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578B1 - 관악기용 사운드 디플렉터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사운드 디플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578B1
KR102517578B1 KR1020177029172A KR20177029172A KR102517578B1 KR 102517578 B1 KR102517578 B1 KR 102517578B1 KR 1020177029172 A KR1020177029172 A KR 1020177029172A KR 20177029172 A KR20177029172 A KR 20177029172A KR 102517578 B1 KR102517578 B1 KR 102517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or
hinge
sound deflector
sound
b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974A (ko
Inventor
질빈 엠. 얀치츠
Original Assignee
질빈 엠. 얀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질빈 엠. 얀치츠 filed Critical 질빈 엠. 얀치츠
Publication of KR2018001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6Mu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10Resonating bodies, e.g. tubes
    • G10D9/11B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운드 디플렉터 플레이트(2) 및 관악기(S)의 벨(S')(bell)의 에지에 디플렉터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3)를 구비하는, 관악기(S)용 사운드 디플렉터(1)에 관한 것이다. 디플렉터 플레이트(2)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3)는 하부 및 상부를 구비하며, 이들의 각각은 벨(S')의 외부 면 또는 내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와 하부는 힌지(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및 상기 상부는 각각 둥근 에지를 갖는 2개 이상의 노브(knob)를 구비한다. 상부와 하부를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의 노브들이 각각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프셋 된다. 사운드 디플렉터(1)는, 상이한 형상 및 곡률의 벨 에지를 갖는 악기에서 또는 악보대에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고정 장치에서 노브의 오프셋 배열은 벨 에지(S')에서 클램프 타입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디플렉터(1)는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악기용 사운드 디플렉터
본 발명은, 예컨대 색소폰과 같은 관악기용 사운드 디플렉터, 및 특히 이러한 사운드 디플렉터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운드 디플렉터는 악기, 특히 예컨대 색소폰 또는 트럼펫과 같은 금관 악기를 연주할 때, 사운드를 연주자 쪽으로 역으로 방향 전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주자가 오케스트라 또는 밴드 내에서 연주하는 동안 스스로 사운드를 더 잘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운드 디플렉터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위 색소폰용 "플로거 사운드 미러(Ploeger sound mirror)"와 마찬가지로 시중에서 구입 가능하다. 사운드 디플렉터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클립(clip)을 구비하고, 이 클립은 스프링 클립에 의해서 악기 벨(bell)의 하부 에지에 고정되며, 이 경우 고정부는 벨의 에지에 가급적 가깝게 위치되어야만 한다. 클립에 직선의 로드(rod)가 고정되어 있고, 로드의 단부에 사운드 리플렉터가 배치되어 있다. 클립에서 직선 로드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클립과 사운드 리플렉터 간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사운드 리플렉터는, 벨 개구부의 전체 직경에 걸쳐 연장하는 직관형 플레이트에 의해서 벨에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공지된 사운드 리플렉터는 악보대에 고정하거나 악기와 무관한 다른 물체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악기에의 고정을 개선할 수 있는 관악기용 사운드 디플렉터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사운드 디플렉터에 의해서 해결된다.
사운드 디플렉터 면 및 관악기의 벨의 에지에 디플렉터 면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사운드 디플렉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플렉터 면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는, 벨의 내부 면 또는 외측에서 고정 및 위치 정해질 수 있는 하부 및 상부를 구비한다. 상부와 하부는 힌지(hinge)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하부 및 상부는 각각 2개 이상의 노브(knob) 또는 돌출하는 부재를 구비한다. 상부와 하부를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의 노브들이 각각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프셋 된다. 사운드 디플렉터 면은 상부 및/또는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디플렉터는 특히 상이한 형상의 벨 에지를 갖는 악기에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고정 장치에서 노브의 오프셋 배열은, 벨의 상이한 곡률 및 벨의 상이한 두께 그리고 벨 에지의 상이한 형상을 갖는 악기 벨에서 사운드 디플렉터의 클램프 방식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디플렉터는 색소폰, 트럼펫, 튜바, 또는 다른 관악기에서 또는 예컨대 악보대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클램프 장치에 노브가 배열됨으로써, 벨에 대한 클램프 장치의 최적의 매칭에 도달하게 되며, 그 결과 상부 및 하부를 벨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만 작은 힘만 적용되면 된다. 따라서, 고정부를 과도하게 끌어당김으로써 야기되는 압상(bruise)에 의한 벨의 손상이 피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노브가 둥근 에지를 갖는다. 이것은, 악기의 벨에서 압상을 피하는 데 더욱 많이 기여한다.
