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032B1 - Intraoral sensor holding assembly and intraoral sensor holder used therefor - Google Patents

Intraoral sensor holding assembly and intraoral sensor holder use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032B1
KR102503032B1 KR1020210102750A KR20210102750A KR102503032B1 KR 102503032 B1 KR102503032 B1 KR 102503032B1 KR 1020210102750 A KR1020210102750 A KR 1020210102750A KR 20210102750 A KR20210102750 A KR 20210102750A KR 102503032 B1 KR102503032 B1 KR 10250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sensor
support
sensing unit
light sensing
hold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0854A (en
Inventor
이동열
이인재
이두용
김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to KR1020210102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032B1/en
Priority to CN202180002572.1A priority patent/CN115942906A/en
Priority to PCT/KR2021/011254 priority patent/WO2023013807A1/en
Publication of KR2023002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8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5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61B6/145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by intraor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5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detecto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1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서포트를 구비하는 홀더; 및 구강촬영 센서의 광감지부를 감싸서 상기 광감지부를 구속하는 구속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외피는, 삽입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삽입 슬롯을 통해 상기 구속 외피와 상기 광감지부 사이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구속 외피 및 상기 광감지부와 결합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holder having a shaft and a support coupled to the shaft; and a constraining shell surrounding the light-sensing unit of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and constraining the light-sensing unit, wherein the restraining shell has an insertion slot, and the support is provided between the restraining shell and the light-sensing unit through the insertion slot. By being inserted into, it provides an oral cavity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nd an oral cavity imaging sensor holder used therein, coupled to the restraining shell and the light-sensing unit.

Description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INTRAORAL SENSOR HOLDING ASSEMBLY AND INTRAORAL SENSOR HOLDER USED THEREFOR}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nd intraoral imaging sensor hold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nd a holder for an intraoral imaging sensor used therein.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시 구강 구조물에 대한 방사선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구강촬영 센서(Intraoral sensor)가 사용된다. 구강촬영 센서는 외부의 광 조사장치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구강촬영 센서는 촬영 대상이되는 구강 구조물(예를 들어, 치아와 치조골)을 투과한 방사선을 수신하여, 그에 대한 투영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이다. In general, an intraoral sensor is used to take radiographs of an oral structure during dental treatment.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receives radiation radiated from an external light irradiator. Specifically,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is an image sensor that receives radiation transmitted through an oral structure (eg, teeth and alveolar bone) to be imaged, and outputs projection data of the radiation as an electrical signal.

구강촬영 센서는, 광 조사장치가 출력하는 방사선의 진행 경로에 대응하도록, 환자의 입 안에서 정위치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의료진이 구강촬영 센서를 손으로 잡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은 의료진의 손이 광 조사장치에서 출력된 광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의료진의 손을 구강촬영 센서와 멀리 떨어지게 하기 위하여, 구강촬영 센서가 거치되는 홀더가 이용되고 있다.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must be maintained in a correct position in the patient's mouth so as to correspond to the travel path of the radiation output from the light irradiation device. To this end, medical staff sometimes hold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with their hands.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hand of the medical staff is exposed to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irradiation device. In order to keep a medical staff's hand away from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a holder on which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is mounted is used.

홀더의 일 부분은 의료진이 손에 쥐는 부분으로서 환자의 입 밖에 위치하는 반면에, 타 부분은 구강촬영 센서와 함께 환자의 입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구강촬영 센서가 치아의 뿌리 부분까지 촬영 영역을 넓히기 위해서, 의료진은 홀더를 치아 뿌리를 향해 깊숙히 밀어 넣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홀더와 구강촬영 센서의 결합 구조에 의해, 홀더가 치아나 잇몸과 충돌하면서 환자는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While one part of the holder is located outside the patient's mouth as a part to be held by the medical staff, the other part must be put into the patient's mouth together with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In order for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to expand the imaging area to the root of the tooth, the medical staff must push the holder deeply toward the root of the tooth. In the process, the patient often feels uncomfortable while the holder collides with the teeth or gums due to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holder and the oral imaging sensor.

