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285B1 -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285B1
KR102531285B1 KR1020160036220A KR20160036220A KR102531285B1 KR 102531285 B1 KR102531285 B1 KR 102531285B1 KR 1020160036220 A KR1020160036220 A KR 1020160036220A KR 20160036220 A KR20160036220 A KR 20160036220A KR 102531285 B1 KR102531285 B1 KR 10253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wlan
base station
electronic device
wla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230A (ko
Inventor
김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285B1/ko
Priority to EP17162810.0A priority patent/EP3223580B1/en
Priority to CN201710187842.6A priority patent/CN107231644B/zh
Priority to US15/469,791 priority patent/US10368390B2/en
Publication of KR2017011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상태(state)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함께 동일한 기능을 적어도 일시 동안 동시에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가용성을 결정하고, 상기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A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확장성 대역폭(scalable bandwidth)의 지원이다. 그 일례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은 20/15/10/5/3/1.4 MHz 등의 다양한 대역폭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서비스 사업자들은 상기 대역폭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기 또한 최대 20 MHz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에서부터 최소 1.4 MHz 대역폭만을 지원하는 것 등 여러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집성(aggregation)(예: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은 복수 개의 대역폭을 하나의 대역폭으로 결합하여 통신하는 기술이다. 상기 집성은 라디오(radio) 레벨에서 이루어지며 load awareness를 통해 가능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capacity가 증가하고 다운로드 속도 등 사용자의 사용성이 좋아진다.
현재의 기술 방식은 WiFi 주파수 대역 집성(예: LTE-WLAN 집성,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 LTE-LAA(LTE-licensed assisted access), LTE-U(LTE-unlicensed) 등) 시 단말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WLAN 사용과의 관계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현재의 기술 방식에서는, 단말이 WLAN 주파수 대역 집성을 위한 별도의 WLAN 모듈(예: WLAN baseband 칩 또는 WLAN RF 모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단말이 집성 용도로 별도의 WLAN 모듈을 추가할 수는 없고, 한 개의 WLAN 모듈을, 기존 용도와 집성의 두 가지 용도 중 하나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단말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단말이 WLAN 모듈을 기존 용도와 집성 용도로 스위칭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고, 단말 내에서 WLAN 모듈이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지 LTE 네트워크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LTE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단말에 대한 집성을 관리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라 WLAN 집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상태(state)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함께 동일한 기능을 적어도 일시 동안 동시에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가용성을 결정하고, 상기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상태(state)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상태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함께 동일한 기능을 적어도 일시 동안 동시에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가용성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며,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상태(state)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상태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함께 동일한 기능을 적어도 일시 동안 동시에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가용성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집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포함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 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예: 제1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 2 구성 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예: 제3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예: 제1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예: 제3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청정기, 셋톱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장치, 선박용 전자장비(예:선박용 항법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전자기기(avionics), 보안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포함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예를 들면, 구성 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된 제1 통신 모듈(172) 또는 제2 통신 모듈(174)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모듈(172) 및 제2 통신 모듈이 동시에, 동일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가용성(availability)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가용성에 대한 정보(이하, 가용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제어하여 상기 가용성 정보를 외부 장치(예: 기지국(104) 등)에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70)가 단일 WLAN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WLAN 모듈을 WLAN 통신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지, LTE-WLAN 집성 용도로 사용할지, 아니면 WLAN 통신과 LTE-WLAN 집성 용도로 동시에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LTE-WLAN 집성 기능은, 상기 WLAN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가 외부 장치(예: 기지국(104), 기지국(104)과 연동하는 WLAN AP, 서버(106) 등)와 LTE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WLAN 모듈이 LTE-WLAN 집성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셀룰러 모듈과 WLAN 모듈 모두를 이용하여 셀룰러 통신(예: LTE 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셀룰러 모듈과 WLAN 모듈 각각은 서로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의 경우 셀룰러 기지국과 WLAN AP가 동시에 연동되어 셀룰러 기지국과 단말은 셀룰러 네트워크와 WLAN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WLAN 모듈은 RF, 안테나, baseband 등의 자원을 셀룰러 통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LAA의 경우, 셀룰러 기지국과 단말은 셀룰러 네트워크 주파수와 WLAN 주파수를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 방식으로 사용하여 셀룰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WLAN 모듈의 안테나와 RF 등의 자원이 셀룰러 통신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WLAN 집성 방식에 따라 한 개의 WLAN 집성과 WLAN의 다른 기능(예: 인터넷 통신, WLAN direct 등)을 동시에 지원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에 의해 WLAN 통신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WLAN 모듈은 WLAN을 통한 인터넷 연결, WLAN 다이렉트 연결, S2a 또는 S2b를 통한 WLAN 인터워킹(interworking), 핫 스팟, 테더링(tethering) 또는 기기 간 페어링(paring)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에 의해 WLAN 통신과 LTE-WLAN 집성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WLAN 모듈은 WLAN 통신과 LTE-WLAN 집성에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에 의해 LTE-WLAN 집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WLAN 모듈은 LTE-WLAN 집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WLAN 모듈의 용도별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WLAN 모듈이 수행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WLAN 집성의 우선 순위가 테더링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테더링을 종료하고 LTE-WLAN 집성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WLAN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에는 WLAN 모듈의 용도별 우선 순위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WLAN 모듈의 용도별 우선 순위는 예를 들어, 아래 표 1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우선 순위 WLAN 모듈의 용도
