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502B1 -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502B1
KR102521502B1 KR1020160116208A KR20160116208A KR102521502B1 KR 102521502 B1 KR102521502 B1 KR 102521502B1 KR 1020160116208 A KR1020160116208 A KR 1020160116208A KR 20160116208 A KR20160116208 A KR 20160116208A KR 102521502 B1 KR102521502 B1 KR 102521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ter
storage unit
water storage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642A (ko
Inventor
이현주
강한성
윤민호
하유즙
김영혁
성덕진
조풍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502B1/ko
Priority to US15/698,898 priority patent/US20180070757A1/en
Priority to PCT/KR2017/009891 priority patent/WO2018048255A1/en
Publication of KR2018002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개선된 물 공급 장치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공간; 상기 제1공간과 구획되고, 상기 제1공간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들이 마련되는 제2공간; 상기 제1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물 공급장치; 및 상기 물 공급장치가 상기 제2공간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개선된 물 공급 장치를 가지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식품을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기이다. 조리 기기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 일례로 오븐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조리실과, 조리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와,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순환장치를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오븐은 조리물을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사용하고, 가스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다양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구이 기능, 찜 기능, 스팀 기능 등을 할 수 있는 조리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음식물의 식감을 높이고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소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음식물 조리 중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제공하여 스팀 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조리를 행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동으로 물 공급을 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물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조리를 위한 캐비티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컨트롤 작동으로만 물 공급장치가 노출되어 물통을 엎지르는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공간; 상기 제1공간과 구획되고, 상기 제1공간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들이 마련되는 제2공간; 상기 제1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물 공급장치; 및 상기 물 공급장치가 상기 제2공간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물 저장부가 상기 제2공간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물 저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감지하는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컨트롤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패널이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물 공급장치의 인입 또는 인출을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공간; 상기 제1공간과 구획되고, 상기 제1공간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들이 마련되는 제2공간; 및 상기 제1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물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제2공간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1공간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공간을 닫을 때,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도어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공간을 오픈 할 때,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도어에 의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제2공간의 내측에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저장부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유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무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물 저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물 저장부와 연결되는 스팀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물통의 인출을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스팀 발생기를 연결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공간과 구획되는 제2공간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물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 공급장치는,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저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물 저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장치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선된 구조의 물 공급장치는 캐비티의 외측에 마련되어, 캐비티의 조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캐비티의 음식물 수용 능력이 증대되고, 그에 따른 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선된 구조의 물 공급장치는 컨트롤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물 공급을 할 수 있고, 컨트롤 작동으로만 물 공급장치가 노출되어 물통을 엎지르는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도어 동작에 따른 물 공급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장치의 하우징과 물 저장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장치의 구동부에 의한 물 저장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일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물 공급장치의 동작에 관여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물 저장부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컨트롤 패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물 저장부(120)의 인출 동작과 관련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물 저장부(120)의 인입 동작과 관련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면 및 전방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를 기준으로 앞으로 보이는 전면 및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고, 후방은 조리기기(1)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장식장 내부에 설치되는 빌트인(built-in)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도어 동작에 따른 물 공급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주방 공간과의 일체감을 가지도록 벽 또는 캐비닛(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1)가 설치되기 위한 캐비닛(2)은 일례로 전면 일부가 개구되며, 개구된 부분을 통해 조리기기(1)가 수용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본체(10)와, 그 내부에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제1공간(이하, 