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730B1 -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730B1
KR102498730B1 KR1020160072550A KR20160072550A KR102498730B1 KR 102498730 B1 KR102498730 B1 KR 102498730B1 KR 1020160072550 A KR1020160072550 A KR 1020160072550A KR 20160072550 A KR20160072550 A KR 20160072550A KR 102498730 B1 KR102498730 B1 KR 10249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evice
user terminal
web
information
web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134A (ko
Inventor
박기철
우홍욱
김명
김용진
김종원
정호용
정훈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277,09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97760B2/en
Priority to PCT/KR2016/010892 priority patent/WO2017069422A1/en
Priority to EP16857680.9A priority patent/EP3314874B1/en
Publication of KR20170048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사용자 단말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웹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며,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외부의 IoT 장치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thereof}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 장치에게 스크립트 정보를 제공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거나 특정 서비스를 할 수 있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IoT 기술은 IoT 장치들이 허브 장치를 통해 웹 서비스를 제공받고, 스마트 기기를 통해 IoT 장치를 제어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현재 IoT 기술에는 IoT 장치와 서비스를 연결하는 기술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IoT 장치들 간의 연동이 안되거나, IoT 장치가 기존의 웹 서비스와 연동이 되지 않으며, 새로운 웹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여러 개의 허브를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IoT 장치가 웹 서버로부터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IoT 장치에게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웹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외부의 IoT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웹 서버로 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웹 서비스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장치가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IoT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URL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IoT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물품 구매 요청을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물품 구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물품 구매 요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의 다른 IoT 장치의 기설정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웹 서버로 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IoT 장치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웹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웹 서비스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할 서비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웹 서버 및 IoT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웹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외부의 IoT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웹 서버로 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웹 서비스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oT 장치가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IoT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URL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IoT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물품 구매 요청을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물품 구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물품 구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의 다른 IoT 장치의 기설정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웹 서버로 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IoT 장치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웹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웹 서비스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할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웹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외부의 IoT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IoT 장치에 제공하고, IoT 장치가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스크립트 정보를 수신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 장치를 통해 원격의 IoT 장치에 다양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4a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 및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 및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폰 북 애플리케이션, 방송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애플리케이션, 의료 기기 제어 어플리케이션, 다수의 의료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웹 서비스"는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수행되는 서비스로서, 제품 구매 서비스, 제품 광고 서비스, IoT 기기 제어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UI(User Interaction) 엘리먼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후각적 등 피드백이 가능한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10',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웹 서버(50)와 IoT 장치(200)가 직접 연결이 가능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내고, 도 1b는, 웹 서버(50)와 IoT 장치(200)가 허브 장치(30)를 통하여 연결이 가능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내고, 도 1c는, 웹 서버(50)와 IoT 장치(200)가 허브 장치(30)의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IoT 장치(300)들을 통하여 연결이 가능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 1a의 IoT 장치(200)는 웹 서버(50) 및 사용자 단말(100)과 원격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구비한 고사양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는, 도 1a의 IoT 장치(200)는 웹 서버(50)와는 원격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100)과는 근거리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 네트워크 통신 모듈 및 로컬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모두 구비한 고사양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1a의 IoT 장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200-1), 스마트 TV(200-2), 프린터(200-3) 등이 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예는 후술될 예정이다.
반면, 도 1b 및 도 1c의 IoT 장치(200)는 로컬 네트워크 통신 모듈만을 구비하거나, 스크립트 정보를 저장하기에는 저장 공간이 적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없는 저사양의 IoT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 및 도 1c의 IoT 장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200-4), 창문(200-5), 전등(200-6), 청소 로봇(200-7)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예는 후술될 예정이다.
도 1a에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웹 서버(50),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IoT 장치(200-1,200-2,200-3)을 포함한다.
