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93B1 - 시스턴을 분리하지 않고 가습 필터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 Google Patents

시스턴을 분리하지 않고 가습 필터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93B1
KR102520993B1 KR1020170083593A KR20170083593A KR102520993B1 KR 102520993 B1 KR102520993 B1 KR 102520993B1 KR 1020170083593 A KR1020170083593 A KR 1020170083593A KR 20170083593 A KR20170083593 A KR 20170083593A KR 102520993 B1 KR102520993 B1 KR 102520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ying filter
humidifying
water container
housing
fil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104A (ko
Inventor
강상우
홍현진
조안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9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4Rotary wheel combined with a humidif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 필터 조립체는 가습 필터(110); 상기 가습 필터(110)가 장착되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상측 일부 또는 측부 일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2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상기 물통(200)이 수용되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 및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하측에 위치되는 승강 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일부에 패널(312)과 개구부(314)가 형성된 상면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400)는 소정의 조건에서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킨다.

Description

시스턴을 분리하지 않고 가습 필터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A humidifier filter assembly capable of checking the humidifying filter without separating the cistern and a humidifier have the same}
본 발명은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턴을 분리하지 않고도 가습 필터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 먼지로 인한 호흡기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 먼지로 인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은 비단 유아나 노약자뿐만 아니라, 건장한 성인들에게도 발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기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목 받고 있는 기기의 예로, 가습기나 공기 청정기를 들 수 있다. 특히 가습기의 경우,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물을 기화시켜 건조한 실내의 습도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
가습기는 물을 기화시키는 방식에 따라 초음파 진동식, 가열식, 자연 기화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자연 기화식 가습기의 경우, 필터에 흡수된 물이 자연 기화되어 실내의 습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이 때 물이 흡수되어 증발되는 필터 및 필터의 주변은 높은 습도로 인해 세균이 쉽게 번식한다.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 물을 끓여서 수증기를 내보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조 내 물의 살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따뜻한 가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에도 물이 흡수되는 가습 필터가 필요한데, 물을 끓이는 과정에서 석출된 광물질이 가습 필터에 부착되어 가습 필터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습 필터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광물질이나 물때 등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가습 필터를 주기적으로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전통적인 가습기의 가습 필터는 외기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에 의한 가습 필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가습기 내부의 깊숙한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가습 필터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가습 필터를 분리하기 어렵다.
이에, 가습 필터를 세척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가습 필터를 좀더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7-0011635호는 자연 기화식 가습기의 필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 필터마다 연결된 가이드 바가 공기 유입부에 형성된 홈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필터가 장착되고, 가이드 바가 홈부에서 분리되면 필터도 같이 분리되는 필터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필터 장치는 자연 기화식 가습기에만 적용될 수 있고, 가열식 가습기에는 적용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7-0005326호는 회전형 가습 필터가 장착되는 가습 필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형 가습 필터가 회전 가능한 가습 필터 케이스에 장착하여, 체결작동부를 통해 가습 필터를 일거에 분리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케이스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가습 필터 케이스는 가습 필터 케이스에서 가습 필터를 분리하기는 용이하나, 가습 필터 케이스가 공기 유입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가습 필터 자체의 분리는 용이하나, 가습 필터를 분리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가습 필터 케이스의 분리 과정은 여전히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3-0055382호는 가습 제습 복합기의 필터 케이스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케이스가 필터 장착부와 손잡이부로 구성되어, 손잡이부를 당기면 필터 케이스의 하측을 축으로 필터 케이스가 회전 이동되어 필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필터 케이스 구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필터 케이스는 가습 필터가 가습기의 하측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시된 기술들에 의한 가습 필터는, 분리되지 않고는 육안으로 가습 필터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7-0011635호(2017.02.02)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7-0005326호(2017.01.12)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3-0055382호(2013.05.2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습 필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가습기에서 가습 필터를 분리하지 않고도 육안으로 가습 필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가습 필터가 가습기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습 필터(110); 상기 가습 필터(110)가 장착되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상측 일부 또는 측부 일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2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상기 물통(200)이 수용되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 및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하측에 위치되는 승강 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일부에 패널(312)과 개구부(314)가 형성된 상면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400)는 소정의 조건에서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키는 가습 필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물통(200)이 탈거되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상기 가습 필터(110)가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400)는 슬라이딩 부재(41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하측에는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수용되는 시스턴(cistern)(500)이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는 수평 이동 가능하게 상기 