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622B1 - 전력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622B1
KR102495622B1 KR1020210092254A KR20210092254A KR102495622B1 KR 102495622 B1 KR102495622 B1 KR 102495622B1 KR 1020210092254 A KR1020210092254 A KR 1020210092254A KR 20210092254 A KR20210092254 A KR 20210092254A KR 102495622 B1 KR102495622 B1 KR 10249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unit
connection
inspec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1682A (ko
Inventor
김재일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6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17Compensating for errors; Adjusting or regulat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검장비가 점검하는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포트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장비와 분리되어 마련되며, 대상체의 특성에 맞추어 점검장비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체의 특성에 맞추어 점검장비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검장비(또는, 시험장비)는 대상체에 대한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하여 대상체의 상태를 점검하는 장비이다. 점검장비에는 전력공급기가 구비되어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이때, 점검장비는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대상체를 점검한다. 점검장비는 미리 정해진 전압과 전류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압이나 전력을 조절하기 어렵고, 대상체의 특성에 맞추어 전력을 공급하지 못할 수 있다.
이처럼 점검장비가 공급하는 전력이 한정적이다. 따라서, 하나의 점검장비로 다양한 대상체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950013 B
본 발명은 대상체의 특성에 맞추어 점검장비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점검장비가 다양한 대상체를 점검할 수 있게 해주는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점검장비가 점검하는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포트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장비와 분리되어 마련된다.
본 발명은 점검장비가 점검하는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로서, 직류전력을 제공해주기 위한 제1 전력공급부; 단상 교류전력을 제공해주기 위한 제2 전력공급부; 3상 교류전력을 제공해주기 위한 제3 전력공급부; 상기 제1 전력공급부, 상기 제2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제3 전력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력공급부, 상기 제2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제3 전력공급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포트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장비와 분리되어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점검장비를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에 연결되는 보조포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포트는, 상기 대상체가 접속 가능한 연결 커넥터; 및 상기 점검장비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공급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커넥터와 전력공급부 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출력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어부를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해주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와 연결되는 제어포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포트는, 상기 제어부가 접속 가능한 제어 커넥터; 및 상기 제어부를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커넥터와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사이에 연결되는 선택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출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 조절기; 상기 대상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 조절기; 및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전력공급부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출력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력차단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포트 각각에서 설치되어 출력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기; 및 상기 전압 감지기로부터 전압강하가 감지되면,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출력 전압을 보상하는 전압 보상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를 적재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포트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부를 적재한다.
상기 지지부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이동휠;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력공급장치가 대상체의 특성에 맞추어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이에, 전력공급장치의 범용성이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최적화된 전력을 공급받은 점검장비가 다양한 대상체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가 점검장비와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포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가 연결부에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포트가 전력공급부들과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가 점검장비와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포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는, 점검장비가 점검하는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공급장치(100)는, 연결부(110), 및 복수개의 전력공급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하여 점검장비(200)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점검장비(200)가 전력공급장치(100)처럼 별도의 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점검장비(200)를 전력공급장치(100)에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점검장비(200)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운반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대상체를 점검할 수 있다. 이에, 점검장비(200)의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점검장비(200)는 스위칭부(210), 절차부(220), 및 계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부(230)는 전력공급장치(100)를 통해 대상체에 원하는 신호를 제공하거나 대상체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계측부(2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스위칭부(210)는 전력공급장치(10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스위칭부(210)는 계측부(230)가 전력공급장치(100)를 제어하여 대상체에 전달하는 신호를 제어하고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210)는 대상체와 연결되는 치구, 케이블, 및 어댑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점검장비(200)가 스위칭부(210)를 통해 대상체와 연결될 수 있다.
