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984B1 -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 Google Patents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984B1
KR102513984B1 KR1020190106543A KR20190106543A KR102513984B1 KR 102513984 B1 KR102513984 B1 KR 102513984B1 KR 1020190106543 A KR1020190106543 A KR 1020190106543A KR 20190106543 A KR20190106543 A KR 20190106543A KR 102513984 B1 KR102513984 B1 KR 102513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re extinguisher
fire
storage box
extinguish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7756A (en
Inventor
권익환
Original Assignee
(주)샤픈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8192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18988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샤픈고트 filed Critical (주)샤픈고트
Priority to KR102019010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984B1/en
Publication of KR2020000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방재 시스템이 탑재된 방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제어시스템이 탑재된 소화기보관함이고 상기 소화기보관함은 분리가 가능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센서부, 제어부, 통신부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분리되는 경우 분리된 시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소화기보관함이 분실된 경우 알림 제공 및 일부 기능을 비활성화 시키며, 화재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화재 발생 시 주변 사람들 또는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equipped with a disaster prevention system.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equipped with a control system, a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ncludes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that are detachable; and a control system including a sensor unit,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provides a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separated time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separated, provides a notification and disables some functions when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s lost, detect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 real time, It can prevent fire in advance or help people or users arou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in case of fire.

Description

스마트 소화기보관함{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본 발명은 스마트 소화기보관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화기를 안전하게 보관하며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소화기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주변의 재난 상황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기능 외에도 보관함 자체의 분실 또는 분리 여부를 감지하여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소화기보관함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that safely stores a fire extinguisher and is portable and movable. By providing a notification, management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can be facilitated.

과거 초기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소화기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커서 보관이 어렵고 주기적인 교체 등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최근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부피가 작고 휴대가 용이한 소화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스프레이식 소화기, 투척용 소화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the past, fire extinguishers used for early fire suppression were generally bulky, so they were difficult to store and did not properly manage such as periodic replacement.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spray-type fire extinguishers and throwing fire extinguishers is actively progressing.

스프레이식 소화기는 버튼을 눌러 소화 물질을 분사하는 형태로 누구나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액체형으로 분말 소화기와 다르게 가루로 인한 2차 오염이 없으며 다양한 유형의 화재에 사용 가능하여 초기 진화에 유용한 점 등 장점이 많다. Spray-type fire extinguishers are easy to operate by anyone in the form of spraying extinguishing substances by pressing a button, and unlike powder fire extinguishers in liquid form, there is no secondary contamination due to powder, and they can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fires, so they are useful for early extinguishing. many.

투척용 소화기는 소화기가 투척된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공기를 일정 시간 차단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기존 소화기가 크고 무거워 노약자나 영유아가 사용하기 어려운 점과 지속적인 유지보수 및 관리가 어려운 점을 보완하였다.Throwing fire extinguishers are a method of extinguishing a fire by blocking air in a certain ran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enter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fire extinguisher is thrown. has been supplemented.

한편, 이러한 소화기를 보관하는 보관함 또는 거치대 역시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화기를 관리하는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보관함 또는 거치대는 분실 도난 위험이 있음에도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 또는 대처하기 위한 기능 등은 제공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a storage box or cradle for storing such a fire extinguisher is also being developed, and recently, research on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managing the fire extinguisher continues. However, although there is a risk of loss or theft, a storage box or cradle equipped with such various functions does not provide a function to prevent or cope with this.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재난 방재 기능뿐만 아니라 방재기구, 화재 방재 시설 등을 관리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재난 방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at includes functions capable of managing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s, fire prevention facilities, and the like, as well as disaster prevention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You will be able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분리 여부를 판단하고 분리 시 분리지속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분리지속시간에 따라 스테이터스를 판단하며 상기 스테이터스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기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a controll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separated, measures a separation duration upon separation, determines a statu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uration, and provides a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status. It can b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확인 기능이 있고, 확인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분실여부를 판단하며 분실된 경우 일부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기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a fire extinguisher including a control unit having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is lost according to the confirmed location, and inactivating some functions if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is lost. A storage box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해 주변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기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may be provide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on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when an occurrence of a nearby fire is detected through a fire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재기구; 및 센서부, 제어부, 통신부 등의 제어시스템이 탑재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간이 소방시설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including a stand mounted with a control system such as a sensor unit,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재기구; 센서부, 제어부, 통신부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방개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 및 상기 제어시스템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방재기구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 방재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consisting of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A control system composed of a sensor unit, a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unit, etc. and capable of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mechanism; And a disaster prevention platform including a server capable of managing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connected to the control system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s, and solutions not mentioned are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clearly understandab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소화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들로 하여금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소화기를 보관하는 소화기보관함의 이상 여부나 분실 여부를 빠르게 알 수 있고 상기 소화기보관함의 분실,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서버를 통해 복수의 소화기 관리가 용이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extinguisher used for fire suppression can be safely stored, a fi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a user or nearby people can help to quickly respond to a fi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know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s abnormal or lost, and the loss or theft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asily manage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through the server and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시스템과 서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인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보관함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에 소화기가 수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보관함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제어부의 정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보관함이 분실된 경우 제어부의 정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된 소화기보관함이 분실상태를 회복한 경우 제어부의 정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보관함 주변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의 정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소방시설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system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e extinguisher is accommodated in a first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how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s separated into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controller when a second housing is separated from a first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control unit when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s l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control unit when a lost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recovers a los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 control unit when a fire occurs around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The foregoing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layers and regions is exaggerated for clarity, and elements or layers may be "on" or "on" other elements or layers. What is referred to includes all cases where another layer or other component is intervened in the middle as well as immediately above another component or layer.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essentially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도 1은 방재기구 내에 탑재될 수 있는 제어시스템(10) 및 상기 제어시스템(10)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방재기구 관리 또는 알림 기능을 하는 서버(20)를 나타낸다.1 shows a control system 10 that can be installed in a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and a server 20 that obtains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system 10 and performs a management or notification functi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상기 방재기구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또는 사람의 실수, 부주의나 고의로 일어나는 사고 등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사후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구, 설비, 장비, 시설 또는 장치 등(이하 방재기구)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재기구는 방화문, 방화벽, 경보기, 감지기, 유도등, 소화기, 소화전, 소화기보관함, 스프링클러, 배연설비, 파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refers to a mechanism, facility, equipment, facility or device,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that can prevent disasters caused by natural phenomena, accidents caused by human error, negligence or intentionality in advance or take follow-up measures. . For example,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may include a fire door, a firewall, an alarm, a detector, an induction light, a fire extinguisher, a fire hydrant,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a sprinkler, a smoke exhaust system, a crusher, and the like.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방재기구 내에 탑재되어, 상기 방재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방재기구가 재난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시스템(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해, 사고 등(이하 재난)을 감지하고 이를 직접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해 인지시켜주거나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 관련 기관에 알려주어 도움을 요청할 수 있고, 감지한 정보를 서버(20)에 전달하여 상기 서버(20)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고나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 관련 기관에 알려주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The control system 10 is mounted in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and can control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system 10 may control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to perform a disaster management function. For example, as described later, the control system 10 detects a disaster, accident,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saster) and directly informs the user through a notification or informs a related institution such as a fire station, police station, hospital, etc. to request help. The det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so that the server 20 informs the user or informs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fire departments, police stations, hospitals, etc., and can request help.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재난이 발생한 경우 주변 사람들에게 재난 대응 메뉴얼 및 방재기구 사용방법을 제공하고, 재난 관련 주의사항을 인지시키며, 주변 사람들이 대피 경로를 확보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When a disaster occurs, the control system 10 can provide a disaster response manual and how to use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to nearby people, make them aware of disaster-related precautions, and guide people around them to secure an evacuation route.