1순위 인터넷 연결
2순위 테더링
3순위 LTE-WLAN 집성
4순위 WLAN 다이렉트 연결
5순위 S2a를 통한 WLAN 인터워킹
... ,,,
표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에서의 WLAN 모듈의 용도 중 LTE-WLAN 집성의 우선 순위는 인터넷 연결 및 테더링보다는 낮고 WLAN 다이렉트 연결, S2a를 통한 WLAN 인터워킹 등보다는 높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와 같은 표 1을 기초로 WLAN 모듈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상기 표 1과 같은 WLAN 모듈의 용도별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표를 ‘우선순위 표’라 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130)에는 전자 장치(101)에 대한 상기 우선순위 표가 저장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 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143)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줄링 또는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트(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2), 기지국(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기지국(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16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164)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제1 통신 모듈(172) 및 제2 통신 모듈(17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172)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17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2), 기지국(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172)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셀룰러 모듈일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은 WLAN 통신을 위한 WLAN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WLAN 집성을 통해 제1 통신 모듈(172) 및 제2 통신 모듈(174)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2), 기지국(104) 또는 서버(106))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72)에서 사용되는 통신 채널이 제1 채널이고, 제2 통신 모듈(174)에서 사용되는 통신 채널이 제2 채널이라고 가정하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상기 두 개의 통신 채널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셀룰러 데이터(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예: 전자 장치(102), 기지국(104) 또는 서버(106))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용량이 100Mbyte라고 가정하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 중 50Mbyte를 제1 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나머지 50Mbye를 제2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 하에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우선순위 표를 기지국(104)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2)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101)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2)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원격으로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장치(101)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04)은 전자 장치(102)가 셀룰러 통신, 예를 들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04)은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전자 장치(101)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제2 통신 모듈의 WLAN 집성 가용성을 나타내는 가용성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04)은 상기 가용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WLAN 집성을 위해 제2 통신 모듈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통신 채널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용성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기지국(104)으로부터 통신 채널을 할당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 기지국(104)은 상기 가용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제2 통신 모듈이 가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제2 통신 모듈에 대한 통신 채널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104)은 상기 가용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제2 통신 모듈이 가용한 경우에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제2 통신 모듈에 대한 통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210), 통신 모듈(220), 가입자 식별 모듈(224), 메모리(230), 센서 모듈(240), 입력 장치(250), 디스플레이(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모듈(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및 모터(2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다른 구성 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2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229)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프로세서(2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1), WiFi 모듈(223), 블루투스 모듈(225), GNSS 모듈(227) 또는 NFC 모듈(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2) 또는 외장 메모리(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가속도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컬러(color) 센서(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1)는 프로세서(2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10)가 슬립(sleep)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2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254), 키(key)(2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시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2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8)는 마이크(예: 마이크(2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도 1의 디스플레이(16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60)는 패널(262), 홀로그램 장치(264), 또는 프로젝터(2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272), USB(universal serial bus)(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6), 또는 D-sub(D-subminiature)(2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의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전자 장치(201)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2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 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10)(예: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OS)) 및/또는 운영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은 커널(320), 미들웨어(33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36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3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장치(102, 104), 서버(106) 등)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가능하다.
