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991B1 - 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 Google Patents

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991B1
KR102526991B1 KR1020177012922A KR20177012922A KR102526991B1 KR 102526991 B1 KR102526991 B1 KR 102526991B1 KR 1020177012922 A KR1020177012922 A KR 1020177012922A KR 20177012922 A KR20177012922 A KR 20177012922A KR 102526991 B1 KR102526991 B1 KR 10252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wearer
absorbent article
waist region
si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8695A (en
Inventor
콜 더블유. 풀
크리스 피. 올슨
줄리 에이. 파블레츠키
존 디. 아먼드슨
수잔 엠. 트레펫렌
케이트 엠. 핸콕-쿡
아담 수트너
러셀 제이. 브룸
브래들리 에이. 콜빈
팀 지. 돌리보트
산드라 월커
크리스토퍼 마틴 파이퍼
앤드류 마크 롱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078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9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56Applying tabs, strips, tapes, loops; Knotting the ends of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7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breakable lateral stitches or panels

Abstract

흡수성 의복의 제거와 착용의 용이함을 위해 용품의 측면 패널에 핸들을 갖는 팬티-형 흡수성 용품이 개시된다. 용품은 전면 허리 영역, 배면 허리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에 의해 부착되는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새시를 포함한다. 측면 패널 내부에 형성된 것은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다. 핸들은 측면 패널을 통해 형성되는 구멍을 포함한다. 핸들은 구멍의 말단 측면 에지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한다. A pant-type absorbent article is disclosed having handles on the side panels of the article for ease of putting on and removing the absorbent garment. The article includes a front waist region, a back waist region, and a sash extending longitudinally between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ttached by at least one side panel and interconnecting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Formed inside the side panel is at least one handle. The handle includes an aperture formed through the side panel. The handle further includes a stiffener operatively connected to at least one side panel adjacent the distal side edge of the aperture.

Description

보강 핸들을 갖춘 일회용 용품{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Disposable items with reinforced handles {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관련 출원related application

본 출원은 2014년 10월 31일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보강 핸들을 갖춘 일회용 용품인 미국 가 출원 번호 62/073133호, 2014년 10월 31일자 출원된 발명이 최적 강도 특성을 갖는 핸들을 갖춘 일회용 용품인 미국 가 출원 번호 62/073172호, 및 2014년 10월 31일자 출원된 발명이 최적 형상 및 위치를 갖춘 핸들을 구비한 일회용 용품인 미국 가 출원 번호 62/073296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 출원의 내용은 본 출원과 일관된 방식으로 원용에 본 출원에 포함된다. This application is filed on October 31, 2014 and is entitled Disposable Product with Reinforced Handle,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073172, an article, and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073296, a disposable article having a handle with an optimal shape and position for the invention, filed on October 31, 2014, which claim priority; The contents of this application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to this application in a manner consistent with this application.

기저귀, 훈련용 팬티, 여성 위생 제품, 성인 실금 제품, 붕대, 의료용 의복 등과 같은 개인 착용을 위한 다수의 흡수성 용품은 오랫동안 습기에 노출됨에 따른 피부 자극을 줄이도록 착용자로부터 분리하여 소변, 월경 분비물, 혈액 등을 포함한 액상 신체 삼출물로부터 습기를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흡수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예로서, 기저귀는 통상적으로, 일차 체결 탭 세트, 예컨대 접착 탭 또는 기계적(예를 들어, 후크 또는 루프) 체결 시스템 탭을 사용하여 착용자에게 배치되고 고정되고, 분비물을 흡수하고 배설물을 함유하도록 제 자리에 두게 된다. Many absorbent articles for personal use, such as diapers, training pants, feminine hygiene products, adult incontinence products, bandages, medical garments, etc., are separated from the wearer to reduce skin irritation due to prolonged exposure to moisture and contain urine, menstrual secretions, and blood. It is designed to be absorbent enough to attract moisture from liquid body exudates, including the back. Diapers, for example, are typically positioned and secured to the wearer using a primary set of fastening tabs, such as adhesive tabs or mechanical (eg, hook or loop) fastening system tabs, in place to absorb excreta and contain excreta. will be put on

기저귀와 다른 훈련용 팬티는 통상적으로, 종래의 팬티와 아주 유사하도록 착용 구성으로 사전-조립된다. 특히, 그런 훈련용 팬티의 전면 및 배면 허리 영역은 통상적으로, 허리 개구 및 다리 개구를 갖는 팬티의 착용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서 솔기에 (예컨대, 일차 체결 시스템에 의해서)영구적으로 또는 재-체결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런 디자인은 자체-적용 및 제거를 허용하는 당김식 선-체결 의복을 가능하게 한다. Diapers and other training pants are typically pre-assembled into a wearing configuration that closely resembles conventional pants. In particular,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of such training pants are typically permanently or re-fastenable (e.g., by means of a primary fastening system) to seams to form a fitting configuration of the panty with waist openings and leg openings. attached Such a design allows for a pull-on, pre-fastened garment that allows for self-application and removal.

불행히도, 현재의 당김식 선-체결 의복은 아동 용례로 최적화되지 못했다. 배변 훈련 연령의 아동은 독립적으로 일을 완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은 통상적으로, 이들 스스로 현재의 당김식 선-체결 의복을 성공적으로 착용하는 재주와 인지 능력이 결핍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시간에 돌보는 사람은 제품을 완전하게 착용하거나, 착용 과정 중인 아동을 돕거나, 아동이 그들 스스로 시도하는데 실패한 이후에 팬티를 재조정할 것이다. 움켜쥐는 어려움에 더하여, 의복 어디를 잡아야 할지에 관해 아동을 안내할 단서가 없다. 홀로 남겨두면, 아동은 통상적으로, 의복의 전면 또는 배면을 잡음으로써 제품을 당기려고 한다. 의복이 정면을 잡고 당겨질 때, 의복은 보통 엉덩이 아래에 걸리게 된다. 제품의 배면을 잡는 것은 아동에게 어려우며 제품이 전면에서 완전히 올라가지 않는 것을 초래한다. 양 경우에, 돌보는 사람에 의한 재조정이 요구된다. Unfortunately, current pull-on pre-fastened garments are not optimized for children's applications. While it is desirable for children of toilet training age to complete tasks independently, they typically lack the dexterity and cognitive ability to successfully don current pull-on pre-fastened garments on their own. As a result, most of the time the caregiver will either put the product on completely, assist the child in the donning process, or readjust the panties after the child has tried unsuccessfully on their own. In addition to gripping difficulties, there are no clues to guide the child as to where to grip the garment. Left alone, children typically try to pull the product by gripping the front or back of the garment. When the garment is pulled at the front, the garment is usually caught below the hips. Holding the product from the back is difficult for children and results in the product not being fully raised from the front. In both cases, readjustment by the caregiver is required.

따라서, 유아가 의복을 성공적으로 당길 수 있는 필요한 강도와 디자인을 갖는 흡수성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최적화된 핸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n optimized handle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having the requisite strength and design that allows a toddler to successfully pull on a garment.

본 개시는 흡수성 의복의 용이한 제거와 착용을 위해 용품의 측면 패널에 핸들을 갖는 팬티-형 흡수성 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용품은 착용자를 향하는 액체 투과성 내부 표면, 착용자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한다. 흡수성 용품은 전면 허리 영역, 배면 허리 영역, 및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을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은 허리 개구 및 허리 개구로부터 이격된 다리 개구를 갖는 흡수성 용품의 착용 구성을 형성하도록 전면 허리 영역 및 배면 허리 영역에 부착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은 허리 개구로부터 다리 개구로 연장한다. 측면 패널 내부에 형성된 것은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다. 핸들은 측면 패널을 통해 형성되는 구멍을 포함한다. 핸들은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에서 구멍의 말단 측면 에지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ant-type absorbent article having handles on the side panels of the article for easy removal and donning of the absorbent garment. In one embodiment, the article includes a liquid pervious inner surface facing the wearer, an outer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wearer, and an absorbent body disposed therebetween. The absorbent article further includes a front waist region, a back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extending longitudinally between and interconnecting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At least one side panel is attached to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to form a wearing configuration of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waist opening and a leg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waist opening, wherein at least one side panel extends from the waist opening to the leg opening. extend Formed inside the side panel is at least one handle. The handle includes an aperture formed through the side panel. The handle further includes a stiffener operatively coupled to the at least one side panel adjacent the distal side edge of the aperture at the longitudinal midpoint of the aperture.

다른 실시예에서, 흡수성 용품은 착용자를 향하는 액체 투과성 내부 표면, 착용자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포함한다. 흡수성 용품은 전면 허리 영역, 배면 허리 영역, 및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을 더 포함한다. 전면 측면 패널은 허리 영역에 부착되며 배면 측면 패널은 배면 허리 영역에 부착된다.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은 허리 개구 및 허리 개구로부터 이격된 다리 개구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 구성을 형성하도록 재-체결 가능한 솔기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측면 패널 내부에 형성된 것은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다. 핸들은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에서 구멍의 말단 측면 에지에 인접한 배면 패널에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an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liquid pervious inner surface facing the wearer, an outer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wearer, and an absorbent body disposed therebetween. The absorbent article further includes a front waist region, a back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extending longitudinally between and interconnecting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The front side panels are attached to the waist region and the back side panels are attached to the back waist region.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can be releasably attached to refastenable seams to form a fitted configuration of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waist opening and a leg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waist opening. Formed inside the side panel is at least one handle. The handle further includes a stiffener operatively coupled to the back panel adjacent the distal side edge of the aperture at the longitudinal midpoint of the aperture.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할 때에, 본 발명이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고, 또 다른 특징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들은 단지 대표적인 것일 뿐, 청구항들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핸들을 갖는, 체결되지 않고, 접히지 않고 평평하게 놓인 상태의 한 쌍의 훈련용 팬티 형태인 개인 착용 용품의 일 양태에 대한, 그리고 착용자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훈련용 팬티의 표면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는 기저 특징부를 도시하도록 절단된 부분을 가지며, 착용시 착용자를 향하는 훈련용 팬티의 표면을 도시하는, 도 1의 제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훈련용 팬티 상의 핸들을 예시하는 부분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측면 패널 상의 핸들 형상과 크기에 대한 상이한 실시예의 부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When reference is mad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and further features will become apparent. The drawings are representative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1 is an illust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personal wear article in the form of a pair of training pants in an unfastened, unfolded, flat lay condition with handles as described herein, and for training facing away from the wearer; It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urface of the panties.
FIG. 2 is a plan view of the product of FIG. 1 showing the surface of the training pant facing the wearer when worn, with portions cut away to show underlying features;
Fig. 3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handles on the training pant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4A-4E are partial views of different embodiments of handle shapes and sizes on side panels.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문자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의도된다. 도면은 대표하기 위한 것이고 반드시 일정 축척으로 도출된 것은 아니다. 도면의 특정 비율은 과장된 반면, 다른 부분은 최소화되었다. Repeat use of reference characters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is intended to represent the same or analogous features or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are representative and have not necessarily been drawn to scale. Certain proportions of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while others are minimized.

정의Justice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본 논의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측면의 설명일 뿐이고, 본 발명의 더 넓은 측면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았음을 인지해야 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appreciate that this discussion is only a description of exemplary aspec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broader aspects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의 문맥 내에서, 하기 각 용어 또는 어구는 다음의 의미 또는 의미들을 포함할 것이다. Within the context of this specification, each term or phrase below shall include the following meaning or meanings.

"접합된(bonded)"은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지칭한다. 두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 결합되거나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될 때, 예컨대 각 요소가 중간 요소에 직접 결합될 때 함께 결합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Bonded” refers to the joining, adhering, connecting, attaching, or the like, of two elements. Two elements will be considered joined together when they are directly bonded to one another or indirectly to one another, such as when each element is directly bonded to an intermediate element.

"연결된(connected)"은 두 요소의 결합, 접착, 접합, 부착 등을 지칭한다. 두 개 요소는,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때, 예컨대 각 요소가 중간 요소에 직접 연결될 때 함께 연결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Connected” refers to the joining, adhering, joining, attaching, or the like, of two elements. Two elements will be considered connected together when they are connected directly to one another or indirectly to one another, eg when each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element.

"교차 방향(cross direction)"은 직물이 제조되는 방향에서 직물의 길이를 지칭하는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과 반대로서, 직물이 제조되는 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의 직물의 폭을 지칭한다. "Cross direction" is the width of a fabric in a direction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bric is made, as opposed to "machine direction" which refers to the length of the fabric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bric is made. refers to

"교차 방향 조립(cross direction assembly)"은 제품이 단부-대-단부 또는 허리-대-허리로 연결되는 "기계 방향 조립"과 반대로서, 화살표(49)의 방향에 평행한 변환 기계를 통해 이동하는 제품을 수반하는 교차 방향 조립을 이용하는 공정인, 제품이 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49)에 의해 도시된 횡 방향으로 측면-대-측면으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일회용 흡수성 제품이 제작되는 공정을 지칭한다. "Cross direction assembly" is the opposite of "machine direction assembly" in which products are joined end-to-end or waist-to-waist, moving through a converting machin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arrow 49. A process in which a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is fabric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duct is joined side-to-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hown by arrow 49 in FIGS. 1 and 2, a process using cross-directional assembly involving the product refers to

"일회용(disposable)"은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이와 다르게 복원되는 대신에 제한된 사용 후에 폐기되도록 설계되는 용품을 지칭한다. “Disposable” refers to articles designed to be discarded after a limited use instead of being laundered or otherwise restored for reuse.

