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802B1 -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 - Google Patents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802B1
KR102506802B1 KR1020210075972A KR20210075972A KR102506802B1 KR 102506802 B1 KR102506802 B1 KR 102506802B1 KR 1020210075972 A KR1020210075972 A KR 1020210075972A KR 20210075972 A KR20210075972 A KR 20210075972A KR 102506802 B1 KR102506802 B1 KR 10250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t
manufacturing
molded body
body base
sof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990A (ko
Inventor
엄장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엄장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엄장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1007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8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목 제조용 원단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단하는 단계 및 바이어스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대량생산 및 규격화가 가능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부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Method of manufacturing splint and splint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목 제조용 원단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단하는 단계 및 바이어스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대량생산 및 규격화가 가능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부목에 관한 것이다.
팔이나 다리가 부러지거나 삐었을 때는 다친 골절 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정형외과용 부목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비수술적 치료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형외과용 부목의 기능을 하는 고정 방법으로 석고가 도포된 붕대를 환부에 감아 고정하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이러한 석고를 이용하는 시술 방법은 석고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환부에 석고 붕대를 감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통기성이 없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땀이 차게 되고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석고를 이용하는 시술 방법은 시술 후 경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환부의 치료가 끝나게 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절단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절단 도중 피부를 상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석고의 고정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기성이 우수한 그물망 형태의 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이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특허발명 2).
상기 종래의 부목 제조방법은, 그물망 형태의 수지 원단을 일정 크기로 재단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에 다수겹의 재단된 수지 원단의 보강재를 부착하고 환부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부목 성형체를 제작한다.
통상적으로 수지 원단의 재단은 수동 또는 자동의 기계적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의 통기성이 우수한 그물망 형태의 수지 원단은, 그물망의 원단에 수지를 함침시켜 제조된 것이어서, 그 형태가 일정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수지 원단을 자동의 기계적 수단으로 재단하는 경우, 함침된 수지의 표면이 탈리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수동으로 재단하는 경우는 시간 및 노력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원단을 다양한 형태, 크기 및 일정한 규격의 형태로 재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일부 선행문헌에는 부목 생산에 레이저를 이용하는 재단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개시하고 있지 아니하다(특허문헌 3). 특히 열가소성 수지 및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레이저를 이용한 재단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아니하다.
또한, 수지 원단을 사용하여 성형된 부목의 경우는, 부목 외측면이 사용된 수지 원단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부목을 사용할 때에 피부나 환부의 접촉으로 상처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특허문헌 3). 특히, 특허문헌 3의 부목의 제조방법에서는 주성형부와 부성형부를 별도로 제조하여 제조과정 및 부목을 이용하여 환부에 시술 시, 그 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한편, 현재의 부목은 골절 부위 및 정도와 무관하게 한 형태의 부목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부목을 사용하여 골절 부위를 고정하는 비수술적 치료 시, 다친 골절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 강도, 및 크기의 부목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서 규격화된 부목이 필요하다.
