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208B1 - 비면허대역을 이용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면허대역을 이용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208B1
KR102495208B1 KR1020160011990A KR20160011990A KR102495208B1 KR 102495208 B1 KR102495208 B1 KR 102495208B1 KR 1020160011990 A KR1020160011990 A KR 1020160011990A KR 20160011990 A KR20160011990 A KR 20160011990A KR 102495208 B1 KR102495208 B1 KR 10249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s
laa
cell
measuremen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876A (ko
Inventor
백승권
김은경
윤찬호
장성철
차재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012,19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19159B2/en
Publication of KR2016009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DRS를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로부터 DRS를 바탕으로 수행된 측정에 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측정 보고를 바탕으로 비면허 대역의 셀을 스케줄링하고, 비면허 대역의 셀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통해 DRS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비면허대역을 이용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using unlicensed band}
본 기재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대역을 이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수신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는 2009년 상용화된 이후, 약 4년의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93개 국가, 모두 251개의 상용 네트워크로 확대되었고, 최근 전세계 가입자 수가 1억2천만 명을 돌파하였다. 이에 따라 대화면,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패드 형식의 단말기가 늘어나면서 LTE 서비스를 통한 데이터 사용량은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M2M(Machine-to-Machine) 등의 사물 통신이 확대되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폭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를 수용하기 위해서 무선통신 사업자들은 고객의 데이터 사용에 대한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키면서, 대규모 시설 투자나 통신 요금의 대대적인 인상 없이 네트워크가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용량을 획기적으로 확장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폭발에 대응하기 위해 다수의 무선 통신 사업자가 도입하고 있는 솔루션 중의 하나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과 같은 비면허대역(unlicensed band)에서 운용 중인 무선랜 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3G 혹은 LTE 네트워크로 집중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즉, 오프로딩(off-loading))하는 것이다. 비면허대역은 통신 사업자가 독점적인 주파수 사용권을 확보할 수 있는 대역이 아니므로, 비면허대역을 이용하는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상당한 수준의 트래픽 용량이 분산될 수 있다. 하지만, 비면허대역에서는 대역 내 간섭 관련 규정만 준수되면 많은 수의 통신 장치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독점적 사용권이 보장된 면허 대역을 통한 통신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수준의 통신 품질이 확보되기 어렵다.
3GPP에서는 고속 패킷 접속(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또는 LTE 시스템과 함께, IEEE 표준 기술인 Wi-Fi와의 연동을 위한 표준화를 2002년부터 진행하였으며, 현재 다양한 형태의 인터워킹 방식에 대한 논의 및 표준규격이 제정되었다. 하지만 효율적인 이동성 및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해 두 시스템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하는 것은, 셀룰러 네트워크와 무선랜의 구조적 차이에 의해 쉽지 않았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기술이 비면허대역에서의 LTE 기술(LTE-U: LTE on Unlicensed spectrum 또는 U-LTE)이다. 3GPP에서는 최근 비면허대역에서 셀룰러 기술의 표준화를 위한 워크샵을 개최하였으며, 각 벤더의 의견을 기반으로 요구사항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3GPP에서는, "Study on Licensed-Assist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라는 이름으로 비면허대역에서 LTE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 과제(SI, Study Item)로 승인하고 이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한 실시예는,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 DRS)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상기 DRS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DRS를 바탕으로 수행된 측정에 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 보고를 바탕으로 상기 비면허 대역의 셀을 스케줄링하고, 상기 비면허 대역의 셀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RS 송신 방법에서 측정 보고는,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물리 계층의 측정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의 측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S 송신 방법에서 DRS를 송신하는 단계는,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접근 권한이 획득된 경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DR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S 송신 방법은, 접근 권한이 획득된 경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DRS를 송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비로 DRS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DRS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S 송신 방법은 DRS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DRS의 전달 시점을 면허대역 셀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S 송신 방법은 DRS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DRS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인 DRS 측정 타이밍 구성(DRS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DMTC)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S 송신 방법에서 DMTC 정보는, DRS의 송신 주기,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DRS 오케이션의 지속기간(Duration of DRS occasion), 그리고 측정(measurement)을 위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S 송신 방법에서 DRS를 송신하는 단계는, 짧은 제어 신호(Short Control Channel, SCS)의 전송 구간을 통해 DR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S 송신 방법에서 SCS의 전송 구간은, 50ms 시간 구간 중 10%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 또는 드웰 시간(dwell time)과 동일한 관찰 시간(observation time) 구간의 10%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DRS 송신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물리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계층 스케줄링을 바탕으로 비면허 대역의 셀에 대한 온/오프(On/Off)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 DRS)를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로부터 DRS를 바탕으로 수행된 측정에 대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측정 보고를 바탕으로 비면허 대역의 셀을 스케줄링하고, 비면허 대역의 셀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기지국이 제공된다.
상기 기지국에서 측정 보고는,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사이의 물리 계층의 측정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의 측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DRS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접근 권한이 획득된 경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DRS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접근 권한이 획득된 경우,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DRS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사용자 장비로 DRS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DRS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DRS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RS의 전달 시점을 면허대역 셀을 통해 사용자 장비로 알려주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DRS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DRS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인 DRS 측정 타이밍 구성(DRS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DMTC)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DMTC 정보는, DRS의 송신 주기,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DRS 오케이션의 지속기간(Duration of DRS occasion), 그리고 측정(measurement)을 위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DRS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짧은 제어 신호(Short Control Channel, SCS)의 전송 구간을 통해 DRS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SCS의 전송 구간은, 50ms 시간 구간 중 10%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 또는 드웰 시간(dwell time)과 동일한 관찰 시간(observation time) 구간의 10%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물리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계층 스케줄링을 바탕으로 비면허 대역의 셀에 대한 온/오프(On/Off)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 DRS)를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DRS 수신 방법은, DRS의 전송과 관련된 DRS 측정 타이밍 설정(DRS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DMTC)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탐색 윈도우에서 DRS를 탐색하는 단계, 그리고 탐색 결과 수신된 DRS가 유효하지 않으면 다음 수신점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RS 수신 방법에서 탐색 윈도우는, DMTC 정보에 포함된 탐색 윈도우 크기 및 방향을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DRS 수신 방법에서 방향이 마이너스 값이면, DRS의 송신 주기를 기준으로 탐색 윈도우가 왼쪽에 위치하고, 방향이 플러스 값이면, DRS의 송신 주기를 기준으로 탐색 윈도우가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다.