"배치되다", "~에 배치되다" 및 이들의 파생어는 한 요소가 다른 요소와 일체화될 수 있거나,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접합되거나, 다른 요소와 배치되거나, 또는 다른 요소 근처에 배치되는 별도의 구조체일 수 있음을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다. "Displaced", "placed in" and their derivatives mean a separate element in which one element may be integral with another element, or one element may be joined to another element, placed with another element, or placed near another element. It is intended to mean that it can be a structure of.

"탄성의", "탄성이 있는" 및 "탄성"은 변형을 일으키는 힘을 제거한 후에 물질의 원래 크기와 형상을 회복하는 경향이 있는 물질 또는 복합체의 특성을 의미한다. "Elastic", "resilient" and "resilient" refer to the property of a material or composite that tends to recover the material's original size and shape after removal of a deforming force.

"탄성중합체(elastomeric)"는 그의 이완된 길이의 적어도 25%만큼 늘어날 수 있고 인가된 힘을 해제하면 그의 늘어난 길이의 적어도 10%를 회복하는 물질 또는 복합체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탄성중합체 물질 또는 복합체는 그의 이완된 길이의 적어도 100%만큼,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만큼 늘어날 수 있고, 인가된 힘을 해제하면 그의 늘어난 길이의 적어도 50%를 회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Elastomeric" refers to a material or composite capable of stretching at least 25% of its relaxed length and recovering at least 10% of its stretched length upon release of an applied force. Generally, an elastomeric material or composite is capable of stretching at least 100% of its relaxed length, more preferably at least 300%, and recovers at least 50% of its stretched length upon release of the applied force. desirable.

"직물"은 임의의 직조된, 편직된 그리고 비직조된 섬유 웨브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Fabric” is used to refer to any woven, knitted and non-woven fibrous web.

"필름"은, 주조 필름 또는 취입 필름 압출 공정과 같은 필름 압출 및/또는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열가소성 필름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액체를 전달하지 않는 필름뿐만 아니라 액체를 전달하는 필름도 구성하는 개구된 필름, 슬릿 필름, 및 기타 다공성 필름을 포함한다. “Film” refers to a thermoplastic film made using a film extrusion and/or forming process, such as a cast film or blown film extrusion process. The term includes apertured films, slit films, and other porous films that constitute non-liquid-transmitting films as well as liquid-transmitting films.

"유연한"은 순응적이며 착용자의 신체의 대략적인 형상과 윤곽을 쉽게 따르는 물질을 지칭한다. “Pliable” refers to a material that is compliant and readily conforms to the approximate shape and contours of the wearer's body.

"친수성"은 섬유와 접촉하고 있는 수성 액체에 의해 적셔지는 섬유 또는 섬유의 표면을 설명한다. 이에 따라, 물질의 습윤 정도는 연관된 액체 및 물질의 접촉각 및 표면 장력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특정한 섬유 물질들 또는 섬유 물질들의 혼합물의 습윤성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장비 및 기술은, Cahn SFA-222 표면력 분석기 시스템(Surface Force Analyzer System) 또는 실질적인 등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으로 측정될 때, 90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습윤성" 또는 친수성인 것으로 지정되고, 90 초과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비습윤성" 또는 소수성인 것으로 지정된다. “Hydrophilic” describes a fiber or surface of a fiber that is wetted by an aqueous liquid in contact with the fiber. Accordingly, the degree of wetting of a material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contact angle and surface tension of the associated liquid and material. Equipment and techniques suitable for measuring the wettability of particular fiber materials or mixtures of fiber materials may be provided by the Cahn SFA-222 Surface Force Analyzer System or a substantially equivalent system. When measured with this system, fibers having a contact angle of less than 90 are designated as "wettable" or hydrophilic, and fibers having a contact angle of greater than 90 are designated as "non-wettable" or hydrophobic.

"일체적" 또는 "일체적으로"는 서로 접합되거나 서로 함께 배치되거나 서로 근처에 배치되는 별개의 구조체 대신에 하나의 통합된 요소의 다양한 부분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Integral" or "integrally" is used to refer to various parts of a single integrated element instead of separate structures joined together, disposed with or adjacent to each other.

"층"은 단수로 사용되는 경우, 단일 요소 또는 복수의 요소의 이중 의미를 가질 수 있다. "Layer" when used in the singular can have the dual meaning of a single element or a plurality of elements.

"액체 불투과성"은 층 또는 다중-층 라미네이트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액체 접촉점에서 층 또는 라미네이트의 평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일반적인 사용 조건 하에서 소변과 같은 액체가 층 또는 라미네이트를 통과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액체 또는 소변은 액체 불투과성 층 또는 라미네이트의 평면에 평행하게 퍼지거나 이송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때, "액체 불투과성"의 의미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Liquid impervious", when used to describe a layer or multi-layer laminate, means that the layer or laminate does not allow liquids, such as urine, to pass through it under normal conditions of use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ayer or laminate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liquid. it means. Liquid or urine may be spread or transported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liquid impervious layer or laminate, but this is not considered within the meaning of "liquid impermeable" when used herein.

"액체 투과성 물질" 또는 "액체 투수성 물질"은 다공성이고, 기공을 통한 물 및 다른 수성 액체의 유동으로 인한 투수성인 필름, 부직포, 또는 개방-셀 발포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층 내에 존재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필름 또는 발포제 내의 기공, 또는 섬유들 또는 부직포 웨브 내의 필라멘트들 사이의 공간은 물질을 통한 액체상태 물의 누수 및 유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크고 많다. "Liquid permeable material" or "liquid permeable material" refers to a material present in one or more layers, such as a film, nonwoven fabric, or open-cell foam, that is porous and permeable due to the flow of water and other aqueous liquids through the pores. do. The pores in the film or blowing agent, or the spaces between the fibers or filaments in the nonwoven web, are sufficiently large and numerous to permit seepage and flow of liquid water through the material.

"길이 방향" 및 "횡 방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길이 방향 축선 및 횡 방향 축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들의 관용적인 의미를 가진다. 상기 길이 방향 축은 용품의 평면에 놓여 있고 일반적으로 용품이 착용되었을 때 서있는 착용자를 좌측 신체 절반과 우측 신체 절반으로 양분하는 수직 평면에 평행하다. 상기 가로 방향 축은 상기 길이 방향 축에 일반적으로 직교하는 용품의 평면에 놓여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용품은 횡 방향으로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길다. “Longitudinal direction” and “transverse direction” have their conventional meanings as indicated by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axis lines shown in FIGS. 1 and 2 . The longitudinal axis lies in the plane of the article and is generally parallel to a vertical plane that bisects a standing wearer into a left body half and a right body half when the article is worn. The transverse axis lies in a plane of the article generally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The article as illustrated is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기계 방향"은 기계 방향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직물의 폭을 지칭하는 "교차 방향"과는 반대로서, 직물이 제조되는 방향으로의 직물의 길이를 지칭한다. "Machine direction" refers to the length of the fabric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bric is made, as opposed to "cross direction" which refers to the width of the fabric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machine direction.

"기계 방향 조립"은 제품이 측면-대-측면으로 연결되는 "교차 방향 조립"과 반대로서, 화살표(48)의 방향에 평행한 변환 기계를 통해 이동하는 제품을 수반하는 기계 방향 조립을 이용하는 공정인, 제품이 도 1 및 도 2에서 화살표(48)에 의해 도시된 길이 방향으로 단부-대-단부 또는 허리-대-허리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일회용 흡수성 제품이 제작되는 공정을 지칭한다. "Machine direction assembly" is a process using machine direction assembly involving the product moving through a transforming machin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arrow 48, as opposed to "cross direction assembly" where products are joined side-to-side. In,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a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is fabric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duct is joined end-to-end or waist-to-wai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wn by arrow 48 in FIGS. 1 and 2 .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통상적으로 원형인 복수의 미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실 또는 필라멘트로 수렴하는 고속의 가열된 기체(예, 공기) 스트림 내로 압출하여, 이것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여 그 직경을 미세섬유 직경까지 될 수 있도록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그런 다음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 위에 쌓여서 무작위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 웹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Butin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일 수 있는 미세섬유이고, 일반적으로 약 0.6 데니어 미만이며 일반적으로 수집 표면 상에 적층될 때 자체 접합된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멜트블로운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다. "Meltblown fibers" are produced by extruding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through a plurality of fine, usually circular, die capillaries into a high velocity stream of heated gas (e.g., air) that converges into molten threads or filaments; It refers to a fiber formed by thinning a filament of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and reducing its diameter to a microfibre diameter. The meltblown fibers are then carried by a high-velocity gas stream and piled onto a collecting surface to form a randomly dispersed meltblown fiber web. Such a process is disclosed, for example, in US Pat. No. 3,849,241 to Butin et al. Meltblown fibers are microfibers that can be continuous or discontinuous, are generally less than about 0.6 denier and are generally self-bonding when laminated onto a collecting surface. The meltblown fiber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preferably substantially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부재(member)"는 단수로 사용되는 경우, 단일 요소 또는 복수의 요소의 이중 의미를 가질 수 있다. "Member" when used in the singular can have the dual meaning of a single element or a plurality of elements.

"부직포" 또는 "부직포 웨브"는 텍스타일 직조 또는 편직 공정(textile weaving or knitting process)의 도움 없이 형성되는 물질 및 물질의 웨브를 지칭한다. “Nonwoven fabric” or “nonwoven web” refers to materials and webs of materials that are formed without the aid of a textile weaving or knitting process.

"작동적으로 결합된"은 다른 요소에 대한 탄성 부재의 부착과 관련해서는, 신축 등에 의해서 요소에 부착 또는 연결되거나 열 또는 화학물질로 처리될 때 탄성 부재가 요소에게 탄성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요소에 대한 비-탄성 부재의 부착과 관련해서는 부재 및 요소가 결합기의 의도된 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게 허용하거나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합, 부착, 연결 등은 어느 한 부재를 소자에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것과 같이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제1 부재와 제1 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부재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Oper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of an elastic member to another element, means that the elastic member provides elastic properties to the element when attached or connected to the element, such as by stretching or being treated with heat or a chemical; , with reference to the attachment of a non-resilient member to another element, it is meant that the member and element may be attached in any suitable manner that permits or enables the coupler to perform its intended or described function. Coupling, attaching, connecting, etc. may be used directly, such as directly coupling a member to an element, or may be used indirectly by anoth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first element.

"영구적으로 접합된"은 요소가 흡수성 의복의 일반적인 사용 상태 중에 접합되는 경향이 있고 접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흡수성 의복의 두 개의 소자의 결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지칭한다. "Permanently bonded" refers to the joining, adhering, joining, attaching, or the like, of two elements of an absorbent garment such that the elements tend to bond and remain bonded during normal use of the absorbent garment.

"중합체"는 동종중합체, 공중합체, 예를 들어, 블록, 그래프트(graft), 랜덤 및 교번 공중합체, 테르중합체 등 및 이들의 혼합물과 변형물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특별히 달리 한정하지 않는 한, "중합체"라는 용어는 그 물질의 모든 가능한 기하학적 구성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동일배열, 교대배열, 및 혼성배열 대칭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Polymer"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homopolymers, copolymers such as block, graft, random and alternating copolymers, terpolymers, and the like, and mixtures and variations thereof. Moreover, unless specifically defined otherwise, the term "polymer" shall include all possible geometrical configurations of the material. Such structur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sotonic, alternating, and hybridizable symmetries.

"재-체결 가능한(refastenable)"은 실질적인 영구 변형이나 파괴 없이 해제 가능한 부착, 분리, 및 차후의 해제 가능한 재부착이 가능한 두 요소의 특성을 지칭한다. "Refastenable" refers to the property of two elements that allow for releasable attachment, detachment, and subsequent releasable reattachment without substantial permanent deformation or destruction.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및 "이의 파생어들"은 요소가 요소들 중의 하나 또는 모두에 인가되는 분리력 없이도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요소가 실질적인 영구 변형 또는 파괴 없이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두 요소를 지칭한다. 요구되는 분리력은 통상적으로, 흡수성 의복을 착용하는 동안 마주치는 힘을 초과한다.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솔기는 뜯어지거나, 절단되거나 이와는 달리 파열되어야 하는 접합된 솔기를 포함하지 않는 재-체결 가능한 솔기임에 주목해야 한다. "Releasably attached", "releasably coupled", and "derivatives thereof" means that an element tends to remain connected without a separation force applied to one or both of th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 is subject to substantial permanent deformation. or two elements that are or can be connected such that they can be separated without destruction. The separation force required typically exceeds the force encountered while wearing an absorbent garment. It should be noted that releasably attached or releasably joined seams are re-fastenable seams that do not include bonded seams that must be ripped, cut or otherwise ruptured.

"스펀본드"(spunbond) 섬유"는 원형 또는 기타 구성을 갖는 방사돌기(spinnerette)의 복수의 미세 모세관으로부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필라멘트로서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소 직경의 섬유들을 지칭하며, 이어서 압출된 필라멘트들의 직경은 예를 들어, Appel 등의 미국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등의 미국특허 제3,692,618호, Matsuki 등의 미국특허 제3,802,817호, Kinney의 미국특허 제3,338,992호와 제3,341,394호, Hartman의 미국특허 제3,502,763호, Peterson의 미국특허 제3,502,538호, Dobo 등의 미국특허 제3,542,615호에 의해서 급격히 감소되며, 상기 특허 각각은 그 전문이 본 발명에 원용에 의해 포함된다. 스펀본드 섬유들은 수집면 상에 적층되는 경우에 냉각되고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이며, 약 0.3보다 더 큰, 더 구체적으로 약 0.6 내지 10의 평균 데니어를 종종 가진다. "Spunbond" fibers" refers to small-diameter fibers formed by extruding a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as filaments from a plurality of fine capillaries in a spinnerette having circular or other configurations, followed by extruded filaments. Their diameter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4,340,563 to Appel et al., US Pat. No. 3,692,618 to Dorschner et al., US Pat. No. 3,802,817 to Matsuki et al., US Pat. Nos. 3,338,992 and 3,341,394 to Kinney, and US Pat. 3,502,763, U.S. Patent No. 3,502,538 to Peterson, and U.S. Patent No. 3,542,615 to Dobo et al., each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It cools when laminated and is generally non-tacky Spunbond fibers are generally continuous and often have an average denier greater than about 0.3, more specifically between about 0.6 and 10.