조리실(11))과, 각종 전자 부품들이 설치되도록 본체(10)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공간(이하, 전장실(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본체(10)의 외측에서 본체(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20)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미도시)이 구비된 컨트롤 패널(30)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 및 양측부, 그리고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조리실(11)을 가열하기 위해 마련되는 컨벡션 히터(50) 및 컨벡션 팬(51)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본체(10)는 스팀을 생성하고 스팀을 조리실(1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 발생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벡션 히터(50)는 조리실(11)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고, 컨벡션 팬(51)은 컨벡션 히터(50)에서 생성된 열이 조리실(11) 내부에서 대류되도록 하거나, 컨벡션 히터(50)와는 별개로 스팀 발생기(2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11) 내부에 고르게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스팀 발생기(200)는 본체(10)에 마련된다. 스팀 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는 본체(10)의 조리실(11)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물 공급장치(100)는 본체(1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측에는 조리실(11)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들이 마련되는 전장실(21)이 마련된다.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30)이 배치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는 본체(10)의 전장실(21)에 마련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는 전장실(21)의 전면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는 전장실(21)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전방이 개구(11a)된 육면체 형상으로, 전방의 개구(11a)를 통해 조리를 위한 음식물이 출입될 수 있다. 음식물이 놓이는 조리실(11)은 본체(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40)는 조리실(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도어(40)는 본체(10)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어(40)는 조리실(11)을 개폐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전면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40)는 본체(10)의 하단이 힌지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어가 여닫히는 방식이나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은 조리실(11)을 형성하는 개구(11a)를 포함한다. 그리고 개구(11a)의 상부에는 전면 프레임(13)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3)은 조리실(11)의 외측에 형성된다. 전면 프레임(13)은 전장실(2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3a)이 형성될 수 있다. 홀(13a)은 외기를 조리기기(1)의 전장실(21)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면 프레임(13)은 개구(11a)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면 프레임은 개구의 하부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 프레임(13)에는 물 공급장치(100)가 설치되기 위한 물 공급장치 설치구(14)가 형성된다. 물 공급장치 설치구(14)는 전면 프레임(13)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는 물 공급장치 설치구(14)의 후방, 즉 전장실(21)의 내측에 배치되어 전면 프레임(13)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40)는 본체(10)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40)는 조리실(11)을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40)는 본체(10)의 개구(11a)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40)는 본체(10)의 전면 프레임(13)을 커버 할 수 있도록, 전면 프레임(13)을 포함하는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40)의 열림 시, 도어(40)는 본체(10)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40)의 상단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11)을 개방한다. 도어(40)의 열림 시, 본체(10)의 전면 상측에 배치되는 물 공급장치(100)는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어(40)의 열림 상태 시, 물 공급장치(100)는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는 사용자가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어(40)의 열림 시,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내측으로 인입 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도어(40)의 닫힘 시, 도어(40)는 본체(10)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40)의 상단이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11)을 폐쇄한다. 도어(40)의 닫힘 시, 물 공급장치(100)는 본체(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도어(40)의 닫힘 시, 물 공급장치(100)는 조리기기(1)의 외측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도어(40)에 의해 숨김 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장치의 하우징과 물 저장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장치의 구동부에 의한 물 저장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장치(100)는 스팀 발생기(20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팀 발생기(200)는 본체(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발생기(200)는 물 공급장치(10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생성하여 조리실(11) 내부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스팀 발생기(200)는 보조스팀발생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스팀발생기(220)는 스팀 발생기(2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221)가 마련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는 스팀 발생기(200)와 펌프(2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는 펌프(210)에 제1연결관(201)을 통해 연결된다. 제1연결관(201)을 통해 물 공급장치(100)의 물은 스팀 발생기(200)로 전달된다.
스팀 발생기(200)는 물 공급장치(100)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용기(202)와, 스팀용기(202)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히터(203), 그리고 가열히터(203)에 의해 가열되어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11) 내부로 안내하는 스팀공급관(20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공급관(204)은 본체(1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스팀용기(202) 내부에 마련되는 가열히터(203)는 대략 코일 형상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가열부(202a)와, 가열부(202a)가 스팀용기(202)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부(202b)를 포함한다. 전극부(202b)는 외부전원(미도시)과 연결되어 가열부(202a)에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가열부(202a)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스팀 발생기(200)와 보조스팀발생기(220)는 제2연결관(20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관(205)은 스팀 발생기(200)로 유입된 물이 동시에 보조스팀발생기(22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는 펌프(210)와 연결될 수 있다. 