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456B1 -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 Google Patents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456B1
KR102528456B1 KR1020210049408A KR20210049408A KR102528456B1 KR 102528456 B1 KR102528456 B1 KR 102528456B1 KR 1020210049408 A KR1020210049408 A KR 1020210049408A KR 20210049408 A KR20210049408 A KR 20210049408A KR 102528456 B1 KR102528456 B1 KR 10252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expansion
toilet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854A (ko
Inventor
마코토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마코토 와타나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코토 와타나베 filed Critical 마코토 와타나베
Priority to KR102021004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45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에 결합되는 시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에 있어서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빠르게 변기에 시트를 고정시키고자 한 변기시트용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변기(100)에 회동 및 고정되는 시트(101)에 힌지(102)로 연결된 시트고정부(103) 및 시트고정부(103)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장공(104) 및 변기(100)에 하부로 내입되게 형성된 결합공(105)과, 상기 시트고정부(103)의 장공(104)을 통과하여 변기(100)의 결합공(105)에 삽입되어 결합공(105)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되도록 유체가 내측의 팽창공간부(11)에 내입되면 팽창되게 구성된 팽창부(10)와, 상기 팽창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변기(100) 상부에서 시트고정부(103)가 고정되도록 시트고정부(103)의 장공(104) 상부에 걸림 고정되게 구성된 걸림고정부(20)와, 상기 팽창부(10)와 걸림고정부(20)가 연결되도록 장공(104)을 관통하여 연결 형성되며 팽창부(10)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팽창부(10)는 팽창하더라도 두꺼운 두께에 의해 자체적으로 팽창하지 않게 구성된 연결관통부(30)와, 상기 걸림고정부(20)의 상부에서 내부로 연결관통부(30)의 내부를 관통해서 팽창부(10) 내부의 팽창공간부(11)와 연통되게 구성된 유체주입공(21)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볼트와 너트의 결합보다 훨씬 간편하면서도 고정성은 우수하면서 설치 또는 분리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기시트용 고정수단{Fixing device for toilet seat}
본 발명은 변기시트용 고정수단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양변기에 결합되는 시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양변기에는 남성 사용자를 기준으로 서서 사용하는 경우와 앉아서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변기에서 기립시키거나 또는 앉기 위해 회동하여 내리기도 하는 시트가 구비된다.
시트를 변기에 결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변기에 형성된 결합공에 시트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의 고정방식은 공통적으로 너트를 조이는 조립과정이 필요하며, 설치과정에 있어서 시트의 고정힌지가 볼트와 변기 사이에 개재되도록 볼트를 삽입하고 작업자가 직접 변기 저면에 손을 더듬거나 눈으로 확인한 후 너트의 암나사선에 볼트의 수나사선이 대응되게 정확하게 맞추어 회전시켜야하고, 나사선이 제대로 맞물리지 않은 경우 너트를 해제하고 다시 나사선부터 맞추는 과정을 반복해야하는 불편함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88209호(2018년 12월 27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양변기용 조정형 시트고정장치는 상기 설치공의 상부에 받침블럭이 안착되며, 상기 받침블럭의 상부에 상기 양변기 시트와 연결되는 힌지핀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블럭의 내부에 일측 방향으로 개구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 상기 설치공과 연통을 이루는 결속홀과 걸림요철부재가 형성된 몸체유닛; 상기 몸체유닛과 회전각도에 따라 걸림 및 해제동작 하도록 상부에 헤드가 구비되어 상기 결속홀을 통해 수용홈에 삽입되며, 상기 헤드의 하부에 상기 걸림요철부재와 치합을 이루는 안착요철 부재와 상기 설치공에 삽입, 연결되는 볼트체가 마련된 볼트유닛 및 상기 몸체유닛을 양변기 도기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을 통해 양변기 도기의 하방으로 노출된 볼트체에 체결된 너트유닛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너트의 죔에 따라 시트가 고정되는 방식이 있다.