"신축성"은 적어도 일 방향으로 물질의 최초(신축되지 않은) 길이의 적어도 150%, 적합하게 물질의 최초 길이의 적어도 200%, 바람직하게 물질의 최초 길이의 적어도 250%로 파괴 없이 신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Stretchable" means capable of being stretched without breaking to at least 150% of the material's original (unstretched) length in at least one direction, suitably at least 200% of the material's original length, preferably at least 250% of the material's original length. means that

"초흡수성" 또는 "초흡수성 물질"은 0.9 중량 퍼센트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내에서, 가장 유리한 조건 하에서, 그 중량의 적어도 약 15배를, 더 바람직하게 그 중량의 적어도 약 30배를 흡수할 수 있는 수팽창성(water-swellable), 수불용성(water-insoluble)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을 지칭한다. 초흡수성 물질은,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고분자 및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초흡수성 물질은 실리카켈 등의 무기 물질, 또는 가교결합된 중합체 등의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A "superabsorbent" or "superabsorbent material" is capable of absorbing at least about 15 times its weight,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30 times its weight, under the most favorable conditions,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0.9 weight percent sodium chloride. Refers to water-swellable, water-insoluble organic or inorganic substances present in water. Superabsorbent materials can be natural, synthetic, and modified natural polymers and materials. Additionally, the superabsorbent material may be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a gel, or an organic compound such as a crosslinked polymer.

"표면"은 공기, 기체, 및/또는 액체에 대한 투과성 또는 불투과성이든 간에, 임의의 층, 필름, 직물, 부직포, 라미네이트, 복합체 등을 포함한다. "Surface" includes any layer, film, fabric, nonwoven fabric, laminate, composite, etc., whether permeable or impermeable to air, gas, and/or liquid.

"열가소성"은 열에 노출된 때에 부드러워지고 실온으로 냉각된 때에 실질적으로 부드럽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가는 물질을 설명한다. “Thermoplastic” describes a material that softens when exposed to heat and returns to a substantially non-soft state w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 추가 언어로 정의될 수 있다. These terms may be defined in additional language in the remainder of this specification.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개시는 흡수성 용품, 더 구체적으로는 개인 착용 흡수성 용품,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제거와 착용의 용이함을 위해 의복 측면 패널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핸들을 갖는 팬티-형 흡수성 의복에 관한 것이다. 착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핸들은 제품의 찢김 없이 제품 사용자가 의복을 당길 수 있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설계된다. 게다가, 유아 또는 돌보는 사람이 제품을 당기기 위해서 핸들을 잡을 때, 핸들은 변위되나 파손되지 않는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more specifically to personal wear absorbent articles, and even more specifically to pant-like absorbent garments having one or more handles disposed on the side panels of the garment for ease of removal and donning. To facilitate donning, the handle is designed to have sufficient strength to allow the user of the product to pull on the garment without tearing the product. Moreover, when an infant or caregiver grabs the handle to pull the product, the handle is displaced but not broken.

이제, 도면, 특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양태에 따른 개인 착용 흡수성 용품이 참조 번호 2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된,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착용을 위한 팬티-형 용품의 형태, 특히 아동 배변 훈련용 팬티의 형태로 예시된다. 용어 흡수성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신체와 마주하거나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어서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다양한 액체 폐기물을 흡수 및/또는 보유하는 용품을 지칭한다. 흡수성 용품은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거나 이와 다르게 복원되는 대신에 제한된 사용 기간 후에 폐기되도록 의도된 용품을 지칭하는 일회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개념은 본 개시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성인 실금 용품과 같은 다양한 다른 팬티-형 용품뿐만 아니라, 의류, 기저귀, 여성용 위생 제품, 의료용 의복, 외과용 패드 및 붕대, 기타 개인 관리 또는 건강 관리 의복 등과 같은 개인 착용을 위한 다른 용품과 함께 사용하는데 적합하다고 이해된다. Referring now to the drawings, in particular FIGS. 1 and 2 ,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ccording to one aspect is in the form of a pant-like article for wear around the waist of a wearer, generally indicated at 20 , in particular for potty training children. It is exemplified in the form of panties. The term absorbent generally refers to articles that may be placed facing or proximate the body of the wearer to absorb and/or retain various liquid waste expelled from the body. Absorbent articles may be disposable, referring to articles intended to be discarded after a limited period of use instead of being laundered or otherwise restored for reuse. The concepts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well as various other pant-like articles such as adult incontinence articles, as well as apparel, diapers, feminine hygiene products, medical garments, surgical pads and bandages, and other personal care products. or other articles for personal wear, such as health care garments and the like.

단지 예시로서, 훈련용 팬티(20)를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물질과 방법은 A. Fletcher 등의 2000년 6월 29일자 공개된 PCT 특허출원 WO 00/37009호, Van Gompel 등의 1990년 7월 10일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40,464호, 및 Brandon 등의 1998년 6월 16일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66,38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헌은 본 개시에 일관된 방식으로 원용에 의해 본 발명에 포함된다. By way of example only,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training pant 20 are disclosed in PCT Patent Application WO 00/37009 to A. Fletcher et al, published Jun. 29, 2000, Van Gompel et al., Jul. 10, 1990. U.S. Patent No. 4,940,464, issued June 16, 1998 to Brandon et al., and U.S. Patent No. 5,766,389, issued Jun. 16, 1998,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a manner consistent with this disclosure.

한 쌍의 훈련용 팬티(20)는 완전 사전-조립된(즉, 최초 제작 중에 조립된 대로) 구성(팬티, 즉 흡수성 용품의 착용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 광범위하게 지칭됨)으로 도 3에 예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추가로 참조하면, 훈련용 팬티(20)는 전면 허리 영역(22), 배면 허리 영역(24), 팬티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 및 배면 영역(22, 24)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면 및 배면 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26), 착용자와 접촉 관계로 구성되는 내부 표면(28), 및 내부 표면(28)과 반대인 외부 표면(30)을 포함한다. 훈련용 팬티(20)는 또한, 한 쌍의 측 방향 대향 측면 에지들(36) 및 각각이 전면 허리 에지(38) 및 배면 허리 에지(39)로 지정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 대향 허리 에지를 가진다. 전면 허리 영역(22)은 전면 허리 에지(38)와 인접하고 있고, 배면 허리 영역(24)은 배면 허리 에지(39)와 인접한다. A pair of training pant 20 is illustrated in FIG. 3 in a fully pre-assembled (i.e., as assembled during initial manufacture) configuration (broadly referred to herein as a panty, i.e., wearing configuration of an absorbent article). . Referring further to Figures 1 and 2, the training pant 20 has a front waist region 22, a back waist region 24, and a length between the front and back regions 22, 24 along the length of the panty. It includes a crotch region 26 extending in a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front and back regions to each other, an inner surface 28 configured in contact with the wearer, and an outer surface 30 opposite the inner surface 28 . The training pant 20 also has a pair of lateral opposed side edges 36 and a pair of longitudinally opposed waist edges each designated as a front waist edge 38 and a back waist edge 39. . A front waist region 22 abuts a front waist edge 38 and a back waist region 24 abuts a back waist edge 39 .

예시된 팬티(20)는 도 1 및 도 2에서처럼 평평하게 놓일 때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일 수 있는 참조 번호 32로 통칭된 중앙 흡수성 조립체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 방향으로 대향 전면 측면 패널(34)은 전면 허리 영역(22)에서 흡수성 조립체(3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이에 따라, 전면 허리 영역(22)의 횡 방향 외측 부분을 형성하며, 더 광범위하게 훈련용 팬티의 횡 방향 대향 측면들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측 방향 대향 배면 측면 패널(35)은 배면 허리 영역(24)에서 흡수성 조립체(3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이에 따라, 배면 허리 영역(24)의 횡 방향 외측 부분을 형성하며, 전면 측면 패널(34)과 함께 팬티의 측면을 추가로 형성한다). The illustrated panty 20 includes a central absorbent assembly, collectively referred to as 32, which may be rectangular or any other suitable shape when laid flat as in FIGS. 1 and 2. A pair of laterally opposed front side panels 34 extend outwardly from the absorbent assembly 32 at the front waist region 22 (thus forming a transversely outer portion of the front waist region 22; partly forming the transversely opposed sides of the training pant more extensively). Laterally facing back side panels 35 extend outwardly from absorbent assembly 32 at back waist region 24 (thus forming a transversely outer portion of back waist region 24, the front side panels ( 34) to further form the sides of the panties).

예시된 양태의 중앙 흡수성 조립체(32)는 외부 커버(40) 및 접착제, 초음파 접합, 열 접합 또는 다른 종래 기술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중첩된 관계로 외부 커버(40)에 연결되는 신체측 라이너(42)(도 3)를 포함한다. 흡수성 구조체(44)(도 2)는 외부 커버(40)와 신체측 라이너(42) 사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샘방지 플랩(46)(도 2)이 신체 삼출물의 측 방향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신체측 라이너(42)에 고정된다. 중앙 흡수성 조립체(32)는 전면 및 배면 허리 에지(38, 39)의 부분들을 형성하는 대향 단부, 및 훈련용 팬티(20)의 측면 에지(36)(도 1 및 도 2)의 부분들을 형성하는 대향 측면 에지(47)를 가진다. The central absorbent assembly 32 of the illustrated aspect comprises an outer cover 40 and a bodyside liner (connected to the outer cover 40 in overlapping relationship by suitable means such as adhesive, ultrasonic bonding, thermal bonding or other conventional techniques). 42) (FIG. 3). An absorbent structure 44 (FIG. 2)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cover 40 and the bodyside liner 42. A pair of containment flaps 46 (FIG. 2) are secured to the bodyside liner 42 to contain the lateral flow of body exudates. The central absorbent assembly 32 has opposite ends forming portions of the front and back waist edges 38, 39, and forming portions of the side edges 36 (FIGS. 1 and 2) of the training pant 20. It has opposite side edges (47).

흡수성 조립체(32) 및 측면 패널(34, 35)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분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측면 패널(34, 35) 및 흡수성 조립체(32)는 신체측 라이너(42), 플랩 복합체, 외부 커버(40)와 같은 적어도 몇몇의 공통 물질, 다른 물질 및/또는 이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부품의 탄성,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 팬티(20)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의 참조를 위해서, 도 1 및 도 2의 화살표(48 및 49)는 훈련용 팬티(20)의 각각 길이방향 축선과 횡 방향 또는 측 방향 축선의 방위를 도시한다. The absorbent assembly 32 and side panels 34 and 35 may include two or more separate elements as shown in FIGS. 1 and 2 , or they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integrally formed side panels 34, 35 and absorbent assembly 32 include at least some common materials, such as bodyside liner 42, flap composite, outer cover 40, other materials, and/or combinations thereof. and may form a single-piece elastic, stretchable, or non-stretch panty 20. For further reference, arrows 48 and 49 in FIGS. 1 and 2 show the orientation of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or lateral axes, respectively, of the training pant 20 .

