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440B1 -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440B1
KR102525440B1 KR1020220165558A KR20220165558A KR102525440B1 KR 102525440 B1 KR102525440 B1 KR 102525440B1 KR 1020220165558 A KR1020220165558 A KR 1020220165558A KR 20220165558 A KR20220165558 A KR 20220165558A KR 102525440 B1 KR102525440 B1 KR 102525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hythm
task
points
xylophone
si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영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220165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440B1/ko
Priority to PCT/KR2023/019522 priority patent/WO20241178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16Means for indicating which keys, frets or strings are to be actuated, e.g. using lights or le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itch analysis as part of wider processing for musical purposes, e.g. transcription,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Pitch recognition, e.g. in polyphonic sounds; Estimation or use of missing fundament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09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using a touch scre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을 내리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의 손바닥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리듬부, 소고 형태로 좌우 양쪽에 두 대가 마련되어 있고, 전용 북채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소고부, 공명 실로폰으로서, 전용 실로폰채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공명 실로폰부 및 상기 리듬부, 소고부, 공명 실로폰부에서 감지된 터치신호를 이용하여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판별하기 위한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점수를 합산하여 사용자의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정도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고, 공명 실로폰, 마이크 등을 구비하는 음악 진단 평가 장치를 제안하고, 이 장치를 통해 음악을 기반으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Music-Based Examination of Mental State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본 발명은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전체의 7.2%에 달하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26년에는 초고령화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치매 환자도 매년 증가하여 2030년에는 약 백만명, 2050년에는 약 2백만명에 이르며, 그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이 매년 10~15%씩 치매로 이환되고 있으므로, 적절한 인지 재활 프로그램을 통한 조기치료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하고 있다.
이처럼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게 됨에 따라 노인성 질환인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질환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람의 신체 기능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쇠퇴하게 되며, 이중에서 뇌가 하는 대표적인 고위 기능인 인지 기능도 나이 듦에 따라 그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인지장애는 인지기능(기억력, 실행기능, 언어기능)에 지장을 받는 것으로서, 경도인지장애는 기억력, 실행기능, 언어기능 등의 인지기능에 가벼운 정도의 지장을 받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65세 이상의 성인 중 약 10~20%가 경도인지장애를 앓고 있는 질환으로, 정상적인 노화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인지기능 감소와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에서 보이는 심한 인지 저하의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 경도인지장애는 식별이 어려운데, 그 이유는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적어도 독립생활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정상 노화에 따른 인지 저하와 감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치매는 인지기능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지장이 있는 상태를 말하며 퇴행성 신경계 질환이다. 관련 연구 결과, 조기 발현 경도인지장애 집단은 치매로의 진행률이 낮고 정상인지 기능으로 회귀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리고, 경도인지장애도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어서 전문가에 의한 평가 및 진찰이 필요하다.
음악치료는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환자에게 약물치료뿐만 아니라 비약물 치료로서 안녕과 행복에 유익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음악치료는 치매환자의 말기 단계에서도 기본 리듬 반응을 이끌 수 있으며, 인지 뿐만 아니라 전반적 영역에서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으며, 비트가 있고 즐거운 가사로 이뤄진 배경음악을 들려주는 것만으로도 치매환자들에게 부정적인 행동이 감소되고, 긍정적인 행동이 증가했다는 결과도 있다.
