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012B1 -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012B1
KR102531012B1 KR1020220033101A KR20220033101A KR102531012B1 KR 102531012 B1 KR102531012 B1 KR 102531012B1 KR 1020220033101 A KR1020220033101 A KR 1020220033101A KR 20220033101 A KR20220033101 A KR 20220033101A KR 102531012 B1 KR102531012 B1 KR 10253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ing
inlet
battery pack
electric mo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진
김종삼
Original Assignee
김동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휘 filed Critical 김동휘
Priority to KR102022003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012B1/ko
Priority to PCT/KR2023/003556 priority patent/WO202317724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은,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해 쉬스층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 각종 코어를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쉬스층 내부에 각종 코어와 별도로 구비되고, 전기 모빌리티 외부에 구비된 소화장치로부터 전기 모빌리티의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기 위한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상기 쉬스층 내부에 각종 코어 및 소화약제 주입배관과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으로부터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내부에 충전되면서 배터리팩 내부에 있던 공기와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기 위한 소화약제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Electric mobility charging cable having fire extinguishing agent pipes, and inlet, connector and battery pack integrat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 등의 전기 모빌리티 충전을 위한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과 더불어 배터리팩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즉시 주입할 수 있는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계적인 환경 규제 강화와 에너지 절감 추세에 따라 세계각국에서는 친환경적인 자동차의 개발과 보급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전기자동차는 순수하게 외부에서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배터리만으로 운행하는 순수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 엔진 및 모터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 가능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Plug-inHybrid Electric Vehic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하여, 차량 제조업체는 고연비 및 CO2 배출량이 적은 EV(Electric Vehicle) 및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등의 친환경 전기자동차량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보급에 따라 충전을 위한 충전소의 확충 및 충전용 케이블의 보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의 경우 충전스탠드에 연결된 전기차 충전용 케이블과 커넥터를 차량의 인렛(inlet)에 꽂아 연결함으로써 상기 인렛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차 내부의 배터리팩 충전이 시작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상의 충전용 케이블은 충전용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 등 각종 코어들을 쉬스층이 전체적으로 감싼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충전용 케이블에 의해 충전되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팩은 주로 리튬 이차전지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를 겹겹이 쌓아 전기적으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한 배터리 모듈을 외부 충격이나 방습을 위해 금속 재질의 케이스 내부에 수납한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이용한 배터리팩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열폭주에 의해 발화 내지 폭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접한 이차전지로 열 또는 화염이 전달되어 2차 발화 내지 폭발이 일어날 경우에는 인명피해를 동반한 매우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2차 발화 내지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소화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 제2021-0017535호(명칭: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이하 ‘선행특허’라 함)에는 배터리팩 내부에서 열폭주가 발생되는 경우 차량 내부에 탑재된 소화 탱크 등의 소화 유닛으로부터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자동으로 주입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에 개시된 기술은 소화 탱크를 포함한 소화 유닛을 차량 내부의 배터리팩 주변에 항상 탑재하여야 하므로 상기 소화 유닛에 의해 차량의 중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소화 유닛이 배터리팩의 점유공간을 상당 부분 차지하게 되므로 결국 차량의 연비 및 주행거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소화 유닛의 오작동으로 인해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가 잘못 분사된 경우에는 주행 중인 차량이 정지되어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소화약제의 제거 및 배터리팩의 복구를 위해 배터리팩을 전면 교체해야 할 수도 있으므로 이로 인해 상당한 경제적 손실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2020-022156호 (2020.10.27. 공개)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2021-0017535호 (2021.02.17.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전기차 등의 전기 모빌리티 충전을 위한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과 더불어 배터리팩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즉시 주입할 수 있는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해 쉬스층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 각종 코어를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쉬스층 내부에 각종 코어와 별도로 구비되고, 전기 모빌리티 외부에 구비된 소화장치로부터 전기 모빌리티의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기 위한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상기 쉬스층 내부에 각종 코어 및 소화약제 주입배관과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으로부터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내부에 충전되면서 배터리팩 내부에 있던 공기와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기 위한 소화약제 배출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인렛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해 쉬스층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 각종 코어를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인렛(inlet)에 있어서, 상기 쉬스층 내부에 각종 코어와 별도로 구비되고, 전기 모빌리티 외부에 구비된 소화장치로부터 전기 모빌리티의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기 위한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상기 쉬스층 내부에 각종 코어 및 소화약제 주입배관과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으로부터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내부에 충전되면서 배터리팩 내부에 