또한,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되는 방재기구 등이 그 자체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분실되는 경우 제공할 수 있는 기능들 중 일부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비활성화시킨 기능들을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system 10 notifies the user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on which the control system 10 is mounted, and can deactivate some of the functions that can be provided if it is lost. and, if a pre-registered user uses it, deactivated functions can be reactivated.

한편,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재난 관리 기능 외에도, 상기 방재기구를 관리하는 기능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Meanwhile, the control system 1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a function of managing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in addition to a disaster management functio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서버(2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이하 서버 정보) 및 상기 제어시스템(10)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된 방재기구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 정보는 재난 관련 정보, 사용자 등록 정보, 그 밖에 날씨, 광고, 뉴스, 미리 설정된 관심 분야에 관련된 정보, 또는 일상생활에 유용한 정보 등 불특정인이 알 수 있는 상태에 놓여져 있거나 불특정 다수인에게 열람 가능한 상태에 놓여져 있는 정보 및 일반적인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공중이 이용 가능한 정보(이하 서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20 may build a database using pre-stored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rv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ntrol system 10 or manage a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equipped with the control system 10. . Here, the server information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an unspecified person can know, such a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weather, advertisements, news, preset areas of interest, or information useful for daily life, or to many unspecified people. It may include information placed in a state that can be viewed by the public and information available to the public through general telecommunication l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rver information).

상기 서버(20)는 획득한 정보들을 상기 제어시스템(10),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 방재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 관리실, 관할 소방서나 경찰서 등의 관제실에 공유할 수 있으며, 역으로 공유 받을 수도 있다.The server 20 can share the acquired information with the control system 10,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building management office where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is installed, and a control room such as a fire station or police station having jurisdiction, and vice versa. may be

도 2를 참조하면, 제어시스템(10)은 제어부(11), 센서부(12) 및 통신부(1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system 1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 , a sensor unit 12 and a communication unit 13 .

상기 센서부(12)는 연기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미세먼지 감지 센서, 그 밖에 인체 유해물질 감지 센서 또는 방재기구 이상 유무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 may include a smoke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 fine dust detection sensor, a sensor for detecting other harmful substances to the human body, or a sensor for detecting abnormalities in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기 감지 센서는 재난 상황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연기 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11)로 송신한다.More specifically, the smoke detection sensor transmits smoke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1 when smoke generated in a disaster situation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열 감지 센서는 재난 상황에서 발생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열 온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11)로 송신한다.The thermal sensor transmits thermal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 when a temperature generated in a disaster situation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미세먼지 감지 센서는 상기 방재기구 주위의 미세먼지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11)로 송신한다.The fine dust detection sensor transmits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ound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유해물질 감지 센서는 상기 방재기구 주위의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유기화합물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유해물질 농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11)로 송신한다.The harmful substance detection sensor transmits harmful subst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1 when the concentration of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such as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nitrogen dioxide, ozone, and organic compounds around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

상기 방재기구 이상 유무 감지 센서는 상기 방재기구의 분리 여부, 분실 여부 또는 고장 여부를 감지하여 분리, 분실 또는 상태 정보를 상기 제어부(11)로 송신한다.Th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is abnormal detects whether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is separated, lost or broken, and transmits separation, loss or stat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 .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 또는 상기 통신부(13)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해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되는 방재기구 주변의 재난 상황, 방재기구의 상태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 can determine the disaster situation around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in which the control system 10 is mounted, the state of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etc.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or unit 12 or the communication unit 13, and By providing a notification based on the judgment, the user may be induced to take an appropriate action.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알림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LED 조명, 스피커,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알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 may include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such as a display device, an LED light, a speaker, or a combination thereof to provide the notific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로부터 획득한 연기 농도 정보 및 열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화재 발생 사실을 알려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1 may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smoke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heat temperatur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12, and if a fire has occurred, notify the user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can tell you what happened.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로부터 획득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 또는 유해물질 농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상태 또는 주변 환경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대기 상태 또는 상기 주변 환경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 may determine a standby state or a surrounding environment state based o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or the harmful substance concentr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or unit 12, and inform the user of the standby state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The state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tate may be informed.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로부터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된 방재기구의 이상 유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방재기구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방재기구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 obtains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equipped with the control system 10 is abnormal from the sensor unit 12, determines whether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and sends the notification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of the state of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through the unit.

