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038B1 -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038B1
KR102489038B1 KR1020210031189A KR20210031189A KR102489038B1 KR 102489038 B1 KR102489038 B1 KR 102489038B1 KR 1020210031189 A KR1020210031189 A KR 1020210031189A KR 20210031189 A KR20210031189 A KR 20210031189A KR 102489038 B1 KR102489038 B1 KR 102489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battery
dynamic voltage
voltage compensa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897A (ko
Inventor
김성환
박태식
이동호
이민호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1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0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Liquid Crystal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AC(Phase Angle Control)기법에 의해 발생한 유효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가 발생할 경우 계통에 필요한 만큼의 유효전력을 배터리에서 방전하는 등 양방향 전력전달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태양광을 연계하여 태양광에서 발생한 유효전력을 상황에 따라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배전계통에 유효전력을 공급하도록 하여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DVR PHASE ANGLE CONTROL AND BESS CHARGE/DISCHARGE CONTROL SYSTEM IN CONNECTION WITH PHOTO VOLTAICS}
본 발명은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AC(Phase Angle Control)기법에 의해 발생한 유효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가 발생할 경우 계통에 필요한 만큼의 유효전력을 배터리에서 방전하는 등 양방향 전력전달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태양광을 연계하여 태양광에서 발생한 유효전력을 상황에 따라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배전계통에 유효전력을 공급하도록 하여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국전력공사의 2018년 착수 사외공모 기초연구(거점대학연구) 사업에 의해 지원되었다.(과제번호 : R18XA04)
근래 전력품질에 민감한 비선형 부하의 증가로 인한 전력품질저하 문제가 이슈되고 있다.
또한, 배전계통은 태양광, 풍력발전 등 분산전원의 확산으로 인한 전력품질 저하 문제와 더불어 배전단 전압 레벨의 상승으로 인한 역조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순 전압 보상뿐만 아닌 전력품질 향상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배전선로의 직렬형 전력품질 보상기기 중 동적전압보상기(Dynamic Voltage Restorer : DVR)는 배전선로에 직렬로 연결된 변압기를 통해 계통에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 순간전압상승(Voltage Swell), 과 같은 전압변동(Voltage Fluctuation)이 발생할 경우 부하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보상기기로, 주입변압기(Injection Transformer)를 통해 보상전압을 주입하여 전압보상 수행할 수 있다.
DVR(Dynamic Voltage Restorer)은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 순간전압상승(Voltage Swell) 등의 전압 변동에 대한 보상만 수행한다. 따라서 계통의 무효전력 보상, 역률개선 및 전류 고조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병렬형 보상기기와 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결합형 보상기기의 경우 상대적으로 제어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DVR 단일기기만으로 전력품질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직류전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DVR의 다양한 제어기법 중 DVR의 위상각 제어(Phase Angle Control : PAC) 기법은 DVR 단일기기만 이용하여 전압 보상과 무효전력 보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법이다.
하지만, PAC를 적용할 경우 계통에서 DVR 쪽으로 유효전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DVR에서 소모된다.
PAC기법의 원리는 계통 전압과 부하 전류의 위상을 동상이 되도록 DVR에서 임의의 크기와 위상을 갖는 보상전압을 주입해주어 무효전력 성분을 제거하는 기법이다.