DRS 수신 방법에서 탐색하는 단계는, 탐색 윈도우를 DRS의 전송 횟수로 나누어 계산된 시점마다 DRS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면허 대역의 셀의 탐색 등에 사용되는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LAA를 위한 보조 캐리어 집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LAA를 위한 배치 시나리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LAA UE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LAA 기지국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셀 탐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DRS 전송을 위한 명시적 시그널링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DRS의 비주기적 전송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S의 비주기적 전송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시점 재구성을 위한 DMTC 파라미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한 실시예에 따른 LAA 셀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암시적 스킴을 이용한 LAA 셀의 On/Off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시적 스킴을 이용한 LAA 셀의 On/Off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명시적 스킴을 이용한 LAA 셀의 On/Off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캐리어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LTE LAA에서의 숨겨진 노드 문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한 실시예에 따른 RTS/CTS 기반의 숨겨진 노드 문제 해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은 한 실시예에 따른 eNB 기반의 CTS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9는 한 실시예에 따른 UE 기반의 CTS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0은 한 실시예에 따른 RTS/CTS 듣기 및 채널 센싱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1은 한 실시예에 따른 LTE 측정 기반의 숨겨진 노드 문제 해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2는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기재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기재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기재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는, 단말(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기계형 통신 장비(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MTC devic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o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매크로 기지국(mac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LAA를 위한 보조 캐리어 집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왼쪽에서 비면허대역의 셀은 하향링크 전송만 수행하고, 오른쪽에서 비면허 셀은 상/하향링크 전송을 모두 부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LTE 등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대역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이 낮은 비면허대역의 소형셀(small cell)은 신뢰성이 높은 이동통신 매크로 셀(macro cell)을 기반으로 트래픽 분산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무선자원의 설정, 단말의 이동성 제어 등과 같이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시스템 제어정보의 송/수신에는 신뢰성이 높은 면허대역이 이용되고, 사용자 트래픽은 네트워크의 상태 및 서비스의 요구사항 등을 고려하여 면허대역 및 비면허대역을 통해서 송/수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트래픽 특성상 하향링크 트래픽이 상향링크 트래픽에 비해 많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비면허대역의 셀은 주로 하향링크 트래픽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비면허 셀은, 면허대역의 셀의 지원을 통해 보조적으로 셀 용량 및 사용자 데이터 속도 향상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본 기재에서는 이러한 비면허 셀의 사용 형태를 면허대역 지원 액세스 (LTE-Licensed Assisted Access, LAA)라고 한다.
한편,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에서 동작하는 셀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송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LAA에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면허대역 셀에서 동작하는 CC는 시스템 제어정보의 신뢰성 있는 송/수신을 위해서 주 컴포넌트 캐리어(Primary Component Carrier, PCC) 기능을 수행하고, 비면허대역의 셀에서 동작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보조 컴포넌트 캐리어(Secondary Component Carrier: SCC)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셀의 이중화(duplex) 방식은 주파수 분할 이중화(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또는 시간 분할 이중화(Time Division Duplex, TDD)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LAA를 위한 배치 시나리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각 배치 시나리오는 아래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정의
시나리오 1 면허대역 매크로 셀(F1) 및 비면허대역 소형셀(F3) 사이의 CA
시나리오 2 면허대역 소형셀(F2) 및 비면허대역 소형셀(F3) 사이의 매크로 셀 없이(without macro cell coverage) CA
시나리오 3 면허대역 소형셀(F2) 및 비면허대역 소형셀(F3) 사이의 매크로 셀 하(with macro cell coverage)의 CA
시나리오 4 - 면허대역 매크로 셀(F1), 면허대역 소형셀(F2) 및 비면허대역 소형셀(F3)
- 면허대역 소형셀(F2) 및 비면허대역 소형셀(F3) 사이의 CA
- 매크로 셀 및 소형셀 사이의 이상적인 백홀(ideal backhaul)이 있는 경우, 매크로 셀(F1), 면허대역 소형셀(F2) 및 비면허대역 소형셀(F3) 사이의 캐리어 집성 그룹(carrier aggregation group, CAG) 존재
-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이 가능한 경우, 매크로 셀 및 소형셀 사이의 이중 연결이 존재
LAA에서, 하나 이상의 비면허대역의 소형셀은 CA를 기반으로 동작될 수 있다. 비면허대역의 소형셀은 매크로 셀과 중첩 배치되거나 또는 면허대역의 소형셀로만 배치될 수 있고, 실내 및 실외 환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면허대역의 소형셀 배치 방식에 따라서, 비면허대역의 소형셀은 면허대역의 셀과 동일 위치(co-located)에 배치되거나 또는 이상적인 백홀을 통해 비동일 위치(non co-located)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면허대역의 매크로 셀과 소형셀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에 따라서, 동일주파수 시나리오 및 비동일 주파수 시나리오가 각각 고려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LAA UE의 상태 천이도이고,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LAA 기지국의 상태 천이도이다.
본 기재에서 LAA 셀은 비면허대역의 소형셀이고, LAA UE는 LAA 셀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UE이다. LAA UE의 측면에서, LAA 동작 상태는 비면허대역에서 동작하는 LAA 셀의 설정 및 설정된 LAA 셀의 활성화에 따라 달라진다. 즉, LAA 셀의 설정을 위한 LAA UE의 상태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프로토콜 동작절차에 따른 상태이고, LAA 셀의 활성화에 따른 상태는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의 동작절차에 따른 상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L-Mode의 LAA UE는 LAA 셀이 추가되는 경우(LAA-SCell addition) U/L-Mode로 천이하고, 이후, U/L-Mode의 LAA UE는 LAA 셀 또는 면허대역 셀의 추가, 변경 및 해제 동안 U/L-Mode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모든 LAA 셀이 해제되면(LAA-SCell release) LAA UE는 U/L-Mode에서 L-Mode로 다시 상태를 천이한다.
CA를 위한 LAA 셀의 설정은 SCell(Secondary Cell) 추가(SCell addition), SCell 변경(SCell modification), 또는 SCell 해제(SCell release)와 같은 RRC 프로토콜절차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LAA 셀의 설정을 위한 LAA UE의 상태는, 설정된 셀의 종류에 따라 면허대역의 셀이 설정된 상태(L-Mode)와, 면허대역과 비면허 대역의 셀이 동시에 설정된 상태(U/L-Mode)로 나뉜다. 그리고, LAA UE의 상태는 셀의 설정, 변경 그리고 해제 등과 같은 RRC 재설정(RRC Recofiguration) 절차에 의해서 천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비활성 상태의 LAA UE는 활성 요청(Activation request)를 통해 활성 상태로 천이할 수 있고, 활성 상태의 LAA UE는 비활성 요청(Deactivation request) 또는 타이머(timer)의 동작을 통해 비활성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LAA 셀의 설정을 통해 비면허 대역의 LAA 셀을 추가하고 U/L-mode 상태에 있는 LAA UE는, MAC의 제어절차에 의해 활성/비활성(Activation/Deactivation) 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활성 상태는 LAA 셀을 통해 트래픽의 스케쥴링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며 비활성 상태는 비면허 대역의 LAA 셀이 설정되어 있지만 트래픽의 스케쥴링 불가능 상태로써, 전송할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없는 경우 LAA UE가 위치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 위치한 LAA UE는 물리계층 신호절차에 따라 LAA 셀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LAA 셀은 비면허 대역의 공유채널에 접근할 때, 클리어 채널 평가(Clear Channel Assessment, CCA)를 통해 채널의 점유상태를 확인한 후, 채널이 다른 디바이스 혹은 다른 LAA 셀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 채널을 사용한다. 따라서, 비면허 대역의 공유채널에 대한 접근권한은 가변적으로 바뀔 수 있으므로, LAA셀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LAA 기지국(LAA eNB)에겐 채널의 점유상태를 파악하는 기능과 채널의 접근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신호를 전송하는 비연속적인 전송(Discontinuous transmission) 기능이 요구된다.
LAA 셀 측면에서 LAA 동작상태는 LAA 셀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에 따라 3가지 상태가 존재할 수 있다.