상기 통신부(13)에 의해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서버(20) 또는 외부 시설 등과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제어부(11) 또는 상기 센서부(12)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20) 또는 외부에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서버(20) 또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 system 10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 or external faciliti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 . The communication unit 13 may obtai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1 or the sensor unit 12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or the outside, and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 or the outside to obtai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 11) can be forwarded.

상기 통신부(13)와 통신을 하는 상기 외부 시설은 소방서, 경찰서 등의 재난 관리 시설,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된 방재기구와 페어링된 방재기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facilities that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3 may include disaster management facilities such as fire stations and police stations,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s equipped with the control system 10 and paired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s, and the like.

상기 통신부(13)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망, 3G, 4G, LTE망, 5G,로라(LoRa, Long Range)망 등의 이동통신망,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ITS 비콘, 저주파 비콘, LED 비콘, 와이파이 비콘, 지그비(zigbee),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무선통신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 can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Wi-fi network, 3G, 4G, LTE network, 5G, LoRa (Long Range) network, et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ITS beacon, low frequency beacon, LED beacon, Wi-Fi beacon, zigbee, IoT-bas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 can be used.

상기 통신부(13)를 통한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재난 발생 시 상기 외부 시설에 자동으로 신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 또는 이하 서술하는 인공지능 플랫폼과 연동될 수 있다.Through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 the control system 10 can automatically report to the external facility when a disaster occurs, and can be interlocked with the user's smart device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described below.

한편, 상기 제어시스템(10)은 IoT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센서부(12) 또는 상기 제어부(11)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되는 방재기구를 제외한 전자 기기, 가스 차단기, 또는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기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system 10 may include an IoT module (not shown). The IoT module may control peripheral devices based 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12 or the control unit 11 . For example, the IoT module can control electronic devices, gas circuit breakers, or devices used in daily life, except for disaster prevention devices in which the control system 10 is mounted.

또한,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위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는 다양한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측위 기술에는 GPS 기반으로 삼각측량법 등을 이용하는 GPS 또는 A-GPS, 이동통신사 LBS 플랫폼, 와이파이(Wi-Fi)로 들어오는 무선 AP의 정보를 이용하는 WPS(Wifi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송출하는 reader와 고유 ID를 회신하는 tag를 이용하는 RFID, 수신신호세기를 이용하는 Bluetooth, 그 밖에 실내/외 위치 추적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system 10 may include a position sensing unit. The location detector may detect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using various positioning techniques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 . The positioning technology includes GPS or A-GPS using triangulation based on GPS, LBS platform of mobile carriers, WPS (Wifi Positioning System) using information of wireless AP coming through Wi-Fi, a reader that transmits signals, RFID using a tag that returns a unique ID, Bluetooth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and other indoor/outdoor location tracking technologies may be included.

한편,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되는 방재기구의 내부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상기 방재기구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를 포함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되, 상기 방재기구 내부에 별도의 보조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ystem 10 may be powered by an internal or external power source of a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in which the control system 10 is mounted. For example,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via wired or wireless, or power may be supplied from a battery by including a separate battery inside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 In addition, while power is supplied by the external power source,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is provided inside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when the power supply by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cut off.

한편,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인공지능 플랫폼(미도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인공지능 플랫폼을 이용하여 음성인식, 시각 인식, 자연어 처리 또는 추천 기능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system 10 may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not shown). The control system 1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hrough voice recognition, visual recogniti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r a recommendation function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상기 제어시스템(10)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획득, 가공, 처리, 송신 또는 수신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때 또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quisition, processing, processing,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information in the control system 10 may be performed when set by the user or in real tim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방재기구 중 소화기보관함(100)에 탑재될 수 있다. 이하 서술하는 내용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부분은 전술한 상기 제어시스템(10)의 내용과 그 궤를 같이 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control system 10 may be mounted in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mong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s. Parts not separately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below are in the same vein as the contents of the control system 10 described above.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소화기(40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소화기(400)는 분말용 소화기, 스프레이 소화기, 투척용 소화기, 또는 휴대용 소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may accommodate a fire extinguisher 400, and the fire extinguisher 400 may include a powder fire extinguisher, a spray fire extinguisher, a throwing fire extinguisher, or a portable fire extinguisher.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상기 소화기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300) 및 제2 하우징(200)이 상호 결합되어 있다.In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 first housing 300 and a second housing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protect the fire extinguisher from an external force.

상기 제2 하우징(200)은 도 3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소화기(400)의 형상에 따라 원뿔대, 각기둥, 각뿔대, 구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200 has a cylindrical shape in FIG. 3 , bu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truncated cone, a prism, a truncated pyramid, and a spher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e extinguisher 400 . Also, the second housing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300 .

상기 제1 하우징(300)은 상기 제2 하우징(200)과 물리적,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200)의 형상에 따라 원뿔대, 각기둥, 각뿔대, 구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300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housing 200 physically, mechanically, or electronically, and various shapes such as a truncated cone, a prism, a truncated pyramid, and a sphere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econd housing 200. can be a shape.

