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913B1 -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913B1
KR102531913B1 KR1020220162551A KR20220162551A KR102531913B1 KR 102531913 B1 KR102531913 B1 KR 102531913B1 KR 1020220162551 A KR1020220162551 A KR 1020220162551A KR 20220162551 A KR20220162551 A KR 20220162551A KR 102531913 B1 KR102531913 B1 KR 10253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uilding
virtual space
loc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인
Priority to KR102022016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9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which enables more efficient fire control. The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unit which is installed in a detection area in a building and includes at least any one of a thermal sensor, a smoke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lame detection sensor, or a fire sensor to generate fire detection information; an IoT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includes at least any one of a sprinkler or a fire extinguisher;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which controls the driving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comprises: a map DB which stores an internal map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a floor plan or three-dimensional map of the building; a virtual space generation unit which generates a virtual space for the building based on the internal map; a virtual display module which includes a fire display unit identifying a fire occurrence loc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to display and process the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a notification generation unit which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and a fire response module which includes a fire response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재 감지 시 IoT 기반으로 건물 내부의 장치들을 제어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 상황을 가상 공간 상에 시뮬레이팅하여 건물 내, 외부를 통한 소방 관제 효율을 높인 소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More specifically, when a fire is detected, devices inside a building are controlled based on IoT, and at the same time, a fire occurrence situation is simulated in a virtual space,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can be controlled. It relates to a fire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fire control efficiency.

일반적으로, 화재는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을 안겨주며 한번 화재가 발생하면 복구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복구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In general, fire causes not only human casualties but also economic losses, and once a fire occurs, recovery costs are high and it takes a long time to recover.

또한, 화재 방지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라 할지라도 조금만 방심하면 순간적으로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어 피해가 상당한 실정이다.In addition, even in a well-equipped fire prevention facility, a little carelessness can instantly lead to a large fire, resulting in considerable damage.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어쩔 수 없이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최단 시간 내에 화재 발생을 파악하여 신속한 대피와 화재 진압으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a fire from occurring, but if a fire breaks out unavoidabl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occurrence of the fire in the shortest time and minimize human damage and economic loss through rapid evacuation and fire suppression.

기존의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71623호(2010.07.15. 등록)(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는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재난, 재해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경보를 발령하고 피난을 유도하는 장치로, 건물의 구획마다 재난, 재해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의 신호를 받아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서버로 전달하고, 중앙서버에서 그룹마다 경보 데이터를 구성하여 중계기를 통하여 전달하면, 각 위치별 스피커는 음성으로 경보를 알리고, 각 피난 유도등은 대피방향을 표시하고, 문자메시지를 휴대폰을 통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Looking at the existing prior art literatur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1623 (registered on July 15,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literature') relates to an automatic disaster warning and evacuation guidanc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s, It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issues an alarm and induces evacua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disaster or disaster. It receives signals from the sensor unit that detects disasters or disasters in each section of the building and transmits them to the central server through a repeater. When the server organizes alarm data for each group and delivers it through a repeater, the speaker for each location notifies the alarm by voice, each evacuation guide light displays the evacuation direction, and text message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phone.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단순히 문자 메시지를 건물 이용자에게 알리는 수준에 불과하며, 건물 내부에 대한 소방 대응, 나아가 건물 내부의 소방 관제 센터에서의 화재 상황 파악 및 대응이 불가하다는 한계성이 존재한다.However, such a prior art is merely at the level of notifying building users of a text messag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impossible to respond to fire inside a building and to identify and respond to a fire situation at a fire control center inside a building.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재감지정보 생성 시 화재 상황을 가상 공간에 디스플레이하여 소방 관제 센터에서 화재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함과 동시에 IoT를 기반으로 건물 내부에서의 소방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물 내 외부의 동시 소방 관제 기능을 겸비한 소방 관제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when fire det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fire situation is displayed in the virtual space so that the fire control center can quickly identify and respond to the fire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perform firefighting response inside the building based on IoT. The need to develop a fire control system that combines simultaneous fire control function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is emerging.

한국 등록특허 제10-0971623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71623

본 발명은 IoT 및 가상 공간에서의 시뮬레이팅을 기반으로 건물 내 외부의 소방 관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fire control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based on IoT and simulation in virtual sp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 공간 상에서 화재에 대한 대피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nd provide an escape route for fire in a virtual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상 공간 상에서 화재의 전파 경로를 예측하여 표시 처리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dict and display a fire propagation path in a virtual sp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감지영역에 설치된 것으로 열센서, 연기센서, 적외선센서, 불꽃감지센서, 소방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재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건물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스프링클러 및 소화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IoT 장치; 상기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상기 IoT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건물의 평면도 및 3D 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내부지도를 저장한 지도DB와, 상기 내부지도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대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가상 공간 생성부와, 상기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화재 발생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화재 표시부를 포함하는 가상 표시 모듈과, 상기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알림 생성부와, 상기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상기 IoT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소방 대응부를 포함하는 화재 대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ensing area inside the building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heat sensor, a smoke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 fire sensor, A detection sensor unit generating fire detection information; an IoT devic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prinkler and a fire extinguisher;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wherein the central control server includes a map DB storing an internal map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loor plan and a 3D map of the building and a virtual display unit including a virtual spac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virtual space for the building based on the internal map, and a fi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by detecting a location of a fir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A fire response module including a module, a notific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and a fire response unit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

나아가, 상기 가상 표시 모듈은,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및 상기 건물의 비상구의 위치를 기반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대피 동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virtual display module may include an evacuation flow generation unit generating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of the building and displaying the evacuation route in the virtual space.

더하여, 상기 가상 표시 모듈은, 상기 화재 발생 위치를 기반으로 화재 확산 예상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화재 확산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irtual display module may include a fire spread path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n expected fire spread path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displays the fire spread path in the virtual space.