펌프(210)는 본체(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210)는 물 공급장치(100)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210)는 전장실(2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210)는 스팀 발생기(200)의 스팀용기(202)와 연결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는 본체(10)의 전장실(21)에 고정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 저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 공급장치(100)의 하우징(110)은 전장실(21)의 일측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장실(21)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장실의 전방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물 저장부(120)는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물 저장부(120)는 스팀 발생기(200)와 연결되기 위해서 제1연결관(201)을 통해 펌프(210)와 연결되고, 제3연결관(230)을 통해 스팀 발생기(200)의 스팀용기(2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관(230)은 펌프(210)와 스팀 발생기(2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3연결관(230)은 펌프(210)로 공급되는 물 공급장치(100)의 물을 스팀 발생기(200)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물 공급장치(100)와 스팀 발생기(200)는 펌프(210) 및 제1연결관(201)과 제3연결관(230)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팀 발생기(200)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물 공급장치(100)로부터 물은 자중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고정브라켓(111)과, 물 저장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레일(11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111)은 본체(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고정브라켓(111a)과, 제1고정브라켓(111a)과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고정브라켓(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브라켓(111a)에는 물 저장부(120)와, 물 저장부(120)를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마련되는 레일(112)이 마련될 수 있다. 레일(112)은 볼 베어링(113)을 포함하고, 볼 베어링(113)에 의해 레일(112)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 브라켓(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브라켓(114)에는 물 저장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물 저장부(120)는 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통(121)을 포함한다. 물통(121)은 물이 저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통(121)의 상면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유입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22)는 물통(121)의 상면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물통(121)은 레일(112)의 이동 브라켓(114)에 고정되어 이동 브라켓(114)의 이동에 의해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물통(121)의 유입구(122)에는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무캡(123)이 마련될 수 있다. 고무캡(123)은 러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캡(123)은 유입구(12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캡(123)은 물통(121)의 실링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물통(121)에 물을 보충하기 위해서 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된 물통(121)의 고무캡(123)을 제거하고 유입구(122)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물통(121)의 상측에는 물통(121)을 자동으로 전후 이동시킬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동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제2고정브라켓(111b)에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모터(131)와, 모터(131)와 물 저장부(120) 사이를 연결하는 기어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1)는 제2고정브라켓(111b)의 모터 설치구(132)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기어부재(133)는 모터(13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1기어부(133a)와, 제1기어부(133a)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 하도록 마련되는 제2기어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부(133a)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부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어부(133b)는 제1기어부(133a)에 대응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어부(133b)는 물 저장부(120)의 물통(121)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131)가 회전하면, 모터축(131a)에 연결되는 제1기어부(133a)는 회전한다. 제1기어부(133a)의 기어에 맞물리는 제2기어부(133b)는 제1기어부(133a)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제2기어부(133b)가 고정된 물통(121)은 제2기어부(133b)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물통(121)의 후단에 연결된 제1연결관(201)은 물통(121)이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되는 과정에서 수시로 이동 가능하도록 쉽게 구부러질 수 있고, 이동에도 변형되지 않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물통(121)의 전후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1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물통(121)은 본체(10)의 전방으로 완전히 나오지 않고 물통(121)의 유입구(122)가 노출될 수 있을 정도만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물통(121)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제2기어부(133b)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40)는 제1스위치(141)와 제2스위치(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141)는 제2기어부(133b)의 일측 단부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배치되고, 제2스위치(142)는 제2기어부(133b)의 타측 단부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어부(133b)의 일측 및 타측,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모터(131)를 제어하여 물통(121)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스위치(141)는 이동하는 제2 기어부(133b)의 단부의 힘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141a)를 포함한다. 제2스위치(142)도 이동하는 제2 기어부(133b)의 단부의 힘에 의해서 눌려지는 제2감지부(142a)를 포함한다.
즉, 스위치(140)는 감지부(141a, 142a)에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서 단부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물통(121)의 전후 이동 동작을 제어하도록 도와준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조리기기(1)가 물 공급장치(100)를 동작시키는 제어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개시된 일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개시된 일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스팀 발생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100), 물 공급장치(100)의 물을 전달하는 펌프(210), 펌프(210)가 전달하는 물을 이용해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 발생기(200), 스팀 발생기(200)를 보좌하는 보조 스팀 발생기(220), 발생된 스팀이 분사되는 조리실(11), 개시된 조리기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및 제어부(300)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컨트롤 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7에서 기술된 구성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300)는 조리기기(1)의 각 구성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프로세서(Processer)이다.
