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033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033B1
KR102509033B1 KR1020180053942A KR20180053942A KR102509033B1 KR 102509033 B1 KR102509033 B1 KR 102509033B1 KR 1020180053942 A KR1020180053942 A KR 1020180053942A KR 20180053942 A KR20180053942 A KR 20180053942A KR 102509033 B1 KR102509033 B1 KR 102509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signal
unlicensed band
transm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388A (ko
Inventor
오진영
박성진
여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033B1/ko
Priority to PCT/KR2019/005650 priority patent/WO2019216704A1/ko
Priority to US16/980,677 priority patent/US11343682B2/en
Publication of KR2019012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8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with additional processing of random access related information at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65Feed forward of transmit weights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접속 방법 및 채널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이 비면허대역에서 사용되는 빔에 관한 설정 정보 및 동기신호블록 전송에 관한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를 기초로 채널 접속 절차에서 사용되는 임계값을 결정하며, 결정된 임계값을 기초로 판단된 비면허대역의 유휴 상태 여부에 따라 비면허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접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5G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본 개시는 비면허대역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 또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기지국 또는 단말, 또는 송신노드 및 수신노드에서의 채널접속절차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채널 접속 방법은, 비면허대역에서 사용되는 빔에 관한 설정 정보 및 동기신호블록 전송에 관한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를 기초로 채널 접속 절차에서 사용되는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임계값을 기초로 판단된 비면허대역의 유휴 상태 여부에 따라 비면허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면허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 기기(기지국 또는 단말)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빔과 관련된 변수를 고려하여 채널접속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비면허대역에서 수행하는 채널접속절차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NR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상/하향 링크에서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비면허대역에서의 채널접속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NR 시스템에서 전송가능한 동기신호전송블록의 시간자원 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노드 또는 기지국과 수신노드 또는 단말이 비면허대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기존 4G 시스템 대비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들은 모바일 초광대역 통신 서비스(eMBB: enhanced mobile broad band), 초 고신뢰성/저지연 통신 서비스(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대규모 기기간 통신 서비스(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차세대 방송 서비스(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URLLC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URLLC 시스템, eMB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eMBB 시스템 등이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와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복수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특징에 맞게 각 서비스를 동일한 시구간 내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LTE 또는 LTE-A 시스템, 또는 5G New Radio (NR) 시스템에서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하향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자원 할당 정보 등이 포함된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은 단말이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예를 들어 Channel-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또는 방송 채널 (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에서 단말에게 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 n에서 PDSCH를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전송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한 단말은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서브프레임 n에서 PDSCH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LTE 또는 LTE-A 또는 NR시스템에서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 (PDCCH)을 통해 기지국은 단말에게 상향 링크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된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를 전송하여, 단말이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예를 들어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또는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또는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향 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PDCCH를 통해 전송된 상향 링크 전송 설정 정보 (또는 상향 링크 DCI 또는 UL grant)를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한 단말은, 사전에 정의된 시간 (예를 들어, n+4) 또는 상위 신호를 통해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n+k), 또는 상향링크 전송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간 지시자 정보(예를 들어, n+k)에 따라,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이하, PUSCH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설정된 하향 링크 전송이 비면허대역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전송되거나, 설정된 상향 링크 전송이 비면허대역을 통해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경우, 전송 기기(기지국 또는 단말)는 설정된 신호 전송 시작 시점 이전 또는 직전에 신호 전송이 설정된 비면허대역에 대한 채널 접속 절차 (Channel access procedure, 또는 LBT: listen-before talk)를 수행하고, 채널 접속 절차의 수행 결과에 따라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설정된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전송 기기에서 수행한 채널 접속 절차에 따라 비면허대역이 유휴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점유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송 기기는 설정된 신호의 전송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신호 전송이 설정된 비면허대역에서의 채널 접속 절차는 일반적으로 전송기기에서 일정 시간 또는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계산된 시간 (예를 들어, 적어도 기지국 또는 단말이 선택한 하나의 랜덤 값을 통해 계산된 시간) 동안 비면허대역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사전에 정의하거나, 채널 대역폭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의 대역폭, 전송 전력의 세기, 전송 신호의 빔폭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수로 구성된 함수에 의해 계산된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비면허대역의 유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기기에서 25us 동안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사전에 정의된 임계값 -72dBm 보다 작은 경우,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전송의 최대 가능 시간은 비면허 대역에서 국가, 지역별로 정의된 최대 채널 점유 가능 구간 (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 또는 전송 기기의 종류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단말, 또는 마스터(master) 기기 또는 슬레이브(slave) 기기)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5GHz 비면허대역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 수행 후, 최대 4ms 시간 동안 추가적인 채널 접속 절차 수행 없이 채널을 연속적으로 점유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일 25us 동안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사전에 정의된 임계값 -72dBm 보다 큰 경우, 기지국은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신호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의 경우, 다양한 서비스 제공 및 높은 데이터 전송률 지원을 위해 코드블록그룹 단위의 재전송,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없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등의 다양한 기술들이 도입될 것이다. 따라서, 비면허대역을 통해 5G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보다 효율적인 채널 접속 절차가 필요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 (LTE-A),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5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5G 또는 NR (new radio)의 통신표준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5세대를 포함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MTC) 및 URLLC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서비스들은 동일 시구간 동안에 동일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eMBB는 고용량데이터의 고속 전송, mMTC는 단말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 URLLC는 고신뢰도와 저지연을 목표로 하는 서비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3가지의 서비스는 LTE 시스템 또는 LTE 이후의 5G/NR (new radio, next radio) 등의 시스템에서 주요한 시나리오일 수 있다.
기지국이 특정 전송시간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에서 eMBB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어떠한 단말에게 스케줄링 하였을 때, 특정 TTI에서 URLLC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미 eMBB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전송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 eMBB 데이터 일부를 전송하지 않고, 발생한 URLLC 데이터를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할 수 있다. eMBB를 스케줄링 받은 단말과 URLLC를 스케줄링 받은 단말은 서로 같은 단말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단말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미 스케줄링하여 전송하고 있던 eMBB 데이터 일부를 전송하지 않는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eMBB 데이터가 손상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eMBB를 스케줄링을 받은 단말 또는 URLLC를 스케줄링 받은 단말에서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신호 수신 방법이 결정될 필요가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향 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 경로이고, 상향 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 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혹은 LTE-A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A 이후에 개발되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new radio, NR)이 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NR 시스템에서는 하향 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 링크(Uplink; UL)에서는 OFDM 및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모두 채용하고 있다. 상향 링크는 단말(terminal 또는 User Equipment, UE) 또는 Mobile Station((MS)이 기지국(eNode B, 혹은 base station(BS))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를 뜻하고, 하향 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를 뜻한다. 이러한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 (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NR 시스템은 초기 전송에서 복호 실패가 발생된 경우, 물리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HARQ 방식이란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화(디코딩)하지 못한 경우, 수신기가 송신기에게 디코딩 실패를 알리는 정보(NACK; Negative Acknowledgement)를 전송하여 송신기가 물리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수신기는 송신기가 재전송한 데이터를 이전에 디코딩 실패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데이터 수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한 경우, 수신기는 송신기에게 디코딩 성공을 알리는 정보(ACK; Acknowledgement)를 전송함으로써 송신기가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NR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상/하향 링크에서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 영역에서의 최소 전송 단위는 OFDM 또는 DFT-s-OFDM 심볼로서, Nsymb개의 OFDM 심볼(101) 또는 Nsymb개의 DFT-s-OFDM 심볼이 모여 하나의 슬롯(102)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OFDM 심볼은 OFDM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대한 심볼을 나타내고, DFT-s-OFDM 심볼은 DFT-s-OFDM 또는 SC-FDMA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대한 심볼을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OFDM 및 DFT-s-OFDM 심볼에 대한 구분 없이 OFDM 심볼로 통용하여 설명할 것이며,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을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후술할 실시예들은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에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만일 서브캐리어간 간격이 15kHz인 경우 1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103)을 구성하며, 슬롯 및 서브프레임의 길이가 각각 1ms이다. 이때, 하나의 서브프레임(103)를 구성하는 슬롯의 수 및 슬롯의 길이는 서브캐리어간 간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간 간격이 30kHz인 경우 4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103)을 구성할 수 있으며 슬롯의 길이는 0.5ms이며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다. 그리고 라디오 프레임(104)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간영역구간이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최소 전송 단위는 서브캐리어(subcarrier)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 (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Figure 112018046163496-pat00001
개의 서브캐리어(105)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체적인 수치는 일 예일 뿐,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경우 서브캐리어간 간격은 15kHz이나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105)을 구성하며, 슬롯의 길이는 0.5ms이고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106, Resource Element; RE)로서 OFDM 심볼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블록(107, Resource Block; RB 또는 Physical Resource Block; PRB)은 시간영역에서 Nsymb개의 연속된 OFDM 심볼(101)과 주파수 영역에서
Figure 112018046163496-pat00002
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108)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슬롯(102)에서 하나의 RB(107)는 Nsymb ×
Figure 112018046163496-pat00003
개의 RE(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주파수 영역 최소 할당 단위는 RB(107)이다.
