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769B1 - 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 Google Patents

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769B1
KR102517769B1 KR1020220159302A KR20220159302A KR102517769B1 KR 102517769 B1 KR102517769 B1 KR 102517769B1 KR 1020220159302 A KR1020220159302 A KR 1020220159302A KR 20220159302 A KR20220159302 A KR 20220159302A KR 102517769 B1 KR102517769 B1 KR 10251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air inlet
exhaust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9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왕유식
김지훈
전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빛
Priority to KR102022015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7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2Removal of heat by liquids or two-phase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The technical challenge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s to provide a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capable of filtering the outdoor air to be brought inside when the window is closed, preventing the inflow of external fine dust by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to the outside and simultaneously filtering the indoor air and circulating it internally, and removing internal carbon dioxide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bstances that cause sick building syndrom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including: a housing coupled in a hexahedral shape to a portion of a window frame; an air inlet which brings in outside air; a first air inlet pipe which allows air to flow in an internal direction; a second air inlet pipe which allows air to flow upward; an air filtering unit which filters external air and sends it upward; an intake fan which intakes filtered outside air in an inward direction; a third air inlet pipe which allows air to flow in an internal direction; an air intake port which intakes filtered outside air; a first air exhaust port for exhausting internal air; an exhaust fan which exhausts internal air to the outside; an air exhaust pipe which allows the exhausted air to flow in an outward direction; a second air exhaust port which exhausts air to the outside; an air circulation pipe connecting the air exhaust pipe and the first air inlet pipe; and a hot and cold air supply unit installed between the air circulation pipe and the air exhaust pipe.

Description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본 발명은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건물에 설치된 창은 실내에서 실외를 관망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에 자연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 외에도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창은 일정한 크기의 창틀 프레임에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태로 설치되고,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경우에는 창문을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개방된 창문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The windows installed in the building are designed to allow the indoors to view the outdoors and to ventilate polluted indoor air in addition to providing natural light to the indoors. When the indoor air is ventilated, the window is opened. In this case, the indoor air can be ventilated in a short time through the open window.

하지만, 환기가 이루어지는 동안 열려진 창문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소음, 매연, 스모그, 먼지, 황사 및 꽃가루가 여과 없이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고, 겨울철에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킬 경우에는 차가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온도를 떨어뜨리고, 이로 인해 떨어진 실내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난방장치를 가동시킴에 따른 추가적인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soot, smog, dust, yellow dust and pollen from the outside flow into the room without filtering through the open window during ventilation and contaminate the indoor air. Cold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o lower the room temperature, which causes additional energy loss due to the operation of a heating device to increase the dropped room temperature.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는 것이 좋다. 특히, 근래에 들어 실내공기는 실내에서 음식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나 각종 건축자재와 전자기기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물질등에 의하여 쉽게 오염되는데, 이렇게 오염된 공기가 실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면 거주자의 건강을 악화시키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주어야 한다.In order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it is good to ventilate by opening windows at regular intervals.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door air is easily polluted by combustion gas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oking indoors or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by various building materials and electronic devices. It can worsen the health of the person and cause various diseases, so to prevent this, ventilation should be provided periodically.