절차부(220)는 시험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다. 이에, 절차부(220)는 내장된 시험프로그램에 따라 대상체를 점검하도록 제어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점검장비(200)는 추가적인 구성품으로 거치대(미도시) 및 냉각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는 대상체를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상체를 점검할 때 대상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부는 거치대에 설치되건 대상체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대상체를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에 전력이 공급되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상체를 안정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전력공급장치(100)는 점검장비(200)와 분리되어 별도로 마련된다. 즉, 전력공급장치(100)는 점검장비(200)와 별도의 모듈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공급장치(100)는 다양한 점검장비(200)가 대상체를 점검할 때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장소로 운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전력공급장치(100)의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력공급장치(100)는 지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부(140)는 연결부(110)와 전력공급부(120)들을 적재하기 위한 복수개의 적재공간을 구비한다. 이에, 연결부(110)와 전력공급부(120)들이 지지부(140)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140)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4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적재공간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공간들이 서로 다른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0)는 적재공간들 중 최상측에 배치되는 적재공간에 적재될 수 있고, 전력공급부(120)들은 그 아래의 적재공간들에 각각 적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연결부(110)가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연결부(110)에 대상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40)는, 연결부(11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연결포트(1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적재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연결포트(111)에 쉽게 대상체를 연결하여,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140)의 형상 및 지지부(140)가 연결부(110)와 전력공급부(120)들을 지지하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전력공급장치(100)는 이동휠(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휠(150)은 지지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이동휠(150)이 지지부(14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지지부(140)를 지지하면서, 지지부(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4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대상체의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운 경우, 지지부(140)를 이동시켜 대상체와 연결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이동휠(150)에 걸림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걸림부재는 이동휠(15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40)를 이동시킬 때는 걸림부재로 이동휠(150)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아 지지부(140)를 이동시키고, 지지부(140)를 이동시키지 않을 때는 걸림부재로 이동휠(150)의 회전을 제한하여 지지부(14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할 때 지지부(14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전력공급부(120)는 도 1과 같이 지지부재(141)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전력공급부(120)는 연결부(110)를 통해 대상체로 서로 다른 종류의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개가 구비된다. 또는, 직류전력을 제공해주기 위한 제1 전력공급부(121), 단상 교류전력을 제공해주기 위한 제2 전력공급부(122), 및 3상 교류전력을 제공해주기 위한 제3 전력공급부(123)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점검장비(200)가 점검하는 대상체의 특성에 맞추어 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제1 전력공급부(121)는 직류(DC: Direct Current)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직류전력을 사용하는 대상체를 점검하는 경우, 제1 전력공급부(121)를 이용하여 직류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제2 전력공급부(122)는 단상 교류(AC: Alternating Current)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단상 교류전력을 사용하는 대상체를 점검하는 경우, 제2 전력공급부(122)를 이용하여 단상 교류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제3 전력공급부(123)는 3상 교류(AC: Alternating Current)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3상 교류전력을 사용하는 대상체를 점검하는 경우, 제3 전력공급부(123)를 이용하여 3상 교류전력을 공급해줄 수 있다.
연결부(110)는 지지부(140)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연결부(110)는 대상체와 전력공급부(120)들 중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즉, 연결부(110)는 복수개의 전력공급부(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전력공급부(120)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포트(111)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1 전력공급부, 제2 전력공급부, 및 제3 전력공급부가 구비되는 경우, 제1 전력공급부, 제2 전력공급부, 및 제3 전력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연결포트가 제1 전력공급부, 제2 전력공급부, 및 제3 전력공급부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포트(111)에 대상체를 분리 가능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점검장비로 대상체를 점검할 때 점검장비(200)를 연결포트(111)에 접속시키고, 점검을 하지 않을 때 대상체를 연결포트(111)에서 분리할 수 있다.