제어부(300)는 조리기기(1) 내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컨트롤 패널(30)이 전달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물 공급장치(100)의 모터(13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물 저장부(1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컨트롤 패널(30)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면, 컨트롤 패널(30)은 동작 명령을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모터(131)가 회전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모터(131)는 제어부(300)의 동작 신호에 의해서 회전하고, 모터축(131a)에 연결되는 제1기어부(133a)가 회전한다. 제1기어부(133a)의 기어에 맞물리는 제2기어부(133b)는 제1기어부(133a)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제2기어부(133b)가 고정된 물 저장부(120)는 제2기어부(133b)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 8에서 도시된 필터링 커패시터(133)는 기어부재(133)와 함께 이동하는 물 저장부(120)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주는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필터링 커패시터(133)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많은 양의 전류가 회로로 공급되지 않도록 전압을 유지시켜 준다. 즉, 필터링 커패시터(133)는 회로적으로 리플(ripple)을 부드럽게 해 주는 커패시터이다. 필터링 커패시터(133)와 관련된 구성은 도 9에서 다시 설명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물 저장부(120)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치(140)가 전달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물 저장부(120)의 이동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물 저장부(120)가 조리기기(1)의 전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면, 물 저장부(120) 일측 단부의 끝단이 제1 스위치(141)의 제1감지부(141a)와 맞닿는다. 제1감지부(141a)의 동작에 의해서 제1 스위치(141)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다른 예로, 물 저장부(120)에 물이 공급되고,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30)에 인입 명령을 입력한다. 제어부(300)는 모터(13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물 저장부(120)가 조리기기(1)의 후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면, 물 저장부(120) 일측 단부의 끝단이 제2 스위치(142)의 제2감지부(142a)와 맞닿는다. 제2감지부(142a)의 동작에 의해서 제2 스위치(142)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300)는 제2 스위치(142)의 신호에 기초하여 물 저장부(120)의 이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300)는 물 공급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가열 히터(203)를 제어하여 공급된 물을 이용해 스팀을 발생하고, 스팀용기(202)에 스팀을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보조 스팀 발생기(220)의 수위 측정 센서(221)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스팀 발생기(200)에 스팀 발생기(2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결과, 물의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00)는 컨트롤 패널(30)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물의 공급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부(300)로 수신한 입력 명령을 전달한다.
특히,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30)에 위치하는 동작버튼(31) 중 물 공급 버튼(31a)을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모터(131)를 포함하는 물 공급 장치(100)를 동작시켜 물통(121)을 조리기기(1)의 인입 또는 입출시킨다.
일 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구성은 이하 도 11a 및 도 11b를 통해 후술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물 공급장치의 동작에 관여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 공급장치(100)에서 물통(121)이 포함되는 물 저장부(12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서 본체(10)의 전면으로 인입 또는 인출된다.
여기서 물 저장부(120)는 하우징(110)에서 물 저장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레일(112)등을 포함하는 제1고정브라켓(111a)의 상면에 위치한다. 또한, 제2고정브라켓(111b)는 물 저장부(120)의 상면에 위치하고, 전장실(21) 내부에 마련되어, 제1고정브라켓(111a)와 함께 물 저장부(120)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제2고정브라켓(111b)는 모터 설치구(132)를 통해 설치된 모터(131)와 물 저장부(120)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치(140)를 포함하고, 필터링 커패시터(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1)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개시된 일 예에 따른 모터(131)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전원에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변화에 대한 직선적인 회전운동을 실행하는 DC 모터일 수 있다.
모터(131)는 사용자의 물 저장부(120) 인출에 대한 입력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300)의 지시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발생된 토크(Torque)를 제1기어부(133a)로 전달한다.
토크, 즉 회전력은 제1기어부(133a)를 통해 제2기어부(133b)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제2기어부(133b)는 제1고정브라켓(111a)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물 저장부(120)가 본체(10)의 상부에서 전면을 향해 인출시킨다.
또한, 모터(131)는 사용자의 물 저장부(120) 인입에 대한 입력 명령에 따라 입출 명령에 의해 회전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모터(13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물 저장부(120)는 제1기어부(133a) 및 제2기어부(133b)에 의해서 본체(10)의 하면을 향해 인입된다.
일 예에 따른 스위치(140)는 제2고정브라켓(111b)에 적어도 하나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조리기기(1)에서 스위치(140)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Switch)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스위치(141, 142)는 물 저장부(120)가 레일(112)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이동 거리를 감지한다.