또, 최근 들어, 실내에서의 활동시간 증가에 따른 실내 환경 및 실내공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데, 공공주택 등에서는 창문의 기밀성이 높을수록 에너지 손실율은 작아지지만 환기량도 아울러 작아지기 때문에 실내공기 질의 저하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공기청정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신선한 외부공기의 지속적인 유입을 차단한 채,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단순히 실내에서 반복하여 순환시키기 때문에 그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recently,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indoor environment and indoor air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indoor activity time. Quality degradation is unavoidable. Air purifier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for the purpose of purifying the polluted indoor air, but these air purifiers purify the polluted indoor air while blocking the continuous inflow of fresh outside air and simply circulate it repeatedly indoor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of its effectiveness being low.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환기의 수행객체인 창문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형태의 기구로 구현되기 때문에,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자 하는 경우 우선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킨 이후 상기 유입된 공기에 대하여 공기청정 동작을 수행하므로, 환기에 있어서는 공기청정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도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킬 때 외부 공기가 필터링 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청정 본연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환기의 효율 또한 동시에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청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type of mechanism separate from the window, which is a ventilation object, when you want to ventilate by opening the window, first introduce outside air into the room, and then Since the air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ai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lost in venti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velopment of an air purifying device that can simultaneously maximize the efficiency of ventilation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function of air cleaning by allowing outside air to be filtered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when ventilation is performed by opening windows in ordinary homes this is being requested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유입할 수 있고 또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 순환시킴으로써 외부의 미세 먼지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의 이산화탄소와 VOC(새집증후군 유발 물질)를 제거할 수 있는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lter the outside air while the window is closed and introduce it into the inside, and also filter the inside air while discharging the inside air to the outside and circulate it inside to prevent the inflow of fine dust from the outside. It is to provide a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capable of preventing and removing internal carbon dioxide and VOC (sick house syndrome inducing substances).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는 창틀의 일부 영역에 육면체 형태로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내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1공기 유입관; 상기 제1공기 유입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가 상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2공기 유입관; 상기 제2공기 유입관에 설치되어 유입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부 방향으로 보내는 공기 필터링부; 상기 공기 필터링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외부 공기를 내부 방향으로 흡기하는 흡기팬; 상기 흡기팬으로부터 흡기되는 흡기 공기가 내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3공기 유입관; 상기 제3공기 유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외부 공기를 흡기하는 공기 흡기구;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배기하는 제1공기 배기구; 상기 제1공기 배기구에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팬; 상기 배기팬으로부터 배기된 공기가 외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공기 배기관; 상기 하우징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기관으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제2공기 배기구; 상기 공기 배기관과 상기 제1공기 유입관을 연결하는 공기 순환관; 상기 공기 순환관과 상기 공기 배기관 사이에 설치된 냉온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upled to a portion of a window frame in a hexahedral shape; an air inlet installed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introduce external air; a first air inlet pipe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port flows in an inward direction; a second air inlet pipe installed above the first air inlet pipe to allow the introduced air to flow upward; an air filtering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air inlet pipe to filter the introduced outside air and send it upward; an intake fan installed on top of the air filtering unit to intake the filtered outside air in an inward direction; a third air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intake air taken from the intake fan flows in an inward direction; an air intake port connected to the third air inlet pipe and install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intake filtered external air; a first air outlet install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o exhaust internal air; an exhaust fan installed in the first air exhaust port to exhaust internal air to the outside; an air exhaust pipe through which the air exhausted from the exhaust fan flows outward; a second air exhaust port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o exhaust air from the air exhaust pipe to the outside; an air circulation pipe connecting the air exhaust pipe and the first air inlet pipe; A cold or warm air supply unit installed between the air circulation pipe and the air exhaust pipe may be included.

일부 예들에서, 상기 냉온기 공급부는 상기 공기 순환관에 설치된 열전 소자부와, 상기 열전 소자부의 상부에 설치된 열전 소자용 팬과, 상기 열전 소자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기관에 위치되는 열전 소자용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cold and warm air supply unit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installed in the air circulation pipe, a thermoelectric element fan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it,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it and positioned in the air exhaust pipe. A heat dissipation fin may be included.

일부 예들에서, 상기 방열핀의 하부로서 상기 공기 배기관의 하부에 설치된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의 물을 상기 방열핀에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tray installed below the air exhaust pipe as a lower portion of the heat radiation fin, and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ater from the water tray to the heat radiation fin.

일부 예들에서, 상기 스프레이 노즐은 상기 배기팬과 상기 열전 소자용 방열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spray nozzl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exhaust fan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for the thermoelectric element.