NR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Nsymb = 14,
Figure 112018046163496-pat00004
=12 이고,
Figure 112018046163496-pat00005
Figure 112018046163496-pat00006
는 시스템 전송 대역의 대역폭에 비례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Nsymb = 7, NRB=12 이고,
Figure 112018046163496-pat00007
Figure 112018046163496-pat00008
는 시스템 전송 대역의 대역폭에 비례할 수 있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경우 서브프레임 내의 최초 N 개의 OFDM 심벌 이내에 전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 = {1, 2, 3}일 수 있으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위신호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심볼의 수를 설정 받을 수 있다. 또한, 현재 서브프레임에 전송해야 할 제어 정보의 양에 따라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심볼의 수를 서브프레임마다 가변하고, 심볼의 수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NR 내지 LTE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하향 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DCI 는 여러 가지 포맷에 따라 정의되며, 각 포맷은 상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UL grant)인지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DL grant) 인지 여부, 제어 정보의 크기가 작은 컴팩트 DCI 인지 여부, 제어 정보가 fall-back DCI 인지 여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를 적용하는지 여부, 전력제어용 DCI 인지 여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하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정보(DL grant)인 DCI 포맷 (예를 들어 NR의 DCI format 1_0)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제어 정보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제어정보 구분자 (DCI format identifier): 수신된 DCI의 포맷을 구분하는 구분자
- 주파수 자원 할당(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 RB를 지시.
- 시간 자원 할당(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 슬롯 및 심볼을 지시.
- VRB-to-PRB mapping: VRB 매핑 방식 적용여부를 지시
-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변조 방식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인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의 크기를 지시.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HARQ 초기 전송인지 재전송인지를 지시.
-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HARQ 의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을 지시.
- HARQ 프로세스 번호(HARQ process number): HARQ 의 프로세스 번호를 지시.
- PDSCH 할당 정보 (Downlink assignment index): 단말에게 기지국으로 보고해야하는 PDSCH 수신 결과의 수 (예를 들어, HARQ-ACK 수) 지시
- PUCCH를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Transmit Power Control(TPC) command) for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지시한다.
- PUCCH 자원 지시자 (PUCCH resource indicator): 해당 DCI를 통해 설정된 PDSCH에 대한 수신 결과가 포함된 HARQ-ACK 보고에 사용되는 PUCCH 자원 지시
- PUCCH 전송 타이밍 지시자 (PDSCH-to-HARQ_feedback timing indicator): 해당 DCI를 통해 설정된 PDSCH에 대한 수신 결과가 포함된 HARQ-ACK보고를 위한 PUCCH가 전송되어야 하는 슬롯 또는 심볼 정보 지시
DCI는 채널코딩 및 변조과정을 거쳐 하향 링크 물리제어채널인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또는, 제어 정보, 이하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는 EPDCCH (Enhanced PDCCH)(또는, 향상된 제어 정보, 이하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DCI는 각 단말에 대해 독립적으로 특정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또는, 단말 식별자 C-RNTI)로 스크램블 되어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추가되고, 채널코딩된 후, 각각 독립적인 PDCCH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시간영역에서 PDCCH는 제어 채널 전송구간 동안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PDCCH 의 주파수영역 매핑 위치는 각 단말의 식별자(ID) 에 의해 결정되고, PDCCH는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에 퍼져서 전송될 수 있다.
하향 링크 데이터는 하향 링크 데이터 전송용 물리채널인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PDSCH는 제어 채널 전송 구간 이후부터 전송될 수 있으며, 주파수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매핑 위치, 변조 방식 등의 스케줄링 정보는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DCI를 구성하는 제어 정보 중 MCS를 통해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PDSCH에 적용된 변조방식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transport block size; TBS)를 통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MCS는 5비트 또는 그보다 더 많거나 적은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TBS 는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transport block, TB)에 오류 정정을 위한 채널코딩이 적용되기 이전의 크기에 해당한다.
NR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변조방식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256QAM으로서, 각각의 변조오더(Modulation order)(Qm) 는 각각 2, 4, 6이다. 즉, QPSK 변조의 경우 심볼당 2 비트, 16QAM 변조의 경우 심볼당 4 비트, 64QAM 변조의 경우 심볼당 6 비트, 256QAM 변조의 경우 심볼당 8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변형에 따라 256QAM 이상의 변조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HARQ는 데이터 재전송시점이 고정되지 않은 비동기(asynchronous) HARQ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향링크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지국이 전송한 초기전송 데이터에 대해 단말로부터 HARQ NACK을 피드백 받은 경우, 기지국은 재전송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스케줄링 동작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HARQ 동작을 위해 수신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결과, 오류로 판단된 데이터에 대해 버퍼링을 한 후,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된 데이터와 컴바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n-k에서 전송된 PDSCH의 HARQ ACK/NACK 정보는 서브프레임 n에 PUCCH 혹은 PUSCH를 통해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NR과 같은 5G 통신 시스템의 경우, k값이 서브프레임 n-k에서 전송된 PDSCH에 대한 수신을 지시 또는 스케줄링하는 DCI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k 값이 상위 신호를 통해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k 값을 상위 신호로 설정하고, DCI를 통해 특정 k 값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이때, k는 단말의 HARQ-ACK 처리 능력, 다시 말해 단말이 PDSCH를 수신하고 PDSCH에 대한 HARQ-ACK을 생성 및 보고하는데까지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k 값을 설정 받기 이전까지는 사전에 정의된 값, 또는 디폴트(default)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의 설명 및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NR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내용은 NR 시스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LTE, LTE-A, LTE-A-Pro, 5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내용은 비면허대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내용은 면허대역에서 동작하는 시스템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의 설명 및 이하 본 개시에서 상위 시그널링 또는 상위 신호는 기지국에서 물리 계층의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로, 또는 단말에서 물리 계층의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신호 전달 방법이며, RRC 시그널링, 또는 PDCP 시그널링, 또는 MAC 제어요소(MAC control element; MAC CE)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 전달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경우, 비면허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 기기(기지국 또는 단말)는 신호를 전송하기 이전에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비면허대역에 대한 채널 접속 절차(Channel access procedure, 또는 LBT: listen-before talk)를 수행하고, 채널 접속 절차에 따라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수행한 채널 접속 절차에 따라 비면허대역이 유휴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송기기는 신호 전송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비면허대역에서의 채널 접속 절차는 일반적으로 전송기기에서 고정된 시간 또는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계산된 시간 (예를 들어, 적어도 기지국 또는 단말이 선택한 하나의 랜덤 값을 통해 계산된 시간)동안 비면허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사전에 정의되거나, 채널 대역폭 내지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의 대역폭 내지 전송 전력의 세기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수로 구성된 수신 신호 세기의 크기를 판단하는 함수에 의해 계산된 임계값(threshold, X_thresh_max)과 비교함으로써 비면허대역의 유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기기에서는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시간 직전 25us 동안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사전에 정의되거나 계산된 임계값 (예를 들어 -72dBm) 보다 작은 경우, 비면허대역가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접속 절차 후, 연속적인 신호 전송이 가능한 최대 시간은, 각 비면허 대역에따라 국가, 지역, 주파수 대역별로 정의된 최대 채널 점유 가능 구간 (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에 따라 제한될 수 있으며, 전송 기기의 종류(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단말, 또는 master 기기 또는 slave 기기)에 따라서도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5GHz 비면허대역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은 채널 접속 절차 수행 후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비면허대역에 대하여, 최대 4ms 시간 동안 추가적인 채널 접속 절차 수행 없이 채널을 연속적으로 점유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 또는 단말이 비면허 대역으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자 할때, 기지국 또는 단말이 수행할 수 있는 채널 접속 절차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타입으로 구분하여 설명될 수 있다.