시스턴(5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는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물통(200)이 탈거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에 의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에는 탄성 부재(420)가 연결되고, 상기 물통(200)이 탈거되면 상기 탄성 부재(420)에 의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에는 탄성 부재(420)가 연결되고, 상기 물통(200)이 탈거된 후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상기 탄성 부재(420)에 의해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420)는 슬라이드 래치(Slide Latch)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에는 탄성 부재(420)가 연결되고,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전면부(330), 후면부(340) 및 측면부(35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버튼(370)이 형성되며, 상기 물통(200)이 탈거된 후 상기 버튼(370)이 눌리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상기 탄성 부재(420)에 의해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배면부(320), 전면부(330), 후면부(340), 측면부(350, 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320)는 개방되어 공기 유입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면부(330), 상기 후면부(340)는 고정된 것이고, 상기 측면부(350, 360) 중 일 측면부(350)는 고정된 것이고, 다른 측면부(360)에는 상기 개구부(314)에서 연속적인 측면 개구부(362)가 형성되며,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하측에는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수용되는 시스턴(50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310)의 개구부(314) 또는 상기 측면부(360)의 측면 개구부(362)를 통해 상기 물통(200)이 탈착되고, 상기 물통(200)이 장착되면,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의 패널(312)의 높이와 상기 물통(200)의 상면부(210)의 높이가 맞추어지고, 상기 물통(200)의 일 측면부(220)는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측면부(3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통(200)이 탈거된 후 상기 시스턴(500)이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된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 필터(110); 상기 가습 필터(110)가 장착되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상측 일부 또는 측부 일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2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상기 물통(200)이 수용되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을 포함하며,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일부에 패널(312)과 개구부(314)가 형성된 상면부(310) 및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에 접하도록 위치되는 가습 유로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 유로 하우징(120)에는, 상기 물통(200)이 탈거되면 상기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일 측면에 홈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130)는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파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습 필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유입부(10); 가습 필터(110); 상기 가습 필터(110)가 장착되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상측 일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2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상기 물통(200)이 수용되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 및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하측에 연결되는 승강 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일부에 패널(312)과 개구부(314)가 형성된 상면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400)는 소정의 조건에서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키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습기에서 가습 필터를 분리하지 않고도 육안으로 가습 필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가습 필터의 세척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습 필터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가습 필터의 세척 또는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물통의 탈거 또는 버튼을 누르는 등의 간단한 과정에 의해 가습 필터가 가습기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습기 사용시 빈번하게 세척이 요구되는 가습 필터 세척을 위해 가습 필터를 분리하기 위한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습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습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습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습기에 포함된 가습 필터 조립체의 내부의 일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가습 유로 하우징을 포함하는 가습 필터 조립체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가습 필터 조립체의 일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가습 필터 조립체의 일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가습 필터 조립체의 일부 및 탄성 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이 전면부 외측에 형성된 가습 필터 조립체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이 후면부 내측에 형성된 가습 필터 조립체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가습 필터 조립체에서 가습 필터가 시스턴의 분리 없이 가습기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가습 필터 조립체에서 가습 필터가 시스턴의 분리 없이 가습기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의 가습 필터 조립체에서 가습 필터가 시스턴의 분리 없이 가습기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가습 필터 조립체에서 가습 필터가 시스턴의 분리 없이 가습기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4의 가습 필터 조립체에서 가습 필터가 시스턴의 분리 없이 가습기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방향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측", "후측",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이라는 용어는, 도 1의 가습기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1. 가습 필터 조립체(20)의 설명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는 공기 유입부(10) 및 가습 필터 조립체(20)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부(10)는 가습 필터 조립체(20)와 결합되어 가습기를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기 유입부(10)는 공기 청정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부(10) 전면에 다수의 공기 구멍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공기 유입부(10)는 오로지 가습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이 경우 공기 유입부(10)의 전면은 막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의 공기 유입부(10)가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청정 기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습 필터 조립체(20)는 실내 습도를 높이는 가습기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습 필터 조립체(20)는 별도로 제작되어 공기 유입부(10)에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가습 필터 조립체(20)는 공기 유입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습 필터 조립체(20)는 공기 유입부(1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가습 필터 조립체(20)는 후술될 물통(200)에서 물을 공급받아 가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공기 유입부(10)의 어느 부분에라도 위치될 수 있다.