훈련용 팬티(20)의 전면 허리 영역(22)은 도면 번호 50으로 표시된 허리 개구 및 두 개의 다리 개구를 갖는 훈련용 팬티의 당김식 팬티-형 구성을 형성하도록 용품 체결 시스템(80)에 의해서 한 쌍의 재-체결 가능한 측면 솔기(66)(하나의 측면 솔기가 체결 구성으로 도시되고 다른 측면 솔기가 미-체결 구성으로 도시됨)를 통해 배면 허리 영역(24)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용품 체결 시스템(80)은 예를 들어, 그리고 제한 없이 후크형 및 루프형 체결기구, 다른 유형의 기계적 체결기구, 접착성 체결기구, 응집성 체결기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상보적인 재-체결 가능한 체결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적절한 실시예에서, 체결 구성요소(90, 92)는 훈련용 팬티(20)의 제조 공정 중에 미리 체결되어 훈련용 팬티(20)가 체결된 구성으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1이 해제 가능한 솔기(66)를 통해서 함께 결합되는 전방 및 배면 영역(22, 24)을 예시하지만, 전면 및 배면 영역은 해제 불가능한 접합 솔기(예를 들어, 접착제 접합, 초음파 접합, 압력 접합, 열 접합에 의해)를 통해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The front waist region 22 of the training pant 20 is secured by an article fastening system 80 to form a pull-on pant-like configuration of the training pant having a waist opening and two leg openings, indicated at 50. It may optionally be coupled to the back waist region 24 via a pair of refastenable side seams 66 (one side seam shown in a fastened configuration and the other side seam shown in a non-fastened configuration). Article fastening system 80 may be any suitable complementary material including, for example and without limitation, hook and loop fasteners, other types of mechanical fasteners, adhesive fasteners, cohesive fasteners, and combinations thereof. - May include a fastening mechanism that can be fastened. In some suitable embodiments, the fastening components 90 and 92 may be pre-fasten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raining pant 20 so that the training pant 20 is supplied to the user in a fastened configuration. 1 illustrates the front and back regions 22, 24 being joined together via a releasable seam 66, the front and back regions are non-releasable bonded seams (eg adhesive bonding, ultrasonic bonding, pressure bonding, by thermal bonding).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체결된 상태의 훈련용 팬티(20)의 경우에,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34, 35)은 허리 개구(50)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를 갖는 팬티(20)의 사전-조립된 3차원 착용 구성을 형성하도록 일차로 서로 부착되거나 용품 체결 시스템(80)에 부착된다. 전면 허리 영역(22)은 착용시 착용자의 전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훈련용 팬티(20)의 부분을 포함하는 반면에, 배면 허리 영역(24)은 착용자의 배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훈련용 팬티(20)의 부분을 포함한다. 훈련용 팬티(20)의 가랑이 영역(26)은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하부 몸통을 커버하는 훈련용 팬티(20)의 부분을 포함한다. In the case of the training pant 20 in a fastened state as illustrated in FIG. 3 ,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34 and 35 are part of the panty 20 having a waist opening 50 and a pair of leg openings. They are first attached to each other or to the article fastening system 80 to form a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wearing configuration. The front waist region 22 includes the portion of the training pant 20 that when worn is located at least partially on the front of the wearer, while the back waist region 24 is for training purposes located at least partially on the back of the wearer. Includes part of the panty 20. The crotch region 26 of the training pant 20 includes the portion of the training pant 20 that is located between the wearer's legs and covers the wearer's lower torso.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34 및 35)은 착용시 착용자의 둔부에 위치되는 훈련용 팬티(20)(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전면 및 배면 허리 영역(22, 24))의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부착된 측면 패널(34, 35)은 체결 시스템(80)이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34, 35)을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는 재-체결 솔기(66)에 팬티(20)의 횡 방향 대향 측면을 광범위하게 형성한다. 훈련용 팬티(20)의 허리 에지(38, 39)는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싸고 허리 개구(50)를 함께 형성하도록 구성된다(도 3). 가랑이 영역(26)의 측면 에지들(36)의 부분은 일반적으로 다리 개구를 형성한다. 측면 패널(34 및 35)은 바람직하게, 외부 에지(68)를 따라서 길이 방향 축선(48)에 평행하게 측정되는 패널 길이 치수를 가진다. 선택적으로, 배면 측면 패널(35)의 패널 길이 치수는 전면 측면 패널(34)보다 더 길다.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34 and 35 comprise portions of the training pant 20 (and more specifically,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22 and 24) that, when worn, are positioned at the wearer's buttocks. Accordingly, the attached side panels 34, 35 are transversely opposed to the pant 20 at the re-fastening seams 66 to which the fastening system 80 releasably attaches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34, 35. side wide. The waist edges 38, 39 of the training pant 20 are configured to surround the wearer's waist and together form a waist opening 50 (FIG. 3). A portion of the side edges 36 of the crotch region 26 generally form a leg opening. Side panels 34 and 35 preferably have a panel length dimension measured parallel to longitudinal axis 48 along outer edge 68 . Optionally, the panel length dimension of the back side panel 35 is longer than the front side panel 34 .

중앙 흡수 조립체(32)는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삼출물을 함유 및/또는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샘방지 플랩들(46)은 신체 삼출물의 가로방향 흐름에 대한 장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플랩 탄성 부재(53)(도 2)는 기술분야에 주지된 바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각각의 샘방지 플랩(46)과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탄성이 있는 샘방지 플랩(46)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밀봉을 형성하기 위하여 훈련용 팬티(20)의 적어도 가랑이 영역(26)에서 직립 구성을 취하는 부분적으로 미부착된 에지를 형성한다. 샘방지 플랩(46)은 훈련용 팬티(20)의 측면 에지(36)를 따라서 위치될 수 있고, 흡수성 조립체(32)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거나, 단지 흡수성 조립체(32)의 길이를 따라서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샘방지 플랩(46)에 대한 적합한 구성과 배치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고, 1987년 11월 3일자로 허여된 Enloe의 미국 특허 제4,704,116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본 발명에 원용에 의해 포함된다. The central absorbent assembly 32 is configured to contain and/or absorb exudates exuded from the wearer. For example, the containment flaps 46 are configured to provide a barrier to the lateral flow of body exudates. A flap elastic member 53 (FIG. 2) may be operatively engaged with each containment flap 46 in any suitable manner as is well known in the art. The elastic containment flaps 46 form a partially unattached edge that assumes an upright configuration at least in the crotch region 26 of the training pant 20 to form a seal against the body of the wearer. The containment flaps 46 may be located along the side edges 36 of the training pant 20 and may extend longitudinally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absorbent assembly 32, or may only be positioned along the absorbent assembly 32. It can partially extend along the length of. Suitable configurations and arrangements for containment flaps 46 are general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re described in US Pat. No. 4,704,116 to Enloe, issued Nov. 3, 1987,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cluded by

신체 삼출물의 샘방지 및/또는 흡수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훈련용 팬티(20)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전면 허리 탄성 부재(54)(도 2), 배면 허리 탄성 부재(56), 및 다리 탄성 부재(58)를 또한 적합하게 포함한다. 허리 탄성 부재(54 및 56)는 대향 허리 에지(38 및 39)를 따라 외부 커버(40)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42)에 부착될 수 있고, 허리 에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58는 대향 측면 에지(36)를 따라 외부 커버(40)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42)에 부착될 수 있고, 훈련용 팬티(20)의 가랑이 영역(26)에 위치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58)는 흡수성 조립체(32)의 각각의 측면 에지(47)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To further enhance containment and/or absorption of body exudates, training pant 20 includes a front waist elastic member 54 (FIG. 2), a back waist elastic member 56, and Leg elastic members 58 are also suitably included. Waist elastic members 54 and 56 may be attached to outer cover 40 and/or bodyside liner 42 along opposite waist edges 38 and 39 and may extend over some or all of the waist edges. there is. The leg elastics 58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over 40 and/or the bodyside liner 42 along opposite side edges 36 and may be positioned in the crotch region 26 of the training pant 20. A leg elastic member 58 may be longitudinally aligned along each side edge 47 of the absorbent assembly 32 .

외부 커버(40)는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인 물질을 적합하게 포함한다. 외부 커버(40)는 액체 불투과성 물질의 단일 층일 수 있으나, 더 적합하게는 층들 중 적어도 하나가 액체 불투과성인 다층 적층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커버(40)의 내부 층은 액체 및 증기 불투과성일 수 있거나, 액체 불투과성이고 증기 투과성일 수 있다. The outer cover 40 suitably comprises a substantially liquid impervious material. The outer cover 40 may be a single layer of a liquid impermeable material, but more suitably may include a multi-layer laminate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layers is liquid impermeable. The inner layer of outer cover 40 may be liquid and vapor impermeable, or liquid impermeable and vapor permeable.

외부 커버(40)가 신축성일 수 있고 더 적합하게는 탄성일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특히, 외부 커버(40)는 팬티(20)의 적어도 횡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적합하게 신축성이고 더 적합하게는 탄성이다. 다른 양태에서, 외부 커버(40)는 횡 방향 및 길이방향 양쪽으로 신축성일 수 있고, 더 적합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It is also contemplated that the outer cover 40 may be flexible and more suitably elastic. In particular, the outer cover 40 is suitably flexible and more suitably elastic in at least the transverse o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ant 20 . In another aspect, the outer cover 40 may be stretchable in both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nd more suitably elastic.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42)가 외부 커버(40) 및 흡수성 구조체(44) 위에 놓인 것으로 예시되며, 외부 커버(40)와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아도 된다. 신체측 라이너(42)는 적합하게 순응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아동의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다. 또한, 신체측 라이너(42)는 흡수성 구조체(44) 보다 덜 친수성이어서, 착용자에게 비교적 건조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고, 그의 두께를 통해 액체가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게 한다. A liquid permeable bodyside liner 42 is illustrated as overlying the outer cover 40 and the absorbent structure 44, and may, but need not, have the same dimensions as the outer cover 40. The bodyside liner 42 conforms properly, feels soft, and does not irritate the child's skin. In addition, the bodyside liner 42 is less hydrophilic than the absorbent structure 44, which can provide a relatively dry surface to the wearer, allowing liquids to readily penetrate through its thickness.

대안으로, 신체측 라이너(42)는 더 친수성일 수 있거나 젖은 느낌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착용자에게 상대적으로 습윤 표면을 제공하도록 흡수성 구조체(44)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수분 친화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젖은 느낌은 훈련 보조에 유용할 수 있다. 친수성/소수성 특성은 원하는 촉촉한 감각 또는 누설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신체측 라이너(42) 및 흡수성 구조체(44)의 길이, 폭 및/또는 깊이에 걸쳐 가변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bodyside liner 42 may be more hydrophilic or may have essentially the same moisture affinity as the absorbent structure 44 to provide a relatively wet surface to the wearer to increase wet feeling. This wet feeling can be useful as a training aid. The hydrophilic/hydrophobic properties can be varied across the length, width and/or depth of the bodyside liner 42 and absorbent structure 44 to achieve a desired moist sensation or leak performance.

신체측 라이너(42)는 또한, 신축성일 수 있으며, 더 적합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특히, 신체측 라이너(42)는 팬티(20)의 적어도 횡 방향(49) 또는 원주 방향으로 적합하게 신축성일 수 있으며 더 적합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신체측 라이너(42)는 횡 방향 및 길이 방향(49, 48) 양쪽으로 신축성일 수 있고, 더 적합하게는 탄성일 수 있다. The bodyside liner 42 may also be flexible, more suitably elastic. In particular, the bodyside liner 42 may suitably be flexible and more suitably elastic in at least the transverse direction 49 o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anty 20 . In another aspect, the bodyside liner 42 may be flexible in both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49, 48, and more suitably elastic.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예시된 훈련용 팬티(20)는 팬티(20)의 착용 구성에서 팬티(20)의 횡 방향 대향 측면을 형성하는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34 및 35)을 가진다. 측면 패널(34, 35)은 각각의 전면 및 배면 허리 영역(22 및 24)에서 솔기(66)를 따라 중앙 흡수성 조립체(32)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전면 측면 패널(34)은 전면 허리 영역(22)에서 흡수성 조립체(32)의 측면 에지(47)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그 측면 에지를 넘어서 횡 방향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배면 측면 패널(35)은 배면 허리 영역(24)에서 흡수성 조립체(32)의 측면 에지(47)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그 측면 에지를 넘어서 횡 방향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측면 패널(34 및 35)은 접착제, 열 접합, 압력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흡수성 조립체(32)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측면 패널(34 및 35)은 흡수성 조립체(32)의 구성요소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패널(34, 35)은 외부 커버(40)의 일반적으로 더 넓은 부분, 신체측 라이너(42), 및/또는 흡수성 조립체(32)의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As noted previously, the illustrated training pant 20 has front and back side panels 34 and 35 forming transversely opposed sides of the pant 20 in the pant's 20 wearing configuration. Side panels 34 and 35 may be permanently attached to central absorbent assembly 32 along seams 66 at the front and back waist regions 22 and 24,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as seen in FIG. 1 , front side panels 34 can be permanently attached to side edges 47 of absorbent assembly 32 at front waist region 22 and transversely beyond the side edges. The back side panels 35 are permanently affixed to the side edges 47 of the absorbent assembly 32 at the back waist region 24 and extend laterally outward beyond the side edges. can Side panels 34 and 35 may be attached to the absorbent assembly 32 using attachment mean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adhesive, thermal bonding, pressure bonding, or ultrasonic bonding. Alternatively, side panels 34 and 35 may be formed as integral parts of the components of absorbent assembly 32 . For example, side panels 34 and 35 may include a generally wider portion of outer cover 40 , bodyside liner 42 , and/or other components of absorbent assembly 32 .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34, 35)은 각각 솔기(66)로부터 측 방향으로 이격된 외부 에지(68), 훈련용 팬티(20)의 길이 방향 중심 쪽으로 배치된 다리 단부 에지(70), 및 훈련용 팬티(20)의 길이 방향 단부 쪽으로 배치된 허리 단부 에지(72)를 가진다. 다리 단부 에지(70) 및 허리 단부 에지(72)는 흡수성 조립체(32)의 측면 에지(47)로부터 외부 에지(68)로 연장한다. 측면 패널(34 및 35)의 다리 단부 에지(70)는 훈련용 팬티(20)의 측면 에지(36)의 부분을 형성한다. 예시된 양태의 다리 단부 에지(70)는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보다 양호한 맞춤을 제공하도록 횡 방향 축선(49)에 대하여 적합하게 만곡 및/또는 경사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배면 허리 영역(24)의 다리 단부 에지(70)와 같은, 다리 단부 에지(70) 중 단지 하나만 또는 모두가 만곡 또는 경사질 수 있거나, 다리 단부 에지(70) 모두가 만곡 또는 경사질 수 없다는 것이 이해된다. 허리 단부 에지(72)는 적합하게, 횡 방향 축선(49)에 평행하다. 전면 측면 패널(34)의 허리 단부 에지(72)는 훈련용 팬티(20)의 전면 허리 에지(38)의 부분을 형성하고, 배면 측면 패널(35)의 허리 단부 에지(72)는 팬티(20)의 배면 허리 에지(39)의 부분을 형성한다.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34, 35 each have an outer edge 68 spaced laterally from seam 66, a leg end edge 70 disposed toward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training pant 20, and a training It has a waist end edge 72 disposed toward the longitudinal end of the dragon panty 20. Leg end edge 70 and waist end edge 72 extend from side edge 47 to outer edge 68 of absorbent assembly 32 . Leg end edges 70 of side panels 34 and 35 form part of side edge 36 of training pant 20 . The leg end edge 70 of the illustrated aspect may be suitably curved and/or beveled about the transverse axis 49 to provide a better fit around the wearer's leg. Howev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only one or both of the leg end edges 70 may be curved or beveled, such as the leg end edge 70 of the back waist region 24, or the leg end edge 70 ) is understood that not all can be curved or inclined. Waist end edge 72 is suitably parallel to transverse axis 49 . The waist end edge 72 of the front side panel 34 forms part of the front waist edge 38 of the training pant 20 and the waist end edge 72 of the back side panel 35 forms part of the pant 20 ) forms part of the back waist edge 39.