일 실시예에서, 노브는 고무를 구비한다. 이것은, 악기 벨의 프로파일에 대한 노브의 최적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벨을 클램핑 압력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보호해준다.
특별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가 각각 3개의 노브를 구비하며, 이들 노브는 상부 또는 하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를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 및 벨 에지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위·아래로 겹쳐서 압착되며, 이 경우 벨 에지는 상부와 하부 사이에 놓인다. 이러한 실시예는, 고정의 증가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가 각각 둥글고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그 위에 노브가 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치아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프셋 된 의치(denture)의 치아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벨의 에지가 노브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 장치의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하나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로 돌출하게 된다. 하부 및 상부는 각각 2개의 노브를 구비하고, 이들 노브는 각각 힌지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하는 각각의 부분의 외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플렉터 면은 상부와 하부의 동일한 힌지에 피벗 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단 하나의 손을 이용해서 디플렉터 면을 쉽고도 신속하게 정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디플렉터 면은, 클램프 홀더에 의한 고정에 이용되는 힌지에 의해서 상부 및 하부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홀더는 소형 경량이고, 또한 적은 개수의 부재 및 작은 레버 동작에 의해 콤팩트하게 구현되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연주 동안에도 장비를 간단하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는 나사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부 및 하부와 디플렉터 면의 연결부의 강도를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의 힌지와 힌지에 가장 근접한 노브 사이에는 자유 공간이 존재한다. 관악기가 그의 에지에 비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 비드가 상기 자유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사운드 디플렉터의 홀더는 사운드 디플렉터의 고정을 위해 해제 가능한 나사 고정부를 구비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사운드 디플렉터의 홀더는 사운드 디플렉터의 고정을 위해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운드 디플렉터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한 가지 특징 및 특징들 중 다수의 특징을 조합된 형태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은, 개략적인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해서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되고 있는 이하의 상세 설명부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은 색소폰 연주자에 의해서 사용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디플렉터를 도시한다.
도 2a는 사운드 디플렉터 전체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사운드 디플렉터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관악기의 벨 에지에 사운드 디플렉터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그 중에서
도 3a는 사운드 디플렉터를 고정하기 위한 폐쇄 장치를 측면도로 도시하며, 도 3b는 폐쇄 장치를 도 2a의 Ⅲb-Ⅲb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3c는 개방 장치를 횡단면도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3d는 폐쇄 장치를 벨 에지에 배치된 상태에서 횡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4a는 도 2b에 도시된 장치의 상부 및 하부를 상세하게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b는 도 2b의 상부를 힌지부와 함께 아래로부터 바라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c는 도 2b의 하부를 힌지부와 함께 아래로부터 바라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d는 도 2b의 하부를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2b에 도시된 장치의 힌지의 횡단면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6은 선행 기술에 따른 사운드 디플렉터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디플렉터의 고정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하며, 그 중에서
도 7a는 하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상부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c는 연결부 및 디플렉터 면의 부분과 함께 고정 장치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8a는 힌지와 사운드 디플렉터 면 사이에 있는 연결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며,
도 8b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고정 장치, 및 특히 고정 나사를 갖는 힌지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횡단면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각각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며, 처음의 설명은 달리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전체 도면과 관련한다.