가습 필터 조립체(20)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 물통(200) 및 가습 필터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가습 필터 케이스(100)에는 가습 필터(110)가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습 필터 케이스(10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후술될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전면부(330)에 형성되는 팬의 형상에 적합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본 실시 예의 가습기가 공기 청정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화 과정을 거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해 팬이 존재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가습 필터 케이스(100)는 원형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습 필터(110)는 물통(200)에서 공급된 물이 흡수되는 부분이다. 가습 필터(110)에 흡수된 물은 가습 필터(110)의 표면적을 따라 넓게 분포되어 입자의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가습 필터(110)에 흡수된 물은 가습기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에 더욱 잘 섞이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습 필터(11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가습 필터(110)의 형상은 원형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습 필터(110)가 어떤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가습 필터 케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가습 필터 케이스(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 유로 하우징(120)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전측 또는 후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가습 필터 케이스(100)에 접하도록 가습 유로 하우징(120)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습 유로 하우징(120)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후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습 유로 하우징(120)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대안적으로, 원형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형상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가습 필터 케이스(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일 측면에는 홈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될 바와 같이, 물통(200)이 탈거되면 가습 유로 하우징(120)은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이 때,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일 측면에 홈부(130)가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130) 또한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홈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기에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13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물통(200)은 물을 저장하며, 물통(200)에 저장된 물은 가습 필터(110)에 흡수되어 입자가 작아진 후, 실내로 배출된다.
물통(200)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상측 일부 또는 측부 일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통(200)이 장착되면, 가습 필터 케이스(100)는 완전히 가려진다. 따라서, 외부 환경에 의한 가습 필터(110)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물통(200)이 탈거되면 가습 필터 케이스(100), 가습 필터(110) 및 가습 유로 하우징(120)은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즉, 물통(200)을 탈거시키는 동작만으로도 가습 필터(110)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습 필터(110)의 세척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물통(200)이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상측 또는 측부에 장착되기 위해, 물통(200)의 하측 부분의 형상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형상에 맞추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의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형상은 원형이므로, 이에 맞추어 물통(200)의 하측 부분의 형상의 일부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통(200)은 상면부(210) 및 측면부(220)를 포함한다.
상면부(210)는 물통(200)의 상측의 면을 형성한다. 후술될 바와 같이, 물통(200)이 가습 필터 조립체(20)에 결합된 후, 상면부(210)는 후술될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에 형성된 패널(312)과 동일한 높이가 된다. 따라서, 가습 필터 조립체(20)의 상측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측면부(220)는 물통(200)의 일 측면을 형성한다. 후술될 바와 같이, 물통(200)이 가습 필터 조립체(20)에 결합된 후, 측면부(22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측면부(360)를 형성한다.
물통(200)의 하측 부분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상측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물통(200)의 하측 부분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물통(200)의 형상은 상면부(210) 및 측면부(220)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측은 일부 평면을 포함한 원호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ㄱ' 자의 형상이다.
