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152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152B1
KR102508152B1 KR1020180153529A KR20180153529A KR102508152B1 KR 102508152 B1 KR102508152 B1 KR 102508152B1 KR 1020180153529 A KR1020180153529 A KR 1020180153529A KR 20180153529 A KR20180153529 A KR 20180153529A KR 102508152 B1 KR102508152 B1 KR 102508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link
moving
push ba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6874A (en
Inventor
강승규
조현철
최우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152B1/en
Priority to PCT/KR2019/005343 priority patent/WO2020091167A1/en
Priority to US16/964,173 priority patent/US11334111B2/en
Publication of KR20200066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부; 하부에 돌출된 이동바퀴를 포함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스탠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결합하고 상기 스탠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하는 슬라이드 브라켓; 상기 지지부에 하부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무빙 스토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결합하며 디스플레이부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푸쉬바; 및 상기 푸쉬바가 최하단에 위치시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기 지지부에 수납하고, 상기 푸쉬바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시키는 링크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시청시 바닥에 고정력을 높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isplay unit; A support portion including a moving wheel protruding from the bottom and seated on the floor; a stand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a slide bracke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sliding along the stand; a moving stopper that selectively protrudes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fixes the support portion to a bottom surface; a push ba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and a link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moving stopper in the support when the push bar i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and protruding the moving stopper from the support when the push bar moves up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device from falling over 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to the floor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 use. .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디스플레이의 출력 영역을 극대화 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는 최소 화 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과거의 CRT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while maximizing the output area of the display.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 (Plasma Display Panel), ELD (Electro Luminescent Display), and VFD (Vacuum Fluorescent Display) have been studied and used in the past CRT-type display devices.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 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 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mong them, display device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have superior luminance characteristics an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do not require a backlight unit, so they can be implemented in an ultra-thin type.

최근,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립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사이즈도 다양해지고 종래의 평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벗어나 곡면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거나 거치대 위에 올려놓는 타입에서 벗어나 벽에 거치하는 벽걸이 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ssembly structure of such a display device.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the size is also diversified, and a curved display device is developed beyond the conventional flat display device, or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a wall-mounted type that is mounted on a wall rather than a type that is placed on a cradle are appearing.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정형으로 설치하고 있어 시청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is large, it is generally installed in a fixed typ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iewing position is limited.

본 발명은 고정형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이동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limitations of a fixed display.

디스플레이부; 하부에 돌출된 이동바퀴를 포함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스탠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결합하고 상기 스탠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하는 슬라이드 브라켓; 상기 지지부에 하부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무빙 스토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결합하며 디스플레이부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푸쉬바; 및 상기 푸쉬바가 최하단에 위치시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기 지지부에 수납하고, 상기 푸쉬바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시키는 링크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isplay unit; A support portion including a moving wheel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and seated on the floor; a stand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a slide bracke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sliding along the stand; a moving stopper that selectively protrudes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fixes the support portion to a bottom surface; a push ba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and a link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moving stopper in the support when the push bar i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and protruding the moving stopper from the support when the push bar moves upward.

상기 푸쉬바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개재된 인장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최하단인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이동시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2 위치보다 위쪽으로 이동시 상기 푸쉬바는 이동하지 않고 상기 인장 스프링이 늘어날 수 있다. A tension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push bar and the display unit is further included, the push bar is positioned at a lower side when the display unit is located at a lowermost first position, and moves upward when the display unit moves upward. When the part moves upward from the second position, the push bar does not move and the tension spring may increase.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하부에 상기 푸쉬바의 상단이 삽입된 파이프 형상의 무빙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무빙레일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푸쉬바는 상기 무빙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It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unit and further includes a pipe-shaped moving rail in which an upper end of the push bar is inserted, the tension spring is located inside the moving rail, and the push ba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moving rail. can move

상기 링크구조는 상기 푸쉬바가 하부로 이동시 상기 무빙 스토퍼를 향해 인장되고 상기 링크구조의 단부에 위치하며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캠; 및 상기 무빙 스토퍼에 결합되며 상기 캠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 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nk structure includes: a first cam that extends toward the moving stopper when the push bar moves downward, is located at an end of the link structure, and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cam coupled to the moving stopper and moving alo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cam to move the moving stopper upward or downward.

상기 링크구조는, 일단이 상기 푸쉬바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 제1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링크;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푸쉬바의 위치에 따라 배치 방향이 달라지는 제3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3 링크에 힌지 결합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에 상기 제1 캠이 연결되는 제4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nk structure may include a first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a lower end of the push bar;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third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having a disposition direction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ush bar; and a fourth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third link,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nd having the first cam connected to the other end.

상기 제2 링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 링크 가이드; 및 상기 제4 링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 링크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link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econd link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link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fourth link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체결 브라켓; 및 상기 체결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무빙 스토퍼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fastening bracket located inside the support; and a compression spring interpos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bracket and the moving stopper.

상기 링크구조는 일단이 상기 푸쉬바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 스토퍼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상기 스탠드에 고정된 받침점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바가 하부로 이동시 상기 링크구조의 일단은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링크구조의 타단은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기 지지부 내부로 수납하며, 상기 푸쉬바가 상부로 이동시 상기 링크구조의 일단은 상부로 이동하기 상기 링크구조의 타단은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기 지지부 하부에서 돌출시켜 상기 지지부를 고정할 수 있다. The link structure includes one end hin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bar, the other end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stopper, and a fulcrum fixed to the stan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when the push bar moves downward, One end of the link structure moves down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structure moves upward and accommodates the moving stopper into the support, and when the push bar moves upward, one end of the link structure moves upward. The other end moves downward, and the moving stopper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to fix the support part.

상기 무빙 스토퍼는 상기 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이 위치하며, 상기 링크 구조는 상기 푸쉬바부터 상기 한 쌍의 무빙 스토퍼를 향해 각각 연장된 한 쌍을 포함할 수 있다. A pair of the moving stoppers may be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unit, and the link structure may include a pair extending from the push bar toward the pair of moving stoppers.