상기 제1 하우징(300)은 상기 제어부(11), 상기 센서부(12) 및 상기 통신부(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센서부(12)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통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의 화재 발생 여부, 대기 상태, 주변 환경 상태,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분리 여부,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2)는 제2 하우징(200)에 포함되거나,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300)에,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나누어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300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11, the sensor unit 12,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 and the control unit 11 uses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12 t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fire occurs arou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 standby state, a surrounding environment state, whether the second housing 200 is separated, or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lost. Meanwhile, the sensor unit 12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housing 200, or may be partially included in the first housing 300 and partially included in the second housing 200.

한편,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외부에 별도로 배치되어 있는 외부 센서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집 안에서 화재가 발생 한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천장 또는 벽 상단 부분 등 화재로 인한 연기를 감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may obtain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nsor separately disposed outside. For example, when a fire breaks out in a house,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may obtain information from a smoke detection sensor disposed at a location where it is easy to detect smoke caused by a fire, such as a ceiling or an upper part of a wall.

도 4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제거되고 상기 제1 하우징(300)이 상기 소화기(400)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200 is remov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nd the first housing 300 accommodates the fire extinguisher 400 .

상기 소화기(400)는 상기 제1 하우징(300) 상단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소화기(400)는 상기 제1 하우징(300)에 결합용 홈, 밴드, 자석, 나사, 핀, 키 또는 그 밖에 결합 요소에 의해 고정 또는 반고정되어 있거나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위치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er 400 may be located on the top of the first housing 300. At this time, the fire extinguisher 400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a band, a magnet, a screw, a pin, a key, or a coupling to the first housing 300. In addition, it may be fixed or semi-fixed by means of coupling elements or simply positioned without being fixed.

도 5는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housing 3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are coupled or separated.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은 기계적으로 볼트와 너트, 키와 홈, 핀 방식, 스크류 방식, 반 스크류 방식, 압력 방식, 착탈식 등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조를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3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may include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upled to each other mechanically, such as a bolt and nut, key and groove, pin method, screw method, half screw method, pressure method, and detachable type. and can be combined or separated through the structure.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은 각각 자성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자기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3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may each include a magnetic connection portion, and may be magnetically coupled or separated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위에 언급된 결합방법 외에 다른 방법에 의해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3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may be coupled or separated by other methods than the aforementioned coupling method.

한편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거나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주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housing 3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may be manually separated or coupled by the user or may be automatically separated according to surrounding conditions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기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분리 여부확인 단계(510), 분리 지속시간 확인 단계(520), 스테이터스 결정 단계(530), 스테이터스에 따른 알림 제공 단계(540)를 실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when the second housing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300, the control unit 11 performs a separation check step 510, a separation duration check step 520, and status determination. Step 530 and step 540 of providing a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status may be executed.

상기 분리 여부확인 단계(510)에서 상기 센서부(12)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기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 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그 분리정보를 상기 제어부(11)에 전달하고, 상기 분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분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는 마그넷 센서, 압력 센서, 적외선 센서, 포토 센서, 조도 센서(Cds), 광전식 센서, 물리적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마그넷 센서가 상기 제1 하우징(30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부착되어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분리된 경우 전기신호를 상기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In the separation confirmation step 510, the sensor unit 12 detects whether the second housing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300 and transmits the separ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 , Based on the separa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11 can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housing 200 is separated. The sensor unit 12 may include a magnet sensor, a pressure sensor, an infrared sensor, a photosensor, an illuminance sensor (Cds), a photoelectric sensor, a physical switch,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magnet sensor is attached to the first housing 300 or the second housing 200 and the first housing 3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are separated,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 11) can be forwarded.

상기 분리 지속시간 확인 단계(52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리 여부확인 단계(510)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상기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분리되었다고 판단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하우징(200)의 분리지속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In the separation duration check step 520,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at the second housing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300 in the separation check step 510, indicating that the second housing 200 has been separated. Based on the determined time point, the separation duration time of the second housing 200 may be measured and stored.

상기 스테이터스 결정 단계(53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리 지속시간 확인 단계(520)에서 저장한 상기 분리지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스테이터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리지속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와 초과한 경우로 나누어 상기 스테이터스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설정된 시간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시간을 짧은 것부터 제1 참조시간, 제2 참조시간, 제3 참조시간 등이라 할 때,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리지속시간이 상기 제1 참조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테이터스를 제1 상태로, 상기 분리지속시간이 상기 제1 참조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제2 참조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테이터스를 제2 상태로, 상기 분리지속시간이 상기 제2 참조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제3 참조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테이터스를 제3 상태로 하는 등 필요한 만큼 상기 스테이터스를 결정할 수 있다. In the status determining step 530, the controller 11 determines the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based on whether the separation duration stored in the separation duration checking step 520 exceeds a preset time. can decide The control unit 11 may determine the status differently by dividing the separation duration into a case where the separation duration does not exceed a preset time and a case where it exceeds. Meanwhil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eset times, and when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third reference time, etc.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third reference time, etc. When 1 reference time is not exceeded, the status is set to the first state, and when the separation duration exceeds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does not exceed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status is set to the second state, and the separation duration When the tim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time and does not exceed the third reference time, the status may be determined as necessary, such as setting the status to the third state.

한편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참조시간들은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단순히 상기 제1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볼 수 있는 시간,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수용하고 있는 상기 소화기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시간,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분실된 것으로 볼 수 있는 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t time or the reference time refers to the time when the second housing 200 is simply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300 and the fire extinguisher accommodated in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used. It can be set to a time for viewing or a time for seeing that the second housing 200 is lost.

