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542B1 - Ess용 통합배전반 - Google Patents

Ess용 통합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542B1
KR102508542B1 KR1020200183767A KR20200183767A KR102508542B1 KR 102508542 B1 KR102508542 B1 KR 102508542B1 KR 1020200183767 A KR1020200183767 A KR 1020200183767A KR 20200183767 A KR20200183767 A KR 20200183767A KR 102508542 B1 KR102508542 B1 KR 102508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module
facility
switchboard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2218A (ko
Inventor
고영수
Original Assignee
(주)대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8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5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SS용 통합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에 설치되는 변압기, 차단기, 변류기 등의 각 전기설비에 대한 상태를 감시하여 1차 이상을 검출하도록 하면서, 1차 이상의 검출시 열화상카메라를 1차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의 정면으로 이동시켜 열화상의 촬영을 통해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전반에 대한 화재 감지가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ESS용 통합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ESS용 통합배전반{An Integrated Power Distribution Board for ESS}
본 발명은 ESS용 통합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에 설치되는 변압기, 차단기, 변류기 등의 각 전기설비에 대한 상태를 감시하여 1차 이상을 검출하도록 하면서, 1차 이상의 검출시 열화상카메라를 1차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의 정면으로 이동시켜 열화상의 촬영을 통해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전반에 대한 화재 감지가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ESS용 통합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하나의 외함 내에 수배전에 필요한 변압기, 배선용 차단기, 각종 계기용 변류기 등의 전기설비들이 부스바를 통해 연결되어있고 전기를 수전해 수용가에 알맞은 전기로 변환하여 배전하는 장치로 수배전시 전기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에너지저장장치(이하 ESS, Energy Storage System)는 발전된 전력을 여러 가지 형태로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전력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이용률을 증대시키는 설비로, 최근에는 각종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등과 함께 건물 등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사양되고 있으며, ESS장치 역시도 배전반과 연결되어 전력의 배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최근 산업과 기술의 발달로 전기 수요량이 급증함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은 필수가 되었으며 전기로 인한 사고는 매우 큰 2차 피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수배전 설비는 매우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전기설비 화재의 40% 이상이 배전반에서 발생되고 있으며, ESS장치 등의 연결과 전력 사용량 증가에 따라 화재의 위험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배전반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배전반에서의 화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감지하고 대비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0414호(2004. 05. 03. 등록)"이에스에스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배전반에 설치되는 변압기, 차단기, 변류기 등의 각 전기설비에 대한 상태를 감시하여 1차 이상을 검출하도록 하면서, 1차 이상의 검출시 열화상카메라를 1차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의 정면으로 이동시켜 열화상의 촬영을 통해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전반에 대한 화재 감지가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ESS용 통합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 전기설비의 전류, 전압, 연기, 온도에 대한 상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1차 이상 상태의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기설비의 이상에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ESS용 통합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변 온도, 습도 등에 따라 이상을 진단하는 기준값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맞춘 이상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ESS용 통합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 전기설비의 열화상이미지를 정상 상태에서의 열화상이미지와 비교하여 온도의 상승 정도에 따라 화재지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화재지수에 따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화재 정도에 따른 적절한 화재 방지 수단이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ESS용 통합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 위험 발생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면서 화재지수에 따라 내기를 배출시키거나 시스템을 차단하고 소화물질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맞춤형 화재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ESS용 통합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전반과 연결된 ESS장치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배전반 내의 각 전기설비에 대한 열화상촬영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재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ESS장치의 이상에 따른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ESS용 통합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개폐도어 내측에 열화상카메라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여 각 전기설비의 정면에 열화상카메라가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전기설비에 대한 열화상의 촬영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ESS용 통합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은 배전반의 외형을 형성하는 배전반함체와; 상기 배전반함체 내에 수용되며, ESS 및 전력계통과 연결되어 전력의 수배전을 조절하는 전기설비와; 상기 배전반함체 내에 형성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장치는 각 전기설비의 상태에 따라 1차 이상을 진단하고, 1차 이상이 발생할 경우 배전반함체 내의 열화상카메라를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의 정면으로 이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재상태의 정밀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장치는 각 전기설비의 상태를 측정하는 설비측정부와, 설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에 따라 각 전기설비의 이상을 감지하는 설비이상감지부와,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 정면으로 열화상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부와,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재 상태를 진단하는 화재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설비측정부는 각 전기설비의 전류, 전압, 연기,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설비이상감지부는 상기 설비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측정정보수신모듈과, 측정되는 값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모듈과, 