상기 스탠드는, 롤 형태로 감긴 금속 테이프를 포함하고,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결합된 롤스프링; 및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롤스프링 거치되는 스프링 안착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풀리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감기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The stand includes a roll spring including a metal tape wound in a roll form and having an end coupled to the slide bracket; and a spring seating part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and supported by the roll spring, wherein the roll spring is released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play unit downward, and the display unit moves downward, and the roll spring is moved downward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play unit upward. While being wound, the display unit may move upwar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어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감상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battery and can be viewed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connected,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used regardless of location, and thus has an advantage of high utilization.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거실에서 쇼파에 앉아서 감상하거나, 침실의 침대에 누워서 감상하는 경우나 주방에서 요리를 하는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조정 가능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display unit can be adjusted, it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height according to circumstances, such as sitting on a sofa in the living room, watching lying on a bed in a bedroom, or cooking in a kitchen, thereby increasing usability.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상부로 이동하면, 무빙 스토퍼가 자동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동시 디스플레이부를 하부로 이동하여 무게중심을 낮추고, 무빙 스토퍼가 자동으로 수납되어 이동바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is moved upward to view the display device, the moving stopper automatically protrudes to stably fix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display unit is moved, the display unit is moved downward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moving stopper It is stored automatically and can be easily moved using the moving wheels. A further scop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as examples only.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라이드 브라켓과 높이 조정부의 결합 상태를 일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슬라이드 브라켓과 높이 조정부의 결합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롤스프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롤스프링이 인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롤스프링의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및 도 1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위치에 따른 푸시바 및 링크구조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링크구조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링크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및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위치에 따른 무빙스토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링크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rom one side of a coupled state of a slide bracket and a height adjusting unit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slide bracket and the height adjuster of FIG. 4 viewed from another sid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roll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 spring of th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ensioned.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oll spring of th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movements of a push bar and a link structure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display unit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k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a link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stopp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of th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nk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은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display unit 110 has a first long side (LS1), a second long side (LS2) opposite to the first long side (LS1), a first long side (LS1) and A first short side (SS1) adjacent to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a second short side (SS2) opposite to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included.

여기서,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 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 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 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first short side area SS1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hort side area SS2 is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area facing the first side area. One long side area LS1 is referred to as a third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areas, and the second long side area It is possible to refer to (LS2) as a fourth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facing the third side area. do.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 도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nd LS2 are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 case in which the length of LS2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may also be possible.

아울러,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 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 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In addition, hereinafter, the first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side (Long Side, LS1, LS2)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is the display unit 110 ) may b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hort side (Short Side, SS1, SS2).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or the second direction (DR2).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 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헤드부(1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 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side on which the head unit 10 of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or front side. When the head 10 of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the side on which the image cannot be observed may be referred to as the rear or rear side. When looking at the head portion 10 of the display device from the front or front side, the side of the first long side LS1 may be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or upper surface. Similarly, the side of the second long side LS2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side or a lower side. Similarly, the side of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referred to as the right or right side, and the side of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 or left side.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헤드부 (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 (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 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long side LS1 , the second long side LS2 , the first short side SS1 ,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edges of the display device head unit 10 . Also, a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 the second long side LS2 , the first short side SS1 ,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 each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For example, the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 is the first corner C1, and the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 is the second corner C2. ), the point where the second short side SS2 and the second long side LS 2 meet is the third corner C3, and the point where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 is the fourth corner C4. ) can be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Here, a direction from the first short side SS1 to the second short side SS2 or from the second short side SS2 to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referred to as a left-right direction LR. A direction from the first long side LS1 to the second long side LS2 or from the second long side LS2 to the first long side LS1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UD.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화면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하는 스탠드(150)와 바닥에 거치하기 위한 지지부(170)를 포함하는 이동부(100)와, 고정형인 스테이션(180)을 포함한다. 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0 on which a screen is output, a stand 150 supporting the display unit 110, and a support unit 170 for mounting on the floor. It includes a moving unit 100 that includes a station 180 that is a stationary type.

본 발명은 이동부(100)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부(110)를 이용하고자 하는 곳으로 이동 가능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부(110)로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가 거실에서 영상을 감상하고 싶을 때는 거실로 이동 시키고 부엌에서 이용하고자 할 때는 부엌으로 침실에서 감상하고자 할 때는 침실로 이동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moving unit 100 so that the display unit 110 can be moved to a desired location, so that a single display unit 110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without having to have many display units 110 unnecessaril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When the user wants to watch the video in the living room, he moves it to the living room, when he wants to use it in the kitchen, he moves it to the kitchen, and when he wants to watch it in the bedroom, he moves it to the bedroom.

이동부(100)는 별도의 전원 선이 없이 자체 배터리(175)를 구비하고 있어 전원 연결 없이 일정 시간 이상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대신에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이동부(100)에 위치하는 배터리(175)를 충전하기 위해 스테이션(180)에 결합시킬 수 있다. Since the moving unit 100 has its own battery 175 without a separate power line, it is possible to enjoy imag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without power connection. Instead, it can be coupled to the station 180 to charge the battery 175 located in the mobile unit 100 during non-use time.

사용자가 쇼파에 앉아서 보는 상황, 설거지를 하면서 서서 보는 상황 그리고 침대에 누워서 보는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높이가 달라져야 편한 상태로 시청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10)는 스탠드(15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display unit 110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sits on a sofa, stands while washing dishes, and lies in a bed to view in a comfortable state. Therefore, the display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vertically on the stand 150 .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배면이나 둘레를 커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보호하기 위한 지지구조(105)과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 제공되어 영상이 출력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영상이 출력되는 활성화 영역과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비활성 영역은 활성영역의 둘레에 위치하여 케이스 등을 이용하여 커버할 수도 있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display panel 101 on which an image is output, a support structure 105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101 by covering the rear surface or circumference of the display panel 101, and the display panel 101.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102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01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0 to output an image, and the display panel 101 divides the image into a plurality of pixels and outputs an image that is controlled to emit light by adjusting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pixel. can do. The display panel 101 may be divided into an active area where an image is output and an inactive area where an image is not output, and the inactive area may be located around the active area and covered using a case or the like.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 패널의 경우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없이 얇게 구현이 가능하고 베젤을 거의 0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어, 전면 둘레를 커버하는 구조를 생략하고 배면 지지구조만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inness without the need for a backlight unit and implement a bezel to be almost zero, so that a structure covering the front circumference may be omitted and only a rear support structure may be provided.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지지구조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에서 발생하는 열 이외에 지지구조의 배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02)에서 발생하는 열이 쉽게 방출될 수 있도록 방열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101 dissipates heat so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driving unit 102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01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structure can be easily discharged in addition to the heat generated from the display panel 101. structure can be provided.

디스플레이부(110)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강성을 위해 지지구조는 금속소재를 포함하거나 비드를 형성하고 보강 브라켓(102)을 덧대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강성을 제고한다. 비드는 보강부재의 추가 없이 금속소재의 지지구조(105)에 프레스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요철을 의미한다. 구동부(102)가 실장되는 위치는 구동부(102)의 열이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전달되지 않도록 설치 프레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s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unit 110 becomes thinner, the support structure includes a metal material or forms a bead for the rigidity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reinforcement bracket 102 is add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display unit 110 do. The bead refers to irregularities formed by using a press method on the support structure 105 made of metal without adding a reinforcing member. The location where the driver 102 is mounted may further include an installation frame 103 so that heat of the driver 102 is not directly transferred to the display panel 101 .