있던 공기와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기 위한 소화약제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되고, 전기 모빌리티의 외측에 충전 케이블의 접속을 위해 구비된 인렛 바디부; 및 상기 인렛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충전용 케이블의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배출배관과 각각 연결되는 소화약제 주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 및 배출구의 배터리팩 반대쪽 일단에는 이물질 차단필름이 더 구비되되,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은 평소 배터리팩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다가 배터리팩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까지 상승하면 녹아내리면서 소화약제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개방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는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해 쉬스층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 각종 코어를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connector)에 있어서, 상기 쉬스층 내부에 각종 코어와 별도로 구비되고, 전기 모빌리티 외부에 구비된 소화장치로부터 전기 모빌리티의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기 위한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상기 쉬스층 내부에 각종 코어 및 소화약제 주입배관과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으로부터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내부에 충전되면서 배터리팩 내부에 있던 공기와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기 위한 소화약제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되고, 전기 모빌리티의 인렛에 접속되기 위해 구비된 커넥터 바디부; 및 상기 커넥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충전용 케이블의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배출배관과 각각 연결되는 소화약제 주입구 및 배출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 또는 배출구에는 온도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신호가 감지되면 즉시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배터리팩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해 쉬스층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 각종 코어를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배터리팩에 있어서, 상기 쉬스층 내부에 각종 코어와 별도로 구비되고, 전기 모빌리티 외부에 구비된 소화장치로부터 전기 모빌리티의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기 위한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상기 쉬스층 내부에 각종 코어 및 소화약제 주입배관과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으로부터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내부에 충전되면서 배터리팩 내부에 있던 공기와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기 위한 소화약제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되고, 상기 충전용 케이블의 각종 코어가 금속재 케이스 내부의 이차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편, 상기 충전용 케이블에 구비된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배출배관이 금속재 케이스와 각각 기밀하게 연결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은, 특히 전기차 등 전기 모빌리티의 충전 중에 빈번히 발생되는 배터리팩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전기 모빌리티의 충전용 케이블, 인렛 및 커넥터에 일체로 결합된 소화약제 주입배관을 통해 배터리팩 내부로 소화약제를 즉시 주입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팩 화재를 발생 즉시 조기에 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소에 전기 모빌리티 내부에 소화 탱크를 비롯한 각종 소화 유닛을 탑재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기차 등의 전기 모빌리티 하중이 대폭 경감됨과 함께 소화 유닛의 배제로 배터리팩의 탑재용량을 그만큼 더 증량할 수 있으므로 전기 모빌리티의 연비 및 주행거리가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의 요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 바디부 및 배터리팩 접속부를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인렛 바디부를 확대하여 보인 (a)측면도 및 (b)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스탠드의 일 실시예 구성 및 작동 관계를 보인 개략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의 요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 바디부 및 배터리팩 접속부를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인렛 바디부를 확대하여 보인 (a)측면도 및 (b)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스탠드의 일 실시예 구성 및 작동 관계를 보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전기 모빌리티(E-mobility)의 범주에는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개인이 생활교통과 물류배송 등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전기차(EV), 전기스쿠터, 전기킥보드 등 충전용 배터리팩이 내장된 모든 형태의 개인형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100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팩(1400)의 충전을 위해 쉬스층(1010)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 등의 각종 코어(10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쉬스층(1010) 내부에는 각종 코어(1020)와 별도로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이 구비된다.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은 배터리팩(1400) 내부의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전기 모빌리티 외부에 구비된 소화장치(1600, 도 3 및 도 6 참조)로부터 전기 모빌리티의 배터리팩(1400)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쉬스층(1010) 내부에는 각종 코어(1020) 및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과 별도로 소화액제 배출배관(1040)이 구비된다.
상기 소화약제 배출배관(1040)은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으로부터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에 충전되면서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에 있던 공기와 소화약제가 배터리팩(1400)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또는 배출배관(1040)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또는 배출배관(1040)은 수백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재 배관이나 내열성 실리콘재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과 결합된 인렛(110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팩(1400)의 충전을 위해 쉬스층(1010)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 각종 코어(10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쉬스층(1010) 내부에 각종 코어(1020)와 별도로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이 구비된다.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은 배터리팩(1400) 내부의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전기 모빌리티 외부에 구비된 소화장치(1600, 도 3 및 도 6 참조)로부터 전기 모빌리티의 배터리팩(1400)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쉬스층(1010) 내부에는 각종 코어(1020) 및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과 별도로 소화액제 배출배관(1040)이 구비된다.