측정된 정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각 측정값에 대해 기준값을 초과하는 정도를 산출하는 초과율산출모듈과, 초과율을 합산하여 이상 정도에 대한 이상지수를 산정하는 이상지수산정모듈과, 산정된 이상지수가 일정값 이상인 전기설비에 대해 상기 열화상카메라를 이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촬영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설비이상감지부는 배전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환경정보수신모듈과, 주변 환경정보에 따라 기준값을 보정하는 기준값보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이동부는 열화상카메라의 초기위치를 설정하는 초기위치설정모듈과, 상기 설비이상감지부에 의해 전기설비의 이상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이상정보수신모듈과,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의 위치를 특정하는 이상위치특정모듈과, 초기위치 및 이상위치에 따라 열화상카메라가 이동해야 할 정도를 산출하는 이동정도산출모듈과, 산출된 이동정도에 따라 열화상카메라를 이동시켜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 정면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작동모듈과, 촬영이 이루어진 최종위치를 저장하는 최종위치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단부는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전기설비의 촬영정보를 수신하는 촬영정보수신모듈과, 해당 전기설비의 정상상태에서의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는 기준이미지저장모듈과, 주변 온도에 따라 기준 이미지를 수정하는 기준이미지수정모듈과, 촬영된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비교모듈과, 이미지의 비교에 따라 단위영역별로 온도의 상승도를 측정하는 상승도측정모듈과, 단위영역별 온도의 상승도를 합산하는 상승도합산모듈과, 합산되는 상승도에 따라 화재지수를 산출하는 화재지수산출모듈과, 산출된 화재지수에 따라 화재 차단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재차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화재차단모듈은 화재지수가 제1경고값을 초과하는 경우 화재 위험에 대한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모듈과, 경고 발생과 함께 배전반함체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순환작동모듈과, 화재지수가 제1경고값보다 높은 제2경고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전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시스템차단모듈과, 시스템의 차단과 함께 배전반함체 내에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소화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장치는 배전반과 연결된 ESS장치의 이상상태를 진단하는 ESS진단부와, ESS장치의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 열화상카메라를 각 전기설비로 이동시키면서 전기설비의 화재 상태를 점검하도록 하는 설비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확인부는 열화상카메라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기준위치설정모듈과, 기준 위치로부터 각 전기설비를 따라 열화상카메라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순환이동모듈과, 각 전기설비 정면에서 열화상카메라에 의한 촬영을 통해 화재상태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재확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함체는 배전반함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 전기설비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각 전기설비의 열적 상태를 촬영하는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열화상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과;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이동모듈이 지지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가이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상기 열화상카메라가 고정되며, 열화상카메라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 양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모듈은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지점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이 삽입지지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퀴가 지지되어 이동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전반에 설치되는 변압기, 차단기, 변류기 등의 각 전기설비에 대한 상태를 감시하여 1차 이상을 검출하도록 하면서, 1차 이상의 검출시 열화상카메라를 1차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의 정면으로 이동시켜 열화상의 촬영을 통해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전반에 대한 화재 감지가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전기설비의 전류, 전압, 연기, 온도에 대한 상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1차 이상 상태의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기설비의 이상에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변 온도, 습도 등에 따라 이상을 진단하는 기준값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맞춘 이상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전기설비의 열화상이미지를 정상 상태에서의 열화상이미지와 비교하여 온도의 상승 정도에 따라 화재지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화재지수에 따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화재 정도에 따른 적절한 화재 방지 수단이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재 위험 발생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면서 화재지수에 따라 내기를 배출시키거나 시스템을 차단하고 소화물질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맞춤형 화재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전반과 연결된 ESS장치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배전반 내의 각 전기설비에 대한 열화상촬영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재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ESS장치의 이상에 따른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개폐도어 내측에 열화상카메라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여 각 전기설비의 정면에 열화상카메라가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전기설비에 대한 열화상의 촬영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전반의 화재 발생 원인들을 나열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의 구성도
도 3은 이동가이드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이동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이동가이드모듈에 이동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2의 화재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의 설비측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6의 설비이상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6의 카메라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6의 화재진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도 10의 화재차단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6의 ESS진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6의 설비확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SS용 통합배전반을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ESS용 통합배전반은 배전반의 외형을 형성하는 배전반함체(1)와; 상기 배전반함체(1) 내에 수용되며, ESS 및 전력계통과 연결되어 전력의 수배전을 조절하는 전기설비(3)와; 상기 배전반함체(1) 내에 형성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장치(5);를 포함한다.