연결포트(111)는 대상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포트(111)는 일단이 전력공급부(120)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타단에 대상체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를 연결포트(111)에 접속시키면, 연결포트(111)와 연결된 전력공급부(120)의 전력이 대상체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연결포트(111)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포트(111a), 제2 연결포트(111b), 제3 연결포트(111c), 및 제4 연결포트(111d)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대상체를 서로 다른 연결포트(111)에 접속시켜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연결포트(111)들은 서로 다른 전력공급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되는 전력공급부(120)에 따라 연결포트(111)가 공급하는 전력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연결포트(111)마다 연결되는 대상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대상체를 연결포트(111)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는 경우, 원하는 종류의 전력을 공급하는 연결포트(111)에 대상체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연결포트(111)들이 연결되는 전력공급부(120)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대상체를 연결포트(111)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할 상태에서, 연결포트(111)와 연결된 전력공급부(120)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를 연결포트(111)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할 상태에서, 대상체의 상태에 따라 공급되는 전력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0)는 보조포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포트는, 점검장비(200)를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전력공급부(120)에 연결된다. 따라서, 보조포트에 점검장비(200)를 접속시키면, 점검장비가 전력공급부(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대상체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보조포트는 연결부(110)에서 연결포트(111)가 형성되는 부분과 대향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보조포트를 연결포트(111)와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고, 보조포트에 점검장비(200)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연결포트(111)는 연결 커넥터(C), 및 릴레이(R)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1 전력공급부(121)와 제1 연결포트(111a)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다른 전력공급부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른 연결포트들도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 커넥터(C)에 대상체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를 연결 커넥터(C)에 접속시키면, 제1 전력공급부(121)에서 대상체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릴레이(R)는 연결 커넥터(C)와 제1 전력공급부(121) 사이에 연결된다. 이에, 점검장비(2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따라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공급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릴레이(R)는 점검장비(200)에 의해 제1 전력공급부(121)와 연결 커넥터(C)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점검장비(200)가 릴레이(R)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1 전력공급부(121)와 대상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전기적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점검장비(200)의 절차부(220)에 내장된 시험프로그램에 따라 대상체를 점검할 때,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제1 전력공급부(121)의 작동을 용이하게 제어하여 원하는 시간 동안에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10)는 전력차단기(11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차단기(113)는 연결포트(111)와 전력공급부(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상체가 연결포트(1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력차단기(113)의 작동을 제어하면 대상체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차단기(113)는 비상스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 등에 문제가 발생하여 전력 공급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력차단기(113)를 눌러 대상체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전력공급장치(100)가 대상체의 특성에 맞추어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해주거나,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과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공급장치(100)의 범용성이 확장될 수 있다. 이에, 전력공급장치(100)로부터 최적화된 전력을 공급받은 다양한 대상체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포트가 전력공급부들과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와 제어부의 연결구조 및 제어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110)는 제어포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포트(112)는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포트(112)는 제어부(130)를 복수개의 전력공급부(12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해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가 제어포트(112)를 통해 전력공급부(120)들 중 제어가 필요한 전력공급부(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포트(112)는 도 4와 같이 제어 커넥터(112a), 및 선택 스위치(112b)를 포함한다.
제어 커넥터(112a)에 제어부(130)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를 제어 커넥터(112a)에 접속시키면, 제어부(130)가 전력공급부(12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되어 전력공급부(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커넥터(112a)는 무선으로 제어부(13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이에, 케이블을 이용하여 제어 커넥터(112a)와 제어부(130)를 별도로 연결하지 않아도 제어부(130)가 전력공급부(120)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 스위치(112b)는 제어부(130)를 복수개의 전력공급부(120)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어 커넥터(112a)와 복수개의 전력공급부(120) 사이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선택 스위치(112b)는 랜스위치일 수 있다. 이에, 선택 스위치(112b)는 전력공급부(120)들 중 제어부(130)와 신호를 주고받는 전력공급부(120)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 스위치(112b)는 제어부(130)가 신호를 주고받는 전력공급부(120)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130)로 전력공급부(120) 각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포트(112)는 연결포트(111)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포트(112)와 연결포트(111)를 용이하게 구분하여, 각 포트에 맞는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110)는 전압 감지기(미도시), 및 전압 보상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연결포트(111)를 통해 대상체로 전달되는 전력의 전압을 모니터링하면서 전압강하에 자동으로 대처할 수 있다.