스탠드(150)와 지지부(17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바닥에 세우기 위한 구조로 스탠드(150)는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바닥면이 넓고, 스탠드(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감상하기 적당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스탠드(150)의 하부는 지지부(170)와 결합하고 상부는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한다. The stand 150 and the support 170 are structures for erecting the display unit 110 on the floor. The stand 150 has a wide bottom surface so as to be stably fixed to the floor, and the stand 150 outputs from the display panel 101. It extends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located at an appropriate height for viewing the image being played. The lower part of the stand 150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70 and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display unit 110 .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지지부(170)에 고정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슬라이드 브라켓(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스크류(146)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고정하고, 상기 스탠드(15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lide bracket 140 to be coupled so as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being fixed to the support unit 170 . The slide bracket 140 is fixed to the display unit 110 using screws 146 and the like, and can move vertically along the stand 150 .

디스플레이부(110)의 배면의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영역 및 상기 스탠드(150)와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결합부를 커버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백커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이동형이기 때문에 배면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바, 통상의 고정형 디스플레이부(110)와 달리 배면에 지저분한 단자나 부품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어 스탠드(150)를 통해 지지부(170)와 연결할 수 있다. A back cover 160 may be further included to cover an area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where various components are mounted and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tand 150 and the slide bracket 140 to block exposure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since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vable type, the user can see the rear side as well. Unlike the normal fixed display unit 110, it is necessary to minimize exposure of messy terminals or parts on the rear side, so that the stand 150 ) It can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70 through.

스탠드(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면에서 보이는 하부 스탠드(151)는 백커버(160)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외관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위치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비어있고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양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바(152)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152)를 따라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바(152)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좌우 양측에서 슬라이드 브라켓(140)을 지지할 수 있다. The stand 150 is located below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lower stand 151 seen from the front can form an external structure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back cover 160, and the upper part is a slide bracket 140 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lide bar 15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lide bracket 140, the middle of which is empty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The slide bracket 140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slide bar 152, and the slide bracket 140 can be suppor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by configuring the slide bar 152 as a pair.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제품 전체 무게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이해 모터와 같은 전자동 구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전자동 구동장치는 부품이 차지하는 부피와 무게 및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가 상하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이동 시키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위해 큰 부피의 부품을 넣는 것은 비효율적인 부분이 있어 수동을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of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occupies mos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roduct. To move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ully automatic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can be used, but the fully automatic driv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parts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 Since the user's operation of moving the display unit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not continuously repeated, it is inefficient to insert large parts for the corresponding function, so a structure capable of manually moving the display unit 110 may be provided.

디스플레이부(110)를 수동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의 무게에 상응하는 힘으로 밀어 올려야 하고 반대로 하측으로 내릴 때 디스플레이부(110)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무게를 지지하는 탄성부로서 롤스프링(155)을 구비할 수 있다. In order to manually move the display unit 110 up and down, the user has to push it up with a force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110, and on the contrary, when lowering it down, the problem that the display unit 110 falls down due to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110 is solved. should be prev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 spring 155 may be provided as an elastic part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110 .

스탠드(150)의 상단에는 롤스프링(155)이 위치한다. 롤스프링(155)은 테이프 형상의 금속판을 일정한 곡률로 휘어서 롤형태로 말아놓은 판 스프링의 일종으로 롤 형태로 다시 말리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일측을 당기면 감김수가 줄어들며 풀리고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 모양으로 돌아온다. 롤스프링(155)의 단부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에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상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한다. A roll spring 155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stand 150. The roll spring 155 is a type of leaf spring in which a tape-shaped metal plate is bent at a certain curvature and rolled into a roll form, and has elasticity to roll again in a roll form. back to its original shape by An end of the roll spring 155 is coupled to the slide bracket 140 to provide force to pull the display unit 110 upward.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스탠드(150)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결합 상태를 일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높이 조정부의 결합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4 is a view from one side of a coupled state of the slide bracket 140, the stand 150, and the display unit 110 of the display devic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the slide bracket 140 of FIG. ) and a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from the other side.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디스플레이부(110)에 고정되는 부분과 상기 스탠드(150)의 롤스프링(155)과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롤스프링(155)과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배면에 결합하는 수평빔(142a) 하나만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흔들림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하로 나란해 배치된 한 쌍으로 수평빔(142a, 142b)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The slide bracket 140 includes a portion fixed to the display unit 110 and a portion coupled to the roll spring 155 of the stand 150 . Accordingly, the slide bracket 140 may include only one horizontal beam 142a coupled to the roll spring 155 an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 However, in order to minimize shaking when the display unit 11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shaking of the display unit 110 can be minimized by using a pair of horizontal beams 142a and 142b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빔(142)과 상기 수평빔(142)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빔(1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수평빔(142)과 각 슬라이드 바(152)가 교차하는 위치에 부드럽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롤러(14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2개의 가이드 롤러(145)가 좌우로 배치되어 하나의 수평빔(142)에 결합하면, 한 쌍의 수평빔(142)에 결합한 4개의 가이드 롤러(145)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5)는 슬라이드 바(152)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56)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롤러(145)가 동일한 가이드 레일(15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a pair of horizontal beams 142 and a vertical beam 143 connecting between the horizontal beams 142 may be included, and each horizontal beam 142 and each slide bar 152 may be included. )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145 to move smooth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where they intersect. That is, when two guide rollers 145 are disposed left and right and coupled to one horizontal beam 142, four guide rollers 145 coupled to a pair of horizontal beams 142 may be provided. The guide roller 145 can move along the guide rail 156 formed on the slide bar 152, and a pair of guide rollers 145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move along the same guide rail 156.

가이드 레일(15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바깥쪽을 향하도록 슬라이드 바(152)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145)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는 슬라이드 바(152)의 이격 거리보다 더 넓다. 즉,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가로방향의 너비는 슬라이드 바(152)의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guide rail 156 may be formed on the slide bar 152 so as to face left and right outwards,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guide rollers 145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lide bars 152. wider than the street That is, the width of the slide bracket 1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wider than that of the slide bar 152 .