또 다른 고정방식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301592호(2013년 08월 29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양변기 시트 고정장치는 양변기 도기의 설치공에 장착되는 시트 고정장치로서,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통공을 관통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는,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 멈춤턱; 상기 상부 멈춤턱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도기의 설치공과 대응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몸체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개구부에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단에 고정턱을 구비하는 고정발; 및 상기몸체의 하단부 내측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너트가 삽입 고정되는 조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변기의설치공에 양변기 시트를 고정할 때, 상부에서만 볼트를 조이는 구조로서, 단순히 볼트에 너트가 조임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몸체가 개재되도록 구비되도록 한 고정방식도 있다.
따라서 볼트에 너트로 조이는 방식의 결합방식이 아닌,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고정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KR 20-0488209 Y1 (2018.12.27.) KR 10-1301592 B1 (2013.08.29.)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양변기에 결합되는 시트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에 있어서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빠르게 시트의 힌지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변기시트용 고정수단을 제공코자 함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변기시트용 고정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변기시트용 고정수단은 변기에 변기용 시트를 회동되게 고정 설치되도록 변기용 시트와 힌지로 연결된 시트고정부와, 시트가 변기에 설치되는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시트고정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장공과, 변기의 시트고정부가 고정 결합되도록 변기에 하부로 내입되게 형성된 결합공과, 시트고정부의 장공을 통과하여 변기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공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되도록 유체가 내측의 팽창공간부에 내입되면 팽창되게 구성된 팽창부와, 팽창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변기 상부에서 시트고정부가 고정되도록 시트고정부의 장공 상부에 걸림 고정되게 구성된 걸림고정부와, 팽창부와 걸림고정부가 연결되도록 장공을 관통하여 연결 형성되며 팽창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팽창공간부에 유체의 주입 시 팽창부는 팽창하더라도 두꺼운 두께에 의해 자체적으로 팽창하지 않으면서 장공의 내면에 접하여 외적으로도 팽창하지 않게 구성된 연결관통부와, 외부에서 유체를 팽창공간부로 주입할 수 있도록 걸림고정부의 상부에서 내부로 연결관통부의 내부를 관통해서 팽창부 내부의 팽창공간부와 연통되게 구성된 유체주입공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팽창부가 팽창시 결합공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돌기가압면을 갖도록 팽창부의 외측면에 돌출 구성되며, 팽창 후 팽창부가 팽창력이 소실되더라도 팽창부가 장공 하부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게 구성된 가압돌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팽창부가 팽창시 결합공의 내경보다 커져 결합공의 하단에서 걸림되도록 팽창부의 하부에 구성된 걸림돌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추가로 시트가 변기에 설치되는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시트고정부에 팽창부가 삽입되는 장공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고정수단은 시트를 변기에 설치함에 있어서, 볼트와 너트의 결합보다 훨씬 간편하면서도 고정성은 유지한 채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축소하여 설치 또는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인 것이며, 단시간에 많은 시트를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이 가능하여 생산속도는 높아지고, 생산비용은 내려가게 되어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가 적용된 변기와 시트의 일례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가 적용된 변기와 시트의 일례를 보인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례를 보인 측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서 유체 주입과정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를 보인 측단면도
본 발명은 변기시트용 고정수단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며,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어 해석해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변기시트용 고정수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00)의 결합공(105)에 삽입되어 결합공(105)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팽창부(10)와, 팽창부(10)의 상부에서 변기(100)용 시트고정부(103)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걸림고정부(20)와, 팽창부(10) 내부에 형성되는 팽창공간부(11)와 연통되도록 걸림고정부(20)에 구성된 유체주입공(21)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팽창부(10)가 팽창시 결합공(105)의 내측면에 마주보게 밀착되는 돌기가압면(14)를 갖도록 팽창부(10)의 외측면에 구성된 가압돌기(13)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팽창부(10)가 팽창시 결합공(105)의 내경보다 커져 결합공(105)의 하단에서 걸림되도록 팽창부(10)의 하부에 구성된 걸림돌기(15)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시트(101)가 변기(100)에 설치되는 위치를 보정할 수 있게 팽창부(10)가 삽입되도록 시트고정부(103)에 구성된 장공(104)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변기시트용 고정수단(1)을 작용과 함께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변기(100)용 시트(101)는 사용자의 변기(100) 사용 목적에 따라 회동시켜 기립 시키거나 또는 내려서 눕힐 수 있어야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1)가 변기(100)로부터 회동되도록, 변기(100)에 고정되고 시트(101)와 힌지(102)로 결합되는 시트고정부(103)가 더 구비되며, 상기 시트고정부(103)는 시트(101)에 형성된 힌지(102)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시트고정부(103)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변기(100)에는 시트고정부(103)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05)이 구비되는데, 변기(100)는 제조사 별로 디자인이 천차만별이어서 변기(100)의 크기도 각각 편차가 있을 수밖에 없다.