일부 예들에서, 상기 공기 유입구에 인접한 상기 제1공기 유입관의 영역과 상기 제2공기 배기구에 인접한 공기 배기관의 영역 사이에 연결된 빗방울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it may further include a raindrop discharge pipe connected between a region of the first air inlet pipe adjacent to the air inlet and a region of the air exhaust pipe adjacent to the second air outlet.

본 발명은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유입할 수 있고 또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 순환시킴으로써 외부의 미세 먼지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의 이산화탄소와 VOC(새집증후군 유발 물질)를 제거할 수 있는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ilter outside air and introduce it into the inside while the window is closed, and can prevent the inflow of fine dust from the outside by discharging the inside air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filtering and circulating the inside air to the inside. It provides a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that can remove carbon dioxide and VOC (sick house syndrome inducing substan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의 측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중에서 냉온기 공급부 및 스프레이 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structure of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a cold and warm air supply unit and a spray nozzle in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can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he following examples It is not limited.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addition, the meaning of "connec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not only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indirectly connected by interposing member C between member A and member B.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when used herein, “comprise, include” and/or “comprising, including” refers to a referenced form, number, step, operation, member, element, and/or group thereof. presence, bu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or portions, but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or portions are limited by these terms. It is self-evident that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in detail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Space-related terms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and “upper” are associated with an element or feature shown in a drawing. It can be used for easy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erminology related to this space is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process conditions or us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in a figure is turned over, an element or feature described as "lower" or "below" becomes "above" or "above." Accordingly, "below" is a concept encompassing "upper" or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100)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100)는 창틀(101)의 일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창문은 양미닺이창, 외측여닫이창, 내측여닫이창, 양여닫이창 등일 수 있고, 이러한 창의 일측에 별도의 창틀(102)이 구비되고, 상기 별도로 구비된 창틀(102)에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환기 청정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 1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partial area of the window frame 101 . In some examples, the window may be a double-sided window, an outer casement window, an inner casement window, a double casement window, and the like, and a separate window frame 10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ndow, and the view on the separately provided window frame 102 An exemplary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install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100)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100)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환기 청정기(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111)이 창틀(101)의 일부 영역(102)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11)은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전면과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의 전면 상,하부에 각각 공기 흡기구(118) 및 공기 배기구(제1공기 배기구(119))가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111)의 후면 상,하부에 각각 공기 유입구(112) 및 공기 배기구(제2공기 배기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우징(111)의 전면 중앙에 공기 오염도, 공기 온도, 동작 여부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4)가 구비될 수 있다.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 some examples, the exemplary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using 111, which is coupled to and fixed to a portion 102 of the window frame 101 It can be.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using 111 may include front and rear surfaces with relatively small widths. An air inlet 118 and an air outlet (first air outlet 119)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front surfaces of the housing 111, and air inlets 112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111, respectively. And an air exhaust port (second air exhaust port 122) may be provided. In some examples, a display 134 displaying air pollution, air temperature, operation status,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housing 111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100)의 측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100)중에서 냉온기 공급부(124) 및 스프레이 노즐(129)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structure of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 and a view showing the spray nozzle 129.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환기 청정기(100)는 하우징(111)과, 공기 유입구(112)와, 제1공기 유입관(113)과, 제2공기 유입관(114)과, 공기 필터링부(115)와, 흡기팬(116)과, 제3공기 유입관(117)과, 공기 흡기구(118)와, 제1공기 배기구(119)와, 배기팬(120)과, 공기 배기관(121)과, 제2공기 배기구(122)와, 공기 순환관(123)과, 냉온기 공급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3, 4a and 4b, an exemplary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1, an air inlet 112, a first air inlet pipe 113, 2 air inlet pipe 114, air filtering unit 115, intake fan 116, third air inlet pipe 117, air intake port 118, first air exhaust port 119, exhaust It may include a fan 120, an air exhaust pipe 121, a second air outlet 122, an air circulation pipe 123, and a cold or warm air supply unit 124.

