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610B1 -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610B1
KR102488610B1 KR1020210046931A KR20210046931A KR102488610B1 KR 102488610 B1 KR102488610 B1 KR 102488610B1 KR 1020210046931 A KR1020210046931 A KR 1020210046931A KR 20210046931 A KR20210046931 A KR 20210046931A KR 102488610 B1 KR102488610 B1 KR 10248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width direction
connecting member
coupling
j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973A (ko
Inventor
허성준
박정희
Original Assignee
아이앤지산업(주)
박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지산업(주), 박정희 filed Critical 아이앤지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4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6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부(10); 멍에(20); 장선(30); 복수 개의 데크(40); 베이스부(510); 수직연결부(520); 변형방지부(530); 및 제1지지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데크연결부재(500); 및 고정수단(60)을 포함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데크연결부재(500)는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데크연결부재(500)에는 폭방향의 일측단에 제1결합부(560)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제2결합부(57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결합된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내구성이 향상되고 데크가 용이하게 정렬설치되며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DEC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내구성이 향상되고 시공용이성이 향상되고 데크가 용이하게 정렬설치되며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목재 데크는 다른 재료에 비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보행자의 거동 시 탄력성 및 보행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피로감을 덜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미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목재 데크를 설치하는 공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멍에 및 장선을 교차하여 설치하고, 장선의 상부에 목재 데크를 결합 및 고정한다.
이 때에, 목재 데크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체결 부재를 삽입하면 목재 데크에 크랙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목재 데크를 연이어 조립하면 우천이나 강한 햇빛에 오랜 기간 노출되어 기온이 상승하는 등의 자연적인 요인에 따라 목재 데크가 수축 또는 팽창될 경우에 목재 데크가 휘어지거나 비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목재 데크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목재 데크의 양측면 사이에 개재되고, 이웃하는 목재 데크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과 결합되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장선에 고정시킨 후에 목재 데크를 연결부재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데크의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0192호는 목재데크용 연결클립에 관한 것으로, 데크재의 양측면 길이방향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연결클립에 있어서, 근접되게 설치되는 두 데크재의 측면 슬라이딩 홈에 양측이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과 연결편을 매개로 결합되어 데크재의 하측면에 접촉되고, 연결철물를 매개로 하부구조물에 결속되되 상기 연결철물의 머리가 상기 데크재의 하측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홈부가 형성된 결속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연결클립)가 설치될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고 정확한 위치에 복수 개의 연결부재(연결클립)를 고정시켜야 하며 고정된 연결부재(연결클립)들 사이에 데크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해야 하므로 시공이 어렵고 시공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등록특허공보 제097019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데크연결부재 및 데크가 용이하게 정렬설치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내구성이 향상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공용이성이 향상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데크의 폭 등에 따라 데크연결부재의 폭방향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데크연결부재 및 데크를 용이하게 정렬설치 가능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멍에(20); 상기 멍에(2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멍에(20) 상에 교차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선(30); 상기 장선(30)의 상방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데크(40); 상기 데크(40)의 하부에서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장선(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 형태의 베이스부(510); 상기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기 데크(4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수직연결부(520); 상기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이웃하는 상기 데크(40)의 상면을 각각 가압하는 변형방지부(530); 및 상기 수직연결부(520) 부근의 상기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이웃하는 상기 데크(40)의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데크연결부재(500); 및 상기 베이스부(510) 및 베이스부(510) 하방의 상기 장선(30)과 결합되는 고정수단(60)을 포함하는, 데크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데크연결부재(500)는 나란히 배치된다.
각각의 상기 데크연결부재(500)에는 폭방향의 일측단에 제1결합부(560)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제2결합부(57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연결부(520)는 상기 베이스부(510)의 폭방향의 양측단 중에서 일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부(540)는 상기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일측에 구비되는 일측지지부(540a) 및 폭방향의 타측에 구비되는 타측지지부(54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지지부(540a)는 상기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540)는, 상기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상기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일측지지부(54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지지부(540a)의 폭방향의 일측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542)가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560)는 상기 수직연장부(542)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510)는 상기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570)는 상기 베이스부(510)의 타측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510)의 타측단 부근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부(510)로부터 "ㄱ" 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512)이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570)는 상기 베이스부(510)와 상기 걸림턱(512)의 "ㄱ" 자 형상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되는 홈에 해당하고, 상기 제1결합부(560)는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510)에는 길이방향으로 절단홈(514)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연결부(520) 또는 상기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는 상기 제2결합부(570)에 갈음하여 상기 제1결합부(560)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a)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는 상기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의 타측에 제1지지부(54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지지부(55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부(550)는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상기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지지부(550)는 상기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폭방향의 중간부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중간부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510)는 상기 수직연결부(520) 및 상기 제2지지부(550) 사이의 제1영역(A)과 상기 제2지지부(550)와 연결되고 제2지지부(550)의 폭방향의 타측에 존재하는 제2영역(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60)은 상기 제2영역(B) 및 제2영역(B)의 하방의 상기 장선(30)과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지지부(550)는 상기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수직부(552); 및 상기 제1수직부(552)의 상단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5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부(554)에는 길이방향으로 절단홈(556)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부(552)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 상기 제2결합부(570)에 갈음하여 상기 제1결합부(560)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b)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결합부(575)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에 해당하고 상기 제1결합부(560)는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에 해당하고, 상기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의 길이는 상기 데크(40)의 폭 및 상기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512)의 타측단과 상기 제1결합부(560)가 형성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의 일측단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빈 공간(s)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형방지부(530)의 상면에는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홈(532)이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데크연결부재(500a)는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장선(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 형태의 제1베이스부(510a); 상기 제1베이스부(510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기 데크(4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수직연결부(520a);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 일측의 상기 제1베이스부(510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일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일측지지부(54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데크연결부재(500b)는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장선(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 형태의 제2베이스부(510b); 상기 제2베이스부(510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기 데크(4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수직연결부(520b);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2변형방지부(530b); 및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 타측의 상기 제2베이스부(510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하는 타측지지부(5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 제4결합부(58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 제5결합부(590)가 형성된다.
상기 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결합부(580)는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의 하부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된 지점에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5결합부(590)는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의 하부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 및 제2수직연결부(520b) 사이에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개방된 수로홈(c)이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제2변형방지부(530b)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는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홈(532)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초를 정리하여 상기 기초부(10)를 마련하는 기초부 마련단계(S710); 상기 기초부(10) 상에 상기 멍에(20)를 나란히 배치하는 멍에 배치단계(S720); 상기 멍에(20) 상에 상기 장선(30)을 교차방향으로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S730);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의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일측 및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일측 사이에 상기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의 폭방향 타측을 삽입하고,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상기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시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는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 상기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를 상기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키는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 및 상기 새로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q)의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타측 및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타측 사이에 기배치되지 않은 데크(40b)의 폭방향 일측을 삽입하는 데크 배치단계(S780)를 포함하는,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는, 상기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상기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에는 상기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60)은 상기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베이스부(510b) 및 제2베이스부(510b) 하방의 상기 장선(30)과 결합된다.