각 변기(100)의 디자인에 맞춘 전용 시트(101)를 제조사에서 함께 제공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변기(100)에 임의의 시트(101)를 설치하면 시트(101)와 변기(100)의 위치가 서로 어긋날 수 있기 때문에 시트(101)의 설치위치를 변기(100)의 모양에 맞춰 보정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고정부(103)에 전후로 길게 장공(104)을 형성하여 시트고정부(103)를 변기(100)에 설치할 때 시트(101)의 위치를 전후로 소폭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시트(101)의 설치위치를 변기(100)의 모양에 맞춰 보정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장공(104)으로 시트고정부(103)의 위치를 보정해 줄 수 있게 된다.
시트고정부(103)를 변기(100)의 결합공(105)에 고정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고정수단(1)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1)은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 팽창부(10)가 형성되고, 팽창부(10)의 상부에 걸림고정부(20)가 형성되면서, 이들 팽창부(10)와 걸림고정부(20)를 연결하여 장공(104)에 관통되는 연결관통부(30)가 형성된다.
고정수단(1)의 재질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력을 갖고 모양의 변화가 용이한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팽창부(10)의 내부에는 팽창공간부(11)가 형성되며, 이러한 팽창공간부(11)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고정부(20)의 상부에서 내부로 연결관통부(30)의 가운데 내부를 관통 형성되는 유체주입공(21)으로 연통되어 외부에서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의 구성을 변기(100)에 시트(101)를 결합하는 과정과 함께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3a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을 시트고정부(103)의 상부에서 장공(104)에 삽입하면, 고정수단(1)의 팽창부(10)가 장공(104)을 관통하여 시트고정부(103)의 하부로 돌출되며, 고정수단(1)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고정부(20)의 직경이 시트고정부(103)의 장공(104)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걸림고정부(20)가 시트고정부(103)의 상면에서 걸림되어 팽창부(10)는 소정 길이만큼만 하부로 돌출되며, 이때 고정수단(1)에서 하부의 팽창부(10)와 상부의 걸림고정부(20) 사이의 연결관통부(30)가 장공(104)에 관통 내입되어 도 3a의 (가)에서처럼 팽창부(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도 3a의 (나)에서처럼 유체주입공(21)으로 유체를 쥬입하여 팽창부(10)의 팽창공간부(11)로 유체가 내입되어 팽창부(10)가 팽창하더라도 팽창부(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연결관통부(30)는 팽창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나거나, 팽창이 되지 않아서 팽창부(10)가 팽창되면서 두께가 점점 얇아지던 것에 비하여 얇아지지 않아서 팽창부(10)와 걸림고정부(20)의 연결부분의 내구성이 떨어지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팽창부(10)와 걸림고정부(20)가 분리 또는 찢어지지 않도록 해서 고정수단(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로 돌출되는 팽창부(10)를 변기(100)의 결합공(105)으로 삽입하여 시트고정부(103)가 변기(100)에 안치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은 순서를 바꾸어, 변기(100)에 시트고정부(103)의 위치를 임의로 맞춰 안착시킨 후 시트고정부(103)의 장공(104)으로 고정수단(1)을 결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변기(100)의 결합공(105)에 고정된 팽창부(10)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시트고정부(103)의 장공(104)에 내입된 연결관통부(30)를 기준으로 장공(104)의 유동간격만큼 시트고정부(103)를 이동시켜서 시트고정부(103)에 힌지(102)로 연결된 시트(101)의 위치가 변기(100)에서 적당하게 보정되도록 한다.