따라서 부목의 제조에 있어서 부목의 사용 시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고, 또한 경제성 및 부목 성형성이 우수하고 규격화된 부목을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부목의 제조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제2010-0015972호(2010.02.12. 공개) KR 제10-1768490호(2017.08.30. 공고) KR 제10-2070654호(2020.01.30.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하는 단계 및 바이어스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대량생산 및 규격화가 가능한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부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목의 제조방법은
(a) 다양한 크기의 설계된 수지 원단을 레이저로 절단하여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윤곽면을 바이어스로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바이어스 처리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부목 성형재’)를 연화하는 단계;
(d) 상기 연화된 부목 성형재를 환부에 따른 각 부목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단계 이후 (b) 단계가 이루어지고, 이후 (c) 및 (d)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목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 및 (d) 단계는 상기와 같이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하나의 공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의 제조방법은,
(a-1)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e) 벨크로 테이프와 쿠션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1) 단계는 상기 (a) 단계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d) 단계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부목의 제조방법의 수지 원단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부목의 제조방법 중 (a) 단계의 레이저는 CO2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의 제조방법 중 (b) 단계의 바이어스 처리, (c) 단계의 연화, 및 (d) 성형 단계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부목은 상기의 부목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보조 성형부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성형부만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성형부는 단일층이거나,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목의 제조방법은 (a) 단계의 레이저를 이용 및 (b) 단계의 부목 성형 전 바이어스 처리를 포함하여 일정한 규격의 부목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친 골절 부위에 따라 환부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 강도, 및 크기의 부목을 규격생산으로 환부의 상태 적합한 부목을 제조할 수 있어, 환부의 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부목의 성형 전 바이어스 처리로 성형된 부목의 윤곽면에 의한 피부의 통증 발생 또는 피부를 찌르는 등의 압박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형 전 바이어스 처리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외곽이 고정됨으로써 부목의 성형 후 부목의 모양이 비틀어지지 않고 성형의 형태가 정확한 부목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로써 부목 제품의 규격형태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성형 후에 바이어스 처리를 하는 종래기술에서는 성형 후 제품의 형태가 정확하지 않아 바이어스 처리 후 다시 한번 제품을 연화하는 단계를 거친 후 제품의 규격형태를 정확히 교정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b) 단계의 성형 전 바이어스 처리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제조단계의 단축으로 공정 상의 경제적인 이익 아니라, 정확한 규격의 부목 제품 생산으로 생산된 부목 제품의 규격화를 이루어 시술 시에도 환부에 정확한 시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서 종래기술에서는 부목의 재료인 통기성 구멍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으로 기계적으로 바이어스를 처리하지 못하고, 온수 또는 핫 건의 고온 공기에서 연화 후 수동으로 처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기계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품 생산 공정의 규격화 및 빠른 공정으로 대량생산과 더불어 공정상 경제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부목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 것이어서 현장이나, 병원에서 의사 또는 관계자가 연화 과정을 거쳐 직접 환부에 밀착시키는 시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술 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은 다친 골절 부위에 따라 환부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 강도, 및 크기로 규격화된 부목이어서 큰 노력 없이 간단하게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목의 제1 실시예(단계 (a), (a-1), (b), (c) 및 (d)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부목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목의 제2 실시예(단계 (a), (a-1), (b), (c), (d) 및 (e)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부목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목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레이저 장치에 관한 사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레이저 특정 조건인 (전체 출력의 30 내지 70% 파워 및 20 내지 70mm/s의 재단 속도)에서 재단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탄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레이저 특정 조건(전체 출력의 30 내지 70% 파워 및 20 내지 70mm/s의 재단 속도)에서 재단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재단(절단)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레이저 특정 조건에서 벗어난 조건(전체 출력의 70% 초과 파워 및 70mm/s 초과의 재단 속도)에서 재단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탄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레이저 특정 조건에서 벗어난 조건건(전체 출력의 70% 