상기 스테이터스에 따른 알림 제공 단계(54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스테이터스 결정 단계(530)에서 결정된 스테이터스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11)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notification providing step 540 according to the status, the controller 11 provides a notific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included in the controller 11 based on the status determined in the status determination step 530. can

상기 알림은 색채와 형태 등으로 인지되는 가시적 신호, 소리나 후각 등으로 인지되는 비가시적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문자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방법, LED 조명의 밝기를 변화시키는 방법, 스피커를 통해 음성메시지나 경고음을 출력하는 방법, 또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메시지나 경고음 출력과 동시에 LED 조명의 밝기를 변화시키는 방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as a visible signal recognized by color and shape, an invisible signal recognized by sound or smell,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a method of displaying text on a display device, a method of changing the brightness of LED lighting, a method of outputting a voice message or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or a method of outputting a voice message or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and simultaneously changing the brightness of LED lighting It can be provided in a way to do so.

또한, 상기 알림은 상기 스테이터스에 따라 복수의 알림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림 내용에 따라 제1 알림, 제2 알림, 제3 알림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상태에는 상기 제1 알림이 제공되고 상기 제2 상태에는 상기 제2 알림이 제공되고, 상기 제3 상태에는 상기 제3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스테이터스가 다르더라도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가 유사한 경우 같은 내용의 알림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스가 같더라도 시간의 경과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내용의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notific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tifi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status, and may be divided into a first notification, a second notification, a third notification,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contents. In an embodiment, the first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tate, the second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tate, and the third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state. However, even if the status is different, if the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similar, notification of the same content may be provided, and even if the status is the same, notification of different content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lapse of time or the user's selection. there is.

일 예로, 상기 알림 내용에는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분리되었음을 공지하는 내용, 상기 제1 하우징(3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의 결합을 요청하는 내용, 상기 제2 하우징(200)이 분실되었음을 공지하는 내용, 상기 소화기가 사용되었음을 공지하는 내용, 그 밖에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를 공지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tification contents include contents notifying that the first housing 3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are separated, and contents requesting coupling of the first housing 3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 content notifying that the second housing 200 is lost, content notifying that the fire extinguisher has been used, and other content notifying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may be included.

한편, 다른 일 예로, 상기 알림 내용이 상기 LED 조명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알림 내용에 따라 한 가지 색의 밝기 변화, 복수의 색,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notification content is provided by the LED light, a change in brightness of one color, a plurality of colors,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content.

또한, 다른 일 예로, 상기 알림 내용이 상기 스피커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알림 내용에 따라 음(音)을 달리 출력하는 방법, 음의 출력 빈도나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 서로 다른 멜로디를 출력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notification content is provided to the speaker, a method of outputting different sounds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content, a method of adjusting the output frequency or intensity of sound, a method of outputting different melodies, etc. this can be used

한편, 전술한 단계들은 실행되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모든 단계가 필수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order in which the above-described steps are performed may be changed, and not all steps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정기적으로 또는 부정기적으로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610), 분실 여부확인 단계(620), 기능 비활성화 단계(630)를 실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control unit 11 may regularly or irregularly execute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location check step 610 , a loss check step 620 , and a function deactivation step 630 .

상기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61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610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the controller 11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from the location sensor.

상기 분실 여부확인 단계(62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610)에서 판단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미리 설정된 장소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를 분실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In the loss or not checking step 620, the control unit 11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lost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determined in the location checking step 610. there is. The control unit 11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s a lost state when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no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preset place.

상기 기능 비활성화 단계(63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실 여부확인 단계(620)에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가 분실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에서 제공되는 기능 중 일부만을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기능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비활성화되는 기능은 화재 발생 사실, 대기 상태, 주변환경 상태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 등을 알려주는 기능, 상기 IoT 모듈에 의한 주변 사물 조작 기능 또는 상기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한 의사소통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function deactivation step 630, when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determined to be lost in the loss or not checking step 620, the control unit 11 selects only some of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1. You can enable it and disable the rest of the features. For example, the function to be deactivated is a function to notify the fact of a fire, a standby state, a stat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a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 function to manipulate surrounding objects by the IoT module, or communication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functions may be included.

활성화되는 기능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20), 상기 외부시설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The activated func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 As the location tracking function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11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from the location detection unit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the external facility or the user. .

한편, 상기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임의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화기보관함은 긴급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긴급버튼을 누르면 상기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이 활성화되어 전술한 단계들이 실행되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20) 또는 상기 외부 시설에 송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function of tracking the location may be activated arbitrarily when the user desires. For example,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may include an emergency button,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button, a function for tracking the location is activated, and the above-described steps are executed to transf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to the server. (20) Alternatively,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above external facilities.

한편, 전술한 단계들은 실행되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모든 단계가 필수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order in which the above-described steps are performed may be changed, and not all steps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분실 여부확인 단계(620)에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가 분실상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정기적으로 또는 부정기적으로 사용자 인증 또는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710), 분실상태 회복 여부확인 단계(720), 일부 기능 활성화 단계(730)를 실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when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determined to be lost in the loss or not checking step 620, the controller 11 periodically or irregularly performs a user authentication or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location check step. Step 710, step 720 of checking whether the lost state is recovered, step 730 of activating some functions may be executed.