상기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상기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일측지지부(540a) 사이에 상기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의 타측을 삽입하고, 상기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1결합부(560)를 상기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시켜 상기 제1데크연결부재(500a)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5결합부(590)를 상기 배치된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4결합부(580)에 결합시켜 상기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한다.
상기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에서는, 상기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상기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상기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킨다.
상기 데크 배치단계(S780)에서는, 상기 새로 고정된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변형방지부(530b) 및 타측지지부(540b) 사이에 기배치되지 않은 데크(40b)의 일측을 삽입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는 상기 제2지지부(55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510)에는 상기 절단홈(514) 및 제3결합부(575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550)에는 상기 절단홈(556) 및 제3결합부(575b)가 형성된다.
상기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데크(40)의 폭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510) 또는 상기 제2지지부(550)의 절단홈(514, 556) 부분을 절단하는 제1폭맞춤단계(S740)를 포함한다.
상기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상기 장선(4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상기 절단홈(514, 556) 부분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상기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3결합부(575)와 결합시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결합부(575)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에 해당하고 상기 제1결합부(560)는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에 해당한다.
상기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데크(40)의 폭 및 상기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제2폭맞춤단계(S750)를 포함한다.
상기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상기 장선(4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상기 절단홈(514, 556) 부분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폭방향 길이가 조절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상기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3결합부(575)와 결합시켜 상기 폭방향 길이가 조절된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가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데크연결부재(500)가 설치된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므로 적은 수의 고정수단(60)으로 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 상에 고정시켜도 데크연결부재(500)가 장선(3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형방지부(530)는 대향 배치되는 이웃하는 데크(40)의 상면을 각각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40)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변형방지부(530)가 데크(40)의 상면과 결합되므로, 데크(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과 같이, 데크(40)의 양측면에 홈을 생성하고 데크연결부재를 데크(40)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데크(40)의 제조/가공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크(40)의 하부에서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장선(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 형태의 베이스부(510),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데크(4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수직연결부(520),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이웃하는 데크(40)의 상면을 각각 가압하는 변형방지부(530) 및 수직연결부(520) 부근의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이웃하는 데크(40)의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데크(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데크(4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어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연결부(520)는 베이스부(510)의 폭방향의 양측단 중에서 일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일측지지부(540a)는 상기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 일측에는 베이스부(510)가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베이스부(510)의 폭방향 길이가 짧아져서 베이스부(510)가 장선(30)의 상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한다. 따라서, 데크연결부재(500)를 장선(30)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데크연결부재(500)를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에 밀어 넣을 때에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데크연결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데크연결부재(500)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데크연결부재(500)를 폭방향의 양측방 중에서 일측방으로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으므로, 데크연결부재(500)를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지지부(540a)의 폭방향의 일측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5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연장부(542)의 하단부가 장선(30)과 접촉하여 수직연장부(542)가 장선(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일측지지부(540a)의 일측단이 수직연장부(5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일측지지부(540a)가 데크(4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합부(560)는 수직연장부(542)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510)는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2결합부(570)는 상기 베이스부(510)의 타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57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510)가 제2결합부(5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2결합부(570)에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가 결합될 때에 제2결합부(570)가 파손되거나 폭방향 일측방으로 밀려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정렬설치될 수 있으므로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데크(40)도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장선(30) 상에 기배치된 데크연결부재(500)의 베이스부(510) 타측단의 제2결합부(570)에 새로운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510)의 타측단 부근의 상부에는 베이스부(510)로부터 "ㄱ" 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512)이 마련되고, 제2결합부(570)는 베이스부(510)와 걸림턱(512)의 "ㄱ" 자 형상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57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510)에는 길이방향으로 절단홈(514)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시에 데크(40)의 폭 등에 따라 베이스부(510)를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하여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가 작은 크기의 폭을 가지더라도, 데크(4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데크연결부재(500)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이에,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데크(40)의 폭 등에 맞춤된 폭을 가지는 데크연결부재(500)에 의해 데크(40)가 지지되므로, 데크(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데크(4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연결부(520) 또는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는 제2결합부(570)에 갈음하여 제1결합부(560)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와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510)에 형성된 절단홈(514) 부분이 절단되어 제2결합부(570)가 제거되더라도, 제3결합부(575a)를 통해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연결부재(500)는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의 타측에 제1지지부(540)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지지부(55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지지부(550)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데크(40)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데크(40) 및 데크연결부재(500) 설치 시에, 장선(30)의 상부에 기설치된 데크연결부재(500)의 제2지지부(550)가 데크연결부재(500)에 설치되는 데크(40)의 폭방향의 타측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설치된 데크연결부재(500)에 데크(4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기설치된 데크연결부재(500)에 설치된 데크(40)의 폭방향의 타측단에 새로운 데크연결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550)는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데크(40)의 폭방향의 중간부의 하방에 형성되어 데크(40)의 폭방향의 중간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40)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데크(4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크(40) 및 데크연결부재(500) 설치 시에 데크(40)의 폭방향의 타측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데크(40) 및 데크연결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510)는 수직연결부(520) 및 제2지지부(550) 사이의 제1영역(A)과 제2지지부(550)와 연결되고 제2지지부(550)의 폭방향의 타측에 존재하는 제2영역(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고정수단(60)은 제2영역(B) 및 제2영역(B)의 하방의 상기 장선(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연결부(520) 등을 따라 베이스부(510)의 제1영역(A)에 유입된 수분이 제2지지부(500)에 가로막혀서 제2영역(B)에 위치하는 고정수단(60)에 침투하지 못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부(550)는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수직부(552) 및 제1수직부(552)의 상단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5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2지지부(55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부(554)에는 길이방향으로 절단홈(556)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시에 데크(40)의 폭 등에 따라 수평부(554)를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하여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가 작은 크기의 폭을 가지더라도, 데크(4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데크연결부재(500)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데크(40)의 폭 등에 맞춤된 폭을 가지는 데크연결부재(500)에 의해 데크(40)가 지지되므로, 데크(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데크(4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554)가 절단홈(556) 부분에서 절단되어 절단홈(556)을 기준으로 폭방향 타측의 제2지지부(550)가 제거되더라도, 절단홈(556)을 기준으로 폭방향 일측의 제2지지부(550)가 남아서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지지부(550)에 의해 데크구조물의 내구성 및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수직부(552)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는 제2결합부(570)에 갈음하여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와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554)에 형성된 절단홈(556) 부분이 절단되어 제2결합부(570)가 제거되더라도, 제3결합부(575b)를 