나아가, 구강촬영 센서를 홀더에 결합시키는 과정도 간단하지는 않다. 적어도 복수 회의 결합 과정이 요구된다. 이는 구강촬영 센서를 홀더에 결합하는 과정을 번거롭게 한다.Furthermore, the process of coupling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to the holder is not simple either. At least a plurality of bonding processes are required. This makes the process of coupling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to the holder cumbersom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구강촬영 센서가 입 안에서 치아 방향으로 깊숙히 배치되어 방사선 촬영 영역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로 인하여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that can maximize the radiographic area by disposing the oral imaging sensor deep in the tooth direction in the mouth, thereby minimizing the discomfort felt by the patient, and its use It is to provide a holder for an intraoral imaging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구강촬영 센서와의 결합 시에 한 번의 동작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cavity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nd a holder for an oral cavity imaging sensor used therein so that the coupling is performed in one operation when coupled with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서포트를 구비하는 홀더; 및 구강촬영 센서의 광감지부를 감싸서 상기 광감지부를 구속하는 구속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외피는, 삽입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삽입 슬롯을 통해 상기 구속 외피와 상기 광감지부 사이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구속 외피 및 상기 광감지부와 결합될 수 있다. An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lder having a shaft and a support coupled to the shaft; and a constraining shell surrounding the light-sensing unit of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and constraining the light-sensing unit, wherein the restraining shell has an insertion slot, and the support is provided between the restraining shell and the light-sensing unit through the insertion slot. By being inserted into, it can be combined with the constraining shell and the light sensing unit.

여기서, 상기 샤프트 중 상기 서포트가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구속 외피는, 동일 평면에서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is connected among the shafts and the restraining sheath may be disposed in parallel on the same plane.

여기서, 상기 삽입 슬롯은, 상기 구속 외피의 측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Here, the insertion slot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straining shell.

여기서, 상기 구속 외피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에서 연장하고, 상기 삽입 슬롯이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광감지부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수평부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가 상기 삽입 슬롯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광감지부와 상기 서포트를 탄성적으로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restraining shell,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in which the insertion slot is formed;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having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light sensing unit is allowed to enter,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based on the vertical portion, and as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The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may be formed to elastically press the light sensing portion and the support.

여기서, 상기 서포트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support may have a plate shape.

여기서, 상기 샤프트는, 손잡이부; 및 상기 서포트가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 중 상기 서포트에 연결된 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절곡된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Here, the shaft, the handle portion; and a head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is connected, wherein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among the head portions may be arranged to extend along a direction bent with respect to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광감지부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거치하는 마운팅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Here, a mounting unit coupled between the handle part and the head part and holding a cable connected to the light sensing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끼워지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에서 상기 샤프트의 측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bracket portion fitt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racket portion to a side of the shaft and fixing the cab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서포트를 구비하는 홀더; 및 구강촬영 센서의 광감지부를 감싸서 상기 광감지부를 구속하는 구속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외피는, 상기 서포트의 진입을 허용하는 사이즈를 갖는 삽입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삽입 슬롯을 통해 상기 구속 외피와 상기 광감지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구속 외피 및 상기 광감지부와 결합될 수 있다. An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having a shaft having a handle and a head extending in a direction bent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and a support coupled to the shaft; and a constraining sheath which surrounds the light sensing unit of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and constrains the light sensing unit, wherein the constraining sheath has an insertion slot having a size allowing the support to enter, and the support comprises the insertion slot It may be inserted between the restraining shell and the light sensing unit through and coupled to the restraining shell and the light sensing unit.

여기서, 상기 구속 외피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에서 연장하고, 상기 삽입 슬롯이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광감지부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수평부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가 상기 삽입 슬롯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광감지부와 상기 서포트를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restraining shell,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in which the insertion slot is formed;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having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light sensing unit is allowed to enter,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based on the vertical portion, and as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A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may be formed to press the light sensing portion and the support.

여기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헤드부에서 그의 연장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may include a plate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head portion with respect to an extension direction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는, 구강촬영 센서의 광감지부를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광감지부에 대응하는 감지 영역을 구비하는 서포트; 및 상기 감지 영역이 이루는 제1 평면에서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해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하며 상기 제1 평면과 교차하는 제2 평면에 배치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가 상기 광감지부를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감지 영역 및 상기 광감지부의 중심축을 따라 투영된 투영 영역의 밖에 위치할 수 있다. A holder for oral cavity imaging sens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having a sens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light sensing unit when supporting the light sensing unit of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and a head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sensing area in a first plane formed by the sensing area and hav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disposed on a second plane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intersecting the first plane. and a shaft having a handle portion, and when the support supports the light sensing unit,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sensing area and a projection area projected along a central axis of the light sensing unit.