도 1은, 관악기, 예를 들어 색소폰(S)에 고정된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디플렉터(1)를 보여준다. 디플렉터(1)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든 디플렉터 면 또는 디플렉터 플레이트(2)를 구비하고, 이 디플렉터 면 또는 디플렉터 플레이트는 디플렉터 면(2)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3)에 의해서 악기의 벨 에지(S')에 클램프 방식으로 조여지고 고정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장치는, 힌지(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부분(5 및 6)을 구비한다. 벨 에지(S')에 대한 디플렉터 면(2)의 각 정렬은, 힌지 축(4)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면(2)의 피벗팅 동작에 의해서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로써, 음악가는 연주 동안에도 사운드 디플렉터의 각 정렬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사운드 디플렉터(1)는, 특히 고정 장치(3)의 콤팩트한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클램프 장치의 힌지 기능뿐만 아니라 디플렉터 면(2)의 각 정렬을 변경하기 위한 힌지 기능도 동일한 부재(3)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사운드 디플렉터(1) 및 특히 홀더(3)를 더욱 상세하게 보여준다. 장치(3)는, 힌지(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부(5) 및 하부(6), 또는 볼(5, 6)(cheek)을 구비한다. 힌지(4)의 2개 부분(5 및 6) 그리고 디플렉터 면(2)을 위한 연결 부재(18)(도 5 및 그의 상세한 설명에 나타냄)는 나사(7) 또는 다른 적합한 힌지 볼트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5, 6)는 상기 힌지(4)에 의해서 상호 분리될 수 있고, 관악기의 벨(S')의 에지 주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는 벨(S')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부(6)는 벨(S')의 외측에 설치된다. 2개의 부분(5, 6)은, 이들 2개 부분이 힌지(4)에 의해 하나로 합쳐지고 예를 들어 고정 나사(8) 및 나사 너트(8')에 의해 클램프 방식으로 고정됨으로써, 벨에 고정 및 위치 정해질 수 있다. 이 경우, 2개 부분(5, 6)은 또한 예컨대 압축 스프링, 토션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도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고정 장치(3)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다. 상부(5)에는 돌출하는 부재 또는 노브(9a 및 10a)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돌출 부재 또는 노브는 하부(6) 쪽으로 연장되는 한편, 하부(6)는 상부 쪽으로 연장되는 돌출 부재(9b 및 10b)를 구비한다. 하지만, 특히 상부 및 하부의 돌출 부재(9a, 9b) 그리고 돌출 부재(10a, 10b)는 각각 서로 마주보면서 오프셋 된다.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서, 상부와 하부(5, 6)가 하나로 합쳐질 때 하나의 톱니 결합부가 생성된다. 다시 말해, 부재(9a 및 9b)는 중심에서 만나지 않고, 오히려 측면에서 서로에 대해 오프셋 된 상태로 만난다. 부재(10a 및 10b)에 대해서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상대적인 측방 이동은, 벨의 곡률과 무관하게 벨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부재(9a, 9b, 10a, 10b)는 또한 특히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둥근 에지(9', 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둥근 형상은 벨의 구부러진 형상에 대한 고정 장치(3)의 매칭 정확성을 증가시킨다.
클램프 장치(3)의 힌지(4)와 힌지(4)에 가장 근접한 최내곽 돌출 부재(9a, 9b)는, 악기의 비대해진 벨 에지(S')를 위치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는 자유 공간(F)이 구현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자유 공간(F)은 고정 나사(8)와 최내곽 돌출 부재(9a 및 9b) 사이의 영역에 구현되어 있다. 자유 공간(F)은 예를 들어 부재(9b 및 9a)에 있는 리세스 또는 상기 부재들에 있는 상응하는 측면(flank)에 의해서 구현되었다.
장치가 벨 에지(S')에 고정되면,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 에지(S')의 비드(S")가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자유 공간(F) 내에 놓이게 된다.
힌지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부 부재(10a 및 10b)는, 의치의 절치(incisor)와 유사하게, 상부(5)의 부재(10a)가 하부(6)의 부재(10b)에 비해 더 외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프셋 되어 있다. 상부와 하부(5, 6)가 하나로 합쳐질 때에는, 돌출 부재들이 이들의 둥근 에지에서 서로 접촉한다. 이와 같은 오프셋 배열은 에지(9', 10')를 둥글게 할 수 있고,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부러진 벨(S')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오프셋 배열은, 트럼펫, 색소폰, 튜바 등의 경우에서와 같이, 벨이 다양하게 형성된 적용예에서의 보편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3a에는 또한 나사 스프링(13)이 도시되어 있다. 이 스프링(13)은, 상부 및 하부(5, 6)가 스프링 장력에 의해서 스스로 개방되고 다만 고정 나사(8)만 회전 노브(14)에 의해 작동되면 됨으로써, 고정 장치의 장착을 추가로 용이하게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반원 형상의 상부 및 하부(5, 6)를 갖는 사운드 디플렉터의 고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경우 내부 돌출 부재(9a 및 9b)는 각각 두 번 설치되어 있고, 돌출 부재(10a 및 10b)는 각각 부분(5, 6)의 외측 단부에 한 번 설치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 따른 클램프 장치의 실시예는 총 3개의 압력점을 갖고, 이로 인해 장치의 안정성과 관련하여 최적화된 균형 잡힌 위치 결정을 야기한다.