통해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3결합부(575)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에 해당하고 제1결합부(560)는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1결합부(560) 및 제3결합부(57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의 길이는 데크(40)의 폭 및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40)가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가지더라도, 데크(4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데크연결부재(500)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가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512)의 타측단과 제1결합부(560)가 형성된 데크연결부재(500)의 일측단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빈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연결부재(500q)의 수직연결부(520) 및 제1지지부(540)를 따라 제1결합부(560)와 제2결합부(570)가 결합되는 지점에 유입된 수분이 걸림턱(512)의 타측단에 가로막혀서 베이스부(510)의 제2영역(B)에 위치하는 고정수단(60)에 침투하지 못하고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방지부(530)의 상면에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홈(532)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형방지부(530)의 상면의 수분이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양측단을 따라 변형방지부(530)의 하부로 흐르지 못하고, 수로홈(532)을 따라 변형방지부(530)의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이 베이스부(510)로 침투하지 못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연결부재(500)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 제4결합부(580)가 형성되고,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 제5결합부(590)가 형성되고,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가 서로 결합되어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연결부재(500) 설치 시에, 데크연결부재(500)를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로 분리하여 정렬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를 통해 서로 결합되고, 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2데크연결부재(500b) 또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와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설치된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므로 제1데크연결부재(500a) 또는 제2데크연결부재(500b) 중에 어느 하나만 장선(30) 상에 고정시켜도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장선(30) 상에 모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수직연결부(520)를 상하방향으로 분할한 제1수직연결부(520a) 및 제2수직연결부(520b)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폭방향 타측면에 해당하는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 타측면 또는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폭방향 일측면에 해당하는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 일측면이 매끄러운 수직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측단에 제1데크연결부재(500a) 또는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설치되면 측단면이 매끄러워질 수 있으므로,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측단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측단에 별도의 마감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4결합부(580)가 제1수직연결부(520a)의 하부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된 지점에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제5결합부(590)가 제2수직연결부(520b)의 하부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수직연결부(520a) 및 제2수직연결부(520b) 사이에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개방된 수로홈(c)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연결부(520) 또는 변형방지부(530)의 상면의 수분이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양측단을 따라 변형방지부(530)의 하부로 흐르지 못하고, 수로홈(c)을 따라 수직연결부(520)의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이 베이스부(510)로 침투하지 못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제2변형방지부(530b)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는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홈(532)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변형방지부(530a) 또는 제2변형방지부(530b)의 상면의 수분이 제1변형방지부(530a) 또는 제2변형방지부(530b)의 폭방향 일측단 또는 타측단을 따라 제1변형방지부(530a) 또는 제2변형방지부(530b)의 하부로 흐르지 못하고, 수로홈(532)을 따라 제1변형방지부(530a) 또는 제2변형방지부(530b)의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이 베이스부(510)로 침투하지 못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이 데크연결부재(500q)의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일측 및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일측 사이에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의 폭방향 타측을 삽입하고,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시켜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는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키는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 및 새로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q)의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타측 및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타측 사이에 기배치되지 않은 데크(40b)의 폭방향 일측을 삽입하는 데크 배치단계(S78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연결부재(500)를 정렬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위치측정공정 등의 추가공정을 포함하지 않고 최소한의 단순한 공정으로 데크연결부재(500) 및 데크(40)가 정렬설치되는 데크구조물을 만들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일측지지부(540a) 사이에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의 타측을 삽입하고,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1결합부(560)를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시켜 제1데크연결부재(500a)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고,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5결합부(590)를 상기 배치된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4결합부(580)에 결합시켜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고,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에서는,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키고, 데크 배치단계(S780)에서는, 새로 고정된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변형방지부(530b) 및 타측지지부(540b) 사이에 기배치되지 않은 데크(40b)의 일측을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단순한 공정으로 데크연결부재(500)를 분리하여 정렬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용이성이 향상되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이 데크(40)의 폭에 따라 베이스부(510) 또는 제2지지부(550)의 절단홈(514, 556) 부분을 절단하는 제1폭맞춤단계(S740)를 포함하고,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장선(4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절단홈(514, 556) 부분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3결합부(575)와 결합시켜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홈(514, 556) 부분을 절단하는 최소한의 단순한 공정으로 데크(40)의 폭 등에 따라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여 데크(40)의 폭 등에 맞춤된 폭을 가지는 데크연결부재(500)가 정렬설치되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이 데크(40)의 폭 및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제2폭맞춤단계(S750)를 포함하고,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장선(4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절단홈(514, 556) 부분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폭방향 길이가 조절된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3결합부(575)와 결합시켜 폭방향 길이가 조절된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최소한의 단순한 공정으로 데크(40)의 폭 및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여 데크(40)의 폭 등에 맞춤된 폭을 가지는 데크연결부재(500)가 정렬설치되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크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기초부 상에 멍에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멍에 위에 장선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선 위에 데크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데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하고 일부의 데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가지는 데크에 대해 데크연결부재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데크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정면도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및 데크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길이방향은 데크의 길이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은 데크의 폭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크구조물의 기본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데크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기초부 상에 멍에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멍에 위에 장선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선 위에 데크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데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은, 기초부(10) 상에 멍에(20), 장선(30), 및 데크(40)가 각각 상호 교차되도록 적층 설치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 과정을 거친 기초부(10) 상에 멍에(2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멍에(20)는 가령 금속 각관인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멍에(20)의 재료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개의 멍에(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등 간격 이격되며 나란히 배치되며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멍에(20) 위에는 장선(3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장선(30)은 가령 금속 각관인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장선의 재료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선(30) 역시 측면으로 등 간격 이격되며 나란히 배치되며 설치될 수 있다. 장선(30)은 멍에보다 더 촘촘히 설치될 수 있으며, 멍에보다는 단면적이 작은 각관으로 시공될 수 있다. 장선은 멍에(20) 상에서 멍에(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선(30) 위에는 데크(40)가 설치된다. 일 예로, 데크(40)는 납작하고 긴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데크(40)는 장선(3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설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은 약 2mm 내지 5mm 정도일 수 있다. 하나의 데크(40)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 개의 장선(30) 상에 가로질러 배열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데크(40)는 그 저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장선(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데크(40)를 장선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데크연결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데크연결부재(500)는 장선(40) 상에 나란해 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마감부재(R)가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측단에 설치될 수 있다.