여기서,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광감지부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거치하는 마운팅 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둔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Here, a mounting unit coupled to the shaft and mounting a cable connected to the light sensing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first plane and the second plane may be arranged to form an obtuse ang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에 의하면, 서포트는 샤프트의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속 외피의 삽입 슬롯에 삽입됨으로써, 구속 외피에 구속된 구강촬영 센서의 광감지부가 홀더에 결합되게 하여, 구강촬영 센서가 입 안에서 치아 방향으로 깊숙히 배치되어 방사선 촬영 영역이 극대화될 수 있으면서도, 그로 인하여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holder used therein, the support extends to the side of the shaft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of the restraining shell, thereby constraining the oral cavity to the restraining shell. By coupling the photo-sensing unit of the imaging sensor to the holder,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is disposed deep in the mouth in the direction of the teeth, thereby maximizing the radiography area and minimizing discomfort felt by the patient.

또한, 광감지부에 구속 외피가 씌워진 상태에서는, 의료진은 서포트를 구속 외피에 끼워넣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구강촬영 센서를 홀더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light sensing unit is covered with the restraining shell, the medical staff can couple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to the holder with only one operation of inserting the support into the restraining she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에 구강촬영 센서(IS)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및 구강촬영 센서(IS)의 결합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강촬영 센서(IS)의 광감지부(LR)와 홀더(200)의 연결부(217)의 관계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환자의 구강 내에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 및 구강촬영 센서(IS)가 투입된 상태에 대한 개념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ral imaging sensor IS is coupled to an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ed state of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and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IS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1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detection unit LR of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IS of FIG. 1 and the connection unit 217 of the holder 200. Referring to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and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IS ar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n oral cavity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nd an oral cavity imaging sensor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에 구강촬영 센서(IS)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결합 사시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ral imaging sensor IS is coupled to an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는 구강촬영 센서(IS)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구강촬영 센서(IS)는 광 조사장치(미도시)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을 감지하는 광감지부(LR)와, 광감지부(LR)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C)을 가진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is for holding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IS. Here,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IS includes a light detecting unit LR for detecting radiation emitted from a light irradiation device (not shown), and a cable C for transmitting data acquired from the light detecting unit LR to the outside. ) has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는, 홀더(200)와 구속 외피(300)로 구분될 수 있다. The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may be divided into a holder 200 and a restraining shell 300.

홀더(200)는 의료진이 손에 쥘 수 있도록 길쭉한 형태로 형성된다. 홀더(200)의 일 단부에는 구속 외피(300)가 결합된다. The holder 200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so that the medical staff can hold it in their hands. A restraining sheath 3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older 200 .

구속 외피(300)는 광감지부(LR)를 감싸서 구속하는 것이다. 구속 외피(300)는 광감지부(LR)를 수용하기 위해 속이 빈 중공체이다. The restraining shell 300 surrounds and restrains the light sensing unit LR. The constraining shell 300 is a hollow body for accommodating the light sensing unit LR.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의 구체적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of FIG. 1 .

본 도면을 참조하면, 홀더(200)는 샤프트(210)와 서포트(230), 그리고 마운팅 유닛(250)을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holder 200 may include a shaft 210, a support 230, and a mounting unit 250.

샤프트(210)는 손잡이부(211)와 헤드부(215)로 구분될 수 있다. 손잡이부(211)와 헤드부(215)는 각기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고, 서로 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11)는 의료진이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대체로 원형 단면을 가진 봉일 수 있다. 헤드부(215)는 대체로 손잡이부(21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헤드부(215) 중 자유단 부분은 서포트(230)가 연결되기에 연결부(217)라 칭해진다. 또한, 연결부(217)는 손잡이부(21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절곡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것일 수 있다. The shaft 210 may be divided into a handle part 211 and a head part 215. The handle portion 211 and the head portion 215 are each made of separate members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handle part 211 is a part that a medical staff holds by hand, and may be a rod having a generally circular cross section. The head portion 215 may generally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handle portion 211 . The free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215 is called a connection portion 217 because the support 230 is connected thereto.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217 may extend along a direction bent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11 .