일부 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환기 청정기(100)는 물받이(128)와 스프레이 노즐(1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an exemplary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drip tray 128 and a spray nozzle 129 .

일부 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환기 청정기(100)는 빗방울 배출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an exemplary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raindrop outlet pipe 130 .

일부 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환기 청정기(100)는 먼지 센서(131)와, 전원 공급부(132)와, 가스 센서(133)와, 디스플레이(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an exemplary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dust sensor 131 , a power supply 132 , a gas sensor 133 , and a display 134 .

하우징(1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1)은 플라스틱, 금속, 및/또는 금속 복합체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창틀(101)에 직접 결합되며, 내부에 다양한 구성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11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The housing 111 may be made of plastic, metal, and/or metal composite, and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window frame 101 and may include spaces to accommodate various components therein.

공기 유입구(112)는 하우징(111)의 상부 외측(후면)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공기 유입구(112)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12)는 후면에서 전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외부의 먼지나 빗방울이 하우징(111)의 내부로 들어가기 어렵도록 한다.The air inlet 112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outer sid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1 to introduce outside air. In some examples, air inlet 112 may include multiple through holes. The air inlet 112 is inclined upward from the rear to the front, so that it is difficult for external dust or raindrops to enter the housing 111 .

제1공기 유입관(113)은 공기 유입구(112)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내부 방향으로(전면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우징(111)의 후면에서 전면까지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공기 유입관(113)은 바닥면이 후면에서 전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유입된 먼지나 빗방울이 하기할 빗방울 배출관(130)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air inlet pipe 113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1 to the front surface so that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112 flows in an inward direction (front direction). In some example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is inclined upward from the rear to the front, so that the introduced dust or raindrops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aindrop discharge pipe 130 to be described.

제2공기 유입관(114)은 제1공기 유입관(1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가 상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공기 유입관(114)의 폭은 제1공기 유입관(113)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The second air inlet pipe 114 may be installed above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so that the introduced air flows upward. In some examples, the width of the second air inlet pipe 114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

공기 필터링부(115)는 제2공기 유입관(114)에 설치되어 유입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부 방향으로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 필터링부(115)는 외부의 먼지, 미세 먼지, 연기, 냄새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필터링부(115)는 내부의 이산화탄소, VOCs(휘발성 유기 화합물), 라돈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공기 필터링부(115)는 헤파 필터(H13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filtering unit 115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air inlet pipe 114 to filter the introduced external air and send it upward. The air filtering unit 115 may filter external dust, fine dust, smoke, odo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ir filtering unit 115 may filter internal carbon dioxide,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radon, and the like. In some examples, the air filtering unit 115 may include a HEPA filter (H13 filter).

흡기팬(116)은 공기 필터링부(115)의 상부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외부 공기를 내부 방향으로 흡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흡기팬(116)은 전동 모터 및 이에 결합된 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ake fan 116 may be installed above the air filtering unit 115 to intake the filtered external air in an inward direction. In some examples, the intake fan 116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and a fan coupled thereto.

제3공기 유입관(117)은 흡기팬(116)으로부터 흡기되는 흡기 공기가 내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3공기 유입관(117)은 상술한 제2공기 유입관(114)과 유사하게 바닥부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The third air intake pipe 117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ntake air taken from the intake fan 116 flows inward. In some examples, the third air inlet pipe 117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portion inclined upward from the rear toward the front,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second air inlet pipe 114 .

공기 흡기구(118)는 제3공기 유입관(117)에 연결되고 하우징(111)의 상부 내측(전면)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외부 공기를 흡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공기 흡기구(118)는 공기 흡기방향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intake port 118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air inlet pipe 117 and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inner sid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1 to intake filtered external air. In some examples, the air intake port 118 may include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ir intake direction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공기 배기구(119)는 하우징(111)의 하부 내측(전면)에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공기 배기구(119)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공기 배기구(119)는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여 수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air exhaust port 119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inner sid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1 to exhaust internal air to the outside. In some examples, the first air outlet 119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some examples, the first air outlet 119 may be provided horizontal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배기팬(120)은 제1공기 배기구(119)에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기팬(120)은 전동 모터와 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fan 12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air exhaust port 119 to exhaust internal air to the outside. The exhaust fan 120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and a fan.