이처럼, 음악 치료가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환자에게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치료 목적을 수립하고 치료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진단평가 도구 개발에 대한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2-011878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진단하고, 경도인지장애 환자 및 치매 환자에게 음악 치료 효과도 줄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을 내리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의 손바닥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리듬부, 소고 형태로 좌우 양쪽에 두 대가 마련되어 있고, 전용 북채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소고부, 공명 실로폰으로서, 전용 실로폰채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공명 실로폰부 및 상기 리듬부, 소고부, 공명 실로폰부에서 감지된 터치신호를 이용하여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판별하기 위한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점수를 합산하여 사용자의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정도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악 진단 평가 장치는,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부 및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검사자가 발생시키는 검사 리듬을 입력받고,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상기 검사 리듬을 출력하고, 상기 리듬부를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에 의한 리듬이 상기 검사 리듬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검사자가 발생시키는 소고 연주를 입력받고,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상기 소고 연주를 출력하고, 상기 소고부를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에 의한 연주가 상기 소고 연주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음악 진단 평가 장치는, 노래 악보 데이터 및 공명 실로폰을 연주하기 위한 공명 실로폰 악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노래 악보와 가사, 음정 및 박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음악 진단 평가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공명 실로폰 악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공명 실로폰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의한 연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공명 실로폰 악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고, 공명 실로폰, 마이크 등을 구비하는 음악 진단 평가 장치를 제안하고, 이 장치를 통해 음악을 기반으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환자에게 음악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하고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진단 평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진단 평가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판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공명 실로폰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공명 실로폰 연주를 위한 악보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서 수행평가 과제를 예시한 도표이다.
도 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행평가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진단 평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진단 평가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진단 평가 장치는 리듬부(110), 소고부(120), 마이크부(130), 스피커부(140), 공명 실로폰부(150), 제어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메모리부(180)를 포함한다.
리듬부(110)는 바닥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을 내리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의 손바닥 터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리듬부(110)는 바닥면에 양쪽 손바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소고부(120)는 소고 형태로 좌우 양쪽에 두 대가 마련되어 있고, 전용 북채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소고부(120)는 일측에 형성되는 궁편과, 타측에 형성되는 채편의 두 대로 소고로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부(130)는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마이크부(130)는 사용자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부(140)는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스피커부(140)는 사용자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명 실로폰부(150)는 공명 실로폰으로서, 전용 실로폰채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공명 실로폰부(150)는 리듬부(110)에 인접한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공명 실로폰을 예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부(180)는 노래 악보 데이터 및 공명 실로폰을 연주하기 위한 공명 실로폰 악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수납부(210)는 전용 북채(10) 및 전용 실로폰채(2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서랍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리듬부(110), 소고부(120), 공명 실로폰부(150)에서 감지된 터치신호를 이용하여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판별하기 위한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점수를 합산하여 사용자의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정도를 진단한다.
제어부(160)는 마이크부(130)를 통해 검사자가 발생시키는 검사 리듬을 입력받고, 스피커부(140)를 통해 검사 리듬을 출력하고, 리듬부(110)를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에 의한 리듬이 검사 리듬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마이크부(130)를 통해 검사자가 발생시키는 소고 연주를 입력받고, 스피커부(140)를 통해 소고 연주를 출력하고, 소고부(120)를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에 의한 연주가 소고 연주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마이크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가 메모리부(180)에 저장된 노래 악보와 가사, 음정 및 박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메모리부(180)에 저장된 공명 실로폰 악보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도록 하고, 공명 실로폰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의한 연주가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공명 실로폰 악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6은 공명 실로폰 연주를 위한 악보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복수의 음악적 수행 과제를 제시하고, 각 수행 과제를 평가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판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서 수행평가 과제를 예시한 도표이다.
도 3 및 도 4의 흐름도에서 각 단계의 수행 주체는 제어부(160)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수행평가 과제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도 4 및 도 7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음악적 수행 과제 중에서 먼저 리듬치기 1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01),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02).
그리고, 제어부(160)는 리듬치기 2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03),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04).
그리고, 제어부(160)는 리듬치기 3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05),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06).
그리고, 제어부(160)는 리듬치기 4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07),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08).
그리고, 제어부(160)는 소고연주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09),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10).
그리고, 제어부(160)는 노래부르기 1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11),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12).
그리고, 제어부(160)는 복합 노래부르기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13),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14).
그리고, 제어부(160)는 공명 실로폰 연주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15),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16).
그리고, 제어부(160)는 노래 부르며 연주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17),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18).