가이드 레일(15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바깥쪽을 향하지 않고, 내측을 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가이드 롤러(145)는 한 쌍의 슬라이드 바(1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guide rail 156 does not necessarily face outward, but may face inward. In this case, the guide roller 145 of the slide bracket 140 is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slide bars 152. can do.

다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152)의 간격보다 더 큰 슬라이드 브라켓(140)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디스플레이부(110) 사이에 슬라이드 바(152)를 위치시켜 슬라이드 브라켓(140)가 슬라이드 바(152)로부터 이탈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lide bar 152 is positioned between the slide bracket 140 and the display unit 110 using the slide bracket 140 that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lide bars 152.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fect in that the slide bracket 140 separates from the slide bar 152.

이때, 슬라이드 바(152)와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뒤틀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브라켓(140)은 슬라이드 바(152)에 상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드 홈(144)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lide bracket 140 may include a slide groove 14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de bar 152 so that the slide bar 152 and the slide bracket 140 can move without twist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스프링(155)의 단부는 한 쌍의 수평빔(142)과 결합한 베이스 플레이트(141)에 결합할 수 있다. 양측의 수직빔(143)만으로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모서리 부분의 각도가 직각이 유지되지 않고 수평빔(142)이 비스듬하게 변형될 수 있어 베이스 플레이트(141)가 한 쌍의 수평빔(142)이 뒤틀리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an end of the roll spring 155 may be coupled to a base plate 141 coupled to a pair of horizontal beams 142 . With only the vertical beams 143 on both sides, the angle of the corner of the slide bracket 140 does not maintain a right angle, and the horizontal beam 142 can be deformed obliquely, so that the base plate 141 is a pair of horizontal beams 142 It can be fastened so that it does not twist.

도 6은 본 발명의 롤스프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롤스프링(155)과 선스프링의 하중과 스트로크(늘어나는 길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통상적인 용수철 형상의 선스프링은 한계까지는 당기는 힘에 비례하여 길이가 늘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롤스프링(155)은 정하중 스프링(constant spring)으로 직선으로 잡아 늘릴 때 생기는 복귀력(하중)은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즉 최대하중에 도달한 후에는 아무리 늘려도 탄성력은 일정하고, 테이프가 다 풀릴 때까지 즉 최대 스트로크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한 탄성력으로 당기는 특징이 있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roll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ad and stroke (extended length) of the roll spring 155 and the line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spring-shaped line spring is proportional to the pulling force up to the limit thus increasing the length. However, the roll spring 15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ant spring, and the return force (load) generated when it is stretched in a straight line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stroke. That is, after reaching the maximum load, the elastic force is constant no matter how much it is stretched, and it is characterized by pulling with a constant elastic force until the tape is completely released, that is, until the maximum stroke is reached.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10)와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무게의 합(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부 자중이라한다.) 보다 약간 큰 수준의 탄성력을 가지는 롤스프링(155)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상하로 이동시 슬라이드 브라켓(140)과 슬라이드 바(152)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고, 롤스프링(155)이 안착된 스프링 안착부(153)에서 롤스프링(155)과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도 6의 (b)와 같이 롤스프링(155)의 탄성을 디스플레이부의 자중 보다 마찰력 크기만큼 크도록 롤스프링(155)을 디자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자중+마찰력=스프링 탄성력)Us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roll spring 155 having an elastic force slightly greater than the sum of the weights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slide bracke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ed to as the display unit's own weigh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vailable. This is because friction occurs between the slide bracket 140 and the slide bar 152 when the display unit 110 moves up and down, and the roll spring 155 and the frictional force in the spring seat 153 where the roll spring 155 is seated. Since this occurs, the roll spring 155 can be designed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roll spring 155 is greater than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by the amount of frictional force, as shown in FIG. 6(b). (self-weight of display part + friction force = spring elasticity)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하부로 내리려고 하측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민 거리만큼 이동하고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롤스프링(155)이 상부로 당기려는 힘과 마찰력과 디스플레이부(110)의 자중이 균형을 이루며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롤스프링(155)의 탄성은 롤스프링(155)의 늘어난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하므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어느 위치에나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상부로 올리려고 상측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균형을 이루던 힘이 상측 방향으로 더해져 롤 스프링이 원상복귀하는 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user applies force downward to lower the display unit 110, the user moves as much as the pushed distance,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hand, the roll spring 155 pulls the display unit 110 upward, the friction force and the display unit 110 Its weight balances and stops at that position. Since the elasticity of the roll spring 155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roll spring 155, the display unit 110 can be fixed at any position. When a user applies an upward force to lift the display unit 110 upward, the balanced force is added upward, and the display unit 110 may move upward due to the roll spring's return force.

롤스프링(15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무게에 따라 롤스프링(155)의 개수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무게와 롤스프링(155)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할 수 있다. 롤스프링(155)의 테이프의 너비 또는 감김 횟수에 따라 탄성이 다르며, 감김수가 많을수록 탄성이 크고 감김수가 같으면 너비가 클수록 탄성이 크다. 감김수가 많으면 적은 개수의 롤스프링(155)을 이용할 수 있으나, 대신에 롤스프링(155)의 두께가 커지는 문제가 있어, 감김수가 적은 롤스프링(155)을 여러 개 이용하여 적정한 두께와 적정한 힘의 탄성을 가진 롤스프링(155)을 디자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a plurality of roll springs 155 are used to adjust the number of roll springs 155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110 so that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roll spring (155) can be designed to balance the weight. The elasticity of the tape of the roll spring 155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windings or the width of the tape. The greater the number of windings, the greater the elasticity, and the same number of windings, the greater the elasticity. If the number of turns is large, a small number of roll springs 155 can be used, but instea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roll springs 155 increases. A roll spring 155 having elasticity of force may be designed.

스탠드(15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안착부(153)에 롤스프링(155)이 위치하고 접착제나 체결구로 고정되지 않고 롤스프링(155)의 형상에 상응하는 안착홈을 형성하여 롤스프링(155)이 안착홈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전하면서 풀리거나 감길 수 있다. 롤스프링(155)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스프링 안착부(153)는 롤스프링(155)의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격벽(153a)을 구비할 수 있다. 격벽(153a)은 롤스프링(155)이 회전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The roll spring 155 is located in the spring seating part 153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tand 150 and is not fixed with adhesive or fasteners, and a se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oll spring 155 is formed so that the roll spring 155 It can be unwound or wound while rotating without departing from the seating groove. The spring seating portion 153 which surrounds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 spring 155 may include barrier ribs 153a spaced apart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oll spring 155 . The bulkhead 153a serves to prevent the roll spring 155 from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rotating.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롤스프링(155)이 인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롤스프링(155)의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ll spring 155 of the display devic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ensioned, and FIG. 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oll spring 155 of the display devic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location of the display unit 110.