공기 배기관(121)은 배기팬(120)으로부터 배기된 공기가 외부 방향으로(전면에서 후면으로)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공기 배기관(121)의 직경은 제1공기 유입관(113)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공기 배기관(121)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The air exhaust pipe 121 may be configured so that air exhausted from the exhaust fan 120 flows out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some examples, the diameter of the air exhaust pipe 121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 In some examples, the air exhaust pipe 121 may be provided with a downward slope from the front to the rear.

제2공기 배기구(122)는 하우징(111)의 하부 외측(후면)에 설치되어 공기 배기관(121)으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공기 배기구(122)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공기 배기구(122)는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외부의 먼지나 빗방울이 하우징(111)의 내부로 들어가기 어렵다.The second air exhaust port 122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id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1 to exhaust air from the air exhaust pipe 121 to the outside. In some examples, the second air outlet 1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second air outlet 122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so that it is difficult for external dust or raindrops to enter the housing 111 .

공기 순환관(123)은 공기 배기관(121)과 제1공기 유입관(113)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공기 순환관(123)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pipe 123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air exhaust pipe 121 and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 In some examples, the air circulation pipe 123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from bottom to top.

냉온기 공급부(124)는 공기 순환관(123)과 공기 배기관(121)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냉기 또는 온기가 제1공기 유입관(113)에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ld or hot air supply unit 124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air circulation pipe 123 and the air exhaust pipe 121 so that cold air or warm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

일부 예들에서, 냉온기 공급부(124)는 공기 순환관(123)에 설치된 열전 소자부(125)와, 열전 소자부(125)의 상부에 설치된 열전 소자용 팬(126)과, 열전 소자부(125)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 배기관(121)에 위치되는 다수의 열전 소자용 방열핀(127)을 포함할 수 있다. 냉온기 공급부(124)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냉기를 공급하거나 온기를 공급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cold and warm air supply unit 124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125 installed in the air circulation pipe 123, a fan 126 for a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on top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it 125,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 125)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127 for thermoelectric elements positioned in the air exhaust pipe 121. The cold or warm air supply unit 124 may supply cold air or warm air according to user settings.

물받이(128)는 방열핀(127)의 하부로서 공기 배기관(12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레이 노즐(129)은 배기팬(120)과 열전 소자용 방열핀(127)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프레이 노즐(129)의 하단에는 물받이(128)의 물을 방열핀(127)으로 분사하도록 하는 모터 펌프가 결합될 수 있다. 스프레이 노즐(129)을 통해 분사된 물은 다시 물받이(128)에 수용되거나 또는 공기 배기관(121) 및 제2공기 배기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The drip tray 128 may be installed below the air exhaust pipe 121 as a lower portion of the heat radiation fin 127 . The spray nozzle 129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exhaust fan 120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127 for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some examples, a motor pump may b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pray nozzle 129 to spray water from the water tray 128 to the heat radiation fin 127 .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129 may be received in the drip tray 128 again or may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exhaust pipe 121 and the second air exhaust port 122 .

빗방울 배출관(130)은 공기 유입구(112)에 인접한 제1공기 유입관(113)의 일부 영역과 제2공기 배기구(122)에 인접한 공기 배기관(121)의 일부 영역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빗방울 배출관(130)은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제공됨으로써, 제1공기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빗방울이나 먼지가 빗방울 배출관(130)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여 다시 제2공기 배기구(122)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raindrop discharge pipe 130 may be provided between a portion of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adjacent to the air inlet 112 and a portion of the air exhaust pipe 121 adjacent to the second air outlet 122 . The raindrop discharge pipe 130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so that raindrops or dust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12 fall downward through the raindrop discharge pipe 130 and are discharged to the second air outlet 122 again. do.