이때, 웹 서버(50)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복수의 IoT 장치(200-1,200-2,200-3)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50)는 IoT 장치의 요청에 따라 자체적으로 웹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예를 들어, URL 정보)를 복수의 IoT 장치(200-1,200-2,200-3)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50)가 요청하는 웹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상태를 감지하면, IoT 장치(200)는 특정 상태에 대응되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웹 서버(5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200)가 냉장고인 경우, 냉장고에 물이 없는 상태를 감지하면, IoT 장치(200)는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버(50)에게 물을 주문하는 제품 주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버(50)는 바로 제품 주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나, 사용자 확인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로 제품 주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0)는 다양한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스마트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200)는 가정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센서는 움직임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에서 허브 장치(30)를 더 포함하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IoT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원격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고사양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로컬 네트워크 연결만을 지원하는 저사양의 IoT 장치(200)가 존재하는 경우,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장치(30)를 이용하여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브 장치(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30)는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버(50)로부터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30)는 IoT 장치(20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장치의 상태가 특정 상태로 감지된 경우, 허브 장치(30)는 특정 상태에 대응되는 웹 서비스를 웹 서버(50)로 요청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허브 장치(30)는 홈 게이트웨이, 홈 서버와 같은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c는 도 1b의 허브 장치(30)의 역할을 사용자 단말(100) 및 웹 서버(50)와 통신이 가능한 고사양의 IoT 장치(300)가 수행하는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 c에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고사양의 IoT 장치(300)를 이용하여 저사항의 IoT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사양의 IoT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고사양의 IoT 장치(300)는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버(50)로부터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고사양의 IoT 장치(300)는 저사양의 IoT 장치(20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고사양의 IoT 장치(300)는 저사양의 IoT 장치(200) 자신이 감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저사양의 IoT 장치(200)가 특정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 고사양의 IoT 장치(300)는 특정 상태에 대응하는 웹 서비스를 웹 서버(50)로 요청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저사양의 IoT 장치(200)는 수신된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저사양의 IoT 장치(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고사양의 IoT 장치(300)가 허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고사양의 IoT 장치(300)에 미리 등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고사양의 IoT 장치(300)에 등록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14 및 도 15에서 상세히 후술될 예정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80), 프로세서(19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의 웹 서버(50) 또는 IoT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10)는 IoT 장치(100)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스크립트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넷 주소 정보(예를 들어, URL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8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180)는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웹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비스에는 물품 구매 서비스, 물품 광고 서비스, IoT 장치 제어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사용자 단말(19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웹 서버(50)에 접속하며, 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0)는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90)는 선택된 웹 서비스를 IoT 장치(200)로 전송할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90)는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예를 들어, URL 정보)를 외부의 IoT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는 전송된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가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상태를 감지하여 웹 서버(50)로 웹 서비스를 요청하면, 프로세서(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웹 서버(50)로부터 웹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90)는 요청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웹 서비스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가 물품 구매 서비스인 경우, 프로세서(190)는 요청에 응답하여 물품 구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구매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200)가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상태를 감지하면, 프로세서(190)는 IoT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며, 수신된 URL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200)가 냉장고인 경우, IoT 장치(200)가 물이 없는 것을 감지하면, 프로세서(190)는 IoT 장치(200)로부터 물을 사기 위한 웹 사이트에 대한 URL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며, 수신된 URL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200)에 구비된 버튼이 선택되면, IoT 장치(200)는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버튼에 대응되는 물품 구매 요청을 웹 서버(50)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90)는 웹 서버(50) 또는 IoT 장치(200)로부터 물품 구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며, 수신된 물품 구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위에 IoT 장치(200)가 감지되면, 프로세서(190)는 감지된 IoT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영상 획득부(120), 영상 처리부(130), 디스플레이(140), 메모리(150), 오디오 처리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입력부(180) 및 프로세서(19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전술된 블록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의 종류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목적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의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1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외부의 웹 서버(50) 또는 각종 IoT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각각은 WiFi 방식, Bluetooth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4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두 개 이상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2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20)는 외부 서버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영상 획득부(120)는 외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 영상 획득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획득부(120)는 영상이 투과되는 렌즈(미도시) 및 렌즈를 통해 투과된 영상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이미지)는 CCD이미지 센서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20)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13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30)는 영상 획득부(12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13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30)에서 처리한 동영상 프레임 또는 그래픽 처리부(19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등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복수의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픽셀들의 가로 개수 X 세로 개수는 해상도(resolution)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320×320 해상도, 360×480 해상도, 720×1280 해상도, 1280×800 해상도 또는 3940×2160 해상도 등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1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하여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펜 터치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150)는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또한, 메모리(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9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9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50), 프로세서(190) 내 롬(192), 램(191)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에는 디스플레이부(14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5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사용자 단말(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술한 사용자 단말(100)이 태블릿 PC로 구현된 경우, 베이스 모듈에는 GPS 기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센싱 모듈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영상 콘텐트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17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7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8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 특히, 입력부(180)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전자 기기(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8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동영상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펜 감지 센서 그리고 타이머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전자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80)는 키패드, 버튼, 마우스, 키보드, 포인팅 장치와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또는, 프로세서)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RAM(191), ROM(192), 그래픽 처리부(193), 메인 CPU(1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 195-n), 버스(19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191), ROM(192), 그래픽 처리부(193), 메인 CPU(1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 195-n) 등은 버스(1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191)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가 부팅되면 O/S가 RAM(191)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191)에 저장될 수 있다.