그리고, 제어부(160)는 노래부르기 2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19),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20).
그리고, 제어부(160)는 노래부르기 3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21),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22).
그리고, 제어부(160)는 리듬치기 5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23),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24).
그리고, 제어부(160)는 리듬치기 6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25),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26).
그리고, 제어부(160)는 노래 부르며 리듬치기 과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S327), 과제 수행을 인정하는 경우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한다(S328).
그리고, 제어부(160)는 전체 수행과제를 통해 부여한 점수를 합산하고(S329), 합산한 점수를 기반으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정도를 판단한다(S331).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판별하는 방법은 총 14개의 수행 과제 문항과 총 62점 만점으로 구성된 진단평가 방식을 제안한다.
도 7의 예시에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판별하기 위한 수행 과제 평가에 있어서, 청각, 인지, 수행 능력에 따라 소요시간은 10분 내외이고, 주된 평가영역은 인지기능 영역이다. 세부 항목으로는 리듬치기, 노래부르기, 감상하면서 악기연주, 노래 부르면서 악기 연주, 노래 부르면서 리듬 치기가 포함되어 있다. 각 문항과 인지 기능 세부 영역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번에서 4번 문항까지의 리듬치기는 검사자의 리듬을 즉시 모방하는‘리듬 따라하기’이며,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리듬부(110)를 터치하면서, 3박과 4박 리듬 패턴을 2회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 과제는 단순모방 외에 양손 사용과 패턴을 인식하고 형태의 횟수를 헤아리는 과제로써 집중 주의력(focused attention)과 계산력도 요구되는 과제이다.
5번 문항의 리듬 치기는 검사자의 소고연주를 모방하는 것으로 4회의 반복 연주가 진행된다. 이 과제에서 리듬 따라 말하기, 지속 주의력(sustained attention), 계산력이 요구되며, 이외에 도구 사용의 시각적 처리 능력도 요구된다.
6번 문항의 노래부르기 1 과제는 노래를 외워 부르는 과제로서, 예를 들어 아리랑 노래 외워 부르기를 통해 장기 기억력을 테스트할 수 있다.
7번 문항의 복합 노래 부르기 과제는 노래하면서 소고연주하는 복합 과제로서, 예를 들어 '아리랑을 노래하면서 동시에 소고 연주하기'를 실시하며, 이를 통해 언어-말하기, 복합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분리주의력(divided attention)의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8번 문항은 공명 실로폰 연주 과제로서,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등 색깔로 구성된 공명 실로폰 악보를 보면서 공명 실로폰을 연주하는 과제이다. 이는 색인지 기능과 함께 시공간 분별 능력을 테스트하는 과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주어진 박자에 색깔을 인지하여 정확하게 같은 색깔의 실로폰을 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시각-청각-손의 협응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9번 문항은 노래 부르며 공명 실로폰 연주하기 과제로서, 색인지, 언어-말하기, 시공간과 관련성에 더하여 복합 과제 수행능력에 요구되는 분리 주의력(divided attention)을 측정할 수 있다.
10번 문항은 노래부르기 2 과제이고, 개사한 노래를 부르는 과제이다. 예를 들어, 아리랑 멜로디에 개사한 실버 아리랑의 노래를 불러준 후 따라 부를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언어-읽기, 따라 말하기와 관련이 있다.
11번 문항은 노래부르기 3 과제이고, 개사한 가사를 기억하는 과제이다. 예를 들어, 개사한 가사를 읽어 본 후 검사자의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으로 기억력을 테스트할 수 있다.
12-13번 문항은 리듬치기 5, 리듬치기 6 과제로서, 검사자와 사용자(환자)가 각기 다른 리듬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콜 앤 리스폰스(Call & Response)인데, 언어-이해, 전두엽/집행기능과 관련이 있다.