물통(200)의 하측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물통(200)에서 공급되는 물이 가습기에 수용될 수 있게 가습기에도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물통(200)의 하측에 배출부가 형성되므로, 물은 별다른 조작 없이도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습기의 수용부로 공급될 수 있다.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가습 필터 조립체(20)의 구조를 형성하며, 내부에 가습 필터 케이스(100), 물통(200) 및 후술될 시스턴(500)이 수용된다. 이 때,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물통(200)은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서 분리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후술될 개구부(314) 및 측면 개구부(36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직육면체의 형상이다. 대안적으로,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직육면체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어떤 경우라도 공기 유입부(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부(10)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상면부(310), 배면부(320), 전면부(330), 후면부(340), 측면부(350, 360)를 포함한다.
상면부(31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측을 형성한다. 상면부(310)의 일부에는 패널(312)과 개구부(314)가 형성된다. 즉, 패널(312)과 개구부(314)는 상면부(310)의 일부를 형성한다.
패널(312)은 상면부(310)에서 막혀 있는 부분이다. 즉, 패널(312)은 상면부(310)에 고정 결합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면부(310) 전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상면부(310)에는 패널(312) 없이 개구부(314)만 형성되어, 상면부(310) 전체가 개방될 수도 있다.
개구부(314)는 상면부(310)에서 개방되어 있는 부분이다. 개구부(314)의 길이 및 폭은 물통(200)의 상면부(210)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물통(200)이 개구부(314)를 통해 패널(312)의 높이와 물통(200)의 상면부(210)의 높이가 맞추어지도록 장착되면, 상면부(310)는 완전히 폐쇄된다.
다시 말해서, 장착된 물통(200)의 상면부(21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의 일부를 형성한다.
개구부(314)는 후술될 측면 개구부(362)에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물통(200)은 반드시 개구부(314)를 통해서만 탈착될 필요가 없고, 측면 개구부(362)를 통해 탈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배면부(32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하측을 형성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배면부(320)는 완전히 개방되어 공기 유입부(10)의 상측에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배면부(320) 중 일부만 개방될 수도 있고, 이 때 개방된 배면부(320)의 면적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면부(32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공기 유입부(10)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으로 유입된 공기가 가습 필터 조립체(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가습기가 공기 청정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음에 기인한다.
전면부(33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전면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면부(330)에는 팬이 위치되어, 공기가 가습기로부터 팬을 통과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가습기는 선풍기의 역할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면부(330)에는 팬이 위치되지 않고, 기화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미도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부(33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전면부(33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서 분리되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전면부(33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전면부(33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후술될 바와 같이 버튼(370)이 형성될 수 있다.
후면부(34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후면을 형성한다. 후면부(34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고정되어,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서 분리되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후면부(34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후면부(34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후술될 바와 같이 버튼(3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측면부(350, 36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양 측면을 형성한다. 양 측면부(350, 360) 중 일 측면부(35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고정된다. 또한, 다른 측면부(360)에는 측면 개구부(362)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위치된 측면부(35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고정되고, 좌측에 위치된 측면부(360)에 측면 개구부(362)가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고정된 측면부(350) 및 측면 개구부(362)가 형성된 측면부(36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고정된 측면부(35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후술될 바와 같이 버튼(370)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개구부(362)는 측면부(360)에서 개방되어 있는 부분이다. 측면 개구부(362)의 길이 및 폭은 물통(200)의 측면부(220)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물통(200)이 측면 개구부(362)를 통해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장착되면, 물통(200)의 측면부(220)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측면부(360)를 형성하게 되어,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양 측면부(350, 360)는 모두 폐쇄된다.
측면 개구부(362)는 개구부(314)에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물통(200)은 반드시 측면 개구부(362)를 통해서만 탈착될 필요가 없고, 개구부(314)를 통해 탈착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가습 필터 조립체(20)는 승강 부재(400)를 또한 포함한다.