DVR은 이러한 배전단의 전압 레벨을 조정하여 역조류 현상을 억제하는데 활용할 수 있지만, 단일기기로써 DVR은 전압보상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므로 PAC 기법을 적용하여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을 동시에 수행하여 계통의 전압보상과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DVR 시스템의 구성은 PAC기법을 적용할 경우 전압변동 보상과 함께 계통의 무효전력 보상이 가능하지만 보상과정에서 생성되는 유효전력은 소모되며 단독운전 시 별도의 직류전원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기존 DVR 시스템은 계통의 전압변동을 보상하기 위하여 별도의 직류전원을 필요로 하고, PAC 기법을 적용할 경우 DVR 배전계통의 무효전력과 전압을 동시에 보상이 가능하지만 유효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DVR에서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74079]에서는 동적 전압보상 시스템 및 그 동적 전압보상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74079](등록일자: 2010년07월29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PAC(Phase Angle Control)기법에 의해 발생한 유효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가 발생할 경우 계통에 필요한 만큼의 유효전력을 배터리에서 방전하는 등 양방향 전력전달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태양광을 연계하여 태양광에서 발생한 유효전력을 상황에 따라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배전계통에 유효전력을 공급하도록 하여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배전선로에 직렬로 연결된 선로변압기(100); 상기 선로변압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선로의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동적전압보상기(200);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연결되어, 양방향 전력전달을 수행하는 컨버터부(300); 상기 컨버터(300)에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배터리부(400); 및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연결된 태양광발전부(500); 를 포함하며, 계통 상태에 따라 측정 또는 산출된 값들을 이용해 상기 배터리부(400) 전류의 방향을 결정하며, 이를 근거로 상기 배터리부(400) 전류의 충방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버터부(300)는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일측이 연결되며, 4 개의 브리지 스위칭(bridge switching) 소자로 풀브리지(Full Bridge) 회로를 형성한 제1전원회로(310); 상기 배터리부(400)에 타측이 연결되며, 4 개의 브리지 스위칭(bridge switching) 소자로 풀브리지(Full Bridge) 회로를 형성한 제2전원회로(320); 일측이 상기 제1전원회로(3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전원회로(320)와 연결된 컨버터변압기(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컨버터부(300)는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전압제어기의 출력에 태양광 전류와 DVR 전류를 전향 보상하는 방식으로 배터리의 전류 지령치를 생성한하고, 전류제어기의 출력은 상기 컨버터부(300)의 스위칭 소자에 대한 동작신호의 위상차 지령
Figure 112021028035982-pat00001
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PAC(Phase Angle Control)를 통해 발생 또는 계통에 공급되는 유효전력(
Figure 112021028035982-pat00002
)과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Figure 112021028035982-pat00003
)을 이용하여, 산출된 동적전압보상기(200)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04
) 그리고 태양광발전부(500) 출력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05
)를 근거로 배터리 전류의 방향을 결정하며, 배터리 전류의 충방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계통 정상상태 또는 배전계통의 순간전압상승(Voltage Swell)이 발생 시,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류는 PAC(Phase Angle Control)에 의해 발생한 유효전력에 의해 산출된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06
와 상기 태양광발전부(500) 출력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07
를 더한 값이 되도록 제어하며,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 발생 시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에서 계통으로 공급하는 유효전력이 상기 태양광발전부(500)에서 출력되는 값보다 작을 경우, 태양광에서 발생한 전력이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을 통해 계통에 공급되고
Figure 112021028035982-pat00008
만큼의 전류가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가 발생하고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에서 계통으로 공급하여야 할 전력이 태양광 출력 전력 보다 클 경우, 태양광 전류와 함께 배터리에서
Figure 112021028035982-pat00009
만큼의 전류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단에 DAB(Dual Active Bridge) 컨버터와 배터리, 그리고 태양광을 연계하고, 계통 상태에 따라 측정 또는 산출된 값들을 이용해 배터리 전류의 충방전을 결정함에 따라, 기존 PAC를 적용한 DVR에서 소모되었던 유효전력을 DAB 컨버터를 이용해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별도의 직류전원이 필요하지 않고 DVR 단일기기만으로 무효전력보상 및 전압보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향후 전기차 보급 확산에 맞춰 배터리 대신 EV충전소 등 다양한 마이크로 그리드 유틸리티 연계에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컨버터부의 세부 개념도.
도 3은 도 1의 DC-Link 전압 제어기 및 배터리 충방전 전류 제어기 설계의 개념도.
도 4는 도 1의 계통 상태에 따른 배터리 충방전 해석의 개념도.