커널(320)(예: 커널(141))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3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3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3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330)(예: 미들웨어(143))는 런타임 라이브러리(3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3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3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3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3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346),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3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3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3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3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351), 또는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3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3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344)는 어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345)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는 어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3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348)는,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3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350)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35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3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의 다양한 기능의 조합을 형성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3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3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 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360)(예: API(145))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은, 예를 들면, 홈(371), 다이얼러(372), SMS/MMS(373), IM(instant message)(374), 브라우저(375), 카메라(376), 알람(377), 컨택트(378), 음성 다이얼(379), 이메일(380), 달력(381), 미디어 플레이어(382), 앨범(383), 또는 시계(384),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 상,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106) 또는 전자 장치(102, 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370)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310)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운영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310)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 기록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제1 통신 모듈(172), 제2 통신 모듈(174)을 포함하고, 통신 컨트롤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프로세서(120)에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172)은 셀룰러 모듈일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174)은 WLAN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172)은, 전자 장치(101)의 셀룰러 통신, 예를 들어 LTE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은 전자 장치(101)의 WLAN 통신, 예를 들어 WLAN을 통한 인터넷 연결, WLAN 다이렉트 연결, S2a 또는 S2b를 통한 WLAN 인터워킹(interworking), 핫 스팟, 테더링(tethering) 또는 기기 간 페어링(paring) 등의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통신 컨트롤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컨트롤러(410)는 프로세서(120)와 마찬가지로 WLAN 모듈로 구현된 제2 통신 모듈(174)을 WLAN 통신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지, 아니면 LTE-WLAN 집성 용도로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컨트롤러(410)에 의해 WLAN 통신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은 WLAN을 통한 인터넷 연결, WLAN 다이렉트 연결, S2a 또는 S2b를 통한 WLAN 인터워킹(interworking), 핫 스팟, 테더링(tethering) 또는 기기 간 페어링(paring)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컨트롤러(410)에 의해 LTE-WLAN 집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은 LTE-WLAN 집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컨트롤러(4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우선순위 표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모듈(174)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172)과 제2 통신 모듈(174)은 하나의 칩셋(chipset)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모듈(172) 및 제2 통신 모듈(174) 각각이 별도의 칩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172)과 제2 통신 모듈(174)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물리적으로 칩 간 다이렉트 인터페이스(direct interface), 칩 내의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모듈(예: 프로세서(120), 통신 컨트롤러(410) 등)을 통한 인터페이스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컨트롤러(410)는 프로세서(41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74)이 LTE-WLAN 집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은 데이터 경로를 스위칭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경로는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컨트롤러(4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은 프로세서(120)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1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12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외부 통신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이 LTE-WLAN 집성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셀룰러 통신 용도인 상기 제1 통신 모듈(172)과 LTE-WLAN 집성 용도인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모듈(172)과 제2 통신 모듈(174) 사이에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72)과 제2 통신 모듈(174)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컨트롤러(410)의 제어 하에 제2 통신 모듈(174)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20)와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제1 통신 모듈(172)과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컨트롤러(410)는, 전자 장치(101)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예: Access Point(AP))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컨트롤러(410)는 전자 장치(101)와 연결된 또는 연결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가 LTE-WLAN 집성을 지원하는지 또는 지원하는지 않는지 여부를 나타낸 AP 리스트를 작성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AP 리스트는, 예를 들어 표 2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LTE-WLAN 집성 지원 여부
AP-01 지원
AP-02 미지원
AP-03 지원
AP-04 지원
... ...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컨트롤러(410)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에 따라 상기 AP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컨트롤러(410)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가 변경되면, 해당 위치에서 전자 장치(101)와 연결된 서비스 제공자 또는 연결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를 파악하고, 그 파악 결과에 따라 AP 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또는 통신 컨트롤러(410)는 AP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 개의 AP들 중 적절한 AP를 LTE-LAN 집성 기능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AP들 중 성능(예: 감도)이 가장 좋은 AP를 상기 LTE-WLAN 집성 기능에 사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AP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AP 리스트 중 LTE-WLAN 집성 기능을 제공하는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자만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상기 AP 리스트의 서비스 제공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상태(state)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함께 동일한 기능을 적어도 일시 동안 동시에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가용성을 결정하고, 상기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2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2 통신 모듈(174)(예: WLAN 모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504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용성은,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이 제1 통신 모듈(172)(예: 셀룰러 통신 모듈)과 동일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제1 통신 모듈(172)이 셀룰러 통신을 통해 기지국(104)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있을 때에 제2 통신 모듈(174) 또한 상기 기지국(104)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104)으로부터 제1 통신 모듈(172)과 제2 통신 모듈(174) 각각에 할당된 통신 채널을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제1 통신 모듈(172) 및 제2 통신 모듈(174) 각각으로 전달되는 데이터 또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서로 다른 일부일 수 있다.
