102532105 B1 KR 102532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moisture
present embodi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328A (ko
Inventor
차유홍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9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1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소수성물질 또는 소유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코팅층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을 줄이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부 테두리 부분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내로우 베젤(Narrow Bezel) 타입이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5), 복수개의 회로필름(111)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5)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13), 디스플레이 패널(105)의 끝단부로부터 회로필름(111)의 벤딩부를 감싸며 디스플레이 패널(105)이 안착되는 백 커버(101)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13)은 복수의 회로필름(1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5)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13)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IC(117) 등이 실장되고, 백 커버(101)의 내측면에는 회로필름(111)과 인쇄회로기판(113)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패드(115)가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5)의 하단부에는 회로필름(111)과의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열을 방출하는 방열패드(119)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노출되는 베젤의 면적은 축소시킬 수 있었으나, 백 커버의 단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어 회로필름과 인쇄회로기판으로 수분이 흘러들어 감으로써 회로단락이 생기고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회로단락과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를 교체해야 해서 비용이 많이 들고 수리 공정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어서, 소비자의 디자인적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외곽부 테두리 베젤 폭을 줄이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면 테두리의 폭을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면 테두리의 폭을 대폭 줄이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회로부에 배치된 복수의 회로 필름과, 회로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소수성물질 또는 소유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코팅층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을 줄이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면 테두리의 폭을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면 테두리의 폭을 대폭 줄이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회로부에 배치된 복수의 회로 필름과, 회로 배치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등을 보호하고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코팅층과 제2코팅층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코팅층과 제2코팅층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측과 하측 및 양측 테두리를 포함하는 전면에 적어도 양측 테두리의 하단부 일측을 연결하는 제1코팅층(210)이 구비되며, 제1코팅층(210)은 소수성물질 또는 소유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201),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이 안착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미들 캐비넷(220), 미들 캐비넷(220)의 후면에 안착되는 백 커버(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부 테두리 즉, 베젤의 폭이 대폭 감소한 보더리스(Borderless) 타입 또는 내로우 베젤(Narrow Bezel) 타입을 이루면서도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방지 또는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미들 캐비넷(2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는데, 도면에서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부재(encapsulation member,201b)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봉지부재는(201b) 금속 기판이나 유리 기판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는 편광필름(201a)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어레이로부터의 빛이 측면을 통해 방출되어 빛샘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에는 사이드 씰부재(side seal member,201c)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씰부재(201c)는 흑색 안료가 첨가된 고분자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이드 씰부재(201c)가 픽셀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이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하측 단부의 후면에는 IC가 실장된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201d)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201d)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패드부(미도시)와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201d)을 통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요성 회로필름(201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미들 캐비넷(220)은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3)로 이루어지는데, 제1지지부(221)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측면을 감싸면서 전면으로 노출되어 있고, 제2지지부(223)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고 후면에 백 커버(23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221)의 끝단부가 베젤이 되면 베젤의 폭은 대폭 줄어들게 되지만, 제1지지부(221)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사이로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 소수성물질 또는 소유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코팅층(210)이 구비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하측 후면에 구비되는 가요성 회로필름(201d)과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수분 유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회로필름(201d)의 측면과 후면에는 가요성 회로필름(201d)의 IC와 회로부를 보호하는 방습절연부재(201e, 일명 "터피" 또는 "Tuffy")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제1지지부(221)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제1지지부(221)와 디스플레이 패널(201), 제2지지부(223) 등 이들 사이의 좁은 공간이 모세관 현상을 발생시켜 외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이 일정량 이상 모이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 적어도 양측 테두리를 연결하는 제1코팅층(210)이 구비되고, 제1코팅층(210)이 소수성(Hydrophobic)물질 또는 소유성(Oleophobic)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하단부쪽으로 수분이나 유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소수성물질과 소유성물질은 불소수지(PTF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벤조사이클로부텐계 수지(benzocyclobuteneseries resin), 실록세인계 수지(siloxane series resin) 및 실란 수지(silane),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등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특성상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들의 도면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투명한 제1코팅층(210)과 제2코팅층(215)을 해칭부위로 표시하였음을 밝혀 둔다.