상기 소화약제 배출배관(1040)은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으로부터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에 충전되면서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에 있던 공기와 소화약제가 배터리팩(1400)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또는 배출배관(1040)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또는 배출배관(1040)은 수백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재 배관이나 내열성 실리콘재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충전용 케이블(1000)과 결합된 상태로 전기 모빌리티의 외측에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을 위해 커넥터(1200, 도 3 및 도 4 참조)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접속되는 인렛 바디부(1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인렛 바디부(1110)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용 케이블(1000)의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및 배출배관(1040)과 각각 연결되는 소화약제 주입구(1130) 및 배출구(11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1130) 및 배출구(1140)의 배터리팩(1400) 반대쪽 일단에는 이물질 차단필름(11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1150)은 일례로 투명 또는 유색의 접착필름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1150)이 소화약제 주입구(1130) 및 배출구(1140)에 부착된 경우 평소 배터리팩(140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후, 배터리팩(1400)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까지 상승된 경우, 즉 배터리팩 내부에 열폭주 또는 화재 발생 시 상기 배터리팩(1400)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에 의해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1150)이 녹아내리면서 소화약제 주입구(1130) 및 배출구(1140)를 개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1150)은 90도의 온도에서 녹아내릴 수 있도록 열가소성 핫멜트 필름이나 유기재료 필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차단필름(1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필름 형태로 소화약제 주입구(1130) 및 배출구(1140)를 커버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캡(cap) 형태로 제조하여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1130) 및 배출구(1140)에 마개처럼 끼워 고정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능하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또는 배출배관(1040)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또는 배출배관(1040)은 수백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재 배관이나 내열성 실리콘재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1000)과 결합된 커넥터(12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팩(1400)의 충전을 위해 쉬스층(1010)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 각종 코어(10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쉬스층(1010) 내부에 각종 코어(1020)와 별도로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이 구비된다.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은 배터리팩(1400) 내부의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전기 모빌리티 외부에 구비된 소화장치(1600, 도 3 및 도 6 참조)로부터 전기 모빌리티의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쉬스층(1010) 내부에는 각종 코어(1020) 및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과 별도로 소화액제 배출배관(1040)이 구비된다.
상기 소화약제 배출배관(1040)은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으로부터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에 충전되면서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에 있던 공기와 소화약제가 배터리팩(1400)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충전용 케이블(1000)과 결합된 상태로 전기 모빌리티의 인렛(1100)에 접속되기 위한 커넥터 바디부(12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 바디부(1210)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용 케이블(1000)의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및 배출배관(1040)과 각각 연결되는 소화약제 주입구(1230) 및 배출구(12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1230) 및/또는 배출구(1240)에는 배터리팩(1400) 내부의 열폭주 또는 화재 발생에 따른 온도, 연기, 불꽃 등을 감지하기 위해 온도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50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500)가 소화약제 주입구(1230) 및/또는 배출구(1240)에서 90도 이상의 고온 또는 연기나 불꽃 등의 이상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미도시)는 현장에서 즉시 경고등 또는 경고음에 의한 알람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상기 센서 어셈블리(1500)의 온도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90도를 상회하는 경우에 제어부(미도시)는 배터리팩(1400) 내부에 열폭주 또는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즉시 알람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상기 센서 어셈블리(1500)의 연기감지 센서 또는 불꽃감지 센서는 연기, 열기 또는 불꽃 등을 직접 촬영하여 감지하도록 열화상 카메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미도시)는 알람의 발생과 더불어 배터리팩(1400)의 충전을 자동으로 즉시 중지시킨 다음, 상기 비상상황의 발생을 유무선 통신을 통해 현장의 상황실 및/또는 인근 소방서 상황실로 즉시 자동으로 화재발생 및 발생위치를 포함한 화재신고를 즉시 송출한다.
이에 더해, 상기 알람의 발생 및 화재신고와 더불어 전기 모빌리티의 사용자 또는 소유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App)으로도 배터리팩 열폭주 또는 화재 등 비상상황의 발생을 즉시 자동으로 알람 송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한 화재신고 및 전기 모빌리티의 사용자 또는 소유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비상상황의 알람 송출은 무선 모뎀(1700, 도 6 참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기 모빌리티의 사용자 또는 소유자, 충전 중인 전기 모빌리티의 인근에 위치하고 있던 사람은 상술한 비상상황의 발생 시 알람 또는 육안을 통해 이를 확인한 후 즉시 커넥터 바디부(1210) 또는 충전스탠드(100) 등에 마련된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소화장치(1600)를 가동시키고, 상기 소화장치(1600)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충전용 케이블(1000)의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을 통해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로 소화약제가 즉시 주입된다.