동작 504에서 가용성이 결정되면, 동작 506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동작 508에서 상기 메시지를 외부 장치, 예를 들어 기지국(104)에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기지국(104) 또는 전자 장치(102))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서 외부 장치는 기지국(104)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6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 모듈(172)을 통해 기지국(104)과 셀룰러 통신을 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104)은 동작 602에서 전자 장치(101)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가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104)은 동작 604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추가 채널을 할당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604에서, 기지국(104)은 동작 602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추가 채널을 할당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602에서 수신하는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일 수 있고, 상기 RRC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전자 장치(101)로부터 기지국(104)으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동작 604의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장치(101)에 추가 채널을 할당할 수 있는 경우(604: 예), 기지국(104)은 동작 606으로 진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추가 채널, 예를 들어 LTE-WLAN 집성을 위한 통신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추가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집성을 할 수 있다. 동작 604의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장치(101)에 추가 채널을 할당할 수 없는 경우(604: 아니오), 기지국(104)은 동작 608로 진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에 추가 채널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2에서 전자 장치(101)는 서비스 제공자, 예를 들어 기지국(104)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104)은 셀룰러 통신을 통해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기지국(104)은, 동작 704에서 전자 장치(101)로 통신 채널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7에서 기지국(104)과 전자 장치(101)는 2개 이상의 채널들, 즉 멀티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멀티 채널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전자 장치(101)는 제2 통신 모듈(174)을 이용하여 집성 동작, 예를 들어 LTE-WLAN 집성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을 수신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706에서 제2 통신 모듈(174), 즉 WLAN 모듈이 가용한지 여부, 즉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이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706의 판단 결과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이 가용한 경우(706: 예), 전자 장치(101)는 동작 714에서 집성 기능(예: LTE-WLAN 집성 기능 등)을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1)는 동작 714에서 추가 채널을 할당하여 줄 것을 기지국(104)에 요청할 수 있다. 동작 716에서 기지국(104)은 상기 동작 714에서의 상기 집성 기능의 제공에 대한 응답을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16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기지국(104)으로부터 추가 채널을 할당받을 수 있다. 상기 추가 채널이 전자 장치(101)에 할당됨으로써,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104) 사이에는 두 개 이상의 채널들, 즉 멀티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추가 채널이 전자 장치(101)에 할당되면, 동작 718에서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104)은 멀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동작 706의 판단 결과 제2 통신 모듈(174)이 가용하지 않은 경우(706: 아니오), 프로세서(120)는 동작 708에서 제2 통신 모듈(174)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과, 집성 기능(예: LTE-WLAN 집성 기능) 각각의 우선 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08에서의 우선 순위의 확인은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우선순위 표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
동작 710에서 프로세서(120)는 집성 기능(예: LTE-WLAN 집성 기능)의 우선 순위가 제2 통신 모듈(174)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710의 판단 결과 집성 기능(예: LTE-WLAN 집성 기능)의 우선 순위가 제2 통신 모듈(174)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710: 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714에서 집성 기능(예: LTE-WLAN 집성 기능)을 제공하여 줄 것을 기지국(104)에 요청하도록 전자 장치(101)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716에서 기지국(104)으로부터 상기 집성 기능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104)은 동작 718에서 멀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16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기지국(104)으로부터 추가 채널을 할당받을 수 있다.