본 발명의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 화재감지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건물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IoT 장치의 구동을 통해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건물 내부가 구현된 가상 공간에 화재 발생 위치를 표시 처리하여 이를 전송함으로써, 외부의 방제 센터나 소방서로 하여금 화재 상황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인식을 가능케 하여 보다 효율적인 소방 관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1) When fire det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fire by driving the IoT device inside the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display and process the location of the fire in the virtual space where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implemented, and transmit it to prevent external control It enables the center or fire department to quickly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fire situation so that it can perform more efficient fire control,

2) 화재 시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 공간에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건물 이용자들이 대피 경로를 확인하고 빠르고 신속하게 건물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2) Create an evacuation route in case of fire and display and provide it in a virtual space so that building users can check the evacuation route and quickly evacuate the building,

3) 화재 시 화재 확산 예상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 공간에 표시하여 건물 내부에 있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대피에 도움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 소방 방제 센터나 소방서로 하여금 화재 확산 예상경로가 표시 처리된 가상 공간을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소방 대응을 가능케 할 수 있다.3) In the event of a fire, a predicted fire spread path is created and displayed in a virtual space to help users inside the building to evacuate, and at the same time, a virtual fire prevention center or fire station displays the predicted fire spread path It can identify space and enable more efficient firefighting response.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상 공간의 화재 표시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대피 동선 안내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화재 확산 경로 표시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알림 표식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스 변색 기능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vic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ire display in a virtu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vacuation flow guid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fire spread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notification mark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showing steps for preparing the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bers in each drawing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vic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은 감지 센서부(10), IoT 장치(20), 중앙관제서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etection sensor unit 10, an IoT device 20,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30.

감지 센서부(10)는 본 발명의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 내부의 감지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열센서(11), 연기센서(12), 적외선센서(13), 불꽃센서(14)(불꽃감지센서), 소방센서(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재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ction sensor unit 10 is installed in the detection area inside the building to which the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includes a heat sensor 11, a smoke sensor 12, an infrared sensor 13, and a flame sensor.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fire detection information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14) (flame detection sensor) and fire sensor 15.

이는 기존의 화재감지기라고도 할 수 있으며, 감지 센서부(1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통한 화재 감지 시 화재감지정보가 생성되어 통신을 매개로 중앙관제서버(3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감지 센서부(10)가 통신 기능을 구비해야 함은 물론이다.This may be referred to as a conventional fire detector, and when a fire is detected through various sens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detection sensor unit 10, fire detec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through communication. To this end, of course, the detection sensor unit 10 should have a communication function.

이때 감지 센서부(10)에 포함될 수 있는 각각의 센서마다 고유 식별번호(ID)가 구비될 수 있어, 화재감지정보 전송 시 고유 식별번호를 함께 전송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sensor that may be included in the detection sensor unit 10 may have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 so that when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can be transmitted together to quick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ire.

나아가 감지영역마다 감지 센서부(10)가 설치되며, 건물 내에 복수개의 감지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감지영역보다 감지 센서부(10)가 구비되어 건물 내부 전체에 대한 화재 감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detection sensor unit 10 is installed for each detection area, and when a plurality of detection areas are formed in the building, the detection sensor unit 10 is provided rather than each detection area to provide a fire detection function for the entire interior of the building. can

IoT 장치(20)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IoT 기반으로 제어가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IoT 장비는 기본적으로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통신 기능을 매개로 유선 혹은 무선으로 중앙관제서버(30)와 연결이 가능해야 함은 기본이다.The IoT device 20 is installed inside a building and means that control is possible based on IoT. To this end, it is basic that the IoT equipment should basically have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be able to connect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the communication function.

본 발명에서 IoT 장치(20)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21), 소화기(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건물의 비상구 및 창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잠금장치(23) 역시 IoT 장치(2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장치는 종래의 스마트 도어락을 참조하면 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device 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rinkler 21 and a fire extinguisher 22 installed inside a building, and furthermore, a locking device 23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an emergency exit and a window of a building It may be included in the IoT device 20. Here, since the locking device may refer to a conventional smart door lock,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즉 IoT 장치(20)는 창문이나 비상구의 개폐를 위해 설치된 잠금 장치, 스피커, 스프링클러(21), 소화기(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라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on/off 및 구동 제어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That is, the IoT device 20 can be sai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locking device, a speaker, a sprinkler 21, and a fire extinguisher 22 installed to open and close a window or emergency exit, and is preferably turned on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off and drive control may be possible.

더불어 이러한 IoT 장치(20)의 구동 제어를 위해 건물 내에는 별도의 게이트웨이 허브(Hub)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IoT 장치(20)는 게이트웨이 허브와 통신을 매개로 연결되고, 게이트웨이 허브가 중앙관제서버(30)와 유선/무선 통신을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separate gateway hub in the building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oT device 20, and the IoT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gateway hub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 gateway hub centrally controls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30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중앙관제서버(30)는 기본적으로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IoT 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감지 센서부(10)으로부터 화재감지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IoT 장치(20), 상술한 스프링클러(21), 소화기(22) 등의 구동을 제어하여 건물 내의 화재를 자체 진압하고 대피 알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basically controls the driving of the IoT device 20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fire detection information, and preferably receives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as it is genera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unit 10, and based on this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IoT device 20, the above-described sprinkler 21, the fire extinguisher 22, etc., it is possible to self-extinguish a fire in a building and provide an evacuation notification.

나아가 중앙관제서버(30)는 후술하겠으나 해당 건물을 가상 공간으로 구현하고, 가상 공간 상에서 화재 상황을 시뮬레이팅 처리하여 화재 상황을 전달받는 구급대원이나 소방 관리자가 현장에 나가보지 않더라도 가상 공간을 확인하여 화재 상황을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as will be described later, implements the building as a virtual space, simulates the fire situation in the virtual space, and checks the virtual space even if the emergency crew or fire manager receiving the fire situation does not go to the site. It is possible to get a grasp of the fire situation.