상기 ESS용 통합배전반은 각각의 전기설비(3)에 대한 전류, 전압, 연기, 온도 등의 상태에 따라 1차적으로 이상을 검출하도록 하면서, 1차적인 이상이 검출되는 전기설비(3)에 대해 열화상카메라(121)를 이용한 촬영을 통해 정밀 화재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통합배전반은 열화상카메라(121)를 각 전기설비(3)의 정면으로 이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른 전기설비(3)나 기타 구조물과의 간섭없이 각 전기설비(3)에 대한 정확한 열화상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화재의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배전반함체(1)는 전기설비(3)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열화상카메라(121)를 설치하여 각 전기설비(3)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전반함체(1)는 화재의 발생시 그 화재정도에 따라 내부 공기를 외부로 순환시켜 열기를 배출하도록 하거나 또는 소화물질의 분사를 통해 화재의 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함체(1)는 전기설비(3) 내부의 전기상태, 화재상태 등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전반함체(1)는 개폐도어(11), 카메라부(12), 냉각순환부(13), 소화부(14), 상태표시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11)는 배전반함체(1)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전기설비(3)가 수용되는 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함체(1)는 열화상카메라(121)를 각 전기설비(3)의 정면에 배치시켜 아무런 간섭없이 전기설비(3)의 정확한 열화상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개폐도어(11) 내측면에 열화상카메라(121)를 설치하도록 하고, 개폐도어(11)의 내측면을 따라 열화상카메라(12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1)의 외측에는 상태표시부(15)가 형성되어 배전반의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2)는 열화상카메라(121)를 이용하여 각 전기설비(3)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특히 개폐도어(11)의 내측면을 따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12)는 열화상카메라(121)를 이동시키는 이동모듈(122) 및 이동모듈(122)이 지지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가이드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화상카메라(121)는 전기설비(3)의 열화상이미지를 촬영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모듈(122)에 의해 각 전기설비(3)의 정면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화상카메라(121)는 이동모듈(122)의 작동에 따라 이동가이드모듈(123)의 경로를 따른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열화상카메라(121)는 각 전기설비(3)에서 후술할 설비이상감지부(52)에 따른 1차 이상이 감지될 경우, 이동모듈(122)의 작동에 따라 1차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 정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전기설비(3)의 정면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여 정상 상태에서의 열화상 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해 정밀 화재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열화상카메라(121)는 개폐도어(11)에 형성되어 각 전기설비(3)의 정면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므로, 다른 전기설비라던가 기타 구조물의 영향없이 각 전기설비(3)의 열화상만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정확한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재 진단의 정확성 또한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모듈(122)은 상기 열화상카메라(121)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122a), 구동축(122b), 회전바퀴(1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122a)은 열화상카메라(121)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열화상카메라(121)가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수단(122a)은 모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122b)을 회전시켜 회전바퀴(122c)가 후술할 이동레일(123b)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열화상카메라(121)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축(122b)은 구동수단(122a)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구동수단(122a)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으로, 양측 끝단에는 회전바퀴(122c)가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구동축(122b)은 이동가이드모듈(123)의 후술할 가이드부재(123a)에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더욱 정확하게는 가이드부재(123a)의 삽입공(123a-1)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23a)를 따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열화상카메라(121)는 개폐도어(11)의 내측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각 전기설비(3) 정면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바퀴(122c)는 구동축(122b)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구동축(122b)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가이드모듈(123)의 이동레일(123b)에 지지되어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바퀴(122c)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기어단(122c-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기어단(122c-1)이 이동레일(123b)의 후술할 돌출단(123b-1)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가이드모듈(123)은 이동모듈(122)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상기 개폐도어(11)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이동가이드모듈(123)은 열화상카메라(121)가 복수의 전기설비(3) 각각의 정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전기설비(3) 각각이 설치된 지점의 정면을 연결하는 경로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2, #3, #4의 전기설비(3)를 연결하는 경로상에 이동가이드모듈(123)이 형성되어 이동모듈(122)이 이동가이드모듈(123)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이동모듈(122)에 고정된 열화상카메라(121)가 각 전기설비(3)의 정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가이드모듈(123)은 상기 구동축(122b)이 지지되는 가이드부재(123a)와, 회전바퀴(122c)가 맞물려 이동하는 이동레일(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3a)는 구동축(122b)이 지지되어 이동하는 구성으로, 가이드부재(123a)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공(123a-1) 상에 구동축(122b)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123a)는 이동모듈(122)이 개폐도어(11)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상태에서도 구동축(122b)이 가이드부재(123a)에 지지되어 이동함에 따라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23a)는 구동축(122b)이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함므로, 상기 구동축(122b)에 형성된 회전바퀴(122c)도 이동레일(123b)과 안정적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123b)은 상기 