- Type 1: 가변 시간 동안 비면허 대역 채널 감지 후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 Type 2: 고정 시간 동안 비면허 대역 채널 감지 후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 Type 3: 채널 감지 없이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신호 전송
이하 본 개시에서는 기지국에서 비면허대역을 통해 단말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내용은 단말이 비면허대역을 통해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일부 수정하여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향링크 신호 전송의 경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기지국이 하나의 단말에게 하나의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 (코드워드 또는 TB)를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내용은 둘 이상의 단말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또한 단말에게 둘 이상의 코드워드 또는 TB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으로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기지국은,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채널 접속 절차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비면허대역으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은 Type 1 방식의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이 비면허대역으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지 않는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예를 들어 동기 신호 또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은 Type 2 방식의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고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비면허 대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전송 길이 또는 비면허대역을 점유하여 사용하는 시간 또는 구간의 길이에 따라 채널 접속 절차 방식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Type 1 방식은 Type 2 방식으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것보다 긴 시간 동안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시간 구간 또는 기준 시간(예를 들어 Xms 또는 Y 심볼) 이하의 시간 동안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Type 2 방식의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반면, 긴 시간 구간 또는 기준 시간(예를 들어 Xms 또는 Y 심볼) 초과 내지 이상의 시간 동안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Type 1 방식의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면허대역 사용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의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전술한 기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Type 1 방식의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비면허 대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QCI(Quality of service Class Identifier)에 따라 채널 접속 우선 순위 종류(channel access priority class)를 판단하고, 판단된 채널 접속 우선 순위 종류에 대해 표 1과 같이 사전에 정의된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채널 접속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CI 1, 2, 4는 각각 Conversational Voice, Conversational Video (Live Streaming), Non-Conversational Video(Buffered Streaming)와 같은 서비스에 대한 QCI 값을 의미한다. 만일 기지국이 표 1의 QCI에 매칭되지 않는 서비스에 대한 신호를 비면허대역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와 표 1의 QCI에 가장 근접한 QCI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채널 접속 우선 순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표 1은 Channel Access Priority Classes 및 QCI간의 매핑 관계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8046163496-pat00009
예를 들어, 판단된 채널 접속 우선 순위(p)에 따른 지연 구간(defer duration), 경쟁 구간 (Contention Window) 값 또는 크기의 집합(CW_p) 및 경쟁 구간의 최소값 및 최대값(CW_min,p, CW_max,p), 최대 채널 점유 가능 구간(T_mcot,p)등을 표 2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면허대역으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기지국은 최소로 T_f + m_p*T_sl시간 동안 비면허대역에 대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채널 접속 우선 순위 종류 3 (p=3)으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연 구간의 크기 T_f + m_p*T_sl에 대해서 m_p=3을 이용하여 그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만일, m_p*T_sl시간 모두에서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N=N-1이 될 수 있다. 이때, N은 0과 상기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시점의 경쟁 구간의 값(CW_p) 사이의 값 중 임의의 정수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채널 접속 우선순위 종류 3의 경우, 최소 경쟁 구간 값 및 최대 경쟁 구간 값은 각각 15, 63이다. 만일, 지연 구간 및 추가 채널 접속 절차 수행 구간에서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지국은 T_mcot,p 시간 (8ms) 동안 비면허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표 2는 다운링크에서, 채널 액세스 우선순위 클래스(Channel access priority class)를 나타낸 표이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운링크 채널 액세스 우선순위 클래스를 이용하여 설명할 것이나, 상향링크의 경우 표 2의 채널 액세스 우선순위 클래스를 재사용하거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채널 액세스 우선순위 클래스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2]
Figure 112018046163496-pat00010
초기의 경쟁 구간 값(CW_p)은 경쟁 구간의 최소값 (CW_min,p)이다. 상기 N값을 선택한 기지국은, T_sl 구간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고, T_sl 구간에서 수행한 채널 접속 절차를 통해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로 판단된 경우, N=N-1로 값을 변경하고, N=0이 된 경우 비면허대역을 통해 신호를 최대 T_mcot,p 시간 동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일 T_sl 시간에서 채널 접속 절차를 통해 판단된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가 아닌 경우, 기지국은 N값은 변경하지 않고 채널 접속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경쟁 구간 (CW_p)의 값은, 기지국이 채널 접속 절차를 개시하는 시점, 또는 기지국이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N값을 선택하는 시점 또는 그 직전에 기지국이 비면허대역을 통해 가장 최근에 전송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 구간(또는 MCOT) 중에서, 기준 서브프레임(reference subframe) 또는 기준 슬롯(reference slot)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수신결과를 기준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기준 서브프레임 또는 기준 슬롯에서 송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단말의 수신 결과를 보고 받고, 보고 받은 수신결과 중에서, NACK의 비율(Z)에 따라 CW_p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도 2는 비면허대역에서의 채널접속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이 채널 접속 절차를 개시하는 시점(270), 또는 기지국이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도 1 에서 전술한 N값을 선택하는 시점 또는 그 직전에 비면허대역을 통해 가장 최근에 전송한 하향링크 신호 전송 구간(230)의 첫번째 서브프레임(240)에 대하여 단말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수신 결과를 보고 받을 수 있는 경우, 첫번째 서브프레임(240)이 기준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다. 만일, 첫번째 서브프레임(240)에 대하여 단말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수신 결과를 보고 받을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첫번째 서브프레임(240)과 기지국이 채널 접속 절차를 개시하는 시점(270)간의 시간 간격이 n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 이하인 경우, 다시 말해 상기 첫번째 서브프레임(240)에 대하여 단말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수신 결과를 보고 할 수 있는 시간 이전에 기지국이 채널 접속 절차를 개시하는 경우, 하향링크 신호 전송 구간(230) 이전에 전송한 가장 최근의 하향링크 신호 전송 구간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이 기준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이 채널 접속 절차를 개시하는 시점(270), 또는 기지국이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N값을 선택하는 시점 또는 그 직전에 기준 서브프레임(240)에서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단말로부터 수신 받지 못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들로부터 기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수신 결과들 중, 가장 최근에 전송된 하향링크 신호 전송 구간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을 기준 서브프레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기준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결과를 이용하여, 채널 접속 절차에서 사용되는 경쟁 구간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접속 우선순위 종류 3(p=3)을 통해 설정된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CW_p=15)를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한 기지국은, 비면허대역을 통해 전송한 하향링크 신호들 중, 첫번째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단말의 수신 결과들 중 80% 이상의 수신 결과가 NACK으로 판단된 경우, 경쟁 구간을 초기값 (CW_p=15)에서 다음의 경쟁구간 값 (CW_p=31)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만일, 단말의 수신 결과 중 80% 이상의 수신 결과가 NACK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경쟁 구간의 값을 기존값으로 유지하거나 경쟁 구간의 초기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경쟁 구간의 변경은 채널 접속 우선순위 종류 모두에 공통으로 적용되거나, 채널 접속 절차에 사용된 채널 접속 우선순위 종류에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경쟁 구간 크기 변경을 판단하는 기준 서브프레임 또는 기준 슬롯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 또는 보고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 중, 경쟁 구간 크기 변경 판단에 유효한 수신 결과를 판단하는 방법, 다시 말해 Z값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만일, 기지국이 기준 서브프레임 또는 기준 슬롯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코드워드 또는 TB를 전송하는 경우에서, 기지국은 기준 서브프레임 또는 기준 슬롯에서 수신한 TB에 대하여, 단말이 전송 또는 보고한 수신 결과들 중에서 NACK의 비율로 Z값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서브프레임 또는 기준 슬롯에서 하나의 단말에게 2개의 코드워드 또는 2개의 TB가 전송된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2개의 TB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 수신 결과를 전송 또는 보고 받을 수 있다. 만일, 2개의 수신 결과 중, NACK의 비율(Z)이, 사전에 정의되거나 기지국과 단말 간에 설정된 임계 값(예를 들어 Z=80%)과 같거나 큰 경우, 기지국은 경쟁 구간의 크기를 변경 또는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만일 단말이 기준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M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결과를 번들링(bundling)하여 기지국에게 전송 또는 보고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M개의 수신 결과를 전송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M개의 수신 결과 중 NACK의 비율로 Z값을 판단하고, 경쟁 구간 크기를 변경, 유지 또는 초기화 할 수 있다.