먼지 센서(131)는 하우징(111)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내부의 먼지 농도를 센싱하여 디스플레이(134)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전원 공급부(132)는 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된 다양한 부품(예를 들면, 모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냉온기 공급부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스 센서(133) 역시 하우징(111)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 농도, 가스 농도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ust sensor 131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111, which senses the concentration of dust inside and displays it through the display 134. The power supply unit 132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various part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1 (eg, a motor, a central processing unit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 memory, a cooler or heater supply unit, etc.). The gas sensor 133 may also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111 .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134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dust concentration and gas concentr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100)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외부의 공기는 공기 유입구(112)를 통해 제1공기 유입관(113)으로 유입된다. 제1공기 유입관(113)의 공기는 제2공기 유입관(114)으로 흐르며, 이는 공기 필터링부(115)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에 있을 수 있는 먼지 및 미세 먼지 등이 필터링될 수 있다. 한편, 공기 필터링부(115)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흡기팬(116)을 통해 제3공기 유입관(117) 및 공기 흡기구(118)를 통해 내부(실내)로 유입된다.First,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through the air inlet 112 . Air in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flows into the second air inlet pipe 114, which is filtered by the air filtering unit 115. Accordingly, dust and fine dust that may exist in the outside air may be filtered. Meanwhile, the air filtered by the air filtering unit 115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room) through the intake fan 116 and the third air intake pipe 117 and the air intake port 118 .

한편, 공기 유입구(112)를 통해 들어온 빗방울은 제1공기 유입관(113) 및 빗방울 배출관(130)을 통해 공기 배기관(121)으로 낙하된다. 이후, 제2공기 배기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Meanwhile, raindrops entering through the air inlet 112 fall into the air exhaust pipe 121 through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and the raindrop discharge pipe 130 . Then,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air exhaust port 122 .

한편, 내부 공기(음식 냄새 및 각종 가스 포함)는 제1공기 배기구(119)를 통해 배출되며, 배기팬(120)을 통해 강제 배기된다. 또한, 내부 공기는 공기 배기관(121) 및 제2공기 배기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Meanwhile, internal air (including food odors and various gases)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exhaust port 119 and is forcibly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fan 120 . In addition, internal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exhaust pipe 121 and the second air exhaust port 122 .

더불어, 내부 공기는 냉온기 공급부(124)를 통해 냉기 또는 온기의 상태로 공기 순환관(123)에 공급된다. 여기서, 냉온기 공급부(124)에 열전소자용 팬(12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연드럽게 공기 순환을 통해 상부로 전달된다. 공기 순환관(123)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제1공기 유입관(113), 제2공기 유입관(114), 공기 필터링부(115), 흡기팬(116), 제3공기 유입관(117) 및 제2공기 유입구(112)를 통해 다시 내부에 공급된다.In addition, the in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air circulation pipe 123 in a state of cold or warm air through the cold or warm air supply unit 124 . Here, since the fan 126 for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in the cold and warm air supply unit 124, the air is naturally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through air circulation.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ipe 123 passes through the first air inlet pipe 113, the second air inlet pipe 114, the air filtering unit 115, the intake fan 116, and the third air inlet pipe 117. And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12 is supplied to the inside again.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100)는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유입할 수 있고 또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 순환시킴으로써 외부의 미세 먼지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의 이산화탄소, 음식 냄새, VOC(새집증후군 유발 물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ilter outside air and introduce it into the inside while the window is closed, and also discharges the inside air to the outside while filtering the inside air at the same time By circulating it in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fine dust from the outside,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carbon dioxide, food odor, and VOC (a substance that causes sick house syndrome) insid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n exemplary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100;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환기 청정기
101; 창틀 111; 하우징
112; 공기 유입구 113; 제1공기 유입관
114; 제2공기 유입관 115; 공기 필터링부
116; 흡기팬 117; 제3공기 유입관
118; 공기 흡기구 119; 제1공기 배기구
120; 배기팬 121; 공기 배기관
122; 제2공기 배기구 123; 공기 순환관
124; 냉온기 공급부 125; 열전 소자부
126; 열전 소자용 팬 127; 열전 소자용 방열핀
128; 물받이 129; 스프레이 노즐
130; 빗방울 배출관 131; 먼지 센서
132; 전원 공급부 133; 가스 센서
134; 디스플레이
100; Exemplary ventilation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1; window frame 111; housing
112; air inlet 113; 1st air intake pipe
114; Second air inlet pipe 115; air filtering section
116; intake fan 117; 3rd air inlet pipe
118; air intake 119; 1st air exhaust port
120; Exhaust fan 121; air exhaust pipe
122; Second air exhaust port 123; air circulation pipe
124; Cold and hot air supply unit 125; thermoelectric element part
126; Fan 127 for a thermoelectric element; Radiating Fins for Thermoelectric Elements
128; Water tray 129; spray nozzle
130; Raindrop discharge pipe 131; dust sensor
132; power supply unit 133; gas sensor
134; display