측면 패널(34, 35)은 적합하게, 일반적으로 훈련용 팬티(20)의 횡 방향 축선(49)에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신축성 물질을 포함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더 적합하게, 측면 패널(34, 35)은 탄성 물질을 포함한다. 훈련용 팬티 내로 신축성 측면 패널을 통합하는 적합한 탄성 물질뿐만 아니라, 하나의 공정이 다음의 미국특허들에 설명되어 있다: Van Gompel 등에게 1990년 7월 10일 발행된 제4,940,464호, Pohjola에게 1993년 7월 6일 발행된 미국특허 제5,224,405호, Pohjola에게 1992년 4월 14이라 발행된 미국특허 제5,104,116호, Vogt 등에게 1991년 9월 10일 발행된 미국특허 제5,046,27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선택적으로, 신축성 물질은 신축-열적 라미네이트(STL), 네크-접합 라미네이트(NBL), 가역성 네크 라미네이트, 또는 신축-접합 라미네이트(SBL)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으며, Wisneski 등에게 1987년 5월 5일자로 허여된 미국특허 제4,663,220호, Morman에게 1993년 7월 13일자로 허여된 미국특허 제5,226,992호, 및 Welch 등의 이름으로 된 PCT 출원 WO 01/88245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 모두는 원용에 의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물질들은 Welch 등에 의한 미국 특허출원 일련번호12/649,508호, 및 Lake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8,287,677호에 설명되어 있고, 이들 모두는 원용에 의해 본 발명에 포함된다. Side panels 34 and 35 suitably, but need not necessarily, comprise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stretching in a direction generally parallel to the transverse axis 49 of training pant 20 . More suitably, the side panels 34 and 35 comprise a resilient material. One process, as well as a suitable elastic material for incorporating stretchable side panels into a training pant,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U.S. Patents: 4,940,464 to Van Gompel et al., issued Jul. 10, 1990, to Pohjola, 1993. U.S. Patent No. 5,224,405, issued July 6, U.S. Patent No. 5,104,116, issued April 14, 1992 to Pohjola, and U.S. Patent No. 5,046,272, issued September 10, 1991 to Vogt et al. All of the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Optionally, the stretchable material may include a stretch-thermal laminate (STL), a neck-bond laminate (NBL), a reversible neck laminate, or a stretch-bond laminate (SBL) material. Methods of making such material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re described in U.S. Patent No. 4,663,220 issued May 5, 1987 to Wisneski et al., U.S. Patent No. 5,226,992 issued July 13, 1993 to Morman, and Welch. PCT application WO 01/88245 to et al.,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Other suitable materials are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Serial No. 12/649,508 to Welch et al., and US Patent No. 8,287,677 to Lake et al.,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대안으로, 측면 패널 물질은 외부 커버(40) 또는 신체측 라이너(42)에 적합한 것으로서 전술한 것과 같은 다른 직물 또는 부직포 물질, 기계적으로 사전-변형(pre-strained)된 복합체, 또는 신축성이지만 비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ide panel material may be other woven or non-woven materials, mechanically pre-strained composites, or stretchable but inelastic material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as suitable for outer cover 40 or bodyside liner 42. can include

핸들(90)은 훈련용 팬티(2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내에 형성된다. 핸들(90)은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측면 패널 물질(35)을 통한 길이방향 중심점(94), 상부 부분(96) 및 바닥 부분(98)을 갖는 구멍(92)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핸들(90)은 물질 내에 너무 많은 변위를 유발함이 없이 사용자가 훈련용 팬티(20)를 당길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핸들(90)이 너무 약하면, 물질은 너무 많이 신축되어 당김 중에 무릎이나 엉덩이에 용품이 걸리거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못하여 용품이 착용자의 신체에 걸리고 폐기물을 수용하기에 부적절하게 배치되게 할 것이다. A handle 90 is formed in at least one side panel of the training pant 20 . Handle 90 is formed by cutting a hole 92 having a longitudinal center point 94, top portion 96 and bottom portion 98 through side panel material 35, as illustrated in FIG. 4D. . The handle 90 should have sufficient strength to allow the user to pull on the training pant 20 without causing too much displacement in the material. If the handle 90 is too weak, the material will stretch too much and catch the article on the lap or hip during pulling or not be positioned correctly, causing the article to get caught on the wearer's body and improperly positioned to contain waste.

핸들(90)의 크기 및 위치는 또한, 배변 훈련을 학습하고 있는 유아와 무관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기 때문에 핸들의 기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사용 이전에 횡 방향(49)으로 평평하게 펼쳐진 이완된 구성에서 측정한 가장 큰 거리로서 측정된 구멍(92)의 폭은 사용자, 통상적으로 유아 아동이 구멍을 통해 그들 손가락 및 손을 넣고 제품을 당기는 능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구멍(92)의 폭은 착용 중 너무 많은 변위를 허용하여 용품의 유효성에 관한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을 정도로 커서는 안 된다. 게다가, 특정 예에서 사용자는 4 개 미만, 예컨대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핸들(90)을 잡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멍(92)에 대한 최적 폭은 약 20 mm 내지 약 50 mm, 예컨대 약 25 mm 내지 약 40 mm, 더 바람직하게 약 30 mm일 수 있다.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handle 90 can also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the handle because it is optimized to be independent of the toddler learning potty training. For example, the width of aperture 92, measured as the greatest distance measured in a relaxed configuration that is laid out fla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49 prior to use of the product, is the width of aperture 92 that a user, typically a toddler, may pass through the aperture with their fingers and It may enable the ability to insert a hand and pull the product. However, the width of the aperture 92 should not be so large as to allow too much displacement during wear, causing problems with the effectiveness of the article. Additionally, in certain instances, a user may be able to grip handle 90 using less than four fingers, such as just one or two fingers. Consequently, an optimal width for aperture 92 may be between about 20 mm and about 50 mm, such as between about 25 mm and about 40 mm, more preferably about 30 mm.

핸들(90)의 위치는 핸들의 성능이 정확하게 기능을 하는데 중요할 수 있다. 유사하게, 핸들이 다리 에지(70)에 가깝게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때(49), 핸들(90)은 사용자가 잡기 어렵거나 팬티(20)가 신체 상으로 안내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결과적으로, 핸들(90)과 허리 에지(70) 사이의 거리가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에지(100)를 갖춘 구멍(90)을 포함하는 핸들(90)은 핸들이 연장되지 않았을 때 측정한 것으로서, 측면 패널(35)의 상부 에지(100)로부터 허리 에지(70)로 약 10 내지 약 35 mm, 예컨대 약 15 내지 약 25 mm, 더 바람직하게 약 20 mm에 있도록 측면 패널(35)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handle 90 can be critical to the ability of the handle to function correctly. Similarly, when the handle is placed longitudinally close to the leg edge 70 (49), the handle 90 becomes difficult for the user to grip or to guide the panty 20 onto the body.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le 90 and the waist edge 70 can be optimized. For example, a handle 90 comprising an aperture 90 with top edge 100 would measure from the top edge 100 of the side panel 35 to the waist edge 70 when the handle is not extended. to about 10 to about 35 mm, such as about 15 to about 25 mm, more preferably about 20 mm to the side panel 35.

측면 패널(35)에서 측면(49)으로 핸들(90)의 위치는 또한, 핸들 유효성을 개선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재-체결 가능한 솔기(66)에 측면(49)으로 가까운 핸들(90)은 과도한 변위 또는 찢김을 유발하고, 측면 패널(35)의 유효 에지(102)에 측면(49)으로부터 가까운 핸들은 잡거나 용품을 신체 상으로 안내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결과적으로, 배면 말단 에지를 포함하는 핸들(90)은 배면 말단 에지와 측면 패널의 유효 에지(102) 사이의 거리가, 핸들이 연장되지 않았을 때 측정한 것으로서, 약 10 내지 약 35 mm, 예컨대 약 15 내지 약 25 mm, 더 바람직하게 약 20 mm 있도록 측면 패널(35)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그리고 도 3에 예시된, 측면 패널(35)의 유효 에지(102)는 측면 패널(35)이 흡수성 조립체(32)에 접합되는 위치이다. 측면 패널이 흡수성 조립체(32)와 일체화되는 경우에, 유효 에지는 흡수성 코어가 외부 커버(40)에 부착되는 위치이다. The position of handle 90 from side panel 35 to side 49 can also be considered to improve handle effectiveness. A handle 90 that is close to the side 49 to the re-fastenable seam 66 will cause excessive displacement or tearing, and a handle that is close from the side 49 to the effective edge 102 of the side panel 35 can cause gripping or product damage. was found to be difficult to guide onto the body. As a result, the handle 90 including the rear distal edge has a distance between the rear distal edge and the effective edge 102 of the side panel, as measured when the handle is not extended, from about 10 to about 35 mm, such as about 15 to about 25 mm, more preferably about 20 mm to the side panel 35. For purposes of this invention and illustrated in FIG. 3 , the effective edge 102 of the side panel 35 is the location where the side panel 35 is bonded to the absorbent assembly 32 . Where the side panels are integrated with the absorbent assembly 32, the effective edge is where the absorbent core is attached to the outer cover 40.

핸들(90)은 사용 용이성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측면 패널(35)의 측면 축선(49)에 대해 각도(125)를 이루도록 측면 패널(35)에 형성될 수 있다. 각진 핸들은 착용으로부터 초래되는 응력과 변형을 제어 및 지향시킬 수 있다. 힘 집중을 제어하는 하나의 잠재적 이득은 힘의 집중이 재-체결 가능한 솔기의 말단부에 인접해서 발생하지 않고 착용 중에 솔기의 펑 터짐을 잠재적으로 유발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들(90)은 사용 용이성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측면 패널(35)의 측면 축선(49)에 대해 각도(125)를 이루도록 측면 패널(35)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핸들(90)은 측면 패널(35)의 횡 방향 축선(49)에 대해 적어도 2.5도의 각도(125), 및 더 바람직하게 약 10 내지 약 20도의 각도(125)를 가질 수 있다. A handle 90 may be formed on the side panel 35 at an angle 125 to the side axis 49 of the side panel 35 to increase ease of use and strength. An angled handle can control and direct stress and strain resulting from wear. One potential benefit of controlling force concentration is to ensure that the force concentration does not occur adjacent to the distal end of the re-fastenable seam, potentially causing seam rupture during wear. As illustrated in FIG. 4C , handle 90 may be positioned on side panel 35 at an angle 125 to side axis 49 of side panel 35 to increase ease of use and strength. . Preferably, the handle 90 may have an angle 125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axis 49 of the side panel 35 of at least 2.5 degrees, and more preferably from about 10 to about 20 degrees.

구멍(92)은 타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콩 또는 유사한 형상을 포함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그 형상은 또한, 전체 훈련용 팬티(20) 테마를 제공하기 위해서 훈련용 팬티(20) 상의 다른 그래픽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기능성 핸들을 허용할 수 있는, 핸들이 형성할 수 있는 상이한 형상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예시된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구멍은 최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타원 형상을 가진다. 도 4c에서, 구멍은 허리 에지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4e는 콩-형상의 구멍을 예시하는 구멍에 대한 대체 형상을 예시한다. Holes 92 may be of any shap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cluding oval, rectangular, triangular, bean or similar shapes. The shape may also correspond to other graphics on the training pant 20 to provide an overall training pant 20 theme. 4A-4E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the different shapes that a handle can form, which can allow for a functional handle. In one specific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4A-4C , the hole has a rectangular ellipse shape with a maximum width. In Figure 4c, the hole is positioned at an angle to the waist edge. 4E illustrates an alternative shape for a hole illustrating a bean-shaped hole.

도 4d에서, 상부 부분(96) 및 바닥 부분(98)을 갖는 구멍(92)이 형성된다. 구멍(92)은 구멍(92)의 바닥 부분(98)에 최대 폭을 가지며 구멍(92)은 바닥 부분(98)으로부터 상부 부분(96)으로 폭이 감소한다. 대안으로, 구멍(92)은 구멍(92)의 바닥 부분(98)에 폭을 가지며 구멍(92)은 바닥 부분(98)으로부터 상부 부분(96)으로 폭이 증가한다. 선택적으로, 구멍(92)은 구멍의 상부 에지(104)에 둥근 코너를 포함하는데, 이는 둥근 코너가 훈련용 팬티(20)의 더 적은 찢김을 제공할 것이기 때문이다. 선택적으로, 구멍(92)은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은 둥근 삼각형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핸들의 신축을 억제함이 없이 더 큰 최대의 응력/변형을 관리하는 능력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심지어 보강재 없이도 변위와 강도의 양호한 균형을 초래한다. In FIG. 4D , an aperture 92 having a top portion 96 and a bottom portion 98 is formed. The hole 92 has a maximum width at the bottom portion 98 of the hole 92 and the hole 92 decreases in width from the bottom portion 98 to the top portion 96 . Alternatively, hole 92 has a width at bottom portion 98 of hole 92 and hole 92 increases in width from bottom portion 98 to top portion 96 . Optionally, the hole 92 includes a rounded corner at the top edge 104 of the hole, since a rounded corner will provide less tearing of the training pant 20 . Optionally, hole 92 may be a rounded triangle as illustrated in FIG. 4D. This shape helps provide the ability to manage larger peak stresses/strains without inhibiting extension of the handle. This results in a good balance of displacement and strength even without stiffeners.