만일, 기준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개의 슬롯 중 두 번째 슬롯에 대한 수신결과일 경우, 기준 서브프레임 (다시 말해 두번째 슬롯)과 그 다음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 또는 보고한 수신결과 중, NACK의 비율로 상기 Z값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되는 셀 또는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셀 또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되는 경우, 또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비면허대역을 통해 전송되거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전송되는 셀과 다른 셀 또는 다른 주파수에서 전송되는 경우에서, 단말이 기준 서브프레임 또는 기준 슬롯에서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전송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와, 단말이 전송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가DTX, 또는 NACK/DTX, 또는 any state로 판단된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수신 결과를 NACK으로 판단하여 Z값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면허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서, 단말이 전송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가 DTX, 또는 NACK/DTX, 또는 any state로 판단된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수신 결과를 경쟁 구간 변동의 기준 값 Z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단말의 수신 결과는 무시하고, Z값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면허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에서,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 또는 보고한 기준 서브프레임 또는 기준 슬롯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결과 중, 기지국이 실제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no transmission)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단말이 전송 또는 보고한 수신 결과를 무시하고 Z값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및 PBCH가 전송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 block, 3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기 신호 블록(300)은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301),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303),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30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동기 신호 블록(300)의 구성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SS(301)와 SSS(303)는 주파수 축으로 12 RB(305), 시간 축으로 1 OFDM 심볼(304)로 전송될 수 있다. 5G에서는 총 1008개의 서로 다른 셀 ID가 정의될 수 있고, 셀의 물리계층 ID에 따라 PSS(301)는 3개의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고, SSS(303)는 336개의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단말은 PSS(301)와 SSS(303)에 대한 검출을 통해 그 조합으로 1008개의 셀 ID 중 한 가지를 알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PSS(301)와 SSS(303)를 이용하여 셀 ID를 확인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46163496-pat00011
Figure 112018046163496-pat00012
는 SSS(303)로부터 추정될 수 있고, 0에서 33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8046163496-pat00013
는 PSS(301)로부터 추정될 수 있고, 0에서 2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Figure 112018046163496-pat00014
Figure 112018046163496-pat00015
의 조합으로 셀 ID인
Figure 112018046163496-pat00016
값이 추정될 수 있다.
PBCH(302)는 주파수 축으로 24 RB(306), 시간 축으로 2 OFDM 심볼(304)로 전송될 수 있다. PBCH(302)에서는 MIB로 불리는 다양한 시스템 정보들이 전송될 수 있으며, 아래의 내용 (Contents) 중 일부 혹은 전체가 PB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 System frame number (SFN)
- MSB of SS/PBCH block index (for above 6GHz frequency)
- Half frame timing
- Subcarrier spacing for common control
- SS/PBCH subcarrier offset
- DMRS type A position for PDSCH
- SIB1 PDCCH configuration
- Cell barring information
- Spare
- CRC
전술한 바와 같이 동기 신호 블록(300)은 PSS(301), SSS(303), PBCH(302)로 구성되며 시간 축으로 총 4 OFDM 심볼로 매핑될 수 있다. PSS(301)의 전송 대역폭 (12RB(305))과 SSS(303), PBCH(302)의 전송 대역폭(20RB(306))이 서로 다른 관계로, PBCH(302)의 전송대역 (20RB(306)) 내에서 PSS(301)와 SSS(303)가 전송되는 OFDM 심볼에서는 PSS(301)가 전송되는 가운데 12 RB를 제외한 양 쪽 4 RB (도 3에서 (307)과 (308)에 해당)가 존재하며, (307)과 (308) 영역은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거나 비어 있을 수 있다. 동기 신호 블록은 모두 동일한 아날로그(Analog) 빔(Beam)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PSS(301), SSS(303), PBCH(302)는 모두 동일한 빔으로 전송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은 주파수 축으로는 적용될 수 없는 특성으로 특정 아날로그 빔이 적용된 특정 OFDM 심볼 내의 모든 주파수 축 RB에서는 동일한 아날로그 빔이 적용될 수 있다. 즉, PSS(301), SSS(303), PBCH(302)가 전송되는 4개의 OFDM 심볼들은 모두 동일한 아날로그 빔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동기신호블록(300)은 특정 시간 구간 (예를 들어 5ms 구간)에서 최대 64개까지 전송 가능하며, 동기신호블록(300)의 부반송파간격, 동기신호블록(300)이 전송되는 케리어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따라 전송되는 동기신호블록의 수(L)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3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4개, 3GHz부터 6GHz까지는 최대 8개, 6GHz 이상에서는 최대 64개의 동기신호블록이 시간 구간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면 도 4와 같다. 도 4는 NR 시스템에서 전송가능한 동기신호전송블록의 시간자원 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전송될 수 있는 최대 동기신호블록의 수는 일 예일 뿐이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채널접속절차를 통해 측정된 수신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비면허대역이 유휴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임계값(X_thresh)은 다음과 같이 판단 내지 계산될 수 있다. 만일 특정 비면허대역이 규제 등에 의해 다른 통신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경우, 다시 말해 특정 비면허대역을 하나의 시스템 내지 하나의 시스템 그룹만이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특정 비면허대역에서 IEEE의 Wi-Fi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고, 3GPP 시스템 (LTE, NR)만 존재하는 경우), 전술한 임계값은 다음과 같이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X_thresh_max = min (T_max + K_1, X_r) [dBm]
상기의 수학식 2에서, X_r은 비면허대역 주파수 대역에 대해 규제(regulatory requirement)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는 최대 임계값[dBm]이다. 이때, 최대 임계값은 국가 내지 지역 내지 주파수 대역별로 다른 값을 갖거나 독립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만일, 최대 임계값이 규제에 의해 정의되지 않는 비면허대역의 경우, X_thresh_max = T_max + K_1 내지 X_r= T_max + K_1일 수 있다. 여기서 T_max는 국가 내지 지역 내지 주파수 대역별로 정의되어 있는 값이거나, 비면허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규격(specification)에서 정의되어 있는 최대값일 수 있다. 이때, T_max는 주파수 대역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LAA 시스템의 경우, 5GHz 대역의 비면허대역을 사용하며, 이때 T_max의 값은 T_max = 10*log10(3.16228*10-8(mW/MHz)*BWMHz(MHz))로 정의되어 있다.
만일, 특정 비면허대역이 규제 등에 의해 다른 통신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없는 경우, 다시 말해, 특정 비면허대역을 복수개의 통신 시스템들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 임계값은 적어도 송신 전력, 전송 대역폭 등을 기초로 다음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 될 수 있다.