시트(101)의 위치가 확정되면, 도 3b의 (가) 내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에 형성된 유체주입공(21)으로 별도로 준비된 유체주입장비의 유체공급노즐(200)을 삽입하여 팽창공간부(11)로 유체를 공급한다.
이때 유체주입공(21)에 유체공급노즐(200)의 위치를 보다 쉽게 정해지도록, 유체주입공(21)에 오목한 노즐가이드홈(22)을 더 구비하여 유체공급노즐(200)이 보다 쉽게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체공급노즐(200)로부터 팽창부(10)로 공급되는 유체는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장 무난할 것이나, 이것은 기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유체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며, 대신 팽창부(10)가 기온의 변화에 다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피의 변화가 적은 유체를 주입하는 것이 바림직할 것이다.
유체주입장비는 유체의 공급이 끝나면 도 3b의 (라) 내지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공급노즐(200)을 분리하며, 유체주입공(21)은 내부에서 팽창되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압착되어 밀폐되게 되며, 만약 유체주입공(21)에서 유체가 누출되어 팽창공간부(11)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는 의도치 않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도 3a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주입공(21)이 본딩 등으로 실링(23)처리를 추가로 할 수 있다.
유체주입장비는 수동 공기 펌프 또는 자동 컴프레셔 등 다양한 기성품을 적용할 수 있으며, 유체주입장비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팽창공간부(11)로 유체가 주입되면 상하로 길게 형성된 팽창부(10)는 도 3a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 난형(卵形)으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팽창부(10)의 외측면에 구비된 가압면(12)이 변기(100)에 형성된 결합공(105)의 내부에서 측방으로 밀착되어, 원형인 관통공의 내측면을 가압면(12)이 방사상으로 골고루 가압하게 되므로 고정수단(1)이 결합공(105)에서 견고하게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10)의 외측면에 가압돌기(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기(13)의 돌기가압면(14)이 팽창부(10)의 수축 상태에서는 비록 결합공(105)의 내측면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지 않더라도,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공급노즐(200)에 의해 유체주입공(21)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부(10)가 팽창하게 된다.
유체공급노즐(200)의 작용은 앞서 도 3b와 함께 살펴본 것과 동일하므로 유체공급과정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팽창부(10)가 팽창하여 가압돌기(13)가 변기(100)의 결합공(105)의 내측면에 닿을 정도로 팽창된 경우, 가압돌기(13)의 돌기가압면(14)은 결합공(105)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가압돌기(13)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팽창부(10)가 유체의 공급에 따라 부풀어 오를 때 단순히 위치이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을 하게 되므로, 회전을 하는 정도를 미리 고려하여 팽창부(10)의 상부와 팽창부(10)의 하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압돌기(13)는 팽창부(10)가 팽창했을 때 가압돌기(13)의 돌기가압면(14)이 변기(100)의 결합공(105)을 내측에서 결합공(105)과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팽창부(10)가 수축시 돌기가압면(14)의 각도를 형성해야한다.
따라서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난형의 팽창부(10)의 가압면(12)으로만 가압하는 경우 팽창부(10)에서 가장 많이 부풀어 오르는 부분(상하 대칭일 경우 주로 가운데 부분)이 결합공(105)의 내측을 가장 강하게 가압하게 되는데 반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기(13)를 형성하는 경우 팽창부(10)에서 많이 부풀어 오르지 않는 상부와 하부도 가압돌기(13)에 의해 결합공(105)의 내측면을 충분히 가압할 수 있게 되어 고정성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추가로 도면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돌기가압면(14)에 논슬립처리를 하여 논슬립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논슬립 기능이 더 구비될 경우 가압돌기(13)가 이탈방지 걸림기능을 더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10)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걸림돌기(1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걸림돌기(15)는 팽창부(10)가 팽창하기 전에는 외경이 변기(100)의 결합공(105)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결합공(105)에 고정수단(1)을 삽입함에 있어서 방해요소가 되지 않으며, 만약 걸림돌기(15)의 외경이 결합공(105)의 내경보다 소폭 크게 형성되더라도 팽창부(10)가 팽창공간부(11)의 부피만큼 압착하여 삽입할 수 있다.