서포트(230)는 광감지부(LR)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서포트(230)는 구속 외피(300)를 통해 광감지부(LR)와 결합된다. 이러한 서포트(230)는 결합부(231)와 지지 플레이트(235)를 갖는데, 지지 플레이트(235)는 샤프트(210), 구체적으로 연결부(217)의 연장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연결부(217)와 지지 플레이트(235)는 서로 병렬적으로 배열되기에,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지지 플레이트(235)는 광감지부(LR)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231)는 연결부(217)가 끼움 고정되는 관체 형상을 갖는 부분일 수 있다. The support 230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light sensing unit LR. The support 230 is coupled to the light sensing unit LR through the restraining shell 300 . This support 230 has a coupling portion 231 and a support plate 235, the support plate 235 may be arranged to extend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haft 210,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ortion 217 . Thereby, since the connection part 217 and the support plate 235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The support plate 235 may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ight sensing unit LR. The coupling part 231 may be a part having a tubular shape into which the connection part 217 is fitted and fixed.

마운팅 유닛(250)은 케이블(C)을 거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마운팅 유닛(250)은 손잡이부(211)와 헤드부(215)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운팅 유닛(250)은 브라켓부(251)와 고정부(255)를 가질 수 있다. 브라켓부(251)는 손잡이부(211)와 헤드부(215)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255)는 브라켓부(251)에서 샤프트(210)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고정부(255)는 형태상으로 포크와 같이 형성되어, 케이블(C)을 끼움 고정할 수 있다. The mounting unit 250 is a component for mounting the cable (C). The mounting unit 250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part 211 and the head part 215 . Specifically, the mounting unit 250 may have a bracket part 251 and a fixing part 255 . The bracket portion 251 may be fitt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211 and the head portion 215 . The fixing part 255 may extend from the bracket part 251 to the side of the shaft 210 . The fixing part 255 is formed like a fork in shape, and can fit and fix the cable (C).

구속 외피(300)는 광감지부(LR)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속 외피(300)는, 제1 수평부(310), 수직부(330), 그리고 제2 수평부(350)를 가질 수 있다. The constraining shell 30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ight sensing unit LR. Specifically, the restraining shell 300 may have a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 a vertical portion 330 ,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350 .

제1 수평부(310)는 구속 외피(3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부(330)는 제1 수평부(310)의 모서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이다. 수직부(330)에는 삽입 슬롯(340)이 관통 개구될 수 있다. 제2 수평부(350)는 수직부(330)를 기준으로 제1 수평부(310)의 반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2 수평부(350)는 중앙에 광감지부(LR)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구(360)가 개방 형성된 것이다.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training shell 300 . The vertical portion 330 is a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rner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 An insertion slot 340 may be opened through the vertical portion 330 .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50 is a portion positioned opposite to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rtion 330 .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50 is formed with an open entrance 360 allowing the light sensing unit LR to enter in the center.

서포트(230)와 구속 외피(300) 및 광감지부(LR) 간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230, the constraining shell 300, and the light sensing unit L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먼저, 도 3은 도 1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및 구강촬영 센서(IS)의 결합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Firs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ed state of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and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IS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1 .

본 도면을 참조하면, 서포트(230), 특히 지지 플레이트(235)는 수직부(330)의 측방에서 삽입 슬롯(340)을 통해 구속 외피(300) 내로 삽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삽입 슬롯(340)은 한 쌍의 수직부(330) 각각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35)는 연결부(217)의 일측뿐 아니라 타측으로 도출하더라도, 그에 대응하는 삽입 슬롯(34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지지 플레이트(235)가 구강 내로 투입될 때, 좌측 치아와 우측 치아를 촬영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져야 하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support 230, in particular, the support plate 235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shell 300 through the insertion slot 340 from the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330. Here, the insertion slot 34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330 . Accordingly, the support plate 235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340 corresponding thereto, even if it is led to the other side as well as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217 . This makes it possible to respond simply when the support plate 235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even when the direction needs to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left tooth and the right tooth are photographed.

광감지부(LR)가 구속 외피(300)에 이미 삽입된 상태였다면, 의료진은 서포트(230)를 구속 외피(300) 내로 삽입하는 하나의 동작만으로도 홀더(200)와 구강촬영 센서(IS) 간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If the light detecting unit (LR) has already been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shell 300, the medical staff can move the support 230 into the restraining shell 300 with just one operation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holder 200 and the oral imaging sensor IS. bonding can be achieved.

