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751B1 -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751B1
KR102489751B1 KR1020220054783A KR20220054783A KR102489751B1 KR 102489751 B1 KR102489751 B1 KR 102489751B1 KR 1020220054783 A KR1020220054783 A KR 1020220054783A KR 20220054783 A KR20220054783 A KR 20220054783A KR 102489751 B1 KR102489751 B1 KR 102489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filter
outlet
filter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석
박서영
Original Assignee
박진석
박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석, 박서영 filed Critical 박진석
Priority to KR102022005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1/042Details thereof,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천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하우징에 마련된 제 1 필터부로 여과하여 일부는 우수관로로 배출하고 나머지 일부는 빗물저류조로 안내되도록 하고, 빗물저류조로 안내되는 1차 여과된 빗물을 제 2 필터부를 통해 재차 여과한 후 빗물저류조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중으로 빗물을 여과시켜 정화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무동력으로 빗물을 정화하여 유지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여과장치에 전자기기가 포함되지 않아 부식이나 파손에 따른 빈번한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 Non-powered rainwater filtration device }
본 발명은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하우징에 마련된 제 1 필터부로 여과하여 일부는 우수관로로 배출하고 나머지 일부는 빗물저류조로 안내되도록 하고, 빗물저류조로 안내되는 1차 여과된 빗물을 제 2 필터부를 통해 재차 여과한 후 빗물저류조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중으로 빗물을 여과시켜 정화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무동력으로 빗물을 정화하여 유지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여과장치에 전자기기가 포함되지 않아 부식이나 파손에 따른 빈번한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우리나라는 물부족현상이 조심스럽게 예측되고 있는 실정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물을 확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대안사항이 매우 중요한 이슈(issue)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상수원의 오염이 가속화됨에 따라 상수원을 보호할 목적으로 상수원보호구역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고, 기후변화 및 향후 물 부족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한번 사용한 물을 재사용하는 친환경 수자원 즉, 빗물, 생활하수(기설정된 기준 오염도 이하인 하수, 예: 세면대 하수 등) 의 재이용 촉진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물재이용 관리계획 수립 세부지침과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한정된 수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버려지는 물(생활하수 등)을 재이용하는 자원 에너지장치를 도입함으로써 녹색성장을 선도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즉, 빗물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종합운동장, 체육관, 공공청사, 일반건축물 등을 건축할 경우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 운영하도록 하고 있고, 생활하수를 재처리하여 각종 용수로 재이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여름철에 우천이 집중되고 있어 빗물을 효율적으로 모으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빗물 여과 장치에 대한 효율적인 구조도 제안되고 있지 않아서 빗물이나 생활하수의 재사용 효율이 매우 낮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방법으로는 갈수기의 물부족을 대비하여 학교, 공공시설 및 가정 등에서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설치하고, 저장탱크의 저장되는 빗물의 수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초기강수배제장치, 침전물 배출장치, 여과장치, 염소소독장치 등을 설치하여 우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조경용수나 세척용수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우수여과장치는 집수면을 거처 수평홈통과 수직 낙수관을 통해 빗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을 특별한 처리시설이 없이 사용하기 때문에 저장탱크에 쉽게 침전물의 퇴적, 미생물 발생 및 성장으로 인한 수질오염과 각 배관의 막힘 등의 현상으로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워서 수요자가 깨끗한 빗물을 이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우천시 초기우수에 함유된 다량의 이물질을 쉽게 배제할 수 있고, 우수를 간단하게 정화처리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우수여과장치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여과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관(300)으로 유입되는 빗물저류조(200)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빗물의 흐름 및 정화를 제어하는 다수의 전자밸브(400)와 센서(410)로 이루어져 있어, 센서(410)의 신호를 전달받아 전자밸브(400)를 구동하는데 동력이 소요되어 유지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습기에 의해 전자밸브와 센서에 내장된 전자기기들이 쉽게 부식되거나 파손되어 빈번하게 유지보수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7033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우천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하우징에 마련된 제 1 필터부로 여과하여 일부는 우수관로로 배출하고 나머지 일부는 빗물저류조로 안내되도록 하고, 빗물저류조로 안내되는 1차 정화된 빗물을 제 2 필터부를 통해 재차 여과한 후 