하지만 팽창부(10)에 유체가 공급되어 팽창부(10)가 팽창하게 되면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같이 가압면(12)이 결합공(105)의 내측면을 가압할 뿐만 아니라, 팽창부(1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5) 또한 방사상으로 펼쳐진다.
팽창공간부(11)를 보다 하부에 가깝게 형성하여, 팽창부(1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5)가 팽창부(10)의 팽창에 따라 쉽게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팽창부(10)가 팽창함에 따라 방사상으로 펼쳐진 걸림돌기(15)는 팽창 전 걸림돌기(15)에 대비하여 고정수단(1)의 중심에서 보다 멀어지게(직경이 커지게) 작용하여, 걸림돌기(15)가 변기(100)의 결합공(105)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5)가 결합공(105)의 하단에 걸림되록 하여, 고정수단(1)이 결합공(105)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시트고정부(103)가 변기(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부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수단(1)을 분리해야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의 경우 너트가 녹이 슬거나 너트와 볼트 사이의 나사산에 이물질이 많이 있는 경우 결합된 너트가 볼트로부터 전혀 회전하지 않거나, 일부 회전하다가 걸려서 풀리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1)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체공급노즐(200)과 유사한 노즐에 유체공급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단순히 상하로 연통된 형태의 노즐을 유체주입공(21)에 삽입하여 팽창공간부(11)가 실외 공기와 서로 연통되도록 해주면 압력차에 의해서 팽창공간부(11)에 주입된 높은 압력의 유체가 자연스럽게 고정수단(1)의 외부로 빠지게 되며, 따라서 팽창부(10)가 수축하게 되어 고정수단(1)을 쉽게 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정수단(1)은 시트(101)를 변기(100)에 설치함에 있어서, 볼트와 너트의 결합보다 훨씬 간편하면서도 고정성은 유지한 채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축소하여 설치 또는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인 것이며, 단시간에 많은 시트(101)를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적은 인력으로도 작업이 가능하여 생산속도는 높아지고, 생산비용은 내려가게 되어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변기
101:시트
102:힌지
103:시트고정부
104:장공
105:결합공
200:유체공급노즐
1:고정수단
10:팽창부
11:팽창공간부
12:가압면
13:가압돌기
14:돌기가압면
15:걸림돌기
20:걸림고정부
21:유체주입공
22:노즐가이드홈
23:실링
30:연결관통부

Claims (4)

  1. 변기(100)에 시트(101)를 회동되게 고정 설치되도록 시트(101)와 힌지(102)로 연결된 시트고정부(103);
    시트(101)가 변기(100)에 설치되는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시트고정부(103)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장공(104);
    변기(100)의 시트고정부(103)가 고정 결합되도록 변기(100)에 하부로 내입되게 형성된 결합공(105);
    시트고정부(103)의 장공(104)을 통과하여 변기(100)의 결합공(105)에 삽입되어 결합공(105)의 내측면에 가압 고정되도록 유체가 내측의 팽창공간부(11)에 내입되면 팽창되게 구성된 팽창부(10);
    팽창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변기(100) 상부에서 시트고정부(103)가 고정되도록 시트고정부(103)의 장공(104) 상부에 걸림 고정되게 구성된 걸림고정부(20);
    팽창부(10)와 걸림고정부(20)가 연결되도록 장공(104)을 관통하여 연결 형성되며, 팽창부(10)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팽창공간부(11)에 유체의 주입 시 팽창부(10)는 팽창하더라도 두꺼운 두께에 의해 자체적으로 팽창하지 않으면서 장공(104)의 내면에 접하여 외적으로도 팽창하지 않게 구성된 연결관통부(30);
    외부에서 유체를 팽창공간부(11)로 주입할 수 있도록 걸림고정부(20)의 상부에서 내부로 연결관통부(30)의 내부를 관통해서 팽창부(10) 내부의 팽창공간부(11)와 연통되게 구성된 유체주입공(21);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팽창부(10)가 팽창시 결합공(105)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돌기가압면(14)을 갖도록 팽창부(10)의 외측면에 돌출 구성되며, 팽창 후 팽창부(10)가 팽창력이 소실되더라도 팽창부(10)가 장공(104) 하부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게 구성된 가압돌기(13);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3. 청구항 1에 있어서;