승강 부재(400)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하측에 위치되며, 후술될 시스턴(500) 상측에 위치된다. 승강 부재(400)는 소정의 조건에서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가습 필터 조립체(2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소정의 조건 및 소정의 조건에서 승강 부재(400)가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키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승강 부재(400)는 슬라이딩 부재(410) 및 탄성 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10)는 승강 부재(400)가 시스턴(500)의 상측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승강 부재(400)와 시스턴(500)을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부재(410)는 롤러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슬라이딩 부재(410)는 축과 구름 베어링의 조합체 등 시스턴(500) 상측에서 수평 이동될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10)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물통(200)이 탈거된 후 별도의 추가 부재 없이도 슬라이딩 부재(41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좀더 단순화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10) 자체에 의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탄성 부재(420)는 슬라이딩 부재(410)에 연결된다. 탄성 부재(420)는 물통(200)이 탈거된 후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저장하고 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탄성 부재(420)는 고무나 스프링 등의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탄성 부재(420)는 슬라이딩 부재(410)의 측면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탄성 부재(420)는 슬라이딩 부재(4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재(420)가 슬라이딩 부재(410)의 어느 측에 연결되더라도,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저장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으면 무방하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 부재(420)는 슬라이드 래치(Slide Latch)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물통(200)의 분리 후 사용자에 의해 탄성 부재(420)에 외력이 가해져야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일부 상승될 수 있다. 이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버튼(370)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전면부(330) 및 후면부(34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버튼(370)은 측면부(35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버튼(370)은 전면부(330), 후면부(340) 및 측면부(350)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420)는 버튼(370)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즉, 물통(200)이 탈거된 후 사용자에 의해 버튼(370)이 눌리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튼(370)이 눌리면, 버튼(370)과 탄성 부재(420)를 연결하는 전달 장치(미도시)를 통해 버튼(370)의 조작이 탄성 부재(420)에 전달된다. 이 과정을 통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는데, 그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습 필터 조립체(20)는 시스턴(500)을 또한 포함한다.
시스턴(500)은 물통(200)에서 공급된 물 중 가습 필터(110)에 흡수되지 못한 물 및 가습 필터(110)에 흡수되어 작아진 물 입자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물을 수용한다.
시스턴(500)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하측에 위치되며,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시스턴(500)의 상측에는 승강 부재(400)의 슬라이딩 부재(410)가 위치된다(도 5 참조).
시스턴(500)에는 슬라이딩 부재(410)가 수평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수평 방향의 끝단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2.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는 과정의 설명
전통적인 가습기의 경우, 가습 필터의 상태 확인 및 가습 필터 케이스의 분리를 위해서는 시스턴이 가습기 본체에서 분리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습 필터(110)의 상태 확인 및 필요시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분리가 시스턴(500)의 분리 과정 없이도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소정의 조건에서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어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기 위해, 물통(200)의 탈거가 선행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통(200)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 상측 일부 또는 측부 일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물통(200)이 탈거될 경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각 실시 예에 따라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a) 슬라이딩 부재(410)가 탄성체로 형성된 경우
도 10을 참조하면, 승강 부재(400)는 슬라이딩 부재(410)를 포함한다. 이 때, 승강 부재(400)가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은 물통(200)의 탈거 뿐이다.
즉, 슬라이딩 부재(410)가 탄성체로 형성된 경우, 물통(200)의 탈거만으로 슬라이딩 부재(410)에 저장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된다.
물통(200)이 장착되어 있는 동안, 물통(200) 및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무게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410)가 압축되어 탄성력이 저장된다. 이 때, 물통(200)의 분리만으로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일부 상승되어야 하므로, 슬라이딩 부재(410)에 저장되는 탄성력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와 가습 필터(110)의 무게의 합보다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통(200)이 비어 있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410)에 저장되는 탄성력에 의해 물통(200)이 임의로 탈거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통(200)이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장착되는 부분에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b) 슬라이딩 부재(410)에 탄성 부재(420)가 연결된 경우
도 11을 참조하면, 승강 부재(400)는 슬라이딩 부재(410) 및 탄성 부재(420)를 포함한다. 이 때, 승강 부재(400)가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은 물통(200)의 탈거 뿐이다.