본 실시예에는, 힌지(4) 중에 다만 상부(5) 또는 하부(6)의 힌지 부분(4a 및 4b)만 도시되어 있다. 또한, 고정 나사(8)용 개구(15)도 도시되어 있다.
하부(6)는 또한 도 4c에 따라 예를 들어 2개의 핀(16)을 구비하며, 이들 핀은 도 4b에 따라 상부(5)에 있는 상응하는 리세스(16')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핀(16) 및 리세스(16')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 스프링(13)의 가이드를 위해서 이용된다.
고정 장치(3)는 또한 상부에 있는 단 2개의 노브 및 하부에 있는 단 2개의 노브만을 구비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현도 마찬가지로 원하는 고정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에는, 상부(5) 또는 하부(6)의 힌지 부분(4a 및 4b) 및 고정부(19)의 힌지 부분(4c)을 갖는 힌지(4)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는 힌지 볼트의 기능을 하는 나사(7) 및 볼트(7')와 결합된다. 힌지 부분(4c) 사이에는 힌지 루프(17)를 갖는 또 다른 힌지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힌지 루프(17)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5)의 부분이다. 힌지 부분(4c)과는 디플렉터 면 또는 디플렉터 플레이트(2)를 위한 연결 부재(18)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18)는 이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개구(20)를 갖는 홀더(19)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 내부로 디플렉터 면(2)이 삽입될 수 있다. 힌지(4) 내에서의 연결 부재(18)의 가동성 및 이와 더불어 또한 디플렉터 플레이트(2)를 위한 고정부의 강성도, 동시에 힌지 볼트로서 이용되는 나사 연결부(7, 7')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a 및 도 8b는, 선행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고정 장치(3) 대신에 관악기 또는 악보대에 디플렉터 면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30)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디플렉터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의 기본 원리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동일한데, 다시 말하면 각각 관악기(또는 악보대)의 에지에 설치되는 노브(51 또는 61) 및 힌지(40)를 갖는 상부(50) 및 하부(60)를 이용한 클램프 방식의 고정이 동일하다. 사운드 디플렉터는 재차 홀더(19) 및 연결부(180)에 의해서 상기 힌지(40)와 연결되어 있다. 도 7a는, 하부(60)의 일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의 종축에 대하여 대칭인 2개의 노브(61)를 갖는 하부(60)를 보여준다. 클램프 장치(30)를 관악기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노브(61)가 벨(S')의 외측에 놓이게 되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7c가 참조된다. 하부(60)의 다른 단부에는, 2개의 힌지 부분(62)이 노브(61)와 마주보면서 배치되어 있다. 하부(60)는 또한 2개의 핀(16) 및 하나의 개구(15)를 구비하며, 이들 핀 및 개구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장치에서의 핀(16) 및 중앙에 배치된 개구(15)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도 7b는, 상부(50)의 일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재차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의 종축에 대하여 대칭인 2개의 노브(51)를 갖는 상부(50)를 보여준다. 상기 노브(51)는 관악기에 고정될 때 벨(S')의 내부 면에 놓이게 된다. 노브(51)에 마주 놓여 있는 상부(50)의 단부에는 2개의 힌지 부분(52)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50)는 또한 중앙에 배치된 하나의 개구(15) 및 2개의 개구(16')를 구비하며, 이들 개구는 상부와 하부가 하나로 합쳐질 때 도 7a에 도시된 하부의 핀(16)을 수용한다. 하부(60) 및 상부(50)에 있는 개구부(15)는 도 3a 내지 도 3d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나사(8)를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50) 및 하부(60)의 길이는 같지 않으며, 도 7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60)가 상부(50)보다 더 길다. 