초과 파워 및 70mm/s 초과의 재단 속도)에서 재단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재단(절단)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레이저 특정 조건에서 벗어난 또 다른 조건(전체 출력의 30% 미만 파워 및 20mm/s 미만의 재단 속도)에서 재단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탄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f는 본 발명의 레이저 특정 조건에서 벗어난 또 다른 조건(전체 출력의 30% 미만 파워 및 20mm/s 미만의 재단 속도)에서 재단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재단(절단)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부목의 제조방법 중 (b) 단계의 바이어스 처리가 본 발명의 바늘 범위 내에서 기계적 처리의 자동으로 이루어진 부목 성형체 베이스(‘부목 성형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부목의 제조방법 중 (b) 단계의 바이어스 처리를 위한 기계적 처리 시 본 발명의 바늘 범위를 벗어난 경우(바늘 크기 90/14)의 바이어스 처리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부목의 제조방법에서 (b) 단계의 바이어스 처리를 거친 후 성형된 부목의 모양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b는 (b) 단계의 바이어스 처리단계를 거치지 않고 성형된 가 부목의 모양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c는 도 6b의 가 부목을 바이어스 처리하여 제조한 부목의 모양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부목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단수형은 특별히 문장에서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부목은 정형외과적 치료용뿐만 아니라, 미용을 위한 시술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부목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상기 부목의 제조방법은
(a) 다양한 크기의 설계된 수지 원단을 레이저로 절단하여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윤곽면을 바이어스로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바이어스 처리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부목 성형재’)를 연화하는 단계;
(d) 상기 연화된 부목 성형재를 환부에 따른 각 부목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의 제조방법은, (a-1)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e) 벨크로 테이프와 쿠션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a-1) 단계는 상기 (a) 단계 후 (b) 단계 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목의 제조방법은, (a) 단계 이후, 및/또는 (a-1) 단계 이후 (b) 단계가 이루어지고, 이후 (c) 및 (d)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및 (d) 단계는 각각 별도의 단계로 행해지거나, 또는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는, 다양한 크기의 설계된 수지 원단을 레이저로 절단하여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제작하는 단계이고,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는 단일 층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a) 단계의 수지 원단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의 수지 원단은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섬유상에 열가소성 수지가 코팅되거나, 또는 상기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에 함침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섬유는 면사, 울 등의 천연 섬유, 얀(yarn), 또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섬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원단은, 직조된 섬유에 열가소성 수지가 코팅되거나, 또는 상기 직조된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에 함침된 것으로서 통기창이 반복 형성된 그물 형상구조를 갖는 수지 원단일 수 있으며, 상기 통기창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8㎟ 크기이다.
상기 수지 원단은 연화점이 40 내지 75℃ 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수지 원단을 재단하는 레이저는 CO2 레이저이며, 출력은 150W이다. 상기 CO2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수지 원단의 재단 시, 파워는 전체 출력의 30 내지 70%이고, 수지 원단의 재단 속도는 20 내지 70mm/s이다. 바람직하게는 파워는 전체 출력의 30 내지 45%이고, 수지 원단의 재단 속도는 20 내지 40mm/s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워는 전체 출력의 35 내지 38%이고, 재단 속도는 25 내지 35mm/s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수지 원단의 절단(재단)이 불량하거나, 또는 수지 원단에 탄화의 발생으로 절단면이 깨끗하지 못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레이저재단 결과를 4a 내지 도 4f에 나타내고 있다. 도 4a 및 4b는 각각 본 발명의 레이저 재단의 조건인 출력 35% 내지 38%의 파워, 및 재단 속도 25 내지 35mm/s에서의 절단면의 탄화 정도 및 재단 정도(절단 정도)를 나타낸 사진으로 탄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절단 정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레이저재단 조건을 벗어나는 출력 70% 초과의 파워 및 재단 속도 70mm/s 초과에서의 레이저재단 결과는 각각 도 4c 및 도 4d에서 나타내고 있으며, 절단면에서 탄화의 발생 정도가 많고, 또한 재단 정도(절단 정도)가 불량한 것으로 보이고 있다.
또한, 도 4e 및 도 4f는 본 발명의 레이저재단 조건을 벗어나는 출력 30% 미만의 파워 및 재단 속도 20mm/s 미만에서의 레이저재단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절단면에서의 탄화 정도가 심하고, 절단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탄화는 제조 후 완성된 부목은 외관상 깨끗하지 못하게 보이는 원인이 되어 제조된 부목의 상품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재단이 불량하면 공정상 제조 속도에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또한 다음 단계인 (b) 단계의 바이어스 처리단계에서 절단면이 균일하지 못하여 바이어스 처리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 (a-1)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a) 단계 이후 필요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b) 단계의 바이어스 처리단계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1) 단계의 보강재 부착은 (a) 단계의 레이저로 재단된 수지 원단의 부목 성형체 베이스에 부착되는 것이다(도 2 참조).