이러한 중앙관제서버(3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파트' 등의 구성단위로써 후술할 예정이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h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hardware-based memory and storage means such as a hard disk, and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is, software is installed and can run the software. A series of detailed configurations of such software will be described later as units such as 'modules', 'units' and 'parts'.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파트’ 등 의 구성은 메인 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Configurations such as 'modules' or 'units' or 'interfaces' or 'parts' are components of hardware such as software or FPGA or ASIC that is instal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f the main server and executed via CPU and memory means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module' or 'unit' or 'interface' is not limited to hardwar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As an example, 'module' or 'part' or 'interface'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nd attributes. field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Functions provided by these 'modules' or 'units' or 'interfac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or may be combin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can be further separated.

더불어, 중앙관제서버(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means all kinds of hardware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and can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software configurations operating in the hardw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예를 들어, 서버의 일 예로서의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as an example of a server may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of smart phones, tablet PCs, desktops, laptops, and user clients and applications running on each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중앙관제서버(30)의 구성 및 이를 통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based on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and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가상 공간의 화재 표시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ire display in the virtual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30)는 가상 표시 모듈(100)과 화재 대응 모듈(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and 4,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virtual display module 100 and a fire response module 200.

가상 표시 모듈(100)은 화재감지정보 생성 시 화재 발생 위치를 파악하고, 건물 내부에 대한 3D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가상 공간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지도DB(110)와 가상 공간 생성부(120) 및 화재 표시부(130)를 포함한다.The virtual display module 100 determines the location of fire occurrence when generating fire detection information, creates a 3D virtual space for the inside of a building, and provide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location of fire in the virtual space. To this end, a map DB (110 ) and a virtual space generating unit 120 and a fire display unit 130.

지도DB(110)는 건물의 평면도 및 3D 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내부지도를 저장한 것으로, 여기서 건물의 평면도는 건물 내부 구조에 대한 평면도를 의미하며, 3D 지도는 건물 내부 구조에 대한 3D 실내 지도를 의미한다.The map DB 110 stores an internal map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loor plan and a 3D map of the building, where the floor plan of the building refers to a plan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the 3D map is a 3D map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indoor map.

여기서 평면도는 건물의 설계 시 제작되는 평면도이며, 3D 실내 지도는 건물 내부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한 뒤 이를 모델링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종래의 로드뷰 지도, 야외 3D 지도를 실내에 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Here, the floor plan is a floor plan produced during the design of the building, and the 3D indoor map is produced by modeling after taking a plurality of images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can

그 외에도 3D 도면을 제작하여 이를 기반으로 건물 내부에 대한 3D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지도DB(110)에 저장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건물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층에 대한 평면도 및 3D 지도를 포함하는 내부지도가 지도DB(110)에 저장되어야 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 3D drawing, create a 3D map for the inside of the building based on this, and store it in the map DB 110, of course. Furthermore, when a building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loors, the internal map including the floor plan and 3D map for each floor must be stored in the map DB 110 as a matter of course.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지도DB(110)에 저장된 내부지도를 기반으로 해당 건물에 대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건물의 평면도, 3D 지도를 포함하는 내부지도를 기반으로 건물 내부의 구조를 파악하여, 건물에 대한 3D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virtual space for a corresponding building based on an internal map stored in the map DB 11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reate a 3D virtual space for the building by grasp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internal map including the floor plan and 3D map of the building.

여기서 가상 공간 생성을 위해서는 건물의 내부지도 뿐 아니라 건물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나 영상을 더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건물 내부의 구조가 촬영되도록 다양한 방면과 각도에서 건물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더 참조하여 건물 내부에 대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in order to create a virtual space, it is possible to use not only the interior map of the building, but also images or videos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With further reference it is possible to create a virtual space for the interior of a building.

이렇게 생성되는 가상 공간은 영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웹사이트 상에 가상 공간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가상 공간은 바람직하게 3차원 메타버스 공간일 수 있어, 가상 공간 상에 건물 내부 구조를 구현할 뿐 아니라 아바타를 표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virtual space created in this way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video, o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irtual space on a websit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avatar as well as implement it.

이러한 가상 공간은 웹 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건물의 내부지도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만큼 건물의 내부와 유사한 3차원의 공간이 구현될 수 있다.Such a virtual space can be implemented on a website or application, and a three-dimensional space similar 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can be implemented as it is generated based on the interior map of a building.

화재 표시부(130)는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화재 발생 위치를 파악하여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부(10)는 화재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화재감지정보 생성 시 개별 감지 센서부(10)의 식별번호(ID)를 함께 전송하여 화재 발생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하였다.The fire display unit 130 performs a function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a fir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fire detec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it in a virtual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sensor unit 10 can generate fire detection information, as well as transmit the identification number (ID) of each detection sensor unit 10 together when generating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ire. said it can

따라서 감지 센서부(10)를 통해 제공받은 화재감지정보와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위치를 포함하고, 실제 화재 발생 위치와 대응되는 가상 공간의 특정 위치, 다시 말해 가상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표시 처리하는 것이다.Therefore, based on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provid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unit 10, the location of the fire is included, and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actual location of the fire, that is, the location of the fire in the virtual space. This is to indicate that a fire has occurred.

이와 같이 화재 발생 위치가 파악되어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된 가상 공간은 해당 건물의 소방 안전 관리 담당자, 나아가 소방서와 같은 소방 방제 센터에 전송 및 디스플레이 될 수 있어 빠른 소방 관제 대응을 가능케 하며, 현장 출동 없이도 정확한 화재 발생 위치 파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소방 대응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location of the fire occurrence is identified and displayed in the virtual space, which can be transmitted and displayed to the person in charge of fire safety management of the building and to the fire control center such as the fire station, enabling quick fire control response, and even without going to the site.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accurate location of a fire outbreak, which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a firefighting response.