상부 및 하부(50 및 60)가 하나로 합쳐져서 관악기의 벨 에지(S')에 클램프 방식으로 고정되면, 하부(60)는 2개의 노브(61)에 의해서 벨(S')의 외측에 도달하는 한편, 상부(50)는 노브(51)에 의해서 벨(S')의 내부 면에 놓이게 되며, 이 경우 노브(51)는 비드(S")를 갖는 벨의 에지에 노브(61)보다 더 가깝게 놓여 있다. 상부(50)의 노브(51)와 힌지(40) 사이에, 특히 노브(51)와 고정 나사(80) 사이에는, 비드(S")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자유 공간(F)이 구현되어 있다. 상부(50)뿐만 아니라 하부(60)도 각각 자신들의 외측 단부에 2개의 노브를 구비함으로써, 벨 표면에서는 4개의 압력점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사운드 디플렉터는 관악기의 벨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볼트(70')를 갖는 나사(70)는 재차 고정 장치(30)의 힌지(40)의 고정을 위해서 이용된다. 힌지(40)는 연결부(180)와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는 재차 사운드 디플렉터 면(2)을 위한 홀더(19)와 연결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는, 고정 장치(30)의 힌지와 사운드 디플렉터 면(2)을 위한 홀더(19) 사이에 있는 연결부(18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80)가 단 하나의 힌지 루프(181)를 구비하는 한편,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그와 같은 2개의 힌지 부분(4c)을 구비한다. 힌지 루프(181)는 상부(50)와 상호 작용하면서 2개의 힌지 부분(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부(50)의 힌지 부분(52)은 나사(70) 헤드의 하부 면(71)에 접하는 한편, 하부(60)의 힌지 부분(62)은 나사(70) 헤드의 측면(72)에 접한다. 이로 인해, 힌지 루프(18)는 나사(70)의 헤드에 접하지 않고, 오히려 힌지 부분(52)에 의해서 나사(70)의 헤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디플렉터 면(2)의 각 정렬을 조정하기 위해, 디플렉터 면(2)을 위한 연결부(180)가 피벗팅 동작하면, 나사(70)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힌지 루프(181)가 나사(70)의 헤드에 접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함으로써는, 디플렉터 면이 움직이는 동안에도 나사 연결부(70, 70')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클램프 장치(30)의 원치 않는 풀림이 방지된다.
대안적으로는, 하부의 힌지 부분들도 상부의 힌지 부분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연결부(180)의 힌지 루프(181)가 하부의 힌지 부분들에 접하게 될 것이다. 나사 연결부(70, 70')의 원치 않는 풀림도 마찬가지로 방지될 것이다.
관악기에 디플렉터 면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30)는 또한, 하나의 핀(16) 위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130)을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스프링은 또한 고정 나사(80)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장치에서도, 스프링(13)은 또한 고정 나사(8)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힌지(4)에 설명 및 나사(70)를 갖는 연결부(180)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1: 사운드 디플렉터
2: 디플렉터 면, 디플렉터 플레이트
3, 30: 고정 장치
4, 40: 힌지
4a, 4b, 4c: 힌지 부분
5, 50: 고정 장치의 상부
51, 61: 노브
52, 62: 힌지 부분
6, 60: 고정 장치의 하부
7, 70: 힌지 내에 있는 나사
7', 70': 볼트
8: 고정 나사
8': 나사 너트
9a, 9b: 노브
10a, 10b: 노브
9', 10': 둥근 에지
11: 리세스
12: 리세스
13: 나사 스프링
14: 회전 노브
15: 개구
16: 핀
16': 리세스
17, 181: 힌지 루프
18, 180: 연결 부재
19: 홀더
20: 개구
F: 자유 공간
S: 색소폰
S': 색소폰의 벨
S": 비드, 벨의 에지

Claims (16)