Claims (5)

창틀의 일부 영역에 육면체 형태로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내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1공기 유입관;
상기 제1공기 유입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가 상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2공기 유입관;
상기 제2공기 유입관에 설치되어 유입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부 방향으로 보내는 공기 필터링부;
상기 공기 필터링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외부 공기를 내부 방향으로 흡기하는 흡기팬;
상기 흡기팬으로부터 흡기되는 흡기 공기가 내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제3공기 유입관;
상기 제3공기 유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외부 공기를 흡기하는 공기 흡기구;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배기하는 제1공기 배기구;
상기 제1공기 배기구에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팬;
상기 배기팬으로부터 배기된 공기가 외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공기 배기관;
상기 하우징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기관으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제2공기 배기구;
상기 공기 배기관과 상기 제1공기 유입관을 연결하는 공기 순환관;
상기 공기 순환관과 상기 공기 배기관 사이에 설치된 냉온기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온기 공급부는 상기 공기 순환관에 설치된 열전 소자부와, 상기 열전 소자부의 상부에 설치된 열전 소자용 팬과, 상기 열전 소자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기관에 위치되는 열전 소자용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핀의 하부로서 상기 공기 배기관의 하부에 설치된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의 물을 상기 방열핀에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을 더 포함하는,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
a housing coupled to a portion of the window frame in a hexahedral shape;
an air inlet installed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introduce external air;
a first air inlet pipe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port flows in an inward direction;
a second air inlet pipe installed above the first air inlet pipe to allow the introduced air to flow upward;
an air filtering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air inlet pipe to filter the introduced outside air and send it upward;
an intake fan installed on top of the air filtering unit to intake the filtered outside air in an inward direction;
a third air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intake air taken from the intake fan flows in an inward direction;
an air intake port connected to the third air inlet pipe and install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intake filtered external air;
a first air outlet install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o exhaust internal air;
an exhaust fan installed in the first air exhaust port to exhaust internal air to the outside;
an air exhaust pipe through which the air exhausted from the exhaust fan flows outward;
a second air exhaust port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o exhaust air from the air exhaust pipe to the outside;
an air circulation pipe connecting the air exhaust pipe and the first air inlet pipe;
A cold and warm air supply unit installed between the air circulation pipe and the air exhaust pipe;
The cold and hot air supply unit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unit installed in the air circulation pipe, a fan for a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it, and a heat dissipation fin for a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unit and positioned in the air exhaust pipe, ,
A window-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water tray installed below the air exhaust pipe as a lower portion of the heat radiation fin and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ater from the water tray to the heat radiation f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노즐은 상기 배기팬과 상기 열전 소자용 방열핀 사이에 설치되는,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pray nozzle is installed between the exhaust fan and the heat radiation fin for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에 인접한 상기 제1공기 유입관의 영역과 상기 제2공기 배기구에 인접한 공기 배기관의 영역 사이에 연결된 빗방울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aindrop discharge pipe connected between an area of the first air inlet pipe adjacent to the air inlet and an area of the air exhaust pipe adjacent to the second air outlet, the 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KR1020220159302A 2022-11-24 2022-11-24 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KR102517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302A KR102517769B1 (en) 2022-11-24 2022-11-24 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9302A KR102517769B1 (en) 2022-11-24 2022-11-24 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769B1 true KR102517769B1 (en) 2023-04-05