동작 710의 판단 결과 집성 기능(예: LTE-WLAN 집성 기능)의 우선 순위가 제2 통신 모듈(174)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우선 순위보다 높지 않은 경우(710: 아니오), 프로세서(120)는 동작 712에서 기지국(104)과 연결된 통신 채널을 단일 채널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단일 채널은 제1 통신 모듈(172)과 기지국(104)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채널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집성 기능(예: LTE-WLAN 집성 기능)의 우선 순위가 제2 통신 모듈(174)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우선 순위보다 높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2 통신 모듈(174)이 현재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전자 장치(10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통신 모듈(172) 및 제2 통신 모듈(174)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동작 802에서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에서 지원하는 기능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802에서 프로세서(120)는 제2 통신 모듈(174)에서 지원하는 기능, 예를 들어 WLAN을 통한 인터넷 연결, WLAN 다이렉트 연결, S2a 또는 S2b를 통한 WLAN 인터워킹, 핫 스팟, 테더링 또는 기기 간 페어링(paring), LTE-WLAN 집성 등의 동작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선 순위는 전자 장치(101)의 통신 환경(예: WiFi가 지원하는 환경 등)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74)에서 지원하는 기능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되면, 동작 804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기능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 표를 생성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806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우선 순위 표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가 생성되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808에서 상기 RRC 메시지를 기지국(104)에 전송(또는 방송)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동작 810에서 상기 제2 통신 모듈(174)에서 지원하는 기능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74)에서 지원하는 기능들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는, 전자 장치(101)의 통신 환경(예: WiFi가 지원하는 환경 등)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2 통신 모듈(174)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능을 파악하여 해당 기능의 우선순위를 상향 조정하거나,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되는 기능을 파악하여 해당 기능의 우선순위를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동작 810의 판단 결과 우선순위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810: 아니오), 프로세서(120)는 별다른 동작을 실행하지 않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810의 판단 결과 우선순위가 변경된 경우(810: 예), 프로세서(120)는 동작 812에서 우선순위 표를, 변경된 우선순위를 반영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동작 814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제어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우선순위 표를 기지국(104)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상기 업데이트된 우선순위 표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기지국(104)에 전송(또는 방송)함으로써 상기 업데이트된 우선순위 표를 기지국(104)과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상태(state)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상태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함께 동일한 기능을 적어도 일시 동안 동시에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가용성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며,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의 상태(state)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상태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함께 동일한 기능을 적어도 일시 동안 동시에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가용성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101: 전자 장치 102: 전자 장치
104: 전자 장치 106: 서버
110: 버스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40: 프로그램
141: 커널 143: 미들웨어
145: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47: 어플리케이션 150: 입출력 인터페이스
160: 디스플레이 162: 네트워크
170: 통신 인터페이스 172: 제1 통신 모듈
174: 제2 통신 모듈

Claims (2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셀룰러 네트워크 주파수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셀룰러 통신 모듈;
    WLAN 주파수를 사용하여 WLAN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WLAN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WLAN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의 상태(state)를 확인하고,
    상기 WLAN 통신 모듈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의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 주파수 및 상기 WLAN 통신 모듈의 상기 WLAN 주파수를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 방식으로 사용하는 LTE-LAA(LTE-licensed assisted access) 통신에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없는 상기 WLAN 주파수를 사용한 상기 WLAN 통신을 수행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WLAN 통신을 수행함을 식별함에 대응하여,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가용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가용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상기 기지국이 할당하지 않도록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가용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상기 WLAN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과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적어도 일부 동시에(at least temporally) 사용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신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가용성 정보를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가용성 정보를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정보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에서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전자 장치와의 멀티 채널 연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원하는 경우 상기 가용성 정보를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용성 정보로서, 상기 우선 순위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에서 현재 실행되는 기능이 상기 기지국과의 LTE-LAA 통신 채널 개설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경우, 상기 기지국과의 LTE-LAA 통신 채널의 할당을 상기 기지국에 요청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에서 현재 실행되는 기능이 상기 기지국과의 LTE-LAA 통신 채널 개설보다 우선 순위가 낮지 않은 경우,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과 