도 5는 계통 정상상태일 경우 PAC를 통한 보상전압 및 위상각을 보여주는 벡터도.
도 6은 전압변동 시 보상전압 및 위상각 PAC를 통한 보상전압 및 위상각을 보여주는 벡터도.
도 7은 도 1의 계통 상태에 따른 전류 흐름을 보여주는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버터부의 세부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의 DC-Link 전압 제어기 및 배터리 충방전 전류 제어기 설계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계통 상태에 따른 배터리 충방전 해석의 개념도이며, 도 5는 계통 정상상태일 경우 PAC를 통한 보상전압 및 위상각을 보여주는 벡터도이고, 도 6은 전압변동 시 보상전압 및 위상각 PAC를 통한 보상전압 및 위상각을 보여주는 벡터도이며, 도 7은 도 1의 계통 상태에 따른 전류 흐름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Figure 112021028035982-pat00010
: 전원 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11
: 부하 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12
: 보상 후 부하 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13
: DC-Link 커패시터 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14
: DVR 주입 전압의 크기
Figure 112021028035982-pat00015
: 부하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16
: 보상 후 부하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17
: 태양광 출력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18
: DAB 컨버터 출력 전류(Battery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19
: 전원전압 부하전류 위상차
Figure 112021028035982-pat00020
: PAC에 의해 발생 또는 계통에 공급되는 유효전력
Figure 112021028035982-pat00021
: DVR 보상 무효전력
Figure 112021028035982-pat00022
: DAB 컨버터 1차측 switching signal
Figure 112021028035982-pat00023
: DAB 컨버터 2차측 switching signal
Figure 112021028035982-pat00024
: DVR 주입 전압의 위상각
Figure 112021028035982-pat00025
: DAB 컨버터 1,2차측 전압 위상차
기본적인 용어를 정리하였으나, 설명에 필요한 모든 용어를 정리한 것은 아니며, 상기에 정의된 용어 이외에 새로이 등장되는 용어들은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선로변압기(100), 동적전압보상기(200), 컨버터부(300), 배터리부(400) 및 태양광발전부(500)를 포함하며, 계통 상태에 따라 측정 또는 산출된 값들을 이용해 상기 배터리부(400) 전류의 방향을 결정하며, 이를 근거로 상기 배터리부(400) 전류의 충방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로변압기(100)는 배전선로에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선로변압기(100)는 배전선로에 직렬로 연결된 변압기로, 일측 코일이 상기 배전선로에 직렬로 연결된다.
동적전압보상기(200)는 상기 선로변압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선로의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며, DVR(Dynamic Voltage Restorer)이라고도 한다.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는 상기 선로변압기(100)의 타측 코일에 연결된다.
컨버터부(300)는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연결되어, 양방향 전력전달을 수행한다.
배터리부(400)는 상기 컨버터(300)에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된다.
상기 배터리부(400)는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BESS)사용할 수 있다.
태양광발전부(500)는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연결된다.
상기 태양광발전부(50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 단일기기만을 이용해 계통(배전선로)에 무효전력 공급과 동시에 전압보상을 시행한다. 이때 계통의 상태에 따라 유효전력은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에 연계된 상기 컨버터부(300)를 통해 상기 배터리부(400)에 충방전되어,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를 통해 계통과 상기 배터리부(400) 간의 양방향 전력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동적전압보상기(200)에 PAC(Phase Angle Control) 기법을 적용하면 전압보상 및 무효전력 보상이 동시에 가능하지만, 계통에서 동적전압보상기(200)측으로 유효전력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이처럼 소모되는 유효전력을 활용하기 위해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단에 컨버터부(300)와 배터리부(400), 그리고 태양광발전부(500)를 연계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은 PAC기법에 의해 발생한 유효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반대로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가 발생할 경우 계통에 필요한 만큼의 유효전력을 배터리에서 방전하는 등 양방향 전력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태양광발전부(500)을 연계하여 태양광발전부(500)에서 발생한 유효전력을 상황에 따라 배터리부(400)에 충전하거나, 동적전압보상기(200)를 통해 계통으로 유효전력을 공급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 동적전압보상기(200) 작동에 필요한 별도의 직류전원은 배터리부(400)와 태양광발전부(500)로 대체 되어 동적전압보상기(200) 단일기기만으로도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이 가능해진다.