이러한 제1코팅층(210)과 제2코팅층(215)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서 코팅될 영역만 노출되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노즐 또는 스프레이 코팅(nozzle or spray coating) 방식,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식, ODF(one drop filing)방식 또는 디스펜서(dispenser) 방식 등을 통해 대략 0.1 ~ 1 ㎛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8에서는 스프레이 코팅방식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 코팅될 영역이 형성된 마스크(245)를 부가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스프레이건(240)을 통해 소수성물질 또는 소유성물질을 분사하여 제1코팅층(210)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소수성물질 또는 소유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코팅층(210)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적어도 양측 테두리 하단부 일측을 연결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 유입되는 수분이나 유분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하측으로 흐르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양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하측 후면에 구비되는 가요성 회로필름(201d)과 인쇄회로기판 등의 회로부품으로 수분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서 흘러 내리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회로부 단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코팅층(210)은 하측 테두리로부터의 상측방향 거리가 양측 테두리 부위보다 중앙부위가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제1코팅층(210)이 테두리 부위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01) 전면에 유입되는 수분이 중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양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코팅층(210)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하측 테두리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도 3의 경우에도 중앙부위에 수분이 많이 적층되므로 수압차에 의해 양측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적층되는 수분양이 많은 경우에는 제1코팅층(210)의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수분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코팅층(210)의 중앙부위가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 있는 수분이 제1코팅층(210)에 의해 흐르는 방향이 양측 테두리쪽으로 가이드되게 된다.
이러한 제1코팅층(21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와 반대로 제1코팅층(210)이 상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수분들이 하측으로 흘러 내리다가 오목한 부위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오목한 부위에 모인 수분은 무게가 점점 커짐으로 인해 수분의 일부분이라도 제1코팅층(210)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수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코팅층(210)은 직선이나 상측이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코팅층(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경우 각각의 제1코팅층(210)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치되어, 다량의 수분이 흘러 내리는 경우에도 상하로 이격된 제1코팅층(210)을 따라서 양측으로 흘러 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많은 경우, 일례로 지속적으로 다량의 세정제나 물을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 분사하는 경우에는 수분의 일부분이라도 제1코팅층(210)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도 있으므로 상측에 배치된 제1코팅층(210)을 통과하더라도 하측에 배치된 제1코팅층(210)을 따라서 양측으로 흘러 내리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 이상의 제1코팅층(210)이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경우에 제1코팅층(210)의 사이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친수성물질 또는 친유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제2코팅층(21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제1코팅층(210) 사이에 제2코팅층(215)이 구비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많더라도 양측 테두리로 흘러 가도록 유도될 수 있다.
즉, 흘러 내리는 수분의 양이 많아 일부분이 제1코팅층(210)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 내리더라도 친수성물질로 형성되는 제2코팅층(215) 영역의 표면에서 수분이 표면을 따라 퍼지게 되기 때문에, 수분의 부피와 무게가 줄어든 상태로 제1코팅층(210)으로 흘러 내리게 되고 이 후에는 제1코팅층(210)에 의해 양측 테두리도 흘러 내리게 된다.
이러한 제2코팅층(215)은 도 6과 같이 상측과 하측의 제1코팅층(210)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상측과 하측의 제1코팅층(210) 사이 전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과 같이 제2코팅층(215)이 상하측의 제1코팅층(210)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는 수분이 뭉치는 영역과 수분이 퍼지는 영역이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코팅층(210)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 내린 수분이 코팅되지 않은 영역에서 머물거나 흘러 내리는 경로가 바뀌면서 제2코팅층(215)으로 유입되므로 제2코팅층(215)의 어느 한 영역으로 유입되는 수분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제2코팅층(215)이 상하측의 제1코팅층(210) 사이 전체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경우는 제1코팅층(210)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 내린 수분이 제1코팅층(210)보다 넓은 제2코팅층(215) 전체로 퍼지게 되므로 흘러 내린 수분의 양이 많더라도 하측으로 흘러 내리는 수분의 양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코팅층(210)과 제2코팅층(215)으로 인해 양측 테두리로 가이드된 수분들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하측 후면으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캐비넷(220)에는 하측 테두리의 양측 모서리 부위에 수분들이 모이는 충진홈(225)과 배출홀(227)이 구비되어 있다.