도 8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밀면 롤스프링(155)이 풀리면서 도 8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하부로 내려온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의 자중에 의해 사용자가 최초에만 힘을 가하면 자동으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8, when the user pushes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110 is located at the top, the roll spring 155 is released and the display unit 110 moves downward as shown in (b) of FIG. 8. come down At this time, when the user applies force only initially due to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110, it can automatically move downwar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50)는 스프링 안착부(153)와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스토퍼(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54)는 슬라이드 브라켓(140)이 하측방향에서 더 이상 내려오지 않도록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브라켓(140)의 가이드 롤러(145)는 가이드 레일(156)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에 위치하고 롤스프링(155)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이동 거리만큼 풀린다. As shown in FIG. 7 , the stand 15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54 spaced apart from the spring seating portion 153 in a downward direction. The stopper 154 may limit the movement range of the slide bracket 140 so that the slide bracket 140 does not come down any further in the lower direction. The guide roller 145 of the slide bracket 140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rail 156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roll spring 155 is released by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display unit 110 .

도 8의 (b)와 같이 하부로 내려온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상측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밀어 올리면 롤스프링(155)의 탄성에 의해 도 8의 (a) 상태로 복귀한다. When the user pushes the display unit 110 upward again from the lowered state as shown in (b) of FIG. 8, it returns to the state (a) of FIG. 8 by elasticity of the roll spring 155.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이동시킬 때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에 위치하면 무게중심이 상측에 위치하여 이동 중에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넘어질 위험이 있다. 가능한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안정적이므로, 도 8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를 최하단인 제1 위치로 내린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적정 높이로 올려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필요가 있다. 즉, 이동시 디스플레이부(110)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고, 시청시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When the display unit 10 is moved, if the display unit 11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us the display unit 10 may fall over during movement. Since it is stable to move with the center of gravity located at the lower side as much as possible,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display device 10 after lowering the display unit 110 to the lowest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8(b).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watching an image by raising the display unit 110 to an appropriate height, the display device 10 needs to be stably fixed to the floor. That is, when moving, it is necessary to guide the display unit 110 to be located at the bottom, and to fix the display device 10 when viewing.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고정하지 않아도,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10)를 상측으로 올리면 자동으로 바닥에 고정되고 이동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10)를 하측으로 내리면 고정이 해제되면서 지지부(170)의 하면에 위치하는 이동바퀴(174)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자동 스토퍼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raised upward for viewing, the display unit 110 is automatically fixed to the floor without the user fixing the display device 10 separately, and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lowered downward for movement, the fixation is released. An automatic stopper structure that can be freely moved using a moving wheel 174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70 may be provided.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푸시바(123)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하면 푸쉬바(123)도 상부로 이동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도 8의 (b)와 같이 최하단, 즉 제1 위치로 이동 시 푸쉬바(123)도 하부로 이동한다. As shown in (a) and (b) of FIG. 8, a push bar 123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110 is included, and when the display unit 110 moves upward, the push bar ( 123) also moves upward, and the push bar 123 also moves downward when the display unit 110 moves to the lowest position, that is,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8(b).

도 9및 도 1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위치에 따른 푸쉬바(123) 및 링크구조(125)의 움직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링크구조(125)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링크 가이드(1252a, 1252b, 1254a, 1254b)를 도시한 도면이다.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push bar 123 and the link structure 125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10 of the display devic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iagram showing link guides 1252a, 1252b, 1254a, and 1254b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ink structure 125 of the related display device 10.

푸쉬바(123)와 링크구조(125)를 도시하기 위해 지지부(170)의 하우징과 하부스탠드의 외관용 커버는 생략하다. 지지부(17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슬라이드 바가 고정되는 체결 브라켓(173)을 포함하고, 체결 브라켓(173)에 링크구조(125)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부(170)의 하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무빙 스토퍼(128)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how the push bar 123 and the link structure 125, the housing of the support part 170 and the exterior cover of the lower stand are omitted. The support unit 170 includes a fastening bracket 173 to which a slide bar is fixed to support the display unit 110 so as not to fall, and a link structure 125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bracket 173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stopper 128 that selectively protrudes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part 170 .

무빙 스토퍼(128)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도 8의 (a)와 같이 상부로 이동시 지지부(17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바닥면에 지지부(170)를 고정할 수 있다. 러버나 실리콘과 같이 마찰력이 높은 부재(128a)를 포함하여 지지부(17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동바퀴(174)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넘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moving stopper 128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170 when the display unit 110 moves upward as shown in (a) of FIG. 8 and fix the support 170 to the bottom surface. The display device 10 is fixed so that it does not move by the moving wheels 174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170, including a member 128a having high frictional force such as rubber or silicon, so that the display 110 moves up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device 10 from falling over while movin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하면, 푸쉬바(123)도 상부로 이동하고, 무빙 스토퍼(128)는 하부로 이동하여 바닥면에 밀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최하단의 제1 위치로 이동하면, 푸쉬바(123)도 하부로 이동하고, 무빙 스토퍼(128)는 위로 들리면서 지지부(170) 내부로 수납되어 이동바퀴(174)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이동 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 when the display unit 110 moves upward, the push bar 123 also moves upward, and the moving stopper 128 moves downward and adheres to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display unit 110 moves to the first position at the bottom, the push bar 123 also moves downward, and the moving stopper 128 is lifted up and stored inside the support unit 170.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moved using the moving wheels 174.

푸쉬바(123)의 하단에는 링크구조(125)가 연결되어 있으며 링크구조(125)는 복수개의 링크가 힌지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푸쉬바(123)의 움직임에 따라 각 링크가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최종적으로 무빙 스토퍼(128)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A link structure 125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bar 123, and in the link structure 125, a plurality of links are connected through hinge coupling, so that each link moves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ush bar 123, and finally As a result, the moving stopper 128 moves up and down.

본 실시예의 링크구조(125)를 자세히 설명하면 푸쉬바(123)의 하단과 일단이 연결된 제1 링크(1251)는 푸쉬바(123)의 이동에 따라 일단이 상하로 움직이고, 제1 링크(1251)의 타단은 제2 링크(1252)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2 링크(1252)는 제1 방향(디스플레이부(1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링크(1251)의 움직임에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If the link structure 125 of this embodiment is described in detail, the first link 1251,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bar 123, moves up and down as the push bar 123 moves, and the first link 1251 The other end of )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nk 1252. The second link 1252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display unit 110) a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1251.