즉, 종래에 단일기기로써의 동적전압보상기(200)는 별도의 직류전원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계통 전력품질 보상기기인 동적전압보상기(200)에 배터리부(400)와 태양광발전부(500)를 연계함으로써, 태양광발전부(500)에의해 발생한 유효전력을 배터리부(400)에 충전하거나 동적전압보상기(200)가 계통 전압을 보상할 때 필요한 유효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의 컨버터부(300)는 제1전원회로(310), 제2전원회로(320) 및 컨버터변압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일측이 연결되며, 4 개의 브리지 스위칭(bridge switching) 소자로 풀브리지(Full Bridge) 회로를 형성한다.
제2전원회로(320)는 상기 배터리부(400)에 타측이 연결되며, 4 개의 브리지 스위칭(bridge switching) 소자로 풀브리지(Full Bridge) 회로를 형성한다.
컨버터변압기(330)는 일측이 상기 제1전원회로(3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전원회로(320)와 연결된다.
즉, 양단의 풀브리지(Full Bridge) 컨버터 사이에 고주파변압기가 접속된 구성이다.
도 2를 예로 설명하면, 변압기 기준으로 좌측의 1차측 전압과 우측의 2차측 전압의 위상 차이에 따라 전력전달 방향이 결정되어 양방향 전력전달을 수행한다.
한편, 컨버터부(300)는 고주파변압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절연 특성이 우수하며, ZVS와 같은 소프트 스위칭이 가능하여 스위칭에 대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배터리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터인 DAB(Dual Active Bridge) 컨버터를 통하여 전력전달 수행할 수 있다.
위상천이변조방식 (PSM, Phase-Shift-Modulation)을 이용하면 DAB 컨버터의 1차측 전압과 2차측 전압의 위상차를 이용한 양방향 전력전달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태양광발전부(500)를 연계하고, 태양광발전부(500)에서 발생한 전력을 이용해 계통의 상태에 따라 동적전압보상기(200)를 통해 유효전력을 공급하거나 배터리부(400)에 충전하도록 하여, 동적전압보상기(200)에서 필요로 하는 별도의 직류전원을 대체함과 동시에, PAC기법에 의해 발생한 유효전력이 소모되지 않도록 배터리부(400)를 연계하여 유효전력을 배터리부(400)에 충전시키거나, 계통 전압변동이 발생할 경우 전압보상에 필요한 만큼의 유효전력을 배터리부(400)에서 방전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양방향 전력전달을 수행하기 위해서 절연형 양방향 DC-DC 컨버터인 DAB(Dual Active Bridge)컨버터를 DVR의 DC-Link 커패시터단과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의 컨버터부(300)는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전압제어기의 출력에 태양광 전류와 DVR 전류를 전향 보상하는 방식으로 배터리의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고, 전류제어기의 출력은 상기 컨버터부(300)의 스위칭 소자에 대한 동작신호의 위상차 지령
Figure 112021028035982-pat00026
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AB 컨버터를 이용해 전력전달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DAB 컨버터의 1,2차측 전압에 위상차를 발생시켜야 한다. 위상차에 대한 지령은 도 3과 같이 설계한 제어기의 출력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DAB의 1차측과 2차측 전압은 서로
Figure 112021028035982-pat00027
만큼의 위상차가 발생하여 전력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전류 지령을 이용하여 위상지령 생성 후 DAB 컨버터 동작신호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계통 전력품질 보상기기인 동적전압보상기(200)에 태양광발전부(500)과 배터리부(400)를 연계한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계통 상태별 전력전달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태양광발전부(500) 출력전력, 동적전압보상기(200) 발생 또는 소모 유효전력에 따라 DVR 전압제어기와 배터리 충방전 전류제어기를 상기 와 같이 설계하였다.