상기 사용자 인증 또는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71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분실상태를 회복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위치감지부로부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the user authentication or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location check step 710, the controller 11 may obtain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recover the lost state or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from the location sensor. there is.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소유권자임을 인증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하며, 일 예로 상기 인증정보에는 비밀번호, 패턴 등의 지식기반 인증정보, 지문, 목소리, 홍채 등과 같은 생체 인증정보 등이 포함된다.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capable of authenticating the owner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nd for exampl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s knowledge-bas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password and pattern, bi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 voice, iris, etc. do.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사용 또는 이용하려는 사람으로부터 상기 지식기반 인증정보 또는 상기 생체 인증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A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knowledge-bas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the bi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a person who uses or intends to use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

또한, 상기 서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사용자 등록 정보에 상기 인증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서버(20)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rver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11 may obta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 .

상기 위치정보는 도 7에 도시된 상기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610)에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위치정보를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in the same way as the method of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n the location confirmation step 610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shown in FIG. 7 .

상기 분실상태 회복 여부확인 단계(72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사용자 인증 또는 소화기보관함 위치확인 단계(710)에서 얻어진 상기 인증정보 또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가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720 of checking whether the lost state is recovered, the controller 11 determines the lost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the user authentic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71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it has recovered.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인증정보가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가 회복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분실되기 전 상기 소유권자로부터 제1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분실된 후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사용 또는 이용하려는 사람으로부터 제2 비밀번호를 입력 받은 때에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분실상태가 회복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 may determine that the lost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has been recovered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 receives and stores a first password from the owner before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lost, and stores the first password in advance, and then returns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fter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lost. When the second password is input from a person who uses or intends to use it, if the first password and the second password match,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lost state has been recovered.

한편, 상기 서버(20)는 이하 서술하듯 언제든지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 회복이 필요한 때에 상기 제어부(11)에 분실회복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를 임의로 회복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below, the server 20 can arbitrarily recover the lost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by transmitting a loss recovery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1 whenever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lost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can

상기 일부 기능 활성화 단계(73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가 회복된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일부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In the partial function activation step 730, the control unit 11 may activate some functions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when the lost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recovered.

활성화되는 일부 기능은 도 7의 상기 기능 비활성화 단계(630)에서 비활성화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활성화되는 일부 기능은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 화재 발생 사실, 대기 상태, 주변환경 상태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상태 등을 알려주는 기능, 상기 IoT 모듈에 의한 주변 사물 조작 기능 또는 상기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한 의사소통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Some functions to be activated may include functions deactivated in the function deactivation step 630 of FIG. 7 . For example, some of the activated functions include a function of notifying the fact that a fire has occurred arou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 standby state, a stat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a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nd a function of manipulating surrounding objects by the IoT module. Or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한편, 전술한 단계들은 실행되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모든 단계가 필수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order in which the above-described steps are performed may be changed, and not all steps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여부확인 단계(810) 및 알림 제공 단계(820)를 통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사용자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 사람들에게 화재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when a fire occurs arou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810) and provides a notification (820) to the user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or the user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People arou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may be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a fire.

상기 화재발생 사실은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한 정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과 페어링된 다른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위치한 지역구 내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한 정보 등에 기반할 수 있다.The occurrence of the fire is information on a fire occurring arou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nformation on a fire occurring around another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paired with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or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t may be based on information on fires occurring within the district.

상기 화재 발생 여부확인 단계(810)에서 상기 센서부(12)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의 연기 또는 열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화재 발생 정보를 상기 제어부(11)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화재 발생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fire checking step 810, the sensor unit 12 detects smoke or heat arou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nd transmits fire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 when it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 The control unit 11 may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rou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based on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과 페어링된 상기 다른 소화기보관함(100)으로부터 화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다른 소화기보관함(100)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 obtains information on the fire from the other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paired with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round the other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there is.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서버(20)로부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위치한 지역구 내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지역구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 may obtain information on a fire occurring in a district where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located from the server 20 and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 the district.

상기 알림 제공 단계(820)에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화재 발생 여부확인 단계(810)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11)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알림부를 통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사용자 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주변 사람들에게 상기 화재발생 사실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notification providing step 820, when the control unit 11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fire checking step 810,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that can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1 A user or people arou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may be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the fire.

한편,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화재 발생 시 연기 배출이나 대피로 확보 등을 위한 파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 내,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파쇄부는 상기 제1 하우징(300)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화재 발생 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may include a crushing unit (not shown) for emitting smoke or securing an escape route in the event of a fire. The crushing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For example, the crushing unit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300 and exposed to the outside manually or automatically when a fire occurs.

한편,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에서 상기 제어부(11), 상기 센서부(12) 및 상기 통신부(13)가 반드시 모두 상기 제1 하우징(30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0)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부(11)의 전부나 일부, 상기 센서부(12)의 전부나 일부, 상기 통신부(13)의 전부나 일부가 상기 제1 하우징(30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00)에 나뉘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the control unit 11, the sensor unit 12,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 must all be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300 or the second housing 200. All or part of the control unit 11, all or part of the sensor unit 12, and all or part of the communication unit 13 are divided into the first housing 300 or the second housing 200. It can be.

또한,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은 상기 제1 하우징(300) 및 상기 제2 하우징(200) 외에 추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가되는 하우징은 상기 제어부(11), 상기 센서부(12) 또는 상기 통신부(13)를 포함하거나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housing in addition to the first housing 300 and the second housing 200 . At this time, the additional housing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11, the sensor unit 12, or the communication unit 13 or may not include anything.

상기 서버(20)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과 양방향으로 정보를 송신,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 정보 및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으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The server 2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n both directions, or controls and manages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based on the serv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there is.

일 실시예로, 상기 서버(20)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으로 상기 서버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서버(20)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으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리, 분실 및 분실회복 여부 관련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er 20 may transmit the server information to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nd the server 20 may transmit fire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separation, loss, and recovery of loss.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서버(20)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분실되어 일부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분실된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에 상기 분실회복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의 분실상태를 임의로 회복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rver 20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loss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when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lost and some functions are disabl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The lost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can be arbitrarily restored by sending the loss recovery command to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when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loss, there is a request from the user, or if necessary.