제1스위치(141)는 물 저장부(120)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인출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스위치(142)는 물 저장부(120)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인입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거리는 150mm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스위치(140)는 제2 기어부(133b)에 의해 생성되는 직선 운동에 따라 물 저장부(120)가 가하는 압력을 감지한다. 압력은 제1스위치(140)에서 조리기기(1)의 하면을 향해 돌출된 제1감지부(141a)가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물 저장부(120)에 마련된 돌출부(134)가 이동하여 제1감지부(141a)에 압력을 가하면, 제1스위치(141)는 제어부(300)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2스위치(142)의 제2감지부(142a)도 물 저장부(120)가 인입 동작에 의해 돌출부(134)가 가하는 압력을 감지한다. 즉, 제2감지부(142a)도 돌출부(134)가 이동하여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면, 제2스위치(142)가 제어부(300)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00)는 스위치(140)가 전달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물 저장부(120)의 이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모터(131)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140)가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필터링 커패시터(133)은 모터(131)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물 저장부(120)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한다.
구체적으로 필터링 커패시터(133)는 제2고정브라켓(111b)에 고정될 수 있다. 필터링 커패시터(133)와 모터(131)는 제2고정브라켓(111b)의 상면으로 이어진 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모터(131)가 전원을 인가받고 동작한 후, 스위치(140)의 감지 결과에 따른 전원이 갑자기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물 저장부(120)는 큰 반동을 가지고 멈출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된 물은 저장부(120)를 넘쳐 전장실(21)로 넘칠 수 있다.
필터링 커패시터(133)는 이러한 갑작스런 전원 공급 중단에 대비하여 전력을 저장하고,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일정한 시간을 가지고 전원을 모터(131)에 공급한다. 모터(131)는 필터링 커패시터(133)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서 일정 시간 동작하고, 결과적으로 물 저장부(120)의 이동을 부드럽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물 저장부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물 저장부(120)는 물 공급장치 설치구(14)의 후방에 위치한다.
물 저장부(120)에 물이 공급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00)는 펌프(210)을 동작시켜 제1연결관(201)을 통해 스팀용기(202)로 물을 공급한다.
물 저장부(120)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는 제2스위치(142)의 제2감지부(142a)가 돌출부(134)에 의해 제2스위치(142)의 내부로 인입된 모양일 수 있다.
사용자가 물 공급을 위한 동작버튼(31)을 터치하면, 컨트롤 패널(30)은 물 저장부(120)의 동작 개시 명령을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도 10a와 같이 물 저장부(120)가 인입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터(131)를 동작시킨다.
도 10b를 참조하면, 모터(131)는 물 저장부(120)가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인출되도록 회전력을 제1기어부(133a)로 전달한다.
일 예에 따른 모터(131)의 동작에 의해서 제1기어부(133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시계 방향의 회전을 통해서 제1기어부(133a)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제2기어부(133b)의 랙 기어는 물 저장부(120)를 본체(10)의 전방, 도 10b의 화살표 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인출 동작 중, 돌출부(134)는 제1스위치(141)의 제1감지부(141a)에 접촉될 수 있다. 제1스위치(141)는 인출 동작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물통(121)의 유입구(122)가 노출될 수 있을 만큼 돌출되었다고 판단하고, 모터(131)에 인가되는 전력 공급을 중단한다.
물 저장부(120)가 인출되고, 사용자는 유입구(122)를 노출한 후 물통(121)에 물을 공급한다. 이 후 사용자는 다시 동작버튼(31)을 터치하면, 제어부(300)는 다시 모터(131)를 동작시킨다.
도 10c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모터(131)는 제1기어부(133a)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회전력에 의해서 제1기어부(133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통해서 제1기어부(133a)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린 제2기어부(133b)의 랙 기어는 물 저장부(120)를 본체(10)의 후방, 도 10c의 화살표 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인입 동작 중, 돌출부(134)는 제2스위치(141)의 제2감지부(141a)에 접촉될 수 있다. 제2스위치(141)는 인출 동작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물 저장부(120)가 도 10a와 같이 완전히 인입되었다고 판단하고, 모터(131)에 인가되는 전력 공급을 중단한다.