온(On) 상태는 LAA 셀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태로서, LAA 셀이 CCA를 통해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권한을 가진 경우, 시그널 및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태이다. 오프(Off) 상태는 LAA 셀에서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서,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 DRS)만 전송되는 상태이다. LAA 셀이 Off 상태에서 DRS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LAA 셀은 CCA를 통해서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권한을 획득한 후 DRS를 전송하는 방식 또는 짧은 제어 신호(Short Control Signal, SCS)의 전송 구간을 통해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권한을 획득하지 않고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CCA 상태는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권한을 얻기 위한 상태이며 On 상태 또는 Off 상태에 대한 사전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CCA 상태의 LAA 셀은 채널 예약이 완료되면(Channel reservation complete), On 상태로 천이한다. 이후, LAA 셀을 통한 모든 전송이 완료되면(Packet transmission complete), LAA 셀은 이후 Off 상태로 천이한다. OFF 상태의 LAA 셀은 SCS를 전송하는 동안에는 계속 OFF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전송 기회가 요청되면(TX opportunity request), LAA 셀은 CCA 상태로 천이한다. LAA 셀은 on 상태에서도 전송 기회 요청이 있을 경우 CCA 상태로 천이한다. Off 상태의 LAA 셀은 서빙 셀의 명령이 있을 경우(Serving cell order), On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도 5에서 On 상태 및 Off 상태에 각각 연동된 CCA 상태는 서로 동일한 상태이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셀 탐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LAA 셀은 해당 셀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존재여부에 따라 On/Off 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Off상태에 위치한 LAA 셀은 해당 셀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LAA eNB의 제어에 따라 On상태로 천이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LAA 셀은 LAA 셀을 인식하고 LAA 셀의 채널 상태를 탐지할 수 있는 신호(DRS)를 하향링크로 전송한다. 이후, LAA UE는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DRS를 모니터링하고 측정을 수행한다. LAA UE는, 디스커버리 신호가 탐색된 경우, 탐색 결과 및 측정 정보를 면허대역의 셀을 통해 LAA eNB로 전달한다. LAA UE로부터 LAA 셀의 탐색 결과 및 측정 정보를 수신한 LAA eNB는, LAA 셀의 설정절차 및 활성화 절차를 수행하고 해당 LAA 셀을 스케쥴링하여 LAA UE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앞서 기술한 DRS의 전송 방식(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접근권한을 획득한 후 전송하는 방식 또는 SC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서 물리계층 시그널링 절차의 필요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즉, LAA eNB에서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권한을 획득한 후 DRS가 전송되는 경우(channel sensing based DRS transmsission)(S603), DRS가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DRS 지시(DRS indication)와 같은 물리계층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LAA eNB가 LAA UE에게 DRS 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이에 반해 LAA 셀이 SCS를 이용하여 DRS를 전송하는 경우,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권한이 획득될 필요가 없으므로, LAA eNB는 사전에 설정된 동작 주기에 따라 DRS를 전송(S604)하고 LAA UE는 DRS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DRS는 LAA 셀에 대한 동기(Synchronization) 및 채널에 대한 측정(Measurement)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LAA eNB는 RRC 프로토콜 절차인 측정 설정(measurement configuration)(S602) 을 통해서 LAA UE에게 DRS의 측정을 수행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LAA 셀의 DRS를 측정(S605)한 LAA UE는, RRC 프로토콜 절차인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S606) 또는 물리계층의 신호절차인 CSI 보고(CSI Report)를 통해서 측정결과를 LAA eNB로 보고할 수 있다. LAA UE로 부터 LAA 셀에 대한 측정 보고 또는 CSI 보고를 수신한 LAA eNB는, LAA UE를 위한 LAA 셀 설정 및 LAA 셀 활성 절차를 수행하고, LAA 셀을 통해 LAA UE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LAA 셀 탐색을 위한 DRS는 주기적으로 전송(DRS의 주기적 전송 방식)되거나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DRS의 비주기적 전송 방식)될 수 있다.
DRS의 주기적 전송 방식에 따르면, LAA 셀은 셀 탐색을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LAA UE는 LAA eNB가 설정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주기를 기반으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LAA eNB로 보고한다.
LAA 셀 탐색을 위한 DRS가 주기적으로 전송되기 위해서, LBT(Listen Before Talk)방식에서 짧은 제어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SCS가 이용될 수 있다. 즉 DRS는, 비면허 대역에 대한 채널 센싱없이 SCS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SCS의 전송 구간(duration)(즉, SCS 구간)은 50msec 시간구간에서 10%내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 또는 드웰 시간(dwell time)과 동일한 관찰 시간(observation time) 구간의 10%내의 시간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길이가 5msec인 DRS의 경우 SCS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하지만 SCS는 국가마다 규정(regulation)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고(유럽의 규정에는 포함되어 있으나 일본의 규정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음), SCS 구간동안 다른 비면허 대역의 디바이스들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Wi-Fi시스템에서 SCS는 Ack/Nack과 같은 제어신호 전달에 사용되므로, LAA 시스템과 Wi-Fi 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SCS를 이용하여 DRS를 전송하는 것은, DRS의 주기적인 전송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논의된 DRS 전송방식 및 설정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지역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지역(즉, 유럽)에서 유용할 수 있다. 하지만, DRS전송을 위해서 SCS를 이용하는 것은 지역적인 제한 없는 단일 해결책으로 사용될 수 없고, 측정된 결과값의 신뢰도가 낮으며 Wi-Fi 시스템과의 공존관점에서 단점이 존재한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DRS 전송을 위한 명시적 시그널링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DRS의 비주기적 전송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비주기적인 DRS 전송 방식에서, LAA 셀은 비면허 대역의 공유 채널에 대한 접근권한을 갖는 경우, 셀 탐색을 위한 디스커버리 신호를 기회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LAA UE는 비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 신호 탐지하고 이를 LAA eNB로 보고한다. 비주기적인 DRS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LAA UE에서 DRS를 인지하기 위해서 명시적인(explicit) 시그널링 절차(alt.1) 또는 암시적인(implicit) 방법(alt.2)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명시적 알림(explicit notification)으로 DRS의 전달 시점을 지시하는 alt.1에 대해서 설명한다. alt.1에서 LAA eNB는, LAA 셀을 통해 DRS를 전달하는 시점을, 신뢰성이 높은 면허대역의 셀을 통해서 시그널링 절차를 이용하여 LAA UE로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LAA UE는 면허대역의 셀을 통해 수신한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LAA 셀을 탐지하고 측정을 수행한다.
DRS 전달 시점은, LAA eNB와 LAA UE간의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RRC, MAC, 그리고 PHY 등 여러 계층의 동작절차를 이용하여 지시될 수 있다. MAC 계층 또는 RRC 계층 절차가 이용되는 경우, 시그널링의 송수신 및 처리에 수십 밀리초(millisecond)에서 수 초(second)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비해 물리계층의 시그널링 절차를 이용하는 경우, sub-frame단위(1msec)로 시그널링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LBT에 따른 비면허 대역 채널 점유 시간 및 시그널링의 처리시간 등을 고려하면, 물리계층 절차를 이용할 때 DRS 전달 시점이 적절하게 지시될 수 있다. 물리계층 시그널링으로 DRS 전달 시점을 지시하는 방법은 새로운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이용하는 방법(alt. 1-1) 및 새로운 물리채널을 이용하거나 기존 물리채널을 확장하는 방법(alt. 1-2)을 포함한다.
새로운 DCI를 이용하여 DRS 전달 시점을 지시하는 방법(alt. 1-1)은, LAA 셀이 DRS를 전송하는 경우, LAA eNB는 면허대역의 스케쥴링을 위해 전송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또는 향상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DCCH, EPDCCH))의 DCI에, LAA 셀이 설정된 시점에 DRS를 송신한다는 정보를 실어서 LAA UE에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이 때 LAA 셀의 주파수로 DRS가 전송되는 시점은, DRS 송신을 알려주는 정보가 전달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n, n+1 혹은 n+2 서브프레임((E)PDCCH의 전송 서브프레임=n)이 사용될 수 있고, 이것은 LAA eNB 및 LAA UE의 처리 성능에 따라 사전에 정의된다.