14번 문항은 노래부르며 리듬치기의 복합과제로서, 노래를 부르며 미리 정해진 부분에서 2회 또는 3회 리듬치기를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제이다. 이를 통해, 언어-이해, 읽기, 따라 말하기, 전두엽/집행기능, 계산력과 관련이 되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는 소고와 공명 실로폰이 악기로 구비되는데, 소고는 민속 고유의 악기로 연주법이 쉬운 악기이고, 공명 실로폰은 음마다 색 구분이 되어 있어서 색깔악보를 보고 연주하기에 적절한 악기이다.
각각의 문항은 난이도에 따라 0점에서 8점까지 다르게 설정되며, 난이도 상(8점), 난이도 중(4점), 난이도 하(2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해당 문항의 과제를 전혀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는 0점이고, 정확하게 수행을 할 경우는 각 항목의 만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판별하기 위한 수행 과제 평가에서 만점은 62점이며, 총 4구간으로 구분하여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판별하기 위한 수행 과제 평가를 수행한 결과, “60점 이상이면 정상, 40~59점은 경도인지장애, 20~39점은 초기 치매, 0~19점은 중등도 치매”로 판단할 수 있다.
이제 각 항목의 과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행평가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리듬치기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은 비우세손, '|'은 우세손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리듬치기 1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기본 3 박자의 '○ ||'리듬을 2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1점을 부여한다.
도 9는 리듬치기 2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변주 3 박자의 '○ ┏┓|'리듬을 2회 반복하면 4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한다.
도 10은 리듬치기 3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기본 4 박자의 '○ ○ ||'리듬을 2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1점을 부여한다.
도 11은 리듬치기 4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변주 4 박자의 '○ ○ ┏┓|'리듬을 2회 반복하면 4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한다.
도 12는 소고연주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는 궁편, '|'은 채편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 ||'를 4회 반복 실시하고, 4회 반복하면 4점, 3회 반복하면 3점, 2회 반복하면 2점, 1회 반복하면 1점을 부여한다.
도 13은 노래 부르기 1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아리랑'노래를 외워 부르는 것이며, 가사가 맞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점수를 부여하며, 가사가 모두 맞으면 4점을 부여하고, 가사가 부분적으로 맞으면 해당 가사 부분에 1점씩을 부여한다.
도 14는 복합 노래 부르기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아리랑 노래를 부르면서 소고연주를 실시한다. 가사가 맞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점수를 부여하며, 가사가 모두 맞으면 8점을 부여하고, 가사가 부분적으로 맞으면 해당 가사 부분에 2점씩을 부여한다.
도 15는 공명 실로폰 연주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공명 실로폰 악보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고, 악보에 따라 한 음씩 색깔 지시에 맞춰 연주하면 1점, 빨간색, 파란색, 녹색의 각 색깔에 맞춰 연주하면 각 1점씩 부여하여, 총 4점 만점을 부여한다.
도 16은 노래 부르며 연주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아리랑 노래를 부르며 공명 실로폰을 연주하는 과제이다. 여기서, 가사 별로 1점씩 부여하여, 과제를 완수하면 총 8점 만점을 부여한다.
도 17은 노래부르기 2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아리랑 노래 멜로디에 개사한 실버 아리랑을 부르는 과제이다. 가사가 맞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점수를 부여하며, 가사가 모두 맞으면 4점을 부여하고, 가사가 부분적으로 맞으면 해당 가사 부분에 2점씩을 부여한다.
도 18은 노래부르기 3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사한 가사인 실버 아리랑 가사를 기억하기 과제이다. 여기서, 실버 아리랑 가사 퀴즈를 실시하는데, 예를 들어, '70'을 의미가 통하게 대답하면 1점, '70'을 정확하게 대답하면 2점, '80'을 의미가 통하게 대답하면 1점, '80'을 정확하게 대답하면 2점을 부여하고, 총 4점 만점을 부여한다.
도 19는 리듬치기 5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콜 앤 리스펀스' 과제이다. 예를 들어, 치료사가 '○ ○'리듬을 치고, 사용자(환자)가 '┏┓|'리듬을 2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1점을 부여한다.