회전바퀴(122c)가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23a)와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123b) 상에는 회전바퀴(122c)의 기어단(122c-1)과 맞물릴 수 있도록 돌출단(123b-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바퀴(122c)의 회전에 따른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순환부(13)는 배전반함체(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열기의 배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환풍팬 등의 설비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순환부(13)는 화재진단부(54)에 따른 화재의 진단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심각하지 않은 과열 정도의 수준에서 먼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기를 식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화부(14)는 배전반함체(1) 내에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구성으로, 소화에어로졸 등의 소화물질 분사를 통해 배전반함체(1) 내에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화부(14)는 화재진단부(54)에 의한 화재 감지에 따라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냉각순환부(13)를 먼저 작동시키고 심각한 화재 발생시에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기설비(3)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15)는 배전반함체(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배전반의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led 등으로 형성되어 전기설비(3)의 이상 상태, 화재 감지 상태, 경고 신호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기설비(3)는 배전반함체(1) 내에 수용되어 전력의 수배전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변압기, 차단기, 변류기 등이 전력계통, ESS장치와 수용가의 각종 부하에 연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설비(3) 각각의 전류, 전압 등에 관한 상태는 후술할 설비측정부(51)에 의해 측정되어 1차 이상 상태가 감지될 수 있도록 하고, 1차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열화상카메라(121)가 전기설비(3)의 정면으로 이동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의 정밀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화재감지장치(5)는 배전반함체(1) 내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각 전기설비(3)의 상태와 열화상이미지를 통해 화재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화재감지장치(5)는 각 전기설비(3)의 개별적인 상태에 따라 1차적으로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상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고, 1차 이상이 감지된 전기설비(3)에 대해서는 열화상카메라(121)에 의한 열화상이미지의 촬영을 통해 화재 발생 여부가 정확하게 진단되도록 한다. 이때, 열화상카메라(121)는 1차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의 정면으로 이동하여 주변의 간섭, 영향 없이 정확한 열화상이미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화재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장치(5)는 배전반과 연결된 ESS장치의 이상 상태도 함께 진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ESS장치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ESS장치에 연결된 배전반에도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게 되므로, 열화상카메라(121)를 각 전기설비(3)로 순환시키며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전반의 화재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화재감지장치(5)는 설비측정부(51), 설비이상감지부(52), 카메라이동부(53), 화재진단부(54), ESS진단부(55), 설비확인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측정부(51)는 각 전기설비(3)의 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배전반함체(1) 내에 수용되는 전기설비(3)들 각각에 형성되어 상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비측정부(51)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모듈(511),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모듈(512), 연기를 측정하는 연기측정모듈(513),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모듈(5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정보는 실시간으로 설비이상감지부(52)로 전달되어 이상 상태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비이상감지부(52)는 각 전기설비(3)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설비측정부(51)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에 따라 1차적인 이상 상태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비이상감지부(52)는 각 전기설비(3)의 전류, 전압, 연기, 온도에 대한 정상상태에서의 기준값을 설정하도록 하며, 기준값과 측정값과의 비교를 통해 기준값을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이상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설비이상감지부(52)는 전류, 전압, 연기, 온도에 대한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기준값에 대한 초과정도를 합산하여 이상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이상지수를 산정하도록 하고, 이상지수에 따라 정밀 화재 진단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 더욱 정확한 이상 상태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설비이상감지부(52)는 주변 환경에 따라 기준값의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주변 환경에 상관없이 정확한 상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설비이상감지부(52)는 측정정보수신모듈(521), 기준값설정모듈(522), 환경정보수신모듈(523), 기준값보정모듈(524), 기준값비교모듈(525), 초과율산출모듈(526), 이상지수산정모듈(527), 촬영확인모듈(528), 경고발생모듈(52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정보수신모듈(521)은 상기 설비측정부(51)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각 전기설비(3)의 전류, 전압, 연기, 온도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기준값설정모듈(522)은 각 전기설비(3)에 대해 전류, 전압, 연기, 온도정보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정상상태에서의 한계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수신모듈(523)은 배전반함체(1) 주변에 대한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온도, 습도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주변에 설치되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가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보정모듈(524)은 환경정보수신모듈(523)에 의해 수신되는 온도, 습도 등의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기준값설정모듈(522)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값을 수정하는 구성으로, 주변 환경에 따른 전기설비(3)의 상태 변화를 기준값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준값비교모듈(525)은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상기 측정정보수신모듈(521)에 의해 수신되는 각 전기설비(3)의 전류, 전압, 연기, 온도에 대한 측정값을 상기 기준값보정모듈(524)에 의해 보정되는 기준값과 비교하도록 한다.