이에 따라 계통 정상상태 또는 순간전압상승(Voltage Swell) 발생 시에는 태양광발전부(500) 또는 동적전압보상기(200)에서 발생하는 유효전력을 컨버터부(300)를 통하여 배터리부(400)에 충전하고,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 발생시에는 태양광발전부(500) 발생전력과 동적전압보상기(200)에서 전원으로 공급하는 유효전력량에 따라 배터리부(400)에 전력을 충전하거나 방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PAC(Phase Angle Control)를 통해 발생 또는 계통에 공급되는 유효전력(
Figure 112021028035982-pat00028
)과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Figure 112021028035982-pat00029
)을 이용하여, 산출된 동적전압보상기(200)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30
) 그리고 태양광발전부(500) 출력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31
)를 근거로 배터리 전류의 방향을 결정하며, 배터리 전류의 충방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를 예로 설명하면, 전원 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32
), 부하 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33
), DC-Link 커패시터 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34
), 부하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35
) 등을 근거로 동적전압보상기(200)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36
)값을 산출하고, 동적전압보상기(200)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37
)값이 양수 이면 배터리부(400)를 충전시키고, 동적전압보상기(200)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38
)값이 음수 이고 태양광 출력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39
)값이 동적전압보상기(200)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40
)값 보다 크면 배터리부(400)를 충전시키고, 동적전압보상기(200)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41
)값이 음수 이고 태양광 출력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42
)값이 동적전압보상기(200)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43
)값 보다 크면 배터리부(400)를 방전시킬 수 있다.
즉, 동적전압보상기(200)의 발생 또는 소모되는 유효전류와 태양광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부(400) 충방전 전류가 결정되며, 이를통한 직관적 해석이 가능하다.
도 4는 PAC를 적용한 동적전압보상기(200)과 태양광발전부(500), 배터리부(400)를 연계한 시스템의 계통상태에 따른 전력전달에 대한 해석이다. (단, 선로손실은 무시한다)
무효전력 보상을 위한 동적전압보상기(200)의 보상전압의 크기와 위상은 도 5에 도시된 벡터도 해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21028035982-pat00044
,
Figure 112021028035982-pat00045
은 각각 보상 전 θ 만큼의 위상차를 갖는 부하 전압과 부하 전류를 나타내고,
Figure 112021028035982-pat00046
은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계통에 주입되는 DVR 보상전압이다. PAC 기법은 계통 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47
과 부하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48
을 동상으로 만들어 무효전력 성분을 제거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계통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49
과 동상인 부하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50
를 생성하기 위해 부하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51
을 θ 만큼의 위상을 이동시켜
Figure 112021028035982-pat00052
에 위치되도록 보상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53
을 계통전압
Figure 112021028035982-pat00054
에 인가해 주어야 한다. 도 5와 같이 계통에 전압변동이 없는 경우를 포함하여 도 6과 같이 계통에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 순간전압상승(Voltage Swell) 발생 시 무효전력 보상과 함께 전압변동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동적전압보상기(200) 보상전압의 크기는 항상 다음 식(1)과 같고 계통 정상상태와 순간전압상승(Voltage Swell) 시 보상위상각은 다음 식(2),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 시 보상 위상각은 다음 식(3)과 같이 정리된다.
Figure 112021028035982-pat00055
Figure 112021028035982-pat00056
(식1)
Figure 112021028035982-pat00057
Figure 112021028035982-pat00058
(식2)
Figure 112021028035982-pat00059
Figure 112021028035982-pat00060
(식3)
동적전압보상기(200)가 계통에 보상하는 무효전력과, 발생되는 유효전력은 각각 다음 (식4), (식5)와 같다.