ROM(1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94)는 ROM(1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O/S를 RAM(1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94)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91)에 복사하고, RAM(1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감지부(1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4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194)는 메모리(15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94)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트,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내지 1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내지 195-n)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90)는 ARM 프로세서, 퀄컴 스냅 드래곤TM, 삼성 엑시노스T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0)가 웹 서버(50)에게 웹 서비스를 요청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 IoT 장치(200)는 냉장고일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은 IoT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와 이전에 페어링이 수행되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페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50)에 접속한다. 이때, 웹 서버(50)는 물품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웹 서버(50)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리스트(4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410)에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주문하고자 하는 품목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아이템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과 우유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서 물 자동 주문 서비스, 우유 자동 주문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50)로부터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기 저장된 주소 정보를 통해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따라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IoT 장치(200)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자동 주문 서비스 또는 우유 자동 주문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IoT 장치로서 냉장고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가 토너 자동 주문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IoT 장치로서 프린터를 판단할 수 있다. 웹 서비스가 세제 자동 주문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IoT 장치로서 세탁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IoT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IoT 장치(200)는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받기 위한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립트 정보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립트 정보에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 조건에 대응되는 액션 정보, 사용자 로그인 정보, 사용자 권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가 물 자동 주문 서비스인 경우, 스크립트 정보에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 정보인 "냉장고에 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에 대한 정보와 조건에 대응되는 액션 정보인 "물 자동 주문 명령 및 물 자동 주문을 위한 URL"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는 웹 서버(50)가 아닌 다른 서버를 통해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립트 정보는 웹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자바스크립트 등으로 작성된 어플리케이션) 형태이거나 룰 셋(Rule set) 정의 파일(특정 값이 센싱되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정보, xml 등으로 작성)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IoT 장치(200)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IoT 장치(200)의 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IoT 장치(200)가 냉장고이고, 웹 서비스가 물 자동 주문 서비스, 우유 자동 주문 서비스인 경우, IoT 장치(200)는 카메라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냉장고에 물과 우유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장치(200)가 특정 상태(예를 들어, 냉장고에 물이 없는 상태)가 감지되면, IoT 장치(200)는 스크립트 정보를 로딩하여 웹 서버(50)로 웹 서비스(예를 들어, 물 자동 주문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때, 웹 서버(50)는 웹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바로 웹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웹 서버(50)는 사용자 단말(100)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물 자동 주문 요청이 수신되면, 웹 서버(50)는 바로 물 자동 주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 확인 후 물 자동 주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물 자동 주문 서비스 요청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물 자동 주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IoT 장치(200)가 냉장고이고, 웹 서비스가 물 자동 주문 서비스, 우유 자동 주문 서비스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IoT 장치 및 웹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200)가 세탁기인 경우, 웹 서비스는 세제 자동 주문 서비스일 수 있으며, IoT 장치(200)가 프린터인 경우, 웹 서비스는 프린터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100)에게 웹 서비스를 요청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 IoT 장치(200)는 냉장고일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은 IoT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와 이전에 페어링이 수행되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페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50)에 접속한다. 