전압 감지기는 연결포트(111)들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전압감지기는 연결포트(111)들 각각에서 출력전압을 감지(또는, 측정)할 수 있다.
전압 보상기는 전압 감지기에서 감지되는 전압 측정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전압 보상기는 전압 감지기로부터 전압강하가 감지되면,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출력전압을 보상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보상기는 전압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설정 전압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전압 측정값이 설정 전압값 이하이면 전압 보상기는 연결포트(111)에 전압강하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전압 측정값이 설정 전압값을 초과하면 전압 보상기는 연결포트(111)에 전압강하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연결포트(111)에 전압강하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전압 보상기는 자동으로 전압강하를 보상해줄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로 전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3과 같이 연결부(110)를 통해 전력공급부(120)들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전력공급부(120)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120)의 출력 조건(예를 들어, 출력 전류, 출력 전압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컴퓨터나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류 조절기(131), 전압 조절기(132), 및 출력 제어기(133)를 포함한다.
전류 조절기(131)는 대상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120)의 출력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대상체에 사용조건에 맞추어 전력공급부(120)들 중 어느 하나에서 대상체로 출력되는 전력의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전류 조절기(131)를 이용하여 전력공급부(120)들 중 선택된 전력공급부(120)가 출력하는 전력의 전류값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체의 특성에 맞추어 전력공급부(120)가 전달하는 전력의 전류값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압 조절기(132)는 대상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12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대상체의 사용조건에 맞추어 전력공급부(120)에서 대상체로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전압 조절기(132)를 이용하여 전력공급부(120)들 중 선택된 전력공급부(120)가 출력하는 전력의 전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체의 특성에 맞추어 전력공급부(120)가 전달하는 전력의 전압값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출력 제어기(133)는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전력공급부(120)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출력 제어기(133)를 이용하여 전력공급부(120)들 중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해야할 전력공급부(120)는 전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전력공급부(120)는 전력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과전류 보호 설정기(미도시), 과전압 보호 설정기(미도시), 저전압 한계 설정기(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대상체로 공급되는 전력의 스펙을 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공하는 전력의 출력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전력의 출력 조건을 조절하면서 대상체의 특성에 맞추어 전력을 공급하거나, 대상체에 대하여 다양한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력공급장치 110: 연결부
120: 전력공급부 121: 제1 전력공급부
122: 제2 전력공급부 123: 제3 전력공급부
130: 제어부 140: 지지부
150: 이동휠 200: 점검장비

Claims (12)

  1. 점검장비가 점검하는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포트, 및 상기 점검장비가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에 연결되는 보조포트를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출력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위한 제어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를 적재하는 지지부; 및
    상기 대상체의 위치로 상기 지지부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이동휠;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에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지지부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이동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점검장비와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보조포트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포트가 형성된 부분과 대향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전력공급장치.
  2. 점검장비가 점검하는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로서,
    직류전력을 제공해주기 위한 제1 전력공급부;
    단상 교류전력을 제공해주기 위한 제2 전력공급부;
    3상 교류전력을 제공해주기 위한 제3 전력공급부;
    상기 제1 전력공급부, 상기 제2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제3 전력공급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력공급부, 상기 제2 전력공급부, 상기 제3 전력공급부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포트, 및 상기 점검장비가 상기 전력공급부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공급부들에 연결되는 보조포트를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출력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위한 제어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력공급부들을 적재하는 지지부; 및
    상기 대상체의 위치로 상기 지지부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이동휠;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에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지지부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이동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점검장비와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보조포트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포트가 형성된 부분과 대향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전력공급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포트는,
    상기 대상체가 접속 가능한 연결 커넥터; 및
    상기 점검장비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공급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커넥터와 전력공급부 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어부를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연결해주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와 연결되는 제어포트를 더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포트는,
    상기 제어부가 접속 가능한 제어 커넥터; 및
    상기 제어부를 상기 복수개의 전력공급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커넥터와 복수개의 전력공급부 사이에 연결되는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출력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전류 조절기;
    상기 대상체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 조절기; 및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전력공급부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출력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력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포트 각각에서 설치되어 출력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기; 및
    상기 전압 감지기로부터 전압강하가 감지되면, 상기 대상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의 출력 전압을 보상하는 전압 보상기;를 더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연결포트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부를 적재하는 전력공급장치.