Family

ID=8588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302A KR102517769B1 (en) 2022-11-24 2022-11-24 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76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721A (en) * 2000-03-21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Air conditioner
KR200424420Y1 (en) * 2006-05-19 2006-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Windows and doors system having condenser and ventilation means therein
KR20120035308A (en) * 2010-10-05 2012-04-16 이유근 Windowsill type cooling, heating, ventilation
CN212538130U (en) * 2020-07-10 2021-02-12 深圳博健科技有限公司 Indirect evaporation air cooling device
KR102314183B1 (en) * 2020-05-18 2021-10-18 은성화학(주) All-in-one heat exchange ventilator that allows air cooling bypass and de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20220086877A (en) * 2020-12-17 2022-06-24 이찬우 A Subminiature Air Conditioner Without Outdoor Unit
KR20220135517A (en) *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파세코 Ventilation air purifier installed in the window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721A (en) * 2000-03-21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Air conditioner
KR200424420Y1 (en) * 2006-05-19 2006-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Windows and doors system having condenser and ventilation means therein
KR20120035308A (en) * 2010-10-05 2012-04-16 이유근 Windowsill type cooling, heating, ventilation
KR102314183B1 (en) * 2020-05-18 2021-10-18 은성화학(주) All-in-one heat exchange ventilator that allows air cooling bypass and de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N212538130U (en) * 2020-07-10 2021-02-12 深圳博健科技有限公司 Indirect evaporation air cooling device
KR20220086877A (en) * 2020-12-17 2022-06-24 이찬우 A Subminiature Air Conditioner Without Outdoor Unit
KR20220135517A (en) *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파세코 Ventilation air purifier installed in the wind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7869C (en) Ventilating system
US6797042B2 (en) Pyramid air cleaner
US6619063B1 (en) Indoor air treatment system with HEPA filtration
CN214370713U (en) Ventilation system with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KR101250062B1 (en) A ventilating apparatus
KR101959671B1 (en) Combined Type Fan Coil Unit with energy recovery ventilation and Air purifier
KR101860904B1 (en) Clean air supply device, support plate supportting the same and window farame installing the same
KR100622111B1 (en) Ventilation device with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 window frame
CN109869779B (en) Kitchen air quality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KR101690538B1 (en) Air Purifier
KR102517769B1 (en) Window integrated ventilation purifier
CN205825282U (en) Multifunctional new wind purification integrated machine
KR20120094731A (en) Air cleaner
KR101975714B1 (en) Heat Recovery Ventilation Apparatus
JPH11201511A (en) Air cleaning system
KR20180003341U (en) heat exchange ventilation unit
KR20190109040A (en) Air purifier for window
KR100598130B1 (en) Filtering ventilation system
JP5599362B2 (en) Air treatment equipment
KR100587313B1 (en) air cleaning system with ventilator
JP2004360927A (en) Air conditioner
KR200382452Y1 (en) Ventilation device with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 window frame
KR20000061682A (en) Air cleaner
KR102570518B1 (en) Heat recovery ventilation and dust collection deodoriz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school kitchens and cafeterias, and its control method
JP5528384B2 (en) Air treatmen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