이때, 웹 서버(50)는 물품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야식 광고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웹 서버(5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따라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IoT 장치(200)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식 광고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IoT 장치로서 냉장고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IoT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IoT 장치(200)는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받기 위한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웹 서비스가 야식 광고 서비스인 경우, 스크립트 정보에는 사용자가 야식을 필요로 하는 상태(예를 들어, 저녁 11시 이후 냉장고의 문을 여는 동작을 감지)와 야식 광고를 위한 URL 정보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IoT 장치(200)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IoT 장치(200)의 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IoT 장치(200)가 냉장고이고, 웹 서비스가 야식 광고 서비스인 경우, IoT 장치(200)는 기설정된 시간대에 사용자가 냉장고의 문을 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장치(200)가 특정 동작(예를 들어, 밤 11시에 냉장고의 문을 여는 동작)이 감지되면, IoT 장치(200)는 스크립트를 로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는 비컨 신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야식 광고를 위한 URL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는 비컨 신호를 전송하기 이전에 웹 서버(50)로부터 업데이트된 야식 광고를 위한 URL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비컨 신호에 따라 야식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0)가 직접 웹 서비스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 IoT 장치(200)는 에어컨일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은 IoT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와 이전에 페어링이 수행되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페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50)에 접속한다. 이때, 웹 서버(50)는 IoT 장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50)로부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스트(610)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기 어렵거나 매번 설정하기 어려운 IoT 장치 제어 서비스일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안 "최소 전기비로 여름밤을 시원하게"라는 UI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 에어컨 제어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웹 서버(5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따라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IoT 장치(200)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웹 서비스가 에어컨 제어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IoT 장치로서 에어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IoT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IoT 장치(200)는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받기 위한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웹 서비스가 에어컨 제어 서비스인 경우, 스크립트 정보에는 에어컨 제어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가 에어컨 제어 서비스인 경우, 스크립트 정보에는 온도 설정 정보, 습도 설정 정보, 바람 세기 설정 정보, 바람 방향 설정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에어컨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IoT 장치(200)는 스크립트 정보를 로딩하여 IoT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200)는 스크립트 정보에 포함된 에어컨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웹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하여 웹 서버(50)로부터 수신한 리스트(610)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으로 웹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한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정보에 "Start Washer"와 같은 기기 제어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스케줄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시간에 IoT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웹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줄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예약 세탁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에 주소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주소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를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리스트(6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리스트(630) 속에 네비게이션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네비게이션에 선택된 주소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목적지 설정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장치(30)를 통해 IoT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IoT 장치(200)를 등록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이고, IoT 장치(200-1,200-2)는 센서, 전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1,200-2)는 로컬 네트워크 기능만을 제공하거나 저장 공간이 적거나 디스플레이 기능이 없는 저사양의 IoT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30)는 홈 게이트웨이와 같은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 TV와 같은 고사양의 IoT 장치(200)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은 허브 장치(3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이때, 허브 장치(30)와 이전에 페어링이 수행되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페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50)에 접속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IoT 장치(200-1,200-2)를 등록하기 위한 리스트를 웹 서버(5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IoT 장치를 포함하는 리스트(7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7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IoT 장치(200)를 허브 장치(30)에 등록하고자 하는 IoT 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710)를 통해 센서(200-1) 및 전등(200-2)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센서(200-1) 및 전등(200-2)을 허브 장치(30)에 등록하고자 하는 IoT 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IoT 장치를 허브 장치에 등록하기 위한 IoT 등록 서비스를 위한 주소 정보를 허브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30)는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IoT 등록 서비스를 위한 정보(또는, 프로토콜)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30)는 다운로드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IoT 장치(200-1,200-2)를 검색하고, 검색된 IoT 장치(200-1,200-2)를 등록할 수 있다.