화재 대응 모듈(200)은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IoT 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알림 생성부(210)와 소방 대응부(220)를 포함한다.The fire response module 200 generates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fire detec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IoT device 20. For this purpose, the notification generator 210 and the fire response unit 220 are used. include

알림 생성부(210)는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알림정보는 사운드 형태로 건물 내부에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건물 내부에는 별도의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알림정보가 출력되어 건물 내부에 있는 건물 이용자의 대피를 도울 수 있다.The notification generating unit 21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fire detection information. Such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inside the building in the form of sound, and for this purpose, a separate speak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building. Therefore, through this, notification information is output to help the building users in the building to evacuate.

아가 알림정보는 건물 내부에 출력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건물의 소방 안전 관리 담당자, 나아가 소방서와 같은 소방 방제 센터에 전송될 수 있어 소방 담당자, 방제 센터로 하여금 대응을 가능케 함은 물론이다.Baby notification information can not only be output inside the building, but also can be transmitted to fire safety management personnel in the building, and further to fire control centers such as fire departments, enabling firefighting personnel and control centers to respond.

소방 대응부(220)는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IoT 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여기서 IoT 장치(20)의 구동 예시로는 스프링클러(21)의 작동, 소화기(22)의 작동, 그리고 비상구나 창문에 구비된 잠금장치(23)의 잠금 해제가 있을 수 있다.The firefighting response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oT device 20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fire detection information. Examples of driving the IoT device 20 include the operation of the sprinkler 21 and the fire extinguisher 22 There may be an operation of the emergency exit and unlocking of the locking device 23 provided on the window.

따라서 화재감지정보가 생성되어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스프링클러(21) 및 소화기(22)를 작동시키고, 창문이나 비상구의 잠금을 해제하여 이용자들의 빠른 탈출 및 내부 환기를 가능케 함과 동시에 빠른 화재 초기 진압을 가능케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Therefore, as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it is identifi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sprinkler 21 and the fire extinguisher 22 are operated, and the windows or emergency exits are unlocked to enable users to quickly escape and internal ventil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quickly fire a fire. It can be said that the initial suppression is possibl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감지 센서부(10)를 통해 화재감지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건물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IoT 장치(20)의 구동을 통해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건물 내부가 구현된 가상 공간에 화재 발생 위치를 표시 처리하여 이를 전송함으로써, 외부의 방제 센터나 소방서로 하여금 화재 상황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인식을 가능케 하여 보다 효율적인 소방 관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re det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the sensor unit 10,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a fire by driving the IoT device 20 inside the building itself At the same time, by displaying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fire occurrence in the virtual space where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implemented, it enables an external control center or fire department to quickly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fire situation, enabling more efficient fire control. there is

도 5는 본 발명의 대피 동선 안내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vacuation flow guid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가상 표시 모듈(100)은 대피 동선 생성부(140)를 포함하여 가상 공간 상에 화재 시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안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virtual display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vacuation flow generation unit 140 to generate and guide an evacuation route in case of fire in a virtual space.

대피 동선 생성부(140)는 화재 발생 위치 및 건물의 비상구의 위치를 기반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여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화재감지정보 생성을 통해 화재 발생 위치가 파악되면, 파악된 화재 발생 위치와 해당 건물의 내부지도를 통해 파악될 수 있는 비상구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여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vacuation flow generation unit 14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of the building and displaying it in the virtual space. When the location of the fire is identified through the generation of fire det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fire occurrence and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that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internal map of the building, an evacuation route is created and displayed in the virtual space.

이러한 대피 동선 생성부(140)는 건물에 위치한 각 방이나 공간으로부터 비상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를 생성하되, 여기서 대피 경로는 비상구를 향함에 있어 파악된 화재 발생 위치를 경유하지 않도록 화재 발생 위치를 회피하는 회피 경로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vacuation flow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an evacuation route that allows one to escape from each room or space located in the building to the outside through an emergency exit, but the evacuation route does not pass through the identified fire location as it faces the emergency exit. It is desirable to create an avoidance path that avoids the location of the fire.

따라서 화재 발생 위치의 인근 영역을 지나가지 않도록 하면서도 건물에 위치한 각 호실에서 비상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를 생성하여 이를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게 된다.Therefore, an evacuation route is created and displayed in the virtual space so that each room in the building can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emergency exit while not passing through the area near the location of the fire.

이렇게 대피 경로가 표시된 가상 공간은 건물 이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되거나 건물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어, 건물 이용자들이 대피 경로를 확인하고 빠르고 신속하게 건물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virtual space where the evacuation route is displayed can be displayed on a smartphone owned by a building user or output on a plurality of displays that can b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so that building users can check the evacuation route and quickly escape from the building. has the effect of allowing

도 6은 본 발명의 화재 확산 경로 표시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fire spread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가상 표시 모듈(100)은 가상 공간에 화재 확산 예상경로를 생성하여 표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가상 표시 모듈(100)은 화재 확산 경로 생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virtual display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nd display a fire spread prediction path in a virtual space. To this end, the virtual display module 100 includes a fire spread path generator 150 ) may be included.

화재 확산 경로 생성부(150)는 파악된 화재 발생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로인 화재 확산 예상경로를 생성하여 이를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e spread path generation unit 15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fire spread expected path, which is a path in which a fire is expected to spread within a corresponding building, based on the identified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displaying and processing the predicted fire spread path in a virtual space.

여기서 화재 확산 예상경로는 지도에서 경로를 표시하는 것처럼 표시될 수도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안내를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화재가 퍼지는 예측 경로, 다시 말해 화재 확산 예상경로를 이미지나 동영상의 형태로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fire spread prediction path may be displayed as if the route is displayed on a map, but for more effective guidance, it is also possible to show the fire spread prediction path, that is, the fire spread prediction path in the form of an image or video, as shown in FIG. do.