[수학식 3]
X_thresh_max = max (T_a, min(T_max, T_max + T)
여기서, T_a = -72+10*log10(BWMHz/BW_ref) dBm, T = -T_A + (P_H + 10*log10(BWMHz/20MHz) - P_tx) 이다. 이때, T_A는 기지국 내지 단말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 내지 채널 중에서 데이터 채널 (예를 들어, PDSCH 내지 PUSCH) 전송이 포함되었는지에 대한 여부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PDSCH/PUSCH를 포함하는 전송에 대한 임계값 계산에서는 T_A=10dB를 적용하고, PDSCH 전송 없이 discovery signal 내지 SSB전송을 포함하는 전송에 대한 채널접속절차에서는 T_A=5dB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P_H는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비면허대역에 대해서 규제 등에 의해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최대 전송 전력 또는 실효 등방성 복사전력 (EIRP(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 값으로 예를 들어 P_H=23dBm 일 수 있다. 실효 등방성 복사전력은 안테나에 공급되는 송신기의 전력과 등방성 안테나를 기준으로 하는 안테나 절대 이득의 곱이다. P_tx는 기지국이 설정한 최대 전송 전력 내지 최대 출력 전력이다. BWMHz는 하나의 케리어에 대한 대역폭으로 MHz 단위로 표현되는 값이다.
이때, 전술한 T_A 내지 P_H, 내지 P_tx값은 일 예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수에 대한 값은 사전에 정의되거나, 상위 신호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T_A, P_H내지 P_tx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수에 대한 값은 국가 또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주파수 대역폭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큰 값의 T_A를 적용하여, 임계값을 보다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넓은 범위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까지 채널접속절차에 반영될 수 있다. 이때,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임계값을 계산하는 것은 하나의 일 예이며,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3의 변형 내지 다른 수학식을 이용하여 임계값이 계산될 수 있다.
한편, NR 시스템과 같이 복수개의 빔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단말간에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전술한 일 예와 같이 송신노드에서 채널접속절차를 통해 빔 방향에 대한 고려 없이 측정된 수신 신호의 크기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면허대역이 유휴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비면허대역이 유휴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노드 또는 기지국(510, 540, 570)과 수신노드 또는 단말(515, 545, 575)이 비면허대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각 송신노드에서는 전술한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임계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도 5를 참조하면, 임계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520, 550, 580)이 도시되어 있다.
만일, 빔에 대한 별도 고려 없이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된 임계값으로 기지국1(510)과 기지국2(540)에서 채널접속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만일 기지국1(510)이 단말1(515)로 신호 전송 시, 기지국2(540)에서는 기지국1(510)이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면허대역이 유휴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만일 기지국1(510)과 기지국2(540)에서 단말1(515) 및 단말2(545) 방향으로 빔포밍(525, 555)을 수행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각 기지국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1(515) 및 단말2(545)에서는 별도의 간섭 없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기 관점에서 비면허대역은 유휴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개의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신노드와 수신노드의 경우, 송신노드 및 수신노드 각각에서 판단하는 비면허대역의 유휴상태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임계값을 계산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도 5에서 기지국1(510)과 기지국3(570)이 빔을 고려하여 임계값 계산 및 채널접속절차를 수행하여 비면허대역이 유휴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신호를 각각 전송였으나, 단말1(515)에서는 기지국3(570)으로부터의 강한 간섭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임계값 계산시 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빔을 사용하는 송신노드의 경우, 송신하고자 하는 빔의 방향에서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면허대역의 유휴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빔을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단일 빔, 내지 등방형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임계값을 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라 비면허대역에서 복수개의 빔을 이용하여 신호 내지 채널을 전송하는 송신노드에서 복수개의 빔을 고려하여 채널 접속 절차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면허대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임계값 계산 방법은 각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적용되지 않고,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 전체 또는 일부 내용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이 채널접속절차를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임계값 계산하는 방법을 단말이 채널접속절차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실시 예 1]
비면허대역에서 복수개의 빔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에서는 기지국이 사용하는 빔의 개수를 이용하여 채널접속절차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R시스템의 경우 하나의 동기신호블록이 하나의 빔에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빔의 개수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동기신호블록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NR 시스템의 경우 주파수 대역에 따라 특정 시간 구간 (예를 들어 5ms 구간)에서 최대 64개까지 전송 가능하며, 동기신호블록의 부반송파간격, 동기신호블록이 전송되는 케리어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따라 전송되는 동기신호블록의 수(L)가 다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3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4개, 3GHz부터 6GHz까지는 최대 8개, 6GHz 이상에서는 최대 64개의 동기신호블록이 상기 시간 구간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전송될 수 있는 최대 동기신호블록의 수는 일 예일 뿐이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변경되거나 다른 값으로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학식 4]
X_thresh_max = max (T_a, min(T_max, T_max + T)
수학식 4에서, T_a = -72+10*log10(BWMHz/BW_ref) dBm, T = -T_A -T_B + (P_H + 10*log10(BWMHz/20MHz) - P_tx) 이고, T_B는 빔의 수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단위는 dBm 내지 dB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빔의 수 L이 a개 이하 일 경우, T_B=0이고, 만일 a<L=b 인 경우 T_B=X, 만일 b<L=c 인 경우, T_B=Y, 만일 L>c인 경우, T_B=Z일 수 있다. 이때, X, Y, 내지 Z의 값은 기지국과 단말간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PBCH내지 SIB, 또는 상위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 이때, X, Y, 내지 Z의 값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갖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또한, X, Y, 내지 Z의 값은 국가 내지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규제에 의해 정의된 값일 수 있다. 한편, a, b, 내지 c의 값은 기지국과 단말간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PBCH 내지 SIB, 또는 상위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 이때, a, b, 내지 c의 값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갖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또한, a, b, 내지 c의 값은 국가 내지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규제에 의해 정의된 값일 수 있다.
한편, 빔의 수 L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사전에 정의된 최대 동기신호블록의 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NR 시스템의 경우, 3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4개, 3GHz부터 6GHz까지는 최대 8개, 6GHz 이상에서는 최대 64개의 동기신호블록이 시간 구간에서 전송될 수 있으므로, L 값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4, 8, 64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a, b, c 값은 4, 8, 64일 수 있다. 한편, 기지국 내지 단말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에서 정의된 최대 동기신호블록 개수를 L로 가정하고, 전술한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채널접속절차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빔의 수 L은, 기지국이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실제로 전송하는 동기신호블록의 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NR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은 아래와 같은 SIB내지 RRC신호를 이용하여 단말들에게 실제로 전송되는 동기신호블록의 시간 영역 위치 정보 내지 실제로 전송되는 동기신호블록인덱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하고자하는 동기신호블록 개수를 L로 가정하고, 전술한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채널접속절차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계산할 수 있다. 단말은 SIB 내지 RRC신호를 통해 전송된 동기신호블록 시간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간영역 정보를 통해 기지국이 실제로 전송하는 동기신호블록의 수 내지 이에 대응되는 빔의 수를 유추 내지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값 L을 기초로 전술한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계산할 수 있다.