[데크와 데크연결부재의 구조]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하고 일부의 데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데크(40)의 상면에는 폭방향의 양측단에 후술할 변형방지부(530)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데크(40) 상면에 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데크연결부재(500)는 베이스부(510), 수직연결부(520), 변형방지부(530), 제1지지부(540), 제2지지부(550),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에, 데크연결부재(500)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데크연결부재(500)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데크연결부재(500)의 베이스부(510)는 제1베이스부(510a) 및 제2베이스부(510b)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의미하고, 수직연결부(520)는 제1수직연결부(520a) 및 제2수직연결부(520b)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변형방지부(530)는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제2변형방지부(530b)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의미하고, 제1지지부(540)는 일측지지부(540a) 및 타측지지부(540b)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부(510)는 데크(40)의 하부에서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510)는 장선(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판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부(510)의 폭방향의 타측단에는 제2결합부(5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57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510)가 제2결합부(5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2결합부(570)에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가 결합될 때에 제2결합부(570)가 파손되거나 폭방향 일측방으로 밀려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정렬설치될 수 있으므로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데크(40)도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선(30) 상에 기배치된 데크연결부재(500)의 베이스부(510) 타측단의 제2결합부(570)에 새로운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새로운 데크연결부재(500)를 폭방향 일측방으로 조금만 밀어 넣어도, 새로운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지지부(540)가 장선(30) 및 장선(30) 상에 기배치된 데크(40)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새로운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70)가 장선(30) 상에 기배치된 데크연결부재(500)의 제2결합부(57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부(510)의 타측단 부근의 상부에는 베이스부(510)로부터 "ㄱ" 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512)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510)와 걸림턱(512)의 "ㄱ" 자 형상 사이의 공간에 의해 제2결합부(570)가 규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570)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510)에는 길이방향으로 절단홈(514)이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시에 데크(40)의 폭 등에 따라 베이스부(510)를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하여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가 작은 크기의 폭을 가지더라도, 데크(4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데크연결부재(500)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이에,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데크(40)의 폭 등에 맞춤된 폭을 가지는 데크연결부재(500)에 의해 데크(40)가 지지되므로, 데크(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데크(4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510)가 절단홈(514)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면, 베이스부(510)의 타측단 부근의 걸림턱(512)이 제거되므로 베이스부(510) 및 걸림턱(512)에 의해 규정되는 제2결합부(570)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연결부(520) 또는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는 제2결합부(570)에 갈음하여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베이스부(510)는 베이스부(510) 및 베이스부(510) 하방의 장선(30)과 결합되는 고정수단(60)을 통해 장선(30)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수단(60)은 예를 들면, 볼트, 너트, 못, 피스, 리벳 등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수단(6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베이스부(510)는 수직연결부(520) 및 제2지지부(550) 사이의 제1영역(A)과 제2지지부(550)와 연결되고 제2지지부(550)의 폭방향의 타측에 존재하는 제2영역(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영역(A) 및 제2영역(B)은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2지지부(55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수단(60)은 제2영역(B) 및 제2영역(B)의 하방의 상기 장선(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연결부(520) 등을 따라 베이스부(510)의 제1영역(A)에 유입된 수분이 제2지지부(500)에 가로막혀서 제2영역(B)에 위치하는 고정수단(60)에 침투하지 못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수직연결부(520)는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 배치되는 데크(4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수직연결부(520)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직연결부(520)는 도면과 같이, 베이스부(510)의 폭방향의 양측단 중에서 일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 일측에는 베이스부(510)가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베이스부(510)의 폭방향 길이가 짧아져서 베이스부(510)가 장선(30)의 상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한다. 따라서, 데크연결부재(500)를 장선(30)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데크연결부재(500)를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에 밀어 넣을 때에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데크연결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데크연결부재(500)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데크연결부재(500)를 폭방향의 양측방 중에서 일측방으로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으므로, 데크연결부재(500)를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한편, 수직연결부(520)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는 제3결합부(575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수직연결부(520)의 폭방향의 타측면에는 베이스부(51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기(523)가 형성될 수 있고, 제3결합부(575a)는 베이스부(510), 수직연결부(520) 및 돌기(523)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돌기(523)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와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가 형성될 수 있다.
변형방지부(530)는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이웃하는 데크(40)의 상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방지부(530)는 도면과 같이, 수직연결부(520)의 상단으로부터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변형방지부(530)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1지지부(54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변형방지부(530)는 대향 배치되는 이웃하는 데크(40)의 상면을 각각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40)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변형방지부(530)가 데크(40)의 상면과 결합되므로, 데크(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과 같이, 데크(40)의 양측면에 홈을 생성하고 데크연결부재를 데크(40)의 양측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데크(40)의 제조/가공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변형방지부(530)의 상면에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홈(532)이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형방지부(530)의 상면의 수분이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양측단을 따라 변형방지부(530)의 하부로 흐르지 못하고, 수로홈(532)을 따라 변형방지부(530)의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이 베이스부(510)로 침투하지 못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지지부(540)는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일측에 구비되는 일측지지부(540a)와 폭방향의 타측에 구비되는 타측지지부(54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측지지부(540a) 또는 타측지지부(540b)는 베이스부(510) 또는 수직연결부(5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지지부(540a) 또는 타측지지부(540b)는 수직연결부(520) 부근의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일측지지부(540a) 또는 타측지지부(540b)는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과 달리, 일측지지부(540a) 또는 타측지지부(540b)는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 일측 또는 타측의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에, 베이스부(510)로부터 돌출된 일측지지부(540a) 또는 타측지지부(540b)는 수직연결부(520)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540)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변형방지부(53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540)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이웃하는 데크(40)의 저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지지부(540a)는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고, 타측지지부(540b)는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540)가 형성됨으로써, 이웃하는 데크(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측지지부(540a)가 베이스부(510)에 형성되지 않고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직연결부(520)가 베이스부(510)의 폭방향의 일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데크연결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다.
일측지지부(540a)의 폭방향의 일측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5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연장부(542)의 하단부가 장선(30)과 접촉하여 수직연장부(542)가 장선(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일측지지부(540a)의 일측단이 수직연장부(5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일측지지부(540a)가 데크(4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수직연장부(542)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제1결합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2결합부(570) 또는 제3결합부(575)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달리, 타측지지부(540b)가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 타측의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제3결합부(575a)가 수직연결부(520)의 폭방향의 타측면에 형성되지 않고 타측지지부(540b)의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타측지지부(540b)의 폭방향의 타측면에는 베이스부(51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제3결합부(575a)는 베이스부(510), 타측지지부(540b) 및 돌기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제2지지부(550)는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의 타측에 제1지지부(540)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550)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550)는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데크(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지지부(550)가 형성됨으로써, 데크(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데크(40)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데크(40) 및 데크연결부재(500) 설치 시에, 장선(30)의 상부에 기설치된 데크연결부재(500)의 제2지지부(550)가 데크연결부재(500)에 설치되는 데크(40)의 폭방향의 타측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설치된 데크연결부재(500)에 데크(4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기설치된 데크연결부재(500)에 설치된 데크(40)의 폭방향의 타측단에 새로운 데크연결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다.