기지국 간의 단일 채널을 유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셀룰러 네트워크 주파수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셀룰러 통신 모듈, WLAN 주파수를 사용하여 WLAN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WLAN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WLAN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WLAN 통신 모듈의 상태(state)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WLAN 통신 모듈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의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 주파수 및 상기 WLAN 통신 모듈의 상기 WLAN 주파수를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 방식으로 사용하는 LTE-LAA(LTE-licensed assisted access) 통신에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없는 상기 WLAN 주파수를 사용한 상기 WLAN 통신을 수행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WLAN 통신을 수행함을 식별함에 대응하여,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가용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가용성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상기 기지국이 할당하지 않도록 상기 가용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상기 WLAN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과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적어도 일부 동시에(at least temporally) 사용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신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가용성 정보를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정보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에서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전자 장치와의 멀티 채널 연결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멀티 채널 연결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가용성 정보를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정보로서, 상기 우선 순위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WLAN 통신 모듈에서 현재 실행되는 기능이 상기 기지국과의 LTE-LAA 통신 채널 개설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경우, 상기 기지국과의 LTE-LAA 통신 채널의 할당을 상기 기지국에 요청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WLAN 통신 모듈에서 현재 실행되는 기능이 상기 기지국과의 LTE-LAA 통신 채널 개설보다 우선 순위가 낮지 않은 경우,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과 기지국 간의 단일 채널을 유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셀룰러 네트워크 주파수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셀룰러 통신 모듈 및 WLAN 주파수를 사용하여 WLAN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WLAN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WLAN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며,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WLAN 통신 모듈의 상태(state)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WLAN 통신 모듈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의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 주파수 및 상기 WLAN 통신 모듈의 상기 WLAN 주파수를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 방식으로 사용하는 LTE-LAA(LTE-licensed assisted access) 통신에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없는 상기 WLAN 주파수를 사용한 상기 WLAN 통신을 수행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WLAN 통신을 수행함을 식별함에 대응하여,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가용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가용성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상기 기지국이 할당하지 않도록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 또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가용성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셀룰러 네트워크 주파수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셀룰러 통신 모듈;
    WLAN 주파수를 사용하여 WLAN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WLAN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WLAN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상기 WLAN 통신을 수행하고 있으면,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상기 WLAN 주파수를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 방식의 LTE-LAA (LTE-licensed assisted access) 통신에 사용할 수 없음을 결정하고,
    상기 WLAN 주파수를 반송파 집성 방식의 LTE-LAA 통신에 사용할 수 없음이 결정되면,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상기 기지국이 할당하지 않도록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상기 WLAN 주파수를 상기 LTE-LAA 통신에 사용할 수 없음을 지시하는 가용성 정보를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셀룰러 통신 모듈 및 WLAN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WLAN 통신을 수행하고 있으면, WLAN 주파수를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 방식의 LTE-LAA (LTE-licensed assisted access) 통신에 사용할 수 없음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WLAN 주파수를 반송파 집성 방식의 LTE-LAA 통신에 사용할 수 없음이 결정되면, 상기 WLAN 통신 모듈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기지국이 할당하지 않도록 상기 WLAN 통신 모듈이 상기 WLAN 주파수를 상기 LTE-LAA 통신에 사용할 수 없음을 지시하는 가용성 정보를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듈은 셀룰러 네트워크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WLAN 통신 모듈은 상기 WLAN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WLAN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WLAN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24. 삭제
  25. 삭제
KR1020160036220A 2016-03-25 2016-03-25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531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20A KR102531285B1 (ko) 2016-03-25 2016-03-25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EP17162810.0A EP3223580B1 (en) 2016-03-25 2017-03-24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function
CN201710187842.6A CN107231644B (zh) 2016-03-25 2017-03-27 用于提供通信功能的方法和电子设备
US15/469,791 US10368390B2 (en) 2016-03-25 2017-03-27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20A KR102531285B1 (ko) 2016-03-25 2016-03-25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230A KR20170111230A (ko) 2017-10-12
KR102531285B1 true KR102531285B1 (ko) 2023-05-12

Family

ID=5848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220A KR102531285B1 (ko) 2016-03-25 2016-03-25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68390B2 (ko)