상기 초과율산출모듈(526)은 측정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정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각 전기설비(3)의 전류, 전압, 연기, 온도에 대해 초과율이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초과율산출모듈(526)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초과율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초과율에 따라 각 전기설비(3)에 대한 이상 상태가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상지수산정모듈(527)은 각 전기설비(3)의 이상 정도에 대한 이상지수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초과율산출모듈(526)에 의해 산출되는 초과율을 합산하여 이상지수가 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상지수산정모듈(527)은 각 전기설비(3)에 대해 전류, 전압, 연기, 온도에 대한 초과율을 합산하여 이상지수가 산정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각 전기설비(3)의 종합적인 이상 상태가 진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촬영확인모듈(528)은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에 대해 열화상카메라(121)에 의한 정밀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상지수산정모듈(527)에 의해 산정되는 이상지수가 일정값 이상인 전기설비(3)에 대해 1차적인 이상 상태로 진단하여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촬영확인모듈(528)은 상기 카메라이동부(53)에 의해 열화상카메라(121)를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의 정면으로 이동시켜 열화상 이미지의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고발생모듈(529)은 전기설비(3)의 이상이 심각한 경우 카메라이동부(53)를 작동시키기 전에 화재에 대한 경고를 먼저 발생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기설비(3)의 심각한 상태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고발생모듈(529)은 상기 이상지수산정모듈(527)에 의해 산정되는 이상지수가 촬영확인모듈(528)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일정값 이상의 특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전기설비(3)의 심각한 이상으로 판단하여 열화상카메라(121)의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에 화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경고발생모듈(529)은 경고신호의 작동과 함께 냉각순환부(13) 또는 소화부(14)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이동부(53)는 열화상카메라(121)를 이동시켜 전기설비(3)에 대한 열화상이미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설비이상감지부(52)에 의해 1차 이상이 감지된 전기설비(3)의 정면으로 열화상카메라(121)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이동부(53)는 상기 이동모듈(122)의 구동수단(122a)을 작동시켜 열화상카메라(121)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동모듈(122)이 이동가이드모듈(123)을 따라 이동하여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 정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이동부(53)는 초기위치설정모듈(531), 이상정보수신모듈(532), 이상위치특정모듈(533), 이동정도산출모듈(534), 이동작동모듈(535), 최종위치저장모듈(5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위치설정모듈(531)은 열화상카메라(121)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현재 열화상카메라(121)가 이동을 시작하는 초기 위치의 정보를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초기위치설정모듈(531)은 배전반의 설치 초기의 위치정보로 시작하여 열화상카메라(121)가 이동할 때마다 초기 위치의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열화상카메라(121)가 작동을 멈춘 마지막 위치를 상기 최종위치저장모듈(536)에 의해 저장하여 다음 작동시 초기 위치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상정보수신모듈(532)은 설비이상감지부(52)에서 감지되는 전기설비(3)의 1차 이상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로의 열화상카메라(121)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상위치특정모듈(533)은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의 위치를 특정하는 구성으로, 각 전기설비(3)에 대해 설정된 위치정보에 따라 열화상카메라(121)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동정도산출모듈(534)은 열화상카메라(121)의 이동 방향과 거리에 대한 정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열화상카메라(121)의 초기 위치부터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의 위치까지의 경로에 따른 이동정도가 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정도산출모듈(534)은 상기 초기위치설정모듈(531)에 의해 설정된 초기 위치와 이상위치특정모듈(533)에 의해 특정된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의 위치에 따라 경로에 맞는 이동정도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작동모듈(535)은 이동정도산출모듈(534)에 의해 산출된 이동정도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122a)을 작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열화상카메라(121)를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 정면으로 이동시킨 후 열화상 이미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최종위치저장모듈(536)은 열화상카메라(121)에 의한 촬영이 완료된 후 열화상카메라(121)의 위치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열화상카메라(121)의 현재 위치를 저장하여 다음 작동시 상기 초기위치설정모듈(531)에 의한 초기 