우선,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장치(30)가 IoT 장치(200)의 상태를 감지하여 웹 서버(50)에게 웹 서비스를 요청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은 허브 장치(3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허브 장치(30)와 이전에 페어링이 수행되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페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50)에 접속한다. 이때, 웹 서버(50)는 IoT 장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웹 서버(50)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리스트(8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480)에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IoT 장치 제어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시 전등 켜기"라는 IoT 장치 제어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서 전등 제어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50)로부터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기 저장된 주소 정보를 통해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허브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 장치(30)는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받기 위한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립트 정보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립트 정보에는 IoT 장치(200)가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상태 정보,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웹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가 전등 제어 서비스인 경우, 스크립트 정보에는 움직임 감지에 대한 정보와 전등을 온하는 제어 명령 정보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는 웹 서버(50)가 아닌 다른 서버를 통해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30)는 IoT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허브 장치(30)는 불이 꺼진 상태에서 센서(200-1)로부터 센싱 정보(사용자의 움직임 감지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30)가 특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허브 장치(30)는 스크립트 정보를 로딩하여 특정 상태에 대응되는 IoT 장치 제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이 꺼진 상태에서 센서(200-1)가 사용자 움직임을 감지하는 정보를 획득하면, 허브 장치(30)는 전등(200-2)을 온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등(20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웹 서비스가 IoT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허브 장치(30)는 물품 구매 서비스, 물품 광고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0)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스마트 폰이고, IoT 장치(200)가 냉장고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은 IoT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와 이전에 페어링이 수행되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페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50)에 접속한다. 이때, 웹 서버(50)는 물품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웹 서버(50)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리스트(4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410)에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주문하고자 하는 품목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아이템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과 우유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서 물 자동 주문 서비스, 우유 자동 주문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50)로부터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따라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IoT 장치(200)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IoT 장치(200)는 버튼이 설치된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100)이 자동으로 버튼이 설치된 장치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입력으로 버튼이 설치된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IoT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IoT 장치(200)는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받기 위한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립트 정보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립트 정보에는 IoT 장치(200)가 버튼 선택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웹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가 물 자동 주문 서비스인 경우, 스크립트 정보에는 버튼이 선택된 경우 물 자동 주문을 위한 URL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200)는 웹 서버(50)가 아닌 다른 서버를 통해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IoT 장치(200)는 버튼 선택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버튼이 선택되면, IoT 장치(200)는 스크립트 정보를 로딩하여 웹 서버(50)로 웹 서비스(예를 들어, 물 자동 주문 서비스)를 요청한다. 즉, IoT 장치(200)는 제품 주문 요청을 웹 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버(50)는 제품 주문 요청에 응답하여 바로 제품 주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웹 서버(50)는 주문 알림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주문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장치(30)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스마트 폰이고, IoT 장치(200)는 보일러(200-1), 에어컨(200-2) 및 창문(200-3)일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은 허브 장치(3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허브 장치(30)와 이전에 페어링이 수행되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페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50)에 접속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웹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날씨 정보에 따른 온도 설정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웹 서비스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온도 설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주소 정보를 허브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30)는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스크립트 정보를 웹 서버(5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30)는 버튼 