도 20은 리듬치기 6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콜 앤 리스펀스' 과제이다. 예를 들어, 치료사가 '대~한민국'의 리듬을 연주하고, 사용자(환자)가 '||┏┓|'리듬을 2회 반복하면 4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한다.
도 21은 노래부르며 리듬치기 과제를 예시한 것으로서, '그대 없이는 못 살아'노래를 부르면서 리듬을 치는 과제이다. 여기서, '좋아해'노래 부르기 후, 2번 리듬치기를 1회 완수 시 2점, 2회 완수 시 4점을 부여한다.'당신을 좋아해'노래 부르기 후, 3번 리듬치기를 1회 완수 시 2점, 2회 완수 시 4점을 부여한다. 총 8점을 만점을 부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판별하기 위한 수행 과제 평가에서 만점은 62점이며, 총 4구간으로 구분하여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판별하기 위한 수행 과제 평가를 수행한 결과, “60점 이상이면 정상, 40~59점은 경도인지장애, 20~39점은 초기 치매, 0~19점은 중등도 치매”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0 리듬부 120 소고부
130 마이크부 140 스피커부
150 공명 실로폰부 160 제어부
170 디스플레이부 180 메모리
210 수납부

Claims (5)

  1.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에서,
    바닥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을 내리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의 손바닥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리듬부;
    소고 형태로 좌우 양쪽에 두 대가 마련되어 있고, 전용 북채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소고부;
    공명 실로폰으로서, 전용 실로폰채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공명 실로폰부;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노래 악보 데이터 및 공명 실로폰을 연주하기 위한 공명 실로폰 악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용 북채 및 상기 전용 실로폰채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서랍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는 수납부; 및
    상기 리듬부, 소고부, 공명 실로폰부에서 감지된 터치신호를 이용하여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판별하기 위한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점수를 합산하여 사용자의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정도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검사자가 발생시키는 검사 리듬을 입력받고,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상기 검사 리듬을 출력하고, 상기 리듬부를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에 의한 리듬이 상기 검사 리듬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검사자가 발생시키는 소고 연주를 입력받고,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상기 소고 연주를 출력하고, 상기 소고부를 통해 입력된 터치신호에 의한 연주가 상기 소고 연주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래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노래 악보와 가사, 음정 및 박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공명 실로폰 악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공명 실로폰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의한 연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공명 실로폰 악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복수의 음악적 수행 과제를 제시하고, 각 수행 과제를 평가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정도를 판단하되,
    상기 수행 과제는 총 14개의 수행 과제 문항과 총 62점 만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행 과제에서,
    1번에서 4번 문항까지의 리듬치기 1~리듬치기 4 과제는 검사자의 리듬을 즉시 모방하는‘리듬 따라하기’이며,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상기 리듬부를 터치하면서, 3박과 4박 리듬 패턴을 2회 반복하여 실시하고,
    5번 문항의 검사자의 소고연주를 모방하는 소고연주 과제이고,
    6번 문항의 노래부르기 1 과제는 노래를 외워 부르는 과제이고,
    7번 문항의 복합 노래 부르기 과제는 노래하면서 소고연주하는 복합 과제이고,
    8번 문항은 공명 실로폰 연주 과제로서,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색깔로 구성된 공명 실로폰 악보를 보면서 공명 실로폰을 연주하는 과제이고,
    9번 문항은 노래 부르며 공명 실로폰 연주하기 과제이고,
    10번 문항은 노래부르기 2 과제로서, 개사한 노래를 부르는 과제이고,
    11번 문항은 노래부르기 3 과제이고, 개사한 가사를 기억하는 과제이고,
    12-13번 문항은 리듬치기 5, 리듬치기 6 과제로서, 검사자와 사용자가 각기 다른 리듬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콜 앤 리스폰스(Call & Response)로 진행되고,