이 방법은 RRC 프로토콜을 통한 LAA 셀 탐색 설정단계와 (E)PDCCH를 통해 서브프레임별로 DRS의 전송시점을 지시하는 단계로 나뉠 수 있다.
RRC 프로토콜을 통한 LAA 셀 탐색 설정단계는, LAA 셀의 인식자와 LAA 셀이 동작하는 주파수 정보, 그리고 측정을 위한 CSI-RS 설정 정보가 LAA UE에게 전달되는 단계이다. RRC 프로토콜을 통한 LAA 셀 탐색 설정단계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전달절차 또는 RRC 측정 설정 절차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DRS의 전송시점을 지시하는 단계는, LAA 셀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DRS의 전송여부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LAA UE로 전달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위해서 기존에 제시된 DCI format 1C와 유사한 형태의 공통 탐색 구간(Common Search Space)을 갖는 새로운 LAA DCI가 사용될 수 있으며, DCI를 위한 새로운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사용될 수 있다. DRS의 전송시점을 지시하기 위해 도입되는 LAA DCI는, RRC 프로토콜 절차에서 제시된 각 LAA 셀에 대한 DRS 전송여부를 지시하는, 비트맵(bitmap) 형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LAA eNB는 LAA 셀 탐색 설정 단계에서 도 7의 왼쪽과 같이 RRC절차를 통해 4개의 LAA 셀 설정 정보를 전달하여 LAA 셀을 설정하고, 이후, 도 7의 오른쪽과 같은 DCI 정보를 LAA UE로 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DCI 정보의 비트맵이 "1, 0, 0, 1" 이므로, LAA UE는 Cell index#1 및 Cell index#4에 해당하는 LAA 셀에 대한 DRS를 수신하고 해당 LAA 셀에 대한 탐색 및 측정을 수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LAA 셀은 LAA-Scell에 대하여 CCA(또는 향상된 CCA(Enhanced CCA, ECCA))를 수행하고, CCA(ECCA) 결과를 LAA eNB로 보고한다(S801). 이때, 프레임 기반 기기(Frame Based Equipment, FBE) 알고리즘 기반 LBT를 사용하는 LAA eNB에 대해서는 CCA가 수행되고, 부하 기반 기기(Load Based Equipment, LBE) 알고리즘 기반 LBT를 사용하는 LAA eNB에 대해서는 ECCA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LAA eNB는 DRS 전송을 지시하는 DCI(또는 새로운 물리 채널)를 생성하고(S802) (e)PDCCH(또는 새로운 물리 채널) 및 DRS를 전송한다(S803). 그리고, LAA eNB로부터 (e)PDCCH를 수신한 LAA UE는 (e)PDCCH를 디코딩함으로써, DRS를 수신할 수 있다(S804).
또는, 물리계층 시그널링으로 DRS 전달 시점이 지시되는 경우, 새로운 물리채널이 이용되거나 기존 물리채널의 기능이 확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alt. 1-2). 하지만, LAA 셀의 DRS전달 시점을 지시하기 위해서 새로운 물리채널을 설계하는 것은 규격의 변경 및 물리채널의 기능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기존 물리채널을 변경을 통해서 DRS 전달 시점을 지시하는 방법에서는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또는 물리 HARQ 지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PHICH)가 고려될 수 있는데, PCFICH는 서브프레임내의 PDCCH 전송에 사용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symbol)의 개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므로 제어 포맷 지사자(Control Format Indicator, CFI) 정보 및 DRS 전달시점 정보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다. 그리고, PHICH는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전송에 대한 Ack/Nack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PUSCH 전송이 있을 경우에만 전송되므로, 이들 정보 역시 DRS 전달시점 정보와는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기존 물리채널을 확장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DRS 전달시점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S의 비주기적 전송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DRS를 수신하기 위하여, LAA UE는 지속적으로 LAA 셀을 모니터링 한다. 이때, LAA UE는 LAA 셀의 DRS 전송여부에 상관없이 사전에 설정된 주기로 LAA 셀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LAA eNB는, DRS 전송과 관련된 정보인, DRS 측정 타이밍 설정(DRS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DMTC) 정보를 LAA UE에게 설정하고 LAA UE는 DMTC 정보를 바탕으로 LAA 셀을 탐색한다. 그리고 LAA eNB는 (E)CCA의 결과에 따라 비면허 대역의 공유 채널에 대한 접근권한을 얻고,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DRS를 송신한다. 이때, LAA eNB가 FBE 기반의 LBT를 사용하는 경우, LAA eNB는 DRS전송 이전의 고정 프레임에서 CCA를 수행하고, CCA 결과를 기반으로 DRS 전송주기에 DRS 전송여부를 결정한다. LAA eNB가 LBE 기반의 LBT를 사용하는 경우, LAA eNB는 DRS전송 주기 이전의 임의의 시점에서 ECCA를 수행하고 비면허 대역 공유채널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고서 DRS를 전송한다. 그리고, LAA eNB는 ECCA 수행 중에 사전에 설정된 전송시점이 경과되는 경우, ECCA를 중지하고 해당 전송시점의 DRS 전송을 중단한다.
Alt.2를 이용하여 비주기적인 DRS수신을 위해서 LAA eNB는 아래 정보를 포함한 DMTC 정보를 LAA UE에게 전달하고, 이를 바탕으로 DRS 전송, LAA 셀의 탐색 및 측정 절차를 수행한다. DMTC 정보는, DRS 송신 주기(periodicity),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DRS 오케이션의 지속기간(Duration of DRS occasion), 그리고 측정을 위한 파라미터(CRS based, CSI-RS bas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LAA eNB는 DMTC 정보를 이용하여 LAA-SCell에 대해 CCA를 수행한다(S901). 이후 LAA eNB는 CCA 결과에 따라서, 채널이 혼잡한 경우(If channel is busy) 하향링크로 DRS를 전송하지 않거나 또는 채널이 혼잡하지 않으면 하향링크로 DRS를 전송한다(S902). 한편, LAA UE는 DRS 송신 주기를 바탕으로 LAA-SCell을 항상 모니터링 한다(미도시). 이때, LAA UE가 DRS를 수신하면, LAA UE는 동기화 및 측정(synchronization and measurement)(S903)을 수행한다.
지속적인 LAA 셀 모니터링을 통해 비주기적으로 DRS를 수신하는 경우, UE 측면의 측정(measurement)에서 비주기적인 DRS 전송(Transmission of DRS without periodicity) 문제(Issue 1) 및 이종 사업자의 DRS 측정(Measurement on other operator DRS) 문제(Issue 2)가 발생할 수 있다. Issue 1에서 제시된 비주기적인 DRS 전송은 LBT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으며, LAA UE는 비측정(No measurement) 또는 측정시점 재구성(Reconfiguration of measurement point)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비측정의 경우, LAA 셀로부터 DRS가 송신되지 않았으므로 LAA UE는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 형태이다. 이에 반해 측정시점 재구성은 전송주기에 따른 DRS의 전송시점에, LBT의 결과에 따라 DRS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측정주기를 기준으로 가변적인 윈도우를 설정하고, 설정된 윈도우 구간에서 DRS를 송/수신하는 형태이다.
비측정을 위한 방법으로, 명시적인 시그널링 절차가 이용되거나 암시적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명시적인 시그널링을 이용한 비측정은, 면허대역의 셀을 이용하여 물리계층 시그널링(LAA DCI 혹은 물리 채널)을 통해 DRS 송신여부를 알려주는 형태이다. 즉, LAA UE는 LAA 셀로부터의 DRS가 송신되는 경우에만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암시적 방식을 이용한 비측정은 LAA eNB 측면 및 LAA UE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LAA eNB 측면에서, (E)CCA 결과가 혼잡이면, LAA eNB는 LAA 셀에 대한 DRS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LAA UE 측면에서, LAA UE는 DMTC를 바탕으로 LAA-SCell을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DRS가 유효하면, LAA UE는 측정 절차(measurement procedure)를 수행한다.