선택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버튼은 현재 날씨와 동기화된 온도 설정을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버튼이 선택되면, 허브 장치(30)는 스크립트를 로딩하여 웹 서버(50)로부터 날씨 정보를 획득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허브 장치(30)가 웹 서버(50)로부터 날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별도 날씨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30)는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수신된 날씨 정보에 동기화된 온도 설정을 판단하고, 판단된 온도 설정을 위해 보일러(200-1), 에어컨(200-2), 창문(200-3)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날씨가 영하 10도인 경우, 허브 장치(30)는 방안의 온도가 20도가 되도록 보일러(200-1)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날씨가 바람이 많이 부는 날씨인 경우, 허브 장치(30)는 창문을 닫도록 창문(200-3)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더욱 편하고 직관적으로 다양한 웹 서버(50) 기반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장치(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센서(230), 기능부(240) 및 프로세서(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0), 웹 서버(50) 및 허브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IoT 장치(200)의 유형에 따른 근거리의 로컬 네트워크 통신 모듈만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IoT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220)는 웹 서버(50)로부터 수신한 스크립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립트 정보에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 정보 및 조건 정보에 따른 웹 서비스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센서(230)는 IoT 장치(200)의 주변 환경 또는 IoT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센서(230)에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움직임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부(240)는 IoT 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IoT 장치(200)가 냉장고인 경우, 기능부(240)는 냉장/냉동 기능을 수행하고, IoT 장치(200)가 프린터인 경우, 기능부(240)는 인쇄 기능을 수행하며, IoT 장치(200)가 에어컨인 경우, 기능부(240)는 냉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IoT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외부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주소 정보가 수신되면, 프로세서(250)는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230)에 의해 스크립트 정보에 저장된 특정 상태 또는 특정 동작이 감지되면, 프로세서(250)는 스크립트 정보를 로딩하여 웹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50)는 직접 웹 서비스(예를 들어, IoT 장치 제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웹 서버(50) 또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허브 장치(30)로 웹 서비스(예를 들어, 물품 광고 서비스, 물품 구매 서비스 등)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200)가 냉장고인 경우, 센서(230)에 의해 물이 없음을 감지하면, 프로세서(250)는 웹 서버(50)로 물 자동 구매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로 물 광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oT 장치(200)가 프린터인 경우, 센서(230)에 의해 토너가 부족하다고 감지되면, 프로세서(250)는 웹 서버(50)로 토너 자동 구매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로 토너 광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5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서버(50)는 통신부(51), 데이터베이스(53) 및 프로세서(55)를 포함한다.
통신부(51)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100) 및 IoT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되면, 통신부(51)는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200)로부터 스크립트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통신부(51)는 IoT 장치(200)로 스크립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3)는 다양한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저장한다.
프로세서(55)는 웹 서버(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IoT 장치(200)로부터 스크립트 정보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프로세서(55)는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스크립트 정보를 제공하도록 통신부(51)를 제어한다.
또한, IoT 장치(200)로부터 웹 서비스 수행 요청이 수신되면, 프로세서(55)는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웹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55)는 웹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직접 웹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 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웹 서비스가 물품 자동 구매 서비스인 경우, 프로세서(55)는 요청된 물품에 대한 자동 구매를 수행하며, 요청된 웹 서비스가 물품 광고 서비스인 경우, 프로세서(55)는 물품 광고 요청(물품 광고에 대한 URL 정보가 포함됨.)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50)에 접속한다(S1210).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S122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버(50)가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설정된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IoT 장치(200)로 전송한다(S1230). 이때,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는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가 저장된 서버의 URL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의해, IoT 장치(200)는 주소 정보를 통해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 받고,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더욱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웹 기반의 다양한 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IoT 환경 기반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환경에서도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1300)에서 웹 기반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광고 제공 시스템(1300)에는 사용자 단말(100), 광고 제공 장치(1300), CP(content provider)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웹 브라우저를 사용 중일 때, 사용자 단말(100)은 광고 제공 장치(1320)로부터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알림 정보는 비컨 신호를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알림 정보에는 광고를 위한 URL 정보와 URL 