이와 반대로, 제2지지부(55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데크(40)의 폭방향의 타측단이 하방으로 크게 기울어져서, 데크(40)의 폭방향의 타측단에 새로운 데크연결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하지 못할 수 있다.
이 때에, 제2지지부(550)는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데크(40)의 폭방향의 중간부의 하방에 형성되어 데크(40)의 폭방향의 중간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40)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데크(4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크(40) 및 데크연결부재(500) 설치 시에 데크(40)의 폭방향의 타측단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데크(40) 및 데크연결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다.
제2지지부(550)는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1수직부(552) 및 제1수직부(552)의 상단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5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2지지부(5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550)는 제1수직부(552)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고 수평부(554)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2수직부(5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부(552)는 베이스부(510)의 제1영역(A)과 결합될 수 있고 제2수직부(558)는 베이스부(510)의 제2영역(B)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수직부(552)는 베이스부(510)의 제1영역(A)의 폭방향 타측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제1영역(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수평부(554)와 결합될 수 있고, 제2수직부(558)는 베이스부(510)의 제2영역(B)의 폭방향 일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수평부(554)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에, 베이스부(510)의 제1영역(A) 및 제2영역(B)이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경우에는, 제1영역(A) 및 제2영역(B)은 제2지지부(55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수평부(554)에는 길이방향으로 절단홈(556)이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단홈(556)은 제1수직부(552) 및 제2수직부(558) 사이의 수평부(554) 상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시에 데크(40)의 폭 등에 따라 수평부(554)를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하여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가 작은 크기의 폭을 가지더라도, 데크(4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데크연결부재(500)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데크(40)의 폭 등에 맞춤된 폭을 가지는 데크연결부재(500)에 의해 데크(40)가 지지되므로, 데크(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데크(4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554)가 절단홈(556) 부분에서 절단되어, 제2지지부(550) 중에서 절단홈(556)을 기준으로 폭방향 타측의 일부분이 제거되더라도, 절단홈(556)을 기준으로 폭방향 일측의 나머지 부분이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지지부(550)에 의해 데크구조물의 내구성 및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2지지부(550)의 수평부(554)가 절단홈(556)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단되면, 제2수직부(558)가 제거될 수 있고 제2수직부(558)와 연결된 베이스부(510)의 제2영역(B)의 타측단 부근의 걸림턱(512)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베이스부(510) 및 걸림턱(512)에 의해 규정되는 제2결합부(570)도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수직부(552)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는 제2결합부(570)에 갈음하여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1결합부(560)와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수직부(552)의 폭방향의 타측면에는 베이스부(51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기(553)가 형성될 수 있고, 제3결합부(575b)는 베이스부(510), 제1수직부(552) 및 돌기(553)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돌기(553)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560)는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의 일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결합부(560)는 수직연장부(542)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과 달리, 수직연장부(542)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결합부(560)는,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의 일측단에 해당하는, 수직연결부(520)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결합부(560)는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에 해당할 수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1결합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560)가 돌기에 해당하는 경우에,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의 길이는 데크(40)의 폭과 제2결합부(570) 또는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제2결합부(570)는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의 타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결합부(570)는 베이스부(510)의 폭방향의 타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570)는 제1결합부(560)가 삽입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결합부(570)는 베이스부(510)의 폭방향 타측단과 걸림턱(512)의 "ㄱ" 자 형상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2결합부(5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가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데크연결부재(500)가 설치된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므로 적은 수의 고정수단(60)으로 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 상에 고정시켜도 데크연결부재(500)가 장선(3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3결합부(575)는 수직연결부(520) 또는 제1수직부(552)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과 달리, 타측지지부(540b)가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 타측의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제3결합부(575a)가 수직연결부(520)의 폭방향의 타측면에 형성되지 않고 타측지지부(540b)의 타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3결합부(575)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고, 제2결합부(570)에 갈음하여 제1결합부(56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3결합부(575)는 베이스부(510)와, 수직연결부(520), 타측지지부(540b) 또는 제1수직부(552) 중에서 어느 하나와, 돌기(523, 553)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3결합부(57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560) 및 제3결합부(575)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510) 또는 수평부(554)에 형성된 절단홈(514, 556) 부분이 절단되어 제2결합부(570)가 제거되더라도, 제3결합부(575)를 통해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가지는 데크에 대해 데크연결부재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데크(40)의 작은 크기의 폭에 맞추기 위해 데크연결부재(500p)의 수평부(554)가 절단홈(556, 도 4) 부분에서 절단되고,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1수직부(552)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3결합부(575b)에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에는,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데크(40)의 작은 크기의 폭에 맞추기 위해 데크연결부재(500p)의 베이스부(510)의 제1영역(A)이 절단홈(514, 도 4) 부분에서 절단되고, 데크연결부재(500p)의 수직연결부(5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3결합부(575a)에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에는,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 길이가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데크(40)의 폭에 맞추기 위해 데크연결부재(500p)의 수평부(554)가 절단홈(556, 도 4) 부분에서 절단되고,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1수직부(552)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3결합부(575b)에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에는,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 길이가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의 길이가 데크(40)의 폭 및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40)가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가지더라도, 데크(4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데크연결부재(500p, 500q)가 서로 결합되면서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40)도 데크연결부재(500)를 따라 용이하게 정렬설치될 수 있고 이웃하는 데크(4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데크(40)의 폭 등에 맞춤된 폭을 가지는 데크연결부재(500)에 의해 데크(40)가 지지되므로, 데크(4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데크(4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데크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가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512)의 타측단과 제1결합부(560)가 형성된 데크연결부재(500q)의 일측단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빈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결합부(570)를 형성하는 "ㄱ" 자 형상의 걸림턱(512)의 타측단과 제1결합부(560)가 형성된 데크연결부재(500q)의 수직연장부(542)의 폭방향 일측면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빈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빈 공간(s)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연결부재(500q)의 수직연결부(520) 및 제1지지부(540)를 따라 제1결합부(560)와 제2결합부(570)가 결합되는 지점에 유입된 수분이 걸림턱(512)의 타측단에 가로막혀서 베이스부(510)의 제2영역(B)에 위치하는 고정수단(60)에 침투하지 못하고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데크연결부재(500)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데크연결부재(500a)는 제1베이스부(510a), 제1수직연결부(520a),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일측지지부(54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베이스부(510a)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장선(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 형태일 수 있다.
제1수직연결부(520a)는 제1베이스부(510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데크(4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는 제4결합부(58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제1변형방지부(530a)는 제1수직연결부(520a)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제1수직연결부(520a)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1변형방지부(530a)의 상면에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홈(532)이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변형방지부(530a)의 상면의 수분이 제1변형방지부(530a)의 폭방향 일측단을 따라 제1변형방지부(530a)의 하부로 흐르지 못하고, 수로홈(532)을 따라 제1변형방지부(530a)의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이 베이스부(510)로 침투하지 못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측지지부(540a)는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 일측의 제1베이스부(510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제1수직연결부(520a)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데크연결부재(500b)는 제2베이스부(510b), 제2수직연결부(520b), 제2변형방지부(530b) 및 타측지지부(54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베이스부(510b)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장선(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 형태일 수 있다.