상기 보강재는 (a) 단계의 수지 원단과 동일한 재료이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재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다른 재료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재료일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단할 수 있다.
상기 (a-1) 단계의 보강재 부착은, 보강재가 (a) 단계의 수지 원단과 동일한 재료인 경우에는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 상기 보강재를 각각 연화한 후 별도의 부착제 없이 상기 보강재를 부목 성형체 베이스에 부착하고, 상기 연화의 방법은 40 내지 85℃의 온수에 침지하거나, 고온의 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부착 위치는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장하지의 경우는 발뒤꿈치 부분이 강도가 필요한 경우에 발뒤꿈치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보강재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다른 재료인 경우는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는 40 내지 85℃의 온수 또는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연화하고,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다른 재료는 상기의 온도에서 연화하거나,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강재를 부목 성형체 베이스에 부착한다. 상기 다른 재료는 그 연화점이 100℃ 이하인 것 일 수 있다.
상기 연화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 상기 보강재의 부착 시, 부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착 시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재는 부목 강도의 강화, 부목 착용 후의 편리성 및 외관상 등을 위한 것이다. 특히 부목 강도의 강화는 골절 후 빠른 완치를 위하여 환부 부위 움직임의 최소화를 위한 것으로서, 환부 부위를 일정한 강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움직임에 의한 하중이 주어지는 부분의 부목 강도를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목 강도의 강화는 전체적인 부목의 하중은 크게 늘리지 않으면서도 부목의 강도가 훨씬 향상되어 환부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는 효과 및 부목 착용 후 완치까지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잘 견딤으로써 부목이 환부에 잘 부착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까지 나타낸다. 또한, 보강재의 부착으로 부목의 강도는 증가되나, 부목 착용 시에도 외관상 크게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b)의 바이어스 처리단계는, (a) 레이저로 재단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 또는 (a-1) 단계에 의하여 제조된 보강재가 부착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윤곽면을 바이어스로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b) 단계의 바이어스는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바이어스는 상기 (a) 단계의 수지 원단과 같은 계열의 재료로부터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바이어스 재료는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윤곽면의 바이어스 처리는 수동방법 또는 자동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동방법은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 및 바이어스 재료를 각각 연화한 후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윤곽면에 바이어스 재료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연화 온도는 40 내지 85℃가 적정하고, 상기 연화 방법은 열 수조에 침지하거나, 핫건(Hot gun), 열 가온기 등을 이용하는 고온의 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자동방법은 기계적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재봉틀을 이용하여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윤곽면을 바이어스 처리하는 방법이다. 이 자동방법은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 및 바이어스 재료의 연화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공정이 편리하여 공정상 경제적 이익의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자동방법에 의한 바이어스 처리 시, 재봉틀은 바늘 굵기 100/16 내지 300/29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120/19 내지 300/29를 사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20 내지 200/25를 사용한다. 상기 바늘 굵기를 벗어나는 경우 박음질이 안되거나, 박음질에 의한 고정이 약해 바이어스가 잘 부착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도 5a 및 5b 참조).
상기와 같은 (b) 단계의 (a) 단계의 레이저 재단에 의한 부목 성형체 베이스 또는 (a-1) 단계에 의하여 제조된 보강재 부착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윤곽면이 바이어스로 처리됨으로써 상기 (a) 단계의 부목 성형체 베이스 또는 (a-1) 단계의 보강재 부착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윤곽이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b) 단계의 바이어스에 의하여 그 형태가 고정되는 상기 (a) 또는 (a-1) 단계의 부목 성형체 베이스는, (b) 단계 이후 진행되는 (c) 및 (d) 단계의 부목 성형 시, 부목이 바이어스 처리되지 않은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 달리 환부 신체 부위 모양의 성형틀 형상으로 성형이 잘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우수한 성형성은 부목의 규격화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바이어스 처리에 의한 효과를 도 6a 내지 6c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b) 단계에 의한 바이어스 처리 후 성형 제조된 부목의 사진, 및 종래기술의 성형 후 바이어스 공정으로 제조한 부목의 사진이다.