구속 외피(300)가 탄성 소재로 제작된 경우에, 위의 결합 상태에서 제1 수평부(310)와 제2 수평부(350)는 광감지부(LR)와 서포트(230)를 탄성적으로 압박하게 된다. When the restraining shell 30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310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350 elastically support the light sensing unit LR and the support 230 in the above coupled state. put pressure on

다음으로, 도 4는 도 1의 구강촬영 센서(IS)의 광감지부(LR)와 홀더(200)의 연결부(217)의 관계를 보인 개념도이다.Next,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detection unit LR of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IS of FIG. 1 and the connection unit 217 of the holder 200. Referring to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부(215) 중 연결부(217)와 구속 외피(300)의 일 단면 그리고 서포트(230)는 동일한 평면(P)(제1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217)와 구속 외피(300)는 해당 평면에서 병렬적으로 배치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connection portion 217 of the head portion 215 and one end surface of the restraining sheath 300 and the support 230 may be placed on the same plane P (first plane). In this case, the connecting portion 217 and the restraining shell 300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corresponding plane.

구체적으로, 연결부(217)는 광감지부(LR)가 해당 평면(P)에서 차지하는 영역(감지 영역) 밖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달리, 서포트(230)는 감지 영역의 평행한 영역, 즉 광감지부(LR)의 중심축을 따라 감지 영역이 투영된 영역(투영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연결부(217)는 감지 영역 뿐 아니라, 투영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P')에 서도 그의 밖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서포트(230), 구체적으로 지지 플레이트(235, 도 3 참조)가 연결부(217)와 중첩되지 않고 그의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설계 원리에 따른 것이다.
또한, 제1 평면(P)은 손잡이부(211)가 배치되는 제2 평면(P")과는 교차 관계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이들 평면들(P 및 P")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도 1 추가 참조).
Specifically, the connection unit 217 is located outside the area (sensing area) occupied by the light sensing unit LR in the corresponding plane P. Unlike this, the support 230 is located in an area parallel to the sensing area, that is, an area (projection area) where the sensing area is project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 sensing unit LR. The connecting portion 217 is located outside the sensing area as well as the plane P′ where the projection area is located. This is according to the design principle in which the support 230, specifically, the support plate 235 (see FIG. 3) does not overlap with the connecting portion 217 but extends to its side.
In addition, the first plane P forms an intersecting relationship with the second plane P" on which the handle 211 is disposed. Specifically, these planes P and P" may form an obtuse angle ( See also Fig. 1).

이러한 설계 원리에 따른 유용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usefulness of this design princi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환자의 구강 내에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100) 및 구강촬영 센서(IS)가 투입된 상태에 대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100 and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IS ar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의료진은 손잡이부(211)를 손에 쥔 채로, 헤드부(215)를 환자의 입 안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서포트(230) 및 구속 외피(300)를 통해 헤드부(215)에 결합된 광감지부(LR)는 입 안에서 제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medical staff may place the head portion 215 in the patient's mouth while holding the handle portion 211 in their hands. As a result, the light sensing unit LR coupled to the head unit 215 through the support 230 and the restraining shell 300 can be positioned in place in the mouth.

이 과정에서, 연결부(217), 나아가 헤드부(215)[및 손잡이부(211)]는 광감지부(LR)가 차지하는 영역에서 벗어나 위치하게 된다. 이는 연결부(217)의 측방으로 서포트(230)가 연장 형성되어, 서포트(230)는 광감지부(LR)와 중첩되더라도 샤프트(210)는 그러하지 않기 때문이다.In this process, the connection part 217 and further the head part 215 (and the handle part 211) are positioned out of the area occupied by the light sensing unit LR. This is because the support 230 extends to the side of the connection unit 217 and overlaps the light sensing unit LR, but the shaft 210 does not.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연결부(217), 나아가 헤드부(215)가 치아(T)와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광감지부(LR)는 환자의 치아 뿌리를 향한 방향으로 깊숙히 위치할 수 있다. 이는 광감지부(LR)가 치아 뿌리 부분의 이미지까지 획득할 수 있게 한다. 그 과정에서, 헤드부(215)가 치아와 간섭하지 않으니, 환자는 헤드부(215)가 치아나 잇못에 부딪힘에 따른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될 수 있다. Due to this arrangement, within a rang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217 and further the head portion 215 do not interfere with the tooth T, the light sensing unit LR can be deeply loca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patient's tooth root. This enables the light sensing unit LR to obtain an image of the root of the tooth. In the process, since the head part 215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eeth, the patient may not feel discomfort due to the head part 215 bumping into teeth or gums.