제2 링크(1252)가 제1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상하 방향이나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1252)의 측면에 제2 링크(1252)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제1 링크 가이드(1252a, 1252b)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링크(1252)의 타단과 연결된 제3 링크(1253)는 도 9에 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사이로 비스듬하게 위치하나,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제2 방향을 향한다. 즉, 제3 링크(1253)는 타단에 힌지 결합된 제4 링크(1254)를 제2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1252 to the side of the second link 1252 as shown in Figure 11 so that the second link 1252 moves only in the first direction and does no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other directions A first link guide (1252a, 1252b) may be provided. Next, the third link 125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1252 is positioned obliquely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moved upward as shown in FIG. ,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110 is moved downward, as shown in FIG. 10, it faces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the third link 1253 serves to push the fourth link 1254 hinged to the other end in the second direction.

제4 링크(1254)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좌우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4 링크(1254)가 제2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제2 링크 가이드(1254a, 1254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고하면, 제2 링크(1252)가이드는 제4 링크(1254)에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에 삽입된 가이드 돌기가 제2 방향으로 복수개 위치하여 제4 링크(1254)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한다. The fourth link 1254 may further include second link guides 1254a and 1254b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and allowing the fourth link 1254 to move only in the second direction. there is. Referring to (b) of FIG. 11, the second link 1252 guide has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inserted into guide groove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fourth link 1254 l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fourth link ( 1254) is guided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도 12및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위치에 따른 무빙스토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 링크(1254)는 제3 링크(1253)의 배치에 따라 무빙 스토퍼(128)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9와 같이 제3 링크(1253)가 비스듬하게 위치하는 경우 제4 링크(1254)는 무빙 스토퍼(128)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10과 같이 제3 링크(1253)가 제2 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 제4 링크(1254)는 무빙 스토퍼(128) 방향으로 이동한다. 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stopp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10 of the display devic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link 1254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stopper 128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third link 1253 . As shown in FIG. 9, when the third link 1253 is positioned obliquely, the fourth link 1254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oving stopper 128, and as shown in FIG. 10, the third link 1253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placed, the fourth link 1254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stopper 128 .

도 12의 (a)는 도 9의 상태에서의 제4 링크(1254)와 무빙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도 10의 상태에서의 제4 링크(1254)와 무빙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4 링크(1254)의 단부에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캠(126)이 위치하고, 제1 캠(126)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무빙 스토퍼(128)와 결합된 제2 캠(127)을 포함한다. 제1 캠(126)의 경사면은 바깥쪽을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진다. 12 (a) is a diagram showing the fourth link 1254 and the moving stopper in the state of FIG. 9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fourth link 1254 and the moving stopper in the state of FIG. 10 am. A first cam 126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fourth link 1254,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cam 126, and includes a second cam 127 coupled with the moving stopper 128 d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cam 126 has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lower toward the outsid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로 이동하고 푸쉬바(123)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링크구조(125)가 움직이고 제4 링크(1254)는 무빙스토퍼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2 캠(127)은 제1 캠(126)의 경사면 중 가장 낮은 부분에 위치하여 무빙 스토퍼(128)는 지지부(170)의 하부로 노출된다(도 12의 (a)참조).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70)와 체결 브라켓(173) 사이에 압축 스프링(129)을 포함하여, 무빙 스토퍼(128)를 하부로 눌러주어 무빙 스토퍼(128)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힘을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9, while the display unit 110 moves upward and the push bar 123 moves upward, the link structure 125 moves and the fourth link 1254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oving stopper. . At this time, the second cam 127 is located at the lowest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cam 126, and the moving stopper 128 is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70 (see FIG. 12(a)). As shown in (a) of FIG. 13, a compression spring 129 is included between the support part 170 and the fastening bracket 173 to press the moving stopper 128 downward so that the moving stopper 128 is on the bottom surface. provides force to hold it in place.

반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하부로 이동하고, 푸쉬바(123)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링크구조(125)가 움직이면서 제4 링크가 무빙 스토퍼(128)를 향해 이동한다. 이때, 제2 캠(127)은 제1 캠(126)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고 무빙 스토퍼(128)도 함께 상부로 이동한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129)은 지지 브라켓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압축 스프링(129)이 압축되면서 길이가 짧아진다. Conversely, as shown in FIG. 10 , the display unit 110 moves downward and the push bar 123 moves downward while the link structure 125 moves and the fourth link moves toward the moving stopper 128 . At this time, the second cam 127 moves upward while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cam 126, and the moving stopper 128 also moves upward together. As shown in (b) of FIG. 13, the length of the compression spring 129 is shortened as the compression spring 129 is compressed while the support bracket moves upward.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2개의 무빙 스토퍼(128)와 2개의 링크구조(125)를 구비하고 있다. 무빙 스토퍼(128)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무빙 스토퍼(128)의 개수에 따라 링크구조(125)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has two moving stoppers 128 and two link structures 125 . At least two or more moving stoppers 128 may be provided to stably fix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number of link structures 125 may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ving stoppers 128.

다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푸쉬바(123)의 상부가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무빙레일(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레일(124)은 푸쉬바(123)가 푸쉬바(123)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좌우 방향으로 꺾이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무빙레일(124)과 푸쉬바(123)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요철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9 and 10 , a pipe-shaped moving rail 124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10 and inse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push bar 123 may be further included. The moving rail 124 guides the push bar 123 so that the push bar 123 is not b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push bar 123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move smooth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using irregulariti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moving rail 124 and the push bar 123.

디스플레이부(110)의 상하방향 이동거리와 푸쉬바(123)의 상하방향 이동거리는 차이가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높이에서 시청 가능하기 때문에 높이의 조정폭이 크나, 푸쉬바(123)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제1 높이에서 조금만 위로 이동하더라도 항상 무빙 스토퍼(128)가 돌출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10)가 제2 높이로 올라가면 도 9와 같이 푸쉬바(123)가 상부로 이동해서 무빙 스토퍼(128)를 바닥면에 고정시킨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제2 높이 이상 올라거더라도 푸쉬바(123)의 위치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야 하므로 푸쉬바(123)와 디스플레이부(110) 사이의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완충하기 위해 인장 스프링이 디스플레이부(110)와 푸쉬바(12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push bar 123 . Since the display unit 110 can be viewed at various heights depending on circumstances, the height adjustment range is large, but the push bar 123 always protrudes the moving stopper 128 even if the display unit 110 moves slightly upward from the first height.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raised to the second height in order to maintain it in the upright state, the push bar 123 moves upward and fixes the moving stopper 128 to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9 . Even if the display unit 110 rises above the second height, the position of the push bar 123 must be fixed without moving any more, so that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push bar 123 and the display unit 110 is buffered. For this purpose, a tension sp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push bar 123.