상기 도 6a는 본 발명의 (b) 단계에 의한 바이어스 처리 후 성형된 부목을 나타낸 사진으로 부목의 정형 형태가 우수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b) 단계를 거치지 않는 종래기술에서는 도 6c의 부목 제조를 위하여는 도 6b와 같이 가 부목의 형태로 성형한 후, 상기 가 부목에 바이어스를 처리하여 부목을 제조하며, 이러한 종래기술로 제조된 도 6c의 부목은 본 발명에 의한 도 6a의 부목에 비하여 부목의 형태가 어긋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b) 단계를 포함하는 부목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부목의 모양 및 규격이 정형화된 부목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모양 및 규격이 정형화된 부목은 사용에 용이성이 우수하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바이어스 처리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부목 성형재’)를 연화하는 단계이고, 상기 연화 방법은 열 수조에 침지하거나, 고온의 공기, 또는 가열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화 온도는 40 내지 85℃이다. 바람직한 연화의 방법은 열 수조에 침지하거나, 핫 건(Hot Gun), 또는 열 가온기 등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 수조에 침지로 이루어지는 연화 방법은 40 내지 85℃의 온수에 수차례 반복하여 침지시키되, 침지 후 약 0.5 내지 3분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침지의 횟수는 연화 정도의 필요에 따라 결정되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회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의 연화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d) 상기 연화된 부목 성형재를 각 부목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연화된 부목 성형재를 골절이 발생한 환부 신체 부위의 모양으로 성형하여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목을 제조하는 것이다(도 1 참조).
상기 (c) 단계의 연화 및 (d) 단계의 부목의 성형은 각각의 단계로 구별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단계에서 연화 후 성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은 또한, 상기 (d) 단계 후 (e) 벨크로 테이프와 쿠션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부목을 환부 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위한 것으로, 부목의 외측면에 고리 형태의 고정고리를 부착시켜 밸크로 테이프를 부목에 고정하거나,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에 부착한다.
또한, 상기 쿠션 패드는 부목을 환부에 시술 시, 부목에 의하여 환부에 가해지는 압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목의 환부 위치 등 필요한 부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상기 벨크로 테이프와 쿠션 패드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부목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은 환부에 따른 부목의 형태, 크기, 강도 등과 같은 규격화로 환부에 적정하면서도 꼭 맞는 구조의 부목을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부목의 단가를 낮추어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a) 다양한 크기의 설계된 열가소성 수지 원단을 레이저로 절단하여 부목 성형체 베이스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윤곽면을 바이어스로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바이어스 처리된 부목 성형체 베이스(‘부목 성형재’)를 연화하는 단계;
    (d) 상기 연화된 부목 성형재를 환부에 따른 각 부목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단계 이후 (b) 단계가 이루어지고, 이후 (c) 및 (d)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레이저는 출력 150W의 CO2 레이저이며, 수지 원단의 절단은 CO2 레이저 전체 출력의 30 내지 70%의 파워 및 20 내지 70mm/s의 재단 속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지 원단의 절단은 CO2 레이저 전체 출력의 30 내지 45%의 파워 및 20 내지 40mm/s의 재단 속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지 원단의 절단은 CO2 레이저 전체 출력의 35 내지 38%의 파워 및 25 내지 35mm/s의 재단 속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바이어스 처리는 수동방법 또는 자동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동방법은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 및 상기 바이어스를 각각 40 내지 85℃로 연화하는 단계 후, 부목 성형체 베이스의 윤곽면에 바이어스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동방법은 기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연화 단계 없이 부목 성형체 베이스에 직접 바이어스를 부착하는 하나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방법은 재봉틀을 이용하는 것이며, 재봉틀의 바늘 크기는 100/16 내지 300/2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동방법의 연화는 온수, 핫 건, 또는 열 가온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연화온도는 40 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연화는 온수, 핫 건, 또는 열 가온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1)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e) 벨크로 테이프와 쿠션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a-1) 단계는 상기 (a) 단계 후 (b) 단계 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의 보강재는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 동일하거나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다른 재료일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재료는 그 연화점이 100℃ 이하인 것이고