제2수직연결부(520b)는 제2베이스부(510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데크(4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는 제5결합부(5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제2변형방지부(530b)는 제2수직연결부(520b)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제2수직연결부(520b)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2변형방지부(530b)의 상면에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홈(532)이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변형방지부(530b)의 상면의 수분이 제2변형방지부(530b)의 폭방향 타측단을 따라 제2변형방지부(530b)의 하부로 흐르지 못하고, 수로홈(532)을 따라 제2변형방지부(530b)의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이 베이스부(510)로 침투하지 못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타측지지부(540b)는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 타측의 제2베이스부(510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제2수직연결부(520b)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4결합부(580)는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결합부(580)는 제1수직연결부(520a)의 하부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의 타측면에는 제1베이스부(510a)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기(524)가 형성될 수 있고, 제4결합부(580)는 제1베이스부(510a), 제1수직연결부(520a) 및 돌기(524)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돌기(524)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4결합부(580)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4결합부(580)가 형성될 수 있다.
제5결합부(590)는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5결합부(590)는 제2수직연결부(520b)의 하부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5결합부(590)는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제4결합부(580)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돌기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5결합부(590)는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5결합부(59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결합부(560)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폭방향 일측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2결합부(570)는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폭방향 타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연결부재(500) 설치 시에, 데크연결부재(500)를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로 분리하여 정렬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선(30)과 장선(30) 상에 기설치된 데크(40) 사이에 장선(30)과의 접촉면적이 작은 제1데크연결부재(500a)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제1데크연결부재(500a)를 장선(30) 상에 기설치된 데크연결부재(500)와 결합시켜 제1데크연결부재(500a)를 용이하게 정렬설치할 수 있다. 제1데크연결부재(500a)를 설치한 후에 제1데크연결부재(500a)에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결합시켜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용이하게 정렬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를 통해 서로 결합되고, 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의 제2데크연결부재(500b) 또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와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설치된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므로 제1데크연결부재(500a) 또는 제2데크연결부재(500b) 중에 어느 하나만 장선(30) 상에 고정시켜도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장선(30) 상에 모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수직연결부(520)를 상하방향으로 분할한 제1수직연결부(520a) 및 제2수직연결부(520b)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폭방향 타측면에 해당하는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 타측면 또는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폭방향 일측면에 해당하는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 일측면이 매끄러운 수직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측단에 제1데크연결부재(500a) 또는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설치되면 측단면이 매끄러워질 수 있으므로,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측단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측단에 별도의 마감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제4결합부(580)가 제1수직연결부(520a)의 하부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된 지점에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고, 제5결합부(590)가 제2수직연결부(520b)의 하부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수직연결부(520a) 및 제2수직연결부(520b) 사이에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개방된 수로홈(c)이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연결부(520) 또는 변형방지부(530)의 상면의 수분이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양측단을 따라 변형방지부(530)의 하부로 흐르지 못하고, 수로홈(c)을 따라 수직연결부(520)의 길이방향 양측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이 베이스부(510)로 침투하지 못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정수단(60)이 수분에 의한 부식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구조물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와 같이,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타측단에는 마감부재(R)가 설치될 수 있다.
마감부재(R)는 데크(40)의 폭방향의 타측단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고 데크(40)의 상면 중에서 폭방향의 타측단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마감부재(R)는 데크연결부재(500)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마감부재(R)는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타측단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반면에,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일측단에는 폭방향의 일측면이 매끄러운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설치되므로, 데크구조물의 폭방향 일측단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마감부재가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정면도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은 기초부 마련단계(S710), 멍에 배치단계(S720), 장선 설치단계(S730), 제1폭맞춤단계(S740), 제2폭맞춤단계(S750),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 및 데크 배치단계(S7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초부 마련단계(S710)에서는, 기초를 정리하여 기초부(10)를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초부(10)를 평탄하게 마련할 수 있다.
멍에 배치단계(S720)에서는, 도 1과 같이, 기초부(10) 상에 멍에(20)를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장선 설치단계(S730)에서는, 도 2와 같이, 멍에(20) 상에 장선(30)을 교차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장선(30)은 멍에(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폭맞춤단계(S740)에서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데크(40)의 폭 등에 따라 베이스부(510) 또는 제2지지부(550)의 수평부(554)에 형성된 절단홈(514, 556) 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폭맞춤단계(S750)에서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데크(40)의 폭과 제2결합부(570) 또는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결합부(560)인 돌기를 절단하여 1결합부(560)의 폭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데크연결부재(500)를 장선(30)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가 없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에, 제2데크연결부재(500b)는 장선(3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반면에,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가 있고 상기 기배치된 데크(40a)의 폭방향의 타측면에 데크연결부재(50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데크연결부재(500q)의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일측 및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일측 사이에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의 폭방향 타측을 삽입하고,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시켜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에, 장선(4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절단홈(514, 556) 부분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3결합부(575)와 결합시켜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에, 도 7 및 도 8과 같이, 폭방향 길이가 조절된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상기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3결합부(575)와 결합시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에,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데크연결부재(500q)를 폭방향의 양측방 중에서 일측방으로 기울여서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일측단부를 장선(30)과 상기 기배치된 데크(40a) 사이에 삽입시킨 후에, 데크연결부재(500)를 폭방향의 일측방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기배치된 데크(40a)에 데크연결부재(5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용이성이 향상된다.