인장 스프링(122)은 디스플레이부(110)가 제2 위치 이상에 위치하는 경우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 점점 길이가 짧아진다. 디스플레이부(110)가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인장 스프링(122)의 최단 거리에 도달하여 푸쉬바(123)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가 제1 위치에 도달하면 푸쉬바(123)가 링크구조(125)를 움직여 무빙 스토퍼(128)는 바닥면에서 이격된다.The tension spring 122 maintains a tensioned state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or higher, and gradually decreases in length when the display unit 110 mo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When the display unit 110 reaches the second position,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tension spring 122 is reached, and the push bar 123 moves downward. As shown in FIG. 10 , when the display unit 110 reaches the first position, the push bar 123 moves the link structure 125 so that the moving stopper 128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즉, 디스플레이부(110)와 푸쉬바(123) 사이의 인장 스프링(122)은 디스플레이부(110)가 최하단인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이외에 어느 높이에 위치하든, 무빙 스토퍼(128)가 지지부(170) 하단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That is, the tension spring 122 between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push bar 123 is located at any height other than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10 is located at the lowest first position, and the moving stopper 128 is the support unit. (170) This is a configuration necessary to maintain a protruding state from the bottom.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링크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링크 구조 이외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nk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1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link structure described in FIGS. 9 to 13 , a lever structure as shown in FIG. 14 may be used.

본 실시예의 링크구조(125)는 일단이 푸쉬바(123)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무빙 스토퍼(128)의 상부에 연결되며 중간에 체결 브라켓(173)에 고정된 받침점을 포함하는 레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링크구조(125)는 받침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도 14의 (a)와 같이 푸쉬바(123)가 하부로 내려오면 링크구조(125)의 일단이 하부로 이동하고 타단은 상부로 이동하면서 무빙 스토퍼(128)가 상부로 이동하여 지지부(170) 내부로 수납된다. 반대로 도 14의 (b)와 같이 푸쉬바(123)가 상부로 이동하면 링크구조(125)의 일단이 상부로 이동하고 타단은 하로 이동하면서 무빙 스토퍼(128)가 지지부(170) 바깥으로 노출되며 바닥면에 고정된다.The link structure 125 of this embodiment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bar 12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stopper 128, and a lever shape including a fulcrum fixed to the fastening bracket 173 in the middle. can have The link structure 125 rotates around the fulcrum, and when the push bar 123 comes down as shown in (a) of FIG. 14, one end of the link structure 125 moves to the bottom and the other end moves to the top while moving The stopper 128 moves upward and is received inside the support part 170 . Conversely, as shown in (b) of FIG. 14, when the push bar 123 moves upward, one end of the link structure 125 moves upward and the other end moves downward while the moving stopper 128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70. fixed to the floor

링크구조(125) 이외에 무빙 스토퍼(128)를 바닥면으로 누르는 압축 스프링(129), 무빙레일(124), 인장 스프링(122)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link structure 125, the compression spring 129, the moving rail 124, and the extension spring 122 pressing the moving stopper 128 to the bottom surface may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배터리(175)가 탑재되어 있어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감상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battery 175 so that it can be viewed in a state where power is not connected, so that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place, so it is useful. has the advantage of being high.

또한, 디스플레이부(110)의 높이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거실에서 쇼파에 앉아서 감상하거나, 침실의 침대에 누워서 감상하는 경우나 주방에서 요리를 하는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조정 가능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10)를 상부로 이동하면, 무빙 스토퍼(128)가 자동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이동시 디스플레이부(110)를 하부로 이동하여 무게중심을 낮추고, 무빙 스토퍼(128)가 자동으로 수납되어 이동바퀴(174)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display unit 110 can be easily adjusted, it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height depending on the situation, such as sitting on a sofa in the living room, lying on a bed in a bedroom, or cooking in the kitchen, thereby increasing usability. there is.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moved upward to view the display device 10, the moving stopper 128 automatically protrudes to stably fix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display device 10 When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is lowered by moving the display unit 110 downward, and the moving stopper 128 is automatically stored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using the moving wheels 174.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디스플레이 장치 100: 이동부
110: 디스플레이부 101: 디스플레이 패널
102: 보강 브라켓 103: 설치 프레임
104: 구동부 122: 인장 스프링
123: 푸쉬바 124: 무빙레일
125: 링크구조 1251: 제1 링크
1252: 제2 링크 1252a, 1252b: 제1 링크 가이드
1253: 제3 링크 1254: 제4 링크
1254a, 1254b: 제2 링크 가이드 126: 제1 캠
127: 제2 캠 128: 무빙 스토퍼
129: 압축 스프링 140: 슬라이드 브라켓
141: 베이스 플레이트 142: 수평빔
143: 수직빔 144: 슬라이드 홈
145: 가이드 롤러 146: 체결
150: 스탠드 151: 하부 스탠드
152: 슬라이드 바 153: 스프링 안착부
154: 스토퍼 155: 롤스프링
156: 가이드 레일 160: 백커버
170: 지지부 173: 체결브라켓
174: 이동바퀴 180: 스테이션
10: display device 100: moving unit
110: display unit 101: display panel
102: reinforcement bracket 103: installation frame
104: driving unit 122: tension spring
123: push bar 124: moving rail
125: link structure 1251: first link
1252: second link 1252a, 1252b: first link guide
1253: third link 1254: fourth link
1254a, 1254b: second link guide 126: first cam
127: second cam 128: moving stopper
129: compression spring 140: slide bracket
141: base plate 142: horizontal beam
143: vertical beam 144: slide groove
145: guide roller 146: fastening
150: stand 151: lower stand
152: slide bar 153: spring seat
154: stopper 155: roll spring
156: guide rail 160: back cover
170: support 173: fastening bracket
174: moving wheel 180: station

Claims (10)