이 후 제어부(300)는 컨트롤 패널(3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물 저장부(120)가 인입 동작 완료 여부를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300)가 컨트롤 패널(30)을 통해 사용자와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 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은 이하 도 11a 및 도 11b를 통해 후술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컨트롤 패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종 버튼이 구비된 컨트롤 패널(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30)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30)에는 조리기기(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30)의 디스플레이부(32)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부분에 신체 또는 특수한 장치를 갖다 대면 일정한 명령이 실행되도록 만들어진 입력 장치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즉, 컨트롤 패널(30)은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32)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30)은 디자인적 형상 또는 숫자 등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2)와 네모 모양의 구역을 나누어 사용자의 터치를 유도하는 버튼영역(34)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영역(34)은 도 1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버튼영역(34)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패널이 컨트롤 패널(30)의 하면에 내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영역(34) 중 오른쪽 하단에는 물 저장부(120)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모터(131)를 제어하는 동작버튼(31)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동작버튼(31)도 구역을 나누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동작버튼(31)의 모양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부(130)를 형상화한 모양이 디자인될 수 있으며, 인입 또는 인출을 형상화한 화살표 모양이 디자인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버튼(31)은 일 예에 따른 디자인을 표현한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한이 없다.
한편, 컨트롤 패널(30)은 조리기기(1)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1a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컨트롤 패널(30)은 시각적인 출력 이외에도 소리를 통한 청각적인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저장부(120)가 완전히 인출되면, 컨트롤 패널은 다양한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 저장부(120)의 인출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은 조리기기(1)에 내장된 스피커(미 도시)를 통해서 소리를 출력한다. 컨트롤 패널(30)과 스피커 사이에는 전기적 신호를 청각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시키는 앰프(Amplifier)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동작버튼(31)을 터치한다. 동작버튼(31)의 터치에 의해서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면, 컨트롤 패널(30)은 물 저장부(120)의 인입 또는 인출 명령을 전달받는다.
컨트롤 패널(30)은 제어부(300)로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300)는 모터(131)를 동작시켜, 물 저장부(120)를 동작시킨다.
사용자가 동작버튼(31)을 터치하면, 컨트롤 패널(30)은 동작버튼(31)의 화살표 모양 중 일부분의 구역을 발광시켜 입력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스위치(141)의 감지에 기초하여, 물 저장부(120)의 인출이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컨트롤 패널(30)은 디스플레이부(32)를 제어하여 인출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2)는 "물을 공급하여 주십시요." 라는 문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인출 동작이 완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물 저장부(120)의 인출이 완료된 후, 컨트롤 패널(30)은 다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11b의 동작버튼(31)을 터치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컨트롤 패널(30)은 제어부(300)에 신호를 전달하여 물 저장부(120)를 인입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컨트롤 패널(30)은 동작버튼(31)의 화살표 모양 중 다른 부분의 화살표 구역을 발광시켜 입력 명령이 수신되었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30)은 디스플레이부(32)의 출력 화면을 도 11a와 같이 변경하거나 다른 디자인적 출력을 통해 물 저장부(120)가 인입되었다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에서 설명한 UI적 동작은 개시된 조리기기(1)의 동작의 일 예에 불과하며, 제한은 없다.
도 12는 물 저장부(120)의 인출 동작과 관련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30)의 동작버튼(31)을 터치하여 물 저장부(120)의 인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500).
컨트롤 패널(30)은 인출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부(300)로 수신한 명령을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컨트롤 패널(30)으로부터 사용자의 입출 명령을 전달받고, 모터(131)가 동작시킨다(510).
모터(131)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서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전달받고 동작한다.
일 예에 따른 모터(131)는 물 저장부(120)가 인출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회전 방향이 반드시 시계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기어부(133a) 및 제2기어부(133b)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모터(131)의 동작에 의해서 물 저장부(120)는 제2공간에서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인출된다(520).
일 예로 모터(13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시계 방향의 회전력은 제1기어부(133a)로 전달된다. 이러한 회전력은 제1기어부(133a)를 통해 제2기어부(133b)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제2기어부(133b)는 제1고정브라켓(111a)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물 저장부(120)가 본체(10)의 상부에서 전면을 향해 인출되도록 동작한다.
제1스위치(141)가 제어부(300)로 감지된 신호를 전달한다(530).