한편,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가 있고 상기 기배치된 데크(40a)의 폭방향의 타측면에 데크연결부재(50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라도, 데크연결부재(500) 대신에 도 3 및 도 4와 같이, 마감부재(R)가 장선(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에서는, 도 12와 같이,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에, 고정수단(60)이 설치되는 위치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데크연결부재(500)를 장선(30)의 상부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마감부재(R)를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데크 배치단계(S780)에서는, 도 13과 같이, 새로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q)의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타측 및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타측 사이에 기배치되지 않은 데크(40b)의 폭방향 일측을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이 데크연결부재(500q)의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일측 및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일측 사이에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의 폭방향 타측을 삽입하고,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시켜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는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키는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 및 새로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q)의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타측 및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타측 사이에 기배치되지 않은 데크(40b)의 폭방향 일측을 삽입하는 데크 배치단계(S780)를 포함함으로써, 데크연결부재(500)를 정렬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위치측정공정 등의 추가공정을 포함하지 않고 최소한의 단순한 공정으로 데크연결부재(500) 및 데크(40)가 정렬설치되는 데크구조물을 만들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이 데크(40)의 폭에 따라 베이스부(510) 또는 제2지지부(550)의 절단홈(514, 556) 부분을 절단하는 제1폭맞춤단계(S740)를 포함하고,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장선(4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절단홈(514, 556) 부분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3결합부(575)와 결합시켜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절단홈(514, 556) 부분을 절단하는 최소한의 단순한 공정으로 데크(40)의 폭 등에 따라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여 데크(40)의 폭 등에 맞춤된 폭을 가지는 데크연결부재(500)가 정렬설치되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이 데크(40)의 폭 및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제2폭맞춤단계(S750)를 포함하고,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장선(4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절단홈(514, 556) 부분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폭방향 길이가 조절된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3결합부(575)와 결합시켜 폭방향 길이가 조절된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최소한의 단순한 공정으로 데크(40)의 폭 및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데크연결부재(50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여 데크(40)의 폭 등에 맞춤된 폭을 가지는 데크연결부재(500)가 정렬설치되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데크연결부재(500)가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전술한 시공방법과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우선, 도 14와 같이,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일측지지부(540a) 사이에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의 타측을 삽입하고,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1결합부(560)를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시켜 제1데크연결부재(500a)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5와 같이,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5결합부(590)를 상기 배치된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4결합부(580)에 결합시켜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에서는, 도 16과 같이,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킬 수 있다.
데크 배치단계(S780)에서는, 도 17과 같이, 새로 고정된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변형방지부(530b) 및 타측지지부(540b) 사이에 기배치되지 않은 데크(40b)의 일측을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일측지지부(540a) 사이에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의 타측을 삽입하고,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1결합부(560)를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시켜 제1데크연결부재(500a)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고,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5결합부(590)를 상기 배치된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4결합부(580)에 결합시켜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고,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에서는,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키고, 데크 배치단계(S780)에서는, 새로 고정된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변형방지부(530b) 및 타측지지부(540b) 사이에 기배치되지 않은 데크(40b)의 일측을 삽입함으로써, 최소한의 단순한 공정으로 데크연결부재(500)를 분리하여 정렬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용이성이 향상되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데크와 데크연결부재의 다른 실시 예]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및 데크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데크(40)의 저면에 팽창방지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팽창방지홈(44)은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40)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 또는 습도 차이에 의해 데크(40)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크(40)의 하부가 상부보다 습도가 높아서 팽창하더라도 팽창방지홈(44)에 의해서 데크(40) 하부의 총 팽창량이 감소하여 데크(40)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팽창방지홈(44)이 형성됨으로써 데크(40) 하부의 표면적이 넓어져서 수분을 빠르게 배출할 수 있고 열교환이 향상되므로 데크(40)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9와 같이 팽창방지홈(44)이 데크(40) 저면의 폭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지지부(550)가 팽창방지홈(44)에 삽입될 수 있고 제2지지부(550)의 상단부가 팽창방지홈(44)의 내측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팽창방지홈(44)이 데크(40)의 저면의 폭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되더라도 제2지지부(550)가 데크(40)의 폭방향의 중간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기초부 20: 멍에
30: 장선
40: 데크 44: 팽창방지홈
500: 데크연결부재 510: 베이스부
512: 걸림턱 514: 절단홈
520: 수직연결부
530: 변형방지부 532: 수로홈
540: 제1지지부 542: 수직연장부
550: 제2지지부 552: 제1수직부
554: 수평부 556: 절단홈
558: 제2수직부
560: 제1결합부 570: 제2결합부
575: 제3결합부
580: 제4결합부 590: 제4결합부
60: 고정수단

Claims (20)

  1.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멍에(20);
    상기 멍에(2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멍에(20) 상에 교차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선(30);
    상기 장선(30)의 상방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데크(40);
    상기 데크(40)의 하부에서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장선(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 형태의 베이스부(510); 상기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기 데크(4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수직연결부(520); 상기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이웃하는 상기 데크(40)의 상면을 각각 가압하는 변형방지부(530); 및 상기 수직연결부(520) 부근의 상기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이웃하는 상기 데크(40)의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데크연결부재(500); 및
    상기 베이스부(510) 및 베이스부(510) 하방의 상기 장선(30)과 결합되는 고정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데크연결부재(500)는 나란히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데크연결부재(500)에는 폭방향의 일측단에 제1결합부(560)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제2결합부(57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데크연결부재(500)가 이웃하는 데크연결부재(500)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510)는 상기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570)는 상기 베이스부(510)의 타측단에 형성되는, 데크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부(520)는 상기 베이스부(510)의 폭방향의 양측단 중에서 일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부(540)는 상기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일측에 구비되는 일측지지부(540a) 및 폭방향의 타측에 구비되는 타측지지부(54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지지부(540a)는 상기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데크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540)는, 상기 수직연결부(520)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상기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일측지지부(54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지지부(540a)의 폭방향의 일측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542)가 구비되는, 데크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560)는 상기 수직연장부(542)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 형성되는, 데크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510)의 타측단 부근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부(510)로부터 "ㄱ" 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512)이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570)는 상기 베이스부(510)와 상기 걸림턱(512)의 "ㄱ" 자 형상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되는 홈에 해당하고,
    상기 제1결합부(560)는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에 해당하는, 데크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510)에는 길이방향으로 절단홈(514)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연결부(520) 또는 상기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는 상기 제2결합부(570)에 갈음하여 상기 제1결합부(560)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a)가 형성되는, 데크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는 상기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의 타측에 제1지지부(54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지지부(5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550)는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상기 수직연결부(520)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를 지지하는, 데크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550)는 상기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폭방향의 중간부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중간부를 지지하는, 데크구조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510)는 상기 수직연결부(520) 및 상기 제2지지부(550) 사이의 제1영역(A)과 상기 제2지지부(550)와 연결되고 제2지지부(550)의 폭방향의 타측에 존재하는 제2영역(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60)은 상기 제2영역(B) 및 제2영역(B)의 하방의 상기 장선(30)과 결합되는, 데크구조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550)는 상기 베이스부(5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수직부(552); 및 상기 제1수직부(552)의 상단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55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554)에는 길이방향으로 절단홈(556)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부(552)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 상기 제2결합부(570)에 갈음하여 상기 제1결합부(560)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575b)가 형성되는, 데크구조물.