    14번 문항은 노래부르며 리듬치기의 복합과제로서, 노래를 부르며 미리 정해진 부분에서 2회 또는 3회 리듬치기를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제이고,
    상기 리듬치기 1~상기 리듬치기 4 과제에서 '○'은 비우세손, '|'은 우세손이고, '○'과 '|'이 ♩박자, '┏┓'이 ♪♪박자라고 할 때,
    상기 리듬치기 1 과제에서 기본 3 박자의 '○ ||'리듬을 2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1점을 부여하고,
    상기 리듬치기 2 과제에서 변주 3 박자의 '○ ┏┓|'리듬을 2회 반복하면 4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하고,
    상기 리듬치기 3 과제에서 기본 4 박자의 '○ ○ ||'리듬을 2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1점을 부여하고,
    상기 리듬치기 4 과제에서 변주 4 박자의 '○ ○ ┏┓|'리듬을 2회 반복하면 4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하고,
    상기 소고연주에서 '○'는 궁편, '|'은 채편이라고 할 때, '○ ||'를 4회 반복 실시하고, 4회 반복하면 4점, 3회 반복하면 3점, 2회 반복하면 2점, 1회 반복하면 1점을 부여하고,
    상기 노래 부르기 1 과제에서, '아리랑' 노래를 외워 부르되, 가사가 맞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점수를 부여하며, 가사가 모두 맞으면 4점을 부여하고, 가사가 부분적으로 맞으면 해당 가사 부분에 1점씩을 부여하고,
    상기 복합 노래 부르기 과제에서, '아리랑' 노래를 부르면서 소고연주를 실시하되, 가사가 맞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점수를 부여하며, 가사가 모두 맞으면 8점을 부여하고, 가사가 부분적으로 맞으면 해당 가사 부분에 2점씩을 부여하고,
    상기 공명 실로폰 연주 과제에서, 공명 실로폰 악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악보에 따라 한 음씩 색깔 지시에 맞춰 연주하면 1점, 빨간색, 파란색, 녹색의 각 색깔에 맞춰 연주하면 각 1점씩 부여하여, 총 4점 만점을 부여하고,
    상기 노래 부르며 공명 실로폰 연주하기 과제에서, '아리랑' 노래를 부르며 공명 실로폰을 연주하되, 가사 별로 1점씩 부여하여, 과제를 완수하면 총 8점 만점을 부여하고,
    상기 노래부르기 2 과제에서, '아리랑' 노래 멜로디에 개사한 '실버 아리랑'을 부르되, 가사가 맞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점수를 부여하며, 가사가 모두 맞으면 4점을 부여하고, 가사가 부분적으로 맞으면 해당 가사 부분에 2점씩을 부여하고,
    상기 노래부르기 3 과제에서, 개사한 가사인 '실버 아리랑' 가사를 기억하기 과제로서, '실버 아리랑' 가사 퀴즈를 실시하되, '70'을 의미가 통하게 대답하면 1점, '70'을 정확하게 대답하면 2점, '80'을 의미가 통하게 대답하면 1점, '80'을 정확하게 대답하면 2점을 부여하고, 총 4점 만점을 부여하고,
    상기 리듬치기 5 과제에서, 치료사가 '○ ○'리듬을 치고, 사용자가 '┏┓|'리듬을 2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1점을 부여하고,
    상기 리듬치기 6 과제에서, 치료사가 '대~한민국'의 리듬을 연주하고, 사용자가 '||┏┓|'리듬을 2회 반복하면 4점을 부여하고, 1회 반복하면 2점을 부여하고,
    상기 노래부르며 리듬치기 과제에서, '그대 없이는 못 살아' 노래를 부르면서 리듬을 치되. 여기서, '좋아해' 노래 부르기 후, 2번 리듬치기를 1회 완수 시 2점, 2회 완수 시 4점을 부여하고, '당신을 좋아해' 노래 부르기 후, 3번 리듬치기를 1회 완수 시 2점, 2회 완수 시 4점을 부여하고, 총 8점 만점을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행 과제를 모두 수행하여 평가한 결과, 총점이 60점 이상이면 정상, 40~59점은 경도인지장애, 20~39점은 초기 치매, 0~19점은 중등도 치매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진단 평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65558A 2022-12-01 2022-12-01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KR102525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558A KR102525440B1 (ko) 2022-12-01 2022-12-01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PCT/KR2023/019522 WO2024117804A1 (ko) 2022-12-01 2023-11-30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558A KR102525440B1 (ko) 2022-12-01 2022-12-01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440B1 true KR102525440B1 (ko) 2023-04-24

Family

ID=8614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558A KR102525440B1 (ko) 2022-12-01 2022-12-01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5440B1 (ko)
WO (1) WO20241178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7804A1 (ko) * 2022-12-01 2024-06-06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0424A (ja) * 2017-03-30 2017-08-1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脳機能障害評価方法、脳機能障害評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80081904A (ko)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사이다소프트 혼합 현실 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리듬 액션 아케이드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41690A (ko) * 2019-10-07 2021-04-16 이향진 음악회상기법 기반 인지능력 향상 시스템