Figure 112021028035982-pat00061
(식4)
Figure 112021028035982-pat00062
(식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도 7의 (a)와 같이, 계통 정상상태 또는 배전계통의 순간전압상승(Voltage Swell)이 발생 시,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류는 PAC(Phase Angle Control)에 의해 발생한 유효전력에 의해 산출된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63
와 상기 태양광발전부(500) 출력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64
를 더한 값이 되도록 제어하며,
도 7의 (b)와 같이,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 발생 시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에서 계통으로 공급하는 유효전력이 상기 태양광발전부(500)에서 출력되는 값보다 작을 경우, 태양광에서 발생한 전력이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을 통해 계통에 공급되고
Figure 112021028035982-pat00065
만큼의 전류가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도 7의 (c)와 같이,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가 발생하고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에서 계통으로 공급하여야 할 전력이 태양광 출력 전력 보다 클 경우, 태양광 전류와 함께 배터리에서
Figure 112021028035982-pat00066
만큼의 전류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선로변압기
200: 동적전압보상기
210: DC-Like 커패시터
300: 컨버터부
310: 제1전원회로
320: 제2전원회로
330: 컨버터변압기
400: 배터리부
500: 태양광발전부

Claims (5)

  1. 배전선로에 직렬로 연결된 선로변압기(100);
    상기 선로변압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선로의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동적전압보상기(200);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연결되어, 양방향 전력전달을 수행하는 컨버터부(300);
    상기 컨버터부(300)에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배터리부(400); 및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연결된 태양광발전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부(300)는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일측이 연결되며, 4 개의 브리지 스위칭(bridge switching) 소자로 풀브리지(Full Bridge) 회로를 형성한 제1전원회로(310);
    상기 배터리부(400)에 타측이 연결되며, 4 개의 브리지 스위칭(bridge switching) 소자로 풀브리지(Full Bridge) 회로를 형성한 제2전원회로(320);
    일측이 상기 제1전원회로(3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전원회로(320)와 연결된 컨버터변압기(330);로 구성되며,
    계통 상태에 따라 측정 또는 산출된 값들을 이용해 상기 배터리부(400) 전류의 방향을 결정하며, 이를 근거로 상기 배터리부(400) 전류의 충방전을 결정하고,
    상기 컨버터부(300)는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전압제어기의 출력에 태양광 전류와 DVR 전류를 전향 보상하는 방식으로 배터리의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고, 전류제어기의 출력은 상기 컨버터부(300)의 스위칭 소자에 대한 동작신호의 위상차 지령
    Figure 112022117796706-pat00083
    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배전선로에 직렬로 연결된 선로변압기(100);
    상기 선로변압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배전선로의 전압변동과 무효전력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동적전압보상기(200);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연결되어, 양방향 전력전달을 수행하는 컨버터부(300);
    상기 컨버터부(300)에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배터리부(400); 및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양단에 연결된 태양광발전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PAC(Phase Angle Control)를 통해 발생 또는 계통에 공급되는 유효전력(
    Figure 112022117796706-pat00068
    )과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의 DC-Like 커패시터(210)(
    Figure 112022117796706-pat00069
    )을 이용하여, 산출된 동적전압보상기(200) 전류(
    Figure 112022117796706-pat00070
    ) 그리고 태양광발전부(500) 출력전류(
    Figure 112022117796706-pat00071
    )를 근거로 배터리 전류의 방향을 결정하며, 배터리 전류의 충방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계통 정상상태 또는 배전계통의 순간전압상승(Voltage Swell)이 발생 시,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류는 PAC(Phase Angle Control)에 의해 발생한 유효전력에 의해 산출된 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72
    와 상기 태양광발전부(500) 출력전류
    Figure 112021028035982-pat00073
    를 더한 값이 되도록 제어하며,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 발생 시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에서 계통으로 공급하는 유효전력이 상기 태양광발전부(500)에서 출력되는 값보다 작을 경우, 태양광에서 발생한 전력이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을 통해 계통에 공급되고
    Figure 112021028035982-pat00074
    만큼의 전류가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Voltage Sag)가 발생하고 상기 동적전압보상기(200)에서 계통으로 공급하여야 할 전력이 태양광 출력 전력 보다 클 경우, 태양광 전류와 함께 배터리에서
    Figure 112021028035982-pat00075