위치로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화재진단부(54)는 열화상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에 의해 화재 상태를 진단하는 구성으로, 정상 상태에서의 열화상 이미지와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화재진단부(54)는 정상 상태 대비 온도가 상승한 정도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도록 하며, 그 상승 정도에 따라 화재의 단계를 측정하도록 하여 단계별 화재 차단을 위한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재진단부(54)는 주변 온도를 고려하여 기준 이미지의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미지를 단위 영역별로 나누어 온도의 상승 정도가 측정되도록 하고, 이를 합산하여 화재 정도를 진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화재진단부(54)는 촬영정보수신모듈(541), 기준이미지저장모듈(542), 기준이미지수정모듈(543), 이미지비교모듈(544), 상승도측정모듈(545), 상승도합산모듈(546), 화재지수산출모듈(547), 화재차단모듈(54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수신모듈(541)은 열화상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카메라이동부(53)에 의해 1차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3)로 이동한 열화상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기준이미지저장모듈(542)은 각 전기설비(3)에 대해 정상 상태에서의 열화상 이미지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촬영된 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해 화재 상태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준이미지수정모듈(543)은 기준이미지저장모듈(542)에 의해 저장된 기준 이미지를 수정하는 구성으로, 주변 온도에 따른 기준 이미지의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이미지수정모듈(543)은 각 전기설비(3)에 대해 배전함 주변 온도에 따른 기준 이미지를 미리 저장하여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변 온도에 따른 수정된 기준 이미지로 촬영된 이미지와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기준이미지수정모듈(543)은 주변 온도에 상관없이 정확한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비교모듈(544)은 기준 이미지와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비교하는 구성으로, 상기 기준이미지수정모듈(543)에 의해 수정된 기준 이미지와 촬영정보수신모듈(541)에 의해 수신된 열화상 이미지의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승도측정모듈(545)은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 열의 상승정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일정 단위 영역별로 상승 정도를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승도합산모듈(546)은 상승도측정모듈(545)에 의해 측정되는 단위 영역별 온도의 상승도를 합산하여 전체 상승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일정 단위영역의 상승 정도를 합산하여 전체 열적 상승정도를 산출하도록 함에 따라 더욱 정확한 상승도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재지수산출모듈(547)은 상승도합산모듈(546)에 의해 산출되는 상승도의 합산 결과에 따라 화재 위험 정도를 나타내는 화재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승도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구간에 따른 화재지수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재지수산출모듈(547)은 화재지수를 1경고값, 제2경고값으로 구분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지수가 1경고값 이하인 경우에는 정상상태, 제1경고값을 초과하고 2경고값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위험 상태, 제2경고값을 초과하면 화재 발생 상태로 구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상태에 따라 적절한 화재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재차단모듈(548)은 화재 지수에 따라 화재 차단을 위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화재지수가 제1경고값을 초과하는 화재 위험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면서 냉각순환부(13)의 작동을 통해 열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경고값을 초과하는 화재 발생 상태의 경우에는 시스템의 차단함과 함께 상기 소화부(14)를 작동시켜 화재의 조기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화재차단모듈(548)은 화재 단계에 따른 효율적인 화재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화재차단모듈(548)은 경고발생모듈(548a), 순환작동모듈(548b), 시스템차단모듈(548c), 소화작동모듈(548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발생모듈(548a)은 화재 위험에 대한 경고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상태표시부(15)를 통한 점등과 함께 사이렌 등의 경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고발생모듈(548a)은 화재지수가 제1경고값을 초과하는 경우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2경고값의 초과 여부에 따라 상이한 경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환작동모듈(548b)은 냉각순환부(13)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화재지수가 제1경고값을 초과할 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작동모듈(548b)은 전기설비(3)가 화재까지는 아니지만 화재에 가까운 과열이 발생한 경우 화재로 이어질 위험이 높으므로, 시스템을 차단하거나 소화물질을 분사하기 전에 먼저 열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스템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시스템차단모듈(548c)은 배전반 전체 시스템의 작동을 중단하는 구성으로, 화재지수가 제2경고값을 넘는 화재 