빗물저류조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중으로 빗물을 여과시켜 정화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무동력으로 빗물을 정화하여 유지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여과장치에 전자기기가 포함되지 않아 부식이나 파손에 따른 빈번한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무동력 빗물 여과장치는, 빗물이 유입되도록 빗물유입구가 형성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우수관로로 배출시키는 우수배출구가 형성되며, 빗물을 빗물 저류조로 이동시키는 저류배출구가 형성된 여과하우징; 상기 여과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빗물유입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1 필터부; 및 상기 저류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저류배출구로 배출되는 빗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2 필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필터부는 상기 여과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빗물유입구에서 유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내부다공케이싱과, 상기 내부다공케이싱을 감싸면서 끼움되는 간격브라켓과, 상기 내부다공케이싱 및 상기 간격브라켓을 감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내부다공케이싱을 관통한 빗물의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는 외부다공케이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필터부는 상기 저류배출구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저류안내관과, 상기 저류안내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류배출구를 통해 이동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저류여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류여과부는, 상기 저류안내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여과망과, 상기 내부여과망을 감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내부여과망을 관통한 빗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마이크로 백필터와,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를 감싸면서 배치되는 외부여과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안내관에는 상기 저류여과부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빗물의 이동이 정체되어 높아지는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게이지가 더 마련되어, 상기 압력게이지에서 측정된 수치를 기반으로 상기 저류여과부를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는 우천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하우징에 마련된 제 1 필터부로 여과하여 일부는 우수관로로 배출하고 나머지 일부는 빗물저류조로 안내되도록 하고, 빗물저류조로 안내되는 1차 여과된 빗물을 제 2 필터부를 통해 재차 여과한 후 빗물저류조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중으로 빗물을 여과시켜 정화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무동력으로 빗물을 정화하여 유지비용이 대폭 절감되며, 여과장치에 전자기기가 포함되지 않아 부식이나 파손에 따른 빈번한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빗물 여과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의 내부다공케이싱과 간격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의 제 2 필터부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의 제 2 필터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의 체크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의 제 2 필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종래의 빗물 여과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의 내부다공케이싱과 간격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의 제 2 필터부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의 제 2 필터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의 외부다공케이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의 제 2 필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빗물 여과 장치라 명명함)는 우천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 후 일부는 우수관로로 배출시키고 일부는 저장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빗물 여과장치로서, 이에 이와 같은 빗물 여과 장치(10)는 여과하우징(20)과 제 1 필터부(30)와 제 2 필터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하우징(20)은 빗물이 유입되도록 빗물유입구(21)가 형성되고,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을 우수관로로 배출시키도록 우수배출구(22)가 형성되며, 빗물을 빗물저류조로 이동시키도록 저류배출구(23)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하우징(20)은 중공의 관구조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구(21)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 1 필터부(30)에 의해 여과된 빗물이 우수관로로 배출되도록 우수배출구(22)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하우징(20)에는 외면에 여과된 빗물을 빗물저류조에 저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저류배출구(23)가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저류배출구(23)는 상기 여과하우징(20)의 중앙부분에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여과하우징(20)은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여과하우징(20)는 양단부에 플랜지관을 탈착가능하게 끼운 후 나사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30)는 상기 여과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빗물유입구(21)로 유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된다.