이어서, 상기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로 주입된 소화약제는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열폭주 또는 화재의 발화점을 소화시키고, 내부에 있던 공기와 함께 충전용 케이블(1000)의 소화약제 배출배관(1040)을 통해 배터리팩(140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소화약제의 주입 및 배출 과정은 소화약제를 주입하고 있는 동안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에서 소화약제가 순환하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또는 배출배관(1040)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또는 배출배관(1040)은 수백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재 배관이나 내열성 실리콘재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1000)과 결합된 배터리팩(140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팩(1400)의 충전을 위해 쉬스층(1010) 내부에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 각종 코어(10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쉬스층(1010) 내부에 각종 코어(1020)와 별도로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이 구비된다.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은 배터리팩(1400) 내부의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전기 모빌리티 외부에 구비된 소화장치(1600, 도 3 및 도 6 참조)로부터 전기 모빌리티의 배터리팩(1400)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쉬스층(1010) 내부에는 각종 코어(1020) 및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과 별도로 소화액제 배출배관(1040)이 구비된다.
상기 소화약제 배출배관(1040)은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으로부터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에 충전되면서 배터리팩(1400)의 케이스(1410) 내부에 있던 공기와 소화약제가 배터리팩(1400)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충전용 케이블(1000)의 일단에 형성된 배터리팩 접속부(1300)는 배터리팩 케이스(1410)와 기밀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충전용 케이블(1000)의 각종 코어(1020)가 상기 배터리팩 접속부(1300)를 통해 배터리팩 케이스(1410) 내부의 이차전지 모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한편 상기 충전용 케이블(1000)의 소화약제 주입배관(1030) 및 배출배관(1040)은 각각 상기 배터리팩 접속부(1300)의 소화약제 주입구(1330) 및 배출구(1340)를 통해 금속재 케이스(1410)와 기밀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 접속부(1300)의 소화약제 주입구(1330) 및 배출구(1340)는 배터리팩 케이스(1410) 내부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330) 또는 배출배관(1340)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1330) 또는 배출배관(1340)은 수백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재 배관이나 내열성 실리콘재 배관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110), 제어부(미도시)와 소화장치(1600), 무선 모뎀(1700), 그리고 비상벨(미도시) 또는 화재신고장치(미도시) 등은 전기 모빌리티 충전을 위한 충전스탠드(100)에 통합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상기 충전스탠드(100)와 인접하여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시스템 장애 시에는 시스템 제조사로 실시간 장애 발생을 자동으로 통보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신속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0 : 충전스탠드 110 : 충전장치
1000 : 충전용 케이블 1010 : 쉬스층
1020 : 코어 1030 : 소화약제 주입배관
1040 : 소화약제 배출배관 1100 : 인렛(inlet)
1200 : 커넥터 1300 : 배터리팩 접속부
1130, 1230, 1330 : 소화약제 주입구
1140, 1240, 1340 : 소화약제 배출구
1400 : 배터리팩 1410 : (배터리팩) 케이스
1500 : 센서 어셈블리 1600 : 소화장치

Claims (11)

  1. 전기 모빌리티의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해 외부 충전 커넥터와 접속가능한 인렛(inlet) 및 상기 인렛에 결합된 충전 케이블로 구성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인렛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은 쉬스층 내부에 구비되고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각종 코어, 상기 코어와 별도로 상기 쉬스층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팩의 내부로 소화약제를 강제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상기 쉬스층 내부에 상기 코어 및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팩 내부로 주입된 소화약제가 배터리팩 내부에 충전되면서 상기 배터리팩 내부에 있던 공기와 상기 소화약제가 상기 배터리팩의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순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화약제 배출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인렛은 상기 충전 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해 상기 전기 모빌리티의 외측에 구비되는 인렛 바디부, 상기 인렛 바디부의 내부에 상기 충전 케이블의 코어,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소화약제 배출배관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 인렛 코어, 소화약제 주입구 및 소화약제 배출구,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와 상기 소화약제 배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팩 내부로부터의 열기에 의해 녹으면서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와 상기 소화약제 배출구를 개방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인렛 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인렛 결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 및 상기 소화약제 배출구를 덮도록 구비되어 평시에는 상기 배터리팩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인렛 결합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90도 이상의 온도에서 녹아내릴 수 있는 열가소성 핫멜트 필름이나 유기재료 필름으로 구성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인렛 결합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소화약제 주입구 및 상기 소화약제 배출구에 마개처럼 끼워 고정하는 캡(cap)으로 구성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인렛 결합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인렛 결합체와 접속가능한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인렛과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 바디부, 상기 커넥터 바디부의 내부에 상기 인렛 코어, 상기 인렛의 소화약제 주입구 및 상기 인렛의 소화약제 배출구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 커넥터 코어, 소화약제 주입구 및 소화약제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의 소화약제 주입구 및 소화약제 배출구 또는 이와 연결된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소화약제 배출배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온도 감지 세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불꽃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커넥터.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또는 불꽃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신호가 감지되면 즉시 알람을 발생시키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커넥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약제 주입배관 또는 배출배관은 금속재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인렛 결합체와 접속가능한 배터리팩으로서,
    내부의 이차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쉬스층 내부에 구비되는 전력 유닛 또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팩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케이블의 소화약제 주입배관 및 소화약제 배출배관과 기밀하게 연결되는,
    배터리팩.