한편, 상기 서버(20)는 복수의 상기 방재기구와 양방향으로 정보를 송신,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 정보 및 복수의 상기 방재기구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상기 방재기구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2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the plurality of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s in both directions, or controls and manages the plurality of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s based on the serv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s. .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방재기구 중 간이 소방시설(900)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전술한 소화기 보관함(100)의 다른 실시예로서, 간이 소방시설(900)에는 전술한 소화기 보관함(100)에 대하여 설명된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서술하는 내용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부분은 전술한 상기 제어시스템(10)의 내용과 그 궤를 같이 한다.Referring to FIG. 10 , the control system 10 may be mounted on a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among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s.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nd the details described for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may be applied to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Therefore, parts not separately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below are in the same vein as the contents of the control system 10 described above.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상기 방재기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할 수 있는 소방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복수개의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수용할 수 있다.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may mean a firefighting box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s. For example,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may accommodate a plurality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es 100.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이하 서술하듯,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화재 발생 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 사람들이 소화, 대피 등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근처 관할 소방서, 경찰서 등의 외부시설에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below,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prevents fire occurrence in advance or allows people around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to respond to fire such as fire extinguishing and evacuation in the event of a fire, Facilities can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국민안전처장관이 고시한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설치되어야 하는 장소, 화재위험이 있는 공공장소, 그 밖에 소방시설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복도, 학교, 주차장, 병원 지하철 역사 내 등에 설치될 수 있다.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may be installed in a place to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fire safety standards announced by the Minister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a public place with a fire risk, and a place where other firefighting facilities are required. For example,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may be installed in corridors, schools, parking lots, hospital subway stations, and the like.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스탠드(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9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방재기구가 탑재될 수 있고, 상기 스탠드(910) 형상은 상기 방재기구를 탑재할 수 있는 입체도형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탠드(9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탑재할 수 있고, 상기 스탠드(910)는 바닥, 벽으로 이루어진 'ㄴ'자 형상이거나 바닥, 벽, 지붕으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일 수 있다.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may include a stand 910. At least on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may be mounted on the stand 910, and the shape of the stand 910 may be a three-dimensional figure capable of mounting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For example, the stand 910 may mount at least on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nd the stand 910 may have a 'L' shape made of a floor and a wall, or a 'C' shape made of a floor, a wall, and a roof. 'It can be in the shape of a ruler.

한편, 상기 스탠드(910)에는 상기 방재기구가 고정 또는 반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을 감싸도록 끊어진 고리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소화기보관함(100)이 분리된 경우 스위치가 작동되는 마그넷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nd 91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so that the disaster prevention mechanism can be fixed or semi-fixed.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may have a broken ring shape to surround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and may include a magnet sensor that operates a switch when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10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에는 상기 제어시스템(10)이 탑재될 수 있고 상기 제어시스템(10)은 상기 서버(20), 근처 관할 소방서, 경찰서 등의 외부시설이나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이 위치하는 시설의 방재실이나 관제센터 또는 관리실 등과 상기 유선통신 또는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may be equipped with the control system 10, and the control system 10 may be the server 20, an external facility such as a nearby fire station or police station, or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disaster prevention room, a control center, or a management room of a facility located there.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부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may include an imaging unit capable of capturing the surroundings of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 The imaging unit may include a camera.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상기 촬상부를 통해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에 기반하여 경고 또는 알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이 수용하고 있는 상기 방재기구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촬상부는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을 촬영하고 방재기구 사용 관련 주의사항이나 대피 안내 등의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에서 연기나 열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상기 촬상부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방재기구 도난 경고나 사용 시 촬영사실 알림 등의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 같은 기능은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이 인체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may photograph the surroundings of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through the imaging unit and provide a warning or notification based on the photographed information. In one embodiment, when a fire occurs around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and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 accommodated in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is used, the imaging unit photographs the surroundings of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Preset messages such as precautions related to the use of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or evacuation guidance can be output. In another embodiment, when a person approaches even though no smoke or heat is generated around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the image capture unit detects the person's approach and warns theft of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 or notifies the shooting fact when in use, etc. A preset message can be output. On the other hand, such a func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including a human body sensor and using the human body sensor.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의 상기 제어시스템(1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서버(20), 근처 관할 소방서, 경찰서 등의 외부시설이나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이 위치하는 시설의 방재실이나 관제센터 또는 관리실은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을 임의로 조작하거나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관제센터는 방범 목적으로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의 상기 촬상부를 이용하여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 주변의 현장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server 20 connected to the control system 10 of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an external facility such as a nearby fire station or police station, or a disaster prevention room or control room of a facility where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is located The center or management office may arbitrarily manipulate or operate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center can check the on-site situation around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in real time by using the imaging unit of 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for crime prevention purposes.