제1스위치(141)는 물 저장부(120)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인출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물 저장부(120)에 마련된 돌출부(134)가 이동하여 제1감지부(141a)에 압력을 가하면, 제1스위치(141)는 물 저장부(120)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인출되었다는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만약 제1스위치(141)가 인출 완료 신호를 전달하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계속해서 모터(131)를 동작시키고, 물 저장부(120)가 인출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제1스위치(141)가 인출 완료를 감지하면, 제어부(300)로 감지된 결과를 전달하고, 제어부(300)는 컨트롤 패널(3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인출 동작이 완료 사실을 출력한다(540).
컨트롤 패널(30)에 의해서 출력되는 동작은 도 11a 및 도 11b에서 설명한 UI적 동작 또는 소리 출력 등 다양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물 공급장치(100)는 조리기기(1)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들이 마련되는 제2공간, 즉 전장실(21)에 마련된다. 따라서 물 저장부(120)는 전장실에 마련되고, 모터(131)의 동작에 의해서 전방을 향해 인출된다. 사용자는 편리하게 스팀 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3은 물 저장부(120)의 인입 동작과 관련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다시 컨트롤 패널(30)의 동작버튼(31)을 터치하여 물 저장부(120)의 인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600).
컨트롤 패널(30)은 인입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부(300)로 수신한 명령을 전달한다.
제어부(300)는 컨트롤 패널(30)으로부터 사용자의 인입 명령을 전달받고, 모터(131)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610).
모터(131)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서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전달받고 동작한다.
일 예에 따른 모터(131)는 물 저장부(120)가 인출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회전 방향이 반드시 반시계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기어부(133a) 및 제2기어부(133b)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시계 방향일 수 있다.
모터(131)의 동작에 의해서 물 저장부(120)는 제2공간에서 본체(10)의 후방을 향해 인입된다(620).
일 예로 모터(13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은 제1기어부(133a)로 전달된다. 이러한 회전력은 제1기어부(133a)를 통해 제2기어부(133b)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제2기어부(133b)는 제1고정브라켓(111a)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물 저장부(120)가 본체(10)의 후면을 향해 인입되도록 동작한다.
제2스위치(141)가 제어부(300)로 감지된 신호를 전달한다(630).
제2스위치(141)는 물 저장부(120)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인입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물 저장부(120)에 마련된 돌출부(134)가 이동하여 제2감지부(142a)에 압력을 가하면, 제2스위치(142)는 물 저장부(120)가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인입되었다는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만약 제2스위치(142)가 인입 완료 신호를 전달하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계속해서 모터(131)를 동작시키고, 물 저장부(120)가 인입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제2스위치(142)가 인입 완료를 감지하면, 제어부(300)로 감지된 결과를 전달하고, 제어부(300)는 컨트롤 패널(3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인입 동작이 완료 사실을 출력한다(640).
이러한 제어방법을 통해서 개시된 조리기기(1)는 사용자의 간단한 입력 명령만으로 자동으로 물 공급장치를 노출 또는 인입시킨다. 사용자는 편리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수동으로 물통(121)을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어. 물통(121)을 엎지르는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조리기기 10: 본체
11: 조리실 20: 케이스
21: 전장실 30: 컨트롤 패널
40: 도어 100: 물 공급장치
110: 하우징 120: 물 저장부
130: 구동부 200: 스팀 발생기
220: 보조 스팀 발생기 300: 제어부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공간;
    상기 제1공간과 구획되고, 상기 제1공간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들이 마련되는 제2공간;
    상기 제1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제1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물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제2공간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공간을 닫을 때,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도어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공간을 오픈 할 때,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도어에 의해 전방으로 노출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1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제2공간의 내측에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는 물통; 및
    상기 물통의 유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무캡;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상기 물 저장부 사이를 연결하는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물 저장부와 연결되는 스팀 발생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물통의 인출을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장치는,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스팀 발생기를 연결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공간과 구획되는 제2공간에서, 상기 제1공간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도어가 상기 제1공간을 닫을 때 상기 도어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제1공간을 오픈할 때 상기 도어에 의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인입 또는 인출되는 물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장치는,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 저장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물 저장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장치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16208A 2016-09-09 2016-09-09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21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08A KR102521502B1 (ko) 2016-09-09 2016-09-09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5/698,898 US20180070757A1 (en) 2016-09-09 2017-09-08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7/009891 WO2018048255A1 (en) 2016-09-09 2017-09-08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08A KR102521502B1 (ko) 2016-09-09 2016-09-09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642A KR20180028642A (ko) 2018-03-19