상기 제 1 필터부(30)는 상기 여과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어 빗물유입구(21)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전달받아 여과하는 내부다공케이싱(31)과, 상기 내부다공케이싱(31)을 감싸면서 끼움되는 간격브라켓(32)과, 상기 내부다공케이싱(31) 및 상기 간격브라켓(32)을 감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내부다공케이싱(31)을 관통한 빗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외부다공케이싱(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브라켓(32)은 상기 내부다공케이싱(31)에 억지끼움되거나 끼움된 후 나사체결되는 한 쌍의 간격링과 상기 간격링들을 연결하는 연결샤프트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링과 상기 연결샤프트들은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외부다공케이싱(33)은 상기 간격브라켓(32)을 감싸면서 억지끼움되며, 상기 간격브라켓(32)에 의해 상기 내부다공케이싱(31)과 상기 외부다공케이싱(33) 사이에 여과공간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내부다공케이싱(31)과 상기 외부다공케이싱(33)은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다공케이싱(31)과 상기 외부다공케이싱(33)은 금속의 다공케이싱 또는 망구조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여과하우징(20)의 내부에는 양측에 고정링(34)이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링(34)들을 연결하며 상기 내부다공케이싱(31)이 끼움되어, 상기 내부다공케이싱(31)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다공케이싱(31)의 통수공 내경은 상기 외부다공케이싱(33)의 통수공 내경보다 작게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우수배출구(22)에는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5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크 밸브(516)는 우수관로(5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우수배출구(22)를 통해 우수관로로 배출되는 빗물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즉, 체크밸브(516)는 우수배출구(22)를 통해 우수관로로 배출되는 빗물은 통과시키고, 우수관로(530)로부터 우수배출구(22)로 유입되는 하수는 차단시킴으로써 우수관로를 통해 하수가 역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 제 2 필터부(40)는 상기 여과하우징(20)에 설치되어, 상기 저류배출구(23)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 제 2 필터부(40)는 상기 저류배출구(23)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저류안내관(41)과, 상기 저류안내관(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류배출구(23)를 통해 이동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저류여과부(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류여과부(42)는 상기 저류안내관(4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여과망(421)과, 상기 내부여과망(421)을 감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내부여과망(421)을 관통한 빗물의 이물질얼 걸러내는 마이크로 백필터(422)와,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422)를 감싸면서 배치되는 외부여과망(4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여과망(421)과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422) 및 상기 외부여과망(423)은 일단에 유입구를 갖는 케이싱 또는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필터부(30)에서 여과된 빗물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여과망(421)과 상기 외부여과망(423)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422)는 합성섬유재 또는 부잭포재질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내부여과망(421)과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422) 및 상기 외부여과망(423)에는 일단에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외부여과망(423)에 형성된 플랜지의 상측에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422)의 플랜지가 걸림되게 배치시킨 후 나사체결하게 되고,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422)의 플랜지의 상측에 상기 내부여과망(421)의 플랜지가 걸림되게 배치시킨 후 나사체결하게 된다.
상기 외부여과망(423)에 형성된 플랜지는 상기 저류배출구(23)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림되어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저류배출구(23)의 내면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내부여과망(421)과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422) 및 상기 외부여과망(423) 사이에는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여과공간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저류안내관(41)에는 상기 저류여과부(42)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빗물의 이동이 정체되어 높아지는 내부의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게이지(50)가 더 마련되어, 상기 압력게이지(5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저류여과부(42)를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하도록 된다.
상기 압력게이지(50)는 상기 저류안내관(41)의 내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저류안내관(41) 이외에 상기 외부여관망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압력게이지(50)의 신호를 단말기로 전달받은 작업자는 상기 여과하우징(20)에서 상기 제 2 필터부(40)를 분리한 후 상기 저류여과부(42)를 교체 또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유지보수를 실시하게 됨으로써, 실시간으로 교체 및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물질에 의해 저류안내관(41)이 막혀 제 2 필터부(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빗물 여과 장치
20 : 여과하우징
21 : 빗물유입구
22 : 우수배출구
23 : 저류배출구
30 : 제 1 필터부
31 : 내부다공케이싱
32 : 간격브라켓
33 : 외부다공케이싱
331 : 돌출여과부
34 : 고정링
40 : 제 2 필터부
41 : 저류안내관
42 : 저류여과부
421 : 내부여과망
422 : 백필터
423 : 외부여과망
50 : 압력게이지

Claims (4)

  1. 무동력 빗물 여과장치로서,
    우천 시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구가 형성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우수관로로 배출시키는 우수배출구가 형성되며, 빗물을 빗물 저류조로 이동시키는 저류배출구가 형성된 여과하우징;
    상기 여과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빗물유입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1 필터부; 및
    상기 저류배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저류배출구로 배출되는 빗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2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필터부는 상기 여과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빗물유입구에서 유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내부다공케이싱과,