  12. 삭제
KR1020210092254A 2021-07-14 2021-07-14 전력공급장치 KR102495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54A KR102495622B1 (ko) 2021-07-14 2021-07-14 전력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54A KR102495622B1 (ko) 2021-07-14 2021-07-14 전력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682A KR20230011682A (ko) 2023-01-25
KR102495622B1 true KR102495622B1 (ko) 2023-02-06

Family

ID=8510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254A KR102495622B1 (ko) 2021-07-14 2021-07-14 전력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101B1 (ko) * 2023-02-14 2024-05-20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6372A (ja) * 2009-12-18 2011-07-28 Sumitomo Heavy Ind Ltd 電池検査装置
KR102107740B1 (ko) * 2019-03-29 2020-05-07 (주)애니토이 차량용 전동식 워터펌프의 신뢰성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뢰성 검사방법
KR102240936B1 (ko) * 2020-03-12 2021-04-16 주식회사 코아솔루션 발열 저감형 led 조명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012B1 (ko) * 1998-07-04 2001-11-15 윤종용 인쇄회로기판 검사 시스템
KR200454453Y1 (ko) * 2008-12-23 2011-07-0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회로설비의 시험용 전원 발생장치
KR101950013B1 (ko) 2018-07-25 2019-05-02 한화시스템(주) 휴대용 자동시험장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6372A (ja) * 2009-12-18 2011-07-28 Sumitomo Heavy Ind Ltd 電池検査装置
KR102107740B1 (ko) * 2019-03-29 2020-05-07 (주)애니토이 차량용 전동식 워터펌프의 신뢰성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뢰성 검사방법
KR102240936B1 (ko) * 2020-03-12 2021-04-16 주식회사 코아솔루션 발열 저감형 led 조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682A (ko)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938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dular battery pack
JP4365213B2 (ja) 積み重ね可能な半導体試験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方法
KR102495622B1 (ko) 전력공급장치
US75614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curing a motor control center
US5270641A (en) Dual side access test fixture
US5432548A (en) Apparatus for testing and adjusting audio/video signal waveforms in color television
KR20040029306A (ko) 필드 그라운드 검출용 시스템 및 필드 그라운드 고장 검출및 측정 방법
JP2019536650A (ja) マニピュレータ
KR102356375B1 (ko) 멀티 지그가 구비된 이동형 차단기 시험장치
KR20150094400A (ko) 프로브 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이퍼 테스트 시스템
KR102336382B1 (ko) 안전선로 검출 변류기
EP1216420B1 (en) Integrated test cell
KR101309079B1 (ko) 번인 테스터
US5418403A (en) System for conveniently providing load testing termination of an AC power source having at least one battery
US200701324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over a range of temperatures
KR101598474B1 (ko) 다중 역률제어 기반 수배전반
KR20140032168A (ko)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전원 분배반
KR102053540B1 (ko) 보호배전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21173692A (ja) 誤配線の検出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CN219496487U (zh) 一种配电箱通用测试电源
US6031370A (en) Semiconductor testing apparatus
KR102670465B1 (ko) 릴레이 접점 이상 감지기
JP7369639B2 (ja) 電子部品搬送装置の異常判断方法
CN115134010B (zh) 用于三阶互调的测试装置
CN212301715U (zh) 多功能检测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