한편, 측정시점 재구성은 측정주기를 기준으로 DRS 전송을 위한 구간범위를 설정하고 이 구간 범위내에서 DRS를 송/수신하는 형태이며, 이 방식은 명시적인 시그널링 절차 없이 동작 가능하다. 측정시점 재구성을 통한 DRS 송/수신 방법은 LAA eNB 측면 및 LAA UE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LAA eNB 측면에서, LAA eNB는 DMTC를 이용하여 DRS 탐색 윈도우(DRS searching window)를 설정하고, CCA 결과가 혼잡이고 현 시점(즉, CCA 수행 후 채널이 혼잡인 시점)이 탐색 윈도우 내에 위치한다면 LAA eNB는 탐색 윈도우 내에서 새로운 전송점(new transmission point)을 선택한다. 하지만, 현 시점이 탐색 윈도우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LAA eNB는 LAA 셀에 대한 DRS를 송신하지 않는다.
LAA UE 측면에서, LAA UE는, DMTC를 바탕으로 LAA SCell을 모니터링한다. 수신된 신호가 유효한 신호이면, LAA UE는 측정 절차를 시작한다. 하지만, 수신된 신호(즉, DRS)가 유효하지 않으면, LAA UE는 현 시점이 탐색 윈도우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탐색 윈도우 내라면 LAA UE는 다음 수신점(next reception point)을 재설정한다.
도 10은 한 실시예에 따른 측정시점 재구성을 위한 DMTC 파라미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측정시점 재구성을 위해서, DMTC는 탐색 윈도우 크기(Search window size), 방향(Direction), 그리고 탐색 윈도우 상의 DRS 전송 횟수(Number of DRS opportunities within search windo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탐색 윈도우 크기는 DRS 송/수신을 위한 동작 윈도우의 크기를 의미하고, 방향은 DRS의 송신 주기를 기준으로 한 탐색 윈도우의 시작점(DMTC periodicity - offset)의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오프셋이 마이너스 값(minus value)이면 DMTC 주기를 기준으로 DRS의 측정을 위한 탐색 윈도우가 왼쪽에 위치하고 오프셋이 플러스 값(plus value)이면 DMTC 주기를 기준으로 DRS의 측정 시점을 위한 탐색 윈도우가 오른쪽에 위치함이 지시된다. UE는, 탐색 윈도우 내에서 DRS를 탐색하는 방법으로서, 탐색 윈도우를 탐색 윈도우 상의 DRS 전송 횟수로 나누어 계산된 시점마다 DRS를 탐색하는 방법과, 탐색 윈도우 내의 모든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DRS를 탐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종 사업자의 DRS 측정 문제(Issue 2)는 서로 다른 사업자가 지역적으로 동일한 서비스 지역에서 동일한 DMTC를 통해 DRS를 전송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불필요한 측정보고 절차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더가 증가 할 수 있다. 따라서, LAA eNB의 입장에서 LAA UE로부터 전달되는 DRS 측정보고가 측정 설정에서 지시된 LAA 셀에 해당하는 것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LAA eNB는 LAA UE로부터 LAA 셀에 대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한 후, 측정 보고된 LAA 셀의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 PCI) 및 LAA eNB가 설정한 PCI를 비교하여 다른 사업자와 DMTC 설정의 충돌이 발생함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LAA eNB는 충돌이 발생한 경우 설정된 DMTC 변경을 통해 충돌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LAA를 위한 측정 보고 절차는 탐색된 LAA 셀의 PCI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비주기적인 DRS 송/수신 절차는 FBE 혹은 LBE 기반의 LBT 절차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11은 한 실시예에 따른 LAA 셀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LAA 셀이 탐색된 이후 LAA eNB의 제어에 따라 LAA 셀을 이용하여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셀의 설정 및 활성화 등의 절차가 요구된다. 아래에서는 LAA 셀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LAA 셀은 RRC Connected 상태(S1101)에 있는 LAA UE들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LAA 셀 설정 절차는, LAA UE로부터의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S1102) 또는 LAA eNB의 결정(S1103)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CA 동작절차를 고려하면 LAA 셀은 RRC 계층 및 MAC 계층의 동작을 통해 설정/제어될 수 있다. RRC 계층에서는 LAA 셀의 추가, 변경 그리고 해제와 같은 LAA 셀 설정제어를 수행한다(S1104). MAC 계층에서는 설정된 LAA 셀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절차를 수행한다(S1105). 그리고 물리계층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물리계층 절차(스케쥴링 또는 시그널링)를 바탕으로 LAA 셀의 On/Off제어를 수행한다(S1106).
LAA 셀은 사용자 트래픽의 존재 유무, 비면허 대역 채널에 대한 접근권한 등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비연속적으로 전송을 수행하므로, LAA 셀의 On/Off를 통한 전송제어가 필요하다. LAA 셀의 On/Off는 아래 절차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핸드오버 기반(handover-based) on/off: 3계층 동작절차
- DC (Dual Connectivity)-based on/off: 3계층 동작절차
- CA (Carrier Aggregation)-based on/off: 2계층 동작절차
- L1 (Layer1) -based on/off: 1계층 동작절차
하지만 규정에서 제시된 최대 채널점유 시간과 LBT 동작은 밀리초 혹은 수십 밀리초단위의 on/off 동작을 요구하므로, 기존의 3계층 혹은 2계층의 동작절차를 이용하여 LAA 셀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LAA 셀의 On/Off를 통해 기회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서브프레임 단위 혹은 복수의 서브프레임 단위(즉, 10msec 이하)로 LAA 셀을 제어해야 하므로,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계층을 통해서 LAA 셀을 On/Off 할 수 있다.
LAA 셀은 LBT를 기반으로 비면허 대역의 채널을 예약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송을 수행하므로, 한 실시예에서는 LAA 셀의 On/Off 정보가 암시적 방식(Implicit scheme:alt.1) 또는 명시적 방식(Explicit scheme:alt.2)으로 LAA UE에게 전달된다.
먼저, 암시적 방식으로 LAA 셀의 On/Off 정보를 LAA UE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암시적 스킴(scheme)을 이용한 On/Off 제어 방법은, 추가적인 물리계층 시그널링 없이 스케줄링을 통해 LAA 셀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암시적 스킴을 이용한 LAA 셀의 On/Off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LAA 셀의 On/Off 제어 방법은, 면허대역 셀의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with licensed cell)(alt.1-1)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 형태는, LAA 셀은 면허대역의 셀에 대해 보조적인 형태로 동작하므로, 크로스-캐리어 스케쥴링을 통해 비면허대역의 셀을 스케쥴링하고 LAA UE에게 LAA 셀의 on/off를 지시하는 것이다. 이때, LAA UE는 지속적으로 PCell의 (E)PDCCH를 모니터링하고(S1201), (E)PDCCH에 LAA 셀의 스케쥴링이 포함된 경우(S1202), LAA 셀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시적 스킴을 이용한 LAA 셀의 On/Off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LAA 셀의 On/Off 제어 방법은, 동일 캐리어 스케줄링(same carrier scheduling)(alt.1-2)이라고 불리울 수 있다. 이 형태는, LAA UE가 LAA 셀의 스케쥴링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해당 셀의 On/Off를 인지하는 것이다. 이때, LAA UE는 지속적으로 LAA 셀의 (E)PDCCH를 모니터링하고(S1301), (E)PDCCH에 LAA 셀의 스케쥴링이 포함된 경우(S1302), LAA 셀의 PDSCH/PUSCH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 LAA 셀의 셀 On/Off가 수행되는 경우, alt.1-1은 alt.1-2에 비해 LAA UE의 배터치 소모 측면에서는 장점을 갖지만 면허대역 셀의 (E)PDCCH의 일부를 사용하여 스케줄링이 수행되므로, (E)PDCCH에서 혼잡이 발생할 수 있다. alt.1-2는 LAA 셀의 (E)PDCCH를 통해 스케줄링이 수행되므로 면허대역 (E)PDCCH 자원에 대한 영향이 없지만 비연속적으로 송신되는 LAA 셀의 (E)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LAA UE가 alt.1-1에 비해 더 많은 배터리를 소모할 수 있다.