발생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재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화작동모듈(548d)은 시스템차단모듈(548c)의 작동과 함께 소화부(14)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소화 물질의 분사를 통해 화재의 초기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ESS진단부(55)는 배전반에 연결된 ESS장치의 상태를 진단하는 구성으로, ESS장치의 이상 여부를 검출하여 배전반의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ESS장치에 과열이나 가스 발생, 전류, 전압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ESS장치와 연결된 배전반에도 이상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ESS진단부(55)는 ESS장치의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 배전반 전기설비(3)들의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ESS진단부(55)는 ESS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상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ESS장치 자체에 형성되는 진단장치로부터 이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ESS진단부(55)는 ESS장치의 온도정보를 수신하는 온도정보수신모듈(551), 습도정보를 수신하는 습도정보수신모듈(552), 가스정보를 수신하는 가스정보수신모듈(553), 전류정보를 수신하는 전류정보수신모듈(554), 전압 정보를 수신하는 전압정보수신모듈(55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상검출모듈(556)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들을 기준이 되는 값과 비교하여 이상 여부의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비확인부(56)는 ESS진단부(55)에 의해 ESS장치의 이상이 진단되는 경우 배전반 내 전기설비(3)들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열화상카메라(121)를 각 전기설비(3)에 대해 순환 촬영시켜 화재 상태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설비확인부(56)는 기준위치설정모듈(561), 순환이동모듈(562), 화재확인모듈(5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위치설정모듈(561)은 열화상카메라(121)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현재 열화상카메라(121)가 위치하는 정보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최종위치저장모듈(536)에 의해 저장된 정보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환이동모듈(562)은 열화상카메라(121)를 각 전기설비(3)별로 이동시키며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기준위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열화상카메라(121)를 이동시키며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순환이동모듈(562)은 구동수단(122a)의 작동을 통해 열화상카메라(121)가 각 전기설비(3)의 정면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화재확인모듈(563)은 각 전기설비(3)에서 촬영되는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순환이동모듈(562)에 의해 열화상카메라(121)가 이동하며 촬영한 열화상이미지를 각 전기설비(3)에서의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도록 하며, 상기 화재진단부(54)에 의한 화재의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배전반함체 11: 개폐도어
12: 카메라부 121: 열화상카메라
122: 이동모듈 122a: 구동수단
122b: 구동축 122c: 회전바퀴
122c-1: 기어단 123: 이동가이드모듈
123a: 가이드부재 123a-1: 삽입공
123b: 이동레일 123b-1: 돌출단
13: 냉각순환부 14: 소화부
15: 상태표시부 3: 전기설비
5: 화재감지장치 51: 설비측정부
52: 설비이상감지부 53: 카메라이동부
54: 화재진단부 55: ESS진단부
56: 설비확인부

Claims (10)

  1. 배전반의 외형을 형성하는 배전반함체와; 상기 배전반함체 내에 수용되며, ESS 및 전력계통과 연결되어 전력의 수배전을 조절하는 전기설비와; 상기 배전반함체 내에 형성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장치는,
    각 전기설비의 상태에 따라 1차 이상을 진단하고, 1차 이상이 발생할 경우 배전반함체 내의 열화상카메라를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의 정면으로 이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재상태의 정밀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화재감지장치는,
    각 전기설비의 상태를 측정하는 설비측정부와, 설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에 따라 각 전기설비의 이상을 감지하는 설비이상감지부와, 이상이 발생한 전기설비 정면으로 열화상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부와,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재 상태를 진단하는 화재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측정부는 각 전기설비의 전류, 전압, 연기,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도록 하며,
    상기 설비이상감지부는,
    상기 설비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측정정보수신모듈과, 측정되는 값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준값설정모듈과, 측정된 정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기준값비교모듈과, 각 측정값에 대해 기준값을 초과하는 정도를 산출하는 초과율산출모듈과, 초과율을 합산하여 이상 정도에 대한 이상지수를 산정하는 이상지수산정모듈과, 산정된 이상지수가 일정값 이상인 전기설비에 대해 상기 열화상카메라를 이동시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촬영확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진단부는,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전기설비의 촬영정보를 수신하는 촬영정보수신모듈과, 해당 전기설비의 정상상태에서의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는 기준이미지저장모듈과, 촬영된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비교모듈과, 이미지의 비교에 따라 단위영역별로 온도의 상승도를 측정하는 상승도측정모듈과, 단위영역별 온도의 상승도를 합산하는 상승도합산모듈과, 합산되는 상승도에 따라 화재지수를 산출하는 화재지수산출모듈과, 산출된 화재지수에 따라 화재 차단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재차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차단모듈은,