  11. 삭제
KR1020220033101A 2022-03-17 2022-03-17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KR102531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101A KR102531012B1 (ko) 2022-03-17 2022-03-17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PCT/KR2023/003556 WO2023177247A1 (ko) 2022-03-17 2023-03-17 전기 모빌리티 배터리팩의 화재 감지 및 소화 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101A KR102531012B1 (ko) 2022-03-17 2022-03-17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012B1 true KR102531012B1 (ko) 2023-05-11

Family

ID=8637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101A KR102531012B1 (ko) 2022-03-17 2022-03-17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0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98618A (zh) * 2023-09-13 2023-12-08 红旗电缆电器仪表集团有限公司 一种防火新能源车充电电缆
CN118116653A (zh) * 2024-04-28 2024-05-31 天津瑞源电缆有限公司 一种复合防火电缆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047A (ko) * 2003-07-11 2005-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71212A (ko) * 2004-12-21 2006-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소화장치
JP2011065805A (ja) * 2009-09-16 2011-03-31 Suzuki Motor Corp 電池システムの充電装置及び電池システムの消火方法
JP2013135720A (ja) * 2011-12-28 2013-07-11 Mitsubishi Motors Corp 電動車両の消火構造
KR20200022156A (ko) 2018-08-22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10017535A (ko)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047A (ko) * 2003-07-11 2005-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71212A (ko) * 2004-12-21 2006-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와이어링 하네스용 소화장치
JP2011065805A (ja) * 2009-09-16 2011-03-31 Suzuki Motor Corp 電池システムの充電装置及び電池システムの消火方法
JP2013135720A (ja) * 2011-12-28 2013-07-11 Mitsubishi Motors Corp 電動車両の消火構造
KR20200022156A (ko) 2018-08-22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210017535A (ko)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화 유닛을 포함한 배터리 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98618A (zh) * 2023-09-13 2023-12-08 红旗电缆电器仪表集团有限公司 一种防火新能源车充电电缆
CN117198618B (zh) * 2023-09-13 2024-05-17 红旗电缆电器仪表集团有限公司 一种防火新能源车充电电缆
CN118116653A (zh) * 2024-04-28 2024-05-31 天津瑞源电缆有限公司 一种复合防火电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36087A2 (ko) 배터리 팩 화재진압 장치
US8776905B2 (en) Device for preventing fire in battery pack used for electric vehicle
US8884459B2 (en) Safety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JP5119302B2 (ja) 電池パック内での使用のための能動的熱暴走緩和システム
CN106505268B (zh)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安全***
CN109698310B (zh) 一种管道连通型电源***及其安全管理方法
WO2021015436A1 (ko)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CN102017350A (zh) 用于电动车的二次电池的安全开关及利用其的用于电动车的二次电池的充放电***
EP2583346A2 (en) Safety component by fuse at high voltage battery sensing line
WO2017090866A1 (ko) 소화 장치가 포함된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CN107719149A (zh) 一种动力电池安全管理***
WO2021075759A1 (ko) 차량 배터리 화재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102531012B1 (ko)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KR102531013B1 (ko) 전기 모빌리티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CN214898553U (zh) 基于氢气探测的汽车动力电池早期安全预警装置
CN106345085A (zh)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安全***
WO2017150818A1 (ko) 차량용 배터리시스템
KR102412721B1 (ko)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KR102494248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화재방지 시스템
WO2023155943A1 (en) Method of prevention of fire development of traction accumulator systems in electric cars and hybrid cars as well as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CN106345086A (zh)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安全***
CN215154069U (zh) 电池包灭火装置
WO2023177247A1 (ko) 전기 모빌리티 배터리팩의 화재 감지 및 소화 장치와 방법
CN116075972A (zh) 电池模组、电池包及电子设备
CN115084773A (zh) 电池模组、电池包及其***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