도 1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명시적 스킴을 이용한 LAA 셀의 On/Off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명시적 스킴을 이용한 LAA 셀의 On/Off 제어 방법은 추가적인 물리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LAA 셀의 On/Off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앞서 설명한 비주기적 DRS 전송과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이 방법에 따르면, 신뢰성이 높은 면허대역의 셀을 이용하여 LAA 셀의 On/Off 제어를 위한 새로운 DCI 또는 새로운 물리채널이 전송될 수 있고, 새로운 DCI 또는 새로운 물리채널을 수신한 LAA UE는 LAA 셀에서 전송된 물리채널을 디코딩하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LAA 셀은 비면허 대역의 공유 채널에 대한 (E)CCA를 수행하여 접근권한을 획득하고(S1401), LAA 셀의 On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면허대역의 셀을 통해 LAA UE로 전달한다(S1402). 이후, LAA 셀의 On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LAA UE는 LAA 셀의 PDCCH를 디코딩하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403). 암시적 스킴의 경우, 크로스-캐리어 스케쥴링으로 인해 면허대역 자원의 혼잡이 높아질 수 있고 LAA 셀의 (E)PDCCH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따른 LAA UE의 배터리 소모가 많아 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암시적 스킴은 물리계층의 새로운 시그널링 도입하지 않기 때문에 규격에 대한 영향 및 물리계층 절차의 복잡성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에 비해 명시적 스킴의 경우, 물리계층의 새로운 시그널링 절차 도입에 따른 복잡성은 높아지고 (E)PDCCH 처리에 대한 지연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으나 LAA UE의 배터리 소모가 낮아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캐리어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비면허 대역은 사용 가능한 복수의 캐리어들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비면허 대역의 복수의 캐리어는 동적으로 선택되고 효율적으로 분산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특정 캐리어에서 동작하는 비면허 대역 장비의 수가 많거나 비면허 대역 장비로부터의 간섭이 많을 경우, 비면허 대역 캐리어에서 동작하는 LAA 셀의 이용효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LAA 셀은, 비면허 대역에 있는 복수의 캐리어를 통신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선택하고, 캐리어간의 이동을 통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LAA 셀 측면의 비면허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비면허 대역의 복수의 캐리어가 포함된 캐리어 풀 (Carrier Pool)이 도입된다. LAA 셀은 캐리어 풀에서 통신 환경에 적합한 하나의 캐리어를 선택한 후 이를 이용하여 LAA UE와 통신하며, 캐리어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캐리어를 변경하면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동적 캐리어 설정 방법의 한 가지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LAA 셀 #1은 캐리어 #1과 캐리어 #2로 구성된 캐리어 풀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채널을 변경하면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LAA 셀은 시간 T1까지는 캐리어 #1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고 T1과 T2사이의 시간은 동적 캐리어 설정 절차를 통해 캐리어 #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한다. 시간 T2 이후 LAA 셀 #1은 동적 캐리어 설정 절차를 통해 다시 캐리어 #1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LAA 셀의 동적 캐리어 변경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면허대역의 셀을 이용하여 RRC 연결 설정(connection setup) 절차를 수행할 때 LAA eNB는 LAA UE의 능력(capability)을 확인한다(즉, RF capability, …). 이후, LAA eNB는 캐리어 집성을 통해 LAA 셀이 보조 셀(Seconary cell)로 설정될 때, LAA 셀이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동작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LAA UE와 교환(RRC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이후, LAA eNB는 LAA 셀을 보조 셀로 설정한 LAA UE에게 앞에서 설정된, LAA 셀에서 동작 가능한 주파수 정보가 포함된 측정 설정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지시한다.
이후, LAA UE는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LAA eNB로 보고한다. LAA eNB는 수신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기반으로 캐리어 집성을 통해 LAA 셀을 보조 셀(Seconary cell)로 활성화하고, 복수의 동작 주파수 중에서 통신이 수행되는 실제 동작 주파수를 지정(MAC 절차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LAA eNB에서 수신한 측정 보고는 물리 계층의 측정 정보 또는 RRC 계층의 측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이 진행되는 도중에 동작 주파수가 변경되는 경우, LAA eNB와 LAA UE는 새로운 주파수에 대한 설정 시간을 위해,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LAA eNB가 LAA UE에게 측정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 LAA UE가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LAA eNB로 보고하는 단계, 그리고 LAA eNB에서 캐리어 집성을 수행하고 실제 동작 주파수를 지정하는 단계는 모두 LAA eNB 및 LAA UE 간 통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6은 LTE LAA에서의 숨겨진 노드 문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IEEE 802.11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의 경우, 무선 노드는 통신을 하기 위해서, 주파수 검출을 통해 채널의 상황을 감지한다. 그리고 무선 노드는 채널이 비어있을 경우에만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채널이 사용되고 있다면, 무선 노드는 임의의 백오프(Random Back-off) 시간을 기다린 후 다시 주파수 검출을 수행한다. 이때 채널 센싱을 통해서 채널을 검색하더라도 발견되지 않는 노드가 숨겨진 노드(Hidden Node)라고 지칭되며 숨겨진 노드는 두 노드 사이의 무선 통신 중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WLAN과 유사하게 비면허 대역의 LTE LAA에서도 숨겨진 노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숨겨진 노드 문제는 서로 다른 LTE LAA 사업자가 운영하는 셀 또는 LAA 셀과 Wi-Fi 셀 간에 발생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UE#01-A 및 UE#02-A는 LAA 사업자#1에서 제공하는 LAA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며 각 UE는 LAA 사업자#2 또는 WLAN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신호 전송에 따른 숨겨진 노드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숨겨진 노드 문제는 동일 사업자 내의 셀들, 서로 다른 사업자의 셀간, 또는 LAA 셀과 Wi-Fi 셀간에 발생할 수 있으며, 협력(coordination)측면에서 해결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즉, 동일 사업자 내의 셀들은 X2 인터페이스와 같은 기지국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하는 주파수 및 채널의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숨겨진 노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로 다른 사업자의 셀간 또는 LAA 셀과 Wi-Fi 셀간의 숨겨진 노드 문제는 협력이 불가능하므로 새로운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해결할 필요가 있다. 서로 다른 사업자의 셀 간 또는 LAA 셀과 Wi-Fi 셀 간의 숨겨진 노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TS(request to send)/CTS(clear to send) 기반의 방식 및 LTE 측정 기반의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7은 한 실시예에 따른 RTS/CTS 기반의 숨겨진 노드 문제 해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RTS/CTS기반의 숨겨진 노드 문제 해결 방법은, LAA eNB와 LAA UE간의 Wi-Fi 기능이 가능하고, LAA 서비스 시에 LAA eNB 및 LAA UE는 Wi-Fi 모듈을 이용하여 RTS/CTS 프레임의 송/수신이 가능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RTS/CTS 기반의 동작에서, LAA 셀이 비면허 대역의 공유채널에 접근하는 경우, LAA 셀은 (E)CCA를 통해 채널에 대한 접근권한을 획득한 후 Wi-Fi의 제어 프레임인 RTS/CTS 교환을 통해서 채널을 예약함으로써 숨겨진 노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RTS/CTS 기반의 방식은 FBE-based LBT 혹은 LBE-based LBT에 적용 가능하며 RTS/CTS 기반 메커니즘, CTS 기반 메커니즘, 그리고 RTS/CTS 듣기 및 채널 센싱(listening & Channel Sensing)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먼저, RTS/CTS 기반의 메커니즘은, 아래 절차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E)CCA를 통해 채널 접근 권한을 가진 LAA eNB는 RTS 프레임을 LAA 셀의 UE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LAA eNB로부터 RTS 프레임을 수신한 LAA UE는 CTS 프레임을 전달한다. 따라서, 채널 예약(channel reservation) 및 숨겨진 노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이후 (E)PDCCH를 통해 스케줄링이 수행되고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LTE 시스템의 eNB는 1msec 구간의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UE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1:1방식의 Wi-Fi 통신방식과는 다른 것이다. 즉 기존 Wi-Fi에서의 RTS/CTS 방식은 1:1을 동작을 기본적으로 가정하는데 비해 LTE에서는 1:n의 동작을 가정한다. 따라서 LTE LAA에서 RTS/CTS 전송을 통해 숨겨진 노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먼저, RTS 프레임의 수신 주소 설정을 통한 RTS/CTS 전송(Alt.1)이 고려될 수 있다. RTS 프레임의 수신 주소 설정을 통한 RTS/CTS전송은, LAA eNB는 WLAN의 인식자와 LTE에서 사용하는 인식자에 대한 맵핑 테이블을 유지하고, LAA 셀에서 스케쥴링될 LAA UE에 대해서만 RTS/CTS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아래와 같은 수신기 주소(Receiver Address, RA) 설정 방법을 이용될 수 있다.