    화재지수가 제1경고값을 초과하는 경우 화재 위험에 대한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모듈과, 경고 발생과 함께 배전반함체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순환작동모듈과, 화재지수가 제1경고값보다 높은 제2경고값을 초과하는 경우 배전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시스템차단모듈과, 시스템의 차단과 함께 배전반함체 내에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소화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용 통합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83767A 2020-12-24 2020-12-24 Ess용 통합배전반 KR102508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67A KR102508542B1 (ko) 2020-12-24 2020-12-24 Ess용 통합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67A KR102508542B1 (ko) 2020-12-24 2020-12-24 Ess용 통합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218A KR20220092218A (ko) 2022-07-01
KR102508542B1 true KR102508542B1 (ko) 2023-03-09

Family

ID=8239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767A KR102508542B1 (ko) 2020-12-24 2020-12-24 Ess용 통합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904B1 (ko) 2024-01-29 2024-05-10 라이트시스템 주식회사 Ess용 컨트롤시스템을 포함하는 ess 하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7820B (zh) * 2023-08-15 2024-06-0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天长市供电公司 一种变电站安全监测及自动灭火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06B1 (ko) * 2008-04-24 2009-01-28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KR101663538B1 (ko) * 2015-11-19 2016-10-07 (주)효성파워택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KR101875723B1 (ko) * 2018-01-10 2018-08-02 주식회사 에너솔라 내진 및 화재 시각화 센서 분전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857B1 (ko) * 2006-06-16 2007-07-18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워크-인 타입 변전실의 배전반 지지구조
KR101476660B1 (ko) * 2013-04-10 2014-12-29 지투파워 (주) 다중복합(cmd)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06B1 (ko) * 2008-04-24 2009-01-28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KR101663538B1 (ko) * 2015-11-19 2016-10-07 (주)효성파워택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KR101875723B1 (ko) * 2018-01-10 2018-08-02 주식회사 에너솔라 내진 및 화재 시각화 센서 분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904B1 (ko) 2024-01-29 2024-05-10 라이트시스템 주식회사 Ess용 컨트롤시스템을 포함하는 ess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218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8542B1 (ko) Ess용 통합배전반
KR102157984B1 (ko) 이상진단 및 대처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KR100984679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 열화 예측시스템
KR102154854B1 (ko)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배전반 감시 시스템
KR101951700B1 (ko) 전력설비 및 발전설비의 과열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2303585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배전반의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방법
KR102231280B1 (ko) 안전진단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20170047979A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열화 진단 시스템
KR102459064B1 (ko) 배전반 감시시스템
KR100878006B1 (ko)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KR101663489B1 (ko) 열화상 감지 센서를 이용한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제조설비의 화재 모니터링 장치
KR102214964B1 (ko) 열화상 사각지대를 없앤 열화 진단시스템을 가지는 수배전반
JP3210706U (ja) 電力機器の温度監視装置
KR20190036063A (ko) 열화상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 계전기
JP2003130752A (ja) ガス漏れ検知装置
JP6391899B1 (ja) 電磁継電器診断装置
KR102647911B1 (ko) 스마트그리드를 위한 연계시스템 기반 통합 배전반
KR102223370B1 (ko) 전력설비 방재 장치
KR102300611B1 (ko) 스마트 원격 비젼 모니터링 수배전반 시스템
KR20230141046A (ko) 태양광 접속함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77368A (ko) Gis 부분방전 검출 장치 및 시스템
JP2022023372A (ja) 閉空間監視装置
KR102349020B1 (ko)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배전반
CN210837202U (zh) 一种核电厂的安全***
KR20170062622A (ko) 분배전반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