EP (1) EP3223580B1 (ko)
KR (1) KR102531285B1 (ko)
CN (1) CN1072316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0352A (ja) * 2016-04-21 2019-07-0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US10219161B2 (en) * 2016-11-02 2019-02-2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evice on a licensed spectrum and an unlicensed spectrum
CN110794282B (zh) * 2018-08-02 2021-11-02 大陆汽车投资(上海)有限公司 基于dSPACE-HIL***的用于与电子设备通信的方法和装置
KR20200122845A (ko) * 2019-04-19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3415A1 (en) 2014-05-30 2015-1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on between wan-wlan interworking and wan-wlan aggrega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2500A (zh) * 2011-05-27 2016-05-1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流传输方法及用户设备
CN102821483B (zh) * 2011-06-08 2015-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与无线广域网互操作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3220786B (zh) * 2012-01-18 2016-09-07 ***通信集团公司 Wlan和蜂窝网络协同工作的方法、基站、终端和***
JP5962096B2 (ja) * 2012-03-16 2016-08-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及び通信方法
US9629028B2 (en) * 2012-03-16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eterogeneous carrier aggregation
WO2013149459A1 (en) * 2012-04-05 2013-10-10 Qualcomm Incorporated Push button configuration for hybrid network devices
US9312888B2 (en) * 2012-06-29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interface circuits for carrier aggregation on multiple antennas
US8891420B2 (en) * 2012-09-14 2014-11-18 Fujitsu Limited Fusion of cellular and non-cellular communications
CN103906056B (zh) * 2012-12-26 2018-01-0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混合组网下统一认证方法及***
US9474067B2 (en) * 2013-03-26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WLAN uplink scheduler for LTE-WLAN aggregation
WO2015038930A1 (en) * 2013-09-13 2015-03-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threshold adaptation method
KR102107022B1 (ko) 2013-09-16 2020-05-07 주식회사 팬택 반송파 집성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 및 방법
US9560656B2 (en) 2013-10-17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Joint support for UEs capable of communicating data of a same bearer on first and second RATs simultaneously and UEs not capable of communicating data of a same bearer on the first and second RATs simutaneously
US9532243B2 (en) * 2014-01-20 2016-12-27 Apple Inc. WLAN and LTE coexistence in unlicensed radio frequency bands
US9674853B2 (en) * 2014-05-16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wireless network connections for traffic aggregation
KR20160027861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채널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440765B2 (en) * 2014-09-24 2019-10-08 Apple Inc. Multi-RAT radio resource aggregation with split bearer support
US9838957B2 (en) * 2014-11-06 2017-12-0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selecting a mobility mode of a user equipment (UE)
WO2016195395A1 (ko) * 2015-06-03 2016-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Wlan 오프로딩 가용성 지시자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92080B2 (en) * 2015-06-10 2019-05-14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aggregating WLAN and LT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3415A1 (en) 2014-05-30 2015-1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on between wan-wlan interworking and wan-wlan aggreg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2042*
3GPP TSG-RAN WG2 Meeting #93, R2-162042, 2016.02.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3580A1 (en) 2017-09-27
EP3223580B1 (en) 2020-04-29
KR20170111230A (ko) 2017-10-12
CN107231644A (zh) 2017-10-03
US10368390B2 (en) 2019-07-30
CN107231644B (zh) 2022-04-15
US20170280506A1 (en)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366B1 (ko)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1659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KR102447179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US100797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using plural processors
KR102325737B1 (ko)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41543B1 (ko) 주파수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31993B1 (ko)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반한 외부 전자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KR102416549B1 (ko)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70092966A (ko)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60129607A (ko) 전자 장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160101600A (ko)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70110469A (ko) 영상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531285B1 (ko)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140851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20160100153A (ko) 장치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146346A (ko) 전자 장치 및 그 연결 방법
US10931322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16013968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70081903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52281A (ko) 네트워크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78373B1 (ko) 복수의 충전 회로를 활용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75937B1 (ko)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63405B1 (ko)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70008573A (ko)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333218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클럭 주파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