디스플레이부;
하부에 돌출된 이동바퀴를 포함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스탠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결합하고 상기 스탠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하는 슬라이드 브라켓;
상기 지지부에 하부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무빙 스토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결합하며 디스플레이부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푸쉬바; 및
상기 푸쉬바가 최하단에 위치시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기 지지부에 수납하고, 상기 푸쉬바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시키는 링크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unit;
A support portion including a moving wheel protruding from the bottom and seated on the floor;
a stand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upport;
a slide bracke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sliding along the stand;
a moving stopper that selectively protrudes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fixes the support portion to a bottom surface;
a push ba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and
and a link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moving stopper in the support when the push bar is positioned at a lowermost end and protruding the moving stopper from the support when the push bar moves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바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개재된 인장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바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최하단인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이동시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2 위치보다 위쪽으로 이동시 상기 푸쉬바는 이동하지 않고 상기 인장 스프링이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push bar and the display unit,
The push bar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when the display unit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which is the lowermost stage, and moves upward when the display unit moves upward,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splay unit moves upward from the second position, the push bar does not move and the extension spring exten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서 연장되며, 하부에 상기 푸쉬바의 상단이 삽입된 파이프 형상의 무빙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무빙레일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푸쉬바는 상기 무빙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ipe-shaped moving rail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having an upper end of the push bar inserted therein,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spring is located inside the moving rail, and the push ba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moving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조는 상기 푸쉬바가 하부로 이동시 상기 무빙 스토퍼를 향해 인장되고
상기 링크구조의 단부에 위치하며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캠; 및
상기 무빙 스토퍼에 결합되며 상기 캠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 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structure is stretched toward the moving stopper when the push bar moves downward,
A first cam located at an end of the link structure and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and
and a second cam coupled to the moving stopper and moving alo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cam to move the moving stopper upward or downwar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조는,
일단이 상기 푸쉬바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 제1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링크;
일단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푸쉬바의 위치에 따라 배치 방향이 달라지는 제3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3 링크에 힌지 결합되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에 상기 제1 캠이 연결되는 제4 링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link structure is
a first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a lower end of the push bar;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third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having a disposition direction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ush bar;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ourth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third link,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and having the first cam connected to the other e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 링크 가이드; 및
상기 제4 링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 링크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5,
a first link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econd link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splay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link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fourth link in the second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체결 브라켓; 및
상기 체결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무빙 스토퍼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4,
a fastening bracket located inside the support; and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mpression spring interpos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bracket and the moving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조는
일단이 상기 푸쉬바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 스토퍼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상기 스탠드에 고정된 받침점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바가 하부로 이동시 상기 링크구조의 일단은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링크구조의 타단은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기 지지부 내부로 수납하고,
상기 푸쉬바가 상부로 이동시 상기 링크구조의 일단은 상부로 이동하기 상기 링크구조의 타단은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무빙 스토퍼를 상기 지지부 하부에서 돌출시켜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structure is
One end is hinged to the lower part of the push bar,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stopper, and includes a fulcrum fixed to the stan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When the push bar moves downward, one end of the link structure moves down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structure moves upward, and the moving stopper is housed in the support part,
When the push bar moves upward, one end of the link structure moves up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structure moves downward, and the moving stopper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to fix the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스토퍼는 상기 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이 위치하며,
상기 링크 구조는 상기 푸쉬바부터 상기 한 쌍의 무빙 스토퍼를 향해 각각 연장된 한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moving stoppers are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k structure comprises a pair of each extending from the push bar toward the pair of moving stopp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롤 형태로 감긴 금속 테이프를 포함하고,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과 결합된 롤스프링; 및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롤스프링이 거치되는 스프링 안착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풀리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부로 누르면 상기 롤스프링이 감기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and,
A roll spring including a metal tape wound in a roll form and having an end coupled to the slide bracket; and
It is located at the top and includes a spring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roll spring is moun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play unit downward, the roll spring is released and the display unit moves downwar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play unit upward, the display unit moves upward while the roll spring is wound.
KR1020180153529A 2018-11-02 2018-12-03 Display Device KR102508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529A KR102508152B1 (en) 2018-12-03 2018-12-03 Display Device
PCT/KR2019/005343 WO2020091167A1 (en) 2018-11-02 2019-05-03 Display device
US16/964,173 US11334111B2 (en) 2018-11-02 2019-05-0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529A KR102508152B1 (en) 2018-12-03 2018-12-03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74A KR20200066874A (en) 2020-06-11
KR102508152B1 true KR102508152B1 (en) 2023-03-09

Family

ID=7107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529A KR102508152B1 (en) 2018-11-02 2018-12-03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1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340B1 (en) * 2023-07-13 2024-05-08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Display device of visual information for fall preven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468A1 (en) 2002-01-25 2003-07-31 Enlight Corporation Computer and wheeled carrier combination structure
US20040231213A1 (en) 2003-05-23 2004-11-25 Samsung Electronic Co., Ltd. Display apparatus
JP2007102209A (en) 2005-09-12 2007-04-19 Armor:Kk Stand for display
KR101076241B1 (en) 2010-07-23 2011-10-26 주식회사 인페쏘 Stand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1399209B1 (en) 2013-10-04 2014-06-27 천동열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570A (en) * 1993-06-29 1997-09-16 Ditzik; Richard J. Desktop computer with adjustable flat panel screen
KR970012067A (en) * 1995-08-18 1997-03-29 배순훈 Monitor with moving wheel member
KR19980027256U (en) * 1996-11-14 1998-08-05 배순훈 Monitor equipped with monitor wheel
KR20060063469A (en) * 2004-12-07 2006-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 wheel for preventing slip in a projection tv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468A1 (en) 2002-01-25 2003-07-31 Enlight Corporation Computer and wheeled carrier combination structure
US20040231213A1 (en) 2003-05-23 2004-11-25 Samsung Electronic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0770984B1 (en) 2003-05-23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JP2007102209A (en) 2005-09-12 2007-04-19 Armor:Kk Stand for display
KR101076241B1 (en) 2010-07-23 2011-10-26 주식회사 인페쏘 Stand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1399209B1 (en) 2013-10-04 2014-06-27 천동열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74A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046B1 (en) Display Device
US10783809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578842B1 (en) Display device
US9839148B2 (en) Display device wall mounting apparatus
KR102440224B1 (en) Display apparatus
US8267360B2 (en) Height adjustable holding apparatus
KR101873740B1 (en) Stand member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17123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JP4578548B2 (en) Monitor position adjustment device
US11334111B2 (en) Display device
KR102508152B1 (en) Display Device
US20200184857A1 (en) Backplate and roll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404872A1 (en) Display device
KR102541184B1 (en) Height-adjustable Device
US20120236267A1 (en) Screen Device and Rear Projection Apparatus
JP2023107720A (en) display device
KR100595201B1 (en) Height-adjusting stand for thin type video display
CN209356736U (en) Lens displacement regulating mechanism
KR20010036079A (en) Backlight assembly
KR100860030B1 (en) Mounting Device for Display Unit
KR20200084564A (en) Stan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1805610B2 (en) Display device
US20230247892A1 (en) Display device
KR20240038278A (en) Display device
KR20060115172A (en) Stand for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