KR102521502B1 true KR102521502B1 (ko) 2023-04-14

Family

ID=6155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208A KR102521502B1 (ko) 2016-09-09 2016-09-09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070757A1 (ko)
KR (1) KR102521502B1 (ko)
WO (1) WO2018048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3394A1 (en) * 2018-04-09 2019-10-16 Whirlpool Corporation Steam generating system
KR102564246B1 (ko) 2018-07-26 2023-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EP3639706B1 (en) * 2018-10-19 2022-06-0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cooking appliance and steam cooking appliance
KR102126485B1 (ko) * 2018-10-23 2020-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SI25743A (sl) * 2018-11-14 2020-05-29 Gorenje Gospodinjski Aparati, D.D. Izvlečni predal pri gospodinjskem aparatu
USD907951S1 (en) * 2019-01-04 2021-01-19 Furrion Property Holding Limited Oven
CN110269512B (zh) * 2019-05-05 2020-09-22 重庆好弟兄食品有限公司 汤水防洒结构
CN113017405B (zh) * 2021-03-01 2022-05-06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水箱缩回的控制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017433A (zh) * 2021-03-01 2021-06-25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一种水箱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475941B (zh) * 2021-08-09 2022-08-05 广东福尔电子有限公司 一种快速、精准检测温度的电锅温度传感器
US20230210297A1 (en) * 2022-01-04 2023-07-06 Whirlpool Corporation Steam oven with check valve at water inlet for steam backflow prevention
KR20240018307A (ko) * 2022-08-02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40018305A (ko) * 2022-08-02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7183A1 (en) 2007-09-14 2009-03-18 Teka Portugal, S.A. Steam oven device and water tank for use in the same
US20100206414A1 (en) * 2007-10-08 2010-08-19 Juergen Adamczak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control panel and having a tank for accommodating a fluid
CN104665570A (zh) 2013-12-24 2015-06-0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平板蒸汽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962Y1 (ko) * 1996-12-31 1999-08-02 조기형 자동 취사기의 밥솥 이송장치
US20070114222A1 (en) * 2005-11-24 2007-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am cooking apparatus
US8596087B2 (en) * 2009-01-15 2013-1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27831B1 (ko) * 2011-04-28 201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조리기기
EP2775217B1 (en) * 2013-03-06 2017-09-06 LG Electronics Inc. Steam cooking appliance
JP6010764B2 (ja) * 2013-03-13 2016-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7183A1 (en) 2007-09-14 2009-03-18 Teka Portugal, S.A. Steam oven device and water tank for use in the same
US20100206414A1 (en) * 2007-10-08 2010-08-19 Juergen Adamczak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control panel and having a tank for accommodating a fluid
CN104665570A (zh) 2013-12-24 2015-06-0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平板蒸汽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70757A1 (en) 2018-03-15
KR20180028642A (ko) 2018-03-19
WO2018048255A1 (en)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502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22964B2 (en)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KR102431187B1 (ko) 냉장고
US11578445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883305B2 (en) Refrigerator
KR102444147B1 (ko) 냉장고
JP6636958B2 (ja) オーブン
TW201443311A (zh) 洗衣機
CN106245282A (zh) 全自动洗衣机
KR20140064008A (ko) 조리기기
KR20130085276A (ko) 세탁기의 도어 개폐 검출 장치
US11847010B2 (en) Appliance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in a safety-critical operation
KR102106847B1 (ko) 조리기기의 도어 자동 개방 제어 방법
KR102481610B1 (ko) 조리기기용 도어 개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EP2672782A1 (en) Microwave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thereof
JP2007093078A (ja) 冷蔵庫
US10830452B2 (en) Appliance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in a safety-critical operation using a touchscreen
JP2012247144A (ja) 加熱調理器
JP2012038458A (ja) 加熱調理器
JP2016217701A (ja) 加熱調理器
KR101675731B1 (ko) 조리기기
KR102219932B1 (ko) 조리기기
JP7065749B2 (ja) 食器洗浄機
JP2005323856A (ja) 洗濯機
CN108625135A (zh) 一种带有悬浮下压式熨斗底板的蒸汽熨烫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