여기서 화재 확산 예상경로 생성에 있어서는, 건물의 구조가 단일개구인지 양측개구인지, 건물 내부의 인동거리는 어떠한지, 건물 내부에 구비된 각 호실 사이의 간격은 어떠한지 등이 반영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건물 내부 화재 성상 예측 모델 등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Here, in the generation of the expected fire spread path, whether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single-opening or double-opening, w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nd what is the distance between each room provided inside the building can be reflected, which is It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an internal fire property prediction model.

이와 같이 화재 확산 예상경로가 생성되어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되는 경우, 화재 확산 예상경로가 표시된 가상 공간은 건물 내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에 표시처리되거나 건물 이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될 수 있어 건물 내부에 있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대피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소방 방제 센터나 소방서에 제공될 수 있어 화재 확산 예상경로가 표시 처리된 가상 공간을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소방 대응을 가능케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way, when the predicted fire spread path is generated and displayed in the virtual space, the virtual space where the predicted fire spread path is displayed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located inside the building or transmitted to a building user's smartphone, so that the user inside the building people can help with evacuation. In addition, since it can be provided to an external fire prevention center or fire sta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virtual space in which a predicted fire spread path is displayed and to enable more efficient firefighting response.

나아가 이와 같은 화재 확산 예상경로 생성에 있어서는 건물에 위치한 가벽(50)의 재질이 더 반영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가상 표시 모듈(100)은 가벽DB(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in generating such an expected fire spread path, it is possible to further reflect the material of the temporary wall 50 located in the building. For this purpose, the virtual display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temporary wall DB 160.

가벽DB(160)는 건물에 위치한 가벽(50)의 재질을 포함하는 가벽정보를 저장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건물에 위치한 각각의 가벽(50)의 위치 및 해당 가벽(50)의 재질이 가벽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The temporary wall DB 160 stores temporary w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material of the temporary wall 50 located in the building. Preferably, the location of each temporary wall 50 located in the building and the material of the corresponding temporary wall 50 are temporary wall information can be stored as

건물에 설치된 벽 구조물은 내력벽 및 가벽(50)을 포함하는데, 가벽(50)의 경우 내부가 채워지지 않은(내력벽이 아닌) 벽을 의미하며, 건물 내에서 공간을 분리하는 목적으로 설치되고 내력벽이 아닌 만큼 목재나 석고보드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wall structure installed in the building includes a load-bearing wall and a temporary wall 50. In the case of the temporary wall 50, it means a wall that is not filled inside (not a load-bearing wall), and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separating spaces in the building, and the load-bearing wall is It is common that it is made of materials such as wood or gypsum board as much as it is not.

따라서 내력벽은 불에 타지 않으나 가벽(50)은 화재 시 불에 타기 쉬울 수 있어, 건물 내에 위치한 각각의 가벽(50)의 위치 및 해당 가벽(50)의 재질(석고보드, 목재, 플라스틱)을 파악하여 가벽정보로써 저장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Therefore, the load-bearing wall does not burn, but the temporary wall 50 can easily catch fire in case of fire, so the position of each temporary wall 50 located in the building and the material of the temporary wall 50 (gypsum board, wood, plastic) are identifi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stored as temporary wall information.

이와 같이 가벽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화재 확산 경로 생성부(150)는 화재 확산 예상경로 생성 시 화재 발생 위치 뿐 아니라 가벽정보를 더 반영할 수 있다.When temporary wall information is stored in this way, the fire spread path creation unit 150 may further reflect temporary wall information as well as a location where a fire occurs when generating a predicted fire spread path.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구조가 단일개구인지 양측개구인지, 건물 내부의 인동거리는 어떠한지, 건물 내부에 구비된 각 호실 사이의 간격은 어떠한지와 같은 건물의 구조적 측면을 반영하여 화재 발생 위치로부터 화재 확산 예상경로를 생성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화재가 가벽(50)을 통해 퍼져나갈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하여 가벽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확산 예상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fire spreads from the location of the fire by reflecting the structural aspects of the building, such as whether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single-opening or double-op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oms inside the building, and the spacing between each room provided inside the building. In addition to generating an expected path, it can be said that a fire spread prediction path is generated based on the temporary wall information and displayed in the virtual space by reflecting the fact that the fire can spread through the temporary wall 50.

예시로 화재 발생 위치 인근에 위치한 가벽(50)이 불연성 재질인 경우 가벽(50)에 불이 붙어 화재가 가벽(50)을 타고 확산될 여지가 적으나, 화재 발생 위치 인근에 위치한 가벽(50)이 석고보드나 목재인 경우 가벽(50)에 불이 붙어 화재가 가벽(50)을 타고 확산될 여지가 높은 만큼 가벽(50)의 위치 및 재질을 반영하여 화재 확산 예상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emporary wall 50 located near the location of the fire is made of a non-combustible material, the temporary wall 50 catches fire and there is little room for the fire to spread along the temporary wall 50, but the temporary wall 50 located near the location of the fire In the case of this gypsum board or wood, as the temporary wall 50 catches fire and the fire spreads along the temporary wall 50,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location and material of the temporary wall 50 will be reflected to create an expected fire spread path and create a fire spread prediction path It can be said that it is displayed in .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건물 내의 가벽(50)의 위치 및 재질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화재 확산 예상경로를 생성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화재 확산 예상경로의 예측이 가능해지며, 이를 기반으로 건물 이용자에게는 대피 안내를, 나아가 소방 담당자에게는 소방 대응 안내를 수행할 수 있어 소방 관제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ocation and material of the temporary wall 50 in the building can be identified and based on this, a fire spread expected path can be generated, making it possible to predict a more accurate fire spread expected path,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evacuate the building us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guidance and, furthermore, firefighting response guidance to a person in charge of firefighting, so that efficiency of firefighting control can be increased.