    상기 내부다공케이싱을 감싸면서 끼움되는 간격브라켓과,
    상기 내부다공케이싱 및 상기 간격브라켓을 감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내부다공케이싱을 관통한 빗물의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는 외부다공케이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필터부는 상기 저류배출구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저류안내관과,
    상기 저류안내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류배출구를 통해 이동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저류여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류여과부는,
    상기 저류안내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여과망과,
    상기 내부여과망을 감싸면서 배치되어 상기 내부여과망을 관통한 빗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마이크로 백필터와,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를 감싸면서 배치되는 외부여과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류안내관에는 상기 저류여과부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빗물의 이동이 정체되어 높아지는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게이지가 더 마련되어,
    상기 압력게이지에서 측정된 수치를 기반으로 상기 저류여과부를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하도록 되며,
    상기 우수관로의 내부에는 우수배출구를 통해 우수관로로 배출되는 빗물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체크밸브는 우수배출구를 통해 우수관로로 배출되는 빗물은 통과시키고, 우수관로로부터 우수배출구로 유입되는 하수는 차단시켜 우수관로를 통해 하수가 역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며,
    상기 내부여과망과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와 상기 외부여과망은 일단에 유입구를 갖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필터부에서 여과된 빗물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내부여과망과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와 상기 외부여과망에는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고정되며, 상기 외부여과망에 형성된 플랜지의 상측에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의 플랜지가 걸림되게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백필터의 플랜지의 상측에 상기 내부여과망의 플랜지가 걸림되게 배치되며,
    상기 내부다공케이싱의 통수공 내경은 상기 외부다공케이싱의 통수공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54783A 2022-05-03 2022-05-03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KR102489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83A KR102489751B1 (ko) 2022-05-03 2022-05-03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83A KR102489751B1 (ko) 2022-05-03 2022-05-03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751B1 true KR102489751B1 (ko) 2023-01-18

Family

ID=8510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783A KR102489751B1 (ko) 2022-05-03 2022-05-03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7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091B1 (ko) * 2010-08-25 2011-02-14 (주)수지로드텍 우수 정화구조물
KR101489204B1 (ko) * 2014-09-16 2015-02-04 최정원 수평 배관연결형 초기 우수배제 여과장치
JP2015504993A (ja) * 2012-01-30 2015-02-16 ニールス ダンルップ, 雨水を濾過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514439B1 (ko) * 2014-06-12 2015-04-24 대한민국 여과재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킨 팩키지형 생물여과기가 장착된 여과수조
KR101628966B1 (ko) * 2015-04-28 2016-06-0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효율 필터형 빗물 여과기
KR101703337B1 (ko) 2016-05-18 2017-02-06 안종철 초기 빗물 배제 및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091B1 (ko) * 2010-08-25 2011-02-14 (주)수지로드텍 우수 정화구조물
JP2015504993A (ja) * 2012-01-30 2015-02-16 ニールス ダンルップ, 雨水を濾過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514439B1 (ko) * 2014-06-12 2015-04-24 대한민국 여과재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킨 팩키지형 생물여과기가 장착된 여과수조
KR101489204B1 (ko) * 2014-09-16 2015-02-04 최정원 수평 배관연결형 초기 우수배제 여과장치
KR101628966B1 (ko) * 2015-04-28 2016-06-0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효율 필터형 빗물 여과기
KR101703337B1 (ko) 2016-05-18 2017-02-06 안종철 초기 빗물 배제 및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530B1 (ko) 우수 저류조
KR101741957B1 (ko) 빗물 저류조를 활용한 연못 순환 시스템
KR101032421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101703337B1 (ko) 초기 빗물 배제 및 여과장치
KR101933459B1 (ko) 빗물 재활용 시스템
KR20200133656A (ko) 초기 우수 배제 및 여과 장치
WO2016200140A1 (ko)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KR200407745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CN112973272A (zh) 雨水截污过滤***及过滤方法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KR101656036B1 (ko) 빗물 침투 및 집수 유도 관로 삽입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빗물 활용 시스템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KR20090033680A (ko)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102489751B1 (ko)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KR100891940B1 (ko)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760969B1 (ko) 빗물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2489745B1 (ko) 수직형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KR101202895B1 (ko) 빗물 저류 장치
CN201768409U (zh) 气浮式反洗滤砂连续过滤装置
KR101537963B1 (ko)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
KR20110056600A (ko) 빗물 정수 시스템
CN204959862U (zh) 初期雨水弃流过滤自动控制装置
KR102485815B1 (ko) 무동력 빗물 여과 시스템
KR101314575B1 (ko) 빗물이용을 위한 수처리장치
KR20090117606A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