    팽창부(10)가 팽창시 결합공(105)의 내경보다 커져 결합공(105)의 하단에서 걸림되도록 팽창부(10)의 하부에 구성된 걸림돌기(15);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4. 청구항 1에 있어서;
    팽창공간부(11)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노즐(200)이 유체주입공(21)에 쉽게 삽입되도록 유체주입공(21)에 구성된 노즐가이드홈(22);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KR1020210049408A 2021-04-15 2021-04-15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KR102528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08A KR102528456B1 (ko) 2021-04-15 2021-04-15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408A KR102528456B1 (ko) 2021-04-15 2021-04-15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54A KR20220142854A (ko) 2022-10-24
KR102528456B1 true KR102528456B1 (ko) 2023-05-03

Family

ID=8380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408A KR102528456B1 (ko) 2021-04-15 2021-04-15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4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4061A (ja) * 2008-02-27 2009-09-10 Toyota Motor Corp 板材締結構造
US20130340154A1 (en) * 2011-03-11 2013-12-26 Bemis Manufacturing Company Toilet seat hing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52A (ja) * 1996-06-26 1998-01-13 Toto Ltd 便座取付装置
KR101301592B1 (ko) 2012-04-23 2013-08-29 이수인 (주) 양변기 시트 고정장치
KR200488209Y1 (ko) 2017-12-21 2018-12-27 이수인(주) 양변기용 조정형 시트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4061A (ja) * 2008-02-27 2009-09-10 Toyota Motor Corp 板材締結構造
US20130340154A1 (en) * 2011-03-11 2013-12-26 Bemis Manufacturing Company Toilet seat hin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854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3059A1 (en) Concrete Anchor Coupling Assembly and Anchor Rod Holder
US8814014B2 (en) Device for mounting attachment externally supporting against body outer panel of vehicle body on body structure
US6315510B1 (en) Screw grommet
US5381990A (en) Releasable suction cup assembly
US10590975B2 (en) Bolt holding device and connecting system
US8043029B2 (en) Packer structure
KR102528456B1 (ko) 변기시트용 고정수단
KR101170603B1 (ko) 파이프 연결구
US20010024605A1 (en) Holding element for fastening components to a carrier
US20040168734A1 (en) Pipe fitting plug
US5214811A (en) Watertight upholstery button
KR20120079683A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53521Y1 (ko) 수밀성이 우수한 파이프 연결장치
JPH0247493A (ja) ウェルヘッドのスリップ及びシール組立体
US9649732B2 (en) Device for sealing orifices on nozzle of fuel injector for autofrettage process
GB2327485A (en) Valve guide structure
TW200912174A (en) Reinforced grommet for cured in place liner
US6126030A (en) Liner for a manhole and a method for lining a manhole
KR101158842B1 (ko) 가압식 배수관 뚫는 장치
US2959194A (en) Bladder construction for pressure vessels
KR200393518Y1 (ko) 수도꼭지 연결구 구조
KR20070019015A (ko) 자동문 안내레일 및 이를 위한 지지부재와 고정장치
KR20150146132A (ko) 진공 흡착장치
JP3140144U (ja) コンクリート用ひび割れ補修材の注入器具
US7044443B2 (en) Flat val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