상기와 같은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oral cavity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nd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holder used t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operation method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100: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200: 홀더
210: 샤프트 211: 손잡이부
215: 헤드부 230: 서포트
250: 마운팅 유닛 300: 구속 외피
310: 제1 수평부 330: 수직부
350: 제2 수평부
100: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200: holder
210: shaft 211: handle
215: head part 230: support
250: mounting unit 300: restraining sheath
310: first horizontal portion 330: vertical portion
350: second horizontal part

Claims (13)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서포트를 구비하는 홀더; 및
구강촬영 센서의 광감지부를 감싸서 상기 광감지부를 구속하는 구속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외피는,
삽입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삽입 슬롯을 통해 상기 구속 외피와 상기 광감지부 사이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구속 외피 및 상기 광감지부와 결합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A holder having a shaft and a support coupled to the shaft; and
A restraining sheath that surrounds the light-sensing unit of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and restrains the light-sensing unit,
The restraining shell,
an insertion slot;
The support is
By being inserted between the restraining shell and the light sensing unit through the insertion slot, the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coupled to the restraining shell and the light sen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중 상기 서포트가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구속 외피는,
동일 평면에서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to which the support is connected among the shafts and the restraining shell,
Arranged in parallel on the same plane,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슬롯은,
상기 구속 외피의 측면에 형성된 것인,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2,
The insertion slot,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restraining she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외피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에서 연장하고, 상기 삽입 슬롯이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광감지부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수평부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가 상기 삽입 슬롯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광감지부와 상기 서포트를 탄성적으로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restraining shell,
a first horizontal portion;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in which the insertion slot is formed;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having an entrance that allows entry of the light sensing unit and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based on the vertical portion,
As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are formed to elastically press the light sensing portion and the support,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손잡이부; 및
상기 서포트가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 중 상기 서포트에 연결된 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절곡된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shaft,
handle part; and
A head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is connected,
Th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of the head part,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rranged to extend along a direction bent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광감지부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거치하는 마운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5,
The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unit coupl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nd holding a cable connected to the light sens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끼워지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에서 상기 샤프트의 측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6,
The mounting unit,
a bracket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nd
The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including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racket portion to the side of the shaft and fixing the cable.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서포트를 구비하는 홀더; 및
구강촬영 센서의 광감지부를 감싸서 상기 광감지부를 구속하는 구속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외피는,
상기 서포트의 진입을 허용하는 사이즈를 갖는 삽입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삽입 슬롯을 통해 상기 구속 외피와 상기 광감지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구속 외피 및 상기 광감지부와 결합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A holder having a handle portion and a shaft having a head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bent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a support coupled to the shaft; and
A restraining sheath that surrounds the light-sensing unit of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and restrains the light-sensing unit,
The restraining shell,
An insertion slot having a size allowing entry of the support,
The support is
An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inserted between the restraining shell and the light sensing unit through the insertion slot and coupled to the restraining shell and the light sens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외피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에서 연장하고, 상기 삽입 슬롯이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광감지부의 진입을 허용하는 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수평부의 반대에 위치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가 상기 삽입 슬롯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광감지부와 상기 서포트를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8,
The restraining shell,
a first horizontal portion;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in which the insertion slot is formed;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having an entrance that allows entry of the light sensing unit and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based on the vertical portion,
As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are formed to press the light sensing portion and the support,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헤드부에서 그의 연장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8,
The support is
The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comprising a support plate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head portion with respect to its extension direction.
구강촬영 센서의 광감지부를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광감지부에 대응하는 감지 영역을 구비하는 서포트; 및
상기 감지 영역이 이루는 제1 평면에서 상기 감지 영역에 대해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하며 상기 제1 평면과 교차하는 제2 평면에 배치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가 상기 광감지부를 지지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감지 영역 및 상기 광감지부의 중심축을 따라 투영된 투영 영역의 밖에 위치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
a support having a sens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light sensing unit when supporting the light sensing unit of the intraoral imaging sensor; and
A head portion disposed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sensing area in a first plane formed by the sensing area and hav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 second plane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intersecting the first plane. Including a shaft having a handle,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supports the light sensing unit, the connection unit is located outside the sensing area and a projection area project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 sensing unit, the oral imaging sensor hold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광감지부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거치하는 마운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
According to claim 11,
Coupled to the shaft,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unit mounting a cable connected to the light sensing unit, oral imaging sensor hold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은,
둔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plane and the second plane,
A holder for an intraoral imaging sensor, disposed to form an obtuse angle.
KR1020210102750A 2021-08-04 2021-08-04 Intraoral sensor holding assembly and intraoral sensor holder used therefor KR1025030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50A KR102503032B1 (en) 2021-08-04 2021-08-04 Intraoral sensor holding assembly and intraoral sensor holder used therefor
CN202180002572.1A CN115942906A (en) 2021-08-04 2021-08-24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nd holder for oral imaging sensor
PCT/KR2021/011254 WO2023013807A1 (en) 2021-08-04 2021-08-24 Intraoral sensor holding assembly and holder for intraoral sensor us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50A KR102503032B1 (en) 2021-08-04 2021-08-04 Intraoral sensor holding assembly and intraoral sensor holder use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854A KR20230020854A (en) 2023-02-13
KR102503032B1 true KR102503032B1 (en) 2023-02-23