핸들 기능성을 위해 제품에 필요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핸들(90)은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멍(92)의 말단 측면 에지(106)에 인접하게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그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는 보강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110)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에 부착되는 별도 부품 또는 다중 부품의 물질일 수 있다. 대안으로, 보강재(110)는 자체적으로 접히는 측면 패널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재는 또한, 용품을 위한 허리밴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o provide the necessary strength to the product for handle functionality, the handle 90 is operatively connected proximal to the distal side edge 106 of the aperture 92 and extends laterally therefrom, a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 reinforcing material 110 may be included. Reinforcement 110 may be a separate piece or multi-piece material attached to at least one side panel. Alternatively, stiffener 110 may include a portion of a side panel that folds on itself. In this embodiment, the stiffener can also serve as a waistband for the article.

핸들(90)이 제품을 당기는데 사용될 때, 측면 및 길이방향 힘이 핸들(90)에 놓인다. 구멍(92)의 말단 측면 에지(106)의 길이방향 중심점(94)에 보강재(110)의 작동적 연결은 핸들(90)의 신축을 억제함이 없이 더 큰 최대의 응력/변형을 관리하는 능력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변위와 강도의 양호한 균형을 제공한다. 힘 집중을 제어하는 하나의 잠재적 이득은 힘의 집중이 재-체결 가능한 솔기의 말단부에 인접해서 발생하지 않고 착용 중에 솔기의 펑 터짐을 잠재적으로 유발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10)는 적어도, 구멍(92)의 길이방향 중심점(94)과 구멍(92)의 상부 에지(100) 사이의 중심점으로부터 적어도, 구멍(92)의 길이방향 중심점(94)과 구멍(92)의 바닥 에지(108) 사이의 중심점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10)는 허리 에지(72)로부터 구멍(92)의 적어도 길이방향 중심점(94)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When handle 90 is used to pull a product, lateral and longitudinal forces are placed on handle 90 . The operative connection of the stiffener 110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94 of the distal side edge 106 of the hole 92 is capable of managing a greater maximum stress/strain without inhibiting extension of the handle 90. help to provide This provides a good balance of displacement and strength. One potential benefit of controlling force concentration is to ensure that the force concentration does not occur adjacent to the distal end of the re-fastenable seam, potentially causing seam rupture during wear.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4B , stiffener 110 is formed at least from a midpoint between longitudinal center point 94 of hole 92 and top edge 100 of hole 92, at least through hole 92) and a material extending longitudinally to a midpoint between the bottom edge 108 of the hole 92 and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94 of the hole 92.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4A , the stiffener 110 comprises a material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waist edge 72 to at least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94 of the aperture 92 .

대안으로, 보강재(110)는 구멍(92)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의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접점은 횡 방향 축선(49)에 대해 구멍(92)의 말단 측면 에지(106)에 형성된다. 환언하면, 접점은 길이방향 접선을 초래할 수 있는 횡 방향 축선(49)에 대해 구멍(92) 상의 가장 가깝고 가장 먼 지점에 의해 측면 패널의 유효 에지에 형성될 수 있다. 핸들 상의 응력이 이들 접점에서 가장 클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치에서 구멍(92)으로부터 보강재의 연장은 핸들(90)의 신축을 억제함이 없이 더 큰 최대 응력/변형을 관리하는 능력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형상이 대칭이 아니면, 구멍(92)의 양쪽에 있는 접점은 용품의 길이방향 축선(48)에서 동일한 지점이 아닐 수 있다. 이는 측면 패널(35)의 허리 에지(72)에 더 가까운 하나의 측면 에지(106)에 길이방향으로의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접점 및 측면 패널(35)의 다리 에지(70)에 더 가까운 다른 측면 에지(106)에 길이방향으로의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접점을 초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재(110)는 측면 패널(35)의 허리 에지(72)에 길이 방향으로 더 가까운 접점에서 구멍(92)의 양 측면 에지(106)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보강재는 측면 패널의 다리 에지에 길이방향으로 더 가까운 접점에서 구멍의 양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stiffener 110 may extend from at least one contact point formed by a longitudinal tangent from hole 92 . A contact is made at the distal side edge 106 of the aperture 92 about the transverse axis 49 . In other words, contacts may be formed at the effective edges of the side panels by the nearest and farthest points on aperture 92 with respect to transverse axis 49 which may result in longitudinal tangents. Since stresses on the handle can be greatest at these junctions, the extension of the stiffener from hole 92 at this location helps provide the ability to manage larger maximum stresses/strains without inhibiting handle 90 from stretching. can give If the shape is not symmetrical, the contact points on either side of aperture 92 may not be at the same point on the longitudinal axis 48 of the article. This is a contact formed by a longitudinal tangent to one side edge 106 closer to the waist edge 72 of the side panel 35 and the other side closer to the leg edge 70 of the side panel 35. A tangent to the edge 106 may result in a contact formed by a longitudinal tangent. In one embodiment, stiffener 110 may extend from either side edge 106 of aperture 92 at a point longitudinally closer to the waist edge 72 of side panel 35 . More preferably, the stiffeners may extend from both side edges of the hole at a junction longitudinally closer to the leg edges of the side panels.

예를 들어, 도 4e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10)는 제품의 다리 에지(70)에 더 가까운 길이방향 축선(48) 상의 접점에 존재하는 구멍(92)의 적어도 말단 측면 에지(106)로부터 연장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4e에서 보강재(110)는 제품의 허리 에지(70)에 더 가까운 길이방향 축선(48) 상의 접점에 존재하는 구멍(92)의 적어도 말단 측면 에지(106)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10)는 길이방향 축선 상의 접점에 존재하는 구멍(92)의 적어도 말단 측면 에지(106)로부터 연장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대칭인 직사각형의 타원형을 갖는 이런 실시예에서, 구멍(92)의 양 측면 상의 접점은 말단 측면 에지(106)에서 동일한 길이방향 위치에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E , the stiffener 110 is formed on at least the distal side edge 106 of the aperture 92 at a junction on the longitudinal axis 48 closer to the leg edge 70 of the product. Includes materials extending from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FIG. 4E the stiffener 110 extends from at least the distal side edge 106 of the hole 92 at a junction on the longitudinal axis 48 closer to the waist edge 70 of the product. can do. In another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4A , stiffener 110 includes material extending from at least a distal side edge 106 of aperture 92 at a junction on a longitudinal axis. In this embodiment having a symmetrical rectangular oval shape, the contacts on both sides of the hole 92 are at the same longitudinal position at the distal side edge 106 .

보강재(110)는 측면 패널(35)과 동일한 물질 또는 측면 패널(35)과 상이한 물질일 수 있다. 보강재(110)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적합하게, 일반적으로 훈련용 팬티(20)의 횡 방향 축선(49)에 평행한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는 신축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적합하게, 보강재는 탄성 물질을 포함한다. 적합한 탄성 물질은 다음 특허들에 설명된다. Van Gompel 등에게 1990년 7월 10일 발행된 제4,940,464호, Pohjola에게 1993년 7월 6일 발행된 미국특허 제5,224,405호, Pohjola에게 1992년 4월 14이라 발행된 미국특허 제5,104,116호, Vogt 등에게 1991년 9월 10일 발행된 미국특허 제5,046,27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선택적으로, 보강재는 신축-열적 라미네이트(STL), 넥-접합(neck-bonded) 라미네이트(NBL), 가역성 넥 라미네이트, 또는 신축-접합 라미네이트(SBL)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주지되어 있으며, Wisneski 등에게 1987년 5월 5일 발행된 미국특허 제4,663,220호, Morman에게 1993년 7월 13일 발행된 미국특허 제5,226,992호, Taylor 등의 이름으로 1987년 4월 8일에 공개된 유럽 특허출원 번호 EP 0 217 032, 및 Welch 등의 이름으로 된 PCT 출원 WO 01/88245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문헌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다른 적합한 물질들은 Welch 등에 의한 미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12/649,508호, 및 Lake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8,287,677호에 설명되어 있고, 이들 모두가 원용에 의해 본 발명에 포함된다. The stiffener 110 may b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ide panel 35 or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side panel 35 . Stiffener 110 suitably, but not necessarily, may include a stretchable material that is generally capable of stretch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verse axis 49 of training pant 20 . More suitably, the stiffener comprises an elastic material. Suitable elastic materials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patents. 4,940,464 issued Jul. 10, 1990 to Van Gompel et al., U.S. Patent No. 5,224,405 issued Jul. 6, 1993 to Pohjola, U.S. Patent No. 5,104,116 issued Apr. 14, 1992 to Pohjola, Vogt et al.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5,046,272, issued September 10, 1991,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Optionally, the stiffener may include a stretch-thermal laminate (STL), a neck-bonded laminate (NBL), a reversible neck laminate, or a stretch-bonded laminate (SBL) material. Methods of making these material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re described in U.S. Patent No. 4,663,220, issued May 5, 1987 to Wisneski et al., U.S. Patent No. 5,226,992, issued July 13, 1993 to Morman, Taylor European Patent Application No. EP 0 217 032, published on April 8, 1987 in the name of et al., and PCT application WO 01/88245 in the name of Welch et al.,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 Other suitable materials are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Serial No. 12/649,508 to Welch et al., and US Patent No. 8,287,677 to Lake et al.,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대안으로, 보강재(110)는 외부 커버(40) 또는 신체측 라이너(42)에 적합한 것으로서 전술된 것과 같은 다른 직물 또는 부직포 물질, 기계적으로 미리 변형(pre-strained)된 복합체, 또는 신축성이지만 비탄성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stiffener 110 may be other woven or nonwoven materials, mechanically pre-strained composites, or stretchable but inelastic material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as suitable for outer cover 40 or bodyside liner 42 . may contain substances.

선택적으로, 보강재(110)는 측면 패널(35) 물질과 상이한 컬러 또는 패턴이다. 이는 손을 핸들(90)로 지향시키는 시각적 단서이다. 또한, 측면 패널(35) 상의 보강재(110)에 의해 제공되는 이중 두께는 핸들(90)을 잡기 위한 적절한 손 위치를 위치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촉각적 단서를 제공한다. 이는 유아에 의해 핸들을 잡는데 핸들을 더욱 직관적이게 할 수 있다. Optionally, stiffener 110 is a different color or pattern than the side panel 35 material. This is a visual cue to direct the hand towards the handle 90 . Additionally, the double thickness provided by the stiffeners 110 on the side panels 35 provides tactile cues to help locate the proper hand position for gripping the handle 90. This may make the handle more intuitive for the infant to hold the handle.

핸들(90) 설계의 중요성을 예시하기 위해서, 18 내지 34 파운드의 체중을 갖는 아동들에게 찢김의 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핸들을 갖는 6 개의 훈련용 팬티를 입고 벗을 것을 각각 요청했다. To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the handle 90 design, children weighing 18 to 34 pounds were each asked to put on and take off six training pants with handles to measure the number of tears.

74 mm의 기능적 신축성을 갖는 SBL 단일 측면 패널 그리고 측면 패널의 상부 에지로부터 17.5 mm에 놓이는 그의 상부 에지 및 측면 패널의 기능적 배면 에지로부터 15 mm에 놓이는 그의 배면 에지를 갖춘 핸들을 구비한 2T/3T 팬티 설계를 포함하는 코드 1이 테스트되었다. 코드 1은 접착제를 통해서 부착되는 측면 패널의 허리 에지로 연장하는 SBL 보강재 및 30 mm의 폭을 갖는,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의 타원 형상을 가지는 구멍을 포함한다. 81 mm의 기능적 신축성을 갖는 SBL 단일 측면 패널 그리고 측면 패널의 상부 에지로부터 27.5 mm에 놓이는 그의 상부 에지 및 측면 패널의 기능적 배면 에지로부터 15 mm에 놓이는 그의 배면 에지를 갖춘 핸들을 구비한 2T/3T 팬티 설계를 포함하는 3 개의 다른 코드인, 코드 2, 코드 3 및 코드 4가 테스트되었다. 코드 2는 보강재 및 30 mm의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타원을 갖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다. 코드 3은 보강재 및 15도의 각도로 30 mm의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타원을 갖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다. 코드 4는 보강재 및 30 mm의 최대 폭 및 30 mm의 높이를 갖는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은 둥근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다. 2T/3T panty with handles with SBL single side panel with 74 mm functional stretch and its top edge sitting 17.5 mm from the top edge of the side panel and its back edge sitting 15 mm from the functional back edge of the side panel. Code 1 containing the design was tested. Cord 1 includes an SBL stiffener extending to the waist edge of the side panel attached via adhesive and a hole having a rectangular oval shape as illustrated in FIG. 4A having a width of 30 mm. 2T/3T panty with handles with SBL single side panel with 81 mm functional stretch and its top edge sitting 27.5 mm from the top edge of the side panel and its back edge sitting 15 mm from the functional back edge of the side panel Three different codes containing designs were tested: code 2, code 3 and code 4. Code 2 includes no reinforcement and a hole with a rectangular ellipse with a width of 30 mm. Code 3 includes no reinforcement and a hole with a rectangular ellipse with a width of 30 mm at an angle of 15 degrees. Code 4 does not include a stiffener and a hole having the shape of a rounded triangle as illustrated in FIG. 4C with a maximum width of 30 mm and a height of 30 mm.