상기 간이 소방시설(900)은 유선 케이블, 내장 배터리 또는 태양열 배터리 등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The simple firefighting facility 900 may be powered by a wired cable, a built-in battery, or a solar battery.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may be used.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6)

소화기를 보관할 수 있는 소화기보관함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가지는 제2 하우징 -이 때,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서로 결합에 의해 상기 소화기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 공간이 제공됨-;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센서부 -이 때,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보관 공간 내에 배치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주변 온도를 센싱하는 열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분리 여부를 센싱하는 분리 감시 센서를 포함함-;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거나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정보출력부;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화재발생 정보를 상기 소화기보관함 주변에 알리기 위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미리 지정된 외부 서버로 상기 화재발생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분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분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분리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하우징의 분리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분리 지속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소화기보관함의 스테이터스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상기 스테이터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되,
상기 스테이터스는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 지속 시간이 제1 참조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1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분리 지속 시간이 상기 제1 참조시간을 초과하고 제2 참조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2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분리 지속 시간이 상기 제2 참조시간을 초과하고, 제3 참조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3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상태, 상기 제2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보관함.
In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for storing the fire extinguisher,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having a coupling part for mechanically coupling with the first housing -At this time,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stored is provided by coupl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o each other;
A sensor unit disposed in any on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 Here, the sensor unit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provid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1 includes a thermal sensor for sensing ambient temperatur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a separation monitoring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separated;
an information output unit that visually or audibly outputs necessary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sensing values from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information output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ensing value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informing the surroundings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of fire occurrence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nd set to transmit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ased on the separ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housing from the first housing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housing is separat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housing is separated, the second housing is separated. A duration is measured, a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paration duration, and information on the status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status includes a first state, a second state, and a third state,
The control unit,
When the separation duration does not exceed a first reference time, the first state is determined;
When the separation duration exceeds the first reference time and does not exceed the second reference time, it is determined as a second state;
When the separation duration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time and does not exceed the third reference time, it is determined as a third st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provide different notifications for each of the first state, the second state, and the third state,
Fire extinguisher stor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외부 서버는 소방서 서버, 경찰서 서버, 상기 소화기보관함이 위치한 시설의 방재실 서버 또는 관제센터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발생 정보를 상기 소방서 서버, 상기 경찰서 서버, 상기 소화기보관함이 위치한 시설의 상기 방재실 서버 또는 상기 관제센터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보관함.
According to claim 1,
The predetermined external server includes a fire station server, a police station server, a disaster prevention room server or a control center server of a facility where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s loc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fire station server, the police station server,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server of the facility where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s located, or the control center server,
Fire extinguisher stor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소화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원기둥 부분 및 상기 제1 원기둥의 단면보다 넓은 단면을 갖는 제2 원기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소화기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소화기 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원기둥 형상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보관함.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ousing includes a first cylindrical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re extinguisher and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wider cross section than the first cylindrical cross section,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 cylindrical inner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e extinguisher to protect the fire extingui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art has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at of the cylindrical cross section so that the second housing can be mechanically coupl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Fire extinguisher storag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화기보관함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소화기보관함이 미리 정해진 위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화기보관함의 위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하는 경우, 판단 결과를 상기 미리 지정된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보관함.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Determin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s out of a predetermined location range,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s out of the predetermined location range,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predetermined external server.
Fire extinguisher storag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보관함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거나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보관함.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disposed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Fire extinguisher storage.
KR1020190106543A 2018-07-13 2019-08-29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KR102513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43A KR102513984B1 (en) 2018-07-13 2019-08-29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923A KR102018988B1 (en) 2018-07-13 2018-07-13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KR1020190106543A KR102513984B1 (en) 2018-07-13 2019-08-29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923A Division KR102018988B1 (en) 2018-07-13 2018-07-13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756A KR20200007756A (en) 2020-01-22
KR102513984B1 true KR102513984B1 (en) 2023-03-27

Family

ID=8579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543A KR102513984B1 (en) 2018-07-13 2019-08-29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9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04B1 (en) * 2020-02-04 2020-12-31 강정수 Integrated fire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iot-based fire extinguishing devices
KR102472114B1 (en) * 2020-04-29 2022-11-28 지은주 Fire extinguisher prop and methode of alaming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94Y1 (en) * 2004-12-16 2005-03-14 최진형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967A (en) * 2010-06-22 2011-12-28 김민영 Apparatus for missing prevention of the potable device
US8842016B1 (en) * 2011-09-06 2014-09-23 Cellco Partnership Fire extinguisher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645302B1 (en) * 2016-01-11 2016-08-03 유지씨 주식회사 Life saving case is equipped with fire extinguish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94Y1 (en) * 2004-12-16 2005-03-14 최진형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756A (en)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988B1 (en)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EP3118826B1 (en) Home, office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using micro mobile drones and ip cameras
KR101827733B1 (en)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US10210746B2 (en) Portable securit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home security system monitoring service
KR101385211B1 (en) Integrated safety guard system of smart type
KR20170088544A (en) Social securi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ing for combing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security accident prevention
KR20190072703A (en) Security system and safety transmission method to transmit emergence signal of disaster accident
KR101559682B1 (en) Digital Door Lock System
KR101875377B1 (en) System for notifing emergency situation
CN107924607A (en) Safety automation system
KR102513984B1 (en)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KR101867923B1 (en) Bidirectional alarm system on fire extinguisher
KR20070056236A (en) Home automation system for fire extinguishment and emergency
CN204319548U (en) The multi-functional alarm safety means of air respiratorresuscitator
CA2941457A1 (en) System arm notification based on ble position
KR101562870B1 (en) The Argos tower and Argos system offering a cctv monitor for anti-crime and anti-disaster with wi-fi direct service
CN104853169B (en) Personal portable mobile monitoring and home service platform
KR101509924B1 (en) Crime preventing potable device, Crime monitoring system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4404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security
KR101878309B1 (en) Safe warning apparatus and safe warn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H1166477A (en) Rescue support system
KR101693215B1 (en) An Integrated Sens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IY type Unmanned Security System
CN204305210U (en) A kind ofly integrate supervisory system that is antitheft and safety
RU148910U1 (en) AUTONOMOUS RADIO CHANNEL GSM SIGNAL
KR102095154B1 (en) 112 emergency bell call system for security using emergency bell and ip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