정보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주소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수많은 비컨 신호가 수신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저에서 일차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컨텍스트 정보(웹 브라우저의 히스토리 정보, 북 마크 정보, 신뢰 사이트 정보) 등을 이용하여 비컨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숍 광고에 대한 비컨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컨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커피숍에 관심도 여부를 판단하여 커피숍 광고에 대한 비컨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비컨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사용자가 필터링하고자 하는 비컨 신호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비컨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를 위한 URL 정보의 유효성 검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CP(13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CP(1310)는 요청 신호에 저장된 URL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URL 정보의 유효성이 검증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URL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제공 장치(1320)에 접속하고, 광고 제공 장치(1320)는 광고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실행중인 웹 브라우저에 광고 이미지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c에 전술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기 위하여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고사양의 IoT 장치(300)에 등록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이고,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고사양의 IoT 장치(300)로서 냉장고(300-1), 스마트 TV(300-2) 및 프린터(300-3)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로컬 네트워크 기능만을 제공하거나, 저장 공간이 적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없는 저사양의 IoT 장치(200)로서 보일러(200-4), 창문(200-5), 전등(200-6), 청소 로봇(200-7)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먼저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고사양의 IoT 장치(300)의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고사양의 IoT 장치(300)의 리스트를 외부의 서버(예로,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고사양의 IoT 장치(300)의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100)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 가능한 IoT 장치로부터 자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허브 역할을 수행할 고사양의 IoT 장치(300)를 결정하여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허브의 역할을 수행 가능한 고사양의 IoT 장치(300)의 조건은 예로, 사용자 단말(100) 및 웹 서버(50)와 통신이 가능하며 수신된 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스크립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용량을 가진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저사양의 IoT 장치(200)의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저사양의 IoT 장치(200)의 리스트를 외부의 서버(예로,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저사양의 IoT 장치(300)의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100)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 가능한 IoT 장치로부터 자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결정하여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 저사양의 IoT 장치(300)의 조건은, 예로, 로컬 네트워크 통신만 가능하거나, 스크립트 정보를 저장하기에는 저장 공간이 적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없는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고사양의 IoT 장치(300)의 리스트 및 저사양의 IoT 장치(200)의 리스트를 획득한 사용자 단말(100)은 도 15의 (a)와 같이, 고사양의 IoT 장치(300) 및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매핑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사양의 IoT 장치(300) 및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매핑하는 것은 허브로 동작하는 고사양의 IoT 장치(300)에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등록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와 같이, 허브 후보 리스트에 고사양의 IoT 장치(300)로서 냉장고(300-1), 스마트 TV(300-2) 및 프린터(300-3)가 표시되고, 저사양의 IoT 장치(200)의 리스트에 보일러(200-4), 창문(200-5), 전등(200-6), 청소 로봇(200-7)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등록을 원하는 저사양의 IoT 장치(200-4)를 선택하고 고사양의 IoT 장치(300-1)로 드래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의 (b)와 같이, 고사양의 IoT 장치(300) 및 저사양의 IoT 장치(200)가 서로 매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5의 (b)에서, 허브로 동작하는 냉장고(300-1)에는 보일러(200-4) 및 창문(200-5)이 매핑되고, 스마트 TV(300-2)에는 전등(200-6), 청소 로봇(200-7)이 매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고사양의 IoT 장치(300) 및 저사양의 IoT 장치(200)가 서로 매핑되는 과정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로, 허브로 동작할 고사양의 IoT 장치(300)와 거리상 인접한 저사양의 IoT 장치(200) 간에 서로 매핑될 수 있다. 또는, 고사양의 IoT 장치(30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할 수 있는 저사양의 IoT 장치(200) 간에 서로 매핑될 수 있다. 또는, 고사양의 IoT 장치(300)는 통신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상인 저사양의 IoT 장치(200) 간에 서로 매핑될 수 있다.
고사양의 IoT 장치(300) 및 저사양의 IoT 장치(200)가 서로 매핑되면, 다시 도 14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허브로 동작할 고사양의 IoT 장치(3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고사양의 IoT 장치(300)와 이전에 페어링이 수행되어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페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허브로 동작하는 고사양의 IoT 장치(300)에 등록하기 위하여, IoT 등록 서비스에 필요한 주소 정보(예로, URL 정보)를 허브로 동작하는 고사양의 IoT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고사양의 IoT 장치(300)는 수신된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IoT 등록 서비스를 위한 정보(또는, 프로토콜)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고사양의 IoT 장치(300)는 다운로드 받은 정보(또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고사양의 IoT 장치(300)와 매핑된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검색하고, 검색된 IoT 장치(200)를 등록할 수 있다.