  1. 사운드 디플렉터 플레이트(2) 및 상기 사운드 디플렉터 플레이트를 관악기(S)의 벨(S')의 에지(S")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3, 30)를 구비하는 관악기(S)용 사운드 디플렉터(1)이며, 상기 디플렉터 플레이트(2)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3, 30)는 벨(S')의 내부 면에 고정될 수 있는 상부(5, 50) 및 벨(S')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는 하부(6, 60)를 갖고, 상부(5, 50) 및 하부(6, 60)는 힌지(4, 40)에 의해 연결부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관악기(S)용 사운드 디플렉터(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상기 상부는 각각 2개 이상의 노브(9a, 9b, 10a, 10b)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5, 50)와 상기 하부(6, 60)를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 관악기의 벨에 클램프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부(5, 50) 노브(9a, 10a, 51)의 중심이 하부(6, 60) 노브(10a, 10b, 61)의 중심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 되게 배치되고,
    사운드 디플렉터 면(2)은 상부(5, 50) 및 하부(6, 60)의 힌지에 피벗팅 동작 가능하게 고정되며, 그리고
    상부(5, 51) 및 하부(6, 60)에 있는 노브(9a, 9b, 10a, 10b, 51, 61)는 둥근 에지(9', 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5, 50) 및 상기 하부(6, 60)에 있는 노브(9a, 9b, 10a, 10b, 51)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5) 및 상기 하부(6)가 각각 3개의 노브(9a, 9b, 10a, 10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5) 및 상기 하부(6)가 각각 둥글고 평평한 형상을 갖고, 그 위에 노브(9a, 9b, 10a, 10b)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50) 및 상기 하부(60)가 각각 2개의 노브(51, 6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7. 제6항에 있어서, 2개의 노브(51, 61)가 각각 상부(50)의 일측 단부에 그리고 하부(6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60) 및 상부(50)의 길이가 동일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면(2)이 연결 부재(18, 180)에 의해서 힌지(4, 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5, 50) 및 상기 하부(6, 60)가 각각 2개의 힌지 부분(4a, 4b, 52, 62)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디플렉터 면(2)에 대한 연결 부재(18, 180)가 상기 상부 및 하부(5, 6, 50, 60)의 힌지 부분(4a, 4b, 52, 62) 사이에 배치된 힌지 루프(17, 18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4, 40)가 나사 및 볼트(7, 7', 70, 70')를 갖는 나사 연결부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50)의 힌지 부분(52) 중 하나 및 상기 하부(60)의 힌지 부분(62) 중 하나가 나사(70)의 헤드에 접하고, 상기 힌지 루프(181)가 나사(70)의 헤드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디플렉터(1)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3, 30)가 상기 사운드 디플렉터(1)를 벨(S')에 고정하기 위해 해제 가능한 나사 고정부(8, 8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면(2)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3, 30)의 힌지(4, 40)와 상기 힌지(4, 40)에 가장 근접한 노브(9a, 9b, 51)와의 사이에 자유 공간(F)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공간(F)이 해제 가능한 나사 고정부(8, 80)와 최내곽 돌출 부재(9a, 9b, 51)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디플렉터(1)를 벨(S')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3, 30)는 상기 상부(5, 50)와 상기 하부(6, 60)와의 사이에 스프링(13, 1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디플렉터(1).
KR1020177029172A 2015-04-13 2016-04-06 관악기용 사운드 디플렉터 KR102517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509/15A CH710952A2 (de) 2015-04-13 2015-04-13 Klang-Deflektor für Blasinstrumente.