도 7은 본 발명의 알림 표식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notification mark of the present invention.

화재 발생 시에는 화재 그 자체도 위험하다 할 수 있으나, 화재 발생 시 건물 내부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에 의한 질식 위험 역시 높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서의 대피 경로 생성 시, 건물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감지하여 이산화탄소가 높은 곳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회피 경로를 제공한다면 안전성 확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In the event of a fire, the fire itself can be dangerous, but the risk of suffocation due to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the building in the event of a fire is also high. Therefore, when creating an evacuation route 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can be of great help in securing safety if an avoidance route is provided to detect carbon dioxide inside the building and avoid a place with high carbon dioxide.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벽(50)의 일 측에는 소듐 2,6-디클로로페놀-인도페놀(Sodium 2,6-dichlorophenol-indophenol)을 포함하는 가스 변색 기능제를 포함하는 알림 표식(51)이 부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가벽(50)의 인근 영역에 설치되어 알림 표식(51)의 변색을 감지하는 서브 센서부(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containing sodium 2,6-dichlorophenol-indophenol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temporary wall 50 A notification mark 51 including may be attached, and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b-sensor unit 40 installed in an area near the temporary wall 50 to detect discoloration of the notification mark 51 .

여기서 알림 표식(51)은 가벽(50)의 일 측에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알림 표식(51)은 가벽(50)의 일부에만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나, 가벽(50)의 전체 표면에 부착된 일종의 가벽(50)용 도배 시트라고도 할 수 있다.Here, the notification mark 51 can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alse wall 50, such a notification mark 51 can be attached only to a part of the false wall 50, but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false wall 50 It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papering sheet for a kind of temporary wall 50.

이러한 알림 표식(51)은 소듐 2,6-디클로로페놀-인도페놀(Sodium 2,6-dichlorophenol-indophenol)을 포함하는 가스 변색 기능제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가스 변색 기능제의 유효 성분인 소듐 2,6-디클로로페놀-인도페놀은 화재 발생 시 발생되는 대표적인 가스인 이산화탄소와, 화재 시 건물 내부 수분 증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증기에 의해 변색이 일어날 수 있는 물질이다.This notification mark 51 includes a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containing sodium 2,6-dichlorophenol-indophenol, where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is sodium 2, 6-Dichlorophenol-indophenol is a substance that can cause discoloration by carbon dioxide, which is a representative gas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and water vapor that may be generated due to evaporation of moisture inside a building in the event of a fire.

보다 상세하게 소듐 2,6-디클로로페놀-인도페놀은 산화 상태에서는 청색을 나타내나,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에 의해 환원되면서 변색되어 무색으로 변색되는 변색성을 나타낸다.In more detail, sodium 2,6-dichlorophenol-indophenol exhibits blue color in an oxidized state, but exhibits discoloration property that changes color to colorless when reduced by carbon dioxide and water vapor.

따라서 가벽(50)의 일 측에 이와 같은 소듐 2,6-디클로로페놀-인도페놀을 포함하는 가스 변색 기능제가 포함된 알림 표식(51)이 부착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알림 표식(51)이 청색을 나타내나,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의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 농도가 올라가게 되면 환원이 일어나면서 무색으로 변색되어 해당 가벽(50) 인근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Therefore, if the notification mark 51 containing the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containing sodium 2,6-dichlorophenol-indophenol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emporary wall 50, if a fire does not occur (indoor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low), the notification mark 51 shows blue, but when a fire occurs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and water vapor in the room rises, the reduction occurs and the color is changed to colorless, so that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near the wall 50 height can be visually demonstrated.

나아가 가벽(50)의 인근 영역에는 서브 센서부(4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서브 센서부(40)는 알림 표식(51)의 변색을 감지하여 변색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서브 센서부(40)는 포토센서일 수 있으며, 각 가벽(50)마다 서브 센서부(40)가 구비되거나 서로 인접한 가벽(50)을 그룹화하고, 각 그룹마다 하나의 서브 센서부(40)를 구비하여 가벽(50)에 구비된 알림 표식(51)의 변색을 감지할 수 있다.Furthermore, a sub-sensor unit 40 may be install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temporary wall 50. This sub-sensor unit 40 detects the discoloration of the notification mark 51 and generates discoloration information. These sub-sensor units 40 may be photosensors, and each temporary wall 50 is provided with a sub-sensor unit 40 or adjacent temporary walls 50 are grouped, and one sub-sensor unit 40 is provided for each group.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iscoloration of the notification mark 51 provided on the temporary wall 50 by providing.

이러한 서브 센서부(40)는 알림 표식(51)의 확연한 변색(예를 들어 백색->청색) 등이 감지될 시 변색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중앙관제서버(3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해당 가벽(50) 인근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졌음을 변색정보를 기반으로 중앙관제서버(30)가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sub-sensor unit 4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discolo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when a clear discoloration (for example, white -> blue) of the notification mark 51 is detected, Accordingly, based on the discoloration informa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a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near the temporary wall 50 has increased.

나아가 이와 같이 변색정보가 중앙관제서버(30)에 수신되는 경우, 본 발명의 가상 표시 모듈(100)에 포함될 수 있는 대피 동선 생성부(140)는 대피 경로 생성에 있어 화재 발생 위치와 건물의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가벽정보와 변색정보를 더 반영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discolo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central control server 30 in this way, the evacuation flow generation unit 140, which can be included in the virtual display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fire location and the emergency exit of the building in creating an evacuation route. In addition to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wall, it is possible to further reflect the temporary wall information and discoloration information to create an evacuation route and display it in a virtual space.