즉, 슬라이딩 부재(410)에 탄성 부재(420)가 연결된 경우, 물통(200)의 탈거 만으로 탄성 부재(420)에 저장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된다.
물통(200)이 장착되어 있는 동안, 물통(200) 및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무게로 인해 탄성 부재(420)가 압축되어 탄성력이 저장된다. 이 때, 물통(200)의 분리만으로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일부 상승되어야 하므로, 탄성 부재(420)에 저장되는 탄성력은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가습 필터(110)의 무게의 합보다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통(200)이 비어 있는 경우 탄성 부재(420)의 탄성력에 의해 물통(200)이 임의로 탈거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통(200)이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장착되는 부분에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410)에 탄성 부재(420)가 연결된 경우에도, 슬라이딩 부재(410)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410) 및 탄성 부재(420)에 저장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일부 상승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딩 부재(410) 및 탄성 부재(420) 각각에 저장되는 탄성력은, 슬라이딩 부재(410)나 탄성 부재(420) 중 어느 하나만 탄성체로 형성된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c) 슬라이딩 부재(410)에 탄성 부재(420)가 연결되고,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도 12를 참조하면, 승강 부재(400)는 슬라이딩 부재(410) 및 탄성 부재(420)를 포함한다. 이 때, 승강 부재(400)가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은 물통(200)의 탈거 및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이다.
즉, 물통(200)이 가습 필터 케이스(100)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에는 탄성 부재(420)가 압축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고 있다가, 물통(200)이 탈거되고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탄성 부재(420)가 인장되며 탄성력이 공급된다. 이를 통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 부재(420)에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압축되어 있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인장될 수 있도록 탄성 부재(42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부재(420)는 슬라이드 래치(Slide Latch)로서, 가습 필터 케이스(100)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돌출부에 의해 하강된 채로 고정되어 있다가, 가습 필터 케이스(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승되어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일부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때, 승강 부재(400)는 물통(200)이 탈거되어도 탄성 부재(420)가 바로 인장되지 않으므로, 물통(200)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미도시)가 요구되지 않는다.
(d)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전면부(330), 후면부 (340) 및 측면부 (35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또는 외측에 버튼(370)이 형성된 경우
도 13을 참조하면, 버튼(370)이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후면부(340)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것은, 버튼(370)이 눌림으로써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상승되는 과정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버튼(370)이 전면부(330), 후면부(340) 및 측면부(35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때, 승강 부재(400)가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키기 위한 소정의 조건은 물통(200)의 탈거 및 버튼(370)이 눌리는 것이다.
즉, 물통(200)이 탈거된 후, 사용자가 버튼(370)을 누르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탄성 부재(420)에 의해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된다.
이를 위해, 버튼(370)의 눌림을 탄성 부재(420)에 전달할 수 있게 버튼(370)과 탄성 부재(420)를 연결하는 전달 장치(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전달 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버튼(370)에 가해진 물리력을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달 장치가 물 또는 습기가 존재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20)의 내부에 위치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달 장치는 물리력을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370)이 눌려야만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돌출되도록, 탄성 부재(420)에는 탄성 부재(42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버튼(370)이 눌리기 전에는 돌출부에 의해 탄성 부재(420)가 압축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고 있다가, 버튼(370)이 눌려 전달 장치를 통해 탄성 부재(420)에 버튼(370)의 눌림이 전달되면 탄성 부재(420)가 인장된다. 이를 통해 가습 필터 케이스(100)에 탄성력이 전달되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일부 상승된다.
3.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일 측면에 홈부(130)가 형성된 경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분리되는 과정의 설명
전통적인 가습기의 경우, 가습 필터의 상태 확인 및 가습 필터 케이스의 분리를 위해서는 시스턴이 가습기 본체에서 분리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습 필터(110)의 상태 확인 및 필요시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분리가 시스턴(500)의 분리 과정 없이도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부(130)가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일 측면에 홈부(130)가 형성된다. 이 때, 물통(200)이 탈거되면, 가습 유로 하우징(120)이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고,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일 측면에 형성된 홈부(130) 또한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홈부(130)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고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파지하여 들어올림으로써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분리될 수 있다. 즉, 별도의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일부 상승 과정 없이도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분리될 수 있다.