Family

ID=8515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750A KR102503032B1 (en) 2021-08-04 2021-08-04 Intraoral sensor holding assembly and intraoral sensor holder used theref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03032B1 (en)
CN (1) CN115942906A (en)
WO (1) WO202301380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8421B2 (en) 2017-09-19 2021-01-12 Cardiovalve Ltd. Prosthetic heart valve with pou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741Y1 (en) 2005-11-21 2006-02-13 주식회사 예성기업 Digital sensor-holder for acquiring dental X-ray image
JP2010162326A (en) 2008-12-19 2010-07-29 Panasonic Corp Intraoral sensor and handle for intraoral sensor
US20150190103A1 (en) * 2014-01-09 2015-07-09 Anita Tomkoria Sensor holding apparatus for facilitating dental imag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4253B2 (en) * 2004-04-12 2005-12-13 Instrumentarium Corp. Connection between X-ray sensor and holder
KR20200109449A (en) * 2019-03-13 2020-09-23 (주)해우기술 Portable wireless x-ray detector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741Y1 (en) 2005-11-21 2006-02-13 주식회사 예성기업 Digital sensor-holder for acquiring dental X-ray image
JP2010162326A (en) 2008-12-19 2010-07-29 Panasonic Corp Intraoral sensor and handle for intraoral sensor
US20150190103A1 (en) * 2014-01-09 2015-07-09 Anita Tomkoria Sensor holding apparatus for facilitating dental im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3807A1 (en) 2023-02-09
KR20230020854A (en) 2023-02-13
CN115942906A (en)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7537A (en) Device for recording images in the oral cavity especially for dental diagnosis
JP5147977B2 (en) Digital camera, imaging apparatus, and digital imaging method
US4507798A (en) Device for performing X-ray examinations of the teeth
KR102366634B1 (en) Intra-Oral Scanner
EP2807976B1 (en) Hand-held direct digital image sensor device with protective cover
JP2017516619A (en) New dental scanner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use
JP4571697B1 (en) Camera with dedicated sensor holder for mounting a CCD sensor for dental X-ray imaging
KR102503032B1 (en) Intraoral sensor holding assembly and intraoral sensor holder used therefor
US8320525B2 (en) Digital radiography sensors
US8641276B2 (en) Sealed sensor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US7056015B2 (en) Intraoral dental radiology positioning device
BR102012029310B1 (en) intraoral radiological imaging sensor
JP4527200B1 (en) Ear insertion support mechanism and cephalometric radiography apparatus
US7172339B2 (en) Intraoral dental radiology positioning device for use with aiming ring
KR200408741Y1 (en) Digital sensor-holder for acquiring dental X-ray image
US7029176B2 (en) X-ray apparatus for intraoral imaging applications
KR20100055975A (en) Dental x-ray ct photographing apparatus
KR20160126328A (en) Apparatus for Computed Tomography Having Positioning Guide For Intuitive Alignment
US20030185347A1 (en) Intraoral dental radiology positioning device
US6599013B1 (en) Intraoral dental radiology positioning device
US10863964B1 (en) Infrared alignment guide for an X-ray machine
WO2012105159A1 (en) Intraoral imaging system for dentistry
KR200458999Y1 (en) Dental x-ray alignment assembly
CN115175618A (en) Oral imaging sensor storage device and oral imaging sensor assembly with same
JP3004001U (en) Intraoral sensor holder for dental X-ray diagnostic ima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