KR20210054191A (ko) * 2019-11-05 2021-05-13 이권영 치매관리 자동화 방법, 치매관리 자동화 장치 및 치매관리 자동화 시스템
KR20220118780A (ko) 2021-02-19 2022-08-26 정상원 인공지능기반 경도인지장애환자 인지재활 교육 및 관리 플랫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440B1 (ko) * 2022-12-01 2023-04-24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904A (ko)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사이다소프트 혼합 현실 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리듬 액션 아케이드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40424A (ja) * 2017-03-30 2017-08-1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脳機能障害評価方法、脳機能障害評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210041690A (ko) * 2019-10-07 2021-04-16 이향진 음악회상기법 기반 인지능력 향상 시스템
KR20210054191A (ko) * 2019-11-05 2021-05-13 이권영 치매관리 자동화 방법, 치매관리 자동화 장치 및 치매관리 자동화 시스템
KR20220118780A (ko) 2021-02-19 2022-08-26 정상원 인공지능기반 경도인지장애환자 인지재활 교육 및 관리 플랫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17804A1 (ko) * 2022-12-01 2024-06-06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7804A1 (ko) 2024-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llentin et al. The Musical Ear Test, a new reliable test for measuring musical competence
Carey et al. Generality and specificity in the effects of musical expertise on perception and cognition
CN103514866B (zh) 一种乐器演奏评分的方法及装置
Izumi Japanese monkeys perceive sensory consonance of chords
Johnstone et al. Affective speech elicited with a computer game.
Larsen et al. The Prospects of Musical Instrument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KR102525440B1 (ko)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Ngo et al. Effects of music and tonal language experience on relative pitch performance
Yiu et al. Vibratory and perceptual measurement of resonant voice
Mertel Auditory perception training (APT)
WO2013089317A1 (ko)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
US20070017351A1 (en) Musical absolute pitch recognition instruction system and method
Lynch et al. Effects of aging on processing of novel musical structure
Hernawati et al. Instrument to Assess the Perception of Sound and Rhythm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akahashi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breath-touch electronic instrument that enables beginners to engage in ensemble playing
JP2717375B2 (ja) 四肢の視聴覚同期動作チェック及び訓練装置
Atkins Focus of attention affects singer's tone production
KR102564399B1 (ko) 훈련 수행 정확도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변경하는 청각기능 개선 장치
KR20010091798A (ko) 기악 연주 교육장치 및 방법
Umanski et al. Integrating computer games in speech therapy for children who stutter.
JPH0365175B2 (ko)
Slater et al. The effect of tactile cues on auditory stream segregation ability of musicians and nonmusicians.
CN114822844A (zh) 基于弹奏行为的脑能力客观量化检测方法
Levy et al. The effect of attentional focus on ges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und at the piano
KR20070039673A (ko) 전자 악기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상태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