CHCH00509/15 2015-04-13
PCT/IB2016/051935 WO2016166637A1 (de) 2015-04-13 2016-04-06 Klang-deflektor für blasinstrum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974A KR20180016974A (ko) 2018-02-20
KR102517578B1 true KR102517578B1 (ko) 2023-04-03

Family

ID=5710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172A KR102517578B1 (ko) 2015-04-13 2016-04-06 관악기용 사운드 디플렉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86240B2 (ko)
EP (1) EP3284082B1 (ko)
JP (1) JP6686045B2 (ko)
KR (1) KR102517578B1 (ko)
CN (1) CN107533836B (ko)
CH (1) CH710952A2 (ko)
ES (1) ES2864832T3 (ko)
TW (1) TWI671733B (ko)
WO (1) WO2016166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55904B (zh) * 2020-10-22 2022-02-21 佳樂電子股份有限公司 樂器夾具
CN112863295B (zh) * 2021-01-13 2022-10-25 西安石油大学 一种萨克斯教学用智能辅助音准矫正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1776A (ja) * 2003-09-22 2005-04-14 Sony Corp 支持装置および支持装置を有するクリップ
JP2007181083A (ja) * 2005-12-28 2007-07-12 Sony Corp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及び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の送信機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9183A (en) * 1960-06-09 1963-07-30 Edwin H Alles Mute and reflector for musical wind instruments
USRE30300E (en) * 1975-09-09 1980-06-10 Acoustical reflector for wind instruments
US4012983A (en) * 1975-09-09 1977-03-22 Ploeger Thomas L Acoustical reflector for wind instruments
JPS5433119U (ko) * 1977-08-09 1979-03-05
JPS6068593U (ja) * 1983-10-18 1985-05-15 株式会社サン楽器 管楽器用音反射器
NL1013981C2 (nl) * 1999-12-29 2001-07-02 Sound Specialties S & D Instrumentenklem.
KR20040099839A (ko) * 2003-05-20 2004-12-02 윤국원 악보 고정클립
JP4510496B2 (ja) 2004-03-30 2010-07-21 株式会社コルグ 調律器用クリップ
TWM257586U (en) * 2004-05-28 2005-02-21 Yoga Electronics Co Ltd Microphone holder for drum
TWM346254U (en) * 2008-07-03 2008-12-01 Taiwan Carol Electronics Co Ltd Jig for stably holding an article
PL2842807T3 (pl) * 2013-08-27 2018-10-31 Thule Sweden Ab Bagażnik rowerowy do pojazdu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1776A (ja) * 2003-09-22 2005-04-14 Sony Corp 支持装置および支持装置を有するクリップ
JP2007181083A (ja) * 2005-12-28 2007-07-12 Sony Corp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及び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の送信機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3836B (zh) 2021-04-06
US10186240B2 (en) 2019-01-22
JP6686045B2 (ja) 2020-04-22
US20180075827A1 (en) 2018-03-15
CN107533836A (zh) 2018-01-02
WO2016166637A1 (de) 2016-10-20
ES2864832T3 (es) 2021-10-14
EP3284082B1 (de) 2021-02-17
EP3284082A1 (de) 2018-02-21
TW201640489A (zh) 2016-11-16
KR20180016974A (ko) 2018-02-20
JP2018511835A (ja) 2018-04-26
TWI671733B (zh) 2019-09-11
CH710952A2 (de)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7229A (ko) 카포 타스토
US7235729B2 (en) String securing apparatus for string instrument
USRE42419E1 (en) String instrument chinrest pad system
US7638697B2 (en) Apparatus for coupling strings to the body of a stringed instrument and related methods
JPH06230772A (ja) 管楽器の吹き口のバインダー
US7390951B2 (en) Universal tuner mount
US20060005687A1 (en) String replacement assistance apparatus
US11120777B2 (en) Cap-style locking stud
KR102517578B1 (ko) 관악기용 사운드 디플렉터
KR100715404B1 (ko) 바이올린 숄더 레스트용 클램핑 부재
JP7229172B2 (ja) 木管楽器用リガチャー
JP6917314B2 (ja) 弦楽器のための交換可能ピックアップ支持体
US6881882B2 (en) String stretching mechanism for stringed instrument
US20060249006A1 (en) Snare drum adjustable dampening device
US4506585A (en) Stringed instrument
JP2018511835A5 (ko)
US20090260502A1 (en) Selectively tunable percussion instrument
US20220246116A1 (en) Capo for use with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629171B1 (en) Tone and playing response adjust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240087544A1 (en) Tremolo unit and saddle
RU2181508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монтировки смычкового музыкаль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WO2019235600A1 (ja) 弦楽器用肩当て
EP0874350B1 (en) Acoustical ring and bell sound system
KR20200118046A (ko) 현악기의 현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변환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