- Alt.1-1: 멀티캐스트 주소(multicast address)를 이용하는 방법
미리 설정된 multicast주소를 이용하여 RTS 프레임의 RA를 전달하고, RTS 프레임의 RA를 수신한 LAA UE가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WLAN규격에서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 관리 등 멀티캐스트 관련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 Alt.1-2: 복수의 유니캐스트 주소(unicast address)를 이용하는 방법
서브프레임내에서 스케쥴링되는 각 LAA UE에 대해서 복수의 RTS/CTS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간영역(Time Domain) 스케쥴링 시간(time)을 고려하여 RTS/CTS절차를 수행할 수 있지만, 동작의 복잡성이 높고 다수의 RTS/CTS 송/수신에 따른 무선자원의 사용량이 높은 단점이 있다.
- Alt.1-3: 대표 UE의 유니캐스트 주소를 이용하는 방법.
서브프레임내에서 스케쥴링 되는 모든 LAA UE 중 대표 LAA UE를 선택하고, 선택된 LAA UE와 LAA eNB간의 RTS/CTS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위해, LAA UE의 위치 파악 및 대표 LAA UE 선택이 필요하고, LAA UE가 분산배치된 경우, Alt.1-2와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또는,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당 하나의 UE에게만 스케쥴링(Alt.2)이 고려될 수 있다. LAA 셀의 특정 서브프레임 안에서 하나의 LAA UE만 스케쥴링 되는 방식이며, 서브프레임 안에서 송신 및 수신의 1:1 통신구조가 성립되어 Wi-Fi와 유사하게 RTS/CTS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스케쥴링 되는 LAA UE의 트래픽량에 따라 무선자원의 낭비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8은 한 실시예에 따른 eNB 기반의 CTS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9는 한 실시예에 따른 UE 기반의 CTS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CTS 기반 메커니즘에 따르면, LAA 셀은 RTS는 사용하지 않고 CTS 송신으로만 비면허 대역의 공유채널을 점유할 수 있다. CTS 기반 메커니즘은, eNB기반의 CTS 방식과 UE기반의 CTS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eNB기반의 CTS 방식에 따르면, (E)CCA를 통해 채널 접근 권한을 가진 LAA eNB는 CTS 프레임을 전달하고(S1801), 이후, (E)PDCCH를 통해 크스케줄링이 수행되고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S1802). 이때, eNB기반의 CTS 방식은 LAA UE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노드에 대한 전송지연(Transmission deferring)이 불가하므로 UE측면의 숨겨진 노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도 19를 참조하여, UE기반의 CTS 방식에 따르면, (E)CCA를 통해 채널 접근 권한을 가진 LAA eNB는 면허 대역의 Pcell을 통해 LAA UE에게 CTS 프레임 전달요청을 송신하고(S1901), LAA eNB로부터 CTS 프레임을 전달요청을 수신한 LAA UE가 CTS 프레임을 전달한다(S1902). 이후, (E)PDCCH를 통해 스케줄링이 수행되고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S1903). 이때, UE기반의 CTS 방식은 LAA eNB에서 설정한 모든 LAA UE들이 CTS 프레임을 전송해야 하므로 1:n 스케줄링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인접한 LAA UE 사이에서, 채널에 대한 채널 센싱없이 CTS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인접한 LAA UE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송되는 CTS 프레임들간의 전송시점이 조정(coordination)되는 경우, 추가적인 무선자원의 사용이 필요하다.
도 20은 한 실시예에 따른 RTS/CTS 듣기 및 채널 센싱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RTS/CTS 듣기 및 채널 센싱 메커니즘은 먼저, RRC Connected mode의 LAA UE가 Wi-Fi 모듈을 활성화하고, 비면허 대역의 공유채널에 대한 채널 센싱 및 비면허 디바이스들이 전송하는 RTS/CTS 프레임을 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시작된다. 이후, LAA UE는 채널 센싱 및 RTS/CTS 프레임 수신을 통해 획득된, Wi-Fi 디바이스의 비면허 대역 공유 채널에 대한 예약(reservation) 상태를 LAA eNB로 전달한다(S2001). 이후, LAA eNB는 LAA UE로부터 수신한 채널 예약 정보를 채널 (재)선택(channel selection) 및 스케줄링에 활용한다(S2002). 다만, WLAN 규격에서는 특정 길이보다 짧은(2437Btyes보다 짧은) 프레임의 경우 RTS/CTS가 선택적으로 사용되므로, RTS/CTS 듣기 및 채널 센싱 메커니즘을 통해서는 모든 숨겨진 노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이 경우에도 LAA UE의 지속적인 채널 센싱이 필요하다. 또한, RTS/CTS 듣기 및 채널 센싱 메커니즘을 위해서, RRC 수준의 설정 절차 및 물리계층 수준의 보고 절차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다음으로 LTE 측정 기반의 숨겨진 노드 문제 해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1은 한 실시예에 따른 LTE 측정 기반의 숨겨진 노드 문제 해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LTE 측정 기반 방식은, LTE에서 제공되는 측정 절차를 이용하여 LTE LAA의 숨겨진 노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즉, LTE 측정을 통해 SNR(signal to noise ratio) 또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알아내고, 이를 이용하여 비면허 대역의 공유 채널의 상태 및 다른 사업자의 LAA 전송 또는 Wi-Fi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채널의 순간적인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긴 시간 동안의 채널 상태 보다는, 순간적인 CSI(channel stage indication) 측정이 더 적합하다. LTE 측정 기반의 숨겨진 노드 문제 해결 방법에 따르면, LAA eNB는 LAA UE에 대해 CSI 측정을 위한 설정을 수행하고, LAA UE가 비면허 대역의 공유 채널에 대한 CSI 측정을 수행한 후 측정 결과를 LAA eNB로 보고한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 LAA eNB는 LAA UE에 대해 측정 설정(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수행한다.