즉, 미들 캐비넷(220)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1지지부(221)와, 제1지지부(221)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이 안착되는 제2지지부(2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3)의 연결부위에는 연결부위를 따라서 함몰되게 형성되는 충짐홈(225)이 구비되어 있어서, 혹시라도 유입되는 수분들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쪽으로 유입되지 않게 비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들 캐비넷(220)의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3)의 연결부위에 제2지지부(223)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배수홀(227)이 구비되어 있어서, 혹시라도 유입되는 수분들이 내부에 머물지 않고 배수홀(227)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수홀(227)은 충진홈(225)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충진홈(225)과 연결될 수 있으며 충진홈(225)에 비축된 수분의 압력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측 미들 캐비넷(220)의 일측 또는 양측 모서리 부위에 충진홈(225)과 배수홀(227)이 구비됨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가요성 회로필름(201d)과 인쇄회로기판 등의 회로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미들 캐비넷(220)은 성형성과 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소정의 강도와 더불어 방열성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면 테두리의 폭을 대폭 줄여 슬림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면적 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면 테두리의 폭을 대폭 줄이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회로부에 배치된 복수의 회로 필름과, 회로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개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디스플레이 장치 201: 디스플레이 패널
210: 제1코팅층 215: 제2코팅층
220: 미들 캐비넷 221: 제1지지부
223: 제2지지부 225: 충진홈
227: 배수홀

Claims (10)

  1. 전면에 적어도 양측 테두리의 하단부 일측을 연결하는 제1코팅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1코팅층은 소수성물질 또는 소유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이 안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미들 캐비넷;
    상기 미들 캐비넷의 후면에 안착되는 백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코팅층은 하측 테두리로부터의 상측방향 거리가 양측 테두리 부위보다 중앙부위가 높게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은 직선과 직선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은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은 2개 이상이 구비되며 각각의 제1코팅층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의 사이에는 친수성물질 또는 친유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제2코팅층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팅층은 상측과 하측의 제1코팅층과 이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팅층은 상측과 하측의 제1코팅층 사이 전체에 코팅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캐비넷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이 안착되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연결부위에는 충진홈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캐비넷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연결부위에 상기 제2지지부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배수홀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09770A 2016-08-29 2016-08-29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2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70A KR102532105B1 (ko) 2016-08-29 2016-08-2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70A KR102532105B1 (ko) 2016-08-29 2016-08-2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328A KR20180025328A (ko) 2018-03-09
KR102532105B1 true KR102532105B1 (ko) 2023-05-15

Family

ID=6172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70A KR102532105B1 (ko) 2016-08-29 2016-08-2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5629B2 (ja) * 2019-03-08 2022-07-0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電子機器
KR102232685B1 (ko) * 2019-04-22 2021-03-26 주식회사 오성디스플레이 캐비넷이 체결된 디스플레이의 백보드
KR20210004072A (ko) 2019-07-03 202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167B1 (ko) * 1999-03-12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분침투방지용 유기코팅막이 형성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00127351A (ko) * 2009-05-26 2010-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증착장비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328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20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210208446A1 (en) Flexible display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9736950B2 (en) Display device
KR1022790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689731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CN107688251B (zh) 液晶显示设备
KR10211219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0613363B2 (en)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9146583B2 (en) Display device
KR1025321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8176B1 (ko) 표시 장치
US10466540B2 (en) Display device with bottom cover glass
JP6779805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CN204101851U (zh) 显示器和电子设备
US20180031918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18026324A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1023672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61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9917598B (zh) 挠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70079859A (ko) 표시 장치
US9366803B2 (en) Display device
JP2009244499A (ja) 液晶表示装置
KR102179961B1 (ko) 유기발광소자
KR1023390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95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