  11.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575a, b)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에 해당하고 상기 제1결합부(560)는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에 해당하고,
    상기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의 길이는 상기 데크(40)의 폭 및 상기 제3결합부(575a, b)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데크구조물.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560) 및 제2결합부(5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512)의 타측단과 상기 제1결합부(560)가 형성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의 일측단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빈 공간(s)이 형성되는, 데크구조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부(530)의 상면에는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홈(532)이 연장 형성되는, 데크구조물.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는,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장선(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 형태의 제1베이스부(510a); 상기 제1베이스부(510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기 데크(4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수직연결부(520a);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 일측의 상기 제1베이스부(510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일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일측지지부(54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장선(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 형태의 제2베이스부(510b); 상기 제2베이스부(510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상기 데크(40)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수직연결부(520b);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대향 배치되는 데크(40) 중에서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를 기준으로 폭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2변형방지부(530b); 및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 타측의 상기 제2베이스부(510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타측에 배치되는 데크(40)의 저면을 지지하는 타측지지부(54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타측면에 제4결합부(58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의 폭방향의 양측면 중에서 일측면에 제5결합부(590)가 형성되고,
    상기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가 결합되는, 데크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결합부(580)는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의 하부로부터 폭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된 지점에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5결합부(590)는 상기 제2수직연결부(520b)의 하부로부터 폭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직연결부(520a) 및 제2수직연결부(520b) 사이에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개방된 수로홈(c)이 연장 형성되는, 데크구조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제2변형방지부(530b)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는 상기 데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홈(532)이 연장 형성되는, 데크구조물.
  17. 청구항 1의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기초를 정리하여 상기 기초부(10)를 마련하는 기초부 마련단계(S710);
    상기 기초부(10) 상에 상기 멍에(20)를 나란히 배치하는 멍에 배치단계(S720);
    상기 멍에(20) 상에 상기 장선(30)을 교차방향으로 설치하는 장선 설치단계(S730);
    데크연결부재(500q)의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일측 및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일측 사이에 상기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의 폭방향 타측을 삽입하고,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상기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시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는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
    상기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를 상기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키는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 및
    상기 새로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q)의 변형방지부(530)의 폭방향 타측 및 제1지지부(540)의 폭방향 타측 사이에 기배치되지 않은 데크(40b)의 폭방향 일측을 삽입하는 데크 배치단계(S780)를 포함하는,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는, 청구항 14의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데크연결부재(500a) 및 제2데크연결부재(500b)에는 청구항 14의 제4결합부(580) 및 제5결합부(59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60)은 상기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베이스부(510b) 및 제2베이스부(510b) 하방의 상기 장선(30)과 결합되고,
    상기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상기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1변형방지부(530a) 및 일측지지부(540a) 사이에 상기 장선(30)의 상방에 기배치된 데크(40a)의 타측을 삽입하고, 상기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1결합부(560)를 상기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결합부(570)와 결합시켜 상기 제1데크연결부재(500a)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5결합부(590)를 상기 배치된 제1데크연결부재(500a)의 제4결합부(580)에 결합시켜 상기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데크연결부재 고정단계(S770)에서는,
    상기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상기 제2데크연결부재(500b)를 상기 장선(30)에 새로 고정시키고,
    상기 데크 배치단계(S780)에서는,
    상기 새로 고정된 제2데크연결부재(500b)의 제2변형방지부(530b) 및 타측지지부(540b) 사이에 기배치되지 않은 데크(40b)의 일측을 삽입하는,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는 청구항 7의 제2지지부(55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510)에는 청구항 6의 절단홈(514) 및 제3결합부(575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550)에는 청구항 10의 절단홈(556) 및 제3결합부(575b)가 형성되고,
    상기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데크(40)의 폭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510) 또는 상기 제2지지부(550)의 절단홈(514, 556) 부분을 절단하는 제1폭맞춤단계(S740)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상기 장선(4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상기 절단홈(514, 556) 부분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상기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3결합부(575)와 결합시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는,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575)는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에 해당하고 상기 제1결합부(560)는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에 해당하고,
    상기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상기 데크(40)의 폭 및 상기 제3결합부(575)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560)의 폭방향 길이를 조절하는 제2폭맞춤단계(S750)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연결부재 설치단계(S760)에서는,
    상기 장선(30)에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상기 절단홈(514, 556) 부분이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폭방향 길이가 조절된 상기 데크연결부재(500q)의 제1결합부(560)를 상기 이미 고정된 데크연결부재(500p)의 제3결합부(575)와 결합시켜 상기 폭방향 길이가 조절된 데크연결부재(500q)를 장선(30)의 상부에 배치하는, 데크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210046931A 2021-04-12 2021-04-12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88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931A KR102488610B1 (ko) 2021-04-12 2021-04-12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931A KR102488610B1 (ko) 2021-04-12 2021-04-12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973A KR20220140973A (ko) 2022-10-19
KR102488610B1 true KR102488610B1 (ko) 2023-01-13

Family

ID=8380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931A KR102488610B1 (ko) 2021-04-12 2021-04-12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6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490B1 (ko) * 2007-05-09 2007-11-28 우진명 데크 지지바
KR200445649Y1 (ko) *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101855368B1 (ko) * 2018-02-07 2018-05-08 아이앤지산업(주)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192B1 (ko) 2010-02-05 2010-07-14 (주)그린아트산업 목재데크용 연결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490B1 (ko) * 2007-05-09 2007-11-28 우진명 데크 지지바
KR200445649Y1 (ko) * 2009-02-05 2009-08-20 (주)대현목재방부산업 이중재질을 갖는 건축용 데크 단위판
KR101855368B1 (ko) * 2018-02-07 2018-05-08 아이앤지산업(주) 무장애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973A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261B1 (ko)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A2466624C (en) Hydronic radiant heat tubing receptacle and heat distribution panel system
US20220010825A1 (en) Installation clip, especially for installing planks, and associated installation system
JP2007518901A (ja)
US8122669B2 (en) Wooden roof truss
KR102488610B1 (ko)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40299177A1 (en) Integrated roof solar power system
KR20060122052A (ko) 방열패널과 접속패널로 구성된 온수 배관패널 조립구조
KR100983131B1 (ko) 온돌용 패널 어셈블리 구조
KR101794092B1 (ko) 지붕판넬용 인서트클립 조립체
SK38099A3 (en) Fastening system for heat exchangers, and lining
CN211037665U (zh) 龙骨组件、地暖保温板及地暖***
EP2148142B1 (en) Device for holding a pipe in a groove of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tegrated in a surface and method therefor
CN113339871A (zh) 一种地暖水管安装固定结构及其安装方法
CN201962905U (zh) 一种无钉卡装地板***
KR101443252B1 (ko)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
CN215892506U (zh) 一种地暖水管安装固定结构
KR200445966Y1 (ko) 난방용 바닥재
CN116317850B (zh) 一种夹具式太阳光伏板的安装结构
CN102031856A (zh) 用于无钉卡装地板***的安装座
CN109914604B (zh) 弧形屋脊及其加工方法
KR102457111B1 (ko) 데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5188197A (ja) 屋根材
KR101535515B1 (ko) 단열 보강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WO2024032771A1 (zh) 光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