주기적 측정(Periodic measurement)의 경우 RRC configuration(cqi-ReportPeriodic of cqi-ReportConfig in PhysicalConfigDedicated)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비주기적 측정(Aperiodic measurement)의 경우 RRC configuration (cqi-ReportModeAperiodic of cqi-ReportConfig in PhysicalConfigDedicated)에 의해 설정된다.
- 다음, LAA UE는 LAA eNB가 지시한 형태로 측정을 수행하고 주기적(periodic) 또는 사건 기반(event driven) 형태의 비주기적 측정 보고(aperiodic measurement report)를 LAA eNB에게 보고한다.
이때, 서브밴드 측정(Sub-band measurement)보다는 광대역 측정(wideband measurement)이 고려된다. 주기적 측정에서는 설정된 주기 및 리포팅에 기반한 측정이 수행된다(Measurement based on configured periodicity and reporting).
그리고, 비주기적 측정에서는 DCI 포맷 0/4으로 측정이 개시되고, n+k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측정 보고가 보고된다(Initiated by DCI format 0/4 , measurement report on n + k sub-frame). 그리고, LAA 셀을 통한 스케줄링이 고려되는 n - k sub-frame에서, DCI를 통해 CSI 측정 리포팅(CSI measurement reporting)이 지시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리포팅(Measurement reporting)으로서, 향상된 레거시 L1 피드백(Enhanced legacy L1 feedback)이 필요하다.
- 다음, LAA eNB는 LAA UE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선택(channel selection) 및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도 22는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2210)과 사용자 장비(2220)를 포함한다.
기지국(2210)은, 프로세서(processor)(2211), 메모리(memory)(2212), 그리고 무선 통신부(radio frequency unit, RF unit)(2213)를 포함한다. 메모리(2212)는 프로세서(22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2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또는 프로세서(2211)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13)는 프로세서(22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프로세서(2211)는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제안한 기능, 과정, 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기재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은 프로세서(22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210)의 동작은 프로세서(22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2220)는, 프로세서(2221), 메모리(2222), 그리고 무선 통신부(2223)를 포함한다. 메모리(2222)는 프로세서(22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2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또는 프로세서(2221)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23)는 프로세서(22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1)는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제안한 기능, 단계, 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기재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은 프로세서(22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2220)의 동작은 프로세서(22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기지국에서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 DRS)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의 모니터링을 위해, 상기 DRS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로서 DRS 측정 타이밍 설정(DRS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DMTC)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 권한이 획득된 이후 상기 비면허 대역의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DRS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DRS를 바탕으로 상기 채널을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RS 송신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사용자 장비 사이의 물리 계층의 측정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의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DRS 송신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DRS는 동기 신호 및 셀 특정 참조 신호(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RS)를 포함하는, DRS 송신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DRS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를 더 포함하는, DRS 송신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DRS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DRS의 전달 시점을 면허대역 셀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알려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RS 송신 방법.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DMTC 정보는,
    상기 DRS의 송신 주기,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DRS 오케이션의 지속기간(Duration of DRS occasion), 그리고 측정(measurement)을 위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RS 송신 방법.
  8. 삭제
  9. 기지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자 장비의 모니터링을 위해,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 DRS)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로서 DRS 측정 타이밍 설정(DRS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DMTC)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 권한이 획득된 이후 상기 DRS를 상기 비면허 대역의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DRS를 바탕으로 상기 채널을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기지국.
  10. 제9항에서,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사용자 장비 사이의 물리 계층의 측정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의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11. 제9항에서,
    상기 DRS는 동기 신호 및 셀 특정 참조 신호(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RS)를 포함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서,
    상기 DRS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13. 제1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DRS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DRS의 전달 시점을 면허대역 셀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알려주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기지국.
  14. 삭제
  15. 제9항에서,
    상기 DMTC 정보는,
    상기 DRS의 송신 주기,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DRS 오케이션의 지속기간(Duration of DRS occasion), 그리고 측정(measurement)을 위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6. 삭제
  17. 단말이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 DRS)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DRS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로서 DRS 측정 타이밍 설정(DRS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DMTC)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DMTC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된 탐색 윈도우에서 상기 DRS를 탐색하는 단계 - 상기 DRS는 비면허 대역의 채널에 대한 접근 권한이 기지국에 의해 획득된 이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비면허 대역의 상기 채널을 통해 전송됨 -, 그리고
    상기 DRS를 바탕으로 상기 비면허 대역의 상기 채널을 측정하여 측정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RS 수신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탐색 윈도우는, 상기 DMTC 정보에 포함된 탐색 윈도우 크기 및 방향을 바탕으로 결정되는, DRS 수신 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방향이 마이너스 값이면, 상기 DRS의 송신 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탐색 윈도우가 왼쪽에 위치하고, 상기 방향이 플러스 값이면, 상기 DRS의 송신 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탐색 윈도우가 오른쪽에 위치하는, DRS 수신 방법.
  20. 제17항에서,
    상기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 윈도우를 상기 DRS의 전송 횟수로 나누어 계산된 시점마다 상기 DRS를 탐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RS 수신 방법.

KR1020160011990A 2015-01-30 2016-01-29 비면허대역을 이용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49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12,190 US10219159B2 (en) 2015-01-30 2016-02-0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using unlicensed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555 2015-01-30
KR20150015555 2015-01-30
KR20150095428 2015-07-03
KR1020150095428 2015-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876A KR20160094876A (ko) 2016-08-10
KR102495208B1 true KR102495208B1 (ko) 2023-02-06

Family

ID=5671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990A KR102495208B1 (ko) 2015-01-30 2016-01-29 비면허대역을 이용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4926A4 (en) * 2016-09-30 2019-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O2020033364A1 (en) * 2018-08-09 2020-02-13 Kyocera Corporation Handover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s using unlicensed frequency band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41268*
3GPP R1-142974*
3GPP R1-144801*
3GPP R2-1432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876A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9245B1 (en) Terminal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RU2734656C2 (ru)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EP3334201B1 (en) Terminal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CN108353426B (zh) 增强型有执照辅助式接入上行链路信道接入
US20190313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lte waveforms in shared spectrum by carrier sensing
US11219061B2 (en) Listen-before-talk (LBT) modes for random access procedures
US9794033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opportunistic networking
EP3334234B1 (e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862492B1 (ko) 정보 송신 방법,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CN110036685A (zh) 用于适应随机接入配置来控制与基于srs载波的切换相关联的中断的方法和装置
KR102410280B1 (ko) 무선 자원 집성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20030522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covery Process for Cross Link Interference Measurements
US202101126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occasion validation for 2-step random access channel (rach)
JP2019057748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12219444B (zh) 用于双连接的通信资源配置
KR102495208B1 (ko) 비면허대역을 이용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8478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me domain ICIC with muting pattern comprising fixed and optional parts
CN109565665B (zh) 用于异步网络中的scell的发现信号测量定时配置
JP2019075596A (ja)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RU2776680C1 (ru)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EP4292363A1 (en) Method of handling bandwidth part switch during multipl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tuneaway
KR20160054396A (ko) 비면허 대역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60094255A (ko) 비면허 대역에서의 채널 점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