코드code 1One 22 33 44 약간의 찢김(%)을 갖는 제품Products with slight tearing (%) 2%2% 43%43% 50%50% 5%5% 완전 찢김(%)을 갖는 제품Products with full tear (%) 2%2% 7%7% 2%2% 0%0%

표 1: 핸들 찢김Table 1: Handle tear

아동이 제품의 입기를 완료한 이후에, 각각의 제품이 핸들에서의 찢김에 대해 조사되었다. 위의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의 핸들로 둥글게 된 코드 4 및 직사각형의 타원형 형상의 핸들로 보강된 코드 1은 코드 2의 보강되지 않은 직사각형의 타원형 형상의 핸들에 대해 훨씬 더 낮은 찢김 빈도수를 가진다. 각진 핸들의 코드 3은 직사각형의 타원형 형상의 핸들의 코드 2에 대해 훨씬 더 낮은 완전 찢김 빈도수를 가진다. After the child had finished donning the product, each product was examined for tears in the handle. As illustrated in Table 1 above, Cord 4 rounded with a triangular shaped handle and Cord 1 reinforced with a rectangular oval shaped handle had a much lower tear against the unreinforced rectangular oval shaped handle of Cord 2. have a frequency Code 3 of angular handles has a much lower complete tear frequency than code 2 of rectangular elliptical shaped handles.

81 mm의 기능적 신축성을 갖는 SBL 단일 측면 패널 그리고 측면 패널의 상부 에지로부터 20 mm에 놓인 그의 상부 에지 및 측면 패널의 배면 기능성 에지로부터 15 mm에 놓인 그의 배면 에지를 갖춘 핸들을 구비한 2T/3T 팬티 설계를 포함하는 코드 5가 테스트되었다. 코드 5는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측면 패널의 허리 에지로 연장하는 SBL 보강 물질 및 30 mm의 폭을 갖는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은 콩-형상을 갖는 구멍을 포함한다. 81 mm의 기능적 신축성을 갖는 SBL 단일 측면 패널 그리고 측면 패널의 상부 에지로부터 20 mm에 놓인 그의 상부 에지 및 측면 패널의 기능성 배면 에지로부터 15 mm에 놓인 그의 배면 에지를 갖춘 핸들을 구비한 2T/3T 팬티 설계를 포함하는 3 개의 다른 코드인, 코드 6, 코드 7 및 코드 8이 테스트되었다. 코드 6은 50 mm로 연장하는 보강재 및 30 mm의 폭을 갖는 콩 형상을 갖는 구멍을 포함한다. 코드 7은 보강재 및 30 mm의 폭을 갖는 콩 형상을 갖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다. 코드 8은 30 mm로 연장하는 보강재 및 30 mm의 폭을 갖는,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은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갖는 구멍을 포함한다. 코드 9는 50 mm로 연장하는 보강재 및 30 mm의 최대 폭 및 30 mm의 높이를 갖는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갖는 구멍을 포함한다. 코드 10은 보강재 및 30 mm의 폭을 갖는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갖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다. 2T/3T panty with handles with SBL single side panel with 81 mm functional stretch and its top edge placed 20 mm from the top edge of the side panel and its back edge placed 15 mm from the back functional edge of the side panel Code 5 containing the design was tested. Cord 5 includes an SBL reinforcement material extending to the waist edge of the side panel attached via adhesive and a hole having a bean-shape as illustrated in FIG. 4C having a width of 30 mm. 2T/3T panty with handles with SBL single side panel with 81 mm functional stretch and its top edge placed 20 mm from the top edge of the side panel and its back edge placed 15 mm from the functional back edge of the side panel Three different codes containing the design were tested: code 6, code 7 and code 8. Code 6 includes a hole having a bean shape with a width of 30 mm and a stiffener extending to 50 mm. Code 7 contains no reinforcement and a bean-shaped hole with a width of 30 mm. Cord 8 includes a hole having a round triangular shape as illustrated in FIG. 4C, with a stiffener extending 30 mm and a width of 30 mm. Code 9 includes a stiffener extending 50 mm and a hole having a round triangular shape with a maximum width of 30 mm and a height of 30 mm. Code 10 does not include stiffeners and holes having a round triangular shape with a width of 30 mm.

또한, 유아의 핸들 당김을 나타내는 600 그램-힘에서의 핸들 최대 인장 강도 및 변위가 또한, 전술한 코드들에 대해 테스트되었다. 핸들 최대 인장 강도 및 변위는 아래의 테스트 방법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계산되었다. 3 개의 샘플이 테스트되고 결과를 나타내도록 평균화되었다. In addition, handle maximum tensile strength and displacement at 600 gram-force, representative of an infant's handle pull, were also tested for the aforementioned codes. Handle ultimate tensile strength and displacement were calculated as described in the test method below. Three samples were tested and averaged to present the results.

코드code 55 66 77 88 99 1010 최대 인장 강도(그램-힘)Ultimate tensile strength (gram-force) 30633063 47914791 24072407 33723372 44934493 31513151 900 그램-힘에서 변위(mm)Displacement at 900 gram-force (mm) 30.830.8 29.929.9 48.148.1 26.026.0 25.425.4 33.333.3

표 2: 핸들 강도 및 변위Table 2: Handle Strength and Displacement

표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강 핸들은 비-보강 핸들에 대해 훨씬 더 높은 강도를 가진다. 또한, 모든 코드는 유사한 변위 능력을 가진다. As illustrated in Table 2, the reinforced handle has a much higher strength than the non-reinforced handle. In addition, all codes have similar displacement capabilities.

바람직하게, 핸들(90)은 적어도 2300 g의 최대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핸들(90)은 약 3000 g 내지 7000 g의 최대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핸들(90)은 4000 g 내지 7000 g의 최대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핸들(90)은 900 그램-힘에서 5 mm 내지 50 mm의 변위를 가진다. 함께 조합되는 이들 두 특징의 결합은 핸들(90)의 신축을 억제함이 없이 더 큰 최대 응력/변형을 관리하는 능력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는 핸들(90)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핸들은 유아 또는 다른 사용자가 제품의 착용 또는 당김을 허용하기 위한 변위와 강도의 양호한 균형을 제공한다. Preferably, handle 90 may have an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at least 2300 g. Preferably, handle 90 may have an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about 3000 g to 7000 g. More preferably, handle 90 may have an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4000 g to 7000 g. Also, the handle 90 has a displacement of 5 mm to 50 mm at 900 gram-force.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features combined together enables handle 90 to help provide the ability to manage greater peak stresses/strains without inhibiting extension of handle 90 . As such, the handle provides a good balance of displacement and strength to allow a toddler or other user to put on or pull the product.

최대 인장 및 변위 테스트Maximum tensile and displacement tests

핸들의 최대 인장 하중 및 핸들의 변위가 흡수성 용품의 핸들에 있는 물질의 최대 인장 하중과 변위를 그램 단위로 정량화하도록 설계되는 다음의 최대 인장 및 변위 테스트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화될 수 있다. 핸들의 변위는 제품을 사용 중일 때 사용자가 기질을 당김에 따라서 측면 패널 물질이 점진적으로 변위되게 되는 그 방향이다. The maximum tensile load and displacement of the handle can be quantified using the following maximum tensile load and displacement test method, which is designed to quantify the maximum tensile load and displacement of a material in the handle of an absorbent article in grams. Displacement of the handle is that direction in which the side panel material will progressively displace as the user pulls on the substrate when the product is in use.

장비(Equipment)Equipment

1. 정속 연신 인장 테스터는 적절한 로드 셀을 갖추고 있다. 적합한 인장 테스팅 시스템은 상표명 Sintech Model 1/G Tensile Tester 하에서,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 소재의 MTS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Sintech Tensile Tester이다. 1. The constant rate elongation tensile tester is equipped with an appropriate load cell. A suitable tensile testing system is the Sintech Tensile Teste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MTS, Research Triangle Park, NC, USA under the trade designation Sintech Model 1/G Tensile Tester.

2. 소프트웨어는 윈도우 버전 4.12용 상표명 MTS TESTWORKS® 하에서 MTS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2. Software is commercially available from MTS under the trade name MTS TESTWORKS® for Windows version 4.12.

3. 공압-작동 그립은 상표명 Instron Model 2712-004 하에서 미국, 매사추세츠, 캔톤 소재의 Instron Corporatio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3. Pneumatically-actuated grip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Instron Corporation of Canton, MA, USA under the trade designation Instron Model 2712-004.

4. 2.5 cm x 10.1 cm(1 x 4 인치) 미국, 매사추세츠, 캔톤 소재의 Instron Corporatio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톱니 모양의 그립 면. 4. 2.5 cm x 10.1 cm (1 x 4 in) serrated grip fac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Instron Corporation, Canton, Massachusetts, USA.

4. 10 mm 직경의 금속 봉. 4. A metal rod with a diameter of 10 mm.

5. 23±1℃의 온도 및 50±2%의 상대 습도를 갖는 테스트 설비.5. Test facility with a temperature of 23±1°C and relative humidity of 50±2%.

테스트 절차test procedure

1. 테스트될 샘플이 테스팅 이전에 적어도 4 시간 동안 테스트 설비에서 조절된다. 1. The sample to be tested is conditioned in the test fixture for at least 4 hours prior to testing.

3. 로드 셀이 조정되고 소프트웨어가 로딩된다. 3. The load cell is calibrated and the software is loaded.

4. 그립이 폐쇄된 조(jaw)를 갖춘 인장 테스터에 설치된다. 4. The grips are installed in the tensile tester with closed jaws.

5. 인장 테스터를 위한 테스트 조건이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5. Test conditions for the tensile tester are set as follows.

크로스헤드 속도: 305 mm/분Crosshead speed: 305 mm/min

최대-크기 하중: 10 kg(22 lbs)Max-scale load: 10 kg (22 lbs)

게이지 길이: 50.8 mm(2 인치)(후크 고정구의 크룩(crook)으로부터 바닥 고정구의 그립 면의 상부로 측정됨)Gauge Length: 50.8 mm (2 in) (measured from the crook of the hook fixture to the top of the grip face of the floor fixture)

6. 클램프의 중량이 측정된다. 6. The clamp is weighed.

7. 용품의 측면 패널의 다리 에지가 핸들 바로 아래의 하부 조에 삽입된다. 7. The leg edge of the article's side panel is inserted into the lower jaw just below the handle.

8. 금속 봉이 핸들에 삽입되어서, 핸들의 상부 에지가 금속 봉의 크룩에 놓여지게 된다. 하부 조가 폐쇄되어서, 하중이 10 g 미만으로 확보되게 한다. 8. The metal rod is inserted into the handle so that the top edge of the handle rests on the crook of the metal rod. The lower jaw is closed, ensuring that the load is less than 10 g.

9. 크로스헤드가 동작을 시작하며, 핸들이 파손될 때까지 테스트가 진행된다. 9. The crosshead starts operating and the test proceeds until the handle is broken.

10. 핸들을 파손하고 물질을 변위시키는데 필요한 최대 인장 하중(그램)이 핸들에 대해 기록된다. 변위는 600 그램-힘에서 수집된다. 10. The maximum tensile load in grams required to break the handle and displace the material is recorded for the handle. Displacements are collected at 600 gram-force.

본 개시의 요소 또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양태(들)를 도입할 때, 관사("a", "an", 및 "the")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가지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임을 의도한 것이며, 열거된 요소와는 다른 추가 요소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When introducing elements of this disclosure or preferred aspect(s) of this disclosure, the articles “a”, “an”, and “the” are intended to imply that one or more elements are present. The terms "comprising," "including," and "having"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and indicate that there may be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those listed.