<SIB 정보에 포함된 전송된 동기신호블록의 시간위치 정보의 예>
Figure 112018046163496-pat00017
<RRC 정보에 포함된 전송된 동기신호블록의 시간위치 정보의 예>
Figure 112018046163496-pat00018
이때,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할 때 사용되는 빔과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빔 폭 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동기신호블록 정보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계산하는 것은 기지국이 제어신호 내지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경우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임계값 계산 방법은, 기지국이 복수개의 빔을 사용하여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채널접속절차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는 제어 신호 내지 제어채널 전송시 수행하는 채널접속절차의 임계값 계산 뿐만 아니라,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채널접속절차의 임계값 계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L값에 따라 수행해야 할 채널접속절차 타입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L이 a 이하 또는 b 이하 인 경우 제 2 타입, 만일 b<L=c 인 경우, 제 1 타입, 만일 L>c인 경우, 제 3 타입 채널접속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L값에 따라 제 1 타입 채널접속절차의 채널 접속 우선 순위 종류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만일 L이 a개 이하 일 경우, 제 3 내지 제 4 채널 접속 우선 순위가 적용되고, 만일 a<L=b 인 경우 제 2 내지 제 3 채널 접속 우선 순위, 만일 b<L=c 인 경우, 제 1 내지 제 2 채널 접속 우선 순위, 만일 L>c인 경우, 제 1 채널 접속 우선 순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T_A, T_B값은 전술한 수학식과 같이 별도의 변수로 표현될 수 있고, 다른 예에 따라, T_A 및 T_B를 함께 고려하여 하나의 값 T_C로 표현되거나, T_A, T_B 값을 결정하는 변수를 인자로 갖는 함수 T(A, B)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T_A값을 결정하는 변수는 데이터 채널 전송을 포함하는 전송인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로, 이에 따라 T_A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 2]
비면허대역에서 복수개의 빔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에서는, 기지국에서 전송하고자하는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내지 슬롯의 수를 이용하여 적어도 동기신호블록 전송을 포함하는 신호에 대해 수행하는 채널접속절차의 임계값을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내지 슬롯 내지 심볼의 수는 특정 부반송파간격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반송파간격 30kHz 의 슬롯길이를 기준으로,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내지 슬롯의 수가 판단되고, 이를 이용하여 임계값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5]
X_thresh_max = max (T_a, min(T_max, T_max + T)
수학식 5에서, T_a = -72+10*log10(BWMHz/BW_ref) dBm, T = -T_A -T_B + (P_H + 10*log10(BWMHz/20MHz) - P_tx) 이고, T_B는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내지 슬롯의 수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단위는 dBm 내지 dB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NR시스템은 동기신호블록이 특정 시간 구간 (예를 들어 5ms 구간)에서 최대 64개까지 전송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 동기신호블록이 전송되는 시간은 도 4와 같이 주파수 대역 및 동기신호블록의 부반송파간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 T_B를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슬롯의 수(N)를 기준으로 판단한다면, 15kHz 부반송파 간격을 갖는 동기신호블록의 경우, N=2 이하 인 경우, T_B=0이고, N>2 인 경우 T_B = X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동기신호블록을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에 필요한 슬롯의 수 N이 a개 이하 일 경우, T_B=0이며, 만일 a<N=b 인 경우 T_B=X, 만일 b<N=c 인 경우, T_B=Y이고, 만일 N>c인 경우, T_B=Z로 하여 임계값이 계산될 수 있다.
이때, X, Y, 내지 Z의 값은 기지국과 단말간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PBCH내지 SIB, 또는 상위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X, Y, 내지 Z의 값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갖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또한, X, Y, 내지 Z의 값은 국가 내지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규제에 의해 정의된 값일 수 있다. 한편, a, b, 내지 c의 값은 기지국과 단말간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PBCH내지 SIB, 또는 상위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 이때, a, b, 내지 c의 값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갖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또한, a, b, 내지 c의 값은 국가 내지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규제에 의해 정의된 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임계값 계산 방법은, 기지국이 복수개의 빔을 사용하여 적어도 동기신호블록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채널접속절차에 대해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임계값 계산 방법은 동기신호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의 채널접속절차에 대한 임계값 계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_B값은 기지국이 비면허대역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시간 내지 슬롯의 수, 또는 비면허대역을 점유하고자 하는 시간 내지 슬롯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N값에 따라 수행해야할 채널접속절차 타입이 판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이 a 이하 또는 b이하 인 경우 제 2 타입, 만일 b<N=c 인 경우, 제 1 타입, 만일 N>c인 경우, 제 3 타입 채널접속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N값에 따라 제 1 타입 채널접속절차의 채널 접속 우선 순위 종류가 판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N이 a개 이하일 경우, 제 3 내지 제 4 채널 접속 우선 순위를 적용하고, 만일 a<N=b 인 경우 제 2 내지 제 3 채널 접속 우선 순위, 만일 b<N=c 인 경우, 제 1 내지 제 2 채널 접속 우선 순위, 만일 N>c인 경우, 제 1 채널 접속 우선 순위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T_A, T_B값은 전술한 수학식과 같이 별도의 변수로 표현될 수 있고, 다른 예에 따라 T_A 및 T_B를 함께 고려하여 하나의 값 T_C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T_A, T_B 값을 결정하는 변수를 인자로 갖는 함수 T(A, B)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T_A값을 결정하는 변수는 데이터 채널 전송을 포함하는 전송인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로, 이에 따라 T_A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 3]
비면허대역에서 복수개의 빔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에서는 기지국이 사용하는 빔의 개수를 이용하여 채널접속절차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R 시스템의 경우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Non-zero power (NZP) CSI-RS가 하나의 빔에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는, NR 시스템의 경우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위해 설정한 Non-zero power (NZP) CSI-RS가 하나의 빔에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SI측정 내지 빔관리를 위한 NZP CSI-RS에 대한 구분 없이 설명할 것이다. 따라서, 빔의 개수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NZP CSI-RS의 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NR 시스템의 경우 최대 64개의 까지 NZP CSI-RS 전송 설정이 가능하다. 이때, 최대 NZP CSI-RS 수 (예를 들어, maxNrofCSI-SSB-ResourcePerSet 내지 maxNrofNZP-CSI-RS-ResourcesPerSet)는 일 예일 뿐이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변경되거나 다른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6]
X_thresh_max = max (T_a, min(T_max, T_max + T)
수학식 6에서, T_a = -72+10*log10(BWMHz/BW_ref) dBm, T = -T_A -T_B + (P_H + 10*log10(BWMHz/20MHz) - P_tx) 이고, T_B는 상기 빔의 수 또는 NZP CSI-RS수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단위는 dBm 내지 dB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빔의 수 L이 a개 이하 일 경우, T_B=0이고, 만일 a<L=b 인 경우 T_B=X, 만일 b<L=c 인 경우, T_B=Y, 만일 L>c인 경우, T_B=Z일 수 있다. 이때, X, Y, 내지 Z의 값은 기지국과 단말간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PBCH내지 SIB, 또는 상위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 이때, X, Y, 내지 Z의 값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갖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또한, X, Y, 내지 Z의 값은 국가 내지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규제에 의해 정의된 값일 수 있다.
한편, a, b, 내지 c의 값은 기지국과 단말간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PBCH내지 SIB, 또는 상위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 이때, a, b, 내지 c의 값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갖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또한, a, b, 내지 c의 값은 국가 내지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규제에 의해 정의된 값일 수 있다.
기지국은 SIB내지 RRC신호를 이용하여 단말들에게 NZP-CSI-RS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NZP-CSI-RS 수를 L로 가정하고,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채널접속절차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계산할 수 있다. 단말은 SIB 내지 RRC 신호를 통해 전송된 NZP-CSI-RS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통해 NZP-CSI-RS의 수 내지 이에 대응되는 빔의 수를 유추 내지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값 L을 이기초로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임계값을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RRC를 통해 전송 받은 NZP-CSI-RS-ResourceSet IE(information element)를 통해 하나 이상의 NZP-CSI-RS-Resource를 설정 받을 수 있다. NZP-CSI-RS-ResourceSet IE의 repetition이 OFF인 경우, 단말은 설정 받은 NZP-CSI-RS-ResourceSet 내의 NZP-CSI-RS-Resource에서 서로 다른 빔이 전송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으므로, NZP-CSI-RS-Resource의 수를 빔의 수(L)로 유추 내지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빔 관리를 위해 RRC를 통해 전송 받은 CSI-SSB-ResourceSet IE를 통해 하나 이상의 CSI-SSB-ResourceList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빔의 수(L)를 유추 내지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은 빔 관리를 위해 RRC를 통해 전송 받은 CSI-SSB-ResourceSet IE를 통해 하나 이상의 CSI-SSB-ResourceList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빔의 수(L)를 유추 내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RRC를 통해 전송 받은 BeamManagementSSB-CSI-RS IE내의 maxNumberSSB-CSI-RS-ResourceOneTx (예를 들어, 8, 16 32, 내지 64) 내지 maxNumberSSB-CSI-RS-ResourceTwoTx의 값 (예를 들어, 0, 4, 8, 16, 32, 내지 64) 또는 두 값의 최대값을 빔의 수(L)로 판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의 경우, 단말이 RRC를 통해 설정 받은 최대 SRS resource의 수 (예를 들어, maxNumberSRS-ResourcePerSet 값으로 8, 16, 내지 32)를 빔의 수(L)로 판단하고 임계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L값에 따라 수행해야 할 채널접속절차 타입이 판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이 a 이하 또는 b이하 인 경우 제 2 타입, 만일 b<L=c 인 경우, 제 1 타입, 만일 L>c인 경우, 제 3 타입 채널접속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L값에 따라 제 1 타입 채널접속절차의 채널 접속 우선 순위 종류가 판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L이 a개 이하일 경우, 제 3 내지 제 4 채널 접속 우선 순위가 적용되고, 만일 a<L=b 인 경우 제 2 내지 제 3 채널 접속 우선 순위가 적용되며, 만일 b<L=c 인 경우, 제 1 내지 제 2 채널 접속 우선 순위가 적용되고, 만일 L>c인 경우, 제 1 채널 접속 우선 순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T_A, T_B값은 전술한 수학식과 같이 별도의 변수로 표현될 수 있고, 다른 예에 따라 T_A 및 T_B를 함께 고려하여 하나의 값 T_C로 표현되거나, 또 다른 예에 따라, T_A, T_B 값을 결정하는 변수를 인자로 갖는 함수 T(A, B)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T_A값을 결정하는 변수는 데이터 채널 전송을 포함하는 전송인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로, 이에 따라 T_A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 4]
비면허대역에서 복수개의 빔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에서는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빔 방향으로 기지국의 최대 전송 전력에 따라 채널접속절차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하기의 수학식 7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빔 방향으로의 기지국의 최대 전송 전력은 rated beam EIRP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Rated bean EIRP는 기지국이 선언한 빔과 빔 방향 쌍(beam direction pair)에 대하여 기지국이 빔 방향 쌍(beam direction pair )으로 방출가능한 최대 전력이다. (※ rated beam EIRP: For a declared beam and beam direction pair, the rated beam EIRP level is the maximum power that the base station is declared to radiate at the associated beam peak direction during the transmitter ON period). 여기서 빔 방향 쌍은 빔의 중앙 방향과 빔 최대 방향으로 구성된 집합을 의미하며, 빔 최대 방향은 최대 EIRP로 전송할 수 있는 방향이다.