고사양의 IoT 장치(300)가 허브 장치로서 동작하여 저사양의 IoT 장치(200)가 등록되면, 고사양의 IoT 장치(300)는 저사양의 IoT 장치(300)의 상태를 감지하고, 저사양의 IoT 장치(300)가 특정 상태로 감지되는 경우, 저사양의 IoT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입력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통신부                       120: 영상 획득부
130: 영상 처리부             140: 디스플레이
150: 메모리                       160: 오디오 처리부
170: 오디오 출력부    180: 입력부
190: 프로세서

Claims (19)

  1. 사용자 단말 및 IoT 장치를 이용한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IoT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제1 웹 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응되고 상기 IoT 장치의 기설정된 상태의 정보 및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된 스크립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IoT 장치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웹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IoT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물품 구매 요청을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물품 구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물품 구매 요청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IoT 장치의 기설정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웹 서버로 상기 제1 웹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IoT 장치의 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웹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웹 서비스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할 서비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웹 서버 및 IoT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제1 웹 서비스를 설정하며,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응되고 상기 IoT 장치의 기설정된 상태의 정보 및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하며,
    상기 다운로드된 스크립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IoT 장치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웹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IoT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버튼에 대응되는 물품 구매 요청을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상기 물품 구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물품 구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IoT 장치의 기설정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웹 서버로 상기 제1 웹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스크립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IoT 장치의 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8. 제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웹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웹 서비스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웹 서비스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할 서비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9. 사용자 단말 및 IoT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및 IoT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IoT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웹 서비스 중 제1 웹 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oT 장치가,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한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웹 서비스에 대응되고 상기 IoT 장치의 기설정된 상태의 정보 및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립트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된 스크립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IoT 장치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상태에 대응되는 URL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웹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60072550A 2015-10-23 2016-06-10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9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77,094 US10397760B2 (en) 2015-10-23 2016-09-27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thereof
PCT/KR2016/010892 WO2017069422A1 (en) 2015-10-23 2016-09-29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thereof
EP16857680.9A EP3314874B1 (en) 2015-10-23 2016-09-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eb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934 2015-10-23
KR20150147934 2015-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134A KR20170048134A (ko) 2017-05-08
KR102498730B1 true KR102498730B1 (ko) 2023-02-13

Family

ID=6016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550A KR102498730B1 (ko) 2015-10-23 2016-06-10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314874B1 (ko)
KR (1) KR102498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608B1 (ko) * 2019-01-22 2020-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디바이스 시스템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CN113343507B (zh) * 2021-07-07 2024-05-14 广州昇谷科技有限公司 一种面向水利勘测的Web服务组合发现方法
KR102631082B1 (ko) * 2021-08-24 2024-01-30 씽스케어주식회사 실시간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IoT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3875A1 (en) * 2001-01-26 2002-08-01 Venkatesh Krishnan Internet appliance remote operator
US20080270562A1 (en) * 2007-04-30 200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network device control service and/or internet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090119602A1 (en) * 2007-11-07 2009-05-07 Sony Corporation Web-screen sharing system, web-screen sharing terminals, and sharing progra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472B1 (ko) * 2005-07-07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주소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30065777A (ko) * 2011-11-29 2013-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스펙터 스크립트 삽입을 통한 웹 콘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3875A1 (en) * 2001-01-26 2002-08-01 Venkatesh Krishnan Internet appliance remote operator
US20080270562A1 (en) * 2007-04-30 200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network device control service and/or internet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20090119602A1 (en) * 2007-11-07 2009-05-07 Sony Corporation Web-screen sharing system, web-screen sharing terminals, and sharing progra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134A (ko) 2017-05-08
EP3314874A1 (en) 2018-05-02
EP3314874B1 (en) 2021-04-28
EP3314874A4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818B1 (ko)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US1053453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07688370B (zh) 用于控制显示器、存储介质、和电子设备的方法
KR10245983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83103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표시 방법
KR102451469B1 (ko)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462856B1 (ko) 디스플레이의 확장 영역에 대한 사용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5863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US1044504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US2017023543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pplication data display therefor
KR102276272B1 (ko)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39776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thereof
KR20230025675A (ko) 컨텐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장치 및 저장 매체
US99717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digital content
KR102335024B1 (ko)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KR102398503B1 (ko) 입력의 압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99297A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US201803359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outpu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356450B1 (ko) 연결부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61148B2 (en) Electronic device sharing content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KR20180089085A (ko)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00306A (ko) 휴대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KR102274944B1 (ko)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98730B1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39786B1 (ko)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