본 개시는 다양한 특정적이고 예시적인 양태와 기술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남아있는 동안 많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설명에 비추어 많은 대안,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그러한 모든 대안,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various specific and exemplary aspects and technique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hile remain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ly, this invention is intended to cover all such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39)

횡 방향 축선 및 길이방향 중심선을 갖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용품은
착용자를 향하는 액체 투과성 내부 표면;
착용자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
전면 허리 영역, 배면 허리 영역, 및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
허리 개구 및 허리 개구로부터 이격된 다리 개구를 갖는 흡수성 용품의 착용 구성을 형성하도록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에 부착되고, 허리 개구로부터 다리 개구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및
측면 패널을 통해 형성되고 길이방향 중심점을 가지는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의 말단 측면 에지에 인접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of a wearer having a transverse axis and a longitudinal centerline,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 permeable inner surface facing the wearer;
an outer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wearer;
an absorbent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 front waist region, a back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extending longitudinally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and interconnecting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at least one side panel extending from the waist opening to the leg opening and attached to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to form a wearing configuration of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waist opening and a leg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waist opening; and
a wearer comprising at least one handle formed through the side panel and including an aperture having a longitudinal center point, the handle further comprising a stiffener proximate a distal side edge of the aperture and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side panel. Absorbent articles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of a wom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으로부터 연장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of a wearer as in claim 1, wherein said stiffener extends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of the aper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허리 에지로부터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과 구멍의 바닥 에지 사이의 적어도 중심점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stiffener comprises a material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waist edge to at least a midpoint between the longitudinal midpoint of the aperture and the bottom edge of the aper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과 구멍의 상부 에지 사이의 적어도 중심점으로부터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과 구멍의 바닥 에지 사이의 적어도 중심점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wearer of claim 1 , wherein the stiffener comprises a material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at least a midpoint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of the hole and the top edge of the hole to at least a midpoint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of the hole and the bottom edge of the hole. Absorbent articles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of a wom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은 전면 허리 영역에 부착되는 전면 측면 패널 및 배면 허리 영역에 부착되는 배면 측면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은 허리 개구 및 허리 개구로부터 이격된 다리 개구를 갖는 흡수성 용품의 착용 구성을 형성하도록 재-체결 가능한 솔기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은 각각 허리 개구로부터 다리 개구로 연장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de panels further include a front side panel attached to the front waist region and a back side panel attached to the back waist region,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comprising a waist opening and a leg spaced apart from the waist opening.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of a wearer releasably attachable to refastenable seams to form a wearing configuration of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opening,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each extending from the waist opening to the leg opening. absorbent articles. 제1항에 있어서, 600 그램-힘의 힘에서 5 mm 내지 50 mm의 길이 방향으로의 변위를 갖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1 , further comprising a handle having a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5 mm to 50 mm at a force of 600 gram-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길이 방향으로 3000 그램-힘 내지 7000 그램-힘의 최대 인장 강도를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earer's waist as in claim 1, wherein the handle comprises an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from 3000 gram-force to 7000 gram-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300 그램-힘의 최대 인장 강도를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 comprises an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at least 2300 gram-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횡 방향 축선 및 길이방향 중심선을 갖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용품은
착용자를 향하는 액체 투과성 내부 표면;
착용자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
전면 허리 영역, 배면 허리 영역, 및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
전면 허리 영역에 접합되는 전면 측면 패널 및 배면 허리 영역에 부착되는 배면 측면 패널로서, 상기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이 허리 개구 및 허리 개구로부터 이격된 다리 개구를 갖는 흡수성 용품의 착용 구성을 형성하도록 재-체결 가능한 솔기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이 허리 개구로부터 다리 개구로 연장하는,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 및
측면 패널을 통해 형성되고 길이방향 중심점을 가지는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에서 구멍에 인접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of a wearer having a transverse axis and a longitudinal centerline,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 permeable inner surface facing the wearer;
an outer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wearer;
an absorbent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 front waist region, a back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extending longitudinally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and interconnecting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A front side panel bonded to the front waist region and a back side panel attached to the back waist region,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re-forming a wearing configuration of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waist opening and a leg opening spaced from the waist opening. front and back side panels releasably attachable to fastenable seams,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extending from the waist opening to the leg openings; and
a handle formed through the side panel and comprising an aperture having a longitudinal center point, wherein the handle further comprises a stiffener proximate the aperture at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of the aperture and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side panel;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과 구멍의 바닥 에지 사이에서 적어도 50%로 허리 에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stiffener comprises a material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waist edge at least 50%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of the aperture and the bottom edge of the aper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과 구멍의 상부 에지 사이에서 적어도 50%로부터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과 구멍의 바닥 에지 사이에서 적어도 50%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iffener comprises a material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at least 50%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of the hole and the top edge of the hole to at least 50%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of the hole and the bottom edge of the hole. ,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of the wearer.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허리밴드로부터 구멍의 길이방향 중심점으로 연장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10. The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earer's waist as claimed in claim 1 or 9, wherein the stiffener comprises a material extending from the waistband to the longitudinal center point of the aperture.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측면 패널은 전면 측면 패널보다 더 긴,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10. The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earer's waist according to claim 5 or 9, wherein the back side panels are longer than the front side panels. 횡 방향 축선 및 길이방향 중심선을 갖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용품은
착용자를 향하는 액체 투과성 내부 표면;
착용자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
전면 허리 영역, 배면 허리 영역, 및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
전면 허리 영역에 접합되는 전면 측면 패널 및 배면 허리 영역에 부착되는 배면 측면 패널로서, 상기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이 허리 개구 및 허리 개구로부터 이격된 다리 개구를 갖는 흡수성 용품의 착용 구성을 형성하도록 재-체결 가능한 솔기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이 허리 개구로부터 다리 개구로 연장하는,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을 통해 형성되고 구멍의 측면 에지에서 길이방향으로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접점을 갖는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에 인접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of a wearer having a transverse axis and a longitudinal centerline,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 permeable inner surface facing the wearer;
an outer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wearer;
an absorbent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 front waist region, a back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extending longitudinally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and interconnecting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A front side panel bonded to the front waist region and a back side panel attached to the back waist region,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re-forming a wearing configuration of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waist opening and a leg opening spaced from the waist opening. front and back side panels releasably attachable to fastenable seams, the front and back side panels extending from the waist opening to the leg openings; and
an aperture formed through the at least one side panel and having a contact formed tangentially longitudinally at a side edge of the aperture, further comprising a stiffener adjacent to the contact and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side panel.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earer's waist, comprising a handle for hold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횡 방향으로 배면 허리 영역에 더 가까운 길이 방향으로의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배면 접점 및 횡 방향으로 전면 허리 영역에 더 가까운 길이 방향으로의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 접점을 가지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hole comprises a back contact formed by a longitudinal tangent transversely closer to the back waist region and a front contact formed by a longitudinal tangent transversely closer to the front waist region.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earer's waist, hav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접점과 전면 접점 중 하나는 길이 방향으로 측면 패널의 허리 에지에 더 가까우며, 상기 보강재는 길이방향으로 측면 패널의 허리 에지에 더 가까운 배면 접점과 전면 접점 중 하나에서 구멍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one of the back contact and front contact is longitudinally closer to the waist edge of the side panel, and the stiffener is a hole at one of the back contact and front contact longitudinally closer to the waist edge of the side panel.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bout the wearer's waist,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wear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접점과 전면 접점 중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측면 패널의 다리 에지에 더 가까우며, 상기 보강재는 길이방향으로 측면 패널의 다리 에지에 더 가까운 배면 접점과 전면 접점 중 하나에서 구멍의 양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one of the back contact and the front contact is longitudinally closer to the leg edge of the side panel, and the reinforcement has a hole at one of the back contact and the front contact longitudinally closer to the leg edge of the side panel.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bout the wearer's waist, extending from both lateral edges of the bod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측면 패널은 전면 측면 패널보다 더 넓은,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15. The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earer's waist as in claim 14, wherein the back side panels are wider than the front side panels. 제1항, 제9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측면 패널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15. The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earer's wais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9 or 14, wherein the reinforcement comprises the same material as the side panels. 제1항, 제9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측면 패널과 상이한 물질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15.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1, 9 or 14, wherein the reinforcement comprises a different material than the side panels. 제1항, 제9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구멍의 말단 측면 에지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15.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1, 9 or 14, wherein the stiffener extends outwardly from the distal side edge of the aperture. 제1항, 제9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별개 부품의 연속 물질, 구멍의 말단 측면 에지에 인접한 다중 부품의 물질, 및 접힌 허리밴드 물질로부터 선택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15. The wearer of claim 1, 9 or 14, wherein the stiffener is selected from a continuous material of discrete parts, a multi-piece material adjacent to the distal side edge of the hole, and a folded waistband material.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횡 방향 축선 및 길이방향 중심선을 갖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용품은
착용자를 향하는 액체 투과성 내부 표면;
착용자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
전면 허리 영역, 배면 허리 영역, 및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
허리 개구 및 허리 개구로부터 이격된 다리 개구를 갖는 흡수성 용품의 착용 구성을 형성하도록 전면 허리 영역에 부착되는 전면 측면 패널 및 배면 허리 영역에 부착되는 배면 측면 패널로서, 상기 전면 측면 패널 또는 상기 배면 측면 패널은 허리 개구로부터 다리 개구로 연장하는, 전면 및 배면 측면 패널; 및
상기 전면 측면 패널 또는 상기 배면 측면 패널을 통해 형성되고 20 mm 내지 50 mm의 최대 폭을 갖는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의 상부 에지가 허리 에지로부터 10 내지 35 mm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 측면 패널은 상기 전면 측면 패널보다 넓은,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of a wearer having a transverse axis and a longitudinal centerline,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 permeable inner surface facing the wearer;
an outer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wearer;
an absorbent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 front waist region, a back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extending longitudinally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and interconnecting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A front side panel attached to a front waist region and a back side panel attached to a back waist region to form a wearing configuration of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waist opening and a leg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waist opening, the front side panels or the back side panels being attached to the back waist region. front and back side panels extending from the waist opening to the leg opening; and
at least one handle formed through the front side panel or the back side panel and comprising an aperture having a maximum width of 20 mm to 50 mm, the top edge of the aperture being located 10 to 35 mm from the waist edge; contains,
The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earer's waist, wherein the rear side panels are wider than the front side pan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최대 폭은 30 mm인,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earer's waist as in claim 1, wherein the maximum width of the handle is 3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배면 말단 측면 에지는 측면 패널의 유효 에지로부터 10 내지 35 mm에 위치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earer's waist as in claim 1, wherein the rear distal side edge of the aperture is located 10 to 35 mm from the effective edge of the side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측면 패널의 횡 방향 축선에 대해 적어도 2.5도의 각도인,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s are at an angle of at least 2.5 degrees to the transverse axis of the side pan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측면 패널의 횡 방향 축선에 대해 10 내지 20도의 각도인,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2.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s are at an angle of 10 to 20 degrees relative to the transverse axis of the side panels. 횡 방향 축선 및 길이방향 중심선을 갖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용품은
착용자를 향하는 액체 투과성 내부 표면;
착용자의 반대쪽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
전면 허리 영역, 배면 허리 영역, 및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면 허리 영역과 배면 허리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
허리 개구 및 허리 개구로부터 이격된 다리 개구를 갖는 흡수성 용품의 착용 구성을 형성하도록 전면 허리 영역 및 배면 허리 영역에 부착되고, 허리 개구로부터 다리 개구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을 통해 형성되고 상부 부분 및 바닥 부분을 가지며, 바닥 부분으로부터 상부 부분으로 폭이 감소되며, 상부 에지에 둥근 코너를 더 포함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의 개인 착용용 흡수성 용품.
An absorbent article for personal wear around the waist of a wearer having a transverse axis and a longitudinal centerline, th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 permeable inner surface facing the wearer;
an outer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wearer;
an absorbent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 front waist region, a back waist region, and a crotch region extending longitudinally between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and interconnecting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at least one side panel extending from the waist opening to the leg opening and attached to the front waist region and the back waist region to form a wearing configura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a waist opening and a leg opening spaced apart from the waist opening; and
around the waist of a wearer, comprising a handl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side panel, having a top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reducing in width from the bottom portion to the top portion, and including a hole at the top edge further comprising a rounded corner. of absorbent articles for personal we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7012922A 2014-10-31 2015-10-28 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KR1025269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3296P 2014-10-31 2014-10-31
US201462073172P 2014-10-31 2014-10-31
US201462073133P 2014-10-31 2014-10-31
US62/073,172 2014-10-31
US62/073,133 2014-10-31
US62/073,296 2014-10-31
PCT/US2015/057714 WO2016069692A1 (en) 2014-10-31 2015-10-28 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695A KR20170078695A (en) 2017-07-07
KR102526991B1 true KR102526991B1 (en) 2023-04-28

Family

ID=5585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922A KR102526991B1 (en) 2014-10-31 2015-10-28 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6991B1 (en)
WO (1) WO2016069692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5255A1 (en) * 2005-01-10 2006-07-13 Mckiernan Robin L Absorbent articles with stretch zones comprising slow recovery elastic materials
US20080108963A1 (en) * 2006-11-02 2008-05-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andles Of Slow Recovery Material
US20120209230A1 (en) 2011-02-14 2012-08-16 Todd Leon Mansfield Absorbent Articles with Tear Resistant Film
US20140257227A1 (en) 2013-03-08 2014-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rgonomic grasping aids for reusable pull-on outer cov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5510A (en) * 1987-09-11 1989-01-0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applying reinforcing material to a diaper cover material
US7217260B2 (en) * 2001-01-31 2007-05-15 The Procter & Gamble Co. Absorbent article with tension-dividing side panels
JP2006158632A (en) * 2004-12-07 2006-06-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Fastening tab and side panel for disposable diaper, and disposable diaper
US8262636B2 (en) * 2010-10-22 2012-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donning ta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5255A1 (en) * 2005-01-10 2006-07-13 Mckiernan Robin L Absorbent articles with stretch zones comprising slow recovery elastic materials
US20080108963A1 (en) * 2006-11-02 2008-05-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andles Of Slow Recovery Material
US20120209230A1 (en) 2011-02-14 2012-08-16 Todd Leon Mansfield Absorbent Articles with Tear Resistant Film
US20140257227A1 (en) 2013-03-08 2014-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rgonomic grasping aids for reusable pull-on outer co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9692A1 (en) 2016-05-06
KR20170078695A (en)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797B1 (en) Absorbent Article with Non-irritating Refastenable Seams
JP5275222B2 (en)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and intuitive disposal characteristics
KR100738759B1 (en) Process for Making an Absorbent Garment with Refastenable Sides and Butt Seams
KR101265365B1 (en) Absorbent garment
US9089458B2 (en) Personal wear absorbent article with tab
US20060293639A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ront fastening assembly
JP2002532195A (en) Absorbent article with re-fixable side seam
KR20050005489A (en) Absorbent pant garments having high leg cuts
AU2011319636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inger tab without compromising stretch
US20120101468A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Opening Tab
US8262636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donning tab
AU2012338486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plit fastener
US8523836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inger tab
KR102526991B1 (en) 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US11154433B2 (en) Disposable article with reinforced handle
US20170246046A1 (en) Disposable article with folded handle and method of fo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