[수학식 7]
X_thresh_max = max (T_a, min(T_max, T_max + T)
수학식 7에서, T_a = -72+10*log10(BWMHz/BW_ref) dBm, T = -T_A -T_B + (P_H + 10*log10(BWMHz/20MHz) - P_tx) 이고, T_B는 rated beam EIRP 값에 따라 판단될 수 있으며 단위는 dBm 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rated beam EIRP의 값이 a 이하 일 경우, T_B=0이고, 만일 a<L=b 인 경우 T_B=X, 만일 b<L=c 인 경우, T_B=Y, 만일 L>c인 경우, T_B=Z일 수 있다. 이때, X, Y, 내지 Z의 값은 기지국이 선언(declare)한 값이거나, 기지국과 단말간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PBCH내지 SIB, 또는 상위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 이때, X, Y, 내지 Z의 값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갖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또한, X, Y, 내지 Z의 값은 국가 내지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규제에 의해 정의된 값일 수 있다.
한편, a, b, 내지 c의 값은 기지국과 단말간에 사전에 정의되거나, PBCH내지 SIB, 또는 상위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 이때, a, b, 내지 c의 값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른 값을 갖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또한, a, b, 내지 c의 값은 국가 내지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규제에 의해 정의된 값일 수 있다.
이때, rated beam EIRP 값을 이용하여 임계값을 판단하는 것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빔과 관련된 다른 변수를 이용하여 임계값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빔 방향 쌍 (reference beam direction pair: declared beam direction pair, including reference beam centre direction and reference beam peak direction where the reference beam peak direction is the direction for the intended maximum EIRP within the EIRP accuracy compliance directions set) 방향의 최대 EIRP값을 이용하여 임계값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기준 빔 방향 쌍 방향으로의 최대 EIRP의 값이 a 이하 일 경우, T_B=0이고, 만일 a<L=b 인 경우 T_B=X, 만일 b<L=c 인 경우, T_B=Y, 만일 L>c인 경우, T_B=Z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빔 폭 (※ beamwidth: beam which a half-power contour that is essentially elliptical, the half-power beamwidths in the two pattern cuts that respectively contain the major and minor axis of the ipse)내지 BeW
Figure 112018046163496-pat00019
,REFSENS (Beamwidth equivalent to the FR1 OTA REFSENS RoAoA in the
Figure 112018046163496-pat00020
- axis in degrees) 또는 BeWφ,REFSENS (Beamwidth equivalent to the FR1 OTA REFSENS RoAoA in the φ-axis in degrees)의 값을 이용하여 임계값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빔 폭의 값이 a 이하 일 경우, T_B=0이고, 만일 a<L=b 인 경우 T_B=X, 만일 b<L=c 인 경우, T_B=Y, 만일 L>c인 경우, T_B=Z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기지국은 단계 600에서 비면허대역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빔과 관련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빔과 관련된 정보에는, 예를 들어, 신호 내지 채널 전송에 사용하고자 하는 빔의 수, 동기신호블록, NZP-CSI-RS, SRS, 전송 전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기지국은 비면허대역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동기신호블록의 시간 영역 위치, 부반송파간격, 동기신호블록의 개수 등, 동기신호블록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기지국은 전술한 단계 610에서 설정된 동기신호블록 관련 정보를 SIB 내지 상위신호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기지국은 빔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하여 채널접속절차에서 사용되는 임계값을 전술한 실시 예들 중 하나 내지 전술한 실시 예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만일, 비면허대역을 통해 신호 내지 채널을 전송하고자 하는 기지국은 단계 640에서, 전술한 단계 630에서 계산 내지 판단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비면허대역의 유휴상태를 판단하고, 만일 단계 640에서 판단된 비면허대역이 유휴상태인 경우 신호 내지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는 동기신호블록을 이용한 임계값 계산 내지 판단 방법을 가정하였으나, NZP CSI-RS 내지 SRS resource, EIRP관련 값을 이용하여 임계값을 계산 내지 판단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L값에 따라 수행해야할 채널접속절차 타입이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이 a 이하 또는 b이하 인 경우 제 2 타입, 만일 b<L=c 인 경우, 제 1 타입, 만일 L>c인 경우, 제 3 타입 채널접속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판단된 L값에 따라 제 1 타입 채널접속절차의 채널 접속 우선 순위 종류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L이 a개 이하 일 경우, 제 3 내지 제 4 채널 접속 우선 순위가 적용되고, 만일 a<L=b 인 경우 제 2 내지 제 3 채널 접속 우선 순위, 만일 b<L=c 인 경우, 제 1 내지 제 2 채널 접속 우선 순위, 만일 L>c인 경우, 제 1 채널 접속 우선 순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T_A, T_B값은 전술한 수학식과 같이 별도의 변수로 표현될 수 있고, 다른 예에 따라 T_A 및 T_B를 함께 고려하여 하나의 값 T_C로 표현되거나, T_A, T_B 값을 결정하는 변수를 인자로 갖는 함수 T(A, B)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T_A값을 결정하는 변수는 데이터 채널 전송을 포함하는 전송인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로, 이에 따라 T_A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말은 단계 700에서 기지국이 설정한 비면허대역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빔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빔과 관련된 설정 정보에는, 예를 들어, 기지국이 신호 내지 채널 전송에 사용하고자 하는 빔의 수, 동기신호블록, NZP-CSI-RS, SRS, 전송 전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단말은 비면허대역에서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동기신호블록의 시간 영역 위치, 부반송파간격, 동기신호블록의 개수 등, 동기신호블록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IB내지 상위신호를 통해 수신한 동기신호블록 시간 영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동기신호블록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단말은 빔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하여 채널접속절차에서 사용되는 임계값을 전술한 실시 예들 중 하나 내지 전술한 실시 예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만일, 비면허대역을 통해 신호 내지 채널을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은 단계 730에서 전술한 단계 720에서 계산 내지 판단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비면허대역의 유휴상태를 판단하고, 만일 단계 730에서 판단된 비면허대역이 유휴상태인 경우 신호 내지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7은 동기신호블록을 이용한 임계값 계산 내지 판단 방법을 가정하여 서술하였으나, 도 7에서 서술된 방법은 NZP CSI-RS 내지 SRS resource, EIRP관련 값을 이용하여 상기 임계값을 계산 내지 판단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기지국은 기지국 처리부(801), 기지국 수신부(802) 및 기지국 송신부(80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수신부(802)와 기지국 송신부(803)를 통칭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처리부(801)로 출력하고, 기지국 처리부(80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처리부(801)은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수신부(802)에서 단말이 송신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 처리부(801)는 단말이 전송한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기지국 처리부(801)에서 비면허대역에 대한 채널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기지국 수신부(802)에서 비면허대역으로 송신되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기지국 처리부(801)에서 수신된 신호의 세기 등을 사전에 정의되거나 대역폭 등을 인자로 하는 함수의 값 결정된 임계 값과 비교하여 비면허대역의 유휴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처리부(801)에서는 기지국 수신부(802)에서 수신한 단말의 데이터 신호 수신 결과에 따라 채널 접속 절차를 위한 경쟁 구간 값을 유지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만일,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지국 송신부(803)를 통해 동기신호블록을 포함하여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송신부(803)에서는 기지국 처리부(801)에서 판단된 비면허대역의 채널 점유 구간 내에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전송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동기신호블록 전송 위치에 따라 동기신호블록의 PBCH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변경하여 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단말은 단말 처리부(901), 단말 수신부(902) 및 단말 송신부(903)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수신부(902)와 단말 송신부(903)를 통칭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 처리부(901)로 출력하고, 단말기 처리부(90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처리부(901)는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수신부(902)에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 처리부(901)는 데이터 신호에 대한 수신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특정 타이밍에서 데이터 수신을 포함하여 제 1 신호 수신 결과를 기지국으로 송신해야 하는 경우, 단말 송신부(903)에서 단말 처리부(901)에서 결정된 특정 타이밍에서 제 1 신호 수신 결과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 수신부(90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비면허대역의 채널 점유 구간 내에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전송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 처리부(901)에서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시간 또는 주기를 재설정 또는 변경하고, 이에 따라 단말 수신부(902)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수신부(90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송신부(903)에서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결과를 수신받고, 단말 처리부(901)에서는 수신 받은 결과에 따라 비면허대역 신호 전송을 위한 채널 접속 절차에서 사용되는 경쟁 구간의 크기를 유지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수신부(902)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동기신호블록을 수신하고, 단말 처리부(901)는 수신된 동기신호블록에 따라 기지국과 시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처리부(901)는 수신된 동기신호블록으로부터 셀 ID를 획득하고, 획득한 셀ID를 이용하여 동기신호블록의 PBCH를 복호하고,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시간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LTE/LTE-A 시스템을 기준으로 제시되었지만, 5G, NR 시스템 등 다른 시스템에도 상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접속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로부터 빔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빔 설정 정보를 기초로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면허대역에서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결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면허대역에서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빔 설정 정보는, 빔의 수,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 CSI-RS(channel-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의 수 및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빔 방향에서의 기지국의 최대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빔의 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값은, 상기 빔의 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기 설정된 최대 동기신호블록의 수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동기신호블록의 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또는 상기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값은, 상기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또는 상기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CSI-RS의 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값은, 상기 CSI-RS의 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빔 방향에서의 기지국의 최대 전송 전력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값은, 상기 빔 방향에서의 기지국의 최대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채널 접속 방법에 있어서,