즉,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일 측면에 형성된 홈부(130)가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물통(200)이 탈거된 후, 가습 유로 하우징(120)에 형성된 홈부(130)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파지하여 가습 필터 조립체(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가장 큰 장점은, 슬라이딩 부재(410)의 재질에 구애되지 않고, 별도의 추가 부재 없이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일 측면에 홈부(130)가 형성되는 것만으로도 시스턴(500)에서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모든 과정에서, 물통(200)의 탈거만으로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가습 필터(110)가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시스턴(500)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가습 필터(110)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가습 필터(110)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할 경우, 전술한 각 과정을 통해 시스턴(500)의 분리 없이 가습 필터 케이스(100)만 시스턴(5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a) 내지 (d)의 소정의 조건에 따라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될 수 있다.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일부 상승되면, 사용자는 이를 손쉽게 파지하여 들어올림으로써 시스턴(500)의 분리 없이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분리할 수 있다.
(e)의 경우, 별도의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일부 상승 과정 없이 바로 시스턴(500)의 분리 없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예에 따라 승강 부재(400)에 의해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기 위한 소정의 조건은 한 가지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a) 내지 (d)의 조건들이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소정의 조건이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a) 내지 (d)의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정의 조건에 (e)의 조건이 추가되어,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공기 유입부
20 : 가습 필터 조립체
100 : 가습 필터 케이스
110 : 가습 필터
120 : 가습 유로 하우징
130 : 홈부
200 : 물통
210 : 상면부
220 : 측면부
300 : 가습 필터 하우징
310 : 상면부
312 : 패널
314 : 개구부
320 : 배면부
330 : 전면부
340 : 후면부
350 : 측면부
360 : 측면부
362 : 측면 개구부
370 : 버튼
400 : 승강 부재
410 : 슬라이딩 부재
420 : 탄성 부재
500 : 시스턴

Claims (13)

  1. 가습 필터(110);
    상기 가습 필터(110)가 장착되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상측 일부 또는 측부 일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2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상기 물통(200)이 수용되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 및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하측에 위치되는 승강 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일부에 패널(312)과 개구부(314)가 형성된 상면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400)는 상기 물통(200)이 탈거되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 시키는,
    가습 필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200)이 탈거되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상기 가습 필터(110)가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400)는 슬라이딩 부재(41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하측에는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수용되는 시스턴(cistern)(500)이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는 수평 이동 가능하게 상기 시스턴(500)에 연결되는,
    가습 필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는 탄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물통(200)이 탈거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에 의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는,
    가습 필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에는 탄성 부재(420)가 연결되고,
    상기 물통(200)이 탈거되면 상기 탄성 부재(420)에 의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는,
    가습 필터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에는 탄성 부재(420)가 연결되고,
    상기 물통(200)이 탈거된 후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상기 탄성 부재(420)에 의해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는,
    가습 필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420)는 슬라이드 래치(Slide Latch)인,
    가습 필터 조립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410)에는 탄성 부재(420)가 연결되고,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전면부(330), 후면부(340) 및 측면부(35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버튼(370)이 형성되며,
    상기 물통(200)이 탈거된 후 상기 버튼(370)이 눌리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상기 탄성 부재(420)에 의해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되는,
    가습 필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배면부(320), 전면부(330), 후면부(340), 측면부(350, 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320)는 개방되어 공기 유입부(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면부(330), 상기 후면부(340)는 고정된 것이고,
    상기 측면부(350, 360) 중 일 측면부(350)는 고정된 것이고, 다른 측면부(360)에는 상기 개구부(314)에서 연속적인 측면 개구부(362)가 형성되며,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의 하측에는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수용되는 시스턴(500)이 위치되는,
    가습 필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310)의 개구부(314) 또는 상기 측면부(360)의 측면 개구부(362)를 통해 상기 물통(200)이 탈착되고,
    상기 물통(200)이 장착되면,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의 패널(312)의 높이와 상기 물통(200)의 상면부(210)의 높이가 맞추어지고,
    상기 물통(200)의 일 측면부(220)는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측면부(360)를 형성하는,
    가습 필터 조립체.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200)이 탈거된 후 상기 시스턴(500)이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된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만 분리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에 접하도록 위치되는 가습 유로 하우징(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 유로 하우징(120)에는, 상기 물통(200)이 탈거되면 상기 가습 유로 하우징(120)의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일 측면에 홈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130)는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가 파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습 필터 조립체.