상술한 바와 같이 가벽정보는 가벽(50)의 위치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였으므로, 건물에 위치한 복수의 가벽(50)들이 어디에 있는지, 나아가 해당 가벽(50)이 화재 전파 위험이 있는 가벽(50)인지가 가벽정보를 기반으로 파악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mporary wall information may include the location and material of the temporary wall 50, where the plurality of temporary walls 50 located in the building are located, and furthermore, the temporary wall 50 where the corresponding temporary wall 50 has a risk of fire propagation )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false wall information.

또한 변색정보를 통해 각 가벽(50) 인근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파악할 수 있어, 대피 경로 생성 시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 가벽(50) 인근을 통과하지 않도록 회피경로를 생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icinity of each temporary wall 50 can be grasped through the discoloration information, an avoidance route is creat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vicinity of the temporary wall 50 determined to have a high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hen creating an evacuation route.

다시 말해 대피 경로 생성에 있어 각 건물의 호실에서 비상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되, 화재 발생 위치 인근을 회피하고, 화재 발생 위치와 인접한 가벽(50) 중에서 화재 전파 가능성이 높은 가벽(50)을 회피하며, 나아가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된 가벽(50) 인근을 통과하지 않도록 경로의 우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한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in creating an evacuation route, it is possible to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emergency exit from the room of each building, avoiding the vicinity of the fire location, and among the temporary walls 50 adjacent to the fire location, the temporary wall 50 with high possibility of fire propagation It avoids,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reate and provide a safer evacuation route by performing a detour of the route so as not to pass near the temporary wall 50, which is found to have a high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따라서 이와 같은 복합적인 지표들을 반영한 대피 경로 생성을 통해 건물 이용자로 하여금 화재 시 보다 안전하게 대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 변색 기능제의 구성에 따른 물성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스 변색 기능제의 바람직한 실시예 1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예 1은 종래의 변색제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able building users to evacuate more safely in the event of a fire through the creation of an evacuation route reflecting these complex indicators.
In order to explain th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such a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the evaluation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ill be compared and described. The examples consist of preferred Example 1 of the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arative Example 1 is a conventional discoloration ag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실시예 1><Example 1>

가스 변색 기능제로서 소듐 2,6-디클로로페놀-인도페놀 1 중량%와 에탄올 99 중량%의 혼합물을 준비하였다.A mixture of 1% by weight of sodium 2,6-dichlorophenol-indophenol and 99% by weight of ethanol was prepared as a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산청백토를 1,100 ~ 1,250℃에서 6 ~ 12 시간 소성한 지름 1cm 백색볼의 표면에 가스 변색 기능제를 3회 분사하여 코팅 처리하였다.
<비교예>
The surface of a white ball with a diameter of 1 cm calcined for 6 to 12 hours at 1,100 to 1,250 ° C was coated with a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by spraying it three times.
<Comparative examp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가스 변색 기능제로서 인디고카민(indigo carmine) 안료 1 중량%와 에탄올 99 중량%의 혼합물을 준비하였다.A mixture of 1% by weight of indigo carmine pigment and 99% by weight of ethanol was prepared as a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산청백토를 1,100 ~ 1,250℃에서 6 ~ 12 시간 소성한 지름 1cm 백색볼의 표면에 가스 변색 기능제를 3회 분사하여 코팅 처리하였다.The surface of a white ball with a diameter of 1 cm calcined for 6 to 12 hours at 1,100 to 1,250 ° C was coated with a gas discoloration functional agent by spraying it three times.

준비된 실시예 1 내지 비교예의 백색볼을 3000ppm의 이산화탄소 및 1000ppm의 수증기 농도가 유지되는 챔버 내에 5분 동안 보관한 뒤, 색상 변화 여부를 관찰하고 표 1에 나타내었다.After storing the prepared white balls of Example 1 to Comparative Example in a chamber in which 3000 ppm carbon dioxide and 1000 ppm water vapor concentration are maintained for 5 minutes, color change was observed and shown in Table 1.

표 1은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experimental results. 실험 전before experiment 실험 후after experiment 실시예 1Example 1 청색blue 연하늘색light blu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청색blue 청색blue

상술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에 비해 실험 전 후의 변색 차이가 월등하여 이산화탄소 및 수증기에 의한 변색기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shown in the above Table 1, it can be seen that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a discoloration function by carbon dioxide and water vapor because the difference in discolora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s superior to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0 : 감지 센서부 11 : 열센서
12 : 연기센서 13 : 적외선센서
14 : 불꽃센서 15 : 소방센서
20 : IoT 장치 21 : 스프링클러
22 : 소화기 23 : 잠금장치
30 : 중앙관제서버 40 : 서브 센서부
50 : 가벽 51 : 알림 표식
100 : 가상 표시 모듈 110 : 지도DB
120 : 가상 공간 생성부 130 : 화재 표시부
140 : 대피 동선 생성부 150 : 화재 확산 경로 생성부
160 : 가벽DB 200 : 화재 대응 모듈
210 : 알림 생성부 220 : 소방 대응부
10: detection sensor unit 11: thermal sensor
12: smoke sensor 13: infrared sensor
14: flame sensor 15: fire sensor
20: IoT device 21: sprinkler
22: fire extinguisher 23: lock
30: central control server 40: sub sensor unit
50: temporary wall 51: notification mark
100: virtual display module 110: map DB
120: virtual space generation unit 130: fire display unit
140: evacuation flow generation unit 150: fire spread path generation unit
160: temporary wall DB 200: fire response module
210: notification generation unit 220: fire response unit

Claims (7)