    비면허대역에서 송신되는 빔에 관한 빔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상기 빔 설정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임계값에 따라 상기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비면허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면허대역에서 상기 단말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빔 설정 정보는, 빔의 수,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 CSI-RS(channel-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의 수 및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빔 방향에서의 기지국의 최대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접속을 위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로부터 빔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빔 설정 정보를 기초로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결정하며,
    상기 비면허대역에서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결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면허대역에서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빔 설정 정보는, 빔의 수,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 CSI-RS(channel-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의 수 및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빔 방향에서의 기지국의 최대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빔의 수를 식별하고,
    상기 임계값은, 상기 빔의 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기 설정된 최대 동기신호블록의 수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동기신호블록의 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또는 상기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를 식별하고,
    상기 임계값은, 상기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또는 상기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CSI-RS의 수를 식별하고,
    상기 임계값은, 상기 CSI-RS의 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빔 방향에서의 기지국의 최대 전송 전력을 식별하고,
    상기 임계값은, 상기 빔 방향에서의 기지국의 최대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접속을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비면허대역에서 송신되는 빔에 관한 빔 설정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빔 설정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임계값에 따라 상기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비면허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비면허대역에서 상기 단말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상기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비면허대역이 유휴 상태인지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빔 설정 정보는, 빔의 수,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기신호블록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슬롯의 수, CSI-RS(channel-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의 수 및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빔 방향에서의 기지국의 최대 전송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5.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80053942A 2018-05-10 2018-05-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250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942A KR102509033B1 (ko) 2018-05-10 2018-05-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PCT/KR2019/005650 WO2019216704A1 (ko) 2018-05-10 2019-05-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US16/980,677 US11343682B2 (en) 2018-05-10 2019-05-10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942A KR102509033B1 (ko) 2018-05-10 2018-05-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88A KR20190129388A (ko) 2019-11-20
KR102509033B1 true KR102509033B1 (ko) 2023-03-09

Family

ID=6846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942A KR102509033B1 (ko) 2018-05-10 2018-05-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3682B2 (ko)
KR (1) KR102509033B1 (ko)
WO (1) WO2019216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2008B2 (ja) * 2018-09-18 2022-12-01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信号伝送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US11297613B2 (en) * 2019-01-31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Beam definition for directional communications
US11432312B2 (en) * 2019-04-26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cheduling techniques for enhanced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683709B2 (en) * 2019-08-26 2023-06-20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ng a user equipment capability for crosslink interference measurement
US12047790B2 (en) * 2019-11-08 2024-07-23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user equipment capability for beam failure detection and beam management
KR20210120491A (ko) * 2020-03-27 202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절차 판단 방법 및 장치
CN114727399A (zh) * 2022-03-01 2022-07-08 杭州腓腓科技有限公司 基于可重构全息超表面的非授权频谱接入与资源管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18489A1 (en) * 2014-10-09 2017-11-02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dle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193400A1 (zh) 2016-05-13 2017-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非周期srs的传输方法及装置
KR102408035B1 (ko) 2016-08-12 2022-06-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전송시간구간 운용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623A1 (ko) * 2015-04-16 2016-10-20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352522B1 (en) 2015-09-17 2023-1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lbt process on multiple carriers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EP3355646B1 (en) 2015-09-21 2021-12-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in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for same
WO2017052183A1 (ko) * 2015-09-23 201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593450B2 (ja) * 2015-11-12 2019-10-23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420603B1 (ko) 2015-11-25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감지 방법 및 장치
WO2017155305A1 (ko) * 2016-03-08 201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683634B1 (ko) * 2016-08-22 2024-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229216A1 (en) * 2017-09-30 2020-07-16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18489A1 (en) * 2014-10-09 2017-11-02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dle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193400A1 (zh) 2016-05-13 2017-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非周期srs的传输方法及装置
KR102408035B1 (ko) 2016-08-12 2022-06-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전송시간구간 운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88A (ko) 2019-11-20
US11343682B2 (en) 2022-05-24
US20210022015A1 (en) 2021-01-21
WO2019216704A1 (ko)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11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llision control of sidelink communic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44729B2 (en) Transmitting feedback for data transmission through a sidelink
US1167198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30261A1 (en) Sidelink resource determination and sidelink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225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점유 시간 지시 방법 및 장치
KR10250903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24319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3005481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25847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대역의 채널 접속 방법 및 장치
US202200953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8548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3692771B (zh) 用于在无线通信***中确定信道接入过程的方法和装置
US120042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ntention wind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254976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2020005748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6666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롯 구조 지시 방법 및 장치
KR202101264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1012049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 절차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2201037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5793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24395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001149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8566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104271A (zh) 无线通信***中用于反馈harq-ack的方法和装置
KR2020011512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