    만큼의 전류가 방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KR1020210031189A 2021-03-10 2021-03-10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KR102489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189A KR102489038B1 (ko) 2021-03-10 2021-03-10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189A KR102489038B1 (ko) 2021-03-10 2021-03-10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897A KR20220126897A (ko) 2022-09-19
KR102489038B1 true KR102489038B1 (ko) 2023-01-13

Family

ID=8346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189A KR102489038B1 (ko) 2021-03-10 2021-03-10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54427B (zh) * 2024-04-16 2024-06-14 华东交通大学 一种统一电能质量调节器的运行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8650A (ja) 2018-10-23 2020-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系統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系統システム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79B1 (ko) 2007-07-28 2010-08-0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적 전압보상 시스템 및 그 동적 전압보상 방법
KR20180052026A (ko) * 2016-11-09 2018-05-17 지에프텍 주식회사 스마트 그리드용 양방향 반도체 변압기
KR20190090661A (ko) * 2018-01-25 2019-08-02 대우전자부품(주) 풀-브릿지 컨버터 구동용 3탭 출력을 가진 dc/dc 플라이백 컨버터
KR102133897B1 (ko) * 2018-09-20 2020-07-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계측 기반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 방법 및 그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8650A (ja) 2018-10-23 2020-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系統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系統システム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897A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n et al. A hybrid fuel cell power system
Khosrogorji et al. Multi-input DC/DC converters in connection with distributed generation units–A review
Yu et al. System integration and hierarchical power management strategy for a solid-state transformer interfaced microgrid system
Musavi et al. Control strategies for wide output voltage range LLC resonant DC–DC converters in battery chargers
US6369461B1 (en) High efficiency power conditioner employing low voltage DC bus and buck and boost converters
CN108173258B (zh) 一种三端口变换器的虚拟电感和虚拟电容功率分配方法
Cao et al. Output-impedance shaping of bidirectional DAB DC–DC converter using double-proportional-integral feedback for near-ripple-free DC bus voltage regulation in renewable energy systems
Xia et al. A novel design of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Yu et al. Hierarchical power management for DC microgrid in islanding mode and Solid State transformer enabled mode
WO2019216180A1 (ja) 直流変電システム
Kurm et al.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based on a novel reduced rating multi-input converter
Rani et al. Power flow management algorithm for photovoltaic systems feeding DC/AC loads
KR102489038B1 (ko) 태양광 연계 동적전압보상기의 위상각 제어 및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 충방전 제어 시스템
Jean-Pierre et al. A triple phase-shift based control method for RMS current minimization and power sharing control of input-series output-parallel dual active bridge converter
Park et al.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with interleaving structure of dual-active-bridge converter and non-isolated DC-to-DC converter with wide input and output voltage
Svensson et al. Improved power system stability and reliability using innovative energy storage technologies
US20150333655A1 (en) Voltage adjusting apparatus
WO2019076874A1 (en) DC-DC CONVERTER ASSEMBLY
Kabalcı Solid state transformers with multilevel inverters
Li et al. Dynamic allocation method of DC side power based on the SoC of battery for STATCOM/BESS
Abuishmais et al. Bidirectional dual active bridge for interfacing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with DC microgrid
CN108667114A (zh) 供电***和供电***的控制方法
JP4569223B2 (ja) 電源装置
WO2018070037A1 (ja) 電力変換システム、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装置
Srinivas et al. A novel single-input multi-port isolated bi-directional converter for EV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