    상기 보강재가 동일한 재료인 경우에는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와 상기 보강재를 각각 연화한 후 별도의 부착제 없이 상기 보강재를 부목 성형체 베이스에 부착하며, 상기 연화의 방법은 40 내지 85℃의 온수에 침지하거나,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고,
    상기 보강재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다른 재료인 경우는 상기 부목 성형체 베이스는 40 내지 85℃의 온수 또는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연화하고,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다른 재료는 상기의 연화 온도에서 연화한 후 서로 부착하거나,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강재를 부목 성형체 베이스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부목
  13. 청구항 10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부목
  14. 청구항 11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부목
KR1020210075972A 2021-06-11 2021-06-11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 KR10250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72A KR102506802B1 (ko) 2021-06-11 2021-06-11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72A KR102506802B1 (ko) 2021-06-11 2021-06-11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90A KR20220166990A (ko) 2022-12-20
KR102506802B1 true KR102506802B1 (ko) 2023-03-07

Family

ID=8453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972A KR102506802B1 (ko) 2021-06-11 2021-06-11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8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654B1 (ko) 2017-05-22 2020-01-30 (주)플로이드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7196A1 (de) 2007-04-12 2008-10-16 Karl Otto Braun Gmbh & Co. Kg System zur Herstellung eines orthopädischen Splints aus einem Castmaterial mit wenigstens einem als Flachmaterialbahn vorliegenden thermoplastischen Castmaterial
KR20150003413U (ko) * 2014-03-06 2015-09-16 정국현 환자용 통풍 쿠션장치
KR101768490B1 (ko) * 2015-08-07 2017-08-30 엄장환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71126A1 (ko) * 2016-03-31 2017-10-05 주식회사 이엠텍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654B1 (ko) 2017-05-22 2020-01-30 (주)플로이드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90A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92827B (zh) 具有优异的可变形性和刚性的热塑性模型及其生产方法
US11285033B2 (en) Breathable and customized cast for immobilization of fractured limb
WO2005052235A1 (en) A soft, cushioning ans stiffening spacer fabric
JP6416386B2 (ja) 優れた変形性と剛性とを有する熱可塑性ギプ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67743B1 (en) Anatomically shaped medical bandages
CN104739558B (zh) 矫形外科产品及其制造方法
JP3370709B2 (ja) 腰痛帯
KR101768490B1 (ko)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이의 제조방법
US6585671B2 (en) Hybrid-mesh cast sleeve and method
JP2004533286A (ja) エッジがシールされた整形外科用ギブス包帯技術
KR20110052009A (ko) 탄력성 및 통풍성이 개선된 의료용 압박붕대
JP2005523768A (ja) 硬化性整形外科用支持具
KR102506802B1 (ko) 신규한 부목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부목
JP3051373U (ja) 硬直包帯
JP2018519856A (ja) 熱可塑性樹脂生地を用いた副木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39983A1 (en) Thermoplastic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Orthopaedic Devices and Orthopaedic Devices Produced Therefrom
KR101903132B1 (ko) 의료용 부목
KR101918071B1 (ko) 의료용 부목 및 그 제조방법
KR102070654B1 (ko)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26858A (ko)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 기반의 의료용 부목
KR200326641Y1 (ko) 의료용 부목
KR101649474B1 (ko) 의료용 부목
US20050228324A1 (en) Machine and process for lining and/or cushioning orthopedic casts and other orthopedic devices
JP3228294U (ja) 肢体固定装置
TWI655941B (zh) 副木及其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