디지털 트윈 IoT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으로서,
건물 내부의 감지영역에 설치된 것으로 열센서와 연기센서 및 적외선센서와 불꽃센서 및 소방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화재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부;
소듐 2,6-디클로로페놀-인도페놀(Sodium 2,6-dichlorophenol-indophenol)을 포함한 가스 변색 기능제를 포함하는 알림 표식이 일 측에 부착된 가벽;
상기 가벽의 인근 영역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알림 표식의 변색을 감지하여 변색정보를 생성하는 서브 센서부;
상기 건물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스프링클러 및 소화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IoT 장치;
상기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상기 IoT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관제서버는,
상기 건물의 평면도 및 3D 지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내부지도를 저장한 지도DB와, 상기 내부지도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에 대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가상 공간 생성부와, 상기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화재 발생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화재 표시부 및, 상기 가벽의 재질을 포함하는 가벽정보를 저장한 가벽DB와,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및 상기 가벽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확산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화재 확산 경로 생성부 및,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및 상기 가벽정보와 상기 변색정보 및 상기 건물의 비상구의 위치를 기반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대피 동선 생성부를 포함하는 가상 표시 모듈과,
상기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알림 생성부와, 상기 화재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상기 IoT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소방 대응부를 포함하는 화재 대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
As a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A detection sensor unit installed in a detection area inside a building and generating fire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eat sensor, a smoke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lame sensor, and a fire sensor;
A false wall with a notification sign attached to one side containing a gas discoloration function including sodium 2,6-dichlorophenol-indophenol;
a sub-sensor unit install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temporary wall and generating discoloration information by detecting discoloration of the notification mark;
an IoT devic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prinkler and a fire extinguisher;
Including; a central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A map DB storing an internal map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loor plan and a 3D map of the building, a virtual space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virtual space for the building based on the internal map, and generating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A fire display unit that recognizes the location of a fire and displays and processes it in the virtual space, a temporary wall DB that stores temporary w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material of the temporary wall, and a fire spread path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temporary wall information. A fire spread path generator for displaying and processing in the virtual space, and an evacuation path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the temporary wall information, the discolor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of the building, and displaying the evacuation in the virtual space. A virtual display module including a movement line generating unit;
A fire response module including a notific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and a fire response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e response module. control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건물의 비상구 및 창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devic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emergency exit and the window of the building, the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표시 모듈은,
상기 화재 발생 위치 및 상기 건물의 비상구의 위치를 기반으로 대피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 처리하는 대피 동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소방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irtual display module,
And an evacuation flow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of the building and displaying it in the virtual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62551A 2022-11-29 2022-11-29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KR102531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551A KR102531913B1 (en) 2022-11-29 2022-11-29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551A KR102531913B1 (en) 2022-11-29 2022-11-29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913B1 true KR102531913B1 (en) 2023-05-12

Family

ID=8638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551A KR102531913B1 (en) 2022-11-29 2022-11-29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9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43088A (en) * 2023-09-20 2023-10-27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Digital twin method and system for fire-fighting training equip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en)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Device for automatic disaster warning and evacuation guide of high building
KR101822789B1 (en) * 2017-03-21 2018-03-08 이성식 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44213A (en) * 2018-10-11 2020-04-29 (주)금성계전 Intelligen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NB-IoT
KR102275989B1 (en) * 2021-01-18 2021-07-13 (주)전원테크 Fire prediction system that can predict the fire and the expected direction of fire
KR102289221B1 (en) * 2020-09-29 2021-08-13 주식회사 로제타텍 Fire protection method and fire prot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23B1 (en) 2010-03-19 2010-07-21 (주)동남티디에스 Device for automatic disaster warning and evacuation guide of high building
KR101822789B1 (en) * 2017-03-21 2018-03-08 이성식 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44213A (en) * 2018-10-11 2020-04-29 (주)금성계전 Intelligen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NB-IoT
KR102289221B1 (en) * 2020-09-29 2021-08-13 주식회사 로제타텍 Fire protection method and fire protection system
KR102275989B1 (en) * 2021-01-18 2021-07-13 (주)전원테크 Fire prediction system that can predict the fire and the expected direction of fi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43088A (en) * 2023-09-20 2023-10-27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Digital twin method and system for fire-fighting training equipment
CN116943088B (en) * 2023-09-20 2023-12-12 宁波麦思捷科技有限公司武汉分公司 Digital twin method and system for fire-fighting train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2516B2 (en) Method for remote initialization of targeted nonlethal counter measures in an active shooter suspect incident
AU764012B2 (en) 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KR102126281B1 (en)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US20230045828A1 (en) Emergency incident detection, response, and mitigation using autonomous drones
US20120047083A1 (en) Fire Situation Awareness And Evacuation Support
KR102531913B1 (en) Digital twin IoT wireless fire control system
KR102133442B1 (en) Method of providing fire evacuation service and fire evacuation system performing the same
CN106875039A (en) A kind of route guiding system accessed based on Portal and its escape method
KR100637708B1 (en) System and terminal for providing realtime fire-fighting information
CN107438766A (en) monitoring system based on image
KR20130123965A (en) Dynamic priority scenario for fire alarm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based on fir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building
EP4381483A1 (en) An intelligent fire&amp;occupant safety system and method
TWI442345B (en) Intelligent fire escape system
KR20200044213A (en) Intelligen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NB-IoT
KR102049083B1 (en) Smart emergency light system with guidance function using laser
WO2017065689A1 (en) A rapid warning &amp; evacuation system (rawes)
KR20210004612A (en) Beacon system for the rescue measures in case of fire
KR20210006277A (en) System of early fire detection and safety evacution and method thereof
TWI774404B (en) Fire escape guidance and search and rescue assistance system, and information application method based on improving fire survival rate
TWM547727U (en) Intelligent fire fighting control system
Sweeney Integration of toxic gas monitoring systems into building fire alarm systems at Harvard University
TWI715388B (en) Fire alarm system
CN208240158U (en) Chemical laboratory safety remote alarms and control device
US202302902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acuation guidance
KR102419787B1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even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