  13. 공기 유입부(10);
    가습 필터(110);
    상기 가습 필터(110)가 장착되는 가습 필터 케이스(1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상측 일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200);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및 상기 물통(200)이 수용되는 가습 필터 하우징(300); 및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 하측에 연결되는 승강 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은,
    일부에 패널(312)과 개구부(314)가 형성된 상면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400)는 상기 물통(200)이 탈거되면 상기 가습 필터 케이스(100)를 상기 가습 필터 하우징(300)의 상면부(310)를 향해 일부 상승시키는,
    가습기.
KR1020170083593A 2017-06-30 2017-06-30 시스턴을 분리하지 않고 가습 필터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2520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593A KR102520993B1 (ko) 2017-06-30 2017-06-30 시스턴을 분리하지 않고 가습 필터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593A KR102520993B1 (ko) 2017-06-30 2017-06-30 시스턴을 분리하지 않고 가습 필터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04A KR20190003104A (ko) 2019-01-09
KR102520993B1 true KR102520993B1 (ko) 2023-04-12

Family

ID=6501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593A KR102520993B1 (ko) 2017-06-30 2017-06-30 시스턴을 분리하지 않고 가습 필터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9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2854A (ja) 2009-06-30 2011-01-20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US20120164935A1 (en) 2010-12-23 2012-06-28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981B1 (ko) * 2010-12-23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30055382A (ko) 2011-11-18 2013-05-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제습 복합기의 필터 케이스 구조
KR102416840B1 (ko) 2015-07-03 2022-07-07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필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KR101718616B1 (ko) 2015-07-23 2017-03-24 (주)비케이더블유 기화식 가습기의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2854A (ja) 2009-06-30 2011-01-20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US20120164935A1 (en) 2010-12-23 2012-06-28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04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6940B2 (en) Vacuum cleaner with sterilizing system
KR102438130B1 (ko) 공기청정기
KR10266512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EP2400866B1 (en) Clean room, clean room suit and arrangement therefor
US20150276242A1 (en) Dehumidifier
CN102482828B (zh) 洗衣机和烘干机
US7926143B2 (en) Vacuum cleaner
KR101119118B1 (ko) 필터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
US20200375428A1 (en) Vacuum
KR102520993B1 (ko) 시스턴을 분리하지 않고 가습 필터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습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기
KR200448494Y1 (ko) 전기청소기
KR102092223B1 (ko)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KR100848535B1 (ko) 자연증발식 가습기
JP6921205B2 (ja) 加湿装置
KR20170104870A (ko) 이오나이저를 구비한 핸디형 진공청소기
KR101476209B1 (ko) 침구 청소기
KR101212586B1 (ko) 공기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여과방법
JP2012524583A (ja) 空気処理装置
KR20180002308A (ko) 클린 장치
KR20210120274A (ko)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KR100558273B1 (ko) 자연 가습 시스템과 이를 구비한 자연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0410131Y1 (ko) 탈부착식 자외선 살균기를 갖는 진공청소기
KR20210144337A (ko) 공기 청정기
KR20090015389A (ko) 공기청정기
KR102371161B1 (ko) 제가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